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0595A - 참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참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0595A
KR20230120595A KR1020230016536A KR20230016536A KR20230120595A KR 20230120595 A KR20230120595 A KR 20230120595A KR 1020230016536 A KR1020230016536 A KR 1020230016536A KR 20230016536 A KR20230016536 A KR 20230016536A KR 20230120595 A KR20230120595 A KR 202301205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lon
extract
composition
hangover
active ingred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6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은정
김동선
이윤미
성윤영
육흥주
Original Assignee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 한의학 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 한의학 연구원
Publication of KR20230120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059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23P10/28Tabletting; Making food bars by compression of a dry powdered mixtur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30Encapsulation of particles, e.g. foodstuff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2Cucurbitaceae (Cucumber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참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참외 추출물은 알코올 섭취에 의해 증가된 혈중 에탄올의 함량을 감소시키고, 혈중 ADH 및 ALDH 활성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숙취해소에 대한 건강기능식품, 의약품 또는 의약외품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참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eliminating hangover comprising Cucumis melo extract as effective component}
본 발명은 참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취할 때까지 술을 마시면 알코올 및 그 중간 대사산물인 아세트알데히드의 독성, 탈수, 흡수 장애로 인한 영양소의 결핍(혈당, 무기질 및 비타민 결핍)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개인에 따른 편차(유전적 소양), 환경상태(영양상태, 운동상태, 탈수 정도, 건강상태 등)에 따라 그 차이가 매우 심하게 나타난다.
알코올은 간에서 알코올 탈수소효소(ADH; Alcohol dehydrogenase)와 조효소인 NAD+에 의해 아세트알데히드로 산화되며, 아세트알데히드는 알데히드디하이드로게나제(ALDH)와 NAD+에 의해서 아세트산으로 분해된다. 또한, 사이토크롬 P-450 type 2E1(CYP2E1)과 카탈라아제에 의해서도 아세트알데히드로 산화되는데, 아세트알데히드와 아세트산은 지질 과산화반응 등을 통해 세포독성, 두통이나 복통, 삼투압 변화에 따른 탈수현상 등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사회적 스트레스에 더해 빈번한 알코올의 섭취는 심각한 간질환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아 이를 개선하기 위한 많은 의약품과 건강기능성 식품들이 판매되고 있는데, 주로 ADH 및 ALDH를 활성화시켜 알코올 혈중농도를 낮추기 위한 노력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알코올 섭취에 따른 알코올분해 촉진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한편, 과체는 박과의 참외(Cucumis melo L.) 또는 동속 동종식물의 품종의 덜 익은 열매꼭지를 말한다. '과'는 오이가 덩굴에 주렁주렁 달린 형상을 뜻하는 글자이다. 참외를 '첨과'라고 부르는 것은 다른 오이류보다 달기 때문이다. 냄새는 거의 없고 맛은 몹시 쓰며 성질은 차고 유독하다. 과체는 소화가 안 되고 가슴이 답답할 때 토하게 하는 약이며, 황달형 간염, 사지부종, 축농증 등에 효과가 있는 청열약이다. 약리작용으로 최토작용, 간장 섬유증식 억제작용, 면역기능 증강, 비암, 인후암, 자궁암 억제작용이 보고되었다. 생김새는 구부러진 원주형으로 가끔 줄기의 잔기가 붙어 있고 위쪽에는 엷은 갈색으로 부풀어 넓고 세로로 주름이 많으며 질은 연하다. 이 약은 꼭지가 크며 쓴맛이 강한 것이어야 한다. 다른 이름으로 '첨과체', '과정' 또는 '고정향'으로 불리며, 참외는 특별히 '첨과'라고 하며, 이명으로 '감과' 또는 '과과'라고 불린다.
참외 관련 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 제2019-0041303호에 과체 추출물을 함유하는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공개특허 제2017-0103494호에 과체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나, 아직까지 본 발명의 참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개시된 바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참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제공하고, 상기 참외 추출물이 알코올 섭취에 의해 증가된 혈중 에탄올의 함량을 감소시키고, 혈중 ADH 및 ALDH 활성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참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참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에 의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참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의약외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참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참외 추출물은 알콜에 섭취에 의해 증가된 혈중 에탄올의 함량을 감소시키고, 혈중 ADH 및 ALDH 활성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킬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참외(과체) 추출물(50, 100 및 200㎍/㎖)의 처리에 따른 알코올탈수소효소(ADH) 활성을 확인한 결과이다. BLK는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이다. ****은 대조군 대비 본 발명의 과체 추출물 처리군의 ADH 활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는 것으로, p<0.0001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200mg/kg의 참외 추출물을 투여하고, 시간 경과에 따른 혈중 알코올 변화를 확인한 결과이다. Control은 알코올 투여군이고, CM은 본 발명의 200mg/kg의 과체 추출물을 투여한 군이다. **은 대조군 대비 본 발명의 과체 추출물의 혈중 알코올 함량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으로, p<0.01이다.
