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9256A - 리튬이차전지의 양극용 슬러리 조성물 - Google Patents
리튬이차전지의 양극용 슬러리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49256A KR20230149256A KR1020230050829A KR20230050829A KR20230149256A KR 20230149256 A KR20230149256 A KR 20230149256A KR 1020230050829 A KR1020230050829 A KR 1020230050829A KR 20230050829 A KR20230050829 A KR 20230050829A KR 20230149256 A KR20230149256 A KR 2023014925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sitive electrode
- slurry composition
- lithium secondary
- secondary battery
- slurry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2002 slurry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6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1
- WHXSMMKQMYFTQS-UHFFFAOYSA-N Lithium Chemical compound [Li] WHXSMMKQMYFTQS-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29910052744 lithium Inorganic material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8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3
- 239000002041 carbon nanotub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29910021393 carbon nanotub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9000002270 dispers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9000007774 positive electrod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77
- NIXOWILDQLNWCW-UHFFFAOYSA-M Acrylate Chemical compound [O-]C(=O)C=C NIXOWILDQLNWCW-UHFFFAOYSA-M 0.000 claims description 73
- 239000000178 monom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6
- 125000003118 aryl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29920001577 copoly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125000004432 carbon atom Chemical group C*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150000001338 aliphatic hydrocarbon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YNAVUWVOSKDBBP-UHFFFAOYSA-N Morpholine Chemical compound C1COCCN1 YNAVUWVOSKDBB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8
- JBKVHLHDHHXQEQ-UHFFFAOYSA-N epsilon-caprolactam Chemical compound O=C1CCCCCN1 JBKVHLHDHHXQEQ-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6
- PXHVJJICTQNCMI-UHFFFAOYSA-N Nickel Chemical compound [Ni] PXHVJJICTQNCMI-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2033 PVDF bind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29920002981 polyvinylidene fluorid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SECXISVLQFMRJM-UHFFFAOYSA-N N-Methylpyrrolidone Chemical group CN1CCCC1=O SECXISVLQFMRJM-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HNJBEVLQSNELDL-UHFFFAOYSA-N pyrrolidin-2-one Chemical compound O=C1CCCN1 HNJBEVLQSNELDL-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11267 electrode slurr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XFXPMWWXUTWYJX-UHFFFAOYSA-N Cyanide Chemical compound N#[C-] XFXPMWWXUTWYJX-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8
- 125000004093 cyano group Chemical group *C#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2048 multi walled nanotub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29920000459 Nitrile rubb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7
- 150000001732 carboxylic acid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7
- IZXIZTKNFFYFOF-UHFFFAOYSA-N 2-Oxazolidone Chemical compound O=C1NCCO1 IZXIZTKNFFYFOF-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5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20002134 Carboxymethyl cellulos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2153 Hydroxypropyl cellulos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4372 Polyvinyl alcoho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1863 hydroxypropyl cellulos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0977 hydroxypropyl cellulos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5569 poly(vinylidene fluoride-co-hexafluoroprop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2239 polyacrylonitril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2451 polyvinyl alcohol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4627 regenerated cellulos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3048 styrene butadiene rubb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5608 sulfonated EPDM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BFKJFAAPBSQJPD-UHFFFAOYSA-N tetrafluoroethene Chemical group FC(F)=C(F)F BFKJFAAPBSQJPD-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125000000896 monocarboxylic acid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2
- YCKRFDGAMUMZLT-UHFFFAOYSA-N Fluorine atom Chemical compound [F] YCKRFDGAMUMZLT-UHFFFAOYSA-N 0.000 claims 1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claims 1
- 229910052731 flu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1
- 239000011737 fluorine Substances 0.000 claims 1
- 239000005060 rubber Substances 0.000 claims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2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CERQOIWHTDAKMF-UHFFFAOYSA-M Methacrylate Chemical compound CC(=C)C([O-])=O CERQOIWHTDAKMF-UHFFFAOYSA-M 0.000 description 6
- 239000011572 mangane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798 polar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3575 carbonace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772 electrod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30195733 hydrocarbo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4
- 150000002430 hydrocarb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215 Carbon black (E152)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13716 LiNi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149 activ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054 agglom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MWPLVEDNUUSJAV-UHFFFAOYSA-N anthracene Chemical compound C1=CC=CC2=CC3=CC=CC=C3C=C21 MWPLVEDNUUSJA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34 carbon nano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6257 cathode slur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125000001972 isopentyl group Chemical group [H]C([H])([H])C([H])(C([H])([H])[H])C([H])([H])C([H])([H])* 0.000 description 3
- VNWKTOKETHGBQD-UHFFFAOYSA-N methane Chemical class C VNWKTOKETHGBQ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125000000913 palmityl group Chemical group [H]C([*])([H])C([H])([H])C([H])([H])C([H])([H])C([H])([H])C([H])([H])C([H])([H])C([H])([H])C([H])([H])C([H])([H])C([H])([H])C([H])([H])C([H])([H])C([H])([H])C([H])([H])C([H])([H])[H]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125000003229 2-methylhexyl group Chemical group [H]C([H])([H])C([H])([H])C([H])([H])C([H])([H])C([H])(C([H])([H])[H])C([H])([H])* 0.000 description 2
