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8247A - 양방향 개폐형 자동차 암레스트 - Google Patents
양방향 개폐형 자동차 암레스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38247A KR20230138247A KR1020220036062A KR20220036062A KR20230138247A KR 20230138247 A KR20230138247 A KR 20230138247A KR 1020220036062 A KR1020220036062 A KR 1020220036062A KR 20220036062 A KR20220036062 A KR 20220036062A KR 20230138247 A KR20230138247 A KR 2023013824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inge
- inward
- lid
- release
- lock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2457 bidirection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2
- 206010017577 Gait disturbanc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9—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 B60N2/793—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for use as storage compart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28—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 E05B83/32—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for console boxes, e.g. between passenger seat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05C3/1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8—Interior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방향 개폐 가능한 자동차의 암레스트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센터리드(10)의 양측 단부에는 해제버튼(14a)이 설치되어 전후방향으로 각각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힌지핀(12a)은 센터리드의 전방 및 후방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으로 구성되고, 가로 방향의 직선 운동에 의하여 사이드리드의 내측벽 양측에 성형된 힌지공(13a)에 결합되거나 해제된다. 그리고 해제버튼(14a)이 내측으로 이동하면, 엘보브라켓(15) 및 연동부재(19)를 통하여, 인접한 힌지공에서 힌지핀을 해제시켜 내측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해제버튼이 내측으로 이동하면, 힌지스토퍼(30)에 의하여 힌지공에서 빠져서 내측으로 이동한 힌지핀이 외측으로 이동하지 않고 내측 위치를 유지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차의 암레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암레스트를 전방 또는 후방에서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양방향 개폐형 암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는 콘솔이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이러한 콘솔은 하부에 설치되는 저장박스(Storage box)와, 이러한 저장박스의 상부를 개폐하기 위한 암레스트로 구성된다. 그리고 암레스트는, 하부의 저장박스에 고정되는 양측의 사이드리드와, 이러한 사이드리드 사이에 설치되어 개폐되는 센터리드로 구성된다.
고정된 사이드리드에 대하여, 저장박스 내부의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것은 암레스트의 센터리드라고 할 수 있다. 전통적으로 암레스트는 운전석에서 주로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전방에서 후방으로 일방향으로만 열리도록 구성하였다. 그러나 여러 가지 필요에 의하여, 전방 또는 후방에서 선택적으로 열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한국 실용신안 출원 제20-1994-0031556호(출원일 1994.11.28)와 한국 특허 출원 제10-2004-0097620 (출원일 2004.11.25)호 등으로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선행 특허 문헌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양측으로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제품도 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선행 특허 문헌에 의한 구성은, 상당히 복잡하고 현실적으로 구현하기 어려운 단점이 지적될 수 있다. 또한 전방 또는 후방을 중심으로 선택적으로 암레스트를 개폐하는 경우, 실사용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단점에 대한 보완책은 전혀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양방향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암레스트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양방향 개폐가 가능하면서
