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8314B1 - 작업성이 향상된 하이브리드 전사기 - Google Patents

작업성이 향상된 하이브리드 전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8314B1
KR101968314B1 KR1020190017884A KR20190017884A KR101968314B1 KR 101968314 B1 KR101968314 B1 KR 101968314B1 KR 1020190017884 A KR1020190017884 A KR 1020190017884A KR 20190017884 A KR20190017884 A KR 20190017884A KR 101968314 B1 KR101968314 B1 KR 101968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transfer
roller
tissue
moun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7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9981A (ko
Inventor
정순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일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일테크
Priority to KR1020190017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8314B1/ko
Publication of KR20190019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99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8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8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6/00Transfer printing apparatus
    • B41F16/02Transfer printing apparatus for textil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3/00Cylinder presses, i.e. presses essentially comprising at least one cylinder co-operating with at least one flat type-bed
    • B41F3/46Details
    • B41F3/58Driving, synchronising, or control gear
    • B41F3/60Driving, synchronising, or control gear for type-beds
    • B41F3/62Applications of linkwork or gearing for producing reciprocatory or angular motion
    • B41F3/64Applications of linkwork or gearing for producing reciprocatory or angular motion of crank mo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7/00Rotary lithographic machines
    • B41F7/20Details
    • B41F7/24Damping devices
    • B41F7/26Damping devices using transfer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lo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Decoration By Transfer Pi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성이 향상된 하이브리드 전사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 제1구동수단; 열전사유닛; 피스방식용 롤러대; 제2구동수단; 제3구동수단; 및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초기세팅작업시 본체에 형성된 출입구를 통해 작업자가 내부로 들어가 작업을 진행할 수 있고, 전사지와 원단 및 티슈를 본체에 내설된 컨베이어를 통해 쉽게 이송해 줄 수 있기 때문에 전사지와 원단 및 티슈를 연결하는 초기세팅작업이 보다 편리하면서도 쉬워지며, 이에 따라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됨은 물론 세팅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작업성이 보다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작업성이 향상된 하이브리드 전사기{Hybrid transfer machine}
본 발명은 롤방식과 피스방식을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초기세팅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작업성이 향상된 하이브리드 전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손수건이나 옷감 같은 직물지는 각양각색의 도안류를 주로 전사인쇄방식에 의하여 인쇄를 하고 있다.
이러한 전사인쇄방식은 특정 도안 및 사진 등이 입혀진 전사지를 인쇄대상이 되는 원단(섬유) 위에 올려놓은 다음 적정온도로 가열된 히팅롤러로 전사지와 원단(섬유)을 밀착되게 가압한 상태에서 일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서 전사지상의 도안이 원단(섬유)으로 옮겨지도록 한 인쇄방식이다.
일반적으로 전사인쇄장치는 히팅롤러의 전방, 하부, 상부, 후방에 각각 공급롤러, 텐션롤러, 배출롤러, 다수의 아이들롤러를 설치하고, 벨트 외측면은 히팅롤러의 원주를 감싸고 내주면은 공급롤러, 텐션롤러, 배출롤러, 다수의 아이들롤러의 외주면에 접동되게 설치하며, 전사지와 원단(섬유)을 히팅롤러와 벨트 사이에 적층공급하여 전사인쇄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전사인쇄장치는 크게 롤방식과 피스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롤방식은 원단과 전사지가 자동으로 연속해서 공급되는 방식이고, 피스방식은 전사지는 자동으로 공급이 되나 원단은 낱장으로 공급되는 방식이다.
그런데 종래에는 이와 같은 롤방식과 피스방식의 전사기를 모두 별도로 구매해야 했기 때문에 운용비용이 늘어날 수밖에 없었고, 두 대가 모두 한 공간상에 배치됨에 따라 공간활용성이 크게 떨어질 수밖에 없었다.
