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0281B1 -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0281B1
KR101520281B1 KR1020130167414A KR20130167414A KR101520281B1 KR 101520281 B1 KR101520281 B1 KR 101520281B1 KR 1020130167414 A KR1020130167414 A KR 1020130167414A KR 20130167414 A KR20130167414 A KR 20130167414A KR 101520281 B1 KR101520281 B1 KR 1015202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reinforcing
groove
vehicle
protrus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7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명국
박상욱
주원경
Original Assignee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7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02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0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0281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레드 블록에 강성 유지를 위한 보강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방향인 종방향을 따라 연장된 종방향 그루브와, 상기 종방향 그루브와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된 횡방향 그루브 및 상기 종방향 그루브와 횡방향 그루브에 의해 형성된 블록들을 포함하는 트레드를 구비하는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그루브를 중심으로 양측 블록에 마련되며 상호 마주보는 대향면으로부터 마주보는 대향면을 향해 돌출되어 블록이 주행 중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보강돌기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 {Pneumatic vehicle tire}
본 발명은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트레드 블록에 강성 유지를 위한 보강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타이어 트레드(Tread)는 차량 주행 시 노면과 접하는 부분으로 그루브(Groove), 블록(Block), 사이프(Sipe) 등으로 구성된다.
특히 그루브는 연장되는 방향에 따라 종그루브(Longitudinal Groove)와 횡그루브(Lateral Groove)로 구분되며, 특히 횡그루브는 횡 방향의 배수 성능에 지배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블록의 강성을 조절함으로서 타이어 견인력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종래에 있어서의 횡그루브는 직선 또는 곡선 형상의 단일 형상으로만 형성되어 블록 내에서 원하는 부위의 적절한 강성을 구현하기 어려웠다. 적절한 강성을 구현하기 위한 일환으로 횡 그루브의 깊이 및 개수, 폭을 변경하거나 타이바(Tae-bar)를 형성시켜 강성을 맞추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기도 하였으나, 이러한 조절방법의 경우 블록의 적절한 강성을 유지시키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배수성능을 높이기 위해 그루브의 깊이나 개수 또는 폭을 증가시키는 경우 블록의 강성이 매우 저하되어 타이어의 내구성이 떨어지게 되며, 블록의 강성을 높이기 위해 그루브의 깊이를 낮추거나 개수 또는 폭을 줄이게 되면, 그루브의 락킹(locking) 현상으로 인한 배수성능 저하가 발생하였다. 또 타이바를 적용하는 경우 과도한 블록 강성으로 인한 이상 소음의 증가 및 젖은 노면에서 견인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51661호 :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78935호 : 공기입 타이어의 트레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타이어 블록의 횡그루브 상에 블록의 강성을 보강하고 배수성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보강돌기가 마련되어 있는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방향인 종방향을 따라 연장된 종방향 그루브와, 상기 종방향 그루브와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된 횡방향 그루브 및 상기 종방향 그루브와 횡방향 그루브에 의해 형성된 블록들을 포함하는 트레드를 구비하는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그루브를 중심으로 양측 블록에 마련되며 상호 마주보는 대향면으로부터 마주보는 대향면을 향해 돌출되어 블록이 주행 중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보강돌기를 구비한다.
상기 보강돌기는 상기 횡방향 그루브를 중심으로 일측 블록으로부터 타측 블록을 향해 돌출되는 제1 보강돌기와, 타측 블록으로부터 일측 블록을 향해 돌출되는 제2 보강돌기를 포함하고, 제1 보강돌기 및 제2 보강돌기는 각각의 단부가 대향되는 블록의 측면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보강돌기 및 제2 보강돌기는 상호 결합되는 결합부의 단면 형상이 태극문양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호 포개지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돌기는 횡방향 그루브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0.1mm 이상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는 트레드 블록의 횡단면에 보강을 위한 돌기가 요철 형상으로 상호 맞물리게 형성되어 있어서 타이어의 주행 시 발생하는 트레드의 횡방향 및 종방향 변형을 억제시켜 트레드 블록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켜주어 트레드의 강성이 보강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트레드 블록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됨에 따라 그루브의 락킹현상이 방지되어 배수성능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의 트레드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도 1의 횡방향 그루브를 중심으로 양측 트레드블록을 도시한 부분발췌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트레드블록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2의 트레드블록의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보강돌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는 타이어의 주행방향 즉 종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종방향 그루브(20)와, 타이어의 주행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인 횡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횡방향 그루브(30)가 형성되어 있는 트레드(10)를 구비한다.
