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4055A - 효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코올성 위장질환 예방, 개선, 또는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효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코올성 위장질환 예방, 개선, 또는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4055A
KR20220044055A KR1020200127342A KR20200127342A KR20220044055A KR 20220044055 A KR20220044055 A KR 20220044055A KR 1020200127342 A KR1020200127342 A KR 1020200127342A KR 20200127342 A KR20200127342 A KR 20200127342A KR 20220044055 A KR20220044055 A KR 202200440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extract
alcohol
blood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7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보람
김혜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양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양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양사
Priority to KR1020200127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4055A/ko
Publication of KR20220044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40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1/00Marmalades, jams, jellies or the like; Products from apiculture;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1/10Marmalades; Jams; Jellies; Other similar fruit or vegetable compositions; Simulated fruit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4Yeasts or derivatives thereof
    • A23L33/145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65Lactones
    • A61K31/375Ascorbic acid, i.e. vitamin C; Sal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4Atractyl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8Pueraria (kudzu)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2Rhamnaceae (Buckthorn family), e.g. buckthorn, chewstick or umbrella-tr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61K36/734Crataegus (haw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61K47/38Cellulose;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ulcers, gastritis or reflux esophagitis, e.g. antacids, inhibitors of acid secretion, mucosal protecta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digestive tra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효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코올성 위궤양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알코올에 의한 급성 알코올성 위궤양을 예방 및 개선할 수 있는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효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코올성 위장질환 예방, 개선, 또는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Alcoholic Gastrointestinal Disease comprising Yeast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효모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코올성 위장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알코올에 의해 유발되는 위장 점막 손상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여 알코올성 위궤양 또는 위염 발병 수준을 감소시킬 수 있다.
알코올을 약 1~50% 함유하고 있는 술을 섭취할 경우 식도를 거쳐 위장으로 도달하며, 흡수된 알코올의 약 20~30% 가량은 위에서 흡수되고, 약 나머지 70~80%는 소장 또는 대장에서 흡수된다. 알코올은 위장 내벽과 소장 등에 직접적으로 손상을 입힐 수 있으며, 염증을 유발하여 위염 증상이 발병하게 되고, 알코올 농도가 15% 이상인 술을 마실 경우에는 stomach emptying을 지연시킬 수 있다. 위에서 흡수된 알코올은 위 점막의 수분을 빼앗아 점막을 붓게 만들고, 위 점막을 자극해 출혈이 일어나는 경우도 있다.
위궤양은 잦음 음주와 스트레스가 많은 현대인들에게 쉽게 발병하는 질환 중 하나이며, 위궤양은 위장 점막이 손상되어 가장 표면에 있는 점막층보다 깊은 곳에 있는 점막근층 이상이 손상되어 통증 및 병증이 발생하는 위장질환을 의미한다. 위궤양은 스트레스나 불규칙한 식습관, 헬리코박터 균의 감염 등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발병할 수 있으며, 알코올성 위궤양은 과다한 음주가 원인이 되어 발생한 위궤양으로 위 점막의 방어력이 약해져 녹거나 헐어버린 상태를 말한다. 위궤양은 발생 부위에 출혈이 생겨 토혈, 검은 변, 혈변 등의 증상이 동반될 수 있다. 이에, 알코올성 위궤양의 원인 물질인 알코올로부터 위장을 보호하여 알코올성 위궤양 증상을 완화할 수 있는 조성물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는 효모 추출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추가 성분으로서 비타민 C, 식물 추출물 등을 포함하여 알코올에 의한 위궤양을 방지 및 개선할 수 있는 알코올성 위장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예는 알코올성 위궤양 예방 또는 개선에 효능을 갖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효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코올성 위장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예는 효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코올성 위장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위장질환은 위염 또는 위궤양인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알코올성 위염, 또는 알코올성 위궤양인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위장질환은 급성 알코올성 위장질환인 것일 수 있다.
