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2285A - 돼지고기를 이용한 육포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돼지고기를 이용한 육포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2285A
KR20230122285A KR1020220018762A KR20220018762A KR20230122285A KR 20230122285 A KR20230122285 A KR 20230122285A KR 1020220018762 A KR1020220018762 A KR 1020220018762A KR 20220018762 A KR20220018762 A KR 20220018762A KR 20230122285 A KR20230122285 A KR 202301222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erky
weight
parts
minutes
p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8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진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레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레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레코
Priority to KR1020220018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2285A/ko
Publication of KR20230122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228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70Tenderised or flavoured meat pieces; Macerating or marinating solu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70Tenderised or flavoured meat pieces; Macerating or marinating solu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3L13/72Tenderised or flavoured meat pieces; Macerating or marinating solu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additives, e.g. by injection of 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70Tenderised or flavoured meat pieces; Macerating or marinating solu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3L13/76Tenderised or flavoured meat pieces; Macerating or marinating solu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by treatment in a gaseous atmosphere, e.g. ageing or ripening; by electrical treatment, irradiation or wave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7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in a gaseous atmosphere with forced air or gas circulation, in vacuum or under press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돼지고기 육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돼지고기 원료육을 정형하는 제1단계와, 정형된 원료육을 세절하는 제2단계와, 상기 세절된 원료육 91~94중량부와, 육포 조미료 250~464중량부, 갈색설탕 164~167중량부및 첨가제 020~161중량부의 부재료를 텀블러에 넣고 텀블링하는 제3단계와, 텀블링이 완료된 반제품을 2℃~4℃에 서 1시간~24시간 동안 저온숙성시키는 제4단계와, 숙성이 완료된 반제품을 육포용 스틱에 걸어 트롤리에 적재하는 제5단계와, 적재가 완료된 제품을 훈연기에 넣어 60℃에서 1시간, 65℃에서 30분, 70℃에서 30분, 75℃~78℃에서 30분, 85℃에서 60분 동안 훈연건조처리하는 제6단계와, 훈연건조처리가 완료된 제품을 40%~45%의 습도하에서 2~3시간 동안 냉각시키는 제7단계 및 냉각이 완료된 제품을 포장규격에 의거 계량하여 포장하는 제8단계를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고기 육포의 제조방법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은 육포에 포함된 최적 비율의 원료육과 부재료 첨가량 및 이에 따른 최적의 훈연건조 조건을 제시하여,육포의 수분 함량이 40% 대를 유지하도록 하여 우수한 풍미와 부드러운 육질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돼지고기를 이용한 육포 제조 방법{How to make jerky using pork}
본 발명은 돼지고기 육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완성된 육포의 수분 함량이 40% 대를 유지하도록 하여 부드러운 육질의 육포를 제공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도록 하는 돼지고기 육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포는 원료육을 슬라이스하여 양념 후 건조시킨 저장식품으로서, 장시간 자연건조하여 제조하거나,고온에서 일정 시간 동안 건조하기 때문에 전반적으로 질기고 딱딱한 조직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서, 폐백음식으로도 사용될 정도로 과거에는 귀한 식품으로 인정받았다.