한편, 종래의 전사기의 경우 외부에서 좁은 틈을 통해 전사지와 티슈 및 원단을 연결해야 했기 때문에 초기세팅작업시 작업이 상당히 불편했을 뿐만 아니라 세팅시간도 상당히 길어져 작업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근본적인 문제가 있었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59619호(하이브리드 전사기/2017.05.3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롤방식과 피스방식을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초기세팅작업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작업성이 향상된 하이브리드 전사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공급용 전사지드럼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드럼설치부와, 공급용 원단드럼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드럼설치부, 및 작업자가 내부로 들어가 작업할 수 있도록 출입구가 형성된 제1바디와, 제1바디에 인접배치되며 외부 일측 하부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제3드럼설치부와 제4드럼설치부가 형성된 제2바디 및, 제1바디의 상면에 설치되어 제1바디와 제2바디를 상호 연결하는 작업대로 구성된 본체;
상기 공급용 원단드럼을 회전시켜 권취된 원단이 풀리도록 하는 제1구동수단;
상기 제2바디에 설치되어 작업대로부터 공급되는 원단과 전사지를 가압 및 가열하여 전사지의 인쇄물이 원단에 전사되도록 하는 열전사유닛;
상기 제2바디에 설치되어 열전사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사지를 제3드럼설치부로 안내하는 피스방식용 롤러대;
상기 제3드럼설치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권취용 전사지드럼을 회전시켜 전사지가 감기도록 하는 제2구동수단;
상기 제4드럼설치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권취용 원단드럼을 회전시켜 전사된 원단이 감기도록 하는 제3구동수단;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열전사유닛을 통과한 원단과 전사지를 제3·4드럼설치부로 이송시켜 주는 컨베이어;
상기 열전사유닛과 컨베이어 사이에 배치되되, 제1바디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전사지를 권취용 전사지드럼으로 안내하는 제1롤러;
상기 제2바디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열전사유닛으로부터 인출되는 전사지를 제1롤러로 안내하는 크랭크와, 상기 제2바디에 설치되어 크랭크를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액추에이터로 구성된 전사지가이드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2바디의 제4드럼설치부의 상부에는 순차적으로 권취용 티슈드럼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5드럼설치부와, 공급용 티슈드럼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6드럼설치부가 더 보강 구비되고;
상기 제5드럼설치부에는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권취용 티슈드럼을 회전시켜 티슈가 감기도록 하는 제4구동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초기세팅작업시 본체에 형성된 출입구를 통해 작업자가 내부로 들어가 작업을 진행할 수 있고, 전사지와 원단 및 티슈를 본체에 내설된 컨베이어를 통해 쉽게 이송해 줄 수 있기 때문에 전사지와 원단 및 티슈를 연결하는 초기세팅작업이 보다 편리하면서도 쉬워지며, 이에 따라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됨은 물론 세팅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작업성이 보다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도 1a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전사기에서 롤방식의 제1실시 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1b는 도 1a의 준비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전사기에서 롤방식의 제2실시 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2b는 도 2a의 준비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전사기에서 롤방식의 제3실시 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3b는 도 3a의 준비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전사기에서 피스방식의 제1실시 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4b는 도 4a의 준비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전사기에서 피스방식의 제2실시 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5b는 도 5a의 준비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전사기에서 피스방식의 제3실시 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6b는 도 6a의 준비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전사기는 롤방식과 피스방식의 전사가 모두 가능한 타입이므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먼저 롤방식을 설명하고, 후에 피스방식을 설명한다.
제1실시 예
도 1a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전사기에서 롤방식의 제1실시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준비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제1실시 예에 따른 롤방식의 하이브리드 전사기는, 본체(10)와 열전사유닛(20), 제1구동수단(40), 제2구동수단(50), 제3구동수단(60), 제4구동수단(70) 및 컨베이어(8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제1바디(11)와 제2바디(12) 및 작업대(13)로 구성되어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브리드 전사기의 전체적인 외관을 구성한다.
상기 제1바디(11)에는 공급용 전사지드럼(D1)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드럼설치부(11a)와, 공급용 원단드럼(D2)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드럼설치부(11b)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공급용 전사지드럼(D1)은 사용 전의 전사지(P)를 제공한다.
상기 제2드럼설치부(11b)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공급용 원단드럼(D2)은 제1구동수단(40)에 의해 회전되어 전사되기 전의 원단(F)을 제공한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상기 제1바디(11)에 작업자가 내부로 들어가서 작업할 수 있도록 출입구(11c)가 형성되어 있다는 점이며, 이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제2바디(12)는 제1바디(11)에 인접배치되어 내부가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며, 외부 일측(도 1a 및 도 1b를 기준으로 좌측) 하부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제3드럼설치부(12a)와 제4드럼설치부(12b), 제5드럼설치부(12c) 및 제6드럼설치부(12d)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제3드럼설치부(12a)에는 권취용 전사지드럼(D3)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제2구동수단(50)에 의해 회전됨으로서 전사를 마친 전사지(P)가 감기게 된다.
상기 제4드럼설치부(12b)에는 권취용 원단드럼(D4)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제3구동수단(60)에 의해 회전됨으로서 전사된 원단(F)이 감기게 된다.
상기 제5드럼설치부(12c)에는 권취용 티슈드럼(D6)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제4구동수단(70)에 의해 회전됨으로서 사용 후의 티슈(T)가 감기게 된다.
