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080516A1 -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080516A1
WO2022080516A1 PCT/KR2020/013974 KR2020013974W WO2022080516A1 WO 2022080516 A1 WO2022080516 A1 WO 2022080516A1 KR 2020013974 W KR2020013974 W KR 2020013974W WO 2022080516 A1 WO2022080516 A1 WO 202208051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owder
composition
hangover
weight
liver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1397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홍희진
김병주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제주황금꽃벵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제주황금꽃벵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제주황금꽃벵이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0/01397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2080516A1/ko
Publication of WO202208051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08051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1/00Marmalades, jams, jellies or the like; Products from apiculture;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1/20Products from apiculture, e.g. royal jelly or pollen; Substitutes therefor
    • A23L21/25Honey; Honey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06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 A23L29/212Starch; Modified starch; Starch derivatives, e.g. esters or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relieving a hangover and improving liver function.
  • alcohol dehydrogenase ADH
  • ADH alcohol dehydrogenase
  • Acetaldehyde which is a primary metabolite essential in the metabolic process of ingested alcohol, causes the biggest cause of acute alcohol hangover, namely, nausea, vomiting, dizziness, thirst, lethargy, etc., leading to a decrease in work ability of the general public.
  • alcoholic fatty liver or alcoholic hepatitis occurs and continues to drink alcohol while the liver is in a bad state, cirrhosis may occur.
  • the liver is a central organ that metabolizes carbohydrates, proteins, and fats, and is responsible for excreting foreign substances into the body through oxidation, reduction, hydrolysis and conjugation reactions. This is a 'silent organ' that does not appear well and is discovered only after a considerable process.
  • liver disease causes of liver disease are known to be diverse and can be etiologically classified into liver disease caused by viruses, liver disease caused by drug addiction, and liver disease caused by biliary insufficiency. Symptoms such as malaise, pruritus, loss of appetite and fatigue occur due to decreased ability and inhibition of bile secretion, impaired excretion of toxic substances, inhibition of absorption and accumulation of vitamins B2, B3 and C.
  • Insects have been frequently used as herbal medicines since ancient times, and about 30 species, such as slugs, silkworms, cicadas, Cordyceps or centipedes, are used as useful insect resources.
  • Insects have more than twice the protein content of meat on average, and are rich in minerals, essential and non-essential amino acids, and vitamins, and most of the fat consists of unsaturated fat. Since the nutrients contained in insects can be easily absorbed by the human body, they are emerging as protein substitutes obtained from livestock products.
  • Slugs are beetle larvae, and the larvae of insects mainly in the family Scaraceae and Stagweed belong to this category.
  • the term slug is used as a generic term for the larva of a beetle or beetle insect, and the slugs commonly used in the market are also mixed with larvae of the same insects. It has been and is being used.
  • a 'slug' is a larva of Protaetia brevitarsis or a larva of Allomyrina dichotoma.
  • the larvae of white-spotted flower radish are widely used as medicines, and 'Donguibogam' contains diseases originating from the human liver, such as liver cancer, cirrhosis, hepatitis, and relieving accumulated fatigue, loss of vision, cataracts, malignant boils, stomatitis, tetanus, etc. It is said to be effective in treating adult diseases such as , stroke, etc.
  • the brown mealworm (Tenebrio molitor) is a species of insect in the family Coleoptera. Mealworm brown is distributed all over the world, including Korea. Nutrient components of brown mealworm larvae include 45-57% protein, 25-34% fat, and 8-11% carbohydrate on a dry weight basis, attracting attention worldwide as a future food resource.
  • Injin mugwort (Artemisia iwayomogi KITAMURA) is also called hot mugwort, mugwort mugwort, and baby rock mugwort. It is collected in late autumn, and the above-ground part contains sieversin, artabsin, artabsin, and absinthin.
  • Dry plants contain 0.12-0.2% alkaloid, 0.499% pyrocatechol tannin, 0.831% flavonoid, lactones and trace amounts of furocoumarins. In addition, it contains rutin and isoquercetin. It has the effect of yidam, and it has the effect of treating five long-term sagi, wind and cold rain, and has the effect of bojungikgi. It is known to treat symptoms of hunger, wind and cold, and jaundice because it is reported as mental instability.
  • Dandelion (Taraxacum platycarpum Dahlst.; Taraxacum mongolicum Hand.-Mazz) is also known as Geumjamcho, Jijeong, Pogongyeong, Pogongcho, Anjilbang, and also has a nickname called Saengbaeng.
  • the leaves or stems contain proteins, carbohydrates, fats, ash, minerals, vitamins, etc. evenly. Young shoots are used as greens or soup.
  • the roots and outposts before flowering are said to have antipyretic, anti-inflammatory, diuretic, and gastric effects, and are used as a treatment for hypothyroidism, sore throat, bronchitis, lymphadenitis, ophthalmitis, mastitis, hepatitis, cholecystitis, indigestion, indigestion, and constipation. use it
  • Thistle (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 (Regel) Kitam) has been used as a herbal medicine since ancient times, as it is called Daegye in oriental medicine. In Donguibogam, it is recorded that it has the effect of cooling the blood and releasing the eohyeol. Milk thistle extract is used as a component of liver medicine, and it contains silymarin, which is excellent for liver disease, and is known to have the effects of protecting hepatocellular cells and promoting fat metabolism, promoting bile secretion, RNA biosynthesis, and regeneration of hepatocytes. In addition, thistle root is said to be effective for dryness, tonicity, anti-inflammatory, detoxification, diuresis, hemostasis, and neuralgia.