본 발명의 자동차의 암레스트는, 저장박스의 상부에 설치되어 열린 상부를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 저장박스의 상부 양측에 고정되는 사이드리드와, 사이드리드에 의하여 지지되며 양방향으로 개폐 가능한 센터리드를 포함한다. 그리고 센터리드의 양측 단부에는 해제버튼이 설치되어 전후방향으로 각각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힌지핀은 센터리드의 전방 및 후방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으로 구성되고, 가로 방향의 직선 운동에 의하여 사이드리드의 내측벽 양측에 성형된 힌지공에 결합되거나 해제된다. 그리고 해제버튼이 내측으로 이동하면, 변환장치가 인접한 힌지공에서 힌지핀을 해제시켜 내측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해제버튼이 내측으로 이동하면, 변환수단에 의하여 힌지공에서 빠져서 내측으로 이동한 힌지핀을 외측으로 이동시키지 않고 내측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유지수단이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의하면, 센터리드가 열린 상태에서 닫히게 되면 유지수단을 해제시켜, 힌지핀을 힌지공에 결합시키는 해제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변환수단에 대한 실시례는, 해제버튼이 내측으로 눌러지면 외측단부가 내측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엘보브라켓, 그리고 엘보브라켓의 외측에 연결되어 엘보브라켓의 회전에 연동하여 가로 방향으로 직선 운동하면서 힌지핀을 가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연동부재로 구성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유지수단에 대한 실시례에 의하면, 연동부재의 일측에 성형된 걸림돌기와, 걸림돌기와 걸리거나 해제되는 걸림아암을 구비하는 힌지스토퍼로 구성되고, 연동부재가 내측으로 이동하면 걸림돌기의 안내면이 걸림돌기의 안내면을 타고 넘어서 걸림돌기의 걸림면이 걸림아암의 걸림면에 걸려서 고정되며, 힌지스토퍼는 이러한 검림상태를 유지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본 발명에서 해제수단에 대한 실시례에 의하면, 힌지스토퍼의 일측에 성형된 해제아암을 포함하고, 해제아암은 센터리드가 닫히면 사이드리드의 돌출부분에 걸려서 힌지스토퍼를 회전시켜서, 걸림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암레스트를 구성하는 센터리드가 사이드리드에 대하여 양방향으로 개폐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센터리드의 양방향 개폐는 차안에서 콘솔을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편의성으로 나타날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례를 살펴보면, 이와 같이 암레스트의 양방향 개폐를 위한 구성이 상대적으로 간단하게 구현되고 있다고 생각된다. 즉, 센터리드의 회동을 담당하는 힌지핀이 중심축으로써의 기능 및 체결상태 유지 기능을 동시에 가지도록 함으로써, 전체적인 구성을 최대한 단순환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도 1은 본 발명 암레스트의 양측 개폐를 설명하는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 암레스트의 센터리드 내부 구조를 보인 예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암레스트의 체결상태 및 해제상태를 보인 부분 예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암레스트의 센터리드 내부 구조를 보인 예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암레스트의 체결상태 및 해제상태를 보인 부분 예시 사시도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례를 기준으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차에서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설치되는 콘솔은, 저장 공간이라고 할 수 있는 저장박스(S)와, 저장박스의 상단 열린 부분을 개폐하기 위한 암레스트(A)로 구성된다. 암레스트(A)는 저장박스(S)의 상부에 설치되어, 저장박스(S)의 저장 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된다.
그리고 암레스트(A)는, 저장박스(S)의 개폐를 위한 센터리드(10)와, 센터리드(10)의 개폐를 지지하도록 저장박스(S)에 고정되는 양측 한 쌍의 사이드리드(20)로 구성되고 있다. 본 발명의 암레스트(A)는 센터리드(10)가 전후방향의 양방향으로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것에 더욱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고, 도 1에서 (a)는 후방으로 열리는 센터리드(10)를, 그리고 (b)는 전방으로 열리는 센터리드(10)를 예시적으로 보이고 있다.
여기서 전후방으로 선택적으로 개폐된다는 것은, 양측방으로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것과 실질적으로는 동일한 의미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암레스트(A)의 센터리드(10)가 양방향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센터리드(10)의 전후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해제버튼(14a,14b) 중의 어느 하나가 눌러지면, 사이드리드(20)에 대한 센터리드(10)의 일측 체결이 해제되면서 센터리드(10)가 일정 구간 열리게 된다.
예를 들면 도 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터리드(10)가 후방으로 열리는 것은, 전방의 해제버튼(14a)이 눌러져서 센터리드(10)의 전방힌지핀(12a)이 사이드리드(10)의 전방힌지공(13a)에서 분리된 상태이고, 후방힌지핀(12b)이 사이드리드(20)의 후방힌지공(13b)에 결합된 상태이다. 그리고 도 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터리드(10)가 전방으로 열리는 것은 그 반대의 경우이다.
