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7617A - 농후 물질 분배 붐을 장착하는 붐 받침대를 갖는 프레임 - Google Patents

농후 물질 분배 붐을 장착하는 붐 받침대를 갖는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7617A
KR20230117617A KR1020237023920A KR20237023920A KR20230117617A KR 20230117617 A KR20230117617 A KR 20230117617A KR 1020237023920 A KR1020237023920 A KR 1020237023920A KR 20237023920 A KR20237023920 A KR 20237023920A KR 20230117617 A KR20230117617 A KR 202301176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frame
support beam
support
external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3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드레아스 벤츠
디트마어 푸겔
마티아스 브라운
베네딕트 파위사
Original Assignee
푸츠마이스터 엔지니어링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푸츠마이스터 엔지니어링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푸츠마이스터 엔지니어링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30117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7617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04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 E04G21/0418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with distribution hose
    • E04G21/0445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with distribution hose with boo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04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 E04G21/0418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with distribution hose
    • E04G21/0436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with distribution hose on a mobile support, e.g. tru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주제는 농후 물질 분배 붐(20)을 장착하는 붐 받침대(17)와, 농후 물질 분배 붐(20)의 중량에 의해 생성된 힘의 흐름을 흡수 및 전달하는 지지 보(13)를 갖는 프레임(12)이다. 붐 받침대(17)는 붐 받침대(17)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고 각각 관통 구멍(23, 24)을 갖는 2개의 탭 부재(21, 22)들을 갖는데, 여기서 지지 보(13)는 관통 구멍들에 정렬된 볼트 받이(14)를 구비하고, 그리고 여기서 붐 받침대(17)를 지지 보(13)에 연결하는 볼트 부재(16)가 관통 구멍(23, 24)들과 볼트 받이(14)를 통해 안내된다. 본 발명은 또한 이 프레임을 구비한 대응 농후 물질 펌프에도 관련된다. 볼트 연결에 의해 제소에 소요되는 수송 공수가 경감된다.

Description

농후 물질 분배 붐을 장착하는 붐 받침대를 갖는 프레임
본 발명은 농후 물질 분배 붐을 장착하는 붐 받침대를 갖는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이동식 또는 고정식 콘크리트 펌프로 콘크리트를 타설(discharging)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프레임에 지지되는 농후 물질(thick matter) 분배 붐(distribution boom)이 사용된다. 이를 위해 붐 받침대(boom pedestal)라 불리는 구조가 프레임에 고정되고, 농후 물질 분배 붐이 수직축 둘레를 회전할 수 있도록 위 붐 받침대 상에 장착될 수 있다. 농후 물질 분배 붐은 원하는 타설 위치에 도달하기 위해 서로에 대해 회동(pivot)할 수 있는 복수의 붐 세그먼트(boom segment)들로 구성될 수 있다. 펌핑 장치로 가압된 콘크리트가 농후 물질 분배 붐을 따라 안내되는 콘크리트 이송 배관을 통해 원하는 위치에 타설될 수 있다. 전술한 종류의 프레임은 트럭 믹서(truck mixer)에도 사용될 수 있는데, 이 경우 프레임은 추가적으로 혼합 드럼을 지지하도록 설계된다.
특히 붐 세그먼트들의 연장 상태에서, 붐 받침대를 통해 프레임에 도입되어 프레임으로부터 지면으로 소산되어야 할 큰 부하 토크(load torque)가 발생된다. 이를 위해 프레임은 예를 들어 프레임의 종방향을 향하고 힘의 흐름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2개의 지지 보(carrier profile)를 가질 수 있다. 종래기술에서 붐 받침대를 지지 보들에 용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 목적을 위한 용접 작업은 복잡하다. 용접 결합이 생성되고 난 후에는, 지지 보는 거기에 고정된 붐 받침대와 함께로만 수송될 수 있는데, 이는 수송의 높은 원가와 유연하지 못한(inflexible) 제조 공정으로 결과된다.
이러한 종래기술에서 출발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농후 물질 분배 붐을 장착하는 거기에 고정된 붐 받침대를 갖는 프레임과, 해당 프레임을 구비한 이동식 농후 물질 펌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데, 위 프레임과 농후 물질 펌프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술한 문제들을 방지한다. 이 목적은 독립 청구항들의 특징들로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은 농후 물질(thick matter) 분배 붐(distribution boom)을 장착하는 붐 받침대(boom pedestal)와, 농후 물질 분배 붐의 중량(weight force)으로 생성된 힘의 흐름을 흡수 및 전달하는 지지 보(carrier profile)를 구비한다. 붐 받침대는 붐 받침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고 각각 관통 구멍(through-hole)을 갖는 2개의 탭 부재(tab element)들을 갖는데, 여기서 지지 보는 관통 구멍들에 정렬된 볼트 받이(bolt receptacle)를 구비한다. 붐 받침대를 지지 보에 연결하는 볼트 부재는 관통 구멍들 및 볼트 받이를 통해 안내된다.
