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3192A - 실 권취기 - Google Patents

실 권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3192A
KR20230133192A KR1020230015549A KR20230015549A KR20230133192A KR 20230133192 A KR20230133192 A KR 20230133192A KR 1020230015549 A KR1020230015549 A KR 1020230015549A KR 20230015549 A KR20230015549 A KR 20230015549A KR 20230133192 A KR20230133192 A KR 202301331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yarn
regulating
bobbin holder
th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5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쿄헤이 요시노
케이스케 오카다
마사시 카와이
Original Assignee
티엠티 머시너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엠티 머시너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티엠티 머시너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33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319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7/00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Supports therefor
    • B65H57/006Traversing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02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 B65H54/10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for making packages of specified shapes or on specified types of bobbins, tubes, cores, or formers
    • B65H54/20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for making packages of specified shapes or on specified types of bobbins, tubes, cores, or formers forming multiple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65/00Securing material to cores or for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7/00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Supports therefor
    • B65H57/003Arrangements for threading or unthreading the gu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7/00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Supports therefor
    • B65H57/16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Supports therefor formed to maintain a plurality of filaments in spaced re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7/00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Supports therefor
    • B65H57/28Reciprocating or oscillating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67/00Replacing or removing cores, receptacles, or completed packages at paying-out, winding, or depositing stations
    • B65H67/04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take-up packages and or replacing by cores, formers, or empty receptacles at winding or depositing stations; Transferring material between adjacent full and empty take-up elements
    • B65H67/044Continuous winding apparatus for winding on two or more winding heads in succession
    • B65H67/048Continuous winding apparatus for winding on two or more winding heads in succession having winding heads arranged on rotary capstan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1Textiles threads or artificial strands of fila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1Textiles threads or artificial strands of filaments
    • B65H2701/313Synthetic polymer threads
    • B65H2701/3132Synthetic polymer threads extruded from spinnerets

Landscapes

  • Guides For Winding Or Rewinding, Or 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Replacing, Conveying, And Pick-Finding F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Winding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실 권취기는 규제 가이드(60a)와 이동 기구(70a)를 구비한다. 규제 가이드(60a)는 복수의 보빈(90)의 축 방향 영역의 양측부에 대응하도록 각각 배치되어 있고며, 실 분리 가이드에 의해 유지된 복수의 실(91)에 대해 실(91)의 보빈 홀더 축 방향의 위치가 보빈 홀더(42)에 유지된 복수의 보빈(90)의 축 방향 영역의 내측이 되도록 실(91)을 규제한다. 이동 기구(70a)는 실(91)에 작용하여 실(91)을 규제하는 규제 위치와 규제 위치에서 퇴피한 퇴피 위치와의 사이에서 규제 가이드(60a)를 이동 가능하게 한다. 규제 위치 및 퇴피 위치 양쪽에서, 작용부는 설치부보다도 축 직교 방향에서의 사도측에 위치하고 있다.

Description

실 권취기{Yarn Winding Machine}
본 발명은 주로 실 이송 롤러로부터 보내진 복수의 실을 복수의 보빈에 각각 감아 패키지를 제조하는 실 권취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은, 일본 특허 공개 제2003-226469호 공보이다.
특허문헌 1의 실 권취기는 트래버스 장치와, 제1 및 제2 보빈 홀더를 구비한다. 트래버스 장치는 고데트 롤러(실 이송 롤러)로부터 공급된 복수의 실을 각각 트래버스한다. 제1 및 제2 보빈 홀더에는 각각 복수의 보빈이 설치되어 있다. 실 권취기는 제1 보빈 홀더의 복수의 보빈에 각각 실을 감음으로써 패키지를 제조하고 패키지의 제조가 완료되면(만권 패키지가 되면), 실 권취 대상을 제2 보빈 홀더의 복수의 보빈으로 전환하도록 한다.
또한, 특허문헌 1에 개시되는 고데트 롤러의 축 방향 길이는 보빈 홀더의 축 방향 길이보다도 짧다. 그 때문에, 고데트 롤러에서 보빈 홀더를 향하는 복수의 실은 하류로 향함에 따라 실끼리의 간격이 넓어진다. 그 때문에, 보빈 전환 시에 복수의 실을 트래버스 장치에서 분리할 경우, 실끼리의 간격이 좁아져 중앙으로 모여 버린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문헌 1의 실 권취기는 사도(絲道) 변경 부재를 구비한다. 사도 변경 부재는 복수의 실을 트래버스 장치에서 분리했을 경우에, 실끼리의 간격이 좁아지지 않도록 각 실의 움직임을 규제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3-226469호 공보
특허문헌 1의 실 권취기는, 트래버스 장치로부터 복수의 실을 분리했을 경우에 실끼리의 간격이 좁아지는 것을 억제한다. 한편, 장치 조건 또는 권취 조건에 따라서는 트래버스 장치로부터 복수의 실이 분리된 상태일 때 실끼리의 간격이 넓어지는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 이송 롤러의 축 방향의 길이가 보빈 홀더보다 긴 경우, 복수의 실을 보빈 홀더의 복수의 보빈에 최초로 걸 때, 이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 그 결과, 보빈 홀더의 복수의 보빈 설치 영역보다도 넓은 범위로 복수의 실이 확산되기 때문에, 복수의 실을 보빈 홀더의 복수의 보빈에 거는 작업이 곤란해진다. 또한, 복수의 실이 확산됨에 따라, 권취 시 실이 보빈의 축 방향의 외측으로 떨어지고, 그 결과, 실 끊어짐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사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그 주요한 목적은 트래버스 장치로부터 실이 분리된 상태일 때 보빈 홀더에 유지된 복수의 보빈의 축 방향 영역보다도 넓은 범위로 복수의 실이 확산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실을 보빈 홀더에 거는 작업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실 떨어짐에 기인하는 실 끊어짐을 억제 가능한 실 권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과 같으며, 다음에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과 그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관점에 따르면, 이하의 구성의 실 권취기가 제공된다. 즉, 실 권취기는 실 이송 롤러로부터 보내진 복수의 실을 복수의 보빈에 각각 감아 패키지를 제조한다. 실 권취기는 보빈 홀더와, 복수의 트래버스 가이드와, 실 분리 가이드와, 규제 가이드와, 이동 기구를 구비한다. 상기 보빈 홀더는 상기 복수의 보빈을 유지한다. 상기 트래버스 가이드는 복수의 실에 각각 접촉하여 해당 실을 보빈 홀더 축 방향으로 트래버스한다. 상기 실 분리 가이드는 복수의 실이 상기 복수의 트래버스 가이드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실을 유지한다. 상기 규제 가이드는, 상기 복수의 보빈의 축 방향 영역의 양측부에 대응하도록 각각 배치되어 있고, 상기 실 분리 가이드에 의해 유지된 복수의 실에 대하여, 상기 실의 보빈 홀더 축 방향의 위치가 상기 보빈 홀더에 유지된 복수의 보빈의 축 방향 영역의 내측이 되도록 해당 실을 규제한다. 상기 이동 기구는, 해당 실에 작용하여 해당 실을 규제하는 규제 위치와, 상기 규제 위치에서 퇴피한 퇴피 위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규제 가이드를 이동 가능하게 한다. 상기 실 분리 가이드는 복수의 실을 유지하는 유지 위치와, 상기 유지 위치에서 퇴피한 퇴피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상기 규제 가이드 중, 이동 기구에 설치되는 부분을 설치부라고 하고, 실에 작용하는 부분을 작용부라고 하며, 상기 실 권취기에 대하여 실 이송 롤러가 위치하는 방향을 높이 방향이라고 하고, 상기 높이 방향 및 보빈 홀더 축 방향의 양쪽에 직교하는 방향을 축 직교 방향이라고 했을 때, 상기 규제 위치 및 퇴피 위치의 양쪽에서, 상기 작용부는 상기 설치부보다도 상기 축 직교 방향에서의 사도측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규제 가이드가 실을 복수의 보빈 축 방향의 영역의 내측으로 규제하기 때문에 트래버스 장치로부터 실을 분리한 경우에 있어서의 실의 확산을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실을 보빈 홀더에 거는 실걸이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실의 규제가 불필요해진 경우에는 규제 가이드를 퇴피 위치로 이동시키면 되므로 탈착이 필요한 구성과 비교하여 취급이 용이하다. 또한, 규제 가이드의 자세를 크게 변경하지 않고 규제 위치와 퇴피 위치 사이에서 규제 가이드를 이동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규제 가이드의 이동 궤적이 작아지므로 다른 부재의 배치 공간을 넓힐 수 있다. 또한 트래버스 장치에서 실을 분리했을 경우에 이써서의, 실의 확산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실 떨어짐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그 결과, 실 떨어짐에 기인하는 실 끊어짐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실 권취기에서는, 상기 이동 기구는 적어도 상기 복수의 보빈의 축 방향 영역의 내측에서 상기 규제 가이드를 상기 보빈 홀더 축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기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걸이 작업 시에 있어서, 규제 위치에 있는 규제 가이드를 슬라이드시킴으로써, 규제 가이드에 의해 규제된 실의 권취 위치를 분산시킬 수 있다.
