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0085A - 타이어 3d 커프 성형용 커프블레이드 및 타이어의 3d 커프 구조 - Google Patents

타이어 3d 커프 성형용 커프블레이드 및 타이어의 3d 커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0085A
KR20230030085A KR1020210111276A KR20210111276A KR20230030085A KR 20230030085 A KR20230030085 A KR 20230030085A KR 1020210111276 A KR1020210111276 A KR 1020210111276A KR 20210111276 A KR20210111276 A KR 20210111276A KR 20230030085 A KR20230030085 A KR 202300300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ff
kerf
tire
intaglio
bon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1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1798B1 (ko
Inventor
허우행
길기종
Original Assignee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11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1798B1/ko
Publication of KR20230030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00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1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1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42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moulding surface, e.g. ribs or groo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52Unvulcanised treads, e.g. on used tyres; Retre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032Patterns comprising isolated recesses
    • B60C11/0323Patterns comprising isolated recesses tread comprising channels under the tread surface, e.g. for draining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2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 B60C11/1204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with special shape of the sipe
    • B60C11/1218Three-dimensional shape with regard to depth and extending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06Vulcanising moulds not integral with vulcanising presses
    • B29D2030/0607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moulds
    • B29D2030/0612Means for forming recesses or protrusions in the tyres, e.g. grooves or ribs, to create the tread or sidewalls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06Vulcanising moulds not integral with vulcanising presses
    • B29D2030/0607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moulds
    • B29D2030/0613Means, e.g. sipes or blade-like elements, for forming narrow recesses in the tyres, e.g. cuts or incisions for winter ty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타이어 트레드 블록에 형성되는 커프의 내측벽을 성형하는 일면에는 제1 음각부(110)가 형성되고, 반대면에는 제2 음각부(12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3D 커프 성형을 위한 커프블레이드(100)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타이어 3D 커프 성형용 커프블레이드 및 타이어의 3D 커프 구조{KERF BLADE FOR FORMING TIRE 3D KERF AND 3D KERF STRUCTURE OF TIRE}
본 발명은 타이어 3D 커프 성형용 커프블레이드 및 타이어의 3D 커프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타이어 커프가 설치된 블록 내에서 커프로 인한 블록 강성 저하를 방지하고자 인터록킹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3D 커프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타이어 3D 커프 성형용 커프블레이드 및 타이어의 3D 커프 구조에 관한 것이다.
공기압 타이어는 타이어의 내부를 구성하는 이너라이너, 이너라이너의 외부에 적층되는 바디 플라이를 포함하는 카카스, 카카스의 외부에 적층되는 벨트, 벨트 외부에 적층되는 트레드 그리고 타이어의 양 측부를 구성하는 사이드월 및 휠에 결합되는 비드로 구성된다.
또한, 노면에 접지하는 트레드에는 접지력, 배수력, 제동력, 소음 분산 등을 위하여 특정한 형태의 패턴을 형성하게 되며, 그 패턴의 형태에 따라 빗길, 눈길 그리고 핸들링 성능에 큰 영향을 주며, 이는 타이어 개발에 주요 인자가 된다.
커프란 트레드 블록에 주로 횡방향으로 가늘게 1mm 이하의 폭으로 깊게 파여져 있는 홈으로 접지면을 균등하게 하고 접지력을 향상시키면서 완충작용을 하여 안락한 승차감을 제공한다. 또한, 배수를 촉진하여 구동력과 제동력을 증가시키는 기능을 한다.
도 1은 타이어용 상부금형(6)과 하부금형(7) 및 트레드금형(1)을 가지는 종래기술의 타이여 성형을 위한 가류금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종래기술의 커프 형성을 위한 커프블레이드(3)가 장착되어 상기 가류금형에 장착되는 트레드금형(1)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와 같이, 타이어 트레드 블록에 커프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그루브와 블록을 형성하기 위한 트레드금형(1)의 그루브성형돌기(2)에 커프블레이드(3)를 장착하고, 커프블레이드(3)가 장착된 트레드금형(1)을 타이어 트레드 성형을 위한 가류금형에 장착하여 타이어를 성형함으로써 트레드 블록에 커프블레이드(3)의 형상에 대응하는 커프 패턴을 형성하게 된다.
최근 패턴 설계의 경향은 심플한 디자인과 외관보다는 성능 위주로 설계하는 것이다. 타이어 성능을 위해 패턴 성능 기술이 세분화 되고 미세한 범위로 변환하고 있다.
