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3053A - 스크레이퍼가 장착된 열전사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스크레이퍼가 장착된 열전사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3053A
KR20230123053A KR1020220019063A KR20220019063A KR20230123053A KR 20230123053 A KR20230123053 A KR 20230123053A KR 1020220019063 A KR1020220019063 A KR 1020220019063A KR 20220019063 A KR20220019063 A KR 20220019063A KR 20230123053 A KR20230123053 A KR 202301230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drum
scraper
circumferential surface
fabric
thermal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9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순태
이상민
이혜진
Original Assignee
(주) 경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경일테크 filed Critical (주) 경일테크
Priority to KR1020220019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3053A/ko
Publication of KR20230123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305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6/00Transfer printing apparatus
    • B41F16/0006Transfer printing apparatus for printing from an inked or preprinted foil or band
    • B41F16/0093Attachments or auxiliar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6/00Transfer printing apparatus
    • B41F16/0006Transfer printing apparatus for printing from an inked or preprinted foil or band
    • B41F16/002Presses of the rotary type
    • B41F16/0026Presses of the rotary type with means for applying print under heat and pressure, e.g. using heat activable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6/00Transfer printing apparatus
    • B41F16/02Transfer printing apparatus for textil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33/00Indicating, counting, warning, control or safety devices
    • B41F33/04Tripping devices or stop-mo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사지와 원단을 히팅드럼으로부터 분리하는 스크레이퍼가 장착된 열전사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원주면에 밀착하며 적층된 원단과 전사지를 가열하는 히팅드럼; 상기 원단과 전사지를 히팅드럼의 원주면에 안착되도록 인입하는 인입롤러와, 상기 히팅드럼의 원주면을 타고 이동한 원단과 전사지를 인출하며 인입롤러의 상부에 배치되는 인출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히팅드럼의 원주면에 안착된 원단과 전사지를 순환 구조의 벨트로 가압하는 밀착기구;로 구성된 열전사 어셈블리에 있어서, 선단이 상기 인출롤러와 인입롤러 사이의 원주면 부분에 접촉하게 설치되어서, 상기 인출롤러를 통해 인출되는 전사지와 원단을 히팅드럼의 원주면에서 외측으로 가이드하는 스크레이퍼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크레이퍼가 장착된 열전사 어셈블리{HEAT TRANSFER ASSEMBLY WITH SCRAPER}
본 발명은 전사지와 원단을 히팅드럼으로부터 분리하는 스크레이퍼가 장착된 열전사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손수건이나 옷감 같은 직물지는 각양각색의 도안류를 주로 전사방식에 의하여 인쇄를 하고 있다. 이러한 전사방식은 특정 도안 및 사진 등이 입혀진 전사지를 인쇄대상이 되는 원단(섬유) 위에 올려놓은 다음 적정온도로 가열된 히팅드럼으로 전사지와 원단을 밀착되게 가압한 상태에서 일 방향으로 이동시켜 전사지상의 도안이 원단으로 옮겨지도록 한 인쇄방식이다. 따라서, 도 1(종래 열전사 어셈블리에서 전사지와 원단이 히팅드럼으로부터 분리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과 같이 현장에서는 전사지(P)를 열전사 어셈블리(A)에 구성되는 히팅드럼(10)의 원주면에 밀착시킨 후에 원단(F)을 전사지(P) 상에 적층하고, 필요한 경우 원단(F)의 뒷면을 받쳐 보호함과 동시에 날염 효과를 보조하는 언더페이퍼(UP)를 적층했다.
