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1907A - 원형톱날 연마장치 - Google Patents

원형톱날 연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1907A
KR20230111907A KR1020220007940A KR20220007940A KR20230111907A KR 20230111907 A KR20230111907 A KR 20230111907A KR 1020220007940 A KR1020220007940 A KR 1020220007940A KR 20220007940 A KR20220007940 A KR 20220007940A KR 20230111907 A KR20230111907 A KR 202301119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lar saw
mounting plate
saw blade
polishing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7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7890B1 (ko
Inventor
최웅
Original Assignee
최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웅 filed Critical 최웅
Priority to KR1020220007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7890B1/ko
Publication of KR20230111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19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7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78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00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 B24B3/36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of cutting blades
    • B24B3/46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of cutting blades of disc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7/00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 B24B27/02Bench grin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w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형톱날 연마장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원형톱날에 형성된 톱니의 외곽 부분과 측단 부분이 모두 연마될 수 있으면서 연속적으로 형성된 톱니가 하나씩 순차적으로 연삭될 수 있고, 컴팩트한 사이즈로 제작이 가능하여 휴대성을 지니도록, 케이스; 외주를 따라 연속적으로 톱니가 형성된 원형톱날이 전면(前面)에 장착되고 케이스 내에 세워지게 구비되는 장착판; 상기 케이스 내에서 장착판의 하측에 횡방향으로 제1 연마날이 구비되고 제1 연마날을 회전시켜 원형톱날의 톱니 외곽 부분을 연마하는 제1 연마모듈; 상기 케이스 내에서 장착판의 하측에 종방향으로 제2 연마날이 구비되고 제2 연마날을 회전시켜 원형톱날의 톱니 측단 부분을 연마하는 제2 연마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장착판은, 상하방향으로 반복하여 이동하며 상방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원형톱날이 하나의 톱니의 폭만큼 회전되고 최저지점에 위치될 시 제1 연마날 및 제2 연마날에 의해 톱니가 연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톱날 연마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원형톱날 연마장치{Apparatus for polishing circular saw blade}
본 발명은 원형톱날 연마장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가 가능하여 작업 형장에서 손쉽게 원형톱날을 연마할 수 있는 원형톱날 연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형톱날은, 얇은 원판 형태를 이루며 외주를 따라 톱니가 형성되고, 이를 회전시키는 장치에 장착되어 고속으로 회전됨에 따라 금속이나 목재 등과 같은 소재를 절단하게 된다.
이러한 원형톱날은, 지속적인 사용으로 인해 톱니가 마모되며, 마모된 톱니를 가진 원형톱날은 절단력이 저하되므로, 톱니를 연마하여 관리할 필요가 있는바, 원형톱날의 톱니를 연마하기 위한 장치가 등장하였다.
종래 연마장치는 자동으로 원형톱날의 톱니가 연마되기는 하나, 톱니에서 최외곽에 위치되는 부분만을 연마하여 톱니의 측단을 연마하지 못하여 절단력이 크게 향상되지 못하며, 연속적으로 형성된 톱니를 연마하기 위해서는 원형톱날을 사용자가 직접 회전시키거나 연마날의 위치를 계속적으로 변경하여야 하는 불편이 따른다.
