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1761A - 프리캐스트 더블월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벽체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프리캐스트 더블월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벽체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1761A
KR20230111761A KR1020220007616A KR20220007616A KR20230111761A KR 20230111761 A KR20230111761 A KR 20230111761A KR 1020220007616 A KR1020220007616 A KR 1020220007616A KR 20220007616 A KR20220007616 A KR 20220007616A KR 20230111761 A KR20230111761 A KR 202301117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precast
concrete
reinforcing
front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7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종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화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화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화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20007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1761A/ko
Publication of KR20230111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1761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04B2/8635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with ties attached to the inner faces of the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6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방 및 후방에 나란하게 복수의 앵커볼트들이 매립되어 있는 베이스에 설치되는 프리캐스트 더블월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전방의 앵커볼트들 중 적어도 일부와 체결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월슈를 가지고, 양 측면부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홈이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프리캐스트된 전방 벽체; 및 상기 베이스의 후방의 앵커볼트들 중 적어도 일부와 체결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월슈를 가지고, 양 측면부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홈이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있 프리캐스트된 후방 벽체;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홈의 내부에는 인접한 벽체와의 연결을 위하여 종방향으로 연장된 홈을 따라서 소정 간격마다 복수의 루프들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더블월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벽체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프리캐스트 더블월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벽체 시공방법{PRECAST DOUBLE WALL AND CONCRETE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더블월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벽체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의 프리캐스트 공법과 현장타설 공법의 장점을 결합하여 더욱 효율적으로 콘크리트 벽체를 시공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프리캐스트 더블월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벽체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벽체를 시공하기 위해서는 거푸집 및 철근배근을 현장에서 제작,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자연양생을 거쳐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재래식 현장타설 공법(일명 RC공법)이 있다. 이러한 공법은 거푸집에 타설한 콘크리트가 자립 및 뒷채움을 할 수 있는 강도로 양생되기 위하여 많은 시간이 필요하게 되므로 공사 기간이 길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벽체들을 미리 공장에서 제작하고 현장으로 운반하여 현장에서 단위 프리캐스트 벽체들을 조립 시공하는 방법(일명 PC공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공법은 시공속도가 빠르며 설치 후 바로 주변 복구 등을 실시할 수 있어 공사중 야기되는 시민 불편이나 안전사고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되므로 매우 효과적이다.
그러나, 기존의 PC공법의 경우 단위 프리캐스트 벽체의 두께가 너무 두껍고 무거워서 단위 프리캐스트 벽체를 제작하는 것 자체가 쉽지 않았고, 이러한 무거운 단위 프리캐스트 벽체들을 운반하기도 어려웠으며, 이들을 서로 정확하게 연결하여 설치하는 작업도 매우 힘든 문제가 있었다. 또한, 단위 프리캐스트 벽체를 임시로 지지하는 지지대나 단위 프리캐스트 벽체들을 서로 연결하는 부위에서 별도의 보강 작업이 필요할 수 있었기 때문에 작업이 복잡하고 번거로운 문제도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83550호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공법을 이용하면서도 현장타설 공법의 장점을 도입하여 더욱 간소화된 공정을 통해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고 구조적으로도 견고하고 안전하게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프리캐스트 더블월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벽체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더블월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전방 및 후방에 나란하게 복수의 앵커볼트들이 매립되어 있는 베이스에 설치되는 프리캐스트 더블월은, 상기 베이스의 전방의 앵커볼트들 중 적어도 일부와 체결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월슈를 가지고, 양 측면부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홈이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프리캐스트된 전방 벽체; 및 상기 베이스의 후방의 앵커볼트들 중 적어도 일부와 체결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월슈를 가지고, 양 측면부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홈이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있 프리캐스트된 후방 벽체;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홈의 내부에는 인접한 벽체와의 연결을 위하여 종방향으로 연장된 홈을 따라서 소정 간격마다 복수의 루프들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월슈는 상기 앵커볼트와 체결되는 너트 및 와셔를 수용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앵커바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의 하면부에는 상기 앵커볼트가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브라켓의 전면부는 개방된 개구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전방 벽체에 매립되는 각각의 월슈는 상기 브라켓의 개구부가 상기 전방 벽체의 전면부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전방 벽체의 하부에 매립되고, 상기 후방 벽체에 매립되는 각각의 월슈는 상기 브라켓의 개구부가 상기 후방 벽체의 후면부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후방 벽체의 하부에 매립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루프는 상기 홈 내부에 매립되는 받침대와 받침대를 관통하여 고리를 형성하는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전방 벽체와 상기 후방 벽체의 내부면에 각각 매립된 패널에서 돌출된 복수의 스터드; 및 상기 전방 벽체의 스터드와 상기 후방 벽체의 스터드를 서로 연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타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전방 벽체와 상기 후방 벽체에는 대응되는 위치에서 서로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보강벽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방 벽체의 보강벽과 상기 후방 벽체의 보강벽 중 어느 한 쪽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된 앵커링 커플러가 매립되어 있어서 수나사산이 형성된 연결봉이 조여질수 있으며, 다른 한 쪽에는 상기 연결봉과 체결되는 너트와 와셔를 수용하고 지지하는 조인트 월슈가 