전사를 수행하는 전사인쇄장치(이하 '전사기')의 열전사 어셈블리(A)는 히팅드럼(10)과 밀착기구(30)로 구성된다. 여기서 밀착기구(20)는, 히팅드럼(10)의 전방, 하부, 상부, 후방에 각각 설치되는 인입롤러(21), 인출롤러(22), 다수의 아이들롤러(24) 등을 구성하고, 외측면은 히팅드럼(10)의 원주면을 감싸고 내주면은 인입롤러(21), 인출롤러(22), 다수의 아이들롤러(24)의 외주면에 접동되게 설치되는 벨트(25)를 구성한다. 전사지(P)와 원단(F)은 히팅드럼(10)과 벨트(25) 사이에 적층하도록 공급하여 전사 공정이 이루어진다. 참고로, 밀착기구(20)는 벨트(25)가 장력을 유지하며 전사지(P)와 원단(F)을 가압하도록 텐션롤러(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텐션롤러(23)의 설치 구조는 이미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그런데 전사 작업 초기에 전사지(P)와 원단(F)을 히팅드럼(10)의 원주면에 부착시켜 인입롤러(21) 사이에 삽입하면, 적층된 전사지(P)와 원단(F)은 히팅드럼(10)의 회전을 따라 이동하면서 텐션롤러(23)와 인출롤러(22)를 차례로 거쳐 외부로 인출된다. 이 과정에서 히팅드럼(10)의 원주면에 부착된 전사지(P)와 원단(F)을 강제로 분리하지 않으면, 전사지(P)와 원단(F)은 히팅드럼(10)의 원주면을 타고 이동하면서 히팅드럼(10)과 인입롤러(21) 사이로 다시 인입되어 감기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전사지(P)와 원단(F)을 히팅드럼(10)과 인입롤러(21) 사이에 삽입한 후에 작업자가 대기하면서 인출롤러(22)를 통해 외부로 인출된 전사지(P)와 원단(F)을 히팅드럼(10)으로부터 수작업으로 강제 분리했고, 전사지(P)와 원단(F)을 각각의 리와인더(미도시함)에 연결해서 회수되도록 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방식은 작업자의 작업 능력에 의해 작업의 정확성과 안정성이 좌우되므로, 히팅드럼(10)에서 전사지(P)와 원단(F)을 분리하는 공정은 경력있는 작업자에 의존해 이루어질 수밖에 없었다. 더욱이 본 작업은 고온의 히팅드럼(10)에 접근한 작업이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성도 높아서 미숙한 작업자는 물론 해당 공정의 경력자라도 그날의 작업 현장 상황과 작업자의 개인 컨디션에 따라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경우가 빈번했다.
따라서 작업자의 경력과 컨디션 등에 상관없이 전사 방식의 인쇄 작업 중 히팅드럼(10)에서 전사지(P)와 원단(F)을 안정하고 안전하게 분리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이 시급히 요구되었다.
선행기술문헌 1. 특허공개번호 제10-2004-0095471호(2004.11.15 공개)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전사 작업 초기에 전사지와 원단 각각의 전단을 히팅드럼의 원주면으로부터 들어내면서도 히팅드럼의 원주면 훼손을 줄이는 스크레이퍼가 장작된 열전사 어셈블리의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원주면에 밀착하며 적층된 원단과 전사지를 가열하는 히팅드럼; 상기 원단과 전사지를 히팅드럼의 원주면에 안착되도록 인입하는 인입롤러와, 상기 히팅드럼의 원주면을 타고 이동한 원단과 전사지를 인출하며 인입롤러의 상부에 배치되는 인출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히팅드럼의 원주면에 안착된 원단과 전사지를 순환 구조의 벨트로 가압하는 밀착기구;로 구성된 열전사 어셈블리에 있어서,
선단이 상기 인출롤러와 인입롤러 사이의 원주면 부분에 접촉하게 설치되어서, 상기 인출롤러를 통해 인출되는 전사지와 원단을 히팅드럼의 원주면에서 외측으로 가이드하는 스크레이퍼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레이퍼가 장착된 열전사 어셈블리.
