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9475A - 수지 조성물 및 당해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갖는 적층체 - Google Patents

수지 조성물 및 당해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갖는 적층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9475A
KR20230129475A KR1020237026631A KR20237026631A KR20230129475A KR 20230129475 A KR20230129475 A KR 20230129475A KR 1020237026631 A KR1020237026631 A KR 1020237026631A KR 20237026631 A KR20237026631 A KR 20237026631A KR 20230129475 A KR20230129475 A KR 202301294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ylene
mol
resin composition
ethylene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6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키오 하야카와
고야 요시모토
Original Assignee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29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9475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8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9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aluminium or 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26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9J1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9J123/14Copolymers of prop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0Inorganic coating
    • B32B2255/205Metall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0/00Resin or rubber layer containing a blend of at least two different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Dens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48Releasabil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08L2205/03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containing four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적층체에 있어서의 접착재층으로서 이용했을 경우에 기재층과의 접착성이 더욱 개량된 수지 조성물, 및 당해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포함하는 층 사이의 접착 강도가 보다 우수한 적층체를 얻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프로필렌계 중합체(A)를 5∼70중량%, 연질 프로필렌계 중합체(B)를 30∼95중량%,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로 그래프트 변성된 프로필렌계 중합체(C)를 0.1∼20중량%, 폴리에틸렌(D)를 0∼20중량%, 및 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E)를 1∼30중량%의 범위〔단, (A), (B), (C), (D), 및 (E)의 합계량을 100중량%로 한다.〕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및 당해 수지 조성물층을 포함하는 적층체와 관련된다.

Description

수지 조성물 및 당해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갖는 적층체
본 발명은, 적층체에 있어서의 접착재층으로서 이용했을 경우에 기재층과의 접착성이 더욱 개량된 수지 조성물, 및 당해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포함하는 층 사이의 접착 강도가 보다 우수한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포장용 필름은 가스 배리어성, 수증기 배리어성, 내유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에틸렌·아세트산 바이닐 공중합체(EVOH), 폴리아마이드(PA), 폴리에스터 등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프로필렌(PP) 등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다층 필름이 사용되고 있다. 다층 필름의 성형 방법으로서는, 모든 층이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되는 경우는, 성형이 용이하고, 얻어지는 다층 필름은 층간 접착성이 우수하므로 공압출 성형이 일반적이다.
한편, 포장용 필름으로서 보다 강성을 갖는 용도에는, 기재층(기재 필름)으로서 2축 혹은 1축 연신 필름, 차광성, 고도의 배리어성이 요구되는 용도에는 알루미늄(Al)박, 알루미늄 증착 필름, 혹은 산화 알루미늄이나 산화 규소에 의한 투명 증착 필름이 다층 필름의 층으로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2축 혹은 1축 연신 필름, 혹은 Al박, Al 증착 필름, 투명 증착 필름을 갖는 다층 필름을 얻는 방법의 하나로서, 미리 성형된 연신 필름, Al박, Al 증착 필름 등의 층과 열융착성 필름 등의 층의 첩합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당해 필름을 드라이 라미네이트(드라이라미)하는 것에 의해 첩합하는 방법이 채용되고 있다.
그렇지만 드라이라미에서는, 접착제에 포함되는 잔류 용제의 독성, 공정의 번잡화 등의 문제점이 있으므로, 접착제를 이용하지 않는 압출 라미네이트 성형에 의한 다층화도 행해지고 있다.
한편, 압출 라미네이트 성형은, 층 사이의 접착 강도를 개량하기 위해서, 미리 성형된 연신 필름, Al박, Al 증착 필름 등의 표면에 용융된 접착성 수지를 압출 라미네이트하는 방법이 채용되고 있지만, 양 층 사이의 접착성은 반드시 높아지지는 않아, 얻어진 다층 필름은 기재층과 접착성 수지층의 계면에서 박리를 일으키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접착 강도가 우수한 조성물로서, 프로필렌계 중합체, 점착 부여제, 그래프트 변성 프로필렌계 중합체, 폴리에틸렌, 및 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접착용 변성 폴리올레핀 조성물(특허문헌 1), 혹은, 불포화 카복실산 또는 그 유도체로 변성한 변성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프로필렌계 수지,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및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특허문헌 2)이 제안되어 있다.
그렇지만, 특허문헌 1에서 제안되어 있는 접착용 변성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점착 부여제를 포함하므로, 압출 성형 시에 발연(發煙)을 일으키거나, 당해 접착용 변성 폴리올레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포함하는 다층 필름을 유성의 음식품용의 포장 재료로서 이용했을 경우에는, 점착 부여제가 음식품 중에 누출될 우려가 있고, 특허문헌 2에서 제안되어 있는 수지 조성물은, 점착 부여제를 포함하지 않기는 하지만, 아직도, 접착 강도가 충분하지 않아, 용도에 따라서는, 추가적인 접착 강도가 우수한 접착제용 수지 조성물이 요구되고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04-269688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12-188662호 공보
본 발명의 목적은, 적층체에 있어서의 접착재층으로서 이용했을 경우에 기재층과의 접착성이 더욱 개량된 수지 조성물, 및 당해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포함하는 층 사이의 접착 강도가 보다 우수한 적층체를 얻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하기 프로필렌계 중합체(A)를 5∼70중량%,
하기 연질 프로필렌계 중합체(B)를 95∼30중량%,
하기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로 그래프트 변성된 프로필렌계 중합체(C)를 0.1∼20중량%,
하기 폴리에틸렌(D)를 0∼20중량%, 및
하기 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E)를 1∼30중량%
의 범위〔단, (A), (B), (C), (D), 및 (E)의 합계량을 100중량%로 한다.〕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과 관련된다.
