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7426A - 자동차용 후드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후드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7426A
KR20230137426A KR1020237029422A KR20237029422A KR20230137426A KR 20230137426 A KR20230137426 A KR 20230137426A KR 1020237029422 A KR1020237029422 A KR 1020237029422A KR 20237029422 A KR20237029422 A KR 20237029422A KR 20230137426 A KR20230137426 A KR 202301374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wall
outer panel
hood structure
trim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9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웨이천 리
히로코 가시마
마사토시 요시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Publication of KR20230137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742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Abstract

자동차용 후드 구조는 아우터 패널(4), 이너 패널(20), 및 지지부(31)를 구비한다. 이너 패널(20)은 융기부(22)와 내측 경사벽(23)을 갖는다. 융기부(22)는 아우터 패널(4)의 하면과 대향하여 배치되며,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면(21)을 갖는다. 내측 경사벽(23)은 융기부(22)로부터 연속되며 지지면(21)에 대해 경사져 있다. 지지부(31)는 이너 패널(20)의 차량 폭방향의 사이드부의 차량 전후방향의 전방부측에 마련되며, 아우터 패널(4)의 하면을 차량 높이방향의 하측으로부터 지지한다. 차량 폭방향의 사이드부에 배치된 내측 경사벽(23)의 차량 전후방향의 전방부측에 트림 구멍(29)이 마련되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후드 구조
본 발명은 자동차용 후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후드 구조에 있어서는, 세차시 등 탄성 상태에서 후드 아우터면으로부터 하중을 부하한 경우의 인장 강성, 국소적으로 강한 하중이 가해졌을 때의 함몰 억제를 목적으로 하는 내덴트성을 높게 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안전성의 관점에서 높은 보행자 보호 성능이 요구되고 있다. 보행자 보호 성능은, 차량 전방 충돌시에 후드 부분이 압궤되는 것에 따른 충격 흡수 성능을 나타내고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이너 패널의 종벽에 복수의 트림 구멍을 마련하고, 차량 전후방향의 전방부의 압궤성을 향상시키는 것에 의해, 보행자 보호 성능의 향상이 도모된 자동차용 후드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 2015-182738 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있어서는, 인장 강성이나 내덴트성의 향상에 관한 특별한 고안은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지 않으며,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은 자동차용 후드 구조에 있어서, 인장 강성, 내덴트성, 및 보행자 보호 성능에 대해 높은 성능을 확보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자동차용 후드의 상면을 구성하는 아우터 패널과, 상기 아우터 패널의 하면과 대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면을 갖는 융기부, 상기 융기부로부터 연속되며 상기 지지면에 대해 경사져 있는 내측 경사벽, 상기 내측 경사벽으로부터 연속되며 상기 아우터 패널의 상기 하면에 간격을 두고 대향하고 있는 홈 바닥벽, 및 상기 홈 바닥벽으로부터 연속되며 상기 홈 바닥벽에 대해 경사져 있는 외측 경사벽을 갖는 이너 패널과, 상기 이너 패널의 차량 폭방향의 사이드부의 차량 전후방향의 전방부측에 마련되며, 상기 아우터 패널의 상기 하면을 차량 높이방향의 하측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차량 폭방향의 사이드부에 배치된 상기 내측 경사벽의 상기 차량 전후방향의 전방부측에, 트림 구멍이 마련되어 있는 자동차용 후드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자동차용 후드 구조에 의하면, 아우터 패널의 차량 전후방향의 전방부의 하면이, 지지부에 의해 차량 높이방향의 하측으로부터 지지되어 있다. 그 때문에, 아우터 패널의 인장 강성이나 내덴트성을 높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차량 폭방향의 사이드부에 배치된 내측 경사벽의 차량 전후방향의 전방부측에 트림 구멍이 마련되어 있다. 당해 부분의 내측 경사벽은, 차량의 전방으로부터의 충격 및 상방으로부터의 충격에 대해 항력을 발휘하지만, 당해 부분에 트림 구멍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양 충격에 대해 자동차용 후드를 압궤되기 쉽게 할 수 있어서, 높은 보행자 보호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는 이너 패널의 일부여도 좋으며, 이너 패널과는 별체여도 좋다.