상기의 본 발명은, 스크레이퍼의 선단이 하방으로 회전해 내려오는 히팅드럼의 원주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되므로 작업자의 수작업 없이도 히팅드럼으로부터 원단과 전사지를 손쉽게 분리할 수 있고, 전사 작업 초기에 전사지와 원단 등을 히팅드럼의 원주면에서 들어낸 이후에는 스크레이퍼의 선단을 히팅드럼의 원주면으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으므로 전사 작업 중 스크레이퍼와 히팅드럼 간의 원주면 마찰을 최소화해서 히팅드럼의 훼손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 열전사 어셈블리에서 전사지와 원단이 히팅드럼으로부터 분리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열전사 어셈블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열전사 어셈블리에 구성된 스크레이퍼의 일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열전사 어셈블리에서 전사지와 원단을 분리하기 위한 스크레이퍼의 동작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열전사 어셈블리에 구성된 스크레이퍼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열전사 어셈블리에서 전사지와 원단을 분리하기 위한 스크레이퍼의 동작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열전사 어셈블리의 푸셔 구조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열전사 어셈블리에 구성된 스크레이퍼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내용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열전사 어셈블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열전사 어셈블리에 구성된 스크레이퍼의 일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열전사 어셈블리(A)는, 원주면에 밀착하며 적층된 원단(F)과 전사지(P)를 가열하는 히팅드럼(10)과, 원단(F)과 전사지(P)를 순환 구조의 벨트(25)로 가압하는 밀착기구(20)로 구성된 열전사 어셈블리(A)에 있어서, 밀착기구(20)는, 전사지(P)와 원단(F)이 히팅드럼(10)과의 사이로 인입되도록 회전하는 인입롤러(21)와, 히팅드럼(10)의 원주면을 타고 이동한 전사지(P)와 원단(F)이 히팅드럼(10)과의 사이에서 하방으로 인출되도록 인입롤러(21)의 상부에서 회전하는 인출롤러(22)를 포함하고; 인출롤러(22)를 통해 하방으로 인출되는 전사지(P)와 원단(F)을 히팅드럼(10)의 원주면에서 들어내도록, 선단이 히팅드럼(10)의 원주면에 접촉하게 설치된 스크레이퍼(3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전사 어셈블리(A)에 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주지된 바와 같이, 열전사 어셈블리(A)는 전사 방식에 의한 원단(F) 인쇄를 위해서 원단(F)에 전사지(P)를 적층하고, 전사지(P)가 히팅드럼(10)의 원주면에 밀착하도록 배치한다. 히팅드럼(10)은 회전축(11)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원단(F)과 전사지(P)를 가열하고, 원단(F)과 전사지(P)는 히팅드럼(10)의 둘레에 배치되는 밀착기구(20)에 의해 가압되어서 인쇄 효과를 높인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밀착기구(20)는 벨트(25)가 인입롤러(21)와 인출롤러(22)와 다수의 아이들롤러(24) 등을 따라 히팅드럼(10)의 원주면을 감싸게 되므로, 히팅드럼(10)의 원주면 상에 적층된 전사지(P)와 원단(F)을 가압한다. 여기서 인입롤러(21)는 전사지(P)와 원단(F)이 히팅드럼(10)과의 사이로 인입되도록 회전하고, 인출롤러(22)는 히팅드럼(10)의 원주면을 타고 이동한 전사지(P)와 원단(F)이 히팅드럼(10)과의 사이에서 하방으로 인출되도록 인입롤러(21)의 상부에 배치되어 회전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히팅드럼(10)의 우측에 인입롤러(21)와 인출롤러(22)가 상하로 배치되어서, 상부에 배치된 인출롤러(22)와 히팅드럼(10) 사이로부터 전사지(P)와 원단(F)이 히팅드럼(10)의 원주면을 따라 하방으로 인출되는 것이다. 히팅드럼(1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도 인입롤러(21)와 인출롤러(22)는 히팅드럼(10)의 좌측에 배치되고, 인출롤러(22)는 인입롤러(21)의 상부에 배치된다.
