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0272A - 인터락킹 밴드와 히든그루브 타입의 커프가 병합된 3d커프를 구비하는 타이어 - Google Patents

인터락킹 밴드와 히든그루브 타입의 커프가 병합된 3d커프를 구비하는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0272A
KR20230140272A KR1020220039209A KR20220039209A KR20230140272A KR 20230140272 A KR20230140272 A KR 20230140272A KR 1020220039209 A KR1020220039209 A KR 1020220039209A KR 20220039209 A KR20220039209 A KR 20220039209A KR 20230140272 A KR20230140272 A KR 202301402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ff
road surface
block
tire
side wa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9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경
최수빈
Original Assignee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39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0272A/ko
Priority to PCT/KR2023/003307 priority patent/WO2023191341A1/ko
Publication of KR20230140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027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2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 B60C11/1204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with special shape of the sipe
    • B60C11/1218Three-dimensional shape with regard to depth and extending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2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2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 B60C11/1272Width of the sipe
    • B60C11/1281Width of the sipe different within the same sipe, i.e. enlarged width portion at sipe bottom or along its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2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 B60C11/1204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with special shape of the sipe
    • B60C2011/1213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with special shape of the sipe sinusoidal or zigzag at the tread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블록 강성의 저하 없이도 트래드 마모 후 커프의 공간 등을 확보할 수 있는 타이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락킹 밴드와 히든그루브 타입의 커프가 병합된 3D커프를 구비하는 타이어는, 노면과 접하는 블록의 외측면으로부터 블록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공간인 노면부 및, 노면부로부터 블록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공간인 저변부를 구비하는 커프; 및 노면부의 양 측벽면 중 일 측벽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인터락킹 밴드와 히든그루브 타입의 커프가 병합된 3D커프를 구비하는 타이어 {A TIRE INCLUDING A 3D KERF IN WHICH AN INTERLOCKING BAND AND A HIDDEN GROOVE TYPE KERF ARE MERGED}
본 발명은 인터락킹 밴드와 히든그루브 타입의 커프가 병합된 3D커프를 구비하는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블록 강성의 저하 없이도 트래드 마모 후 커프의 공간 등을 확보할 수 있는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이어의 트래드에 형성된 패턴의 경우, 트래드 마모 시 타이어 패턴 내의 공간(void)이 줄어드는데, 이와 같이 줄어든 공간으로 인해, 수막에서의 배수성 감소, 눈(snow)이 쌓인 노면에서의 트랙션(traction) 저하, 젖은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 감소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트래드가 마모되면서 줄어드는 그루브(Groove) 및 커프(Kerf)에 의한 트래드 내 공간 부피(void volume) 감소를 보완하기 위해 다양한 시도가 진행되고 있는데, 그루브 관점에서는 그루브 측벽의 기울기 각도(angle)를 90도(degree)나 역기울기를 적용 시, 패턴을 형성하는 블록의 강성 저하로 거친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 및 핸들링 성능 저하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 의도치 않은 트레이드 오프(Trade-off)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커프 측면에서 블록 강성의 저하 없이 트래드의 마모 후에도 커프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38020호(발명의 명칭: 내구성과 배수성 향상을 위한 중하중용 타이어의 트레드 커프구조)에서는, 블럭(1)에 커프(2)를 사용하여 수면 및 빙상에서의 제동성과 내구성을 강화하기 위해 이 커프(2)의 하단부가 커프(2)의 입구(2a)보다 넓은 용적을 갖도록 이루어진 중하중용 타이어의 트레드 커프구조에 있어서, 상기 커프(2)의 수평파형의 입구(2a)와 이 커프(2)의 하단부 사이는 수직파형 연결구멍(2b)으로 연통되고, 상기 커프(2)의 하단부에 형성된 유로관(3)은 내부방향으로 블레이드 고무(4)들이 등각도로 돌출되어 이 유로관(3)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개 형성된 톱니형상의 원통관(3a)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과 배수성 향상을 위한 중하중용 타이어의 트레드 커프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38020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블록 강성의 저하 없이도 트래드 마모 후 커프의 공간 등을 확보할 수 있는 타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블록을 구비하는 타이어에 있어서, 노면과 접하는 상기 블록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블록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공간인 노면부 및, 상기 노면부로부터 상기 블록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공간인 저변부를 구비하는 커프; 및 상기 노면부의 양 측벽면 중 일 측벽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변부의 깊이 방향으로 상기 저변부의 양 측벽면 간 거리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노면부의 양 측벽면 각각은 연속된 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저변부의 