  • the composition for relieving a hangover and improving liver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cauliflower powder, a plant mixture powder, corn starch, honey, and other additives. characterized in that
  • the plant mixed powder includes tangerine peel powder, wormwood powder, turmeric tuber powder, licorice, sagebrush powder, sorghum yellowtail, baekchul, astragalus, cinnamon, dried Schisandra, cornus oil powder, raw paper powder, red ginseng powder, and antler powder. characterized in that
  • the other additives include citrus flavor mixture formulation, peppermint flavor mixture formulation, slug enzyme treatment complex composition, and calamansi concentrated powder
  • the citrus flavor mixture formulation includes orange oil, linalol, decanal, ethyl 2- Methyl butyrate, geraniol, and ethyl acetate are included
  • the peppermint flavor mixture includes dextrin, peppermint flavor, and gum arabic
  • the slug enzyme-treated complex composition includes slug enzyme-treated product, brown mealworm larva enzyme-treated product, and thistle It contains extract, wormwood extract, and dandelion extract
  • the calamansi concentrate powd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ains dextrin, calamansi concentrate, and gum arabic.
  • the other additives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y further include cottonseed oil and beta-glucan.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ontrol the blood alcohol concentration by helping the activity of the alcohol-degrading enzyme.
  • FIG 1 and 2 are diagrams showing the results of the antioxidant efficacy experiment for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ADH alcohol degrading enzyme
  • ADH aldehyde degrading enzyme
  • 5 and 6 are diagrams showing results of quantification of blood alcohol concentration according to an exper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and 8 are diagrams showing the results of quantification of blood aldehyde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exper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10.0% by weight of flower bud powder, 72.4% by weight of mixed plant powder, 9.0% by weight of corn starch, 4.0% by weight of miscellaneous honey, 1.1% by weight of citrus flavor mixture, 1.0% by weight of peppermint flavor mixture, and slug enzyme treatment It is preferable to prepare to include 1.0% by weight of the composite composition, 0.5% by weight of the calamansi concentrated powder.
  • the plant mixture powder is tangerine peel powder 14.5% by weight, mugwort powder 12.2% by weight, turmeric tuber root powder 12.1% by weight, licorice 12.1% by weight, sagebrush powder 11% by weight, Sukjihwang 9.85% by weight, baekchul 9.4% by weight, astragalus 9.1 It consists of weight %, cinnamon 5% by weight, dried Schisandra 2.2% by weight, cornflower oil powder 2% by weight, raw paper powder 0.5% by weight, red ginseng powder 0.048% by weight, and antler powder 0.002% by weight.
  • the citrus flavor mixture consists of 97.354 wt% of orange oil, 1.176 wt% of linalol, 0.98 wt% of decanal, 0.196 wt% of ethyl 2-methylbutyrate, 0.196 wt% of geraniol, and 0.098 wt% of ethyl acetate.
  • the peppermint flavor mixture formulation consists of 83.34% by weight of dextrin, 12.5% by weight of peppermint, and 4.16% by weight of gum arabic.
  • the slug enzyme-treated complex composition is 40% by weight of slug enzyme-treated product (50% by weight of slug enzyme, 50% by weight of dextrin), 30% by weight of brown mealworm larvae enzyme-treated product (50% by weight of brown caterpillar, dextrin 50% by weight) ,
  • Thistle extract milk thistle extract 50% by weight, dextrin 50% by weight) 20% by weight
  • Injin mugwort extract Injin mugwort extract 50% by weight, dextrin 50% by weight) 5% by weight
  • dandelion extract dandelion extract 50% by weight, dextrin 50% by weight
  • the calamansi concentrate powder consists of 58% by weight of dextrin, 40% by weight of the calamansi concentrate, and 2% by weight of gum arabic.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may be provided as a product of a Beng-Ju liquid formulation or a Beng-Ju tablet (pill).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prepared as a pill, it is preferable that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ntain 0.5% by weight of cottonseed oil and 0.5% by weight of beta-glucan in addition to the above compositions.
  • the reason for adding more cottonseed oil when manufacturing pills is to remove bubbles generated in the paste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pills.
  • the rate of cracking in the pill is increased, and these cracks are the cause of lowering the shape retention of the pill. That is, by further adding cottonseed oil to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pills in which bubble entrainment is controlled, so that storage, maintenance and ingestion are facilitated.
  • cornstarch is intended to impart viscosity as a thickener.
  • beta-glucan is further added to the cornstarch, which is to further improve shape retention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pills and the summer season.
  • beta-glucan is further added to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beta glucan is a polysaccharide that Agrobacterium genus strain and Alcaligenes faecalis strain excreted from the outside of the microorganism, and is a water-insoluble neutral polysaccharide in which a glucose monomer is bound to beta-1,3.