프로필렌계 중합체(A):
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이 80∼100몰%의 범위, 및, 에틸렌 및/또는 프로필렌을 제외한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이 20몰% 이하의 범위(단, 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과 에틸렌 및/또는 프로필렌을 제외한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의 합계를 100몰%로 한다.)인 프로필렌계 중합체.
ASTM D1505로 측정한 밀도가 0.89g/cm3 이상이다.
연질 프로필렌계 중합체(B):
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를 50∼95몰%의 범위, 및, 에틸렌 및/또는 프로필렌을 제외한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를 5∼50몰%의 범위(단, 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과 에틸렌 및/또는 프로필렌을 제외한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의 합계를 100몰%로 한다.)로 함유하는 연질 프로필렌계 중합체.
ASTM D1505로 측정한 밀도가 0.89g/cm3 미만이다.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로 그래프트 변성된 프로필렌계 중합체(C):
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이 50∼100몰%, 및, 에틸렌 및/또는 프로필렌을 제외한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이 50몰% 이하(단, 에틸렌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과 에틸렌 및/또는 프로필렌을 제외한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의 합계량을 100몰%로 한다.)인 프로필렌계 중합체(c)를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로 그래프트 변성한 변성 프로필렌계 중합체.
폴리에틸렌(D):
에틸렌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이 90∼100몰%이다.
ASTM D1505로 측정한 밀도가 0.90∼0.94g/cm3의 범위에 있다.
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E):
에틸렌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이 50∼88몰%의 범위,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이 12∼50몰%(단, 에틸렌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과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의 합계량을 100몰%로 한다.)의 범위에 있다.
ASTM D1505로 측정한 밀도가 0.90g/cm3 미만이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압출 성형성이 양호하고, 또한 기재와의 접착 강도가 우수하므로, 기재층과의 접착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는 수지 조성물, 및 해당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포함하는 적층체가 제공된다.
<프로필렌계 중합체(A)>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의 하나인 프로필렌계 중합체(A)는, 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이 80∼100몰%, 바람직하게는 81∼99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82∼98몰%의 범위, 및, 에틸렌 및/또는 프로필렌을 제외한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이 0∼20몰%, 바람직하게는 1∼19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2∼18몰%의 범위(단, 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과 에틸렌 및/또는 프로필렌을 제외한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의 합계량을 100몰%로 한다.)인 프로필렌계 중합체로서, ASTM D1505로 측정한 밀도가 0.89g/cm3 이상, 바람직하게는 0.89∼0.92g/cm3, 보다 바람직하게는 0.89∼0.91g/cm3의 범위에 있다. 밀도가 상기의 범위에 있는 프로필렌계 공중합체(A)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유연성과 기계 강도의 균형이 우수하고, 다른 층과의 접착력도 높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필렌계 중합체(A)는, 구체적으로는,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또는 프로필렌과 에틸렌 및/또는 탄소 원자수가 4∼20인 α-올레핀의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탄소 원자수가 4∼20인 α-올레핀으로서는, 1-뷰텐, 1-펜텐, 1-헥센, 4-메틸-1-펜텐, 1-옥텐, 1-데센, 1-도데센, 1-테트라데센, 1-헥사데센, 1-옥타데센, 1-에이코센 등을 들 수 있다. 에틸렌 및 α-올레핀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올레핀으로서는, 특히 에틸렌, 1-뷰텐, 1-헥센, 4-메틸-1-펜텐, 1-옥텐이 바람직하고, 에틸렌 및 α-올레핀은, 1종이어도 2종 이상, 예를 들어, 에틸렌과 1-뷰텐을 이용해도 된다.
프로필렌과 이들 α-올레핀의 공중합체는, 랜덤 공중합체여도 되고, 블록 공중합체여도 된다. 이들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는, α-올레핀과 프로필렌의 공중합체 중에 0∼20몰%, 바람직하게는 1∼19몰%의 비율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필렌계 중합체(A)는, 바람직하게는 하기 요건(a)를 만족시킨다.
(a) 시차 주사 열량계(DSC)를 이용하여 측정되는 융점(Tm)이 12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170℃, 더 바람직하게는 130∼165℃의 범위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필렌계 중합체(A)는, ASTM D 1238에 준거하여 230℃, 하중 2.16kg에서 측정되는 멜트 플로 레이트(MFR)가 통상, 0.01∼1000g/10분, 바람직하게는 0.05∼100g/10분의 범위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필렌계 중합체(A)로서는, 내열성이 우수한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내열성과 유연성의 균형이 우수한 블록 공중합체, 예를 들어, 통상 3∼30질량%의 n-데케인 용출 고무 성분을 갖는 블록 공중합체(블록 PP), 및 유연성과 투명성의 균형이 우수한 랜덤 공중합체(랜덤 PP), 예를 들어, 시차 주사 열량계(DSC)를 이용하여 측정되는 융점(Tm)이 120℃ 이상, 바람직하게는 130∼150℃의 범위에 있는 랜덤 공중합체(랜덤 PP)를 들 수 있고, 목적하는 물성을 얻기 위해서 이들 중으로부터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또는 융점이나 강성이 상이한 2종류 이상의 프로필렌계 중합체(A)를 병용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필렌계 중합체(A)는, 예를 들어 마그네슘, 타이타늄, 할로젠 및 전자 공여체를 필수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고체 촉매 성분과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 및 전자 공여체로 이루어지는 지글러 촉매계, 또는 메탈로센 화합물을 촉매의 일 성분으로서 이용한 메탈로센 촉매계에서 프로필렌을 중합 혹은 프로필렌과 다른 α-올레핀을 공중합하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연질 프로필렌계 중합체(B)>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의 하나인 연질 프로필렌계 중합체(B)는, 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이 50∼95몰%, 바람직하게는 60∼94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70∼93몰%의 범위, 및, 에틸렌 및/또는 프로필렌을 제외한 α-올레핀, 바람직하게는 탄소 원자수 4∼20의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이 5∼50몰%, 바람직하게는 6∼40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7∼30몰%의 범위(단, 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과 에틸렌 및/또는 프로필렌을 제외한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의 합계량을 100몰%로 한다.)로 함유하는 연질 프로필렌계 중합체로서, ASTM D1505로 측정한 밀도가 0.89g/cm3 미만, 바람직하게는 0.85∼0.89g/cm3, 보다 바람직하게는 0.86∼0.88g/cm3의 범위에 있다. 밀도가 상기의 범위에 있는 연질 프로필렌계 중합체(B)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유연성과 기계 강도의 균형이 우수하고, 다른 층과의 접착력도 높다.