알코올을 섭취할 경우 빠르게 흡수되어 알코올탈수소효소(Alcohol Dehydrogenase: ADH)에 의해 아세트알데히드(acetaldehyde)가 생성되며, 아세트알데히드 형태로 체내에 잔존할 경우 숙취가 발생한다. 숙취 (hangover)는 급성알코올 중독에 수반하는 불쾌한 증상이 수면에서 깨어난 뒤까지 계속되는 것으로, 숙취의 대표적인 증상은 갈증, 피곤함과 두통이 있으며, 체내 잔류 알코올의 영향으로서 탈수 현상과 체내 전해질의 불균형, 위장 장애, 저혈당 및 수면과 생체리듬의 이상을 들 수 있다. 즉, 숙취는 알코올 섭취 후 알코올의 분해산물인 아세트알데하이드에 의해 주로 발생되는 증상으로 주요 독성물질인 아세트알데히드는 다양한 대사과정에서 단백질에 결합하여 DNA 손상을 일으키거나 혈관팽창을 유도하고 구토 및 두통 등의 숙취증상을 일으키는 역할을 하며, 알코올에 의한 점막 자극에 의해 발생하는 위염 및 위궤양과는 구별된다. 위염은 급성위염과 만성위염 두 가지 형태로 분류되는데, 알코올성 요인과 같이 즉각적인 자극에 의해 급성으로 발생하는 위염은 급성위염이며, 이러한 증상이 심해진 경우 위궤양으로 진행되며, 위궤양은 위 점막과 근육 등이 패인 상태로 병리학적으로는 점막과 점막하 조직이 결손된 상태로 정의된다. 알코올은 섭취 후 직접적으로 위 점막을 자극해 염증관련 면역인자들이 방출되고 이에 따라 세포 사멸과 손상이 발생된다. 알코올에 의한 점막 손상은 알코올이 흡수되기 이전인 알코올 투여 30분 이내에 발생하며, 이와 대조적으로 혈중 에탄올 농도 및 혈중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는 알코올 흡수에 따라 상승하는 수치이며, 구체적으로 혈중 에탄올 농도는 알코올 투여 후 약 1시간 이후 최대치에 달하고, 혈중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는 알코올 투여 후 약 3시간 이후 최대치에 달하며, 혈중 알코올 농도 또는 혈중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는 알코올성 위궤양과 구별된다.
알코올은 위 점막의 울혈을 유발하여 출혈 및 괴사를 유발할 수 있으며, 알코올 섭취 30분 이내에 점막 손상이 일어날 수 있으며, 알코올이 직접적으로 점막에 관여하면 염증관련 면역인자들이 방출되고 이에 따라 세포 사멸과 점막 손상을 발생시킨다. 또한, 알코올을 섭취하게 되면 종양괴사인자인 TNF-α 및 IL-1β와 같은 염증반응을 일으키는 인자들의 분비를 활발하게 하여 간이나 위장에서 염증을 유발한다. 상기 알코올성 위염 또는 상기 알코올성 위궤양은 알코올에 의해 위장 점막이 손상된 상태를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알코올에 의해 위 점막이 자극을 받아 발생한 위궤양인 것일 수 있다.
본원 실시예에서 효모 추출물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동물에 투여한 결과, 알코올 섭취에 의한 위벽의 출혈 및 위궤양 발생 정도가 현저히 감소하였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알코올에 의한 위장 점막 손상 예방용 조성물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효모 추출물은 알코올 섭취에 따른 혈중 알코올 농도 및 혈중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를 저감하며, 알코올 분해 속도를 촉진하고, 알코올에 의한 숙취 개선 효과를 가진다. 본원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효모 추출물을 포함하여 숙취 해소 효과를 가지는 것과 더불어, 알코올에 의한 위장 점막의 물리적 손상을 방지하여, 알코올성 위궤양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 또한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알코올에 의해 발생한 산화 스트레스로부터 위장 점막을 보호하는 것일 수 있다. 알코올은 산화 스트레스를 유발하여 알코올성 급성 위장 손상을 유발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산화 스트레스를 저해하여 알코올에 의한 급성 위장 점막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유효 성분으로서 효모 추출물을 포함하며, 다양한 영양 성분, 기능성 성분 및 기호 성분 등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성분은 다이어트, 노화방지, 피로회복, 숙취해소, 면역력 등의 기능을 갖는 성분의 원료를 의미하며, 구체적으로는 천연추출물, 더욱 상세하게는 식물, 과일 또는 미생물 유래의 추출물일 수 있으며, 강황추출물, 밀크씨슬추출물, 해초추출물, 녹차추출물, 석류추출물, 망고추출물 사과추출물, 오렌지 추출물, 또는 레몬 추출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비타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비타민은 비타민 C, 비타민 B, 비타민 A, 비타민 D, 비타민 E, 또는 비타민 K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비타민은 비타민 C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식물 추출물 및/또는 과일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식물 추출물은 헛개나무 추출물, 강황 추출물, 창출 추출물, 산사나무 추출물, 칡꽃 추출물, 구기자추출물, 홍삼추출물, 당귀추출물, 가시오갈피추출물, 녹차추출물, 원지추출물, 갈근 추출물, 