- RTZKZFJDLAIYFH-UHFFFAOYSA-N Diethyl ether Chemical compound CCOCC RTZKZFJDLAIYF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15645 LiM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BAPJBEWLBFYGME-UHFFFAOYSA-N Methyl acrylate Chemical compound COC(=O)C=C BAPJBEWLBFYGM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PPBRXRYQALVLMV-UHFFFAOYSA-N Styrene Chemical compound C=CC1=CC=CC=C1 PPBRXRYQALVLM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6243 acrylic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76 aggreg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3438 dodecyl group Chemical group [H]C([H])([H])C([H])([H])C([H])([H])C([H])([H])C([H])([H])C([H])([H])C([H])([H])C([H])([H])C([H])([H])C([H])([H])C([H])([H])C([H])([H])*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FUJCRWPEOMXPAD-UHFFFAOYSA-N lithium oxide Chemical compound [Li+].[Li+].[O-2] FUJCRWPEOMXPA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947 lith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3136 n-heptyl group Chemical group [H]C([H])([H])C([H])([H])C([H])([H])C([H])([H])C([H])([H])C([H])([H])C([H])([H])* 0.000 description 2
- 125000000740 n-pentyl group Chemical group [H]C([H])([H])C([H])([H])C([H])([H])C([H])([H])C([H])([H])*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191 phase sepa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1997 phenyl group Chemical group [H]C1=C([H])C([H])=C(*)C([H])=C1[H]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BBEAQIROQSPTKN-UHFFFAOYSA-N pyrene Chemical compound C1=CC=C2C=CC3=CC=CC4=CC=C1C2=C43 BBEAQIROQSPT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4079 stearyl group Chemical group [H]C([*])([H])C([H])([H])C([H])([H])C([H])([H])C([H])([H])C([H])([H])C([H])([H])C([H])([H])C([H])([H])C([H])([H])C([H])([H])C([H])([H])C([H])([H])C([H])([H])C([H])([H])C([H])([H])C([H])([H])C([H])([H])[H]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1424 substituent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JWZZKOKVBUJMES-UHFFFAOYSA-N (+-)-Isoprenaline Chemical compound CC(C)NCC(O)C1=CC=C(O)C(O)=C1 JWZZKOKVBUJME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BXSPZNVFEYWSLZ-UHFFFAOYSA-N (3-phenoxyphenyl)methyl prop-2-enoate Chemical compound C=CC(=O)OCC1=CC=CC(OC=2C=CC=CC=2)=C1 BXSPZNVFEYWSL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JWYVGKFDLWWQJX-UHFFFAOYSA-N 1-ethenylazepan-2-one Chemical compound C=CN1CCCCCC1=O JWYVGKFDLWWQJ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1637 1-naphthyl group Chemical group [H]C1=C([H])C([H])=C2C(*)=C([H])C([H])=C([H])C2=C1[H] 0.000 description 1
- DABOOAVTBIRGHP-UHFFFAOYSA-N 1-phenoxynaphthalene Chemical compound C=1C=CC2=CC=CC=C2C=1OC1=CC=CC=C1 DABOOAVTBIRGH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SMZOUWXMTYCWNB-UHFFFAOYSA-N 2-(2-methoxy-5-methylphenyl)ethanamine Chemical compound COC1=CC=C(C)C=C1CCN SMZOUWXMTYCWN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IMSODMZESSGVBE-UHFFFAOYSA-N 2-Oxazoline Chemical compound C1CN=CO1 IMSODMZESSGVB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NIXOWILDQLNWCW-UHFFFAOYSA-N 2-Propenoic acid Natural products OC(=O)C=C NIXOWILDQLNW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1622 2-naphthyl group Chemical group [H]C1=C([H])C([H])=C2C([H])=C(*)C([H])=C([H])C2=C1[H] 0.000 description 1
- HIBSYUPTCGGRSD-UHFFFAOYSA-N 3-prop-2-enoyl-1,3-oxazolidin-2-one Chemical compound C=CC(=O)N1CCOC1=O HIBSYUPTCGGRS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GBJVVSCPOBPEIT-UHFFFAOYSA-N AZT-1152 Chemical compound N=1C=NC2=CC(OCCCN(CC)CCOP(O)(O)=O)=CC=C2C=1NC(=NN1)C=C1CC(=O)NC1=CC=CC(F)=C1 GBJVVSCPOBPEI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NLHHRLWOUZZQLW-UHFFFAOYSA-N Acrylonitrile Chemical compound C=CC#N NLHHRLWOUZZQL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13733 LiCo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2851 LiCoO 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4689 LiMnO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3290 LiNiO 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CERQOIWHTDAKMF-UHFFFAOYSA-N Methacryl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O)=O CERQOIWHTDAKM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WHNWPMSKXPGLAX-UHFFFAOYSA-N N-Vinyl-2-pyrrolidone Chemical compound C=CN1CCCC1=O WHNWPMSKXPGLA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NXPZICSHDHGMGT-UHFFFAOYSA-N [Co].[Mn].[Li] Chemical compound [Co].[Mn].[Li] NXPZICSHDHGMG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PFYQFCKUASLJLL-UHFFFAOYSA-N [Co].[Ni].[Li] Chemical compound [Co].[Ni].[Li] PFYQFCKUASLJL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KLARSDUHONHPRF-UHFFFAOYSA-N [Li].[Mn] Chemical group [Li].[Mn] KLARSDUHONHPR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SOXUFMZTHZXOGC-UHFFFAOYSA-N [Li].[Mn].[Co].[Ni] Chemical compound [Li].[Mn].[Co].[Ni] SOXUFMZTHZXOG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1931 aliphatic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MJYSISMEPNOHEG-UHFFFAOYSA-N anthracen-9-ylmethyl 2-methylprop-2-enoate Chemical compound C1=CC=C2C(COC(=O)C(=C)C)=C(C=CC=C3)C3=CC2=C1 MJYSISMEPNOHE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1797 benzyl group Chemical group [H]C1=C([H])C([H])=C(C([H])=C1[H])C([H])([H])* 0.000 description 1
- GCTPMLUUWLLESL-UHFFFAOYSA-N benzyl prop-2-enoate Chemical compound C=CC(=O)OCC1=CC=CC=C1 GCTPMLUUWLLES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290 bipheny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05 bipheny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400 block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6 bo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29 carbon bla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178 carboxy group Chemical group [H]OC(*)=O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2 cathode activ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4 chrom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7052 cobalt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1 coba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GUTLYIVDDKVIGB-UHFFFAOYSA-N cobalt atom Chemical compound [Co] GUTLYIVDDKVIG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CKFRRHLHAJZIIN-UHFFFAOYSA-N cobalt lithium Chemical compound [Li].[Co] CKFRRHLHAJZII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GVEPBJHOBDJJJI-UHFFFAOYSA-N fluoranthrene Natural products C1=CC(C2=CC=CC=C22)=C3C2=CC=CC3=C1 GVEPBJHOBDJJJ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973 fluoro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9 hyd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257 hydro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435 hydrogen atom Chemical class [H]*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FRMOHNDAXZZWQI-UHFFFAOYSA-N lithium manganese(2+) nickel(2+) oxygen(2-) Chemical compound [O-2].