  • This homopolymer has unique physicochemical properties that irreversibly form a gel when exposed to heat. Therefore, as the beta-glucan is further add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iscosity is maintained even when exposed to heat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pills, summer, etc., thereby enhancing shape retention, and even in the case of such high shape retention, ease of storage, maintenance and intake is to make it happen.
  • 1,1-diphenyl-2-picrylhydrazyl was used to measure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hangover reliever. That is, 50 ml of a sample diluted by concentration (0, 2, 10, 40, 80, 120 ⁇ g/ml) by dissolving the extract in DMSO in 950 ml of a 0.2 mM DPPH solution dissolved in ethanol is added, followed by incubation at room temperature for 30 minutes. ) and then absorbance was measured at 517 nm. Antioxidant activity was calculated as follows.
  • Antioxidant activity (%) ⁇ 1 - (absorbance in the sample added group / absorbance in the non-sample group) ⁇ x 100]
  • Alcohol degrading enzyme activity was measured according to the Megazyme protocol using a commercially available ethanol quantification assay kit (Megazyme, Wicklow, Ireland).
  • the activity of the aldehyde degrading enzyme was measured according to the Megazyme protocol using a commercially available acetaldehyde quantification assay kit (Megazyme, Wicklow, Ireland).
  • mice were divided into 5 groups (10 mice per group), and each group was orally administered with a hangover reliever in a dose of 0.2 ml, and after 30 minutes, 0.2 ml of 40% ethanol was orally administered to 0.5, 1.0, 1.5, 2.0, 3.0, 4.0, 5.0 hours Mice were sacrificed and blood was collected through the carotid artery.
  • the separated serum (10 ⁇ l) was mixed with 1 ml of distilled water, buffer plus sodium azide (0.02% w/v) 0.1 ml, and NAD+ solution 0.1 ml, and incubated for 2 minutes at room temperature, and then the basic absorbance (A1) at 340 nm was measured. measured.
  • A2 aldehyde dehydrogenase
  • the blood acetaldehyde concentration was calculated using the extinction coefficient of NADH based on the changed absorbance (A2-A1) at 340 nm.
  • extinction coefficient of NADH at 340 nm
  • the blood alcohol concentration was generally high in the 0.5-5 time period.
  • the blood aldehyde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reduced (p ⁇ 0.001)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fter 0.5 hours of alcohol administration, and the blood aldehyde concentration was decreased at the 3 and 4 hours. I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p ⁇ 0.05)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 the blood aldehyde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reduced (p ⁇ 0.001)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fter 0.5 hours of alcohol administration,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 a significant decrease (p ⁇ 0.05) was observ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latively superior antioxidant effect compared to the control.
  •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d not increase the activity of ADH, but was found to increase the activity of ALDH.
  • the blood aldehyde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reduced (p ⁇ 0.001)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fter 0.5 hours of alcohol administration, and the blood aldehyde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reduced at the 3 hours and 4 hour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p ⁇ 0.05) compared to .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꽃벵이분말, 식물혼합분말, 옥수수전분, 잡화꿀, 기타 첨가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본 발명은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술에 관대한 문화로 인하여 음주 인구가 매우 많다. 많은 양의 알코올을 섭취하면 간 기능 장애 등 건강을 잃을 수 있어서 국민 건강 문제로 인한 사회적, 경제적 손실이 크다. 음주로 인한 사회 경제적 손실 비용은 GDP의 2.86%인 약 14조 9천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되어 사회경제적으로 많은 문제점을 노출하고 있다.
일반적인 알코올 대사과정은 알코올을 섭취하면 주로 위장 또는 소장에서 흡수되어 사람에 따라 최대 1/3 정도는 위장에서 알코올 탈수소효소(alcohol dehydrogenase, ADH)에 의하여 분해됨으로써 혈액을 통하여 알코올이 흡수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나머지는 간으로 옮겨져 대사된다. 간에 도달한 알코올의 약 90%는 ADH에 의하여 아세트알데하이드(acetaldehyde)로 산화된 후 아세트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acetaldehyde dehydrogenase, ALDH)에 의하여 아세트산(acetic acid)으로 산화된다. 나머지 10% 정도의 알코올은 카탈라제에 의하여 아세트알데하이드로 대사된다. 섭취된 알코올의 상기 대사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생기는 1차 대사산물인 아세트알데하이드는 급성알코올 숙취의 가장 큰 원인, 즉 메스꺼움, 구토, 현기증, 갈증, 무기력증 등을 유발하여 일반인의 업무능력 저하로 이어진다. 또한 알코올성 지방간이나 알코올성 간염이 생기고 간이 나쁜 상태에서 계속 술을 마시게 되면 간경변이 발생할 수 있다.
최근 현대인들의 음주 증가로 인한 지방축적과 간 손상 보호 및 숙취해소에 도움을 주는 컨디션, 여명808, 모닝케어, 헛개파워 등과 같은 다양한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간은 당질, 단백질, 지방을 대사하는 중심기관이며, 체내에 들어온 외부물질을 산화, 환원, 가수분해 및 포합반응을 통해 체내로 배설하는 기능을 담당하지만, 간질환의 초기단계에서 통증이나 자각증상이 잘 나타나지 않고 상당히 진행되어야 발견되는 '침묵의 장기'이다.
