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8106A - 커넥터 및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커넥터 및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8106A
KR20230128106A KR1020237026360A KR20237026360A KR20230128106A KR 20230128106 A KR20230128106 A KR 20230128106A KR 1020237026360 A KR1020237026360 A KR 1020237026360A KR 20237026360 A KR20237026360 A KR 20237026360A KR 20230128106 A KR20230128106 A KR 202301281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or
contact
bottom wall
connector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6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겐타 야마자키
Original Assignee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28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810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91Coupling devices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or self alig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4Securing in base or case composed of a plurality of insulating parts having at least one resilient insulating 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개시에 따른 커넥터(10)는 한쌍의 제 1 측벽(21b)과 저벽(22)을 갖는 제 1 인슐레이터(20)와, 한쌍의 제 1 측벽(21b)과 저벽(22)에 의해 둘러싸여지는 공간에 제 2 인슐레이터(30)의 일부가 배치되고, 제 1 인슐레이터(20)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제 2 인슐레이터(30)와, 제 1 인슐레이터(20)의 제 1 측벽(21b) 및 제 2 인슐레이터(30)에 부착되고, 제 1 인슐레이터(20)와 제 2 인슐레이터(30)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부(53)를 갖는 콘택트(50)를 구비하고, 제 2 인슐레이터(30) 및 탄성부(53)는 비감합 상태로 제 1 인슐레이터(20)와 이간되고, 또한 저벽(22)과 대향한다.

Description

커넥터 및 전자 기기
본 출원은 2021년 2월 4일에 일본국에 특허출원된 특원 2021-016954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이 출원의 개시 전체를 여기에 참조를 위해서 도입한다.
본 개시는 커넥터 및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접속 대상물과의 접속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로서, 예를 들면, 감합 중 및 감합 후에 있어서도 커넥터의 일부인 가동 인슐레이터가 이동함으로써 접속 대상물과 커넥터 사이의 위치 어긋남을 흡수하는 플로팅 구조를 가진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는 단자를 고정 하우징 및 가동 하우징의 각각과 일체 성형으로 강고하게 유지한 상태로 커넥터의 높이 방향 치수를 작게 한 저배화를 확보하면서, 단자의 탄성부에서의 탄성 변형량을 크게 할 수 있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는 플로팅 구조를 갖는다.
일본 특허 제6727103호 공보
본 개시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는,
한쌍의 제 1 측벽과 저벽을 갖고,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 1 인슐레이터와,
상기 제 1 인슐레이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 2 인슐레이터로서, 상기 한쌍의 제 1 측벽과 상기 저벽에 의해 둘러싸여지는 공간에 상기 제 2 인슐레이터의 일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 1 인슐레이터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상기 제 2 인슐레이터와,
상기 제 1 인슐레이터의 상기 제 1 측벽 및 상기 제 2 인슐레이터에 부착되고, 상기 제 1 인슐레이터와 상기 제 2 인슐레이터 사이에 위치해서 상기 제 1 인슐레이터와 상기 제 2 인슐레이터를 접속하는 탄성부를 갖는 콘택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인슐레이터 및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제 2 인슐레이터와 접속 대상물이 감합되어 있지 않은 비감합 상태로 상기 제 1 인슐레이터와 이간되고, 또한 상기 저벽과 대향하고,
상기 탄성부에 있어서의 상기 저벽측의 단부는 상기 제 2 인슐레이터에 있어서의 상기 저벽측의 단부보다 상기 저벽측에 위치한다.
본 개시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기기는,
상기 커넥터를 구비한다.
도 1은 접속 대상물이 접속되어 있는 상태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를 상면시로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접속 대상물과 분리되어 있는 상태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를 상면시로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커넥터 단체를 상면시로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커넥터의 상면시에 의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V-V 화살선을 따른 단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V-V 화살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파선 포위부(VII)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3의 VIII-VIII 화살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3의 커넥터와 접속되는 접속 대상물을 상면시에 의해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접속 대상물의 상면시에 의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의 XI-XI 화살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플로팅 구조를 갖는 커넥터에 있어서, 커넥터와 접속 대상물이 서로 감합하는 감합 방향을 따른 가동 인슐레이터의 가동량을 충분히 얻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에서는 감합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 예를 들면, 회로 기판에 대해서 평행한 방향을 따른 가동 인슐레이터의 이동에 대해서 주로 착안되어 있다. 만일,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가동 인슐레이터가 감합 방향으로 이동하면, 콘택트 및 가동 인슐레이터 등의 커넥터의 구성부가 회로 기판에 접촉할 가능성이 있다. 이것에 의해, 콘택트에 있어서 변형 및 파손 등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문제에 의해, 커넥터의 플로팅 구조에 기인하는 가동 특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추가해서, 콘택트가 회로 기판에 접촉할 때에 단락 등의 전기적인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본 개시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 및 전자 기기에 의하면, 가동 인슐레이터의 감합 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면서, 플로팅 구조에 기인하는 가동 특성의 저하 및 회로 기판에 있어서의 전기적인 문제를 억제 가능하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개시의 일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 중의 전후, 좌우 및 상하의 방향은 도면 중의 화살표의 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각 화살표의 방향은 도 1 내지 도 8 및 도 11에 있어서, 다른 도면끼리 서로 정합되어 있다. 각 화살표의 방향은 도 9 및 도 10끼리 서로 정합되어 있다. 도면에 따라서는 간편한 도시를 목적으로 해서, 후술하는 회로 기판(CB1 및 CB2)의 도시를 생략한다.
도 1은 접속 대상물(60)이 접속되어 있는 상태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10)를 상면시로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접속 대상물(60)과 분리되어 있는 상태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10)를 상면시로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다.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10)는 고정 인슐레이터로서의 제 1 인슐레이터(20)와, 가동 인슐레이터로서의 제 2 인슐레이터(30)와, 금구(40)와, 콘택트(50)를 갖는다. 접속 대상물(60)은 인슐레이터(70)와, 금구(80)와, 콘택트(90)를 갖는다.
이하에서는, 예를 들면, 일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10)는 플러그 커넥터인 것으로서 설명한다. 접속 대상물(60)은 리셉터클 커넥터인 것으로서 설명한다. 커넥터(10)와 접속 대상물(60)이 서로 감합하는 감합 상태에서, 콘택트(50)에 있어서 콘택트(90)와 접촉하는 부분이 탄성 변형되지 않는 커넥터(10)를 플러그 커넥터로서 설명한다. 한편, 감합 상태에서, 콘택트(90)에 있어서 콘택트(50)와 접촉하는 부분이 탄성 변형되는 접속 대상물(60)을 리셉터클 커넥터로서 설명한다. 커넥터(10) 및 접속 대상물(60)의 종류는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커넥터(10)가 리셉터클 커넥터의 역활을 하고, 접속 대상물(60)이 플러그 커넥터의 역활을 해도 좋다.
이하에서는, 커넥터(10) 및 접속 대상물(60)은 회로 기판(CB1 및 CB2)에 각각 실장되는 것으로서 설명한다. 커넥터(10)는 커넥터(10)와 감합한 접속 대상물(60)을 통해 접속 대상물(60)이 실장되어 있는 회로 기판(CB2)과 회로 기판(CB1)을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회로 기판(CB1 및 CB2)은 리지드 기판이어도 좋고, 또는 그 이외의 임의의 회로 기판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회로 기판(CB1 및 CB2) 중 적어도 한쪽은 플렉시블 프린트 회로 기판(FPC)이어도 좋다.
이하에서는, 커넥터(10) 및 접속 대상물(60)은 회로 기판(CB1 및 CB2)에 대해서 수직 방향으로 서로 접속되는 것으로서 설명한다. 커넥터(10) 및 접속 대상물(60)은 일례로서 상하 방향을 따라 서로 접속된다. 접속 방법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커넥터(10) 및 접속 대상물(60)은 회로 기판(CB1 및 CB2)에 대해서 평행 방향으로 서로 접속되어도 좋다. 커넥터(10) 및 접속 대상물(60)은 실장되어 있는 회로 기판에 대해서 한쪽이 수직 방향이 되도록, 또한 실장되어 있는 회로 기판에 대해서 다른쪽이 평행 방향이 되도록 서로 접속되어도 좋다.
