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1565B1 - 알콜성 장해 보호제 - Google Patents

알콜성 장해 보호제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1565B1
KR0131565B1 KR1019940002939A KR19940002939A KR0131565B1 KR 0131565 B1 KR0131565 B1 KR 0131565B1 KR 1019940002939 A KR1019940002939 A KR 1019940002939A KR 19940002939 A KR19940002939 A KR 19940002939A KR 0131565 B1 KR0131565 B1 KR 01315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t
alcohol
carotene
weight
alcoho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2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4764A (ko
Inventor
강상모
Original Assignee
강상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상모 filed Critical 강상모
Priority to KR1019940002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1565B1/ko
Publication of KR950024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47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1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15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70Vitamins
    • A23V2250/704Vitamin B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70Vitamins
    • A23V2250/712Vitamin 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알콜성 장해 보호제
제1도는 활성산소의 생성과정과 방어기작.
제2도는 급성 제1차 알콜투여에 의한 졸도시간.
제3도는 급성 제2차 알콜투여에 의한 졸도시간.
제4도는 급성 제1차 알콜투여에 의한 혈청 중 LDH의 변화.
제5도는 급성 제1차 알콜투여에 의한 혈청분석 GOD, GPT의 변화.
[발명의 요점]
본원 발명은 카로틴(α-, β-, γ-carotene 중 주로β-carotene) 또는 비타민 E(vitamine E, α-, β-, γ-, δ-tocopherol 중 주로 D-α-tocopherol, 이하 Vit-E라 함) 또는 L-비타민 C (vitamine C, 이하 Vit-C라 함)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콜성 장해 보호제 및 그의 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카로틴이나 Vit-E 또는 Vit-C를 식품첨가물, 소프트드링크류, 한약제, 야채, 과일즙 혹은 쥬스에 첨가하거나 카로틴이나 Vit-E 또는 Vit-C 단독 또는 혼합물을 고형, 액상 또는 분말형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 조성물을 물, 전분류, 유화제류, 탄산수, 당류, 소금, 스프류, 육류, 아미노산, 과실류, 채소류, 곡류, 어류, 해조류, 한약제류, 약용식물류, 식용유류, 오일류, 유기산, 항산화제, 기타 비타민류, 씨앗 기타 식품류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들이 많이 들어있는 곡류, 채소류, 과일류 등을 이용 술을 제조할 수 있으며 제조된 술에 이들을 첨가할 수도 있다. 특히 알콜의 과음으로 초래되는 간, 뇌의 손상 및 두통, 편두통과 기타 숙취 및 알콜성 설사를 경감, 회복 또는 예방하는데 인체에 카로틴을 하루에 0.0001 - 0.4 g/㎏ 또는 Vit-E를 하루에 0.00025 - 0.4 g/㎏ 또는 Vit-C를 0.0017 - 0.4 g/㎏, 또는 다른 비타민과 아미노산을 함께 투여함을 특징으로 하는 알콜성 장해 보호제에 관한 것이다. 알콜성 조직손상, 두통, 편두통 등 기타 숙취로 부터 보호하기 위해서 장기적으로 섭취하는 것도 효과가 있으나 최대의 효과를 얻기위해서는 알콜 섭취전 24시간이내에 투여하여야 하며, 특히 알콜 음용과 함께 혹은 2시간 전부터 투여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다. 천연추출물, 발효 또는 합성방법으로 얻어지는 기존의 카로틴 또는 Vit-E 또는 Vit-C는 여러가지 형태가 있었으며, 비타민의 경우 알콜음용으로 몸에서 조금씩 파괴되기 때문에 알콜성 장해 보호제에 조금씩 첨가되어 왔지만, 이러한 카로틴 또는 Vit-E 또는 Vit-C를 인체에 적당량 투여함으로써 알콜로 인한 숙취, 설사 등의 장해를 아주 효율적으로 낮추거나 제거한다는 사실은 지금까지 알려져 있지 않았다.
[본 발명의 구성내용]
이들 알콜성 장해 보호제의 조성물은 여러 형태로 이용될 수 있으나, 카로틴은 0.01 - 100 중량 %, Vit-E는 0.02 - 100 % 중량, 또는 Vit-C는 0.15 - 100 중량 %, 더욱 좋게는 카로틴은 0.02 - 30 중량 %, Vit-E는 0.1 - 50 중량 % 또는 Vit-C는 0.1 - 50 중량 % 또는 여기에 다른 비타민과 아미노산 첨가를 섭취 용이한 고형물 또는 액체성분 또는 부형제를 함유한 것들이 좋다.
액체상태의 경우
본 조성물이 쥬스, 술, 스프, 소프트드링크 또는 건강드링크와 같은 액체 상태일 경우 그 조성물은 카로틴은 0.01 - 30 중량 %, Vit-E는 0.02 - 50 중량 % 또는 Vit-C는 0.15 - 50 중량 % 함유하며, 더욱 좋게는 카로틴은 0.02 - 8 중량 %, Vit-E는 0.01 - 10 중량 % 또는 Vit-C는 0.3 - 10 중량 % 함유하고, 또한 전분류, 젤라틴, 식용유, 유화제, 분지아미노산, 한약제, 야채 혹은 과일 혹은 약초즙, 쥬스, 당류(슈크로스, 락토스, 글루코스), 항산화제, 유화제, 구연산 같은 유기산 또는 비타민 또는 타우린을 0 - 20 중량 %, 더욱 좋게는 1 - 10 중량 %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용성 염류인 소디움 및 포타슘(예를 들면 NaCl, KCL)과 같은 전해질 혼합물을 0 - 4M, 더욱 좋게는 0.02 - 1M 정도 선택적으로 함유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식용유와 유화제도 첨가할 수 있다.
