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5958A - 타이 바를 개량하여서 된 중하중 차량용 타이어 - Google Patents

타이 바를 개량하여서 된 중하중 차량용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5958A
KR20100065958A KR1020080124560A KR20080124560A KR20100065958A KR 20100065958 A KR20100065958 A KR 20100065958A KR 1020080124560 A KR1020080124560 A KR 1020080124560A KR 20080124560 A KR20080124560 A KR 20080124560A KR 20100065958 A KR20100065958 A KR 201000659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tie bar
protrusions
bar
t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4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근
Original Assignee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4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65958A/ko
Publication of KR20100065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59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3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e.g. for buttressing or preventing stone-trap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3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e.g. for buttressing or preventing stone-trapping
    • B60C11/130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e.g. for buttressing or preventing stone-trapping with special features of the groove walls
    • B60C11/1323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e.g. for buttressing or preventing stone-trapping with special features of the groove walls asymme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하중 차량용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트레드의 블록과 블록 사이의 그루브에 형성시키는 타이바를 개량하여서 된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타이어는 타이바가 블록과 블록을 연결하여 블록의 과도한 움직임을 억제하고 블록의 찢김과 이상마모를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었으나 이러한 종래의 타이어는 일측 블록이 심하게 변형되는 경우 그 변형력이 타이바를 통하여 인접 블록에 전달되는 과정에서 연결부위에 응력이 집중되어 크랙이 발생되는 결점이 있다. 그리하여 타이바에 완충홈 등을 형성시켜 응력의 집중을 제한하려 하였으나 이로써는 만족하기 어려웠다. 이에 본 발명은 일측 블록의 그루브 면에 계단형의 독립형 블록강성강화바를 설치하여서 된 타이어를 제공한다.
타이어, 타이 바, 계단형 타이 바, Tie bar

