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7600A - 자동차의 파워 스위블 시트 구동장치 및 이의 구동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파워 스위블 시트 구동장치 및 이의 구동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7600A
KR20230137600A KR1020220035208A KR20220035208A KR20230137600A KR 20230137600 A KR20230137600 A KR 20230137600A KR 1020220035208 A KR1020220035208 A KR 1020220035208A KR 20220035208 A KR20220035208 A KR 20220035208A KR 20230137600 A KR20230137600 A KR 202301376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displacement
passenger
swive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5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다스
Priority to KR1020220035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7600A/ko
Publication of KR20230137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760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4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2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4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 B60N2/0268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using sensors or detectors for adapting the seat or seat part, e.g. to the position of an occup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4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 B60N2/0272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using sensors or detector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seat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rota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6Pressure sensors

Abstract

본 발명은 스위블 모드로의 전환시 승객의 착좌정보를 기반으로 변위동작을 실시함에 있어 인접한 다른 시트의 승객과의 충돌을 회피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할 수 있게 하는 자동차의 파워 스위블 시트 구동장치를 개시한다.
전술한 파워 스위블 시트 구동장치는 스위블 시트에 대한 전후방향과 회전방향에 대한 변위에 따른 변위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변위검출부, 상기 스위블 시트에 대한 승객의 착좌여부에 따른 착좌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착좌검출부, 상기 스위블 시트에 대한 동작모드를 선택하여 입력하기 위한 모드선택부, 상기 변위검출부와 상기 착좌검출부 및 상기 모드선택부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스위블 시트에 대한 변위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스위블 시트에 대한 변위동작을 실시하는 구동모듈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파워 스위블 시트 구동장치 및 이의 구동 제어방법{Driving apparatus for power swivel seat of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자동차의 파워 스위블 시트 구동장치 및 이의 구동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위블 모드로의 전환시 승객의 착좌정보를 기반으로 변위동작을 실시할 수 있게 하여 인접한 다른 시트의 승객과의 충돌을 회피할 수 있게 하는 자동차의 파워 스위블 시트 구동장치 및 이의 구동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차실내에 구비되는 대부분의 시트는 차체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거나, 회전 가능한 구조로 구성된다.
특히, 차실내에 회전 가능한 구조의 스위블 시트의 경우에는 필요시 시트를 180도로 회전시켜 전후방향으로 인접한 시트에 착좌한 승객끼리 마주볼 수 있게 할 수 있으므로, 자율주행 시스템이 적용된 차량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스위블 시트에 있어, 스위블 모드로의 전환시 회전하는 시트에 착좌한 승객은 동일한 열에 인접한 시트에 착좌한 다른 승객과의 접촉에 따른 충돌 위험이 있으므로, 스위블 모드로 전환하는 데 많은 불편함이 존재하게 된다.
즉, 종래 스위블 시트에서는 스위블 모드로의 전환시 인접한 다른 시트의 승객과의 충돌을 회피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이에 대한 개선의 요구가 크게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등록특허 제10-1875721호 공개특허 제2020-0021618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스위블 모드로의 전환시 승객의 착좌정보를 기반으로 변위동작을 실시함에 있어 인접한 다른 시트의 승객과의 충돌을 회피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할 수 있게 하는 자동차의 파워 스위블 시트 구동장치 및 이의 구동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스위블 시트에 대한 전후방향과 회전방향에 대한 변위에 따른 변위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변위검출부, 상기 스위블 시트에 대한 승객의 착좌여부에 따른 착좌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착좌검출부, 상기 스위블 시트에 대한 동작모드를 선택하여 입력하기 위한 모드선택부, 상기 변위검출부와 상기 착좌검출부 및 상기 모드선택부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스위블 시트에 대한 변위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스위블 시트에 대한 변위동작을 실시하는 구동모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위검출부로부터 검출되는 스위블 시트의 변위정보, 상기 착좌검출부로부터 검출되는 승객의 착좌정보, 및 상기 모드선택부로부터 입력되는 모드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구동모듈부에 대해 시트의 변위동작을 위한 동작신호를 출력하되, 상기 동작신호는 상기 착좌검출부로부터 검출되는 시트의 각각에 대한 승객의 착좌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시트의 전후방향 직진변위에 대한 슬라이드 행정량이 가변적으로 조절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 상기 동작신호에 따라 조절되는 상기 스위블 시트의 전후방향 직진변위에 대한 슬라이드 행정량은 동일한 열의 좌우시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트에 대한 직진변위를 조절하여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 상기 동작신호에 따라 조절되는 상기 스위블 시트의 전후방향 직진변위에 대한 슬라이드 행정량은 