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6843A - 도장 장치 - Google Patents

도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6843A
KR20230126843A KR1020220024135A KR20220024135A KR20230126843A KR 20230126843 A KR20230126843 A KR 20230126843A KR 1020220024135 A KR1020220024135 A KR 1020220024135A KR 20220024135 A KR20220024135 A KR 20220024135A KR 20230126843 A KR20230126843 A KR 202301268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t
painting
unit
roller
insertion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4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6256B1 (ko
Inventor
남택근
김상원
김지환
나윤환
고광민
조승권
Original Assignee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24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6256B1/ko
Publication of KR20230126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68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6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62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2Rollers ; Hand tools comprising coating rollers or coating endless belts
    • B05C17/03Rollers ; Hand tools comprising coating rollers or coating endless belts with feed system for supplying material from an external source or with a reservoir or container for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outside the coating roller
    • B05C17/0333Rollers ; Hand tools comprising coating rollers or coating endless belts with feed system for supplying material from an external source or with a reservoir or container for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outside the coating roller with pum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11/1002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 B05C11/1007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11/1013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sponsive to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11/1002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 B05C11/1026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Nozzle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료가 저장된 용기와, 도료를 펌핑하는 펌핑부와, 펌핑부에 연결되어 펌핑된 도료를 적어도 둘 이상으로 분기시켜 이송하는 도료 이송부와, 도료 이송부로부터 공급받은 도료를 이용하여 도색을 수행하는 도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장 장치{APPARATUS FOR PAINTING}
본 발명은 용기에 저장된 도료를 펌핑하여 적어도 둘 이상으로 분기시켜 이송시키고, 이송된 도료를 공급받은 도장부를 이용하여 도장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도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을 건조하는 경우 선박의 각각의 블록(block)을 용접하기 전 용접면에서 일정한 거리를 비워두고 선박의 각 블록에 대하여 도장 작업을 실시하게 되며, 선박의 각 블록을 연결시키는 용접 등의 작업이 완료된 이후, 용접선 및 모서리 부분에 대해서는 롤러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일일이 도장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롤러를 이용하여 위와 같은 선박 블록의 용접선 및 모서리부에 대한 도장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접근이 어려운 구역이 많아 도장 작업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또한, 작업자가 도장 작업을 위해서 롤러를 도료의 용기에 담가 도료를 묻힌 후 도장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데, 롤러에 묻혀지는 도료의 양이 적어 1회의 도료 묻힘으로 도장을 수행할 수 있는 도장면이 매우 협소하여 반복적으로 도료를 묻혀야 하기 때문에 작업의 효율이 떨어지며, 작업자의 피로도 또한,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더불어 선박이 건조된 이후 선체 외판 및 선체 내부는 부식 방지와 미관상 선내 승조원이 지속적으로 도장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데 철판의 굴곡부와 좁은 공간에 기존의 롤러를 사용하여 작업할 경우 작업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2020-0057983 A KR 10-1130631 B1
본 발명은 펌핑부에 의해 도료를 이송시켜 도장부에 공급할 수 있는 도장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료 이송부에 의해 도료를 적어도 둘 이상으로 분기시켜 도장부의 양측으로 공급할 수 있는 도장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료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는 도장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료의 불순물을 거를 수 있는 도장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롤러에 도료를 고르게 공급할 수 있는 도장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롤러 및 삽입체의 개방된 양측으로 도료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도장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장부를 회전 가능하도록 도료 이송부와 연결시킬 수 있는 도장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용기와 공기 공급부를 연결시키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도장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장 장치는 도료가 저장된 용기와, 상기 도료를 펌핑하는 펌핑부와, 상기 펌핑부에 연결되어 펌핑된 상기 도료를 적어도 둘 이상으로 분기시켜 이송하는 도료 이송부와, 상기 도료 이송부로부터 공급받은 상기 도료를 이용하여 도색을 수행하는 도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료 