현재에는 소비자들의 다양한 기호 및 요구를 충족시키고자, 육포에 대한 다양한 연구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며, 최근에는 안주나 간식용 등 특별한 날이 아닌 평상시에도 쉽게 접할 수 있도록 간편한 가공식품으로도많이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육포는 원료육으로 쇠고기를 주로 사용하여 왔으나, 근래에는 돼지고기를 사용하기도 하며, 돼지고기와쇠고기를 혼합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일반적인 육포의 제조방법은 쇠고기 및 돼지고기의 엉덩이 부위 살 또는 뒷다리 부위 살을 얇게 저미어 조미 및숙성시킨 후 고온에서 오랜 시간 동안 건조시켜서 수분 함량이 20%~25% 정도 함유되게 건조하여 제작하여 왔다. 여기에 풍미를 더욱 높이기 위해 L-글루타민산나트륨과 같은 화학조미료를 첨가하기도 하며, 장기간 보존을 위해 방부제를 사용하기도 하고, 색을 좋게 하기 위해 발색제 등을 첨가하기도 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육포는 수분함량이 적어 이가 부실한 사람들은 먹기가 불편한 단점이 있으며, 고온에서건조하므로 건조 시 영양분의 손실이 크며, 여러가지 방부제, 발색제, 화학조미료 등을 사용하므로, 많은 량의육포를 사용하는 경우 건강에 해로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육질이 부드러운 건강육포 제조방법"(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10-1006566호) 등에서는 가시오가피진액 및 홍삼바실러스 등이 포함된 천연조미료와 천연색소를 조미배합하여 숙성한 후 자체 수분이 45%~50%가 되도록 저온으로 짧은 시간 건조시켜서 육질이 부드러운 건강육포를 제공하는 것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조방법은 40℃의 저온으로 건조하여 육포 내에 포함된 수분은 어느 정도 보전할 수 있으나,살균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살균작업을 별도로 실시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포장 후 살균작업을 거치게되므로, 보관 및 유통 시 변질의 우려가 있다.
또한, 천연조미료의 사용으로 육포 고유의 풍미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여전히 소금을 포함하는 화학조미료를 가미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최적 비율의 원료육과 부재료 첨가량 및 이에 따른 최적의 훈연건조 조건을 제시하여, 육포의 수분 함량이 40% 대를 유지하도록 하여 우수한 풍미와 부드러운 육질을 제공하는 돼지고기 육포의 제조방법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돼지고기 원료육을 정형하는 제1단계와, 시간~24시간 동안 저온숙성시키는 제4단계와, 숙성이 완료된 반제품을 육포용 스틱에 걸어 트롤리에 적재하는제5단계와, 적재가 완료된 제품을 훈연기에 넣어 60℃에서 1시간, 65℃에서 30분, 70℃에서 30분, 75℃~78℃에서 30분, 85℃에서 60분 동안 훈연건조처리하는 제6단계와, 훈연건조처리가 완료된 제품을 40%~45%의 습도하에서 2~3시간 동안 냉각시키는 제7단계 및 냉각이 완료된 제품을 포장규격에 의거 계량하여 포장하는 제8단계를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고기 육포의 제조방법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또한, 상기 제3단계에서의 상기 첨가제에는, 칠리가루 018~020중량부, 고추가루 015~017중량부, 캐러웨이(caraway) 008~010중량부, 후추가루 008~010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칠리맛첨가제가 더 추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또한, 상기 칠리맛첨가제에는, 청양고추가루 01~015중량부가 더 추가되어 매운맛을 조절할 수 있도록한다. 또한, 상기 제3단계에서는, 마늘 슬라이스 5~10중량부, 버섯 슬라이스 3~5중량부, 인삼 슬라이스 2~3중량부, 카레 분말 5~10중량부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이 혼합재료가 더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3단계에서는, 오미자 원액 2~3중량부 또는 녹차가루 1~2중량부가 더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또한, 상기 제3단계에서는, 해양심층수 또는 천일염 1~5중량부를 더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4단계에서는, 텀블링이 완료된 반제품의 표면에 프로폴리스 원액을 도포 후 저온숙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4단계에서는, 프로폴리스 원액 10중량부에 대해 과일효소액 또는 약초효소액 20중량부를 혼합하여 함께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제8단계의 냉각이 완료된 제품의 수분 함량은 40%~45%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종래의 육포에 포함된 최적 비율의 원료육과 부재료 첨가량 및 이에 따른 최적의 훈연건조 조건을 제시하여, 육포의 수분 함량이 40% 대를 유지하도록 하여 우수한 풍미와 부드러운 육질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있다.