상기 제6드럼설치부(12d)에는 공급용 티슈드럼(D5)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 전의 티슈(T)를 제공한다.
참고로, 상기 제1바디(11)에 제2바디(12)를 맞대어 결합하게 되면 내부가 상호 연통된 구조를 이루게 된다.
상기 열전사유닛(20)은 히팅드럼(21)과 밀착기구(22) 및 제1구동풀리 구동수단(23)으로 구성되어 제2바디(12)에 내설되는 장치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히팅드럼(21)과 밀착기구(22) 사이로 인입된 전사지(P)와 원단(F) 그리고 티슈(T: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 있음)을 가압(압착)함과 동시에 열을 가하여 전사지(P)의 인쇄물이 원단(F)에 전사되도록 한 후 이를 배출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히팅드럼(21)은 내부에 히터(미도시)가 구비된 부재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제2바디(12)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밀착기구(22)는 히팅드럼(21)의 둘레에 인접배치되며 제1구동풀리 구동수단(23)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1구동풀리(22a)와, 제1종동풀리(22b) 그리고, 제1구동풀리(22a)와 제1종동풀리(22b)를 감싸 제1구동풀리(22a)로부터 동력을 제1종동풀리(22b)로 전달하며 히팅드럼(21)의 둘레면에 밀착되어 히팅드럼(21)을 회전시키는 제1벨트(22c)로 구성된다.
상기 제1구동풀리 구동수단(23)은 (서보)모터로서, 제1구동풀리(22a)와 연결수단(예:벨트, 체인 등)을 매개로 상호 연결되어 제1구동풀리(22a)를 구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제1구동풀리(22a)는 제1구동풀리 구동수단(23)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되고, 제1구동풀리(22a)의 회전으로 인해 제1구동풀리(22a)를 경유하는 제1벨트(22c)가 회전하며, 이로 인해 제1구동풀리(22a)와 제1벨트(22c)를 매개로 상호 연결된 제1종동풀리(22b)가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벨트(22c)가 회전함에 따라 제1벨트(22c)와 맞대어져 있는 히팅드럼(21) 역시 함께 회전하게 된다.
참고로, 상기 제1벨트(22c)와 히팅드럼(21) 사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제1종동풀리(22b)의 일부는 이동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종래처럼 제1구동풀리 구동수단(23)을 구동풀리(22a)와 연결하지 않고 히팅드럼(21)과 연결수단(예:벨트, 체인 등)을 매개로 상호 연결하여 히팅드럼(21)을 회전시켜 줌으로서 마찰력에 의해 벨트(22c)를 회전시키는 형태로 변형실시될 수도 있다.
이 밖에 상기 열전사유닛(20)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공지의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80)는 본체(10), 좀 더 명확하게는, 제2바디(12)에 내설되어 열전사유닛(20)의 하부에 배치되며, 열전사유닛(20)을 통해 인출된 전사지(P)와 원단(F) 및 티슈(T: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 있음)의 선단부를 작업자가 각각 제3·4·5드럼설치부(12a,12b,12c)에 설치할 수 있도록 근접위치까지 이송시켜 주는 기능을 한다.
상기 컨베이어(80)는 제2구동풀리 구동수단(84)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2구동풀리(81)와, 제2종동풀리(82) 그리고, 제2구동풀리(81)와 제2종동풀리(82)를 감싸 제2구동풀리(81)로부터의 동력을 제2종동풀리(82)로 전달하는 제2벨트(83)로 구성된다.
상기 제1실시 예(롤방식)의 전사지(P)와 원단(F) 및 티슈(T: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 있음)의 세팅작업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전사유닛(20)을 통해 전사지(P)와 원단(F) 및 티슈(T: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 있음)가 인출되고 있는 상태에서 제1바디(11)의 출입구(11c)를 통해 내부에 들어가 있는 작업자가 전사지(P)와 원단(F) 및 티슈(T: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 있음)의 선단부를 잡고 컨베이어(80) 상에 적재되도록 배치시켜 준다.
상기와 같이 배치된 상태에서 컨베이어(80)가 동작되면 제2벨트(83) 상에 얹혀진 전사지(P)와 원단(F) 및 티슈(T: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 있음)가 이송되어 제2바디(12)의 일측(도 1a 및 도 1b 기준으로 좌측)으로 이송되며, 작업자는 출입구(11c)를 통해 밖으로 빠져나와 전사지(P)와 원단(F) 및 티슈(T: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 있음)를 제3드럼설치부(12a)의 권취용 전사지드럼(D3)과 제4드럼설치부(12b)의 권취용 원단드럼(D4) 및 제5드럼설치부(12c)의 권취용 티슈드럼(D6)에 각각 감아 주면 된다.
