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9318A - 실 권취기 - Google Patents

실 권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9318A
KR20230139318A KR1020230033204A KR20230033204A KR20230139318A KR 20230139318 A KR20230139318 A KR 20230139318A KR 1020230033204 A KR1020230033204 A KR 1020230033204A KR 20230033204 A KR20230033204 A KR 20230033204A KR 20230139318 A KR20230139318 A KR 202301393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yarn
bobbin holder
thread
pac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3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시 카와이
쿄헤이 요시노
Original Assignee
티엠티 머시너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엠티 머시너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티엠티 머시너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39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931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67/00Replacing or removing cores, receptacles, or completed packages at paying-out, winding, or depositing stations
    • B65H67/04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take-up packages and or replacing by cores, formers, or empty receptacles at winding or depositing stations; Transferring material between adjacent full and empty take-up elements
    • B65H67/044Continuous winding apparatus for winding on two or more winding heads in succession
    • B65H67/048Continuous winding apparatus for winding on two or more winding heads in succession having winding heads arranged on rotary capstan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65/00Securing material to cores or for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8/00Specific machines
    • B65H2408/20Specific machines for handling web(s)
    • B65H2408/23Winding machines
    • B65H2408/231Turret winders
    • B65H2408/2315Turret winders specified by number of arms
    • B65H2408/23152Turret winders specified by number of arms with two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1Textiles threads or artificial strands of fila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1Textiles threads or artificial strands of filaments
    • B65H2701/313Synthetic polymer threads
    • B65H2701/3132Synthetic polymer threads extruded from spinnerets

Landscapes

  • Replacing, Conveying, And Pick-Finding F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Winding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실 권취기는 하단 권취부와 상단 권취부(10a)를 구비한다. 상단 권취부(10a)는 평면시에 있어서 하단 권취부보다도 패키지의 축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편위된 위치에 배치된다. 상단 권취부(10a)는 제1 보빈 홀더와, 제2 보빈 홀더와, 터렛판(40)을 구비한다. 제1 보빈 홀더는 제1 보빈을 보유 지지한다. 제2 보빈 홀더는 제2 보빈을 보유 지지한다. 터렛판(40)은 제1 보빈 홀더 및 제2 보빈 홀더의 위치를 변경한다. 터렛판(40)은 제1 보빈에 실을 걸기 위한 신호(실걸이 개시 신호)를 받아 제1 보빈 홀더의 위치를 270°보다 크고 360°보다 작은 위치에 맞춘다.

Description

실 권취기{Yarn Winding Machine}
본 발명은 복수의 보빈 홀더를 구비하는 실 권취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은, 일본 특허 공개 제2001-19274호 공보이다.
특허문헌 1의 방사 권취기는 보빈에 실을 권취하여 패키지를 제조한다. 방사 권취기는 2개의 보빈 홀더와, 터렛을 구비한다. 2개의 보빈 홀더에는 각각 복수의 보빈이 장착된다. 터렛에는 2개의 보빈 홀더가 장착되어 있다. 터렛이 회전함으로써 보빈 홀더의 위치가 권취 위치, 대기 위치, 실 전환 위치 사이에서 변화한다. 한쪽 보빈 홀더가 권취 위치에 위치하여 패키지를 제조하는 상태에서는 다른 쪽 보빈 홀더는 대기 위치에 위치한다. 또한, 실의 권취가 완료된 후에, 터렛이 회전함으로써, 2개의 보빈 홀더는 각각 실 전환 위치에 위치한다. 다음으로, 방사 권취기는 슬라이드 가이드를 작용시킴으로써 한쪽 보빈 홀더의 보빈에 실을 권취하는 상태에서 다른 쪽 보빈 홀더의 보빈에 실을 권취하는 상태로 전환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1-19274호 공보
특허문헌 1의 방사 권취기는 패키지 제조를 개시하기 전에 한쪽 보빈 홀더의 보빈에 실을 걸기 위해 한쪽 보빈 홀더의 위치를 실 전환 시의 만권 패키지의 위치 즉, 권취 위치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90°이동시킨 위치로 설정되어 있었다. 그러나, 실 이송 롤러로부터 송출된 실을 권취하여 패키지를 제조하는 권취부를 상하로 2개 배치한 구성의 실 권취기에서는 상측 권취부의 보빈 홀더와, 실 이송 롤러로부터 하측 권취부를 향하는 실과의 간섭을 회피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측 권취부에 대하여 하측 권취부를 크게 편위시킬 필요가 있다. 그 결과, 실 권취기의 설치 면적이 커지기 때문에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사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그 주요한 목적은 실 이송 롤러로부터 송출된 실을 권취하여 패키지를 제조하는 권취부가 상하로 2개 배치한 실 권취기에 있어서 설치 면적이 작은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과 같으며, 다음에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과 그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관점에 따르면, 이하의 구성의 실 권취기가 제공된다. 즉, 실 권취기는 하단 권취부와 상단 권취부를 구비한다. 상기 하단 권취부는 실 이송 롤러로부터 송출된 실을 권취하여 패키지를 제조한다. 상기 상단 권취부는, 상기 하단 권취부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며, 평면시(平面視)에 있어서, 상기 하단 권취부보다도 상기 패키지의 축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편위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실 이송 롤러로부터 송출된 실을 권취하여 상기 패키지를 제조한다. 상기 상단 권취부는 제1 보빈 홀더와, 제2 보빈 홀더와, 보빈 홀더 이동 기구와, 접촉 롤러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보빈 홀더는 제1 보빈을 보유 지지한다. 상기 제2 보빈 홀더는 제2 보빈을 보유 지지한다. 상기 보빈 홀더 이동 기구는 상기 제1 보빈 홀더 및 상기 제2 보빈 홀더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패키지의 축방향과 평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1 보빈 홀더 및 상기 제2 보빈 홀더의 위치를 변경한다. 상기 접촉 롤러는 상기 패키지의 제조 시에 상기 제1 보빈, 상기 제2 보빈 또는 상기 패키지에 접촉하여 회전한다. 상기 보빈 홀더 이동 기구가 상기 제1 보빈 홀더 또는 상기 제2 보빈 홀더를 보유 지지하는 위치에 관하여 상기 제1 보빈, 상기 제2 보빈 또는 상기 패키지가 상기 접촉 롤러에 접촉하여 상기 제1 보빈 또는 상기 제2 보빈에 실을 권취하여 상기 패키지를 제조할 때의 위치를 0°또는 360°로 하고, 0°로부터 상기 상단 권취부가 상기 하단 권취부에 대하여 편위된 방향으로 회전하는 방향을 정(正)으로 했을 때, 상기 보빈 홀더 이동 기구는 상기 제1 보빈에 실을 걸기 위한 신호를 받아 상기 제1 보빈 홀더의 위치를 270°보다 크고 360°보다 작은 위치에 맞춘다.
