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7708A - 커프 형성용 블레이드 - Google Patents

커프 형성용 블레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7708A
KR20050097708A KR1020040022936A KR20040022936A KR20050097708A KR 20050097708 A KR20050097708 A KR 20050097708A KR 1020040022936 A KR1020040022936 A KR 1020040022936A KR 20040022936 A KR20040022936 A KR 20040022936A KR 20050097708 A KR20050097708 A KR 200500977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block
cuff
form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2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인석
Original Assignee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2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97708A/ko
Publication of KR20050097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770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01F27/7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paddles, blades or arms
    • B01F27/701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paddles, blades or arms comprising two or more shafts, e.g. in consecutive mixing cha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60Mixing solids with so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30Driving arrangements; Transmissions; Couplings; Brakes
    • B01F2035/35Use of other general mechanical engineering elements in mixing devices
    • B01F2035/351Sealings
    • B01F2035/3513Sealings comprising a stationary member in frontal contact with a movable memb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ires In General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레이드의 형상을 개선하여 블록이 마모되어가면서 본래의 기능이 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커프 성형용 블레이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서의 블레이드는 그 두께가 동일하여 블록이 마모되어 가면서 블록의 강성이 점차적으로 증가되면서 타이어의 본래 기능이 변화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바, 본 발명은 타이어의 트래드부(1)가 그루브(10)에 의해 구획되어 블록(2)이 형성되고, 상기 블록(2)에 커프(3)를 형성시키는 블레이드(4)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4)가 금형(5)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두께(t)가 증가되도록 형성시켜 구성함으로써, 조종안정성능과 승차감성능이 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마모후기에 이르러서도 설계 당시에 의도한 기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임.

Description

커프 형성용 블레이드{Blade for forming a kirf}
본 발명은 트래드부의 블록 강성을 조정하기 위하여 블록에 커프를 형성시키는 블레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블레이드의 형상을 개선하여 블록이 마모되어가면서 본래의 기능이 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커프 성형용 블레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프(KERP)라 함은 타이어의 트래드부가 다수의 블록으로 구획 형성되는 패턴을 가지는 타이어에 있어서, 블록을 다수의 조각으로 분리시키는 작은 폭의 홈을 말한다.
이와 같은 커프(KERP)는 그 깊이가 깊으면 블록의 강성이 낮아져 제동성 및 구동성이 저하되는데 반하여 승차감은 향상되고, 반대로 커프의 깊이를 작게 형성시키게 되면 블록의 강성이 증가되어 제동성과 구동성은 향상되는 반면 승차감이 감소하는 이율배반적인 특징을 가지는 것으로 타이어의 설계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종래에 있어서의 커프 성형용 블레이드는 금형의 내주면에 설치되는 금속판체로 구성되며, 그 형상은 저부로 갈수록 양측단의 길이 줄어들게 형성시켜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블레이드에 의해 성형되는 커프는 블레이드의 형상과 동일하게 하부로 갈수록 그 길이가 줄어들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블레이드의 양측단의 길이를 좁아지게 형성시키는 이유는 그린 타이어의 가류 완료 후 가류금형으로 완성된 타이어를 인출시키는 동작시 블레이드가 커프로부터 용이하게 인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며, 인출시 블레이드의 양측단이 커프의 내부면에 걸리어 커프가 찢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종래에 있어서의 블레이드는 그 두께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이 동일한 두께의 블레이드에 의해 형성되는 커프의 폭 또한 일정하게 형성되기 마련이다.
그러나 블록을 구획하는 그루브의 양측벽은 하부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게 경사면으로 형성됨에 따라 블록이 마모되어 가면서 블록의 강성은 점차적으로 증가되면서 타이어의 본래 기능이 변화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블록이 마모되어가면서 블록강성이 증가되면 조종안정성은 향상되나 반대급부로 승차감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블레이드의 형상을 개선하여 블록이 마모되어가면서 강성이 증가되어 본래의 기능 즉, 조종안정성능과 승차감성능이 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커프 성형용 블레이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타이어의 트래드부 블록에 커프를 형성시키는 블레이드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가 금형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두께가 증가되도록 형성시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을 둔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도 1 는 금형에 취부된 블레이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요부인 블레이드의 일 실시 예를 발췌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블레이드에 의해 성형된 커프를 발췌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타이어의 트래드부(1)가 그루브(10)에 의해 구획되어 블록(2)이 형성되고, 상기 블록(2)에 커프(3)를 형성시키는 블레이드(4)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4)가 금형(5)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두께(t)가 증가되도록 형성시켜 구성되는 것이다.
금형(5)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블레이드의 두께(t)가 증가되도록 형성시킴에 있어서는 도 2 에서와 같이 블레이드의 두께(t1)(t2)(t3)를 다단으로 형성시켜 구성할 수도 있도 첨부된 도면 도 4 에서와 같이 블레이드의 두께(t)가 하부로 갈수록 증가되도록 블레이드의 양측면을 경사면(40)으로 형성시켜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2 에서와 같이, 블레이드(4)의 두께(t)를 다단(t1)(t2)(t3)으로 형성시키는 경우 커프(3)를 통하여 타이어의 마모되는 상태와 이상마모현상을 육안으로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그린 타이어의 가류후 금형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과정에서 다단의 블레이드(4)가 커프(3)로부터 용이하게 빠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본 발명에서는 다단의 구획부위를 경사면(41)을 형성시켜 구성함으로 블레이드(4)가 커프(3)로부터 용이하게 인출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드래드(1)의 블록(2)이 마모되어가면서 블록의 강성이 증가되는 것을 보다 큰 폭으로 노출되는 커프(3)가 억제시킴으로써, 블록(2)의 강성증대로 발생되는 기능의 변화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블록이 마모되어가면서 강성이 증가되어 본래의 기능 즉, 조종안정성능과 승차감성능이 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마모후기에 이르러서도 설계 당시에 의도한 기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 는 금형에 취부된 블레이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요부인 블레이드의 일 실시 예를 발췌 도시한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블레이드에 의해 성형된 커프를 발췌 도시한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요부인 블레이드의 다른 실시 예를 발췌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트래브 2. 블록
3. 커프 4. 블레이드
40,41. 경사면