더욱이, 종래 연마장치는 상당한 크기를 가지게끔 구성되어, 작업 현장에 휴대하기 어려운바, 작업 시간이 종료될 때까지 사용하기에 충분한 갯수의 원형톱날을 지니고 있어야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21509호 '연마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원형톱날에 형성된 톱니의 외곽 부분과 측단 부분이 모두 연마될 수 있으면서 연속적으로 형성된 톱니가 하나씩 순차적으로 연삭될 수 있고, 컴팩트한 사이즈로 제작이 가능하여 휴대성을 지닌 원형톱날 연마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원형톱날 연마장치는, 케이스; 외주를 따라 연속적으로 톱니가 형성된 원형톱날이 전면(前面)에 장착되고 케이스 내에 세워지게 구비되는 장착판; 상기 케이스 내에서 장착판의 하측에 횡방향으로 제1 연마날이 구비되고 제1 연마날을 회전시켜 원형톱날의 톱니 외곽 부분을 연마하는 제1 연마모듈; 상기 케이스 내에서 장착판의 하측에 종방향으로 제2 연마날이 구비되고 제2 연마날을 회전시켜 원형톱날의 톱니 측단 부분을 연마하는 제2 연마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장착판은, 상하방향으로 반복하여 이동하며 상방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원형톱날이 하나의 톱니의 폭만큼 회전되고 최저지점에 위치될 시 제1 연마날 및 제2 연마날에 의해 톱니가 연마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 내에서 장착판의 일측편에 상단이 좌우회동가능하게끔 축결합되고 하단이 원형톱날의 톱니 사이의 골에 삽입될 수 있으며 원형톱날을 향해 탄성력이 작용되는 회전유도구;를 더 포함하되, 상기 회전유도구는, 장착판이 상방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하단이 어느 하나의 골에 삽입된 상태를 이루면서 원형톱날을 회전시키고, 장착판이 하방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삽입되었던 골로부터 벗어나 인접한 상측의 골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 내에 마련되어 구동모터의 회전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반복 운동하면서 장착판과 연결된 연동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장착판은 케이스 내에 구비된 레일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되게 구비되되, 상기 연동모듈은, 최저지점에 위치된 장착판이 소정의 시간동안 머무르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동모듈은, 상기 케이스의 내측 상부에서 장착판의 후방 측에 마련된 구동모터의 축에 편심되게 상단부가 결합되어, 구동모터의 회전에 의해 전후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축과, 통 형태를 이루는 후단부에 이동축이 관통되고 전방을 향해 연장되어 전단이 장착판의 배면과 결합되는 버팀구와, 상기 버팀구의 후단부 상측에서 일단이 이동축에 고정되고 타단이 버팀구의 후단부 상단과 맞닿는 탄성스프링과, 상기 장착판의 후방에서 케이스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구비되고 하단에 걸림단이 형성되는 가이드봉과, 상기 장착판의 후방에 결합되고 가이드봉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구를 포함하여,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에 의해 이동축이 하방으로 이동되어 걸림단에 이동구가 맞닿으면, 버팀구는 소정의 시간동안 위치가 고정되면서 탄성스프링이 압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마모듈 및 제2 연마모듈 중 적어도 하나는, 원형톱날의 크기에 따라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장착판에 장착된 원형톱날이 하방으로 이동되어 최저지점에 위치될 시 제1 연마모듈 및 제2 연마모듈을 통해 원형톱날에 형성된 톱니의 외곽 부분과 측단 부분을 모두 연마할 수 있으며, 원형톱날이 장착되는 장착판이 상방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원형톱날이 하나의 톱니의 폭만큼 회전되므로, 장착판이 상하방향으로 반복하여 이동됨에 따라 원형톱날에 연속적으로 형성된 톱니를 하나씩 모두 연삭할 수 있다.
그리고 원형톱날을 연마하기 위한 모든 구성이 케이스 내에 구비되므로, 컴팩트한 사이즈로 제작이 가능하여 휴대성을 지니는바, 사용자는 작업 현장에서 즉각적인 이용이 가능하여 일정 시간 동안 작업을 함에 필요한 원형톱날의 개수를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원형톱날 연마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원형톱날 연마장치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원형톱날 연마장치에 적용된 장착판과 원형톱날 간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원형톱날 연마장치에 적용된 장착판이 레일과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원형톱날 연마장치에 적용된 제2 연마모듈이 이동될 수 있는 것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원형톱날 연마장치에 적용된 회전유도구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인 원형톱날 연마장치에 적용된 회전유도구에 의해 원형톱날이 회전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인 원형톱날 연마장치에 적용되는 연동모듈의 작동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
본 발명에서는 원형톱날에 형성된 톱니의 외곽 부분과 측단 부분이 모두 연마될 수 있으면서 연속적으로 형성된 톱니가 하나씩 순차적으로 연삭될 수 있고, 컴팩트한 사이즈로 제작이 가능하여 휴대성을 지니도록, 케이스; 외주를 따라 연속적으로 톱니가 형성된 원형톱날이 전면(前面)에 장착되고 케이스 내에 세워지게 구비되는 장착판; 상기 케이스 내에서 장착판의 하측에 횡방향으로 제1 연마날이 구비되고 제1 연마날을 회전시켜 원형톱날의 톱니 외곽 부분을 연마하는 제1 연마모듈; 상기 케이스 내에서 장착판의 하측에 종방향으로 제2 연마날이 구비되고 제2 연마날을 회전시켜 원형톱날의 톱니 측단 부분을 연마하는 제2 연마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장착판은, 상하방향으로 반복하여 이동하며 상방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원형톱날이 하나의 톱니의 폭만큼 회전되고 최저지점에 위치될 시 제1 연마날 및 제2 연마날에 의해 톱니가 연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톱날 연마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인 원형톱날 연마장치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8c를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인 원형톱날 연마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0)를 비롯하여 케이스(100) 내에 구비되는 장착판(200), 제1 연마모듈(300), 제2 연마모듈(400)을 포함하며, 원형톱날(10)을 연마한다. 본 발명에서의 원형톱날(10)은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외주를 따라 연속적으로 톱니가 형성된 것을 의미한다.