상기 트레드(10)에는 종방향 그루브(20) 및 횡방향 그루브(30)에 의해 다수의 블록(40)들이 형성되는데, 이 블록(40)들에는 사이프(41)들이 형성되어 있어서 유연성을 증가시키고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특히 본 발명의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는 횡방향 그루브(30)를 중심으로 양측 블록(40)들에 배수성의 향상 및 내구성의 증가를 위한 보강돌기(50)들이 돌출되어 있다.
상기 보강돌기(50)는 횡그루브를 중심으로 일측 블록(40)으로부터 연장된 제1 보강돌기(51)와, 타측 블록(40)으로부터 일측 블록(40)을 향해 연장된 제2 보강돌기(52)를 포함한다.
제1 보강돌기(51)는 상술한 것처럼 일측 블록(40)으로부터 타측 블록(40)을 향해서 연장되며 단면이 태극문양의 일측 절반 부분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보강돌기(52)는 타측 블록(40)으로부터 일측 블록(40)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제1 보강돌기(51)의 단면 현상에 대응하는 태극문양의 타측 절반 부분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보강돌기(51)와 제2 보강돌기(52)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연결부분의 단면 형상이 태극문양에 대응하게 된다.
상기 보강돌기(50)들은 횡방향 그루브(30)를 중심으로 양측 블록(40) 사이에 돌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의 주행 중 타이어가 지면과 접촉하여 압력을 받을 때, 블록(40)의 변형을 최소화하게 된다. 즉, 양측 블록(40) 사이의 이격거리가 돌출된 보강블록(40)들에 의해 일정 거리 이내로 가까워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블록(40) 사이의 거리를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시키며, 횡방향으로 힘을 받을 때에도 상호 결합되어 있는 제1 보강블록(40)과 제2 보강블록(40)의 결합구조에 의해 횡방향 변형이 최소화된다.
이렇게 차량의 주행 중 블록(40)의 변형이 최소화되도록 보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우천시 젖은 노면을 주행할 때에도 타이어의 배수성능이 저하되지 않아 주행 안정성이 증가하게 된다.
아울러 제1 보강돌기(51)는 단면의 면적이 큰 상부측이 하부측보다 타측 블록(40)을 향해 더 연장되어 있어서 단면이 경사진 형태가 된다. 제2 보강돌기(52) 역시 하부측이 일측 블록(40)을 향해 더 연장되도록 끝단부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제1 보강돌기(51)와 제2 보강돌기(52)의 단부를 경사지게 형성함에 따라 블록(40)이 종방향으로 힘을 받아 변형이 시작될 때, 초기에는 어느정도의 변형 발생이 허용되도록 보강 돌기의 지지력이 약하지만 블록(40)의 변형이 진행될수록 양측 보강돌기(50)의 지지면이 점점 커지면서 블록(40)의 변형을 억제하는 지지력이 증가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보강돌기(51)와 제2 보강돌기(52)가 각각 태극문양의 일측과 타측 단면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제1 보강돌기(51)와 제2 보강돌기(52)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보강돌기(51) 및 제2 보강돌기(52)는 블록(40)의 종방향 및 횡방향 변형이 최소화되도록 상호 지지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단면 형상도 가능한데, 일례로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ㄴ'자 형태와 'ㄱ'자 형태 단면의 제1 보강돌기(51)와 제2 보강돌기(52)가 상호 포개질 수 있는 형태로 배열될 수도 있고,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ㄷ'자 형태와 역'ㄷ'자 형태의 제1 보강돌기(51)와 제2 보강돌기(52)가 상호 포개질수 있도록 배열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보강돌기(50)는 횡방향 그루브(30)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0.1mm 이상 이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크기는 1~10mm 가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트레드
20; 종방향 그루브
30; 횡방향 그루브
40; 블록
41; 사이프
50; 보강돌기
51; 제1 보강돌기
52; 제2 보강돌기

Claims (4)

  1. 차량의 주행방향인 종방향을 따라 연장된 종방향 그루브와, 상기 종방향 그루브와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된 횡방향 그루브 및 상기 종방향 그루브와 횡방향 그루브에 의해 형성된 블록들을 포함하는 트레드를 구비하는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그루브를 중심으로 양측 블록에 마련되며 상호 마주보는 대향면으로부터 마주보는 대향면을 향해 돌출되어 블록이 주행 중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보강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보강돌기는 상기 횡방향 그루브를 중심으로 일측 블록으로부터 타측 블록을 향해 돌출되는 제1 보강돌기와, 타측 블록으로부터 일측 블록을 향해 돌출되는 제2 보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보강돌기와 상기 제2 보강돌기는 상호 포개어져 맞물리는 결합구조를 제공하도록 각각의 형상이 마련되며,
    상기 블록이 종방향으로 힘을 받아 변형이 시작될 때, 초기에는 어느 정도의 변형 발생이 허용되도록 그리고 상기 블록의 변형이 진행될수록 양측 제1, 2 보강돌기의 지지면이 점점 커지면서 상기 블록의 변형을 억제하도록 상기 제1 보강돌기 및 상기 제2 보강돌기는 각각의 단부가 대향되는 블록의 측면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강돌기 및 제2 보강돌기는 상호 결합되는 결합부의 단면 형상이 태극문양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호 포개지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돌기는 횡방향 그루브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0.1mm 이상 이격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