간질환의 원인은 다양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병인학적으로 바이러스에 기인된 간질환, 약물중독에 기인한 간질환 및 담도기능부전에 의한 간질환 등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간질환은 간세포파괴에 의한 해독능력 저하와 담즙분비 억제에 의한 독성물질 배설장애, 비타민 B2, B3 및 C의 흡수억제 및 축적저하에 의한 전신 권태감, 소양감, 식욕부진 및 피로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항 간독성 활성을 갖는 천연물의 탐색 및 개발도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실제 치료제로 사용 중이거나 임상시험을 거친 예는 소수에 불과하다. 간 건강에 도움을 주는 개별인정형 기능성 원료로는 밀크씨슬 추출물, 브로콜리 스프라우트 분말, 표고버섯균사체 추출물, 복분자 추출 분말, 도라지 추출물 등이 있고 알코올성 손상으로부터 간 보호에 도움을 주는 기능성 원료는 헛개나무과병 추출물과 유산균 발효 다시마 추출물이 있다(식품의약품안전처, 2017).
한편, 최근 지구상에 다수 종을 차지하고 있는 곤충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되고 있는데, 예로부터 곤충은 한약재로 자주 이용되어 왔으며 주로 굼벵이, 누에, 매미허물, 동충하초 또는 지네 등 약 30 여종이 유용한 곤충자원으로 이용되고 있다. 곤충은 단백질 함량이 육류에 비해 평균 2배 이상 높으며 무기질, 필수 및 비필수 아미노산, 비타민 등이 풍부하며 지방이 대부분 불포화 지방으로 이루어져 있다. 곤충이 함유하고 있는 영양성분이 인체에 쉽게 흡수될 수 있어 축산물에서 얻어지는 단백질 대체식품으로 대두되고 있다.
굼벵이는 딱정벌레 유충으로 풍뎅이과와 사슴벌레과를 중심으로 한 곤충류의 유충이 이에 속한다. 매미의 유충 뿐만 아니라 다른 곤충의 유충에도 굼벵이와 동일한 약효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굼벵이라는 용어는 풍뎅이 또는 딱정벌레류 곤충의 유충을 통칭하는 말로 사용되고 있으며, 시중에 통용되는 굼벵이 역시 같은 곤충들의 유충이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는 상황이다.
근래에 일반적으로 '굼벵이'라 지칭하는 것은 흰점박이꽃무지(Protaetia brevitarsis)의 유충 또는 장수풍뎅이(Allomyrina dichotoma)의 유충이다. 흰점박이꽃무지의 유충은 약으로 많이 쓰이며, '동의보감'에는 사람의 간에서 비롯되는 질병 즉, 간암, 간경화, 간염, 누적된 피로 해소 등을 포함하여 시력 감퇴, 백내장, 악성종기, 구내염, 파상풍, 중풍 등의 성인병을 치료하는 데 효과가 있다고 적혀있다.
갈색거저리(Tenebrio molitor)는 딱정벌레목 거저리과 곤충의 일종이다. 갈색거저리는 한국을 비롯한 전 세계에 분포되어 있다. 갈색거저리 유충의 영양성분으로는 건조 중량기준으로 단백질 45~57%, 지방 25~34%, 탄수화물 8~11 %가 함유되어 전 세계적으로 미래식량자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인진쑥(Artemisia iwayomogi KITAMURA)은 더위지기, 부덕쑥, 애기바위쑥이라고도 하며, 한자로는 인진이라 하고 전초를 백호라 하며 약용한다. 늦가을에 채취하며, 지상부분은 sieversin, artabsin, artabsin, absinthin을 함유한다.
건조식물은 alkaloid 0.12-0.2%, pyrocatechol tannin 0.499%, flavonoid 0.831%, lactone류 및 미량의 furocoumarins을 함유한다. 이밖에 rutin, isoquercetin을 함유한다. 이담효과가 있으며, 오장사기, 풍한습비를 치료하고 보중익기의 효능이 있다. 정신불안정으로 소식하기 때문에 항상 공복감을 갖는 증상, 풍한습비, 황달을 치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민들레(Taraxacum platycarpum Dahlst. ; Taraxacum mongolicum Hand.-Mazz)는 금잠초, 지정, 포공영, 포공초, 안질방이라고도 하며 앉은뱅이라는 별명도 있다. 잎 또는 줄기에는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회분, 무기질, 비타민 등이 골고루 함유되어 있다. 어린순은 나물이나 국거리로 쓴다.
한방에서는 뿌리와 꽃피기 전의 전초를 해열, 소염, 이뇨, 건위의 효능이 있다고 하여, 감모발열, 인후염, 기관지염, 임파선염, 안질, 유선염, 간염, 담낭염, 소화불량, 소변불리, 변비의 치료제로 이용한다.