[Mn+2].[Ni+2].[Li+] FRMOHNDAXZZWQ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RSNHXDVSISOZOB-UHFFFAOYSA-N lithium nickel Chemical compound [Li].[Ni] RSNHXDVSISOZO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9 magne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WPBNNNQJVZRUHP-UHFFFAOYSA-L manganese(2+);methyl n-[[2-(methoxycarbonylcarbamothioylamino)phenyl]carbamothioyl]carbamate;n-[2-(sulfidocarbothioylamino)ethyl]carbamodithioate Chemical compound [Mn+2].[S-]C(=S)NCCNC([S-])=S.COC(=O)NC(=S)NC1=CC=CC=C1NC(=S)NC(=O)OC WPBNNNQJVZRUHP-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739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5395 methacrylic acid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0 molybden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1280 n-hexyl group Chemical group C(CCCCC)*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86 nano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71 nanotub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HVYCQBKSRWZZGX-UHFFFAOYSA-N naphthalen-1-yl 2-methylprop-2-enoate Chemical compound C1=CC=C2C(OC(=O)C(=C)C)=CC=CC2=C1 HVYCQBKSRWZZG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SOEDHYUFNWMILE-UHFFFAOYSA-N naphthalen-1-yl prop-2-enoate Chemical compound C1=CC=C2C(OC(=O)C=C)=CC=CC2=C1 SOEDHYUFNWMIL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8 niob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60 organic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958 pentadecyl group Chemical group [H]C([*])([H])C([H])([H])C([H])([H])C([H])([H])C([H])([H])C([H])([H])C([H])([H])C([H])([H])C([H])([H])C([H])([H])C([H])([H])C([H])([H])C([H])([H])C([H])([H])C([H])([H])[H] 0.000 description 1
- PNJWIWWMYCMZRO-UHFFFAOYSA-N pent‐4‐en‐2‐one Natural products CC(=O)CC=C PNJWIWWMYCMZR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ZUOUZKKEUPVFJK-UHFFFAOYSA-N phenylbenzene Natural products C1=CC=CC=C1C1=CC=CC=C1 ZUOUZKKEUPVFJ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604 random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09 single walled nanotub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112 stability tes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5 tantal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9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844 transfo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1 tungst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0 vana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5 zin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6 zirco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1—Electrodes based on mixed oxides or hydroxides, or on mixtures of oxides or hydroxides, e.g. LiCoOx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1391—Processes of manufacture of electrodes based on mixed oxides or hydroxides, or on mixtures of oxides or hydroxides, e.g. LiCoOx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2—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 H01M4/52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iron, cobalt or nickel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NiO2, LiCoO2 or LiCoOxFy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1—Binders
- H01M4/622—Binders being polymers
- H01M4/623—Binders being polymers fluorinated polym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4—Electric conductive fillers
- H01M4/625—Carbon or graphit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6—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olarity
- H01M2004/028—Positive electrod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튬이차전지의 양극용 슬러리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양극용 활물질, 1액형 탄소나노튜브-바인더 슬러리를 혼합하여 제조되되, 상기 1액형 탄소나노튜브-바인더 슬러리는 탄소나노튜브, 바인더 및 분산제를 용매에 넣고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리튬이차전지의 양극용 슬러리 조성물은 최종 고형분의 함량이 기존의 양극용 슬러리 조성물에 비해 높으며, 고형분 함량에 비해 높은 흐름성과 경시 안정성을 가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높은 고형분 함량을 가지면서, 경시 안정성이 개선된 리튬이차전지의 양극용 슬러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전기화학적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기화학 소자의 대표적인 예로 이차 전지를 들 수 있으며, 점점 더 그 사용 영역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최근에는 휴대용 컴퓨터, 휴대용 전화기, 카메라 등의 휴대용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 이차전지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그러한 이차 전지 중 높은 에너지 밀도, 즉 고용량의 리튬 이차전지에 대해 많은 연구가 행해져 왔고, 또한 상용화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차 전지는 양극, 음극, 전해질 및 분리막으로 구성된다. 양극 및 음극은 일반적으로 전극 집전체와, 전극 집전체 상에 형성된 전극 활물질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극 활물질층은 전극 활물질, 도전재, 바인더 등을 포함하는 전극 슬러리 조성물을 전극 집전체 상에 도포, 건조한 후 압연하는 방식으로 제조된다.
한편, 종래에는 이차 전지용 도전재로 카본 블랙과 같은 점형 도전재가 주로 사용되었으나, 이러한 점형 도전재의 경우 전기 전도성 향상 효과가 충분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 CNT)나 탄소나노파이버(Carbon NanoFiber, CNF)와 같은 선형 도전재를 적용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탄소나노튜브나 탄소나노파이버와 같은 선형 도전재의 경우, 전기 전도성은 우수하지만, 번들 타입 또는 인탱글 타입으로 성장하는 소재 자체의 특성상 슬러리 내에서의 분산성이 떨어져 슬러리의 흐름성 및 공정성이 떨어지며, 특히 바인더의 고형분 함량을 높일 경우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져 흐름성이 현저히 낮아지는 문제가 있고, 바인더의 고형분 함량을 낮춰 점도를 낮추더라도 최초 양호했던 흐름성이 오랜 기간 동안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 최종 고형분의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높은 고형분 함량에 비해 높은 흐름성과 경시 안정성을 가지는 리튬이차전지의 양극용 슬러리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과제들은 하기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리튬이차전지의 양극용 슬러리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양극용 활물질, 탄소나노튜브와 바인더를 혼합하고 교반하여 생성된 탄소나노튜브-바인더 복합체 및 분산제를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리튬이차전지의 양극용 슬러리 조성물은 최종 고형분의 함량이 기존의 양극용 슬러리 조성물에 비해 높아, 건조시간의 단축이 가능하여 전지의 생산 속도를 높일 수 있고, 고용량의 전극을 제조할 수 있으며, 고형분 함량에 비해 높은 흐름성과 경시 안정성을 가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해 분산제의 함량 별로 전극의 부착력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발명은 리튬이차전지의 양극용 슬러리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양극용 활물질, 1액형 탄소나노튜브-바인더 슬러리를 혼합하여 제조되되, 상기 1액형 탄소나노튜브-바인더 슬러리는 탄소나노튜브, 바인더 및 분산제를 용매에 넣고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탄소나노튜브, 바인더 및 분산제를 용매와 혼합하여 생성된 1액형 탄소나노튜브-바인더 슬러리를 선행 제조한 후, 상기 제조된 1액형 탄소나노튜브-바인더 슬러리를 양극용 활물질과 혼합함으로써, 기존의 양극용 활물질, 탄소나노튜브 슬러리, 바인더 용액을 한 번에 동시에 혼합하여 제조되는 양극용 슬러리 보다 최종 고형분의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작업자가 양극용 슬러리 조성물을 제조함에 있어 편의성을 높일 수 있으며, 나아가 최종 고형분의 함량이 증감함에 따라 건조시간의 단축이 가능하여 전지의 생산 속도를 높일 수 있고, 고용량의 전극을 제조할 수 있으며, 또한 리튬이차전지의 출력 특성, 수명 특성 등 전기화학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상기 1액형 탄소나노튜브-바인더 슬러리를 양극용 슬러리 조성물 제조에 이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1액형 탄소나노튜브-바인더 슬러리의 저장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며, 본 발명은 이를 위해서 