자동차용 후드 구조는, 상기 자동차용 후드를 차량에 대해 개폐 가능하게 축지지하도록 상기 이너 패널의 상기 차량 폭방향의 사이드부의 상기 차량 전후방향의 후방부측에 마련된 힌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트림 구멍은, 상기 차량 폭방향의 사이드부에 배치된 상기 내측 경사벽의 상기 차량 전후방향의 전방부측에만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차량 전후방향의 후방부측에 마련된 힌지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차량 전후방향의 전방부측)에만 트림 구멍이 마련되어 있다. 환언하면, 힌지부 부근에는 트림 구멍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힌지부 부근의 강성의 저하를 억제하여, 높은 굽힘 강성 및 비틀림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내측 경사벽은, 상기 융기부의 상기 차량 폭방향의 사이드부로부터 연속되며 상기 지지면에 대해 경사지고, 상기 차량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내측 측벽부와, 상기 융기부의 상기 차량 전후방향의 전방으로부터 연속되며 상기 지지면에 대해 경사지며, 상기 차량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내측 측벽부와, 상기 융기부의 상기 차량 폭방향의 사이드부의 상기 차량 전후방향의 전방부측으로부터 연속되며 상기 지지면에 대해 경사지며, 상기 내측 측벽부와 상기 내측 전방 벽부를 접속하고 있는 내측 코너 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트림 구멍은, 상기 내측 코너 벽부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내측 경사벽 중, 차량 폭방향의 사이드부에서 차량 전후방향의 최전방부에 트림 구멍을 마련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굽힘 강성 및 비틀림 강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트림 구멍은 상기 내측 코너 벽부의 상기 차량 높이방향의 상단으로부터 간극을 두고 상기 차량 높이방향의 하측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트림 구멍이 내측 코너 벽부 내에서 종단되며, 융기부까지는 연장되어 있지는 않다. 따라서, 융기부와 내측 코너 벽부의 경계에는 능선이 형성된다. 굽힘 변형이나 비틀림 변형은, 면에 대해 생기기 쉽지만, 능선부에 대해서는 생기기 어렵다. 따라서, 상기 구성에서는, 굽힘 변형이나 비틀림 변형이 능선에 의해 억제되어, 굽힘 강성 및 비틀림 강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트림 구멍은, 상기 트림 구멍의 상기 차량 높이방향의 상단을 기점으로 상기 내측 코너 벽부의 일부를 상기 아우터 패널을 향하여 절단젖힘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절단젖힘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 절단젖힘편을 포함하여도 좋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트림 구멍의 형성과 지지부의 형성이 동시에 달성될 수 있다. 이너 패널에 트림 구멍의 형상의 절단 가공을 실시할 때, 트림 구멍의 차량 높이방향의 상단 이외를 절단하여, 트림 구멍의 상단에 절단선이 형성되도록, 아우터 패널을 향하여 굽힘 가공을 실시한다(즉, 절단젖힘). 그 결과, 아우터 패널의 하면을 지지하는 절단젖힘편이 형성되고, 당해 절단젖힘편이 지지부가 될 수 있다. 그 때문에, 지지부의 형성을 위해, 별도의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내측 코너 벽부의 일부를 절단젖힘하는 것에 의해, 지지부가 형성되며, 동시에 트림 구멍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트림 구멍은, 상기 트림 구멍의 상기 차량 높이방향의 하단을 기점으로 상기 내측 코너 벽부의 일부를 상기 아우터 패널을 향하여 절단젖힘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절단젖힘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 절단젖힘편을 포함하며, 상기 절단젖힘편은, 상기 트림 구멍의 상기 차량 높이방향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아우터 패널의 상기 하면까지 연장되는 레그부와, 상기 레그부의 선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아우터 패널의 상기 하면에 대향하여 상기 아우터 패널의 상기 하면을 지지하는 시트부를 가져도 좋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레그부는, 아우터 패널에 가해지는 차량 높이방향의 하중을 압축 하중으로서 지지한다. 그 때문에, 당해 하중을 굽힘 하중으로서 받는 경우에 비해, 지지부는 변형되기 어렵다. 따라서, 높은 인장 강성이나 내덴트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레그부에는 관통 구멍이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지지부에 포함되는 절단젖힘편의 차량 높이방향의 변형 저항이 저하할 수 있다. 즉, 차량 높이방향으로 자동차용 후드가 압궤되기 쉬워진다. 그 때문에, 보행자가 자동차용 후드에 튕겨올랐을 때 등에 생길 수 있는 상방으로부터의 충격에 대한 충격 흡수 성능이 향상되어, 레그부에 관통 구멍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비해 보행자 보호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상기 레그부는 절곡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지지부에 포함되는 절단젖힘편의 차량 높이방향의 변형 저항이 저하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레그부가 절곡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비해 보행자 보호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동차용 후드 구조에 의하면, 인장 강성, 내덴트성, 및 보행자 보호 성능에 대해 높은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자동차의 전방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후드 구조를 차량 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자동차용 후드 구조로부터 아우터 패널을 제외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자동차용 후드 구조를 위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부분(V)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5의 선 Ⅵ-Ⅵ에서의 단부면도이다.
도 7은 제 2 실시형태의 도 5와 동일한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7의 선 Ⅷ-Ⅷ에서의 단부면도이다.
도 9는 제 3 실시형태의 도 5와 동일한 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선 X-X에서의 단부면도이다.
도 11은 제 3 실시형태의 변형예의 도 5와 동일한 확대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선 ⅩⅡ-ⅩⅡ에서의 단부면도이다.
도 13은 제 4 실시형태의 도 5와 동일한 확대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선 ⅩⅣ-ⅩⅣ에서의 단부면도이다.
도 15는 제 5 실시형태의 도 5와 동일한 확대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선 XⅥ-XⅥ에서의 단부면도이다.