이송부는 상기 펌핑부와 연결되는 흡입관과, 상기 흡입관을 통해 공급받은 상기 도료를 양측으로 분기시켜 공급하는 분기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료 이송부는 상기 도장부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분기관의 분기된 양측과 상기 도장부를 연결하는 제 1 및 제 2 베어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료 이송부는 상기 흡입관 상에 설치되어 상기 도료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료 이송부는 상기 흡입관 상에 설치되어 상기 도료의 불순물을 거르는 필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장부는 양측이 개방되고 내부 공간이 형성된 롤러와, 상기 롤러의 양측 개방 부위에 결합되어 상기 도료 이송부로부터 공급받은 상기 도료를 상기 롤러의 내부 공간에 분사하는 제 1 및 제 2 분사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장부는 상기 롤러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고 복수개의 홀이 형성되고 양측이 개방된 삽입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분사체는 상기 삽입관의 양측 개방 부위에 결합되어 상기 삽입관의 내부에 상기 도료를 분사하여 상기 복수개의 을 통해 방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장부는 상기 삽입관의 양측 개방 부위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삽입관의 양측 개방 부위를 밀폐시키는 제 1 및 제 2 결합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분사체는 상기 제 1 및 제 2 결합체의 중심 부분에 각각 결합되되, 상기 삽입관의 내측 부분으로 일부 돌출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펌핑부는 상기 용기 내부에 압력을 가하는 가압 수단과, 상기 도료 이송부와 연결되어 상기 용기 내부에 압력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도료를 상기 도료 이송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용기는 공기 공급부와 연결되는 커넥터를 구비하며, 상기 도장 장치는 상기 커넥터를 통해 연결된 공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압축 공기를 이용하여 상기 용기의 내부 및 도료 이송부의 내부에 잔존하는 도료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펌핑부에 의해 도료를 이송시켜 도장부에 공급함으로써, 도장 작업 시 도장부에 반복적으로 제한된 양의 도료를 묻히는 동작을 수행할 필요가 없어 작업 효율을 상승시키고 도장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료 이송부를 통해 도료를 적어도 둘 이상으로 분기시켜 도장부의 양측으로 공급함으로써, 롤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롤러의 중앙 뿐만 아니라 양측 가장자리에도 도료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료 이송부에 밸브를 형성함으로써, 도장부에 공급되는 도료의 공급량을 조절하여 도장부에 과도한 양의 도료가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료 이송부에 필터부를 형성함으로써, 도장부에 공급되는 도료의 불순물을 걸러 분사체의 분사구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며, 도장부의 손잡이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롤러의 내부에 복수개의 홀이 형성된 삽입체를 삽입 결합함으로써, 롤러의 회전 시 삽입체 내부에 분사된 도료가 롤러에 고르게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롤러 및 삽입체의 개방된 양측에 각각 결합체를 탈착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롤러 및 삽입체의 세척 및 교체가 용이하고 롤러 및 삽입체의 개방된 양측으로 도료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장부의 제 1 및 제 2 분사체와 도료 이송부의 분기관을 베어링으로 결합함으로써, 도장부가 도료 이송부로부터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용기와 공기 공급부를 연결시키는 커넥터를 포함으로써, 공기 공급부에서 용기의 내부로 공급된 압축 공기를 이용하여 용기 내부에 남아있는 도료를 외부로 배출하는 세척 작업과 도장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장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장부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장부와 분기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장부와 분기관의 연결부위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여서는 안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도장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장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장부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장부와 분기관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장부와 분기관의 연결부위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장 장치는 도료를 저장하는 용기(100), 도료를 펌핑하는 펌핑부(200), 펌핑된 도료를 이송하는 도료 이송부(300), 도료를 이용하여 도장 작업을 수행하는 도장부(4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용기(100)에는 내부에 도료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용기(100)는 용기(100)의 내부에 도료를 투입시킬 수 있는 투입구(110)와, 사용자의 등에 멜 수 있는 어깨끈(120)과, 도장부(400)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미도시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펌핑부(200)는 용기(100) 및 도료 이송부(300)의 사이에 연결되어 용기(100)의 내부에 저장된 도료를 펌핑하여 도료 이송부(300)로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펌핑부(200)는 도료를 펌핑하는 가압 수단(210), 펌핑된 도료를 배출하는 배출구(2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가압 수단(210)은 용기(100)의 내부에 압력을 가하여 펌핑부(200)를 동작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압 수단(210)은 반복적인 피스톤 동작과 같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용기(100) 내부에 공기를 수동으로 공급하여 압력을 가함으로써, 용기(100)의 내부에 저장된 도료를 펌핑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압 수단(210)이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다른 예로서 외부의 기기, 예컨대 컴프레셔와 연결되고 컴프레셔의 구동에 따라 공급되는 압축 공기에 의해 용기(100) 내부를 가압시켜 도료를 펌핑시킬 수도 있다.