양 측벽면 간 거리는, 상기 저변부의 깊이가 증가함에 따라 점차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저변부의 양 측벽면 간 거리는, 상기 저변부의 깊이가 증가함에 따라 점차적으로 증가하다가 일정하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노면부의 양 측벽면 각각의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노면부의 깊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채널을 구비하는 채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저변부의 양 측벽면 간 거리는, 상기 저변부의 깊이가 증가함에 따라 점차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저변부의 양 측벽면 간 거리는, 상기 저변부의 깊이가 증가함에 따라 점차적으로 증가하다가 일정하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직육면체의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프는, 상기 커프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굴곡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효과는, 트래드의 마모에 의해 노면부의 깊이가 감소하더라도 저변부에 의해 커프 공간이 확보되어, 커프에 의한 배수 성능, 제동 성능, 트랙션 성능 등이 기준치 이상으로 유지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블록의 단면도와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블록의 단면도와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블록의 단면도와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블록의 단면도와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커프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와 비교예의 블록을 이용한 시험에 대한 데이터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블록을 이용하여 주행 시 해석을 수행한 결과에 대한 이미지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블록(1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블록(100)의 단면도와 평면도이다. 여기서, 도 2의 (a)는 제1실시예에 따른 블록(100)의 단면도이다. 블록(100)의 단면도는 커프(110)의 길이 연장 방향에 수직한 단면에 대한 단면도이다. 이하, 동일하다. 그리고, 도 2의 (b)는 제1실시예에 따른 블록(100)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블록(100)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블록(100)의 단면도와 평면도이다. 여기서, 도 4의 (a)는 제2실시예에 따른 블록(100)의 단면도이고, 도 4의 (b)는 제2실시예에 따른 블록(100)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블록(100)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블록(100)의 단면도와 평면도이다. 여기서, 도 6의 (a)는 제3실시예에 따른 블록(100)의 단면도이고, 도 6의 (b)는 제3실시예에 따른 블록(100)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블록(100)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블록(100)의 단면도와 평면도이다. 여기서, 도 8의 (a)는 제4실시예에 따른 블록(100)의 단면도이고, 도 8의 (b)는 제4실시예에 따른 블록(100)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블록(100)을 구비하는 본 발명의 타이어는, 노면과 접하는 블록(100)의 외측면으로부터 블록(100)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공간인 노면부(111) 및, 노면부(111)로부터 블록(100)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공간인 저변부(112)를 구비하는 커프(110); 및 노면부(111)의 양 측벽면 중 일 측벽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돌출부(120)를 포함한다. 또한, 저변부(112)의 깊이 방향으로 저변부(112)의 양 측벽면 간 거리가 가변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돌출부(120)는 노면부(111)의 양 측벽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이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저변부(112)의 양 측벽면 간 거리의 평균 값이 노면부(111)에서의 양 측벽면 간 거리의 평균 값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트래드의 마모에 의해 노면부(111)의 깊이가 감소하더라도 저변부(112)에 의해 커프(110) 공간이 확보되어, 커프(110)에 의한 배수 성능, 제동 성능, 트랙션 성능 등이 기준치 이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효과는, 하기된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 각각의 블록(100)에서의 커프(110) 형상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하, 각각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돌출부(120)의 형성에 의하여, 제동 또는 주행 중 발생하는 블록(100)의 과도한 변형을 방지함과 동시에, 커프(110)의 부피 확보에 따른 블록(100)의 내구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타이어의 제동 또는 주행 중 블록(100)의 변형이 발생하는 경우, 노면부(111)의 일 측벽면에 형성된 돌출부(120)가 노면부(111)의 타 측벽면에 접촉되면서 커프(110)의 형상을 지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블록(100) 및 커프(110)의 과도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돌출부(120)의 기능에 의해 노면부(111) 및 저변부(112)의 부피를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커프(110)의 부피를 확보함과 동시에 커프(110)의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하기된 각각의 실시예에 있어서, 돌출부(120)는, 직육면체의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노면부(111)의 일 측벽면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직육면체의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는 라운드(round) 처리되어 곡면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돌출부(120)와 노면부(111)의 타 측벽면이 서로 접촉하여 돌출부(120)가 가압되더라도 돌출부(120)의 모서리의 파손이 방지되어, 돌출부(120)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돌출부(120)의 형상을 상기와 같이 설명하고 있으나, 돌출부(120)의 형상이 반드시 상기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커프(110)의 깊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 반원 또는 다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을 구비할 수도 있다.