황금추출물, 및 노루궁뎅이버섯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식물 추출물은 헛개나무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당류, 당 알코올, 유기산, 겔화제, 부형제, 코팅제, 및 착향료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부형제는 덱스트린, 결정셀룰로오스, 및 찹쌀분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겔화제는 한천, 알긴산, 젤라틴, 카라기난, 펙틴, 곤약, 셀룰로스, 및 검류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검류는 잔탄검, 젤란검, 구아검, 로스트빈검, 아라비아검, 펙틴, 타라검 및 타마린드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포함되는 효모 추출물은 전체 조성물 고형분 함량 100중량%를 기준으로 1 내지 50중량%, 1 내지 40중량%, 1 내지 30중량%, 1 내지 25중량%, 2 내지 50중량%, 2 내지 40중량%, 2 내지 30중량%, 또는 2 내지 25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효모 추출물은 전체 조성물 고형분 함량 100중량%를 기준으로 10 내지 50중량%, 10 내지 40중량%, 10 내지 30중량%, 15 내지 50중량%, 15 내지 40중량%, 15 내지 30중량%, 20 내지 50중량%, 20 내지 40중량%, 또는 20 내지 30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효모 추출물은 전체 조성물 고형분 함량 100중량%를 기준으로 1 내지 20중량%, 1 내지 15중량%, 1 내지 10중량%, 1 내지 5중량%, 2 내지 20중량%, 2 내지 15중량%, 2 내지 10중량%, 2 내지 5중량%, 3 내지 20중량%, 3 내지 15중량%, 3 내지 10중량%, 또는 3 내지 5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추가로 포함될 수 있는 비타민, 예를 들어 비타민 C는 전체 조성물 고형분 함량 100중량%를 기준으로 1 내지 20중량%, 1 내지 15중량%, 또는 1 내지 10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효모 추출물 및 비타민 C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효모 추출물 및 상기 비타민C는 1:1 내지 5:1, 1:1 내지 4:1, 1:1 내지 3.5:1, 1.5:1 내지 5:1, 1.5:1 내지 4:1, 또는 1.5:1 내지 3.5:1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에탄올의 체내 흡수를 방지, 혈중 에탄올 농도를 저감, 또는 혈중 에탄올 분해를 촉진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시간대별 혈중 알코올 농도, 예를 들어 에탄올 투여 후 8시간까지의 혈중 에탄올 농도의 곡선하부면적(AUC)을 저감하는 것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시간대별 혈중 알코올 농도, 예를 들어 에탄올 투여 후 8시간까지의 혈중 에탄올 농도의 곡선하부면적(AUC)을 대조군 대비 85% 이하, 84% 이하, 83% 이하, 82% 이하, 또는 81% 이하로 저감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대조군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투여하지 않고 에탄올만 투여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혈중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를 저감, 또는 혈중 아세트알데하이드 분해를 촉진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시간대별 혈중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 예를 들어 에탄올 투여 후 8시간까지의 혈중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의 곡선하부면적(AUC)을 저감하는 것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시간대별 혈중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 예를 들어 에탄올 투여 후 8시간까지의 혈중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의 곡선하부면적(AUC)을 대조군 대비 77% 이하, 76% 이하, 75% 이하, 74% 이하, 73% 이하, 72% 이하, 또는 71% 이하로 저감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대조군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투여하지 않고 에탄올만 투여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환, 음료, 또는 겔형 식품 조성물인 것일 수 있으며, 상기 겔형 식품 조성물은 스틱젤리, 워터젤리, 구미젤리, 또는 컵형 젤리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효모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알코올성 위궤양 개선 및 숙취 해소 효과를 갖는 조성물로서, 현재 시판 중인 숙취해소 제품보다 향상된 알코올성 위궤양 개선 및 숙취 해소 효과를 가진다.