또한, 하절기용 타이어(summer tire)의 경우 타이어 표면에 지그재그 형상 등을 넣기 어려워 커프에 의한 에지 효과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이동 시에 Ÿ‡(wet) 및 스노우(snow) 성능을 확보하기 어렵게 된다.
구체적으로, 타이어의 에지 효과를 위해 적용되는 커프는 트레드 고무 블록의 강성 저하를 발생시켜 마른 노면에서의 타이어 성능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에 타이어 표면에서 수직 방향에 커프에 의한 구속 성능을 개선하여 블록의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 3D 커프의 적용이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스노우 타이어에 적용된 커프를 스노우 타이어 거동 시 블록이 과도하게 쓰러지는 현상이 발생하거나 타이어의 이동 방향에 따라 리딩부가 말려 들어가는 현상이 발생하여 노면과의 마찰력이 감소하는 현상이 종종 발생한다.
트레드 블록은 구동 시에 블록 리딩부에, 브레이킹 시에는 블록 테일링부에 에지 효과가 발생하여 블록 내 타 부분보다 접지압이 증가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노면과 타이어 사이에 수막 및 스노우 층이 형성되어 마찰계수가 저하되는 조건에서 접지압의 증가는 수막 및 스노우 층의 파괴를 통하여 마찰계수를 높이는 역할을 하게 된다. 기존 커프 구조는 커프의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블록의 강성 저하를 초래하고 블록 슬라이딩의 증가 및 접지면의 증가에 따른 접지압 감소로 에지 효과가 감소되어 Ÿ‡(wet) 및 스노우(snow) 성능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거나 이상 마모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하절기용 타이어의 경우 타이어 표면에 지그재그 형상 등을 넣기 어려워 커프에 의한 에지 효과에 의해 구동 및 제동을 하여 이동 시에 Ÿ‡(wet) 및 스노우(snow) 성능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4684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01064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서로 손깍지 형상으로 맞물리는 특정한 형상을 가지는 3D 커프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트레드 블록의 강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에지 효과를 최적화시키고 접지 선단의 접지 면적을 감소시켜 접지압을 증대시킴으로써 Ÿ‡ 및 스노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3D 커프를 가지는 타이어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타이어 3D 커프 성형용 커프블레이드 및 타이어의 3D 커프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타이어 트레드 블록에 형성되는 커프의 내측벽을 성형하는 일면에는 제1 음각부(110)가 형성되고, 반대면에는 제2 음각부(12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3D 커프 성형을 위한 커프블레이드(100)를 제공한다.
상기 제1 음각부(110)와 제2 음각부(120)는 가류공정에서 커프(320)의 내측에서 서로 대향하는 양 측벽에 각각 양각으로 돌출되어 손깍지 형상으로 결합되는 제1 3D커프(340)와 제2 3D커프(350)를 성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음각부(110)는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인접하면서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제1 음각부골(111)과 제1 음각부골(111)의 사이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음각부첨두부(113)를 가지는 음각의 파형 무늬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음각부(120)는 하부가 개방된 상태로 인접하면서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제2 음각부골(121)과 제2 음각부골(121)의 사이에서 하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음각부첨두부(123)를 가지는 음각의 파형 무늬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음각부(110)와 제2 음각부(120)는, 상기 제1 음각부골(111)에 제2 음각부첨두부(123)가 겹쳐지며, 제1 음각부첨두부(113)가 제2 음각부골(123)에 겹쳐지도록 커프블레이드(100)의 양면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타이어의 트레드블록에 형성되는 다수의 커프들에 있어서, 상기 커프(320)의 서로 대향하는 내측 양측벽 면 중 일 측면에는 상방향으로 개방된 제1 3D커프골(341)과 제1 3D커프골(341)들의 사이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3D커프첨두부(343)를 가지는 제1 3D커프(340)가 양각으로 형성되고, 상기 커프(320)를 형성하는 내측벽 면 중 다른 면에는 하방향으로 개방된 제2 3D커프골(351)과 제2 3D커프골(351)의 사이에서 하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3D커프첨두부(353)를 가지는 제2 3D커프(350)가 양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의 3D커프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양각 구성의 제1 3D커프(340)와 제2 3D커프(350)는, 상기 제1 3D커프(340)의 제1 3D커프골(341)에 제2 3D커프첨두부(353)가 손깍지 형상으로 삽입 결합되고, 제1 3D커프첨두부(343)가 제2 3D커프골(351)에 손깍지 형상으로 삽입 결합되도록 커프(320)의 내측 양측벽 면 