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7186A - 복수의 액정 코어를 갖는 다작용기성 에폭시 화합물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복수의 액정 코어를 갖는 다작용기성 에폭시 화합물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7186A
KR20230127186A KR1020230110216A KR20230110216A KR20230127186A KR 20230127186 A KR20230127186 A KR 20230127186A KR 1020230110216 A KR1020230110216 A KR 1020230110216A KR 20230110216 A KR20230110216 A KR 20230110216A KR 20230127186 A KR20230127186 A KR 202301271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ii
formula
compound represented
cured product
multifunctional epox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10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1076B1 (ko
Inventor
여현욱
구교선
칭티엔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30110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1076B1/ko
Publication of KR20230127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71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1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10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5/00
    • C07D40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5/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7/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5/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03/00Compounds containing thre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303/02Compounds containing oxirane rings
    • C07D303/12Compounds containing oxirane rings with hydrocarbon radicals, substituted by singly or doubly bound oxygen atoms
    • C07D303/18Compounds containing oxirane rings with hydrocarbon radicals, substituted by singly or doubly bound oxygen atoms by etherified hydroxyl rad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03/00Compounds containing thre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303/02Compounds containing oxirane rings
    • C07D303/12Compounds containing oxirane rings with hydrocarbon radicals, substituted by singly or doubly bound oxygen atoms
    • C07D303/18Compounds containing oxirane rings with hydrocarbon radicals, substituted by singly or doubly bound oxygen atoms by etherified hydroxyl radicals
    • C07D303/20Ethers with hydroxy compounds containing no oxirane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8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 C08G59/20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characterised by the epoxy compounds used
    • C08G59/22Di-ep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8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 C08G59/20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characterised by the epoxy compounds used
    • C08G59/22Di-epoxy compounds
    • C08G59/24Di-epoxy compounds carbocyclic
    • C08G59/245Di-epoxy compounds carbocyclic aromat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8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 C08G59/40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characterised by the curing agents us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8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 C08G59/40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characterised by the curing agents used
    • C08G59/50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8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 C08G59/40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characterised by the curing agents used
    • C08G59/50Amines
    • C08G59/5033Amines aromat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8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 C08G59/40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characterised by the curing agents used
    • C08G59/50Amines
    • C08G59/504Amines containing an atom other than nitrogen belonging to the amine group, carbon and hyd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3/00Compositions of epoxy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epoxy resi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poxy Compounds (AREA)
  • Epoxy Res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열방성 액정 물질이 결합되어 합성된 액정 분자의 말단 부위에 둘 이상의 에폭사이드 작용기를 수식하여 수득된 다작용기성 에폭시 화합물 및 상기 화합물과 경화제를 반응시켜 제조된 경화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액정 간의 상호작용이 용이하고, 열전도도가 높아 방열 고분자로 단독 활용 또는 복합재료의 형태로 사용가능하며, 복합재료의 기지 수지로 응용 가능한 화합물 및 경화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복수의 액정 코어를 갖는 다작용기성 에폭시 화합물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for multifunctional epoxy compounds having multiple liquid crystalline cores}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열방성 액정 물질이 결합되어 합성된 액정 분자의 말단 부위에 둘 이상의 에폭사이드 작용기를 수식하여 수득된 다작용기성 에폭시 화합물 및 상기 화합물과 경화제를 반응시켜 제조된 경화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액정 간의 상호작용이 용이하고, 열전도도가 높아 방열 고분자로 단독 활용 또는 복합재료의 형태로 사용 가능하며, 복합재료의 기지 수지로 응용 가능한 화합물 및 경화물에 관한 것이다.
에폭시 수지는 분자 내에 2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갖는 에폭시 화합물을 경화제와 혼합시켰을 때 발생하는 에폭시기의 고리 열림에 의해 형성된 네트워크 고분자로 이루어진 열경화성 수지이다. 에폭시 수지는 화학 성분에 대한 저항성, 내구성이 뛰어나고 경화시의 체적 수축률이 낮아 접착제, 도료, 전자/전기, 토목/건축 등 전 산업 분야에서 필수적인 고기능성 원자재로 사용되고 있다.