먼저,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사용된 일부 용어들이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은 적어도 1개, 예를 들어 서로 평행한 방향을 향할 수 있는 바람직하기로 2개의 지지 보(carrier profile)를 갖는다. 각 지지 보에는 바람직하기로 2개의 탭 부재(tab element)들이 할당된다.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해 본 발명의 범위 내의 여러 점들에서 2개의 탭 부재들과 상호작용하는 하나의 개별적 지지 보만이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이 이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에서 설명된 추가적 특징들을 각각 가질 수 있는 2개 이상의 지지 보를 가질 수 있음은 말할 필요도 없다. 지지 보는 일반적으로 이를 통해 농후 물질 분배 붐이 생성한 힘의 흐름이 작용하는 종방향을 갖는다. 이 종방향은 프레임의 종방향에 해당할 수 있다.
지지 보는 힘의 흐름을 흡수 및 전달하도록 설계된다. 특히 농후 물질 분배 붐으로 생성된 힘의 흐름의 상당 부분은 지지 보를 따라 붐 받침대와 이격된 외력 소산 영역(force dissipation region)으로 전달된다. 외력 소산 영역은 특히 지지 보의 하나의 종방향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외력 소산 영역에는 지지 보에 연결되어 지지 보로 전달된 힘들을 지면으로 도입하도록 설계된 지지 시스템이 구비된다. 이 프레임은 이 범위(extent)에 있어서 붐 받침대로부터의 힘의 흐름이 지지 레그 박스들로 형성된 지지 구조와 이 지지 구조에 연결된 지지 레그로 직접 도입되고, 연장 가능하거나 외측으로 회동(pivot)될 수 있는 (종래의) 지지 구조(예를 들어 EP 3 369 876 A1 참조)와 다르다. 특히, 지지 보와 거기에 연결된 지지 시스템이 이미 해당 후방 지지 기능을 수행하므로 본 발명 프레임에는 후부 지지 레그가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다. 후부 지지 레그가 연장 또는 외측 회동하고 난 뒤에는 사용시 큰 공간을 필요로 하므로, 본 발명 프레임이 요구하는 공간은 이에 따라 축소된다. 또한 후부 지지 레그들이 없으므로 프레임 상의 적재면(loading surface)에 더 많은 저장 공간이 허용된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붐 받침대는 볼트 연결에 의해 지지 보에 견고하며 이와 동시에 유연한 방식으로 연결됨이 파악되었다. 지지 보로의 외력의 충분한 도입은 붐 받침대 상에 구비된 탭 부재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의 제조는 이에 따라 더 유연하게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복잡한 용접 작업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지지 보와 붐 받침대 간의 연결이 현저히 간단해진다. 이에 따라 붐 받침대는 사용 현장 또는 그 부근에서만 지지 보에 연결될 수 있어, 지지 보는 붐 받침대와 별도로 현저히 더 유연하게 수송될 수 있다. 이는 탭 부재의 관통 구멍이 대응 볼트 받이에 정렬되고 탭 부재의 관통 구멍의 방향이 볼트 받이의 방향에 대응하도록 붐 받침대가 지지 보 상에 위치됨으로써 간단한 방식으로 이뤄질 수 있다. 이어서 볼트 부재가 볼트 받이 및 탭 부재의 관통 구멍에 끼워질 수 있다.
탭 부재는 금속 판재(sheet metal) 부품의 형태가 될 수 있다. 금속 판재 부분은 바람직하기로 지지 보의 측면에 거의 평행한 방향을 향한다. 이에 따라 농후 물질 분배 붐에 의해 인가된 외력의 힘 흐름 전달은 금속 판재 부분의 측면을 따라 거기에 거의 평행한 방향을 향하는 지지 보 측면으로 효율적으로 이뤄질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탭 부재는 거의 지지 보의 종방향을 따른 방향을 향한다. 외력을 지지 보의 종방향으로 전달하는 데 방향 변경이 필요 없으므로 이 구성은 힘의 흐름의 전달에 유용함을 보였다.
탭 부재는 횡방향으로 지지 보 둘레에 횡으로 맞물릴 수 있다. 이 구성에서, 지지 보는 탭 부재들 사이에 위치하고, 그 결과 지지 보에 대한, 종축에 대해 대칭인 외력 분포가 이뤄질 수 있다.