매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조인트 월슈는 상기 연결봉과 체결되는 너트 및 와셔를 수용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앵커바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의 하면부에는 상기 연결봉이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브라켓의 전면부는 개방된 개구부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조인트 월슈는 상기 보강벽을 따라 매립되되 상기 브라켓의 개구부가 상기 보강벽의 외주면으로 노출되도록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더블월을 이용한 콘크리트 벽체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된 전방 벽체와 후방벽체로 이루어지는 프리캐스트 더블월을 이용한 콘크리트 벽체 시공방법은, 전방 및 후방에 나란하게 복수의 앵커볼트들을 매립하여 베이스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방 벽체의 하부에 매립된 월슈들과 상기 후방 벽체의 하부에 매립된 월슈들을 각각 상기 베이스의 전방의 앵커볼트들 및 후방의 앵커볼트들과 체결하여 프리캐스트 더블월을 베이스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프리캐스트 더블월을 베이스에 설치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 각각의 상기 반복하는 단계에 의해 서로 인접하게 되는 전방 벽체들의 측면부 홈들 및 후방 벽체들의 측면부 홈들을 맞댄 상태에서 각각의 인접한 벽체들의 홈으로부터 돌출된 루프들을 서로 중첩시키고 상기 루프들의 중첩된 부분을 관통하도록 보강 철근을 삽입하여 인접한 벽체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단계; 상기 서로 맞대어진 인접한 전방 벽체들의 홈 및 인접한 후방 벽체들의 홈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몰탈이나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더블월들을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더블월들을 연결하는 단계에 의해 형성된 평행하게 이어진 전방 벽과 후방 벽 사이의 빈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프리캐스트 더블월은 상기 전방 벽체와 상기 후방 벽체의 내부면에 각각 매립된 패널에서 돌출된 복수의 스터드; 및 상기 전방 벽체의 스터드와 상기 후방 벽체의 스터드를 서로 연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타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콘크리트 벽체 시공방법은 상기 연결 타이를 상기 전방 벽체의 패널의 스터드와 상기 후방 벽체의 패널의 스터드를 교대로 통과시켜서 상기 전방 벽체와 상기 후방 벽체를 서로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 벽체와 상기 후방 벽체에는 대응되는 위치에서 서로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보강벽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방 벽체의 보강벽과 상기 후방 벽체의 보강벽 중 어느 한 쪽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된 앵커링 커플러가 매립되어 있어서 수나사산이 형성된 연결봉이 조여질수 있으며, 다른 한 쪽에는 상기 연결봉과 적어도 하나의 너트와 와셔를 수용하고 지지하는 조인트 월슈가 매립되어 있고, 콘크리트 벽체 시공방법은 상기 전방 벽체의 보강벽과 상기 후방 벽체의 보강벽 중 어느 한 쪽에 매립된 앵커링 커플러를 다른 한 쪽에 매립된 조인트 월슈와 상기 연결봉과 너트와 와셔를 이용하여 체결함으로써 상기 전방 벽체의 보강벽과 상기 후방 벽체의 보강벽을 서로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더블월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벽체 시공방법에 의하면 베이스 위에 설치되는 단위 전방 벽체와 후방 벽체의 두께와 무게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단위 벽체의 제작 및 운반이 쉽고 베이스 위에 설치할 때에도 작업의 편의성 및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더블월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벽체 시공방법에 의하면 전방 벽체들과 후방 벽체들이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 역할을 하게 되므로 별도로 거푸집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서 콘크리트 벽체의 시공 시간과 비용이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더블월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벽체 시공방법에 의하면 전방 벽체와 후방 벽체의 홈 및 루프로 인해 각각의 단위 전방 벽체와 단위 후방 벽체들을 연결하는 작업을 간소하면서도 각각의 연결부위가 콘크리트로 채워지게 되어 벽체들이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더블월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벽체 시공방법에 의하면 전방 벽체와 후방 벽체의 스터드가 연결타이에 의해 서로 연결되기 때문에 별도의 지지대와 같은 부재 없이도 콘크리트 타설시 전방 벽체들과 후방 벽체들 사이의 간격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더블월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벽체 시공방법에 의하면 전방 벽체와 후방 벽체가 보강벽에 의해 더욱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콘크리트 타설시 전방 벽체와 후방 벽체의 콘크리트 타설시 전방 벽체들과 후방 벽체들 사이의 간격이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고, 전방 벽체의 보강벽과 후방 벽체의 보강벽에 의해 내부 공간이 구획되어 별도의 거푸집 없이도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으므로 시공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시공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더블월을 이용한 콘크리트 벽체의 내부 구조를 표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더블월의 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더블월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더블월을 이용한 콘크리트 벽체의 연결 부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더블월을 이용한 콘크리트 벽체의 평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더블월의 월슈와 앵커볼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더블월을 베이스에 설치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더블월의 단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더블월의 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더블월의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더블월을 이용한 콘크리트 벽체의 평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 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면에서는 발명의 핵심이 되는 부분을 보다 명확하게 도시하기 위하여 일부 구성요소나 부분이 나타나있지 않을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더블월을 이용한 콘크리트 벽체의 내부 구조를 표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더블월의 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더블월의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더블월을 이용한 콘크리트 벽체의 연결 부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더블월을 이용한 콘크리트 벽체의 평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더블월의 월슈와 앵커볼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더블월을 베이스에 설치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더블월의 단면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더블월의 횡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더블월의 종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더블월을 이용한 콘크리트 벽체의 평단면도이다.
제1 실시예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더블월을 이용한 콘크리트 벽체는 베이스(1)와 베이스에 설치된 복수의 더블월(3) 및 더블월(3) 사이의 공간에 타설되어 양생된 콘크리트(5)에 의해 형성되고,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더블월(3)은 베이스(1)에 나란하게 설치되는 프리캐스트된 전방 벽체(20)와 후방 벽체(30)로 구성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더블월에 있어서 전방 벽체(20)와 후방 벽체(30)는 실질적으로 대칭으로 형성되므로 전방 벽체와 후방 벽체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설명은 다른 하나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프리캐스트된 전방 벽체(20)는 월슈(21)와 패널(22)과 홈(24)과 루프(25)와 스터드(221) 등을 포함한다.