Description

타이 바를 개량하여서 된 중하중 차량용 타이어{Heavy duty vehicle tire improved tie bar}
본 발명은 중하중용 레디알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블록과 블록의 사이에 설치되어 블록의 과도한 움직임을 억제시키고, 블록의 이상마모를 방지하는 타이바의 구성을 개량하여 타이바와 블록이 연결되는 부위에서 발생하는 크랙을 방지할 수 있게 하며, 일측 블록의 과도한 움직임을 타측 블록이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게 한 중하중용 레디알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용 타이어의 경우 블록 형태의 큰 고무덩어리를 트레드 센터부에 형성시키고 좌우 숄더부에는 레디알 방향으로 그루브를 가지는 러그를 형성시키거나, 블록 형태가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보통이다.
이와 같은 패턴을 갖는 타이어는 보통 비포장 도로를 겸하여 주행하며 이로 인하여 블록에 많은 응력이 작용하여 블록에 찢김현상이 자주 발생한다.
종래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인접하는 블 록과 블록의 사이를 연결하는 타이바(Tie-bar)를 설치하여 블록의 과도한 움직임을 억제시켜 블록의 찢김과 이상마모를 방지할 수 있게 하여서 된 타이어가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타이어에 있어서의 타이바 구조는 어느 일측의 블록이 심하게 변형되는 경우 그 변형되는 힘을 인접한 블록에 전달시키는 과정에서 타이바와 블록의 결합부위에 과도한 응력이 집중되어 연결부위에서 크랙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타이바에 완충홈을 설치하여 응력집중을 완화시키려 하였으나, 이러한 완충홈을 가진 타이어에 있어서는 블록의 강성을 균일하게 유지하며 응력집중을 해소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어느 일측의 블록이 심하게 변형되는 경우 그 변형되는 힘을 인접한 블록에 전달시키는 과정에서 타이바와 블록의 결합부위에 과도한 응력이 집중되어 연결부위에서 크랙이 발생되는 일이 없으면서도 블록의 강성을 강화하여 블록의 과도한 움직임을 억제시킬 수 있는 타이어를 제공하여야 한다는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측 블록의 그루브 벽면에 계단형의 독립형 블록강성강화바를 설치하여서 된 타이어를 제공한다.
일측 블록의 그루브 벽면에 계단형의 독립형 블록강성강화바를 설치하여서 된 본 발명의 타이어는 블록의 강성이 강화되어 블록의 과도한 움직임이 억제될 수 있어 타이바의 기능을 수행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웃 불록과의 연결이 차단되어 이웃 블록에 심한 변형이 발생되더라도 그러한 변형이 타측 블록에 간섭을 일으키지 아니하여 그 연결부위에 응력이 집중되지 아니함으로써 크랙이 발생하게 될 염려를 불식시킬 수 있으며, 그루브의 막힘이 적어 배수기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패턴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블록을 대, 중, 소의 피치로 형성시킨 타이어의 경우, 각 블록의 강성이 다르게 된다. 그러나, 각각의 독립형 강성강화바를 설치하여서 되는 본 발명의 타이어에 있어서는 강성강화바의 크기를 달리하여 블록의 강성 차이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되며 그리하여 강성 차이로 인한 이상마모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계단형으로 형성된 본 발명의 강성강화바는 스톤 이젝터의 기능을 가지어 돌물림 방지 효과를 가진다.
블록강성강화바를 설치하여서 되는 본 발명은 블록강성강화바를 지그재그형 으로 형성시킴으로써 횡강성 강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강한 횡응력 발생시 트레드 및 그루브의 찢김을 방지할 수 있다.
블록강성강화바를 다단식으로 형성시킬 경우 이러한 강성강화바는 마모 한계표지(마모indicator)의 기능을 가지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블록강성강화바가 마모에 따라 감소되는 접지면적을 보충하게 되어 초기의 트랙션기능을 유지할 수 있게하는 효과가 있다.
첨부된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트레드부를 일부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트레드(1)와 트레드(1) 양측의 사이드월 및 양 사이드월 단부의 비드부로 구성되고, 트레드(1)에 블록이나 리브와 같은 돌출부(2, 21)가 형성되고, 돌출부(2)와 이에 이웃하는 다른 돌출부(21) 사이에 그루브(3)가 형성되며, 그루브(3)에 돌출부(2)(21) 사이를 연결하는 타이바가 형성된 것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타이바가 일측 돌출부(2, 21)의 그루브(3) 벽면에 형성된 계단형의 독립형 블록강성강화바(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에서 나아가, 상기 계단형의 블록강성강화바(4)가 2단 이상의 계단으로 되고 그 모서리 부분을 둥글게 형성시켜서 된 타이어를 제공한다. 각 계단의 높이는 동일하게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블록강성강화바(4)와 그루브(3)가 만나는 경계면을 둥글게 하여서 된 타이어를 제공한다. 그 경계면이 각을 이를 경우에는 그 각이 90도 이상이 되게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블록강성강화바는 첨부된 도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돌출부(2)에 간헐적으로 형성시키고, 대향의 타측 돌출부(21)에 또한 간헐적으로 형시키되 마주보는 돌출부(2, 21)에 형성시키는 블록강성강화바(4)가 지그재그로 설치되게 하여서 된 타이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 외에 본 발명의 목적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다만, 청구항의 도면 부호 기재는 청구항의 내용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기술적 범위를 도면의 도시 내용에 한정하려는 의미가 아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요부 발췌 종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의 요부 발췌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트레드
2, 21. 돌출부
3. 그루브
4. 블록강성강화바

Claims (3)