계속해서, 상기 제1실시 예(롤방식)의 동작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세팅된 상태에서 동작버튼을 누르게 되면, 제1구동풀리 구동수단(23)에 의해 히터드럼(21)과 밀착기구(22)가 상호 맞대어진 상태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제2구동수단(50)에 의해 권취용 전사지드럼(D3)이 구동되면서 전사지(P)를 서서히 감게 되며, 이로 인해 공급용 전사지드럼(D1)이 회전하게 되면서 전사지(P)를 풀게 된다.
또한, 제1구동수단(40)에 의해 공급용 원단드럼(D2)이 구동되면서 공급용 원단드럼(D2)에 권취된 원단(F)이 풀리게 된다.
또한, 제3구동수단(60)에 의해 권취용 원단드럼(D4)이 구동되면서 원단(F)을 서서히 감게 되며, 이로 인해 풀려 있던 원단(F)은 롤러(도 1a 및 도 1b 참조)를 경유해 작업대(13)로 이송된다.
또한, 제4구동수단(70)에 의해 권취용 티슈드럼(D6)이 구동되면서 티슈(T)를 서서히 감게 되며, 이로 인해 공급용 티슈드럼(D5)이 회전하게 되면서 티슈(P)를 풀게 되며, 풀린 티슈(T)는 롤러(도 1a 및 도 1b 참조)를 경유해 열전사유닛(20)으로 이송된다.
상기 작업대(13)를 따라 이동하는 전사지(P)와 원단(F)은 열전사유닛(20)으로 진입하는 과정에 티슈(T)가 얹혀져 함께 이송되고, 진입된 전사지(P)와 원단(F) 및 티슈(T)는 히터드럼(21)과 밀착기구(22)에 의해 가압(압착) 및 가열됨에 따라 전사지(P)의 인쇄물이 원단(F)에 전사되며, 열전사유닛(20)을 통해 포개진 상태로 배출되는 전사지(P)와 원단(F) 및 티슈(T)는 특정지점(도 1a 및 도 1b 참조)에서 분리되어 전사지(P)는 권취용 전사지드럼(D3)에 권취되고, 원단(F)은 권취용 원단드럼(D4)에 권취되며, 티슈(T)는 권취용 티슈드럼(D6)에 각각 권취된다.
한편, 상기에서 언급된 공급용 티슈드럼(D5)과 권취용 티슈드럼(D6) 및 제4구동수단(70)은 필요에 따라 제1실시 예에서 제외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초기세팅작업시 본체(10)에 형성된 출입구(11c)를 통해 작업자가 내부로 들어가 전사지(P)와 원단(F) 및 티슈(T: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 있음)를 본체(10)에 내설된 컨베이어(80) 상에 얹혀줄 수 있고, 이와 같이 얹혀진 전사지(P)와 원단(F) 및 티슈(T: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 있음)를 컨베이어(80)를 매개로 편리하게 이송해 줄 수 있기 때문에 전사지(P)와 원단(F) 및 티슈(T: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 있음)를 각 권취용 드럼에 연결(설치)하는 작업이 보다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다.
제2실시 예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전사기에서 롤방식의 제2실시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준비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제2실시 예는 앞선 제1실시 예와 전반적인 구조는 동일하며, 다만 제1롤러(R1)와 제2롤러(R2:필요에 따라 제외될 수 있음)가 더 부가된다는 점만 상이하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제1롤러(R1)는 열전사유닛(20)과 컨베이어(80)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제1바디(1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열전사유닛(20)으로부터 인출되는 전사지(P)를 권취용 전사지드럼(D3)으로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제2롤러(R2)는 열전사유닛(20)과 컨베이어(80) 사이에 배치되되, 제1롤러(R1)보다 상대적으로 아래에 배치되며, 제1롤러(R1)로부터 전사지(P)를 전달받아 권취용 전사지드럼(D3)으로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참고로, 상기 제2롤러(R2)는 필요에 따라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열전사유닛(20)으로부터 전사지(P)와 원단(F) 및 티슈(T: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 있음)가 포개진 상태로 배출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포개진 상태로 장시간 이동되면, 전사지(P)의 종류에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 진동에 따른 전사지(P)와 원단(F)이 흔들리게 되면서 전사된 부분이 뭉그러지거나 이염되는 등의 불량이 발생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포개진 전사지(P)와 원단(F)이 눌어붙어 잘 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사지(P)만 제1롤러(R1)를 경유하도록 걸어 주게 되면, 열전사유닛(20)으로부터 전사지(P)와 원단(F) 및 티슈(T: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 있음)가 배출될 때에 자연스럽게 전사지(P)와 원단(F)이 서로 분리되므로 제품불량문제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제3실시 예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전사기에서 롤방식의 제3실시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준비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제3실시 예는 앞선 제2실시 예와 전반적인 구조는 동일하며, 다만 전사지가이드유닛(90)이 더 보강 구비된다는 점만 상이하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전사지가이드유닛(90)는 제2바디(12)에 회전가능하게 내설되어 열전사유닛(20)으로부터 인출되는 전사지(P)를 제1롤러(R1)로 안내하는 크랭크(91)와, 제2바디(12)에 설치되어 크랭크(91)를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액추에이터(92)로 구성된다.