케이스(100)는 내부가 빈 함체 형태를 이루어 내부에 원형톱날(10)을 연마하기 위한 구성이 구비된다. 또한, 케이스(100)는 연마하고자 하는 원형톱날(10)의 장착 및 분리를 위해,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게 형성된다. 일 예로, 케이스(100)는 적어도 전면(前面)이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 구성을 보호하기 위해 개방된 전면(前面)을 덮을 수 있는 덮개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100)는 휴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바닥면에 바퀴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면에 손잡이가 구비될 수도 있다.
후술할 장착판(200)이 상하방향으로 이동함에 있어 가이드 역할을 하는 레일(110)의 설치 및 내부에 구비되는 구성 설치의 편의를 위해, 케이스(10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구획벽(120)이 마련될 수 있다. 구획벽(120)은 케이스(100) 전체 또는 일부가 전방측 공간과 후방측 공간으로 나뉘어 질 수 있도록 케이스(100) 내부에 마련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전방측 공간에 장착판(200), 제1 연마모듈(300), 제2 연마모듈(400)이 구비되고, 후방측 공간에 장착판(200)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을 위한 구성이 구비될 수 있다.
장착판(200)은, 판 형태로 형성되며 케이스(100) 내에 세워지게 구비되어 전면(前面)에 원형톱날(10)이 장착된다. 예를 들어, 장착판(200)에서 원형톱날(10)이 장착되는 일면이 케이스(100)의 전면(前面)을 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장착된 원형톱날(10)의 톱니가 연마될 수 있게끔 장착판(200)은 원형톱날(10) 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장착판(200)에 장착된 원형톱날(10)은 그 중심을 축으로 하여 장착판(200)과 별도로 회전될 수 있으며, 이는 원형톱날(10)이 조금씩 회전하며 외주면에 형성된 모든 톱니가 하나씩 연마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일 예로,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판(200)의 중심에는 원형의 끼움돌부(210)가 돌출형성될 수 있으며, 원형톱날(10)은 그 중심에 형성된 관통공에 끼움돌부(210)가 관통되게끔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을 관통한 끼움돌부(210)는 고정유지편(220)과 자력으로 결합되어, 원형톱날(10)이 끼움돌부(210)와 고정유지편(220)으로 인해 장착판(20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면서 끼움돌부(210)를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한 상태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장착판(200)은 상하방향으로 이동되게 구성될 수 있다. 장착판(200)의 이동을 위해 케이스(100) 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110)이 상하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장착판(200)은 이탈되지 않으면서 레일(110)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되게끔 레일(110)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장착판(200)의 안정적인 이동을 위해 레일(110)은 복수 개가 구비되고, 장착판(200)은 복수 개의 레일(110)과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장착판(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톱날(10)이 장착되는 일면에 완충부재(230)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완충부재(230)는 장착판(200)보다 작은 조각편으로 구성되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져, 장착판(200)의 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 이격되게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완충부재(230)는 원형톱날(10)의 톱니가 연마될 시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시키면서, 원형톱날(10)의 회전시 장착판(200)과의 마찰이 적게 형성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제1 연마모듈(30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0) 내에서 장착판(200)의 하측에 마련되며,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제1 연마날(310)을 포함한다. 제1 연마날(310)은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회전시 장착판(200)에 장착된 원형톱날(10)의 톱니 외곽 부분을 연마하게 된다. 