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6167A - 안전구역 알림 시스템 - Google Patents

안전구역 알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6167A
KR20230116167A KR1020220012770A KR20220012770A KR20230116167A KR 20230116167 A KR20230116167 A KR 20230116167A KR 1020220012770 A KR1020220012770 A KR 1020220012770A KR 20220012770 A KR20220012770 A KR 20220012770A KR 20230116167 A KR20230116167 A KR 202301161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vehicle
illuminance sensor
notification system
pedestri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2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정국
김동현
강동현
김동우
Original Assignee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12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6167A/ko
Publication of KR20230116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616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0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cluding pedestrian guidance indicato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35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47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illuminate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구역 알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어린이 보호구역에서 운전자 및 보행자가 서로의 위치를 시각 및 청각을 통해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구역 알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어린이 보호구역 내에서 차량 및 보행자에게 위험 신호를 전달하는 안전구역 알림 시스템에 있어서, 차도의 중앙선에서 소정의 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주행 차량을 감지하는 조도센서; 상기 조도센서의 일측에 구비되어 점멸 가능한 차도LED; 상기 차도와 인도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조도센서가 주행 차량을 감지하면 녹색에서 적색으로 점등 가능한 바닥LED; 상기 바닥LED의 일측에 구비되는 스피커; 및 상기 차도와 인도 사이에 구비되고 인도에서 이탈하는 보행자를 감지하는 적외선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조도센서가 주행 차량을 감지하면 현재 차량의 위치에서 2초뒤의 차량 위치에 해당되는 바닥LED를 녹색에서 적색으로 점등하고, 상기 적색으로 점등되는 바닥LED의 일측에 구비된 스피커에서 알람음이 출력되며, 상기 적외선센서에서 보행자가 감지되면, 감지된 위치에 해당되는 상기 차도LED가 점등되고 소정의 시간이 지나면 소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구역 알림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안전구역 알림 시스템{Safe zone notif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안전구역 알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어린이 보호구역에서 운전자 및 보행자가 시각 및 청각을 통해 서로의 위치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구역 알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학교 앞 도로와 같이 어린이들이 자주 지나다니는 곳은 어린이 보호구역으로 지정이 되어 차량의 주행속도를 30k/m로 제한하고 있다. 이렇게 어린이 보호구역 내에서 어린이와 주행 차량과의 교통사고가 감소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으나, 제한속도를 지키지 않는 차량 및 주의력이 낮아 달려오는 차량을 인지하지 못하고 도로로 뛰어나가는 어린이와의 교통사고가 계속해서 발생하고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2134757호에는, 스쿨존 단속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관제센터; 레이저와 카메라 촬영에 기반한 단속을 수행하되, 카메라는 스쿨존 내의 통행 차량을 단속하는 도로감시 CAM과, 스쿨존 내의 이면도로에 불법 주정차된 차량을 단속하는 단속 CAM을 포함하는 카메라(CAM); 상기 관제센터와 통신하여, 스쿨존을 통행하는 차량정보를 음성 또는 영상으로 출력하는 인포메이터; 상기 관제센터를 통해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관제센터와 정보를 공유하는 유관기관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CAM)는, 스쿨존 내의 차량 검지를 수행하되, 카메라(CAM)를 통해 촬영된 영상에서 다중 검지를 수행하여 차량검지율을 향상시키고, 상기 관제센터는, 카메라(CAM), 인포메이터 및 유관기관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카메라(CAM)로부터 촬영된 영상정보를 수신하는 영상정보수신부; 수신된 영상정보를 유관기관서버로 전송하는 영상정보전송부; 차량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차량정보DB; 단속이 제외되는 지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단속제외지점DB; 상기 영상정보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영상정보를 기반으로 소정의 분석을 수행하는 분석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분석부는, 카메라(CAM)를 통해 수신된 영상정보 상에 차량번호트리거영역과 영상트리거영역을 분류하여 다중 검지를 수행하고, 상기 다중 검지는, 영상정보를 기반으로 1차적으로 레이저검지영역에서 차량을 검지하며, 차량 검지가 레이저검지영역에서 이루어지지 않으면 2차적으로 차량번호트리거영역에서 차량 검지를 수행하고, 차량 검지가 차량번호트리거영역에서도 수행되지 않는다면, 영상트리거영역에서 3차 차량 검지를 수행하여, 이전 회차에서 차량 검지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다음 회차에서 검지하는 방식으로 총 3회를 순차적으로 수행함으로써, 해당 영상정보 내의 차량에 대한 검지율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주행 차량의 과속을 줄일 수 있으나, 어린이의 부주의로 인해 발생하는 교통사고를 예방할 수 없어서 개선의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어린이 보호구역에 대한 안전 