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0005A - 토출 장치 및 토출 시스템 - Google Patents

토출 장치 및 토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0005A
KR20230130005A KR1020237023457A KR20237023457A KR20230130005A KR 20230130005 A KR20230130005 A KR 20230130005A KR 1020237023457 A KR1020237023457 A KR 1020237023457A KR 20237023457 A KR20237023457 A KR 20237023457A KR 20230130005 A KR20230130005 A KR 202301300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discharge
air
air discharge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3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오헤이 오키나
Original Assignee
헤이신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헤이신 엘티디. filed Critical 헤이신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30130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00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00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 F04C2/08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 F04C2/10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of internal-axis type with the outer member having more teeth or tooth-equivalents, e.g. rollers, than the inner member
    • F04C2/107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of internal-axis type with the outer member having more teeth or tooth-equivalents, e.g. rollers, than the inner member with helical tee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 Rotary Pump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Jet Pumps And Other Pumps (AREA)
  • Nozzles (AREA)
  • X-Ray Techniques (AREA)

Abstract

[과제] 케이싱의 내부에 있어서 유동체가 유출입하는 유동체 수용부에서의 에어 빼기를 충분히 행할 수 있음과 함께, 유동체 도입구와 에어 배출부의 위치 관계의 자유도가 높은 토출 장치 및 토출 시스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였다. [해결 수단] 토출 장치(20)는 유동체 도입부(108)와, 유동체 수용부(1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접속부(78)와, 에어 배출부(100)를 갖는다. 에어 배출부(100)는 유동체 수용부(110)와 연통한 에어 배출로(130)를 갖는다. 에어 배출로(130)는 접속부(78)를 사이에 두고 유동체 도입구(108a)에 대하여 반대 측에 있어서 유동체 수용부(110)에 연통한 에어 배출부 입구(134)와, 에어 배출부 입구(134)에 대하여 유동체 수용부(110)의 주위 방향 및 축선 방향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으로 벗어난 위치에 있어서 유동체 수용부(110)의 외부로 연통한 에어 배출부 출구(138)를 갖는다.

Description

토출 장치 및 토출 시스템
본 발명은 토출 장치 및 토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하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회전 용적형 펌프와 같은 토출 장치가 제공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회전 용적형 펌프는, 구동기로부터 입력된 회전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드라이브 샤프트를 구비하는 동력 전달 기구부와, 드라이브 샤프트로부터 회전 동력을 받아서 작동하는 펌프 기구부와, 유동체가 유출입하는 내부 공간을 갖는 수용체를 구비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일본 실용신안 등록 제3221980호 공보
여기서, 상술한 종래 기술의 회전 용적형 펌프와 같은 토출 장치에 있어서는, 유동체가 유출입하는 내부 공간 등에 에어가 잔류한 채 유동체를 토출시키기 위한 토출 운전을 행하면 수많은 문제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내부 공간 등에 에어가 잔류한 채 유동체를 토출하면, 토출된 유동체에 에어가 기포로서 혼입되어 버린다. 상기 특허문헌 1의 회전 용적형 펌프와 같이 접착제 등의 유동체를 토출시켜 선 형상으로 도포하는 경우에는, 중도에서 접착제가 끊어진 개소가 생긴 상태(도포선 끊어짐)로 될 우려가 있다. 또한, 토출 장치가 토출 운전을 행하고 있는 동안은, 내압의 영향으로 인해 에어가 압축되어 축소되지만, 토출 운전을 정지하면 에어에 작용하고 있던 내압이 저감되어 에어의 체적이 팽창하는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면, 에어의 체적 팽창의 영향으로 인해 유동체가 압출되어, 소위 드리핑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1축 편심 나사 펌프 등과 같이, 유동체가 유출입하여 수용되는 공간(이하, 「유동체 수용부」라고도 칭함)의 내부에 샤프트나 조인트 등의 기둥상 부재가 존재하고 있는 토출 장치에 있어서, 유동체 수용부에 들어간 에어의 배출(에어 빼기)을 확실하게 행하기 위한 구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그 결과, 유동체 수용부의 내부에 샤프트 등의 기둥상 부재가 존재하고 있는 경우에는, 유동체 수용부의 주위 방향 소정 개소에 마련된 유동체의 도입구(유동체 도입구)에 대하여, 기둥상 부재를 사이에 두고 주위 방향 반대 측으로부터 에어를 배출하기 위한 구성(에어 배출부)을 마련한 구성으로 하지 않으면, 에어 빼기가 불충분해질 우려가 있는 것을 발견했다.
그러나, 상술한 구성으로 한 경우, 유동체 도입구와 에어 배출부의 위치 관계가 한정되어 버린다. 그 때문에, 에어 빼기를 중시한 경우, 예를 들어 토출 장치의 배치의 자유도가 낮아져 버리는 것 같은 제약 조건이 더해져 버린다는 문제가 있다는 지견에 이르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케이싱의 내부에 있어서 유동체가 유출입하는 유동체 수용부에서의 에어 빼기를 충분히 행할 수 있음과 함께, 유동체 도입구와 에어 배출부의 위치 관계의 자유도가 높은 토출 장치 및 토출 시스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였다.
(1)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토출 장치는, 케이싱의 내부에 마련된 유동체 수용부에 도입된 유동체를 토출 가능한 토출 장치이며, 상기 유동체 수용부에 대하여 유동체를 도입하는 유동체 도입부와, 상기 유동체 수용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 부재와, 상기 유동체 수용부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에어를 배출하는 에어 배출부를 갖고, 상기 유동체 도입부가, 상기 유동체 수용부의 내부로 연통한 유동체 도입구를 갖고, 상기 에어 배출부가, 상기 유동체 수용부와 연통한 에어 배출로를 갖고, 상기 에어 배출로가, 상기 내부 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유동체 도입구에 대하여 반대 측에 있어서 상기 유동체 수용부에 연통한 에어 배출부 입구와, 상기 에어 배출부 입구에 대하여 상기 유동체 수용부의 주위 방향 및 축선 방향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으로 벗어난 위치에 있어서 상기 유동체 수용부의 외부로 연통한 에어 배출부 출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토출 장치는, 유동체 도입부에 대하여 연통하도록 마련된 유동체 도입구와, 에어 배출부 입구를 갖는다. 또한, 에어 배출부 입구는, 유동체 도입부의 내부에 배치된 내부 부재를 사이에 두고, 유동체 도입구에 대하여 반대 측에 있어서 마련되어 있다. 그 때문에, 유동체 도입구로부터 유동체와 함께 유동체 수용부에 에어가 유입된 경우에, 에어는, 내부 부재를 반대 측에 있는 에어 배출부 입구를 통해 유동체 도입부로부터 배출된다. 본 발명의 토출 장치는, 이러한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유동체 도입부에 유입된 에어를, 에어 배출부 입구를 통해 충분히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토출 장치는, 에어 배출부가, 에어 배출부 입구를 통해 배출된 에어의 통로가 되는 에어 배출로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에어 배출로는, 에어 배출부 입구에 대하여 유동체 수용부의 주위 방향 및 축선 방향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으로 벗어난 위치에 있어서, 유동체 수용부의 외부로 연통한 에어 배출부 출구를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토출 장치는, 에어 배출부 출구를 에어 배출부 입구의 위치에 구속되지 않고, 에어 배출부 입구에 대하여 유동체 수용부의 주위 방향 및 축선 방향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으로 벗어난 위치에 마련할 수 있다.