탄소나노튜브 및 바인더를 용매에 넣고 혼합할 때 분산제를 첨가하되, 상기 분산제로 아크릴계 공중합체 또는 분자량 40,000 이하의 저분자 수소화니트릴부타디엔고무(HNBR)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양극용 활물질은 리튬이차전지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양극 활물질로서, 코발트, 망간, 니켈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1종 이상의 금속과 리튬을 포함하는 리튬 산화물이 사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튬 산화물은 리튬-망간계 산화물(예를 들면, LiMnO2, LiMn2O 등), 리튬-코발트계 산화물(예를 들면, LiCoO2 등), 리튬-니켈계 산화물(예를 들면, LiNiO2 등), 리튬-니켈-망간계 산화물(예를 들면, LiNi1-Y1MnY1O2(여기에서, 0<Y1<1), LiNiZ1Mn2-Z1O4(여기에서, 0<Z1<2) 등), 리튬-니켈-코발트계 산화물(예를 들면, LiNi1-Y2CoY2O2(여기에서, 0<Y2<1) 등), 리튬-망간-코발트계 산화물(예를 들면, LiCo1-Y3MnY3O2(여기에서, 0<Y3<1), LiMn2-Z2CoZ2O4(여기에서, 0<Z2<2) 등), 리튬-니켈-코발트-망간계 산화물(이하, 'NCM계 양극용 활물질'이라 하며, 예를 들면, Li(NiP1CoQ1MnR1)O2(여기에서, 0<P1<1, 0<Q1<1, 0<R1<1, P1+Q1+R1=1), Li(NiP2CoQ2MnR2)O4(여기서, 0<P2<2, 0<Q2<2, 0<R2<2, P2+Q2+R2=2) 등), 리튬-니켈-코발트-알루미늄계 산화물(이하, 'NCA계 양극용 활물질' 이라 함) 또는 리튬-니켈-코발트-망간-기타금속(M) 산화물(예를 들면, Li(NiP3CoQ3MnR3MS)O2(여기에서, M은 Al, Cu, Fe, V, Cr, Ti, Zr, Zn, Ta, Nb, Mg, B, W 및 Mo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P3, Q3, R3 및 S는 각각 독립적인 원소들의 원자분율로서, 0<P3<1, 0<Q3<1, 0<R3<1, 0<S<1, P3+Q3+R3+S=1이다) 등)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화합물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양극용 활물질로서 니켈의 함량이 70 중량% 이상인 양극용 활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에너지 밀도 측면에서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니켈의 함량이 70 중량% 이상인 NCM계 양극용 활물질 또는 니켈의 함량이 70 중량% 이상인 NCA계 양극용 활물질을 사용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양극용 활물질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적인 것은 아니나, 양극용 슬러리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72 내지 79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나 다중벽 탄소나노튜브가 사용될 수 있으나, 보다 높은 전기전도성 및 분산성을 달성하고, 동시에 양극 활물질의 안정성을 보다 높이기 위해서는 다중벽 탄소나노튜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소나노튜브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적인 것은 아니나, 상기 1액형 탄소나노튜브-바인더 슬러리 전체 중량 대비 2.15 내지 3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탄소나노튜브의 함량이 상기 1액형 탄소나노튜브-바인더 슬러리 전체 중량 대비 2.15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양극용 슬러리 제조 시 1액형 탄소나노튜브-바인더 슬러리의 고형분이 낮아 높은 고형분의 양극용 슬러리를 제조하기 어렵고, 조성물의 도전재 함량이 적어 전기전도성이 지나치게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3 중량 %를 초과할 경우에는 양극용 슬러리 제조 시 1액형 탄소나노튜브-바인더 슬러리의 고형분이 높아 점도가 지나치게 높게 되어 저장 안정성이 떨어지고, 양극용 슬러리 제조 시 탄소나노튜브 간에 서로 엉김현상이 발생되어 전지 성능이 오히려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바인더는 전극용 활물질들 간 또는 활물질과 집전체 간의 접착력을 확보하기 위해 첨가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코폴리머(PVDF-co-HFP),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카르복시메틸셀룰로우즈(CMC), 전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우즈, 재생 셀룰로우즈,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디엔 폴리머(EPDM), 술폰화-EPDM,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SBR), 불소고무 또는 이들의 다양한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바인더는 함량이 특별히 제한적인 것은 아니나, 전극 저항 증가를 최소화하면서 우수한 전극 접지력을 확보하기 위해서 상기 1액형 탄소나노튜브-바인더 슬러리 전체 중량 대비 7 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1액형 탄소나노튜브-바인더 슬러리 전체 중량 대비 4 내지 6 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산제는 본 발명의 1액형 탄소나노튜브-바인더 슬러리가 저장 안정성을 가지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탄소나노튜브의 전기적 특성의 저하를 최소화하기 위해 탄소나노튜브에 대해 비공유 결합 폴리머 랩핑 방식으로 용매 내에서 분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탄소나노튜브의 분산성 뿐만 아니라 양극용 슬러리 조성물의 양호한 흐름성 특성까지 확보하기 위해서는 상기 분산제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1개 이상의 방향족 고리를 포함하는 단량체 단위 및 탄소수 5 내지 22의 선형 또는 분지형 지방족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아크릴레이트 계열의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사용하거나, 분자량 40,000 이하의 저분자 수소화니트릴부타디엔고무(HNBR)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 상기 탄소나노튜브의 표면적이 200 m2/g 이상인 경우, 상기 공중합체 총 함량 100 mol%를 기준으로, 상기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1개 이상의 방향족 고리를 포함하는 단량체 단위의 mol%에서 상기 공중합체의 탄소수 5 내지 22의 선형 또는 분지형 지방족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아크릴레이트 계열의 단량체 단위의 mol%을 뺀 값이 0보다 클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소 나노튜브의 표면적이 200 m2/g 미만인 경우, 상기 공중합체 총 함량 100 mol%를 기준으로, 상기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1개 이상의 방향족 고리를 포함하는 단량체 단위의 mol%에서 상기 탄소수 5 내지 22의 선형 또는 분지형 지방족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아크릴레이트 계열의 단량체 단위의 mol%을 뺀 값이 0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상기 공중합체의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1개 이상의 방향족 고리를 포함하는 단량체 단위는 상기 공중합체와 상기 탄소나노튜브와의 π-π 상호 작용을 통하여 탄소나노튜브의 분산에 기여한다. 또한, 상기 공중합체의 탄소수 5 내지 22의 선형 또는 분지형 지방족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아크릴레이트 계열의 단량체 단위는 상기 상기 공중합체가 상기 탄소나노튜브의 랩핑(wrapping)함으로써 나노튜브의 분산에 기여한다.
특히, 표면적이 200 m2/g 이상인 탄소나노튜브의 경우,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1개 이상의 방향족 고리를 포함하는 단량체 단위를 통한 상기 공중합체의 π-π 상호 작용을 강화하여 탄소나노튜브의 분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고, 표면적이 200 m2/g 미만인 탄소나노튜브의 경우, 탄소수 5 내지 22의 선형 또는 분지형 지방족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아크릴레이트 계열의 단량체 단위를 통한 상기 공중합체의 랩핑 기능을 보다 강화하여 탄소나노튜브의 분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1개 이상의 방향족 고리를 포함하는 단량체 단위는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1개 이상의 방향족 고리를 포함하는 아크릴레이트 계열의 단량체 단위 및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1개 이상의 방향족 고리를 포함하는 비닐 계열의 단량체 단위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공중합체는 시아노(CN), 피롤리돈(NC4H6O), 카르복실산(COOH), 카프로락탐(C5H10CNO), 모르폴린(C4H8NO) 및 옥사졸리돈(C3H4NO2)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극성 단량체 단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공중합체는 상기 공중합체 총 함량 100 mol%를 기준으로, 20 mol% 이상, 70 mol% 이하의 상기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1개 이상의 방향족 고리를 포함하는 아크릴레이트 계열의 단량체 단위 및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1개 이상의 방향족 고리를 포함하는 비닐 계열의 단량체 단위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단량체 단위, 20 mol% 이상, 70 mol% 이하의 상기 탄소수 5 내지 22의 선형 또는 분지형 지방족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아크릴레이트 계열의 단량체 단위 및 10 mol% 이상, 60 mol% 이하의 상기 시아노(CN), 피롤리돈(NC4H6O), 카르복실산(COOH), 카프로락탐(C5H10CNO), 모르폴린(C4H8NO) 및 옥사졸리돈(C3H4NO2)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극성 단량체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공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 에서,
R1 내지 R12는 서로 같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 내지 4의 선형 또는 분지형 탄화수소이고,
R'1 은 탄소수 5 내지 22의 선형 또는 분지형 지방족 탄화수소이며,
R'2 는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1개 이상의 방향족 고리를 포함하고,
R'3은 시아노(CN), 피롤리돈(NC4H6O), 카르복실산(COOH), 카프로락탐(C5H10CNO), 모르폴린(C4H8NO) 및 옥사졸리돈(C3H4NO2)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며,
R'4는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1개 이상의 방향족 고리를 포함하며,
20 mol%≤ l ≤ 70 mol%, 20 mol% ≤ m+o ≤ 70 mol% 및 10 mol% ≤ n ≤ 60 mol% 일 수 있다.