지지 보는 제1 측벽과 제2 측벽을 갖는 중공 프로파일(hollow profile) 형태가 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탭 부재들 중의 하나가 제1 측벽과 거의 평행한 방향을 향하는데, 여기서 더 바람직하기로 탭 부재들 중의 다른 것이 중공 프로파일의 제2 측벽과 평행한 방향을 향한다. 지지 보가 중공 프로파일의 형태이면, 농후 물질 분배 붐으로 인가된 외력은 중공 프로파일의 측벽들로 특히 유효하게 도입되어 측벽들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탭 부재는 붐 받침대네 결합 연결로 연결될 수 있다. 특히 결합 연결은 용접 조인트(welded joint)로 설계될 수 있다. 붐 받침재의 제작 동안 어느 경우에나 용접 조인트가 필요한데, 탭 부재들과 붐 받침대 간의 용접 조인트의 추가적 형성은 아주 작은 추가적 공수만을 소요한다.
붐 받침대는 적어도 1개의 측면부(side surface portion)를 가질 수 있는데, 여기서 결합 연결의 적어도 일부는 이 측면부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붐 받침대는 저면부(base surface portion)를 가질 수 있는데, 여기서 결합 연결의 적어도 일부는 이 저면부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측면부 및/또는 저면부는 평탄할 수 있다. 전술한 특징들은 제조의 공수를 절감시키고, 또한 연결의 안정성과 큰 힘 흐름 전달의 적합성을 향상시킨다. 붐 받침대는 예를 들어 복수의 절곡(bent) 또는 상호 결합된 금속 판재 부분들로 구성될 수 있는데, 여기서 측면부 및/또는 저면부는 금속 판재 부분들 중의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원통 슬리이브(cylinder sleeve)가 볼트 받이에 삽입되는데, 원통 슬리이브의 내면은 볼트 부재의 외면에 대응한다. 원통 슬리이브에 의해 볼트 연결의 안정성이 현저히 향상된다. 원통 슬리이브는 결합 연결에 의해 지지 보에 고정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원통 슬리이브는 지지 보에 용접될 수 있다.
원통 슬리이브는 원통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고 지지 보의 내면 또는 외면에 접촉 지지되도록(bear against) 설계된 단부측 칼라(end-side collar)를 더 갖는다. 이러한 칼라는 원통형 실린더의 축방향을 따라 지지 보에 대한 소정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칼라는 원통 슬리이브가 지지 보에 용접되는 경우 용탕 받침(weld pool retention device)으로 기능한다. 뿐만 아니라 원통 슬리이브는 볼트 받이의 축방향으로 지지 보 너머로 돌출하는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이 부분은 안정된 용접 조인트의 형성을 촉진할 수 있다.
지지 보는 바람직하기로 각각 적어도 1개의 절곡 축(bending axis)를 따라 절곡되고 적어도 2개의 접합선(connecting line)들을 따라 조립되어 중공 프로파일(jollow profile)을 형성하는 적어도 2개의 판금(가공된) 시트(profiled sheet)를 가지는데, 여기서 접합선 및/또는 절곡 축들은 바람직하기로 지지 보의 종방향에 평행한 방향을 향한다.
절곡된 판금 시트들은 신뢰성 높고 사용이 유연한 지지 보를 가성비 높게 제조할 수 있게 함이 파악되었다. 특히 판금 시트들이 서로 예를 들어 나사 결합 또는 용접될 수 있는 2개의 접합선들을 따른 조립은 안정되고 뒤틀림이 적은 지지 보를 산출하게 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지지 보의 단면 형태는 절곡 축과 절곡 각도들의 적절한 선택에 의해, 그 형태가 압출 공장에 이해 사전 결정되는 이미 알려진 정사각형 프레임에 비해 매우 더 용이하게 조정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기술로 알려진 압출 공정으로 제조된 정사각형 강관 프레임의 경우, (특히 구비된 볼트 받이 등의) 체결 개구(fastening opening)들의 소급적(retrospective) 형성은 극히 복잡하다. 반면 판금 시트들은 조립되어 중공 프로파일을 형성하기 전에 또한 바람직하기로 판금 시트를 절곡하기 전에 원하는 수의 개구들(예를 들어 볼트 받이, 체결 개구 및/또는 접근 개구)들이 구비될 수 있다. 판금 시트들은 후속 단계에서만 절곡되어 중공 프로파일을 형성하도록 조립될 수 있다. 접근 개구(access opening)는 볼트 받이에 인접하여 구비될 수 있다.