이러한 전방힌지핀(12a) 및 후방힌지핀(12b)은 센터리드(10)의 전방 및 후방의 양측에 각각 한 쌍으로 배치되어 있고, 가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고 있다. 그리고 센터리드(10)의 전후에는 해제버튼(14a,14b)이 각각 설치되어 있는데, 여기서 전방 해제버튼(14a)은 한 쌍의 전방힌지핀(12a)을 서로 근접하는 내측으로 잡아 당김으로써 전방힌지공(13a)에서 해제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후방 해제버튼(14b)은 한 쌍의 후방힌지핀(12b)을 서로 근접하는 내측으로 잡아 당김으로써 후방힌지공(13b)에서 빠져나오도록 한다. 이러한 전방힌지핀(12a) 및 후방힌지핀(12b)의 가로 방향 이동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에는 도 2를 참조하면서, 상술한 해제버튼(14a,14b)과 힌지핀(12a,12b)의 연결 관계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전방힌지핀(12a) 주변의 구성을 대표적으로 도시하고 있고, 후방힌지핀(12b)의 구성도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이하의 설명에서는 전방힌지핀 및 전방힌지공을 대표적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 힌지공은 사이드리드의 내측면에 성형되어 있고, 이러한 힌지공에 결합되거나 해제되는 힌지핀 및 힌지핀과관련된 주변 구성은 센터리드에 설치되나.
전방 해제버튼(14a)은 전후 방향으로 누를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고,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전방힌지핀(12a)은 가로 방향(해제버튼의 전후 방향에 대하여 90도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선형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있다. 여기서 전방 해제버튼(14a)은 그것을 감싸도록 센터리드에 설치되어 있는 관형상의 가이드(17)에 의하여 전후방 직선 이동이 가이드되도록 지지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좌우 한 쌍의 전방힌지핀(12a)은 사이드리드(20)의 내측벽에 성형되어 있는 전방힌지공(13a)에 각각 삽입되거나 빠져나오도록 직선 왕복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례에서, 한 쌍의 전방힌지핀(12a)은 각각 그 내측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연동부재(19)와 핀 연결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례에서, 전방힌지핀(12a)은 센터리드(10) 내측에 고정되어 있는 관형상의 가이드(19a) 내부에서 좌우 이동 가능한 연동부재(19)에 연결되어 있다. 전방 해제버튼(14a)을 누르게 되면, 전방 해제버튼(14a)의 내부 양측와 연결되는 한 쌍의 엘보브라켓(15)가 중심축(Ha)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2에서 좌측의 엘보브라켓(15)은 시계 방향으로, 그리고 우측의 엘보브라켓(15)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엘보브라켓(15)은 각각 스프링(17)에 의하여 일방향으로 힘을 받고 있는데, 이는 각각의 엘보브라켓(15)의 외측단부(15a)가 외측으로 회전하는 방향이다. 즉, 도 2를 기준으로 우측의 엘보브라켓(15)은 시계방향으로, 좌측의 엘보브라켓(15)은 반시계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있다.
여기서 엘보브라켓(15)이 전방 해제버튼(14a)와 직접 연결되어 회전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전방 해제버튼(14a)과 같은 방향으로 연동하는 연동플레이트(15)에 의하여 회전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한 쌍의 엘보브라켓(15)의 내측단부는, 전방 해제버튼(14a) 또는 연동플레이트(15)의 내부 좌우측과 핀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내측으로 눌러지는 전방 해제버튼(14a)의 직선 이동에 따라서 연동플레이트(15)도 같은 방향으로 직선 운동한다.
이러한 연동플레이트(15)의 직선 운동에 의하여, 엘보브라켓(15)은 회전하게 된다. 엘보브라켓(15)의 회전에 따라서 그 외측단부(15a)는 각각 내측으로(외측단부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엘보브라켓(15)의 외측단부(15a)와 핀연결된 연동부재(19)도 같이 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연동부재(19)는 전방힌지핀(12a)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한 쌍의 연동부재(19)가 내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한 쌍의 전방힌지핀(12a)도 같이 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 쌍의 전방힌지핀(12a)이 각각 내측으로 이동하면 실질적으로 사이드리드(20)의 내측벽에 형성된 전방힌지공(13a)과의 결합이 해제된다. 전방힌지핀(12a)이 힌지공(52a)에서 해제되면, 실질적으로 고정된 사이드리드(20)에 대하여 센터리드(10)가 움직일 수 있는 상태로 된다. 즉, 이러한 상태는 전방힌지핀(12a)이 전방힌지공(13a)에서 분리된 상태이고, 후방힌지핀(12b)이 후방힌지공(13b)에 결합된 상태인 것이다.