도 1 과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블록(100)에 형성된 커프(110)에서, 노면부(111)의 양 측벽면 각각은 연속된 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저변부(112)의 양 측벽면 간 거리는, 저변부(112)의 깊이가 증가함에 따라 점차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여기서, 연속된 면의 형상이라는 것은, 측벽면에 홈(채널부)이 형성되어 면이 단절된 형상과 구분하기 위한 형상으로써, 중간에 단절없이 면이 연속적으로 이어져 형성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 동일하다.
도 2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블록(100)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 제1실시예에서의 저변부(112) 깊이가 증가함에 따라 저변부(112)의 양 측벽면 간 거리가 점차적으로 증가하여 양 측으로 경사진 부위인 경사면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사면의 형성에 의하여 저변부(112)의 공간 증가로 커프(110)의 공간 부피가 증가하게 되며, 이에 따라, 커프(110)의 배수 성능 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저변부(112)의 단면이 전체적으로 삼각형의 형상을 구비하여, 마모 시 저변부(112)에서 단면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증가되어 커프(110)의 공간(Void)확보가 가능하다.
노면부(111)와 경사면의 연결부위는 라운드(round) 처리되어 곡률(Ra)을 구비하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평면인 저변부(112)의 바닥면과 경사면의 연결부위도 라운드(round) 처리되어 곡률 반지름(Rb)을 구비하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노면부(111)와 경사면의 연결부위 곡률 반지름(Ra)은 0.5 내지 5mm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저변부(112)의 바닥면과 경사면의 연결부위 곡률 반지름(Rb)은 0.3 내지 1.5mm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바닥면의 폭(w1)은 3mm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저변부(112)의 깊이(d1)는 2 내지 6mm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프(110)의 전체깊이(d2)는 5 내지 10mm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돌출부(120)의 높이(d3)는 1.5 내지 5mm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실시예에서는 노면부(111)의 양 측벽면이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노면부(111)의 양 측벽면 간 거리인 노면부(111)의 두께(t1)는 노면부(111)의 깊이 방향을 따라 일정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노면부(111)의 두께(t1)는 0.4 내지 0.8mm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120)와 노면부(111)의 타 측벽면 간 거리(t2)는 0.2 내지 0.6 mm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실시예에서의 각각의 수치범위는 한정되는 사항이 아니고, 블록(100)의 요구되는 성능에 따라 각각의 수치범위는 변경될 수 있다.
도 3과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블록(100)에 형성된 커프(110)에서, 노면부(111)의 양 측벽면 각각은 연속된 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저변부(112)의 양 측벽면 간 거리는, 저변부(112)의 깊이가 증가함에 따라 점차적으로 증가하다가 일정하게 될 수 있다.
여기서, 연속된 면의 형상이라는 것은, 측벽면에 홈(채널부)이 형성되어 면이 단절된 형상과 구분하기 위한 형상으로써, 중간에 단절없이 면이 연속적으로 이어져 형성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 동일하다.
도 4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블록(100)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 저변부(112) 깊이가 증가함에 따라 저변부(112)의 양 측벽면 간 거리가 점차적으로 증가하다가 일정하게 되어, 양 측으로 경사진 부위인 경사면과 바닥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경사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수직면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사면과 수직면의 형성에 의하여 저변부(112)의 공간 증가로 커프(110)의 공간 부피가 증가하게 되며, 이에 따라, 커프(110)의 배수 성능 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저변부(112)의 단면이 전체적으로 상부는 삼각형이고 하부는 사각형인 오각형의 형상을 구비하며, 제1실시예의 블록(100)과 비교하여 제2실시예의 블록(100)에서 강성 보완 효과가 증가될 수 있다.