상기 크랭크(91)는 중앙에 형성된 축을 중심으로 제2바디(12)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축을 중심으로 상부에는 전사지(P)를 가이드하는 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크랭크(91)의 축을 중심으로 하부에는 액추에이터(92)의 로드가 링크 연결되며, 로드의 전·후진에 의해 크랭크(91)가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롤러가 열전사유닛(20)에 근접배치되거나 열전사유닛(20)으로부터 이격배치되며, 이와 같이 열전사유닛(20)으로부터 롤러가 이격되게 배치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전사지(P)를 크랭크(91)의 롤러를 경유시켜 제1롤러(R1)에 걸어 줄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와 같이 전사지(P)를 크랭크(91)의 롤러를 경유하도록 설치해 주면 열전사유닛(20)으로부터 전사지(P)와 원단(F) 및 티슈(T: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 있음)가 포개진 상태로 배출됨과 동시에 전사지(P)와 원단(F)이 자연스럽게 분리됨에 따라 제품불량문제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크랭크(91)가 액추에이터(92)에 의해 회전되어 열전사유닛(20)의 히팅드럼(21)으로부터 이격되면, 히팅드럼(21)과 크랭크(91)의 롤러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기 때문에 작업자가 손쉽게 전사지(P)를 롤러에 걸어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세팅작업이 편리해 짐은 물론 화상의 위험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해 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반대로, 상기 크랭크(91)가 액추에이터(92)에 의해 회전되어 열전사유닛(20)의 히팅드럼(21)에 인접되게 배치되면 열전사유닛(20)으로부터 전사지(P)와 원단(F) 및 티슈(T: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 있음)가 포개진 상태로 배출됨과 동시에 전사지(P)와 원단(F)이 자연스럽게 신속분리됨에 따라 제품불량문제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계속해서,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전사기의 피스방식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실시 예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전사기에서 피스방식의 제1실시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준비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피스방식의 제1실시 예는 앞선 롤방식의 제1실시 예의 구성과 전반적으로 동일하며, 다만 피스방식용 롤러대(30)가 적용된다는 점만 상이하다.
상기 피스방식용 롤러대(30)는 제2바디(12)의 제4드럼설치부(12b)에 외팔보형태로 설치되어 열전사유닛(2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사지(P)를 제3드럼설치부(12a)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권취용 전사지드럼(D3)으로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일 예로서, 상기 열전사유닛(20)으로부터 전사지(P)와 낱장의 원단(F') 및 티슈(T: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 있음)가 포개진 상태로 배출되어 특정지점(도 4a 및 도 4b 참조)에서 분리되는데, 전사지(P)는 피스방식용 롤러대(30)를 경유하여 권취용 전사지드럼(D3)에 감기게 되고, 티슈(T: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 있음)는 권취용 티슈드럼(D6)에 감기게 된다.
이때, 상기 낱장의 원단(F')은 전사지(P)에 실려 이송되며, 이송된 낱장의 원단(F')은 피스방식용 롤러대(30)의 끝단에서 자연스럽게 분리되어 아래로 떨어지거나 작업자가 수작업을 통해 전사지(P)로부터 낱장의 원단(F')을 분리하게 된다.
즉, 상기 전사지(P)는 낱장의 원단(F')에 인쇄물이 전사되도록 하는 매개체이면서 동시에 낱장의 원단(F')을 운반하는 이송수단(컨베이어)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제1실시 예(피스방식)의 전사지(P)와 원단(F) 및 티슈(T: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 있음)의 세팅작업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전사유닛(20)을 통해 전사지(P) 및 티슈(T: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 있음)가 인출되고 있는 상태에서 제1바디(11)의 출입구(11c)를 통해 내부에 들어가 있는 작업자가 전사지(P) 및 티슈(T: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 있음)의 선단부를 잡고 컨베이어(80) 상에 적재되도록 배치시켜 준다.