이하의 설명 중에서 사용하는 「감합 방향」은 일례로서 상하 방향을 의미한다. 「커넥터(10)의 폭 방향」은 일례로서 전후 방향을 의미한다. 「커넥터(10)의 길이 방향」은 일례로서 좌우 방향을 의미한다. 「제 1 인슐레이터(20)의 길이 방향」은 일례로서 좌우 방향을 의미한다. 「저벽(22)측」은 일례로서 하측을 의미한다. 「제 2 인슐레이터(30)와 반대측」은 일례로서 하측을 의미한다. 「비감합 상태」는 제 2 인슐레이터(30)와 접속 대상물(60)이 서로 감합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서, 콘택트(50)의 후술하는 탄성부(53)가 외력에 의해 탄성 변형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의미한다.
일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10)는 플로팅 구조를 갖고 있다. 커넥터(10)는 접속되어 있는 접속 대상물(60)이 회로 기판(CB1)에 대해서 상하 전후 좌우 방향의 6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접속 대상물(60)은 커넥터(10)와 접속되어 있는 상태여도, 회로 기판(CB1)에 대해서 상하 전후 좌우 방향의 6방향으로 소정의 범위 내에서 움직일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커넥터(10) 단체를 상면시로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커넥터(10)의 상면시에 의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V-V 화살선을 따른 단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V-V 화살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파선 포위부(VII)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3의 VIII-VIII 화살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10)는 일례로서 이하의 방법으로 조립된다. 제 1 인슐레이터(20)의 내측에 제 2 인슐레이터(30)를 배치한 상태에서, 제 1 인슐레이터(20)에 대해서 상방으로부터 금구(40)를 압입한다. 마찬가지로, 제 1 인슐레이터(20) 및 제 2 인슐레이터(30)에 대해서 상방으로부터 콘택트(50)를 압입한다.
이하에서는, 비감합 상태에 있어서의 커넥터(10)의 각 부품의 구성에 대해서 주로 설명한다. 도 4를 주로 참조하면서, 제 1 인슐레이터(20)의 구성에 대해서 주로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인슐레이터(20)는 절연성이며 또한 내열성의 합성수지재료를 사출 성형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재이다. 제 1 인슐레이터(20)는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인슐레이터(20)는 전후 좌우의 4개의 측벽을 포함하고, 내부의 공간을 위요하는 외주벽(21)을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외주벽(21)은 좌우 양측의 한쌍의 폭벽(21a)과 전후 양측의 한쌍의 길이벽(21b)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한쌍의 폭벽(21a)은 한쌍의 길이벽(21b)과 직교하고 길이벽(21b)과 함께 외주벽(21)을 구성한다. 길이벽(21b)은 그 전후 방향의 내면을 구성하고,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해서 제 1 인슐레이터(20)의 내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21b1)을 갖는다.
제 1 인슐레이터(20)는 그 주연부로부터 상방을 향해서 외주벽(21)이 돌출하는 저벽(22)을 갖는다. 저벽(22)은 한쌍의 길이벽(21b)을 연결하도록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다. 저벽(22)은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저벽(22)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산형상으로 융기하는 접촉부(22a)를 갖는다. 접촉부(22a)의 상면은 접촉면을 구성한다. 저벽(22)은 길이벽(21b) 및 접촉부(22a)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22b)를 갖는다. 오목부(22b)의 저면은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다. 저벽(22)은 접촉부(22a)의 상면과 동 면을 이루고, 저벽(22)의 좌우 양단부의 상면을 구성하는 저면(22c)을 갖는다. 제 1 인슐레이터(20)는 외주벽(21) 및 저벽(22)에 의해 위요되는 내부의 공간을 포함하는 가동공간(23)을 갖는다.
제 1 인슐레이터(20)는 길이벽(21b)의 전후 방향의 외측에서 상하 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콘택트 부착홈(24)을 갖는다. 복수의 콘택트 부착홈(24)은 좌우 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간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인슐레이터(20)는 좌우 방향의 양단부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이간되는 한쌍의 길이벽(21b)의 외면 전체에 걸쳐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금구 부착홈(25)을 갖는다.
도 4 및 도 8을 주로 참조하면서, 제 2 인슐레이터(3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2 인슐레이터(30)는 제 1 인슐레이터(20)의 가동공간(23)에 배치되고, 제 1 인슐레이터(20)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다. 제 2 인슐레이터(30)는 접속 대상물(60)과 감합한다.
도 4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인슐레이터(30)는 절연성이며 또한 내열성의 합성수지재료를 사출 성형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재이다. 제 2 인슐레이터(30)는 전방으로부터의 정면시에 있어서 철(凸)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인슐레이터(30)는 하부를 구성하는 저부(31)와, 저부(31)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고, 접속 대상물(60)과 감합하는 감합 볼록부(32)를 갖는다. 저부(31)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감합 볼록부(32)보다 길다. 도 5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부(31)는 테이퍼면(31a)을 갖고, 상하 방향을 따라 저벽(22)측을 향할수록 끝이 가늘어지게 된다. 저부(31)는 그 좌우 양단부를 구성하는 빠짐방지 돌기(33)를 갖는다. 빠짐방지 돌기(33)는 저부(31)에 있어서의 제 1 인슐레이터(20)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빠짐방지 돌기(33)에 있어서의 저벽(22)측의 저면은 저부(31)에 있어서 접촉부(22a)와 대향하는 부분과 동 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면(33a)을 포함한다. 빠짐방지 돌기(33)에 있어서의 저벽(22)측의 저면은 제 1 면(33a)으로부터 저벽(22)과 반대측을 향해서 경사지는 경사면(33b)을 포함한다. 빠짐방지 돌기(33)에 있어서의 저벽(22)측의 저면은 경사면(33b)과 연속해서 제 1 면(33a)과 대략 평행하게 되는 제 2 면(33c)을 포함한다.
제 2 인슐레이터(30)는 감합 볼록부(32)의 하단부에 있어서 감합 볼록부(32)의 좌우폭을 줄이는 협착부(34)를 갖는다. 협착부(34)는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해서 비스듬히 내측으로 경사지는 테이퍼면(34a)과, 테이퍼면(34a)의 하측에서 테이퍼면(34a)과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는 대향면(34b)을 갖는다. 협착부(34)는 테이퍼면(34a), 대향면(34b) 및 빠짐방지 돌기(33)의 상면에 의해 둘러싸여지는 여유 공간(34c)을 갖는다.
제 2 인슐레이터(30)는 감합 볼록부(32)의 좌우 양단부의 상연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유입(誘入)부(35)를 갖는다. 유입부(35)는 감합 볼록부(32)의 좌우 양단부의 상연에 있어서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해서 비스듬히 외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을 포함한다.
제 2 인슐레이터(30)는 좌우 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간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콘택트 부착홈(36)을 갖는다. 콘택트 부착홈(36)은 감합 볼록부(32)의 전후 방향의 외면에 있어서 상하 방향의 대략 전체에 걸쳐 연장된다. 콘택트 부착홈(36)은 감합 볼록부(32)의 상단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제 1 록킹부(36a)를 갖는다. 콘택트 부착홈(36)은 그 하단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제 2 록킹부(36b)를 갖는다.