상기 월슈(wall shoe)(21)는 콘크리트 벽체의 기반이 되는 베이스(1)에 매립되어 베이스의 상부면으로 일부가 돌출되어 있는 앵커볼트(6)와 체결되는 것으로서, 앵커볼트(6)와의 체결을 위하여 전방 벽체(20)의 하부에 설치되며 베이스의 앵커볼트(6)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전방 벽체(20)의 프리캐스트 시에 월슈(21)를 매립해놓고 전방 벽체를 제작하게 되므로 월슈는 전방 벽체와 일체로 형성된다.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서 월슈(2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상자 모양의 브라켓(Bracket)(211)과 브라켓의 양측에 용접 등에 의해 부착된 앵커바(Anchor bar)(212)와 앵커볼트(6)와 체결되는 너트(214) 및 와셔(2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브라켓(211)은 전면부가 개방된 개구부(216)로 형성되어지며, 브라켓의 하부에는 앵커볼트가 관통할 수 있도록 홀(213)이 형성되어 있다. 브라켓(211)은 브라켓의 개구부(216)가 도 7에 일 실시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벽체의 전면부(26)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전방 벽체(20)에 매립되어진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공자는 사전 레벨링된 심 플레이트(pre-leveled shim plate)(2)들을 베이스의 앵커볼트(6)들 주위에서 베이스(1)상에 배치한 상태에서 베이스 위로 전방 벽체(20)를 배치하게 되며 전방 벽체(20)의 각각의 브라켓(211)의 홀(213)을 통과하여 삽입된 앵커볼트(6)를 브라켓의 개구부(216)를 통해 와셔(215)와 너트(214)로 체결할 수 있고 체결 후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 플레이트(2)에 의해 생긴 전방 벽체와 베이스 사이의 틈 및 월슈의 브라켓의 개구부를 포함한 내부의 빈공간에 몰탈이나 콘크리트(5)를 그라우팅(grouting)하고 양생함으로써 각각의 단위 전방 벽체가 베이스(1)에 설치되도록 한다. 이때 시공자는 베이스의 전면부(26)에서 월슈의 개구부(216)를 통해 앵커볼트(6)와 너트(214)의 체결작업을 할 수 있으므로 작업 편의성 및 작업 속도가 향상될 수 있다. 도 2의 실시예에서는 4개의 월슈(21)가 베이스에 설치된 4개의 앵커볼트(6)와 각각 결합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방 벽체의 크기나 작업 환경 등에 따라 앵커볼트와 월슈의 개수는 조정될 수 있다.
상기 루프(25)는 전방 벽체(20)를 인접한 다른 전방 벽체(20)에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방 벽체의 양측면부에 소정 간격마다 설치된다. 보다 자세하게는 전방 벽체(20)는 양측면부에 각각 전방 벽체의 종방향을 따라서 연장된 홈(24)이 형성되어 있고 이 홈(24)의 안쪽에 루프(25)의 일부분이 매립되어 있어서 루프(25)의 고리부분이 전방 벽체(20)의 양측면에서 외부 돌출된 형상을 가진다.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서 전방 벽체(20)의 양측면에 형성된 홈(24)은 평단면이 대략 내부로갈 수록 폭이 좁아지는 사다리꼴 형상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홈의 가장 내측면 부분(즉, 사다리꼴의 윗변에 해당되는 부분)에 루프(25)의 일부분이 매립되도록 설치되어 진다.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벽체의 우측면에 형성된 홈(24)이 인접한 전방 벽체의 좌측면에 형성된 홈(24)과 맞대어지게 되면 대략 육각형 모양의 단면을 가지는 공간이 생기게 되고, 이 공간의 내부에서 각각의 홈에 형성된 대응되는 루프(24, 24)들이 서로 중첩되어 지게 되며, 중첩된 부분(253)을 전부 관통하는 세장형의 보강 철근(60)이 삽입된 상태에서 이 육각형 단면의 공간으로 콘크리트(5)가 타설되어 양생되어 진다. 이러한 육각형 모양은 최소한의 재료로 최대한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힘을 균형적으로 배분할 수 있으므로 인접한 전방 벽체를 서로 안정적으로 견고하게 결합하기 위해서는 양측면에 형성된 홈의 평단면의 형상을 사다리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서 루프(25)는 홈(24)의 가장 내측면 부분에 매립되는 받침대 부분(251)과 일부분이 받침대를 관통하여 전방 벽체의 내부로 매립됨으로써 고리 모양을 형성하는 케이블(25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일 실시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의 받침대(251)는 대략 'ㄷ'자 모양의 단면을 가지고 소정 길이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케이블(252)은 케이블의 양쪽 단부가 각각 받침대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받침대의 뒷부분에서 별도의 고정편(255)에 의해 함께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받침대의 앞부분에 고리 모양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받침대의 바닥면이 상기 전방 벽체의 사다리꼴 모양의 홈(24)의 내측면 부분에 매립되어 진다. 