지지 보는 농후 물질 분배 붐으로 인가된 힘의 흐름을 흡수하는 적어도 1개의 외력 흡수 영역(force absorption region)을 가질 수 있는데, 여기서 붐 받침대는 탭 부재들에 의해 제1 외력 흡수 영역에 연결된다. 또한 프레임은 지지 보의 종방향으로 제1 외력 흡수 영역으로부터 이격되어 농후 물질 분배 붐으로 인가된 힘의 흐름을 흡수하도록 구성된 제2 외력 흡수 영역을 가질 수 있는데, 여기서 붐 받침대는 횡 보(transverse carrier)들에 의해 제2 외력 흡수 영역에 연결된다. 이 연결은 바람직하기로 볼트 연결로 형성된다. 이 구성에서, 농후 물질 분배 붐으로 인가된 힘의 흐름은 2개의 외력 흡수 영역들로 분할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지지 보는 볼트 받이로부터 지지 보의 종방향으로 이격되어 힘의 흐름을 지면으로 소산시키도록 구성된 외력 소산 영역(force dissipation region)을 가질 수 있는데, 여기서 프레임은 또한 외력 소산 영역에서 지지 보에 연결되어 지지 보에 의해 전달된 외력을 지면으로 도입하도록 설계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과, 이 프레임 상에 장착된 농후 물질 펌핑 장치와, 및 붐 받침대에 연결된 농후 물질 분배 붐을 갖는 이동식 농후 물질 펌프에 관련된다. 이동식 농후 물질 펌프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에 연계하여 설명된 추가적 특징들에 의해 전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 이점과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들과 상세한 설명과, 및 첨부 도면들에서 자명하다.
위에 언급한 것들 및 이하에 설명할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설명한 조합뿐 아니라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도 다른 조합 또는 그 자체로 사용될 수 있음은 말할 필요도 없다.
본 발명은 도면들의 예시적 실시예를 기반으로 예시되고 이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하에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농후 물질 펌프의 개략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프레임의 위로부터 후방을 향해 비스듬히 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프레임의 밑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비스듬히 본 사시도;
도 4는 도 1의 프레임의 밑으로부터 비스듬히 본 전면 사시도;
도 5는 도 3의 확대 상세도;
도 6은 도 1의 프레임의 부분들의 분해도;
도 7은 도 6의 붐 받침대의 확대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지지 보의 확대도;
도 9는 도 8의 지지 보의 부분의 확대 ??면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지지 보의 단면도; 및
도 11은 원통 슬리이브가 삽입된 상태의, 다른 절단면을 따른 도 9의 지지 보의 단면도.
도 1은 모터 구동 섀시(motor-driven chassis; 10)와, 운전자 캡(driver's cab; 11)과, 및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12)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농후 물질 펌프(mobile thick matter pump; 9)의 측면 사시도를 보인다. 프레임(12)은 섀시(10) 상에 위치하여 거기에 고정 연결된다. 프레임(12)은 프레임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지지 보(carrier profile; 13)를 갖는데 도 1에는 하나만을 볼 수 있다.
종방향으로 보아 프레임(12)의 전부 영역에는 지지 보(13)에 고정 연결된 붐 받침대(boom pedestal; 17)가 위치한다(도 2 및 도 3 참조). 붐 받침대(17)의 상부 영역에는 절첩 가능한(ausklappbarer) 농후 물질 분배 붐(distribution boom)(20)이 수직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그 위에 장착되는 회전 베어링(rotary bearing; 19)이 위치한다. 도 1에서, 농후 물질 분배 붐(20)은 농후 물질 펌프의 적재면의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중앙 영역에서 2개의 붐 지지 받침대(boom depositing pedestal; 25, 26)들 상에 지지되는 절첩 상태에 있다.
프레임(12)의 후부 영역에는, 농후 물질 공급 용기(27)와, 그 밑에 위치한 농후 물질 펌핑 장치(도면에는 보이지 않음)가 위치한다. 농후 물질 펌핑 장치로 가압된 농후 물질은 배관(pipeline; 28)과 농후 물질 분배 붐(20)으로 안내되는 추가적 배관들을 통해 이송되고, 이러한 방식으로 원하는 위치에 타설(discharge)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2)의 후단은 지지 시스템(29)이 위치한 외력 소산 영역(force dissipation region)을 갖는다.
농후 물질 분배 붐(20)으로 생성된 힘의 흐름의 상당한 부분은 지지 보(13)를 통해 지지 시스템(29)으로 도입되어 거기서 지면으로 소산된다. 또한 붐 받침대(17)가 프레임(12)의 전단에 연결되어, 마찬가지로 힘의 흐름의 일부를 흡수하여 이를 지면으로 소산시키는 레그(leg; 30)들을 지지한다.