노면부(111)와 경사면의 연결부위는 라운드(round) 처리되어 곡률 반지름(Ra)을 구비하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평면인 저변부(112)의 바닥면과 경사면의 연결부위도 라운드(round) 처리되어 곡률 반지름(Rb)을 구비하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노면부(111)와 경사면의 연결부위 곡률 반지름(Ra)은 0.5 내지 5mm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저변부(112)의 바닥면과 수직면의 연결부위 곡률 반지름(Rb)은 0.3 내지 1.5mm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경사면과 수직면의 연결부위 곡률 반지름(Rc)은 0.3 내지 5mm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바닥면의 폭(w1)은 3mm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저변부(112)의 깊이(d1)는 2 내지 6mm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프(110)의 전체깊이(d2)는 5 내지 10mm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돌출부(120)의 높이(d3)는 1.5 내지 5mm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실시예에서는 노면부(111)의 양 측벽면이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노면부(111)의 양 측벽면 간 거리인 노면부(111)의 두께(t1)는 노면부(111)의 깊이 방향을 따라 일정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노면부(111)의 두께(t1)는 0.4 내지 0.8mm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120)와 노면부(111)의 타 측벽면 간 거리(t2)는 0.2 내지 0.6 mm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실시예에서의 각각의 수치범위는 한정되는 사항이 아니고, 블록(100)의 요구되는 성능에 따라 각각의 수치범위는 변경될 수 있다.
도 5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블록(100)에 형성된 커프(110)에서, 노면부(111)의 양 측벽면 각각의 대응되는 위치에 노면부(111)의 깊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채널(131)을 구비하는 채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저변부(112)의 양 측벽면 간 거리는, 저변부(112)의 깊이가 증가함에 따라 점차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채널(131)은 단면이 반원인 홈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나의 채널(131)이 노면부(111)의 일 측벽면에 형성되고, 다른 채널(131)이 노면부(111)의 타 측벽면에서 하나의 채널(131)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채널부의 공간은 봉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채널부는 커프(110)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하게 간격을 형성하면서 복수 개 형성될 수 있으며, 노면부(111)에서 각각의 채널부는 돌출부(120)가 형성된 부위를 회피하여 노면부(111)의 다른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채널부의 공간이 봉 형상을 구비하는 경우, 봉 형상의 직경은 1 내지 3mm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채널부 사이의 간격은 4 내지 30mm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채널부의 공간 형상이 봉 형상으로 형성된다고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채널(131)의 단면 형상에 따라 채널부의 공간은 봉과 다른 다른 바(bar)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채널부의 형성에 의하여, 커프(110)의 공간 부피가 증가함과 동시에 저변부(112)로부터 외부로의 유로가 형성되어, 커프(110)의 배수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채널부의 형성을 위하여 타이어 제조를 위한 몰드에서 커프(110) 형성을 위해 설치된 블레이드에 봉 형상의 지지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지지대에 의하여 타이어 성형 시 블레이드의 변형이 방지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타이어 성형 시 커프(110)의 변형이 감소하여 설계안에 따른 커프(110)의 제조 효율이 증가될 수 있다.
도 6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블록(100)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 제3실시예에서의 저변부(112) 깊이가 증가함에 따라 저변부(112)의 양 측벽면 간 거리가 점차적으로 증가하여 양 측으로 경사진 부위인 경사면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사면의 형성에 의하여 저변부(112)의 공간 증가로 커프(110)의 공간 부피가 증가하게 되며, 이에 따라, 커프(110)의 배수 성능 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저변부(112)의 단면이 전체적으로 삼각형의 형상을 구비하여, 마모 시 저변부(112)에서 단면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증가되어 커프(110)의 공간(Void)확보가 가능하다.
노면부(111)와 경사면의 연결부위는 라운드(round) 처리되어 곡률 반지름(Ra)을 구비하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평면인 저변부(112)의 바닥면과 경사면의 연결부위도 라운드(round) 처리되어 곡률 반지름(Rb)을 구비하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노면부(111)와 경사면의 연결부위 곡률 반지름(Ra)은 0.5 내지 5mm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저변부(112)의 바닥면과 경사면의 연결부위 곡률 반지름(Rb)은 0.3 내지 1.5mm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바닥면의 폭(w1)은 3mm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저변부(112)의 깊이(d1)는 2 내지 6mm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프(110)의 전체깊이(d2)는 5 내지 10mm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돌출부(120)의 높이(d3)는 1.5 내지 5mm로 형성될 수 있다.
제3실시예에서는 노면부(111)의 양 측벽면에서 채널부를 제외한 부위는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노면부(111)의 양 측벽면 중 평면 간 거리인 노면부(111)의 두께(t1)는 노면부(111)의 깊이 방향을 따라 일정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노면부(111)의 두께(t1)는 0.4 내지 0.8mm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120)와 평면인 노면부(111)의 타 측벽면 간 거리(t2)는 0.2 내지 0.6 mm로 형성될 수 있다.
