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0401Y1 - 트레이의 록킹장치 - Google Patents

트레이의 록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0401Y1
KR200150401Y1 KR2019930020774U KR930020774U KR200150401Y1 KR 200150401 Y1 KR200150401 Y1 KR 200150401Y1 KR 2019930020774 U KR2019930020774 U KR 2019930020774U KR 930020774 U KR930020774 U KR 930020774U KR 200150401 Y1 KR200150401 Y1 KR 2001504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button
locking
locker
guid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07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1813U (ko
Inventor
김종배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300207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0401Y1/ko
Publication of KR9500118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181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04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04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28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8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 E05C1/1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latch

Landscapes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예를 들면, 자동차의 콘솔박스, 애시트레이, 드링크 홀더, 글로브박스 등의 트레이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버튼을 누름에 따라 레버와 연결된 록커가 트레이를 해제시켜 트레이를 오픈되게 하는 원-터치 방식의 트레이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트레이를 수납하는 하우징의 상부에 형성된 록킹케이스에 상, 하부를 관통하는 안내공을 형성하는 한편 그 양측면에는 가이드장공을 형성하고, 록킹케이스 내에 스프링과 함께 삽입되는 버튼의 수직방향으로 안내장공을 천공하고 그 양측면에는 경사홈을 천공하여 경사단부를 갖는 록커를 상기 록킹케이스의 안내공과 버튼의 안내장공에 삽입하되, 핀을 가이드장공과 경사홈을 통해 록커와 연결하여 버튼을 수평방향에서 누르게 되면, 록커와 연결된 핀이 경사홈을 따라 이동하여 핀과 연결된 록커가 상방향으로 수직이동하여 트레이에 형성된 걸립턱에서 해제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트레이(TRAY)의 록킹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록킹장치의 전체구성을 보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예시한 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록킹케이스 12 : 록커
12a : 경사단부 14 : 안내공
16 : 가이드장공 18 : 핀
20 : 리턴스프링 22 : 버튼
24 : 안내공장 26 : 경사홈
30 : 트레이 32 : 걸림턱
40 : 하우징
본 고안은 예를 들면, 자동차의 콘솔박스, 애시트레이, 드링크 홀더, 글로브박스 등의 트레이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버튼을 누름에 따라 버튼의 경사홈에 핀으로 연결된 록커가 트레이를 해제시켜 트레이를 오픈되게 하는 원-터치 방식의 트레이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자동차에는 기능을 달리하는 각종 트레이가 수납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를테면, 애시트레이와 같은 경우에는 트레이의 전면에 손가락을 넣을 수 있는 요홈이 마련되어, 이 요홈에 손가락을 끼어 트레이를 하우징에서 오픈시키거나 또는 클로즈시키게 되어 있는 것과, 또는 트레이의 전면 상단에 록킹장치를 형성하여 레버를 당김에 따라 록커가 하우징에서 해제되어 트레이를 오픈시키게 되는 것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트레이들은 반드시 트레이의 전면에 형성된 요홈 또는 레버를 이용하여 트레이를 오픈시키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트레이의 전면에는 어떠한 형태로든 트레니를 열 수 있는 구조를 가지게 되는데, 이와 같은 사실 때문에 트레이의 전면미관을 단순화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고, 더욱이 트레이의 오픈형태가 당기는 수단을 갖기 때문에 원활한 오픈을 기대할 수 없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 트레이의 오픈형태를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된 버튼에 의해 오픈되도록 하여 트레이의 전면에는 아무런 오픈수단을 갖지 않게 하고, 상기 버튼에 의한 원-터치 방식의 록킹수단에 의해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트레이의 록킹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우징(40)에 수납되는 트레이(30)를 인출 또는 록킹시키기 위한 록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40)의 내측에 설치되되, 전면이 개방되며, 상, 하면을 관통하는 안내공(14)이 형성되고, 그 양측면에는 수직으로 연장되는 가이드장공(16)이 형성되는 록킹케이스(10)와; 상기 록킹케이스(10)의 내측에 탄력적으로 설치되며, 상, 하면을 관통하는 안내장공(24)이 형성되고, 그 양측면에는 경사홈(26)이 형성되는 버튼(22)과; 상기 록킹케이스(10)의 가이드장공(16)과 버튼(22)의 경사홈(26)을 차례로 관통한체, 끼워지며, 그 양측 단부는 상기 가이드장공(16)의 하면에 각각 안착되는 핀(18)과; 상기 록킹케이스(10)의 안내공(14)과 버튼(22)의 안내장공(24)으로 삽입되며, 측면에는 상기 핀(18)이 관통되는 끼움홀이 형성되어, 상기 핀(18)에 의해 록킹케이스(10)에 지지되며, 그 하부에 형성된 경사단부(12a)가 상기 하우징(40)을 관통하여 상기 트레이(30)에 형성된 걸림턱(32)에 걸리는 록커(12); 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록킹장치의 전체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예시한 작동상태도이다.