고체상태일 경우(캡슐 혹은 정제상태)
본 발명의 조성물이 캡슐형 또는 정제 형태일 경우 카로틴은 0.6 - 100 중량 %, Vit-E는 1.5 - 100 중량 % 또는 Vit-C는 5.1 - 100 중량 %, 더욱 좋게는 카로틴은 1.0 - 80 중량 %, Vit-E는 10 - 80 중량 % 또는 Vit-C는 10 - 80 중량 % 함유하며 나머지는 다른 비타민, 아미노산, 당류, 유기산, 식용유, 한약제, 항산화제 및 부형제로 구성된다.
주) q.s는 적량 (quantum sufficit)
[발명의 동기]
통계적으로 볼 때 알콜 소비는 개인의 소득 증대와 비례한다는 사실이 보고됨에 따라 점차적으로 생활 수준이 높아가는 현 상황에서 음주로 인한 피해는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알콜은 영양학적인 측면에서 볼 때 7.1 ㎉/g의 높은 열량을 발생하는 물질이지만, 함유하고 있는 열량 그대로 인체가 흡수하지는 못한다. 또한, 생체내 유용한 에너지원으로 이용되지 못하기 때문에 알콜 섭취를 통한 생체네 대사체계가 좋지 않은 쪽으로 흘러가게 되어 영양결핍을 초래한다. 알콜은 보통 3 가지 정도의 경로를 통해 산화되는데,
첫째, 위장관 또는 간에 존재하는 알콜디하이드로게나제 (alcohol dehydrogenase, 이하 ADH라 칭함) 의 작용.
둘째, 소포체에 존재하는 마이크로조말 에탄올 산화복합체 (microsomal ethanol oxidizing system, 이하 MEOS라 칭함) 작용.
셋째, 퍼옥시좀 (peroxysome)에 존재하는 카탈라제 (catalase)의 작용 등을 거쳐 이산화탄소 (CO2)와 물 (H2O)로 분해된다. 보통, 적당량의 알콜이 유입되면 앞서 기술한 산화체계가 원활하게 작용하여 알콜로 기인된 좋지않은 제반 증상이 일어나지 않지만 다량의 알콜 유입시는 대사체계의 균형이 파괴되어 세포내 항상성을 유지하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가장 타격을 많이 받는 곳이 간인데, 이로 인해 지방간, 간경변증 등 여러가지 간기능장애가 발생하고, 단기적인 증상으로는 집중력 감퇴, 소화장애, 두통 등이 초래된다. 일반적으로 다량의 알콜섭취시 일어나게 되는 숙취 증상은 알콜대사 과정상 생성되는 알데하이드가 원인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지만 아직 정확한 기작은 밝혀지지 않은 상태이다. 또한, 알콜과 알데하이드의 혈중농도와 알콜에 따른 두통의 발생시기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으므로, 알콜섭취에 따른 두통의 발생원인이 다른 쪽에도 있을 것이라 추정된다. 간이나 위에 존재하는 ADH는 알콜과의 높은 친화력 때문에 알콜 유입시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효소이지만, 과량의 알콜 유입시에는 과도한 부하가 생성되어 그 작용이 원활하게 일어나지 못하고 대신에 알콜에 대한 낮은 친화력을 가지고 있는 소포체의 MEOS가 알콜산화에 대한 주요한 경로로서 작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체계를 이용하는 알콜 분해는 인체내 독성 작용을 나타내는 다량의 활성산소를 발생시키지 때문에 그것으로 인한 세포손상이 커다란 문제로 제시되고 있다. 한편, 산소 라디칼들은 생체내에서 다음과 같은 방어 기작을 통하여 제거된다 (제1도). 분자 산소의 환원에 의해 생성된 활성 라디칼 (superoxide radical, O2-)은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 (superoxide dismutase, 이하 SOD라 함)에 의해 과산화수소(H2O2)로 되고, 다시 이 물질은 카탈라제 (catalase)에 의해 하이드록실 라디칼 (hydroxy radical, OH-)이 되어 물 (H2O)로 변한다. 또한 과산화수소는 글루타치온 퍼옥시다제 (glutathion peroxidase)에 의해서도 물로 변한다. 그러나, 방어기작 이상의 활성산소가 발생되면 세포내 여러 물질 즉, 단백질, 핵산, 지질 등과 결합하여 세포대사의 손상 또는 세포파괴를 유발한다. 이 중에서 막의 구성성분인 지질은 유리라디칼에 의한 생체 손상 중에서 가장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그 이유는 지질과산화 반응에 의해 막의 구조가 변화되고 나아가서 여러 가지 생리적 기능이 저하되며 이 반응의 생성물도 매우 심각한 독성 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특히 마이크로조말 막 (microsomal membarane)에는 이물질대사에 관여하는 MEOS의 주요 구성성분인 사이토크롬 P-450 (cytochrom P-450), 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타이드 포스페이트 P-450 환원효소 (nicotinamide adinine dinucleotide phosphate reductase ; 이하 NADPH P-450 reductase 라 칭함), 사이토크롬 b5(cytochrome b5), 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투클레오타이드 b5환원요소 (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 ; 이하 NADH b5reductase 라 칭함), 그리고 인지질 등이 모두 존재하며, 이들의 막내의 입체배치 또는 반응을 가장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지질과산화를 통한 막의 손상은 곧 MEOS의 손상으로 유도된다. 즉 사이토크롬 P-450은 지질과산화반응을 일으키며 지질과산화가 일어나면 MEOS의 활성은 감소되고 사이토크롬 P-450도 파괴되게 된다. 이러한 손상은 이물질 (Xenobiotics)과 같은 물질 유입시 독성작용을 제거시키는 생체방어기작 뿐만아니라 알콜분해 과정에도 심각한 영향을 끼치며, 막 손상으로 인한 연속적인 지질과산화 반응이 세포 도처에서 일어나게 된다. 특히 불포화도가 높은 지질일수록 과산화반응이 쉽게 유도되는데, 미토콘드리아 막이나 마이크로솜에는 이러한 지질들이 많이 분포되어 있어 지질과산화 반응의 표적이 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반응들은 막과 결합되어 있는 여러가지 단백질 성분들의 불활성화를 초래하여 정상적인 세포영위의 기능을 감소시키며, 심한 경우에는 세포파괴를 일으킨다. 알콜성 설사의 경우도 장을 중심응로 이와 같은 기작이 일어남으로 장기능이 떨어져서 생기는 것으로 추론된다. 알콜 섭취를 통해 발생되는 생체내의 이상 증상은 ADH 나 ALDH의 보효소인 니콘틴아미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타드 (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 NAD)의 세포내 불균형에 의해서도 발생되지만, 이것보다 활성산소에 의한 독성작용이 더욱 크다고 보여 이것에 대한 보호작용을 강화시키는 것이 알콜에 의한 생체내 손상을 크게 줄일 수 있다고 생각된다.