운반 등 필요시에는 케이블(252)을 접어서 'ㄷ'자 모양의 단면을 가지는 받침대(251) 내부로 수용시킬 수 있으므로 케이블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루프의 경우 간소한 구성을 가지면서도 전방 벽체(20)의 홈(24)에 루프(25)의 받침대(251)와 케이블(252)의 양쪽 단부 및 이를 결합시키는 고정편(255)이 함께 매립되어져서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루프를 전방 벽체의 측면부에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스터드(221)는 전방 벽체와 후방 벽체를 서로 연결하기 위하여 전방 벽체의 내부면(즉, 후면부)에 매립된 패널(22)로부터 후방 벽체 방향으로 다수가 돌출되어 있는 것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삼각형의 고리 모양을 형성하며 전방 벽체(20)의 후면부(27)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벽체(30)에도 이와 대칭적으로 패널(32)에 설치된 스터드(321)가 전방 벽체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연결 타이(Connector tie)(50)가 상기 전방 벽체의 스터드(221)와 상기 후방 벽체의 스터드(321)를 교대로 통과하면서 서로를 연결시키게 된다. 콘크리트가 타설시 연결 타이(50)에 의해 전방 벽체(20)와 후방 벽체(30)가 연결되어 있으면 콘크리트에 의해 전방 벽체와 후방 벽체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프리캐스트된 후방 벽체(30)는 전방 벽체와 대칭으로 배치될 뿐 월슈와 루프 및 스터드와 같은 구성은 실질적으로 상기 전방 벽체의 구성들과 동일하므로 각각의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에서 후방 벽체(30)는 전방 벽체(20)와 대칭을 이루므로 전방 벽체의 월슈와 달리 후방 벽체의 월슈(31)의 브라켓의 개구부(316)가 후방 벽체(30)의 후면부(37)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시공자가 후방 벽체의 월슈를 앵커볼트에 체결하는 경우에 후방 벽체의 후면부(37)로 이동하여 개구부(316)를 통해 간편하게 작업할 수 있으므로 편의성이 향상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더블월을 이용한 콘크리트 벽체 시공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의 순서대로 각각의 단계를 설명하나 반드시 이러한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업자의 수준에서 선후관계 변경이 가능한 단계는 상황에 맞게 다른 단계의 앞이나 뒤로 순서를 변경하여 실시될 수도 있다.
먼저, 콘크리트 벽체의 기반이 되는 베이스(1)를 형성한다(S10). 베이스(1)는 전방 및 후방에 평행하게 일렬로 소정 간격마다 전방 앵커볼트들(6)과 후방 앵커볼트들(7)이 매립된 상태에서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형성된 베이스(1)의 상면부에 사전 레벨링된 심 플레이트(pre-leveled shim plate)(2)들을 앵커볼트(6, 7)들 주위에 배치한다(S20). 전방 벽체(20)와 후방 벽체(30)와 베이스(1)는 콘크리트로 형성되어 있어서 전체적으로 높낮이가 다소 일정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사전 레벨링된 심 플레이트(pre-leveled shim plate)들을 베이스(1)와 전방 벽체(20) 및 후방 벽체(30) 사이에 배치하여 최종 결과물인 콘크리트 벽체의 높낮이가 일정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 다음, 도 7에 일 실시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에 놓여진 심 플레이트들(2) 위로 단위 전방 벽체(20)와 단위 후방 벽체(30)를 배치하고 단위 전방 벽체의 월슈들(21)과 단위 후방 벽체의 월슈들(31)을 각각 상기 베이스의 전방의 앵커볼트들(6) 및 후방의 앵커볼트들(7)과 각각 너트(214)와 와셔(215)를 이용하여 체결함으로써 단위 전방 벽체(20)와 단위 후방 벽체(30)를 서로 평행하게 바라보도록 베이스에 고정한다(S30). 이때 전방 벽체(20)의 월슈(21)들은 개구부(216)가 전방 벽체의 전면부(26)를 통해 외부에 노출되어 있고, 후방 벽체(30)의 월슈(31)들은 개구부(316)가 후방 벽체의 후면부(37)를 통해 외부에 도출되어 있으므로 작업자가 전방 벽체와 후방 벽체의 외부에서 작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체결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 다음, 연결 타이(50)를 상기 전방 벽체의 패널(22)의 스터드(221)와 상기 후방 벽체의 패널(32)의 스터드(321)를 교대로 통과시켜서 상기 전방 벽체와 상기 후방 벽체를 서로 연결한다(S40).
그 다음, 심 플레이트(2)에 의해 생긴 전방 벽체(20) 및 후방 벽체(20)와 베이스(1) 사이의 틈 및 월슈(21)의 브라켓(211)의 개구부(216)를 포함한 월슈(21) 내부의 빈공간에 몰탈이나 콘크리트(5)를 그라우팅(grouting)하고 양생한다(S50).
그 다음, 상기 베이스(1)에 전방과 후방에 일렬로 설치된 앵커볼트들(6, 7)을 따라서 상기 S20 단계 내지 S50 단계를 반복하여 실시함으로써 단위 전방 벽체(20)들과 단위 후방 벽체(30)들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한다(S60).
그 다음, 상기 S60 단계에 의해 서로 인접하게 된 전방 벽체들의 홈(24, 24) 및 후방 벽체들의 홈(34, 34)을 서로 맞댄 상태에서 각각의 인접한 벽체들의 홈으로부터 돌출된 루프들(25, 35)을 서로 중첩시키고 상기 루프들의 중첩된 부분을 관통하도록 보강 철근(50)을 삽입하여 인접한 벽체들을 서로 연결시킨다(S70).
그 다음, 상기 서로 맞대어진 인접한 전방 벽체들의 홈(24, 34) 및 인접한 후방 벽체들의 홈(24, 34)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몰탈이나 콘크리트(5)를 타설하고 양생함으로써 단위 더블월(3)들이 길게 연결되어서 일체로된 전방 벽과 후방 벽이 베이스(1)를 따라서 늘어서 있는 더블월 구조물을 형성한다(S80).
