KR20130053073A - 교통 신호등 - Google Patents

교통 신호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3073A
KR20130053073A KR1020110118577A KR20110118577A KR20130053073A KR 20130053073 A KR20130053073 A KR 20130053073A KR 1020110118577 A KR1020110118577 A KR 1020110118577A KR 20110118577 A KR20110118577 A KR 20110118577A KR 20130053073 A KR20130053073 A KR 201300530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ffic
light
light emitting
emitting unit
traffic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8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지원
Original Assignee
윤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지원 filed Critical 윤지원
Priority to KR1020110118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53073A/ko
Publication of KR20130053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30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provided with indicators in which a mark progresses showing the time elapsed, e.g. of green phas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통 신호등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교통 신호등은 소정의 높이를 갖는 입체 구조물; 및 상기 입체 구조물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360°로 빛을 발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교통 신호등은 신호 불빛이 360°로 발산될 수 있어 어느 방향에서나 신호를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보행자 및 운전자의 시야 범위가 확대될 수 있고, 보행자 및 운전자에게 효과적으로 교통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Description

교통 신호등{Traffic signal}
본 발명은 교통 신호등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교통 신호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교통 신호등에 관한 것이다.
교통 신호등은 색체, 소리 등의 일정한 부호에 의하여 차량 또는 보행자에게 교통 신호를 전달하는 장치로써, 도로의 횡단보도나 교차로 등에 지상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교통 신호등은 일반적으로 빨강, 초록, 오렌지 색의 3가지 색으로 표시될 수 있고, 색상에 따라 서로 다른 교통 조건을 나타낼 수 있다.
통상 운전자용 신호등은 교차로나 횡단보도, 건널목 등에 설치될 수 있고, 차량의 교통을 통제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보행자의 안전을 위해 설치되는 보행자용 신호등은 횡단보도 등에 설치되며, 보행자에게 보행신호를 제공하고, 횡단보도에 인접한 차량의 운전자들에게는 보행자의 신호 상황을 파악할 수 있게 하여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하고 있다.
운전자용 신호등이나 보행자용 신호등은 인도변에 기둥이 설치되며, 기둥에 정지신호를 나타내는 적색등과 진행신호를 나타내는 녹색등이 전면부를 향하여 설치된다. 이러한 교통 신호등은 전면을 향하여 적색등 또는 녹색등이 설치되어 전방에 위치한 보행자나 운전자만 신호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원거리에 있거나 다른 방향에서 진입하는 보행자나 운전자는 신호를 식별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최근에는 보행자용 신호등의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화살표가 순차적으로 점멸되거나 숫자가 카운트 다운되면서 보행 신호의 잔여시간을 나타내도록 하는 잔여시간 표시 장치를 신호등에 부착하는 방법 등을 포함하여 교통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대책이 마련되고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2011-0040613호 및 한국공개특허 제2011-0082686호는 교통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다양한 구조의 교통 신호등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목적은 교통신호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교통 신호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소정의 높이를 갖는 입체 구조물; 및 상기 입체 구조물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360°로 빛을 발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부;를 포함하는 교통 신호등을 제공한다.
상기 발광부는 입체 구조물의 높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정지신호 발광부 및 진행신호 발광부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발광부는 입체 구조물의 높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정지 발광부, 준비신호 발광부 및 진행신호 발광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체 구조물은 원기둥, 각기둥 또는 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발광부의 광원은 상기 입체 구조물의 내부 공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교통 신호등은 교차로의 코너부에 배치되어 운전자용 신호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교통 신호등은 횡단 보도에 배치되어 보행자용 신호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교통 신호등은 불빛이 360°로 발산할 수 있어 어느 방향에서나 신호를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보행자 및 운전자의 시야 범위가 확대될 수 있고, 보행자 및 운전자에게 효과적으로 교통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코너부에 운전자용 신호등을 배치하게 되면 운전자는 어느 방향에서나 교통 신호를 볼 수 있어 운전자는 안전하게 코너를 돌 수 있다. 보행자 역시 코너부에 배치된 신호등을 참조하여 안전하게 횡단보도를 지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보행자용 신호등으로 사용되는 경우 다각도에서 보행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횡단보도를 직선으로 통과하는 보행자 이외에 횡단보도의 사선방향에서 길을 건너는 보행자도 교통 신호를 용이하게 볼 수 있어 교통 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교통 신호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교통 신호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교통 신호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교통 신호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교통 신호등의 사용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을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교통 신호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교통 신호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교통 신호등은 입체 구조물(100), 및 상기 입체 구조물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발광부(110, 120, 1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체 구조물(100)은 소정의 높이(H)를 가질 수 있고, 일반적으로 지면에 매립되어 사용될 수 있다. 하부가 지면에 매립되면 상부는 지상으로 일정 높이로 돌출된 상태로 세워질 수 있다.
