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6822A - 폴더블 편광판 - Google Patents

폴더블 편광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6822A
KR20230116822A KR1020237019919A KR20237019919A KR20230116822A KR 20230116822 A KR20230116822 A KR 20230116822A KR 1020237019919 A KR1020237019919 A KR 1020237019919A KR 20237019919 A KR20237019919 A KR 20237019919A KR 20230116822 A KR20230116822 A KR 202301168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oldable
polarizing plate
film
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9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키 사와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16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682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14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or by the simultaneous addition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in or onto the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9/879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ractive means, e.g. lens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3Arrangements for polarized light e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과제] 윈도우 유닛에 인접하여 적층된 점착제층과, 표시 모듈과의 사이에 배치되고, 두께가 5 ㎛ 이하인 박막 경화층을 포함하는 폴더블 편광판으로서, 표시 모듈측을 굴곡 중심으로 하여 반복 굴곡한 경우에도, 깨어짐이나 크랙이 발생하기 어려운 폴더블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해결수단] 윈도우 유닛에 인접하여 적층된 점착제층과, 표시 모듈과의 사이에 배치되는 폴더블 편광판으로서, 두께가 5 ㎛ 이하인 박막 경화층을 포함하고, 박막 경화층은, 폴더블 편광판의 두께를 100%로 했을 때, 폴더블 편광판의 표시 모듈측의 최외면으로부터 두께 방향에 있어서 0% 이상 90% 이내의 범위에만 존재하는 폴더블 편광판.

Description

폴더블 편광판
본 발명은, 폴더블 편광판에 관한 것이며, 이것을 구비하는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최근 시장에 보이는 바와 같이, 폴더블(Foldable) 스마트 디바이스가 출현하여, 이용되는 디스플레이(화상 표시 장치)에 굴곡성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디스플레이가 굴곡되면 굽힘 응력 및 왜곡이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부재에 가해진다. 이 때문에, 폴더블 디바이스에 이용하는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부재는, 그것에 특화한 재료 설계를 행할 필요가 있다. 특허문헌 1에는, 굴곡 가능한 표시 장치에 이용하는 부재로서, 편광자와 위상차 필름을 구비하는 굴곡 가능한 원편광판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특허 공개 제2014-170221호 공보
폴더블 디바이스에 특화한 편광판을 설계할 때에 큰 과제가 되는 것은, 굴곡되었을 때에 생기는 깨어짐이나 크랙이다. 리지드한 디스플레이용 편광판의 설계대로 폴더블 디바이스에 적용하는 것은 어려움이 많다. 편광판은 복수의 기능성 필름을 적층한 적층 필름이지만, 특히, 얇고, 또 딱딱한 층은 굴곡에 대하여 깨어지기 쉽다. 이러한 층이 깨어지면, 깨어진 개소에서 패널광이 새거나, 터치 패널이나 발광층이 깨어지면 표시 불가능해지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윈도우 유닛에 인접하여 적층된 점착제층과, 표시 모듈과의 사이에 배치되고, 두께가 5 ㎛ 이하인 박막 경화층을 포함하는 폴더블 편광판으로서, 표시 모듈측을 굴곡 중심으로 하여 반복 굴곡시킨 경우에도, 깨어짐이나 크랙이 발생하기 어려운 폴더블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직선 편광층과 위상차층이 적층되고, 두께가 5 ㎛ 이하인 박막 경화층을 포함하는 폴더블 편광판으로서, 직선 편광층을 기준으로 위상차층측을 굴곡 중심으로 하여 반복 굴곡시킨 경우에도, 깨어짐이나 크랙이 발생하기 어려운 폴더블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의 폴더블용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1] 윈도우 유닛에 인접하여 적층된 점착제층과, 표시 모듈과의 사이에 배치되는 폴더블 편광판으로서,
두께가 5 ㎛ 이하인 박막 경화층을 포함하고,
상기 박막 경화층은, 상기 폴더블 편광판의 두께를 100%로 했을 때, 상기 폴더블 편광판의 상기 표시 모듈측의 최외면으로부터 상기 두께 방향에 있어서 0% 이상 90% 이내의 범위에만 존재하는 폴더블 편광판.
[2] 상기 박막 경화층의 23℃에서의 마르텐스 경도는 150 N/㎟ 이상 800 N/㎟ 이하인 [1]에 기재된 폴더블 편광판.
[3] 두께가 20 ㎛ 이상 150 ㎛ 이하인 [1] 또는 [2]에 기재된 폴더블 편광판.
[4] [1]∼[3]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폴더블 편광판을 구비하는 화상 표시 장치.
[5] 직선 편광층과 위상차층이 적층된 폴더블 편광판으로서,
두께가 5 ㎛ 이하인 박막 경화층을 포함하고,
상기 박막 경화층은, 상기 폴더블 편광판의 두께를 100%로 했을 때, 상기 폴더블 편광판의 상기 직선 편광층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위상차층측의 최외면으로부터 상기 두께 방향에 있어서 0% 이상 90% 이내의 범위에만 존재하는 폴더블 편광판.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윈도우 유닛에 인접하여 적층된 점착제층과, 표시 모듈과의 사이에 배치되고, 두께가 5 ㎛ 이하인 박막 경화층을 포함하는 폴더블 편광판으로서, 표시 모듈측을 굴곡 중심으로 하여 반복 굴곡시킨 경우에도, 깨어짐이나 크랙이 발생하기 어려운 폴더블 편광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의하면, 직선 편광층과 위상차층이 적층되고, 두께가 5 ㎛ 이하인 박막 경화층을 포함하는 폴더블 편광판으로서, 직선 편광층을 기준으로 하고 위상차층측을 굴곡 중심으로 하여 반복 굴곡시킨 경우에도, 깨어짐이나 크랙이 발생하기 어려운 폴더블 편광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도 1은 폴더블 편광판이 배치되는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2] 도 2는 제1 양태에 따른 폴더블 편광판의 층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3] 도 3은 제1 양태에 따른 폴더블 편광판의 층구성의 다른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4] 도 4는 제1 양태에 따른 폴더블 편광판의 층구성의 또 다른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5] 도 5는 제1 양태에 따른 폴더블 편광판의 층구성의 다른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6] 도 6은 제2 양태에 따른 폴더블 편광판의 층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7] 도 7은 제2 양태에 따른 폴더블 편광판의 층구성의 다른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8] 도 8은 폴더블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의 층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9] 도 9는 내굴곡성의 평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0] 도 10은 마르텐스 경도의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모든 도면에서는, 각 구성 요소를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축척을 적절히 조정하여 도시하고 있고, 도면에 도시된 각 구성 요소의 축척과 실제의 구성 요소의 축척은 반드시 일치하지는 것은 아니다.
<폴더블 편광판>
[제1 양태]
제1 양태에 따른 폴더블 편광판은, 윈도우 유닛에 인접하여 적층된 점착제층과, 표시 모듈과의 사이에 배치되고, 두께가 5 ㎛ 이하인 박막 경화층을 구비한다. 이 박막 경화층은, 폴더블 편광판의 두께를 100%로 했을 때, 폴더블 편광판의 표시 모듈측의 최외면으로부터 상기 두께 방향에 있어서 0% 이상 90% 이내의 범위에만 존재한다.
도 1에 도시하는 폴더블 편광판(1)은, 윈도우 유닛(2)에 인접하여 적층된 점착제층(3)과, 표시 모듈(4)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폴더블 편광판(1)은, 바람직하게는, 한쪽의 면이, 윈도우 유닛(2)에 인접하여 적층된 점착제층(3)에 직접 접하여 배치되고, 다른쪽의 면이 표시 모듈(4)에 직접 접하여 배치된다. 윈도우 유닛(2)은, 예컨대 전면판일 수 있다. 표시 모듈(4)은, 예컨대 터치 센서 패널이나 화상 표시 소자 등일 수 있다. 점착제층(3)은, 후술하는 접합층으로서 예시하는 것이 적용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폴더블이란, 폴더블 편광판에서의 직선 편광층의 투과축 방향을 굴곡축으로 했을 때, 굴곡축을 따라 굴곡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을 말한다. 폴더블 편광판(1)은, 표시 모듈측을 내측으로 하여 굴곡시킬 수 있다. 굴곡에는, 굽힘 부분에 곡면이 형성되는 절곡의 형태가 포함된다. 절곡의 형태에 있어서, 절곡한 내면의 굴곡 반경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굴곡에는, 내면의 굴절각이 0°보다 크고 180° 미만인 굴절의 형태, 및 내면의 굴곡 반경이 제로에 근사, 또는 내면의 굴절각이 0°인 절첩의 형태가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크랙이란, 폴더블 편광판을 평면시에 있어서 광학 현미경의 투과광에 의해 관찰했을 때에, 박막 경화층에 관찰되는 균열을 말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깨어짐이란, 박막 경화층의 크랙에 기인하여 박막 경화층 이외의 층에도 연속하여 균열이 생긴 것을 말한다. 깨어짐 및 크랙은, 후술하는 실시예의 란에서 설명하는 방법에 따라서 관찰할 수 있다.
폴더블 편광판(1)은, 표시 모듈측 표면을 내측으로 하여 굴곡축을 따라서 내면의 굴곡 반경이 1.5 mm이 되도록 반복 굴곡시켰을 때, 그 굴곡 횟수가 바람직하게는, 5만회라 하더라도 크랙이 생기지 않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만회라 하더라도 크랙이 생기지 않는다.
폴더블 편광판은 장척형이어도 좋고 매엽형이어도 좋다. 폴더블 편광판은 바람직하게는 매엽형이다. 매엽형의 폴더블 편광판은, 장척형의 폴더블 편광판으로부터 재단하는 것에 의해 얻을 수 있다. 폴더블 편광판이 매엽형인 경우, 폴더블 편광판의 평면시 형상은, 예컨대 방형이어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장변과 단변을 갖는 방형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장방형이다. 폴더블 편광판의 평면시 형상이 장방형인 경우, 장변의 길이는, 예컨대 10 mm 이상 1400 mm 이하이어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50 mm 이상 600 mm 이하이다. 단변의 길이는, 예컨대 5 mm 이상 800 mm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30 mm 이상 500 mm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mm 이상 300 mm 이하이다. 또, 본 명세서에서 평면시란, 층의 두께 방향으로부터 보는 것을 의미한다.
