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4881A - 자동차 및 자동차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 및 자동차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4881A
KR20190004881A KR1020170085191A KR20170085191A KR20190004881A KR 20190004881 A KR20190004881 A KR 20190004881A KR 1020170085191 A KR1020170085191 A KR 1020170085191A KR 20170085191 A KR20170085191 A KR 20170085191A KR 20190004881 A KR20190004881 A KR 201900048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distance
buzzer
shift lever
automob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5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전자
Priority to KR1020170085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4881A/ko
Publication of KR20190004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48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8Active safety systems predicting or avoiding probable or impending collision or attempting to minimise its consequen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F16H59/105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consisting of electrical switches or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 B60W2550/1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2/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infrastructure
    • B60W2552/50B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4/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bjects
    • B60W2554/80Spatial relation or speed relative to objects
    • B60W2554/802Longitudinal di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2/00Responses or measures related to driver conditions
    • B60Y2302/03Actuating a signal or alarm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4Acceleration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ement Of Velocity Or Position Using Acoustic Or Ultrasonic Wave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주행 중 후방 추돌 위험을 경고해 줄 수 있는 자동차 및 자동차의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는, 변속레버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1 센서와, 주행시 발생되는 가속도값을 감지하는 제2 센서와, 후방 장애물과의 거리를 감지하는 제3 센서와,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부져와, 상기 제1 센서가 감지한 상기 변속레버의 위치가 후진을 제외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 센서가 감지한 상기 가속도값이 설정값 이상이고, 상기 제3 센서가 감지한 상기 거리가 설정거리 이내이면, 상기 경고음이 울리도록 상기 부져를 작동시키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차 및 자동차의 제어방법{AUTOMOBI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 및 자동차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후방범퍼에는 후방 장애물과의 거리를 감지하는 초음파 센서가 설치되어 있고, 차실 내에는 상기 초음파 센서가 감지한 상기 후방 장애물과의 거리가 설정거리 이내일 때 경고음을 울리는 부져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초음파 센서는 차실내에 배치된 변속레버를 운전자가 후진위치로 하였을 때 작동된다. 즉, 상기 운전자가 상기 변속레버를 후진 위치로 하면, 상기 초음파 센서가 작동되어 후방 장애물과의 거리를 감지하여 컨트롤러로 입력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초음파 센서가 감지한 거리가 설정거리 이내이면, 상기 부져를 작동시켜서 경고음이 울리도록 한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는 상기 변속레버의 위치가 후진 위치에 있을 때에만 상기 초음파 센서가 작동되어 상기 부져가 경고음을 울리고, 상기 변속레버의 위치가 후진 위치에 있지 않을 때에는 상기 경고음이 울리지 않기 때문에, 운전자가 자신의 자동차를 주행 중에 후방에서 다른 자동차가 들이받는 추돌 사고를 경고해 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주행 중 후방 추돌 위험을 경고해 줄 수 있는 자동차 및 자동차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는, 변속레버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1 센서와, 주행시 발생되는 가속도값을 감지하는 제2 센서와, 후방 장애물과의 거리를 감지하는 제3 센서와,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부져와, 상기 제1 센서가 감지한 상기 변속레버의 위치가 후진을 제외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 센서가 감지한 상기 가속도값이 설정값 이상이고, 상기 제3 센서가 감지한 상기 거리가 설정거리 이내이면, 상기 경고음이 울리도록 상기 부져를 작동시키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제어방법은, 변속레버의 위치를 감지하는 변속레버 위치 감지단계와, 주행시 발생되는 가속도값을 감지하는 가속도값 감지단계와, 후방 장애물과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 감지단계와, 상기 변속레버의 위치가 후진을 제외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가속도값이 설정값 이상이고 상기 거리가 설정거리 이내이면 경고음이 울리도록 부져를 작동시키는 부져 제어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및 자동차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주행 중 후방 자동차가 설정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경고음이 울리기 때문에, 후방 추돌 사고를 경고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후진 중 후방 장애물이 상기 설정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경고음이 울리기 때문에, 후방 주차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제어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제어방법에 따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및 자동차의 제어방법을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는 제1 센서(10)와, 제2 센서(20)와, 제3 센서(30)와, 컨트롤러(40)와, 부져(50)를 포함한다.