또한, 완성된 육포의 수분 함량이 40% 대를 유지하도록 하여 부드러운 육질의 육포를 제공하면서, 부재료를 추가함으로써, 유통기한 및 품질보증 기간은 오히려 연장되도록 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육포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칠리맛첨가제 등을 이용하여 매운맛을 조절하여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는 육포를 제공할 수있도록 하며, 각종 혼합재료가 슬라이스된 형태로 제공되도록 하여, 육포의 풍미 및 식감을 더욱 다양화 및 개선시키고, 각종 기능성 식품을 첨가하여 육포에 결여된 영양분을 보충하도록 하였으며, 해양심층수 또는 천일염을 가공 과정 중에 추가하여 나트륨 함량을 최소화하고 미네랄 함량을 높인 육포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있다.
또한, 프로폴리스 원액을 육포의 표면에 도포하여 숙성시킴으로써, 유해세균의 번식을 억제하여 육포의 유통기한 및 보존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으며, 숙성 시 과일효소액 또는 약초효소액을 첨가시킴으로써, 방부제의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도 1 - 본 발명에 따른 돼지고기 육포의 제조방법에 대한 순서도.
본 발명은 종래의 육포에 포함된 방부제, 발색제, 화학조미료의 사용을 최소화하고, 돼지고기만을 사용하여 제조된 육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완성된 육포의 수분 함량이 40% 대를 유지하도록 하여 부드러운 육질의 육포를 제공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도록 하는 돼지고기 육포에 관한 것이다.
또한, 칠리맛첨가제 등을 이용하여 매운맛을 조절하여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는 육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며, 각종 혼합재료가 슬라이스된 형태로 제공되도록 하여, 육포의 풍미 및 식감을 더욱 개선시키고,각종 기능성 식품을 첨가하여 육포에 결여된 영양분을 보충하도록 하였으며, 나트륨 함량을 최소화하고 미네랄 함량을 최대화하기 위해 해양심층수 또는 천일염을 이용함으로써, 육포의 기능성을 강화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프로폴리스 원액을 육포의 표면에 도포하여 숙성시킴으로써, 유해세균의 번식을 억제하여 육포의 유통기한 및 보존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으며, 숙성 시 과일효소액 또는 약초효소액을 첨가시킴으로써, 방부제의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돼지고기육포의 제조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돼지고기 원료육을 정형하는 제1단계와, 정형된 원료육을 세절하는 제2단계와, 상기 세절된원료육 91~94중량부와, 육포 조미료 250~464중량부, 갈색설탕 164~167중량부 및 첨가제 055~161중량부의 부재료를 텀블러에 넣고 텀블링하는 제3단계와, 텀블링이 완료된 반제품을 2℃~4℃에서 1시간~24시간 동안 저온 숙성시키는 제4단계와, 숙성이 완료된 반제품을 육포용 스틱에 걸어 트롤리에 적재하는 제5단계와, 적재가 완료된 제품을 훈연기에 넣어 60℃에서 1시간, 65℃에서 30분, 70℃에서 30분, 75℃~78℃에서 30분, 85℃에서 60분동안 훈연건조처리하는 제6단계와, 훈연건조처리가 완료된 제품을 35%~45%의 습도하에서 2~3시간 동안 냉각시키는 제7단계와, 냉각이 완료된 제품을 포장규격에 의거 계량하여 포장하는 제8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바람직하다.