도 1a는 시료 1 내지 시료 3 섭취에 따른 위벽 내부의 출혈 및 위궤양 발생 정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b는 시료 1 내지 시료 3 섭취에 따른 위벽의 출혈 및 위궤양 발생 부위를 길이(cm)로 측정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P < 0.001 : 정상군 대비 유의차. **P<0.01 : 대조군(에탄올 단독섭취) 대비 유의차
도 2a는 시료 1 내지 시료 3 섭취에 따른 시간 경과에 따른 체내 알코올 농도 변화 곡선 그래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b는 시료 1 내지 시료 3 섭취에 따른 시간 경과에 따른 체내 알코올 농도 변화 곡선 그래프의 곡선하부면적을 합산하여(AUC) 나타낸 도면이다. ###P < 0.001 : 정상군 대비 유의차. *P<0.05, **P<0.01, ***P<0.001 : 대조군(에탄올 단독섭취) 대비 유의차
도 3a는 시료 1 내지 시료 3 섭취에 따른 시간 경과에 따른 체내 아세트알데히드 농도 변화 곡선 그래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b는 시료 1 내지 시료 3 섭취에 따른 시간 경과에 따른 체내 아세트알데히드 농도 변화 곡선 그래프의 곡선하부면적을 합산하여(AUC) 나타낸 도면이다. ###P < 0.001 : 정상군 대비 유의차. *P<0.05, **P<0.01, ***P<0.001 : 대조군(에탄올 단독섭취) 대비 유의차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효모추출물 함유 조성물의 제조
효모추출물 함유 조성물은 표 1에 따른 조성으로 환 제형 (시료 1)으로 제조하였다. 비교 실험군으로 시판중인 환 제형의 숙취해소 제품인 컨디션환 (씨제이헬스케어㈜, 시료 2) 및 구미 제형의 숙취해소 제품인 레디큐 츄 (㈜한독, 시료 3)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효모추출물 24
비타민C 7
헛개나무열매추출물 5
식물혼합추출물(창출, 산사나무, 칡꽃) 3
덱스트린 10
감귤피분말 8
검은콩분말 8
결정셀룰로오스 7
코팅제 및 착향료 4
기타 부형제 24
총 계 100
실시예 2: 동물 실험 설계
알코올성 위장질환 개선을 확인하기 위한 동물 실험에 250~300g의 Sprague-Dawley(SD) rat을 사용하였으며, 동물입수 후 일주일간 순화 과정을 거쳐 실험에 적당한 상태의 동물을 선발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동물실의 환경은 식품의약품안전처 ‘비임상시험관리기준’에 준하여 수행되었으며, 온도 22±3℃, 상대습도 50±20%의 기준에 적합하게 조절되는 환경에서 사육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모든 동물실험은 경희대학교 약학대학 동물실험윤리위원회의 승인 하에 표준작업지침서에 따라 수행되었다.
시료 1 내지 3은 에탄올 투여 30분 전에 18시간 절식시킨 시험동물을 이용하여 1회 경구투여로 진행되었으며, 성인 1회분 3g 섭취함량 기준을 실험 동물 1회 섭취량으로 환산하여 용매로 0.5% CMC를 사용하여 시료를 희석하여 투여하였다. 시료 투여 30분 후에 희석된 에탄올 3g/kg을 1회 경구투여 하였다. 모든 경구투여는 시린지를 이용하여 존대(zonde)를 꽂아 사용하였다. 정상군 (Normal)은 시료 및 에탄올의 섭취가 없었으며, 대조군 (EtOH)은 시료 섭취 없이 에탄올만 섭취한 군이었다.