제3실시예에서의 각각의 수치범위는 한정되는 사항이 아니고, 블록(100)의 요구되는 성능에 따라 각각의 수치범위는 변경될 수 있다.
도 7과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블록(100)에 형성된 커프(110)에서, 노면부(111)의 양 측벽면 각각의 대응되는 위치에 노면부(111)의 깊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채널(131)을 구비하는 채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저변부(112)의 양 측벽면 간 거리는, 저변부(112)의 깊이가 증가함에 따라 점차적으로 증가하다가 일정하게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채널(131)은 단면이 반원인 홈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나의 채널(131)이 노면부(111)의 일 측벽면에 형성되고, 다른 채널(131)이 노면부(111)의 타 측벽면에서 하나의 채널(131)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채널부의 공간은 봉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채널부는 커프(110)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하게 간격을 형성하면서 복수 개 형성될 수 있으며, 노면부(111)에서 각각의 채널부는 돌출부(120)가 형성된 부위를 회피하여 노면부(111)의 다른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채널부의 공간이 봉 형상을 구비하는 경우, 봉 형상의 직경은 1 내지 3mm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채널부 사이의 간격은 4 내지 30mm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채널부의 공간 형상이 봉 형상으로 형성된다고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채널(131)의 단면 형상에 따라 채널부의 공간은 봉과 다른 다른 바(bar)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채널부의 형성에 의하여, 커프(110)의 공간 부피가 증가함과 동시에 저변부(112)로부터 외부로의 유로가 형성되어, 커프(110)의 배수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채널부의 형성을 위하여 타이어 제조를 위한 몰드에서 커프(110) 형성을 위해 설치된 블레이드에 봉 형상의 지지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지지대에 의하여 타이어 성형 시 블레이드의 변형이 방지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타이어 성형 시 커프(110)의 변형이 감소하여 설계안에 따른 커프(110)의 제조 효율이 증가될 수 있다.
도 8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블록(100)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 저변부(112) 깊이가 증가함에 따라 저변부(112)의 양 측벽면 간 거리가 점차적으로 증가하다가 일정하게 되어, 양 측으로 경사진 부위인 경사면과 바닥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경사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수직면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사면과 수직면의 형성에 의하여 저변부(112)의 공간 증가로 커프(110)의 공간 부피가 증가하게 되며, 이에 따라, 커프(110)의 배수 성능 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저변부(112)의 단면이 전체적으로 상부는 삼각형이고 하부는 사각형인 오각형의 형상을 구비하여, 블록(100)의 외측면에 가해지는 힘이 수직면에 의해서도 지지되므로, 제3실시예의 블록(100)과 비교하여 제4실시예의 블록(100)에서 강성 보완 효과가 증가될 수 있다.
노면부(111)와 경사면의 연결부위는 라운드(round) 처리되어 곡률 반지름(Ra)을 구비하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평면인 저변부(112)의 바닥면과 경사면의 연결부위도 라운드(round) 처리되어 곡률 반지름(Rb)을 구비하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노면부(111)와 경사면의 연결부위 곡률 반지름(Ra)은 0.5 내지 5mm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저변부(112)의 바닥면과 수직면의 연결부위 곡률 반지름(Rb)은 0.3 내지 1.5mm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경사면과 수직면의 연결부위 곡률 반지름(Rc)은 0.3 내지 5mm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바닥면의 폭(w1)은 3mm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저변부(112)의 깊이(d1)는 2 내지 6mm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프(110)의 전체깊이(d2)는 5 내지 10mm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돌출부(120)의 높이(d3)는 1.5 내지 5mm로 형성될 수 있다.
제4실시예에서는 노면부(111)의 양 측벽면에서 채널부를 제외한 부위는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노면부(111)의 양 측벽면 중 평면 간 거리인 노면부(111)의 두께(t1)는 노면부(111)의 깊이 방향을 따라 일정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노면부(111)의 두께(t1)는 0.4 내지 0.8mm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120)와 평면인 노면부(111)의 타 측벽면 간 거리(t2)는 0.2 내지 0.6 mm로 형성될 수 있다.