(2) 상술한 본 발명의 토출 장치는, 상기 내부 부재가, 상기 유동체 수용부의 내부에 있어서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 형상의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면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유동체 수용부의 내부에 유입된 에어를, 유동체 수용부의 축심 위치에 있어서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 내부 부재의 외주를 돌아 들어가, 유동체 도입구의 반대 측에 마련된 에어 배출부 입구에 도달하도록 이동시켜, 충분히 배출시킬 수 있다.
(3) 상술한 본 발명의 토출 장치는, 상기 에어 배출부 입구가, 상기 유동체 도입구에 대하여, 유동체를 토출할 때 중력 방향 상측이 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면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유동체 수용부의 내부에 유입된 에어를 한층 더 확실하게 유동체 수용부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4) 상술한 본 발명의 토출 장치는, 상기 에어 배출부 입구를 통해 상기 유동체 수용부로부터 상기 에어 배출부로 들어가는 공기의 유입 방향과, 상기 에어 배출부 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배출 방향이, 교차 혹은 비틀림의 관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면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유동체 도입부로부터 유동체 수용부에 들어간 공기를, 유동체 도입부에 대하여 반대 측의 위치와는 다른 방향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5) 상술한 본 발명의 토출 장치는, 상기 에어 배출부의 적어도 일부가, 복수의 구성 부재를 분리 가능하게 조합한 것으로 되어 있고, 상기 에어 배출부를 구성하는 상기 구성 부재의 일부 또는 전부를 다른 구성 부재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상기 에어 배출로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면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에어 배출부를 구성하는 구성 부재의 일부 또는 전부를 다른 구성 부재로부터 분리하여 에어 배출로를 개방시켜, 에어 배출로의 내부를 청소하거나, 메인터넌스를 실시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6) 상술한 본 발명의 토출 장치는, 구동부와, 수나사형의 축체로 구성된 로터와, 상기 로터를 삽입 관통 가능하며 내주면이 암나사형으로 형성된 스테이터와, 상기 로터가 상기 스테이터의 내측에 있어서 자전하면서, 상기 스테이터의 내주면을 따라 공전하도록 편심 회전 가능하게 상기 구동부와 상기 로터를 동력 전달 가능하게 접속하는 접속부를 갖고, 상기 접속부가, 상기 내부 부재로서, 상기 유동체 수용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면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구동부와 로터를 동력 전달 가능하게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의 존재에 관계없이, 유동체 수용부에서의 에어 빼기를 충분히 행할 수 있음과 함께, 유동체 도입구와 에어 배출부의 위치 관계의 자유도가 높은 토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7)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토출 시스템은, 상술한 본 발명의 토출 장치가 복수, 서로 상기 케이싱이 근접하도록 배치되고, 각 토출 장치의 상기 유동체 도입부 및 상기 에어 배출부가, 근접하는 다른 토출 장치의 케이싱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유동체 도입구나 에어 배출부의 존재를 고려하여 복수의 토출 장치의 간격을 조정할 필요가 없고, 그만큼 각 토출 장치의 케이싱끼리를 충분히 근접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에어 빼기를 충분히 행할 수 있음과 함께, 콤팩트한 구성의 토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케이싱의 내부에 있어서 유동체가 유출입하는 유동체 수용부에서의 에어 빼기를 충분히 행할 수 있음과 함께, 유동체 도입구와 에어 배출부의 위치 관계의 자유도가 높은 토출 장치 및 토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토출 시스템을 나타내는 정면도, (b)는 (a)에 나타낸 토출 시스템의 우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토출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부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의 B-B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토출 장치를 구성하는 제1 케이싱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변형예에 관한 제1 케이싱부 및 제1 밀봉 지지 부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의 (a)는 도 6의 제1 케이싱부의 평면도, (b)는 도 6의 제1 케이싱에 동 도면에 나타낸 제1 밀봉 지지 부재를 조립해 넣은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제1 변형예에 관한 토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9는 도 8의 토출 장치를 사용하여 구성한 토출 시스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제2 변형예에 관한 토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토출 시스템(10) 및 토출 장치(2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우선 토출 시스템(10) 및 토출 장치(2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 후, 토출 장치(20)가 구비하고 있는 에어 배출부(100) 및 이에 관련되는 구성, 토출 시스템(10)에서의 토출 장치(20)의 배치, 토출 장치(20)에서의 에어 빼기 작업의 작업 공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토출 시스템(10) 및 토출 장치(20)의 구성에 대하여≫
토출 시스템(10)은, 예를 들어 주제 및 경화제로 이루어지는 2액성 접착제 등의 유동체를, 복수의 계통(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계통(12) 및 제2 계통(14)의 2계통)으로 공급 및 혼합하여, 토출하는 것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토출 시스템(10)은 토출 장치(20, 20)와, 혼합 유닛(40)을 구비하고 있다.
토출 장치(20)는 제1 계통(12)용의 것, 및 제2 계통(14)용의 것으로서 동일한 것이 사용되고 있다. 토출 장치(20)는 회전 용적식의 펌프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토출 장치(20)는 소위 1축 편심 나사 펌프로 구성되어 있다. 토출 장치(20)는 케이싱(50)의 내부에, 로터(52), 스테이터(54) 및 동력 전달 기구(56) 등을 수용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케이싱(50)은 금속제로 통 형상의 부재이며, 길이 방향 일단측에 제1 개구부(60)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케이싱(50)의 외주 부분에는, 제2 개구부(62)가 마련되어 있다. 제2 개구부(62)는 케이싱(50)의 길이 방향 중간 부분에 있어서 케이싱(50)의 내부 공간으로 연통하고 있다.
제1 개구부(60) 및 제2 개구부(62)는 각각 토출 장치(20)를 이루는 1축 편심 나사 펌프의 흡입구 및 토출구로서 기능하는 부분이다. 토출 장치(20)는 로터(52)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제1 개구부(60)를 토출구, 제2 개구부(62)를 흡입구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또한, 메인터넌스 등을 위해 로터(52)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제1 개구부(60)를 흡입구, 제2 개구부(62)를 토출구로서 기능시켜, 케이싱(50)의 내부 공간 등의 세정 등을 행할 수 있다.