도 3은 참외 추출물의 ADH 활성을 확인한 결과이다. BLK는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이고, Peel은 참외껍질 추출물이며, Fruit은 껍질을 제외한 과육의 추출물이고, Seed는 참외 씨앗 추출물이다.
도 4는 참외 추출물의 ALDH 활성을 확인한 결과이다. BLK는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이고, Peel은 참외껍질 추출물이며, Fruit은 껍질을 제외한 과육의 추출물이고, Seed는 참외 씨앗 추출물이다.
본 발명은 참외(Cucumis melo)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참외 추출물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1) 건조 참외(참외 열매의 껍질(peel), 껍질을 제외한 과육(fruit), 참외 씨앗(Seed) 또는 참외 꼭지(과체;CM))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단계;
(2) 단계 (1)의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 및
(3) 단계 (2)의 여과한 추출물을 감압 농축하고 건조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단계 (1)에서 추출용매는 물, C1~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이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추출방법은 여과법, 열수 추출, 침지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및 초음파 추출 등의 당업계에 공지된 모든 통상적인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는 건조 과체 중량의 1~20배 첨가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10~20배 첨가하는 것이다. 추출온도는 20~110℃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추출시간은 0.5~10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며, 2~4시간인 것이 더욱더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3)의 감압농축은 진공 감압 농축기 또는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건조는 감압건조, 진공건조, 비등건조, 분무 건조 또는 동결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숙취는 술에 몹시 취한 상태에서 알코올을 분해하는 ADH(alcohol dehydrogenase) 또는 아세트알데히드를 분해하는 ALDH(aldehyde dehydrogenase)가 부족하거나, 낮은 활성으로 인하여 알코올이나 아세트알데히드가 인체 내에 축적되어 발생하는 현상으로, 대표적인 증상은 메스꺼움, 현기증, 구토, 갈증, 무기력, 두통, 근육통, 소화불량, 복통 및 설사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유효성분은 분말, 과립, 환, 정제, 캡슐, 캔디, 시럽 및 음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참외 추출물을 건강기능식품 조성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참외 추출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은 그 사용 목적 (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고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음료수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참외 추출물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등에서 하나 이상의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포함될 수 있는 양은 숙취해소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원하는 사람의 연령, 성별, 체중, 상태, 질병의 증상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성인기준 1일 0.01~10.0g 정도로 포함되는 것이 좋으며, 이러한 함량을 갖는 식품을 섭취함으로써 숙취해소의 예방 또는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참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에 의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숙취에 의한 질환은 메스꺼움, 구토, 복통 및 소화불량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을 포함한 다양한 화합물 또는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상기 참외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용어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이란 의학적 예방 또는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질환의 중증도, 약물의 활성,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 성별, 환자의 약물에 대한 민감도, 사용된 본 발명 조성물의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사용된 본 발명의 조성물과 배합 또는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그리고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 빈도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1일 1회 투여하거나 또는 용량을 분할하여 수회 투여할 수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도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경구 투여, 직장 내 투여 등의 경로를 통해 투여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목적에 따라 다른 경로로도 투여될 수 있다. 다만, 경구 투여 시에는 위산에 의하여 변성될 수 있기 때문에 경구용 조성물은 활성 약제를 코팅하거나 위에서의 분해로부터 보호되도록 제형화 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활성 물질이 표적 세포로 이동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참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의약외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용어, '의약외품'은 사람이나 동물의 질병을 치료, 경감, 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을 사용되는 섬유, 고무제품 또는 이와 유사한 것, 인체에 대한 작용이 약하거나 인체에 직접 작용하지 아니하며, 기구 또는 기계가 아닌 것과 이와 유사한 것, 감염형 예방을 위하여 살균, 살충 및 이와 유사한 용도로 사용되는 제제 중 하나에 해당하는 물품으로서, 사람이나 동물의 질병을 진단, 치료, 경감, 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물품 중 기구, 기계 또는 장치가 아닌 것 및 사람이나 동물의 구조와 기능에 약리학적 영향을 줄 목적으로 사용하는 물품 중 기구, 기계 또는 장치가 아닌 것을 제외한 물품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참외 추출물을 의약외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추출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의약외품 또는 의약외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량은 사용 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실시예 1. 참외 추출물의 제조
1kg의 참외 열매의 껍질, 껍질을 제외한 과육, 참외 씨앗 및 참외 꼭지(과체) 각각에 대하여, 15ℓ의 70%(v/v) 에탄올을 가하고, 85℃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하여 여과한 후, 45℃에서 감압농축 및 건조하여 각각의 참외 추출물을 획득하였다.