현재 에폭시 수지의 열전도도를 높이기 위해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은 산화알루미늄, 질화알루미늄 등의 열전도성 필러를 혼합하여 복합 소재를 만드는 방법이다. 이렇게 제조된 복합 소재들은 기존 에폭시 수지의 장점을 지니면서도 상대적으로 높은 열전도도를 나타내게 된다. 하지만 어느 정도 물성이 고정되어 있는 필러의 특성상 보다 높은 열전도도의 복합 소재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필러의 함량을 높이는 것 이상의 변화를 주기가 어렵고, 이 경우 지나치게 높아진 필러의 함량으로 인해 제조가 어려워지거나 다른 물성 상에서 예상하지 못했던 단점이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필러뿐만 아니라, 에폭시 수지 고유의 열전도도를 높임으로써 필러 함량을 높이지 않으면서도 열전도도가 향상된 복합 소재를 제조하려 하는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널리 사용되는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 에테르(DGEBA, diglydicyl ether of bisphenol A) 형태의 에폭시 수지의 경우, 경화 이후에 3차원적인 망상 가교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3차원적 구조는 재료에 뛰어난 내구성과 내부식성을 부여한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열전도도 측면에 있어서는 고분자 내에서 열 전달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포논(phonon)의 산란이 지배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불리하다. 실제로 DGEBA 에폭시 수지 경화물의 경우 약 0.2 W/mK 정도의 낮은 열전도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러한 3차원적 구조를 보다 정렬된 1차원 또는 2차원적 구조로 바꾸기 위해 액정성 에폭시 수지가 연구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액정성 에폭시 화합물에 유연기를 도입함으로써 화합물 및 수지 경화물의 물성을 향상시키려는 연구 역시 진행되어 왔다. 유연기를 도입하게 되면 화합물의 용해도가 올라가 공정 상의 취급이 용이해지고, 메소겐 간의 상호 작용을 조절할 수 있어 액정성이 나타나는 온도 구간을 변화시킬 수 있고, 액정 상태에서의 배열 형태 역시 변화시킬 수 있으며, 에폭시기의 반응성을 조절하여 경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화합물들은 대부분이 화합물 내부에 메소겐이 존재하고 그 양 말단에 에폭시기가 존재하는 형태이다. 이 경우 액정성 에폭시 화합물의 도입을 통해 얻고자 하는 열전도도 향상에 있어 비효율적일 수 있게 된다.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2152597호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2171222호
본 발명의 목적은 열방성 액정 물질을 화학적 수식을 통해 결합시켜 액정 분자를 합성하고 이의 말단 부위에 둘 이상의 에폭사이드 작용기를 수식한 다작용기성 에폭시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열전도도가 높아 방열 고분자 및 복합재료로서 사용가능한 상기 다작용기성 에폭시 화합물과 경화제를 반응시켜 제조된 경화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화학식 (Ⅲ)으로 표시되는 다작용기성 에폭시 화합물의 제조방법으로,
4'-(알릴옥시)-[1,1'-바이페닐]-4-올을 아르곤 치환 후, 트리에틸아민(triethylamine) 및 무수 클로로포름(anhydride chloroform)을 첨가하여 균일 용액(Ⅲ-1)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조된 균일 용액(Ⅲ-1)에 (C6 내지 C10) 알킬디오일 디클로라이드를 점적한 후 정제하여 하기 화학식 Ⅲ-A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합성하는 단계;
상기 합성된 화학식 Ⅲ-A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무수 클로로포름 ( anhydride chloroform)을 첨가하여 균일 용액(Ⅲ-2)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조된 균일 용액(Ⅲ-2)에 메타-클로로페록시벤조산(meta-Chloroperoxybenzoic acid, m-CPBA)을 첨가 후 정제하여 하기 화학식 (Ⅲ)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Ⅲ-A]
Figure pat00001
(상기 식에서, n은 4 내지 8 범위의 정수에서 선택됨)
[화학식 (Ⅲ)]
Figure pat00002
(상기 식에서, n은 4 내지 8 범위의 정수에서 선택됨).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Ⅲ)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50 내지 80 ℃ 범위의 온도에서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Ⅲ)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클로로포름의 존재 하에서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화학식 (Ⅲ)으로 표시되는 다작용기성 에폭시 화합물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상기 화학식 (Ⅲ)로 표시되는 상기 화합물을 경화제와 반응시켜 수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화제는 4,4'-디아미노디페닐메탄(DDM), 디아미노디페닐술폰(DDS), m-페닐렌디아민(mPDA) 및 디시안디아미드(DICY)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열전도도가 개선된 신규한 에폭시 수지와 그 경화물을 발견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a): EBP-4, (b): EBP-6, ⒞: EBP-7, (d): EBP-8) 의 편광 현미경 이미지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수치 범위는 상기 범위에 정의된 수치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대의 수치 제한은 낮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낮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소의 수치 제한은 더 높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높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수치 제한은 더 좁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더 넓은 수치 범위 내의 더 좋은 모든 수치 범위를 포함할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Ⅲ)로 표시되는 다작용기성 에폭시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Ⅲ)]
Figure pat00003
[식 중, n은 1 내지 30 범위의 정수임].