도 4를 주로 참조하면서, 금구(4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금구(40)는 임의의 금속재료의 박판을 순송금형(스탬핑)을 사용해서 도 4에 나타내는 형상으로 성형 가공한 것이다. 금구(40)의 가공 방법은 블랭킹 가공을 행한 후에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시키는 공정을 포함한다. 금구(40)는 좌우 방향으로부터의 정면시에 있어서, U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금구(40)는 그 전후 양측의 하단부에 있어서, L자상으로 외측으로 연장되는 실장부(41)를 갖는다. 금구(40)는 실장부(41)의 상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록킹부(42)를 갖는다. 금구(40)는 전후 양측의 록킹부(42)를 연결하도록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빠짐방지부(43)를 갖는다. 금구(40)는 빠짐방지부(43)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 있어서 좌우 방향의 내연부로부터 내측으로 한층 돌출되는 돌출부(44)를 갖는다. 돌출부(44)는 빠짐방지부(43)의 좌우 방향의 내연부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4 내지 도 7을 주로 참조하면서, 콘택트(5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콘택트(50)는 예를 들면, 인청동, 베릴륨동, 또는 티타늄동을 포함하는 스프링 탄성을 구비한 동합금 또는 콜슨계 동합금의 박판을 순송금형(스탬핑)을 사용해서 도 4 내지 도 7에 나타내는 형상으로 성형 가공한 것이다. 콘택트(50)는 블랭킹 가공을 행한 후에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시켜서 형성된다. 콘택트(50)의 가공 방법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블랭킹 가공의 공정만을 포함해도 좋다. 콘택트(50)는 탄성 변형에 따른 형상변화가 커지도록 예를 들면, 탄성계수가 작은 금속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콘택트(50)의 표면에는 니켈 도금으로 하지를 형성한 후에, 금 또는 주석 등에 의한 도금이 실시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택트(50)는 좌우 방향을 따라 복수 배열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택트(50)는 제 1 인슐레이터(20) 및 제 2 인슐레이터(30)에 부착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일한 좌우 위치에 배열되는 한쌍의 콘택트(50)는 전후 방향을 따라 서로 대칭적으로 형성 및 배치되어 있다. 한쌍의 콘택트(50)는 그 사이의 중심을 지나는 상하 축에 대해서 서로 선대칭이 되도록 형성 및 배치되어 있다.
콘택트(50)는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제 1 인슐레이터(20)에 의해 지지되는 제 1 록킹부(51)를 갖는다. 콘택트(50)는 제 1 록킹부(51)의 하단부로부터 L자상으로 외측으로 연장되는 실장부(52)를 갖는다. 콘택트(50)는 제 1 인슐레이터(20)와 제 2 인슐레이터(30)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부(53)를 갖는다.
탄성부(53)는 제 1 록킹부(51)의 상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직선적으로 연장되는 제 1 연장부(53a)를 갖는다. 탄성부(53)는 제 1 연장부(53a)로부터 역U자상으로 리턴하는 제 1 리턴부(53b)를 갖는다. 탄성부(53)는 제 1 리턴부(53b)로부터 제 2 인슐레이터(30)측을 향해서 비스듬히 하방으로 직선적으로 연장되는 제 2 연장부(53c)를 갖는다. 탄성부(53)는 제 2 연장부(53c)로부터 U자상으로 리턴하는 제 2 리턴부(53d)를 갖는다. 탄성부(53)는 제 2 리턴부(53d)로부터 후술하는 제 2 록킹부(54a)까지 상방으로 직선적으로 연장되는 제 3 연장부(53e)를 갖는다. 도 6 등에서는 제 1 리턴부(53b)를 상하 반전시킨 형상과 제 2 리턴부(53d)의 형상과는 서로 동일하지 않고, 다른 U자상으로 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리턴부(53b)를 상하 반전시킨 형상과 제 2 리턴부(53d)의 형상은 서로 동일한 U자상이어도 좋다.
콘택트(50)는 상하 방향을 따라 역U자상으로 연장되고, 제 2 인슐레이터(30)에 의해 지지되는 피지지부(54)를 갖는다. 피지지부(54)는 탄성부(53)의 제 3 연장부(53e)의 상단부로부터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는 제 2 록킹부(54a)를 갖는다. 피지지부(54)는 제 2 록킹부(54a)로부터 상방으로 직선적으로 연장되는 제 4 연장부(54b)를 갖는다. 피지지부(54)는 제 4 연장부(54b)로부터 역U자상으로 리턴하는 제 3 리턴부(54c)를 갖는다. 피지지부(54)는 제 3 리턴부(54c)와 연속해서 형성되고, 콘택트(50)에 있어서의 제 2 인슐레이터(30)측의 선단에 위치하는 제 3 록킹부(54d)를 갖는다. 콘택트(50)는 제 4 연장부(54b)의 전후 방향의 외면으로서 구성되는 접촉부(55)를 갖는다.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택트(50)의 제 1 록킹부(51)는 제 1 인슐레이터(20)의 길이벽(21b)에 형성되어 있는 콘택트 부착홈(24)에 록킹한다. 콘택트(50)의 제 2 록킹부(54a)는 제 2 인슐레이터(30)의 감합 볼록부(32)에 형성되어 있는 콘택트 부착홈(36)의 제 2 록킹부(36b)에 록킹한다. 콘택트(50)의 제 3 록킹부(54d)는 제 2 인슐레이터(30)의 감합 볼록부(32)에 형성되어 있는 콘택트 부착홈(36)의 제 1 록킹부(36a)에 록킹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택트(50)의 접촉부(55)는 제 2 인슐레이터(30)의 콘택트 부착홈(36)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노출된다.
도 5 내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택트(50)는 제 1 인슐레이터(20)의 내측에서, 제 2 인슐레이터(30)가 제 1 인슐레이터(20)와 이간되고, 또한 뜬 상태에서 제 2 인슐레이터(30)를 지지하고 있다.
제 2 인슐레이터(30)는 제 1 인슐레이터(20)의 내측에 제 1 인슐레이터(20)와 이간되어 배치되어 있다. 제 2 인슐레이터(30)는 제 1 인슐레이터(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제 2 인슐레이터(30)의 일부는 한쌍의 길이벽(21b)과 저벽(22)에 의해 둘러싸여지는 공간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 제 2 인슐레이터(30)는 제 1 인슐레이터(20)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다.
제 2 인슐레이터(30)가 제 1 인슐레이터(20)에 대해서 콘택트(50)에 의해 유지되면, 제 2 인슐레이터(30)의 저부(31)는 제 1 인슐레이터(20)의 가동공간(23)에 배치된다. 제 2 인슐레이터(30)의 저부(31)는 제 1 인슐레이터(20)의 외주벽(21)에 의해 위요된다. 이 때, 저부(31)는 제 1 인슐레이터(20)의 접촉부(22a)와 대향한다. 오목부(22b)는 접촉부(22a)에 있어서 제 2 인슐레이터(30)와 대향하는 접촉면보다 제 2 인슐레이터(30)와 반대측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제 2 인슐레이터(30)의 감합 볼록부(32)는 제 1 인슐레이터(20)의 가동공간(23)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해서 접속 대상물(60)과의 감합이 가능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택트(50)의 탄성부(53)는 제 1 인슐레이터(20)와 제 2 인슐레이터(30) 사이에 위치해서 제 1 인슐레이터(20)와 제 2 인슐레이터(30)를 접속한다. 탄성부(53)는 콘택트(50)가 제 1 인슐레이터(20)의 길이벽(21b) 및 제 2 인슐레이터(30)의 감합 볼록부(32)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 1 인슐레이터(20) 및 제 2 인슐레이터(30)로부터 노출된다. 이 때, 탄성부(53)의 하부는 제 1 인슐레이터(20)의 가동공간(23) 내에 위치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인슐레이터(30) 및 콘택트(50)의 탄성부(53)는 비감합 상태로 제 1 인슐레이터(20)의 저벽(22)과 감합 방향으로 이간되어 대향한다. 예를 들면, 제 2 인슐레이터(30)의 저부(31)의 하면은 저벽(22)의 접촉부(22a)의 상면과 대향한다. 예를 들면, 탄성부(53)의 제 2 리턴부(53d)의 하단은 저벽(22)의 오목부(22b)의 저면과 대향한다. 저벽(22)의 접촉부(22a)는 제 2 인슐레이터(30)와 대향하고, 또한 탄성부(53)와 대향하는 부분으로부터 제 2 인슐레이터(30)측으로 융기한다. 오목부(22b)를 포함하는 저벽(22)은 커넥터(10)가 실장되는 회로 기판(CB1)과 콘택트(50)의 탄성부(53) 사이에 배치된다.