[다른 연구들과의 차이성]
알콜대사에 있어서 활성산소와 지질과산화를 연구한 자료들을 살펴보면,
Seitz HK, Csomos G (1992)
Alcohol and the liver : ethanol metabolism and the pathomechanism of alcoholic liver damage.
Orv Heitil 133 (50) p3183-3189 가 있고,
Davis WL, Crawford LA, Cooper OJ (1990)
Ethanol induces the generation of reactive free radicals by neural crest cells in vitro.
J. Craniofac Genet. Dev. Biol. 10 (3) p277-293이 있으며,
Hammad H, Higashi T (1990)
Lipid peroxidation in the liver of carcinogen-resistant rats.
Biochem. Biophys. Acta. 1045 (2) p99-106 과,
Comport M (1989)
Three models of free radical-induced cell injury.
Chem. Biol. Interact 72 ( 1-2 ) p1-56 이 있으며,
Kawase T, Kato S, Lieber CS (1989)
Lipid peroxidation and antioxidant defense systems in rat liver after chronic ethanol feeding.
Hepatology 10 (5) p815-821 이 있고,
Rosenblum ER, Gravaler JS (1987)
Vitamin A at pharmacologic doses ameliorates the membrane lipid peroxidation injury and testicular atrophy that occurs with chronic alcohol feeding in rats
Alcohol Alcohol 22 (3) p241-249 등이 있다.
종래의 대부분의 알콜관련 연구는 간을 중심으로한 알콜분해 효소들에 많은 관심을 가졌으며, 최근 들어 알콜 섭취로 활성산소가 발생한다는 논문이 발표되기 시작하였으나, 최근 국제학계에서 노화방지, 암예방으로 속속들이 발표되는 카로틴, 노화방지로 유명한 비타민 E (vitamin E, 이하 Vit-E라 함), 피로회복제로 유명한 비타민 C (vitamin C, 이하 Vit-C라 함) 등을 비교적 과량 투여함으로 숙취 및 알콜성설사를 제거할 수 있다는 방안은 전혀 강구되어 있지 않았다. 활성산소와 관련 조선일보 1994년 2월 3일자 신문에 숙취제거제로써 과실류 채소류 추출물의 SOD 유사물질을 이용한 숙취제거 효과에 대한 기사가 실렸다. 이것은 과일과 채소 등에서 추출한 SOD 유사물질이라는 것을 원료로 한 것이다. 그런데 이 기사에 의하면 본 발명에서 주장하는 카로틴의 왕인 당근이 SOD 유사물질 함량이 매우 낮다고 한 점과 귤, 호박에는 전혀 없다고 한점, Vit-E가 많이 들어 있는 곡류에 대한 얘기는 전혀 없다는 점, Vit-C가 많은 레몬, 귤, 유자, 콩나물 등도 SOD 유사물질이 전혀 없다고 한 점에서 SOD 유사물질이란 본 발명의 물질들과는 다른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주 물질들일 수도 있는 일종의 항산화제를 이 SOD 유사물질 보호제로써 첨가하는 것으로 되어있다. 물론 다른 비타민도 첨가하고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물질들이 산화되기 쉬운 물질들의 산화를 방지시키는 항산화제 역할을 하지 않는다거나 술로 인해 비타민이 파괴된다는 연구들이 발표되지 않았다면 비타민을 첨가하지 않을 것이다 (보통 알콜음용으로 체내 모든 비타민류가 평상시의 절반정도로 줄어진다). 또한 대부분의 드링크류나 건강식품에도 주로 비타민 C를 중심으로 조금씩 많은 종류의 비타민들이 들어있다. 그것은 일반적으로 부족되기 쉬운 점에서 첨가한 것에 불가하며, 이들의 양은 대부분 1일 권장량 이하이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컨디션은 살눈발효액을 주성분으로 한 것으로 그외 비타민 Vit-C 가 60㎎/72㎖ 들어 있으며, 카로틴, Vit-E는 함유되어 있지 않다. 우리들 실험에 의하면 미국의 1일 권장량의 10 - 20 배의 카로틴 400㎎, Vit-E 800㎎, Vit-C 1g을 각각 투여 했을 때 거의 대부분의 사람들이 두통을 느끼지 않았으나 컨디션은 모두 심한 두통을 느꼈다. 시판 예정인 아스파 (알콜성 장해 보호제 드링크)는 아스파테이트 (L-aspartate)와 아스파라긴 (asparagine)을 유효물질로 한 것인데 이것은 지금까지 알콜음용으로 생성되는 아세트알데히드가 주요 독성물질로 학계에서 보고 되고 있는 것에 중점을 둔 것이다. 따라서 이들 물질을 보충함으로 모자라는 NAD를 빨리 NADH에서 재생시켜 줌으로 알콜분해를 촉진시키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알콜음용에서 오는 숙취를 아세트알데히드보다는 알콜음용에서 생선되는 활성산소로 본 점이 다르다.