상기 화학식 (Ⅲ)의 화합물은 비스(4'-(알릴옥시)-[1,1’-바이페닐]-4-일) 알칸디오에이트를 개시물질로 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Ⅲ)의 화합물의 제조는 50 내지 80℃ 범위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65℃ 범위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Ⅲ)의 화합물의 제조는 클로로포름의 존재 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Ⅲ)의 화합물의 제조는 아세톤, 클로로포름, 에탄올, 메탄올, 및 메틸렌 클로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의 존재 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화학식 (Ⅲ)으로 표시되는 상기 화합물을 경화제와 반응시켜 수득되는 경화된 에폭시 수지 경화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경화제는 4,4'-디아미노디페닐메탄(DDM), 디아미노디페닐술폰(DDS), m-페닐렌디아민(mPDA) 및 디시안디아미드(DICY)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에폭시 수지 경화물은 기판, 컴파운드, 접착제, 패드, 히트스프레드 및 히트싱크의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합물과 경화제의 몰 혼합비는 1.5:1 내지 4:1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5:1 내지 2:1일 수 있다.
상기 경화물의 제조는 핫프레스 몰딩, 사출 성형 및 롤 성형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나, 이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경화물 제조 온도는 160 내지 200℃ 범위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800 내지 200℃ 범위일 수 있다.
상기 경화물 제조 시간은 1 내지 3.5 시간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 시간일 수 있다.
상기 경화물의 유리 전이 온도는 시차주사열량계로 측정될 수 있으며, 이는 125 내지 150℃ 범위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Ⅲ)으로 표시되는 다작용기성 에폭시 화합물의 제조방법은 아래의 단계에 의해 수행된다.
먼저, 4'-(알릴옥시)-[1,1'-바이페닐]-4-올(4'-(allyloxy)-[1,1'-biphenyl]-4-ol)을 아르곤 치환 후, 트리에틸아민(triethylamine) 및 무수 클로로포름(anhydride chloroform)을 첨가하여 균일 용액(Ⅲ-1)을 제조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조된 균일 용액(Ⅲ-1)에 (C6 내지 C10) 알킬디오일 디클로라이드를 점적한 후 정제하여 하기 화학식 Ⅲ-A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합성한다. 일실시예로, 상기 제조된 균일 용액(Ⅲ-1)에 헥산디오일 디클로라이드(Hexanedioyl dichloride), 옥탄디오일 디클로라이드(Octanedioyl dichloride), 노난디오일 디클로라이드(Nonanedioyl dichloride) 및 데칸디오일 디클로라이드(Decanedioyl dichloride) 중 어느 하나를 점적한 후 정제하여 하기 화학식 Ⅲ-A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합성한다.
[화학식 Ⅲ-A]
Figure pat00004
다음으로, 상기 합성된 화학식 Ⅲ-A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무수 클로로포름(anhydride chloroform)을 첨가하여 균일 용액(Ⅲ-2)을 제조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조된 균일 용액(Ⅲ-2)에 메타-클로로페록시벤조산(meta-Chloroperoxybenzoic acid, m-CPBA)을 첨가 후 정제하여 상기 화학식 (Ⅲ)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합성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나,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 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실시예 1 : EBP-n(Bis(4'-(oxiran-2-ylmethoxy)-[1,1'-biphenyl]-4-yl) alkanedioate) 의 합성
① 하기 화학식 ABP-n (Bis(4'-(allyloxy)-[1,1'-biphenyl]-4-yl) alkanedioate) 의 합성
Figure pat00005
A) n=4
4’-(알릴옥시)-[1,1’-바이페닐]-4-올 (3.00 g, 13.3 mmol) 을 2구 플라스크에 넣고 아르곤 치환한 후, 트리에틸아민 5 ㎖, 무수 CHCl3 100 ㎖ 를 넣고 균일 용액이 될 때까지 교반하였다. 이후, 헥산디오일 디클로라이드(Hexanedioyl dichloride) 0.97 ㎖ (6.65 mmol) 를 점적한 후 5시간 60℃에서 환류시켰다. 얻어진 용액은 탄산수소나트륨 포화 용액으로 3차례 불순물을 추출한 후 농축되었고, 클로로폼:에틸아세테이트 부피비 19:1 용액을 전개액으로 하는 실리카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정제되었다. 1.6 g의 ABP-4가 얻어졌고, 수율은 43%였다.