탄성부(53)에 있어서의 저벽(22)측의 단부는 제 2 인슐레이터(30)에 있어서의 저벽(22)측의 단부보다 저벽(22)측에 위치한다. 제 2 리턴부(53d)의 하단은 제 2 인슐레이터(30)의 저부(31)의 하면보다 저벽(22)측에 위치한다. 제 2 인슐레이터(30)의 저부(31)의 하면 및 제 2 리턴부(53d)의 하단은 제 1 인슐레이터(20)의 가동공간(23) 내에 위치한다. 제 2 인슐레이터(30)의 저부(31)의 하면 및 제 2 리턴부(53d)의 하단과 저벽(22) 사이에는 탄성부(53)가 탄성 변형해서 제 2 인슐레이터(30)가 저벽(22)측으로 내려가는 것이 가능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오목부(22b)의 깊이(h2)는 제 2 인슐레이터(30)에 있어서의 저벽(22)측의 단부와 탄성부(53)에 있어서의 저벽(22)측의 단부 사이의 감합 방향의 간격(h1)보다 커도 좋다. 오목부(22b)의 깊이(h2)는 제 2 인슐레이터(30)의 저부(31)의 하면과 제 2 리턴부(53d)의 하단 사이의 상하 간격(h1)보다 커도 좋다. 오목부(22b)의 깊이(h2)는 접촉부(22a)의 상면으로부터 오목부(22b)의 저면까지의 상하 간격에 상당한다.
길이벽(21b)의 경사면(21b1)은 콘택트(50)의 제 2 연장부(53c)와 대향하도록 비스듬히 하방으로 경사진다. 예를 들면, 경사면(21b1)은 제 2 연장부(53c)와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경사진다. 마찬가지로, 제 2 인슐레이터(30)의 저부(31)에 있어서 저벽(22)을 향해서 끝이 가늘어지게 되어 있는 부분의 전후 방향의 테이퍼면(31a)은 제 2 연장부(53c)와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경사진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구(40)의 록킹부(42)는 제 1 인슐레이터(20)의 금구 부착홈(25)에 록킹한다. 금구(40)는 제 1 인슐레이터(20)의 금구 부착홈(25)에 압입되고, 제 1 인슐레이터(20)의 좌우 양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금구(40)의 빠짐방지부(43)는 금구(40)가 제 1 인슐레이터(20)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가동공간(23)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단부를 상방으로부터 덮는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인슐레이터(30)가 제 1 인슐레이터(20)에 대해서 콘택트(50)에 의해 유지되면, 제 2 인슐레이터(30)의 저부(31)의 빠짐방지 돌기(33)의 상면은 빠짐방지부(43)의 하면과 상하 방향으로 대향한다. 제 2 인슐레이터(30)의 협착부(34)의 대향면(34b)은 금구(40)의 돌출부(44)와 좌우 방향으로 대향한다.
이 때, 빠짐방지 돌기(33)는 제 1 인슐레이터(20)의 저벽(22)에 있어서 접촉부(22a)와 동 면에 형성되어 있는 저면(22c)과 대향한다. 예를 들면, 빠짐방지 돌기(33)의 하면은 제 1 인슐레이터(20)의 저면(22c)과 상하 방향으로 대향한다. 마찬가지로, 빠짐방지 돌기(33)는 한쌍의 길이벽(21b) 및 폭벽(21a)과 대향한다. 예를 들면, 빠짐방지 돌기(33)의 전후 방향의 양측면은 제 1 인슐레이터(20)의 한쌍의 길이벽(21b)과 전후 방향으로 대향한다. 예를 들면, 빠짐방지 돌기(33)의 좌우 방향의 측면은 제 1 인슐레이터(20)의 폭벽(21a)과 좌우 방향으로 대향한다.
이상과 같은 구조의 커넥터(10)는 예를 들면, 회로 기판(CB1)의 실장면에 형성된 회로 형성면에 실장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금구(40)의 실장부(41)는 회로 기판(CB1) 상의 패턴에 도포한 땜납 페이스트에 적재된다. 콘택트(50)의 실장부(52)는 회로 기판(CB1) 상의 패턴에 도포한 땜납 페이스트에 적재된다. 리플로우로 등에 있어서 각 땜납 페이스트를 가열 용융함으로써, 실장부(41) 및 실장부(52)는 상기 패턴에 납땜된다. 그 결과, 커넥터(10)의 회로 기판(CB1)으로의 실장이 완료된다. 회로 기판(CB1)의 회로 형성면에는 예를 들면, CPU(Central Processing Unit), 컨트롤러, 또는 메모리 등의 커넥터(10)와는 다른 전자부품이 실장된다.
접속 대상물(60)의 구조에 대해서 주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9는 도 3의 커넥터(10)와 접속되는 접속 대상물(60)을 상면시에 의해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접속 대상물(60)의 상면시에 의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 대상물(60)은 큰 구성요소로서, 인슐레이터(70)와, 금구(80)과, 콘택트(90)를 갖는다. 접속 대상물(60)은 인슐레이터(70)에 대해서, 하방으로부터 금구(80) 및 콘택트(90)를 압입함으로써 조립된다.
인슐레이터(70)는 절연성이며 또한 내열성의 합성수지재료를 사출 성형한 사각기둥형상의 부재이다. 인슐레이터(70)는 상면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 직선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감합 오목부(71)를 갖는다. 인슐레이터(70)는 감합 오목부(71)의 좌우 양단부에 있어서 그 상연부에 형성되어 있는 유입부(72)를 갖는다. 유입부(72)는 감합 오목부(71)의 상연부에 있어서 하방을 향해서 비스듬히 내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에 의해 구성된다. 인슐레이터(70)는 좌우 양측의 저면으로부터 상방을 향해서 인슐레이터(70)의 내부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금구 부착홈(73)을 갖는다.
인슐레이터(70)는 저부의 전후 양측과, 감합 오목부(71)의 전면 및 후면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콘택트 부착홈(74)을 갖는다. 복수의 콘택트 부착홈(74)은 좌우 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간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금구(80)는 임의의 금속재료의 박판을 순송금형(스탬핑)을 사용해서 도 10에 나타내는 형상으로 성형 가공한 것이다. 금구(80)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정면시로 H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금구(80)는 그 하단부에 있어서, U자상으로 외측으로 연장되는 실장부(81)를 갖는다. 금구(80)는 실장부(81)와 상방으로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는 록킹부(82)를 갖는다.
콘택트(90)는 예를 들면, 인청동, 베릴륨동, 또는 티타늄동을 포함하는 스프링 탄성을 구비한 동합금 또는 콜슨계 동합금의 박판을 순송금형(스탬핑)을 사용해서 도 10에 나타내는 형상으로 성형 가공한 것이다. 콘택트(90)의 표면에는 니켈 도금으로 하지를 형성한 후에, 금 또는 주석 등에 의한 도금이 실시되어 있다.
콘택트(90)는 좌우 방향을 따라 복수 배열되어 있다. 콘택트(90)는 외측으로 연장되는 실장부(91)를 갖는다. 콘택트(90)는 실장부(91)와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는 제 1 록킹부(92)를 갖는다. 콘택트(90)는 제 1 록킹부(92)로부터 상방을 향해서 서로 분기되도록 연장되는 제 2 록킹부(93) 및 탄성 접촉부(94)를 갖는다. 제 2 록킹부(93)는 제 1 록킹부(92)로부터 상방을 향해서 직선상으로 연장된다. 탄성 접촉부(94)는 전후 방향의 내측으로 굴곡하면서 제 1 록킹부(92)로부터 상방을 향해서 연장된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구(80)는 인슐레이터(70)의 금구 부착홈(73)에 부착된다. 예를 들면, 금구(80)의 록킹부(82)는 인슐레이터(70)의 금구 부착홈(73)에 록킹한다. 금구(80)는 인슐레이터(70)의 좌우 양단부의 각각에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콘택트(90)는 인슐레이터(70)의 복수의 콘택트 부착홈(74)에 각각 부착되어 있다. 예를 들면, 콘택트(90)의 제 1 록킹부(92) 및 제 2 록킹부(93)는 인슐레이터(70)의 콘택트 부착홈(74)에 록킹한다. 이 때, 콘택트(90)의 탄성 접촉부(94)의 선단은 인슐레이터(70)의 콘택트 부착홈(74)으로부터 감합 오목부(71)의 내부에 노출된다. 탄성 접촉부(94)는 콘택트 부착홈(74)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구조의 접속 대상물(60)에서는 예를 들면, 회로 기판(CB2)의 실장면에 형성된 회로 형성면에 실장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금구(80)의 실장부(81)는 회로 기판(CB2) 상의 패턴에 도포한 땜납 페이스트에 적재된다. 콘택트(90)의 실장부(91)는 회로 기판(CB2) 상의 패턴에 도포한 땜납 페이스트에 적재된다. 리플로우로 등에 있어서 각 땜납 페이스트를 가열 용융함으로써, 실장부(81) 및 실장부(91)는 상기 패턴에 납땜된다. 그 결과, 접속 대상물(60)의 회로 기판(CB2)에의 실장이 완료된다. 회로 기판(CB2)의 회로 형성면에는 예를 들면, 카메라 모듈 및 센서 등을 포함하는 접속 대상물(60)과는 다른 전자부품이 실장된다.