즉, 상기 화학식 1의 단량체 단위 (1)은 상기 탄소수 5 내지 22의 선형 또는 분지형 지방족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아크릴레이트 계열의 단량체 단위에 해당하고, 상기 화학식 1의 단량체 단위 (2)는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1개 이상의 방향족 고리를 포함하는 아크릴레이트 계열의 단량체 단위에 해당하며, 상기 화학식 1의 단량체 단위 (3)은 상기 시아노(CN), 피롤리돈(NC4H6O), 카르복실산(COOH), 카프로락탐(C5H10CNO), 모르폴린(C4H8NO) 및 옥사졸리돈(C3H4NO2)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극성 단량체 단위에 해당하고, 상기 화학식 1의 단량체 단위 (4)는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1개 이상의 방향족 고리를 포함하는 비닐 계열의 단량체 단위에 각각 해당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화학식 1의 R'1은 n-펜틸, n-헥실, n-헵틸, n-옥틸, 2-에틸헥실, n-노닐, n-데실, n-운데실, 라우릴, n-도데실, n-트리데실, n-테트라데실, n-펜타데실, 세틸, n-헥사데실, n-헵타데실, 스테아릴, n-옥타데실, n-노나데실, n-이코실, n-헨이코실, n-도코실, iso-펜틸, iso-헵틸, iso-옥틸, iso-노닐, iso-데실, iso-운데실, iso-도데실, iso-트리데실, iso-테트라데실, iso-펜타데실, iso-세틸, iso-헥사데실, iso-헵타데실, iso-스테아릴, iso-옥타데실, iso-노나데실, iso-이코실, iso-헨이코실 및 iso-도코실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즉, R'1 을 포함하는 단량체 단위로 중합되는 단량체로는 탄소수 5 내지 22의 선형 또는 분지형 지방족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1종의 단량체만을 사용할 수도 있고, 탄소수 5 내지 22의 선형 또는 분지형 지방족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2종 이상의 단량체를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탄소수 5 내지 22의 선형 또는 분지형 지방족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아크릴레이트 계열의 단량체 단위로 중합되는 단량체는 탄소수 5 내지 22의 선형 또는 분지형 지방족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아크릴레이트(acrylate) 및/또는 메타크릴레이트(methacrylate)일 수 있고,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1개 이상의 방향족 고리를 포함하는 아크릴레이트 계열의 단량체는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1개 이상의 방향족 고리를 포함하는 아크릴레이트(acrylate) 및/또는 메타크릴레이트(methacrylate)일 수 있다.
(메타)크릴레이트((meth)acrylate)는 아크릴레이트(acrylate) 또는 메타크릴레이트(methacrylate)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상기 탄소수 5 내지 22의 선형 또는 분지형 지방족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아크릴레이트 계열의 단량체 단위로 중합되는 단량체는 n-펜틸(메타)크릴레이트(n-pentyl (meth)acrylate), n-헵틸(메타)크릴레이트(n-heptyl (meth)acrylate), n-옥틸(메타)크릴레이트(n-octyl (meth)acrylate),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2-ethylhexyl (meth)acrylate), n-노닐(메타)크릴레이트(n-nonyl (meth)acrylate), n-데실(메타)크릴레이트(n-decyl (meth)acrylate), n-운데실(메타)크릴레이트(n-undecyl (meth)acrylate),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lauryl (meth)acrylate), n-도데실(메타)크릴레이트(n-dodecyl (meth)acrylate), n-트리데실(메타)크릴레이트(n-tridecyl (meth)acrylate), n-테트라데실(메타)크릴레이트(n-tetradecyl (meth)acrylate), n-펜타데실(메타)크릴레이트(n-pentadecyl (meth)acrylate), 세틸(메타)크릴레이트(cetyl (meth)acrylate), n-헥사데실(메타)크릴레이트(n-hexadecyl (meth)acrylate), n-헵타데실(메타)크릴레이트(n-heptadecyl (meth)acrylate), 스테아릴(메타)크릴레이트(stearyl (meth)acrylate), n-노나데실(메타)크릴레이트(n-nonadecyl (meth)acrylate), n-이코실(메타)크릴레이트(n-eicosyl (meth)acrylate), n-헨이코실(메타)크릴레이트(n-heneicosyl (meth)acrylate), n-도코실(메타)크릴레이트(n-dococyl (meth)acrylate), iso-펜틸(메타)크릴레이트 (iso-pentyl (meth)acrylate), iso-헵틸(메타)크릴레이트(iso-heptyl (meth)acrylate), iso-옥틸(메타)크릴레이트(iso-octyl (meth)acrylate), iso-노닐(메타)크릴레이트(iso-nonyl (meth)acrylate), iso-데실(메타)크릴레이트(iso-decyl (meth)acrylate), iso-운데실(메타)크릴레이트(iso-undecyl (meth)acrylate), iso-도데실(메타)크릴레이트(iso-dodecyl (meth)acrylate), iso-트리데실(메타)크릴레이트(iso-tridecyl (meth)acrylate), iso-테트라데실(메타)크릴레이트(iso-tetradecyl (meth)acrylate), iso-펜타데실(메타)크릴레이트(iso-pentadecyl (meth)acrylate), iso-세틸(메타)크릴레이트(iso-cetyl (meth)acrylate), iso-헥사데실 (메타)크릴레이트(iso-hexadecyl (meth)acrylate), iso-헵타데실 (메타)크릴레이트(iso-heptadecyl (meth)acrylate), iso-스테아릴 (메타)크릴레이트(iso-stearyl (meth)acrylate), iso-노나데실 (메타)크릴레이트(iso-nonadecyl (meth)acrylate), iso-이코실 (메타)크릴레이트(iso-eicosyl (meth)acrylate), iso-헨이코실 (메타)크릴레이트(iso-heneicosyl (meth)acrylate), iso-도코실 (메타)크릴레이트(iso-docosyl (meth)acrylate)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탄소수 5 내지 22의 선형 또는 분지형 지방족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단량체 단위는 탄소나노튜브를 랩핑(wrapping)하여 분산시키고, 탄소나노튜브 슬러리 조성물의 점도를 낮추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선형 또는 분지형 지방족 탄화수소의 탄소수가 5개 미만이면 탄소 소재(특히, 탄소나노튜브)를 충분히 감쌀 수가 없어서 분산력이 떨어지고, 22개를 초과하면 NMP와 같은 극성 용매와의 상용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탄소수 5 내지 22의 선형 또는 분지형 지방족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단량체 단위는 전체 공중합체의 총 함량 100 mol%을 기준으로 20 내지 70 mol%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는 상기 탄소수 5 내지 22의 선형 또는 분지형 지방족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단량체 단위의 함량이 20 mol% 미만일 경우 입도와 슬러리 조성물의 점도가 높아질 수 있고, 70 mol%를 초과 하면 극성 용매와의 상용성이 낮아져 상분리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일예로, 상기 화학식 1의 R'2 및 R'4는 서로 같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벤질(benzyl), 페닐(phenyl), 페녹시(phenoxy), 나프탈렌(naphthalene), 안트라센(anthracene) 및 피렌(pyrene)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R'2는 3-페녹시 벤질(3-phenoxy benzyl) α-페닐 페톡시 에틸(α-phenyl phenoxy ethyl), 비페닐메틸(biphenyl methyl), 1-나프틸(1-naphthyl), 2-나프틸(2-naphthyl), 9-안트라센 메틸(9-anthracene methyl) 및 1-피렌메틸(1-pyrene methyl)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R'4는 페닐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R'2 및 R'4는 서로 같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1개 이상의 방향족 고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R'2는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1개 이상의 방향족 고리를 포함하는 탄화수소일 수 있다.