도 2 내지 도 4는 도 1의 프레임(12)을 여러 사시도들로 보인다. 도 5는 도 4에 원 A로 표시된 부분을 확대도로 보인다. 섀시, 운전자 캡, 및 농후 물질 분배 붐들은 더 명확히 보이기 위해 이 세 도면들에서는 생략되었다. 이 도면들에서 붐 받침대(17)는 먼저 횡 보(transverse carrier; 31)를 통해 지지 보(13)에 연결됨을 볼 수 있다. 또한 붐 받침대(17)는 그 전부 영역에서 횡 보(13) 상에 위치하고 볼트 연결에 의해 지지 보(13)에 연결된다. 특히 도 3 내지 5는 (펌프 차량의) 주행(travel) 방향에서 지지 보(13) 좌측 상에 배치되고 볼트 연결의 일부인 탭(21)을 보인다. 볼트 연결의 구성은 도 6 내지 8에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6은 도 1의 프레임(12)의 일부를 분해도로 보인다. 특히 붐 받침대(17)와 2개의 지지 보(13)들이 이 도면에 보인다. 도 7 및 도 8은 각각 붐 받침대(17)와 지지 보(13)의 일부를 확대도로 보인다. 이 도면들에서 주행 방향으로 보아 지지 보(13)의 우측에 추가적 탭(22)이 위치함을 볼 수 있다. 탭(21, 22)들은 접합선들을 따라 붐 받침대(17)의 측면부(16)에 부분적으로, 붐 받침대(17)의 저면부(18)에 부분적으로 용접되는 금속 판재 부분들로 구성된다. 탭(21, 22)들은 지지 보(13)의 측벽들과 대략 평행한 방향을 향한다. 또한 탭(21, 22)들은 서로 어떤 거리로 배치되는데, 이 거리는 지지 보(13)의 단면 폭에 대응한다. 붐 받침대(17)가 그 위에 위치되면, 탭(21, 22)들은 이에 따라 탭(21, 22)들이 측벽들에 인접하도록 지지 보(13)를 그 사이에 둘러싸게 된다.
탭(21)은 전부 관통 구멍(23) 및 후부 관통 구멍(23)을 갖는다. 탭(22)도 마찬가지로 전부 관통 구멍(24) 및 후부 관통 구멍(24)을 갖는다. 인접 탭(21, 22)들의 관통 구멍(23, 24)들은 서로 정렬된다. 붐 받침대(17)가 지지 보(13) 상에 위치되면, 관통 구멍(23, 24)들은 지지 보(13)를 관통하는 볼트 받이(bolt receptacle; 14)와도 정렬된다. 붐 받침대(17)가 지지 보(13) 상에 위치한 다음, 볼트 부재(15)가 이에 따라 좌측 탭(21)의 관통 구멍(13)을 통하고 볼트 받이(14)를 통하며 우측 탭(22)의 관통 구멍(24)을 통해 안내된다. 볼트 부재를 흡수하는 원통 슬리이브가 볼트 받이(14)로 삽입된다. 이는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9는 도 1의 실시예에 사용된 지지 보(13)의 일부의 확대 측면 사시도를 보인다. 도 10은 도 9의 지지 보를 단면도로 보인다. 도 9 및 도 10에서 지지 보(13)가 2개의 접합선(42, 43)들을 따라 서로 용접됨으로써 중공 프로파일을 형성하도록 조립되는 2개의 판금 시트(40, 41)들을 구비함을 볼 수 있다. 이는 약 20 cm의 단면 폭(44)과 약 40 cm의 단면 높이(45)를 갖는 중공 프로파일을 형성한다. 판금 시트(41)는 접합선(42, 43)들 너머로 돌출하고 단면 폭(44) 또는 단면 높이(45)로 간주되지 않는 약 2 cm의 돌출부들을 갖는다.
판금 시트(40)가 절곡 축(bending axis; 47)에 의해 서로 분리되고 서로 90° 각도를 갖는 2개의 섹션(Teilabschnitte; 40a, 40b)들을 갖도록, 판금 시트(40)는 절곡 축(47) 둘레로 약 90° 절곡된다. 판금 시트(41)가 절곡 축(46, 51)들에 의해 서로 분리되는 3개의 섹션(41a, 41b, 41c)들을 갖도록, 판금 시트(41)는 절곡 축(46, 51)들 둘레로 각각 약 45°씩 절곡된다. 섹션(40a, 40b)는 본 발명의 맥락 내에서 지지 보(13)의 측벽들이다.