먼저, 돼지고기의 특정 부위를 원료육으로 정형한다.(제1단계)
냉장 상태의 돼지고기에서 지방을 제거하여 원료육으로 정형한다. 여기에서, 원료육으로 사용되는 돼지고기의부위는 지방이 거의 없는 부위를 사용하거나, 지방을 90% 이상 제거한 후 사용한다. 특히, 돼지고기의 뒷다리살 중 알후지 부위는 지방 함량이 거의 없어, 육포로 제작시 그 풍미 및 식감이 뛰어나고, 장기간 보관 및 유통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러한 알후지 부위는 삼겹살이나 목심 등에 비해서 소비량이상대적으로 적어, 가격도 저렴한 장점이 있다. 필요에 의해 돼지고기의 등심이나 안심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돼지고기는 무항생제 돼지(제주산), 유기농 돼지, 도토리먹인 이베리코 돼지(오메가 6가 없고,오메가 3가 풍부), 게르마늄 음용수를 먹인 돼지만을 사용하여, 지속적으로 섭취하여도 건강에 해롭지 않은 육포를 제공할 수 있다.그리고, 정형된 원료육을 세절한다.(제2단계)
이 과정에서 육포의 최종 형태를 결정짓게 되는데, 원료육을 제공하고자 하는 육포의 크기 및 두께로 균일하게세절한다. 즉, 돼지고기 원료육을 조각을 뜨거나, 일정 크기 및 두께로 자른 후 칼로 두들겨 육질을 부드럽게만들어서 세절할 수도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소금 또는 간장이나, 후추, 설탕 등으로 밑간을 할 수도 있으며, 냄새 제거를 위해 일정량의술을 분사할 수도 있다.
그 다음, 상기 세절된 원료육과 육포 조미료, 갈색설탕 및 첨가제 등의 부재료를 첨가하여 텀블링하는 단계를거치게 된다.(제3단계)
여기에서, 텀블링(tumbling)은 상기의 재료들이 골고루 섞이게 주무르는 공정으로써, 양념이 골고루 베어들게하고, 원료육이 보다 연하게 되도록 하는 과정이다. 상기 텀블링 공정은, 상기 세절된 원료육 91~94중량부와, 육포 조미료 250~464중량부, 갈색설탕 164~167중량부및 첨가제 020~161중량부의 부재료를 텀블러에 넣고 텀블링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육포 조미료(pork jerky seasoning)는 흰설탕, 포도당, 분말쇠고기 추출물, 마늘가루,양파가루, 후추 가루, 그릴 양념, 구연산 나트륨, 비타민 C, 흰 후추 가루, 수용성 생강 가루, 탄산수소나트륨,세이지(sage) 분말, 마조람(marjoram) 분말, 육두구(nutmeg) 가루, 카레 가루를 적정량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시중에 파는 육포 조미료를 구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의 육포 조미료는 상기 세절된 원료육 91~94중량부에 대해 250~464중량부만큼 첨가되는 것으로서,후술할 첨가제나 혼합재료, 해양심층수 또는 천일염 등의 혼합량에 따라서, 육포의 풍미를 향상시키고, 소비자들의 입맛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상기 육포 조미료를 이루는 재료를 배합하여 사용하거나, 적정량을 조절하여사용 상기 갈색설탕은 상기 세절된 원료육 91~94중량부에 대해 164~167중량부를 사용하여, 단맛을 조절하고, 육포의색감을 향상시키고, 감칠맛을 상승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첨가제는 상기 세절된 원료육 91~94중량부에 대해 055~161중량부를 사용하며, D-소르비톨액(sorbitol solution), 정제염, 큐어 믹스(cure mix), 소르빈산칼륨(Potassium Sorbate)을 혼합하여 사용한다. 상기 첨가제는 육포의 보존기간을 늘이기 위한 재료로서, 방부제의 역할을 하게 되며, 미량 첨가하여 인체에 해롭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 첨가제에는 상기 세절된 원료육 91~94중량부에 대해 칠리가루 018~020중량부, 고추가루 015~017중량부, 캐러웨이(caraway) 008~010중량부, 후추가루 008~010중량부를 더 추가하여 칠리맛첨가제를 제조하여, 텀블러에 함께 투입함으로써, 다양한 맛의 육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에서, 상기 칠리맛첨가제에는, 청양고추가루 01~015중량부가 더 추가될 수 있도록 하여, 매운맛을 조절할수있도록 한다.