이에 따라, 하단 권취부에 대하여 상단 권취부가 편위되는 양을 작게 억제할 수 있고, 실 권취기의 설치 면적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실 권취기에 있어서는, 상기 보빈 홀더 이동 기구는 상기 제1 보빈에 실을 걸기 위한 신호를 받아 상기 제1 보빈 홀더의 위치를 290°보다 크고 340°보다 작은 위치에 맞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하단 권취부의 사도로부터 한층 먼 위치에서, 또한 실과 접촉 롤러와의 접촉 가능성을 보다 회피한 위치에서 상단 권취부의 실걸이를 행할 수 있다.
상기 실 권취기에 있어서는, 상기 보빈 홀더 이동 기구는, 상기 제1 보빈에 실이 감겨져 있는 경우에, 그 실이 상기 제2 보빈에 감겨지도록, 또는 상기 제2 보빈에 실이 감겨져 있는 경우에, 그 실이 상기 제1 보빈에 감겨지도록 실 전환을 수행하기 위한 신호를 받아, 제1 보빈 홀더 및 제2 보빈 홀더의 한쪽 위치를 180°에 맞추고, 또한 다른 쪽 위치를 0°에 맞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1 보빈에 실을 건 후 제1 보빈에 감겨져 있는 실을 제2 보빈에 감도록 하는 실 전환 또는 패키지 제조 개시 후 만권 패키지의 제1 보빈 또는 제2 보빈에 감겨져 있는 실을 실이 감겨져 있지 않은 제2 보빈 또는 제1 보빈에 감도록 하는 실 전환을 행할 때에, 제1 보빈 및 제2 보빈을 하단 권취부의 사도로부터 먼 위치로 하여 실 전환을 행할 수 있다.
상기 실 권취기에 있어서는, 상기 제1 보빈에 실을 거는 상태로부터, 상기 제2 보빈에 실을 권취하여 패키지를 제조하는 상태가 될 때까지에 있어서, 상기 보빈 홀더 이동 기구는 상기 제1 보빈 홀더 및 상기 제2 보빈 홀더의 위치가 정방향으로만 변경되도록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빈 홀더 이동 기구의 제어를 단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사권(捨卷)에 의해 실층이 형성된 제1 보빈이 하단 권취부의 사도와 가까운 쪽을 통과하지 않으므로 편위량을 작게 할 수 있다.
상기 실 권취기에 있어서는 이하의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 보빈에 실을 걸기 위한 신호를 받아 상기 제1 보빈 홀더의 위치를 270°보다 크고 360°보다 작은 위치에 맞춘 후에, 상기 제1 보빈에 실을 거는 작업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받아, 상기 제1 보빈 홀더의 위치를 0°보다 크고 180°보다 작은 위치에 맞춘다.
이에 따라, 제1 보빈이 270°보다 크고 360°보다 작은 위치에서 두껍게 감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제1 보빈 또는 그 실층이 하단 권취부의 사도에 간섭하기 어렵다.
상기 실 권취기에 있어서는, 상기 상단 권취부는 상기 제1 보빈 홀더 또는 상기 제2 보빈 홀더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패키지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수반류(隨伴流)가 상기 하단 권취부에서 권취되는 실에 작용하는 것을 억제하는 방풍판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풍판을 마련함으로써 수반류가 실에 미치는 영향을 경감시킬 수 있다.
상기 실 권취기에 있어서는, 상기 보빈 홀더 이동 기구는, 상기 제2 보빈에 형성된 상기 패키지가 만권이 된 경우에, 상기 제1 보빈 홀더의 위치를 0°를 기준으로 하여 ±45°미만의 위치에 맞춘 상태에서, 상기 제2 보빈에 권취되어 있는 실이 상기 제1 보빈에 권취되도록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따라, 만권의 패키지가 하단 권취부로의 사도와 가까운 범위를 지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상단 권취부가 편위되는 양을 더욱 작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패키지로 이어지는 실을 제1 보빈에 감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실 권취기의 정면도.
도 2는 실 권취기의 블록도.
도 3은 실걸이 작업 및 사권을 실시하여 패키지 제조를 시작할 때까지의 처리를 나타내는 처리도.
도 4는 보빈 홀더의 각 위치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
도 5는 제1 보빈 홀더가 실걸이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
도 6은 제1 보빈 홀더가 실걸이 위치로부터 대기 위치로 이동하는 도중의 단계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
도 7은 제2 보빈 홀더의 보빈에 실을 감는 처리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
도 8은 접촉 롤러 및 트래버스 장치를 하강시켜 패키지의 제조를 개시하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
도 9는 변형예에 따른 실걸이 작업 및 사권을 행할 때까지의 처리를 나타내는 처리도.
도 10은 실걸이 위치에 있는 보빈 홀더가 사권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
도 11은 제1 보빈 홀더를 제1 전환 위치에, 제2 보빈 홀더를 제2 전환 위치에 맞추는 도중의 단계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
도 12는 제1 보빈 홀더를 제1 전환 위치에, 제2 보빈 홀더를 제2 전환 위치에 맞추어 실 전환을 행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
도 13은 실 전환 후에 제1 보빈 홀더의 제1 보빈에 실을 감는 처리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
도 14는 제1 전환 위치의 바람직한 각도 범위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
다음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실 권취기(1)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실 권취기(1)의 블록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실의 주행 방향의 상류 또는 하류를 단순히 상류 또는 하류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실 권취기(1)의 상류에는 도시를 생략한 방사기가 배치되어 있다. 방사기로 제조된 실(93)은 실 이송 롤러(100)를 통해 실 권취기(1)로 공급된다. 실 권취기(1)는 실(93)을 보빈(91, 92)에 감아 보빈(91, 92) 상에 실층을 형성하여 패키지(94)를 제조한다. 실(93)은 예를 들어 스판덱스 등의 탄성사이다. 단, 실(93)의 종류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나일론 또는 폴리에스테르 등의 합섬사이어도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 권취기(1)는 상단 권취부(10a)와 하단 권취부(10b)를 구비한다. 상단 권취부(10a) 및 하단 권취부(10b)에는 동일한 실 이송롤러(100)로부터 각각 실(93)이 개별적으로 공급되고, 상단 권취부(10a) 및 하단 권취부(10b)에서 개별적으로 패키지(94)가 제조된다. 각 권취부(10)에는 패키지(94)의 축방향으로 나열된 복수의 실(93)이 공급된다. 각 권취부(10)는 복수의 실(93)을 각각 권취하여 복수의 패키지(94)를 제조한다.
상단 권취부(10a) 및 하단 권취부(10b)는 기본적으로 각각 동일한 장치를 구비한다. 그 때문에, 이하에서는 대표적으로 상단 권취부(10a)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권취부(10a)는 프레임(11)과, 제1 하우징(20)과, 제2 하우징(30)과, 터렛판(보빈 홀더 이동 기구)(40)을 구비한다.