상기 입체 구조물(100)은 금속, 폴리머 등의 다양한 재질을 가질 수 있고, 압출, 몰드 성형, 주물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입체 구조물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인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입체 구조물의 둘레를 따라 발광부(110, 120, 13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는 입체 구조물의 상부에 입체 구조물의 둘레 방향(D)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는 원기둥의 둘체 전체에 형성되어 360°로 빛을 발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발광부는 교통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1개의 발광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발광부의 꺼짐과 켜짐에 교통 신호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2개의 발광부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발광부는 정지신호 및 진행신호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광부는 3개의 발광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3개의 발광부는 입체 구조물(100)의 높이 방향(H)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입체 구조물(100)의 둘레(D)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발광부는 정지신호 발광부(110), 준비신호 발광부(130) 및 진행신호 발광부(120)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정지신호 발광부(110)는 적색, 준비신호 발광부(130)는 오렌지색, 진행신호 발광부(120)는 녹색을 나타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부(110)의 광원(110S)은 입체 구조물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입체 구조물의 내부 공간에 광원을 구비하여 입체 구조물의 둘레를 따라 빛을 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광원(110S)은 LED(Light Emitting Diode; 발광 다이오드) 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LED의 발광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반사판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으로 LED를 사용하는 경우 제작 비용이 저렴하고, 밝기가 향상될 수 있으며, 백열 전구에 비하여 수명이 오래가서 유지 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발광부(110, 120, 130)는 입체 구조물의 다른 부분과 달리 투명 또는 반투명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입체 구조물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입체 구조물은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솟아있는 것으로, 기둥 형상일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교통 신호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교통 신호등의 입체 구조물(200)은 사각 기둥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입체 구조물은 오각기둥, 육각 기둥 등의 각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사각 기둥의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부(210, 220, 230)가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발광부의 갯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각각 서로 다른 색을 나타내어 색상에 따른 교통 신호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교통 신호등의 입체 구조물(300)은 삼각뿔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입체 구조물은 사각뿔 또는 원뿔 등의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삼각뿔의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부(310, 320, 33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3개로 구성된 발광부를 도시하고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발광부의 갯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교통 신호등은 운전자용 신호등 또는 보행자용 신호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교통 신호등이 사용되는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상기 교통 신호등은 운전자용 신호등으로 사용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교통 신호등은 교차로의 코너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운전자용 신호등은 도 1에 도시된 신호등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보행자용 신호등(10)이 보행자 정지신호인 적색을 나타낼 때 운전자용 신호등은 운전자의 진행을 나타내기 위하여 진행신호 발광부(120)가 켜져서 녹색을 나타낼 수 있다. 보행자용 신호등(10)이 보행자 진행신호인 녹색을 나타낼 때 운전자용 신호등은 운전자의 정지를 나타내기 위하여 정지신호 발광부(110)가 켜져서 적색을 나타낼 수 있다.
일반적인 교통 신호 표시 체계와 같이 횡단 보도 신호등, 즉 보행자 신호등과 반대로 운전자용 신호등은 작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교통 신호등은 진행신호 발광부(120) 및 정지신호 발광부(110)가 360°로 빛을 발산할 수 있다.
종래의 운전자용 신호등(20)은 신호등이 마주하고 있는 방향에서만 신호를 볼 수 있어 운전자의 위치 및 방향에 따라 신호를 보는데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교통 신호등은 어느 방향에서나 신호를 볼 수 있어 운전자의 시야 범위가 확대될 수 있고, 운전자에게 효과적으로 교통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운전자용 신호등은 종래의 운전자용 신호등(20)과 함께 사용되거나,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보행자용 신호등(10)의 신호가 적색일 때 운전자용 신호등은 녹색을 낼 수 있고, 보행자용 신호등(10)의 신호가 녹색일 때 운전자용 신호등은 적색을 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준비 신호 발광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보행자용 신호등(10)의 신호가 적색에서 녹색 또는 녹색에서 적색으로 바뀔 경우 운전자용 신호등은 운전자들에게 곧 출발 또는 정지해야 한다는 신호를 보내기 위해 준비신호 발광부(130)가 작동하여 오렌지색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코너부에 배치되는 운전자용 신호등은 보행자용 신호등의 신호가 녹색이여서 보행자가 횡단보도를 지나갈 때 정지신호 발광부(110)가 작동하여 적색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코너부에 배치되는 운전자용 신호등은 운전자들이 넓은 범위에서 볼 수 있게 하여 운전자들이 안전하게 코너를 돌게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코너부를 도는 운전자는 전방에 배치된 신호(20)를 보기 어려울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코너부에 운전자용 신호등을 배치하게 되면 운전자는 어느 방향에서나 교통 신호를 볼 수 있어 운전자는 안전하게 코너를 돌 수 있다. 보행자 역시 코너부에 배치된 신호등을 참조하여 안전하게 횡단보도를 지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교통 신호등은 보행자용 신호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종래에 사용되는 보행자용 신호등(10)과 같은 방식으로 횡단보도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교통 신호등은 불빛이 360°로 발산할 수 있어 다각도에서 보행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횡단보도를 직선으로 통과하는 보행자 이외에 횡단보도의 사선방향에서 길을 건너는 보행자도 교통 신호를 용이하게 볼 수 있어 교통 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하고자 한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200, 300: 입체 구조물
110, 120, 130, 210, 220, 230, 310. 320, 330: 발광부