본 고안의 록킹장치는 록킹케이스(10), 버튼(22), 록커(12), 핀(18) 및 리턴스프링(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록킹케이스(10)는 트레이(30)가 수납되는 하우징(40)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40)에는 트레이(30)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납공간의 상측 벽면 내부에 록킹케이스(10)가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록킹케이스(10)는 전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상, 하면에는 사각의 안내공(14)이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록킹케이스(10)의 좌우측 벽면에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장공(16)이 동일한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록킹케이스(10)의 내측으로 상기 버튼(22)이 삽입되며, 상기 록킹케이스(10)의 후방측 벽면과 상기 버튼(22) 사이에는 리턴스프링(20)이 탄설된다. 또한 상기 버튼(22)에는, 상, 하면을 관통하며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사각의 안내장공(24)이 형성되고, 그 양측면에는 일정각도만큼 기울어진 경사홈(26)이 상기 안내장공(24)과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록커(12)는 록킹케이스(10)의 안내공(14)과 버튼(22)의 안내장공(24) 및 하우징(40)을 차례로 관통하며, 그 하단부에 형성된 경사단부(12a)가 상기 하우징(40)의 수납공간으로 돌출된다. 이같은 록커(12)의 측면에는 관통홈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핀(18)이 록킹케이스(10)의 가이드장공(16)과 버튼(22)의 경사홈(26) 및 록커(12)의 관통홈을 차례로 관통하고, 그 양측 단부는 상기 록킹케이스(10)의 가이드장공(16) 하면에 안착된다. 이에 따라 상기 록커(12)는 상기 록킹케이스(10)의 하방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 되면서 록킹케이스(10)에 걸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하우징(40)의 수납공간으로 돌출된 록커(12)의 경사단부(12a)에 트레이(30)의 걸림턱(32)이 걸리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a도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30)가 하우징(40)내로 인입되어 있을 경우에는 록커(12)의 자중에 의한 하향동작에 따라 핀(18)은 록킹케이스(10)의 가이드장공(16) 및 버튼(22)의 경사홈(26) 최하단에 위치하게 된다.
이같은 상태에서 버튼(22)을 화살표 방향으로 누르게 되면, 버튼(22)은 리턴스프링(20)의 탄성력을 이기고 록킹케이스(10)의 내측으로 밀려 들어가게 된다. 이때 상기 핀(18)은 버튼(22)의 후진되는 힘에 의해 상기 버튼(22)의 경사홈(26)을 따라 상향으로 슬라이딩되며, 이에 따라 상기 핀(18)은 록킹케이스(10)의 가이드장공(16)을 따라 상측으로 수직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핀(18)이 상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핀(18)과 결합된 록커(12)가 수직으로 상향되면서 상기 록킹케이스(10)의 안내공(14) 외측으로 인출되고, 상기 록커(12)의 경사단부(12a)는 트레이(30)의 걸림턱(32)에 대한 로킹동작을 해제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트레이(30)는 로킹이 해제되면서 하우징(40) 내에 형성된 스프링(도시되지 않았음)의 탄발력에 의해 슬라이딩 되면서 오픈되는 것이다.
또한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30)가 오픈된 후 상기 버튼(22)을 누르던 힘을 해제하게 되면, 상기 버튼(22)은 리턴스프링(20)의 탄성력에 의해 전진된다. 이때 핀(18)은 버튼(22)의 전진하는 힘에 의해 경하홈(26)을 따라 하향으로 슬라이딩되며, 이에 따라 상기 핀(18)은 록킹케이스(10)의 가이드장공(16)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하향이동된다. 이와 같이 핀(18)이 하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핀(18)과 결합된 록커(12)는 하향되어 경사단부(12a)가 하우징(40)의 수납공간으로 돌출된 초기상태로 복귀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오픈된 트레이(30)를 닫는 경우에는,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레이(30)를 하우징(40)에 설치된 스프링보다 강한 힘으로 밀어 하우징(40) 내측으로 후진시킨다. 이같이 후진되던 트레이(30)이 걸림턱(32)이 록커(12)의 경사단부(12a)에 이르러 경사단부(12a)를 밀게되고, 상기 경사단부(12a)는 그 힘에 의해 상기 트레이(30)의 걸림턱(32)을 따라 미끄럼동작되면서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록커(12)가 상향되면, 핀(18)이 록킹케이스(10)의 가이드장공(16)을 따라 수직으로 상향됨과 함께 버튼(22)의 경사홈(26)을 따라 상향되므로, 상기 버튼(22)은 리턴스프링(20)의 탄성력을 이기면서 후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30)이 걸림턱(32)이 록커(12)의 경사단부(12a)를 완전히 지나치게 되면, 버튼(22)은 리턴스프링(20)의 탄성력에 의해 전진하게 되고, 록커(12)는 위에서 서술한 트레이(30) 오픈시에서와 같이 동작되면서 하우징(40)의 수납공간으로 록커(12)의 경사단부(12a)가 돌출된다. 이같이 수납공간으로 돌출된 록커(12)의 경사단부(12a)에 트레이(30)의 걸림턱(32)이 걸리게 되므로 트레이(30)는 하우징(40)의 수납공간 내에 로킹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의 설명에서는 트레이가 수평방향으로 전, 후 이동하는 트레이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여기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글로브 박스와 같이 트레이가 힌지핀을 중심으로 하여 오픈되는 형태에도 가능한데, 이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트레이의 회전각도를 고려하여 하우징을 변경하면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트레이의 록킹장치는 버튼을 누르는 동작만으로 트레이의 오픈이 가능하여 사용하기에 매우 편리하고 특히 운전중에 트레이의 사용에 따른 조작의 간편함을 갖게 되어 안전운전에 도움을 주는 매우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1)