제1 센서(10)는 차실 내에 설치된 변속레버의 위치를 감지한다. 상기 변속레버는 운전자가 변속기의 기어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차실 내에서 운전석의 옆에 설치되어 있는 구성이다. 즉, 상기 운전석에 앉은 운전자는 상기 변속레버를 손으로 잡고 상기 변속레버의 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자동차의 주행방향을 전진 또는 후진으로 변경할 수 있으며, 상기 자동차의 주행방향을 전진으로 단계적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상기 변속레버의 위치는 변속기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나, 오토 트랜스 미션의 경우, 주차위치, 전진저속위치, 전진1단위치, 드라이브위치, 후진위치 등이 있다.
제1 센서(10)가 감지한 상기 변속레버의 위치는 컨트롤러(40)로 입력된다.
제2 센서(20)는 가속도 센서로 구비되어, 자동차의 주행시 발생되는 가속도값을 감지한다. 제2 센서(20)가 자동차의 좌우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에 편심되어 설치되는 경우, 자동차가 좌회전하거나 우회전할 때 제2 센서(20)가 감지하는 가속도값이, 자동차가 직진할 때의 제2 센서(20)가 감지하는 가속도값에 비해 편차가 많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제2 센서(20)는 자동차의 좌우방향 중심에 설치되는 것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센서(20)가 감지한 상기 가속도값은 컨트롤러(40)로 입력된다.
제3 센서(30)는 초음파 센서로 구비되어 자동차의 후방범퍼에 설치된다. 제3 센서(30)는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후방범퍼의 좌우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3 센서(30)는 후방 장애물과의 거리를 감지한다.
제3 센서(30)가 감지한 후방 장애물과의 거리는 컨트롤러(40)로 입력된다.
컨트롤러(40)는 제1 센서(10)가 감지한 상기 변속레버의 위치와, 제2 센서(20)가 감지한 상기 가속도값과, 제3 센서(30)가 감지한 상기 후방 장애물과의 거리를 이용하여, 부져(50)를 제어한다.
즉, 컨트롤러(40)는 제1 센서(10)가 감지한 상기 변속레버의 위치가 후진을 제외한 위치에 있을 때, 제2 센서(20)가 감지한 상기 가속도값이 설정값 이상이고, 제3 센서(30)가 감지한 상기 거리가 설정거리 이내이면, 경고음이 울리도록 부져(50)를 작동시킨다.
컨트롤러(40)는 제1 센서(10)가 감지한 상기 변속레버의 위치가 후진을 제외한 위치에 있을 때, 제2 센서(20)가 감지한 상기 가속도값이 상기 설정값 이상이면, 자동차가 주행 중이라고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자동차가 주행 중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제3 센서(30)가 감지한 상기 거리가 설정거리 이내이면, 상기 경고음이 울리도록 부져(50)를 작동시킨다.
부져(50)는 경고음이 울릴 수 있는 모든 알람유닛을 포함한다. 부져(50)는 운전자가 상기 경고음을 쉽게 들을 수 있드록 차실 내에서 운전석 부근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부져(50)는 차실 내에서 계기판 클러스터에 설치되거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되거나, 룸미러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40)는 제1 센서(10)가 감지한 상기 변속레버의 위치가 후진에 있을 때에는 제2 센서(20)가 감지한 상기 가속도값을 이용하지 않고, 제3 센서(30)가 감지한 상기 후방 장애물과의 거리만을 이용하여 상기 경고음이 울리도록 부져(50)를 작동시킨다.
즉, 컨트롤러(40)는, 제1 센서(10)가 감지한 상기 변속레버의 위치가 후진에 있을 때, 제3 센서(30)가 감지한 상기 후방 장애물과의 거리가 상기 설정거리 이내이면, 상기 경고음이 울리도록 부져(50)를 작동시킨다.