탄소 원자수 4∼20의 α-올레핀으로서는, 3-메틸-1-뷰텐, 1-뷰텐, 1-펜텐, 1-헥센, 4-메틸-1-펜텐, 1-옥텐, 1-데센, 1-도데센, 1-테트라데센, 1-헥사데센, 1-옥타데센, 1-에이코센 등을 들 수 있다.
에틸렌 및 α-올레핀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올레핀으로서는, 특히 에틸렌, 1-뷰텐, 1-헥센, 4-메틸-1-펜텐, 1-옥텐이 바람직하고, 에틸렌 및 α-올레핀은, 1종이어도 2종 이상, 예를 들어, 에틸렌과 1-뷰텐을 이용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연질 프로필렌계 중합체(B)는, 바람직하게는 하기 요건(b)를 만족시킨다.
(b) 시차 주사 열량계(DSC)를 이용하여 측정되는 융점(Tm)이 110℃ 이하, 바람직하게는 40∼110℃, 보다 바람직하게는 45∼108℃의 범위이며, 또는 융점이 관측되지 않는다.
여기에서, 융점이 관측되지 않는다란, 시차 주사 열량 측정에 있어서 -150∼200℃의 범위에 있어서, 결정 융해열량이 1J/g 이상인 결정 융해 피크가 관측되지 않는 것을 말한다. 상기 융점(Tm)은, 융점(Tm)이 상기 조건을 만족시키면, 프로필렌계 중합체와의 상용성 및 투명성의 면에서 바람직하다.
융점 측정 조건의 상세는, 후술하는 실시예의 항에 기재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연질 프로필렌계 중합체(B)는, ASTM D 1238에 준거하여 230℃, 2.16kg 하중에서 측정한 MFR이 통상, 0.01∼100g/10분이며, 바람직하게는 0.01∼30g/10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질 프로필렌계 중합체(B)는, 바람직하게는, 단일한 유리 전이 온도를 갖고, 시차 주사 열량계(DSC)를 이용하여 측정되는 유리 전이 온도(Tg)가, 통상, -50∼10℃, 바람직하게는 -45∼0℃, 보다 바람직하게는 -40∼0℃의 범위에 있다.
연질 프로필렌계 중합체(B)가, 유리 전이 온도(Tg)가 상기 범위 내에 있으면, 얻어지는 수지 조성물을 갖는 포장 재료는, 내한성, 저온 특성이 우수함과 함께 응력 흡수 성능을 발현하므로 바람직하다.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로 그래프트 변성된 프로필렌계 중합체(C)>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의 하나인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로 그래프트 변성된 프로필렌계 중합체(C)〔이하, 「변성 프로필렌계 중합체(C)」라고 약기하는 경우가 있다.〕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변성 프로필렌계 중합체(C)는, 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이 50∼100몰%, 및, 에틸렌 및/또는 프로필렌을 제외한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이 50몰% 이하(단, 에틸렌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과 에틸렌 및/또는 프로필렌을 제외한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의 합계량을 100몰%로 한다.)인 프로필렌계 중합체(c)를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로 그래프트 변성한 변성 프로필렌계 중합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필렌계 중합체(c)는, 프로필렌의 단독중합체 및/또는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이다. α-올레핀으로서는,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및 탄소수 4∼20의 α-올레핀을 들 수 있고, 이들 α-올레핀은, 1종 단독이어도 2종 이상이어도 된다. 바람직한 α-올레핀으로서는, 에틸렌, 탄소수 4∼10의 α-올레핀이며, 그 중에서도 특히 에틸렌 및 탄소수 4∼8의 α-올레핀이 호적하다. 여기에서,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은 50∼100몰%, 바람직하게는 60∼100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70∼100몰%의 범위, 에틸렌 및/또는 프로필렌을 제외한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이 0∼50몰%, 바람직하게는 0∼40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0∼30몰%의 범위(단, 에틸렌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과 에틸렌 및/또는 프로필렌을 제외한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의 합계량을 100몰%로 한다.)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필렌계 중합체(c)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지글러·나타 촉매, 메탈로센계 촉매 등의 주지된 촉매를 이용한 주지된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필렌계 중합체(c)를 그래프트 변성하는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바람직하게는 불포화 카복실산 및/또는 그 유도체로서는, 카복실산기를 1 이상 갖는 불포화 화합물, 카복실산기를 갖는 화합물과 알킬 알코올의 에스터, 무수 카복실산기를 1 이상 갖는 불포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불포화 화합물이 갖는 불포화기로서는, 바이닐기, 바이닐렌기, 불포화 환상 탄화수소기 등을 들 수 있다. 불포화 카복실산 및/또는 그 유도체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중에서는, 불포화 다이카복실산 또는 그의 산 무수물이 호적하고, 특히 말레산, 나딕산 또는 이들의 산 무수물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필렌계 중합체(c)를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로 그래프트시키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용액법, 용융 혼련법 등, 종래 공지된 그래프트 중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필렌계 중합체(c)를 용융하고,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를 첨가하여 그래프트 반응시키는 방법, 혹은 프로필렌계 중합체(c)를 용매에 용해하여 용액으로 하고, 거기에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를 첨가하여 그래프트 반응시키는 방법 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변성 프로필렌계 중합체(C)는, 바람직하게는,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양은, 무수 말레산 유래의 구조 단위 환산으로 0.01∼5질량% 또는 0.01∼5.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05∼3.5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양이 상기 범위 내인 변성 프로필렌계 중합체(C)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은, 성형성과 접착성의 균형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폴리에틸렌(D)>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의 하나인 폴리에틸렌(D)는, 에틸렌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이 90∼100몰%이고, ASTM D1505로 측정한 밀도가 0.90∼0.94g/cm3, 바람직하게는 0.91∼0.93g/cm3의 범위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틸렌(D)는,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선상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중밀도 폴리에틸렌(M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으로서 제조 판매되고 있는 에틸렌의 단독중합체, 에틸렌과 탄소 원자수 3∼20의 α-올레핀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로서, 에틸렌을 주체로 하는 에틸렌계 중합체이다.