제4실시예에서의 각각의 수치범위는 한정되는 사항이 아니고, 블록(100)의 요구되는 성능에 따라 각각의 수치범위는 변경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커프(110)에 대한 평면도이다. 여기서, 각각의 커프(110)의 평면도에 있어서, 도 9의 (a)는 커프(110)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 형상이 형성된 사항에 대한 것이고, 도 9의 (b)는 커프(110)의 길이 방향으로 웨이브(wave) 형상이 형성된 사항에 대한 것이며, 도 9의 (c)는 커프(110)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하게 굴곡진 형상인 계단 형상이 형성된 사항에 대한 것이다.
도 9의 (a) 내지 (c) 각각에서, 좌측의 커프(110)는 연속된 면을 구비하는 형상이고, 우측의 커프(110)는 채널부를 구비하는 형상이다. 도 9의 (a)에서, 좌측의 커프(110)는 상기된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의 블록(100)에 형성된 커프(110)에 대한 것이고, 우측의 커프(110)는 상기된 제3실시예와 제4실시예의 블록(100)에 형성된 커프(110)에 대한 것일 수 있다.
도 9의 (b)와 (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커프(110)는, 커프(1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굴곡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9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커프(110)의 길이 방향으로 커프(110)는 웨이브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도 9의 (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커프(110)의 길이 방향으로 커프(110)는 반복적으로 일정하게 굴곡진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돌출부(120)는 모든 부위에 형성될 수 있으며, 채널부는 돌출부(120)가 형성되지 않은 굴곡 부위 또는 평면인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커프(110)가 길이 방향으로 형상을 구비하게 됨으로써 커프(110)의 공간 부피가 증가되고, 다양한 각도에서 블록(100)에 적용되는 힘의 방향에 대해서 돌출부(120)와 노면부(111) 측벽면의 접촉 효율이 증가되어, 타이어의 배수 성능, 제동 성능, 트랙션 성능 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블록(200)의 사시도이다.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교예의 블록(200)은 전체적으로 깊이가 연장된 노면부(211)의 형상으로만 커프(210)가 형성된 블록(200)으로써, 커프(210)의 깊이 및 길이는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의 블록(100)에 형성된 각각의 커프(110)의 깊이 및 길이와 동일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와 비교예의 블록(200)을 이용한 시험에 대한 데이터이다. 그리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블록(100)을 이용하여 주행 시 해석을 수행한 결과에 대한 이미지이다. 도 12에서, 적색 영역이 노면부(111)의 타 측벽면과 돌출부(120)가 접촉되는 부위의 영역이다.
구체적으로, 도 12의 (a)에서는, 커프(Kerf)(110)의 노면부(111) 두께(t1)가 0.6mm이고 돌출부(120)와 노면부(111)의 타 측벽면 간 거리(t2)가 0.4mm인 경우에 대한 것이며, 도 12의 (b)는 커프(Kerf)(110)의 노면부(111) 두께(t1)가 0.6mm이고 돌출부(120)와 노면부(111)의 타 측벽면 간 거리(t2)가 0.3mm인 경우에 대한 것이다.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 각각의 블록(100)에서 소정의 수치 값으로 블록(100)의 커프(110)를 형성시키는 경우, 비교예 대비 블록(100)의 강성이 증가하여, 커프(110)의 공간 부피의 증가에도 블록(100)의 강성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실시예의 블록(100)에 있어서, 커프(Kerf)(110)의 노면부(111) 두께(t1)가 0.6mm이고 돌출부(120)와 노면부(111)의 타 측벽면 간 거리(t2)가 0.4mm인 경우에, 돌출부(120)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여, 상기와 같이 블록(100)의 강성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블록
110 : 커프
111 : 노면부
112 : 저변부
120 : 돌출부
131 : 채널
200 : 블록
210 : 커프
211 : 노면부

Claims (9)

  1. 블록을 구비하는 타이어에 있어서,
    노면과 접하는 상기 블록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블록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공간인 노면부 및, 상기 노면부로부터 상기 블록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공간인 저변부를 구비하는 커프; 및
    상기 노면부의 양 측벽면 중 일 측벽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변부의 깊이 방향으로 상기 저변부의 양 측벽면 간 거리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락킹 밴드와 히든그루브 타입의 커프가 병합된 3D커프를 구비하는 타이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면부의 양 측벽면 각각은 연속된 면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락킹 밴드와 히든그루브 타입의 커프가 병합된 3D커프를 구비하는 타이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저변부의 양 측벽면 간 거리는, 상기 저변부의 깊이가 증가함에 따라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락킹 밴드와 히든그루브 타입의 커프가 병합된 3D커프를 구비하는 타이어.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저변부의 양 측벽면 간 거리는, 상기 저변부의 깊이가 증가함에 따라 점차적으로 증가하다가 일정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락킹 밴드와 히든그루브 타입의 커프가 병합된 3D커프를 구비하는 타이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면부의 양 측벽면 각각의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노면부의 깊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채널을 구비하는 채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락킹 밴드와 히든그루브 타입의 커프가 병합된 3D커프를 구비하는 타이어.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저변부의 양 측벽면 간 거리는, 상기 저변부의 깊이가 증가함에 따라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락킹 밴드와 히든그루브 타입의 커프가 병합된 3D커프를 구비하는 타이어.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저변부의 양 측벽면 간 거리는, 상기 저변부의 깊이가 증가함에 따라 점차적으로 증가하다가 일정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락킹 밴드와 히든그루브 타입의 커프가 병합된 3D커프를 구비하는 타이어.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직육면체의 형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락킹 밴드와 히든그루브 타입의 커프가 병합된 3D커프를 구비하는 타이어.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프는, 상기 커프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굴곡 형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락킹 밴드와 히든그루브 타입의 커프가 병합된 3D커프를 구비하는 타이어.