상기와 같이 배치된 상태에서 컨베이어(80)가 동작되면 제2벨트(83) 상에 얹혀진 전사지(P) 및 티슈(T: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 있음)가 이송되어 제2바디(12)의 일측(도 4a 및 도 4b 기준으로 좌측)으로 이송되며, 작업자는 출입구(11c)를 통해 밖으로 빠져나와 전사지(P)는 피스방식용 롤러대(30)를 경유시켜 제3드럼설치부(12a)의 권취용 전사지드럼(D3)에 감아주고, 티슈(T: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 있음)는 제5드럼설치부(12c)의 권취용 티슈드럼(D6)에 감아 줌으로서 세팅작업이 완료된다.
계속해서, 상기 제1실시 예(피스방식)의 동작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세팅된 상태에서 동작버튼을 누르게 되면, 제1구동풀리 구동수단(23)에 의해 히터드럼(21)과 밀착기구(22)가 상호 맞대어진 상태로 회전하게 되고, 제2구동수단(50)에 의해 권취용 전사지드럼(D3)이 구동되면서 전사지(P)를 서서히 감게 되며, 이로 인해 공급용 전사지드럼(D1)이 회전하게 되면서 전사지(P)를 풀게 된다.
또한, 제4구동수단(70)에 의해 권취용 티슈드럼(D6)이 구동되면서 티슈(T: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 있음)를 서서히 감게 되며, 이로 인해 공급용 티슈드럼(D5)이 회전하게 되면서 티슈(P)를 풀게 되며, 풀린 티슈(T)는 롤러(도 4a 및 도 4b 참조)를 경유해 열전사유닛(20)으로 이송된다.
그리고 상기 작업대(13)를 따라 이동하는 전사지(P)의 상면으로 낱장(피스)의 원단(F')을 얹혀 함께 이동되도록 하며, 전사지(P)와 낱장(피스)의 원단(F') 및 티슈(T: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 있음)가 서로 포개진 상태로 열전사유닛(20)으로 진입하게 된다.
상기 열전사유닛(20)으로 진입된 전사지(P)와 낱장(피스)의 원단(F') 및 티슈(T: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 있음)는 히터드럼(21)과 밀착기구(22)에 의해 가압(압착) 및 가열됨에 따라 전사지(P)의 인쇄물이 낱장(피스)의 원단(F')에 전사되며, 전사지(P)와 낱장(피스)의 원단(F') 및 티슈(T: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 있음)는 열전사유닛(20)을 통해 포개진 상태로 배출되는 전사지(P)와 낱장의 원단(F') 및 티슈(T)는 특정지점(도 1a 및 도 1b 참조)에서 분리되어 전사지(P)는 피스방식용 롤러대(30)를 경유하여 제3드럼설치부(12a)의 권취용 전사지드럼(D3)에 감기게 되고, 티슈(T: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 있음)는 제5드럼설치부(12c)의 권취용 티슈드럼(D6)에 감기게 된다.
이때, 상기 낱장의 원단(F')은 전사지(P)에 실려 이송되며, 이송된 낱장의 원단(F')은 피스방식용 롤러대(30)의 끝단에서 자연스럽게 분리되어 아래로 떨어지거나 작업자가 수작업을 통해 전사지(P)로부터 낱장의 원단(F')을 분리하면 된다.
즉, 상기 전사지(P)는 낱장의 원단(F')에 인쇄물이 전사되도록 하는 매개체이면서 동시에 낱장의 원단(F')을 운반하는 이송수단(컨베이어)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 언급된 공급용 티슈드럼(D5)과 권취용 티슈드럼(D6) 및 제4구동수단(70)은 필요에 따라 제1실시 예에서 제외될 수 있다.
제2실시 예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전사기에서 피스방식의 제2실시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준비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제2실시 예는 앞서 언급한 제1실시 예와 전반적으로 구성이 동일하며, 다만 제3롤러(R3)가 더 보강 구비된다는 점만 상이하다.
상기 제3롤러(R3)는 작업대(13)에 인접되게 제1바디(1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열전사유닛(20)으로부터 인출되는 전사지(P)를 제1롤러(R1)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서, 상기 열전사유닛(20)으로부터 전사지(P)와 낱장(피스)의 원단(F') 및 티슈(T: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 있음)가 포개진 상태로 배출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포개진 상태로 장시간 이동되면, 전사지(P)의 종류에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 진동에 따른 전사지(P)와 낱장의 원단(F')이 흔들리게 되면서 전사된 부분이 뭉그러지거나 이염되는 등의 불량이 발생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포개진 전사지(P)와 낱장의 원단(F')이 눌어붙어 잘 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사지(P)만 제3롤러(R3)를 거쳐 제1롤러(R1)를 경유하도록 걸어 주게 되면, 열전사유닛(20)으로부터 전사지(P)와 낱장의 원단(F') 및 티슈(T: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 있음)가 배출될 때에 자연스럽게 전사지(P)와 낱장의 원단(F')이 서로 분리되므로 제품불량문제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전사지(P)는 제1롤러(R1)를 거쳐 피스방식용 롤러대(30)를 경유해 권취용 전사지드럼(D3)에 감기게 되는데, 이때 열전사유닛(20)으로부터 배출된 낱장의 원단(F')은 전사지(P)로 낙하되어 전사지(P)에 의해 이송되며, 이송된 낱장의 원단(F')은 피스방식용 롤러대(30)의 끝단에서 자연스럽게 분리되어 아래로 떨어져 수거된다.