프레임(11)은 상단 권취부(10a)가 구비하는 각 부를 유지하는 부재이다. 제1 하우징(20)에는 트래버스 장치(21)가 장착되어 있다. 트래버스 장치(21)는 후술하는 트래버스 가이드(23)가 실(93)과 계합한 상태에서 권폭 방향(패키지(94)의 축방향)으로 왕복동함으로써 하류측으로 보내지는 실(93)을 트래버스시킨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래버스 장치(21)는 트래버스 캠(22)과, 트래버스 가이드(23)와, 트래버스 모터(24)를 구비한다. 또한, 도 2는 1개의 권취부(상단 권취부(10a) 또는 하단 권취부(10b))의 블록도를 나타내고 있다.
트래버스 캠(22)은 보빈(91, 92)과 평행하게 배치된 롤러 형상의 부재이다. 트래버스 캠(22)의 외주면에는 나선형의 캠 홈이 형성되어 있다. 트래버스 캠(22)은 트래버스 모터(24)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트래버스 가이드(23)는 실(93)과 계합하는 부분이다. 트래버스 가이드(23)의 선단은 예를 들어 대략 U자형의 가이드부를 가지고 있고, 실(93)을 권폭 방향으로 끼워 넣도록 하여 실(93)과 계합한다. 트래버스 가이드(23)의 기단은 트래버스 캠(22)의 캠 홈에 위치하고 있다. 트래버스 캠(22)을 회전 구동함으로써 트래버스 가이드(23)를 권폭 방향으로 왕복동시킬 수 있다.
또한 트래버스 모터(24)는 제어 장치(50)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 장치(50)는 CPU, ROM, RAM 등을 구비한다. CPU는 ROM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RAM으로 읽어내어 실행함으로써 상단 권취부(10a)에 관한 여러 가지 제어를 실행한다.
제2 하우징(30)에는 접촉 롤러(31)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접촉 롤러(31)는 실(93)의 권취 시에 있어서, 패키지(94)의 실층에 소정의 압력으로 접촉하면서 종동 회전함으로써 패키지(94)의 실층 형상을 정돈한다.
제2 하우징(30)에는 조작 패널(32)이 마련되어 있다. 조작 패널(32)은 오퍼레이터에 의해 조작되는 장치이다. 오퍼레이터는 조작 패널(32)을 조작함으로써 상단 권취부(10a)에 대해 지시를 행한다. 오퍼레이터가 행하는 지시는, 예를 들어 실걸이의 개시, 권취의 개시, 권취의 정지, 권취 조건의 변경 등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권취부(10a)는 승강 장치(60)를 구비한다. 승강 장치(60)는 제1 하우징(20) 및 제2 하우징(30)을 일체적으로 승강시킨다. 구체적으로, 제1 하우징(20) 및 제2 하우징(30)은 도시를 생략한 승강 부재에 장착되어 있다. 이 승강 부재에는 볼 너트(61)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11)에는 나사봉(62)이 장착되어 있다. 승강 모터(63)를 이용하여 나사봉(62)을 회전시킴으로써, 제1 하우징(20) 및 제2 하우징(30)을 승강시킬 수 있다. 승강 모터(63)는 제어 장치(50)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승강 장치(60)는 볼나사 대신 실린더를 이용하여 실현되어 있어도 좋다.
터렛판(40)은 원판 모양의 부재이다. 터렛판(40)은 프레임(1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터렛판(40)의 회전축 위치는 터렛판(40)의 중심 위치와 일치하고 있다. 터렛판(40)은 도 2에 나타낸 터렛 모터(53)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터렛 모터(53)는 제어 장치(50)에 의해 제어된다.
터렛판(40) 중, 중심 위치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2개소에는 각각 제1 보빈 홀더(41)와 제2 보빈 홀더(42)가 마련되어 있다. 제1 보빈 홀더(41)에는 축방향으로 나란히 복수의 제1 보빈(91)을 장착 가능하다. 제2 보빈 홀더(42)에는 축방향으로 나란히 복수의 제2 보빈(92)을 장착 가능하다. 터렛판(40)을 회전시킴으로써, 제1 보빈 홀더(41)와 제2 보빈 홀더(42)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1 보빈 홀더(41)와 제2 보빈 홀더(42)의 위치를 변경 가능하다면, 터렛판(40)을 대신하여 다른 장치를 이용해도 된다.
제1 보빈 홀더(41)는 제1 보빈 홀더(41)의 축위치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터렛판(4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다. 제1 보빈 홀더(41)는 도 2에 나타낸 제1 보빈 홀더 모터(54)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마찬가지로, 제2 보빈 홀더(42)는 제2 보빈 홀더(42)의 축위치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터렛판(4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다. 제2 보빈 홀더(42)는 도 2에 나타낸 제2 보빈 홀더 모터(55)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제1 보빈 홀더 모터(54) 및 제2 보빈 홀더 모터(55)는 제어 장치(50)에 의해 제어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보빈 홀더(41)와 제2 보빈 홀더(42)가 상하로 나열된 상태에 있어서, 높은 쪽인 제1 보빈 홀더(41)의 제1 보빈(91)에 대하여 실(93)이 권취되어 패키지(94)가 제조된다. 이하에서는, 제1 보빈 홀더(41)에 장착되는 보빈을 제1 보빈(91)이라고 칭하고, 제2 보빈 홀더(42)에 장착되는 보빈을 제2 보빈(92)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제1 보빈 홀더(41)에 장착된 제1 보빈(91)에 소정량의 실(93)을 권취하여 패키지(94)가 만권이 되었을 경우, 터렛판(40)이 회전함으로써, 제1 보빈 홀더(41)와 제2 보빈 홀더(42)의 위치가 전환된다. 그 후, 만권이 된 패키지(94)가 회수되면서, 제2 보빈 홀더(42)에 장착된 제2 보빈(92)에 대해 실(93)이 권취된다.
보빈 홀더(41, 42)의 일방측의 단부(터렛판(40)측 단부)는 터렛판(40)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실 권취기(1)는 패키지(94)를 제조하기 위한 위치에 있는 보빈 홀더(41, 42)의 타측 단부(터렛판(40)과는 반대측의 단부)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74)를 더 구비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권취부(10a)의 보빈 홀더(41,42)는 상단 권취부(10a)의 터렛판(40)이 회전함으로써 실 이송 롤러(100)로부터 하단 권취부(10b)로 공급되는 실(93)의 근방을 지나가게 된다. 또한, 상단 권취부(10a)의 보빈 홀더(41,42) 상에 형성되어 있는 패키지(94)의 회전에 의해 수반류가 발생한다. 하단 권취부(10b)에 권취되는 실(93)에 수반류가 작용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상단 권취부(10a)에는 방풍판(75)이 설치되어 있다. 방풍판(75)은 하단 권취부(10b)에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또한 상단 권취부(10a)로부터 방풍판(75)을 생략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실걸이 작업 및 사권에 대해 설명한다. 실걸이 작업이란 패키지(94)의 제조의 전단계에 있어서 오퍼레이터에 의해 보빈(91, 92)에 실(93)을 감는 작업이다. 사권이란, 실걸이 작업 후에 이루어지고, 권취 개시 시의 품질이 낮은 실(93)을 감는 작업이다. 사권을 하여 권취된 실(93)은 폐기된다.