여기서 원형톱날(10)의 톱니 외곽 부분이란, 톱니에서 최외곽에 위치되는 날 부분을 의미한다. 이러한 제1 연마모듈(300)은, 원형톱날(10)의 크기에 따라 위치가 조절될 수 있게끔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연마모듈(300)은 상하좌우방향으로 제1 연마날(310)을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동부재에는 케이스(10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조절핀이 구비되어, 조절핀의 회전을 통해 제1 연마날(310)의 위치가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제2 연마모듈(40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0) 내에서 장착판(200)의 하측에 마련되며,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제2 연마날(420)을 포함한다. 제2 연마날(420)은 종방향으로 배치되어, 회전시 장착판(200)에 장착된 원형톱날(10)의 톱니 측단 부분을 연마하게 된다. 여기서 원형톱날(10)의 톱니 측단 부분이란, 톱니의 최외곽과 연결되면서 내측으로 들어가는 가장자리에 형성된 날 부분을 의미한다. 이러한 제2 연마모듈(400)은, 원형톱날(10)의 크기에 따라 위치가 조절될 수 있게끔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연마모듈(400)은 상하좌우방향으로 제2 연마날(410)을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동부재에는 케이스(10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조절핀이 구비되어, 조절핀의 회전을 통해 제2 연마날(410)의 위치가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장착판(200)이 상하방향으로 반복하여 이동하게 되는데, 장착판(200)에 장착된 원형톱날(10)이 하방으로 이동되어 최저지점에 위치될 시, 제1 연마날(310) 및 제2 연마날(410)에 의해 원형톱날(10)에 형성된 톱니의 외곽 부분과 측단 부분이 모두 연마될 수 있으며, 원형톱날(10)이 장착된 장착판(200)이 상방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원형톱날(10)이 하나의 톱니의 폭만큼 회전되므로, 장착판(200)이 상하방향으로 반복하여 이동됨에 따라 원형톱날(10)에 연속적으로 형성된 톱니를 하나씩 모두 연삭할 수 있다. 그리고 원형톱날(10)을 연마하기 위한 모든 구성이 케이스(100) 내에 구비되므로, 컴팩트한 사이즈로 제작이 가능하여 휴대성을 지니는바, 사용자는 작업 현장에서 즉각적인 이용이 가능하여 일정 시간 동안 작업을 함에 필요한 원형톱날의 개수를 현저히 줄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3,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판(200)이 상방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원형톱날(10)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유도구(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유도구(500)는, 케이스(100) 내측 상부에서 장착판(200)의 일측편에 마련될 수 있으며, 상단이 좌우회동가능하게끔 축결합되고 하단이 원형톱날(10)의 톱니 사이의 골에 삽입될 수 있으며 원형톱날(10)을 향해 탄성력이 작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회전유도구(5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 또는 바(bar) 형태를 이루면서 상하방향으로 배치되고 상단이 좌우회동가능하게끔 축결합되는 회동축(510)과, 회동축(510)의 하단으로부터 원형톱날(10)을 향해 형성되어 끝단이 원형톱날(10)의 톱니 사이의 골에 삽입될 수 있는 푸쉬돌기(520)와, 회동축(510)에 일단이 맞닿고 타단이 케이스(100)의 내측면에 고정되며 원형톱날(10)를 향해 탄성력을 작용하는 스프링(5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유도구(5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쉬돌기(520)가 원형톱날(10)의 톱니 사이의 제1 골(도 7에서 3번과 4번 사이의 골)에 삽입된 상태로 장착판(200)이 상방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스프링(530)의 탄성에 의해 버팀이 이루어지면서 푸쉬돌기(520)가 원형톱날(10)을 하나의 톱니의 폭만큼 회전시키게 된다. 즉, 원형톱날(10)은 장착판(200)과 함께 상방으로 이동되면서, 장착판(200)이 상방으로 이동되기 전 제1 연마날(310)과 제2 연마날(410)에 의해 연마되었던 제1 톱니와 인접한 제2 톱니가, 추후 제1 연마날(310)과 제2 연마날(410)에 의해 연마될 수 있도록 회전된다. 푸쉬돌기(520)에 의해 하나의 톱니의 폭만큼 회전된 후, 장착판(200)이 하방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원형톱날(10)이 푸쉬돌기(520)와 회동축(510)을 밀게 되면서 푸쉬돌기(520)는 제1 골(도 7에서 3번과 4번 사이의 골)로부터 벗어나 제1 골과 인접한 상측의 제2 골(도 7에서 2번과 3번 사이의 골)에 삽입된다. 이러한 상태로 장착판(200)이 최저지점에 도달하면, 제2 톱니가 제1 연마날(310)과 제2 연마날(410)에 의해 연마된다.