Claims (4)

  1. 타이어의 트래드부(1)가 그루브(10)에 의해 구획되어 블록(2)이 형성되고, 상기 블록(2)에 커프(3)를 형성시키는 블레이드(4)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4)가 금형(5)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두께(t)가 증가되도록 형성시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프 성형용 블레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4)의 두께(t1)(t2)(t3)를 다단으로 형성시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프 성형용 블레이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의 구획부위에 경사면(41)을 형성시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프 성형용 블레이드.
  4. 제 1 항에 있어서, 블레이드(4)의 두께(t)가 하부로 갈수록 증가되도록 블레이드(4)의 양측면을 경사면(40)으로 형성시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프 성형용 블레이드.
KR1020040022936A 2004-04-02 2004-04-02 커프 형성용 블레이드 KR200500977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2936A KR20050097708A (ko) 2004-04-02 2004-04-02 커프 형성용 블레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2936A KR20050097708A (ko) 2004-04-02 2004-04-02 커프 형성용 블레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7708A true KR20050097708A (ko) 2005-10-10

Family

ID=37277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2936A KR20050097708A (ko) 2004-04-02 2004-04-02 커프 형성용 블레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9770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4179B1 (ko) * 2005-11-23 2007-03-12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마모한계 표시 기능을 가지는 커프 성형용 블레이드
KR101377445B1 (ko) * 2011-12-26 2014-03-26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횡그루브 및 커프 성형 블레이드
WO2023191341A1 (ko) * 2022-03-29 2023-10-05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인터락킹 밴드와 히든그루브 타입의 커프가 병합된 3d커프를 구비하는 타이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4179B1 (ko) * 2005-11-23 2007-03-12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마모한계 표시 기능을 가지는 커프 성형용 블레이드
KR101377445B1 (ko) * 2011-12-26 2014-03-26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횡그루브 및 커프 성형 블레이드
WO2023191341A1 (ko) * 2022-03-29 2023-10-05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인터락킹 밴드와 히든그루브 타입의 커프가 병합된 3d커프를 구비하는 타이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7534512A (ja) 厚さを低減した複数の領域を有する厚さが可変のサイプを備えるタイヤトレッド
JP2010076561A (ja) 空気入りタイヤ
CN106163830A (zh) 在胎面的边缘上具有通道的胎面
JP2008105460A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09034933A (ja) タイヤ成型用金型、およびそれを用いた空気入りタイヤ
JP2009280035A (ja) 空気入りタイヤ
JP4521285B2 (ja) 空気入りタイヤ
CN108099504B (zh) 充气轮胎
JP2006188215A (ja) 改良されたタイバーを備えた空気タイヤ、タイヤ製造方法、および金型
JP4970893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5907648B2 (ja) 空気入りタイヤ
WO2017043071A1 (ja) タイヤ
JP2005193770A (ja) 空気入りタイヤ及び加硫成形モールド
JP5403985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5001623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6836888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4754517B2 (ja)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JP2005193815A (ja) 空気入りタイヤ
KR20050097708A (ko) 커프 형성용 블레이드
JP5841314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08247336A (ja) 空気入りタイヤ
JP4682686B2 (ja) タイヤモールド
JPS63195006A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02067625A (ja) 空気入りタイヤ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2091533A (ja) 重荷重用空気入りタイ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