상기 첨가제의 양은 되도록 최소한으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후술할 첨가제나 혼합재료, 해양심층수 등의혼합량에 따라서, 첨가제의 양을 조절하며, 특히, 프로폴리스나 과일효소액 또는 약초효소액 등을 숙성과정에첨가함으로써, 방부제의 사용량을 최소화하면서, 육포의 장기 보전성을 향상시키고자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텀블러에는 육포의 풍미를 더욱 다양화하고 부족한 영양소를 보충하며, 기능성을 강화하기 위해서혼합재료를 더 첨가할 수 있는데, 상기 혼합재료로는 상기 세절된 원료육 91~94중량부에 대해 마늘 슬라이스5~10중량부, 버섯 슬라이스 3~5중량부, 인삼 슬라이스 2~3중량부, 카레 분말 5~10중량부 중 어느 하나 또는 이 들을 혼합하여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텀블링 공정 시에 상기 세절된 원료육 91~94중량부에 대해 오미자 원액 2~3중량부 또는 녹차가루 1~2중량부를 더 첨가하여 육포의 풍미를 개선하고, 기능성을 더욱 강화시키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텀블링 공정 시에 상기 세절된 원료육 91~94중량부에 대해 해양심층수 또는 천일염 1~5중량부를더 첨가할 수도 있다.일반적으로, 해양심층수는 수면으로부터 대략 300m~1300m 지점에서 취수한 것으로서, 염분을 기본적으로 포함하
면서, 천연미네랄(소디움, 칼슘, 마그네슘, 포타시움 뿐만 아니라 셀레늄(Se), 아연 등의 항암 작용을 갖는 무기성분과 철, 망간 등의 금속 이온 등의 미네랄 성분)이 풍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의 해양심층수는 성분 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해양심층수 원수를 사용한다.
즉, 육포의 풍미 조절을 위해서 해양심층수 원수를 적정량 사용할 수 있으며, 정수물 등이 혼합된 혼합수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탈염처리를 하여 염분의 농도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해양심층수나 천일염의 양의 조절에 따라 상기의 육포 조미료, 갈색설탕, 첨가제의 첨가량을 조절할 수있으며, 육포의 풍미에 대한 요구를 고려하면서 육포 조미료나 첨가제가 최소한으로 첨가되도록 최선의 조합이되도록 실시할 수 있다.
이러한 세절된 원료육, 육포 조미료, 갈색설탕, 첨가제 등의 부재료 또는 혼합재료 등을 텀블러에 넣고 재료의양에 따라 텀블링 조건을 조절하면서 텀블링 작업을 수행한다.
그 다음, 텀블링이 완료된 반제품을 2℃~4℃에서 1시간~24시간 동안 저온숙성시키는 것으로서(제4단계), 이는재료에 양념이 골고루 베이도록 하면서 육질을 연하게 하도록 하여, 육포의 풍미를 더욱 개선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특히, 저온숙성을 수행하여 육포의 영양소 파괴를 최소화하면서, 유익균의 번식이 활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저온숙성 과정을 수행하기 전에 텀블링이 완료된 반제품의 표면에 프로폴리스 원액을 소량(전체 텀블링이완료된 반제품 100중량부에 대해 01~05중량부) 도포 후 숙성시키므로써, 완성된 제품의 항균성을 개선시켜,방부제 등의 사용을 더욱 최소화하면서, 육포의 풍미에는 거의 영향을 끼치지 않으면서, 유통기한 및 저장기간 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프로폴리스 원액 10중량부에 대해 과일효소액 또는 약초효소액 20중량부를 혼합한 재료를 전체 텀블링이 완료된 반제품 100중량부에 대해 01~05중량부 정도 도포 후 숙성시키므로써, 유익균의 번식을 활발히 하면서,육질의 풍미를 개선시키고, 방부제 등을 최소한으로 사용함에도 유통기한은 상온에서 1년 정도, 품질보증 기간은1년 3개월 정도 가능하였다.