컨트롤러(40)는 제1 센서(10)가 감지한 상기 변속레버의 위치가 후진에 있으면, 자동차가 후진 중이라고 판단할 수 있으며, 자동차가 후진 중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제3 센서(30)가 감지한 상기 후방 장애물과의 거리가 상기 설정거리 이내이면, 상기 경고음이 울리도록 부져(50)를 작동시킨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제어방법에 따른 순서도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제어방법을,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동작과 결부시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변속레버 위치 감지단계(S10)에서는 제1 센서(10)가 변속레버의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변속레버의 위치는 컨트롤러(40)로 입력된다.
또한, 가속도값 감지단계(S20)에서는 제2 센서(20)가 자동차의 주행시 발생되는 가속도값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가속값은 컨트롤러(40)로 입력된다.
또한, 거리 감지단계(S30)에서는 제3 센서(30)가 후방 장애물과의 거리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후방 장애물과의 거리는 컨트롤러(40)로 입력된다.
이후, 컨트롤러(40)는 제1 센서(10)가 감지한 변속레버의 위치와, 제2 센서(20)가 감지한 가속도값과, 제3 센서(30)가 감지한 후방 장애물과의 거리를 이용하여, 부져(50)를 제어하는 부져 제어단계(S40,S50,S60,S70)를 수행한다.
상기 부져 제어단계(S40,S50,S60,S70)는 변속레버 위치판단단계(S40), 가속도값 판단단계(S50), 거리 판단단계(S60) 및 부져 작동단계(S70)를 포함한다.
변속레버 위치판단단계(S40)에서는 컨트롤러(40)는 제1 센서(10)로부터 입력된 상기 변속레버의 위치가 후진인지 판단한다.
이후, 컨트롤러(40)는, 상기 변속레버 위치판단단계(S40)에서 판단한 상기 변속레버의 위치가 후진이 아니면 가속도값 판단단계(S50)를 수행하고, 상기 변속레버 위치판단단계(S40)에서 판단한 상기 변속레버의 위치가 후진이면 후방 장애물과의 거리 판단단계(S60)를 수행한다.
가속도값 판단단계(S50)에서는 컨트롤러(40)는 제2 센서(20)로부터 입력된 상기 가속도값을 설정값과 비교하여, 제2 센서(20)로부터 입력된 상기 가속도값이 상기 설정값 이상인지 판단한다. 컨트롤러(40)는, 가속도값 판단단계(S50)에서 판단한 상기 가속도값이 상기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거리 판단단계(S60)를 수행하고, 가속도값 판단단계(S50)에서 판단한 상기 가속도값이 상기 설정값보다 작으면 제어를 종료한다.
거리 판단단계(S60)에서는 컨트롤러(40)는 제3 센서(30)로부터 입력된 상기 후방 장애물과의 거리를 설정거리와 비교하여, 제3 센서(30)로부터 입력된 상기 후방 장애물과의 거리가 상기 설정거리 이하인지를 판단한다. 컨트롤러(40)는, 거리 판단단계(S60)에서 판단한 상기 후방 장애물과의 거리가 상기 설정거리 이하이면 부져 작동단계(S70)를 수행하고, 거리 판단단계(S60)에서 판단한 상기 후방 장애물과의 거리가 상기 설정거리보다 크면 제어를 종료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및 자동차의 제어방법에 의하면, 부져 제어단계(S40,S50,S60,S70)에서 컨트롤러(40)는 제1 센서(10)가 감지한 상기 변속레버의 위치가 후진을 제외한 위치에 있을 때, 제2 센서(20)가 감지한 상기 가속도값이 설정값 이상이고, 제3 센서(30)가 감지한 상기 후방 장애물과의 거리가 설정거리 이내이면, 상기 경고음이 울리도록 부져(50)를 작동시킨다.
또한, 부져 제어단계(S40,S50,S60,S70)에서 컨트롤러(40)는 제1 센서(10)가 감지한 상기 변속레버의 위치가 후진에 있을 때, 제3 센서(30)가 감지한 상기 후방 장애물과의 거리가 상기 설정거리 이내이면, 상기 경고음이 울리도록 부져(50)를 작동시킨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및 자동차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주행 중 후방 자동차가 상기 설정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경고음이 울리기 때문에, 후방 추돌 사고를 경고해줄 수 있다.