섹션(41a, 41c)들은 각각 판금 시트(41)의 모서리에 위치하고 판금 시트(40)의 섹션(40a, 40b)들은 서로 약 90°의 각도를 갖는다. 또한 접합선(42, 43)들은 단면 폭(44) 및 단면 높이(45)로 형성되는 가상 사각형에서 대각선 반대측에 위치한다.
서로 직교하는 판금 시트들과 전술한 돌출부가 사용되면 신뢰성 높고 안정된 용접 조인트가 산출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접합선들의 대칭 배치 때문에 용접 동안의 열에 의해 발생되는 컴포넌트 뒤틀림은 거의 방지되고, 이에 따라 지지 보(13)의 소급 교정(retrospective straightening)이 필요 없다.
지지 보(13)의 바닥 측을 형성하는 판금 시트(41)의 섹션(41c)은 지지 보(13)의 최대단면 폭(44)보다 더 작은 폭을 갖는다. 그러면 지지 보(13)가 하부 영역에서 더 작은 설치 공간을 차지하게 된다. 절곡 축(46, 51)들의 선택에 의해 지지 보의 단면이, 절곡 축(46)을 갖는 전체적 최대 단면 폭(44) 수준에 도달할 때까지 바닥 측에서 상부 측의 방향으로 증가하게 된다. 이 단면 증가에 의해 일반적으로 덜 간단한 크기를 갖는 설치 공간이 더 잘 활용되고 이에 따라 지지 보(13)의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서로 어떤 각도를 갖는 3개의 섹션(41a, 41b, 41c)을 갖는 판금 시트(41)의 전술한 실시예에 의해, 지지 보(13)의 상부 영역에서의 큰 단면에도 불구하고 예를 들어 (돌출 스프링 브래킷 등의) 섀시 부품 또는 펜더 브래킷()을 위한 여유 공간(clearance)이, 유지보수의 경우 우수한 접근 가능성이 보장되면서 하부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섹션(41a, 41c)들에 대해 약 45°의 각도를 갖는 경사진 섹션(41b)에 의해 (예를 들어 90° 각도를 갖는 절곡부(Aussparungen) 등의) 다른 종류의 절곡부들에 비해, 동시에 설치 공간의 최대 활용을 가능하게 하면서 단면 값(기하학적 관성 모멘트, 절곡, 뒤틀림, 및 전단 흐름)에 대해 조화로운 힘의 흐름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9는 도 6에 연계하여 이미 설명한 볼트 받이(14)가 판금 시트(41)에 배치되어, 붐 받침대(17)가 지지 보(13)에 연결될 때 탭 부재(21, 22)의 관통 구멍(23, 24)들에 정렬되는 것을 보인다. 볼트 받이(14)는 또한 다른 단면을 따른 지지 보(13)의 단면을 보이는 도 11에도 볼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서, 원통 슬리이브(32)가 볼트 받이(14)에 삽입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볼트 받이(14) 옆에 접근 개구(access opening; 48)가 위치한다. 원통 슬리이브(32)는 측벽(40a, 41a)을 넘어 그 축방향으로 돌출(도 11에 점선 56으로 도시)하고 용접 솔기(weld seam; 55)를 따라 각 측벽(40a, 41a)에 연결되는 부분(33)들을 갖는다. 또한 원통 슬리이브(32)는 원통면으로부터 돌출하여 각 측벽(40a, 41a)의 내면에 접촉하는(lie against) 칼라(collar; 49)들을 갖는다. 그 축방향(56)을 따른 원통 슬리이브(32)의 위치는 칼라(49)들에 의해 결정되고; 칼라(49)들은 또한 용탕 받침(weld pool retention device)으로도 기능한다. 이는 특히 도 11에서 볼 수 있다.
또한 원통 슬리이브(32)는 볼트 부재(15)의 외면에 대응하는 내면을 갖는다. 볼트 부재(15)가 볼트 받이(14)를 통해 안내되면, 이에 따라 볼트 부재(15)의 외면이 원통 슬리이브(32)의 내면에 밀착 접촉한다. 이에 따라 볼트 부재(15)는 원통 슬리이브 내에 안정되게 고정된다. 결과적으로 텝 부재(21, 22)들은 이에 따른 안정된 방식으로 지지 보(13)에 연결된 상태로 고정된다.