그 다음, 숙성이 완료된 반제품을 육포용 스틱에 걸어 트롤리에 적재하고(제5단계), 적재가 완료된 제품을 훈연기에 넣어 60℃에서 1시간, 65℃에서 30분, 70℃에서 30분, 75℃~78℃에서 30분, 85℃에서 60분 동안 훈연건조처리한다.(제6단계)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고온에서 장시간 훈연건조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낮은 온도에서부터 서서히 훈연건조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육포의 수분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영양소의 파괴를 최소화하면서, 양념과 함께 육포가 골고루 훈연건조되도록 함으로써, 육포의 풍미를 더욱 개선한 것이다. 그리고, 훈연건조처리가 완료된 제품을 40%~45%의 습도하에서 2~3시간 동안 냉풍건조기를 이용하여 냉각시키며(제7단계),
냉각이 완료된 제품은 포장규격에 의거 계량하여 포장한다.(제8단계)
상기 냉각 공정은 훈연건조처리 과정에서 손실된 수분을 냉각과정에서 보충하도록 함으로써, 최종 제품의 수분함량이 40%~45%가 되도록 조절하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완성된 육포의 수분 함량이 40%대로 유지됨에도 불구하고, 유통기한 및 품질보증 기간이 연장되도록하며,부드러운 육질의 육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돼지고기 육포의 몇 가지 실시예를 설명하고자 한다.
실시예 1 - 순한맛 돼지고기 육포의 제조방법
제주도산 무항생제 돼지고기 9212%, 돼지고기 육포 조미료 462%, 갈색설탕 166%, D-소르비톨액(sorbitolsolution) 092%, NPS(정제염, 아질산나트륨) 045%, 큐어 믹스(cure mix) 014%, 소르빈산칼륨(PotassiumSorbate) 009%를 텀블러에 투입하여 텀블링 작업을 수행하였다. 텀블링이 완료된 반제품을 2℃에서 20시간 저온숙성시키고, 숙성이 완료된 반제품을 육포용 스틱에 걸어 트롤리에 적재한 후, 적재가 완료된 제품을 훈연기에 넣어 60℃에서 1시간, 65℃에서 30분, 70℃에서 30분, 76℃에서30분, 85℃에서 60분 동안 훈연건조처리하였다.
훈연건조처리가 완료된 제품을 45%의 습도하에서 냉풍조기를 통해 3시간 동안 냉각시킨 후, 포장규격에 의거계량하여 포장함으로써, 수분 함량이 40%대인 본 발명에 따른 돼지고기 육포의 제조가 완료되었다. 10대부터 60대까지 각 연령별로 관능평가를 실시한 결과(10대 5명, 20대 5명, 30대 5명, 40대 5명, 50대 5명,60대 5명), 맛과 향, 육질, 기호도에서 평균 4점 이상을 획득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돼지고기 육포는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1-아주 나쁨, 2-나쁨, 3-보통, 4-좋음, 5-아주 좋음) 실시예 2 - 칠리맛 돼지고기 육포의 제조방법 제주도산 무항생제 돼지고기 9161%, 돼지고기 육포 조미료 462%, 갈색설탕 165%, D-소르비톨액(sorbitolsolution) 092%, NPS(정제염, 아질산나트륨) 046%, 큐어 믹스(cure mix) 013%, 소르빈산칼륨(PotassiumSorbate) 008%, 칠리가루 019%, 고추가루 016, 캐러웨이 009%, 후추 가루 009%를 텀블러에 투입하여텀블링 작업을 수행하였다.
텀블링이 완료된 반제품을 2℃에서 20시간 저온숙성시키고, 숙성이 완료된 반제품을 육포용 스틱에 걸어 트롤리 에 적재한 후, 적재가 완료된 제품을 훈연기에 넣어 60℃에서 1시간, 65℃에서 30분, 70℃에서 30분, 76℃에서30분, 85℃에서 60분 동안 훈연건조처리하였다.