스크레이퍼(30)는 인출롤러(22)와 히팅드럼(10) 사이에서 인출되는 전사지(P)와 원단(F)을 히팅드럼(10)의 원주면에서 들어내도록, 선단이 히팅드럼(10)의 원주면에 접촉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 예에서 스크레이퍼(30)는 히팅드럼(10)의 회전축(11)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연결바아(31)와, 상기 선단을 이루도록 연결바아(31)에 돌출하게 설치된 나이프(33)를 포함한다. 따라서 연결바아(31)에 설치된 나이프(33)의 선단은 히팅드럼(10)의 원주면을 횡단하게 접촉하므로, 히팅드럼(10)의 원주면을 타고 이동하는 전사지(P)와 원단(F)은 나이프(33)의 선단과 접하면서 원주면으로부터 들어내지며 분리된다. 전사지(P)와 원단(F)이 스크레이퍼(30)에 의해 분리되면 작업자는 원단(F)과 전사지(P)를 각각의 해당 리와인더에 연결해서, 히팅드럼(10)을 경유한 전사지(P)와 원단(F)의 회수가 이루어게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스크레이퍼(30)의 연결바아(31)는 히팅드럼(10)과 나란하도록 설치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히팅드럼(10)은 회전축(11)을 매개로 회전축 연결대(미도시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스크레이퍼(30)의 연결바아(31)는 양측단이 회전축 연결대(미도시함)에 설치된다. 여기서 연결바아(31)는 회전축 연결대와의 연결을 위해서 양측단에 연결브래킷(32)이 각각 구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 스크레이퍼(30)의 나이프(33)는, 히팅드럼(10)의 원주면에 접촉하는 상기 선단을 이루는 내열성 부재(33a)와, 내열성 부재(33a)가 형상과 자세를 유지하도록 내열성 부재(33a)의 상면 또는 상,하면을 덮어 지지하면서 연결바아(31)에 고정하는 고정브래킷(33b)을 포함한다. 내열성 부재(33a)는 내열성 합성섬유인 노멕스(NOMEX)로 제작할 수 있으나, 이외에도 히팅드럼(10)의 원주면의 스크래치를 최소화하면서도 내열성을 갖는 재질이라면 특정 자재에 한정하지 않는다. 연결브래킷(32)은 내열성 부재(33a)에서 히팅드럼(10)의 원주면과 접하는 선단이 노출되도록 덮어 보호하며, 상기 선단이 회전하는 히팅드럼(10)에 의해 말리지 않으며 제 형상을 유지하도록 지지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열전사 어셈블리에서 전사지와 원단을 분리하기 위한 스크레이퍼의 동작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스크레이퍼(30)는 히팅드럼(10)과 인출롤러(22) 사이에서 인출된 전사지(P)와 원단(F)을 히팅드럼(10)의 원주면에서 들어내기 위해 구성되므로, 히팅드럼(10)의 원주면에서 원단(F) 및 전사지(P)가 접하지 않는 구간, 즉 인입롤러(21)와 인출롤러(22) 사이에 배치된다. 그런데 스크레이퍼(30)는 비교적 얇은 두께의 전사지(P)와 원단(F)을 히팅드럼(10)의 원주면으로부터 들어내야 하므로 스크레이퍼(30)의 선단이 히팅드럼(10)의 원주면과 접촉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원단(F)과 전사지(P)가 히팅드럼(10)의 원주면으로부터 분리된 이후에 스크레이퍼(30)의 선단이 히팅드럼(10)의 원주면과 접촉 상태를 유지하면 회전 중인 히팅드럼(10)의 원주면은 스크레이퍼(30)의 선단과 마찰하면서 스크래치가 발생하거나 마모될 수 있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열전사 어셈블리(A)의 스크레이퍼(30')는 도 4의 (b)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레이퍼(30')의 선단, 즉 나이프(33)의 선단이 히팅드럼(10)의 원주면과 착탈하도록 연결바아(31)가 회전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해 연결바아(31)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히팅드럼(10)과 나란하게 회전한다. 본 실시 예에서 연결바아(31)의 양측단에 구성된 연결브래킷(32)은 상기 회전축 연결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이를 위해 연결브래킷(32)에는 상기 회전축 연결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축대(32a)가 연결브래킷(32)에서 연결바아(31)의 회전축에 해당하는 위치에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열전사 어셈블리(A)는 나이프(33)의 선단이 히팅드럼(10)의 원주면과 착탈하도록 연결바아(31)가 회전하게 설치되므로, 나이프(33)의 선단이 히팅드럼(10)의 원주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히팅드럼(10)과 인입롤러(21) 사이에 전사지(P)와 원단(F)을 인입하고 히팅드럼(10)을 회전시키면, 히팅드럼(10)의 원주면 상에 얹혀진 전사지(P)와 원단(F)이 히팅드럼(10)의 회전을 따라 함께 이동하면서 인출롤러(22)를 통해 인출된다. 이 과정에서 나이프(33)의 선단은 히팅드럼(10)의 원주면을 긁으면서 원주면의 표면에 묻은 각종 이물질을 청소한다. 이후, 전사지(P)와 원단(F)은 인출롤러(22)를 통해 인출되고, 도 4의 (a)도면과 같이 나이프(33)의 선단에 의해 전사지(P)와 원단(F)이 히팅드럼(10)의 원주면으로부터 분리되어 각각의 리와인더에 연결된다. 아울러 작업자는 나이프(33)의 선단이 히팅드럼(10)의 원주면으로부터 이탈하도록 연결바아(31)를 회전시킨다. 결국, 본 실시 예의 스크레이퍼(30)는 인쇄 중에는 나이프(33)의 선단이 히팅드럼(10)의 원주면에 접촉하지 않으므로, 히팅드럼(10)의 원주면 손상을 최소화하고 수명을 연장한다.