실(93)의 품질이 낮아지는 원인은 다음과 같다. 즉, 오퍼레이터에 의한 실걸이가 이루어지는 단계에서는 트래버스 가이드(23)에 실(93)이 계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실(93)이 감겨진다. 또 트래버스 가이드(23)는 평소보다도 저속으로 구동하고 있다. 그 때문에 실걸이 후에 실(93)이 트래버스 가이드(23)에 계합되어도 트래버스 가이드(23)가 통상의 속도가 될 때까지는 실(93)의 품질이 낮아진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권폭 방향, 패키지(94)의 축방향 및 보빈 홀더(41, 42)의 축방향은 모두 평행하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러한 방향을 아울러 단순히 "축방향"이라고 칭한다. 또한, 실 권취기(1)에 대하여 실 이송 롤러(100)가 위치하는 방향을 "높이 방향"이라고 칭한다. 특히, 높이 방향 중 실 이송 롤러(100)에 가까운 쪽을 상측, 그 반대쪽을 하측이라 칭한다. 또한 축방향과 높이 방향의 양쪽에 직교하는 방향을 "축직교 방향"이라고 칭한다.
도 3에는 실걸이 작업 및 사권을 행하여 패키지(94)의 제조를 개시할 때까지의 처리가 기재되어 있다. S1부터 S7까지의 처리가 실걸이 작업, 사권 및 그 준비에 관한 처리이다. 처음에 상단 권취부(10a)에 대해 S1부터 S7까지의 처리가 이루어진 후에 하단 권취부(10b)에 대해 S1부터 S7까지의 처리가 이루어진다. 이하, S1부터 S7까지의 처리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처음에, 오퍼레이터가 조작 패널(32)에 소정의 제1 조작을 실시한다(S1). 제1 조작은 실걸이 작업을 행하는 것을 실 권취기(1)측에 통지하기 위한 조작이다. 제1 조작은, 예를 들어 조작 패널(32)의 소정의 버튼을 조작하는 것이다.
조작 패널(32)은 제1 조작을 받아 실걸이 개시 신호를 제어 장치(50)로 송신한다(S2). 실걸이 개시 신호는 조작 패널(32)에 제1 조작을 행함으로써 제어 장치(50)로 송신되는 전기 신호이다. 실걸이 개시 신호는 제1 보빈(91)에 실을 걸기 위한 신호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다.
제어 장치(50)는 실걸이 개시 신호를 받아 터렛 모터(53)를 제어하여 터렛판(40)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제1 보빈 홀더(41)를 실걸이 위치에 맞춘다(S3, 도 5의 상태 1에서 상태 2). 실걸이 위치란 오퍼레이터가 실걸이 작업을 행할 때의 제1 보빈 홀더(41)의 위치이다.
여기서, 도 4를 참조하여 보빈 홀더(41, 42)의 각 위치에 대해 설명한다. 보빈 홀더(41, 42)가 상하로 나열된 상태에 있어서, 높은 쪽 보빈 홀더(41, 42)의 위치가 권취 위치이고, 낮은 쪽의 보빈 홀더(41, 42)의 위치가 대기 위치이다. 실 권취기(1)는 권취 위치에 있는 보빈 홀더(41, 42)의 보빈(91, 92)에 실(93)을 권취하여 패키지(94)를 제조한다. 권취 위치는 보빈 홀더(41, 42)의 보빈(91, 92) 또는 패키지(94)가 접촉 롤러(31)에 접촉하는 위치이다. 또한, 터렛판(40)의 회전 중심을 점 C라 칭한다. 점 C를 기준(중심)으로 하여 보빈 홀더(41, 42)의 위치(상세하게는 보빈 홀더(41, 42)의 축의 위치)를 각도를 이용하여 이하와 같이 표현한다. 즉, 권취 위치를 0°(또는 360°)로 하고 대기 위치를 180°로 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권취부(10a)가 하단 권취부(10b)에 대하여 편위되어 있는 방향을 편위 방향으로 한다. 여기에서의 편위란 수평면에 투영한 위치에 있어서의 편위(바꿔 말하면, 평면시에 있어서의 편위)이며, 편위 방향은 축직교 방향과 평행하다. 그리고, 권취 위치로부터 편위 방향으로 회전하는 방향(도 4의 반시계 방향)을 정으로 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 터렛판(40)은 반시계 방향으로만 즉, 보빈 홀더(41,42)의 위치가 정방향으로만 변경되도록 회전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실걸이 위치는 270°보다 크고 360°보다 작은 위치에 있다. 만일 실걸이 위치가 0°이상 180°미만일 경우 실(93)이 접촉 롤러(31)에 접촉하므로 실걸이 작업이 실패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실걸이 위치가 180°이상 270°이하일 경우, 실걸이 작업 후에 터렛판(40)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있어서, 실걸이 작업에 의해 실(93)이 감긴 제1 보빈(91) 또는 사권에 의한 실층이 방풍판(75)에 접촉할 가능성이 있다(방풍판(75)이 없는 경우에도 하단 권취부(10b)의 사도에 간섭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방풍판(75)의 축직교 방향 위치를 제1 보빈(91)으로부터 이격시킴으로써 방풍판(75)과의 접촉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하단 권취부(10b)에 대한 상단 권취부(10a)의 편위가 커지므로 실 권취기(1)의 설치 면적이 커진다. 이상의 이유에 의해 실걸이 위치는 270°보다 크고 360°보다 작은 위치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빈 홀더(41,42)가 지지 부재(74) 또는 방풍판(75)과 너무 가까우면 실걸이 작업이 곤란해질 가능성이 있다. 또한, 보빈 홀더(41, 42)가 접촉 롤러(31)와 가까운 위치이면, 실(93)과 접촉 롤러(31)의 접촉 가능성이 생긴다. 그 때문에 실걸이 위치는 290°보다 크고 340°보다 작은 위치에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실걸이 위치를 300°위치로 하고 있다.
제어 장치(50)는 보빈 홀더(41)를 실걸이 위치에 맞춘 후에, 제1 보빈 홀더 모터(54)를 제어하여 제1 보빈(91)을 회전 구동한다(S4). 다음으로, 제어 장치(50)는 트래버스 장치(21)를 저속 구동한다(S5). 트래버스 장치(21)가 저속이란, 패키지(94) 제조 시와 비교하여 트래버스 속도가 느리다는 것을 나타낸다.