도 11은 도 1의 XI-XI 화살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을 주로 참조하면서, 플로팅 구조를 갖는 커넥터(10)의 동작에 대해서 주로 설명한다.
콘택트(50)의 실장부(52)가 회로 기판(CB1)에 대해서 납땜됨으로써, 제 1 인슐레이터(20)는 회로 기판(CB1)에 대해서 고정된다. 제 2 인슐레이터(30)는 콘택트(50)의 탄성부(53)가 탄성 변형됨으로써, 회로 기판(CB1)에 고정된 제 1 인슐레이터(20)에 대해서 이동 가능하게 된다.
도 4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인슐레이터(20)의 길이벽(21b)은 제 1 인슐레이터(20)에 대한 제 2 인슐레이터(30)의 전후 방향으로의 과잉의 이동을 규제한다. 예를 들면, 제 2 인슐레이터(30)가 콘택트(50)의 탄성부(53)의 탄성 변형에 따라 설계값을 초과해서 크게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 2 인슐레이터(30)의 빠짐방지 돌기(33)가 길이벽(21b)에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제 2 인슐레이터(30)는 전후 방향의 외측으로 더 이상 이동하지 않는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인슐레이터(20)의 폭벽(21a) 및 금구(40)의 돌출부(44)는 제 1 인슐레이터(20)에 대한 제 2 인슐레이터(30)의 좌우 방향으로의 과잉의 이동을 규제한다. 예를 들면, 제 2 인슐레이터(30)가 콘택트(50)의 탄성부(53)의 탄성 변형에 따라 설계값을 초과해서 크게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 2 인슐레이터(30)의 빠짐방지 돌기(33)가 폭벽(21a)에 접촉한다. 또는 제 2 인슐레이터(30)의 대향면(34b)이 돌출부(44)에 접촉한다. 이 때, 금구(40)의 빠짐방지부(43)의 일부 및 돌출부(44)는 제 2 인슐레이터(30)의 여유 공간(34c)에 수용된다. 이상에 의해, 제 2 인슐레이터(30)는 좌우 방향의 외측으로 더 이상 이동하지 않는다.
도 7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인슐레이터(30)의 저부(31)의 하면은 제 1 인슐레이터(20)에 대한 제 2 인슐레이터(30)의 하방향으로의 과잉의 이동을 규제한다. 예를 들면, 제 2 인슐레이터(30)가 콘택트(50)의 탄성부(53)의 탄성 변형에 따라 설계값을 초과해서 크게 하방향으로 이동하면, 제 2 인슐레이터(30)의 저부(31)의 하면이 저벽(22)의 접촉부(22a)의 상면에 접촉한다. 마찬가지로, 빠짐방지 돌기(33)의 제 1 면(33a)이 저벽(22)의 접촉부(22a)의 상면과 동 면에 형성되어 있는 저면(22c)에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제 2 인슐레이터(30)는 하방향으로 더 이상 이동하지 않는다. 이 때,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22b)의 깊이(h2)가 상하 간격(h1)보다 크면, 콘택트(50)의 제 2 리턴부(53d)는 제 1 인슐레이터(20)의 오목부(22b)의 저면에 접촉하지 않는다. 콘택트(50)의 탄성부(53)의 탄성 변형에 따라 제 2 인슐레이터(30)가 하방으로 이동하는 양은 탄성부(53)가 하방으로 이동하는 양과 다른 것이 통상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구(40)의 빠짐방지부(43)는 제 1 인슐레이터(20)에 대한 제 2 인슐레이터(30)의 상방으로의 빠짐을 억제한다. 금구(40)의 빠짐방지부(43)는 제 1 인슐레이터(20)에 대한 제 2 인슐레이터(30)의 상방으로의 과잉의 이동을 규제한다. 예를 들면, 제 2 인슐레이터(30)가 콘택트(50)의 탄성부(53)의 탄성 변형에 따라 설계값을 초과해서 크게 상방향으로 이동하면, 제 2 인슐레이터(30)의 빠짐방지 돌기(33)가 빠짐방지부(43)에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제 2 인슐레이터(30)는 상방으로 더 이상 이동하지 않는다. 커넥터(10)는 금구(40)와 같은 강도가 높은 부재에 의해 제 2 인슐레이터(30)의 상방향으로의 과잉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플로팅 구조를 갖는 커넥터(10)에 대해서 접속 대상물(60)의 상하 방향의 방향을 반대로 한 상태에서, 커넥터(10) 및 접속 대상물(60)의 전후 위치 및 좌우 위치를 대략 일치시키면서, 서로를 상하 방향으로 대향시킨다. 그 후, 접속 대상물(60)을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이 때, 서로의 위치가 예를 들면, 전후 좌우 방향으로 다소 어긋나 있어도, 커넥터(10)의 유입부(35)와 접속 대상물(60)의 유입부(72)가 접촉한다.
그 결과, 커넥터(10)의 플로팅 구조에 의해 제 2 인슐레이터(30)가 제 1 인슐레이터(20)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2 인슐레이터(30)의 감합 볼록부(32)가 인슐레이터(70)의 감합 오목부(71)에 유입된다. 접속 대상물(60)을 하방으로 더 이동시키면, 제 2 인슐레이터(30)의 감합 볼록부(32)와 인슐레이터(70)의 감합 오목부(71)가 서로 감합한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10)의 제 2 인슐레이터(30)와 접속 대상물(60)의 인슐레이터(70)가 감합한 감합 상태에서, 커넥터(10)의 콘택트(50)와 접속 대상물(60)의 콘택트(90)가 서로 접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콘택트(50)의 접촉부(55)와 콘택트(90)의 탄성 접촉부(94)가 서로 접촉한다. 이 때, 콘택트(90)의 탄성 접촉부(94)의 선단은 전후 방향의 외측을 향해서 약간 탄성 변형되고, 콘택트 부착홈(74)의 내부를 향해서 탄성 변위된다.
이상에 의해, 커넥터(10)와 접속 대상물(60)은 완전히 접속된다. 이 때, 콘택트(50) 및 콘택트(90)를 통해 회로 기판(CB1)과 회로 기판(CB2)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 상태에서, 콘택트(90)의 한쌍의 탄성 접촉부(94)는 커넥터(10)의 한쌍의 콘택트(50)를 전후 방향을 따른 내측으로의 탄성력에 의해 전후 양측으로부터 협지한다. 이것에 의해 생기는 커넥터(10)의 콘택트(50)로의 압압력에 의해, 접속 대상물(60)을 커넥터(10)로부터 발거(拔去)할 경우, 제 2 인슐레이터(30)는 콘택트(50)를 통해 발거 방향, 즉 상방향으로의 힘을 받는다. 이것에 의해, 만일 제 2 인슐레이터(30)가 상방으로 이동했다고 해도, 제 1 인슐레이터(20)에 압입된 금구(40)의 빠짐방지부(43)가 제 2 인슐레이터(30)의 상방으로의 빠짐을 억제한다.