엉겅퀴(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 (Regel) Kitam)는 한방에서 대계라고 하여 예로부터 뿌리를 한약재로 이용해 왔다. 동의보감에는 혈기를 식히고 어혈을 풀어주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엉겅퀴 추출물은 간장약의 성분으로 사용되는데, 간장 질환에 우수한 실리마린(silymarin)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간세포 보호 및 지방대사를 촉진하고 담즙 분비 촉진 및 RNA 생합성, 간세포 재생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엉겅퀴 뿌리가 건위, 강장, 소염, 해독, 이뇨, 지혈, 신경통 등에 효과가 있다고 한다.
이에 본 출원의 발명자는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에 효과적인 조성물을 연구하던 중, 굼벵이의 효소처리물과 인진쑥, 민들레 및 엉겅퀴의 추출물이 혈중 알코올 농도 조절 및 간세포 보호에 탁월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숙취해소 증상 개선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 실험을 통하여 숙취해소 및 간보호 기능이 기존의 제품들에 비해 더욱 증진된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이하 "본 발명의 조성물"이라함)은 꽃벵이분말, 식물혼합분말, 옥수수전분, 잡화꿀, 기타 첨가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식물혼합분말은 귤껍질분말, 사철쑥분말, 울금덩이뿌리분말, 감초, 헛개나무분말, 숙지황, 백출, 황기, 계피, 건조오미자, 산수유분말, 원지분말, 홍삼분말, 녹용분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기타 첨가물에는 감귤향혼합제제, 페퍼민트향혼합제제, 굼벵이효소처리복합조성물, 깔라만시농축분말이 포함되고, 상기 감귤향혼합제제에는 오렌지오일, 리나롤, 데카날, 에틸2-메틸부티레이트, 게라니올, 에틸아세테이트가 포함되며, 상기 페퍼민트향혼합제제에는 덱스트린, 페퍼민트향, 아라비아검이 포함되고, 상기 굼벵이효소처리복합조성물에는 굼벵이효소처리물, 갈색거저리유충효소처리물, 엉겅퀴추출물, 인진쑥추출물, 민들레추출물이 포함되며, 상기 깔라만시농축분말에는 덱스트린, 깔라만시농축액, 아라비아검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기타 첨가물에는 면실유, 베타글루칸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알코올 분해 효소의 활성에 도움을 주어 혈중 알코올 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강력한 항산화 작용을 통해 간세포 보호에 탁월한 효과가 있고, 음주 후의 피로를 회복시켜주는 장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대한 항산화 효능 실험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알코올 분해효소(ADH)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알데히드 분해효소(ALDH)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험에 의한 혈중 알코올 농도 정량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험에 의한 혈중 알데히드 농도 정량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실시예>
본 발명의 조성물은 꽃벵이분말 10.0중량%, 식물혼합분말 72.4중량%, 옥수수전분 9.0중량%, 잡화꿀 4.0중량%, 감귤향혼합제제 1.1중량%, 페퍼민트향혼합제제 1.0중량%, 굼벵이효소처리복합조성물 1.0중량%, 깔라만시농축분말 0.5중량%를 포함하도록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물혼합분말은 귤껍질분말 14.5중량%, 사철쑥분말 12.2중량%, 울금덩이뿌리분말 12.1중량%, 감초 12.1중량%, 헛개나무분말 11중량%, 숙지황 9.85%중량, 백출 9.4중량%, 황기 9.1중량%, 계피 5중량%, 건조오미자 2.2중량%, 산수유분말 2중량%, 원지분말 0.5중량%, 홍삼분말 0.048중량%, 녹용분말 0.002중량%로 이루어진다.
상기 감귤향혼합제제는 오렌지오일 97.354중량%, 리나롤 1.176중량%, 데카날 0.98중량%, 에틸2-메틸부티레이트 0.196중량%, 게라니올 0.196중량%, 에틸아세테이트 0.098중량%로 이루어진다.
상기 페퍼민트향혼합제제는 덱스트린 83.34중량%, 페퍼민트향 12.5중량%, 아라비아검 4.16중량%로 이루어진다.
상기 굼벵이효소처리복합조성물은 굼벵이효소처리물(굼벵이효소처리물 50중량%, 덱스트린 50중량%) 40%, 갈색거저리유충효소처리물(갈색거저리유충 50중량%, 덱스트린 50중량%) 30중량%, 엉겅퀴추출물(엉겅퀴추출물 50중량%, 덱스트린 50중량%) 20중량%, 인진쑥추출물(인진쑥추출물 50중량%, 덱스트린 50중량%) 5중량%, 민들레추출물(민들레추출물 50중량%, 덱스트린 50중량%) 5중량%로 이루어진다.
상기 깔라만시농축분말은 덱스트린 58중량%, 깔라만시농축액 40중량%, 아라비아검 2중량%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조성물은 Beng-Ju 액제 또는 Beng-Ju 타블렛(환제)의 제품으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환제로 제조되는 경우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상기 조성들외에도 면실유 0.5중량% 및 베타글루칸 0.5중량%가 더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제로 제조시 상기 면실유를 더 첨가하는 이유는 환제 제조과정에서 페이스트에 생성되는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환제에 기포가 혼합되는 경우 환제에 크랙발생율이 증가되는바, 이러한 크랙은 환제의 형상유지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조성물에 면실유가 더 첨가되도록 함으로써 기포연행이 제어되는 환제의 제조가 가능하여 보관, 유지 및 섭취에도 용이성이 도모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옥수수전분은 증점제로서 점성이 부여되도록 하는 것인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옥수수전분에 더하여 베타글루칸이 더 첨가되도록 하는데 이는 환제 제조과정 및 하절기 등에 형상유지성을 더욱 높이기 위한 것이다.