도 17은 제 6 실시형태의 도 5와 동일한 확대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선 XⅧ-XⅧ에서의 단부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자동차용 후드 구조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적절히 나타나는 화살표(FR)는 차량 전방을 나타내며, 화살표(UP)는 차량 높이방향의 상방을 나타내며, 화살표(W)는 차량 폭방향의 우측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자동차용 후드(1)의 폐지(閉止) 상태에서는, 자동차용 후드 전방측은 차량 전방측과 동일한 방향이며, 자동차용 후드 상방측은 차량 상방측과 동일한 방향이며, 자동차용 후드 폭방향은 차량 폭방향과 동일한 방향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자동차용 후드(1)는 폐지 상태로 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에서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자동차용 후드 구조가 적용된 자동차용 후드(1)를 구비하는 차량(2)이 도시되어 있다. 자동차용 후드(1)는 도시하지 않은 엔진 룸을 차량 상방으로부터 덮도록 차량 전방부에 배치되어 있다. 자동차용 후드(1)는 후술하는 힌지부(3)를 거쳐서 차량 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즉, 자동차용 후드(1)는 힌지부(3)의 힌지축 주위로 회전 이동하는 것에 의해 엔진 룸을 개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자동차용 후드 구조는 자동차용 후드(1)의 상면을 구성하는 아우터 패널(4)과, 자동차용 후드(1)의 하면을 구성하는 이너 패널(20)을 구비한다. 아우터 패널(4)의 외주 단부와 이너 패널(20)의 외주 단부는, 예를 들면, 헤밍 가공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아우터 패널(4) 및 이너 패널(20)은 일 예로서, 모두 알루미늄 합금판을 프레스 성형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아우터 패널(4) 및 이너 패널(20)은 강판 등의 다른 금속판이 적용되어도 좋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이너 패널(20)은 아우터 패널(4)의 하면과 대향하여 배치되며, 아우터 패널(4)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면(21)을 갖는 융기부(22)를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융기부(22)는 차량 높이방향으로부터 보아 개략 육각형의 형상을 가지며, 이너 패널(20)의 중앙부에 있어서 융기된 부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융기부(22)는 지지면(21)에 있어서 차량 높이방향의 하방으로 오목한 형상을 갖는 오목부(40)를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오목부(40)는 차량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차량 전후방향에 간격을 두고 4개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아우터 패널(4)의 하면 및 이너 패널(20)의 지지면(21)은 매스틱 접착제(5)에 의해 접합된다(도 6 참조). 이너 패널(20)은 추가로, 내측 경사벽(23), 홈 바닥벽(24), 및 외측 경사벽(25)을 갖는다. 내측 경사벽(23)은 융기부(22)로부터 연속되며 지지면(21)에 대해 경사져 있다. 홈 바닥벽(24)은 내측 경사벽(23)으로부터 연속되며 아우터 패널(4)의 하면에 간격을 두고 대향하고 있다. 외측 경사벽(25)은 홈 바닥벽(24)으로부터 연속되며 홈 바닥벽(24)에 대해 경사져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내측 경사벽(23)과, 홈 바닥벽(24)과, 외측 경사벽(25)에 의해, 홈 바닥벽(24)을 홈 바닥으로 하는 환상의 홈(41)이 형성되어 있다. 홈(41)은 차량 높이방향의 상방으로 개구되며, 융기부(22)를 둘러싸고 마련되어 있다. 융기부(22)는 이 홈(41)에 대해 융기된 상면부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자동차용 후드(1)는 차량 폭방향의 중심에 있어서 차량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축(X)에 관하여 대칭이므로, 이하의 설명에서는, 자동차용 후드(1)의 차량 폭방향의 편사이드측만을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내측 경사벽(23)은 내측 후방 벽부(23a), 내측 측벽부(23b), 내측 전방 벽부(23c), 및 내측 코너 벽부(23d)를 구비한다. 내측 후방 벽부(23a)는, 융기부(22)의 차량 전후방향의 후방으로부터 연속되며 지지면(21)에 대해 경사지며, 차량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내측 측벽부(23b)는, 융기부(22)의 차량 폭방향의 사이드부로부터 연속되며 지지면(21)에 대해 경사지며, 차량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내측 전방 벽부(23c)는, 융기부(22)의 차량 전후방향의 전방으로부터 연속되며 지지면(21)에 대해 경사지며, 차량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내측 측벽부(23b)는 예를 들면, 차량 전후방향의 전방을 향하며, 축(X)에 가까워지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즉, 내측 측벽부(23b)는, 축(X)과 평행은 아니며, 축(X)에 대해 경사져 있어도 좋다.