1H NMR (500 MHz, CDCl3): δ (ppm) = 7.53 (d, J = 8.5 Hz, 4Ar H ), 7.48 (d, J = 9.0 Hz, 4Ar H ), 7.14 (d, J = 8.5 Hz, 4Ar H ), 6.98 (d, J = 9 Hz, 4Ar H ), 6.08 (ddt, J 1 = 17.3, J 2 = 10.6Hz, J 3 = 5.3 Hz, 2H, CH 2 =C H -O-), 5.44 (dq, J 1 = 17.2 Hz, J 2 = 1.7 Hz, 2H, C H 2 =CH-O-), 5.31 (dq, J 1 = 10.5, J 2 =1.4 Hz, 2H, C H 2 =CH-O-), 4.58 (dt, J 1 = 5.3, J 2 =1.6 Hz, 4H, Ar-O-C H 2 -), 2.63-2.70 (m, 4H, -CO-C H 2 -), 1.89-1.95 (m, 4H, -COCH 2 -C H 2 -).
B) n=6
헥산디올 디클로라이드 대신 옥탄디오일 디클로라이드(Octanedioyl dichloride)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A) 와 동일하게 합성하였다. 수율은 46% 였다.
1H NMR (500 MHz, CDCl3): δ (ppm) = 7.53 (d, J = 8.5 Hz, 4Ar H ), 7.48 (d, J = 9.0 Hz, 4Ar H ), 7.12 (d, J = 8.5 Hz, 4Ar H ), 6.98( d, J = 9 Hz, 4Ar H ), 6.08 (ddt, J 1 = 17.3, J 2 = 10.5Hz, J 3 = 5.3 Hz, 2H, CH 2 =C H -O-), 5.44 (dq, J 1 = 17.2 Hz, J 2 = 1.6 Hz, 2H, C H 2 =CH-O-), 5.31 (dq, J 1 = 10.5, J 2 =1.4 Hz, 2H, C H 2 =CH-O-), 4.58 (dt, J 1 = 5.3, J 2 =1.6 Hz, 4H, Ar-O-C H 2 -), 2.60 (t, J = 7.4 Hz, 4H, -CO-C H 2 -),1.79-1.84 (m, 4H, -CO-CH 2 -C H 2 -), 1.48-1.55(m, 4H, -CO-CH 2 -CH 2 -C H 2 -).
C) n=7
헥산디올 디클로라이드 대신 노난디오일 디클로라이드(Nonanedioyl dichloride)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A) 와 동일하게 합성하였다. 수율은 81% 였다.
1H NMR (500 MHz, CDCl3): δ (ppm) = 7.53 (d, J = 8.5 Hz, 4Ar H ), 7.47 (d, J = 8.5 Hz, 4Ar H ), 7.12 (d, J = 8.5 Hz, 4Ar H ), 6.98 (d, J = 8.5 Hz, 4Ar H ), 6.08 (ddt, J 1 = 17.3, J 2 = 10.5Hz, J 3 = 5.3 Hz, 2H, CH 2 =C H -O-), 5.44 (dq, J 1 = 17.2 Hz, J 2 = 1.6 Hz, 2H, C H 2 =CH-O-), 5.31 (dq, J 1 = 10.5, J 2 =1.4 Hz, 2H, C H 2 =CH-O-), 4.58 (dt, J 1 = 5.3, J 2 =1.5 Hz, 4H, Ar-O-C H 2 -), 2.59 (t, J = 7.4 Hz, 4H, -CO-C H 2 -), 1.79 (q, J = 7.3 Hz, 4H, -CO-CH 2 -C H 2 -), 1.44-1.53(m, 6H, -CO-CH 2 -CH 2 -C H 2 - C H 2 -).
D) n=8
헥산디올 디클로라이드 대신 데칸디오일 디클로라이드(Decanedioyl dichloride)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A) 와 동일하게 합성하였다. 수율은 44% 였다.