동일한 열의 좌우시트 중 어느 하나의 시트에 대한 직진변위만을 조절하는 경우, 조절되는 어느 하나의 시트에 대한 직진변위의 방향은 조절되지 않는 다른 하나의 시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 상기 동작신호에 따라 조절되는 상기 스위블 시트의 전후방향 직진변위에 대한 슬라이드 행정량은 동일한 열의 좌우시트 모두에 대한 직진변위를 각각 조절하는 경우, 조절되는 어느 하나의 시트에 대한 직진변위의 방향과 조절되는 다른 하나의 시트에 대한 직진변위의 방향은 서로 다른 반대방향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 상기 동작신호에 따른 시트의 슬라이드 행정량은 작동대상의 시트와 동승석의 시트의 모두에 승객이 착좌하지 않은 상태에서 설정되는 제1스트로크, 작동대상의 시트와 동승석의 시트 중 어느 하나의 시트에 한정하여 승객이 착좌한 상태에서 설정되는 제2스트로크, 및 작동대상의 시트와 동승석의 시트의 모두에 승객이 착좌한 상태에서 설정되는 제3스트로크로 각각 구분하여 서로 다르게 설정되도록 구성되되, 설정되는 스트로크는 작동대상의 시트만을 이동시키는 거리이거나, 작동대상의 시트와 동승석의 시트를 함께 이동시키는 거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 상기 동작신호에 따른 시트의 슬라이드 행정량에 대한 각 스트로크는 상기 제1스트로크와 상기 제2스트로크 및 상기 제3스트로크의 순서로 더 크게 설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 상기 스위블 시트의 변위동작 중 장애물과의 접촉을 검출하기 위한 장애물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애물 검출부를 통해 장애물과의 접촉 검출시 상기 구동모듈부의 작동을 제어하여 시트에 대한 변위동작 제어를 중지시키거나, 중지후 변위동작 제어의 이전 원래의 위치로 시트를 복귀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 상기 스위블 시트에 대한 동작모드를 변경하여 입력하기 위한 무선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수신부를 통해 입력되는 모드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구동모듈부에 대해 시트의 변위동작을 위한 동작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구동모듈부에 입력되는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스위블 시트에 대한 변위동작의 상태변화에 따른 정보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정보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출력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한 시트의 변위동작 제어 중 시각신호에 따른 영상정보 또는 청각신호에 따른 소리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외부로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파워 스위블 시트 구동 제어방법은 시트의 초기 위치를 기억하는 단계, 상기 시트에 대해 동작모드를 입력하는 단계, 동일한 열의 좌우시트를 기준으로 작동대상의 시트와 동승석의 시트에 대해 승객의 탑승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작동대상의 시트와 상기 동승석의 시트에 대해 기억된 초기 위치를 기반으로 시트의 이격거리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시트의 착좌정보와 이격거리를 토대로 제어대상의 시트에 대한 슬라이드 행정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시트에 대해 산출된 슬라이드 행정량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시트의 동작제어 중 전 과정에 걸쳐 장애물과의 접촉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장애물과의 접촉유무를 판단하는 과정에서 시트와 장애물 사이의 접촉이 없으면, 시트에 대한 모드 전환을 지속하는 단계, 및 상기 장애물과의 접촉유무를 판단하는 과정에서 시트와 장애물 사이의 접촉이 있으면, 시트에 대한 모드 전환을 정지하거나,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파워 스위블 시트 구동 제어방법에 있어, 상기 시트에 대한 슬라이드 행정량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작동대상의 시트와 상기 동승석의 시트의 모두에 승객이 착좌하지 않은 상태, 상기 작동대상의 시트와 상기 동승석의 시트 중 어느 하나의 시트에 한정하여 승객이 착좌한 상태, 및 상기 작동대상의 시트와 상기 동승석의 시트의 모두에 승객이 착좌한 상태의 각각에 대해 시트의 슬라이드 행정량이 서로 다르게 설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파워 스위블 시트 구동 제어방법에 있어, 상기 시트에 대해 산출된 슬라이드 행정량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작동대상의 시트에 한정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거나, 상기 작동대상의 시트와 상기 동승석의 시트의 모두에 대해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파워 스위블 시트 구동장치 및 이의 구동 제어방법은 시트를 스위블 모드로 전환할 때 시트에 대한 승객의 착좌정보를 기반으로 슬라이드 행정량을 산출하여 시트의 변위동작을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인접한 시트에 승객이 착좌한 경우에 간섭의 발생을 보다 적극적으로 회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파워 스위블 시트 구동장치 및 이의 구동 제어방법은 승객의 착좌정보를 기반으로 최적의 슬라이드 행정량을 산출할 수 있으므로, 시트의 변위동작을 실시함에 있어 불필요한 이동을 회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트의 모드 전환에 있어 장애물과의 접촉유무를 지속적으로 검출하여 시트의 보다 안전한 변위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파워 스위블 시트 구동장치 및 이의 구동 제어방법은 시트의 모드 전환을 원격제어에 의해 구현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한층 더 증진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파워 스위블 시트 구동장치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파워 스위블 시트 구동장치에 있어, 시트의 슬라이드 행정량이 설정되는 제1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파워 스위블 시트 구동장치에 있어, 시트의 슬라이드 행정량이 설정되는 제2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파워 스위블 시트 구동장치에 있어, 시트의 슬라이드 행정량이 설정되는 제3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파워 스위블 시트 구동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파워 스위블 시트 구동장치는 변위검출부(10), 착좌검출부(11), 벨트검출부(12), 모드선택부(13), 장애물 검출부(14), 및 무선수신부(15)를 각각 입력수단으로 설정하고,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 검출되는 각종 정보를 기반으로 스위블 시트에 대해 동작제어의 구현을 위한 동작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20)를 제어수단으로 설정하며,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동작신호를 기반으로 스위블 시트에 대해 동작제어를 실시하는 구동모듈부(30), 및 시트의 직선방향과 회전방향으로의 변위동작에 따른 상태변화를 외부로 출력하는 정보출력부(31)를 각각 출력수단으로 설정하여 구성된다.