다음으로 오퍼레이터는 실걸이 작업을 한다(S6). 구체적으로는 오퍼레이터는 실 이송 롤러(100)에 걸려 있는 복수의 실(93)을 석션 건 등으로 보유 지지한다. 그리고 오퍼레이터는 보유 지지한 복수의 실(93)을 상단 권취부(10a)의 보빈 홀더(41)에 감는다. 또한, 상단 권취부(10a)에는 복수의 실(93)을 간격을 유지하여 개별적으로 보유 지지하는 분사 가이드가 마련되어 있다. 오퍼레이터는 실(93)을 분사 가이드에 개별적으로 유지시킨다. 이상에 의해 실걸이 작업이 완료된다. 또한, 제1 보빈 홀더(41)는 이미 회전 구동되고 있기 때문에 실걸이 작업이 완료됨으로써 제1 보빈 홀더(41)에 장착되어 있는 제1 보빈(91)에 실(93)이 권취된다(사권, S7). 도 6의 상태 3은 실걸이 작업이 완료되어 사권이 행해지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그 후, 하단 권취부(10b)에 대해 S1부터 S7까지의 처리가 이루어진다.
상단 권취부(10a) 및 하단 권취부(10b)에 대하여 S1에서 S7까지의 처리가 이루어진 후에 패키지(94)의 제조를 개시하기 위한 처리가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는 도 3의 S11에서 S16까지의 처리가 패키지(94)의 제조를 개시하기 위한 처리에 해당한다. 처음에 상단 권취부(10a)에 대해 S11부터 S16까지의 처리가 이루어진 후에 하단 권취부(10b)에 대해 S11부터 S16까지의 처리가 이루어진다. 이하, S11부터 S16까지의 처리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처음에, 오퍼레이터가 조작 패널(32)에 소정의 제2 조작을 행한다(S11). 제2 조작은 패키지(94)의 제조를 개시하는 것을 실 권취기(1)측에 통지하기 위한 조작이다. 제2 조작은, 예를 들어 조작 패널(32)의 소정의 버튼을 조작하는 것이다. 제1 조작과 제2 조작은 동일한 조작(예를 들어 동일 버튼 조작)이어도 되고, 다른 조작(예를 들어 다른 버튼 조작)이어도 된다.
조작 패널(32)은, 제2 조작을 받아, 제조 개시 신호를 제어 장치(50)로 송신한다(S12). 제조 개시 신호는, 조작 패널(32)에 제2 조작을 행함으로써 제어 장치(50)로 송신되는 전기 신호이다.
제어 장치(50)는 제조 개시 신호를 받아 터렛 모터(53)를 제어하여 터렛판(40)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제1 보빈 홀더(41)를 대기 위치에 맞추고 제2 보빈 홀더(42)를 권취 위치에 맞춘다(S13, 도 6의 상태 3에서 도 7의 상태 4).
다음으로 제어 장치(50)는 보빈 홀더(41)의 제1 보빈(91)에 권취되어 있는 실(93)이 제2 보빈 홀더(42)의 제2 보빈(92)에 권취되도록 전환한다(S14, 도 7의 상태 5에서 도 8의 상태 6). 구체적으로는, 제1 보빈 홀더(41)와 제2 보빈 홀더(42) 사이에 걸려 있는 실(93)에 대하여 권취 부재(81)를 눌러 제2 보빈(92)에 대한 실(93)의 권취각을 크게 하여 제2 보빈 홀더(42)의 제2 보빈(92)에 실(93)이 권취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한쪽의 보빈 홀더(41)의 보빈(91)에서 다른쪽 보빈 홀더(42)의 보빈(92)으로 실(93)의 권취가 전환되는 것을 실 전환이라고 칭하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보빈 홀더(41, 42)가 권취 위치 및 대기 위치에 각각 위치하고 있을 때 실 전환이 이루어진다. 즉, 보빈 홀더(41, 42)가 각각 0°, 180°인 위치가 실 절환 위치로 되어 있다. 상기한 제조 개시 신호는 실 전환 신호이기도 하다.
다음으로 제어 장치(50)는 트래버스 장치(21)를 저속 구동에서 고속 구동으로 전환한다(S15). 트래버스 장치(21)가 고속이라는 것은, 실걸이 때보다도 트래버스 속도가 빠르고, 또한 패키지(94)의 제조 시에 있어서의 트래버스 속도와 일치하는 것이다. 그 후, 제어 장치(50)는 승강 모터(63)를 제어하여 트래버스 장치(21) 및 접촉 롤러(31)를 하강시킨다(S16, 도 8의 상태 7). 이에 따라 접촉 롤러(31)가 제2 보빈 홀더(42)의 제2 보빈(92)에 접촉하고 패키지(94)의 제조가 개시된다. 이 후, 제2 보빈(92)의 패키지(94)가 소정 직경의 만권 패키지(94)가 되면, 실 전환 신호가 발생되어 실 전환이 실시되고, 터렛판(40)이 제1 보빈 홀더(41)의 제1 보빈(91)에 패키지(94)가 형성되게 된다. 또한, 이 처리의 상세는 후술한다. 이후, 만권 패키지(94)의 형성, 실 전환, 만권 패키지(94)와 새로운 보빈(91, 92)의 교환이 연속적으로 반복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보빈 홀더(41)를 실걸이 위치에 위치시킨 후부터 제2 보빈 홀더(42)의 제2 보빈(92)에 실(93)을 권취하여 패키지(94)를 제조하는 상태가 될 때까지에 있어서, 터렛판(40)을 보빈 홀더(41, 42)의 위치가 정방향으로만 변경되도록 회전시킨다. 그 때문에, 터렛판(40)의 제어가 단순하다. 또한, 보빈 홀더(41)는 실걸이 위치로부터 대기 위치에 도달하기까지 방풍판(75)에 근접하지 않으므로 실걸이 작업에 의해 실(93)이 감겨진 제1 보빈 홀더(41) 또는 사권의 실층이 방풍판(75)에 접촉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터렛판(40)을 보빈 홀더(41, 42)의 위치가 정방향으로만 변경되도록 회전시킴과 동시에, 제1 보빈 홀더(41)와 제2 보빈 홀더(42)가 각각 0°와 180°가 되는 위치에서 실 전환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만권의 패키지(94)가 방풍판(75)에 근접하는 일이 없고, 이것에 의해서도, 하단 권취부(10b)에 대하여 상단 권취부(10a)가 편위하는 양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상기 실시 형태의 변형예를 설명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와 본 변형예에서는 터렛판(40)의 제어가 다를 뿐이고, 그 이외의 실 권취기(1)의 구성은 동일하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실 권취기(1)는 실걸이 위치에 있어서 사권을 행한다. 이를 대신하여, 본 변형예에서는 실걸이 위치와 사권 위치가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변형예의 사권 위치는 120°의 위치로 하고 있다. 이 사권 위치는 0°보다 크고 180°보다 작은 위치이면 된다. 실걸이 위치와 사권 위치가 동일한 경우에 있어서, 사권의 시간이 길어졌을 때는 실층이 커지기 때문에 실층과 방풍판(75)이 접촉할 가능성이 있다. 이 점, 본 변형예의 사권 위치는 방풍판(75)로부터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실층과 방풍판(75)의 접촉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변형예에 있어서, 사권 위치를 120°의 위치로 하고 있는 이유는 다음의 이유에 따른다. 즉, 권취 위치, 대기 위치, 실 전환 위치에서 터렛판(40)이 위치 결정되도록 위치 결정 기구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와 마찬가지로 실걸이 위치에 있어서도 터렛판(40)이 위치 결정되도록 위치 결정 기구가 마련되어 있다. 사권 위치를 120°의 위치로 하면, 사권 위치가 터렛판(40)의 회전 중심인 점 C를 사이에 두고 실걸이 위치의 반대 위치가 되어 새롭게 위치 결정 기구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이다.