그 다음, 상기 더블월 구조물에 의해 형성된 전방벽과 후방벽 사이의 공간(40)에 콘크리트(5)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콘크리트 벽체를 형성한다(S90).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게 연결되어 있는 더블월 구조물의 양쪽 단부는 개방된 상태가 되나 일 실시예로서는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임시 거푸집(미도시)을 S80의 더블월 구조물의 양쪽 단부에 설치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콘크리트 벽체가 형성된 이후에 양쪽 단부에 설치된 거푸집을 제거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로서 더블월 구조물의 양쪽 단부의 홈에서 돌출된 루프(25)와 연결될 수 있는 루프와 홈을 가진 별도의 단부 막음용 벽체(미도시)를 설치하여 루프의 중첩으로 생기는 부분에 보강 철근을 삽입한 상태에서 단부 막음용 벽체의 홈과 더블월 구조물의 양쪽 단부의 홈이 맞대어져서 형성되는 공간에 몰탈이나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더블월 구조물의 전방 벽 및 후방 벽과 그 양쪽의 단부 막음용 벽체에 의해 콘크리트로 형성된 거푸집을 형성하고, 이 콘크리트로 형성된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콘크리트 벽체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벽체 시공방법에 따르면 베이스(1) 위에 설치되는 단위 전방 벽체(20)와 후방 벽체(30)의 두께와 무게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단위 벽체의 제작 및 운반이 쉽고 베이스 위에 설치할 때에도 작업의 편의성 및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전방 벽체들과 후방 벽체들이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 역할을 하게 되므로 별도로 거푸집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서 시간과 비용이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전방 벽체와 후방 벽체의 홈(24, 34) 및 루프(25, 35)로 인해 각각의 단위 전방 벽체와 단위 후방 벽체들을 연결하는 작업을 간소하면서도 각각의 연결부위가 콘크리트로 채워지게 되어 벽체들이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전방 벽체(20)와 후방 벽체(30)는 연결타이(50)에 의해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단위 전방 벽체들과 단위 후방 벽체들이 평행하게 길게 연결되어 있으므로, 단위 벽체들을 지지하기 위한 임시 지지대와 같은 별도의 구성이 필요하지 않다. 또한, 평행하게 길게 연결된 단위 전방 벽체들과 단위 후방 벽체들 사이의 공간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최종적으로 콘크리트 벽체를 형성하게 되므로 필요한 최종적으로 형성되는 콘크리트 벽체의 두께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콘크리트 벽을 형성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최대한 두껍게 형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2 실시예
도 8 내지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더블월을 이용한 콘크리트 벽체는 베이스(1')와 베이스에 설치된 복수의 더블월(3') 및 더블월 사이의 구획된 공간(40')에 타설되어 양생된 콘크리트(5')에 의해 형성되고, 제2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더블월(3')은 베이스(1')에 나란하게 설치되는 프리캐스트된 전방 벽체(20')와 후방 벽체(30')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리케스트 더블월(3)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벽체 시공방법과 비교하여 제2 실시예에 따른 프리케스트 더블월(3')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벽체 시공방법에서 차이가 나는 내용을 중심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더블월(3')은 제1 실시예의 프리캐스트된 전방 벽체와 후방 벽체의 구성인 월슈와 루프와 스터드를 모두 포함하고 양측면의 홈의 형상도 동일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된 구성들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위 프리캐스트 더블월(3)과 달리 도 8에 도시된 제2 실시예에 따른 단위 프리캐스트 더블월(3')은 전방 벽체(20')의 후면부(27')에서 후방 벽체 방향으로 돌출된 2개의 보강벽(23')이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보강벽의 내부에는 후방 벽체(30')의 보강벽(33')에 설치되는 연결봉(70')과 체결을 위하여 조인트 월슈(233')가 매립되어 있다.
전방 벽체의 보강벽(23')에 설치되는 조인트 월슈(233')의 구조는 기본적으로 상기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더블월(3)의 월슈(21)와 동일하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상자 모양의 브라켓(Bracket)(234')과 브라켓의 양측에 용접 등에 의해 부착된 앵커바(Anchor bar)(2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브라켓(234')은 전면부가 개방된 개구부(237')로 형성되어지며, 브라켓의 하면부에는 연결봉(70')가 관통할 수 있도록 홀(236')이 형성되어 있다. 다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공자의 작업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제2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월슈(233')는 브라켓(234')의 개구부(237')가 보강벽(23')의 바깥쪽 측면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각각의 보강벽에 매립되고, 연결봉(70')에 체결되는 2개의 너트(241', 242') 및 와셔(243')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브라켓(234')의 길이가 월슈(21')의 브라켓(211')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8에서 좌측 보강벽(23')에 매립된 조인트 월슈(233')는 브라켓의 개구부(237')가 보강벽의 좌측면(28')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매립되고, 우측 보강벽(23')에 매립된 조인트 월슈(233')는 브라켓의 개구부(237')가 우측면(29')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매립된다.