폴더블 편광판의 평면시 형상이 방형인 경우, 폴더블 편광판을 구성하는 각 층에서의 각 변의 길이는 서로 동일해도 좋다. 폴더블 편광판을 구성하는 각 층은, 모서리부가 R 가공되거나, 단부가 절결 가공되거나, 천공 가공되거나 해도 좋다.
폴더블 편광판의 두께는, 예컨대 20 ㎛ 이상 150 ㎛ 이하이어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25 ㎛ 이상 130 ㎛ 이하이다. 폴더블 편광판의 두께는, 폴더블 편광판이 윈도우 유닛에 인접하여 적층된 점착제층과, 표시 모듈과의 사이에 배치되었을 때의 두께이다. 폴더블 편광판이 표시 모듈과의 접합을 위해 표시 모듈측의 최외면에 후술하는 점착층을 갖고, 폴더블 편광판이 윈도우 유닛에 인접하여 적층된 점착제층과, 표시 모듈과의 사이에 배치되었을 때에 점착층을 갖는 경우, 폴더블 편광판의 두께는 점착층의 두께를 포함한다. 폴더블 편광판이 윈도우 유닛에 인접하여 적층된 점착제층과, 표시 모듈과의 사이에 배치되기 전에 세퍼레이터 필름이나 프로텍트 필름을 갖고 있더라도, 폴더블 편광판이 윈도우 유닛에 인접하여 적층된 점착제층과, 표시 모듈과의 사이에 배치되었을 때에 세퍼레이터 필름이나 프로텍트 필름을 갖지 않는 경우, 폴더블 편광판의 두께는, 세퍼레이터 필름이나 프로텍트 필름의 두께를 포함하지 않는다.
폴더블 편광판은 화상 표시 장치에 이용할 수 있다. 화상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 유기 EL 표시 장치 등 어떤 것이어도 좋다. 폴더블 편광판은, 화상 표시 장치의 전면측(시인측)에 배치될 수도 있고, 배면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폴더블 편광판은 굴곡 가능하다는 점에서, 폴더블 화상 표시 장치에 적합하다.
화상 표시 장치가 액정 표시 장치인 경우, 폴더블 편광판은, 액정 셀의 전면측 또는 배면측 중 전면측에 배치되는 편광판을 포함하는 편광판으로서 배치될 수 있다. 화상 표시 장치가 유기 EL 표시 장치인 경우, 폴더블 편광판은, 외광의 반사 방지의 목적으로 전면측에 배치되는 원편광판으로서 전면측에 배치될 수 있다.
폴더블 편광판이 원편광판인 경우, 폴더블 편광판은 반사 방지 성능을 가질 수 있다.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화상 표시 장치의 전면측에 반사 방지 성능을 갖는 폴더블 편광판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 외래광의 반사에 의한 시인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박막 경화층]
폴더블 편광판(1)은,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두께가 5 ㎛ 이하인 박막 경화층을 포함한다. 박막 경화층은, 경화성 수지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층일 수 있다. 박막 경화층으로는, 예컨대 열가소성 수지 필름인 편광자 보호층 상에 형성되는 경화 수지층, 코팅 보호층, 직선 편광층과 편광자 보호층을 접착하기 위한 접착제층, 위상차층에 포함되는 액정 경화층 및 위상차층끼리를 접착하기 위한 접착제층 중, 두께가 5 ㎛ 이하인 것 등을 들 수 있다. 박막 경화층의 두께가 5 ㎛을 넘는 경우, 박막 경화층에 깨어짐이나 크랙이 생기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박막 경화층 이외의 층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박막 경화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4.5 ㎛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 ㎛ 이하이다. 박막 경화층(100)의 두께는, 통상 0.5 ㎛ 이상이다.
박막 경화층은, 폴더블 편광판(1)의 두께를 100%로 했을 때, 폴더블 편광판(1)의 표시 모듈(4)측의 최외면으로부터 두께 방향에 있어서 0% 이상 90% 이내의 범위(T1)에만 존재한다. 박막 경화층이 범위(T1) 내에만 존재하는 것에 의해, 폴더블 편광판(1)을 표시 모듈(4)측을 내측으로 하여 반복 굴곡한 경우에도, 깨어짐이나 크랙이 발생하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박막 경화층은, 폴더블 편광판(1)의 두께를 100%로 했을 때, 폴더블 편광판(1)의 표시 모듈(4)측의 최외면으로부터 두께 방향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0% 이상 90% 이내의 범위에만 존재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 이상 75% 이내의 범위에만 존재하여, 더욱 바람직하게는 0% 이상 60% 이내의 범위에만 존재한다.
박막 경화층의 온도 23℃에서의 마르텐스 경도(이하, 간략화를 위해 단순히 마르텐스 경도라고도 함)는, 예컨대 150 N/㎟ 이상 800 N/㎟ 이하이어도 좋다. 박막 경화층의 마르텐스 경도가 상기 범위 내인 경우, 크랙이 생기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마르텐스 경도는 후술하는 실시예의 란에서 설명하는 방법에 따라서 측정할 수 있다.
박막 경화층의 마르텐스 경도는, 크랙이 생기기 어렵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50 N/㎟ 이상 700 N/㎟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 N/㎟ 이상 600 N/㎟ 이하이다.
박막 경화층의 마르텐스 경도는, 예컨대 박막 경화층을 형성하는 데 이용하는 박막 경화층 형성용 조성물의 조성을 조절하는 방법 등에 의해 조절할 수 있다. 박막 경화층 형성용 조성물의 조성을 조절하는 방법으로는, 예컨대 경화성 수지를 구성하는 중합성 모노머나 첨가제의 종류 및/또는 함유율을 조절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시판품 중에서 소정의 마르텐스 경도를 갖는 것을 선택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폴더블 편광판은, 편광자 보호층과 직선 편광층을 포함하는 직선 편광판으로서의 기능을 갖는 것이어도 좋고, 직선 편광판과 위상차층을 포함하는 원편광판으로서의 기능을 갖는 것이어도 좋다. 도 2에 도시하는 폴더블 편광판(10)은, 편광자 보호층(100)과, 경화 수지층(101)과, 접착제층(102)과, 직선 편광층(103)과, 접합층(104)과, 액정 경화층(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는 위상차층(105)을 이 순으로 구비한다. 폴더블 편광판(10)은, 전술한 층 이외의 다른 층을 더 포함해도 좋다. 다른 층으로는, 예컨대 프로텍트 필름, 점착층 등을 들 수 있다.
[편광자 보호층]
편광자 보호층(100)은, 직선 편광층(103), 특히 직선 편광층(103)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한 층이다. 편광자 보호층(100)은, 직선 편광층(103)의 한쪽 또는 양쪽에, 접착제층만을 통해 또는 직접,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편광자 보호층(100)이 배치된 직선 편광층(103)은 직선 편광판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편광자 보호층(100)은, 예컨대 열가소성 수지 필름 또는 코팅 보호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폴더블 편광판(10)은, 직선 편광층(103)의 한쪽에만 편광자 보호층(100)을 갖고 있어도 좋고, 양쪽에 편광자 보호층(100)을 갖고 있어도 좋다. 폴더블 편광판(10)이 직선 편광층(103)의 양쪽에 편광자 보호층을 갖는 경우, 편광자 보호층(100)은 동종이어도 좋고 이종이어도 좋다. 편광자 보호층(100)이 열가소성 수지 필름인 경우, 편광자 보호층(100)은, 후술하는 접착제층을 통해 직선 편광층(103)에 접합할 수 있다. 또한, 편광자 보호층(100)이 열가소성 수지 필름인 경우, 편광자 보호층(100)은, 후술하는 경화 수지층(101)을 구비할 수 있다. 폴더블 편광판(10)은,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포함한다.
[열가소성 수지 필름]
편광자 보호층(100)으로서 이용할 수 있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직선 편광층(103)의 편면 또는 양면에 접합된 형태로 폴더블 편광판(10)에 삽입될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 필름으로는, 예컨대 투광성을 갖는, 바람직하게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열가소성 수지 필름이어도 좋고, 그 예로는, 쇄형 폴리올레핀계 수지(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메틸펜텐계 수지 등), 고리형 폴리올레핀계 수지(노르보르넨계 수지 등)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에틸렌-아세트산비닐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에테르이미드계 수지; 폴리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등의 (메트)아크릴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폴리술폰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 폴리에테르케톤계 수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폴리아미드이미드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강도나 투광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 고리형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 및 (메트)아크릴계 수지 필름이다.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두께는, 예컨대 30 ㎛ 이하이어도 좋고, 박형화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25 ㎛ 이하이고, 또한 통상 1 ㎛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5 ㎛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 이상이다. 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위상차를 갖고 있어도 좋고 갖고 있지 않아도 좋다.
[경화 수지층]
경화 수지층(101)은, 경화성 수지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층이다. 경화 수지층(101)은, 예컨대 하드코트층, 방현층, 반사 방지층, 광확산층, 대전 방지층, 오염 방지층, 도전층과 같은 기능을 갖는 층일 수 있다.