1H NMR (500 MHz, CDCl3): δ (ppm) = 7.53 (d, J = 8.5 Hz, 4Ar H ), 7.48 (d, J = 8.5 Hz, 4Ar H ), 7.12 (d, J = 9.0 Hz, 4Ar H ), 6.98 (d, J = 8.5 Hz, 4Ar H ), 6.08 (ddt, J 1 = 17.2, J 2 = 10.5Hz, J 3 = 5.3 Hz, 2H, CH 2 =C H -O-), 5.44 (dq, J 1 = 17.3 Hz, J 2 = 1.7 Hz, 2H, C H 2 =CH-O-), 5.31 (dq, J 1 = 10.5, J 2 =1.4 Hz, 2H, C H 2 =CH-O-), 4.58 (dt, J 1 = 5.3, J 2 =1.5 Hz, 4H, Ar-O-C H 2 -), 2.58 (t, J = 7.5 Hz, 4H, -CO-C H 2 -), 1.78 (q, J = 7.4 Hz, 4H, -CO-CH 2 -C H 2 -), 1.38-1.46(m, 8H, -CO-CH 2 -CH 2 -C H 2 -C H 2 -).
② 하기 화학식 EBP-n (Bis(4'-(oxiran-2-ylmethoxy)-[1,1'-biphenyl]-4-yl) alkanedioate) 의 합성
Figure pat00006
E) n=4
500 ㎖ 3구 둥근 플라스크에 ABP-4 (2.0 g, 3.56 mmol) 을 넣고, 무수 CHCl3 100 ㎖ 를 추가하여 교반하여 균일 용액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m-CPBA 4.92 g를 넣은 후 10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유기상은 NaHSO3 및 NaHCO3 포화 수용액으로 각각 3차례씩 씻어낸 후, 농축되었고 얻어진 고체는 클로로폼:에틸아세테이트 부피비 13:1 용액을 전개액으로 하는 실리카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정제되었다. 1.28 g의 EBP-4가 얻어졌고, 수율은 60%였다.
1H NMR (500 MHz, CDCl3): δ (ppm) = 7.53 (d, J = 8.5 Hz, 4Ar H ), 7.49 (d, J = 9 Hz, 4Ar H ), 7.14 (d, J = 9.0 Hz, 4Ar H ), 6.99 (d, J = 8.5 Hz, 4Ar H ), 4.26 (dd, J 1 = 11.0 Hz, J 2 =3.2 Hz, 2H, ArO-C H 2 ), 4.01 (dd, J 1 = 11.0 Hz, J 2 =5.6 Hz, 2H, ArO-C H 2 ), 3.38 (ddt, J 1 = 5.8, J 2 = 4.1Hz, J 3 = 2.9 Hz, 2H, 옥시란 고리의 C H ), 2.93 (dd, J 1 = 4.9 Hz, J 2 = 4.1 Hz, 2H, 옥시란 고리의 C H 2 )), 2.78 (dd, J 1 = 4.9Hz, J 2 =2.7 Hz, 2H, 옥시란 고리의 C H 2 ), 2.63-2.71 (m, 4H, -CO-C H 2 -), 1.92 (q, J = 3.7 Hz, 4H, -CO-CH 2 -C H 2 -).
F) n=6
ABP-4 대신 ABP-6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E) 와 동일하게 합성하였다. 수율은 62% 였다.
1H NMR (500 MHz, CDCl3): δ (ppm) = 7.53 (d, J = 9.0 Hz, 4Ar H ), 7.48 (d, J = 8.5 Hz, 4Ar H ), 7.12 (d, J = 8.5 Hz, 4Ar H ), 6.99 (d, J = 8.5 Hz, 4Ar H ), 4.26 (dd, J 1 = 11.0 Hz, J 2 =3.2 Hz, 2H, ArO-C H 2 ), 4.01 (dd, J 1 = 11.0 Hz, J 2 =5.6 Hz, 2H, ArO-C H 2 ), 3.38 (ddt, J 1 = 5.8, J 2 = 3.8 Hz, J 3 = 2.7 Hz, 2H, 옥시란 고리의 C H ), 2.93 (dd, J 1 = 4.9Hz, J 2 = 4.1 Hz, 2H, 옥시란 고리의 C H 2 ), 2.78 (dd, J 1 = 4.9Hz, J 2 = 2.6 Hz, 2H, 옥시란 고리의 C H 2 ), 2.60 (t, J = 7.5 Hz , 4H,-CO-C H 2 -), 1.48-1.55 (m, 8H, -CO-CH 2 -C H 2 - C H 2 -).