시스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보행자와 운전자가 시각 및 청각을 통해 서로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구역 알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 어린이 보호구역 안전 시스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어린이 보호구역 내에서 차량 및 보행자에게 위험 신호를 전달하는 안전구역 알림 시스템에 있어서, 차도의 중앙선에서 소정의 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주행 차량을 감지하는 조도센서; 상기 조도센서의 일측에 구비되어 점멸 가능한 차도LED; 상기 차도와 인도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조도센서가 주행 차량을 감지하면 녹색에서 적색으로 점등 가능한 바닥LED; 상기 바닥LED의 일측에 구비되는 스피커; 및 상기 차도와 인도 사이에 구비되고 인도에서 이탈하는 보행자를 감지하는 적외선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조도센서가 주행 차량을 감지하면 현재 차량의 위치에서 2초뒤의 차량 위치에 해당되는 바닥LED를 녹색에서 적색으로 점등하고, 상기 적색으로 점등되는 바닥LED의 일측에 구비된 스피커에서 알람음이 출력되며, 상기 적외선센서에서 보행자가 감지되면, 감지된 위치에 해당되는 상기 차도LED가 점등되고 소정의 시간이 지나면 소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구역 알림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어린이 보호구역 내에 설치되는 조도센서를 통해 차도에서 주행하는 차량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주행 차량의 위치 정보를 통해 2초뒤의 주행 차량 위치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한 주행 차량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주행 차량의 현재 위치에서 2초뒤의 주행 차량 위치 정보에 해당되는 바닥LED가 녹색에서 적색으로 점등되는 단계; 및 상기 녹색에서 적색으로 점등되는 바닥LED와 연결된 스피커에서 알람음이 출력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린이 보호구역 내에 설치되는 적외선센서를 통해 인도를 이탈하는 보행자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보행자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보행자 위치 정보에 해당되는 차도LED를 점등하는 단계; 및 소정의 시간 후 상기 점등된 차도LED를 소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보행자 및 운전자가 시각 및 청각을 통해 미리 서로의 위치를 인지할 수 있어서, 어린이 보호구역 내에서 발생하는 교통사고가 줄어들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안전구역 알림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안전구역 알림 시스템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5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안전구역 알림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 (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어린이 보호구역 내에서 차량 및 보행자에게 위험 신호를 전달하는 안전구역 알림 시스템에 있어서, 차도의 중앙선에서 소정의 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주행 차량을 감지하는 조도센서(1); 상기 조도센서(1)의 일측에 구비되어 점멸 가능한 차도LED(2); 상기 차도와 인도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조도센서(1)가 주행 차량을 감지하면 녹색에서 적색으로 점등 가능한 바닥LED(3); 상기 바닥LED(3)의 일측에 구비되는 스피커(4); 및 상기 차도와 인도 사이에 구비되고 인도에서 이탈하는 보행자를 감지하는 적외선센서(5);를 포함하고, 상기 조도센서(1)가 주행 차량을 감지하면 현재 차량의 위치에서 2초뒤의 차량 위치에 해당되는 바닥LED(3)를 녹색에서 적색으로 점등하고, 상기 적색으로 점등되는 바닥LED(3)의 일측에 구비된 스피커(4)에서 알람음이 출력되며, 상기 적외선센서(5)에서 보행자가 감지되면, 감지된 위치에 해당되는 상기 차도LED(2)가 점등되고 소정의 시간이 지나면 소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구역 알림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조도센서(1)는 차도의 중간지점에 설치하지 않고 차도 중앙선에 가깝게 설치할 수 있다. 차도의 중간지점에 상기 조도센서(1)가 설치되는 경우, 운전자가 불법 주정차로 인해 중앙차선을 이탈했을 때 차량이 조도센서(1)의 감지 범위를 벗어나게 될 우려가 있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조도센서(1)는 차도의 중간지점이 아닌 중앙선에 가깝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어린이 보호구역 내에 설치되는 조도센서(1)를 통해 차도에서 주행하는 차량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주행 차량의 위치 정보를 통해 2초뒤의 주행 차량 위치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한 주행 차량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주행 차량의 현재 위치에서 2초뒤의 주행 차량 위치 정보에 해당되는 바닥LED(3)가 녹색에서 적색으로 점등되는 단계; 및 상기 스피커(4)에서 알람음이 출력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도센서(1)가 주행 차량을 감지하면 2초뒤에 주행할 위치를 예상하고, 도 5와 같이 현재 주행하는 위치에서부터 2초뒤에 주행할 위치까지의 바닥LED(3)를 적색으로 점등할 수 있다. 아울러, 적색으로 점등된 바닥LED(3)와 인접한 곳에 설치된 스피커(4)에서 알림음이 출력되어 보행자는 차량이 지나감을 미리 예측하여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린이 보호구역 내에 설치되는 적외선센서(5)를 통해 인도를 이탈하는 보행자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보행자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보행자 위치 정보에 해당되는 차도LED(2)를 점등하는 단계; 및 소정의 시간 후 상기 점등된 차도LED(2)를 소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외선센서(5)는 차도와 인도 사이에 설치되고, 보행자가 인도를 이탈하여 차도쪽으로 지나갈 경우 적외선센서(5)가 이를 감지하여 인접한 곳에 설치된 차도LED(2)를 점등할 수 있다. 상기 적외선센서(5)에 보행자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다면 차도LED(2)는 소등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을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 조도센서
2 : 차도LED
3 : 바닥LED
4 : 스피커
5 : 적외선센서