상기 실 권취기에서는, 상기 규제 가이드가 상기 보빈 홀더 축 방향으로 슬라이딩함으로써, 상기 규제 가이드의 상기 규제 위치와, 상기 퇴피 위치가 전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간단하고 이동 궤적이 작은 동작으로 규제 위치와 퇴피 위치를 전환할 수 있다.
상기 실 권취기에 있어서는, 상기 규제 가이드에 대하여 상기 보빈 홀더 축 방향의 단부측에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규제 가이드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규제 가이드를 슬라이딩시키는 조작이 가능한 조작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규제 가이드를 직접 만져서 조작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간단하게 규제 가이드를 슬라이드시킬 수 있다.
상기 실 권취기에서는, 상기 규제 가이드는 상기 높이 방향에서 상기 작용부가 상기 실 이송 롤러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상기 작용부가 이동함으로써, 상기 규제 위치에서 상기 퇴피 위치로 전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다른 장치의 동작에 방해가 되기 어렵다.
상기 실 권취기에서는 이하의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이동 기구는 상기 보빈 홀더 축 방향을 따라 마련됨과 동시에 상기 규제 가이드가 상기 규제 위치를 유지하도록 해당 규제 가이드를 지지하는 지지 레일을 구비한다. 상기 규제 가이드는 상기 지지 레일을 따라 상기 보빈 홀더 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다. 상기 지지 레일이 배치된 장소를 넘어 상기 규제 가이드가 슬라이딩함으로써, 상기 규제 위치에서 상기 퇴피 위치로 전환된다.
이에 따라, 슬라이드를 보조하는 부재와, 규제 가이드를 규제 위치에서 유지하는 부재를 공통화할 수 있다. 또한 규제 위치에서 퇴피 위치로의 전환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실 권취기에서는 이하의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이동 기구는 지지축 부재와, 해당 지지축 부재와 상기 규제 가이드와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규제 위치에서는,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지지축 부재로부터 상기 축 직교 방향에서의 사도 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퇴피 위치에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지지축 부재로부터 상기 축 직교 방향에서의 사도의 반대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에 따라, 규제 가이드 자체를 반전시키는 구성과 비교하여 규제 가이드의 이동 궤적을 작게 할 수 있다.
상기 실 권취기에서는 이하의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실 권취기는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구비한다. 상기 제1 하우징에는 상기 트래버스 가이드가 배치된다. 상기 제2 하우징은 사도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하우징과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상기 실 분리 가이드가 상기 제1 하우징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규제 가이드가 상기 제2 하우징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실 분리 가이드와 규제 가이드를 바람직한 배치로 할 수 있다.
상기 실 권취기에서는 이하의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복수의 실을 개별적으로 분리하여 상기 복수의 트래버스 가이드의 각각의 트래버스 영역에 유지하는 분사 가이드를 구비한다. 상기 분사 가이드는 복수의 실을 분리하여 유지하는 분사 위치와, 상기 분사 위치에서 퇴피한 퇴피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이에 따라, 복수의 실을 규제 가이드로 규제하면서, 복수의 실 각각을 각 트래버스 가이드의 트래버스 영역으로 유도하여 각 트래버스 가이드와 접촉(계합)시킬 수 있어 실걸이 작업이 용이해진다.
상기 실 권취기에 있어서는, 상기 보빈 홀더 상의 복수의 실간의 피치가 상기 실 이송 롤러 상의 복수의 실간의 피치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보빈 홀더 상의 복수의 실간 피치가 실 이송 롤러 상의 복수의 실간 피치보다 작은 경우, 보빈 홀더에 유지된 복수의 보빈의 축 방향 영역보다도 넓은 범위로 복수의 실이 확산되기 쉬운 경향이 있기 때문에 상기 규제 가이드를 구비하는 효과를 유효하게 발휘시킬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실 권취기의 정면도.
도 2는 실 권취기의 블록도.
도 3은 실 권취기의 일부를 잘라내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실걸이 작업 시의 실이 보빈 홀더의 단부에서 국소적으로 두껍게 감아지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규제 가이드 및 이동 기구의 사시도.
도 6은 규제 가이드 및 이동 기구의 측면도.
도 7은 개폐 가이드의 사시도.
도 8은 실걸이 작업을 행하기 위해 실 이송 롤러의 실을 분사 가이드에 건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실걸이 작업 시에 규제 가이드로 실을 보빈의 축 방향의 영역으로 규제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실걸이 작업 후에 실을 감아 패키지를 제조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변형예의 개폐 가이드의 사시도.
도 12는 제2 실시 형태의 규제 가이드 및 이동 기구의 사시도.
도 13은 제2 실시 형태의 규제 가이드 및 이동 기구의 측면도.
도 14는 제3 실시 형태의 규제 가이드 및 이동 기구의 사시도.
도 15는 제3 실시 형태의 규제 가이드 및 이동 기구의 측면도.
다음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실 권취기(1)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실 권취기(1)의 블록도이다. 아래 설명에서는 실 주행 방향의 상류 또는 하류를 단순히 상류 또는 하류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실 권취기(1)의 상류에는 도시를 생략한 방사기가 배치되어 있다. 방사기로 제조된 실(91)은 실 이송 롤러(100)를 통해 실 권취기(1)로 공급된다. 실 권취기(1)는 실(91)을 보빈(90)에 감아 보빈(90) 상에 실층을 형성하여 패키지(92)를 제조한다. 실(91)은, 예를 들어 스판덱스 등의 탄성사이다. 단, 실(91)의 종류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나일론 또는 폴리에스테르 등의 합섬사이어도 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 권취기(1)는 상하로 나란히 배치된 2개의 권취부(10)를 구비한다. 각각의 권취부(10)에는 실(91)이 개별적으로 공급되어 있고, 각각의 권취부(10)에서 개별적으로 패키지(92)가 제조된다. 권취부(10)에는 패키지(92)의 축 방향으로 나열된 복수의 실(91)이 공급된다. 권취부(10)는 복수의 실(91)을 각각 감아 복수의 패키지(92)를 제조한다.
2개의 권취부(10)는 각각 동일한 장치를 구비하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상하의 권취부(10)를 종합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권취부(10)는 프레임(11)과, 제1 하우징(20)과, 제2 하우징(30)과, 터렛 판(40)을 구비한다.
프레임(11)은 권취부(10)가 구비하는 각 부를 유지하는 부재이다. 제1 하우징(20)에는 트래버스 장치(21)가 설치되어 있다. 트래버스 장치(21)는 후술하는 트래버스 가이드(23)가 실(91)과 계합한 상태에서 권폭 방향(패키지(92)의 축 방향)으로 왕복 움직임으로써 하류측으로 보내지는 실(91)을 트래버스시킨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트래버스 장치(21)는 트래버스 캠(22)과, 트래버스 가이드(23)와, 트래버스 모터(24)를 구비한다. 또한, 도 2는, 1개의 권취부(10)의 블록도를 나타내고 있다.
트래버스 캠(22)은 보빈(90)과 평행하게 배치된 롤러상의 부재이다. 트래버스 캠(22)의 외주면에는 나선상의 캠 홈이 형성되어 있다. 트래버스 캠(22)은 트래버스 모터(24)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트래버스 가이드(23)는 실(91)과 계합하는 부분이다. 트래버스 가이드(23)의 선단은 예를 들어 대략 U자상의 가이드부를 가지고 있고, 실(91)을 권폭 방향으로 끼워 넣도록 하여 실(91)과 계합한다. 트래버스 가이드(23)의 기단은 트래버스 캠(22)의 캠 홈에 위치하고 있다. 트래버스 캠(22)을 회전 구동함으로써 트래버스 가이드(23)를 권폭 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킬 수 있다.