또한, R'2를 포함하는 단량체 단위로 중합되는 단량체로는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1개 이상의 방향족 고리를 포함하는 1종의 단량체만을 사용할 수도 있고,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1개 이상의 방향족 고리를 포함하는 2종 이상의 단량체를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방향족 고리가 치환되어 있는 경우, 치환기는 탄소수 1 내지 4의 선형 또는 분지형 탄화수소, 산소(O)를 통해서 연결된 치환기(예를 들어, 에테르(ether)를 통해서 연결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방향족 고리 등) 등일 수 있다.
일예로, R'2를 포함하는 단량체 단위로 중합되는 단량체는 벤질 아크릴레이트(benzyl acrylate), 3-페녹시 벤질 아크릴레이트(3-phenoxy benzyl acrylate), α-페닐 페녹시 에틸 아크릴레이트(α-phenyl phenoxy ethyl acrylate), α-페닐 페녹시 에틸 메타크릴레이트(α-phenyl phenoxy ethyl methacrylate), (1-피렌) 2-메틸-2-프로페노에이트((1-pyrene) 2-methyl-2-propenoate), 1-나프틸 아크릴레이트(1-naphthyl acrylate), 1-나프틸 메타크릴레이트(1-naphthyl methacrylate), 2-나프틸 아크릴레이트(2-naphthyl acrylate), 2-나프틸 메타크릴레이트(2-naphthyl methacrylate), 9-안트라센 메틸 아크릴레이트(9-anthracene methyl acrylate) 및 9-안트라센 메틸 메타크릴레이트(9-anthracene methyl methacrylate)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고, R'4를 포함하는 단량체 단위로 중합되는 단량체는 스타이렌(styrene)일 수 있다.
상기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1개 이상의 방향족 고리를 포함하는 단량체 단위는 탄소나노튜브와 π-π 상호작용으로 분산 역할을 하고, NMP와 같은 극성 용매와 상용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1개 이상의 방향족 고리를 포함하는 단량체 단위는 전체 공중합체의 총 함량 100 mol%을 기준으로 20 내지 70 mol%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1개 이상의 방향족 고리를 포함하는 단량체 단위의 함량이 70 mol%를 초과할 경우 지방족 탄화수소나 극성 단량체 단위 함량이 줄어들어 탄소나노튜브 슬러리 조성물의 점도가 높아지고 분산된 탄소 소재의 입도가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시아노(CN), 피롤리돈(NC4H6O), 카르복실산(COOH), 카프로락탐(C5H10CNO), 모르폴린(C4H8NO) 및 옥사졸리돈(C3H4NO2)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극성 단량체 단위는 NMP와 같은 극성 용매에 상용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시아노(CN), 피롤리돈(NC4H6O), 카르복실산(COOH), 카프로락탐(C5H10CNO), 모르폴린(C4H8NO) 및 옥사졸리돈(C3H4NO2)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극성 단량체 단위로 중합되는 단량체는 아크릴산(acrylic acid), 메타크릴산(methacrylic acid), 아크릴로니트릴(acrylonitrile), N-비닐피롤리돈(N-vinylpyrrolidone), N-비닐카프로락탐(N-vinyl caprolactam), 4-아크릴로일 몰르폴린(4-acryolyl morpholine), 3-아크릴로인-2-옥사졸리논(3-acryloyl-2-oxazolidinone)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극성 단량체 단위는 전체 공중합체의 총 함량 100 mol%을 기준으로 10 내지 60 mol%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는 상기 극성 단량체 단위가 전체 공중합체의 60 mol%를 초과하면 극성 용매와의 상용성이 지나치게 높아져 분산 후 상분리가 발생하고 분산된 탄소 소재의 입도가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공중합체는 합성 공정에 따라서 랜덤 또는 블록 공중합체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공중합체의 수평균 분자량이 8,000 이상, 40,000 이하일 수 있다. 이는 상기 공중합체의 수평균 분자량이 8,000미만인 경우 분산제의 유동성이 커져서 탄소 소재의 재응집을 막아주는 능력이 저하될 수 있고, 수평균 분자량이 40,000 초과일 경우에는 사용하기에 점도가 지나치게 높은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상기 분산제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적인 것은 아니나, 바인더의 함량이 높아도 양극용 슬러리 조성물이 낮은 점도를 가져 양호한 흐름성을 보이고, 이러한 흐름성이 오랜 기간 지속될 수 있는 경시 안정성을 가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탄소나노튜브 100 중량부 대비 15 내지 3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소나노튜브 100 중량부 대비 25 중량부이다. 이는 상기 분산제의 함량이 상기 탄소나노튜브 100 중량부 대비 15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본 발명의 1액형 탄소나노튜브-바인더 슬러리의 저장 안정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상기 탄소나노튜브 100 중량부 대비 3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극의 부착력이 최소 요구 기준치(도 1의 붉은 점선)에 못 미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용매는 유기 용매로서, N-메틸피롤리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용매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적인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양극용 슬러리 조성물이 적정 점도를 가지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함량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극용 슬러리 조성물에서 상기 1액형 탄소나노튜브-바인더 슬러리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적인 것은 아니나, 양극용 슬러리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21 내지 24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1액형 탄소나노튜브-바인더 슬러리의 함량이 양극용 슬러리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2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도전재 함량이 적어 전기전도성이 지나치게 낮아지는 문제가 있고, 24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도전재 함량이 지나치게 높게 되어 탄소나노튜브 간에 서로 엉김현상으로 인하여 전지 성능이 오히려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리튬이차전지의 양극용 슬러리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탄소나노튜브, 바인더, 분산제 및 용매를 혼합하고 교반하여 1액형 탄소나노튜브-바인더 슬러리을 생성한다. 이후, 양극용 활물질과 상기 1액형 탄소나노튜브-바인더 슬러리를 혼합한 후 교반하여 최종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리튬이차전지의 양극용 슬러리 조성물을 제조한다.