스테이터(54)는 고무 등의 탄성체, 또는 수지 등으로 형성된 대략 원통형의 외관 형상을 갖는 부재이다. 스테이터(54)의 내주벽(66)은 n+1조(n은 자연수)로 단단 혹은 다단의 암나사 형상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스테이터(54)는 2조로 다단의 암나사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스테이터(54)의 관통 구멍(68)은 스테이터(54)의 길이 방향의 어느 위치에 있어서 단면에서 보아도, 그 단면 형상(개구 형상)이 대략 타원형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로터(52)는 금속제의 축체이며, n조로 단단 혹은 다단의 수나사 형상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로터(52)는 1조로 편심된 수나사 형상으로 되어 있다. 로터(52)는 길이 방향의 어느 위치에서 단면에서 보아도, 그 단면 형상이 대략 원형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로터(52)는 상술한 스테이터(54)에 형성된 관통 구멍(68)에 삽입 관통되어, 관통 구멍(68)의 내부에 있어서 자유롭게 편심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로터(52)를 스테이터(54)에 대하여 삽입 관통하면, 로터(52)의 외주면(70)과 스테이터(54)의 내주면(66)이 양자의 접선으로 밀접한 상태가 되어, 스테이터(54)의 내주면(66)과 로터(52)의 외주면(70) 사이에 유체 반송로(72)(캐비티)가 형성된다. 유체 반송로(72)는 스테이터(54)나 로터(52)의 길이 방향을 향하여 나선 형상으로 뻗어 있다.
유체 반송로(72)는 로터(52)를 스테이터(54)의 관통 구멍(68) 내에 있어서 회전시키면, 스테이터(54) 내를 회전하면서 스테이터(54)의 길이 방향으로 진행한다. 그 때문에, 로터(52)를 회전시키면, 스테이터(54)의 일단측으로부터 유체 반송로(72) 내에 유체를 흡입함과 함께, 이 유체를 유체 반송로(72) 내에 가둔 상태에서 스테이터(54)의 타단측을 향하여 이송하여, 스테이터(54)의 타단측에 있어서 토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동력 전달 기구(56)는 구동부(74)로부터 상술한 로터(52)에 대하여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동력 전달 기구(56)는 동력 전달부(76)와 접속부(78)를 갖는다. 동력 전달부(76)는 케이싱(50)의 길이 방향의 일단측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접속부(78)는 중간부에 마련되어 있다. 접속부(78)는 동력 전달부(76)와 로터(52)를 동력 전달 가능하도록 접속하는 부분이다. 이에 의해, 로터(52)는 스테이터(54)의 내측에 있어서 자전하면서, 스테이터(54)의 내주면을 따라 공전하도록 편심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접속부(78)는 종래 공지된 유니버설 조인트나, 커플링 로드, 스크루 로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접속부(78)는 구동부(74)를 작동시킴으로써 발생한 회전 동력을 로터(52)에 전달시켜, 로터(52)를 편심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혼합 유닛(40)은 토출 장치(20, 20)로부터 공급되어 온 유동체를 혼합하여 토출하는 것이다. 혼합 유닛(40)은 믹서부(42)를 구비하고 있다. 믹서부(42)는 예를 들어 스태틱 믹서, 모터 등의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받아서 작동하는 구동 스크루를 구비한 다이내믹 믹서 등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믹서부(42)는 스태틱 믹서로 구성되어 있다.
≪에어 배출부(100) 및 이에 관련되는 구조에 대하여≫
상술한 토출 장치(20)는 외부로부터 유동체와 함께 유입된 에어를 배출하기 위한 에어 배출부(100)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 에어 배출부(100) 및 이에 관련되는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나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어 배출부(100)는 토출 장치(20)의 케이싱(50) 중, 동력 전달 기구(56)가 수용되어 있는 부분에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케이싱(50)은 제1 케이싱부(50a), 제2 케이싱부(50b), 제3 케이싱부(50c) 및 제4 케이싱부(50d)를 갖는다. 또한, 케이싱(50)은 제1 케이싱부(50a) 및 제2 케이싱부(50b)의 사이에 제1 밀봉 지지 부재(102)를 가짐과 함께, 제2 케이싱부(50b)와 제3 케이싱부(50c) 사이에 제2 밀봉 지지 부재(104)를 갖는다.
제1 케이싱부(50a) 및 제2 케이싱부(50b)는 각각 동력 전달 기구(56) 및 구동부(74)가 수용되는 부분이다. 제3 케이싱부(50c)는 제1 케이싱부(50a) 및 제2 케이싱부(50b)의 사이에 마련되는 부분이다. 또한, 제4 케이싱부(50d)는 로터(52)나 스테이터(54)로 이루어지는 펌프 기구(55)가 수용되는 부분이다. 에어 배출부(100)는 케이싱(50)을 구성하는 이들 부분 중, 제1 케이싱부(50a)를 이루는 부분에 마련되어 있다.