이상과 같은 일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10)는 가동 인슐레이터로서의 제 2 인슐레이터(30)의 감합 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한다. 예를 들면, 제 2 인슐레이터(30)가 제 1 인슐레이터(20)의 내측에 제 1 인슐레이터(20)와 이간해서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제 1 인슐레이터(20)에 대해서 전후 좌우 방향으로 추가해서 감합 방향으로도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 2 인슐레이터(30) 및 콘택트(50)의 탄성부(53)는 비감합 상태로 제 1 인슐레이터(20)의 저벽(22)과 이간된다. 이것에 의해, 제 2 인슐레이터(30)는 탄성부(53)의 저벽(22)측으로의 탄성 변형에 따라 저벽(22)측으로도 이동 가능하다.
추가해서, 제 1 인슐레이터(20)의 저벽(22)은 비감합 상태로 제 2 인슐레이터(30) 및 탄성부(53)와 대향한다. 오목부(22b)를 포함하는 저벽(22)은 커넥터(10)가 실장되는 회로 기판(CB1)과 탄성부(53) 사이에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제 2 인슐레이터(30)가 저벽(22)측으로 이동하고, 또한 회로 기판(CB1)이 감합 방향에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경우이어도, 커넥터(10)는 그 구성부와 회로 기판(CB1)의 접촉을 억제 가능하다. 제 2 인슐레이터(30) 및 탄성부(53)와 회로 기판(CB1) 사이에 저벽(22)이 개재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제 2 인슐레이터(30)가 저벽(22)측으로 크게 이동했다고 해도, 커넥터(10)는 제 2 인슐레이터(30) 및 탄성부(53)를 포함하는 커넥터(10)의 구성부와 회로 기판(CB1)의 접촉을 억제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콘택트(50)에 있어서 변형 및 파손 등의 문제가 억제된다. 그 결과로서, 커넥터(10)는 플로팅 구조에 기인하는 가동 특성의 저하를 억제 가능하다. 추가해서, 커넥터(10)는 콘택트(50)가 회로 기판(CB1)에 접촉할 때의 단락 등의 전기적인 문제를 억제 가능하다.
콘택트(50)의 탄성부(53)에 있어서의 저벽(22)측의 단부가 제 2 인슐레이터(30)에 있어서의 저벽(22)측의 단부보다 저벽(22)측에 위치함으로써, 제 2 연장부(53c)를 보다 길게 연신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탄성부(53) 전체를 보다 길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제 2 인슐레이터(30)가 저벽(22)에 평행한 방향, 즉 전후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때의 가동량이 증대한다. 따라서, 커넥터(10)는 제 2 인슐레이터(30)의 원활한 이동을 실현해서 양호한 플로팅 구조를 제공 가능하다.
저벽(22)이 제 2 인슐레이터(30)와 대향하는 접촉부(22a)를 가짐으로써, 커넥터(10)는 제 1 인슐레이터(20)에 대한 제 2 인슐레이터(30)의 저벽(22)측으로의 과잉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빠짐방지 돌기(33)가 제 1 인슐레이터(20)의 저벽(22)에 있어서 접촉부(22a)와 동 면에 형성되어 있는 저면(22c)과 대향함으로써, 커넥터(10)는 제 1 인슐레이터(20)에 대한 제 2 인슐레이터(30)의 저벽(22)측으로의 과잉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이상에 의해, 커넥터(10)는 콘택트(50)의 탄성부(53)의 과잉의 탄성 변형에 의해 콘택트(50)가 저벽(22)에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콘택트(50)의 파손 등의 문제가 억제된다.
저벽(22)이 콘택트(50)의 탄성부(53)와 대향하는 오목부(22b)를 가짐으로써, 제 1 인슐레이터(20)에 대해서 제 2 인슐레이터(30)가 저벽(22)측으로 이동했을 때여도, 탄성부(53)와 저벽(22)의 접촉이 억제된다.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22b)의 깊이(h2)가 상하 간격(h1)보다 큰 것으로, 제 2 인슐레이터(30)가 크게 이동했다고 해도 탄성부(53)와 저벽(22)의 접촉이 충분히 억제된다. 이상에 의해, 콘택트(50)와의 접촉에 따라 발생되는 제 1 인슐레이터(20)의 변형 및 파손 등의 문제가 억제된다.
저벽(22)이 한쌍의 길이벽(21b)을 연결하도록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제 1 인슐레이터(20)의 강도가 향상된다. 추가해서, 제 1 인슐레이터(20)가 한쌍의 길이벽(21b)과 직교하고 길이벽(21b)과 함께 외주벽(21)을 구성하는 한쌍의 폭벽(21a)을 가짐으로써, 제 1 인슐레이터(20)의 강도가 더욱 향상된다. 따라서, 제 1 인슐레이터(20)를 갖는 커넥터(10)의 견뢰성이 향상된다. 추가해서, 회로 기판(CB1)에 있어서 저벽(22)에 의해 덮여져 있는 부분에서 상기 부분과 커넥터(10)의 콘택트(50)의 접촉이 억제된다. 따라서, 상기 부분을 회로 형성면의 일부로서 패턴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콘택트(50)의 탄성부(53)가 도 7에 나타내는 형상을 가짐으로써, 커넥터(10)의 폭 방향의 폭을 짧게 하면서, 제 1 인슐레이터(20)에 대해서 제 2 인슐레이터(30)가 이동할 때의 가동량을 유지할 수 있다. 커넥터(10)는 폭 방향으로의 소형화와, 제 2 인슐레이터(30)에 대해서 필요로 되는 가동량의 유지를 양립 가능하다.
길이벽(21b)이 제 2 연장부(53c)와 대향하도록 비스듬히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21b1)을 가짐으로써, 예를 들면, 길이벽(21b)의 전후 방향의 내면이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해서 탄성부(53)가 전후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공간이 커진다. 마찬가지로, 제 2 인슐레이터(30)의 저부(31)가 테이퍼면(31a)을 가짐으로써, 예를 들면, 저부(31)의 전후 방향의 측면이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해서 탄성부(53)가 전후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공간이 커진다. 이것에 의해, 제 2 인슐레이터(3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때의 가동량이 증대한다. 따라서, 커넥터(10)는 제 2 인슐레이터(30)의 원활한 이동을 실현해서 양호한 플로팅 구조를 제공 가능하다.
빠짐방지 돌기(33)가 한쌍의 길이벽(21b) 및 폭벽(21a)과 대향함으로써, 커넥터(10)는 제 1 인슐레이터(20)에 대한 제 2 인슐레이터(30)의 전후 좌우 방향으로의 과잉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커넥터(10)는 탄성부(53) 전체가 보다 길게 형성되고, 제 2 인슐레이터(30)의 전후 좌우 방향으로의 가동량이 증대해도, 상기 방향으로의 과잉의 이동을 확실하게 규제할 수 있다. 이상에 의해, 커넥터(10)는 콘택트(50)의 탄성부(53)의 과잉의 탄성 변형에 의해 콘택트(50)가 제 1 인슐레이터(20)에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콘택트(50)의 파손 등의 문제가 억제된다.
빠짐방지 돌기(33)에 있어서의 저벽(22)측의 저면이 제 1 면(33a) 및 제 2 면(33c)을 포함함으로써, 예를 들면, 도 8에 있어서 제 2 인슐레이터(30)가 제 1 인슐레이터(20)에 대해서 좌우 방향을 따라 비스듬히 기울어지는 것도 가능해진다. 커넥터(10)는 이러한 제 1 인슐레이터(20)의 길이 방향을 따른 제 2 인슐레이터(30)의 경사도 허용한다. 추가해서, 제 1 면(33a)이 저부(31)에 있어서 접촉부(22a)와 대향하는 부분과 동 면에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제 2 인슐레이터(30)와 저벽(22)이 서로 접촉할 때의 면적이 넓어진다. 따라서, 제 2 인슐레이터(30)의 파손이 억제된다.
제 2 인슐레이터(30)가 유입부(35)를 가짐으로써, 접속 대상물(60)의 감합 오목부(71)와 제 2 인슐레이터(30)의 감합 볼록부(32) 사이의 유입이 용이하게 되고, 커넥터(10)에 있어서, 양호한 플로팅 구조가 실현 가능하다. 커넥터(10)에 대한 접속 대상물(60)의 삽입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제 2 인슐레이터(30)는 협착부(34)를 가짐으로써, 여유 공간(34c)의 분만큼 좌우 방향의 외측으로 이동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제 2 인슐레이터(30)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때의 가동량이 증대한다. 따라서, 커넥터(10)는 제 2 인슐레이터(30)의 원활한 이동을 실현해서 양호한 플로팅 구조를 제공 가능하다.