본 발명에 따른 리튬이차전지의 양극용 슬러리 조성물은 최종 고형분의 함량이 기존의 양극용 슬러리 조성물에 비해 높으며, 고형분 함량에 비해 높은 흐름성과 경시 안정성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양극용 슬러리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리튬이차전지는 기존의 양극용 슬러리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리튬이차전지에 비해 전기화학적 특성이 우수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에 지나지 않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실시예 1] 1액형 탄소나노튜브-바인더 슬러리의 제조 : 분산제로 아크릴레이트 계열의 공중합체 이용
도전재인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바인더인 PVDF 및 분산제인 아크릴레이트 계열의 공중합체(JDC-100, 한솔케미칼)를 하기 표 1에 나타난 조성으로 용매인 N-메틸피롤리돈(27.6g)에 혼합한 후 분산기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1액형 탄소나노튜브-바인더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2. [실시예 2] 1액형 탄소나노튜브-바인더 슬러리의 제조 : 분산제로 저분자 수소화니트릴부타디엔고무(HNBR) 이용
도전재인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바인더인 PVDF 및 분산제인 분자량 40,000 이하의 저분자 수소화니트릴부타디엔고무(V5, 나노신소재)를 하기 표 1에 나타난 조성으로 용매인 N-메틸피롤리돈(27.6g)에 혼합한 후 분산기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1액형 탄소나노튜브-바인더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탄소나노튜브 (g) | 바인더(PVDF) (g) |
분산제
(탄소나노튜브 중량 대비 %) |
|
실시예 1 | 0.9 | 1.5 | 25 (분산제 : JDC-100) |
실시예 2 | 0.9 | 1.5 | 25 (분산제 : V5) |
2. [비교예] 1액형 탄소나노튜브-바인더 슬러리의 제조 : 기존 분산제(분자량 140,000 ~ 200,000인 HNBR) 이용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바인더인 PVDF 및 기존의 분산제인 분자량 140,000 ~ 200,000인 수소화니트릴부타디엔고무(HNBR)를 하기 표 2에 나타난 조성으로 용매인 N-메틸피롤리돈(27.6g)에 혼합한 후 분산기를 이용하여 비교예에 따른 1액형 탄소나노튜브-바인더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탄소나노튜브 (g) | 바인더(PVDF) (g) |
기존 분산제 :
분자량 140,000 ~ 200,000인 HNBR (탄소나노튜브 중량 대비 %) |
|
비교예 1 | 0.9 | 1.5 | 20 |
비교예 2 | 0.9 | 1.35 | 20 |
비교예 3 | 0.9 | 1.2 | 20 |
비교예 4 | 0.9 | 1.05 | 20 |
3. [실시예 3] 리튬이차전지의 양극용 슬러리 조성물의 제조
준비된 양극용 활물질 NCM811 973.75g과 상기에서 제조된 실시예 1의 1액형 탄소나노튜브-바인더 슬러리 300g을 혼합한 후, 하이 쉐어 믹서(High shear mixer)를 이용하여 4,000rpm 으로 15분 동안 교반하여 최종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리튬이차전지의 양극용 슬러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실시예 3).
4. [실시예 4] 리튬이차전지의 양극용 슬러리 조성물의 제조
준비된 양극용 활물질 NCM811 973.75g과 상기에서 제조된 실시예 2의 1액형 탄소나노튜브-바인더 슬러리 300g을 혼합한 후, 하이 쉐어 믹서(High shear mixer)를 이용하여 4,000rpm 으로 15분 동안 교반하여 최종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리튬이차전지의 양극용 슬러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실시예 4).
5. [비교예 5] 리튬이차전지의 양극용 슬러리 조성물의 제조
기존 방식대로, 양극용 활물질 NCM811 974.2g, 다중벽 탄소나노튜브가 함유된 탄소나노튜브 슬러리(N-메틸피롤리돈 기반, 고형분 함량은 4%) 225g, PVDF를 함유한 바인더 용액(N-메틸피롤리돈 기반, 고형분 함량은 8%) 187.5g 및 분산제 아크릴계 공중합체(JDC-100, 한솔케미칼) 1.8g을 혼합한 후, 하이 쉐어 믹서(High shear mixer)를 이용하여 4,000rpm 으로 15분 동안 교반하여 리튬이차전지의 양극용 슬러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비교예 5).
6. [비교예 6] 리튬이차전지의 양극용 슬러리 조성물의 제조
기존 방식대로, 양극용 활물질 NCM811 974.2g, 다중벽 탄소나노튜브가 함유된 탄소나노튜브 슬러리(N-메틸피롤리돈 기반, 고형분 함량은 4%) 225g, PVDF를 함유한 바인더 용액(N-메틸피롤리돈 기반, 고형분 함량은 8%) 187.5g 및 분산제 분자량 40,000 이하의 저분자 수소화니트릴부타디엔고무(V5, 나노신소재) 1.8g을 혼합한 후, 하이 쉐어 믹서(High shear mixer)를 이용하여 4,000rpm 으로 15분 동안 교반하여 리튬이차전지의 양극용 슬러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비교예 6).
<실험예>
실험예 1 : 흐름성 및 경시 안정성 시험
상기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4의 1액형 탄소나노튜브-바인더 슬러리 샘플 각각에 대해 점도계(Brookfield DV2T Viscometer)를 이용하여 점도를 측정하였다. 점도 측정은 상기 각각의 샘플을 1000 ml 플라스틱 용기에 넣고, 교반기를 이용하여 600rpm으로 3분간 교반한 후, 교반된 샘플을 60 ml 플라스틱 튜브에 넣고 상기 점도계를 이용하여 점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이루어졌으며(#64 spindle, 12rpm), 점도 측정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다.
또한, 상기 점도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최초 점도 측정 시점의 흐름성을 '매우 좋음', '좋음', '보통' 및 '나쁨' 중 어느 하나로 표시하여 평가한 후, 1주일 경과 후, 다시 동일한 방법으로 점도를 측정하여 흐름성을 '매우 좋음', '좋음', '보통' 및 '나쁨' 중 어느 하나로 표시하여 경시 안정성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다.
구분 |
최초 측정 점도
(cP) |
최초
흐름성 |
1주일 경화 후
흐름성 |
실시예 1 | 3,000 | 좋음 | 좋음 |
실시예 2 | 2,500 | 매우 좋음 | 좋음 |
비교예 1 | 10,500 | 나쁨 | 나쁨 |
비교예 2 | 8,500 | 보통 | 나쁨 |
비교예 3 | 6,500 | 보통 | 나쁨 |
비교예 4 | 5,000 | 좋음 | 나쁨 |
상기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및 2의 1액형 탄소나노튜브-바인더 슬러리는 동일한 탄소나노튜브 및 PVDF 고형분 함량을 가진 비교예 1의 1액형 탄소나노튜브-바인더 슬러리에 비해 낮은 점도를 가지고 있어, 상대적으로 훨씬 더 좋은 흐름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비교예 1 내지 4의 1액형 탄소나노튜브-바인더 슬러리는 바인더(PVDF)의 고형분 함량을 낮추더라도 대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에 비해 높은 점도를 가지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흐름성이 급격히 나빠져 경시 안정성이 좋지 못함을 알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의 1액형 탄소나노튜브-바인더 슬러리는 시간이 경과하여도 흐름성의 저하가 거의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 양극용 슬러리 조성물의 고형분 함량 측정
상기 실시예 3, 4 및 비교예 5, 6의 양극용 슬러리 조성물 샘플 각각을 건조 용기에 담아 오븐에서 200℃로 8시간 동안 건조시켜 고형분의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의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다.