  1. 트레드(1)와 트레드(1) 양측의 사이드월 및 양 사이드월 단부의 비드부로 구성되고, 트레드(1)에 블록이나 리브와 같은 돌출부(2, 21)가 형성되고, 돌출부(2)와 이에 이웃하는 다른 돌출부(21) 사이에 그루브(3)가 형성되며, 그루브(3)에 돌출부(2)(21) 사이를 연결하는 타이바가 형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타이바가 일측 돌출부(2, 21)의 그루브(3) 벽면에 형성된 계단형의 독립형 블록강성강화바(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 바를 개량하여서 된 중하중 차량용 타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단형의 블록강성강화바(4)는 2단 이상의 계단으로 되고 그 모서리 부분이 둥글게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 바를 개량하여서 된 중하중 차량용 타이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블록강성강화바(4)는 일측 돌출부(2)에 간헐적으로 형성되고, 대향의 타측 돌출부(21)에 또한 간헐적으로 형성되며, 마주보는 돌출부(2, 21)에 형성시키는 블록강성강화바(4)가 지그재그로 설치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 바를 개량하여서 된 중하중 차량용 타이어.
KR1020080124560A 2008-12-09 2008-12-09 타이 바를 개량하여서 된 중하중 차량용 타이어 KR201000659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4560A KR20100065958A (ko) 2008-12-09 2008-12-09 타이 바를 개량하여서 된 중하중 차량용 타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4560A KR20100065958A (ko) 2008-12-09 2008-12-09 타이 바를 개량하여서 된 중하중 차량용 타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5958A true KR20100065958A (ko) 2010-06-17

Family

ID=42365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4560A KR20100065958A (ko) 2008-12-09 2008-12-09 타이 바를 개량하여서 된 중하중 차량용 타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6595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35453A1 (en) * 2012-11-22 2014-05-28 Hankook Tire Co., Ltd Pneumatic tire
CN105128603A (zh) * 2015-10-14 2015-12-09 安徽佳通乘用子午线轮胎有限公司 一种具有防夹石功能的低噪音轮胎
EP3204242A4 (en) * 2014-10-06 2018-06-20 Bridgestone Americas Tire Operations, LLC Tire traction element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35453A1 (en) * 2012-11-22 2014-05-28 Hankook Tire Co., Ltd Pneumatic tire
KR101410822B1 (ko) * 2012-11-22 2014-06-23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공기입 타이어
US9862236B2 (en) 2012-11-22 2018-01-09 Hankook Tire Co., Ltd. Pneumatic tire
EP3204242A4 (en) * 2014-10-06 2018-06-20 Bridgestone Americas Tire Operations, LLC Tire traction element
US10427470B2 (en) 2014-10-06 2019-10-01 Bridgestone Americal Tire Operations, LLC Tire traction element
CN105128603A (zh) * 2015-10-14 2015-12-09 安徽佳通乘用子午线轮胎有限公司 一种具有防夹石功能的低噪音轮胎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18842B2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1069327B1 (ko) 타이바를 개량한 자동차용 타이어
JP5529683B2 (ja) 空気入りタイヤ
US8100159B2 (en) Pneumatic tire with circumferential main grooves having protrusions
CN105612064B (zh) 包括方向性胎面花纹的胎面
EP2529953A1 (en) Tyre
EP2735453B1 (en) Pneumatic tire
US9033012B2 (en) Tire having a circumferential groove including a first groove portion and a second groove portion
KR20100065958A (ko) 타이 바를 개량하여서 된 중하중 차량용 타이어
KR101520281B1 (ko)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
KR101631758B1 (ko) 커프 구조 및 그를 포함하는 공기입 타이어
KR20150008551A (ko) 공기입 래디얼 타이어
KR100902022B1 (ko) 중하중 차량용 타이어
JP5769399B2 (ja) 重荷重用空気入りタイヤ
KR100888281B1 (ko)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의 트레드 패턴
KR101010750B1 (ko) 중하중용 공기입 래디얼 타이어
US6601280B1 (en) Method of converting a mold
KR100838443B1 (ko) 중하중용 공기입 래디알 타이어
KR20070010560A (ko) 중하중용 공기입 타이어
KR101332509B1 (ko) 이상마모방지를 위한 공기입타이어
KR100792973B1 (ko)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
KR101190163B1 (ko) 종그루브를 개량하여서 된 스노우 타이어
KR100540576B1 (ko) 중하중용 타이어
KR102378678B1 (ko) 소음저감의 트레드를 구비한 타이어
KR100588997B1 (ko) 중하중용 공기입 타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10826

Effective date: 20111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