옥수수전분의 경우 열에 노출되는 경우 네트워크가 약화되어 점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는데 이에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베타글루칸이 더 첨가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베타글루칸은 애그로박테리움(Agrobacterium) 속 균주와 알칼리제네스 패칼리스(Alcaligenesfaecalis) 균주가 미생물 체외로 배출하는 다당류로, 포도당 단량체가 베타-1,3으로 결합한 불수용성인 중성다당이다.
이 단일 다당(homopolymer)은 열에 노출되었을 때 비가역적으로 젤을 형성하는 특이한 물리화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베타글루칸이 더 첨가되도록 함에 따라 환제 제조과정, 하절기 등에 열에 노출되어도 점성이 유지되도록 하여 형상유지성을 높이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높은 형상유지성의 경우도 보관, 유지 및 섭취에 용이성이 도모되도록 하는 것이다.
<실험예 1> 항산화 효능 확인
항산화 효과의 측정은 1,1-diphenyl-2-picrylhydrazyl(DPPH)을 사용한 방법으로 숙취해소제의 자유 라디칼 소거활성을 측정하였다. 즉, 에탄올에 용해시킨 0.2 mM DPPH용액 950 ㎖에 추출물을 DMSO에 녹여 농도(0, 2, 10, 40 80, 120 ㎍/㎖)별로 희석한 시료 50 ㎖를 가한 후 실온에서 30분간 인큐베이션(incubation) 후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항산화 활성은 아래와 같이 계산하였다.
[항산화활성(%) = { 1 - (시료 첨가군의 흡광도 / 시료 무첨가군의 흡광도)} x 100]
본 실험에서는 2가지 시료 (Beng-Ju 액제, Beng-Ju 타블렛)의 자유 라디칼(free radical) 소거활성 능력을 측정하였다. 첨부도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10, 40, 80, 120㎍/㎖ 범위에서 항산화활성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특히, 120㎍/㎖의 농도에서의 항산화효능(%)은 Beng-Ju 액제 23%, Beng-Ju 타블렛 10% 활성을 나타내어 Beng-Ju 액제가 상대적으로 뛰어난 항산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알코올 분해효소(ADH) 및 알데히드 분해효소(ALDH) 활성도 확인
알코올 분해효소의 활성 측정은 상용의 에탄올 정량 분석 키트(ethanol quantification assay kit; Megazyme, Wicklow, Ireland)를 사용하여 메가짐 프로토콜(Megazyme protocol)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즉, 증류수 1㎖, buffer plus sodium azide(0.02% w/v) 0.1㎖, NAD+solution 0.1㎖와 20% 에탄올(ethanol) 10㎕를 혼합하여 숙취해소제를 10 ㎕ 가한 후 실온에서 2분간 인큐베이션한 후에 340nm에서 기본흡광도(A1)를 측정하였다.
이후 ADH 10㎕를 가한 후 실온에서 5 분간 인큐베이션한 후에 340nm에서 NADH생성에 의하여 증가된 흡광도(A2)를 측정하였다. 알코올 분해효소의 활성은 변화된 흡광도(A2-A1)를 기반으로 대조군에 대한 상대적인 활성(%)으로 나타내었다.
알데히드 분해효소의 활성 측정은 상용의 아세트알데히드 정량 분석 키트(acetaldehyde quantification assay kit; Megazyme, Wicklow, Ireland)를 사용하여 메가짐 프로토콜(Megazyme protocol)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즉, 증류수 1㎖, buffer plus sodium azide(0.02% w/v) 0.1mL, NAD+solution 0.1㎖과 증류수에 녹인 20% 아세트알데이드(acetaldehyde) 10㎕를 혼합하여 숙취해소제를 10㎕ 가한 후 실온에서 2분간 인큐베이션한 후에 340nm에서 기본흡광도(A1)를 측정하였다.
이후 ALDH 25㎕ 가한 후 실온에서 5분간 인큐베이션한 후에 340nm에서 NADH생성에 의하여 증가된 흡광도(A2)를 측정하였다. 알데히드 분해효소의 활성은 변화된 흡광도(A2-A1)를 기반으로 대조군에 대한 상대적인 활성(%)으로 나타내었다.
2가지 숙취해소제(Beng-Ju 액제, Beng-Ju 타블렛)가 알코올 분해효소(ADH) 및 알데히드 분해효소(ALDH)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첨부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ADH 활성의 경우 대조군의 상대활성 100% 로 나타냈을 때 모든 숙취해소제에서 거의 변화가 없었다.
반면, 첨부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ALDH 활성의 경우 대조군을 상대활성 100% 로 나타냈을 때 Beng-Ju 액제(p<0.005) 및 Beng-Ju 타블렛(p<0.001)에서 유의성 있게 ALDH의 활성도가 증가하였다.