[발명의 과정]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알콜대사 과정에서 발생하는 활성산소가 다량일 것으로 보고 이것이 알콜성 장애를 초래하는 주요 원인으로 생각하였다. 따라서 항산화제로 가장 대표되는 물질들 카로틴 또는 Vit-E 또는 Vit-C를 술과 함께 비교적 많은 량을 복용함으로써 숙취를 개선하고 알콜성 설사를 줄여 알콜성 장애를 보호해주는 보호제로써의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더 구체적으로 얘기하면 본 발명에서는 카로틴, Vit-E, Vit-C가 사람의 알콜음용으로 인한 두통, 편두통 등의 숙취와 설사 등에 탁월한 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다른 비타민의 첨가가 그 효과를 증진시키며, 카로틴, Vit-E가 급성 1차 알콜투여에서 보다 급성 2차 알콜투여에서 더 효과적인 것을 동물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였으며, 간 기능 보호도 확인하였다.
이하 다음의 실시 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 예 1]
알콜음용 실험
(1) 실험재료
본 실험에 사용한 알콜은 시판용 소주 및 맥주를 이용하였으며, 카로틴, Vit-E는 스위스 로슈사, 미국 시그마사 것을 사용하였다.
그외 비타민류는 시판용을 사용하였다.
(2) 실험방법
본 실험에서는 건국대학교 재학중인 사람 25명 중에서 평소 과음으로 숙취를 느끼는 학생 20명을 선별하여 2회 술을 마시게하여 각각 평소에 두통을 느끼는 주량을 결정하고 이 때 설사를 하는 사람도 조사하여 두었다.
[실시 예 1의 결과]
(1) 소주를 마실 때 카로틴 투여가 숙취 및 설사에 미치는 영향
20명의 학생에게 시판용 소주를 각각 자기 평소 주량에서 30% 더 마시게 하였다. 이 사람들 중 소주를 마시면 5명이 설사 증세가 있다. 이때 카로틴 200 ㎎을 술마시기 직전부터 다 마실 때까지 나누어 투여하였다. 다음 1주일 후 같은 방법으로 카로틴을 400 ㎎으로 높여 투여하여 두통과 설사 증세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실험에서 두통을 느끼지 않게 된 사람 중 머리가 멍한 느낌을 갖는 사람도 조사하였다. 이들 실험에서 두통과 설사 정도 등 숙취의 개선도를 앙케이트 형식으로 조사하였다 (표 2). 표 2에서와 같이 알콜 음용량은 평소보다 많았으나 숙취는 모두 개선되었다고 응답하였으며, 카로틴 400 ㎎에서 두통을 느꼈던 사람도 평소에 비하여 아주 호전된 상태라고 하였다. 멍한 느낌은 두통이 없는 사람들 중에서만 유무를 나타낸 데이터이며, 카로틴 400 ㎎에서 200 ㎎때보다 2배 정도 호전 되었고, 멍한 느낌은 미약하게 나타남으로 두통이 있는 사람들은 두통 때문에 느끼지 못한다. 알콜성 설사 증세의 경우도 장이 나빠 평소에도 설사가 잦은 1명을 제외하고는 4명이 400㎎투여에서 증세가 사라졌다.
위 실험으로 카로틴 200 ㎎ 투여에서 두통과 설사 증세가 없는 사람이 400 ㎎ 투여에서 두통을 느끼거나 설사를 하는 경우는 없었다.
(2) 맥주를 마실 때 카로틴 투여가 숙취 및 설사에 미치는 영향
20명의 학생에게 시판용 맥주를 각각 자기 평소 주량에서 30% 더 마시게 하였다. 이 사람들 중 맥주를 마시면 7명이 설사 증세가 있다.
이 때 카로틴 200 ㎎을 술마시기 직전부터 다 마실 때가지 나누어 투여하였다 (표 3). 표 3에 의하면 2회 모두 숙취가 개선되었다고 답하였으나 표 1의 소주실험에 비하여 두통을 느끼는 사람이 많았고, 변도 좀 묽다고 한 경우가 많았다.
위 실험에서 카로틴 200 ㎎투여에서 두통과 설사 증세가 없는 사람이 400 ㎎투여에서 느끼거나 설사를 하는 경우는 없었다.
(3) 소주를 마실 때 Vit-E 투여가 숙취 및 설사에 미치는 영향
표 2의 실험방법에서 카로틴 대신 Vit-E 400 ㎎ (1㎎=1.49 I. U.)을 술마시기 직전부터 다 마실 때까지 나누어 투여하였다. 다음 1주일 후 같은 방법으로 Vit-E를 800 ㎎로 높여 투여하고 나타나는 증상을 앙케이트 조사하였다 (표 4). 표 4에 의하면 전체적으로 카로틴보다 약간 더 좋은 결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투여량이 카로틴 투여시보다 더 많았기 때문이라 생각한다.