이하,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변형예에서의 처리 흐름에 대해 설명한다. 도 9의 S1에서 S6의 처리는 상기 실시 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오퍼레이터는 실걸이 작업 후에 조작 패널(32)에 소정의 제3 조작을 행한다(S7). 제3 조작은 실걸이가 완료된 것을 실 권취기(1)측에 통지하기 위한 조작이다. 제3 조작은, 예를 들어 조작 패널(32)의 소정의 버튼을 조작하는 것이다.
조작 패널(32)은, 제3 조작을 받아, 실걸이 완료 신호를 제어 장치(50)에 송신한다(S8). 실걸이 완료 신호는 조작 패널(32)에 제3 조작을 행함으로써 제어 장치(50)로 송신되는 전기 신호이다.
제어 장치(50)는 실걸이 완료 신호를 받아 터렛 모터(53)를 제어하여 터렛판(40)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제1 보빈 홀더(41)를 상술한 사권 위치에 맞춘다(S9, 도 10의 상태 3A에서 상태 3B). 이에 따라, 사권 위치에 있어서 사권이 계속해서 이루어진다(S10).
다음으로, 도 11에서 도 13을 참조하여, 제2 보빈(92)에 만권 패키지(94)가 형성되어 제1 보빈(91)에 새롭게 실(93)을 감을 때의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제2 보빈(92)에 만권의 패키지(94)가 형성된 경우, 제어 장치(50)는 터렛 모터(53)를 제어하여 터렛판(40)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제1 보빈 홀더(41)를 제1 전환 위치에 맞추고, 제2 보빈 홀더(42)를 제2 전환 위치에 맞춘다(도 11의 상태 A에서 도 12의 상태 B). 여기서, 제1 전환 위치와 제2 전환 위치는 실(93)을 권취하는 보빈(91, 92)을 전환할 때의 보빈(91, 92)의 위치이다. 상세하게는, 제1 전환 위치란, 새롭게 실(93)의 권취를 개시하는 보빈(바꾸어 말하면, 실(93)이 감겨 있지 않은 보빈, 제1 보빈(91))의 위치이다. 제2 전환 위치란 만권이 된 패키지(94)의 보빈(제2 보빈(92))의 위치이다. 또한, 제1 전환 위치의 바람직한 각도 범위는 후술한다.
다음으로 제어 장치(50)는 제2 보빈(92)(패키지(94))에 감겨져 있는 실(93)이 제1 보빈(91)에 권취되도록 전환한다(도 12의 상태 C에서 도 13의 상태 D). 구체적인 처리는 상술한 사권 시의 실 전환과 동일하다. 또한, 제2 보빈(92)의 만권 패키지(94)는 제2 보빈 홀더(42)로부터 발취되고, 제2 보빈 홀더(42)에 새로운 제2 보빈(92)(실(93)이 감겨있지 않은 제2 보빈(92))가 장착된다. 또한, 제2 보빈(92)에 만권 패키지(94)가 형성되어 제1 보빈(91)에 새롭게 실(93)을 감을 때까지의 사이에 있어서, 터렛판(40)은 동일 방향(정방향)으로만 회전한다.
다음으로 제어 장치(50)는 승강 모터(63)를 제어하여 트래버스 장치(21) 및 접촉 롤러(31)를 하강시킨다(도 13의 상태 E). 이에 따라, 접촉 롤러(31)가 제1 보빈(91)에 접촉하여 패키지(94)의 제조가 개시된다.
다음으로, 도 14를 참조하여 제1 전환 위치의 바람직한 각도 범위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전환 위치는 0°를 기준으로 하여 ±45°미만의 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제1 전환 위치가 45°이상 180°이하일 경우, 제2 전환 위치가 210°이상 360°이하에 위치하기 때문에, 만권 패키지(94)가 하단 권취부(10b)로의 사도에 근접한다. 그 때문에, 만권 패키지(94)와 사도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단 권취부(10b)에 대한 상단 권취부(10a)의 편위가 커지기 때문에 실 권취기(1)의 설치 면적이 커진다. 따라서, 제1 전환 위치가 45°이상 180°이하인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제1 전환 위치가 180°이상 315°이하일 경우, 만권의 패키지(94)에 연결되어 있는 실(93)을 제1 보빈(91)에 감는 것이 곤란해진다. 따라서, 제1 전환 위치가 180°이상 315°이하인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이상에 의해, 제1 전환 위치는 0°를 기준으로 하여 ±45°미만의 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전환 위치가 0°가 아닌 경우, 제어 장치(50)는 제2 보빈(92)에 권취되어 있는 실(93)이 제1 보빈(91)에 권취되도록 전환한 후에, 터렛 모터(53)를 제어하여 터렛판(40)을 회전시킴으로써, 제1 보빈 홀더(41)의 위치를 0°의 위치(권취 위치)에 맞추는 제어를 수행한다. 즉, 제1 전환 위치가 315°보다 크고 360°보다 작을 경우, 제어 장치(50)는 상기 전환 후에 터렛판(40)을 반시계 방향(정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한편, 제1 전환 위치가 0°보다 크고 45°보다 작을 경우 제어 장치(50)는 상기 전환 후에 터렛판(40)을 시계 방향(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 후, 상단 권취부(10a)는 제1 보빈(91)에 실(93)을 권취하여 패키지(94)를 제조한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실 권취기(1)는 하단 권취부(10b)와, 상단 권취부(10a)를 구비한다. 하단 권취부(10b)는 실 이송 롤러(100)로부터 송출된 실(93)을 권취하여 패키지(94)를 제조한다. 상단 권취부(10a)는 하단 권취부(10b)보다 높은 위치이며, 평면시에 있어서 하단 권취부(10b)보다도 패키지(94)의 축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편위된 위치에 배치되고, 실 이송 롤러(100)에서 송출된 실(93)을 권취하여 패키지(94)를 제조한다. 상단 권취부(10a)는 제1 보빈 홀더(41)와, 제2 보빈 홀더(42)와, 터렛판(40)과, 접촉 롤러(31)를 구비한다. 제1 보빈 홀더(41)는 제1 보빈(91)을 보유 지지한다. 제2 보빈 홀더(42)는 제2 보빈(92)을 보유 지지한다. 터렛판(40)은 제1 보빈 홀더(41) 및 제2 보빈 홀더(42)가 부착되어 있고, 패키지(94)의 축방향과 평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함으로써 제1 보빈 홀더(41) 및 제2 보빈 홀더(42)의 위치를 변경한다. 접촉 롤러(31)는 패키지(94)의 제조 시에 제1 보빈(91), 제2 보빈(92), 또는 패키지(94)에 접촉하여 회전한다. 터렛판(40)이 제1 보빈 홀더(41) 또는 제2 보빈 홀더(42)를 보유 지지하는 위치에 관하여, 제1 보빈(91), 제2 보빈(92), 또는 패키지(94)가 접촉롤러(31)에 접촉하여 제1 보빈(91) 또는 제2 보빈(92)에 실(93)을 권취하여 패키지(94)를 제조할 때의 위치를 0°또는 360°로 하고, 0°에서 상단 권취부(10a)가 하단 권취부(10b)에 대하여 편위되어 있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방향을 정으로 했을 때에, 터렛판(40)은 제1 보빈(91)에 실(93)을 걸기 위한 신호(실걸이 개시 신호)를 받아 제1 보빈 홀더(41)의 위치를 270°보다 크고 360°보다 작은 위치에 맞춘다.