콘택트(50)가 제 2 록킹부(54a) 및 제 3 록킹부(54d)의 2개에 의해 제 2 인슐레이터(30)에 록킹함으로써, 제 2 인슐레이터(30)에 의한 콘택트(50)의 유지력이 향상된다. 이것에 의해, 제 2 인슐레이터(30)가 상하 전후 좌우 방향으로 이동했을 때의 제 2 인슐레이터(30)로부터의 콘택트(50)의 빠짐이 억제된다.
콘택트(50)가 탄성계수가 작은 금속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커넥터(10)는 제 2 인슐레이터(30)에 가해지는 힘이 작은 경우여도, 필요로 되는 제 2 인슐레이터(30)의 가동량을 확보할 수 있다. 제 2 인슐레이터(30)는 제 1 인슐레이터(20)에 대해서 매끄럽게 이동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커넥터(10)는 접속 대상물(60)과 감합할 때의 위치 어긋남을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다.
커넥터(10)에서는 어떠한 외적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을 콘택트(50)의 탄성부(53)가 흡수한다. 이것에 의해, 실장부(52)에 큰 힘이 가해질 가능성이 억제된다. 따라서, 회로 기판(CB1)과의 접속 부분의 파손이 억제된다. 회로 기판(CB1)과 실장부(52)의 접속 부분의 땜납에 크랙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10)와 접속 대상물(60)이 접속되어 있는 상태여도, 접속 신뢰성이 향상된다.
금구(40)가 제 1 인슐레이터(20)에 압입되고, 실장부(41)가 회로 기판(CB1)에 납땜됨으로써, 금구(40)는 제 1 인슐레이터(20)를 회로 기판(CB1)에 대해서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다. 금구(40)에 의해, 회로 기판(CB1)에 대한 제 1 인슐레이터(20)의 실장강도가 향상된다.
본 개시는 그 정신 또는 그 본질적인 특징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상술한 실시형태 이외의 다른 소정의 형태로 실현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하다. 따라서, 앞의 기술은 예시적이며,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개시의 범위는 앞의 기술에 의해서가 아닌 부가한 청구항에 의해 정의된다. 모든 변경 중 그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몇개의 변경은 그 중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상술한 각 구성부의 형상, 배치, 방향 및 개수는 상기 설명 및 도면에 있어서의 도시의 내용에 한정되지 않는다. 각 구성부의 형상, 배치, 방향 및 개수는 그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이라면, 임의로 구성되어도 좋다.
상술한 커넥터(10) 및 접속 대상물(60)의 조립 방법은 상기 설명의 내용에 한정되지 않는다. 커넥터(10) 및 접속 대상물(60)의 조립 방법은 각각의 기능이 발휘되도록 조립할 수 있는 것이라면, 임의의 방법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금구(40) 및 콘택트(50) 중 적어도 한쪽은 압입이 아닌 인서트 성형에 의해 제 1 인슐레이터(20) 및 제 2 인슐레이터(30) 중 적어도 한쪽과 일체적으로 성형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금구(80) 및 콘택트(90) 중 적어도 한쪽은 압입이 아닌 인서트 성형에 의해 인슐레이터(70)와 일체적으로 성형되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탄성부(53)에 있어서의 저벽(22)측의 단부가 제 2 인슐레이터(30)에 있어서의 저벽(22)측의 단부보다 저벽(22)측에 위치한다고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2 인슐레이터(30)에 대해서 필요로 되는 가동량이 얻어지는 것이라면, 탄성부(53)에 있어서의 저벽(22)측의 단부는 제 2 인슐레이터(30)에 있어서의 저벽(22)측의 단부보다 저벽(22)과 반대측에 위치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저벽(22)은 제 2 인슐레이터(30)와 대향하는 접촉부(22a)를 갖는다고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커넥터(10)는 제 1 인슐레이터(20)에 대한 제 2 인슐레이터(30)의 저벽(22)측으로의 과잉의 이동을 규제하는 것이 가능하면, 접촉부(22a)를 갖지 않아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저벽(22)은 콘택트(50)의 탄성부(53)와 대향하는 오목부(22b)를 갖는다고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커넥터(10)는 탄성부(53)와 저벽(22)의 접촉이 억제되는 것이라면, 오목부(22b)를 갖지 않아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저벽(22)은 한쌍의 길이벽(21b)을 연결하도록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다고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저벽(22)은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예를 들면, 저벽(22)의 일부가 상하 방향의 전체에 걸쳐 노치되어 있어도 좋고, 저벽(22)의 일부에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마찬가지로, 오목부(22b)의 저면은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예를 들면, 오목부(22b)의 저면의 일부가 상하 방향의 전체에 걸쳐 노치되어 있어도 좋고, 오목부(22b)의 저면의 일부에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길이벽(21b)은 콘택트(50)의 제 2 연장부(53c)와 대향하도록 비스듬히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21b1)을 갖는다고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커넥터(10)는 탄성부(53)가 전후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공간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경사면(21b1)을 갖지 않아도 좋다. 마찬가지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저부(31)는 테이퍼면(31a)를 갖는다고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커넥터(10)는 탄성부(53)가 전후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공간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테이퍼면(31a)을 갖지 않아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인슐레이터(20)는 한쌍의 길이벽(21b)과 직교하고 길이벽(21b)과 함께 외주벽(21)을 구성하는 한쌍의 폭벽(21a)을 갖는다고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인슐레이터(20)는 한쌍의 폭벽(21a)을 갖지 않아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빠짐방지 돌기(33)에 있어서의 저벽(22)측의 저면은 제 1 면(33a), 경사면(33b) 및 제 2 면(33c)을 포함한다고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빠짐방지 돌기(33)에 있어서의 저벽(22)측의 저면은 1개의 평면으로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반대로, 빠짐방지 돌기(33)에 있어서의 저벽(22)측의 저면에 있어서 돌기 등이 부가되어서, 상기 돌기가 저벽(22)에 부분적으로 접촉해도 좋다. 제 1 면(33a)은 저부(31)에 있어서 접촉부(22a)와 대향하는 부분과 동 면에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제 2 인슐레이터(30)측과 마찬가지로, 제 1 인슐레이터(20)의 저면(22c)은 접촉부(22a)의 접촉면과 동 면에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콘택트(50)는 탄성계수가 작은 금속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콘택트(50)는 필요로 되는 탄성 변형량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라면, 임의의 탄성계수를 갖는 금속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접속 대상물(60)은 회로 기판(CB2)에 접속되는 리셉터클 커넥터인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접속 대상물(60)은 커넥터 이외의 임의의 대상물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접속 대상물(60)은 FPC,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리지드 기판, 또는 임의의 회로 기판의 카드 엣지이어도 좋다.
이상과 같은 커넥터(10)는 전자 기기에 탑재된다. 전자 기기는 예를 들면, 카메라, 레이더, 드라이브 리코더 및 엔진 컨트롤 유닛 등의 임의의 차량탑재 기기를 포함한다. 전자 기기는 예를 들면,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 선진 운전 지원 시스템 및 보안 시스템 등의 차량탑재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되는 임의의 차량탑재 기기를 포함한다. 전자 기기는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 스마트폰, 카피기, 프린터, 팩시밀리 및 복합기 등의 임의의 정보 기기를 포함한다. 그 외, 전자 기기는 임의의 산업 기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전자 기기는 플로팅 구조를 갖는 커넥터(10)에 있어서, 가동 인슐레이터로서의 제 2 인슐레이터(30)의 감합 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면서, 플로팅 구조에 기인하는 가동 특성의 저하 및 회로 기판(CB1)에 있어서의 전기적인 문제를 억제 가능하다. 예를 들면, 커넥터(10)의 콘택트(50)와 회로 기판(CB1)의 접촉이 억제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콘택트(50)에 있어서 변형 및 파손 등의 문제가 억제된다. 따라서, 커넥터(10)를 갖는 전자 기기 제품으로서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커넥터(10)의 양호한 플로팅 구조에 의해 회로 기판간의 위치 어긋남이 흡수되므로, 전자 기기의 조립시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전자 기기의 제조가 용이해진다. 커넥터(10)에 의해 회로 기판(CB1)과의 접속 부분의 파손이 억제되므로, 전자 기기 제품으로서의 신뢰성이 더욱 향상된다.