이처럼 장착판(200)이 상방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하단이 어느 하나의 골에 삽입된 상태를 이루면서 원형톱날(10)을 회전시키고, 장착판(200)이 하방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삽입되었던 골로부터 벗어나 인접한 상측의 골에 삽입되는 회전유도구(500)는, 원형톱날(10)의 크기에 따라 회동축(510)이 상하방향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회전유도구(5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프레임(540), 조절구(550), 고정축(5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프레임(540)은, 내부가 빈 막대 형태를 이루고 케이스(100) 내에서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배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프레임(540)은 회동축(510)과 후술할 조절구(550) 간의 축결합을 위해, 전방을 향하는 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홀이 형성될 수 있다.
조절구(550)는, 가이드프레임(540)보다 길이가 짧은 통 형태로 형성되며, 횡단면이 가이드프레임(540)의 내측과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로 이루어지거나, 가이드프레임(540)의 내측에서 회전되지 않을 수 있는 형상 및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조절구(550)에는 가이드홀을 관통하는 회동축(510)의 상단이 좌우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끔 축결합될 수 있다.
고정축(560)은, 봉 형태를 이루면서 가이드프레임(54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상단이 케이스(100)의 상면에 노출되거나 돌출되고, 하단이 가이드프레임(540)의 하단에 회전가능하게끔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고정축(560)은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조절구(550)를 관통하면서 조절구(550)와 나사결합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고정축(560)의 상단을 돌리게 되면, 돌리는 방향에 따라, 조절구(550)가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되는바, 조절구(550)에 축결합된 회동축(510)이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장착판(200)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원형톱날(10)이 연마되는 위치인 최저지점에서 장착판(200)이 소정의 시간동안 머무를 수 있도록 하는 연동모듈(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연동모듈(700)은, 케이스(100) 내에 마련될 수 있으며, 구획벽(120)에 의해 형성된 후방측 공간에 마련될 수 있다. 연동모듈(700)은 케이스(100) 내에 마련된 구동모터(600)와 장착판(200)을 연동시키는 역할을 하며, 구동모터(60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하방향으로 반복 운동함에 따라 장착판(200)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연동모듈(700)은, 최저지점에 위치된 장착판(200)이 소정의 시간동안 머무를 수 있도록 하여, 제1 연마날(310) 및 제2 연마날(410)에 의해 톱니가 연마되기 위한 충분한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일 예로 연동모듈(700)은,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축(710), 버팀구(720), 탄성스프링(730), 가이드봉(740), 이동구(7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축(710)은, 케이스(100)의 내측 상부에서 장착판(200)의 후방 측에 마련되며, 상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봉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축(710)은, 구동모터(600)의 축에 편심되게 상단부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모터(600)는 중심이 축에 결합되면서 축과 함께 회전되는 연동편(61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동축(710)의 상단은 구동모터(600)의 축에 대하여 편심되게 연동편(610)과 축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축(710)은, 구동모터(600)의 회전에 따라 전후상하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이동축(710)은, 후술할 버팀통(721)의 하단과 인접한 하측에 탄성스프링(730)이 신장된 상태에서 버팀통(721)의 하단과 맞닿아 버팀구(720)가 더이상 하방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하는 제한턱(711)이 형성될 수 있다.
버팀구(720)는, 통 형태를 이루며 후단에 배치되는 버팀통(721)과, 버팀통(721)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연장되어 전단이 장착판(200)의 배면 중간 부분에 결합되는 버팀연결판(722)을 포함할 수 있다. 버팀통(721)은 내측에 이동축(710)이 관통되며, 버팀연결판(722)은 세워진 상태를 이루면서 전단이 장착판(200)과 연결되는 제1 판과, 제1 판과 나란하게 세워진 상태를 이루면서 후단이 버팀통(721)과 연결되는 제2 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판과 제2 판은 상호 핀으로 축결합된 구조를 이루어, 장착판(200)과 버팀통(721) 사이에서 유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탄성스프링(730)은, 버팀구(720)의 후단부 상측, 즉 버팀통(721)의 상측에서 일단이 이동축(710)에 고정되고 타단이 버팀구(720)의 후단부인 버팅통(721)의 상단과 맞닿도록 구비되어, 버팀구(720)를 향해 탄성력이 작용될 수 있다.