내측 코너 벽부(23d)는, 융기부(22)의 차량 폭방향의 사이드부의 차량 전후방향의 전방부측으로부터 연속되며 지지면(21)에 대해 경사지며, 내측 측벽부(23b)와 내측 전방 벽부(23c)를 접속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내측 코너 벽부(23d)는 평면형상이다. 내측 코너 벽부(23d)와 융기부(22) 사이에는, 능선(2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내측 코너 벽부(23d)와 홈 바닥벽(24) 사이에는, 곡선(30)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홈 바닥벽(24)은 홈 바닥 후방 벽부(24a), 홈 바닥 측벽부(24b), 및 홈 바닥 전방 벽부(24c)를 갖는다. 홈 바닥 후방 벽부(24a)는 내측 후방 벽부(23a)로부터 연속되며 아우터 패널(4)의 하면에 간격을 두고 대향하고 있다. 홈 바닥 측벽부(24b)는 내측 측벽부(23b)와 내측 코너 벽부(23d)의 일부로부터 연속되며 아우터 패널(4)의 하면에 간격을 두고 대향하고 있다. 홈 바닥 전방 벽부(24c)는 내측 전방 벽부(23c)와 내측 코너 벽부(23d)의 일부로부터 연속되며 아우터 패널(4)의 하면에 간격을 두고 대향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측 경사벽(25)은 외측 후방 벽부(25a), 외측 측벽부(25b), 및 외측 전방 벽부(25c)를 갖는다. 외측 후방 벽부(25a)는 홈 바닥 후방 벽부(24a)로부터 연속되며 홈 바닥 후방 벽부(24a)에 대해 경사져 있다. 외측 측벽부(25b)는, 홈 바닥 측벽부(24b)로부터 연속되며 홈 바닥 측벽부(24b)에 대해 경사져 있다. 외측 전방 벽부(25c)는, 홈 바닥 전방 벽부(24c)로부터 연속되며 홈 바닥 전방 벽부(24c)에 대해 경사져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4에 점선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이너 패널(20)은 홈 바닥 전방 벽부(24c)의 차량 폭방향의 중앙, 즉, 홈 바닥 전방 벽부(24c)의 축(X) 상에 마련된 로크 부재(27)를 구비한다. 로크 부재(27)는 자동차용 후드(1)를 차량 본체에 대해 폐쇄한 상태로 고정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너 패널(20)은 덴트 리인포스(dent reinforce)(28)를 구비한다. 덴트 리인포스(28)는 자동차용 후드(1)의 전방부의 인장 강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덴트 리인포스(28)는 로크 부재(27)와 홈 바닥 전방 벽부(24c)를 차량 높이방향의 상방으로부터 덮도록 마련되어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자동차용 후드 구조는 힌지부(3)를 구비한다. 힌지부(3)는 자동차용 후드(1)를 차량(2)에 대해 개폐 가능하게 축지지하도록 이너 패널(20)의 차량 폭방향의 사이드부의 차량 전후방향의 후방부측에 마련되어 있다. 즉, 힌지부(3)는 이너 패널(20)의 하면에 있어서의 홈 바닥 후방 벽부(24a)의 사이드부, 환언하면, 홈 바닥 후방 벽부(24a)와 홈 바닥 측벽부(24b)가 합류하는 부분에 접합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이너 패널(20)에는, 관통 구멍인 트림 구멍(29)이 마련되어 있다. 트림 구멍(29)은 트림 구멍(29)의 차량 높이방향의 상단을 기점으로 내측 코너 벽부(23d)의 일부를 아우터 패널(4)을 향하여 절단젖힘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트림 구멍(29)은 차량 폭방향의 사이드부에 배치된 내측 경사벽(23)의 차량 전후방향의 전방부측(본 실시형태에서는, 내측 코너 벽부(23d)에만)에만 마련되어 있다. 여기에서, 차량 전후방향의 전방부측은, 이너 패널(20)을 차량 전후방향으로 2분할한 경우의 전방측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트림 구멍(29)은 직사각형이다. 단, 트림 구멍(29)은 직사각형 이외의 다각형이나 그 외의 임의의 형상이어도 좋다. 또한, 트림 구멍의 위치는, 본 실시형태의 위치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개소에도 마련하여도 좋다.
트림 구멍(29)은 내측 코너 벽부(23d)의 차량 높이방향의 상단(능선(26))으로부터 간극(a)을 두고 차량 높이방향의 하측에 마련되어 있다. 즉, 트림 구멍(29)은 능선(26)을 남기도록 마련되어 있다. 간극(a)은 내측 코너 벽부(23d)의 상단(능선(26))에서 하단(곡선(30))까지의 길이(b)의 10% 정도 이상이어도 좋다(a≥0.1b).
또한, 트림 구멍(29)은 내측 코너 벽부(23d)의 차량 높이방향의 하단(곡선(30))으로부터 간극(c)을 두고 차량 높이방향의 상측에 마련되어 있다. 즉, 트림 구멍(29)은 곡선(30)을 남기도록 마련되어 있다. 간극(c)은 능선(26)으로부터 곡선(30)까지의 길이(b)의 10% 정도 이상이어도 좋다(c≥0.1b).
자동차용 후드 구조는 지지부(31)를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지지부(31)는 이너 패널(20)의 일부이며, 절단젖힘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 절단젖힘편(35A)을 포함한다. 즉, 절단젖힘편(35A)은 아우터 패널(4)의 하면을 차량 높이방향의 하측으로부터 지지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절단젖힘편(35A)은 매스틱 접착제(5)에 의해 아우터 패널(4)에 접합되어 있다.
이하, 인장 강성, 내덴트성, 굽힘 강성, 및 비틀림 강성에 대해 언급한다.