상기 변위검출부(10)는 차실내에서 스위블 시트에 대한 전후방향과 회전방향에 대한 변위의 정도를 기반으로 변화되는 물리량, 즉 변위정보를 실시간에 걸쳐 정밀하게 검출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변위검출부(10)로부터 검출되는 변위정보는 모드 전환시 수반되는 스위블 시트의 전후방향 이동거리와 회전방향 회전각도에 해당하는 것으로, 각각에 대한 변위정보는 파워 스위블 시트에 있어, 전후방향 구동장치(미도시)와 회전방향 구동장치(미도시)에 각각 구비되어 전동모터의 회전각도를 검출하는 홀센서(미도시)로부터 센싱되는 신호에 기반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상기 변위검출부(10)는 홀센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즉, 상기 제어부(20)는 각각의 홀센서로부터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센싱값을 매개로 스위블 시트에 대한 전후방향의 이동거리와 회전방향의 회전각도를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착좌검출부(11)는 차실내에서 스위블 시트에 대한 승객의 착좌여부를 기반으로 변화되는 물리량, 즉 착좌정보를 실시간에 걸쳐 정밀하게 검출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상기 착좌검출부(11)는 시트의 쿠션이나 쿠션프레임 등에 설치되어 승객의 착좌시 변화되는 압력이나 하중에 대한 물리량을 실시간에 걸쳐 계측할 수 있는 압전센서를 포함하는 압력센서나 하중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상기 착좌검출부(11)는 압력센서나 하중센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특히, 상기 착좌검출부(11)는 차실내에 위치하는 모든 시트에 대해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있어, 각각의 시트에 대한 승객의 착좌여부를 상기 제어부(20)로 하여금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벨트검출부(12)는 스위블 시트에 위치하는 시트벨트의 체결여부를 실시간에 걸쳐 정밀하게 검출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상기 벨트검출부(12)는 시트에 구비되는 시트벨트에 대한 체결유무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게 하는 공지의 라마인더 센서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상기 벨트검출부(12)는 리마인더 센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상기 모드선택부(13)는 시트를 사용자의 의지에 따라 원하는 모드로 전환할 때 사용자로 하여금 동작모드를 선택하여 조작할 수 있게 하는 일종의 입력수단에 해당한다. 즉, 상기 모드선택부(13)는 스위블 시트에 대한 사용자의 의지를 기반으로 선택되는 동작모드를 상기 제어부(20)에 출력할 수 있도록 사용자로 하여금 해당신호를 입력할 수 있게 하는 입력수단인 것이다.
예컨대, 상기 모드선택부(13)는 시트의 측부 또는 차실내의 대쉬보드 등에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 스위블 시트에 대한 전후방향으로의 직진변위 또는 회전방향으로의 회전변위를 각각 사용자가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게 해 주는 조작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장애물 검출부(14)는 상기 제어부(20)에 의한 스위블 시트의 동작제어에 따른 변위동작 중 시트의 주변에 위치하는 장애물과의 접촉을 실시간에 걸쳐 정밀하게 검출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장애물 검출부(14)는 시트의 변위동작 중 장애물과의 접촉에 따라 발생하는 물리량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검출할 수 있게 하는 센서류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상기 장애물 검출부(14)는 파워 스위블 시트에 있어, 전후방향 구동장치와 회전방향 구동장치에 각각 구비되어 전동모터의 회전각도를 검출하는 홀센서(미도시)로부터 센싱되는 신호에 기반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장애물 검출부(14)는 파워 스위블 시트의 구동장치에 구비되어 전동모터의 회전각도를 검출하는 홀센서를 활용하여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제어부(20)는 홀센서로부터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센싱값의 변화를 기반으로 현재 시트가 장애물과 접촉하는 지의 유무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20)는 홀센서로부터 실시간으로 검출되는 센싱값에 변화가 없거나, 정상상태의 센싱값의 변화와 비교하여 차이가 있을 경우, 현재 시트가 장애물과 접촉하고 있음을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상기 장애물 검출부(14)는 홀센서 외에도 다른 센서류(접촉센서)를 활용할 수 있는 것이므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특히, 상기 장애물 검출부(14)가 검출할 수 있는 장애물과의 접촉은 상기 제어부(20)에 의한 동작제어에 있어, 직선방향으로 이루어지는 시트의 직진변위와 회전방향으로 이루어지는 시트의 회전변위를 모두 포함하는 시트의 변위동작 중에 발생하는 모든 접촉 상황을 의미하는 것이다.