또한, 트래버스 모터(24)는 제어 장치(50)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 장치(50)는 CPU, ROM, RAM 등을 구비한다. CPU는 ROM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RAM으로 읽어내어 실행함으로써 권취부(10)에 관한 다양한 제어를 수행한다.
제2 하우징(30)에는 접촉 롤러(31)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접촉 롤러(31)는 실(91)의 권취 시에 있어서, 패키지(92)의 실층에 소정의 압력으로 접촉하면서 종동 회전함으로써, 패키지(92)의 실층 형상을 정돈한다.
제2 하우징(30)에는 조작 패널(32)이 마련되어 있다. 조작 패널(32)은 오퍼레이터에 의해 조작되는 장치이다. 오퍼레이터는 조작 패널(32)을 조작함으로써 권취부(10)에 대해 지시를 행한다. 오퍼레이터가 행하는 지시는, 예를 들어 권취의 개시, 권취의 정지, 권취 조건의 변경 등이다.
터렛 판(40)은 원판상의 부재이다. 터렛 판(40)은 프레임(1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터렛 판(40)의 회전 축의 위치는 터렛 판(40)의 중심 위치와 일치하고 있다. 터렛 판(40)은 도 2에 나타내는 터렛 모터(41)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터릿 모터(41)는 제어 장치(50)에 의해 제어된다.
터렛 판(40) 중, 중심 위치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2개소에는 각각 보빈 홀더(42)가 마련되어 있다. 보빈 홀더(42)에는 축 방향으로 나란히 복수의 보빈(90)을 설치 가능하다. 터렛 판(40)을 회전시킴으로써, 2개의 보빈 홀더(42)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각 보빈 홀더(42)는 터렛 판(40)에 외팔보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보빈 홀더(42)는 보빈 홀더(42)의 축 위치를 회전 중심으로 하고, 터렛 판(4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다. 2개의 보빈 홀더(42)는 도 2에 나타내는 보빈 홀더 모터(43)에 의해 각각 개별적으로 회전 구동된다. 보빈 홀더 모터(43)는 제어 장치(50)에 의해 제어된다.
2개의 보빈 홀더(42)가 상하로 나열된 상태에서 높은 쪽의 보빈 홀더(42)에 대해 실(91)의 권취가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는, 한쪽 보빈 홀더(42)의 보빈(90)에 실걸이가 이루어진 후에, 다른 쪽 보빈 홀더(42)가 접촉 롤러(31)와 접촉하고, 그 상태에서 해당 다른 쪽 보빈 홀더(42)가 회전함으로써, 해당 다른 쪽 보빈 홀더(42)의 보빈(90)에 실(91)이 감겨져 패키지(92)가 제조된다. 또한 접촉 롤러(31)와 접촉하는 위치에 있는 보빈 홀더(42)에 대하여 해당 보빈 홀더(42)의 자유단측의 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선단 지지 부재(45)(도 1)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소정량의 실(91)을 감아 패키지(92)가 만권이 되었을 경우, 터렛 판(40)이 회전함으로써, 2개의 보빈 홀더(42)의 위치가 전환된다. 그 후, 만권이 된 패키지(92)가 회수되면서, 한쪽 보빈 홀더(42)에 설치된 보빈(90)에 대해 실(91)이 감겨진다.
다음으로, 패키지(92)의 제조 전단계에서 오퍼레이터에 의해 2개의 보빈 홀더(42)의 한쪽 보빈 홀더(42)의 보빈(90)에 실(91)을 권부하는 실걸이 작업이 이루어지고, 그 후에 롤 남김(捨卷)이 이루어지는데, 그 실걸이 작업 및 롤 남김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권폭 방향, 패키지(92)의 축 방향 및 보빈 홀더(42)의 축 방향(보빈 홀더 축 방향)은 모두 평행하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러한 방향을 합하여 단순히 "축 방향"이라고 한다. 또한, 실 권취기(1)에 대하여 실 이송 롤러(100)가 위치하는 방향을 "높이 방향"이라고 한다. 특히, 높이 방향 중, 실 이송 롤러(100)와 가까운 쪽을 상측, 그 반대측을 하측이라고 한다. 또한 축 방향과 높이 방향 양쪽에 직교하는 방향을 "축 직교 방향"이라고 한다.
오퍼레이터에 의한 실걸이가 이루어지는 단계에서는 트래버스 가이드(23)에 실(91)이 계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실(91)이 감겨진다. 또 트래버스 가이드(23)는 평소보다도 저속으로 구동되고 있다. 따라서 실걸이 후에 실(91)이 트래버스 가이드(23)에 계합되어도 트래버스 가이드(23)가 통상 속도가 될 때까지는 실(91)의 품질을 확보할 수 없다. 그 때문에, 롤 남김을 행함으로써 품질이 낮은 실(91)을 감고, 감은 실(91)을 폐기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보빈 홀더(42)의 축 방향의 길이(도 3에 부호 L2로 나타내는 길이)는 실 이송 롤러(100)의 축 방향 길이(도 3의 부호 L1로 나타내는 길이)보다도 작다. 그 때문에, 보빈 홀더(42) 상에서의 실간 피치는 실 이송 롤러(100) 상에서의 실간 피치보다도 작아진다. 이러한 조건에서 롤 남김을 하는 경우, 이하의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실 이송 롤러(100)로부터 보빈(90)에 실(91)을 걸 때, 실 이송 롤러(100)의 축 방향의 단부에 위치하는 실(91)이 축 방향의 단부에 배치된 보빈(90)의 축 방향 외측으로 떨어져 버리는 실 떨어짐이 발생하고, 그 결과, 실 끊어짐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만일 실 떨어짐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도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빈(90)의 축 방향의 단부에 복수개의 실(91)이 집중될 가능성이 있다. 그 결과, 축 방향의 단부에서 롤 남김 시에 국소적으로 두껍게 감김이 발생하기 때문에 실층이 무너져 실 끊어짐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실 떨어짐 및 국소적인 두껍게 감김에 기인하는 실 끊어짐을 억제하기 위하여, 본 실시 형태의 실 권취기(1)는 규제 가이드(60a) 및 이동 기구(70a)를 구비한다. 규제 가이드(60a)가 실(91)의 위치를 규제하는 범위를 규제 범위(도 3에 부호 L3로 나타내는 길이)라고 한다. 규제 범위는 복수의 보빈(90)의 축 방향 영역(복수의 보빈(90)이 보빈 홀더(42)에 설치되는 영역)보다도 내측이다. 본 실시 형태의 규제 가이드(60a) 및 이동 기구(70a)는 제2 하우징(30)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다. 단, 규제 가이드(60a) 및 이동 기구(70a)는 실(91)을 규제 가능한 다른 위치에 배치해도 된다.
이하 도 3 및 도 5를 참조하여 규제 가이드(60a) 및 이동 기구(70a)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규제 가이드(60a)는 복수의 보빈(90)의 축 방향 영역의 양측부에 대응하도록(다시 말하면, 보빈 홀더(42)의 축 방향의 양측부에 대응하도록) 각각 마련되어 있다. 양측부란 축 방향의 중앙에 대하여 일측과 다른 쪽임을 의미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규제 가이드(60a)는 복수의 보빈(90)의 축 방향 영역의 양단부에 대응하도록 각각 마련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단부란, 단부점뿐만 아니라 그 근방도 포함하는 범위를 나타내는 용어이다. 한쪽 규제 가이드(60a)는 축 방향의 일측의 1 또는 복수의 실(91)을 규제하고, 다른 쪽 규제 가이드(60a)는 축 방향의 다른 쪽의 1 또는 복수의 실(91)을 규제한다. 2개의 규제 가이드(60a)는 축 방향으로 수직인 면을 사이에 두고 대칭 형상이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2개의 규제 가이드(60a)를 종합하여 설명한다.
규제 가이드(60a)는 실(91)에 직접 작용하여 (실(91)과 접촉하여) 실(91)을 규제하는 부재이다. 규제 가이드(60a)는 판재에 타발 가공 및 굽힘 가공 등을 함으로써 제조된 부재이다. 단, 규제 가이드(60a)는 복수의 부재를 설치하여 제조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도 3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규제 가이드(60a)는 설치부(61)와, 중도부(62)와, 작용부(63)를 구비한다. 설치부(61)는 이동 기구(70a)에 설치되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설치부(61)는 관통 구멍이 형성된 부분이다. 중도부(62)는 설치부(61)와 작용부(63) 사이에 형성된 부분이다. 작용부(63)는 중도부(62)에 대하여 경사진 형상이며, 실(91)과 접촉하는 부분이다.