본 실시 예에서 연결바아(31)의 회전은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이외에도 연결축대(32a) 자체에 회전 동력을 가하거나 연결바아(31)를 직접 가압해서 연결바아(31)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할 수도 있다. 연결바아(31)의 회전축 자체에 회전 동력을 가하는 방식의 경우, 도 8(본 발명에 따른 열전사 어셈블리에 구성된 스크레이퍼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과 같이 모터(37)의 전동축을 연결바아(31)의 회전축이 연장해 이루어진 연결축대(32a)에 연결해서, 제어부(50)의 제어에 따라 모터(37)가 동작하면 전동축의 회전방향에 맞춰 연결축대(32a)가 회전하고, 이에 따라 연결바아(31)가 회전한다. 본 실시 예에서 모터(37)의 전동축이 연결축대(32a)에 직접 연결된 것으로 도시했으나, 별도의 기어를 매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모터(37)는 단순히 회전하는 일반모터일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스태핑 모터가 활용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열전사 어셈블리에 구성된 스크레이퍼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열전사 어셈블리에서 전사지와 원단을 분리하기 위한 스크레이퍼의 동작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열전사 어셈블리의 푸셔 구조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열전사 어셈블리(A)의 스크레이퍼(30")는 연결바아(31)의 회전을 위해서 연결바아(31)를 가압하는 푸셔(36)를 더 포함한다. 푸셔(36)는 나이프(33)의 선단이 히팅드럼(10)의 원주면으로부터 이탈하도록, 연결축대(32a), 즉 연결바아(31)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나이프(33)의 위치에 대향하는 위치를 가압한다. 따라서 푸셔(36)에 의해 가압된 연결바아(31)는 연결축대(32a)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나이프(33)의 선단이 히팅드럼(10)의 원주면으로부터 이탈한다.
본 실시 예에서 연결바아(31)는 일측단 또는 양측단에 서포트(38)가 편향한 위치에 돌출되고, 푸셔(36)는 서포트(38)를 가압한다. 서포트(38)는 회전축 연결대를 관통하게 돌출되고, 상기 회전축 연결대를 관통한 서포트(38)를 가압하도록 푸셔(36)는 회전축 연결대의 외면에 설치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서포트(38)의 노출 위치와 푸셔(36)의 배치 위치는 본 예시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푸셔(36)는 플런저(36a)가 서포트(38)를 가압하도록 플런저(36a)를 왕복시키는 실린더 구조일 수 있다. 따라서 나이프(33)의 선단을 히팅드럼(10)의 원주면으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해서 플런저(36a)가 밀리도록 실린더 구조의 푸셔(36)의 유압 또는 기압을 높이면, 플런저(36a)는 실린더 구조의 푸셔(36)로부터 강제 인출되면서 서포트(38)를 가압하게 되고, 연결바아(31)는 상기 가압을 통해 연결축대(32a)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나이프(33)의 선단이 히팅드럼(10)의 원주면으로부터 이탈한다. 이후, 실린더 구조의 푸셔(36)의 유압 또는 기압이 낮아지면 서포트(38)를 지지하는 플런저(36a)는 제 위치로 복귀하고, 이를 따라 서포트(38)의 가압이 소멸하면서 연결바아(31)는 제 위치로 복귀한다. 즉, 연결바아(31)는 자중에 의해 연결축대(32a)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나이프(33)의 선단이 히팅드럼(10)의 원주면에 접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결바아(31)의 연결축대(32a), 즉 회전축이 편향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푸셔(36)의 가압으로 나이프(33)의 선단이 히팅드럼(10)의 원주면으로부터 이탈한 상태에서 연결바아(31)에 대한 푸셔(36)의 가압이 소멸하면, 연결바아(31)는 자중에 의해 회전하면서 나이프(33)의 선단이 히팅드럼(10)의 원주면에 접촉한다.