  1. 하우징(40)에 수납되는 트레이(30)를 인출 또는 록킹시키기 위한 록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40)의 내측에 설치되되, 전면이 개방되며, 상, 하면을 관통하는 안내공(14)이 형성되고, 그 양측면에는 수직으로 연장되는 가이드장공(16)이 형성되는 록킹케이스(10)와; 상기 록킹케이스(10)의 내측에 탄력적으로 설치되며, 상, 하면을 관통하는 안내장공(24)이 형성되고, 그 양측면에는 경사홈(26)이 형성되는 버튼 (22)과; 상기 록킹케이스(10)의 가이드장공(16)과 버튼(22)의 경사홈(26)을 차례로 관통한체 끼워지며, 그 양측 단부는 상기 가이드장공(16)의 하면에 각각 안착되는 핀(18)과; 상기 록킹케이스(10)의 안내공(14)과 버튼(22)의 안내장공(24)으로 삽입되며, 측면에는 상기 핀(18)이 관통되는 끼움홀이 형성되어, 상기 핀(18)에 의해 록킹케이스(10)에 지지되며, 그 하부에 형성된 경사단부(12a)가 상기 하우징(40)을 관통하여 상기 트레이(30)에 형성된 걸림턱(32)에 걸리는 록커(12);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의 록킹장치.
KR2019930020774U 1993-10-11 1993-10-11 트레이의 록킹장치 KR2001504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0774U KR200150401Y1 (ko) 1993-10-11 1993-10-11 트레이의 록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0774U KR200150401Y1 (ko) 1993-10-11 1993-10-11 트레이의 록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1813U KR950011813U (ko) 1995-05-16
KR200150401Y1 true KR200150401Y1 (ko) 1999-07-01

Family

ID=19365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0774U KR200150401Y1 (ko) 1993-10-11 1993-10-11 트레이의 록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040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069B1 (ko) * 2007-01-02 2008-03-07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용 덮개 록킹장치
KR102226822B1 (ko) * 2019-10-17 2021-03-11 우진글로벌 주식회사 창호용 잠금 장치
KR20230138247A (ko) * 2022-03-23 2023-10-05 주식회사 대유이피 양방향 개폐형 자동차 암레스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907B1 (ko) * 2006-10-18 2008-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트레이의 잠금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069B1 (ko) * 2007-01-02 2008-03-07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용 덮개 록킹장치
KR102226822B1 (ko) * 2019-10-17 2021-03-11 우진글로벌 주식회사 창호용 잠금 장치
KR20230138247A (ko) * 2022-03-23 2023-10-05 주식회사 대유이피 양방향 개폐형 자동차 암레스트
KR102624617B1 (ko) 2022-03-23 2024-01-12 주식회사 대유이피 양방향 개폐형 자동차 암레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1813U (ko) 1995-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88209B2 (en) Securing device for detachably securing a front panel on a drawer
JPS6012847Y2 (ja) 引出しのラツチ装置
KR200150401Y1 (ko) 트레이의 록킹장치
JP3002829B2 (ja) ラッチ装置
JP3840720B2 (ja) 包丁収納装置
GB2320922A (en) Disc container
JP3776269B2 (ja) ドリンク容器の拘束具
JPH0838281A (ja) 移動体のロック機構
JP3994826B2 (ja) 収納具
JPS5914147B2 (ja) 扉の把手装置
JPH08218702A (ja) 宅配ボックス、その施錠装置およびその受領印装置
KR0138839Y1 (ko) 트레이의 록킹장치
JP3146820B2 (ja) 自動販売機の扉ロック機構
US4955646A (en) Locking device, especially for a cover of a suction cleaner
KR950013653B1 (ko) 전자레인지의 도어 개폐장치
CN218457924U (zh) 一种开门结构及烹饪电器
JP2576437Y2 (ja) キャビネットにおける抽斗の安全係止装置
KR870002187Y1 (ko) 화일박스 설합의 개폐장치
CN218406977U (zh) 一种门锁结构
JPH0585945B2 (ko)
US6073978A (en) Dishwasher lock
JP2691441B2 (ja) スライダの格納装置
KR0118598Y1 (ko) 차량용 글루브박스 개폐장치
JP2584216Y2 (ja) パチンコ機の球受皿
KR920007490Y1 (ko) 브이티알의 카세트 인출시 도어 자동 열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