실시예 3: 알코올성 위장질환 예방 및 치료 효능 평가
실험군당 7마리를 배정하여 실험동물을 18시간 절식시킨 후 시료 1 내지 3을 각각 경구투여 하였으며, 30분 후에 알코올 3 g/kg을 경구투여하고 12시간 뒤 위 절제하여 위벽의 출혈 및 위궤양 발생 여부를 관찰하였다. 위벽의 출혈 및 위궤양 발생 관찰 결과를 도 1a에 나타냈다 (Normal: 정상군, EtOH: 대조군, S: 시료 1, C: 시료 2, R: 시료 3).
위벽의 출혈 및 위궤양 발생 부위를 길이(cm)로 측정하여 표 2 및 도 1b에 나타냈다. 표 2 및 도 2에서 ### 는 정상군 대비 유의차 p<0.001을 의미하고, **는 대조군 대비 유의차 p<0.001을 의미한다. 표 2 및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을 포함하여 에탄올을 투여한 실험동물에서 위궤양이 발생하였으며, 알코올성 위궤양의 개선 효과는 시료 1 내지 3 중 시료 1에서만 유의적인 차이가 확인되었다. 시료 1의 평균 위궤양 길이는 대조군의 약 15% 이하 수준으로 위궤양 발생 정도가 현저히 개선되었다. 또한, 시료 2 및 시료 3 대비 약 50% 이하의 위궤양 발생 정도를 보여, 위궤양 예방 및 치료 효과가 시료 2 및 3 대비 현저히 우수하게 나타났다.
구분 평균 위궤양 길이(cm) 표준편차 유의차
시료 1 (S) 0.6 0.75 **
시료 2 (C) 1.4 1.06 -
시료 3 (R) 2.8 1.97 -
대조군 (EtOH) 4.1 2.09 ###
정상군 (Normal) 0 0 -
실시예 4: 혈중 알코올 농도 측정
실험군당 12마리를 배정하여 실험동물을 18시간 절식시킨 후 시료 1 내지 3을 각각 경구투여 하였으며, 30분 후에 알코올 3 g/kg을 경구투여하고, 투여 0 (투여 전), 1, 3, 5 및 8시간 후 꼬리 정맥을 통해 혈액을 채취하였다. 혈액은 3000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한 후, 에탄올 및 아세트알데하이드 측정 키트를 이용하여 혈중 농도를 측정하였다 (Roche(USA)사 kit; cat.10176290035, cat.1066861303). 혈중 에탄올 및 아세트알데히드의 최대 농도(Cmax,g/l) 및 최대농도의 시간(Tmax,hr)을 확인하고, 혈중 시간대별 농도 그래프의 곡선하부면적(AUC;Area under curve)을 평가했다. 유의성은 SPSS를 사용하여, One way ANOVA를 이용하여 turkey test로 처리하였다.
시간대별 혈중 에탄올 농도 (g/l)를 표 3 및 도 2a에 나타냈다. 표 3 및 도 2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에탄올 경구 투여에 따라 혈중 에탄올이 정상군과 비교해 큰 수준으로 증가하였으며, 테스트 시료 섭취 시 혈중 에탄올 농도가 낮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료 1의 경우 시간대별 혈중 에탄올 농도가 전 채혈시간에서 낮아진 것을 확인하였으며, 타 시료와 비교하여 감소 정도가 더 큰 것을 확인하였다.
시간 시료 1 시료 2 시료 3 대조군 정상군
0시간 0.06 0.06 0.07 0.08 0.07
1시간 5.47 5.46 5.67 6.19 0.05
3시간 4.66 5.83 5.19 6.12 0.11
5시간 3.87 4.53 3.54 4.33 0.06
8시간 1.92 2.10 2.62 2.79 0.05
혈중 에탄올 최대 농도 (Cmax) 및 최대 농도가 나타난 시간 (Tmax)을 표 4에 나타냈다.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혈중 에탄올 최고 농도는 시료 1을 투여한 경우에 대조군 대비 가장 낮았으며, 혈중 에탄올 농도가 가장 높아지는 시간대는 에탄올 섭취 후 1시간에서 나타났으며, 1시간 이후 혈중 에탄올 농도가 감소하였다. 이는 시료 1이 알코올이 흡수되기 이전인 알코올 투여 후 1시간 이내에 발생하는 알코올에 의한 점막 손상의 예방 및 개선 효과와 더불어, 알코올 흡수 이후의 혈중 알코올 농도 감소 효과를 가지는 것을 의미한다.