본 실시 예에서 실린더 구조의 푸셔(36)는 유압 또는 기압에 의해 동작하며, 이에 대한 제어는 별도 제어부(50)의 제어를 통해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열전사 어셈블리(A)는 푸셔(36)의 구동을 위한 조작으로 입력신호를 발생시키는 입력부(40)와, 상기 입력신호에 대응해서 나이프(33)의 선단이 히팅드럼(10)의 원주면으로부터 이탈하도록 푸셔(36)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50)를 더 포함한다. 결국, 작업자는 히팅드럼(10)과 인출롤러(22) 사이로 인출된 전사지(P)와 원단(F)을 각각의 리와인더에 연결하고 입력부(40)를 조작하면, 입력부(40)의 입력신호를 수신한 제어부(50)는 지정 프로세스에 따라 푸셔(36)를 동작시켜서 나이프(33)의 선단이 히팅드럼(10)의 원주면으로부터 이탈하도록 한다.
인쇄 작업 완료 후 히팅드럼(10)의 회전이 정지하면, 제어부(50)는 입력부(40)의 조작에 의한 입력신호 또는 설정 프로세스에 따라 연결바아(31)에 대한 가압이 소멸하도록 푸셔(36)를 제어한다. 결국, 연결바아(31)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자중에 의해 회전하면서 나이프(33)의 선단이 히팅드럼(10)의 원주면에 접촉한다.
본 실시 예에서 플런저(36a)의 단부가 서포트(38)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닿아서 연결바아(31)의 회전에 따른 서포트(38)의 위치 변화에도 플런저(36a)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게 했으나, 이외에도 도 7과 같이 플런저(36a)의 단부가 서포트(38)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플런저(36a)가 삽탈하는 푸셔(36) 본체 또한 회전축 연결대에 회전축대(36b)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서 서포트(38)의 위치 변화에 따라 플런저(36a)와 서포트(38) 간의 연결 각도와 푸셔(36) 본체의 설치 각도가 조정되도록 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해 설명했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히팅드럼 11 : 회전축 20 : 밀착기구
21 : 인입롤러 22 : 인출롤러 23 : 텐션롤러
24 : 아이들롤러 25 : 벨트 30,30',30' : 스크레이퍼
31 : 연결바아 32 : 연결브래킷 32a : 연결축대
33 : 나이프 33a : 내열성 부재 33b : 고정브래킷
36 : 푸셔 36a : 플런저 37 : 모터
38 : 서포트 A : 열전사 어셈블리 F : 원단
P : 전사지 UP : 언더페이퍼

Claims (11)

  1. 원주면에 밀착하며 적층된 원단과 전사지를 가열하는 히팅드럼; 상기 원단과 전사지를 히팅드럼의 원주면에 안착되도록 인입하는 인입롤러와, 상기 히팅드럼의 원주면을 타고 이동한 원단과 전사지를 인출하며 인입롤러의 상부에 배치되는 인출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히팅드럼의 원주면에 안착된 원단과 전사지를 순환 구조의 벨트로 가압하는 밀착기구;로 구성된 열전사 어셈블리에 있어서,
    선단이 상기 인출롤러와 인입롤러 사이의 원주면 부분에 접촉하게 설치되어서, 상기 인출롤러를 통해 인출되는 전사지와 원단을 히팅드럼의 원주면에서 외측으로 가이드하는 스크레이퍼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레이퍼가 장착된 열전사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이퍼는,
    상기 히팅드럼의 회전축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연결바아와, 상기 선단을 이루도록 연결바아에 돌출하게 설치된 나이프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레이퍼가 장착된 열전사 어셈블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나이프의 선단이 히팅드럼의 원주면과 착탈하도록, 상기 연결바아가 히팅드럼과 나란하게 회전하도록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레이퍼가 장착된 열전사 어셈블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아가 회전하도록 연결바아를 가압하는 푸셔가 더 포함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레이퍼가 장착된 열전사 어셈블리.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아가 회전하도록 연결바아의 회전축에 회전 동력을 가하는 모터가 더 포함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레이퍼가 장착된 열전사 어셈블리.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아는 일측단 또는 양측단에 서포트가 편향한 위치에 돌출되고;
    상기 푸셔는 서포트를 가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레이퍼가 장착된 열전사 어셈블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는 플런저가 서포트를 가압하도록 플런저를 왕복시키는 실린더 구조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레이퍼가 장착된 열전사 어셈블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는 서포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플런저가 삽탈하는 푸셔 본체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레이퍼가 장착된 열전사 어셈블리.