상기 무선수신부(15)는 원격의 위치에서 스위블 시트의 동작모드를 사용자의 의지에 따라 적절하게 전환하고자 할 때 사용자로 하여금 해당 모드를 조작하여 선택할 수 있게 하는 일종의 입력수단에 해당한다.
즉, 상기 무선수신부(15)는 사용자로부터 원격의 위치에서 전송되는 동작모드에 상응하는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한 다음, 이를 상기 제어부(20)에 출력할 수 있게 하는 입력수단인 것이다.
이 경우, 사용자가 출력할 수 있는 신호는 무선의 리모트 스위치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이거나, 통신수단(예; 휴대폰)과 접목된 특정의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에 따라 전송되는 신호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시트의 동작모드는 상기 모드선택부(13)를 이용하여 직접적으로 입력할 수 있는 동작모드와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어부(20)는 입력수단에 해당하는 변위검출부(10)와 착좌검출부(11), 벨트검출부(12), 모드선택부(13), 장애물 검출부(14), 및 무선수신부(15)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스위블 시트의 직선방향과 회전방향에 대한 변위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일련의 동작제어 신호를 출력수단에 대해 출력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20)로부터 출력되는 일련의 제어과정에 대한 세부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구동모듈부(30)는 상기 제어부(2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스위블 시트에 대한 변위동작을 실시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구동모듈부(30)는 상기 제어부(20)로부터 출력되는 동작신호를 기반으로 하여 시트의 모드 전환에 필요로 하는 일련의 동작과정을 실시하기 위한 구동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예컨대, 상기 구동모듈부(30)는 스위블 시트의 모드 전환에 필요로 하는 전후방향 구동장치와 회전방향 구동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전후방향 구동장치는 차실내에서 시트를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구성요소로서, 이동 및 고정레일, 그리고 시트의 이동에 필요로 하는 기구적 메커니즘, 및 이를 구동하기 위한 전동모터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방향 구동장치는 차실내에서 시트를 회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하는 구성요소로서, 시트의 회전에 필요로 하는 기구적 메커니즘, 및 이를 구동하기 위한 전동모터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전후방향 구동장치와 회전방향 구동장치는 스위블 시트의 구성에 있어 공지적인 기술요소에 해당하는 것이므로, 각 구성에 대한 세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정보출력부(31)는 상기 구동모듈부(30)의 동작에 따라 이루어지는 스위블 시트에 대한 변위동작에 따른 동작모드, 즉 직진변위와 회전변위에 따른 시트의 이동위치와 회전위치에 대한 상태변화를 외부에 대해 시청각적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예컨대, 상기 정보출력부(31)는 상기 제어부(20)에 의한 시트의 변위동작 제어 중 시각신호에 따른 영상정보 또는 청각신호에 따른 청음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외부로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정보출력부(31)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시각적 영상신호 또는 스피커를 이용한 청각적 소리신호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벨트검출부(12)로부터 검출되는 시트벨트의 체결여부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정보출력부(31)를 통해 현재 시트벨트의 체결유무에 대한 정보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상기 제어부(20)에 의한 일련의 제어 과정은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변위검출부(10)로부터 