가이드봉(740)은, 장착판(200)의 후방에서 케이스(100)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봉(740)의 하단에는 후술할 이동구(750)의 하방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단(74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케이스(10)의 상면에 노출되거나 돌출된 가이드봉(740)의 상단을 회전시킴에 따라, 걸림단(741)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봉(440)은 그 하단이 버팀연결판(722)보다 상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동구(750)는, 장착판(200)의 상부 후방측에 일체로 결합되고, 가이드봉(740)이 관통되게끔 구비되어 가이드봉(430)을 따라 장착판(200)과 함께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연동모듈(700)의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축(710)의 상단부가 최고지점에 위치될 시, 탄성스프링(730)은 신장된 상태를 이루고, 버팀구(720)는 회동축(710)과 함께 상방으로 이동되면서 장착판(200)과, 이의 후방에 결합된 이동구(750)이 함께 상방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회동축(710)의 상단부가 최저지점을 향해 회동되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저지점에 도달하기 전, 이동구(750)는 가이드봉(740)의 하단에 형성된 걸림단(741)과 맞닿게 되어 장착판(200)이 최저지점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에도 탄성스프링(730)은 여전히 신장된 상태를 이룬다. 이후,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축(710)의 상단부가 최저지점에 도달하기까지 걸리는 소정의 시간 동안 탄성스프링(730)이 압축되면서 장착판(200)은 최저지점에 위치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장착판(200)이 최저지점에 위치하는 소정의 시간 동안 원형톱날(10)의 톱니가 연마된다.
10 : 원형톱날
100 : 케이스 110 : 레일
120 : 구획벽
200 : 장착판 210 : 끼움돌부
220 : 고정유지편 230 : 완충부재
300 : 제1 연마모듈 310 : 제1 연마날
400 : 제2 연마모듈 410 : 제2 연마날
500 : 회전유도구 510 : 회동축
520 : 푸쉬돌기 530 : 스프링
540 : 가이드프레임 550 : 조절구
560 : 고정축
600 : 구동모터 610 : 연동편
700 : 연동모듈 710 : 이동축
711 : 제한턱 720 : 버팀구
721 : 버팀통 722 : 버팀연결판
730 : 탄성스프링 740 : 가이드봉
741 : 걸림단 750 : 이동구

Claims (5)

  1. 케이스(100);
    외주를 따라 연속적으로 톱니가 형성된 원형톱날(10)이 전면(前面)에 장착되고 케이스(100) 내에 세워지게 구비되는 장착판(200);
    상기 케이스(100) 내에서 장착판(200)의 하측에 횡방향으로 제1 연마날(310)이 구비되고 제1 연마날(310)을 회전시켜 원형톱날(10)의 톱니 외곽 부분을 연마하는 제1 연마모듈(300);
    상기 케이스(100) 내에서 장착판(200)의 하측에 종방향으로 제2 연마날(410)이 구비되고 제2 연마날(410)을 회전시켜 원형톱날(10)의 톱니 측단 부분을 연마하는 제2 연마모듈(400);을 포함하되,
    상기 장착판(200)은, 상하방향으로 반복하여 이동하며 상방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원형톱날(10)이 하나의 톱니의 폭만큼 회전되고 최저지점에 위치될 시 제1 연마날(310) 및 제2 연마날(410)에 의해 톱니가 연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톱날 연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 내에서 장착판(200)의 일측편에 상단이 좌우회동가능하게끔 축결합되고 하단이 원형톱날(10)의 톱니 사이의 골에 삽입될 수 있으며 원형톱날(10)을 향해 탄성력이 작용되는 회전유도구(5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회전유도구(500)는, 장착판(200)이 상방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하단이 어느 하나의 골에 삽입된 상태를 이루면서 원형톱날(10)을 회전시키고, 장착판(200)이 하방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삽입되었던 골로부터 벗어나 인접한 상측의 골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톱날 연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 내에 마련되어 구동모터(600)의 회전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반복 운동하면서 장착판(200)과 연결된 연동모듈(7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장착판(200)은 케이스(100) 내에 구비된 레일(110)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되게 구비되되,
    상기 연동모듈(700)은, 최저지점에 위치된 장착판(200)이 소정의 시간동안 머무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톱날 연마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모듈(700)은,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 상부에서 장착판(200)의 후방 측에 마련된 구동모터(600)의 축에 편심되게 상단부가 결합되어, 구동모터(600)의 회전에 의해 전후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축(710)과,
    통 형태를 이루는 후단부에 이동축(710)이 관통되고 전방을 향해 연장되어 전단이 장착판(200)의 배면과 결합되는 버팀구(720)와,
    상기 버팀구(720)의 후단부 상측에서 일단이 이동축(710)에 고정되고 타단이 버팀구(720)의 후단부 상단과 맞닿는 탄성스프링(730)과,
    상기 장착판(200)의 후방에서 케이스(100)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구비되고 하단에 걸림단(741)이 형성되는 가이드봉(740)과,
    상기 장착판(200)의 후방에 결합되고 가이드봉(740)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구(750)를 포함하여,
    상기 구동모터(600)의 회전에 의해 이동축(710)이 하방으로 이동되어 걸림단(741)에 이동구(750)가 맞닿으면, 버팀구(720)는 소정의 시간동안 위치가 고정되면서 탄성스프링(730)이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톱날 연마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마모듈(300) 및 제2 연마모듈(400) 중 적어도 하나는, 원형톱날(10)의 크기에 따라 위치가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톱날 연마장치.