경화성 수지로는, 예컨대 열경화성 수지나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경화성 수지의 경화물은, 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경화 수지층 형성용 조성물로 형성할 수 있다. 경화 수지층 형성용 조성물은, 예컨대 열경화성 조성물, 양이온 경화성 조성물, 라디칼 경화성 조성물 등이어도 좋다. 경화 수지층 형성용 조성물은, 예컨대 중합성 모노머, 중합 개시제, 첨가제, 용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첨가제로는, 예컨대 가소제, 자외선 흡수제, 적외선 흡수제, 안료나 염료와 같은 착색제, 형광 증백제, 분산제, 열안정제, 광안정제, 대전 방지제, 산화 방지제, 윤활제,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경화 수지층(101)이 하드코트층인 경우, 직선 편광층(103) 또는 편광자 보호층(100)의 경도 및 스크래치성을 향상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 필름이 하드코트층인 경화 수지층(101)을 구비하는 경우, 예컨대 편광자 보호층(100)을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 상에, 하드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여 경화시켜, 하드코트 형성용 조성물의 경화물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하드코트층을 구비한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제작하고, 이어서 접착제층(102)을 통해 직선 편광층(103)과 접합할 수 있다. 시판하는 경화 수지층을 구비한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편광자 보호층(100)으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하드코트층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를 포함하는 하드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의 경화물로 형성할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로는, 예컨대 아크릴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아미드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하드코트층은,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첨가제는 한정되지는 않고, 무기계 미립자, 유기계 미립자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하드코트층은 바람직하게는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한다.
경화 수지층(101)의 두께는, 예컨대 5 ㎛ 이하이어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4 ㎛ 이하이다. 박막 경화층(100)의 두께는, 통상 0.5 ㎛ 이상이다.
[접착제층]
직선 편광층(103)과 열가소성 수지 필름인 편광자 보호층(100)(또는 경화 수지층(101))의 접합에 이용하는 접착제층(102)은, 자외선 경화성 접착제 등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나,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수용액 또는 이것에 가교제가 배합된 수용액, 우레탄계 에멀젼 접착제 등의 수계 접착제로 형성할 수 있다. 직선 편광층(103)의 양면에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접합하는 경우, 2개의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접착제는 동종이어도 좋고 이종이어도 좋다. 예컨대, 양면에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접합하는 경우, 편면은 수계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합하고, 다른 편면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합해도 좋다.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는, 라디칼 중합성의 (메트)아크릴계 화합물과 광라디칼 중합 개시제의 혼합물이나, 양이온 중합성의 에폭시 화합물과 광양이온 중합 개시제의 혼합물 등일 수 있다. 또한, 양이온 중합성의 에폭시 화합물과 라디칼 중합성의 (메트)아크릴계 화합물을 병용하여, 개시제로서 광양이온 중합 개시제와 광라디칼 중합 개시제를 병용할 수도 있다. 접착제층의 두께는, 예컨대 0.1 ㎛ 이상 5 ㎛ 이하이어도 좋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를 이용하는 경우, 접합 후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함으로써 접착제를 경화시킨다. 활성 에너지선의 광원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파장 400 ㎚ 이하에 발광 분포를 갖는 활성 에너지선(자외선)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저압 수은등, 중압 수은등, 고압 수은등, 초고압 수은등, 케미컬 램프, 블랙라이트 램프, 마이크로웨이브 여기 수은등, 메탈 할라이드 램프 등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직선 편광층(103)과 열가소성 수지 필름인 편광자 보호층(100)(또는 경화 수지층(101))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접합면의 한쪽 또는 양쪽에, 코로나 처리, 화염 처리, 플라즈마 처리, 자외선 조사 처리, 프라이머 도포 처리, 비누화 처리 등의 표면 처리를 해도 좋다.
[코팅 보호층]
코팅 보호층은, 예컨대 에폭시 수지 등의 양이온 경화성 조성물이나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라디칼 경화성 조성물을 도포하고 경화하여 이루어진 것이어도 좋고,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등의 수용액을 도포하고 건조시켜 이루어진 것이어도 좋으며, 필요에 따라 가소제, 자외선 흡수제, 적외선 흡수제, 안료나 염료와 같은 착색제, 형광 증백제, 분산제, 열안정제, 광안정제, 대전 방지제, 산화 방지제, 윤활제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편광자 보호층(100)이 코팅 보호층인 경우, 편광자 보호층(100)의 두께는, 예컨대 0.1 ㎛ 이상 30 ㎛ 이하이어도 좋고, 박형화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5 ㎛ 이상 2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이상 10 ㎛ 이하이다.
[직선 편광층]
직선 편광층(103)은, 그 흡수축에 평행한 진동면을 갖는 직선 편광을 흡수하고, 흡수축에 직교하는(투과축과 평행한) 진동면을 갖는 직선 편광을 투과하는 성질을 갖는 직선 편광자일 수 있다. 직선 편광층으로는, 이색성 색소를 흡착시킨 연신 필름 혹은 연신층을 들 수 있다. 이색성 색소로서, 구체적으로는, 요오드나 이색성 유기 염료가 이용된다. 이색성 유기 염료에는, C.I.DIRECT RED 39 등의 디스아조 화합물을 포함하는 이색성 직접 염료, 트리스아조, 테트라키스아조 등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이색성 직접 염료가 포함된다.
이색성 색소를 흡착시킨 연신 필름(이하, 생략하여 「연신 필름」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음)인 직선 편광층에 대해 설명한다. 이색성 색소를 흡착시킨 연신 필름은, 통상,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일축 연신하는 공정,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이색성 색소로 염색함으로써 그 이색성 색소를 흡착시키는 공정, 및 이색성 색소가 흡착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붕산 수용액으로 처리하는 공정, 및 붕산 수용액에 의한 처리 후에 수세하는 공정을 거쳐 제조할 수 있다. 이색성 색소를 흡착시킨 연신 필름인 직선 편광층의 두께는, 예컨대 2 ㎛ 이상 40 ㎛ 이하이어도 좋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를 비누화함으로써 얻어진다.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로는, 아세트산비닐의 단독 중합체인 폴리아세트산비닐 외에, 아세트산비닐과 그것에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의 공중합체가 이용된다. 아세트산비닐에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로는, 예컨대, 불포화 카르복실산류, 올레핀류, 비닐에테르류, 불포화 술폰산류, 암모늄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아미드류 등을 들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비누화도는, 통상 85 몰% 이상 100 몰%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98 몰% 이상이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변성되어 있어도 좋고, 예컨대, 알데히드류로 변성된 폴리비닐포르말이나 폴리비닐아세탈도 사용할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중합도는, 통상 1000 이상 10000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1500 이상 5000 이하이다.
이러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제막한 것이, 연신 필름의 원반 필름으로서 이용된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제막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된 방법으로 제막할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원반 필름의 막두께는, 예컨대 10 ㎛ 이상 150 ㎛ 이하여도 좋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의 일축 연신은, 이색성 색소에 의한 염색 전, 염색과 동시, 또는 염색 후에 행할 수 있다. 일축 연신을 염색 후에 행하는 경우, 이 일축 연신은, 붕산 처리 전에 행해도 좋고, 붕산 처리 중에 행해도 좋다. 또한, 이들 복수의 단계로 일축 연신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축 연신시에는, 주속이 상이한 롤 사이에서 일축으로 연신해도 좋고, 열롤을 이용하여 일축으로 연신해도 좋다. 또한 일축 연신은, 대기 중에서 연신을 행하는 건식 연신이어도 좋고, 용제를 이용하여,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팽윤시킨 상태에서 연신을 행하는 습식 연신이어도 좋다. 연신 배율은, 통상 3배 이상 8배 이하 정도이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의 이색성 색소에 의한 염색은, 예컨대, 이색성 색소를 함유하는 수용액에,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침지하는 방법에 의해 행해진다. 이색성 색소로서, 구체적으로는, 요오드나 이색성의 유기 염료가 이용된다. 이색성 유기 염료에는, C.I.DIRECT RED 39 등의 디스아조 화합물을 포함하는 이색성 직접 염료, 트리스아조, 테트라키스아조 등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이색성 직접 염료가 포함된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은, 염색 처리 전에 물에 침지하는 처리를 실시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색성 색소로서 요오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통상, 요오드 및 요오드화칼륨을 함유하는 수용액에,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침지하여 염색하는 방법이 채용된다. 이 수용액에서의 요오드의 함유량은, 물 100 질량부당, 통상 0.01 질량부 이상 1 질량부 이하이다. 또한 요오드화칼륨의 함유량은, 물 100 질량부당, 통상 0.5 질량부 이상 20 질량부 이하이다. 염색에 이용하는 수용액의 온도는, 통상 20℃ 이상 40℃ 이하이다. 또한, 이 수용액에 침지하는 시간(염색 시간)은, 통상 20초 이상 1,800초 이하이다.
한편, 이색성 색소로서 이색성의 유기 염료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통상, 수용성 이색성 염료를 포함하는 수용액에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침지하여 염색하는 방법이 채용된다. 이 수용액에서의 이색성 유기 염료의 함유량은, 물 100 질량부당, 통상 1×10-4 질량부 이상 10 질량부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1×10-3 질량부 이상 1 질량부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3 질량부 이상 1×10-2 질량부 이하이다. 이 수용액은, 황산나트륨과 같은 무기염을 염색 조제로서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염색에 이용하는 이색성 염료 수용액의 온도는, 통상 20℃ 이상 80℃ 이하이다. 또한, 이 수용액에 침지하는 시간(염색 시간)은, 통상 10초 이상 1,800초 이하이다.
이색성 색소에 의한 염색 후의 붕산 처리는 통상, 염색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붕산 수용액에 침지하는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이 붕산 수용액에서의 붕산의 함유량은, 물 100 질량부당, 통상 2 질량부 이상 15 질량부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5 질량부 이상 12 질량부 이하이다. 이색성 색소로서 요오드를 이용한 경우에는, 이 붕산 수용액은 요오드화칼륨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경우의 요오드화칼륨의 함유량은, 물 100 질량부당, 통상 0.1 질량부 이상 15 질량부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5 질량부 이상 12 질량부 이하이다. 붕산 수용액에 침지하는 시간은, 통상 60초 이상 1,200초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150초 이상 600초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초 이상 400초 이하이다. 붕산 처리의 온도는, 통상 50℃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8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이상 80℃ 이하이다.
붕산 처리 후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은 통상, 수세 처리된다. 수세 처리는, 예컨대, 붕산 처리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물에 침지하는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수세 처리에서의 물의 온도는, 통상 5℃ 이상 40℃ 이하이다. 또한 침지 시간은, 통상 1초 이상 120초 이하이다.