훈연건조처리가 완료된 제품을 45%의 습도하에서 냉풍건조기를 통해 3시간 동안 냉각시킨 후, 포장규격에 의거계량하여 포장함으로써, 수분 함량이 40%대인 본 발명에 따른 칠리맛 돼지고기 육포의 제조가 완료되었다. 10대부터 60대까지 각 연령별로 관능평가를 실시한 결과(10대 5명, 20대 5명, 30대 5명, 40대 5명, 50대 5명,60대 5명), 맛과 향, 육질, 기호도에서 평균 4점 이상을 획득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2는 칠리맛 돼지고기 육포에관한 것으로서,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1-아주 나쁨, 2-나쁨, 3-보통, 4-좋음, 5-아주 좋음)
실시예 3 - 순한맛 돼지고기 육포의 제조방법(해양심층수)
제주도산 무항생제 돼지고기 9212%, 돼지고기 육포 조미료 262%, 갈색설탕 166%, D-소르비톨액(sorbitolsolution) 051%, NPS(정제염, 아질산나트륨) 035%, 큐어 믹스(cure mix) 014%, 소르빈산칼륨(PotassiumSorbate) 007%, 해양심층수 원수 2%를 텀블러에 투입하여 텀블링 작업을 수행하였다.
텀블링이 완료된 반제품에 프로폴리스 원액 02% 도포하여 2℃에서 20시간 저온숙성시키고, 숙성이 완료된 반제품을 육포용 스틱에 걸어 트롤리에 적재한 후, 적재가 완료된 제품을 훈연기에 넣어 60℃에서 1시간, 65℃에서30분, 70℃에서 30분, 76℃에서 30분, 85℃에서 60분 동안 훈연건조처리하였다. 훈연건조처리가 완료된 제품을 45%의 습도하에서 냉풍건조기를 통해 3시간 동안 냉각시킨 후, 포장규격에 의거계량하여 포장함으로써, 수분 함량이 40%대인 본 발명에 따른 돼지고기 육포의 제조가 완료되었다. 10대부터 60대까지 각 연령별로 관능평가를 실시한 결과(10대 5명, 20대 5명, 30대 5명, 40대 5명, 50대 5명,60대 5명), 맛과 향, 육질, 기호도에서 평균 4점 이상을 획득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돼지고기 육포는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1-아주 나쁨, 2-나쁨, 3-보통, 4-좋음, 5-아주 좋음)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라 해양심층수 원수를 일정량 사용하고, 다른 실시예에 비해 육포 조미료 및 첨가제의첨가량을 줄여 실시하였음에도, 맛, 향, 육질, 기호도에서 우수한 평가 결과가 도출되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의 육포에 포함된 방부제, 발색제, 화학조미료의 사용을 최소화하고, 무항생제 돼지(제주산), 유기농 돼지, 도토리먹인 이베리코 돼지(오메가 6가 없고, 오메가 3가 풍부), 게르마늄 음용수를 먹인 돼지만을 사용하여 육포를 제조함으로써, 건강에도 유익하며, 다량 섭취하여도 인체에 무해한 육포를 제공할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완성된 육포의 수분 함량이 40% 대를 유지하도록 하여 부드러운 육질의 육포를 제공하면서, 부재료를 추가함으로써 유통기한 및 품질보증 기간은 오히려 연장되도록 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도록 하는 돼지고기 육포에 관한 것이다.