실시예 2. 알코올탈수소효소(alcohol dehydrogenase, ADH)의 활성 확인
본 발명에 따른 농도별(50, 100 및 200㎍/㎖) 과체 추출물(CM) 10㎕, 0.02%(w/v)의 아지드화나트륨(sodium azide)를 포함하는 완충용액 160㎕, NAD+ 용액 20㎕ 및 50㎍/㎖의 에탄올 10㎕를 혼합하고 2분 동안 반응 후, 3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A1).
또한, 알코올탈수소효소(alcohol dehydrogenase, 1 assay unit) 2㎕를 넣어 혼합 후, 상온에서 5분 동안 방치한 후, 340nm에서 ADH에 의해 변화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A2).
대조군으로,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ADH 자체 활성을 100%로 하여 실험군(100 및 200㎍/㎖의 참외 추출물)의 상대 활성(%)을 나타내며, 증가율은 100을 제한 값으로 표기하였다.
ADH 활성(%) = (△B-△A)/△A×100
△A: 대조군의 흡광도 변화(A2-A1), △B: 실험군의 흡광도 변화(B2-B1)
그 결과, 도 1에 개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과체 추출물(CM)이 알코올 탈수소효소(ADH)의 활성을 현저하게 유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혈중 알코올 농도 확인
6주령의 수컷 ICR 마우스를 실험 일주일 전 온도(22±2℃) 및 사료 등의 실험조건에 적응시켰고, 실험 12시간 전부터 금식시켰다. 실험군은 알코올을 처리한 대조군(NC) 및 본 발명의 200mg/kg의 참외 꼭지(과체) 추출물 투여군(CM)으로 분류하였다.
실험군의 분류 및 조건
Saline 알코올(25%, 10㎖) 약물
NC - -
CM - 과체 추출물(200mg/kg)
알코올 투여하기 30분 전에 그룹별 약물을 투여하였고, 알코올 투여하고, 1시간 후, 3시간 후 및 6시간 후에 채혈을 실시하였다.
모든 실험군에는 25%(v/v) 알코올을 10㎖ 복강 투여 30분 전 각각의 시료를 투여하였고, 알코올 투여 1, 3 및 6시간 후 채혈하여 혈중 알코올 농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개시한 바와 같이 3시간 후 또는 6시간 후, 본 발명의 과체 추출물 투여군의 혈중 알코올 농도가 대조군에 비해 현저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참외 부위별 ADH 활성도 확인
각 시료의 ADH 활성 촉진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부위별 시료를 농도별로 제조한 시료 10㎕, 아지드화나트륨(sodium azide)를 포함하는 완충용액(0.02% w/v) 160㎕, NAD+ 용액 20㎕, 에탄올 표준용액(50㎍/㎖) 10㎕를 넣어 혼합하고 2분 동안 반응 후, 3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A1), ADH(1 어세이 unit) 2㎕를 넣어 혼합 후, 상온에서 5분간 방치한 후, 340nm에서 ADH에 의해 변화된 흡광도를 측정(A2)하여 확인하였다. 결과는 대조군으로서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ADH 자체 활성을 100%로 하여 실험군의 상대 활성(%)을 나타내며, 증가율은 100을 제한 값으로 표기하였다.
ADH 활성(%) = (△B-△A)/△A×100
△A: 대조군의 흡광도 변화(A2-A1), △B: 실험군의 흡광도 변화(B2-B1)
그 결과, 도 3에 개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참외 부위별 추출물이 ADH 효소 활성이 현저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 참외 부위별 ALDH 활성도 확인
각 시료의 ALDH 활성 촉진 효과는 부위별 시료를 농도별로 제조한 시료 10㎕, 아지드화나트륨(sodium azide)를 포함하는 완충용액(0.02% w/v) 140㎕, NAD+ 용액 10㎕, 0.1M의 아세트알데히드 10㎕, 3M의 KCl 10㎕, 0.33M의 2-머캡토에탄올 10㎕를 넣어 혼합하고 2분 동안 반응 후, 3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A1), ALDH(1 어세이 unit) 10㎕를 넣어 혼합 후, 상온에서 5분 동안 방치한 후, 340nm에서 ADH에 의해 변화된 흡광도를 측정(A2)하여 확인하였다. 결과는 대조군으로,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ADH 자체 활성을 100%로 하여 실험구의 상대 활성 (%)을 나타내며, 증가율은 100을 제한 값으로 표기하였다.