Claims (15)

  1. 농후 물질 분배 붐(20)을 장착하는 붐 받침대(17)와 상기 농후 물질 분배 붐의 중량으로 생성된 힘의 흐름을 흡수 및 전달하는 지지 보(13)를 포함하는 프레임(12)으로, 여기서 상기 붐 받침대(17)가 상기 붐 받침대(17)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고 각각 관통 구멍(23, 24)을 갖는 2개의 탭 부재(21, 22)를 갖고, 상기 지지 보(13)가 상기 관통 구멍들에 정렬된 볼트 받이(14)를 구비하며, 그리고 여기서 상기 붐 받침대(17)를 상기 지지 보(13)에 연결하는 볼트 부재(15)가 상기 관통 구멍(23, 24)들 및 상기 볼트 받이(14)를 통해 안내되는 프레임(1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탭 부재(21, 22)가 바람직하기로 상기 지지 보(13)의 측면에 평행한 방향을 향하는 금속 판재 부분의 형태인 프레임(12).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탭 부재(21, 22)가 상기 지지 보(13)의 종방향을 따른 방향을 향하는 프레임(12).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탭 부재(21, 22)가 횡방향으로 상기 지지 보(13) 둘레에 횡으로 맞물리는 프레임(12).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보(13)가 중공 프로파일의 형태인데, 여기서 바람직하기로 상기 탭 부재들 중의 하나(21)가 상기 중공 프로파일의 제1 측벽(41a)와 평행한 방향을 향하고, 그리고 여기서 더욱 바람직하기로 상기 탭 부재들 중의 다른 하나(22)가 상기 중공 프로파일의 제2 측벽(40a)과 평행한 방향을 향하는 프레임(12).
  6.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탭 부재(21, 22)가 결합 연결에 의해 상기 붐 받침대(17)에 연결되는 프레임(12).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붐 받침대(17)가 적어도 1개의 측면부(16)를 갖는데, 여기서 상기 결합 연결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측면부(16)를 따라 연장되는 프레임(12).
  8. 제6항 및 제7항 중의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붐 받침대(17)가 저면부(18)를 갖는데, 여기서 상기 결합 연결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저면부(18)를 따라 연장되는 프레임(12).
  9. 제1항 내지 제8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
    원통 슬리이브(32)가 상기 볼트 받이(14)로 삽입되는데, 상기 원통 슬리이브의 내면이 상기 볼트 부재(15)의 외면에 대응하는 프레임(12).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 슬리이브(32)가 결합 연결에 의해 상기 지지 보(13)에 고정 연결되는 프레임(12).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 슬리이브(32)가 원통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고 상기 지지 보(13)의 측벽(40a, 41a)의 내면에 접촉 지지되도록 설계된 단부측 칼라(49)를 갖는 프레임(12).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보(13)가 적어도 각각 적어도 1개의 절곡 축(46, 47, 51)을 따라 절곡되어 적어도 2개의 접합선(42, 43)들을 따라 조립되어 중공 프로파일을 형성하는 2개의 판금 시트(40, 41)들을 구비하는데, 여기서 바람직하기로 상기 접합선(42, 43)들 및/또는 절곡 축(46, 47, 51)들이 상기 지지 보(13)의 종축에 평행한 방향을 향하는 프레임(12).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보(13)가 상기 농후 물질 분배 붐(20)에 의해 인가된 힘의 흐름을 흡수하는 적어도 1개의 제1 외력 흡수 영역을 갖는데, 여기서 상기 붐 받침대(17)가 상기 탭 부재(21, 22)들에 의해 상기 지지 보의 상기 제1 외력 흡수 영역에 연결되고, 여기서 프레임이 또한 상기 제1 외력 흡수 영역으로부터 상기 지지 보(13)의 종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농후 물질 분배 붐(20)에 의해 인가된 힘의 흐름을 흡수하도록 구성된 제2 외력 흡수 영역을 가지며, 여기서 상기 붐 받침대가 횡 보(31)에 의해 상기 지지 보(13)의 상기 제2 외력 흡수 영역에 연결되고, 그리고 여기서 상기 연결이 바람직하기로 볼트 연결로 형성되는 프레임(12).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보(13)기 상기 볼트 받이(14)로부터 상기 지지 보(13)의 종방향으로 이격되어 힘의 흐름을 지면으로 소산시키도록 구성된 외력 소산 영역을 갖는데, 여기서 프레임이 또한 상기 외력 소산 영역에서 상기 지지 보(13)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 보(13)에 의해 전달된 외력을 지면으로 도입시키도록 설계된 지지 시스템(29)을 갖는 프레임(12).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의 한 항에 청구된 프레임(12)과, 상기 프레임(12) 상에 장착된 농후 물질 펌핑 장치와, 및 상기 붐 받침대(17)에 연결된 농후 물질 분배 붐(20)을 포함하는 농후 물질 펌프.