또한, 후진 중 후방 장애물이 상기 설정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경고음이 울리기 때문에, 후방 주차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제1 센서 20 : 제2 센서
30 : 제3 센서 40 : 컨트롤러
50 : 부져

Claims (4)

  1. 변속레버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1 센서;
    주행시 발생되는 가속도값을 감지하는 제2 센서;
    후방 장애물과의 거리를 감지하는 제3 센서;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부져; 및
    상기 제1 센서가 감지한 상기 변속레버의 위치가 후진을 제외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 센서가 감지한 상기 가속도값이 설정값 이상이고, 상기 제3 센서가 감지한 상기 거리가 설정거리 이내이면, 상기 경고음이 울리도록 상기 부져를 작동시키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자동차.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센서가 감지한 상기 변속레버의 위치가 후진에 있을 때, 상기 제3 센서가 감지한 상기 거리가 상기 설정거리 이내이면, 상기 경고음이 울리도록 상기 부져를 작동시키는 자동차.
  3. 변속레버의 위치를 감지하는 변속레버 위치 감지단계;
    주행시 발생되는 가속도값을 감지하는 가속도값 감지단계;
    후방 장애물과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 감지단계; 및
    상기 변속레버의 위치가 후진을 제외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가속도값이 설정값 이상이고, 상기 거리가 설정거리 이내이면, 경고음이 울리도록 부져를 작동시키는 부져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제어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부져 제어단계에서는,
    상기 변속레버의 위치가 후진에 있을 때, 상기 거리가 상기 설정거리 이내이면, 상기 경고음이 울리도록 상기 부져를 작동시키는 자동차의 제어방법.
KR1020170085191A 2017-07-05 2017-07-05 자동차 및 자동차의 제어방법 KR201900048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5191A KR20190004881A (ko) 2017-07-05 2017-07-05 자동차 및 자동차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5191A KR20190004881A (ko) 2017-07-05 2017-07-05 자동차 및 자동차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4881A true KR20190004881A (ko) 2019-01-15

Family

ID=65030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5191A KR20190004881A (ko) 2017-07-05 2017-07-05 자동차 및 자동차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488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50049A (zh) * 2019-09-24 2019-12-10 北京智行者科技有限公司 一种无人驾驶车辆的碰撞告警处理方法和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50049A (zh) * 2019-09-24 2019-12-10 北京智行者科技有限公司 一种无人驾驶车辆的碰撞告警处理方法和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24766B1 (en) Vehicle surrounding display apparatus
JP6123873B2 (ja) 車両用先進運転者支援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US8948990B2 (en) Parking assist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JP6521803B2 (ja) 自動運転制御装置、フットレスト、自動運転制御方法、および運転情報出力方法
JP4506568B2 (ja) 駐車支援装置
WO2011162108A1 (ja) 駐車支援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JP5388299B2 (ja) 駐車支援装置
US9415774B2 (en) Vehicle control apparatus including an obstacle detection device
US7565235B2 (en) Drive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
JP5794381B2 (ja) 走行制御装置及び走行制御方法
JP2006256494A (ja) 車両用走行支援装置
JP6549958B2 (ja) 自動運転装置
JP2018122647A (ja) 車両用警報装置
JP6747141B2 (ja) 速度制御装置
JP2007069729A (ja) 走行制御装置
KR20190004881A (ko) 자동차 및 자동차의 제어방법
JP2005231588A (ja) 車両の停車支援装置
JP2007245835A (ja) 車両の走行制御装置
JP7068365B2 (ja) 車両制御装置、車両及び車両制御方法
JP2007237966A (ja) 車両の走行制御装置
JP2019121243A (ja) 危険運転防止装置
JP3088100B2 (ja) 車間距離制御装置
JP4816134B2 (ja) 車両の走行制御装置
JP3077938B1 (ja) 車間距離制御装置
JP2019048521A (ja) 報知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