시험예 1 : 상전이 특성
PerkinElmer사의 DSC4000 시차주사열량계와 Olympus사의 BX53-P 편광현미경을 이용하여 상전이 현상을 조사하였다. 표 1에는 DSC 측정 결과, 도 1에는 편광현미경 사진을 나타냈다. 모두 가열, 냉각 모두에서 전형적인 열방성 액정의 상전이 현상을 나타냈으며, EBP-7을 제외하고, 체인 길이가 길수록 전이 온도가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표 1]
Figure pat00007
제조예 1 : 실시예 1의 EBP-n 경화물의 제조
Figure pat00008
에폭시 수지와 4,4'-디아미노디페닐술폰의 몰 혼합비를 2:1로 설정하여 에폭사이드와 아민 당량이 동일하게 하였고, 실온에서 고체 상태인 두 물질을 분쇄하여 혼합한 후 핫프레스 몰딩 방법을 이용하여 경화물을 제조하였다. 경화 온도는 190℃, 경화 시간은 2시간으로 하였다.
시험예 1 : EBP-n 경화물의 물성
EBP-n/DDS 경화물의 유리전이온도는 시차주사열량계, 분해온도는 열중량분석기, 열전도도는 열전도도측정기로 조사하였고, 측정 결과를 표 4에 나타냈다. 경화물의 유리전이온도는 125~150℃의 범위에서 관찰되었으며, EBP-7을 제외하면 체인 길이가 길어질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5% 중량감소온도는 349~361℃의 범위에 있었으며, 10% 중량감소온도는 368~380℃의 범위에 있었으며, 강직한 바이페놀 구조의 영향으로 상당히 높은 수준의 열안정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열전도도는 0.40~0.55 W/m·K의 범위에서 확인되었고, 액정상 발현 온도와 경화 온도가 가장 잘 매칭되었던 EBP-6에서 가장 높은 열전도도가 얻어졌다.
[표 2]
Figure pat00009
비교예 1 : 비스페놀 A의 디글리시딜 에테르 경화물 제조
2작용기성 에폭시 수지인 비스페놀 A의 디글리시딜 에테르는 국도화학의 YD-128 제품을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에폭시 당량(EEW)는 187 g/eq였고, 아민 당량을 동일하게 하여 실온에서 두 물질을 혼합한 후 범용 컨벡션 오븐에서 가열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DDM을 경화제로 사용한 시스템의 경화 온도는 130℃, 경화 시간은 1시간, DDS를 경화제로 사용한 시스템의 경화 온도는 190℃, 경화 시간은 2시간이었다.
시험예 2 : 비스페놀 A의 디글리시딜에테르 경화물의 물성
비스페놀 A의 디글리시딜 에테르 경화물 2종류의 유리전이온도는 시차주사열량계, 분해온도는 열중량분석기, 열전도도는 열전도도측정기로 조사하였고, 측정 결과를 표 7에 나타냈다. 4,4'-디아미노디페닐메탄 경화물의 유리전이온도는 144℃, 10% 중량감소온도는 364℃, 열전도도는 0.24 W/m·K, DDS 경화물의 유리전이온도는 174℃, 10% 중량감소온도는 404℃, 열전도도는 0.27 W/m·K를 나타냈다. 실시예 1~3과 비교할 때, 비교예 1의 경화물은 유리전이온도가 다소 높고, 분해온도에서는 큰 차이가 없으나, 열전도도는 상당히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표 3]
Figure pat00010
비교예 2 : 4,4'-디글리시딜옥시바이페닐 경화물 제조
바이페놀을 출발 물질로, 염기 존재 하에 에피클로로히드린과의 반응을 통해 4,4'-디글리시딜옥시바이페닐 에폭시를 합성하였다. 염기 당량의 조절을 통해 올리고머 형태로 제조하였고, 에폭시 당량은 190 g/eq였다. 합성한 4,4'-디글리시딜옥시바이페닐 에폭시는 아민 당량을 동일하게 하여 실온에서 고체 상태인 두 물질을 분쇄 혼합한 후, 핫프레스 몰딩 방법을 이용하여 경화물을 제조하였다. 4,4'-디아미노디페닐메탄을 경화제로 사용한 시스템의 경화 온도는 130℃, 경화 시간은 1시간, 4,4'-디아미노디페닐 술폰을 경화제로 사용한 시스템의 경화 온도는 190℃, 경화 시간은 2시간이었다.