따라서 센터리드(10)는 후방힌지핀(12b)을 기준으로 하여, 전방에서 후방으로 열릴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와 반대로 후방힌지핀(12b)이 후방힌지공(13b)에서 결합상태가 해제되고, 전방힌지핀(12a)이 전방힌지공(13a)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센터리드(10)가 후방에서 전방으로 열릴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실질적으로 모든 힌지핀(12a,12b)과 힌지공(13a,13b)의 결합 및 해제를 위한 구성은 상술한 바와 완전히 동일하다.
그리고 내측으로 이동한 한 쌍의 힌지핀(12a)은 내측에서 멈춘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이렇게 힌지핀(12a)이 내측에서 멈춘 상태에서 다시 센터리드(10)가 닫히게 되면 힌지핀(12a)은 다시 외측으로 이동하여 힌지공(13a)에 결합된 상태가 되어야 한다. 즉, 해제버튼(14a,14b)을 눌러 힌지핀이 힌지공에서 해제된 상태가 센터리드(10)가 열려 있는 시간 동안 유지되어야 하고, 닫히게 되면 다시 힌지핀이 힌지공에 결합되어야 하는 것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힌지핀(12a)은 연동부재(19)와 연동함은 상술한 바와 같다. 연동부재(19)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는 걸림돌기(19b)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걸림돌기(19b)는 외측에 형성되는 걸림면(19c)과, 내측에 형성되는 경사면 또는 완만한 곡면으로 구성되는 안내면(19d)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동부재(19)에 인접한 위치에 힌지스토퍼(30)가 설치되어 있다. 힌지스토퍼(30)는 전후방향의 지지축(30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힌지스토퍼(30)는 걸림돌기(19b) 측으로 연장된 걸림아암(3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힌지스토퍼(30)는 걸림아암(32)의 반대측(사이드리드 방향)으로 연장된 해제아암(3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걸림아암(32)은 걸릴돌기(19) 측에 형성되는 경사면 또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안내면(32b)과, 안내면(32b)보다 내측에 형성된 수직의 걸림면(32a)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힌지스토퍼(30)는 스프링(토션스프링)(39)에 의하여 항상 걸림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된다. 즉, 상술한 동작에 의하여 힌지핀(12a)가 힌지공(13a)에서 빠지면서 내측으로 들어오면 이와 같이 연동부재(19)도 내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연동부재(19)는 관형상의 가이드(19a)에 의하여 직선 이동이 가이드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힌지스토퍼(30)의 걸림아암(32)과 연동부재(19)의 걸림돌기(19b)는 서로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연동부재(19)의 내측 이동에 따라서 걸림돌기(19b)의 안내면(19d)이 걸림아암(32)의 안내면(32b)에 접촉하면서 힘을 가하여 힌지스토퍼(30)을 지지축(30a)를 중심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연동부재(19)는 걸림아암(32)을 회전시키면서 타고 넘는 방식으로 나타날 것이다.
또한 걸림아암(32)을 가지는 힌지스토퍼(30)의 위와 같은 회전은, 실질적으로 스프링(39)의 힘에 대항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걸림돌기(19)가 걸림아암(32)을 타고 넘게 되면, 스프링(39)의 탄성력에 의하여 걸림아암(32)은 그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걸림돌기(19b)의 걸림면(19c)이 걸림아암(32)의 걸림면(32a)에 걸리게 된다.