인장 강성은, 자동차용 후드(1)의 탄성 상태에서 후드 아우터면으로부터 하중이 가해졌을 때의 강성을 나타내는 지표이며, 예를 들면, 아우터 패널(4)에 면직방향으로 하중을 가했을 때의 변형량을 측정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다. 당해 변형량이 작을수록 인장 강성은 높고, 양호하다고 평가된다. 또한, 내덴트성은 부하 하중이 조금 높지만, 상기 인장 강성과 대략 동일한 수법으로 평가되며, 마찬가지로, 하중 부하 후의 잔류 변형이 작을수록 양호하다고 평가된다. 그 때문에, 아우터 패널(4)의 하면을 차량 높이방향의 하측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부(31)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인장 강성이나 내덴트성은 향상할 수 있다.
굽힘 강성은 자동차용 후드(1)의 내굽힘성을 나타내는 지표이며, 예를 들면, 2개의 힌지부(3)와 로크 부재(27)를 지지점으로 하여, 자동차용 후드(1)의 전방 레그부(도 4에 도시하는 부분(A))에 차량 높이방향의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하중을 가했을 때의 변형량을 측정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다. 당해 변형량이 작을수록 굽힘 강성은 높고, 양호하다고 평가된다. 그 때문에, 2개의 힌지부(3)와 로크 부재(27)의 부근의 강성의 저하를 억제하는 것에 의해, 굽힘 강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비틀림 강성은, 자동차용 후드(1)의 내비틀림성을 나타내는 지표이며, 예를 들면, 2개의 힌지부(3)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후드(1)의 3개의 레그부를 지지점으로하고, 나머지의 하나의 코너부(도 4에 도시하는 부분(A))에 차량 높이방향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하중을 가했을 때의 변형량을 측정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다. 당해 변형량이 작을수록 비틀림 강성은 높고, 양호하다고 평가된다. 그 때문에, 힌지부(3) 부근의 강성의 저하를 억제하는 것에 의해, 비틀림 강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자동차용 후드 구조에 의하면, 아우터 패널(4)의 차량 전후방향의 전방부의 하면이, 지지부(31)에 의해 차량 높이방향의 하측으로부터 지지되어 있다. 그 때문에, 아우터 패널(4)의 인장 강성이나 내덴트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차량 전후방향의 후방부측에 마련된 힌지부(3)로부터 이격된 위치(차량 전후방향의 전방부측에 있는 내측 코너 벽부(23d))에만 트림 구멍(29)이 마련되어 있다. 환언하면, 힌지부(3) 부근에는 트림 구멍(29)이 마련되어 있지 않으며, 힌지부(3) 부근의 강성의 저하를 억제하여, 높은 굽힘 강성 및 비틀림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차량 폭방향의 사이드부에 배치된 내측 경사벽(23)의 차량 전후방향의 전방부측의 내측 코너 벽부(23d)에 트림 구멍(29)이 마련되어 있다. 내측 코너 벽부(23d)는, 차량(2)의 전방으로부터의 충격 및 상방으로부터의 충격에 대해 항력을 발휘하지만, 내측 코너 벽부(23d)에 트림 구멍(29)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양 충격에 대해 자동차용 후드(1)를 압궤되기 쉽게 할 수 있어서, 높은 보행자 보호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트림 구멍(29)은 내측 경사벽(23) 중, 차량 폭방향의 사이드부에서 차량 전후방향의 최전방부(즉, 내측 코너 벽부(23d))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트림 구멍(29)은 내측 경사벽(23) 중, 로크 부재(27)로부터 차량 폭방향에 대해 크게 이격된 위치에 있는 내측 코너 벽부(23d)에 마련되어 있다. 즉, 힌지부(3) 부근 및 로크 부재(27) 부근에는 트림 구멍(29)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그 때문에, 굽힘 강성 및 비틀림 강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트림 구멍(29)이 내측 코너 벽부(23d) 내에서 종단되고, 융기부(22)까지는 연장되어 있지 않으며, 융기부(22)와 내측 코너 벽부(23d)의 경계에는 능선(26)이 형성되어 있다. 굽힘 변형이나 비틀림 변형은, 면에 대해 생기기 쉽지만, 능선부에 대해서는 생기기 어렵다. 따라서, 능선(26)이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굽힘 변형이나 비틀림 변형이 억제되어, 굽힘 강성 및 비틀림 강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트림 구멍(29)의 형성과 지지부(31)의 형성이 동시에 달성될 수 있다. 이너 패널(20)에 트림 구멍(29)의 형상의 절단 가공을 실시할 때, 트림 구멍(29)의 차량 높이방향의 상단 이외를 절단하여, 트림 구멍(29)의 상단에 꺾은선(36)이 형성되도록, 아우터 패널(4)을 향하여 굽힘 가공을 실시한다(즉, 절단젖힘). 그 결과, 아우터 패널(4)의 하면을 지지하는 절단젖힘편(35A)이 형성되어, 당해 절단젖힘편(35A)이 지지부(31)가 될 수 있다. 그 때문에, 지지부(31)의 형성을 위해 별도의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내측 코너 벽부(23d)의 일부를 절단젖힘하는 것에 의해, 지지부(31)가 형성되며, 동시에 트림 구멍(29)도 형성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실시형태의 자동차용 후드 구조에 의하면, 인장 강성, 내덴트성, 굽힘 강성, 비틀림 강성, 및 보행자 보호 성능에 대해 높은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자동차용 후드 구조의 구성은, 이하의 점에서 제 1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제 2 실시형태의 그 외의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 내지 마찬가지의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자동차용 후드 구조에서는, 트림 구멍(29)은 트림 구멍(29)의 차량 높이방향의 하단을 기점으로 내측 코너 벽부(23d)의 일부를 아우터 패널(4)을 향하여 절단젖힘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부(31)는 절단젖힘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 절단젖힘편(35B)을 포함한다. 