위 실험에서 Vit-E 400 ㎎ 투여에서 두통과 설사 증세가 없는 사람이 800 ㎎ 투여에서 두통을 느끼거나 설사를 하는 경우는 없었다.
(4) 맥주를 마실 때 Vit-E 투여가 숙취 및 설사에 미치는 영향
표 3의 실험방법에서 카로틴 대신 표 4의 실험방법으로 Vit-E를 투여하였다.
이의 경우도 표 4에서와 같이 표 3의 카로틴 투여시의 경우보다 약간 더 좋은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위 실험에서 Vit-E 400 ㎎ 투여에서 두통과 설사 증세가 없는 사람이 800 ㎎ 투여에서 두통을 느끼거나 설사를 하는 경우는 없었다. 평소 알콜 음용으로 눈이 충혈되는 현상을 보였던 한 사람은 실시 예 1의 1-4까지 실험 중에는 그런 현상이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20명의 학생가운데 알콜음용에 따른 편두통을 느끼는 사람이 4명 있었는데 표 1-4의 실험에서 1명은 어느 경우도 그 증세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2명은 카로틴 400 ㎎, Vit-E 800 ㎎에서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1명은 카로틴 200 ㎎, Vit-E 400 ㎎에서 많이 줄었으며, 카로틴 400 ㎎, Vit-E 800 ㎎에서는 약간 나타났다.
(5) 소주를 마실 때 카로틴 또는 Vit-E와 함께 비타민, 아미노산 투여가 숙취 및 설사에 미치는 영향.
표 2의 실험방법에서 카로틴 400 ㎎ 또는 Vit-E 600 ㎎과 함께 인산리보플라빈나트륨 6 ㎎, DL-염산카르니틴 200 ㎎, 염산피리독신 10 ㎎, 질산치아민 20 ㎎, 니코틴산아미드 40 ㎎, 이노시톨 50 ㎎, 타우린(아미노에칠설폰산) 2000 ㎎의 복합체를 투여하였다 (표 6). 실험에 참가인원은 10명이였다. 표 6에 의하면 다른 비타민 등을 함께 복용함으로 숙취제거가 더욱 효과적일 뿐만아니라 특히 무두통의 사람들 중 멍한 느낌을 아주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알콜 음용에 의해 상당히 파괴되는 각종 비타민을 첨가함으로 멍한 느낌을 제거할 수 있었다는 것은 이 멍한 느낌은 주로 알콜음용에 따른 Vit-E, Vit-C 이외의 다른 비타민 부족에서 유래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복합체 A : 카로틴 400mg + 다른 비타민 + 타우린
복합체 B : Vit-E 800mg + 다른 비타민 + 타우린
(6) 소주를 마실 때 Vit-C 투여가 숙취 및 설사에 미치는 영향
표 2의 실험방법에서 카로틴 대신Vit-C를 1000 ㎎ 술마시기 직전부터 다 마실때까지 나누워 투여하였다 (표 7). Vit-C의 경우는 평소보다 술이 더 빨리 취한다는 사람이 약 10% 쯤 되었으며 카로틴, Vit-E에 비하여 그 효과가 떨어지나 모두 숙취개선효과가 나타났다. 설사의 경우도 카로틴, 비타민 E에 비하여 효과가 떨어졌다.
[실시 예 2]
급성 알콜투여 동물실험
----------------------------
(1) 실험재료 및 방법
본실험에 사용한 마우스는 ICR종 숫컷이다. 알콜은 시약용 특급 이상을 사용하였다. 급성 알콜 1차 투여 실험은 체중이 27±1 g이 되도록 사육하여 사용하였으며, 알콜 투여량은 25% 알콜을 0.0228 ㎖/g으로 경구투여하였다. 급성알콜 1, 2차 투여 실험은 마우스의 체중 24±1g을 가지고 시작하였으며, 1차에 25% 알콜을 0.018 ㎖/g으로 경구투여 후, 1주일 지나 2차 알콜 투여를 0.0228 ㎖/g으로 하였다. 카로틴, Vit-E는 알콜용액에 잘 녹도록 10% 카로틴, 50% Vit-E을 스위스 로슈사의 것을 사용하였다. Vit-C는 100%의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 예 2의 결과]
(1) 급성알콜투여에 의한 졸도시간
급성 제1차 알콜투여의 경우는 카로틴 (0.0067 ㎎/g) 혹은 Vit-E(0.013 ㎎/g) 혹은 Vit-C (0.017 ㎎/g)와 함께 혹은 25% 에탄올 단독으로 0.0228 ㎖/g 되도록 경구투여하여 졸도시간을 조사하였으며 (제2도), 2차에 걸친 투여의 경우는 마이크로좀성 산화계를 활성화시키기위하여 1차에는 에탄올만 0.012 ㎖/g으로 경구투여한 후, 1주일 지나 카로틴 (0.0067 ㎎/g) 혹은 Vit-E (0.013 ㎎/g) 혹은 Vit-C (0.017 ㎎/g)와 함께 2차 투여를 25% 알콜을 0.0234 ㎖/g 되도록 경구투여하고 졸도시간(누워있는 시간으로부터 네 발바닥이 지면에 닿는 시간까지)을 조사하였다. 이들은 모두 14시간 단식을 시키고 실험 1시간전에 단수를 하였다. 각 샘플당 20마리씩 실험하였다 (제3도). 