구분 시료 1 시료 2 시료 3 대조군 정상군
Cmax(g/l) 5.47 5.83 5.67 6.19 0.11
Tmax(hr) 1 3 1 1 _
시간대별 혈중 에탄올 농도에 따른 곡선하부면적(AUC)을 표 5 및 도 2b에 나타냈다.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시간대별 혈중 알코올 농도의 AUC는 대조군 대비 시료 1에서 약 85% 이하 수준으로 가장 낮았으며, 유의차가 P<0.001 수준에서 확인되었다. 반면, 시료 2의 유의차는 확인되지 않았다.
구분 시료 1 시료 2 시료 3 대조군 정상군
AUC 28.15 31.92 30.80 35.03 0.56
동일한 에탄올 농도를 투여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시료 1을 병용 투여한 경우에 혈중 에탄올 수준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므로, 효모추출물이 에탄올 흡수를 낮추고 분해대사를 촉진시켜 알코올성 위장질환 예방 및 치료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5: 혈중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 측정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혈중 아세트알데히드의 최대 농도(Cmax,g/l) 및 최대농도의 시간(Tmax,hr)을 확인하고, 혈중 시간대별 농도 그래프의 곡선하부면적(AUC;Area under curve)을 평가했다.
시간대별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농도(mg/l)를 표 6 및 도 3a에 나타냈다. 표 6및 도 3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에탄올 경구 투여에 따라 혈중 아세트알데히드가 정상군과 비교해 큰 수준으로 증가하였으며, 테스트 시료 섭취 시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농도가 낮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료 1의 경우 시간대별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농도가 전 채혈시간에서 낮아진 것을 확인하였으며, 시료 2 및 시료 3과 비교하여 감소 정도가 더 큰 것을 확인하였다.
시간 시료 1 시료 2 시료 3 대조군 정상군
0시간 0.00003 0.00008 0.00007 0.00003 0.00013
1시간 0.00067 0.00070 0.00086 0.00077 0.00017
3시간 0.00168 0.00221 0.00185 0.00258 0.00007
5시간 0.00150 0.00149 0.00135 0.00184 0.00004
8시간 0.00053 0.00044 0.00063 0.00078 0.00013
혈중 아세트알데히드의 최대 농도 및 최대 농도가 나타난 시간을 표 7에 나타냈다.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혈중 아세트알데히드의 최고 농도는 시료 1을 투여한 경우 대조군 대비 가장 낮았으며,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농도가 가장 높아지는 시간대는 에탄올 섭취 후 3시간에서 모두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3시간 이후 혈중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가 감소하였다. 이는 시료 1이 알코올이 흡수되기 이전인 알코올 투여 후 1시간 이내에 발생하는 알코올에 의한 점막 손상의 예방 및 개선 효과와 더불어, 알코올 흡수 이후의 혈중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 감소 효과를 가지는 것을 의미한다.
시료 1 시료 2 시료 3 대조군 정상군
Cmax(mg/l) 1.7 2.2 1.8 2.6 0.2
Tmax(hr) 3 3 3 3 _
시간대별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에 따른 곡선하부면적(AUC)을 표 8 및 도 3b에 나타냈다. 표 8 및 도 3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시간대별 혈중 알코올 농도의 AUC는 대조군 대비 시료 1을 투여한 경우 약 70% 수준으로 가장 낮았으며, 유의차가 P<0.01 수준에서 확인되었다. 반면, 시료 2 및 시료 3의 경우 대조군 대비 아세트알데히드 감소효과의 유의차가 확인되지 않았다.