10: 커넥터
20: 제 1 인슐레이터
21: 외주벽
21a: 폭벽(제 2 측벽)
21b: 길이벽(제 1 측벽)
21b1: 경사면
22: 저벽
22a: 접촉부
22b: 오목부
22c: 저면
23: 가동공간
24: 콘택트 부착홈
25: 금구 부착홈
30: 제 2 인슐레이터
31: 저부
31a: 테이퍼면
32: 감합 볼록부
33: 빠짐방지 돌기
33a: 제 1 면
33b: 경사면
33c: 제 2 면
34: 협착부
34a: 테이퍼면
34b: 대향면
34c: 여유 공간
35: 유입부
36: 콘택트 부착홈
36a: 제 1 록킹부
36b: 제 2 록킹부
40: 금구
41: 실장부
42: 록킹부
43: 빠짐방지부
44: 돌출부
50: 콘택트
51: 제 1 록킹부
52: 실장부
53: 탄성부
53a: 제 1 연장부
53b: 제 1 리턴부
53c: 제 2 연장부
53d: 제 2 리턴부
53e: 제 3 연장부
54: 피지지부
54a: 제 2 록킹부
54b: 제 4 연장부
54c: 제 3 리턴부
54d: 제 3 록킹부
55: 접촉부
60: 접속 대상물
70: 인슐레이터
71: 감합 오목부
72: 유입부
73: 금구 부착홈
74: 콘택트 부착홈
80: 금구
81: 실장부
82: 록킹부
90: 콘택트
91: 실장부
92: 제 1 록킹부
93: 제 2 록킹부
94: 탄성 접촉부
CB1, CB2: 회로 기판

Claims (11)

  1. 한쌍의 제 1 측벽과 저벽을 갖고,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 1 인슐레이터와,
    상기 제 1 인슐레이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 2 인슐레이터로서, 상기 한쌍의 제 1 측벽과 상기 저벽에 의해 둘러싸여지는 공간에 상기 제 2 인슐레이터의 일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 1 인슐레이터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상기 제 2 인슐레이터와,
    상기 제 1 인슐레이터의 상기 제 1 측벽 및 상기 제 2 인슐레이터에 부착되고, 상기 제 1 인슐레이터와 상기 제 2 인슐레이터 사이에 위치해서 상기 제 1 인슐레이터와 상기 제 2 인슐레이터를 접속하는 탄성부를 갖는 콘택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인슐레이터 및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제 2 인슐레이터와 접속 대상물이 서로 감합되어 있지 않은 비감합 상태로 상기 제 1 인슐레이터와 이간되고, 또한 상기 저벽과 대향하고,
    상기 탄성부에 있어서의 상기 저벽측의 단부는 상기 제 2 인슐레이터에 있어서의 상기 저벽측의 단부보다 상기 저벽측에 위치하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벽은 상기 제 2 인슐레이터와 대향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에 있어서 상기 제 2 인슐레이터와 대향하는 접촉면보다 상기 제 2 인슐레이터와 반대측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를 갖는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제 1 측벽 및 상기 접촉부 사이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탄성부와 대향하는 커넥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저면은 연속해서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커넥터가 실장되는 회로 기판과 상기 탄성부 사이에 배치되는 커넥터.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깊이는 상기 제 2 인슐레이터에 있어서의 상기 저벽측의 단부와 상기 탄성부에 있어서의 상기 저벽측의 단부 사이의, 상기 제 2 인슐레이터와 상기 접속 대상물이 서로 감합하는 감합 방향의 간격보다 큰 커넥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제 1 인슐레이터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 1 연장부와, 상기 제 1 연장부로부터 역U자상으로 리턴하는 제 1 리턴부와, 상기 제 1 리턴부로부터 상기 제 2 인슐레이터측을 향해서 비스듬히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 2 연장부와, 상기 제 2 연장부로부터 U자상으로 리턴하는 제 2 리턴부와, 상기 제 2 리턴부로부터 상기 제 2 인슐레이터까지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 3 연장부를 갖는 커넥터.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인슐레이터는 상기 제 1 인슐레이터의 상기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접촉부와 대향하는 저부와, 상기 저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인슐레이터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빠짐방지 돌기를 갖는 커넥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슐레이터는 상기 한쌍의 제 1 측벽과 직교하고 상기 제 1 측벽과 함께 외주벽을 구성하는 한쌍의 제 2 측벽을 갖고,
    상기 빠짐방지 돌기는 상기 비감합 상태로 상기 한쌍의 제 1 측벽 및 상기 제 2 측벽과 대향하는 커넥터.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빠짐방지 돌기는 상기 비감합 상태에서, 상기 제 1 인슐레이터의 상기 저벽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와 동 면에 형성되어 있는 저면과 대향하는 커넥터.
  10.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빠짐방지 돌기에 있어서의 상기 저벽측의 저면은 상기 저부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와 대향하는 부분과 동 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면과, 상기 제 1 면보다 상기 저벽과 반대측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제 1 면과 대략 평행하게 되는 제 2 면을 포함하는 커넥터.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커넥터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KR1020237026360A 2021-02-04 2022-02-02 커넥터 및 전자 기기 KR2023012810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016954 2021-02-04
JP2021016954A JP2022119669A (ja) 2021-02-04 2021-02-04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PCT/JP2022/004121 WO2022168886A1 (ja) 2021-02-04 2022-02-02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8106A true KR20230128106A (ko) 2023-09-01

Family

ID=82741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6360A KR20230128106A (ko) 2021-02-04 2022-02-02 커넥터 및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039197A1 (ko)
EP (1) EP4290704A1 (ko)
JP (1) JP2022119669A (ko)
KR (1) KR20230128106A (ko)
CN (1) CN116868449A (ko)
WO (1) WO2022168886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7103A (ja) 1990-05-22 1992-01-30 Murata Mfg Co Ltd 高周波用磁性材料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46144A (ja) 1985-12-20 1987-06-3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包装箱
JP2007220542A (ja) * 2006-02-17 2007-08-30 Iriso Denshi Kogyo Kk コネクタ
JP6116056B2 (ja) * 2013-08-07 2017-04-1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849166B1 (ja) * 2014-12-12 2016-01-27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基板間接続構造
JP6415609B2 (ja) * 2017-01-11 2018-10-31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可動コネクタ
JP7310396B2 (ja) 2019-07-17 2023-07-19 株式会社リコー ヘッド払拭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7467236B2 (ja) * 2020-05-28 2024-04-1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
JP7467234B2 (ja) * 2020-05-28 2024-04-1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7103A (ja) 1990-05-22 1992-01-30 Murata Mfg Co Ltd 高周波用磁性材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119669A (ja) 2022-08-17
CN116868449A (zh) 2023-10-10
US20240039197A1 (en) 2024-02-01
EP4290704A1 (en) 2023-12-13
WO2022168886A1 (ja) 2022-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5265B1 (ko) 커넥터 및 전자 기기
US11349240B2 (en) Floating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KR102486351B1 (ko) 커넥터 및 전자 기기
JP6971182B2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US11552421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floating contacts each with multiple impedances
JP6941131B2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JP7379408B2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JP7379025B2 (ja) ソケット及び電子機器
JP6550547B2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JP6550548B2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US11322870B2 (en)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JP6979380B2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JP6450496B1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WO2021045090A1 (ja) ソケット及び電子機器
KR20230128106A (ko) 커넥터 및 전자 기기
JP6629417B2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WO2021060056A1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WO2023243443A1 (ja) コネクタ、コネクタ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WO2023223874A1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WO2023243471A1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KR20230130066A (ko) 커넥터 및 전자 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