후방 벽체(30')의 경우 전방 벽체의 보강벽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후방 벽체의 전면부로부터 전방 벽체 방향으로 2 개의 보강벽(33')이 돌출되어 있으며 이 보강벽의 전면부에는 연결봉(70')의 수나사산과 결합되는 암나사산을 가지는 앵커링 커플러(333')가 각각 매립되어 있으며 2개의 앵커링 커플러(333')는 후방 벽체(30')에 매립되는 적어도 하나의 앵커바(334')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져 있다.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서 상기 앵커링 커플러(333')는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대략 원통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에 일실시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벽체(30')의 2개의 보강벽 내부에는 앵커링 커플러(333')가 각각 매립되어 있고 이 2 개의 앵커링 커플러는 함께 매립된 'ㄷ'자 모양으로 휘어진 앵커바(334')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2개의 앵커링 커플러(333', 333')와 이를 연결하는 앵커바(334')로 이루어진 연결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종래와 같이 콘크리트에 미리 매립되어 있던 볼트와 같이 돌출된 부분이 없기 때문에 조립하는 과정에서 이러한 돌출된 볼트가 파손되거나 손상되는 위험이 없다. 이러한 연결장치는 최후의 단계에서 수나사산을 가지는 앵커바가 앵커링 커플러에 조립되며 이와 같이 설치되는 경우에 압축력, 인장력, 및 전단력을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연결봉(70')은 외주부에 수나사산이 형성된 강철봉(rebar)이므로 그 자체만으로는 육각렌치 등을 이용하여 앵커링 커플러에 조여주기 어렵다. 이러한 연결봉을 조이기 위해서는 2개의 나사(241', 242')가 필요하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봉(70')에 2개의 나사가 서로 맞물리게 결합되면 2개의 나사(241', 242')의 연결봉(70')에서의 위치가 고정되기 때문에 마치 연결봉에 육각형 헤드부가 있는 것과 같은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봉을 앵커링 커플러(333')에 결합할 때에는 연결봉이 상기 조인트 월슈(233')의 홀을 통과한 상태에서 와셔(243')를 먼저 연결봉에 끼우고 그 다음 와셔(243') 위로 와셔에 인접하게 2개의 나사(241', 242')를 연결봉에 조립하여 2개의 나사(241', 242')를 서로 맞물리게 함으로써 2개의 나사의 위치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육각렌치 등으로 나사를 돌리게 되면 연결봉이 나사들과 함게 회전하여 앵커링 커플러에 내로 조여지게 되어 월슈와 앵커링 커플러가 견고하게 체결된다.
한편, 제2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더블월의 경우에도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전방 벽체(20')와 후방 벽체(30')를 서로 연결하기 위하여 각각 벽체의 안쪽면에 매립된 패널(22', 32')로부터 타방 벽체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다수의 스터드(221', 321')를 포함한다. 제2 실시예의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 측면부로 치우친 2개의 보강벽(23', 33')에 의해 보강벽 외부에는 패널을 매립하기 위한 벽체의 남은 공간이 부족할 수 있기 때문에 이 경우에는 2개의 보강벽(23', 33') 사이에 있는 벽체의 안쪽면에만 패널을 매립하여 스터드가 돌출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개의 보강벽을 충분한 거리를 두고 배치하게 되면 그 사이의 공간이 넓어져서 연결 타이(Connector tie)에 의해 충분히 많은 전방 벽체의 스터드와 후방 벽체의 스터드가 서로 연결될 수 있으므로, 전방 벽체와 후방 벽체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더블월을 이용한 콘크리트 벽체 시공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의 순서대로 각각의 단계를 설명하나 반드시 이러한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업자의 수준에서 선후관계 변경이 가능한 단계는 상황에 맞게 다른 단계의 앞이나 뒤로 순서를 변경하여 실시될 수도 있다.
먼저, 콘크리트 벽체의 기반이 되는 베이스(1')를 형성한다(S10'). 베이스는 전방 및 후방에 평행하게 일렬로 소정 간격마다 앵커볼트(6', 7')들이 매립된 상태에서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형성된 베이스(1')의 상면부에 사전 레벨링된 심 플레이트(pre-leveled shim plate)들을 배치한다(S20'). 이때 제2 실시예의 경우 전방 벽체(20')와 후방 벽체(30')가 각각 보강벽(23', 33')들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보강벽(23', 33')의 하부에 해당되는 베이스(1')의 부분에도 심 플레이트(2')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전 레벨링된 심 플레이트(pre-leveled shim plate)들을 베이스와 전방 벽체 및 후방 벽체 사이에 배치되어 최종 결과물인 콘크리트 벽체의 높낮이가 일정하게 되도록 한다.
그 다음, 상기 베이스(1')에 놓여진 심 플레이트들 위로 단위 전방 벽체(20')와 단위 후방 벽체(30')를 배치하고 단위 전방 벽체의 월슈(21')들과 단위 후방 벽체의 월슈(31')들을 각각 상기 베이스의 전방의 앵커볼트(6')들 및 후방의 앵커볼트(7')들과 너트와 와셔를 이용하여 체결함으로써 단위 전방 벽체와 단위 후방 벽체를 베이스에 각각 고정한다(S30').
그 다음, 상기 전방 벽체의 2개의 보강벽(23')에 매립된 각각의 조인트 월슈(233')를 후방 벽체(33')에 매립된 2개의 앵커링 커플러(333')와 연결봉(70')을 이용하여 체결함으로써 상기 전방 벽체의 보강벽(23')과 상기 후방 벽체의 보강벽(33')을 서로 연결한다(S40'). 보다 상세하게는, 전방 벽체의 보강벽(23')에 매립된 조인트 월슈(233')의 브라켓(234')의 홀(236')과 후방 벽체의 보강벽(33')에 매립된 앵커링 커플러(333')가 맞대어진 상태에서 수나사산이 형성된 연결봉(70')에 2개의 나사(241', 242')를 서로 맞물리게 결합시키고 이를 육각렌치 등을 이용하여 조여줌으로써 앵커봉이 브라켓 내부에 배치된 와셔(243')와 브라켓의 홀(236')을 통과하여 앵커링 커플러(333')에 견고하게 체결되도록 한다.
그 다음, 연결 타이(미도시)를 상기 전방 벽체의 패널의 스터드(221')와 상기 후방 벽체의 패널의 스터드(321')를 교대로 통과시켜서 상기 전방 벽체와 상기 후방 벽체를 서로 연결한다(S50').