검출되는 스위블 시트의 변위정보, 상기 착좌검출부(11)로부터 검출되는 승객의 착좌정보, 및 상기 모드선택부(13)로부터 입력되는 모드정보를 기반으로 시트의 변위동작에 필요로 하는 해당 모드의 동작제어를 위한 신호를 상기 구동모듈부(30)에 대해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시트의 변위동작은 직선방향으로 이루어지는 직진변위와 회전방향으로 이루어지는 회전변위를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예컨대, 상기 제어부(20)로부터 상기 구동모듈부(30)에 출력되는 동작신호는 상기 착좌검출부(11)로부터 검출되는 시트의 각각에 대한 승객의 착좌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시트의 전후방향 직진변위에 대한 슬라이드 행정량이 가변적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시트의 슬라이드 행정량에 대한 가변 설정은 상기 착좌검출부(11)를 매개로 검출되는 동일한 열에 위치한 좌우시트의 각각에 대한 승객의 착좌정보에 따라, 각각의 시트에 대한 전후방향 직진변위에 따른 슬라이드 행정량이 가변적으로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20)로부터 상기 구동모듈부(30)에 출력되는 동작신호에 따라 조절되는 상기 스위블 시트의 전후방향 직진변위에 대한 슬라이드 행정량은 동일한 열의 좌우시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트에 대한 직진변위를 조절하여 구현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동작신호에 따라 조절되는 스위블 시트의 전후방향 직진변위에 따른 슬라이드 행정량은 동일한 열에 배치되는 좌우시트 중 어느 하나의 시트에 한정하여 해당 시트에 대한 직진변위만을 조절하여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20)로부터 상기 구동모듈부(30)에 출력되는 동작신호에 따라 조절되는 상기 스위블 시트의 전후방향 직진변위에 대한 슬라이드 행정량은 동일한 열의 좌우시트 중 어느 하나의 시트에 대한 직진변위만을 조절하는 경우, 조절되는 어느 하나의 시트에 대한 직진변위의 방향은 조절되지 않는 다른 하나의 시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설정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20)로부터 상기 구동모듈부(30)에 출력되는 동작신호에 따라 조절되는 상기 스위블 시트의 전후방향 직진변위에 대한 슬라이드 행정량은 동일한 열의 좌우시트 모두에 대한 직진변위를 각각 조절하는 경우, 조절되는 어느 하나의 시트에 대한 직진변위의 방향과 조절되는 다른 하나의 시트에 대한 직진변위의 방향은 서로 다른 반대방향으로 설정되도록 구성된다. 즉, 동일한 열의 좌우시트 모두에 대한 직진변위를 각각 조절하는 경우에는 조절되는 좌우시트에 대한 직진변위의 방향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설정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0)로부터 상기 구동모듈부(30)에 출력되는 동작신호에 따라 조절되는 시트의 슬라이드 행정량은 작동대상의 시트(A)와 동승석의 시트(B)의 모두에 승객이 착좌하지 않은 상태(도 2), 작동대상의 시트(A)와 동승석의 시트(B) 중 어느 하나의 시트에 한정하여 승객이 착좌한 상태(도 3), 및 작동대상의 시트(A)와 동승석의 시트(B)의 모두에 승객이 착좌한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도 4)임을 구분하고, 각각의 상태에 대한 시트의 슬라이드 행정량이 서로 다르게 설정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상기 제어부(20)로부터 상기 구동모듈부(30)에 출력되는 동작신호에 따라 조절되는 시트의 슬라이드 행정량은 작동대상의 시트(A)와 동승석의 시트(B)의 모두에 승객이 착좌하지 않은 상태에서 설정되는 제1스트로크(D-1; 도 2), 작동대상의 시트(A)와 동승석의 시트(B) 중 어느 하나의 시트에 한정하여 승객이 착좌한 상태에서 설정되는 제2스트로크(D-2; 도 3), 및 작동대상의 시트(A)와 동승석의 시트(B)의 모두에 승객이 착좌한 상태에서 설정되는 제3스트로크(D-3; 도 4)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각각 구분하여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에 있어, 각 스트로크는 상기 제1스트로크(D-1)와 상기 제2스트로크(D-2) 및 상기 제3스트로크(D-3)의 순서로 더 크게 설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제1스트로크(D-1) 보다 제2스트로크(D-2)가 더 크게 설정되고, 제2스트로크(D-2) 보다 제3스트로크(D-3)가 더 크게 설정되도록 구성된다. 