KR1020220039209A 2022-03-29 2022-03-29 인터락킹 밴드와 히든그루브 타입의 커프가 병합된 3d커프를 구비하는 타이어 KR2023014027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9209A KR20230140272A (ko) 2022-03-29 2022-03-29 인터락킹 밴드와 히든그루브 타입의 커프가 병합된 3d커프를 구비하는 타이어
PCT/KR2023/003307 WO2023191341A1 (ko) 2022-03-29 2023-03-10 인터락킹 밴드와 히든그루브 타입의 커프가 병합된 3d커프를 구비하는 타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9209A KR20230140272A (ko) 2022-03-29 2022-03-29 인터락킹 밴드와 히든그루브 타입의 커프가 병합된 3d커프를 구비하는 타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0272A true KR20230140272A (ko) 2023-10-06

Family

ID=88202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9209A KR20230140272A (ko) 2022-03-29 2022-03-29 인터락킹 밴드와 히든그루브 타입의 커프가 병합된 3d커프를 구비하는 타이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40272A (ko)
WO (1) WO2023191341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020B1 (ko) 2009-11-27 2011-05-31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내구성과 배수성 향상을 위한 중하중용 타이어의 트레드 커프구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3663B1 (ko) * 2002-07-09 2005-06-03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커프를 개량한 타이어와 커프성형 블레이드
KR20050097708A (ko) * 2004-04-02 2005-10-10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커프 형성용 블레이드
KR101016271B1 (ko) * 2008-10-14 2011-02-25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커프의 형상을 개량한 스노우 타이어
FR2971732B1 (fr) * 2011-02-17 2013-02-01 Michelin Soc Tech Bande de roulement pour pneumatique poids lourd de type remorque et element moulant
KR102034803B1 (ko) * 2018-03-13 2019-10-21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3d 커프가 형성된 타이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020B1 (ko) 2009-11-27 2011-05-31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내구성과 배수성 향상을 위한 중하중용 타이어의 트레드 커프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91341A1 (ko) 2023-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01710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5285762B2 (ja) タイヤのトレッドパターン
KR101659836B1 (ko) 공기입 타이어
JP5261783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3682918B2 (ja) 空気入りタイヤ
US9469159B2 (en) Pneumatic tire
US9764600B2 (en) Pneumatic tire for vehicle
RU2607491C1 (ru) Пневматическая шина
KR101302548B1 (ko) 하이드로 플래닝 성능을 향상시킨 공기입 타이어
US20160137003A1 (en) Pneumatic tire
KR100985903B1 (ko)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US9016337B2 (en) Pneumatic tire
JP6163106B2 (ja) 空気入りタイヤ
CN110293798B (zh) 具有v形切口的轮胎
JP2009018617A (ja) 空気入りタイヤ
JP4426546B2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1520281B1 (ko)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
CN108162696B (zh) 充气轮胎
JP4787352B2 (ja) 空気入りタイヤ
CN109421438A (zh) 充气轮胎
JP2017001463A (ja) 空気入りタイヤ
JP5813404B2 (ja) 空気入りタイヤ
KR20230140272A (ko) 인터락킹 밴드와 히든그루브 타입의 커프가 병합된 3d커프를 구비하는 타이어
JP7074588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5474738B2 (ja) 空気入りタイ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