시험예 3 : 4,4'-디글리시딜옥시바이페닐 경화물의 물성
4,4'-디글리시딜옥시바이페닐 경화물 2종류의 유리전이온도는 시차주사열량계, 분해온도는 열중량분석기, 열전도도는 열전도도측정기로 조사하였고, 측정 결과를 표 8에 나타냈다. DDM 경화물의 유리전이온도는 160℃, 10% 중량감소온도는 356℃, 열전도도는 0.30 W/m·K, DDS 경화물의 유리전이온도는 208℃, 10% 중량감소온도는 393℃, 열전도도는 0.34 W/m·K를 나타냈다. 실시예 1~3과 비교할 때, 비교예 1의 경화물은 강직한 구조로 인해 유리전이온도가 높고, 분해온도 역시 다소 높았으나, 열전도도는 상당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표 4]
이상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5)

  1. 4'-(알릴옥시)-[1,1'-바이페닐]-4-올을 아르곤 치환 후, 트리에틸아민(triethylamine) 및 무수 클로로포름(anhydride chloroform)을 첨가하여 균일 용액(Ⅲ-1)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조된 균일 용액(Ⅲ-1)에 (C6 내지 C10) 알킬디오일 디클로라이드를 점적한 후 정제하여 하기 화학식 Ⅲ-A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합성하는 단계;
    상기 합성된 화학식 Ⅲ-A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무수 클로로포름 ( anhydride chloroform)을 첨가하여 균일 용액(Ⅲ-2)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조된 균일 용액(Ⅲ-2)에 메타-클로로페록시벤조산(meta-Chloroperoxybenzoic acid, m-CPBA)을 첨가 후 정제하여 하기 화학식 (Ⅲ)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학식 (Ⅲ)으로 표시되는 다작용기성 에폭시 화합물의 제조방법 :
    [화학식 Ⅲ-A]
    Figure pat00012

    (상기 식에서, n은 4 내지 8 범위의 정수에서 선택됨)

    [화학식 (Ⅲ)]
    Figure pat00013

    (상기 식에서, n은 4 내지 8 범위의 정수에서 선택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Ⅲ)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50 내지 80 ℃ 범위의 온도에서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식 (Ⅲ)으로 표시되는 다작용기성 에폭시 화합물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Ⅲ)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클로로포름의 존재 하에서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식 (Ⅲ)으로 표시되는 다작용기성 에폭시 화합물의 제조방법.
  4. 제1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화학식 (Ⅲ)로 표시되는 상기 화합물을 경화제와 반응시켜 수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된 에폭시 수지 경화물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제는 4,4'-디아미노디페닐메탄(DDM), 디아미노디페닐술폰(DDS), m-페닐렌디아민(mPDA) 및 디시안디아미드(DICY)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된 에폭시 수지 경화물 제조방법.
KR1020230110216A 2021-04-27 2023-08-23 에폭시 수지 경화물 제조방법 KR1026610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0216A KR102661076B1 (ko) 2021-04-27 2023-08-23 에폭시 수지 경화물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162A KR102534225B1 (ko) 2021-04-27 2021-04-27 복수의 액정 코어를 갖는 다작용기성 에폭시 화합물과 이로부터 제조된 경화물
KR1020230047799A KR102627938B1 (ko) 2021-04-27 2023-04-11 복수의 액정 코어를 갖는 다작용기성 에폭시 화합물과 이로부터 제조된 경화물
KR1020230110216A KR102661076B1 (ko) 2021-04-27 2023-08-23 에폭시 수지 경화물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7799A Division KR102627938B1 (ko) 2021-04-27 2023-04-11 복수의 액정 코어를 갖는 다작용기성 에폭시 화합물과 이로부터 제조된 경화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7186A true KR20230127186A (ko) 2023-08-31
KR102661076B1 KR102661076B1 (ko) 2024-04-25

Family

ID=83848659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4162A KR102534225B1 (ko) 2021-04-27 2021-04-27 복수의 액정 코어를 갖는 다작용기성 에폭시 화합물과 이로부터 제조된 경화물
KR1020230047799A KR102627938B1 (ko) 2021-04-27 2023-04-11 복수의 액정 코어를 갖는 다작용기성 에폭시 화합물과 이로부터 제조된 경화물
KR1020230110216A KR102661076B1 (ko) 2021-04-27 2023-08-23 에폭시 수지 경화물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4162A KR102534225B1 (ko) 2021-04-27 2021-04-27 복수의 액정 코어를 갖는 다작용기성 에폭시 화합물과 이로부터 제조된 경화물
KR1020230047799A KR102627938B1 (ko) 2021-04-27 2023-04-11 복수의 액정 코어를 갖는 다작용기성 에폭시 화합물과 이로부터 제조된 경화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24515128A (ko)
KR (3) KR102534225B1 (ko)
WO (1) WO2022231172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8228A (ko) * 2013-03-28 2014-10-08 전자부품연구원 유연기를 갖는 액정성 에폭시 화합물 및 제조방법