즉, 절단젖힘편(35B)은 아우터 패널(4)의 하면을 차량 높이방향의 하측으로부터 지지한다. 절단젖힘편(35B)은 레그부(37)와 시트부(38)를 갖는다. 제 2 실시형태에서는, 레그부(37)는 트림 구멍(29)의 차량 높이방향의 하단으로부터 아우터 패널(4)의 하면까지, 홈 바닥벽(24)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연장된다. 시트부(38)는 레그부(37)의 선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아우터 패널(4)의 하면에 대향하여 아우터 패널(4)의 하면을 지지한다.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시트부(38)는 매스틱 접착제(5)에 의해 아우터 패널(4)에 접합되어 있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시트부(38)는 레그부(37)로부터 융기부(22)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자동차용 후드 구조에 의하면, 레그부(37)는 아우터 패널(4)에 가해지는 하중을 압축 하중으로서 지지한다. 그 때문에, 당해 하중을 굽힘 하중으로서 받는 경우에 비해, 지지부(31)는 변형되기 어렵다. 따라서, 높은 인장 강성 및 내덴트성을 확보하기 쉽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실시형태의 변형예에서는, 시트부(38)는 레그부(37)로부터 융기부(22)와 반대방향, 즉, 외측 경사벽(25)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시트부(38)가 외측 경사벽(25)을 향하여 연장되는 것에 의해, 융기부(22)로부터 먼 영역까지 아우터 패널(4)을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며, 넓은 범위 중 강성 및 내덴트성을 향상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자동차용 후드 구조의 구성은, 이하의 점에서 제 2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제 3 실시형태의 그 외의 구성은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하며, 제 2 실시형태와 동일 내지 마찬가지의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자동차용 후드 구조에서는, 레그부(37)에는, 관통 구멍(39)이 마련되어 있다. 제 3 실시형태에서는, 관통 구멍(39)은 레그부(37)의 중앙부에 마련되어 있다. 관통 구멍(39)은 예를 들면, 개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시트부(38)는 도시와는 반대로 융기부(22)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자동차용 후드 구조에 의하면, 지지부(31)에 포함되는 절단젖힘편(35C)의 차량 높이방향의 변형 저항이 저하할 수 있다. 즉, 차량 높이방향으로 자동차용 후드(1)가 압궤되기 쉬워진다. 그 때문에, 보행자가 자동차용 후드(1)에 튕겨올랐을 때 등에 생길 수 있는 상방으로부터의 충격에 대한 충격 흡수 성능이 향상하여, 레그부(37)에 관통 구멍(39)이 마련되어 없는 경우에 비해 보행자 보호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제 4 실시형태)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자동차용 후드 구조의 구성은, 이하의 점에서 제 2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제 4 실시형태의 그 외의 구성은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하며, 제 2 실시형태와 동일 내지 마찬가지의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자동차용 후드 구조에서는, 레그부(37)는 홈 바닥벽(24)에 대해 각도(θ1)로 마련되어 있다. 각도(θ1)는 홈 바닥벽(24)에 대한 내측 코너 벽부(23d)의 각도(θ2)보다 크고, 90°보다 작다(θ2<θ1<90°).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자동차용 후드 구조가 금형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경우, 레그부(37)와 시트부(38)의 각도(θ3)는 90°이상일 필요가 있다(θ3≥90°). 즉, 각도(θ1)는 각도(θ2)보다 크고, 90°보다 작으며, 또한, 각도(θ3)가 90°이상이 되도록 설정되지 않으면 안 된다.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자동차용 후드 구조에 의하면, 절단젖힘편(35D)에 가해진 충격에 의해, 레그부(37)가 쓰러지도록 변형되기 때문에, 각도(θ1)가 90°의 경우에 비해, 절단젖힘편(35D)의 차량 높이방향의 변형 저항이 저하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보행자가 자동차용 후드(1)에 튕겨올랐을 때 등에 생길 수 있는 상방으로부터의 충격에 대한 충격 흡수 성능이 향상되어, 보행자 보호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제 5 실시형태)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따른 자동차용 후드 구조의 구성은, 이하의 점에서 제 2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제 5 실시형태의 그 외의 구성은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하며, 제 2 실시형태와 동일 내지 마찬가지의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제 5 실시형태에 따른 자동차용 후드 구조에서는, 레그부(37)는 절곡되어 있다. 절곡된 레그부(37)는 도시의 예와 같이 융기부(22)를 향하여 볼록형상이어도 좋으며, 도시와는 반대로 융기부(22)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볼록형상이어도 좋다. 제 5 실시형태에 따른 자동차용 후드 구조가 금형을 이용하여 제조되며, 레그부(37)가 융기부(22)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볼록형상인 경우, 시트부(38)는 도시와는 반대로 융기부(22)를 향하여 연장될 필요가 있다.