제1 케이싱부(50a)의 내부에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유동체가 수용되는 유동체 수용부(110)가 마련되어 있다. 유동체 수용부(110)는 펌프 기구(55)가 수용되는 제4 케이싱부(50d)에 연통하고 있고, 제1 케이싱부(50a)에 공급된 유동체를 유체 반송로(72)에 공급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유동체 수용부(110)의 내부에는, 접속부(78)(내부 부재)가 배치되어 있다. 접속부(78)는 유동체 수용부(110)의 대략 축심 위치에 배치된 기둥상의 것이고,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케이싱부(50a)에 있어서, 제3 케이싱부(50c) 측의 단부는, 제1 밀봉 지지 부재(102) 및 시일 부재(106)에 의해, 밀봉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밀봉 지지 부재(102)는 링 형상으로 형성된 부재이다. 제1 밀봉 지지 부재(102)는 제1 케이싱부(50a) 및 제3 케이싱부(50c)에 있어서, 양자가 접촉하는 부분을 스폿 페이싱 가공함으로써 형성된 끼워 넣기부(120)에 끼워 넣어져 있다. 또한, 시일 부재(106)는 제1 밀봉 지지 부재(102)의 축심 위치에 마련된 개구부에 끼워 넣어져 있다. 시일 부재(106)에는, 축 형상으로 형성된 동력 전달부(76)가 끼워 넣어져 있다. 이에 의해, 동력 전달부(76)가 일단측에 있어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됨과 함께, 제1 케이싱부(50a)는 제3 케이싱부(50c) 측의 단부에 있어서 폐색되어 있다. 또한, 동력 전달부(76)는 제2 케이싱부(50b)와 제3 케이싱부(50c) 사이에 마련된 제2 밀봉 지지 부재(104) 및 시일 부재(107)에 의해 타단측(구동부(74) 측)에 있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5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케이싱부(50a)의 주위부에는, 유동체 도입부(108)가 마련되어 있다. 유동체 도입부(108)는 유동체 수용부(110)의 내외로 연통한 유동체 도입구(108a)를 갖는다. 이에 의해, 유동체 도입부(108)를 통해 유동체 수용부(110)의 내부에 유동체를 도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에어 배출부(100)는 유동체 수용부(110)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에어를 배출하는 부분이다. 에어 배출부(100)는 제1 케이싱부(50a)에 대하여 제1 밀봉 지지 부재(102)를 분리 가능하게 조합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에어 배출부(100)는 유동체 수용부(110)와 연통한 에어 배출로(130)를 갖는다. 에어 배출로(130)는 상술한 제1 케이싱부(50a)에 있어서, 끼워 넣기부(120)를 구성하는 제1 스폿 페이싱부(122)의 저면(124)에 형성된 홈(126)과 제1 밀봉 지지 부재(102)를 사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 5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홈(126)은 홈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중간 부분에 있어서 외부로 개방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에어 배출로(130)는 끼워 넣기부(120)에 끼워 넣어진 제1 밀봉 지지 부재(102)에 의해 홈(126)의 개방 부분을 닫음으로써, 에어가 통과 가능한 주위 방향 배출로(132)를 구성하고 있다(도 4 등 참조).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위 방향 배출로(132)는 제1 밀봉 지지 부재(102)를 떼어 냄으로써, 홈(126)을 외부로 개방할 수 있다. 주위 방향 배출로(132)는 유동체 수용부(110)의 주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주위 방향 배출로(132)는 유동체 수용부(110)의 주위 방향으로 중심각이 약 90도의 원호를 이루도록 연장되어 있다. 또한, 에어 배출로(130)는 주위 방향 배출로(132)의 일단측으로 연통한 에어 배출부 입구(134)와, 주위 방향 배출로(132)의 타단측으로 연통한 축선 방향 배출로(136)를 통해 주위 방향 배출로(132)에 연통한 에어 배출부 출구(138)를 갖는다.
에어 배출부 입구(134)는 주위 방향 배출로(132)의 일단측에 있어서 유동체 수용부(110)에 연통한 개구이다. 에어 배출부 입구(134)는 유동체 수용부(110)의 내부에 마련된 기둥상의 접속부(78)를 사이에 두고 유동체 도입부(108)에 대하여 반대 측에 있어서 개구되어 있다. 즉, 에어 배출부 입구(134)는 유동체 도입부(108)에 대하여 주위 방향으로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에어 배출부 입구(134)는 유동체 도입부(108)에 대하여 유동체를 토출할 때 중력 방향 상측이 되는 위치(펌프 기구(55)와는 반대 측/구동부(74) 측)에 마련되어 있다.
축선 방향 배출로(136)는 주위 방향 배출로(132)의 타단측으로 연통한 통로이다. 축선 방향 배출로(136)는 주위 방향 배출로(132)의 타단측에 있어서, 제1 케이싱부(50a)에 대하여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멍을 마련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에어 배출부 출구(138)는 축선 방향 배출로(136)의 종단부에 연통하도록 형성된 개구로 구성되어 있다. 에어 배출부 출구(138)는 제1 케이싱부(50a)에 대하여 축선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본 실시 형태에서는 대략 직교하는 방향/유동체 수용부(110)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멍을 마련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에어 배출부 출구(138)의 내주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외주부에 수나사를 구비한 나사축을 갖는 밀봉 부재(140)를 에어 배출부 출구(138)에 착탈하여, 에어 배출부 출구(138)를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에어 배출부 출구(138)는 일단측에 에어 배출부 입구(134)를 갖는 주위 방향 배출로(132)의 타단측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그 때문에, 에어 배출부 출구(138)는 에어 배출부 입구(134)에 대하여 유동체 수용부(110)의 주위 방향으로 벗어난 위치에 있다. 또한, 에어 배출부 출구(138)는 주위 방향 배출로(132)의 타단측에 있어서, 유동체 수용부(110)의 축선 방향으로 형성된 축선 방향 배출로(136)의 종단부에 연통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그 때문에, 에어 배출부 출구(138)는 에어 배출부 입구(134)에 대하여 축선 방향으로 벗어난 위치에 있다.
에어 배출로(130)는 에어 배출부 입구(134)를 통해 유동체 수용부(110)로부터 에어 배출부(100)에 들어가는 공기의 유입 방향과, 에어 배출부 출구(138)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배출 방향이, 비틀림의 관계가 되도록 각 부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유동체 도입부(108)로부터 유동체 수용부(110)에 대하여 유동체와 함께 에어가 도입되는 방향과, 에어 배출부 출구(138)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배출 방향이, 비틀림의 관계가 되도록 각 부가 구성되어 있다.
≪토출 시스템(10)에서의 토출 장치(20)의 배치에 대하여≫
토출 시스템(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계통(12)용의 토출 장치(20)(이하, 「토출 장치(20A)」라고도 칭함)와, 및 제2 계통(14)용의 토출 장치(20)(이하, 「토출 장치(20B)」라고도 칭함)를 구비하고 있다. 토출 장치(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유동체 도입부(108)와 에어 배출부 출구(138)가 주위 방향으로 벗어난 위치(본 실시 형태에서는 대략 90도 떨어진 위치)에 있다.
이에 따라,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토출 시스템(10)에 있어서는, 토출 장치(20A, 20B)의 에어 배출부 출구(138, 138)가 정면 측을 향함과 함께, 정면에서 보아 좌측에 있는 토출 장치(20A)의 유동체 도입부(108)가 토출 시스템(10)의 좌측방, 우측에 있는 토출 장치(20B)의 유동체 도입부(108)가 토출 시스템(10)의 우측방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토출 장치(20A, 20B)의 간격을 최소한으로 억제하면서, 토출 장치(20A, 20B)에의 유동체의 도입이나, 에어 빼기 작업을 토출 시스템(10)으로부터 토출 장치(20A, 20B)를 떼어 내지 않고 행할 수 있다.