탄소 원자수 3∼20의 α-올레핀으로서는, 프로필렌, 3-메틸-1-뷰텐, 1-뷰텐, 1-펜텐, 1-헥센, 4-메틸-1-펜텐, 1-옥텐, 1-데센, 1-도데센, 1-테트라데센, 1-헥사데센, 1-옥타데센, 1-에이코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α-올레핀은, 1종이어도 2종 이상 이용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틸렌(D)는, ASTM D 1238에 준거하여 190℃, 2.16kg 하중에서 측정한 MFR이, 통상, 0.1∼10g/10분, 바람직하게는 0.5∼8g/10분, 보다 바람직하게는, 1∼6g/10분의 범위에 있다. MFR이 상기의 범위에 있는 폴리에틸렌(D)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유연성과 기계 강도의 균형이 우수하고, 다른 층과의 접착력도 높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틸렌(D)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고압법, 지글러·나타 촉매, 메탈로센계 촉매 등의 주지된 촉매를 이용한 주지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더욱이, 성형성을 만족하여, 성형체로 했을 때의 사용에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갖는 것이면, 입체 규칙성, 분자량에 대해서도 특별한 제한은 없다. 시판되는 수지를 그대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E)>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의 하나인 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E)는, 에틸렌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이 50∼88몰%의 범위,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이 12∼50몰%(단, 에틸렌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과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의 합계량을 100몰%로 한다.)의 범위에 있고, ASTM D1505로 측정한 밀도가 0.90g/cm3 미만이다.
에틸렌과 공중합되는 α-올레핀은, 바람직하게는 탄소 원자수 3∼20의 α-올레핀이며, 구체적으로는, 프로필렌, 3-메틸-1-뷰텐, 1-뷰텐, 1-펜텐, 1-헥센, 4-메틸-1-펜텐, 1-옥텐, 1-데센, 1-도데센, 1-테트라데센, 1-헥사데센, 1-옥타데센, 1-에이코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α-올레핀은, 1종이어도 2종 이상 이용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E)는, 에틸렌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이 바람직하게는 50∼88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60∼86몰%, 더 바람직하게는 60∼85몰%의 범위에 있고,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이 바람직하게는 12∼50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14∼40몰%, 더 바람직하게는 15∼40몰%의 범위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E)는, 바람직하게는 밀도가 0.85∼0.90g/cm3, 보다 바람직하게는 0.86∼0.90g/cm3의 범위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E)는, ASTM D 1238에 준거하여 190℃, 2.16kg 하중에서 측정한 MFR이 통상, 0.1∼100g/10분이며, 바람직하게는 0.5∼50g/10분의 범위에 있다. MFR이 상기의 범위에 있는 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E)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유연성과 기계 강도의 균형이 우수하고, 다른 층과의 접착력도 높다.
본 발명에 따른 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E)는, 바람직하게는 하기 요건(e)를 만족시킨다.
(e) 시차 주사 열량계(DSC)를 이용하여 측정되는 융점(Tm)이 110℃ 이하, 바람직하게는 40∼85℃, 보다 바람직하게는 40∼60℃의 범위이며, 또는 융점이 관측되지 않는다.
여기에서, 융점이 관측되지 않는다란, 시차 주사 열량 측정에 있어서 -150∼200℃의 범위에 있어서, 결정 융해열량이 1J/g 이상인 결정 융해 피크가 관측되지 않는 것을 말한다. 상기 융점(Tm)은, 융점(Tm)이 상기 조건을 만족시키는 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E)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유연성과 기계 강도의 균형이 우수하고, 다른 층과의 접착력도 높다.
융점 측정 조건의 상세는, 후술하는 실시예의 항에 기재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E)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지글러·나타 촉매, 메탈로센계 촉매 등의 주지된 촉매를 이용한 주지된 방법을 들 수 있다.