ALDH 활성(%) = (△B-△A)/△A×100
(△A: 대조군의 흡광도 변화(A2-A1), △B: 실험군의 흡광도 변화(B2-B1) )
그 결과, 도 4에 개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참외 부위별 추출물이 ALDH 효소 활성이 현저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Claims (10)

  1. 참외(Cucumis melo)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참외 추출물의 추출용매는 물, C1~C4의 저급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혈액 내 에탄올 및 아세트알데히드의 분해를 촉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참외 추출물은 참외 꼭지(과체), 참외 껍질, 참외 껍질을 제외한 과육 또는 참외 씨앗의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분말, 과립, 환, 정제, 캡슐, 캔디, 시럽 및 음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6. 참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에 의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에 의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캡슐제, 산제, 과립제, 정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에 의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숙취에 의한 질환은 메스꺼움, 구토, 복통 및 소화불량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에 의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10. 참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의약외품.
KR1020230016536A 2022-02-08 2023-02-08 참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2023012059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16435 2022-02-08
KR1020220016435 2022-02-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0595A true KR20230120595A (ko) 2023-08-17

Family

ID=87564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6536A KR20230120595A (ko) 2022-02-08 2023-02-08 참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20595A (ko)
WO (1) WO2023153777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1565B1 (ko) * 1994-02-18 1998-04-17 강상모 알콜성 장해 보호제
JPH0987191A (ja) * 1995-09-27 1997-03-31 Kyodo Nyugyo Kk 飲酒傷害の予防方法
JP2005229930A (ja) * 2004-02-20 2005-09-02 Okinawa Hakko Kagaku:Kk ヘチマ又はニガウリを主成分とする健康食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584891B1 (ko) * 2004-08-13 2006-05-30 (주)씨스팜 경구용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 제제인, 캔털루프 멜론추출물과 글리아딘 결합물을 숙취해소에 사용하는 방법
KR100727396B1 (ko) * 2005-04-16 2007-06-13 비타민하우스알앤비티(주) 수박 껍질 추출물 및 옥사코사놀의 혼합물을 함유하는조성물
KR20200009824A (ko) * 2018-07-20 2020-01-30 상하이 핀마이 인터 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취기-제거 및 숙취-완화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53777A1 (ko) 2023-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4059B1 (ko) 석류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또는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76941B1 (ko) 토종 보리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WO2005074961A1 (ja) 体脂肪調整剤
KR20180094366A (ko) 가시파래 추출물 등을 이용한 항당뇨 조성물
KR101910013B1 (ko) 한약재 추출물(socg)을 함유하는 통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45298B1 (ko) 난각막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20230120595A (ko) 참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1478196B1 (ko) 꾸지뽕을 주성분으로 하는 항산화 및 당뇨병 예방용 조성물
JP2002053484A (ja) リパーゼ阻害剤およびそれを含む飲食品
JP2003063974A (ja) 抗酸化剤、一酸化窒素産生抑制剤、抗潰瘍剤およびその薬剤成分を含有する加工食品
KR101528557B1 (ko) 천년초 발효물 함유 의약 조성물
KR102045847B1 (ko) 관능성 및 항당뇨 활성이 증대된 옥미수·호박 가미 경옥고
KR101780718B1 (ko) 도라지 종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CN105963330A (zh) 神秘果制剂及其应用
KR100550358B1 (ko) 쥐눈이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알츠하이머씨병을 비롯한 노인성 치매, 중증 근무력증, 위장관 및 방광평활근의 무력증, 및 녹내장 질환에 유효한 식품 및 사료
KR100509440B1 (ko) 쥐눈이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알츠하이머씨병을 비롯한 노인성 치매, 중증 근무력증, 위장관 및 방광평활근의 무력증, 및 녹내장 질환 치료 또는 예방제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제제
KR100803385B1 (ko) 고추냉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경질환 예방용 조성물과 식품
JP2020137496A (ja) 桑の葉加工物を含有する組成物
KR100560411B1 (ko) 녹차카테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제
KR102302047B1 (ko) 엉겅퀴, 민들레, 배, 아로니아 및 꿀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함유하는 간보호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WO2023204363A1 (ko) 고량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86802B1 (ko) 카테킨 생체 이용률 증진제
KR102035845B1 (ko)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03354B1 (ko) 꼬리겨우살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당뇨용 조성물
KR20230054303A (ko) 폐성 고혈압, 폐성 고혈압에 의한 간 질환 예방 및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