이러한 걸림면(19c)와 걸림면(32a)은 도시한 실시례에서와 같이 서로 걸릴 수 있는 수직면으로 성형되어 있고, 힌지스토퍼(30)의 걸림아암(32)은 스프링(39)에 의하여 걸림상태를 유지하는 상방으로 받고 있다. 따라서 걸림돌기(19)의 걸림면(19c)과 걸림아암(32)의 걸림면(32a)은 외력이 없는 한 걸림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힌지핀(12a)이 힌지공(13a)에서 빠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이러한 상태는 실질적으로 센터리드(10)가 열린 상태를 유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렇게 힌지핀(12a)이 내측으로 이동하여 힌지공에 체결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해야만, 센터리드(10)가 닫힐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힌지핀(12a)이 힌지공에서 이탈하여 센터리드(10)가 열린 상태가 도 3의 (a)에 도시되어 있다.
이렇게 열린 상태의 센터리드(10)를 닫기 위해서는 하방으로 내려야 한다. 센터리드(10)가 하방으로 내려오면 힌지스토퍼(30)도 같이 하방으로 내려오게 된다. 센터리드(10)가 대략 수평상태까지 내려오게 되면, 힌지스토퍼(30)의 해제아암(34) 사이드리드(20)의 돌출부분(29)에 부딪혀서 힌지스토퍼(30)가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힌지스토퍼(30)의 회전방향은,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아암(32)가 하강하는 방향이다.
걸림아암(32)가 하강하게 되면, 걸림면(32b)이 하강하게 되어 걸림아암(32)과 연동부재(19)의 걸림상태가 해제된다. 걸림상태가 해제되면, 연동부재(19)는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는 상태이다. 여기서 도 2를 참조하면, 연동부재(19)와 핀연결된 엘보브라켓(15)의 외측단부(15a)는 스프링(15s)에 의하여 항상 외측(연동부재 또는 힌지핀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힌지스토퍼(30)의 걸림아암(32)과 연동부재(19)의 걸림돌기(19b)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면, 스프링(15s)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연동부재(19)는 외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연동부재(19)의 외측 이동은 실질적으로 힌지핀(12a)을 외측으로 이동시켜 힌지공(13a)에 들어가도록 한다. 즉, 센터리드(10)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닫히게 되면, 걸림아암(32)과 걸림돌기(19b)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면서 힌지핀(12a)이 힌지공(13a) 속으로 들어가게 되는 것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한 위 설명은 하나의 힌지핀을 통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다. 이와 같이 힌지핀(12a)과 힌지공(13a)의 관련 구조 및 동작은 실제로는 한 쌍의 전방힌지핀 및 한 쌍의 후방힌지핀에 같이 적용되는 것이다. 따라서 예를 들어 한 쌍의 전방힌지핀이 전방힌지공에서 해제되면, 후방힌지핀을 중심축으로 하여 센터리드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열리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임은 특허법의 규정상 당연한 것이라고 할 것이다.
A ..... 암레스트
S ..... 저장박스
10 .... 센터리드
12 ..... 해제버튼
15 ..... 엘보브라켓
15a ..... 외측단부
19 ..... 연동부재
19a ..... 가이드
19b ..... 걸림돌기
19c ..... 걸림면
19d ..... 안내면
20 ..... 사이드리드
30 ..... 힌지스토퍼
30a ..... 지지축
32 ..... 걸림아암
32a ..... 걸림면
32b ..... 안내면
34 ..... 해제아암
S ..... 저장박스
10 .... 센터리드
12 ..... 해제버튼
15 ..... 엘보브라켓
15a ..... 외측단부
19 ..... 연동부재
19a ..... 가이드
19b ..... 걸림돌기
19c ..... 걸림면
19d ..... 안내면
20 ..... 사이드리드
30 ..... 힌지스토퍼
30a ..... 지지축
32 ..... 걸림아암
32a ..... 걸림면
32b ..... 안내면
34 ..... 해제아암
Claims (5)
- 저장박스의 상부에 설치되어 열린 상부를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 저장박스의 상부 양측에 고정되는 사이드리드와, 사이드리드에 의하여 지지되며 양방향으로 개폐 가능한 센터리드를 포함하는 것으로;
센터리드의 양측 단부에 설치되고, 전후방향으로 각각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한 쌍의 해제버튼과;
센터리드의 전방 및 후방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으로 구성되고, 가로 방향의 직선 운동에 의하여 사이드리드의 내측벽 양측에 성형된 힌지공에 결합되거나 해제되는 힌지핀;
해제버튼이 내측으로 이동하면, 인접한 힌지공에서 힌지핀을 해제시켜 내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변환수단; 그리고
해제버튼이 내측으로 이동하면, 변환수단에 의하여 힌지공에서 빠져서 내측으로 이동한 힌지핀을 외측으로 이동시키지 않고 내측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유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양방향 개폐형 자동차 암레스트.