Claims (7)

  1. 소정의 높이를 갖는 입체 구조물; 및
    상기 입체 구조물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360°로 빛을 발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부;
    를 포함하는 교통 신호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입체 구조물의 높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정지신호 발광부 및 진행신호 발광부로 구성되는 교통 신호등.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입체 구조물의 높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정지 발광부, 준비신호 발광부 및 진행신호 발광부로 구성되는 교통 신호등.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구조물은 원기둥, 각기둥 또는 뿔 형상인 교통 신호등.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의 광원은 상기 입체 구조물의 내부 공간에 형성되는 교통 신호등.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 신호등은 교차로의 코너부에 배치되어 운전자용 신호등으로 사용되는 교통 신호등.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 신호등은 횡단 보도에 배치되어 보행자용 신호등으로 사용되는 교통 신호등.
KR1020110118577A 2011-11-15 2011-11-15 교통 신호등 KR201300530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8577A KR20130053073A (ko) 2011-11-15 2011-11-15 교통 신호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8577A KR20130053073A (ko) 2011-11-15 2011-11-15 교통 신호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3073A true KR20130053073A (ko) 2013-05-23

Family

ID=48662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8577A KR20130053073A (ko) 2011-11-15 2011-11-15 교통 신호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5307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56571A (zh) * 2018-06-20 2018-12-21 佛山市简为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发光提醒人行灯柱和斑马线的智慧人行道
KR20210142922A (ko) * 2020-05-19 2021-11-26 (주) 군월드 교차로 표시등 장치
KR102648064B1 (ko) * 2022-09-28 2024-03-15 김대식 보행자용 보조 신호등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56571A (zh) * 2018-06-20 2018-12-21 佛山市简为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发光提醒人行灯柱和斑马线的智慧人行道
KR20210142922A (ko) * 2020-05-19 2021-11-26 (주) 군월드 교차로 표시등 장치
KR102648064B1 (ko) * 2022-09-28 2024-03-15 김대식 보행자용 보조 신호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053615Y (zh) 新型红绿信号灯
JP2017520847A (ja) 横断歩道、交差点および交差道路における優先権切り替えのための信号システム
TW201310401A (zh) 交通管理裝置
US20140225752A1 (en) Predictive traffic light for an intersection for preventing accidents
KR100934621B1 (ko) 발광 횡단보도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30053073A (ko) 교통 신호등
SK50222015U1 (sk) Okružná križovatka s výstražným svetelným zariadením
KR20130083285A (ko) 엘이디를 이용한 횡단보도 안전 대기 시스템
KR101248301B1 (ko) 다방향 교통신호 확인 가능 신호등
EP2375392A2 (en) Led signal light
KR20150075737A (ko) 신호식별이 용이한 신호등
KR20120002003U (ko) 보행 신호의 가시각을 확장시킨 신호등 장치
TW201320022A (zh) 緊急救援警示方法及其系統
WO2020019837A1 (zh) 交通信号光源
CN202600976U (zh) 一种道路交通信号设备
RU116422U1 (ru) Автоматическая система индикации движени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варианты)
ES2422505B1 (es) Señalización horizontal activa y luminosa para seguridad vial y pasos peatonales.
KR101048803B1 (ko)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하는 교통신호등
KR102017388B1 (ko) 잔여시간을 표시하는 보행자용 신호등과 이를 이용한 보행 방향 표시 방법
KR200445686Y1 (ko) 신호등의 잔여시간 표시기
JP2009187340A (ja) 縁石及び仕切り側面補助信号灯。
JP2009127415A (ja) 警告表示装置を用いた警告表示システム及び警告表示装置
KR20130097841A (ko) 발광 다이오드로 구성된 횡단보도
KR102486004B1 (ko) 보행신호등
CN216839091U (zh) 一种人行横道发光指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