《수지 조성물》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상기 프로필렌계 중합체(A)를 5∼70중량%, 바람직하게는 5∼50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5∼30중량%,
상기 연질 프로필렌계 중합체(B)를 30∼95중량%, 바람직하게는 35∼95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40∼95중량%,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로 그래프트 변성된 프로필렌계 중합체(C)를 0.1∼20중량%, 바람직하게는 0.5∼15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1∼10중량%,
상기 폴리에틸렌(D)를 0∼20중량%, 바람직하게는 1∼2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19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2∼18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10∼18중량% 및
상기 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E)를 1∼30중량%, 바람직하게는 2∼29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3∼28중량%
의 범위〔단, (A), (B), (C), (D), 및 (E)의 합계량을 100중량%로 한다.〕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상기 성분(A), 성분(B), 성분(C), 및 성분(E)를 상기 범위로 포함하는 것에 의해, 성형성과 접착성의 균형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상기 성분(A), 성분(B), 성분(C), 성분(D) 및 성분(E)를 상기 범위로 포함하는 것에 의해, 성형성과 접착성의 균형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다른 재료와의 접착성이 우수하므로, 접착제용의 수지 조성물, 예를 들어, 핫멜트 접착제용의 수지 조성물 등으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ASTM D 1238에 준거하여 230℃, 2.16kg 하중에서 측정한 MFR이 통상, 1∼50g/10분, 바람직하게는 5∼30g/10분의 범위에 있다. MFR이 상기 범위 내인 수지 조성물은, 성형성과 접착성의 균형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본 발명의 목적을 해치지 않는 범위이면, 다른 폴리올레핀계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나, 수지용 첨가제(예를 들어, 내열 안정제, 내후 안정제 등의 안정제, 가교제, 가교 조제, 대전 방지제, 슬립제, 안티블로킹제, 방담제, 활제, 염료, 안료, 필러, 광물유계 연화제, 석유 수지, 왁스 등) 등을 함유해도 된다.
단,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점착 부여제의 함유량이 0중량% 이상 1중량%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중량%이다. 여기에서, 점착 부여제의 함유량이 0중량%라는 것은, 점착 부여제를 함유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
당해 점착 부여제로서는, 예를 들어, 석유, 나프타 등의 분해에 의해 얻어지는 C4 유분, C5 유분, 이들의 혼합물 혹은 이들의 임의의 유분, 예를 들어 C5 유분 중의 아이소프렌 및 1,3-펜타다이엔 등을 주원료로 하는 지방족계 탄화수소 수지, 석유, 나프타 등의 분해에 의해 얻어지는 C9 유분 중의 스타이렌 유도체 및 인덴류를 주원료로 하는 방향족계 탄화수소 수지, C4·C5 유분의 임의의 유분과 C9 유분을 공중합한 지방족·방향족 공중합 탄화수소 수지, 방향족계 탄화수소 수지를 수소 첨가한 지환족계 탄화수소 수지, 지방족, 지환족 및 방향족을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 합성 테르펜계 탄화수소 수지, 테레핀유 중의 α,β-피넨을 원료로 하는 테르펜계 탄화수소 수지, 콜타르계 나프타 중의 인덴 및 스타이렌류를 원료로 하는 쿠마론인덴계 탄화수소 수지, 저분자량 스타이렌계 수지 및 로진계 탄화수소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올레핀계 중합체 조성물은, 여러 가지 공지된 방법, 예를 들어, 상기 프로필렌계 중합체(A), 상기 연질 프로필렌계 중합체(B),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로 그래프트 변성된 프로필렌계 중합체(C), 상기 폴리에틸렌(D), 및 상기 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E)를 상기 범위의 양으로, 용융 혼련, 드라이 블렌딩하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적층체》
본 발명의 적층체는, 상기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포함하는 적층체로서, 예를 들어, 기재층의 적어도 한쪽 면에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이 적층되어 있는 적층체이다.
본 발명의 적층체는, 기재층의 형태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어 필름, 용기, 관 등 어떠한 형태여도 된다.
본 발명에 이용하는 기재로서는, 필름 형성능을 갖는 임의의 중합체 혹은 종이, 알루미늄박(알루미박), 셀로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중합체로서는, 예를 들어,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 저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아세트산 바이닐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 아이오노머, 폴리프로필렌, 폴리-1-뷰텐, 폴리-4-메틸-1-펜텐 등의 올레핀 공중합체, 폴리염화 바이닐, 폴리염화 바이닐리덴, 폴리스타이렌,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 등의 바이닐 공중합체, 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7, 나일론 10, 나일론 1, 나일론 12, 나일론 610, 폴리메타자일렌아디프아마이드 등의 폴리아마이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아이소프탈레이트, 폴리뷰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터, 폴리바이닐 알코올, 에틸렌·바이닐 알코올 공중합체, 폴리카보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재는, 기재의 적어도 편면에, 무기 화합물 증착층 혹은 금속층을 가지면, 얻어지는 적층체의 미관, 가스 배리어성이 보다 우수하므로 바람직하다.
적어도 편면에 무기물 증착층, 혹은 금속층을 갖는 기재를 이용하는 경우,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의 층은, 기재의 무기물 증착층 혹은 금속층에 접하고 있어도 되고(즉 기재층의 상기 수지 조성물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면에, 무기물 증착층 혹은 금속층을 가져도 되고), 반대측에 접하고 있어도 되지만, 무기물 증착층이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는, 보호층을 1층 이상 적층할 수도 있다.
당해 보호층으로서는, 상기 기재층에 사용할 수 있는 중합체 혹은 종이, 알루미늄박(알루미박), 셀로판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재는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포장물이 부식되기 쉬운 식품인 경우에는, 폴리아마이드, 폴리염화 바이닐리덴, 에틸렌·바이닐 알코올 공중합체, 폴리바이닐 알코올, 폴리에스터와 같이, 투명성, 강성, 가스 투과 저항성이 우수한 수지가 선택된다. 과자나 섬유 포장 등에 대해서는, 투명성, 강성, 수투과 저항성이 양호한 폴리프로필렌 등을 외층으로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기재가 중합체이면 1축 또는 2축으로 연신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기재가 인쇄면이나 프라이머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무기 화합물 증착에 이용하는 무기 화합물로서는, 알루미늄(알루미), 금, 은 등의 금속, 산화 알루미늄(산화 알루미), 산화 규소, 산화 마그네슘, 인듐-아연 산화물 등의 산화물 등을 들 수 있지만, 가격, 가스 배리어성의 점에서 알루미늄, 산화 알루미늄, 산화 규소가 호적하다.