이동 기구(70a)는 축 방향의 양측부에 각각 마련되어 있다. 2개의 이동 기구(70a)는 축 방향으로 수직인 면을 사이에 두고 대칭 형상이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2개의 이동 기구(70a)를 종합하여 설명한다. 도 3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 기구(70a)는 슬라이드 레일(지지축 부재) (71)과, 지지 레일(72)을 구비한다.
슬라이드 레일(71)은 축 방향을 따라 마련된 원주상 부재이다. 슬라이드 레일(71)은 설치부(61)의 관통 구멍을 삽통하고 있다. 이에 따라, 규제 가이드(60a)는 슬라이드 레일(71)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다. 또한, 슬라이드 레일(71)의 단면이 원형이기 때문에 규제 가이드(60a)는 슬라이드 레일(71)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의 실 권취기(1)에서는 오퍼레이터가 규제 가이드(60a)를 수동으로 슬라이드 또는 회전시킨다. 이를 대신하여 규제 가이드(60a)를 구동하는 액츄에이터를 마련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슬라이드 레일(71)은 규제 가이드(60a)를 슬라이드시키는 레일과, 규제 가이드(60a)를 지지하여 회전시키는 회전 축(지지축 부재)의 양쪽에서 기능하는 부재이다. 이를 대신하여 레일로서 기능하는 부재와 회전 축으로서 기능하는 부재가 별개여도 된다.
지지 레일(72)은 슬라이드 레일(71)보다도 제1 하우징(20)측에 위치하고 있다. 지지 레일(72)은 슬라이드 레일(71)과 마찬가지로 축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지지 레일(72)은 중도부(62)를 지지함으로써 도 5의 상부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규제 가이드(60a)의 하방으로의 회전(바꾸어 말하면, 작용부(63)의 아래쪽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이에 따라, 규제 가이드(60a)를 규제 위치에서 유지할 수 있다. 규제 위치란 규제 가이드(60a)가 실(91)을 규제하는 위치이다. 규제 가이드(60a)는 지지 레일(72)에 중도부(62)가 지지된 상태에서 축 방향으로 슬라이딩함으로써 규제 위치를 축 방향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지지 레일(72)은 축 방향의 단부 근방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바꾸어 말하면, 이동 기구(70a)에는 슬라이드 레일(71)이 형성됨과 동시에 지지 레일(72)이 형성되지 않는 범위가 존재한다. 즉, 지지 레일(72)이 배치된 곳을 넘어 지지 레일(72)이 형성되지 않는 범위까지 규제 가이드(60a)가 슬라이딩함으로써 중도부(62)가 지지 레일(72)에 지지되지 않게 되므로 규제 가이드(60a)가 하방으로 회전한다(작용부(63)가 아래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규제 가이드(60a)가 퇴피 위치로 이동한다. 퇴피 위치란 규제 위치에서 퇴피한 위치이며, 실(91)의 규제를 행하지 않는(사도와 간섭하지 않는) 위치이다.
본 실시 형태의 규제 가이드(60a)는 축 방향의 단부로의 슬라이드에 의해 사도로부터 축 방향의 외측으로 퇴피하는 동시에, 또한 하방으로의 회전에 의해서도 사도로부터 퇴피한다. 즉, 본 실시 형태의 규제 가이드(60a)는 규제 위치 및 퇴피 위치 양쪽에서 작용부(63)가 설치부(61)보다도 축 직교 방향에서의 사도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 규제 가이드(60a)의 이동 궤적을 작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만일 규제 가이드(60a)를 상방으로 180°이상 회전시켜 퇴피시키는 경우(즉, 설치부(61)가 작용부(63)보다도 사도쪽에 위치하는 경우), 규제 가이드(60a)의 이동 궤적이 커진다. 그 결과, 규제 가이드(60a)의 상방에 커다란 공간을 크게 비워둘 필요가 있다.
이에 반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규제 가이드(60a)의 이동 궤적에는 규제 가이드(60a)의 상방의 공간이 포함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이 공간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공간에 유적 트레이(12)가 배치되어 있다. 유적 트레이(12)란 제1 하우징(20), 제2 하우징(30), 그 사이의 사도 등에 오일이 뿌려지지 않도록 보호하기 위한 부재이다. 또한, 이 공간에는 유적 트레이(12) 이외의 부재가 배치되어도 된다.
또한 진동 등에 의해 규제 가이드(60a)에 축 방향의 힘이 가해진 경우이더라도 중도부(62)가 지지 레일(72)의 단면과 간섭하기 때문에 규제 위치로 되돌아가지 않는다. 이와 같이, 지지 레일(72)은 규제 가이드(60a)를 규제 위치에서 유지하는 기능과 규제 가이드(60a)를 퇴피 위치에서 유지하는 기능 모두를 갖는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축 방향 슬라이드만으로 사도로부터 퇴피할 수 있기 때문에 규제 가이드(60a)를 하방으로 회전하여 퇴피시키는 기구는 필수가 아니라 생략할 수도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규제 가이드(60a)는, 롤 남김 중에 이용하기 위한 부재이지만, 실 떨어짐이 발생할 수 있는 다른 상황(예를 들어 보빈(90)에 실(91)을 거는 작업 중)에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규제 가이드(60a) 및 이동 기구(70a)와 함께 롤 남김에 이용되는 개폐 가이드(80)에 대해 설명한다.
개폐 가이드(80)는 제1 하우징(20)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축 직교 방향으로 보았을 때, 개폐 가이드(80)와 규제 가이드(60a)는 사도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 가이드(80)는 개폐판(81)과, 통 형상 부재(82)와, 레일(83)과, 실 분리 가이드(84)와, 분사 가이드(85)와, 손잡이부(86)를 구비한다.
개폐판(81)은 가늘고 긴 형상의 평판이며, 긴 변 방향과 축 방향이 일치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개폐판(81)의 짧은 변 방향의 단부에는 통 형상 부재(82)가 이동 불능으로 고정되어 있다. 통 형상 부재(82)에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레일(83)은 축 방향을 따라 마련된 원주상 부재이다. 레일(83)은 통 형상 부재(82)의 관통 구멍을 삽통하고 있다. 이에 따라, 통 형상 부재(82)는 레일(83)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다. 통 형상 부재(82)는 개폐판(81)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개폐판(81)은 레일(83)을 따라 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다. 또한 레일(83)의 단면이 원형이기 때문에 개폐판(81)은 레일(83)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의 실 권취기(1)에서는 오퍼레이터가 개폐 가이드(80)를 수동으로 동작시킨다. 이를 대신하여 개폐 가이드(80)를 구동하는 액츄에이터를 마련해도 된다.
또한 개폐판(81)에는 실 분리 가이드(84) 및 분사 가이드(85)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따라, 실 분리 가이드(84) 및 분사 가이드(85)를 사도에 근접시키거나 사도로부터 이간시키거나 할 수 있다.
실 분리 가이드(84)는 개폐판(81)의 짧은 변 방향 단부에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개폐판(81)과 실 분리 가이드(84)는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별개여도 된다. 실 분리 가이드(84)는 개폐판(81)을 규제 가이드(60a)측으로 회전시킨 실 분리 위치(도 7의 상부 도면의 쇄선)와 개폐판(81)을 그 반대측으로 회전시킨 퇴피 위치(실 분리 위치에서 실 분리 가이드(84)를 퇴피시킨 퇴피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실 분리 위치에 있는 실 분리 가이드(84)는 트래버스 가이드(23)가 실(91)을 유지할 때의 사도에 간섭하고 있고, 트래버스 가이드(23)에서 실(91)을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실 분리 위치에 있는 실 분리 가이드(84)는 트래버스 가이드(23)에서 분리한 상태의 실(91)이 트래버스 가이드(23)측으로 돌아가지 않도록 유지할 수 있다.
분사 가이드(85)는 개폐판(81)의 짧은 변 방향의 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분사 가이드(85)는 복수의 판상 부재를 나란히 배치한 구성이다. 2개의 판상 부재 사이에 실(91)을 위치시킴으로써 실(91)이 유지된다. 분사 가이드(85)는 실(91)을 트래버스 가이드(23)에 유지시키는 보조를 수행하는 부재이며, 그 때문에 분사 가이드(85)가 실(91)을 유지하는 간격과 트래버스 가이드(23)가 배치되는 간격은 동일하다. 또한, 분사 가이드(85)가 실(91)을 유지하는 위치는 대응되는 트래버스 가이드(23)의 트래버스 영역 내에 있다.