각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타이어 3D 커프 성형용 금형 기술에 의해 제작된 3D커프 구조를 가지는 타이어는 커프 패턴 내부에 손깍지 형상으로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3D커프들이 타이어 트레드의 블록과 블록을 견고히 유지시킴으로써, 견인력을 향상시키고, 또한 핸들링과 마모를 상쇄시키지 않으면서도 Ÿ‡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타이어 3D 커프 성형용 금형 기술에 의해 제작된 3D커프 구조를 가지는 타이어는 드라이 핸들링 조건에서 트레드의 블록 간 인터록킹되어 핸들링 성능 향상 및 긴 트레드 웨어(Tread Wear)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종래기술의 타이어는 주행 중 타이어의 3D 커프 사이의 변화되는 공간들은 압력이 적용되어 단단하게 인터록킹되지 않는 경우 핸들링 성능이 저하될 수 있는데 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타이어 3D 커프 성형용 커프블레이드에 의해 제작된 3D커프를 구비한 타이어는 3D 커프들이 완전한 인터록킹 결합을 이루게 되어 핸들링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타이어용 상부금형(6)과 하부금형(7) 및 트레드금형(1)을 가지는 종래기술의 타이여 성형을 위한 가류금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기술의 커프 형성을 위한 커프블레이드(3)가 장착되어 상기 가류금형에 장착되는 트레드금형(1)을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3D 커프 성형을 위한 커프 블레이드(100)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3D 커프 성형을 위한 커프 블레이드(100)가 장착된 트레드 금형(200)을 포함하는 3D 커프 성형용 금형을 이용한 개략적인 트레드 블록 성형공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트레드(300)에 형성된 커프(330)의 내측 벽에 형성되는 3D커프(330)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3D커프(330) 제1 3D커프(340)와 제2 3D커프(350)가 손깍지 형상으로 인터록킹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서로 손깍지 형상으로 맞물리는 특정한 형상을 가지는 커프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트레드 블록의 강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에지 효과를 최적화시키고 접지 선단의 접지 면적을 감소시켜 접지압을 증대시킴으로써 Ÿ‡ 및 스노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타이어 3D 커프 성형용 커프블레이드 및 타이어의 3D 커프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3D 커프 성형을 위한 커프 블레이드(100)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3D 커프 성형을 위한 커프 블레이드(100)가 장착된 트레드 금형(200)을 포함하는 3D 커프 성형용 금형을 이용한 개략적인 트레드 블록 성형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트레드(300)에 형성된 커프(330)의 내측 벽에 형성되는 3D커프(330)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3D커프(330) 제1 3D커프(340)와 제2 3D커프(350)가 손깍지 형상으로 인터록킹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3D 커프 성형용 금형은, 트레드의 블록 성형을 위한 트레드금형(200, 도 4 참조)과, 트레드금형(200)에 장착되어 가류공정에 의해 생산된 타이어의 트레드블록(310)에 도 5 및 도 6과 같이 커프(320)를 형성하는 커프블레이드(100, 도 3 참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커프블레이드(100)는 도 3과 같이, 커프(320, 도 5 및 도 6 참조)의 내측벽을 성형하는 일면에는 제1 음각부(110)가 형성되고, 반대면에는 제2 음각부(120)가 형성된다.
상기 제1 음각부(110)와 제2 음각부(120)는 가류공정에서 커프(320)의 내측에서 서로 대향하는 양 측벽에 각각 양각으로 돌출되어 손깍지 형상으로 결합되는 것에 의해 블록 강성 저하를 방지하고 인터록킹을 극대화시키는 제1 3D커프(340)와 제2 3D커프(350)를 성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제1 음각부(110)는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인접하면서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제1 음각부골(111)과 제1 음각부골(111)의 사이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제1 음각부첨두부(113)를 가지는 음각의 파형 무늬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음각부(120)는 하부가 개방된 상태로 인접하면서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제2 음각부골(121)과 제2 음각부골(121)의 사이에서 하방향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제2 음각부첨두부(123)를 가지는 음각의 파형 무늬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술한 구성의 제1 음각부(110)와 제2 음각부(120)는 도 3과 같이, 제1 음각부골(111)에 제2 음각부첨두부(123)가 겹쳐지며, 제1 음각부첨두부(113)가 제2 음각부골(123)에 겹쳐지도록 커프블레이드(100)의 양면에 각각 형성된다.
상술한 구성의 상기 커프블레이드(100)는, 도 4와 같이, 가류공정의 타이어 금형(도 1 및 도 2 참조)을 형성하는 트레드금형(200)에 장착된 후 커프(320)를 가지는 타이어의 트레드(300)를 성형할 수 있도록 적용된다.