배출구(220)는 도료 이송부(300)와 연결되어 용기(100)의 내부에 압력이 가해짐에 따라 펌핑된 도료를 도료 이송부(300)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배출구(220)는 도료 이송부(300)의 흡입관(310)의 일측부와 연결될 수 있다.
도료 이송부(300)는 펌핑부(200)에 의해 펌핑된 도료를 적어도 둘 이상으로 분기시켜 도장부(400)로 이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료 이송부(300)는 펌핑된 도료를 이송하는 흡입관(310), 도료를 분기시켜 도장부(400)에 공급하는 분기관(3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흡입관(310)은 일측부가 배출구(220)와 연결되고 타측부가 분기관(320)과 연결되어 배출구(220)를 통해 배출되는 도료를 분기관(320)에 이송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흡입관(310)은 플렉서블한 소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도장부(400)의 이동성을 보장할 수 있다.
분기관(320)은 흡입관(310)을 통해 공급받은 도료를 양측으로 분기시켜 도장부(400)에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분기관(320)은 흡입관(310)과 도장부(400)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분기관(320)의 분기된 양측 부분은 도장부(400)의 양측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기관(320)의 분기된 양측 부분의 끝단에는 도장부(400)의 제 1 및 제 2 분사체(422, 424)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분기관(320)의 분기된 양측 부분은 롤러(410)의 중심 부분을 향하도록 꺾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도장 장치의 도료 이송부(300)는 흡입관(310) 상에 설치되어 도료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밸브(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밸브(330)가 흡입관(310)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흡입관(310) 및 분기관(320)의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330)는 전자식 밸브, 수동식 밸브 등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도장체(400)의 롤러(410)에 스며든 도료의 양에 따라 밸브(330)를 조작하여 펌핑부(200)의 동작 시 도장체(400)에 공급되는 도료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장 장치의 도료 이송부(300)는 흡입관(310) 상에 설치되어 도료의 불순물을 거르는 필터부(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필터부(340)가 흡입관(310)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흡입관(310) 및 분기관(320)의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필터부(340)는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장부(400)는 도료 이송부(300)로부터 공급받은 도료를 이용하여 도색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장부(400)는 회전함에 따라 도장면에 도색을 수행하는 롤러(410), 공급받은 도료를 분사하는 제 1 및 제 2 분사체(422, 42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롤러(410)는 양측이 개방되고 내부 공간을 구비한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롤러(410)의 재질은 합성섬유, 스펀지, 양털 등일 수 있다.