분사 가이드(85)는 개폐판(81)을 규제 가이드(60a)측으로 회전시킨 분사 위치(도 7의 상부 도면의 쇄선)와 개폐판(81)을 그 반대측으로 회전시킨(분사 위치에서 분사 가이드(85)를 퇴피시킨) 퇴피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분사 위치에 있는 분사 가이드(85)는 판상 부재 사이에 실(91)을 넣음으로써 복수의 실(91)을 개별적으로 분리한 상태로 유지한다. 또한 분사 가이드(85)의 구성은 일례이며, 예를 들어 1매의 판재에 일정 간격으로 홈을 형성한 구성이어도 된다.
손잡이부(86)는 개폐판(81)의 긴 변 방향의 일 단부(정면 측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부(86)는 오퍼레이터가 개폐판(81)을 회전시킬 때 손으로 잡는 부분이다.
다음으로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규제 가이드(60a), 이동 기구(70a) 및 개폐 가이드(80) 등을 이용하여 실걸이 작업, 이어서 패키지 제조 개시에 이르는 공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오퍼레이터는 조작 패널(32)을 조작하여 보빈 홀더(42)를 회전 구동시킴과 동시에 트래버스 장치(21)를 구동시킨다. 이때 트래버스 장치(21)의 트래버스 가이드(23)는 패키지 제조 시의 통상의 속도보다도 저속으로 왕복 구동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퍼레이터는 개폐 가이드(80)를 규제 가이드(60a)측으로 회전시킨 후에 개폐 가이드(80)를 보빈 홀더(42)의 자유단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오퍼레이터는 실 이송 롤러(100)에 걸려 있는 복수의 실(91)을 석션 건 등으로 유지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실 이송 롤러(100)로부터 상측 권취부(10)와 하측 권취부(10)로 실(91)이 공급된다. 그 때문에 오퍼레이터는 실 이송 롤러(100)로부터의 실(91)의 전부를 우선은 상측 권취부(10)에 실걸이하고, 그 후 하측 권취부(10)에 공급되는 실(91)만을 꺼내 석션 건 등으로 다시 유지하도록 하고, 그 유지한 실(91)을 하측 권취부(10)에 실걸이하도록 하는데, 여기서는 설명을 간략화하기 위하여 실 이송 롤러(100)에서 공급되는 실(91)을 상측 권취부(10)와 하측 권취부(10)로 나누어 실걸이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그 때문에, 오퍼레이터는 실 이송 롤러(100)에 걸려 있는 상측 권취부(10)에 공급되는 복수의 실(91)을 석션 건 등으로 유지하고 있다. 다음으로 오퍼레이터는 유지한 실(91)을 분사 가이드(85)에 건다. 이 시점에서 오퍼레이터는 복수의 실(91)을 분사 가이드(85)로 분리하여 걸 필요는 없다. 이 시점에서 규제 가이드(60a)는 퇴피 위치에 있다.
다음으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퍼레이터는 개폐 가이드(80)를 슬라이드시켜 원래의 위치로 되돌린다. 이때 규제 가이드(60a)가 퇴피 위치에 있기 때문에 실(91)이 규제 가이드(60a)에 간섭하는 일이 없다. 오퍼레이터는 분사 가이드(85)에 걸려 있는 실(91)을 한쪽 보빈 홀더(42)의 보빈(90)에 권부한다. 이에 따라, 실(91)이 보빈(90)에 감기게 된다. 다음으로 오퍼레이터는 규제 가이드(60a)를 규제 위치로 한 후, 개폐판(81)을 상하로 약간 회전시킨다. 개폐판(81)을 상측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예를 들어 실 분리 가이드(84)에 의해 실(91)이 분사 가이드(85)로부터 분리되어 축 방향으로 퍼진다. 이때, 규제 가이드(60a)가 규제 위치에 있음으로써, 실(91)의 위치가 규제 가이드(60a)의 규제 위치 내측, 즉, 보빈 홀더(42)에 유지된 복수의 보빈(90)의 축 방향 영역(축 방향에서 복수의 보빈(90)이 배치되는 영역)의 내측이 되도록 실(91)이 규제된다. 동시에 규제 가이드(60a)를 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규제 가이드(60a)의 규제 위치가 축 방향으로 분산되기 때문에 보빈 홀더(42)의 양단부측의 보빈(90) 상에 감기는 복수의 실(91)이 축 방향으로 분산되게 되고 국소적인 두껍게 감김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그에 기인하는 실 끊어짐을 억제할 수 있다. 그 후에 개폐판(81)을 하측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실(91)이 별도의 분사 가이드(85)에 유지된다. 이것을 반복함으로써, 복수의 실(91)의 위치를 축 방향으로 퍼지게 할 수 있다(흐뜨릴 수 있다). 최종적으로, 오퍼레이터는 복수의 실(91)을 개별적으로 분사 가이드(85)에 각각 유지시키도록 하여 각 실(91)이 각 보빈(90)의 축 방향 영역에 하나씩 배치되도록 한다. 또한, 규제 가이드(60a)가 규제 위치에 있기 때문에, 실(91)은 보빈(90)의 축 방향 영역의 외측으로는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축 방향으로 퍼진 실(91)이 보빈(90)으로부터 실이 떨어지는 것이 억제된다.
상술한 작업까지 완료되면, 상측 권취부(10)와 동일하게 하여 하측 권취부(10)의 한쪽 보빈 홀더(42)로의 실걸이 작업을 수행한다.
상측 권취부(10) 및 하측 권취부(10)에 있어서, 모두 상술한 작업까지 완료하면, 오퍼레이터는 상측 권취부(10) 및 하측 권취부(10) 각각에서 조작 패널(32)을 조작하여 터렛 판(40)을 회전 구동시켜 보빈 홀더(42)의 위치 전환 동작을 개시시킨다. 동시에 트래버스 장치(21)의 트래버스 가이드(23)가 정상적인 고속 구동으로 전환된다. 이와 거의 동시에, 상측 권취부(10) 및 하측 권취부(10) 각각에서,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퍼레이터는 개폐 가이드(80)를 회전시켜 원위치로 되돌린다. 바꾸어 말하면, 실 분리 가이드(84) 및 분사 가이드(85)를 퇴피 위치까지 되돌린다. 각 실(91)이 각 보빈(90)의 축 방향 영역에 하나씩 배치된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실 분리 가이드(84) 및 분사 가이드(85)를 퇴피 위치로 하면, 복수의 트래버스 가이드(23)가 각각 실(91)을 유지하게 된다. 실(91)이 트래버스 가이드(23)에 유지되게 되면 규제 가이드(60a)에 의한 실(91)의 규제는 더 이상 불필요해진다. 오퍼레이터는 규제 가이드(60a)를 퇴피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규제 가이드(60a)가 규제 위치에서 퇴피 위치로 이동할 때의 이동 궤적이 분사 위치에 있는 분사 가이드(85)에 간섭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분사 가이드(85)에 간섭하지 않고 규제 가이드(60a)를 퇴피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터렛 판(40)의 회전에 의한 보빈 홀더(42)의 위치 전환에 의해 다른 쪽 보빈 홀더(42)의 보빈(90)이 접촉 롤러(31)와 접촉하고 해당 보빈(90)에 대하여 실(91)이 감겨져 패키지(92)가 제조되게 된다. 또한, 상술한 실걸이 작업을 위해 한쪽 보빈 홀더(42)의 보빈(90)에 감긴 실(91)은 보빈 홀더(42)로부터 보빈(90)째 빠져서 제거된다. 한쪽 보빈 홀더(42)에는 새로운 보빈(90)이 설치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단 개폐 가이드(80)와 하단 개폐 가이드(80)는 동일한 구성이다. 이를 대신하여 상단 개폐 가이드(80)와 하단 개폐 가이드(80)의 구성이 달라도 된다. 예를 들어 상단 개폐 가이드(80)는 도 11에 나타내는 구성이어도 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 이송 롤러(100)에서 하단 권취부(10)까지의 사도는 연직 방향으로 평행 또는 대략 평행인 반면, 실 이송 롤러(100)에서 상단 권취부(10)까지의 사도는 연직 방향에 대하여 비교적 크게 경사져 있다. 그 때문에, 실(91)을 분사 가이드(85)에 건 후에 개폐판(81)을 상하로 회전시켜도 실(91)에 대하여 분사 가이드(85)는 그다지 퇴피되지 않기 때문에 분사 가이드(85)에서 실(91)이 분리되지 않아 실(91)이 축 방향으로 퍼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 점, 도 11에 나타내는 개폐 가이드(80)는 실 분리 가이드(84)와 분사 가이드(85)를 개별적으로 동작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개폐 가이드(80)는 제1 개폐판(81a)과, 제2 개폐판(81b)을 구비한다. 제1 개폐판(81a)과 제2 개폐판(81b)은 개별적으로 레일(83)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개폐판(81a)과 제2 개폐판(81b)은 슬라이드 기능을 생략해도 된다. 제1 개폐판(81a)에는 실 분리 가이드(84)가 설치되어 있다. 제2 개폐판(81b)에는 분사 가이드(85)가 설치되어 있다.