제3실시 예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전사기에서 피스방식의 제3실시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준비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제3실시 예는 앞서 언급한 제2실시 예와 전반적으로 구성이 동일하며, 다만 제4롤러(R4)와 제5롤러(R5)가 더 보강 구비된다는 점만 상이하다.
상기 제4롤러(R4)는 제3롤러(R3)와 컨베이어(80) 사이에 배치되게 제1바디(1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제3롤러(R3)에 의해 안내된 전사지(P)를 권취용 전사지드럼(D3)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5롤러(R5)는 제3롤러(R3)와 제4롤러(R4) 사이에 배치되게 제1바디(1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열전사유닛(20)으로부터 인출되는 티슈(T)를 권취용 티슈드럼(D6)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서, 상기 열전사유닛(20)으로부터 전사지(P)와 낱장(피스)의 원단(F') 및 티슈(T)가 포개진 상태로 배출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포개진 상태로 장시간 이동되면, 전사지(P)의 종류에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 진동에 따른 전사지(P)와 낱장의 원단(F')이 흔들리게 되면서 전사된 부분이 뭉그러지거나 이염되는 등의 불량이 발생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포개진 전사지(P)와 낱장의 원단(F')이 눌어붙어 잘 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전사유닛(20)으로부터 배출된 전사지(P)를 제3롤러(R3)를 거쳐 제4롤러(R4)를 경유하도록 걸어 주고, 열전사유닛(20)으로부터 배출된 티슈(T)를 제5롤러(R5)를 경유하도록 걸어 주게 되면, 열전사유닛(20)으로부터 전사지(P)와 낱장의 원단(F') 및 티슈(T)가 배출될 때에 자연스럽게 전사지(P)와 낱장의 원단(F')이 서로 분리되므로 제품불량문제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전사지(P)는 제3롤러(R3) 및 제4롤러(R4)를 거쳐 권취용 전사지드럼(D3)에 감기게 되는데, 이때 낱장의 원단(F')은 제5롤러(R5)를 경유해 권취용 티슈드럼(D6)에 감기는 티슈(T)에 얹혀져 이송되다가 제5롤러(R5)에서 떨어져 전사지(P)에 얹혀지고, 얹혀진 낱장의 원단(F')은 전사지(P)에 얹혀져 이송되며, 이송된 낱장의 원단(F')은 피스방식용 롤러대(30)의 끝단에서 자연스럽게 아래로 떨어져 수거된다.
참고로 상기 티슈(T)는 원단(F) 또는 낱장의 원단(F')과 열전사유닛(20)의 제1벨트(22c) 사이에 배치되어 벨트(22c)가 오염(또는 이염)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데,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기능과 더불어서 낱장의 원단(F')을 전사지(P)로 이송시켜주는 기능을 겸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본체 11: 제1바디 12: 제2바디
11a,11b: 제1·2드럼설치부 11c: 출입구
12a,12b,12c,12d: 제3·4·5·6드럼설치부
13: 작업대 20: 열전사유닛 21: 히팅드럼
22: 밀착기구 22a: 제1구동풀리 22b: 제1종동풀리
22c: 제1벨트 23: 제1구동풀리 구동수단
30: 피스방식용 롤러대 40: 제1구동수단 50: 제2구동수단
60: 제3구동수단 70: 제4구동수단 80: 컨베이어
81: 제2구동풀리 82: 제2종동풀리 83: 제2벨트
84: 제2구동풀리 구동수단 R1,R2,R3,R4,R5: 제1·2·3·4·5롤러
D1: 공급용 전사지드럼 D2: 공급용 원단드럼 D3: 권취용 전사지드럼
D4: 권취용 원단드럼 D5: 공급용 티슈드럼 D6: 권취용 티슈드럼
P: 전사지 F: 원단 F': 낱장의 원단
T: 티슈

Claims (2)

  1. 공급용 전사지드럼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드럼설치부와, 공급용 원단드럼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드럼설치부, 및 작업자가 내부로 들어가 작업할 수 있도록 출입구가 형성된 제1바디와, 제1바디에 인접배치되며 외부 일측 하부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제3드럼설치부와 제4드럼설치부가 형성된 제2바디 및, 제1바디의 상면에 설치되어 제1바디와 제2바디를 상호 연결하는 작업대로 구성된 본체;
    상기 공급용 원단드럼을 회전시켜 권취된 원단이 풀리도록 하는 제1구동수단;
    상기 제2바디에 설치되어 작업대로부터 공급되는 원단과 전사지를 가압 및 가열하여 전사지의 인쇄물이 원단에 전사되도록 하는 열전사유닛;
    상기 제2바디에 설치되어 열전사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사지를 제3드럼설치부로 안내하는 피스방식용 롤러대;
    상기 제3드럼설치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권취용 전사지드럼을 회전시켜 전사지가 감기도록 하는 제2구동수단;