증착층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바람직하게는 50∼5000Å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2000Å의 범위가 좋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적층체를 얻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미리 성형한 기재에,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 및 적층체를 구성하는 다른 1종 혹은 2종 이상의 수지를, 각각 별개의 압출기로 용융하고, 용융 후, 2층 혹은 3층 이상의 구조의 다이에 따로따로 공급하여, 상기 기재 상에,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이 기재측에 오도록 공압출 라미네이트하는 방법, 혹은, 미리 성형한 상기 기재 2층의 사이에 조성물을 용융 압출하는 이른바 샌드위치 라미네이트법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에서 이용되는 다이는 이른바 플랫 다이이고, 블랙 박스를 사용한 싱글·매니폴드 형식, 혹은 멀티·매니폴드 형식의 어느 것을 이용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층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0.1∼1000μm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금속층이나 수지에 대해서 우수한 접착 성능을 나타낸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적층체는, 스낵이나 건조 식품 등의 식품 포장 등에 호적하게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기초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이용한 중합체 등을 이하에 나타낸다.
[프로필렌계 중합체(A)]
프로필렌계 중합체(A)로서, 프로필렌·에틸렌·1-뷰텐 랜덤 공중합체(PP)를 이용했다.
프로필렌 함유량=87몰%, 에틸렌 함유량=7몰%, 1-뷰텐 함유량=6몰%, MFR(230℃, 2.16kg 하중)=7g/10분, 밀도=0.90g/cm3, 융점(Tm)=141℃.
[연질 프로필렌계 중합체(B)]
연질 프로필렌계 중합체(B)로서,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PER)를 이용했다.
프로필렌 함유량=79몰%, 에틸렌 함유량=21몰%, MFR(230℃, 2.16kg 하중)=20g/10분, 밀도=0.86g/cm3, 융점(Tm)=109℃, 유리 전이 온도(Tg)=-33℃.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로 그래프트 변성된 프로필렌계 중합체(C)]
변성 프로필렌계 중합체(C)로서, 무수 말레산 변성 프로필렌 단독중합체(변성 PP)를 이용했다.
MFR(230℃, 2.16kg 하중)=100g/10분, 밀도=0.90g/cm3, 무수 말레산 그래프트 변성량=3.0질량%.
[폴리에틸렌(D)]
폴리에틸렌(D)로서, 이하의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이용했다.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1)
MFR(190℃, 2.16kg 하중)=4g/10분, 밀도=0.92g/cm3.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2)
MFR(190℃, 2.16kg 하중)=7g/10분, 밀도=0.92g/cm3.
[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E)]
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E)로서, 이하의 에틸렌·1-뷰텐 공중합체 등을 이용했다.
에틸렌·1-뷰텐 공중합체(EBR-1)
MFR(230℃, 2.16kg 하중)=7g/10분, 밀도=0.87g/cm3, 에틸렌 함량=85몰%, 1-뷰텐 함량=15몰%.
에틸렌·1-뷰텐 공중합체(EBR-2)
MFR(230℃, 2.16kg 하중)=70g/10분, 밀도=0.87g/cm3, 에틸렌 함량=85몰%, 1-뷰텐 함량=15몰%.
에틸렌·1-뷰텐 공중합체(EBR-3)
MFR(230℃, 2.16kg 하중)=7g/10분, 밀도=0.89g/cm3, 에틸렌 함량=90몰%(82중량%), 1-뷰텐 함량=10몰%(18중량%).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EPR)
MFR(230℃, 2.16kg 하중)=8g/10분, 밀도=0.87g/cm3, 에틸렌 함량=80몰%, 프로필렌 함량=20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이용한 중합체 및 수지 조성물의 물성은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했다.
[물성의 측정 방법]
<멜트 플로 레이트(MFR)>
ASTM D 1238에 따라 MFR을 측정했다. 프로필렌계 중합체(A), 연질 프로필렌계 중합체(B),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로 그래프트 변성된 프로필렌계 중합체(C),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E) 및 수지 조성물은 230℃, 2.16kg 하중 아래, 폴리에틸렌(D)는 190℃, 2.16kg 하중 아래 측정했다.
<밀도>
ASTM D1505(밀도 구배관법)에 준거하여 밀도를 측정했다.
<중합체의 조성>
공중합체 중의 에틸렌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 및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의 함량은, 13C-NMR에 의해 이하의 장치 및 조건에서 행했다.
에틸렌 및 α-올레핀 함량의 정량화는, 니혼 전자(주)제 JECX400P형 핵자기 공명 장치를 이용하고, 용매로서 중(重)오쏘다이클로로벤젠/중벤젠(80/20용량%) 혼합 용매를 이용하고, 시료 농도를 60mg/0.6mL, 측정 온도를 120℃, 관측 핵을 13C(100MHz), 시퀀스를 싱글 펄스 프로톤 디커플링, 펄스 폭을 4.62μ초(45° 펄스), 반복 시간을 5.5초, 적산 횟수를 8000회, 29.73ppm을 케미컬 시프트의 기준치로 하는 조건하에서 측정했다.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양(그래프트 변성량)>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양(그래프트 변성량)은, 적외선 흡수 분석 장치에 의해, 상기 구조 단위에서 유래하는 피크(무수 말레산을 이용했을 경우는 1790cm-1)의 강도를 측정하고, 미리 작성한 검량선을 이용하여 정량했다.
<융점(Tm), 유리 전이 온도(Tg)>
하기 방법에 의해 시차 주사 열량(DSC) 측정함으로써, 하기 접착제의 원료의 Tm, Tg를 측정했다.