도 11의 상부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 분리 가이드(84)가 실 분리 위치에 있고, 또한 분사 가이드(85)가 분사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실 분리 가이드(84)는 실(91)과 접촉하지만 분사 가이드(85)는 실(91)과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제1 개폐판(81a)를 상하로 회전함으로써, 실(91)을 축 방향으로 퍼지게 할 수 있다. 도 11의 상부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 분리 가이드(84)가 실 분리 위치에 있어도 규제 위치에 있는 규제 가이드(60a)는 사도와 간섭하고 있어 실(91)을 규제할 수 있다.
또한, 실걸이 작업 중에 있어서, 제1 개폐판(81a)은 제1 하우징(20)측으로 회전하고 있고, 실 분리 가이드(84)는 퇴피 위치에 있다. 여기서 도 11의 하부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 분리 가이드(84)가 퇴피 위치에 있어도 규제 위치에 있는 규제 가이드(60a)는 사도와 중첩되어 있다. 따라서 실걸이 작업 중에도 규제 가이드(60a)는 실(91)을 규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제2 실시 형태의 규제 가이드(60b) 및 이동 기구(70b)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후의 설명에서는 전술한 실시 형태와 동일 또는 유사한 부재에는 도면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또,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사항은 모순이 발생하지 않는 한 제2 실시 형태에도 적용된다.
제2 실시 형태는 주로 다음 두 가지 점에서 제1 실시 형태와는 다르다. 첫 번째는 규제 가이드(60b)를 회전시키지 않고 슬라이드시키는 것만으로 규제 가이드(60b)를 규제 위치에서 퇴피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것이다. 두 번째는 오퍼레이터가 조작부(75)를 조작함으로써 규제 가이드(60b)를 슬라이드시키는 것이다.
이하 제2 실시 형태의 규제 가이드(60b) 및 이동 기구(70b)에 대해 설명한다. 규제 가이드(60b)는 제2 하우징(30)의 축 방향의 양측부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2개의 규제 가이드(60b)는 축 방향으로 수직인 면을 사이에 두고 대칭 형상이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2개의 규제 가이드(60b)를 종합하여 설명한다.
규제 가이드(60b)는 설치부(61)와 중도부(62)와 작용부(63)를 구비한다. 설치부(61)는 제1 실시 형태와 대략 동일한 구성이다. 중도부(62)는 설치부(61)와 작용부(63) 사이에 마련된 부분이다. 중도부(62)는 제2 하우징(30)의 표면을 따르는 형상이다. 작용부(63)는 제2 하우징(30)의 표면으로부터 입설하는 방향으로 마련되어 있다. 이에 따라, 작용부(63)는 제1 하우징(20)을 향해 연장되므로, 작용부(63)를 사도와 간섭시킬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의 이동 기구(70b)는 2개의 조작 로드(73)와, 복수의 슬라이드 가이드(74)와, 2개의 조작부(75)를 구비한다. 조작 로드(73)는 축 방향을 따라 마련된 원주상 부재이다. 2개의 조작 로드(73)는 2개의 설치부(61)에 대해 각각 상대 이동 불능으로 고정되어 있다. 즉, 조작 로드(73)는 규제 가이드(60b)와 일체적으로 이동 가능하다.
슬라이드 가이드(74)는 축 방향을 따라 복수개 마련되어 있다. 슬라이드 가이드(74)에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가이드(74)의 관통 구멍에는 조작 로드(73)가 삽통되어 있다. 이에 따라, 규제 가이드(60b) 및 조작 로드(73)는 축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다.
조작부(75)는 슬라이드 가이드(74)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조작부(75)는 오퍼레이터가 파지하기 쉽도록 슬라이드 가이드(74)보다 직경이 큰 구조이다. 오퍼레이터는 조작부(75)를 축 방향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규제 가이드(60b)를 축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시킬 수 있다. 오퍼레이터가 조작하기 쉽도록 2개의 조작부(75)는 축 방향의 같은 측 단부에 마련되어 있다. 조작부(75)가 마련되는 측의 단부는 실 권취기(1) 정면측의 단부이며, 다시 말하면, 조작 패널(32)이 마련되어 있는 측의 단부이다.
도 12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에 조작부(75)가 있는 경우, 2개의 규제 가이드(60b)는 퇴피 위치에 있다. 이때, 2개의 조작부(75)의 축 방향의 위치는 동일하다. 이 상태에서 2개의 규제 가이드(60b)를 쇄선으로 나타내는 규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2개의 조작부(75)를 축 방향의 다른 방향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서도 규제 위치 및 퇴피 위치의 양쪽에서, 작용부(63)는 설치부(61)보다도 축 직교 방향에서의 사도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규제 가이드(60b) 및 이동 기구(70b)를 이용하여 실걸이 작업을 실시하는 공정은 상기 실시 형태와 거의 같기 때문에, 이하의 보충 설명만 하는 것으로 하고 실걸이 작업 전체의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실시 형태에서, 오퍼레이터가 개폐 가이드(80)를 슬라이드시켜 원래의 위치로 되돌릴 때, 실(91)은 규제 가이드(60b)의 작용부(63)의 외측에서 작용부(63)를 넘어 작용부(63)의 내측으로 이동한다. 이 때문에 작용부(63)의 외측 형상은 실(91)을 작용부(63)의 내측으로 유도하기 쉽도록 매끄러운 만곡 형상으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제3 실시 형태의 규제 가이드(60c) 및 이동 기구(70c)에 대해 설명한다. 또,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사항은 모순이 생기지 않는 한 제3 실시 형태에도 적용된다.
제3 실시 형태에서는 규제 가이드(60c)가 규제 위치에서 퇴피 위치로 이동하기 위한 구성이 제1 실시 형태와는 다르다. 규제 가이드(60c) 및 이동 기구(70c)는 제2 하우징(30)의 축 방향의 양측부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2조의 규제 가이드(60c) 및 이동 기구(70c)는 축 방향으로 수직인 면을 사이에 두고 대칭 형상이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2조의 규제 가이드(60c) 및 이동 기구(70c)를 종합하여 설명한다.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 기구(70c)는 슬라이드 레일(71)과, 연결 부재(76)를 구비한다. 슬라이드 레일(71)은 축 방향을 따라 마련된 원주상 부재이다. 연결 부재(76)는 관통 구멍이 형성된 부재이다. 슬라이드 레일(71)은 연결 부재(76)의 관통 구멍을 삽통하고 있고, 연결 부재의 지지축 부재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연결 부재(76)는 슬라이드 레일(71)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다. 또한 슬라이드 레일(71)의 단면이 원형이기 때문에, 연결 부재(76)는 슬라이드 레일(71)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다.
규제 가이드(60c)는 설치부(61)와, 작용부(63)와, 웨이트부(65)를 구비한다. 설치부(61)는 연결 부재(76)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연결 부재(76)에 대한 설치부(61)의 회전 방향은 슬라이드 레일(71)에 대한 연결 부재(76)의 회전 방향과 평행하다. 작용부(63)는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실(91)에 작용하여 실(91)을 규제하는 부분이다. 웨이트부(65)는 설치부(61)을 사이에 두고 작용부(63)의 반대쪽에 마련되어 있다. 웨이트부(65)는 작용부(63)가 하방으로 회전하는 것을 저지한다.