그 다음, 심 플레이트에 의해 생긴 전방 벽체(20') 및 후방 벽체(30')와 베이스(1') 사이의 틈 및 월슈(21', 31')의 브라켓의 개구부를 포함한 월슈 내부의 빈공간과 조인트 월슈의 브라켓의 개구부를 포함한 월슈 내부의 빈공간 등 전방 벽체와 후방 벽체에 생긴 틈이나 빈공간에 몰탈이나 콘크리트를 그라우팅(grouting)하고 양생한다(S60').
그 다음, 상기 베이스(1')에 전방과 후방에 일렬로 설치된 앵커볼트(6', 7')들을 따라서 상기 S30' 단계 내지 S60' 단계를 반복하여 실시함으로써 단위 전방 벽체들과 단위 후방 벽체들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한다(S70').
그 다음, 상기 S70' 단계에 의해 서로 인접하게 된 전방 벽체들의 홈(24') 및 후방 벽체들의 홈(34')을 서로 맞댄 상태에서 각각의 인접한 벽체들의 홈으로부터 돌출된 루프(25', 35')들을 서로 중첩시키고 상기 루프들의 중첩된 부분을 관통하도록 보강 철근(60')을 삽입하여 인접한 벽체들을 서로 연결시킨다(S80').
그 다음, 상기 서로 맞대어진 인접한 전방 벽체들의 홈 및 인접한 후방 벽체들의 홈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몰탈이나 콘크리트(5')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더블월들이 연결되어서 전방 벽과 후방 벽이 베이스를 따라서 길게 늘어서 있는 더블월 구조물을 형성한다(S90'). 이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더블월 구조물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더블월 구조물과 달리 평행하게 늘어선 전방 벽과 후방 벽 사이에 보강벽(23', 33')에 의해 공간(40')들이 구획되어져 있게 된다.
그 다음, 상기 더블월 구조물에 의해 구획된 공간(40')에 콘크리트(5')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콘크리트 벽체를 형성한다(S100').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더블월 구조물의 경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벽체의 보강벽과 후방 벽체의 보강벽에 의해 내부 공간(40')이 구획되어져 있어서 이 구획된 공간이 실질적으로 콘크리트 벽으로 둘러싸인 거푸집 역할을 하게 되므로 별도의 임시 거푸집이나 측벽 없이도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벽체 시공방법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시공방법의 장점을 유사하게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더하여 전방 벽체와 후방 벽체가 보강벽(23', 33')에 의해 더욱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콘크리트 타설시 전방 벽체와 후방 벽체의 간격이 벌어지는 문제점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예의 경우 전방 벽체의 보강벽과 후방 벽체의 보강벽에 의해 내부 공간이 구획되어 별도의 거푸집 없이도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으므로 시공 기간을 더욱 단축시킬 수 있고 시공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 1': 베이스 2, 2': 심 플레이트
3, 3': 프리캐스트 더블월 6, 6', 7, 7': 앵커볼트
20, 20': 전방 벽체 30, 30': 후방 벽체
21, 21', 31, 31': 월슈 24, 24', 34, 34': 홈
22, 22', 32, 32': 패널 23', 33': 보강벽
25, 25', 35, 35': 루프 221, 221', 321, 321': 스터드
50: 연결타이 60, 60': 보강 철근
70': 연결봉

Claims (10)

  1. 전방 및 후방에 나란하게 복수의 앵커볼트들이 매립되어 있는 베이스에 설치되는 프리캐스트 더블월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전방의 앵커볼트들 중 적어도 일부와 체결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월슈를 가지고, 양 측면부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홈이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프리캐스트된 전방 벽체; 및
    상기 베이스의 후방의 앵커볼트들 중 적어도 일부와 체결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월슈를 가지고, 양 측면부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홈이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있 프리캐스트된 후방 벽체;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홈의 내부에는 인접한 벽체와의 연결을 위하여 종방향으로 연장된 홈을 따라서 소정 간격마다 복수의 루프들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더블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월슈는 상기 앵커볼트와 체결되는 너트 및 와셔를 수용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앵커바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의 하면부에는 상기 앵커볼트가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브라켓의 전면부는 개방된 개구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더블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벽체에 매립되는 각각의 월슈는 상기 브라켓의 개구부가 상기 전방 벽체의 전면부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전방 벽체의 하부에 매립되고,
    상기 후방 벽체에 매립되는 각각의 월슈는 상기 브라켓의 개구부가 상기 후방 벽체의 후면부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후방 벽체의 하부에 매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더블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는 상기 홈 내부에 매립되는 받침대와 받침대를 관통하여 고리를 형성하는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더블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벽체와 상기 후방 벽체의 내부면에 각각 매립된 패널에서 돌출된 복수의 스터드; 및
    상기 전방 벽체의 스터드와 상기 후방 벽체의 스터드를 서로 연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타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더블월.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벽체와 상기 후방 벽체에는 대응되는 위치에서 서로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보강벽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방 벽체의 보강벽과 상기 후방 벽체의 보강벽 중 어느 한 쪽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된 앵커링 커플러가 매립되어 있어서 수나사산이 형성된 연결봉이 조여질수 있으며, 다른 한 쪽에는 상기 연결봉과 체결되는 너트와 와셔를 수용하고 지지하는 조인트 월슈가 매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더블월.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월슈는 상기 연결봉과 체결되는 너트 및 와셔를 수용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앵커바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의 하면부에는 상기 연결봉이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브라켓의 전면부는 개방된 개구부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조인트 월슈는 상기 보강벽을 따라 매립되되 상기 브라켓의 개구부가 상기 보강벽의 외주면으로 노출되도록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더블월.