요약하자면, 상기 제1스트로크(D-1)와 상기 제2스트로크(D-2) 및 상기 제3스트로크(D-3)에 대한 각각의 크기는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순서로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스트로크(D-1)와 상기 제2스트로크(D-2) 및 상기 제3스트로크(D-3)는 작동대상의 시트(A)와 동승석의 시트(B)에 대해 승객이 착좌하지 않은 상태, 또는 작동대상의 시트(A)와 동승석의 시트(B) 중 어느 하나의 시트에 한정하여 승객이 착좌한 상태, 또는 작동대상의 시트(A)와 동승석의 시트(B)의 모두에 승객이 착좌한 상태에 있어, 각각 경우에 적합하게 설정될 수 있는 최적의 거리임은 물론일 것이며, 특히 가변적으로 변경 가능한 수치에 해당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파워 스위블 시트 구동장치에 대한 구동 제어방법을 도 5를 참조로 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어부(20)는 시트의 초기 위치를 기억한 상태(S10)에서 사용자에 의한 동작모드의 입력이 이루어지면(S11), 동일한 열에 위치한 좌우시트를 기준으로 작동대상의 시트(A)와 동승석의 시트(B)의 각각에 대한 착좌정보를 기반으로 승객의 탑승 유무를 판단하게 된다.(S12)
이어, 상기 제어부(20)는 작동대상의 시트(A)와 동승석의 시트(B)에 대해 기억된 초기 위치를 기반으로 시트의 이격거리를 계산하게 된다.(S13)
이어, 상기 제어부(20)는 시트의 착좌정보와 이격거리를 토대로 제어대상의 시트에 대한 슬라이드 행정량을 산출하게 된다.(S14)
이 과정에서 상기 제어부(20)는 작동대상의 시트(A)와 동승석의 시트(B)의 모두에 승객이 착좌하지 않은 상태, 작동대상의 시트(A)와 동승석의 시트(B) 중 어느 하나의 시트에 한정하여 승객이 착좌한 상태, 및 작동대상의 시트(A)와 동승석의 시트(B)의 모두에 승객이 착좌한 상태의 각각에 대해 최적의 시트 슬라이드 행정량을 산출한 다음, 이에 상응하는 동작용 제어신호를 구동모듈부(30)에 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작동대상의 시트(A)와 동승석의 시트(B)에 대한 승객의 착좌유무에 따라 시트의 슬라이드 행정량을 서로 달리 설정하는 것은 스위블 동작제어 중 발생할 수 있는 간섭, 특히 인접한 시트에 착좌한 승객의 신체 길이를 고려하여 간섭의 발생을 보다 적극적으로 회피하기 위함인 것이다.
즉, 상기 제어부(20)는 작동대상의 시트(A)와 동승석의 시트(B)의 모두에 승객이 착좌하지 않은 상태이면, 시트의 슬라이드 행정량을 제1스트로크(D-1)로 산출하여 설정하게 되고, 작동대상의 시트(A)와 동승석의 시트(B) 중 어느 하나의 시트에 한정하여 승객이 착좌한 상태이면, 시트의 슬라이드 행정량을 제2스트로크(D-2)로 산출하여 설정하게 되며, 작동대상의 시트(A)와 동승석의 시트(B)의 모두에 승객이 착좌한 상태이면, 시트의 슬라이드 행정량을 제3스트로크(D-3) 로 산출하여 설정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제어부(20)에서 설정되는 각 스트로크는 상기 제1스트로크(D-1)와 상기 제2스트로크(D-2) 및 상기 제3스트로크(D-3)의 순서로 더 크게 설정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20)에서 설정되는 각 스트로크는 도 2 내지 도 4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대상의 시트(A)만을 설정된 슬라이드 행정량 만큼 이동시킬 수 있는 거리이거나, 작동대상의 시트(A)와 동승석의 시트(B)를 함께 설정된 슬라이드 행정량 만큼 이동시킬 수 있는 거리에 해당할 수 있을 것이다.
이어, 상기 제어부(20)는 시트에 대한 승객의 착좌정보와 이격거리에 기반하여 산출된 시트의 슬라이드 행정량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구동모듈부(30)에 대해 출력하게 된다.(S15)
즉, 상기 제어부(20)는 작동대상의 시트(A)의 모드 전환동작에 필요로 하는 구동력의 발생을 위한 제어신호를 해당 구동모듈부(30)에 인가하게 되거나, 작동대상의 시트(A)와 동승석의 시트(B)의 모두에 대해 모드 전환동작에 필요로 하는 구동력의 발생을 위한 제어신호를 해당 구동모듈부(30)에 인가하게 된다.
요약하자면, 상기 제어부(20)로부터 해당 구동모듈부(30)에 인가되는 제어신호는 작동대상의 시트(A)에 대해 단독으로 전송되거나, 또는 작동대상의 시트(A)와 동승석의 시트(B)에 모두에 대해 전송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어부(20)로부터 상기 구동모듈부(30)에 인가되는 제어신호는 전후방향 구동장치와 회전방향 구동장치에 대해 각각의 모드 전환에 필요로 하는 구동력의 발생을 위한 신호임은 물론이다.