제2조의 급성 제1차 알콜투여에 의한 졸도시간의 경우, 순수한 알콜만 섭취한 군보다 카로틴제품의 부형제 군, Vit-E 제품의 부형제 군이 졸도시간이 짧았다. 또한 이들에 비해 카로틴과 Vit-E 제품을 투여한 쪽이 더욱 효과가 있었다. 각 군에서 졸도하지 않은 쥐는 카로틴의 경우 15마리, Vit-E의 경우 16마리로 가장 많았고, Vit-C와 알콜만 투여한 그룹이 가장 적었다. 카로틴제품의 부형제 군, Vit-E 제품의 부형제 군은 카로틴제품 군과 Vit-E 제품 군에 함유된 부형제에 카로틴과 Vit-E의 양도 부형제로 환산하여 투여하였으므로 카로틴 투여 군과 Vit-E 투여 군이 확실히 알콜음용으로 오는 장해를 감소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3도의 알콜1차 투여를 한 쥐를 대상으로 2차 투여를하여 실시한 경우에는 전반적으로 졸도시간이 단축되었는데, 특히 카로틴, Vit-E에 의한 효과가 월등히 향상되었다. 알콜투여로 졸도하지 않은 개체를 비교하여 보면 역시 카로틴 16마리, Vit-E 18마리로 가장 좋은 결과를 보여주었고, 알콜단독 투여군 9마리, Vit-C 투여군은 8마리로 좋지 않았다. 이상에서 제2도에 비해 제3도에서 전반적 졸도시간이 짧은 것은 알콜 1차 투여로 인한 알콜분해성 유도효소 등의 분비가 활성화되어, 알콜에 대한 분해능이 더욱 좋아졌다는 것을 알 수 있고, 여기에 카로틴이나 Vit-E 투여가 아주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 실험을 정좌반사 (rightimg reflex)로 실험하려고 하였으나 실험하는 각도에 따라 너무나 주관적인 면이 많아 적합하지 않았다.
(2) 급성 알콜투여에 의한 간기능 검사
급성 알콜투여에 의한 간기능 검사는 카로틴 (0.0067 ㎎/g) 혹은 Vit-E (0.013 ㎎/g) 혹은 Vit-C (0.017 ㎎/g)와 함께 혹은 에탄올 단독으로 25% 알콜을 0.0228 ㎖/g 되도록 경구투여하고 3시간 지나 단두법으로 마우스를 희생시키고 혈액을 채위하고 혈청을 분리하여 2마리를 한 샘플로하여 간기능검사를 하였다. 사용한 쥐는 각 그룹당 20마리를 하였다 (제4도, 제5도). 혈청내 유산탈수소효소 (serum lactate dehydrogenase, 이하 s-LDH라 함)는 신장, 심장, 골격근, 간 순으로 분포되어 있는데, 급성간염, 악성종양 근육질환 등이 발생할 때 증가하는 효소이다. 제4도는 급성 제1차 알콜투여에 의한 혈청 중 s-LDH의 변화인데, 알콜 투여에서 어떠한 것도 증류수만 투여한 군보다 LDH 값이 높았으나, 카로틴 투여 군, Vit-E 투여 군은 알콜만 투여 군보다 s-LDH가 감소하였고, 10% 카로틴 제품의 부영제를 함께 투여한 군, Vit-C를 함께 투여한 군은 알콜만 투여한 것보다 s-LDH가 증가하였다. 특히 Vit-C 투여가 높게 나타났는데 명확한 이유는 모르겠다. 이 그림에서 보면 카로틴, Vit-E는 알콜성 급성간염에 좋은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혈청 - 글루타믹 옥살아세틱 트랜스아미나제 (serum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이하 s-GOT라고 함)는 손상된 세포에서 혈중으로 유출되는 효소측정 방법 중 급성간염시 가장 많이 증가하는 효소로써 심장, 간, 근육, 신장 순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어 해당 장기의 손상 예측에 많이 이용하고 특히 알콜성 간염증일 때는 혈청 - 글루타믹 피루빅 트랜스 아미나제 (serum glutamic pyruate transaminase, 이하 s-GPT라고 함) 보다 더 많이 올라간다. 제5도는 급성 제1차 알콜투여에 의한 혈청분석 s-GOT, s-GPT의 변화이다. 제5도에 의하면 카로틴 투여군과 Vit-E 투여군이 알콜 단독군보다 s-GOT 값이 낮고 부형제 투여군, Vit-C 투여군은 알콜 단독 투여군보다 s-GOT 값이 높았다. 특히 Vit-C 투여군은 다른 군보다 가장 높았는데 s-LDH 분석 경우와 거의 증가 정도가 같았다. s-GOT 값에 의하면 카로틴, Vit-E가 알콜성 급성감염을 낮춘다고 볼 수 있다. s-GPT 값은 증류수 투여군보다 전부 높았으나 알콜 단독 투여군에서 가장 높았고 카로틴, Vit-E 투여군에서는 GPT 값이 상당히 감소하였다. 한편 부형제 투여군에서도 GPT 값의 감소가 있었는데 카로틴이나 Vit-E보다는 높았다. 또 Vit-C 군은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간세포 파괴 인자의 성격을 갖는 s-GPT 값에 의하면 역시 여기서도 카로틴, Vit-E가 알콜음용에 따른 간세표 손상에 가장 효과적이라고 볼 수 있다. 카로틴, Vit-E 및 Vit-C을 음용하기에 적합하도록 식품, 음료 및 비타민 등에 첨가하거나 단독으로 사용하는 예는 다음과 같다.