이에 따라, 하단 권취부(10b)에 대하여 상단 권취부(10a)가 편위되는 양을 작게 억제할 수 있고, 실 권취기(1)의 설치 면적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실 권취기(1)에 있어서, 터렛판(40)은 제1 보빈(91)에 실(93)을 걸기 위한 신호를 받아 제1 보빈 홀더(41)의 위치를 290°보다 크고 340°보다 작은 위치에 맞춘다.
이에 따라, 하단 권취부(10b)의 사도로부터 한층 먼 위치에서, 또한 실(93)과 접촉 롤러(31)와의 접촉 가능성을 보다 회피한 위치에서 상단 권취부의 실걸이를 행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실 권취기(1)에 있어서, 터렛판(40)은 제1 보빈(91)에 실(93)이 감겨져 있는 경우에, 그 실(93)이 제2 보빈(92)에 감겨지도록 또는 제2 보빈(92)에 실(93)이 감겨져 있는 경우에, 그 실(93)이 제1 보빈(91)에 감겨지도록 실 전환을 행하기 위한 신호(실 전환 신호)를 받아 제1 보빈 홀더(41) 및 제2 보빈 홀더(42)의 한쪽 위치를 180°에 맞추고, 또 다른 쪽 위치를 0°에 맞춘다.
이에 따라, 제1 보빈(91)에 실(93)을 건 후, 제1 보빈(91)에 감겨져 있는 실(93)을 제2 보빈(92)에 감도록 하는 실 전환 또는 패키지(94)의 제조 개시 후에 만권인 패키지(94)의 제1 보빈(91) 또는 제2 보빈(92)에 감겨져 있는 실(93)을 실(93)이 감겨 있지 않은 제2 보빈(92) 또는 제1 보빈(91)에 감겨지도록 하는 실 전환을 행할 때에, 제1 보빈(91) 및 제2 보빈(92)를 하단 권취부(10b)의 사도로부터 먼 위치로 하여 실 전환을 행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실 권취기(1)에 있어서, 제1 보빈(91)에 실(93)을 거는 상태에서, 제2 보빈(92)에 실(93)을 권취하여 패키지(94)를 제조하는 상태가 될 때까지에 있어서, 터렛판(40)은 제1 보빈 홀더(41) 및 제2 보빈 홀더(42)의 위치가 정방향으로만 변경되도록 회전한다.
터렛판(40)의 제어를 단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사권에 의해 실층이 형성된 제1 보빈(91)이 하단 권취부(10b)의 사도와 가까운 측을 통과하지 않기 때문에 편위량을 작게 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실 권취기(1)에 있어서, 제1 보빈(91)에 실(93)을 걸기 위한 신호를 받아, 제1 보빈 홀더(41)의 위치를 270°보다 크고 360°보다 작은 위치에 맞춘 후에, 제1 보빈(91)에 실(93)을 거는 작업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신호(실걸이 완료 신호)를 받아, 제1 보빈 홀더(41)의 위치를 0°보다 크고 180°보다 작은 위치에 맞춘다.
이에 따라, 제1 보빈(91)이 270°보다 크고 360°보다 작은 위치에서 두껍게 감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제1 보빈(91) 또는 그 실층이 하단 권취부(10b)의 사도에 간섭하기 어렵다.
본 실시 형태의 실 권취기(1)에 있어서, 상단 권취부(10a)는 제1 보빈 홀더(41) 또는 제2 보빈 홀더(42)에 형성되어 있는 패키지(94)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수반류가 하단 권취부(10b)에서 권취되는 실(93)에 작용하는 것을 억제하는 방풍판(75)을 구비한다.
방풍판(75)을 마련함으로써 수반류가 실(93)에 미치는 영향을 경감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실 권취기(1)에 있어서, 터렛판(40)은 제2 보빈(92)에 형성된 패키지(94)가 만권이 되었을 경우에, 제1 보빈 홀더(41)의 위치를 0°를 기준으로 하여 ±45°미만의 위치에 맞춘 상태에서, 제2 보빈(92)에 권취되어 있는 실(93)이 제1 보빈(91)에 권취되도록 전환한다.
이에 따라, 만권의 패키지(94)가, 하단 권취부(10b)로의 사도와 가까운 범위를 지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상단 권취부(10a)가 편위하는 양을 더욱 작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패키지(94)에 연결되는 실(93)을 제1 보빈(91)에 감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는데, 상기 구성은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이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의 트래버스 장치(21)는 캠드럼식인데 트래버스 가이드(23)를 권폭 방향으로 왕복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면 서로 다른 구성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트래버스 장치(21)를 대신하여 벨트식 트래버스 장치를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 형태 및 변형예에서 나타낸 처리도는 일례이며, 일부 처리를 생략하거나 일부 처리의 내용을 변경하거나 새로운 처리를 추가하거나 해도 된다.