수세 후에 건조 처리가 실시되어, 이색성 색소를 흡착시킨 연신 필름이 얻어진다. 건조 처리는 예컨대, 열풍 건조기나 원적외선 히터를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건조 처리의 온도는, 통상 30℃ 이상 100℃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80℃ 이하이다. 건조 처리의 시간은, 통상 60초 이상 600초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120초 이상 600초 이하이다. 건조 처리에 의해, 이색성 색소를 흡착시킨 연신 필름의 수분율은 실용 정도로까지 저감된다. 그 수분율은, 통상 5 질량% 이상 20 질량%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8 질량% 이상 15 질량% 이하이다. 수분율이 5 질량%를 하회하면, 이색성 색소를 흡착시킨 연신 필름의 가요성이 상실되어, 이색성 색소를 흡착시킨 연신 필름이 그 건조 후에 손상되거나, 파단되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수분율이 20 질량%를 상회하면, 이색성 색소를 흡착시킨 연신 필름의 열안정성이 나빠질 가능성이 있다.
다음으로, 이색성 색소를 흡착시킨 연신층(이하, 생략하여 「연신층」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음)인 직선 편광층에 대해 설명한다. 이색성 색소를 흡착시킨 연신층은, 통상,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포함하는 도포액을 기재 상에 도포하여 적층 필름을 얻는 공정, 얻어진 적층 필름을 일축 연신하는 공정, 일축 연신된 적층 필름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을 이색성 색소로 염색하여 흡착시키는 공정, 이색성 색소가 흡착된 필름을 붕산 수용액으로 처리하는 공정, 및 붕산 수용액에 의한 처리 후에 수세하는 공정을 거쳐 제조할 수 있다.
기재의 예로는, 후술하는 편광자 보호층의 설명에서 예시하는 것이 적용된다. 기재를 연신층으로부터 박리 제거해도 좋고, 기재를 편광자 보호층으로 해도 좋다. 기재의 두께는, 예컨대 5 ㎛ 이상 200 ㎛ 이하이어도 좋다. 기재가 폴더블 편광판(10)에 삽입되는 경우에는, 기재 필름의 두께는 3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접합층]
직선 편광층(103)과 위상차층(105)을 접합하기 위한 접합층(104)은, 통상, 감압식 점착제(이하, 점착제라고도 함)로 형성된 점착제층일 수 있다.
점착제층의 두께는, 예컨대 1 ㎛ 이상 50 ㎛ 이하의 범위이어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2 ㎛ 이상 45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 ㎛ 이상 3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 ㎛ 이상 20 ㎛ 이하이다.
점착제층은, (메트)아크릴계, 고무계, 우레탄계, 에스테르계, 실리콘계, 폴리비닐에테르계와 같은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구성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투명성, 내후성, 내열성 및 저장 탄성률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메트)아크릴계 수지를 베이스 폴리머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이다. 점착제 조성물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또는 열경화형이어도 좋다.
점착제 조성물에 이용되는 (메트)아크릴계 수지(베이스 폴리머)로는, 예컨대, (메트)아크릴산부틸, (메트)아크릴산에틸, (메트)아크릴산이소옥틸, (메트)아크릴산 2-에틸헥실과 같은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모노머로 하는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가 적합하게 이용된다. 베이스 폴리머에는, 극성 모노머를 공중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극성 모노머로는, 예컨대, (메트)아크릴산, (메트)아크릴산 2-히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히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카르복실기, 수산기, 아미드기, 아미노기, 에폭시기 등을 갖는 모노머를 들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베이스 폴리머만을 포함하는 것이어도 좋지만, 통상은 가교제를 더 함유한다. 가교제로는, 2가 이상의 금속 이온이며, 카르복실기와의 사이에서 카르복실산 금속염을 형성하는 것; 폴리아민 화합물이며, 카르복실기와의 사이에서 아미드 결합을 형성하는 것; 폴리에폭시 화합물이나 폴리올이며, 카르복실기와의 사이에서 에스테르 결합을 형성하는 것;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며, 카르복실기와의 사이에서 아미드 결합을 형성하는 것이 예시된다. 그 중에서도,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점착제층의 형성은, 예컨대, 톨루엔이나 아세트산에틸 등의 유기 용제에 점착제 조성물을 용해 또는 분산시켜 점착제액을 조제하고, 이것을 폴더블 편광판의 대상면에 직접 도공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방식이나, 이형 처리가 실시된 세퍼레이트 필름 상에 점착제층을 시트형으로 형성해 두고, 그것을 직선 편광층(103) 또는 위상차층(105)의 대상면으로 이착하는 방식 등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세퍼레이트 필름은,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등을 포함하는 필름일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연신 필름이 바람직하다.
점착제층은, 임의 성분, 예컨대 유리 섬유, 유리 비드, 수지 비드, 금속 분말이나 다른 무기 분말을 포함하는 충전제, 안료, 착색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대전 방지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대전 방지제로는, 예컨대, 이온성 화합물, 도전성 미립자, 도전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지만, 이온성 화합물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이온성 화합물을 구성하는 양이온 성분은 무기 양이온이어도 좋고 유기 양이온이어도 좋다.
유기 양이온으로는, 피리디늄 양이온, 이미다졸륨 양이온, 암모늄 양이온, 술포늄 양이온, 포스포늄 양이온, 피페리디늄 양이온, 피롤리디늄 양이온 등을 들 수 있고, 무기 양이온으로는 리튬 이온, 칼륨 이온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이온성 화합물을 구성하는 음이온 성분으로는, 무기 음이온이어도 좋고 유기 음이온이어도 좋지만, 대전 방지 성능이 우수한 이온성 화합물을 제공하는 점에서, 불소 원자를 포함하는 음이온 성분이 바람직하다. 불소 원자를 포함하는 음이온 성분으로는,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음이온[(PF6 -)],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음이온[(CF3SO2)2N-] 음이온, 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음이온[(FSO2)2N-] 음이온 등을 들 수 있다.
[위상차층]
위상차층(105)은, 폴더블 편광판(10)을 표시 모듈측으로 굴곡시켰을 때의 굴곡축측에 배치될 수 있다. 위상차층(105)은, 접합층(104)을 통해 직선 편광층(103)에 적층될 수 있다. 위상차층(105)으로는, λ/4층이나 λ/2층과 같은 포지티브 A층, 및 포지티브 C층일 수 있다. 위상차층(103)은, 액정 경화층으로 형성되어도 좋고, 전술한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재료로서 예시한 수지 필름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위상차층(103)이 액정 경화층을 포함하는 경우, 위상차층(103)은, 후술하는 접착제층이나 배향층, 기재를 더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위상차층(105)은, 바람직하게는 λ/4층을 포함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λ/4층과, λ/2층 및 포지티브 C층의 적어도 어느 한쪽을 포함한다. 위상차층(105)이 λ/2층을 포함하는 경우, 직선 편광층(103)측으로부터 순서대로 λ/2층 및 λ/4층을 적층할 수 있다. 위상차층(105)이 포지티브 C층을 포함하는 경우, 직선 편광층(103)측으로부터 순서대로 λ/4층 및 포지티브 C층을 적층해도 좋고, 직선 편광층(103)측으로부터 순서대로 포지티브 C층 및 λ/4층을 적층해도 좋다.
위상차층(105)의 두께는, 예컨대 0.1 ㎛ 이상 50 ㎛ 이하이어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1 ㎛ 이상 3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 이상 15 ㎛ 이하이다.
액정 경화층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중합하는 것에 의해 경화한 경화물의 층이다. 액정 경화층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액정 배향된 상태에서 서로 중합한 것이어도 좋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은, 면내에 배향되어 있어도 좋고, 수직으로 배향되어 있어도 좋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면내에 배향되어 있는 경우, 액정 경화층은, 면내 위상차를 나타내는 포지티브 A층이 된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수직으로 배향되어 있는 경우, 두께 방향으로 위상차를 나타내는 포지티브 C층이 된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은, 중합성 기를 갖는 화합물이며, 액정 상태가 될 수 있는 화합물이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중합성 기끼리 반응하여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중합함으로써,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경화한다.
위상차층(105)이 구비하는 액정 경화층은, 1층이어도 좋고, 2층 또는 3층 이상이어도 좋다. 위상차층(105)이 액정 경화층을 2층 이상 구비하는 경우, 액정 경화층은 통상, 접착제층을 통해 서로 적층된다. 위상차층(105)은, 액정 경화층 및 이들을 서로 적층하는 접착제층에 더해, 기재 및/또는 액정 경화층을 형성할 때에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배향시키기 위한 배향층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위상차층(105)이 기재를 갖는 경우, 기재는 통상, 위상차층(105)이 직선 편광층(103)에 접합될 때에 제거된다.
접착제층에 이용하는 접착제로는, 자외선 경화성 접착제 등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나,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수용액 또는 이것에 가교제가 배합된 수용액, 우레탄계 에멀젼 접착제 등의 수계 접착제를 들 수 있다. 위상차층이 2 이상의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경우, 접착제는 동종이어도 좋고 이종이어도 좋다. 접착제층의 두께는, 예컨대 0.1 ㎛ 이상 5 ㎛ 이하이어도 좋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종류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그 형상으로부터, 막대형 타입(막대형 액정 화합물)과 원반형 타입(원반형 액정 화합물, 디스코틱 액정 화합물)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각각 저분자 타입과 고분자 타입이 있다. 또한, 고분자란, 일반적으로 중합도가 100 이상인 것을 말한다(고분자 물리·상전이 다이나믹스, 도이 마사오 저(著), 2페이지, 이와나미 서점, 1992). 본 발명에서는 어느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2종 이상의 막대형 액정 화합물이나, 2종 이상의 원반형 액정 화합물, 또는 막대형 액정 화합물과 원반형 액정 화합물의 혼합물을 이용해도 좋다. 막대형 액정 화합물로는, 예컨대, 일본특허공표 평11-513019호 공보의 청구항 1에 기재된 것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원반형 액정 화합물로는, 예컨대, 일본특허공개 제2007-108732호 공보의 단락 [0020]∼[0067], 또는 일본특허공개 제2010-244038호 공보의 단락 [0013]∼[0108]에 기재된 것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은, 2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그 경우, 적어도 1종류가 분자 내에 2 이상의 중합성 기를 갖고 있다. 즉, 상기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경화한 층은, 중합성 기를 갖는 액정 화합물이 중합에 의해 고정되어 형성된 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층이 된 후에는 더이상 액정성을 나타낼 필요는 없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은, 중합 반응을 할 수 있는 중합성 기를 갖는다. 중합성 기로는, 예컨대, 중합성 에틸렌성 불포화 기나 고리 중합성 기 등의 부가 중합 반응이 가능한 작용기가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중합성 기로는, 예컨대, (메트)아크릴로일기, 비닐기, 스티릴기, 알릴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메트)아크릴로일기가 바람직하다. 또한, (메트)아크릴로일기란, 메타아크릴로일기 및 아크릴로일기의 양자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갖는 액정성은 서모트로픽성 액정이어도 좋고 리오트로픽 액정이어도 좋으며, 서모트로픽 액정을 질서도로 분류하면, 네마틱 액정이어도 좋고 스멕틱 액정이어도 좋다.