제 5 실시형태에 따른 자동차용 후드 구조에 의하면, 지지부(31)에 포함되는 절단젖힘편(35E)의 차량 높이방향의 변형 저항이 저하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레그부(37)가 절곡되지 않은 경우에 비해 보행자 보호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제 6 실시형태)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따른 자동차용 후드 구조의 구성은, 이하의 점에서 제 1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제 6 실시형태의 그 외의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 내지 마찬가지의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제 6 실시형태에 따른 자동차용 후드 구조에서는, 트림 구멍(29)은 내측 코너 벽부(23d)를 잘라내어 마련하고 있다. 또한, 지지부(31)는 이너 패널(20)과는 별도 부품(별체)이다. 지지부(31)는 이너 패널(20)의 차량 폭방향의 사이드부의 차량 전후방향의 전방부측에 마련되며, 아우터 패널(4)의 하면을 차량 높이방향의 하측으로부터 지지한다. 지지부(31)는 홈 바닥 측벽부(24b)와 홈 바닥 전방 벽부(24c)가 합류되는 부분에 마련되어 있다.
제 6 실시형태에서는, 지지부(31)는 바닥면부(32), 정상면부(33), 및 기둥부(34)를 구비한다. 바닥면부(32)는 지지부(31)의 바닥면을 구성하고, 이너 패널(20)에 스폿 용접, FSW 접합 혹은 TOX 접합 등에 의해 강고하게 접합되는 부분이다. 정상면부(33)는 지지부(31)의 정상면을 구성하고, 아우터 패널(4)에 매스틱 접착제(5)에 의해 접합되는 부분이다. 기둥부(34)는 바닥면부(32)와 정상면부(33)를 접속하는 부분이다. 제 6 실시형태에서는, 기둥부(34)는 차량 높이방향의 중앙 근방에서 절곡되어 있다.
제 6 실시형태에 따른 자동차용 후드 구조에 의하면, 트림 구멍(29)과 지지부(31)를 별도로 설계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큰 트림 구멍(29)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자동차용 후드(1)를 압궤되기 쉽게하면서, 자동차용 후드(1)의 인장 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정도의 강도의 지지부(31)를 마련할 수 있다. 따라서, 자동차용 후드(1)의 차량 높이방향의 변형 저항이 저하하여, 보행자 보호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기둥부(34)는, 차량 높이방향의 중앙 근방에서 절곡되기 때문에, 상방으로부터의 충격에 대해서는 압궤되기 쉬워, 높은 보행자 보호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1: 자동차용 후드 2: 차량
3: 힌지부 4: 아우터 패널
5: 매스틱 접착제 20: 이너 패널
21: 지지면 22: 융기부
23: 내측 경사벽 23a: 내측 후방 벽부
23b: 내측 측벽부 23c: 내측 전방 벽부
23d: 내측 코너 벽부 24: 홈 바닥벽
24a: 홈 바닥 후방 벽부 24b: 홈 바닥 측벽부
24c: 홈 바닥 전방 벽부 25: 외측 경사벽
25a: 외측 후방 벽부 25b: 외측 측벽부
25c: 외측 전방 벽부 26: 능선
27: 로크 부재 28: 덴트 리인포스
29: 트림 구멍 30: 곡선
31: 지지부 32: 바닥면부
33: 정상면부 34: 기둥부
35A 내지 35E: 절단젖힘편 36: 꺾은선
37: 레그부 38: 시트부
39: 관통 구멍 40: 오목부
41: 홈

Claims (8)

  1. 자동차용 후드의 상면을 구성하는 아우터 패널과,
    상기 아우터 패널의 하면과 대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면을 갖는 융기부, 상기 융기부로부터 연속되며 상기 지지면에 대해 경사져 있는 내측 경사벽, 상기 내측 경사벽으로부터 연속되며 상기 아우터 패널의 상기 하면에 간격을 두고 대향하고 있는 홈 바닥벽, 및 상기 홈 바닥벽으로부터 연속되며 상기 홈 바닥벽에 대해 경사져 있는 외측 경사벽을 갖는 이너 패널과,
    상기 이너 패널의 차량 폭방향의 사이드부의 차량 전후방향의 전방부측에 마련되며, 상기 아우터 패널의 상기 하면을 차량 높이방향의 하측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차량 폭방향의 사이드부에 배치된 상기 내측 경사벽의 상기 차량 전후방향의 전방부측에, 트림 구멍이 마련되어 있는
    자동차용 후드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용 후드를 차량에 대해 개폐 가능하게 축지지하도록 상기 이너 패널의 상기 차량 폭방향의 사이드부의 상기 차량 전후방향의 후방부측에 마련된 힌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트림 구멍은 상기 차량 폭방향의 사이드부에 배치된 상기 내측 경사벽의 상기 차량 전후방향의 전방부측에만 마련되어 있는
    자동차용 후드 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경사벽은,
    상기 융기부의 상기 차량 폭방향의 사이드부로부터 연속되며 상기 지지면에 대해 경사지고, 상기 차량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내측 측벽부와,
    상기 융기부의 상기 차량 전후방향의 전방으로부터 연속되며 상기 지지면에 대해 경사지며, 상기 차량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내측 전방 벽부와,
    상기 융기부의 상기 차량 폭방향의 사이드부의 상기 차량 전후방향의 전방부측으로부터 연속되며 상기 지지면에 대해 경사지며, 상기 내측 측벽부와 상기 내측 전방 벽부를 접속하고 있는 내측 코너 벽부
    를 구비하고,
    상기 트림 구멍은 상기 내측 코너 벽부에 마련되어 있는
    자동차용 후드 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림 구멍은 상기 내측 코너 벽부의 상기 차량 높이방향의 상단으로부터 간극을 두고 상기 차량 높이방향의 하측에 마련되어 있는