Claims (7)

  1. 실 이송 롤러로부터 송출된 실을 권취하여 패키지를 제조하는 하단 권취부와,
    상기 하단 권취부보다 높은 위치이며, 평면시에 있어서 상기 하단 권취부보다도 상기 패키지의 축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편위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실 이송 롤러로부터 송출된 실을 권취하여 상기 패키지를 제조하는 상단 권취부
    를 구비하고,
    상기 상단 권취부는
    제1 보빈을 보유 지지하는 제1 보빈 홀더와,
    제2 보빈을 보유 지지하는 제2 보빈 홀더와,
    상기 제1 보빈 홀더 및 상기 제2 보빈 홀더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패키지의 축방향과 평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1 보빈 홀더 및 상기 제2 보빈 홀더의 위치를 변경하는 보빈 홀더 이동 기구와,
    상기 패키지의 제조 시에 상기 제1 보빈, 상기 제2 보빈, 또는 상기 패키지에 접촉하여 회전하는 접촉 롤러
    를 구비하고,
    상기 보빈 홀더 이동 기구가 상기 제1 보빈 홀더 또는 상기 제2 보빈 홀더를 보유 지지하는 위치에 관하여, 상기 제1 보빈, 상기 제2 보빈, 또는 상기 패키지가 상기 접촉 롤러에 접촉하여 상기 제1 보빈 또는 상기 제2 보빈에 실을 권취하여 상기 패키지를 제조할 때의 위치를 0°또는 360°로 하고, 0°로부터 상기 상단 권취부가 상기 하단 권취부에 대하여 편위되어 있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방향을 정으로 했을 때에,
    상기 보빈 홀더 이동 기구는, 상기 제1 보빈에 실을 걸기 위한 신호를 받아, 상기 제1 보빈 홀더의 위치를 270°보다 크고 360°보다 작은 위치에 맞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권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 홀더 이동 기구는, 상기 제1 보빈에 실을 걸기 위한 신호를 받아, 상기 제1 보빈 홀더의 위치를 290°보다 크고 340°보다 작은 위치에 맞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권취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 홀더 이동 기구는, 상기 제1 보빈에 실이 감겨져 있는 경우에, 그 실이 상기 제2 보빈에 감겨지도록, 또는 상기 제2 보빈에 실이 감겨져 있는 경우에, 그 실이 상기 제1 보빈에 감겨지도록, 실 전환을 수행하기 위한 신호를 받아, 제1 보빈 홀더 및 제2 보빈 홀더의 한쪽 위치를 180°로 맞추고, 또한 다른 쪽 위치를 0°로 맞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권취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빈에 실을 거는 상태로부터, 상기 제2 보빈에 실을 권취하여 패키지를 제조하는 상태가 될 때까지에 있어서, 상기 보빈 홀더 이동 기구는, 상기 제1 보빈 홀더 및 상기 제2 보빈 홀더의 위치가 정방향으로만 변경되도록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권취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 홀더 이동 기구는,
    상기 제1 보빈에 실을 걸기 위한 신호를 받아, 상기 제1 보빈 홀더의 위치를 270°보다 크고 360°보다 작은 위치에 맞춘 후에,
    상기 제1 보빈에 실을 거는 작업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받아, 상기 제1 보빈 홀더의 위치를 0°보다 크고 180°보다 작은 위치에 맞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권취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권취부는, 상기 제1 보빈 홀더 또는 상기 제2 보빈 홀더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패키지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수반류가 상기 하단 권취부에서 권취되는 실에 작용하는 것을 억제하는 방풍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권취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 홀더 이동 기구는, 상기 제2 보빈에 형성된 상기 패키지가 만권이 된 경우에, 상기 제1 보빈 홀더의 위치를 0°를 기준으로 하여 ±45°미만의 위치에 맞춘 상태에서, 상기 제2 보빈에 권취되어 있는 실이 상기 제1 보빈에 권취되도록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권취기.
KR1020230033204A 2022-03-25 2023-03-14 실 권취기 KR2023013931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2049589 2022-03-25
JPJP-P-2022-049589 2022-03-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9318A true KR20230139318A (ko) 2023-10-05

Family

ID=85724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3204A KR20230139318A (ko) 2022-03-25 2023-03-14 실 권취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4249414A1 (ko)
JP (1) JP2023143807A (ko)
KR (1) KR20230139318A (ko)
CN (1) CN11680388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9274A (ja) 1999-07-01 2001-01-23 Murata Mach Ltd 紡糸巻取機、及びそのバンチ巻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15113A (en) * 1997-10-06 2000-01-18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Winder for synthetic filaments
JPH11193183A (ja) * 1997-12-29 1999-07-21 Murata Mach Ltd 弾性糸用紡糸巻取機及び弾性糸パッケージ
JP3440839B2 (ja) * 1998-09-11 2003-08-25 村田機械株式会社 紡糸巻取機の糸掛け方法
JP2012144323A (ja) * 2011-01-11 2012-08-02 Tmt Machinery Inc 紡糸巻取装置及び紡糸巻取設備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9274A (ja) 1999-07-01 2001-01-23 Murata Mach Ltd 紡糸巻取機、及びそのバンチ巻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49414A1 (en) 2023-09-27
CN116803880A (zh) 2023-09-26
JP2023143807A (ja) 2023-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97732B1 (en) Spinning winder
US20050161550A1 (en) Traverse apparatus
JP2012144323A (ja) 紡糸巻取装置及び紡糸巻取設備
JP2003238031A (ja) レボルビング型自動巻取機
JP2016044079A (ja) 綾巻きパッケージを製造する繊維機械の作業ユニットを運転する方法並びに所属の作業ユニット
CN110267894B (zh) 卷绕机
EP0927694B1 (en) Yarn winding method and take-up winder for yarn
JP4128412B2 (ja) レボルビング型糸条巻取機
EP1995201A2 (en) Yarn take-up winder
EP3363756B1 (en) Yarn winder
KR20230139318A (ko) 실 권취기
EP1616829B1 (en) Yarn guide device of revolving type automatic winder
JP6337569B2 (ja) 糸条巻取装置と糸条巻取方法
CN1259103A (zh) 卷绕机
EP4245705A1 (en) Yarn winding machine
EP1335874B1 (en) Winder for elastomeric fibers
JP2000128435A (ja) 合成繊維の巻取装置および巻取方法
JP2000185872A (ja) 糸条巻取機の制御方法
JP4081904B2 (ja) 紡糸巻取機
JP2024038600A (ja) 糸巻取機
CN112830330A (zh) 纱线收卷装置以及拆线设备
KR20230133192A (ko) 실 권취기
JP2005132603A (ja) レボルビング式糸巻取り装置およびレボルビング式糸巻取り方法
CN116654719A (zh) 丝线卷取机
JPH10273268A (ja) ターレット式糸条巻取機の糸切替え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