액정 경화층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하, 위상차층 형성용 조성물이라고도 함)을, 예컨대 배향층 상에 도공하고,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위상차층 형성용 조성물에는, 전술한 중합성 액정 화합물 이외의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예컨대, 위상차층 형성용 조성물에는, 중합 개시제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되는 중합 개시제는, 중합 반응의 형식에 따라, 예컨대, 열중합 개시제나 광중합 개시제가 선택된다. 예컨대, 광중합 개시제로는, α-카르보닐 화합물, 아실로인에테르, α-탄화수소 치환 방향족 아실로인 화합물, 다핵 퀴논 화합물, 트리아릴이미다졸 다이머와 p-아미노페닐케톤의 조합 등을 들 수 있다. 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은, 상기 도공액 중의 전체 고형분에 대해, 0.01 질량% 이상 2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5 질량% 이상 5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경화물이란, 형성된 층 단독으로도 변형, 유동하지 않고 자립하여 존재할 수 있는 상태를 말한다.
또한, 위상차층 형성용 조성물에는, 도공막의 균일성 및 막의 강도의 점에서, 중합성 모노머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중합성 모노머로는, 라디칼 중합성 또는 양이온 중합성의 화합물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다작용성 라디칼 중합성 모노머가 바람직하다.
또한, 중합성 모노머로는, 전술한 중합성 액정 화합물과 공중합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성 모노머의 사용량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전체 질량에 대해, 1 질량% 이상 5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 질량% 이상 30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위상차층 형성용 조성물에는, 도공막의 균일성 및 막의 강도의 점에서, 계면 활성제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계면 활성제로는, 종래 공지된 화합물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불소계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또한, 위상차층 형성용 조성물에는, 용매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고, 유기 용매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유기 용매로는, 예컨대, 아미드(예, N,N-디메틸포름아미드), 술폭시드(예, 디메틸술폭시드), 헤테로환 화합물(예, 피리딘), 탄화수소(예, 벤젠, 헥산), 알킬할라이드(예,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에스테르(예,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케톤(예,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에테르(예, 테트라히드로푸란, 1,2-디메톡시에탄)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알킬할라이드, 케톤이 바람직하다. 또한, 2종류 이상의 유기 용매를 병용해도 좋다.
또한, 위상차층 형성용 조성물에는, 편광자 계면측 수직 배향제, 공기 계면측 수직 배향제 등의 수직 배향 촉진제, 및 편광자 계면측 수평 배향제, 공기 계면측 수평 배향제 등의 수평 배향 촉진제와 같은 각종 배향제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위상차층 형성용 조성물에는, 상기 성분 이외에도, 밀착 개량제, 가소제, 폴리머 등이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활성 에너지선은, 자외선, 가시광, 전자선, X선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자외선이다. 상기 활성 에너지선의 광원으로는, 예컨대, 저압 수은 램프, 중압 수은 램프, 고압 수은 램프, 초고압 수은 램프, 크세논 램프, 할로겐 램프, 카본 아크등, 텅스텐 램프, 갈륨 램프, 엑시머 레이저, 파장 범위 380∼440 ㎚를 발광하는 LED 광원, 케미컬 램프, 블랙라이트 램프, 마이크로웨이브 여기 수은등, 메탈 할라이드 램프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의 조사 강도는, 통상, 자외선 B파(파장 영역 280 ㎚ 이상 310 ㎚ 이하)의 경우, 100 ㎽/㎠ 이상 3,000 ㎽/㎠ 이하이다. 자외선 조사 강도는, 바람직하게는 양이온 중합 개시제 또는 라디칼 중합 개시제의 활성화에 유효한 파장 영역에서의 강도이다. 자외선을 조사하는 시간은, 통상 0.1초 이상 10분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0.1초 이상 5분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1초 이상 3분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1초 이상 1분 이하이다.
자외선은, 1회 또는 복수회로 나누어 조사할 수 있다. 사용하는 중합 개시제에 따라서도 달라지지만, 파장 365 ㎚에서의 적산 광량은, 700 mJ/㎠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100 mJ/㎠ 이상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300 mJ/㎠ 이상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적산 광량으로 하는 것은, 액정 경화층을 구성하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중합률을 높이고, 내열성을 향상시키는 데 유리하다. 파장 365 ㎚에서의 적산 광량은, 2,000 mJ/㎠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800 mJ/㎠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적산 광량으로 하는 것은, 액정 경화층의 착색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액정 경화층의 두께는, 예컨대 0.5 ㎛ 이상 5 ㎛ 이하이다. 액정 경화층의 두께가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충분한 내구성이 얻어짐과 더불어 폴더블 편광판(10)의 박층화에 공헌할 수 있다. 액정 경화층의 두께는, λ/4층, λ/2층 또는 포지티브 C층의 원하는 면내 위상차치 및 두께 방향의 위상차치가 얻어지도록 조정될 수 있다.
위상차층(105) 중에는, 각각 별도의 상이한 위상차 특성을 갖는 복수의 위상차층이 적층된 것이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각각의 위상차층은, 접착제를 이용하여 적층해도 좋고, 이미 형성된 위상차층의 표면에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도공하여 경화시켜도 좋다.
[기재]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층은 예컨대, 기재에 형성된 배향층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기재는, 배향층을 지지하는 기능을 갖고, 장척으로 형성되어 있는 기재여도 좋다. 이 기재는, 이형성 지지체로서 기능하고, 전사용의 액정 경화층이나 배향층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그 표면이 박리 가능할 정도의 접착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로는, 투광성을 갖는, 바람직하게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들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 필름으로는, 전술한 편광자 보호층의 설명에서 예시한 것을 들 수 있다.
기재는, 여러 가지 블로킹 방지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좋다. 블로킹 방지 처리로는, 예컨대, 접착 용이 처리, 필러 등을 이겨서 넣게 하는 처리, 엠보스 가공(널링 처리)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블로킹 방지 처리를 기재에 대해 실시함으로써, 기재를 권취할 때의 기재끼리의 달라붙음, 소위 블로킹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생산성이 향상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배향층]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층은, 배향층을 통해 기재 상에 형성된다. 즉, 기재, 배향층의 순서로 적층되고,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층은 상기 배향층 상에 적층된다.
또한, 배향층은, 수직 배향층에 한하지 않고,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분자축을 수평 배향시키는 배향층이어도 좋고,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분자축을 경사 배향시키는 배향층이어도 좋다. 배향층으로는, 후술하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도공 등에 의해 용해되지 않는 용매 내성을 갖고, 또한, 용매의 제거나 액정 화합물의 배향을 위한 가열 처리에서의 내열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향층으로는, 배향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배향층, 광배향막 및 표면에 요철 패턴이나 복수의 홈을 형성하여 배향시키는 그루브 배향층을 들 수 있다. 배향층의 두께는, 통상 10 ㎚ 이상 10000 ㎚ 이하의 범위이다.
또한, 배향층은 액정 경화층을 지지하는 기능을 가지며, 이형성 지지체로서 기능해도 좋다. 전사용의 액정 경화층을 지지할 수 있고, 또한 그 표면이 박리 가능할 정도의 접착력을 갖는 것이어도 좋다.
배향층에 이용하는 수지로는, 중합성 화합물이 중합한 수지가 이용된다. 중합성 화합물은 중합성 기를 갖는 화합물이며, 통상은, 액정 상태가 되지 않는 비액정성의 중합성 비액정성 화합물이다. 중합성 화합물의 중합성 기끼리 반응하여 중합성 화합물이 중합함으로써 수지가 된다. 이러한 수지로는, 액정 경화층의 형성 단계에서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배향시키기 위한 배향층으로서 이용하고, 액정 경화층에 포함되지 않는 것이라면, 공지된 배향층의 재료로서 이용되는 수지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종래 공지된 단작용 또는 다작용의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를 중합 개시제 하에서 경화시킨 경화물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로는, 예컨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 2-에틸헥실에테르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페닐에테르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모노페닐에테르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라우릴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타크릴레이트, 2-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벤질아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메타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벤질메타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 메타크릴산, 우레탄아크릴레이트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수지로는, 이들의 1종류여도 좋고, 2종류 이상의 혼합물이어도 좋다.
배향층은, 위상차층을 형성한 후, 직선 편광층 등과 적층시키는 공정의 전후에 있어서, 기재와 함께 박리 제거할 수 있다.
또한, 기재와의 박리성 향상 및 액정 경화층에 막강도를 부여할 목적으로, 액정 경화층에 배향층을 포함시킬 수 있다. 액정 경화층이 배향층을 포함하는 경우, 배향층에 이용하는 수지로서 단작용이나 2작용의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이미드계 모노머 혹은 비닐에테르계 모노머를 경화시킨 경화물 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작용의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로는, 탄소수 4 내지 16의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탄소수 2 내지 14의 β 카르복시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탄소수 2 내지 14의 알킬화페닐(메트)아크릴레이트,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페녹시폴리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이소보닐(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고,
2작용의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로는, 1,3-부탄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1,3-부탄디올(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 A의 비스(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테르; 에톡시화 비스페놀 A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폭시화 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에톡시화 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및 3-메틸펜탄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미드계 모노머를 경화시킨 이미드계 수지로는,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미드계 수지로는, 이들의 1종류여도 좋고, 2종류 이상의 혼합물이어도 좋다.