  8. 프리캐스트된 전방 벽체와 후방벽체로 이루어지는 프리캐스트 더블월을 이용한 콘크리트 벽체 시공방법에 있어서,
    전방 및 후방에 나란하게 복수의 앵커볼트들을 매립하여 베이스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방 벽체의 하부에 매립된 월슈들과 상기 후방 벽체의 하부에 매립된 월슈들을 각각 상기 베이스의 전방의 앵커볼트들 및 후방의 앵커볼트들과 체결하여 프리캐스트 더블월을 베이스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프리캐스트 더블월을 베이스에 설치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
    각각의 상기 반복하는 단계에 의해 서로 인접하게 되는 전방 벽체들의 측면부 홈들 및 후방 벽체들의 측면부 홈들을 맞댄 상태에서 각각의 인접한 벽체들의 홈으로부터 돌출된 루프들을 서로 중첩시키고 상기 루프들의 중첩된 부분을 관통하도록 보강 철근을 삽입하여 인접한 벽체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단계;
    상기 서로 맞대어진 인접한 전방 벽체들의 홈 및 인접한 후방 벽체들의 홈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몰탈이나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더블월들을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더블월들을 연결하는 단계에 의해 형성된 평행하게 이어진 전방 벽과 후방 벽 사이의 빈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더블월을 이용한 콘크리트 벽체 시공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캐스트 더블월은 상기 전방 벽체와 상기 후방 벽체의 내부면에 각각 매립된 패널에서 돌출된 복수의 스터드; 및 상기 전방 벽체의 스터드와 상기 후방 벽체의 스터드를 서로 연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타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콘크리트 벽체 시공방법은 상기 연결 타이를 상기 전방 벽체의 패널의 스터드와 상기 후방 벽체의 패널의 스터드를 교대로 통과시켜서 상기 전방 벽체와 상기 후방 벽체를 서로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더블월을 이용한 콘크리트 벽체 시공방법.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벽체와 상기 후방 벽체에는 대응되는 위치에서 서로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보강벽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방 벽체의 보강벽과 상기 후방 벽체의 보강벽 중 어느 한 쪽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된 앵커링 커플러가 매립되어 있어서 수나사산이 형성된 연결봉이 조여질수 있으며, 다른 한 쪽에는 상기 연결봉과 적어도 하나의 너트와 와셔를 수용하고 지지하는 조인트 월슈가 매립되어 있고,
    콘크리트 벽체 시공방법은 상기 전방 벽체의 보강벽과 상기 후방 벽체의 보강벽 중 어느 한 쪽에 매립된 앵커링 커플러를 다른 한 쪽에 매립된 조인트 월슈와 상기 연결봉과 너트와 와셔를 이용하여 체결함으로써 상기 전방 벽체의 보강벽과 상기 후방 벽체의 보강벽을 서로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더블월을 이용한 콘크리트 벽체 시공방법.
KR1020220007616A 2022-01-19 2022-01-19 프리캐스트 더블월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벽체 시공방법 KR202301117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7616A KR20230111761A (ko) 2022-01-19 2022-01-19 프리캐스트 더블월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벽체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7616A KR20230111761A (ko) 2022-01-19 2022-01-19 프리캐스트 더블월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벽체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1761A true KR20230111761A (ko) 2023-07-26

Family

ID=87427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7616A KR20230111761A (ko) 2022-01-19 2022-01-19 프리캐스트 더블월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벽체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1176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3550B1 (ko) 2011-10-25 2013-07-1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전단키 결합방식의 조립식 프리캐스트 패널, 이를 이용한 벽체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3550B1 (ko) 2011-10-25 2013-07-1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전단키 결합방식의 조립식 프리캐스트 패널, 이를 이용한 벽체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0473B1 (ko) 내진성능이 개선된 Partial-PC 벽체를 이용한 지하 PC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JP5023219B2 (ja) プレキャスト仮設構造体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2243984B1 (ko) 자립형 거푸집을 이용한 합벽 순타 시공용 무지주 거푸집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
KR20110005430A (ko) 아치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멘트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터널 시공방법
KR101496355B1 (ko) 철근 연결 및 정착장치
KR101358830B1 (ko) 조립식 암거박스의 접합구조
JP2008223370A (ja) 隅角部の剛結構造
JP4740029B2 (ja) 床版または覆工板の製造方法
JP7169152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継手構造
KR20150131904A (ko) 긴장 겸용 강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그레이팅용 수로 세그먼트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20230111761A (ko) 프리캐스트 더블월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벽체 시공방법
KR100343369B1 (ko)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보 및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보의접합방법
JP2014105547A (ja) プレキャスト床版の固定構造
JP2011089390A (ja) 隅角部の剛結構造
KR20130136874A (ko) 종방향 분절형 거더
KR102636743B1 (ko) 모듈형 코어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JPH11315526A (ja)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連結方法
JP6866980B2 (ja) 接合用キャップおよび杭頭接合構造
JP7313689B2 (ja) 接合システム
KR101685632B1 (ko) 강도와 연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전단 접합부
JP3643809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基礎ブロックの連結構造
JP5475721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重ね合わせ方法、仮固定方法、接合構造、鉛直精度調節具
KR102621973B1 (ko) 옹벽 패널 연결 장치, 패널식 옹벽 및 패널식 옹벽 시공 방법
KR102612981B1 (ko) Pc 더블월 벽체 시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pc 더블월 벽체 시공방법
KR101221836B1 (ko) 전단연결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