  9. 제 4 항,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의 가압이 소멸하면 나이프의 선단이 자중에 의해 히팅드럼의 원주면에 접촉하도록 연결바아의 회전축이 편향하게 배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레이퍼가 장착된 열전사 어셈블리.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의 구동을 위한 조작으로 입력신호를 발생시키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신호에 대응해서 나이프의 선단이 히팅드럼의 원주면으로부터 이탈하도록 푸셔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레이퍼가 장착된 열전사 어셈블리.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나이프는,
    상기 히팅드럼의 원주면에 접촉하는 선단을 이루는 내열성 부재와, 상기 내열성 부재가 형상과 자세를 유지하도록 내열성 부재의 상면 또는 상,하면을 덮어 지지하면서 연결바아에 고정하는 고정브래킷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레이퍼가 장착된 열전사 어셈블리.
KR1020220019063A 2022-02-14 2022-02-14 스크레이퍼가 장착된 열전사 어셈블리 KR202301230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9063A KR20230123053A (ko) 2022-02-14 2022-02-14 스크레이퍼가 장착된 열전사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9063A KR20230123053A (ko) 2022-02-14 2022-02-14 스크레이퍼가 장착된 열전사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3053A true KR20230123053A (ko) 2023-08-23

Family

ID=87848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9063A KR20230123053A (ko) 2022-02-14 2022-02-14 스크레이퍼가 장착된 열전사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305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5471A (ko) 2003-05-09 2004-11-15 이지희 수지인쇄에 의한 필름 제조방법 및 그 필름의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5471A (ko) 2003-05-09 2004-11-15 이지희 수지인쇄에 의한 필름 제조방법 및 그 필름의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9264B1 (ko) 하이브리드 전사기
KR20230123053A (ko) 스크레이퍼가 장착된 열전사 어셈블리
JP6230188B2 (ja) 加圧装置
KR101825144B1 (ko) 연동장치와 이를 갖춘 하이브리드 전사기
US10946638B2 (en) Hybrid transfer machine
EP3489020B1 (en) A unit for thermosetting printed fabrics
KR101165025B1 (ko) 텍스타일 프린터의 원단 장력 조절장치
KR101687111B1 (ko) 라미네이팅 장치
JP2009527434A (ja) 画像形成用機械のための給送システム
EP0860293B1 (en) Stencil sheet discharge device of rotary printer having ink contamination protector
JP3311541B2 (ja) 孔版印刷方法及び孔版印刷装置
US6520078B1 (en) Stencil printing machine
KR101968314B1 (ko) 작업성이 향상된 하이브리드 전사기
KR101968315B1 (ko) 작업이 편리한 하이브리드 전사기
JP2000263907A (ja) 印刷画像左右位置調節機構を備えた版胴式印刷装置
US6477947B2 (en) Stencil printing apparatus
JP5110976B2 (ja) 熱入れ装置
JP2578788Y2 (ja) 給紙装置操作パネル
JP3477343B2 (ja) 輪転機折り部の紙引き装置
JP2006227370A (ja) 定着装置
US6769359B2 (en) Paper-web holding apparatus for rotary printing press
JP3884522B2 (ja) 印刷機のインキ壺装置
KR200431217Y1 (ko) 잉크가 인쇄된 원단 발색기용 권취롤러승강장치
IT201800007832A1 (it) Pressa per la decorazione di lastre mediante sublimazione
JP2022072909A (ja) ウエブ巻取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