KR1020237023920A 2020-12-17 2021-11-19 농후 물질 분배 붐을 장착하는 붐 받침대를 갖는 프레임 KR202301176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20134024.9 2020-12-17
DE102020134024.9A DE102020134024A1 (de) 2020-12-17 2020-12-17 Rahmengestell mit einem Mastbock zur Lagerung eines Dickstoffverteilermasts
PCT/EP2021/082258 WO2022128326A1 (de) 2020-12-17 2021-11-19 Rahmengestell mit einem mastbock zur lagerung eines dickstoffverteilermas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7617A true KR20230117617A (ko) 2023-08-08

Family

ID=78725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3920A KR20230117617A (ko) 2020-12-17 2021-11-19 농후 물질 분배 붐을 장착하는 붐 받침대를 갖는 프레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102299A1 (ko)
EP (1) EP4263977A1 (ko)
JP (1) JP2023554403A (ko)
KR (1) KR20230117617A (ko)
DE (1) DE102020134024A1 (ko)
WO (1) WO20221283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2125209A1 (de) 2022-09-29 2024-04-04 Schwing Gmbh Großmanipulato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633334A1 (de) 1976-07-24 1978-02-02 Stetter Gmbh Fahrzeug-betonpumpe mit verteilermast
DE3101893A1 (de) 1981-01-22 1982-08-05 Elba Maschinenfabrik Kaiser GmbH & Co, 6670 St Ingbert Verfahren zum aufbau von fahrzeugaufbauten auf fahrzeugrahmen unterschiedlicher breite
CN201424817Y (zh) * 2009-04-24 2010-03-17 徐州重型机械有限公司 混凝土泵车的上下车连接装置及具有该装置的混凝土泵车
DE102014211999A1 (de) 2014-06-23 2015-12-24 Putzmeister Engineering Gmbh Fahrmischerpumpe mit längenverstellbarem Aufbaurahmen
DE102014211992A1 (de) * 2014-06-23 2015-12-24 Putzmeister Engineering Gmbh Fahrmischerpumpe
DE102014215947A1 (de) * 2014-08-12 2016-03-03 Putzmeister Engineering Gmbh Hohlkörper
DE202016106682U1 (de) 2016-11-30 2017-02-14 Langendorf Gmbh Innenlader mit gewichtsoptimiertem Chassis
EP3369876A1 (de) 2017-03-02 2018-09-05 Putzmeister Engineering GmbH Tragstruktur mit integriertem kessel für eine mobile betonpumpe und mobile betonpumpe
DE102018129799A1 (de) * 2018-11-26 2020-05-28 Liebherr-Betonpumpen Gmbh Autobetonpum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102299A1 (en) 2024-03-28
DE102020134024A1 (de) 2022-06-23
JP2023554403A (ja) 2023-12-27
EP4263977A1 (de) 2023-10-25
WO2022128326A1 (de) 2022-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28861B2 (ja) 自動車用センタメンバ構造
US9175484B2 (en) Mobile concrete pump
KR20230117617A (ko) 농후 물질 분배 붐을 장착하는 붐 받침대를 갖는 프레임
US20160264189A1 (en) Node for a space frame
US6338510B1 (en) Automotive bumper mount structure
CA1217166A (en) Device in a storage rack
KR102297973B1 (ko) 이동형 콘크리트 펌프용 일체형 터렛을 가지는 지지 구조와 이동형 콘크리트 펌프
CA2616889C (en) Support jack
CN101497347A (zh) 公共汽车的构架结构
CN113784854A (zh) 悬架总成
CN101228051B (zh) 支承盘
JP7469098B2 (ja) 伸縮自在ブーム及び可動式クレーン
CN214136614U (zh) 底座及翻转台
CN106114629A (zh) 一种用于汽车车身的前纵梁
CN217100173U (zh) 铰接车车架的连接梁、铰接车车架以及铰接车
JP7323656B2 (ja) 取り外しできるように接続されるフレーム部を有するクレーン車の車両フレーム
KR101821546B1 (ko) 차량 견인용 가변 트레일러
CN218307740U (zh) 一种搅拌罐的支撑底座
CN106585543A (zh) 自卸车车身侧防护装置
CN212354159U (zh) 一种矿用自卸车框架式车架
US20080000658A1 (en) Quick connect mechanism
SE503807C2 (sv) Upphängningsanordning för fordon
CN215205072U (zh) 一种后翻车车架
JP6729881B2 (ja) 足場における緊結装置
JP3632557B2 (ja) ラックのフレーム構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