KR1020130167414A 2013-12-30 2013-12-30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 KR1015202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7414A KR101520281B1 (ko) 2013-12-30 2013-12-30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7414A KR101520281B1 (ko) 2013-12-30 2013-12-30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0281B1 true KR101520281B1 (ko) 2015-05-15

Family

ID=53394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7414A KR101520281B1 (ko) 2013-12-30 2013-12-30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028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4373B1 (ko) 2017-09-13 2019-01-31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그루브에 서포터를 구비한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
KR20200121486A (ko) 2019-04-16 2020-10-26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에어포일 돌기가 구비된 트레드 및 이를 적용한 타이어
KR20210122936A (ko) 2020-04-01 2021-10-13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하이드로 플레이닝 저감용 공기입 타이어
KR20230030085A (ko) * 2021-08-23 2023-03-06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타이어 3d 커프 성형용 커프블레이드 및 타이어의 3d 커프 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9327B1 (ko) * 2008-11-12 2011-10-05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타이바를 개량한 자동차용 타이어
JP4873514B2 (ja) * 2001-01-29 2012-02-08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2013147115A (ja) * 2012-01-18 2013-08-01 Bridgestone Corp 空気入りタイ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73514B2 (ja) * 2001-01-29 2012-02-08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KR101069327B1 (ko) * 2008-11-12 2011-10-05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타이바를 개량한 자동차용 타이어
JP2013147115A (ja) * 2012-01-18 2013-08-01 Bridgestone Corp 空気入りタイヤ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4373B1 (ko) 2017-09-13 2019-01-31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그루브에 서포터를 구비한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
KR20200121486A (ko) 2019-04-16 2020-10-26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에어포일 돌기가 구비된 트레드 및 이를 적용한 타이어
KR20210122936A (ko) 2020-04-01 2021-10-13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하이드로 플레이닝 저감용 공기입 타이어
KR20230030085A (ko) * 2021-08-23 2023-03-06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타이어 3d 커프 성형용 커프블레이드 및 타이어의 3d 커프 구조
KR102561798B1 (ko) 2021-08-23 2023-08-01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타이어 3d 커프 성형용 커프블레이드 및 타이어의 3d 커프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7495B1 (ko) 공기 타이어
KR100913597B1 (ko) 스노우 타이어
JP5088319B2 (ja) 空気入りタイヤ
US9409447B2 (en) Pneumatic tire
JP5530059B2 (ja) 空気入りタイヤ
US10576790B2 (en) Pneumatic tire
JP5417045B2 (ja) タイヤ
US9656520B2 (en) Pneumatic tire
KR101520281B1 (ko)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
US9469159B2 (en) Pneumatic tire
US20150321520A1 (en) Pneumatic tire for vehicle
US20100089509A1 (en) pneumatic tire
KR101069327B1 (ko) 타이바를 개량한 자동차용 타이어
JP2008174197A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1631758B1 (ko) 커프 구조 및 그를 포함하는 공기입 타이어
CN109421438A (zh) 充气轮胎
US20150107740A1 (en) Kerf structure for snow tire
CN108482019B (zh) 一种高排水性的花纹轮胎
JP2005053365A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09029248A (ja) 空気入りタイヤ
KR20100065958A (ko) 타이 바를 개량하여서 된 중하중 차량용 타이어
KR101332509B1 (ko) 이상마모방지를 위한 공기입타이어
US6601280B1 (en) Method of converting a mold
KR100593004B1 (ko)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KR101150800B1 (ko) 고속 주행용 웨트 타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