KR1020220007940A 2022-01-19 2022-01-19 원형톱날 연마장치 KR1026178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7940A KR102617890B1 (ko) 2022-01-19 2022-01-19 원형톱날 연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7940A KR102617890B1 (ko) 2022-01-19 2022-01-19 원형톱날 연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1907A true KR20230111907A (ko) 2023-07-26
KR102617890B1 KR102617890B1 (ko) 2023-12-27

Family

ID=87427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7940A KR102617890B1 (ko) 2022-01-19 2022-01-19 원형톱날 연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789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1786U (ja) * 1994-03-07 1994-09-06 エムティア−ルトレイド株式会社 チップソ−等の研磨器
JP3119632U (ja) * 2005-12-20 2006-03-02 正良 太田 刈払い機の回転刃の研磨装置
KR101821509B1 (ko) 2015-08-10 2018-01-23 유겐가이샤 다카시바기무네세이사쿠쇼 연마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1786B2 (ja) 1994-12-14 2000-01-24 株式会社東芝 電話回線インタフェース回路
JP3119632B2 (ja) * 1998-09-18 2000-12-25 日本電気アイシーマイコンシステム株式会社 メガセルテスト装置及びそのテスト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1786U (ja) * 1994-03-07 1994-09-06 エムティア−ルトレイド株式会社 チップソ−等の研磨器
JP3119632U (ja) * 2005-12-20 2006-03-02 正良 太田 刈払い機の回転刃の研磨装置
KR101821509B1 (ko) 2015-08-10 2018-01-23 유겐가이샤 다카시바기무네세이사쿠쇼 연마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YOUTUBE 2019.0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7890B1 (ko) 2023-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21932B2 (en) Portable drill sharpener
US20220063054A1 (en) Power tool
US6786806B2 (en) Rotary mower blade sharpener
JP2011104718A (ja) 刃物研ぎ機
FI81989C (fi) Universalverktygsmaskin.
CN110142651B (zh) 一种机械加工刀具用切削刃打磨装置
EP1690622B1 (en) Powered saw apparatus
KR20230111907A (ko) 원형톱날 연마장치
CN113134735B (zh) 一种等离子切割辅助平台
US6123611A (en) Blade sharpening apparatus
EP0202913A2 (en) Dual purpose grinding machine
US20010023169A1 (en) Device for dressing grinding wheels
KR200372048Y1 (ko) 수평방향 각도조절이 가능한 고속절단기
CN114083409A (zh) 一种具有粗精抛光一体设计的抛光机构
KR200456205Y1 (ko) 칼 갈이 기구
CN216680513U (zh) 一种便于物料斜切的切割机
JP2011525862A (ja) ツイストドリル先端を研摩するための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CN110712076A (zh) 一种自动开刃铣刀研磨机
CN104989077A (zh) 铲墙机的磨刀器
CN216441761U (zh) 一种便于锯片更换的切割机
CN204826559U (zh) 铲墙机的磨刀器
CN214642574U (zh) 一种组装式角磨机
CN113084265B (zh) 一种磨齿装置
CN214489063U (zh) 一种切割机的防护装置
CN218697187U (zh) 一种小型竹木原材打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