- 제 1 항에 있어서, 센터리드가 열린 상태에서 닫히게 되면 유지수단을 해제시켜, 힌지핀을 힌지공에 결합시키는 해제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양방향 개폐형 자동차 암레스트.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변환수단은, 해제버튼이 내측으로 눌러지면 외측단부가 내측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엘보브라켓, 그리고 엘보브라켓의 외측에 연결되어 엘보브라켓의 회전에 연동하여 가로 방향으로 직선 운동하면서 힌지핀을 가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연동부재로 구성되는 양방향 개폐형 자동차 암레스트.
- 제 3 항에 있어서, 유지수단은 연동부재의 일측에 성형된 걸림돌기와, 걸림돌기와 걸리거나 해제되는 걸림아암을 구비하는 힌지스토퍼로 구성되고, 연동부재가 내측으로 이동하면 걸림돌기의 안내면이 걸림돌기의 안내면을 타고 넘어서 걸림돌기의 걸림면이 걸림아암의 걸림면에 걸려서 고정되며, 힌지스토퍼는 이러한 검림상태를 유지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양방향 개폐형 자동차 암레스트.
- 제 4 항에 있어서, 해제수단은 힌지스토퍼의 일측에 성형된 해제아암을 포함하고, 해제아암은 센터리드가 닫히면 사이드리드의 돌출부분에 걸려서 힌지스토퍼를 회전시켜서, 걸림상태를 해제하는 양방향 개폐형 자동차 암레스트.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36062A KR102624617B1 (ko) | 2022-03-23 | 2022-03-23 | 양방향 개폐형 자동차 암레스트 |
US17/851,414 US20230302977A1 (en) | 2022-03-23 | 2022-06-28 | Vehicle armrest of bidirectionally opened and closed typ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36062A KR102624617B1 (ko) | 2022-03-23 | 2022-03-23 | 양방향 개폐형 자동차 암레스트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38247A true KR20230138247A (ko) | 2023-10-05 |
KR102624617B1 KR102624617B1 (ko) | 2024-01-12 |
Family
ID=88095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36062A KR102624617B1 (ko) | 2022-03-23 | 2022-03-23 | 양방향 개폐형 자동차 암레스트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20230302977A1 (ko) |
KR (1) | KR102624617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75243B1 (ko) * | 2022-03-23 | 2024-06-14 | 카이엠 주식회사 | 자동차용 콘솔 개폐장치 |
USD1024915S1 (en) * | 2022-12-12 | 2024-04-30 | Shenzhen Yinglaifa Technology Co., Ltd. | Storage box for car armrest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60017004U (ko) * | 1994-11-28 | 1996-06-1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자동차용 콘솔 암레스트 개폐기구 |
KR19980023502U (ko) * | 1996-10-31 | 1998-07-25 | 양재신 | 차량의 양방향 오픈식 콘솔박스 |
KR200150401Y1 (ko) * | 1993-10-11 | 1999-07-01 | 정몽규 | 트레이의 록킹장치 |
KR20020045064A (ko) * | 2000-12-07 | 2002-06-19 | 이계안 | 자동차용 콘솔 암레스트 록킹장치 |
KR20020096712A (ko) * | 2001-06-21 | 2002-12-31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자동차의 콘솔 박스 잠금 장치 |
KR20060058543A (ko) * | 2004-11-25 | 2006-05-3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콘솔박스의 콘솔커버 양방향 개폐장치 |
JP2015014123A (ja) * | 2013-07-04 | 2015-01-22 |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 車両用内装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431365B2 (en) * | 2005-09-28 | 2008-10-07 | International Automotive Components Group North America, Inc. | Console assembly for a vehicle |