≪토출 장치(20)에서의 에어 빼기 작업의 작업 공정에 대하여≫
토출 장치(20)에 대하여 유동체를 도입할 때의 에어 빼기 작업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수순에 의해 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토출 장치(20)는 케이싱(50) 내에 형성된 유동체 수용부(110)가 빈 상태에서, 유동체 도입부(108)에 대하여 접속된 유로에 의해, 유동체 탱크나 공급 펌프 등을 구비한 유동체의 공급원에 접속된다. 에어 빼기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는, 에어 배출부 출구(138)에 장착된 밀봉 부재(140)를 떼어 냄으로써, 에어 배출로(130)를 대기 개방된 상태로 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유동체 도입부(108)로부터 유동체를 도입하면, 유동체 수용부(110)의 내부에 배치된 기둥상의 접속부(78)의 주위를 돌아 들어가도록 하여 유동체가 유입된다. 이에 의해, 유동체 수용부(110)가 유동체로 채워져 간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유동체 수용부(110)에 유동체를 도입하는 과정에 있어서, 유동체와 함께 유동체 수용부(110)에 유입된 에어는, 접속부(78)의 주위를 돌아 들어가, 유동체 도입부(108)의 반대 측에 있는 에어 배출부 입구(134)를 통해 에어 배출로(130)에 유입된다. 에어 배출로(130)에 유입된 에어는, 주위 방향 배출로(132) 및 축선 방향 배출로(136)를 통해 에어 배출부 출구(138)에 도달하여, 유동체 수용부(110)의 외부로 배출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에어 배출부 입구(134)가 유동체 도입부(108)에 대하여 접속부(78)를 이루는 샤프트를 사이에 두고 반대 측, 또한 유동체 수용부(110)의 중력 방향 최상부 부근(제1 밀봉 지지 부재(102)의 대략 바로 아래)에 있으므로, 유동체 수용부(110) 내에 에어 고임이 생기지 않고, 유동체 수용부(110)의 전체에 걸쳐서 유동체로 채워진 상태가 된다. 또한, 유동체 수용부(110)가 형성된 제1 케이싱부(50a)에 대하여 연통한 제4 케이싱부(50d)에 있어서는, 펌프 기구(55)를 이루는 로터(52) 및 스테이터(54)가 밀착되어 형성된 시일선에 의해 밀봉되어 있다. 그 때문에, 토출 장치(20)는 펌프 기구(55) 측에 있어서 에어는 출입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유동체 수용부(110)로부터 충분히 에어가 빠진 상태가 되면, 에어 배출부 출구(138)에 밀봉 부재(140)를 장착하여, 에어 배출로(130)를 밀봉한다. 그 후, 토출 장치(20)를 작동시켜, 스테이터(54) 내에 형성된 유체 반송로(72)(캐비티)에 대해서도 유동체로 채운다. 또한, 필요에 따라, 유체 반송로(72)로부터 유동체를 토출시킨다(버린다). 이에 의해, 토출 장치(20)에서의 에어 빼기 작업이 완료되어, 유동체의 토출 준비가 갖추어진 상태가 된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 관한 토출 장치(20), 및 이를 사용한 토출 시스템(10)에 의하면, 이하의 (1) 내지 (8)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1) 본 실시 형태의 토출 장치(20)는 유동체 수용부(110)에 대하여 연통하도록 마련된 유동체 도입구(108a)와, 에어 배출부 입구(134)를 갖는다. 또한, 에어 배출부 입구(134)는 유동체 수용부(110)의 내부에 배치된 접속부(78)를 사이에 두고, 유동체 도입구(108a)에 대하여 반대 측에 있어서 마련되어 있다. 그 때문에, 유동체 도입구(108a)로부터 유동체와 함께 유동체 수용부(110)에 에어가 유입된 경우에, 에어는, 접속부(78)를 반대 측에 있는 에어 배출부 입구(134)를 통해 유동체 수용부(110)로부터 배출된다. 본 실시 형태의 토출 장치(20)는 이러한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유동체 수용부(110)에 유입된 에어를, 에어 배출부 입구(134)를 통해 충분히 배출할 수 있다.
(2) 본 실시 형태의 토출 장치(20)는 에어 배출부(100)가 에어 배출부 입구(134)를 통해 배출된 에어의 통로가 되는 에어 배출로(13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에어 배출로(130)는 에어 배출부 입구(134)에 대하여 유동체 수용부(110)의 주위 방향 및 축선 방향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으로 벗어난 위치에 있어서, 유동체 수용부(110)의 외부로 연통한 에어 배출부 출구(138)를 갖는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토출 장치(20)는 에어 배출부 출구(138)를 에어 배출부 입구(134)의 위치에 구속되지 않고, 에어 배출부 입구(134)에 대하여 유동체 수용부(110)의 주위 방향 및 축선 방향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으로 벗어난 위치에 마련할 수 있다.
(3) 본 실시 형태의 토출 장치(20)는 유동체 수용부(110)의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 부재로서 접속부(78)가 유동체 수용부(110)의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 형상의 것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유동체 수용부(110)의 내부에 유입된 에어를, 유동체 수용부(110)의 축심 위치에 있어서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 접속부(78)의 외주를 돌아 들어가, 유동체 도입구(108a)의 반대 측에 마련된 에어 배출부 입구(134)에 도달하도록 이동시켜, 충분히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접속부(78)를 내부 부재로 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유동체 수용부(110)의 내부에 배치되는 각종 부재를 내부 부재로 할 수 있다.
(4) 본 실시 형태의 토출 장치(20)는 에어 배출부 입구(134)가 유동체 도입구(108a)에 대하여 유동체를 토출할 때 중력 방향 상측이 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토출 장치(20)는 유동체 수용부(110)의 내부에 유입된 에어를 한층 더 확실하게 유동체 수용부(110)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에어 배출부 입구(134)를 유동체 도입구(108a)에 대하여 중력 방향 상측이 되는 위치에 마련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에어 배출부 입구(134)를 유동체 도입구(108a)에 대하여 중력 방향 상측으로 하지 않아도 충분히 에어 빼기를 할 수 있는 경우 등 충분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경우나, 다른 효과를 우선하는 경우 등에는, 에어 배출부 입구(134)를 유동체 도입구(108a)와 중력 방향으로 동일 위치나, 중력 방향 하측으로 해도 된다.