상술한 커프블레이드(100)를 장착한 트레드 금형(200)에 의해 가류공정이 수행된 타이어는, 도 4와 같이 다수의 커프(320)들이 형성된 다수의 트레드블록(310)을 가지는 트레드(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프(320)의 서로 대향하는 내측 양측벽 면 중 일 측면에는 상방향(타이어의 외주연 방향)으로 개방된 제1 3D커프골(341)과 제1 3D커프골(341)들의 사이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제1 3D커프첨두부(343)를 가지는 제1 3D커프(340)가 양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프(320)를 형성하는 내측벽 면 중 다른 면에는 하방향(타이어의 원심방향)으로 개방된 제2 3D커프골(351)과 제2 3D커프골(351)의 사이에서 하방향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제2 3D커프첨두부(353)를 가지는 제2 3D커프(350)가 양각으로 형성된다.
상술한 양각 구성의 제1 3D커프(340)와 제2 3D커프(350)는 도 5 및 도 6과 같이, 제1 3D커프(340)의 제1 3D커프골(341)에 제2 3D커프첨두부(353)가 손깍지 형상으로 삽입 결합되고, 제1 3D커프첨두부(343)가 제2 3D커프골(351)에 손깍지 형상으로 삽입 결합되도록 커프(320)의 내측 양측벽 면 각각에 형성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타이어 3D 커프 성형용 금형 기술에 의해 제작된 3D커프를 구비한 타이어는 커프 패턴 내부에 손깍지 형상으로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3D커프들이 타이어 트레드의 블록과 블록을 견고히 유지시킴으로써, 견인력을 향상시키고, 또한 핸들링과 마모를 상쇄시키지 않으면서도 Ÿ‡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타이어 3D 커프 성형용 금형 기술에 의해 제작된 3D커프를 구비한 타이어는 드라이 핸들링 조건에서 트레드의 블록 간 인터록킹되어 핸들링 성능 향상 및 긴 트레드 웨어(Tread Wear)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종래기술의 타이어는 주행 중 타이어의 3D 커프 사이의 변화되는 공간들은 압력이 적용되어 단단하게 인터록킹되지 않는 경우 핸들링 성능이 저하될 수 있는 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타이어 3D 커프 성형용 금형 기술에 의해 제작된 3D커프를 구비한 타이어는 3D 커프들이 완전한 인터록킹 결합을 이루게 되어 핸들링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커프블레이드
110: 제1음각부
111: 제1음각부골
113: 제1음각부첨두부
120: 제2음각부
121: 제2음각부골
123: 제2음각부첨두부
200: 트레드금형
300: 트레드
310: 트레드블록
320: 커프
330: 3D 커프
340: 제1 3D커프
341: 제1 3D커프골
343: 제1 3D커프첨두부
350: 제2 3D커프
351: 제2 3D커프골
353: 제2 3D커프첨두부

Claims (6)

  1. 타이어 트레드 블록에 형성되는 커프의 내측벽을 성형하는 일면에는 제1 음각부(110)가 형성되고, 반대면에는 제2 음각부(12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3D 커프 성형을 위한 커프블레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음각부(110)와 제2 음각부(120)는 가류공정에서 커프(320)의 내측에서 서로 대향하는 양 측벽에 각각 양각으로 돌출되어 손깍지 형상으로 결합되는 제1 3D커프(340)와 제2 3D커프(350)를 성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3D 커프 성형을 위한 커프블레이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음각부(110)는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인접하면서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제1 음각부골(111)과 제1 음각부골(111)의 사이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제1 음각부첨두부(113)를 가지는 음각의 파형 무늬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음각부(120)는 하부가 개방된 상태로 인접하면서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제2 음각부골(121)과 제2 음각부골(121)의 사이에서 하방향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제2 음각부첨두부(123)를 가지는 음각의 파형 무늬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3D 커프 성형을 위한 커프블레이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음각부(110)와 제2 음각부(120)는, 상기 제1 음각부골(111)에 제2 음각부첨두부(123)가 겹쳐지며, 제1 음각부첨두부(113)가 제2 음각부골(123)에 겹쳐지도록 커프블레이드(100)의 양면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3D 커프 성형을 위한 커프블레이드.