또한, 배향층을 형성하는 수지로서, 단작용이나 2작용의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이미드계 모노머 및 비닐에테르계 모노머 이외의 모노머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지만, 단작용이나 2작용의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이미드계 모노머 및 비닐에테르계 모노머의 함유 비율이, 총모노머 중에서 50 질량% 이상이어도 좋고, 55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60 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배향층이 위상차층(105)에 포함되는 경우, 배향층의 두께는 통상 10 nm 이상 10000 nm 이하의 범위이며, 위상차층(105)의 배향성이 필름면에 대하여 면내 배향인 경우, 배향층의 두께는, 10 nm 이상 1000 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위상차층(105)의 배향성이 필름면에 대하여 수직 배향인 경우는, 100 nm 이상 10000 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배향층의 두께가 상기 범위 내이면, 기재의 박리성 향상 및 적당한 막강도를 부여할 수 있다.
[그 밖의 층]
폴더블 편광판(10)은, 예컨대 점착층 및 프로텍트 필름의 적어도 하나를 더 갖고 있어도 좋다.
[점착층]
폴더블 편광판(10)은, 위상차층(105)측의 최외면에 점착층이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점착층은, 폴더블 편광판(10)에 터치 센서 패널이나 화상 표시 소자 등의 표시 모듈을 접합하기 위한 층일 수 있다. 점착층은 통상 점착제로 구성될 수 있다. 점착제로는, 종래 공지의 점착제를 특별히 제한없이 이용할 수 있고, 아크릴계 폴리머, 우레탄계 폴리머, 실리콘계 폴리머, 폴리비닐에테르계 폴리머 등의 베이스 폴리머를 갖는 점착제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점착제, 열경화형 점착제 등이어도 좋다.
[프로텍트 필름]
폴더블 편광판(10)은, 그 표면, 전형적으로는 경화 수지층(100)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한 프로텍트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텍트 필름은, 폴더블 편광판(10)의 최외면에 배치될 수 있다. 프로텍트 필름은, 예컨대 화상 표시 소자나 다른 광학부재에 편광판이 접합된 후, 그것이 갖는 점착제층마다 박리 제거된다.
프로텍트 필름은, 예컨대, 기재 필름과 그 위에 적층되는 점착제층으로 구성된다. 점착제층에 대해서는 전술한 접합층에 대한 설명이 적용된다. 기재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는, 예컨대, 폴리에틸렌과 같은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와 같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이다.
프로텍트 필름의 두께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20 ㎛ 이상 200 ㎛ 이하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의 두께가 20 ㎛ 이상이면, 폴더블 편광판(10)에 강도가 부여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폴더블 편광판의 층구성]
도 3은, 폴더블 편광판의 층구성의 별도의 예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되는 폴더블 편광판(20)은, 편광자 보호층(100)과, 경화 수지층(101)과, 제1 접착제층(102)과, 직선 편광층(103)과, 접합층(104)과, 위상차층(160)을 이 순으로 구비한다. 위상차층(160)은, 제1 액정 경화층(161)과, 제2 접착제층(162)과, 제2 액정 경화층(163)을 구비한다. 경화 수지층(101), 제1 접착제층(102), 제1 액정 경화층(161), 제2 접착제층(162) 및 제2 액정 경화층(163)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박막 경화층일 수 있다.
도 4는, 폴더블 편광판의 층구성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되는 폴더블 편광판(30)은, 프로텍트 필름(180)과, 편광자 보호층(100)과, 경화 수지층(101)과, 제1 접착제층(102)과, 직선 편광층(103)과, 접합층(104)과, 위상차층(160)을 이 순으로 구비한다. 위상차층(160)은, 제1 액정 경화층(161)과, 제2 접착제층(162)과, 제2 액정 경화층(163)을 구비한다. 경화 수지층(101), 제1 접착제층(102), 제1 액정 경화층(161), 제2 접착제층(162) 및 제2 액정 경화층(163)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박막 경화층일 수 있다.
도 5는, 폴더블 편광판의 층구성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되는 폴더블 편광판(40)은, 편광자 보호층(100)과, 경화 수지층(101)과, 제1 접착제층(102)과, 직선 편광층(103)과, 접합층(104)와, 위상차층(160)과, 점착층(170)을 이 순으로 구비한다. 위상차층(160)은, 제1 액정 경화층(161)과, 제2 접착제층(162)과, 제2 액정 경화층(163)을 구비한다. 경화 수지층(101), 제1 접착제층(102), 제1 액정 경화층(161), 제2 접착제층(162) 및 제2 액정 경화층(163)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박막 경화층일 수 있다.
[제2 양태]
제2 양태에 따른 폴더블 편광판은, 직선 편광층과 위상차층이 적층되고, 두께가 5 ㎛ 이하인 박막 경화층을 포함하고, 박막 경화층은, 폴더블 편광판의 두께를 100%로 했을 때, 폴더블 편광판의 직선 편광층을 기준으로 하여 위상차층측의 최외면으로부터 두께 방향에 있어서 0% 이상 90% 이내의 범위에만 존재하는 폴더블 편광판이다. 폴더블 편광판의 형상, 치수, 두께 및 용도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제1 양태에서의 설명이 적용된다.
도 6에 도시하는 폴더블 편광판(5)은, 직선 편광층(6)과 위상차층(7)을 구비한다. 직선 편광층(6) 및 위상차층(7)의 설명에 대해서는 전술한 제1 양태에서의 설명이 적용된다.
폴더블 편광판(5)은, 직선 편광층(6)을 기준으로 위상차층(7)측을 내측으로 하여 굴곡시킬 수 있다. 폴더블 편광판(5)은, 직선 편광층(6)을 기준으로 위상차층(7)측을 내측으로 하여 굴곡축을 따라 내면의 굴곡 반경이 1.5 mm이 되도록 반복 굴곡시켰을 때, 그 굴곡 횟수가 바람직하게는, 5만회라 하더라도 크랙이 생기지 않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만회라 하더라도 크랙이 생기지 않는다.
[박막 경화층]
폴더블 편광판(5)은, 도 6 중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두께가 5 ㎛ 이하인 박막 경화층을 포함한다. 박막 경화층은, 경화성 수지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층일 수 있다. 박막 경화층의 종류, 두께 및 마르텐스 경도의 예시 및 바람직한 범위는, 전술한 제1 양태에서의 설명이 적용된다.
박막 경화층은, 폴더블 편광판(5)의 두께를 100%로 했을 때, 폴더블 편광판(5)의 직선 편광층(6)을 기준으로 하여 위상차층(7)측의 최외면으로부터 두께 방향에 있어서 0% 이상 90% 이내의 범위(T2)에만 존재한다. 박막 경화층이 범위(T2) 내에만 존재함으로써, 폴더블 편광판(5)을 직선 편광층(6)을 기준으로 위상차층(7)측을 내측으로 하여 반복 굴곡시킨 경우에도, 깨어짐이나 크랙이 발생하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박막 경화층은, 폴더블 편광판(5)의 두께를 100%로 했을 때, 폴더블 편광판(5)의 직선 편광층(6)을 기준으로 하여 위상차층(7)측의 최외면으로부터 두께 방향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0% 이상 90% 이내의 범위에만 존재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 이상 75% 이내의 범위에만 존재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 이상 60% 이내의 범위에만 존재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른 폴더블 편광판의 층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되는 폴더블 편광판(50)은, 편광자 보호층(200)과, 경화 수지층(201)과, 접착제층(202)과, 직선 편광층(203)과, 접합층(204)과, 액정 경화층(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는 위상차층(205)을 이 순으로 구비한다. 경화 수지층(201), 접착제층(202), 액정 경화층의 적어도 하나는 박막 경화층일 수 있다.
폴더블 편광판(50)은, 전술한 층 이외의 다른 층을 더 포함해도 좋다. 다른 층으로는, 예컨대 프로텍트 필름, 점착층 등을 들 수 있다. 제2 양태에서의 편광자 보호층(200), 경화 수지층(201), 접착제층(202), 직선 편광층(203), 접합층(204), 위상차층(205), 프로텍트 필름 및 점착층에 대해, 전술한 제1 양태에서의 설명이 적용된다.
[폴더블 편광판의 제조 방법]
폴더블 편광판이 편광자 보호층과 위상차층을 포함하고, 박막 경화층으로서 경화 수지층을 구비하는 경우, 폴더블 편광판은, 예컨대 경화 수지층을 구비하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인 편광자 보호층과 직선 편광층을 접착제층을 통해 접합하고, 이어서 직선 편광층의 박막 경화층측과는 반대측에 접합층을 통해 위상차층을 접합하는 접합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접합 공정에 있어서, 접합층을 통해 층끼리 접합하는 경우에는, 밀착성을 높이기 위해, 접합면의 한쪽 또는 양쪽에 대하여, 예컨대 코로나 처리 등의 표면 활성화 처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화 수지층, 직선 편광층 및 위상차층은 각각 전술한 바와 같이 제조할 수 있다.
접합층은 점착 시트로서 준비할 수 있다. 점착 시트는, 예컨대 톨루엔이나 아세트산에틸 등의 유기 용제에 점착제 조성물을 용해 또는 분산시켜 점착제액을 조제하고, 이것을 이형 처리가 실시된 박리 필름 상에 점착제를 포함하는 층을 시트형으로 형성해 두고, 그 접합층 상에 또 다른 박리 필름을 접합하는 방식 등에 의해 제작할 수 있다. 한쪽의 박리 필름을 박리한 점착 시트를 한쪽의 층에 접합하고, 이어서 다른쪽의 박리 필름을 박리하고, 다른쪽의 층을 접합하는 방법에 의해 각 층을 접합할 수 있다.