구분 시료 1 시료 2 시료 3 대조군 정상군
AUC 0.00783 0.00875 0.00867 0.01117 0.00067

Claims (16)

  1. 효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코올성 위장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장질환은 위염 또는 위궤양인,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장질환은 급성 알코올성 위장질환인,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급성 알코올성 위장질환은 알코올 섭취 후 1시간 이내에 발생하는 것인,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알코올에 의한 위장 점막 손상 예방용 조성물인,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알코올에 의해 발생한 산화 스트레스로부터 위장 점막을 보호하는 것인,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비타민C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물 추출물 또는 과일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추출물은 헛개나무 추출물, 강황 추출물, 창출 추출물, 산사나무 추출물, 칡꽃 추출물, 구기자추출물, 홍삼추출물, 당귀추출물, 가시오갈피추출물, 녹차추출물, 원지추출물, 갈근 추출물, 황금추출물, 및 노루궁뎅이버섯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당류, 당 알코올, 유기산, 겔화제, 부형제, 코팅제, 및 착향료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부형제는 덱스트린, 결정셀룰로오스, 및 찹쌀분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효모추출물은 전체 조성물 고형분 함량 100중량%를 기준으로 1 내지 50중량% 포함되는 것인, 조성물.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비타민C는 전체 조성물 고형분 함량 100중량%를 기준으로 1 내지 20중량% 포함되는 것인, 조성물.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인, 조성물.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환, 음료, 또는 겔형 식품 조성물인, 조성물.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겔형 식품 조성물은 스틱젤리, 워터젤리, 구미젤리, 또는 컵형 젤리인, 조성물.
KR1020200127342A 2020-09-29 2020-09-29 효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코올성 위장질환 예방, 개선, 또는치료용 조성물 KR202200440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7342A KR20220044055A (ko) 2020-09-29 2020-09-29 효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코올성 위장질환 예방, 개선, 또는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7342A KR20220044055A (ko) 2020-09-29 2020-09-29 효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코올성 위장질환 예방, 개선, 또는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4055A true KR20220044055A (ko) 2022-04-06

Family

ID=81211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7342A KR20220044055A (ko) 2020-09-29 2020-09-29 효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코올성 위장질환 예방, 개선, 또는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4405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763841A (zh) * 2023-04-04 2023-09-19 中国药科大学 一种具有解酒护肝功效的酵母复合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763841A (zh) * 2023-04-04 2023-09-19 中国药科大学 一种具有解酒护肝功效的酵母复合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3693B1 (ko) 괭생이 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6345243B2 (ja) 円武扇発酵物含有食品または飲料組成物
US20110038945A1 (en) Orally ingestable medicament and method for treating a heartburn inducing event or an acid reflux episode in a living human subject
KR20200032772A (ko) 흑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음료 조성물
WO2016163652A1 (ko) 발모 촉진, 탈모 완화 및 개선, 혈당 조절, 위장 장애 증상 완화 및 개선용 건강보조식품
WO2019017603A2 (ko) 마름 추출물 및 커큐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 개선용 조성물
JP6228250B2 (ja) 多糖消化阻害剤
KR20140017932A (ko) 탱자 발효물에 의한 비만개선효과물질의 조성
KR20220044055A (ko) 효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코올성 위장질환 예방, 개선, 또는치료용 조성물
WO2014010658A1 (ja) ヒハツ配合製剤
CN107929489A (zh) 一种对胃粘膜损伤具有保护作用的组合物及其中药制剂、应用
KR20120010464A (ko)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JP6980791B2 (ja) 胃炎または消化性潰瘍予防または治療用組成物
CN116531444A (zh) 镇咳清肺软胶囊及其制备工艺
CN1907374A (zh) 一种防治口腔疾病的中药组合物
KR101958969B1 (ko) 해조류 복합추출물 및 식물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성 위장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11806376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oral ulcer and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thereof
KR102275492B1 (ko) 증숙 생강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1-디하이드로-6-진저다이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위염 및 위궤양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CN109893641B (zh) 一种具有清咽润喉功能的直接入口生姜粉及其制备方法
CN110063977B (zh) 一种党参、沙棘复合冲剂及其应用
KR102080204B1 (ko) 오미자 추출물의 포접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92174B1 (ko) 복합 한방약초를 포함하는 숙취 예방, 숙취 해소 및 간 보호용 정제형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282356B1 (ko) 오가피 부탄올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위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0137897B1 (ko) 두충엽을 주원료로 함유한 건강식품 조성물
KR102203094B1 (ko) 천연물 유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당 강하용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