(5) 상술한 토출 장치(20)는 에어 배출부 입구(134)를 통해 유동체 수용부(110)로부터 에어 배출부(100)에 들어가는 공기의 유입 방향과, 에어 배출부 출구(138)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배출 방향이, 비틀림의 관계에 있다. 이에 의해, 토출 장치(20)는 유동체 도입부(108)로부터 유동체 수용부(110)에 들어간 공기를, 유동체 도입부(108)에 대하여 반대 측의 위치와는 다른 방향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유동체 수용부(110)로부터 에어 배출부(100)에 들어가는 공기의 유입 방향과, 에어 배출부 출구(138)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배출 방향이, 비틀림의 관계가 되도록 한 토출 장치(20)의 예를 나타냈지만, 예를 들어 양방향이 교차하도록 토출 장치(20)의 구성을 변경해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6) 상술한 본 실시 형태의 토출 장치(20)는 에어 배출부(100)의 적어도 일부가, 복수의 구성 부재를 분리 가능하게 조합한 것으로 되어 있고, 에어 배출부(100)를 구성하는 구성 부재의 일부 또는 전부를 다른 구성 부재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에어 배출로(130)가 개방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에어 배출부(100)는 제1 케이싱부(50a)에 대하여 제1 밀봉 지지 부재(102)를 분리 가능하게 조합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토출 장치(20)는 제1 케이싱부(50a)로부터 제1 밀봉 지지 부재(102)를 분리하여 에어 배출로(130)를 개방시켜, 에어 배출로(130)의 내부를 청소하거나, 메인터넌스를 실시하거나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에어 배출부(100)를 구성하는 구성 부재의 일부 또는 전부를 다른 구성 부재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에어 배출로(130)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한 토출 장치(20)를 예시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에어 배출로(130)의 청소나 메인터넌스를 다른 수단에 의해 행할 수 있는 경우나, 분해 청소 등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 등에 있어서는, 반드시 전술한 바와 같이 분해 가능한 구성으로 하지는 않아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케이싱부(50a)의 제1 스폿 페이싱부(122)에 원호상의 홈(126)을 마련하고, 제1 스폿 페이싱부(122)에 끼워 넣어진 제1 밀봉 지지 부재(102)에 의해 홈(126)의 개방 부분을 닫음으로써, 에어가 통과 가능한 주위 방향 배출로(132)를 구성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도 6이나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케이싱부(50a)의 제1 스폿 페이싱부(122)에, 홈(126) 대신에, 천장면 측뿐만 아니라 유동체 수용부(110) 측에도 원호상의 오목부(150)를 마련함과 함께, 제1 밀봉 지지 부재(102) 측에 원호상의 벽(152)을 마련한 구성으로 하고, 제1 스폿 페이싱부(122)에 제1 밀봉 지지 부재(102)를 감입함으로써 양자간에 홈(126)에 상당하는 간극(154)을 형성 가능하게 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한 경우에 대해서도,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7) 상술한 본 실시 형태의 토출 장치(20)는 구동부(74)와, 수나사형의 축체로 구성된 로터(52)와, 로터(52)를 삽입 관통 가능하며 내주면이 암나사형으로 형성된 스테이터(54)와, 로터(52)가 스테이터(54)의 내측에 있어서 자전하면서, 스테이터(54)의 내주면을 따라 공전하도록 편심 회전 가능하게 구동부(74)와 로터(52)를 동력 전달 가능하게 접속하는 접속부(78)를 갖고, 접속부(78)가 내부 부재로서, 유동체 수용부(1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이에 의해, 토출 장치(20)는 구동부(74)와 로터(52)를 동력 전달 가능하게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78)의 존재에 관계없이, 유동체 수용부(110)에서의 에어 빼기를 충분히 행할 수 있음과 함께, 유동체 도입구(108a)와 에어 배출부(100)의 위치 관계의 자유도가 높은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토출 장치(20)를 1축 편심 나사 펌프로 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나중에 변형예로서 상세하게 기술하는 바와 같이, 다른 타입의 토출 장치로 해도 된다.
(8) 상술한 토출 시스템(10)은 2개의 토출 장치(20, 20)가 서로 케이싱(50)이 근접하도록 배치되고, 각 토출 장치(20)의 유동체 도입부(108) 및 에어 배출부(100)가 근접하는 다른 토출 장치(20)의 케이싱(50)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 것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토출 시스템(10)은 유동체 도입구(108a)나 에어 배출부(100)의 존재를 고려하여 복수의 토출 장치(20)의 간격을 조정할 필요가 없고, 그만큼 각 토출 장치(20)의 케이싱(50)끼리를 충분히 근접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토출 시스템(10)은 에어 빼기를 충분히 행할 수 있음과 함께, 콤팩트한 구성의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토출 장치(20, 20)를 사용하여 토출 시스템(10)을 구축한 예를 예시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또한 다수의 토출 장치(20)를 구비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토출 시스템(10)으로서 2액성 접착제 등의 유동체를 혼합하여 토출하는 것을 예시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토출 시스템(10)은 혼합 유닛(40)을 구비하지 않고, 각 토출 장치(20)로부터 개별적으로 유동체를 토출 가능한 것 등으로 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토출 장치(20)를 토출 시스템(10)에 사용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토출 장치(20)를 단체로 사용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제1 변형예≫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1축 편심 나사 펌프로 이루어지는 토출 장치(20)에 에어 배출부(100)를 마련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도 8에 나타내는 토출 장치(220)와 같이, 니들 밸브식의 토출 장치에 있어서, 토출 장치(20)의 에어 배출부(100)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된 에어 배출부(260)를 마련해도 된다. 이하, 토출 장치(22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의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토출 장치(220)는 케이싱(230), 니들(240), 액추에이터(250) 및 에어 배출부(260)를 갖는다. 토출 장치(220)에 있어서, 케이싱(230)은 상기 실시 형태의 케이싱(50)에 상당하는 것이다. 도시 상태에 있어서, 케이싱(230)의 하단측이 되는 위치에는, 토출구(232)가 마련되어 있고, 외부로 연통하고 있다. 또한, 케이싱(230)의 상단측에는 천장면부(230a)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유동체를 수용 가능한 유동체 수용부(234)가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케이싱(230)의 외주부에는, 상기 실시 형태의 유동체 도입부(108)에 상당하는 유동체 도입부(236)가 마련되어 있다. 유동체 도입부(236)는 케이싱(230)의 상단측에 있어서 유동체 수용부(234)에 연통하고 있다.
니들(240)은 케이싱(230)의 천장면부(230a)에 마련된 삽입 관통 구멍(230b)을 통해 축선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토출 장치(220)는 니들(240)의 선단부를 토출구(232)에 끼워 넣은 상태로 함으로써, 토출구(232)를 폐색할 수 있다. 또한, 토출 장치(220)는 니들(240)의 선단부를 토출구(232)로부터 뽑아서 제거한 상태로 함으로써, 토출구(232)를 개방할 수 있다. 니들(240)은 유동체 수용부(234) 내에 있어서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 내부 부재이다.
액추에이터(250)는 니들(240)의 기단측(도시 상태에 있어서 천장면부(230a)의 상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액추에이터(250)는 니들(240)에 접속되어 있고, 니들(240)을 축선 방향으로 진퇴시킬 수 있다.
에어 배출부(260)는 상기 실시 형태의 에어 배출부(100)에 상당하는 것이다. 에어 배출부(260)는 상술한 에어 배출로(130)에 상당하는 통로를 케이싱(230)에 마련한 것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에어 배출부(260)는 일단측에 에어 배출부 입구(262)를 갖고, 타단측에 에어 배출부 출구(264)를 구비한 에어 배출로(266)를 갖는다. 에어 배출부 입구(262) 및 에어 배출부 출구(264)는 각각 상술한 에어 배출부 입구(134) 및 에어 배출부 출구(138)에 상당하는 것이다.