또한, 칠리맛첨가제 등을 이용하여 매운맛을 조절하여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는 육포를 제공할 수있도록 하며, 각종 혼합재료가 슬라이스된 형태로 제공되도록 하여, 육포의 풍미 및 식각을 더욱 개선시키고,각종 기능성 식품을 첨가하여 육포에 결여된 영양분을 보충하도록 하였으며, 나트륨 함량을 최소화하고 미네랄함량을 최대화하기 위해 해양심층수나 천일염을 이용함으로써, 육포의 기능성을 강화하도록 한 것이다.또 한, 프로폴리스 원액을 육포의 표면에 도포하여 숙성시킴으로써, 유해세균의 번식을 억제하여 육포의 유통기한 및 보존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으며, 숙성 시 과일효소액 또는 약초효소액을 첨가시킴으로써, 방부제의 사용 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Claims (1)

  1. 돼지고기 원료육을 정형하는 제1단계;
    정형된 원료육을 세절하는 제2단계;
    상기 세절된 원료육 91~94중량부와, 육포 조미료 250~464중량부, 갈색설탕 164~167중량부 및 첨가제020~161중량부의 부재료를 텀블러에 넣고 텀블링하는 제3단계;
    텀블링이 완료된 반제품을 2℃~4℃에서 1시간~24시간 동안 저온숙성시키는 제4단계;
    숙성이 완료된 반제품을 육포용 스틱에 걸어 트롤리에 적재하는 제5단계;
    적재가 완료된 제품을 훈연기에 넣어 60℃에서 1시간, 65℃에서 30분, 70℃에서 30분, 75℃~78℃에서 30분, 85℃에서 60분 동안 훈연건조처리하는 제6단계;
    훈연건조처리가 완료된 제품을 40%~45%의 습도하에서 2~3시간 동안 냉각시키는 제7단계;
    냉각이 완료된 제품을 포장규격에 의거 계량하여 포장하는 제8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고기 육포의 제조방법.
KR1020220018762A 2022-02-14 2022-02-14 돼지고기를 이용한 육포 제조 방법 KR202301222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8762A KR20230122285A (ko) 2022-02-14 2022-02-14 돼지고기를 이용한 육포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8762A KR20230122285A (ko) 2022-02-14 2022-02-14 돼지고기를 이용한 육포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2285A true KR20230122285A (ko) 2023-08-22

Family

ID=87799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8762A KR20230122285A (ko) 2022-02-14 2022-02-14 돼지고기를 이용한 육포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228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7120B1 (ko) 돼지고기 육포의 제조방법
KR101170308B1 (ko) 육우를 이용한 육우 소시지의 제조방법 및 육우를 이용한 육우 소시지
KR100983839B1 (ko) 돈간을 이용한 간소시지의 제조방법
KR100415765B1 (ko) 뽕잎분말을 함유하는 닭고기 가공식품
KR20210054152A (ko) 돼지고기 육포의 제조방법
CN110786469A (zh) 一种腊肉制品的加工方法
KR20150086423A (ko) 연어육포의 제조방법
KR100651160B1 (ko) 홍어 처리 방법 및 처리된 홍어를 이용한 음식물 부패 지연방법
KR101180426B1 (ko) 훈연 처리한 수육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수육
CN107259413A (zh) 一种鱼糜夹心鱼皮肠及其制作方法
KR100724768B1 (ko) 영양첨가물을 함유한 소시지 제조방법
KR101306358B1 (ko) 오리탕에 포함되는 오리고기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오리탕에 포함되는 오리고기
KR20230122285A (ko) 돼지고기를 이용한 육포 제조 방법
KR100935213B1 (ko) 떡을 포함하는 햄말이구이 식육가공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90112565A (ko) 돈혈을 이용한 혈액소시지의 제조방법
KR100411351B1 (ko) 김치 함유 소스를 이용한 탕수육의 제조방법
KR100702162B1 (ko) 돼지 뒷다리살을 주원료로 한 가공육의 제조방법 및 이를이용하여 제조된 가공육
KR101993694B1 (ko) 알카리수 부대 찌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659531B1 (ko) 저장성이 강화된 저염 김치의 제조방법
KR101993696B1 (ko) 알카리수 만두 부대 찌개 및 그의 제조방법
CN105433285A (zh) 一种酒糟腌制酱香烤驴肉及其制备方法
CN105285734A (zh) 一种排骨的制作方法
KR20210043820A (ko) 돈육과 우육을 혼합한 육포의 제조 방법
KR101733590B1 (ko) 오리 안심 육포 제조방법
KR102279260B1 (ko) 우렁이 김치의 제조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