    자동차용 후드 구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림 구멍은, 상기 트림 구멍의 상기 차량 높이방향의 상단을 기점으로 상기 내측 코너 벽부의 일부를 상기 아우터 패널을 향하여 절단젖힘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절단젖힘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 절단젖힘편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후드 구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림 구멍은, 상기 트림 구멍의 상기 차량 높이방향의 하단을 기점으로 상기 내측 코너 벽부의 일부를 상기 아우터 패널을 향하여 절단젖힘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절단젖힘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 절단젖힘편을 포함하며,
    상기 절단젖힘편은, 상기 트림 구멍의 상기 차량 높이방향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아우터 패널의 상기 하면까지 연장되는 레그부와, 상기 레그부의 선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아우터 패널의 상기 하면에 대향하여 상기 아우터 패널의 상기 하면을 지지하는 시트부를 갖는
    자동차용 후드 구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부에는, 관통 구멍이 마련되어 있는
    자동차용 후드 구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부는 절곡되어 있는
    자동차용 후드 구조.
KR1020237029422A 2021-04-01 2022-03-22 자동차용 후드 구조 KR2023013742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063143 2021-04-01
JP2021063143A JP2022158336A (ja) 2021-04-01 2021-04-01 自動車用フード構造
PCT/JP2022/013282 WO2022210127A1 (ja) 2021-04-01 2022-03-22 自動車用フード構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7426A true KR20230137426A (ko) 2023-10-04

Family

ID=83455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9422A KR20230137426A (ko) 2021-04-01 2022-03-22 자동차용 후드 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2158336A (ko)
KR (1) KR20230137426A (ko)
CN (1) CN116648401A (ko)
WO (1) WO2022210127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82738A (ja) 2014-03-26 2015-10-22 株式会社神戸製鋼所 自動車用フード構造およびそのフードインナパネル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01524B2 (ja) * 2006-07-21 2011-10-26 株式会社神戸製鋼所 自動車用フード
JP6187423B2 (ja) * 2014-09-19 2017-08-30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ボンネット構造
JP7222816B2 (ja) * 2019-06-11 2023-02-15 株式会社神戸製鋼所 車両用フード
CN111038598A (zh) * 2019-12-31 2020-04-21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发盖内板结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82738A (ja) 2014-03-26 2015-10-22 株式会社神戸製鋼所 自動車用フード構造およびそのフードインナパネ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158336A (ja) 2022-10-17
CN116648401A (zh) 2023-08-25
WO2022210127A1 (ja) 2022-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07755B2 (ja) 車両用フード構造
US9868472B2 (en) Bonnet structure of automotive vehicle
US5115878A (en) Hood structure for a vehicle
KR101376024B1 (ko) 차량용 후드
CN107284531B (zh) 车辆用发动机罩
WO2014069113A1 (ja) フェンダ支持部構造
CN110228534B (zh) 车辆中柱
JP4973180B2 (ja) 衝撃吸収部材の製造方法
JP2017088058A (ja) バンパリインフォースメント
KR20170105081A (ko) 범퍼 빔
US7472948B2 (en) Vehicle body structure
JP4645243B2 (ja) 車体の側面補強構造
JP5542082B2 (ja) 車輌用フードパネル
JP6164184B2 (ja) 自動車のボンネット構造
KR20230137426A (ko) 자동차용 후드 구조
JP2023179132A (ja) ドアインパクトビーム
JP6225858B2 (ja) 自動車のボンネット構造
JP5434070B2 (ja) ウインドシールド支持構造
JP7380450B2 (ja) 車両の前部車体構造
JP4958717B2 (ja) 車輌用フード及び車輌フード用補強材
JP6221164B2 (ja) 車体構造
JP2015091710A (ja) 車体前部構造
JP6119705B2 (ja) 自動車のボンネット構造
JP5158246B2 (ja) 衝撃吸収部材
JP2019055693A (ja) 車両用バックドアインナパネ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