고형분 함량
(Solid content of slurry, 중량%) |
|
실시예 3 | 78.37 |
실시예 4 | 78.37 |
비교예 5 | 72.02 |
비교예 6 | 72.02 |
상기 표 4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 4의 양극용 슬러리 조성물이 비교예 5, 6의 양극용 슬러리 조성물에 비해 더 높은 고형분 함량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는 곧 본 발명에 따른 양극용 슬러리 조성물을 사용할 경우 건조시간의 단축이 가능하여 전지의 생산 속도를 높일 수 있고, 고용량의 전극을 제조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의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6)
- 양극용 활물질 및 1액형 탄소나노튜브-바인더 슬러리를 혼합하여 제조되되,
상기 1액형 탄소나노튜브-바인더 슬러리는 탄소나노튜브, 바인더 및 분산제를 용매에 넣고 혼합하여 제조된 것인 리튬이차전지의 양극용 슬러리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다중벽 탄소나노튜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차전지의 양극용 슬러리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튜브의 함량은 상기 1액형 탄소나노튜브-바인더 슬러리 전체 중량 대비 2.15 내지 3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차전지의 양극용 슬러리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는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코폴리머(PVdF-co-HFP),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카르복시메틸셀룰로우즈(CMC), 전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우즈, 재생 셀룰로우즈,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디엔 폴리머(EPDM), 술폰화-EPDM,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SBR), 불소고무 또는 이들의 다양한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차전지의 양극용 슬러리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의 함량은 상기 1액형 탄소나노튜브-바인더 슬러리 전체 중량 대비 4 내지 6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차전지의 양극용 슬러리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제는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1개 이상의 방향족 고리를 포함하는 단량체 단위 및 탄소수 5 내지 22의 선형 또는 분지형 지방족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아크릴레이트 계열의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차전지의 양극용 슬러리 조성물.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1개 이상의 방향족 고리를 포함하는 단량체 단위는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1개 이상의 방향족 고리를 포함하는 아크릴레이트 계열의 단량체 단위 및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1개 이상의 방향족 고리를 포함하는 비닐 계열의 단량체 단위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차전지의 양극용 슬러리 조성물.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는 시아노(CN), 피롤리돈(NC4H6O), 카르복실산(COOH), 카프로락탐(C5H10CNO), 모르폴린(C4H8NO) 및 옥사졸리돈(C3H4NO2)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극성 단량체 단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차전지의 양극용 슬러리 조성물.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는 상기 공중합체 총 함량 100 mol%를 기준으로, 20 내지 70 mol%의 상기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1개 이상의 방향족 고리를 포함하는 아크릴레이트 계열의 단량체 단위 및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1개 이상의 방향족 고리를 포함하는 비닐 계열의 단량체 단위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단량체 단위,
20 내지 70 mol%의 상기 탄소수 5 내지 22의 선형 또는 분지형 지방족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아크릴레이트 계열의 단량체 단위 및
10 내지 60 mol%의 시아노(CN), 피롤리돈(NC4H6O), 카르복실산(COOH), 카프로락탐(C5H10CNO), 모르폴린(C4H8NO) 및 옥사졸리돈(C3H4NO2)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극성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차전지의 양극용 슬러리 조성물.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의 수평균 분자량이 8,000 이상, 40,0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차전지의 양극용 슬러리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제는 분자량 40,000 이하의 저분자 수소화니트릴부타디엔고무(HNB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차전지의 양극용 슬러리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제의 함량은 상기 탄소나노튜브 100 중량부 대비 15 내지 30 중량부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차전지의 양극용 슬러리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용 활물질은 니켈의 함량이 70 중량% 이상인 양극용 활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차전지의 양극용 슬러리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액형 탄소나노튜브-바인더 슬러리의 함량은 양극용 슬러리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21 내지 24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차전지의 양극용 슬러리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N-메틸피롤리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차전지의 양극용 슬러리 조성물.
- 제 1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의 양극용 슬러리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양극을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48431 | 2022-04-19 | ||
KR20220048431 | 2022-04-19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49256A true KR20230149256A (ko) | 2023-10-26 |
Family
ID=88508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50829A KR20230149256A (ko) | 2022-04-19 | 2023-04-18 | 리튬이차전지의 양극용 슬러리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149256A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17387A (ko) | 2018-04-06 | 2019-10-16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전극, 상기 전극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 및 상기 전극의 제조 방법 |
-
2023
- 2023-04-18 KR KR1020230050829A patent/KR20230149256A/ko unknow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17387A (ko) | 2018-04-06 | 2019-10-16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전극, 상기 전극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 및 상기 전극의 제조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1825804B (zh) | 一种锂离子二次电池负极用共聚物胶乳、制备方法及应用 | |
CN101752548B (zh) | 导电剂分散液和电极浆料和电极与电池及其制备方法 | |
CN106047015B (zh) | 锂离子电池的导电涂层材料及其制备方法以及锂离子电池 | |
JP7152406B2 (ja) | 炭素材料用分散剤、該炭素材料用分散剤を含有する分散物、全固体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電極スラリー、全固体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電極の製造方法、全固体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電極及び全固体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 |
JP2019075387A (ja) | バインダー組成物、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電極および非水電解質二次電池 | |
KR102408332B1 (ko) | 전극용 도전성 수지 조성물 및 전극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전극 및 리튬 이온 전지 | |
JP5880045B2 (ja) | 非水電解質電池電極用バインダ樹脂組成物ならびに該バインダ樹脂組成物を含むスラリー組成物、電極および電池 | |
WO2013081152A1 (ja) | 非水二次電池電極用バインダ樹脂、非水二次電池電極用バインダ樹脂組成物、非水二次電池電極用スラリー組成物、非水二次電池用電極、非水二次電池 | |
CN113540463B (zh) | 分散剂、正极浆料及锂离子电池 | |
CN107204421A (zh) | 负极片及锂离子电池 | |
EP3771003A1 (en) | Binder composition for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electrode, conductive material paste composition for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electrode, slurry composition for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electrode,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electrode, and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 |
CN106711460A (zh) | 一种电极浆料组合物及其制备电极及锂离子电池的用途 | |
WO2020208799A1 (ja) | 蓄電デバイス正極用分散剤 | |
WO2021201003A1 (ja) | 正極組成物 | |
KR20230149256A (ko) | 리튬이차전지의 양극용 슬러리 조성물 | |
CN110350197A (zh) | 导电剂、锂离子电池正极片及其制备方法、锂离子电池 | |
EP4207346A1 (en) | Conductive material dispersion liquid for electrochemical element, slurry for electrochemical element electrode, electrochemical element electrode, and electrochemical element | |
JP5697906B2 (ja) | 二次電池用電極水系組成物 | |
CN114388791B (zh) | 一种用于锂离子电池的复合浆料、其制备方法及其应用 | |
WO2017071117A1 (zh) | 萜烯树脂基复合粘结剂在电化学储能器件中的用途 | |
EP4024534A1 (en) | Binder composition for electricity storage devices, slurry for electricity storage device electrodes, electricity storage device electrode, and electricity storage device | |
JP6487369B2 (ja) |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正極作製用導電ペースト | |
KR102465151B1 (ko) | 탄소 나노튜브 분산액과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이차전지용 양극 및 상기 양극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 |
WO2024216996A1 (zh) | 含氟聚合物、导电浆料、正极极片、二次电池、用电装置 | |
CN117317233B (zh) | 一种正极浆料及制备方法和应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