  5. 타이어의 트레드블록에 형성되는 다수의 커프들에 있어서,
    상기 커프(320)의 서로 대향하는 내측 양측벽 면 중 일 측면에는 상방향으로 개방된 제1 3D커프골(341)과 제1 3D커프골(341)들의 사이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제1 3D커프첨두부(343)를 가지는 제1 3D커프(340)가 양각으로 형성되고,
    상기 커프(320)를 형성하는 내측벽 면 중 다른 면에는 하방향으로 개방된 제2 3D커프골(351)과 제2 3D커프골(351)의 사이에서 하방향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제2 3D커프첨두부(353)를 가지는 제2 3D커프(350)가 양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의 3D커프 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양각 구성의 제1 3D커프(340)와 제2 3D커프(350)는, 상기 제1 3D커프(340)의 제1 3D커프골(341)에 제2 3D커프첨두부(353)가 손깍지 형상으로 삽입 결합되고, 제1 3D커프첨두부(343)가 제2 3D커프골(351)에 손깍지 형상으로 삽입 결합되도록 커프(320)의 내측 양측벽 면 각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의 3D커프 구조.
KR1020210111276A 2021-08-23 2021-08-23 타이어 3d 커프 성형용 커프블레이드 및 타이어의 3d 커프 구조 KR102561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1276A KR102561798B1 (ko) 2021-08-23 2021-08-23 타이어 3d 커프 성형용 커프블레이드 및 타이어의 3d 커프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1276A KR102561798B1 (ko) 2021-08-23 2021-08-23 타이어 3d 커프 성형용 커프블레이드 및 타이어의 3d 커프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0085A true KR20230030085A (ko) 2023-03-06
KR102561798B1 KR102561798B1 (ko) 2023-08-01

Family

ID=85509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1276A KR102561798B1 (ko) 2021-08-23 2021-08-23 타이어 3d 커프 성형용 커프블레이드 및 타이어의 3d 커프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1798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6844A (ko) 2006-11-23 2008-05-28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차량용 타이어
JP5454510B2 (ja) * 2010-07-23 2014-03-26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KR20150008551A (ko) * 2013-07-15 2015-01-23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공기입 래디얼 타이어
KR101520281B1 (ko) * 2013-12-30 2015-05-15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
KR20170022673A (ko) * 2015-08-21 2017-03-02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겨울용 타이어 및 이의 제조용 사이프 블레이드
KR101901064B1 (ko) 2017-06-08 2018-09-20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윈터 타이어의 커프
JP6759930B2 (ja) * 2016-09-26 2020-09-23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6844A (ko) 2006-11-23 2008-05-28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차량용 타이어
JP5454510B2 (ja) * 2010-07-23 2014-03-26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KR20150008551A (ko) * 2013-07-15 2015-01-23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공기입 래디얼 타이어
KR101520281B1 (ko) * 2013-12-30 2015-05-15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
KR20170022673A (ko) * 2015-08-21 2017-03-02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겨울용 타이어 및 이의 제조용 사이프 블레이드
JP6759930B2 (ja) * 2016-09-26 2020-09-23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KR101901064B1 (ko) 2017-06-08 2018-09-20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윈터 타이어의 커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1798B1 (ko) 2023-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00211B2 (en) Pneumatic tire
JP4954743B2 (ja) 空気入りタイヤ
WO2017126375A1 (ja) 空気入りタイヤ
US10814677B2 (en) Pneumatic tire
US8915273B2 (en) Pneumatic tire
CN109641490B (zh) 充气轮胎
CN107415599B (zh) 一种简化工艺舒适安全的缺气保用轮胎
US8146631B2 (en) Pneumatic tir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as well as tire curing mold
JPH0872510A (ja) 空気入りタイヤ
JP6855800B2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0869025B1 (ko) 가변형 사이프를 가지는 공기입 타이어
US20200298627A1 (en) Pneumatic tire
US20190359005A1 (en) Pneumatic Tire
KR102561798B1 (ko) 타이어 3d 커프 성형용 커프블레이드 및 타이어의 3d 커프 구조
JP4431178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6336999B2 (ja) 方向性設計のタイヤトレッド
CN110382259B (zh) 充气轮胎
CN109641488B (zh) 充气轮胎
JP4674809B2 (ja) 空気入りタイヤ
CN110290936B (zh) 充气轮胎
CN109689402B (zh) 充气轮胎
JP6606409B2 (ja) 自動二輪車用空気入りタイヤ
JP6613114B2 (ja) 自動二輪車用空気入りタイヤ
KR20230113464A (ko) 커프가 형성된 공기입타이어와 이를 위한 커프를 성형하기 위한 커프블레이드
KR100766530B1 (ko)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