점착제액을 박리 필름 상에 도공하는 방법으로는, 다이 코터, 콤마 코터, 리버스 롤 코터, 그라비아 코터, 로드 코터, 와이어 바 코터, 닥터 블레이드 코터, 에어 닥터 코터 등을 이용한 통상의 코팅 기술을 채용하면 된다.
박리 필름은, 플라스틱 필름과 박리층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라스틱 필름으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및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필름 등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이나, 폴리프로필렌 필름 등의 폴리올레핀 필름을 들 수 있다. 또한, 박리층은, 예컨대 박리층 형성용 조성물로 형성할 수 있다. 박리층 형성용 조성물을 구성하는 주요 성분(수지)으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실리콘 수지, 알키드 수지, 아크릴 수지 및 장쇄 알킬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화상 표시 장치>
본 발명의 폴더블 편광판은 화상 표시 장치에 이용할 수 있다. 화상 표시 장치란, 화상 표시 패널을 갖는 장치이며, 발광원으로서 발광 소자 또는 발광 장치를 포함한다. 화상 표시 장치로는, 예컨대 액정 표시 장치,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EL) 표시 장치, 무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EL) 표시 장치, 터치 패널 표시 장치 등을 들 수 있다. 폴더블 편광판은, 화상 표시 패널의 시인측에 배치될 수 있다. 폴더블 편광판은, 예컨대 점착층을 통해 화상 표시 장치 상에 적층할 수 있다. 화상 표시 장치는 폴더블 화상 표시 장치일 수 있다.
<폴더블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
폴더블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는, 폴더블 편광판의 시인측에 전면판과, 폴더블 편광판의 전면판과는 반대측에 후술하는 터치 패널을 구비하는 폴더블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일 수 있다. 폴더블 화상 표시 장치는, 폴더블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와, 유기 EL 표시 패널을 포함하고, 유기 EL 표시 패널에 대하여 시인측에 폴더블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가 배치되고, 절곡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폴더블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로는, 폴더블 편광판과, 전면판 및 터치 패널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고, 이들의 적층순은 임의이지만, 시인측으로부터 전면판(윈도우), 폴더블 편광판, 터치 패널, 또는 전면판, 터치 패널, 폴더블 편광판의 순으로 적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터치 패널의 시인측에 폴더블 편광판이 존재하면, 터치 패널의 패턴이 시인되기 어려워지고 표시 화상의 시인성이 좋아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각각의 부재는 접착제 또는 점착제 등을 이용하여 적층할 수 있다. 또한, 전면판, 폴더블 편광판 및 터치 패널의 어느 하나의 층의 적어도 한면에 형성된 차광 패턴을 구비할 수 있다.
[전면판]
폴더블 편광판의 시인측에는 전면판을 배치해도 좋다. 전면판은, 점착제층을 통해 폴더블 편광판에 적층할 수 있다. 점착제층으로는, 예컨대 전술한 점착층을 들 수 있다.
전면판으로는, 유리, 수지 필름의 적어도 한면에 하드코트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 등을 들 수 있다. 유리로는, 예컨대, 고투과 유리나 강화 유리를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얇은 투명면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화학 강화를 한 유리가 바람직하다. 유리의 두께는, 예컨대 20 ㎛ 이상 5 mm 이하로 할 수 있다.
수지 필름의 적어도 한면에 하드코트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전면판은, 기존의 유리와 같이 경직하지 않고, 폴더블일 수 있다. 하드코트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5 ㎛ 이상 100 ㎛ 이하이어도 좋다.
수지 필름으로는, 노르보르넨 또는 다환 노르보르넨계 단량체와 같은 시클로올레핀을 포함하는 단량체의 단위를 갖는 시클로올레핀계 유도체, 셀룰로오스(디아세틸셀룰로오스,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아세틸셀룰로오스부틸레이트, 이소부틸에스테르셀룰로오스, 프로피오닐셀룰로오스, 부티릴셀룰로오스, 아세틸프로피오닐셀룰로오스)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폴리시클로올레핀, 폴리에스테르, 폴리스티렌, 폴리아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아크릴,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술폰,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펜텐,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아세탈,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술폰,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에폭시 등의 고분자로 형성된 필름이어도 좋다. 수지 필름은, 미연신, 1축 또는 2축 연신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의 고분자는 각각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수지 필름으로서는, 투명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아미드이미드 필름 또는 폴리이미드 필름, 1축 또는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투명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고, 필름의 대형화에 대응할 수 있는 시클로올레핀계 유도체 필름,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필름 및 투명성과 광학적으로 이방성이 없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및 이소부틸에스테르셀룰로오스 필름이 바람직하다. 수지 필름의 두께는 5 ㎛ 이상 200 ㎛ 이하, 바람직하게는 20 ㎛ 이상 100 ㎛ 이하이어도 좋다.
[차광 패턴]
차광 패턴(베젤)은, 전면판에서의 표시 소자측에 형성할 수 있다. 차광 패턴은, 표시 장치의 각 배선을 숨겨 사용자에게 시인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차광 패턴의 색 및/또는 재질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고, 흑색, 백색, 금색 등의 다양한 색을 갖는 수지 물질로 형성할 수 있다.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차광 패턴의 두께는 2 ㎛ 이상 50 ㎛ 이하여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4 ㎛ 이상 30 ㎛ 이하여도 좋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6 ㎛ 이상 15 ㎛ 이하의 범위여도 좋다. 또한, 차광 패턴과 표시부 사이의 단차에 의한 기포 혼입 및 경계부의 시인을 억제하기 위해, 차광 패턴에 형상을 부여할 수 있다.
[터치 패널]
터치 패널은 입력 수단으로서 이용된다. 터치 패널이 갖는 터치 센서로는, 저항막 방식, 표면 탄성파 방식, 적외선 방식, 전자 유도 방식, 정전 용량 방식 등 여러 가지 양식이 제안되어 있고, 어느 방식이어도 상관없다. 그 중에서도 정전 용량 방식이 바람직하다. 정전 용량 방식 터치 센서의 활성 영역 및 상기 활성 영역의 외곽부에 위치하는 비활성 영역으로 구분된다. 활성 영역은 표시 패널에서 화면이 표시되는 영역(표시부)에 대응하는 영역이며, 사용자의 터치가 감지되는 영역이고, 비활성 영역은 표시 장치에서 화면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비표시부)에 대응하는 영역이다. 터치 패널은 폴더블한 특성을 갖는 기판과; 상기 기판의 활성 영역에 형성된 감지 패턴과; 상기 기판의 비활성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감지 패턴과 패드부를 통해 외부의 구동 회로와 접속하기 위한 각 센싱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폴더블한 특성을 갖는 기판으로는, 전면판의 투명 기판과 동일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폴더블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의 층구성에 대해, 도 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8에 도시하는 폴더블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60)는, 폴더블 편광판(40)과, 폴더블 편광판(40)의 시인측에 점착제층(122)을 통해 전면판(121)과, 폴더블 편광판(40)의 시인측과는 반대측에 점착제층(170)을 통해 터치 패널(123)을 구비한다. 폴더블 편광판(40)은, 편광자 보호층(100)과, 경화 수지층(101)과, 제1 접착제층(102)과, 직선 편광층(103)과, 접합층(104)과, 위상차층(160)과, 점착층(170)을 이 순으로 구비한다. 위상차층(160)은, 제1 액정 경화층(161)과, 제2 접착제층(162)과, 제2 액정 경화층(163)을 구비한다. 경화 수지층(101), 제1 접착제층(102), 제1 액정 경화층(161), 제2 접착제층(162) 및 제2 액정 경화층(163)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박막 경화층일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예 중의 「%」 및 「부」는, 특별한 기재가 없는 한 질량% 및 질량부이다.
[층의 두께]
접촉식 막두께 측정 장치(주식회사 니콘 제조 「MH-15M」)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내굴곡성]
내굴곡성의 평가 방법에 대해 도 9를 참조하면서 이하에 설명한다. 제작한 폴더블 편광판을, 장변이 직선 편광자의 흡수축 방향이 되도록, 단변 10 mm×장변 100 mm의 사이즈로 수퍼커터를 이용하여 재단하여 시험편(300)으로 했다. 시험편(300)(위상차층측에 TAC 필름이 배치되어 있는 경우, TAC 필름을 박리 제거한 시험편)의 직선 편광자측의 면이 내굴곡성 시험기의 2장의 플레이트 지그(301, 302)에 접하도록 하여 단변측을 고정했다(도 9a). 고정에는 캡톤 필름 테이프(도레이·듀퐁 제조)(303)를 이용하여, 시험편의 양끝을 장변 방향으로 10 mm씩 각각 고정하고, 2장의 플레이트 지그(301, 302)의 지그간 거리(L1)가 53 mm이 되도록 고정했다. 이어서 시험편의 굴곡 반경 R=1.5 mm로 했을 때, 2장의 플레이트 지그(301, 302)를 각각 화살표 A1, A2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지그간 거리(L2)가 2R이 되도록 연속하여 변화시키고, 고정한 시험편을 직선 편광자의 흡수축 방향이 굴곡축에 직교하도록 굴곡시켰다(도 9b). 굴곡 속도는 60 rpm으로 행하여, 필름에 크랙, 깨어짐이 발생하기까지의 굴곡 횟수를 측정했다.
[마르텐스 경도]
마르텐스 경도는, 초미소 경도 시험기(FISCHERSCOPE HM2000 : (주)피셔 인스트루먼츠 제조)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층의 단일막(401)(액정 경화층은 지지층이 없는 상태의 것)을 소다 글래스(402) 상에 정전기를 이용하여 흡착시키고, 온도 23℃에서 각 층의 마르텐스 경도를 측정했다. 비커스 압자(403)를 사용하고, 화살표 A3 방향의 압입 깊이는 0.2 ㎛이고, ISO14577에 준거한 인덴테이션 측정에 의한 각 부재 n=3의 평균치를 마르텐스 경도로서 구했다.