JP4480036B2 (ja) * | 2007-09-10 | 2010-06-16 | 森六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 アームレストの取付け構造 |
KR101092782B1 (ko) * | 2009-06-01 | 2011-12-0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자동차용 콘솔 박스 |
US10220749B2 (en) * | 2017-02-08 | 2019-03-05 | Honda Motor Co., Ltd. | Center console with dual rotating covers |
US10519704B2 (en) * | 2018-04-20 | 2019-12-31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Glove box assembly with living hinge and methods of installing the same |
US11654831B2 (en) * | 2020-12-02 | 2023-05-23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Console assembly for a vehicle |
-
2022
- 2022-03-23 KR KR1020220036062A patent/KR10262461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2-06-28 US US17/851,414 patent/US20230302977A1/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50401Y1 (ko) * | 1993-10-11 | 1999-07-01 | 정몽규 | 트레이의 록킹장치 |
KR960017004U (ko) * | 1994-11-28 | 1996-06-1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자동차용 콘솔 암레스트 개폐기구 |
KR19980023502U (ko) * | 1996-10-31 | 1998-07-25 | 양재신 | 차량의 양방향 오픈식 콘솔박스 |
KR20020045064A (ko) * | 2000-12-07 | 2002-06-19 | 이계안 | 자동차용 콘솔 암레스트 록킹장치 |
KR20020096712A (ko) * | 2001-06-21 | 2002-12-31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자동차의 콘솔 박스 잠금 장치 |
KR20060058543A (ko) * | 2004-11-25 | 2006-05-3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콘솔박스의 콘솔커버 양방향 개폐장치 |
JP2015014123A (ja) * | 2013-07-04 | 2015-01-22 |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 車両用内装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24617B1 (ko) | 2024-01-12 |
US20230302977A1 (en) | 2023-09-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624617B1 (ko) | 양방향 개폐형 자동차 암레스트 | |
JP5788253B2 (ja) | ロック装置 | |
JP4711440B2 (ja) | キャブの前窓ロック装置 | |
JPH04238982A (ja) | 自動車のコンソールボックス用等の両開き開閉装置 | |
US20100154309A1 (en) | Door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and door opening and closing system | |
JPH05338496A (ja) | 蓋開閉装置 | |
JPH04224431A (ja) | 車両用収納ボックスのリッド開閉装置 | |
JP5756360B2 (ja) | ロック装置 | |
US4486041A (en) | Door handle unit | |
JP5108441B2 (ja) | リッド開閉機構 | |
JP3889180B2 (ja) | 引上げ開放式窓の構造 | |
KR20230171221A (ko) | 마찰힌지를 구비하는 양방향 개폐형 자동차 암레스트 | |
JP5222182B2 (ja) | アームレスト | |
JP5551536B2 (ja) | 収納ボックス | |
JP5965727B2 (ja) | ロック機構 | |
JP2007145165A (ja) | 収納ボックス | |
JP5122926B2 (ja) | リッド開閉機構 | |
CN104769198B (zh) | 车辆用门锁装置 | |
JP3870335B2 (ja) | ルーバ用開閉操作装置 | |
JP6973337B2 (ja) | 観音開き型リッド装置 | |
JP5450721B2 (ja) | リッド開閉機構 | |
JP5634239B2 (ja) | 引上げ開放式窓のロック装置 | |
JP2010143548A (ja) | コンソールリッドの開閉構造及びコンソールボックス | |
JP5335119B2 (ja) | リッド開閉機構 | |
JP5252637B2 (ja) | コンソールボックス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