[첨가예 1]
카로틴 또는 Vit-E 또는 Vit-C 또는 여기에 다른 비타민과 아미노산, 항산화제를 사이다와 같은 소프트 음료 시럽에 용해하여 카로틴을 0.01 - 5 중량 % 또는 Vit-E를 0.02 - 50 중량 % 또는 Vit-C를 0.15 - 50 중량 %가 되도록 첨가한다.
[첨가예 2]
아스파라거스, 배추와 같은 야채류 또는 배, 복숭아, 사과와 같은 과실류의 즙 또는 그 추출농축액을 이용하여 재조한 쥬스 등에 카로틴을 0.01 - 5 중량 % 또는 Vit-E를 0.02 - 50 중량 % 또는 Vit-C를 0.15 - 50 중량 %가 되도록, 또는 여기에 다른 바타민과 아미노산 또는 항산화제를 첨가한다.
[첨가예 3]
게토레이 (Gatorade)와 같은 각종 스포츠 드링크에 카로틴을 0.01 - 5 중량 % 또는 Vit-E를 0.02 -50 중량 % 또는 Vit-C를 0.15 - 50 중량 %가 되도록, 또는 여기에 다른 비타민과 아미노산, 또는 항산화제를 적당량 첨가한다.
[첨가예 4]
박카스, 구론산과 같은 피로회복제에 카로틴을 0.01 - 5 중량 % 또는 Vit-E를 0.02 - 50 중량 % 또는 Vit-C를 0.15 - 50 중량 %가 되도록 또는 여기에 다른 항산화제를 첨가한다.
[첨가예 5]
비타민 제조품에 카로틴을 0.6 - 99 중량 % 또는 Vit-E를 1.5 - 100 중량 % 또는 Vit-C를 5.1 - 100 중량 %가 되도록 또는 여기에 식용유, 다른 항산화제를 첨가하여 정제 또는 캡슐로 만든다.
[첨가예 6]
아미노산 또는 다른 비타민류 또는 식용유 또는 전분 또는 항산화제 또는 젤라틴 또는 시트르산 및 당류들을 각각 또는 혼합하여 카로틴을 0.6 - 50 중량 % 또는 Vit-E를 1.5 - 950 중량 % 또는 Vit-C를 5.1 - 95 중량 %가 되도록 첨가, 혼합하여 정제 또는 캡슐로 만든다.
[첨가예 7]
다른 아미노산 및 다른 비타민류와 각각 또는 혼합하는데 카로틴을 0.02 - 30 중량 % 또는 Vit-E를 0.04 - 30 중량 % 또는 Vit-C를 0.3 - 50 중량 %가 되도록 용액으로 한 다음 정맥주사용으로 만든다.
[첨가예 8]
인삼, 감초, 계피, 건강, 진피, 창출 등 기타 한약제의 추출액과 다른 비타민 아미노산, 기타 항산화제, 식용유, 카로틴을 0.01 - 30 중량 % 또는 Vit-E를 0.02 - 50 중량 % 또는 Vit-C를 0.15 - 50 중량 %가 되도록 용액으로 한 알콜성 장해 보호제를 만든다.
[첨가예 9]
인삼, 감초, 계피, 건강, 진피, 창출 등 기타 한약제의 추출물에 다른 비타민, 아미노산, 항산화제, 식용유, 카로틴을 0.1 - 50 중량 % 또는 Vit-E를 0.1 - 80 중량 % 또는 Vit-C를 0.1 - 80 중량 %가 되도록 첨가, 혼합하여 알콜성 장해 보호제의 정제 또는 캡슐로 만든다.
[첨가예 10]
L-메치오닌, 마니톨, 비타민 B12, 부틸히드록시톨루엔 (butyl hydroxytoluene, 이하 BHT라 함), 부틸히드록시아니솔 (butyl hyeroxyanisole, 이하 BHA라 함), 등의 항산화제와 셀레늄 (selenium), 식용유에 카로틴을 0.01 - 30 중량 % 또는 Vit-E를 0.02 - 50 중량 % 또는 Vit-C를 0.15 - 50 중량 %가 되도록한 용액으로 한 알콜성 장해 보호제를 만든다.
[첨가예 11]
L-메치오닌, 마니톨, 비타민 B12, 부틸히드록시톨루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등의 항산화제와 셀레늄, 식용유에 카로틴을 0.1 - 50 중량 % 또는 Vit-E를 0.1 - 90 중량 % 또는 Vit-C를 5.1 - 90 중량 %가 되도록 첨가, 혼합하여 알콜성 장해 보호제의 정제 또는 캡슐로 만든다.
[첨가예 12]
술에 항산화제와 카로틴을 0.01 - 10 중량 % 또는 Vit-E를 0.02 - 20 중량 % 또는 Vit-C를 0.15 - 20 중량 %가 되도록 처가, 혼합하여 알콜성 장해를 보호할 수 있는 술을 만든다.