Claims (3)

  1. 어린이 보호구역 내에서 차량 및 보행자에게 위험 신호를 전달하는 안전구역 알림 시스템에 있어서,
    차도의 중앙선에서 소정의 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주행 차량을 감지하는 조도센서;
    상기 조도센서의 일측에 구비되어 점멸 가능한 차도LED;
    상기 차도와 인도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조도센서가 주행 차량을 감지하면 녹색에서 적색으로 점등 가능한 바닥LED;
    상기 바닥LED의 일측에 구비되는 스피커; 및
    상기 차도와 인도 사이에 구비되고 인도에서 이탈하는 보행자를 감지하는 적외선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조도센서가 주행 차량을 감지하면 현재 차량의 위치에서 2초뒤의 차량 위치에 해당되는 바닥LED를 녹색에서 적색으로 점등하고, 상기 적색으로 점등되는 바닥LED의 일측에 구비된 스피커에서 알람음이 출력되며,
    상기 적외선센서에서 보행자가 감지되면, 감지된 위치에 해당되는 상기 차도LED가 점등되고 소정의 시간이 지나면 소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구역 알림 시스템.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어린이 보호구역 내에 설치되는 조도센서를 통해 차도에서 주행하는 차량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주행 차량의 위치 정보를 통해 2초뒤의 주행 차량 위치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한 주행 차량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주행 차량의 현재 위치에서 2초뒤의 주행 차량 위치 정보에 해당되는 바닥LED가 녹색에서 적색으로 점등되는 단계; 및
    상기 스피커에서 알람음이 출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구역 알림 시스템.
  3.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어린이 보호구역 내에 설치되는 적외선센서를 통해 인도를 이탈하는 보행자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보행자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보행자 위치 정보에 해당되는 차도LED를 점등하는 단계; 및
    소정의 시간 후 상기 점등된 차도LED를 소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구역 알림 시스템.
KR1020220012770A 2022-01-28 2022-01-28 안전구역 알림 시스템 KR202301161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2770A KR20230116167A (ko) 2022-01-28 2022-01-28 안전구역 알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2770A KR20230116167A (ko) 2022-01-28 2022-01-28 안전구역 알림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6167A true KR20230116167A (ko) 2023-08-04

Family

ID=87568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2770A KR20230116167A (ko) 2022-01-28 2022-01-28 안전구역 알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1616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45755B2 (en) Vehicular driving assist system with driver monitoring
KR101338124B1 (ko) 스마트 교통 제어 시스템
KR102020340B1 (ko) 라이다를 이용한 교차로 운행 및 보행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KR101554971B1 (ko) 횡단보도의 보행자안전시스템
KR100934187B1 (ko) 스쿨존 내의 횡단보도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1679304B1 (ko) 횡단보도 안내 시스템
KR20200009840A (ko) 긴급 차량과 교통 신호등 연계 시스템
JP2010015436A (ja) 車両周辺画像の切替装置
KR101917827B1 (ko) 난폭 운전 탐지 장치
KR20170077317A (ko) Aeb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KR20160067435A (ko) 횡단보도의 무단횡단 알림 시스템
CN106846791A (zh) 人行横道斑马线安全通行自动提示装置
US9865170B2 (en) System and method to increase conspicuousness of vehicles
KR102426517B1 (ko) 영상 기반의 객체 인식 및 주변 환경 감지를 통한 보행 신호 제어 장치
KR101819420B1 (ko) 졸음쉼터 진출입 알림 시스템
KR102158854B1 (ko) 스쿨존 돌발검지시스템
KR20220018780A (ko) 레이더를 이용한 보행자 도로 횡단 교통안전사고 예방 시스템
KR20230116167A (ko) 안전구역 알림 시스템
KR20210012282A (ko) 다기능 가로등 장치 및 운용방법
KR20160059340A (ko) 교차로에서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차량 및 보행자 재난 관제 시스템
KR102464003B1 (ko) 가로등을 이용한 지능형 방범 장치
KR102243845B1 (ko) 횡단보도에서의 보행자 정보 제공 장치
WO2007135488A1 (en) Detection system for detecing use of a mobile telecommunications device
KR20220097741A (ko) 좌회전 끼어들기 차량 교통 단속 시스템
JP2022032611A (ja) 駅ホームの監視システ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