이 구성에 의해, 연결 부재(76)를 슬라이드 레일(71)에 대하여 회전시킴으로써, 규제 가이드(60c)를 사도에 가깝게 하거나 떨어뜨릴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 부재(76)가 슬라이드 레일(71)로부터 축 직교 방향에서의 사도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규제 가이드(60c)를 규제 위치로 할 수 있다. 한편, 연결 부재(76)가 슬라이드 레일(71)로부터 축 직교 방향에서의 사도 반대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경우는 규제 가이드(60c)를 퇴피 위치로 할 수 있다.
또한, 규제 가이드(60c)가 규제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웨이트부(65)가 이동 기구(70c)에 지지됨으로써 작용부(63)를 대략 수평으로 한다. 한편, 규제 가이드(60c)가 퇴피 위치에 있는 경우는 웨이트부(65)가 제2 하우징(30)에 지지됨으로써 작용부(63)를 상방향으로 향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규제 가이드(60c)를 축 직교 방향으로 진퇴시킬 뿐만 아니라, 작용부(63)의 방향에 의해서도 사도로부터 퇴피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규제 위치 및 퇴피 위치 양쪽에서, 작용부(63)는 설치부(61)보다도 축 직교 방향에서의 사도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규제 가이드(60c) 및 이동 기구(70c)를 이용하여 실걸이 작업을 실시하는 공정은 상기 실시 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실 권취기(1)는 실 이송 롤러(100)으로부터 보내진 복수의 실(91)을 복수의 보빈(90)에 각각 감아 패키지(92)를 제조한다. 본 실시 형태의 실 권취기(1)는 보빈 홀더(42)와, 복수의 트래버스 가이드(23)와, 실 분리 가이드(84)와, 규제 가이드(60a, 60b, 60c)와, 이동 기구(70a, 70b, 70c)를 구비한다. 보빈 홀더(42)는 복수의 보빈(90)을 유지한다. 트래버스 가이드(23)는 복수의 실(91)에 각각 접촉하여 실(91)을 보빈 홀더 축 방향으로 트래버스한다. 실 분리 가이드(84)는 복수의 실(91)이 복수의 트래버스 가이드(23)에서 벗어난 상태에서 실(91)을 유지한다. 규제 가이드(60a, 60b, 60c)는 복수의 보빈(90)의 축 방향 영역의 양측부에 대응하도록 각각 배치되어 있고, 실 분리 가이드(84)에 의해 유지된 복수의 실(91)에 대해 실(91)의 보빈 홀더 축 방향의 위치가 보빈 홀더(42)에 유지된 복수의 보빈(90)의 축 방향 영역의 내측이 되도록 실(91)을 규제한다. 이동 기구(70a, 70b, 70c)는 실(91)에 작용하여 실(91)을 규제하는 규제 위치와 규제 위치에서 퇴피한 퇴피 위치와의 사이에서 규제 가이드(60a, 60b, 60c)를 이동 가능하게 한다. 실 분리 가이드(84)는 복수의 실(91)을 유지하는 유지 위치와 유지 위치에서 퇴피한 퇴피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규제 가이드(60a, 60b, 60c) 중, 이동 기구(70a, 70b, 70c)에 설치되는 부분을 설치부(61)로 하고, 실(91)에 작용하는 부분을 작용부(63)로 하고, 실 권취기(1)에 대해 실 이송 롤러(100)가 위치하는 방향을 높이 방향으로 하고, 높이 방향 및 보빈 홀더 축 방향의 양쪽으로 직교하는 방향을 축 직교 방향으로 했을 때, 규제 위치 및 퇴피 위치 양쪽에서, 작용부(63)는 설치부(61)보다도 축 직교 방향에서의 사도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따라, 규제 가이드(60a, 60b, 60c)가 실(91)을 보빈(90)의 축 방향 영역의 내측으로 규제하므로 트래버스 가이드(23)에서 실(91)을 분리한 경우에 있어서의 실(91)의 퍼짐을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실(91)을 보빈 홀더(42)에 거는 실걸이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실(91)의 규제가 불필요해진 경우에는 규제 가이드(60a, 60b, 60c)를 퇴피 위치로 이동시키면 되므로 탈착이 필요한 구성과 비교하여 취급이 용이하다. 또한, 규제 가이드(60a, 60b, 60c)의 자세를 크게 변경하지 않고 규제 위치와 퇴피 위치 사이에서 규제 가이드(60a, 60b, 60c)를 이동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규제 가이드(60a, 60b, 60c)의 이동 궤적이 작아지므로 다른 부재의 배치 공간을 넓게 할 수 있다. 또한 트래버스 장치(21)에서 실(91)을 분리한 경우에 있어서의 실(91)의 퍼짐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실 빠짐이 발생하기 어렵게 된다. 그 결과 실 떨어짐에 기인하는 실 끊어짐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실 권취기(1)에서, 이동 기구(70a, 70b, 70c)는 적어도 복수의 보빈(90)의 축 방향 영역의 내측에서 규제 가이드(60a, 60b, 60c)를 보빈 홀더 축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기 위한 기구를 갖는다.
실걸이 작업 시에서, 규제 위치에 있는 규제 가이드(60a, 60b, 60c)를 슬라이드시킴으로써 규제 가이드(60a, 60b, 60c)에 의해 규제된 실(91)의 권취 위치를 분산시킬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실 권취기(1)에서, 규제 가이드(60a, 60b)가 보빈 홀더 축 방향으로 슬라이딩함으로써 규제 가이드(60a, 60b)의 규제 위치와, 퇴피 위치가 전환된다.
이에 따라, 간단하고 이동 궤적이 작은 동작으로 규제 위치와 퇴피 위치를 전환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실 권취기(1)에서, 규제 가이드(60b)에 대하여 보빈 홀더 축 방향의 단측에 배치됨과 함께 규제 가이드(60b)에 연결되어 있고, 규제 가이드(60b)를 슬라이드시키는 조작이 가능한 조작부(75)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규제 가이드(60b)를 직접 만져서 조작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간단하게 규제 가이드를 슬라이드시킬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실 권취기(1)에서, 규제 가이드(60a)는 높이 방향에서 작용부(63)가 실 이송 롤러(10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작용부(63)가 이동함으로써 규제 위치에서 퇴피 위치로 전환된다.
이에 따라, 다른 장치의 동작에 방해가 되기 어렵다.
본 실시 형태의 실 권취기(1)에서, 이동 기구(70a)는 보빈 홀더 축 방향을 따라 마련됨과 함께 규제 가이드(60a)가 규제 위치를 유지하도록 규제 가이드(60a)를 지지하는 지지 레일(72)을 구비한다. 규제 가이드(60a)는 지지 레일(72)을 따라 보빈 홀더 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다. 지지 레일(72)이 배치된 개소를 넘어 규제 가이드(60a)가 슬라이딩함으로써 규제 위치에서 퇴피 위치로 전환된다.
이에 따라, 슬라이드를 보조하는 부재와, 규제 가이드(60a)를 규제 위치에서 유지하는 부재를 공통화할 수 있다. 또한 규제 위치에서 퇴피 위치로의 전환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실 권취기(1)에서, 이동 기구(70c)는 슬라이드 레일(71)과, 슬라이드 레일(71)과 규제 가이드(60c)와 연결하는 연결 부재(76)를 구비한다. 규제 위치에서는 연결 부재(76)는 슬라이드 레일(71)로부터 축 직교 방향에서의 사도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퇴피 위치에서는 연결 부재(76)는 슬라이드 레일(71)로부터 축 직교 방향에서의 사도 반대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에 따라, 규제 가이드(60c) 자체를 반전시키는 구성과 비교하여 규제 가이드(60c)의 이동 궤적을 작게 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실 권취기(1)는 제1 하우징(20)과, 제2 하우징(30)을 구비한다. 제1 하우징(20)은 트래버스 장치(21)가 배치된다. 제2 하우징(30)은 사도를 사이에 두고 제1 하우징(20)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상기 실 분리 가이드가 상기 제1 하우징에 배치되어 있다. 규제 가이드(60a, 60b, 60c)가 제2 하우징(30)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실 분리 가이드(84)와 규제 가이드(60a, 60b, 60c)를 바람직한 배치로 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실 권취기(1)는 실(91)을 개별적으로 분리하여 복수의 트래버스 가이드(23)의 각각의 트래버스 영역에 유지하는 분사 가이드(85)를 구비한다. 분사 가이드(85)는 복수의 실(91)을 분리하여 유지하는 분사 위치와 분사 위치에서 퇴피한 퇴피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이에 따라, 복수의 실(91)을 규제 가이드(60a, 60b, 60c)로 규제하면서, 복수의 실(91)의 각각을 각 트래버스 가이드(23)의 트래버스 영역으로 유도하여 각 트래버스 가이드(23)와 접촉(계합)시킬 수 있어 실걸이 작업이 용이해진다.