위의 결과에서 Beng-Ju 액제 및 Beng-Ju 타블렛(환)의 숙취해소제는 ALDH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3> 혈중 알코올 및 알데히드 측정 확인
혈중 아세트알데히드(acetaldehyde) 정량은 마우스를 5개 군(군당 10 마리)으로 나누어 각군에 숙취해소제를 0.2㎖ 용량으로 경구투여 하고 30분이 지난 후 40% 에탄올 0.2㎖을 경구투여 하여 경시별로 0.5, 1.0, 1.5, 2.0, 3.0, 4.0, 5.0 시간 마우스들을 희생시켜서 경동맥을 통하여 채혈 하였다.
대조군의 경우 물을 0.2㎖ 용량으로 경구투여 하고 30분이 지난 후 40% 에탄올 0.2㎖을 경구투여 하여 본 실험에 사용하였다. 채혈한 혈액은 상온에서 방치시킨 후 600 x g로 15 분간 원심분리 하여 혈청을 분리하고 -70℃에 보관하여 향후 아세트알데히드의 농도 측정에 사용하였다.
아세트알데히드의 정량은 상용의 아세트알데히드 정량 분석 키트(acetaldehyde quantification assay kit; Megazyme, Wicklow, Ireland)를 사용하여 메가짐 프로토콜(Megazyme protocol)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즉, 분리된 혈청(10㎕)에 증류수 1㎖, buffer plus sodium azide (0.02% w/v) 0.1㎖, NAD+ solution 0.1㎖을 혼합하여 실온에서 2 분간 인큐베이션한 후에 340nm에서 기본흡광도(A1)를 측정하였다.
이후 ALDH(aldehyde dehydrogenase) solution을 25 ㎕를 추가로 가한 후 실온에서 5 분간 인큐베이션한 후에 340 nm에서 NADH 생성에 의하여 증가된 흡광도(A2)를 측정하였다.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는 340 nm에서 변화된 흡광도(A2-A1)를 기반으로 NADH의 흡광계수(extinction coefficient)를 사용하여 산출하였다.
즉, c = (V x MW) / (ε x d x v) x ΔA acetaldehyde[g/L]
V = final volume [mL]
MW = molecular weight of acetaldehyde [g/mol]
ε = extinction coefficient of NADH at 340 nm
= 6300 [l x mol- 1xcm-1]
d = light path [cm]
v = sample volume [mL]
따라서,
c = (1.275 x 44.05) / (6300 x 1.0 x 0.05) x ΔA acetaldehyde[g/L]
= 0.1782 x ΔA acetaldehyde[g/L]
혈중 알코올(alcohol) 농도 정량 결과, 대조군의 경우 혈중 알코올 농도가 0.5~5 시간대에서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Beng-Ju 액제를 전투여한 군의 경우 첨부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코올 투여 후 4시간대 및 5시간대에서 혈중 알코올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게 감소(p<0.05) 하였다.
또한, Beng-Ju 타블렛(환)을 전투여한 군의 경우 첨부도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코올 투여 3시간 후 혈중 알코올이 대조군에 비하여 점차 감소하여 5시간대에서는 유의성 있게 감소(p<0.05) 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한편, 혈중 알데히드(aldehyde) 농도 정량 결과, 대조군의 경우 혈중 알데히드 농도가 알코올 투여 0.5시간 후 급증한 이후에 1 시간대 이후에는 반감되어 5시간대까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반면 숙취해소제를 전투여한 모든 군에서 알코올 투여 0.5시간 후의 알데히드 농도가 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히 감소(p<0.001) 하였다.
Beng-Ju 액제를 전투여한 군의 경우 첨부도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코올 투여 0.5시간 후 혈중 알데히드 농도가 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히 감소 (p<0.001) 하였으며, 3시간대 및 4시간대에서 혈중 알데히드 농도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게 감소(p<0.05) 하였다.
Beng-Ju 타블렛(환)을 전투여한 군의 경우 첨부도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코올 투여 0.5시간 후 혈중 알데히드 농도가 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히 감소 (p<0.001) 하였으며, 5시간대에서 혈중 알데히드 농도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게 감소(p<0.05) 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상기 실험 결과는 SPSS Statistics(ver. 17.0; SPSS, USA)를 사용하여 통계처리 하였으며, 모든 결과는 평균과 표준오차(Mean+SE)로 나타내었다. 실험군 간의 비교는 one-way ANOVA에 의하여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항목에 대해서는 Dunnett의 다중비교검정을 통하여 실시하였다.
상기의 실험 결과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대조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뛰어난 항산화 효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ADH의 활성도를 증가시키지는 않았으나 ALDH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 중 Beng-Ju 액제를 전투여한 마우스에서 알코올 투여 후 3~5 시간대의 활동성 저하가 현저히 개선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 중 Beng-Ju 액제를 전투여한 군의 경우 알코올 투여 후 4시간대 및 5시간대에서 혈중 알코올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게 감소(p<0.05) 하였다. Beng-Ju 타블렛을 전투여한 군의 경우 알코올 투여 3시간 후 혈중 알코올이 대조군에 비하여 점차 감소하여 5시간대에서는 유의성 있게 감소(p<0.05) 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 중 Beng-Ju 액제를 전투여한 군의 경우 알코올 투여 0.5시간 후 혈중 알데히드 농도가 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히 감소 (p<0.001) 하였으며, 3시간대 및 4시간대에서 혈중 알데히드 농도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게 감소(p<0.05) 하였다.