시료 5mg 정도를 알루미늄 팬 중에 밀봉하고, 세이코 인스트루먼트(주)사제 DSCRDC220을 이용하여, 실온으로부터 200℃까지 10℃/min으로 승온하고, 200℃에서 5분간 유지한 후, 200℃로부터 -100℃까지 10℃/min으로 강온하고, -100℃에서 추가로 5분간 유지하고, 그 다음에 200℃까지 10℃/min으로 승온할 때의 흡열 곡선으로부터 융점(Tm), 유리 전이 온도(Tg)를 구했다.
측정 시에, 복수의 피크가 검출되는 경우는, 가장 고온측에서 검출되는 피크 온도를 융점(Tm)이라고 정의했다.
[실시예 1]
<수지 조성물의 제조>
프로필렌계 중합체(A) PP: 26중량%, 연질 프로필렌계 중합체(B) PER: 45중량%,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로 그래프트 변성된 프로필렌계 중합체(C) 변성 PP: 4중량%, 및 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E) EBR-1: 25중량%를, 1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230℃에서 용융 혼련하여,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수지 조성물의 MFR은 14g/10분이며, 밀도는 0.88g/cm3였다.
<적층체의 제조>
시판되는 폴리프로필렌(프라임 폴리머사제 F329RA, MFR(230℃): 27g/10분) 및 상기 수지 조성물을 직경 50mm, 유효 길이 L/D=28의 스크루를 갖는 공압출 필름 성형기를 이용하여 230℃에서, 다이스 온도가 310℃인 T-다이로 공압출했다. 압출된 폴리프로필렌 및 수지 조성물을 T-다이의 피드 블록 내에서, 폴리프로필렌이 외층, 수지 조성물이 내층이 되도록 적층하고, 외층 및 내층이 함께 20μm인 두께 약 40μm의 필름상의 적층체를 용융 상태로 알루미늄 PET 필름(알루미늄층: 20μm)/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층: 12μm)의 알루미늄면측과 접촉시키고(압출 라미네이트), 핀치 롤 부가된 칠 롤로 냉각하면서, 25m/분의 속도로 인취하여, 접착 강도 평가용의 다층 필름(폴리프로필렌층: 20μm/수지 조성물층: 20μm/알루미늄층: 20μm/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층 12μm)을 얻었다.
[성형성]
상기의 공압출 코팅 성형에 의한 적층체 성형 시에, 용융막 단부의 귀흔들림[耳搖]의 유무를 평가했다.
[다층 필름의 층간 접착력]
얻어진 다층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상온에서 1주간 보관한 후, 적층체를 15mm 폭으로 잘라, 알루미늄층과 수지 조성물층의 층간 접착력을 T-필(peel)법으로 평가했다. 평가는 인장 시험기를 이용하여 23℃의 분위기하에서 행했다. 크로스헤드 스피드는 300mm/min으로 했다.
얻어진 수지 조성물 및 적층체의 물성을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9]
표 1에 나타내는 배합 처방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접착제를 조제하고,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적층체를 제조했다.
얻어진 접착제 및 적층체의 물성을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1∼6]
표 1에 나타내는 배합 처방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접착제를 조제하고,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적층체를 제조했다.
얻어진 수지 조성물 및 적층체의 물성을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실시예 10]
피착체로서 알루미늄 PET 필름 대신에 알루미늄 증착 PET 필름(12μm)을 이용하고, 표 2에 나타내는 배합 처방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수지 조성물을 조제하고,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적층체를 제조했다.
얻어진 수지 조성물 및 적층체의 물성을 표 3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3

Claims (14)

  1. 하기 프로필렌계 중합체(A)를 5∼70중량%,
    하기 연질 프로필렌계 중합체(B)를 30∼95중량%,
    하기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로 그래프트 변성된 프로필렌계 중합체(C)를 0.1∼20중량%,
    하기 폴리에틸렌(D)를 0∼20중량%, 및
    하기 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E)를 1∼30중량%
    의 범위〔단, (A), (B), (C), (D), 및 (E)의 합계량을 100중량%로 한다.〕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프로필렌계 중합체(A):
    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이 80∼100몰%의 범위, 및, 에틸렌 및/또는 프로필렌을 제외한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이 20몰% 이하의 범위(단, 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과 에틸렌 및/또는 프로필렌을 제외한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의 합계를 100몰%로 한다.)인 프로필렌계 중합체.
    ASTM D1505로 측정한 밀도가 0.89g/cm3 이상이다.
    연질 프로필렌계 중합체(B):
    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를 50∼95몰%의 범위, 및, 에틸렌 및/또는 프로필렌을 제외한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를 5∼50몰%의 범위(단, 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과 에틸렌 및/또는 프로필렌을 제외한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의 합계를 100몰%로 한다.)로 함유하는 연질 프로필렌계 중합체.
    ASTM D1505로 측정한 밀도가 0.89g/cm3 미만이다.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로 그래프트 변성된 프로필렌계 중합체(C):
    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이 50∼100몰%, 및, 에틸렌 및/또는 프로필렌을 제외한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이 50몰% 이하(단, 에틸렌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과 에틸렌 및/또는 프로필렌을 제외한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의 합계량을 100몰%로 한다.)인 프로필렌계 중합체(c)를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로 그래프트 변성한 변성 프로필렌계 중합체.
    폴리에틸렌(D):
    에틸렌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이 90∼100몰%이다.
    ASTM D1505로 측정한 밀도가 0.90∼0.94g/cm3의 범위에 있다.
    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E):
    에틸렌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이 50∼88몰%의 범위,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이 12∼50몰%(단, 에틸렌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과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의 합계량을 100몰%로 한다.)의 범위에 있다.