에어 배출부 입구(262)는 유동체 수용부(234)에 연통하도록 개구되어 있다. 본 변형예에서는, 에어 배출부 입구(262)는 유동체 도입부(236)에 대하여 내부 부재인 니들(240)을 사이에 두고 반대 측에 있어서 개구되어 있다. 즉, 에어 배출부 입구(262)는 유동체 도입부(236)에 대하여 유동체 수용부(234)의 주위 방향으로 벗어난 위치에 있다. 또한, 에어 배출부 입구(262)는 유동체 도입부(236)에 대하여 유동체 수용부(234)의 축선 방향으로 벗어난 위치(본 변형예에서는 유동체 도입부(236)보다 상방측)에 있다.
또한, 에어 배출부 출구(264)는 유동체 수용부(234)(케이싱(230))의 외부로 연통하도록 개구되어 있다. 에어 배출부 출구(264)는 유동체 도입부(236)에 대하여 축선 방향 하방측으로 떨어진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에어 배출부 출구(264)는 밀봉 부재(140)와 마찬가지의 밀봉 부재(272)를 착탈함으로써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에어 배출로(266)는 상술한 에어 배출부 입구(262)와 에어 배출부 출구(264)를 연결하도록, 케이싱(230)에 형성되어 있다. 도시 예에서는, 에어 배출로(266)는 에어 배출부 입구(262)로부터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 방향 배출로(268)와, 축선 방향 배출로(268)의 종단부로부터 에어 배출부 출구(264)에 이르도록 유동체 수용부(234)(케이싱(230))의 주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주위 방향 배출로(270)를 갖는다.
본 변형예의 토출 장치(220)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상술한 실시 형태의 토출 장치(20)에 대한 (1) 내지 (6)과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토출 장치(220)를 복수(도시 예에서는 4기) 나란히 배치한 토출 시스템(210)을 구축함으로써, 각 토출 장치(220)로부터 워크 W에 대하여 유동물을 토출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토출 시스템(210)에 의하면, 상기 실시 형태의 토출 시스템(10)에 대한 (8)과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는, 토출 장치(220)를 니들 밸브식의 토출 장치로 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제트식 디스펜서나, 피스톤식 디스펜서 등에 있어서, 토출 장치(220)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제2 변형예≫
상술한 제1 변형예에서는, 니들 밸브식의 토출 장치(220)를 예시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0에 나타내는 스크루식의 토출 장치(320)와 같은 것으로 해도 된다. 이하, 토출 장치(32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실시 형태나 상기 제1 변형예와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의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토출 장치(320)는 케이싱(330), 스크루(340), 모터(350) 및 에어 배출부(360)를 갖는다. 토출 장치(320)에 있어서, 케이싱(330)은 상기 실시 형태의 케이싱(50)이나 제1 변형예의 케이싱(230)에 상당하는 것이다. 도시 상태에 있어서, 케이싱(330)의 하단측이 되는 위치에는, 토출구(332)가 마련되어 있고, 외부로 연통하고 있다. 또한, 케이싱(330)의 상단측에는 천장면부(330a)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유동체를 수용 가능한 유동체 수용부(334)가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케이싱(330)의 외주부에는, 상기 제1 변형예의 유동체 도입부(236)와 마찬가지의 유동체 도입부(336)가 마련되어 있고, 유동체 수용부(334)에 연통하고 있다.
스크루(34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342)에 대하여 회전 날개(344)를 마련한 것으로 되어 있다. 회전축(342)은 케이싱(330)의 천장면부(330a)에 마련된 삽입 관통 구멍(330b)을 통해 모터(350)에 접속되어 있다. 스크루(340)는 유동체 수용부(334) 내에 있어서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 내부 부재이다.
에어 배출부(360)는 상기 실시 형태의 에어 배출부(100)나, 제1 변형예의 에어 배출부(260)에 상당하는 것이다. 에어 배출부(360)는 상술한 에어 배출로(130, 266)에 상당하는 통로를 케이싱(330)에 마련한 것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에어 배출부(360)는 일단측에 에어 배출부 입구(362)를 갖고, 타단측에 에어 배출부 출구(364)를 구비한 에어 배출로(366)를 갖는다.
에어 배출부 입구(362)는 유동체 수용부(334)에 연통하도록 개구되어 있다. 본 변형예에서는, 에어 배출부 입구(362)는 유동체 도입부(336)에 대하여 내부 부재인 스크루(340)를 사이에 두고 반대 측에 있어서 개구되어 있다. 에어 배출부 입구(362)는 유동체 도입부(336)에 대하여 유동체 수용부(334)의 주위 방향 및 축선 방향으로 벗어난 위치에 있다.
또한, 에어 배출부 출구(364)는 유동체 수용부(334)(케이싱(330))의 외부로 연통하도록 개구되어 있다. 에어 배출부 출구(364)는 유동체 도입부(336)에 대하여 축선 방향 상방측으로 떨어진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에어 배출부 출구(364)는 밀봉 부재(140)와 마찬가지의 밀봉 부재(372)를 착탈함으로써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에어 배출로(366)는 상술한 에어 배출부 입구(362)와 에어 배출부 출구(364)를 연결하도록, 케이싱(330)에 형성되어 있다.
본 변형예의 토출 장치(320)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상술한 실시 형태의 토출 장치(20)에 대한 (1) 내지 (6)과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토출 장치(320)를 복수 나열함으로써, 상기 실시 형태의 토출 시스템(10)이나, 제1 변형예의 토출 시스템(210)과 마찬가지로, 상기 (8)의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나 변형예 등으로서 나타낸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 청구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그 교시 및 정신으로부터 다른 실시 형태가 있을 수 있다. 상술한 실시 형태의 구성 요소는 임의로 선택하여 조합하여 구성하면 된다. 또한 실시 형태의 임의의 구성 요소와, 발명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에 기재된 임의의 구성 요소 또는 발명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에 기재된 임의의 구성 요소를 구체화한 구성 요소와는 임의로 조합하여 구성해도 된다. 이들에 대해서도 본원의 보정 또는 분할 출원 등에 있어서 권리 취득할 의사를 갖는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주제 및 경화제로 이루어지는 2액성 접착제와 같이, 복수의 유체를 혼합하여 토출하는 것이 요구되는 유체를 토출하는 다액 혼합 토출 장치의 전반에 있어서 적합하게 이용 가능하다.