이 과정에서 수반되는 시트의 직진변위에 대한 방향은 차실내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이 과정에서 수반되는 시트의 회전변위에 대한 방향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적절하게 선택되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좌측에 위치한 시트의 회전방향은 시계방향으로 설정될 수 있고, 우측에 위치한 시트의 회전방향은 반시계방향으로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이어, 상기 제어부(20)는 작동대상의 시트(A) 또는 작동대상의 시트(A)와 동승석의 시트(B)의 모드 전환용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시트의 동작제어가 완료될 때까지의 전 과정에서 상기 구동모듈부(30)의 동작상태를 지속적으로 감시함과 더불어 장애물과의 접촉 유무를 판단하게 된다.(S16)
즉,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변위검출부(10)와 상기 장애물 검출부(14)로부터 실시간에 걸쳐 입력되는 신호를 기반으로 실제로 이루어지는 시트의 변위량을 실시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입력받게 됨과 동시에 시트의 변위과정에서 장애물과의 접촉 유무를 지속적으로 판단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제어부(20)는 작동대상의 시트(A) 또는 작동대상의 시트(A)와 동승석의 시트(B)에 대한 모드 전환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장애물과의 접촉이 없다고 판단되면, 작동대상의 시트(A) 또는 작동대상의 시트(A)와 동승석의 시트(B)에 대한 모드 전환이 완료될 때까지 일련의 동작제어를 지속하게 된다.(S17)
이와 반대로 상기 제어부(20)는 작동대상의 시트(A) 또는 작동대상의 시트(A)와 동승석의 시트(B)에 대한 모드 전환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장애물과의 접촉이 있다고 판단되면, 일련의 제어를 중지하거나 동작중인 시트에 대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될 수 있게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S18)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변위검출부 11-착좌검출부
12-벨트검출부 13-모드선택부
14-장애물 검출부 15-무선수신부
20-제어부 30-구동모듈부
31-정보출력부

Claims (12)

  1. 스위블 시트에 대한 전후방향과 회전방향에 대한 변위에 따른 변위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변위검출부;
    상기 스위블 시트에 대한 승객의 착좌여부에 따른 착좌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착좌검출부;
    상기 스위블 시트에 대한 동작모드를 선택하여 입력하기 위한 모드선택부;
    상기 변위검출부와 상기 착좌검출부 및 상기 모드선택부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스위블 시트에 대한 변위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스위블 시트에 대한 변위동작을 실시하는 구동모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위검출부로부터 검출되는 스위블 시트의 변위정보, 상기 착좌검출부로부터 검출되는 승객의 착좌정보, 및 상기 모드선택부로부터 입력되는 모드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구동모듈부에 대해 시트의 변위동작을 위한 동작신호를 출력하되, 상기 동작신호는 상기 착좌검출부로부터 검출되는 시트의 각각에 대한 승객의 착좌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시트의 전후방향 직진변위에 대한 슬라이드 행정량이 가변적으로 조절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파워 스위블 시트 구동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작신호에 따라 조절되는 상기 스위블 시트의 전후방향 직진변위에 대한 슬라이드 행정량은 동일한 열의 좌우시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트에 대한 직진변위를 조절하여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파워 스위블 시트 구동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동작신호에 따라 조절되는 상기 스위블 시트의 전후방향 직진변위에 대한 슬라이드 행정량은 동일한 열의 좌우시트 중 어느 하나의 시트에 대한 직진변위만을 조절하는 경우, 조절되는 어느 하나의 시트에 대한 직진변위의 방향은 조절되지 않는 다른 하나의 시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파워 스위블 시트 구동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동작신호에 따라 조절되는 상기 스위블 시트의 전후방향 직진변위에 대한 슬라이드 행정량은 동일한 열의 좌우시트 모두에 대한 직진변위를 각각 조절하는 경우, 조절되는 어느 하나의 시트에 대한 직진변위의 방향과 조절되는 다른 하나의 시트에 대한 직진변위의 방향은 서로 다른 반대방향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파워 스위블 시트 구동장치.
  5.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신호에 따른 시트의 슬라이드 행정량은
    작동대상의 시트와 동승석의 시트의 모두에 승객이 착좌하지 않은 상태에서 설정되는 제1스트로크;
    작동대상의 시트와 동승석의 시트 중 어느 하나의 시트에 한정하여 승객이 착좌한 상태에서 설정되는 제2스트로크; 및
    작동대상의 시트와 동승석의 시트의 모두에 승객이 착좌한 상태에서 설정되는 제3스트로크로 각각 구분하여 서로 다르게 설정되도록 구성되되, 설정되는 스트로크는 작동대상의 시트만을 이동시키는 거리이거나, 작동대상의 시트와 동승석의 시트를 함께 이동시키는 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파워 스위블 시트 구동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동작신호에 따른 시트의 슬라이드 행정량에 대한 각 스트로크는 상기 제1스트로크와 상기 제2스트로크 및 상기 제3스트로크의 순서로 더 크게 설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파워 스위블 시트 구동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위블 시트의 변위동작 중 장애물과의 접촉을 검출하기 위한 장애물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애물 검출부를 통해 장애물과의 접촉 검출시 상기 구동모듈부의 작동을 제어하여 시트에 대한 변위동작 제어를 중지시키거나, 중지후 변위동작 제어의 이전 원래의 위치로 시트를 복귀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파워 스위블 시트 구동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위블 시트에 대한 동작모드를 변경하여 입력하기 위한 무선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수신부를 통해 입력되는 모드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구동모듈부에 대해 시트의 변위동작을 위한 동작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파워 스위블 시트 구동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구동모듈부에 입력되는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스위블 시트에 대한 변위동작의 상태변화에 따른 정보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정보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출력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한 시트의 변위동작 제어 중 시각신호에 따른 영상정보 또는 청각신호에 따른 소리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외부로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파워 스위블 시트 구동장치.