본 실시 형태의 실 권취기(1)에서, 보빈 홀더(42) 상의 복수의 실간 피치가 실 이송 롤러(100) 상의 복수의 실간 피치보다 작다.
보빈 홀더(42) 상의 복수의 실간 피치가 실 이송 롤러(100) 상의 복수의 실간 피치보다 작은 경우, 보빈 홀더(42)에 유지된 복수의 보빈(90)의 축 방향 영역보다도 넓은 범위에 복수의 실(91)이 퍼지기 쉬운 경향이 있으므로 규제 가이드(60a, 60b, 60c)를 구비하는 효과를 유효하게 발휘시킬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는데, 상기 구성은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이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의 실 권취기(1)는 권취부(10)가 상하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이를 대신하여, 권취부(10)가 수평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실 권취기(1)가 구비하는 권취부(10)가 하나뿐이어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의 트래버스 장치(21)는 캠 드럼식이지만 트래버스 가이드(23)를 권폭 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면 다른 구성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트래버스 장치(21)를 대신해 벨트식 트래버스 장치를 이용할 수도 있다.

Claims (10)

  1. 실 이송 롤러로부터 보내진 복수의 실을 복수의 보빈에 각각 감아 패키지를 제조하는 실 권취기로서,
    상기 복수의 보빈을 유지하는 보빈 홀더와,
    복수의 실에 각각 접촉하여 해당 실을 보빈 홀더 축 방향으로 트래버스하는 복수의 트래버스 가이드와,
    복수의 실이 상기 복수의 트래버스 가이드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실을 유지하는 실 분리 가이드와,
    상기 복수의 보빈의 축 방향 영역의 양측부에 대응하도록 각각 배치되어 있고, 상기 실 분리 가이드에 의해 유지된 복수의 실에 대하여, 상기 실의 보빈 홀더 축 방향의 위치가 상기 보빈 홀더에 유지된 상기 복수의 보빈의 축 방향 영역의 내측이 되도록 해당 실을 규제하는 규제 가이드와,
    해당 실에 작용하여 해당 실을 규제하는 규제 위치와, 상기 규제 위치로부터 퇴피한 퇴피 위치 사이에서 상기 규제 가이드를 이동 가능하게 하는 이동 기구
    를 구비하고,
    상기 실 분리 가이드는 복수의 실을 유지하는 유지 위치와, 상기 유지 위치로부터 퇴피한 퇴피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며,
    상기 규제 가이드 중, 상기 이동 기구에 설치되는 부분을 설치부로 하고, 실에 작용하는 부분을 작용부로 하고, 상기 실 권취기에 대하여 상기 실 이송 롤러가 위치하는 방향을 높이 방향으로 하고, 상기 높이 방향 및 상기 보빈 홀더 축 방향의 모두에 직교하는 방향을 축 직교 방향으로 했을 때,
    상기 규제 위치 및 상기 퇴피 위치의 모두에서, 상기 작용부는 상기 설치부보다도 상기 축 직교 방향에서 사도 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권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기구는, 적어도 상기 복수의 보빈의 축 방향 영역의 내측에서 상기 규제 가이드를 상기 보빈 홀더 축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기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권취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 가이드가 상기 보빈 홀더 축 방향으로 슬라이딩함으로써, 상기 규제 가이드의 상기 규제 위치와, 상기 퇴피 위치가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권취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 가이드에 대하여 상기 보빈 홀더 축 방향의 단측에 배치됨과 함께 상기 규제 가이드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규제 가이드를 슬라이딩시키는 조작이 가능한 조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권취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 가이드는, 상기 높이 방향에서 상기 작용부가 상기 실 이송 롤러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상기 이동부가 이동함으로써, 상기 규제 위치로부터 상기 퇴피 위치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권취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기구는, 상기 보빈 홀더 축 방향을 따라 마련됨과 함께 상기 규제 가이드가 상기 규제 위치를 유지하도록 해당 규제 가이드를 지지하는 지지 레일을 구비하고,
    상기 규제 가이드는 상기 지지 레일을 따라 상기 보빈 홀더 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고,
    상기 지지 레일이 배치된 개소를 넘어 상기 규제 가이드가 슬라이딩함으로써, 상기 규제 위치로부터 상기 퇴피 위치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권취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기구는, 지지축 부재와, 해당 지지축 부재와 상기 규제 가이드와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규제 위치에서는,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지지축 부재로부터 상기 축 직교 방향에서 사도 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퇴피 위치에서는,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지지축 부재로부터 상기 축 직교 방향에서 사도의 반대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권취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버스 가이드가 배치된 제1 하우징과,
    사도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향하여 배치된 제2 하우징
    을 구비하고,
    상기 실 분리 가이드가 상기 제1 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규제 가이드가 상기 제2 하우징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권취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실을 개별적으로 분리하여 상기 복수의 트래버스 가이드의 각각의 트래버스 영역에 유지하는 분사 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분사 가이드는, 복수의 실을 분리하여 유지하는 분사 위치와, 상기 분사 위치로부터 퇴피한 퇴피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권취기.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 홀더 상의 복수의 실 간의 피치가 상기 실 이송 롤러 상의 복수의 실 간의 피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권취기.
KR1020230015549A 2022-03-10 2023-02-06 실 권취기 KR2023013319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2037056A JP2023131992A (ja) 2022-03-10 2022-03-10 糸巻取機
JPJP-P-2022-037056 2022-03-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3192A true KR20230133192A (ko) 2023-09-19

Family

ID=85285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5549A KR20230133192A (ko) 2022-03-10 2023-02-06 실 권취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4242155A1 (ko)
JP (1) JP2023131992A (ko)
KR (1) KR20230133192A (ko)
CN (1) CN11673010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6469A (ja) 2002-02-05 2003-08-12 Murata Mach Ltd 糸条巻取機及び糸条巻取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48573A (ja) * 1984-05-25 1985-12-09 Murata Mach Ltd 糸条巻取機
JPS62275977A (ja) * 1986-05-22 1987-11-30 Toray Eng Co Ltd タ−レツト型巻き取り機
EP0410926B1 (de) * 1989-07-24 1995-04-19 Maschinenfabrik Rieter Ag Fadenwechselsystem für Spulmaschinen
EP0650914B1 (en) * 1993-05-13 1998-12-30 Toray Engineering Co., Ltd. Filament winding method and filament winding machine
EP0703179A3 (de) * 1994-08-24 1996-08-21 Rieter Ag Maschf Automatische Spulmaschine und Verfahren zur Übergabe des Fadens von einer vollen Spule an eine leere Hülse
JP2008290819A (ja) * 2007-05-23 2008-12-04 Tmt Machinery Inc 糸条巻取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6469A (ja) 2002-02-05 2003-08-12 Murata Mach Ltd 糸条巻取機及び糸条巻取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730105A (zh) 2023-09-12
JP2023131992A (ja) 2023-09-22
EP4242155A1 (en) 2023-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97732B1 (en) Spinning winder
JP6393206B2 (ja) 糸巻取機
JP6370719B2 (ja) 紡糸引取装置
JP2008297078A (ja) 糸条巻取機
CN110869302B (zh) 卷绕机
JP5065290B2 (ja) 巻取機
JP7014804B2 (ja) 巻取り機
EP1995201A2 (en) Yarn take-up winder
US4313576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simultaneously winding several yarns
EP3357847B1 (en) Yarn winder, spun yarn take-up apparatus, and a method of yarn threading in yarn winder
KR20230133192A (ko) 실 권취기
EP1616829B1 (en) Yarn guide device of revolving type automatic winder
US4230283A (en) Yarn-introducing and take-up device applied to a winding machine
EP1065163A2 (en) Take-up winder and bunch winding method therefor
US9365388B2 (en) Apparatus for continuously winding up a thread
JP6461705B2 (ja) 糸切断装置
JP2000327228A (ja) 巻取機の糸掛装置
JP2012236673A (ja) 糸条巻取機
JP3211766B2 (ja) 紡糸巻取機
CN114929606B (zh) 卷绕机
JP5178461B2 (ja) 紡糸巻取機
JP2023135874A (ja) 糸巻取機
EP3988488B1 (en) Yarn winder
JP2023143807A (ja) 糸巻取機
JP2024038600A (ja) 糸巻取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