    ASTM D1505로 측정한 밀도가 0.90g/cm3 미만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로 그래프트 변성된 프로필렌계 중합체(C)의 적어도 일부가 불포화 카복실산 혹은 그 유도체로 그래프트 변성되어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E)가, 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E)를 구성하는 α-올레핀이, 탄소수가 3∼8인 α-올레핀인 수지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질 프로필렌계 중합체(B)가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인 수지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로 그래프트 변성된 프로필렌계 중합체(C)가,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양이 0.01∼5.0질량%인, 수지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로 그래프트 변성된 프로필렌계 중합체(C)가, 무수 말레산으로 그래프트 변성된 프로필렌계 중합체(C)인, 수지 조성물.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D)를 1∼20중량%의 범위〔단, (A), (B), (C), (D), 및 (E)의 합계량을 100중량%로 한다.〕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지 조성물이, 점착 부여제를 함유하지 않는 수지 조성물인 수지 조성물.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지 조성물이, 접착제용인 수지 조성물.
  10.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포함하는 적층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기재층의 적어도 한쪽 면에 상기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적층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이, 당해 기재층의 상기 수지 조성물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면에, 무기 화합물 증착층 혹은 금속층을 가져 이루어지는 적층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화합물 증착층이, 알루미늄 증착층인 적층체.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이, 알루미늄층인 적층체.
KR1020237026631A 2021-03-31 2022-02-22 수지 조성물 및 당해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갖는 적층체 KR2023012947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061957 2021-03-31
JPJP-P-2021-061957 2021-03-31
PCT/JP2022/007219 WO2022209431A1 (ja) 2021-03-31 2022-02-22 樹脂組成物および当該樹脂組成物からなる層を有する積層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9475A true KR20230129475A (ko) 2023-09-08

Family

ID=83455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6631A KR20230129475A (ko) 2021-03-31 2022-02-22 수지 조성물 및 당해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갖는 적층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40117169A1 (ko)
EP (1) EP4316830A1 (ko)
JP (1) JPWO2022209431A1 (ko)
KR (1) KR20230129475A (ko)
CN (1) CN116981733A (ko)
IL (1) IL305775A (ko)
WO (1) WO20222094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16962A1 (ja) * 2022-11-28 2024-06-06 株式会社プライムポリマー 樹脂組成物、積層体、および包装材料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69688A (ja) 2003-03-07 2004-09-30 Mitsui Chemicals Inc 変性ポリオレフィン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積層体
JP2012188662A (ja) 2011-02-25 2012-10-04 Mitsubishi Chemicals Corp 樹脂組成物及び積層体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45013B2 (ja) * 1998-04-08 2008-02-13 日本ポリプロ株式会社 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及びそのシート
JP5284109B2 (ja) * 2007-01-29 2013-09-11 株式会社クラレ 樹脂組成物及び多層構造体
JP2014172916A (ja) * 2013-03-06 2014-09-22 Japan Polypropylene Corp 発泡用繊維強化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発泡成形してなる成形体
JP6838440B2 (ja) * 2017-03-16 2021-03-03 Mcppイノベーション合同会社 多層延伸フィルム用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
CN108794880B (zh) * 2017-04-28 2022-08-09 住友化学株式会社 热塑性弹性体组合物及其模制体
EP3766932B8 (en) * 2018-03-15 2023-05-24 Mitsui Chemicals, Inc. Resin composition and monolayer and multilayer films
JP7415573B2 (ja) * 2019-01-16 2024-01-17 Mcppイノベーション合同会社 接着性樹脂組成物及び積層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69688A (ja) 2003-03-07 2004-09-30 Mitsui Chemicals Inc 変性ポリオレフィン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積層体
JP2012188662A (ja) 2011-02-25 2012-10-04 Mitsubishi Chemicals Corp 樹脂組成物及び積層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L305775A (en) 2023-11-01
CN116981733A (zh) 2023-10-31
JPWO2022209431A1 (ko) 2022-10-06
US20240117169A1 (en) 2024-04-11
EP4316830A1 (en) 2024-02-07
WO2022209431A1 (ja) 2022-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79495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多層積層体、該熱可塑性樹脂組成物を粘着させてなる物品、ならびに物品の表面保護方法
KR100719403B1 (ko) 열융착성 적층 필름 및 포장체
TWI427128B (zh) Adhesive resin composition and use thereof
WO2007015415A1 (ja)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フィルムまたはシート、該フィルムまたはシートから得られる延伸フィルム、積層体および該積層体から得られる延伸フィルム
KR102409543B1 (ko) 수지 조성물, 및 단층 및 다층 필름
TWI758446B (zh) 電池用積層體
TW200402461A (en) Sealant, a resin composition for sealant, a sealant film, laminate film and the container thereof
JP2015525153A (ja) 官能性エチレン系ポリマー組成物含有皮膜
JP2020111745A (ja) 接着性樹脂組成物及び積層体
JPH02107438A (ja) 積層体
KR20230129475A (ko) 수지 조성물 및 당해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갖는 적층체
US10000849B2 (en) Laminate, packaging material using the same and production process for the same
JP2004269688A (ja) 変性ポリオレフィン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積層体
TWI255228B (en) Multi-layer film for thermal lamination, laminated sheet, and thermoformed container
WO2023022168A1 (ja) 接着性樹脂組成物およびフィルム
JPWO2015083702A6 (ja) 積層体、それを使用した包装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874122B2 (ja) 積層体の製造方法
JP4328244B2 (ja) プロピレン系接着用重合体組成物及びその積層体
JP2000301674A (ja) 青果物包装用フィルム
JP2021133590A (ja) 易開封性フィルムおよび包装体
JP7107706B2 (ja) ポリオレフィン組成物および積層体
WO2022196220A1 (ja) 樹脂組成物、該樹脂組成物を含むフィルムおよびその用途
JP7331354B2 (ja) 積層体
JP5375454B2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延伸フィルム
JP6244084B2 (ja) 蒸着フィルム用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蒸着用ポリオレフィンフィル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