KR102152597B1 (ko) 2018-12-07 2020-09-0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고열전도성 고분자 복합 소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2171222B1 (ko) 2018-08-17 2020-10-2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고열전도성 고분자 복합체 및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84148B2 (ja) * 2005-02-25 2012-11-28 Jnc株式会社 放熱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770229B2 (ja) * 2005-03-29 2011-09-14 住友化学株式会社 エポキシ化合物およびエポキシ樹脂硬化物
CN107003577B (zh) * 2014-10-08 2021-06-25 日产化学工业株式会社 液晶取向膜制造用组合物、使用其的液晶取向膜、液晶表示元件及其制造方法
CN105505401B (zh) * 2016-02-26 2018-09-04 江苏和成新材料有限公司 聚合性液晶组合物及其应用
KR102065718B1 (ko) * 2017-10-17 2020-02-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액정 배향막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소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8228A (ko) * 2013-03-28 2014-10-08 전자부품연구원 유연기를 갖는 액정성 에폭시 화합물 및 제조방법
KR102171222B1 (ko) 2018-08-17 2020-10-2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고열전도성 고분자 복합체 및 제조방법
KR102152597B1 (ko) 2018-12-07 2020-09-0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고열전도성 고분자 복합 소재 및 그 제조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hemical Research in Toxicology, Vol. 27, pp. 1002-1010(2014.05.15.)*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7260A (ko) 2022-11-03
KR102627938B1 (ko) 2024-01-23
KR102534225B1 (ko) 2023-05-17
JP2024515128A (ja) 2024-04-04
KR102661076B1 (ko) 2024-04-25
WO2022231172A1 (ko) 2022-11-03
KR20230054631A (ko) 2023-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ora et al. Vanillin-derived amines for bio-based thermosets
Na et al.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novel fluorinated epoxy resins cured with 4-trifluoromethyl phenylbenzimidazole for application in electronic materials
JPH04217675A (ja) エポキシ樹脂、その製造方法及びエポキシ樹脂組成物
Chen et al.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cardanol containing tetra-functional fluorene-based benzoxazine resin having two different oxazine ring structures
TWI410429B (zh) 自Benzoxazine衍生之磷系雙酚、其環氧樹脂半固化物、其環氧樹脂固化物及其製造方法
Hou et al. A facile conversion of a bio-based resveratrol to the high-performance polymer with high Tg and high char yield
WO2019240099A1 (ja) ベンゾオキサジン化合物及びベンゾオキサジン樹脂
CN104193986B (zh) 可固化的聚醚醚酮及其制备和应用
JPS60142973A (ja) アミノフエノールのトリグリシジル化合物
KR102661076B1 (ko) 에폭시 수지 경화물 제조방법
JP6160777B2 (ja) エポキシ樹脂、その製造方法、エポキシ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硬化物
Lin et al.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liquid crystalline epoxy resins to study the effect of mesogenic length on the physical properties
WO2022267730A1 (zh) 一类分子玻璃的合成方法及其作为高频低介电常数材料的应用
CN107216442A (zh) 一种低线性膨胀系数的环氧树脂及其制备方法
KR101298539B1 (ko) 새로운 열경화성 시아네이트 화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
Zheng et al. Structure and properties of novel epoxy resins containing naphthalene units and aliphatic chains
TWI733824B (zh) 多環芳香族胺苯酚化合物及樹脂組成物的製造方法、上述多環芳香族胺苯酚化合物、樹脂組成物、及硬化物
JP3897281B2 (ja) エポキシ樹脂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
EP3680268B1 (en) Epoxy resin, epoxy resin composition, epoxy resin cured product, and composite material
CN101899014B (zh) 2,4-二(4-甲羧基苯基)-6-苯基-1,3,5-三嗪及其衍生物和制备方法
EP3696208A1 (en) Epoxy resin, epoxy resin composition, epoxy resin cured product, and composite material
KR20240030146A (ko) 방열 소재용 액정성 에폭시 수지 조성물 및 이의 경화물
WO2013033955A1 (zh) 含苯并环丁烯官能团的苯并噁嗪单体及其合成方法和应用
KR20220139234A (ko) 열방성 액정 구조를 갖는 화합물 및 이의 폴리에틸렌글리콜 중합체
Oh et al. A facile synthetic route to novel thermotropic liquid crystalline polymers and characterization of their mesopha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