한편, 롤러(410)의 개방된 양측에는 롤러(410)의 내부 공간에 도료를 분사하는 제 1 및 제 2 분사체(422, 424)가 결합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분사체(422, 424)는 롤러(410)의 양측 개방 부위에 결합되어 도료 이송부(300)로부터 공급받은 도료를 롤러(410)의 내부 공간에 분사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분사체(422, 424)의 일단에는 도료를 양측으로 분기시켜 공급하는 분기관(320)의 양측 부분이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분사체(422, 424)의 타단에는 도료 이송부(300)를 통해 공급된 도료를 롤러(410)에 분사하는 제 1 및 제 2 분사구(426, 428)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및 제 2 분사구(426, 428)는 롤러(41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장 장치의 도장부(400)는 롤러(410)의 내부 공간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삽입관(4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삽입관(430)은 양측이 개방되고 내부 공간을 구비한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삽입관(430)은 롤러(410)의 회전 시 롤러(410)의 형태를 유지시켜 줄 수 있다.
또한, 삽입관(430)에는 복수개의 홀(43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삽입관(430)의 내부에 분사된 도료는 도장부(400)의 회전 시 복수개의 홀(432)을 통과하여 롤러(410)의 내부에 고르게 묻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장 장치의 제 1 및 제 2 분사체(422, 424)는 롤러(410)의 내부에 형성된 삽입관(430)의 양측 개방 부위에 결합되어 삽입관(430)의 내부 공간에 도료를 분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 1 및 제 2 분사체(422, 424)에서 분사된 도료는 삽입관(430)에 형성된 복수개의 홀(432)을 지나 롤러(410)에 분사될 수 있다.
이때, 제 1 및 제 2 분사체(422, 424)의 타단에 형성된 제 1 및 제 2 분사구(426, 428)는 삽입관(43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장 장치의 도장부(400)는 삽입관(430)의 양측 개방 부위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삽입관(430)의 양측 개방 부위를 밀폐시키는 제 1 및 제 2 결합체(442, 4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결합체(442)는 롤러(410)의 내부 공간에 형성된 삽입관(430)의 좌측 개방 부위에 결합되어 좌측 개방 부위를 밀폐시키고, 제 2 결합체(444)는 롤러(410)의 내부 공간에 형성된 삽입관(430)의 우측 개방 부위에 결합되어 우측 개방 부위를 밀폐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제 1 및 제 2 결합체(442, 444)는 삽입관(430)의 내부에 분사된 도료가 삽입관(430)에 형성된 복수개의 홀(432)이 아닌 삽입관(430)의 개방된 양측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 1 및 제 2 분사체(442, 444)는 제 1 및 제 2 결합체(442, 444)의 중심 부분에 각각 결합되되, 삽입관(430)의 내측 부분으로 일부 돌출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및 제 2 분사체(442, 444)의 일단 및 타단의 일부가 제 1 및 제 2 분사체(442, 444)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되, 분기관(320)의 양측 부분과 각각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분사체(442, 444)의 일단은 삽입관(430)의 외측 부분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고, 제 1 및 제 2 분사구(426, 428)가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분사체(442, 444)의 타단은 삽입관(430)의 내측 부분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료 이송부(300)의 분기관(320)은 도장부(40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도료 이송부(300)와 도장부(400)를 연결하는 제 1 및 제 2 베어링(12, 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베어링(12, 14)은 내륜(15), 외륜(17), 구름 부재(1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베어링(12)의 내륜(15)은 제 1 분사체(422)의 일부와 결합되고, 제 2 베어링(14)의 내륜(15)은 제 2 분사체(424)의 일부와 결합되어 도장부(400)의 회전 시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베어링(12, 14)의 외륜(17)은 롤러(410)의 중심 부분을 향하도록 꺾인 분기관(320)의 분기된 양측 부분의 끝단과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베어링(12, 14)의 구름 부재(19)는 복수개의 볼, 롤러, 니들 등으로 구성되며, 내륜(15) 및 외륜(17)의 사이에 위치되어 도장부(400)의 회전 시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베어링(12, 14)은 도장부(400)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축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도장부(400)의 롤러(410)는 제 1 및 제 2 베어링(12, 14)에 의해 도장부(400)에 