<실시예 1>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에 요오드가 흡착 배향한 직선 편광자(PVA, 두께 8 ㎛)의 양측에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필름과 아크릴 수지계 필름을 물을 통해 접합하고 건조시키는 것에 의해, TAC 필름/PVA/아크릴 수지계 필름의 층구성을 갖는 양 박리지 PVA를 제작했다. 양 박리지 PVA의 아크릴 수지계 필름측을 박리하고,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서의 자외선 흡수제 함유 하드코트(HC)층(두께 3 ㎛, 마르텐스 경도 266.843 N/㎟)을 갖는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COP) 필름(두께 22 ㎛)의 하드코트층측을 수계 접착제로 이루어진 접착제층(두께 0.1 ㎛, 마르텐스 경도 522.611 N/㎟)을 통해 접합하고, 오븐 내에서 건조시켰다. 접합면에는 코로나 처리(780 W×1 pass)를 했다.
이어서, 얻어진 COP 필름/자외선 흡수제 함유 HC층/접착제층/PVA/TAC 필름의 층구성을 갖는 직선 편광판의 TAC 필름을 박리하고, PVA면에 코로나 처리를 했다. 거기에, 세퍼레이트 필름이 부착된 점착제층(두께 5 ㎛)을 접합했다.
TAC 필름에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도포하여 경화시킨 λ/2판(두께 2 ㎛, 마르텐스 경도 239.038 N/㎟)과 λ/4판(두께 1 ㎛, 마르텐스 경도 214.012 N/㎟)의 액정면끼리를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로 이루어진 접착제층(두께 2 ㎛, 마르텐스 경도 175.665 N/㎟)으로 접합한 위상차층 적층체를 제작했다.
직선 편광판에 접합한 점착제층의 세퍼레이트 필름을 박리하고, 위상차층 적층체의 λ/2판측의 TAC 필름을 박리 후, 액정면에만 코로나 처리를 행하여, 점착제층과 접합했다. COP 필름/자외선 흡수제 함유 HC층/접착제층/PVA/점착제층/λ/2판/접착제층/λ/4판/TAC 필름의 층구성을 갖는 폴더블 편광판(TAC 필름을 제외한 두께 43.1 ㎛)를 얻었다. 내굴곡성의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얻어진 폴더블 편광판에 있어서, 하드코트층, 수계 접착제로 이루어진 접착제층, λ/2판,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로 이루어진 접착제층 및 λ/4판이 박막 경화층이며, 표시 모듈측은 TAC 필름측이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 자외선 흡수제 함유 하드코트(HC)층(두께 3 ㎛, 마르텐스 경도 266.843 N/㎟)을 이용한 것 대신에 하드코트(HC)층(자외선 흡수제 없음, 두께 2 ㎛, 마르텐스 경도 280.775 N/㎟)을 이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COP 필름/HC층/접착제층/PVA/점착제층/λ/2판/접착제층/λ/4판/TAC 필름의 층구성을 갖는 폴더블 편광판(TAC 필름을 제외한 두께 42.1 ㎛)을 얻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 있어서 자외선 흡수제 함유 하드코트(HC)층(두께 3 ㎛, 마르텐스 경도 266.843 N/㎟)를 이용한 것 대신에 하드코트(HC)층(자외선 흡수제 없음, 두께 2 ㎛, 마르텐스 경도 280.775 N/㎟)을 이용한 것, 및 폴더블 편광판으로부터 TAC 필름을 박리하여 λ/4판측의 면에 점착제로 이루어진 점착층(두께 15 ㎛)을 접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COP 필름/HC층/접착제층/PVA/점착제층/λ/2판/접착제층/λ/4판/점착층의 층구성을 갖는 폴더블 편광판(점착층을 포함하는 두께 57.1 ㎛)을 얻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 있어서 편광자 보호 필름의 자외선 흡수제 함유 하드코트(HC)층측에 접착제층을 통해 PVA를 접합한 것 대신에 편광자 보호 필름의 COP 필름측에 접착제층을 통해 PVA를 접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자외선 흡수제 함유 HC층/COP 필름/접착제층/PVA/점착제층/λ/2판/접착제층/λ/4판/TAC 필름의 층구성을 갖는 폴더블 편광판을 얻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2>
실시예 2에 있어서 편광자 보호 필름의 하드코트(HC)층측에 접착제층을 통해 PVA를 접합한 것 대신에 편광자 보호 필름의 COP 필름측에 접착제층을 통해 PVA를 접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HC층/COP 필름/접착제층/PVA/점착제층/λ/2판/접착제층/λ/4판/TAC 필름의 층구성을 갖는 폴더블 편광판을 얻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3>
실시예 3에 있어서 편광자 보호 필름의 하드코트(HC)층측에 접착제층을 통해 PVA를 접합한 것 대신에 편광자 보호 필름의 COP 필름측에 접착제층을 통해 PVA를 접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HC층/COP 필름/접착제층/PVA/점착제층/λ/2판/접착제층/λ/4판/점착층의 층구성을 갖는 폴더블 편광판을 얻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1, 5, 10, 20, 30, 40, 50 : 폴더블 편광판, 2 : 윈도우 유닛, 3, 122 : 점착제층, 4 : 표시 모듈, 100, 200 : 편광자 보호층, 101, 201 : 경화 수지층, 102, 202 : 제1 접착제층, 6, 103, 203 : 직선 편광층, 104, 204 : 접합층, 7, 105, 160, 205 : 위상차층, 121 : 전면판, 123 : 터치 패널, 161 : 제1 액정 경화층, 162 : 제2 접착제층, 163 : 제2 액정 경화층, 170 : 점착층, 180 : 프로텍트 필름, 300 : 시험편, 301, 302 : 플레이트 지그, 303 : 캡톤 필름 테이프, 401 : 단일막, 402 : 소다 글래스, 403 : 비커스 압자, L1, L2 : 지그간 거리, T1, T2 : 범위

Claims (5)

  1. 윈도우 유닛에 인접하여 적층된 점착제층과, 표시 모듈과의 사이에 배치되는 폴더블 편광판으로서,
    두께가 5 ㎛ 이하인 박막 경화층을 포함하고,
    상기 박막 경화층은, 상기 폴더블 편광판의 두께를 100%로 했을 때, 상기 폴더블 편광판의 상기 표시 모듈측의 최외면으로부터 상기 두께 방향에 있어서 0% 이상 90% 이내의 범위에만 존재하는 폴더블 편광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경화층의 23℃에서의 마르텐스 경도는 150 N/㎟ 이상 800 N/㎟ 이하인 폴더블 편광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두께가 20 ㎛ 이상 150 ㎛ 이하인 폴더블 편광판.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폴더블 편광판을 구비하는 화상 표시 장치.
  5. 직선 편광층과 위상차층이 적층된 폴더블 편광판으로서,
    두께가 5 ㎛ 이하인 박막 경화층을 포함하고,
    상기 박막 경화층은, 상기 폴더블 편광판의 두께를 100%로 했을 때, 상기 폴더블 편광판의 상기 직선 편광층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위상차층측의 최외면으로부터 상기 두께 방향에 있어서 0% 이상 90% 이내의 범위에만 존재하는 폴더블 편광판.
KR1020237019919A 2020-12-14 2021-10-15 폴더블 편광판 KR2023011682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206893A JP2022094078A (ja) 2020-12-14 2020-12-14 フォルダブル偏光板
JPJP-P-2020-206893 2020-12-14
PCT/JP2021/038216 WO2022130766A1 (ja) 2020-12-14 2021-10-15 フォルダブル偏光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6822A true KR20230116822A (ko) 2023-08-04

Family

ID=82059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9919A KR20230116822A (ko) 2020-12-14 2021-10-15 폴더블 편광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22094078A (ko)
KR (1) KR20230116822A (ko)
CN (1) CN116670742A (ko)
TW (1) TW202225748A (ko)
WO (1) WO20221307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841074A (zh) * 2023-06-15 2023-10-03 成都瑞波科材料科技有限公司 曲面液晶光学膜、光学膜制备方法以及液晶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16860B2 (en) * 2013-12-20 2016-04-19 Apple Inc. Electronic device display with damage-resistant polarizer
CN111948742B (zh) * 2015-11-20 2023-04-28 日东电工株式会社 光学层叠体及使用了该光学层叠体的有机电致发光显示装置
JP6495525B1 (ja) * 2018-05-08 2019-04-03 住友化学株式会社 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198683B2 (ja) * 2018-07-25 2023-01-04 住友化学株式会社 積層体
JP2020140010A (ja) * 2019-02-27 2020-09-03 住友化学株式会社 積層体及び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225748A (zh) 2022-07-01
WO2022130766A1 (ja) 2022-06-23
CN116670742A (zh) 2023-08-29
JP2022094078A (ja) 2022-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5715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2642673B1 (ko) 적층체
JP2020101815A (ja) 偏光板セット
JP2022173305A (ja) 円偏光板
JP2016142942A (ja) 偏光板、液晶パネル及び液晶表示装置
JP7263804B2 (ja) 積層フィルム
KR20200080174A (ko) 적층체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571905B1 (ko) 편광판의 셋트 및 액정 패널
KR20230116822A (ko) 폴더블 편광판
JP2023126676A (ja) 偏光板
JP6775551B2 (ja) 偏光板のセットおよび液晶パネル
CN109313306B (zh) 偏振板组件
CN110221375B (zh) 层叠膜
KR102605997B1 (ko) 편광판의 세트 및 액정 패널
JP6455545B2 (ja) 偏光板のセット
WO2022137922A1 (ja) 表面保護フィルム付き積層体の製造方法及び積層体
JP2019148826A (ja) 偏光板のセットおよび液晶パネル
JP2022096970A (ja) 積層体
JP7374744B2 (ja) 円偏光板
CN110398800B (zh) 层叠体
KR20230118957A (ko) 편광판 세트 및 액정 패널
JP2023068427A (ja) 偏光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8034081A1 (ja) 偏光板のセット
JP2020197730A (ja) 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CN110780373A (zh) 圆偏振板及显示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