Beng-Ju 타블렛을 전투여한 군의 경우 알코올 투여 0.5시간 후 혈중 알데히드 농도가 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히 감소 (p<0.001) 하였으며, 5시간대에서 혈중 알데히드 농도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게 감소(p<0.05) 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Claims (4)

  1. 꽃벵이분말, 식물혼합분말, 옥수수전분, 잡화꿀, 기타 첨가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혼합분말은 귤껍질분말, 사철쑥분말, 울금덩이뿌리분말, 감초, 헛개나무분말, 숙지황, 백출, 황기, 계피, 건조오미자, 산수유분말, 원지분말, 홍삼분말, 녹용분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타 첨가물에는 감귤향혼합제제, 페퍼민트향혼합제제, 굼벵이효소처리복합조성물, 깔라만시농축분말이 포함되고, 상기 감귤향혼합제제에는 오렌지오일, 리나롤, 데카날, 에틸2-메틸부티레이트, 게라니올, 에틸아세테이트가 포함되며, 상기 페퍼민트향혼합제제에는 덱스트린, 페퍼민트향, 아라비아검이 포함되고, 상기 굼벵이효소처리복합조성물에는 굼벵이효소처리물, 갈색거저리유충효소처리물, 엉겅퀴추출물, 인진쑥추출물, 민들레추출물이 포함되며, 상기 깔라만시농축분말에는 덱스트린, 깔라만시농축액, 아라비아검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기타 첨가물에는 면실유, 베타글루칸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PCT/KR2020/013974 2020-10-14 2020-10-14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WO2022080516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13974 WO2022080516A1 (ko) 2020-10-14 2020-10-14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13974 WO2022080516A1 (ko) 2020-10-14 2020-10-14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80516A1 true WO2022080516A1 (ko) 2022-04-21

Family

ID=81209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13974 WO2022080516A1 (ko) 2020-10-14 2020-10-14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2080516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4764A (ko) * 1994-02-18 1995-09-15 강상모 알콜성 장해 보호제 및 그를 이용하는 방법
KR20180019845A (ko) * 2016-08-17 2018-02-27 (주)보뚜슈퍼푸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 및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KR101898846B1 (ko) * 2018-07-18 2018-09-13 하태걸 달팽이 진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분말
KR20190032183A (ko) * 2017-09-19 2019-03-27 (주)큐젠바이오텍 베타글루칸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또는 알코올성 간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56108B1 (ko) * 2019-06-12 2019-12-16 농업회사법인제주황금꽃벵이주식회사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4764A (ko) * 1994-02-18 1995-09-15 강상모 알콜성 장해 보호제 및 그를 이용하는 방법
KR20180019845A (ko) * 2016-08-17 2018-02-27 (주)보뚜슈퍼푸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 및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KR20190032183A (ko) * 2017-09-19 2019-03-27 (주)큐젠바이오텍 베타글루칸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또는 알코올성 간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98846B1 (ko) * 2018-07-18 2018-09-13 하태걸 달팽이 진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분말
KR102056108B1 (ko) * 2019-06-12 2019-12-16 농업회사법인제주황금꽃벵이주식회사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6108B1 (ko)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KR20140090453A (ko) 아로니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예방, 숙취해소 또는 간 보호용 조성물
WO2021177553A1 (ko) 호흡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효과가 있는 차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WO2014175509A1 (ko) 송아지 설사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10128385A (ko) 미담 청결안을 이용한 여드름 개선을 위한 한방 조성물 및 제조방법
CN112691125B (zh) 一种用于美白或者抗衰老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护肤品
EP0788798B1 (en) Antiviral agent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AU2018220880B2 (en) Composition for cough
WO2016018055A1 (ko) 톳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주질환 치료용 조성물
WO2022080516A1 (ko)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CN1539010A (zh) 隐孔菌发酵产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5368695A (zh) 一种茯苓蜂胶发酵醋及其制备方法
JP2012006975A (ja) リパーゼ阻害剤
KR102507651B1 (ko) 전통주 효모 함유 천연발효효소복합액을 이용한 숙취해소, 알콜성간질환 또는 간기능 개선용 멀꿀발효물과 그 제조방법
CN111743974A (zh) 提高人体免疫力的霍山石斛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2764294A (zh) 一种祛痰止咳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3521262B (zh) 一种具有抗炎效果的溶菌酶制剂
KR20090043758A (ko) 지방간 개선제 조성물
WO2018052171A1 (ko) 율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암 치료용 조성물과 그 추출방법
KR20220044055A (ko) 효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코올성 위장질환 예방, 개선, 또는치료용 조성물
KR20160008135A (ko) 개오동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
JP2007031314A (ja) アレルギー症状の改善作用を有する組成物
CN114668797B (zh) 一种抗氧化降血脂护肝的植物发酵液及其制备方法和应用
WO2019083264A1 (ko) 숙성새싹삼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02249437A (ja) 健康増進剤組成物及び健康増進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95776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95776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