도료를 공급하는 도료 이송부(300)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롤러(410)에는 제 1 분사체(422), 제 2 분사체(424), 삽입관(430), 제 1 결합체(442) 및 제 2 결합체(444)가 결합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롤러(410)의 회전 시 롤러(410)뿐만 아니라 제 1 분사체(422), 제 2 분사체(424), 삽입관(430) 제 1 결합체(442) 및 제 2 결합체(444)도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장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선박 등의 외장 도색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장 장치의 용기(100)는 공기 공급부(500)와 연결되는 커넥터(1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공기 공급부(500)는 압축 공기를 공급하여 용기(100) 내부를 가압시켜 도료를 펌핑시키는 가압 수단(210)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커넥터(130)는 용기(100)와 공기 공급부(500)를 연결하되, 공기 공급부(500)에서 용기(100)로 공급되는 압축 공기의 압력을 조절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장 장치는 커넥터(130)를 통해 연결된 공기 공급부(500)로부터 공급되는 압축 공기를 이용하여 용기(100)의 내부 및 도료 이송부(300)의 내부에 잔존하는 도료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표현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용기 110 : 투입구
120 : 어깨끈 130 : 커넥터
200 : 펌핑부 210 : 가압 수단
220 : 배출구 300 : 도료 이송부
310 : 흡입관 320 : 분기관
330 : 밸브 340 : 필터부
400 : 도장부 410 : 롤러
422 : 제 1 분사체 424 : 제 2 분사체
426 : 제 1 분사구 428 : 제 2 분사구
430 : 삽입관 432 : 홀
442 : 제 1 결합체 444 : 제 2 결합체
12 : 제 1 베어링 14 : 제 2 베어링
500 : 공기 공급부

Claims (10)

  1. 도료가 저장된 용기(100)와,
    상기 도료를 펌핑하는 펌핑부(200)와,
    상기 펌핑부(200)에 연결되어 펌핑된 상기 도료를 적어도 둘 이상으로 분기시켜 이송하는 도료 이송부(300)와,
    상기 도료 이송부(300)로부터 공급받은 상기 도료를 이용하여 도색을 수행하는 도장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료 이송부(300)는,
    상기 펌핑부(200)와 연결되는 흡입관(310)과,
    상기 흡입관(310)을 통해 공급받은 상기 도료를 양측으로 분기시켜 공급하는 분기관(3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료 이송부(300)는,
    상기 도장부(40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분기관(320)의 분기된 양측과 상기 도장부(400)를 연결하는 제 1 및 제 2 베어링(12, 1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료 이송부(300)는,
    상기 흡입관 상에 설치되어 상기 도료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밸브(3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료 이송부(300)는,
    상기 흡입관 상에 설치되어 상기 도료의 불순물을 거르는 필터부(3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장부(400)는,
    양측이 개방되고 내부 공간이 형성된 롤러(410)와,
    상기 롤러(410)의 양측 개방 부위에 결합되어 상기 도료 이송부(300)로부터 공급받은 상기 도료를 상기 롤러(410)의 내부 공간에 분사하는 제 1 및 제 2 분사체(422, 4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도장부(400)는,
    상기 롤러(410)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고 복수개의 홀(432)이 형성되고 양측이 개방된 삽입관(43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분사체(422, 424)는,
    상기 삽입관(430)의 양측 개방 부위에 결합되어 상기 삽입관(430)의 내부에 상기 도료를 분사하여 상기 복수개의 홀(432)을 통해 방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도장부(400)는,
    상기 삽입관(430)의 양측 개방 부위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삽입관(430)의 양측 개방 부위를 밀폐시키는 제 1 및 제 2 결합체(442, 444)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분사체(422, 424)는,
    상기 제 1 및 제 2 결합체(442, 444)의 중심 부분에 각각 결합되되, 상기 삽입관(430)의 내측 부분으로 일부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부(200)는,
    상기 용기(100) 내부에 압력을 가하는 가압 수단(210)과,
    상기 도료 이송부(300)와 연결되어 상기 용기(100) 내부에 압력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도료를 상기 도료 이송부(300)로 배출시키는 배출구(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100)는,
    공기 공급부(500)와 연결되는 커넥터(130)를 구비하며,
    상기 도장 장치는,
    상기 커넥터를 통해 연결된 공기 공급부(500)로부터 공급되는 압축 공기를 이용하여 상기 용기의 내부 및 도료 이송부의 내부에 잔존하는 도료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 장치.