    상기 제4드럼설치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권취용 원단드럼을 회전시켜 전사된 원단이 감기도록 하는 제3구동수단;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열전사유닛을 통과한 원단과 전사지를 제3·4드럼설치부로 이송시켜 주는 컨베이어;
    상기 열전사유닛과 컨베이어 사이에 배치되되, 제1바디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전사지를 권취용 전사지드럼으로 안내하는 제1롤러;
    상기 제2바디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열전사유닛으로부터 인출되는 전사지를 제1롤러로 안내하는 크랭크와, 상기 제2바디에 설치되어 크랭크를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액추에이터로 구성된 전사지가이드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전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디의 제4드럼설치부의 상부에는 순차적으로 권취용 티슈드럼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5드럼설치부와, 공급용 티슈드럼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6드럼설치부가 더 보강 구비되고;
    상기 제5드럼설치부에는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권취용 티슈드럼을 회전시켜 티슈가 감기도록 하는 제4구동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전사기.
KR1020190017884A 2019-02-15 2019-02-15 작업성이 향상된 하이브리드 전사기 KR101968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7884A KR101968314B1 (ko) 2019-02-15 2019-02-15 작업성이 향상된 하이브리드 전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7884A KR101968314B1 (ko) 2019-02-15 2019-02-15 작업성이 향상된 하이브리드 전사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1626 Division 2017-08-10 2017-08-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9981A KR20190019981A (ko) 2019-02-27
KR101968314B1 true KR101968314B1 (ko) 2019-04-12

Family

ID=65561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7884A KR101968314B1 (ko) 2019-02-15 2019-02-15 작업성이 향상된 하이브리드 전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8314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94704B1 (it) * 1997-09-04 1999-04-12 Monti Antonio Spa Calandra per la termostampa sublimatica di tessuti,che opera in continuo o a capo singolo
KR101809264B1 (ko) 2015-11-23 2017-12-14 주식회사 경일테크 하이브리드 전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9981A (ko) 2019-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9264B1 (ko) 하이브리드 전사기
TWI243756B (en) Digital textile printing machine
JPH0432733B2 (ko)
JP6566084B1 (ja) ゴムシート部材の供給装置および方法
KR101968314B1 (ko) 작업성이 향상된 하이브리드 전사기
KR101968315B1 (ko) 작업이 편리한 하이브리드 전사기
KR100635023B1 (ko) 그린타이어의 벨트 보강용 스트립 공급장치
JP6677384B2 (ja) 壁紙糊付巻き取り機
JP4603544B2 (ja) スリーブ状カバーのための搬送装置
AU2017426690B2 (en) Hybrid transcriber with improved workability
US5970872A (en) Fixing apparatus for a wet-type plate making machine
US1328431A (en) Machine for perforating, slitting, and rewinding paper
JPH05117921A (ja) ラツプの自動継ぎ方法
JPH07291489A (ja) 検反装置
US4869436A (en) Laminator unwind roll stand
JPH05246592A (ja) フィルムの供給装置
JPS6048329B2 (ja) タイヤ構成材料の供給装置
KR101984162B1 (ko) 에어슈트를 이용한 종이 자동연결장치 및 그 자동연결방법
JP2628431B2 (ja) 裁断機への反物類供給装置
US5144731A (en) Automatic lap piecing method and an apparatus for carrying out the same
JPH0873082A (ja) フィルムの自動供給装置
KR20170057475A (ko) 망지를 이용한 꽃포장지 제조장치
KR101397931B1 (ko) 말대 생략형 비닐롤 제조 장치 및 방법
US4832272A (en) Laminator unwind roll stand
KR100465237B1 (ko) 열전사기를 구비한 다기능 디지털 프린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