[첨가예 13]
레몬, 귤, 오렌지, 유자, 모과, 키위, 감 등 Vit-C가 많은 과일과 그리고 사과 등, 당근, 고추, 토마토, 호박 등 카로틴이 많은 채소 그리고 참깨, 들깨, 달맞이꽃씨, 호박씨, 해바라기씨, 땅콩, 콩 등 Vit-E가 많은 곡류 그리고 마늘, 양배추, 양파, 오이, 미나리, 시금치 등 재료 혹은 부재료한 술 혹은 술에 이들을 가공 상태로 첨가하고 카로틴을 0.01 - 10 중량 % 또는 Vit-E를 0.02 - 20 중량 % 또는 Vit-C를 0.15 - 20 중량 %가 되도록하고, 항산화제, 기타 비타민과 함께 첨가한 용액상태의 알콜성 장해를 보호할 수 있는 술을 만든다. 이상으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하였으며 동일한 방법의 많은 형태가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그러나 그러한 변형에는 본 발명의 정신과 요지로부터 이탈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으며, 당 업자에게 명백한 그런 모든 수정 예는 다음의 특허 청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Claims (4)

  1. 알콜성 장해로부터 신체를 보호하기에 유효한 양의 비타민 E를 포함하는, 비타민 E를 주성분으로 하는 알콜성 장해 보호제.
  2. 제1항에 있어서, 비타민 E의 유효량은 0.0017-0.4 g/㎏/day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콜성 장해 보호제.
  3. 제1항에 있어서, 부성분으로 비타민 B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콜성 장해 보호제.
  4. 제3항에 있어서, 비타민 B군은 인산리보플라빈 염산카르니틴, 염산피리독신, 질산티아민과 니코틴산아미드의 복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콜성 장해 보호제.
KR1019940002939A 1994-02-18 1994-02-18 알콜성 장해 보호제 KR01315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2939A KR0131565B1 (ko) 1994-02-18 1994-02-18 알콜성 장해 보호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2939A KR0131565B1 (ko) 1994-02-18 1994-02-18 알콜성 장해 보호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4764A KR950024764A (ko) 1995-09-15
KR0131565B1 true KR0131565B1 (ko) 1998-04-17

Family

ID=19377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2939A KR0131565B1 (ko) 1994-02-18 1994-02-18 알콜성 장해 보호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15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4676A (ko) * 2001-03-15 2001-06-05 김형식 담석 배출용 조성물
KR20020088734A (ko) * 2001-05-21 2002-11-29 엄경용 숙취 해소용 조성물
KR20030073498A (ko) * 2002-03-12 2003-09-19 최승호 숙취해소제와 그 제조 방법 및 그 용기
KR100584891B1 (ko) * 2004-08-13 2006-05-30 (주)씨스팜 경구용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 제제인, 캔털루프 멜론추출물과 글리아딘 결합물을 숙취해소에 사용하는 방법
WO2007058505A1 (en) * 2005-11-21 2007-05-24 Gentro Co., Ltd. Hangover curing agent containing a raw unripe red pepper extract and health supporting foods containing the same
KR100789000B1 (ko) * 2005-11-21 2007-12-28 주식회사 젠트로 생 고추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제 및 이를 함유하는건강보조식품
KR102152361B1 (ko) * 2018-12-17 2020-09-04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숙취해소 음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2080516A1 (ko) * 2020-10-14 2022-04-21 농업회사법인제주황금꽃벵이주식회사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367717B1 (ko) * 2020-12-04 2022-02-25 주식회사 코스팜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 기능식품
WO2023153777A1 (ko) * 2022-02-08 2023-08-17 한국 한의학 연구원 참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4764A (ko) 1995-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26031B1 (en) Method of decreasing cholesterol and triglycerides levels with a composition containing fish oil, garlic, rutin, and capsaicin
US6440464B1 (en) Nutritive composition for cardiovascular health containing fish oil, garlic, rutin, capsaicin, selenium, vitamins and juice concentrates
US20050276839A1 (en) Appetite satiation and hydration beverage
US20080199586A1 (en) Nutritional herb and fruit beverage
KR0131565B1 (ko) 알콜성 장해 보호제
US7736678B2 (en) Method of enhancing blood antioxidant activity ingesting a compound in the form of at least one form selected from amongst juice, powder, granule, tablet and capsule, which contains an effective amount of at least one vegetabl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roccoli, spinach, parsley, komatsuna (Brassicad rapa L.) and japanese radish leaves, and at least one vegetable selected from amongst lettuce, cabbage and celery
KR101326413B1 (ko) 숙취예방, 숙취해소 및 아세트알데하이드 유발 질환 예방용 조성물
JP2004321171A (ja) 飲食品
KR20100107674A (ko)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기능성 조성물
CN101616604A (zh) 维护健康皮肤的抗氧化剂食品补充剂组合物和方法
WO1998000024A1 (en) Nutritional supplement composition and use
KR970008105B1 (ko) L-아스파테이트 또는 아스파라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콜성 장해 보호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318223B1 (ko) 페피노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중알콜농도 저하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4974553B2 (ja) アセトアルデヒド代謝促進剤
KR102433586B1 (ko) 숙취 해소 및 간 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0631073B1 (ko) 더덕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 질환 및 알코올성고지혈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235563B1 (ko) 고함량 아르기닌을 포함하는 피로회복 및 성기능 개선용 조성물
JP4141271B2 (ja) 柑橘類抽出組成物
JP2019517470A (ja) 筋肉の性能を改善するための、海洋性油及びジュースを含む組成物の使用
JPS61112024A (ja) 抗酸化食品
KR100780120B1 (ko) 공액 리놀레산을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알코올성 질병예방을 위한 기능성 식품
EP0835119A1 (en) Fish oil and garlic nutritive composition
EP4209135A1 (en) Composition for removing hangover and improving liver function
KR100616122B1 (ko) 간기능활성 및 항고지혈증 조성물
KR20030070232A (ko) 오수유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항산화 작용을위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