10: 토출 시스템
20: 토출 장치
50: 케이싱
52: 로터
54: 스테이터
74: 구동부
76: 동력 전달부
78: 접속부(내부 부재)
100: 에어 배출부
108: 유동체 도입부
108a: 유동체 도입구
110: 유동체 수용부
130: 에어 배출로
134: 에어 배출부 입구
138: 에어 배출부 출구
210: 토출 시스템
220: 토출 장치
230: 케이싱
234: 유동체 수용부
236: 유동체 도입부
240: 니들(내부 부재)
260: 에어 배출부
262: 에어 배출부 입구
264: 에어 배출부 출구
266: 에어 배출로
320: 토출 장치
330: 케이싱
334: 유동체 수용부
336: 유동체 도입부
340: 스크루(내부 부재)
360: 에어 배출부
362: 에어 배출부 입구
364: 에어 배출부 출구
366: 에어 배출로

Claims (7)

  1. 케이싱의 내부에 마련된 유동체 수용부에 도입된 유동체를 토출 가능한 토출 장치이며,
    상기 유동체 수용부에 대하여 유동체를 도입하는 유동체 도입부와,
    상기 유동체 수용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 부재와,
    상기 유동체 수용부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에어를 배출하는 에어 배출부를 갖고,
    상기 유동체 도입부가, 상기 유동체 수용부의 내부로 연통한 유동체 도입구를 갖고,
    상기 에어 배출부가, 상기 유동체 수용부와 연통한 에어 배출로를 갖고,
    상기 에어 배출로가, 상기 내부 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유동체 도입구에 대하여 반대 측에 있어서 상기 유동체 수용부에 연통한 에어 배출부 입구와, 상기 에어 배출부 입구에 대하여 상기 유동체 수용부의 주위 방향 및 축선 방향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으로 벗어난 위치에 있어서 상기 유동체 수용부의 외부로 연통한 에어 배출부 출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부재가, 상기 유동체 수용부의 내부에 있어서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 형상의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배출부 입구가, 상기 유동체 도입구에 대하여, 유동체를 토출할 때 중력 방향 상측이 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배출부 입구를 통해 상기 유동체 수용부로부터 상기 에어 배출부로 들어가는 공기의 유입 방향과, 상기 에어 배출부 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배출 방향이, 교차 혹은 비틀림의 관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배출부의 적어도 일부가, 복수의 구성 부재를 분리 가능하게 조합한 것으로 되어 있고,
    상기 에어 배출부를 구성하는 상기 구성 부재의 일부 또는 전부를 다른 구성 부재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상기 에어 배출로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동부와,
    수나사형의 축체로 구성된 로터와,
    상기 로터를 삽입 관통 가능하며 내주면이 암나사형으로 형성된 스테이터와,
    상기 로터가 상기 스테이터의 내측에 있어서 자전하면서, 상기 스테이터의 내주면을 따라 공전하도록 편심 회전 가능하게 상기 구동부와 상기 로터를 동력 전달 가능하게 접속하는 접속부를 갖고,
    상기 접속부가, 상기 내부 부재로서, 상기 유동체 수용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토출 장치가 복수, 서로 상기 케이싱이 근접하도록 배치되고,
    각 토출 장치의 상기 유동체 도입부 및 상기 에어 배출부가, 근접하는 다른 토출 장치의 케이싱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시스템.
KR1020237023457A 2021-01-14 2022-01-09 토출 장치 및 토출 시스템 KR2023013000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004550A JP7090356B1 (ja) 2021-01-14 2021-01-14 吐出装置、及び吐出システム
JPJP-P-2021-004550 2021-01-14
PCT/JP2022/000443 WO2022153954A1 (ja) 2021-01-14 2022-01-09 吐出装置、及び吐出システ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0005A true KR20230130005A (ko) 2023-09-11

Family

ID=82155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3457A KR20230130005A (ko) 2021-01-14 2022-01-09 토출 장치 및 토출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7090356B1 (ko)
KR (1) KR20230130005A (ko)
CN (1) CN116801992A (ko)
TW (1) TWI797927B (ko)
WO (1) WO20221539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4012936A (ja) * 2022-07-19 2024-01-31 兵神装備株式会社 脱泡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21980U (ja) 2019-03-18 2019-07-04 兵神装備株式会社 回転容積型ポンプ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82069A (ja) * 2004-01-14 2006-03-30 Seiko Epson Corp 圧力調整弁およびこれを備えた機能液供給機構、並びに液滴吐出装置、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4424480B2 (ja) * 2004-03-15 2010-03-03 日本電気株式会社 塗布ユニット、該塗布ユニットを備えた塗布装置、および塗布ユニットの充填方法
JP4807184B2 (ja) * 2006-08-29 2011-11-02 凸版印刷株式会社 インク吐出装置
JP6030366B2 (ja) * 2012-07-24 2016-11-24 株式会社パイロットコーポレーション 液体吐出装置
JP6068254B2 (ja) * 2013-05-02 2017-01-25 株式会社パイロットコーポレーション 液体吐出方法及び液体吐出装置
JP2017104821A (ja) * 2015-12-11 2017-06-15 株式会社コガネイ シリンジポンプ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21980U (ja) 2019-03-18 2019-07-04 兵神装備株式会社 回転容積型ポン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227191A (zh) 2022-07-16
TWI797927B (zh) 2023-04-01
WO2022153954A1 (ja) 2022-07-21
JP7090356B1 (ja) 2022-06-24
JP2022109170A (ja) 2022-07-27
CN116801992A (zh) 2023-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842650B (zh) 流体分配系统
WO2018044771A1 (en) Stackable static mixing elements
KR20230130005A (ko) 토출 장치 및 토출 시스템
EP1875958A1 (en) Coating material feeding method and apparatus
WO2012154642A1 (en) Foam pump
BR112012006495B1 (pt) Cartucho de bebida, e, sistema de dispensação de bebida
JP5506060B2 (ja) 攪拌機能を有する吐出装置
CN110250142B (zh) 带自清洁功能的喷雾器
CN110701017A (zh) 精密伺服柱塞计量泵
CN110985707A (zh) 多通道分流阀
ES2599209T3 (es) Bomba de tornillo único tipo cartucho y medidor de tinción equipando tal bomba
CN111295516B (zh) 旋转泵驱动的药物输送装置
CN110036202B (zh) 水平剖分式螺旋轴泵
CA2404715C (en) Rotary valve and piston pump assembly and tank dispenser therefor
KR101363038B1 (ko) 액체토출구조 및 이를 갖는 액체정량토출장치
CN211322734U (zh) 配药装置和灌药系统
CN210484686U (zh) 一种用于调色机的换向阀
CN211055748U (zh) 一种储液瓶及具有其的出液装置
CN210977778U (zh) 精密伺服柱塞计量泵
JP4250713B2 (ja) 一軸偏心ねじポンプ及びその取扱方法
CN108953679A (zh) 旋转油路分配器
CN211328995U (zh) 配药装置
US2291279A (en) Rotary pump unit
CN211329013U (zh) 药液混合机构和配药装置
JP3172561U (ja) 2液混合型注入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