KR1020220024135A 2022-02-24 2022-02-24 도장 장치 KR1026262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4135A KR102626256B1 (ko) 2022-02-24 2022-02-24 도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4135A KR102626256B1 (ko) 2022-02-24 2022-02-24 도장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6843A true KR20230126843A (ko) 2023-08-31
KR102626256B1 KR102626256B1 (ko) 2024-01-16

Family

ID=87847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4135A KR102626256B1 (ko) 2022-02-24 2022-02-24 도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625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85357A (ja) * 1985-02-13 1986-08-19 Kimurashin Kk ロ−ラ−式塗装装置
JPH05309313A (ja) * 1992-05-06 1993-11-22 Yoshimori Katou 塗料放出口がある塗装刷毛及び塗装用ローラー
KR101130631B1 (ko) 2009-09-14 2012-04-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도장 장치
CN108970927A (zh) * 2018-07-28 2018-12-11 重庆科技学院 桥墩刷漆用出漆压力可调式刷漆器
KR20200057983A (ko) 2018-11-19 2020-05-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자동 도포 기능을 지닌 도장용 롤러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85357A (ja) * 1985-02-13 1986-08-19 Kimurashin Kk ロ−ラ−式塗装装置
JPH05309313A (ja) * 1992-05-06 1993-11-22 Yoshimori Katou 塗料放出口がある塗装刷毛及び塗装用ローラー
KR101130631B1 (ko) 2009-09-14 2012-04-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도장 장치
CN108970927A (zh) * 2018-07-28 2018-12-11 重庆科技学院 桥墩刷漆用出漆压力可调式刷漆器
KR20200057983A (ko) 2018-11-19 2020-05-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자동 도포 기능을 지닌 도장용 롤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6256B1 (ko) 2024-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43953T3 (es) Sistema de recirculacion de pintura.
JPS63175662A (ja) 吹付け塗装器
US20210308712A1 (en) Pressure-fed accessories adapter for an airless spray gun
CN106545149B (zh) 涂刷装置
CN110250142B (zh) 带自清洁功能的喷雾器
US5415352A (en) Spray system manifold apparatus and method
JP2007152194A (ja) 塗料供給装置
KR20230126843A (ko) 도장 장치
CN103096991B (zh) 用来过滤液体的喷枪过滤器及其应用
JP2000064238A (ja) 超高圧水,高圧エアー併用洗浄車
US1104582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coating operations
WO201807597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coating operations
CN208554732U (zh) 一种高效涂料的喷涂机
CN111266225A (zh) 一种多介质旋转供料装置及使用方法
US10155235B2 (en) System and method for filling tanks on a customized paint vehicle
JP2001079812A (ja) 木質材塗装機及び木質材の製造方法
JPS5826028Y2 (ja) 多液エアレス塗装装置
CN214637491U (zh) 一种喷枪与喷涂装置
CN217491288U (zh) 用于环保配件上漆的喷涂装置
CN210522846U (zh) 一种防堵塞型手压便携式喷漆枪
EP4043107B1 (en) Spray system with rotating cover
KR20180131786A (ko) 고점도 액체의 현장 도포 건
CN207370312U (zh) 喷头结构以及喷枪
JPS6024421Y2 (ja) 静電塗装機の洗浄装置
JP2008000649A (ja) ユニットタイプのスプレ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