  10. 시트의 초기 위치를 기억하는 단계;
    상기 시트에 대해 동작모드를 입력하는 단계;
    동일한 열의 좌우시트를 기준으로 작동대상의 시트와 동승석의 시트에 대해 승객의 탑승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작동대상의 시트와 상기 동승석의 시트에 대해 기억된 초기 위치를 기반으로 시트의 이격거리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시트의 착좌정보와 이격거리를 토대로 제어대상의 시트에 대한 슬라이드 행정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시트에 대해 산출된 슬라이드 행정량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시트의 동작제어 중 전 과정에 걸쳐 장애물과의 접촉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장애물과의 접촉유무를 판단하는 과정에서 시트와 장애물 사이의 접촉이 없으면, 시트에 대한 모드 전환을 지속하는 단계; 및
    상기 장애물과의 접촉유무를 판단하는 과정에서 시트와 장애물 사이의 접촉이 있으면, 시트에 대한 모드 전환을 정지하거나,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파워 스위블 시트 구동 제어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시트에 대한 슬라이드 행정량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작동대상의 시트와 상기 동승석의 시트의 모두에 승객이 착좌하지 않은 상태, 상기 작동대상의 시트와 상기 동승석의 시트 중 어느 하나의 시트에 한정하여 승객이 착좌한 상태, 및 상기 작동대상의 시트와 상기 동승석의 시트의 모두에 승객이 착좌한 상태의 각각에 대해 시트의 슬라이드 행정량이 서로 다르게 설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파워 스위블 시트 구동 제어방법.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시트에 대해 산출된 슬라이드 행정량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작동대상의 시트에 한정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거나, 상기 작동대상의 시트와 상기 동승석의 시트의 모두에 대해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파워 스위블 시트 구동 제어방법.

KR1020220035208A 2022-03-22 2022-03-22 자동차의 파워 스위블 시트 구동장치 및 이의 구동 제어방법 KR202301376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5208A KR20230137600A (ko) 2022-03-22 2022-03-22 자동차의 파워 스위블 시트 구동장치 및 이의 구동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5208A KR20230137600A (ko) 2022-03-22 2022-03-22 자동차의 파워 스위블 시트 구동장치 및 이의 구동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7600A true KR20230137600A (ko) 2023-10-05

Family

ID=88293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5208A KR20230137600A (ko) 2022-03-22 2022-03-22 자동차의 파워 스위블 시트 구동장치 및 이의 구동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7600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721B1 (ko) 2016-10-18 2018-07-09 주식회사 서연이화 자율주행 차량용 무빙시트 제어방법
KR20200021618A (ko) 2018-08-21 2020-03-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의 틸팅 및 스위블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721B1 (ko) 2016-10-18 2018-07-09 주식회사 서연이화 자율주행 차량용 무빙시트 제어방법
KR20200021618A (ko) 2018-08-21 2020-03-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의 틸팅 및 스위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45388B2 (en) Automatic driving position adjustment control system and method
EP3025921B1 (en) Vehicular drive assist device, and vehicular drive assist method
CN109843652B (zh) 开关位置的调整方法以及车辆用操作装置
US7963598B2 (en) Head rest control systems
EP2091774B1 (en) Vehicle seat control system and method
JP4985164B2 (ja) 駐車支援装置および駐車支援装置用のプログラム
JP4891306B2 (ja) 乗員保護装置
KR20090103938A (ko) 차량용 시트 조작 장치 및 차량용 시트 조작 방법
CN107776441B (zh) 用于自主车辆的电动座椅的电子座椅开关及其操作方法
JP6704087B2 (ja) 乗員保護装置
JP4810822B2 (ja) ヘッドレスト制御装置
JP4685917B2 (ja) 車両用制御装置
WO2019124172A1 (ja) 車両シート制御装置
JP5363147B2 (ja) 乗員保護装置
KR20230137600A (ko) 자동차의 파워 스위블 시트 구동장치 및 이의 구동 제어방법
US11420581B2 (en) Vehicle device operation apparatus
JP2004099037A (ja) 車両内の乗員の着座位置を識別する装置
JP2009120141A (ja) 車両用シート制御装置
JP2020019407A (ja) 車両用運動支援装置
US7885743B2 (en) Electric mirror control device and electric mirror control method
JP3832060B2 (ja) 車両の制御装置
US20230219464A1 (en) Seat control device and seat control method
KR20190004881A (ko) 자동차 및 자동차의 제어방법
GB2583890A (en) Controller for an infotainment system of a vehicle
US20230219463A1 (en) Seat control device and seat control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