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6743B1 - 모듈형 코어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모듈형 코어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36743B1 KR102636743B1 KR1020220007609A KR20220007609A KR102636743B1 KR 102636743 B1 KR102636743 B1 KR 102636743B1 KR 1020220007609 A KR1020220007609 A KR 1020220007609A KR 20220007609 A KR20220007609 A KR 20220007609A KR 102636743 B1 KR102636743 B1 KR 10263674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re unit
- wall
- modular core
- walls
- connecting rod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12
- 238000004873 anchor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9 landf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21—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panel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Extraordinary structures, e.g. with suspended or cantilever parts supported by masts or tower-like structures enclosing elevators or stairs; Features relating to the elastic stability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벽체들에 의해 둘러싸인 구조를 가지는 모듈형 코어 유닛에 있어서, 상기 모듈형 코어 유닛을 그 하부에 위치하는 다른 모듈형 코어 유닛이나 베이스와 체결하기 위하여 각각의 벽체의 하부에 매립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월슈; 상기 모듈형 코어 유닛을 그 상부에 위치하는 다른 모듈형 코어 유닛이나 덮개와 체결하기 위하여 상기 월슈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각각의 벽체의 상부에 매립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앵커링 커플러; 각각의 벽체에서 인접한 벽체의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벽체의 종방향을 따라서 소정 간격마다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루프; 및 인접한 벽체들의 루프들의 중첩에 의해 생기는 루프들 사이의 공간을 관통함으로써 인접한 벽체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복수의 보강 철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코어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모듈형 코어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더욱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건물 등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모듈형 코어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거푸집 및 철근배근을 현장에서 제작,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자연양생을 거쳐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재래식 현장타설 공법(일명 RC공법)이 있다. 이러한 공법은 거푸집에 타설한 콘크리트가 자립 및 뒷채움을 할 수 있는 강도로 양생되기 위하여 많은 시간이 필요하게 되므로 공사 기간이 길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보, 슬래브 등 주요 구조부를 미리 공장에서 제작하고 현장으로 운반하여 현장에서 단위 프리캐스트 벽체들을 조립 시공하는 방법(일명 PC공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공법은 시공속도가 빠르며 설치 후 바로 주변 복구 등을 실시할 수 있어 공사중 야기되는 시민 불편이나 안전사고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되므로 매우 효과적이다.
그러나, 기존의 PC공법으로 건물의 한 층을 이루는 프리캐스트 코어와 같은 큰 구조물을 제작하는 경우 구조물 자체의 부피가 너무 크고 무거워서 이를 제작하는 것 자체가 쉽지 않고 이러한 무거운 단위 프리캐스트 코어들을 건설현장까지 운반하기도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쉽게 제작할 수 있고 운반이 용이하면서도 구조적으로도 견고하고 안전한 모듈형 코어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복수의 벽체들에 의해 둘러싸인 구조를 가지는 모듈형 코어 유닛을 제공한다. 모듈형 코어 유닛은 상기 모듈형 코어 유닛을 그 하부에 위치하는 다른 모듈형 코어 유닛이나 베이스와 체결하기 위하여 각각의 벽체의 하부에 매립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월슈; 상기 모듈형 코어 유닛을 그 상부에 위치하는 다른 모듈형 코어 유닛이나 덮개와 체결하기 위하여 상기 월슈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각각의 벽체의 상부에 매립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앵커링 커플러; 각각의 벽체에서 인접한 벽체의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벽체의 종방향을 따라서 소정 간격마다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루프; 및 인접한 벽체들의 루프들의 중첩에 의해 생기는 루프들 사이의 공간을 관통함으로써 인접한 벽체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복수의 보강 철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벽체의 종방향을 따라서 소정 간격마다 설치되어 있는 루프는 상기 벽체의 내측으로 함몰된 종방향의 홈 내부에 일부분이 매립되어 있는 것을 할 수 있다.
상기 루프는 상기 홈 내부에 매립되는 받침대와 받침대를 관통하여 고리를 형성하는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모듈형 코어 유닛은 그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다른 모듈형 코어 유닛과 나사산이 형성된 연결봉을 매개로 연결되며, 상기 월슈는 상기 연결봉과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너트 및 와셔를 수용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앵커바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의 하면부에는 상기 연결봉이 통과하도록 관통된 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브라켓의 전면부는 개방된 개구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벽체들 중 적어도 일부는 상부에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벽체들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돌출부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벽체의 하부에 함몰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부와 함몰부는 서로 끼워맞춰질 수 있도록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앵커링 커플러의 내주면에는 상기 연결봉의 나사산과 체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앵커링 커플러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앵커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벽체들에 의해 둘러싸인 구조를 가지는 모듈형 코어 유닛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모듈형 코어 유닛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기초가 되는 베이스를 형성하는 단계; 각각의 벽체를 연결하여 모듈형 코어 유닛을 구성하는 단계; 모듈형 코어 유닛을 베이스에 설치하는 단계; 각각의 벽체를 연결하여 또 하나의 모듈형 코어 유닛을 구성하고 이를 기설치된 모듈형 코어 유닛의 상부에 심플레이트들을 매개로 하여 적층하는 단계; 적층된 상부 모듈형 코어 유닛의 벽체에 매립된 월슈와 하부 모듈형 코어 유닛의 벽체의 상부에 매립된 앵커링 커플러를 나사산이 형성된 연결봉 및 적어도 하나의 너트와 와셔를 이용하여 체결하는 단계; 적층된 상부 모듈형 코어 유닛과 하부 모듈형 코어 유닛의 각각의 벽체 사이의 틈 및 월슈의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및 목표로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층수에 따라 상기 적층하는 단계와 상기 체결하는 단계 및 상기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각의 벽체는 인접한 벽체의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벽체의 종방향을 따라서 소정 간격마다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루프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각각의 벽체를 연결하는 것은, 각각의 인접한 벽체들의 루프들의 중첩에 의해 생기는 루프들 사이의 공간에 보강 철근을 관통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벽체의 종방향을 따라서 소정 간격마다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루프는 상기 벽체의 내측으로 함몰된 종방향의 홈 내부에 일부분이 매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루프는 상기 홈 내부에 매립되는 받침대와 받침대를 관통하여 고리를 형성하는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월슈는 상기 연결봉과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너트 및 와셔를 수용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앵커바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의 하면부에는 상기 연결봉이 통과하도록 관통된 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브라켓의 전면부는 개방된 개구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앵커링 커플러의 내주면에는 상기 연결봉의 나사산과 체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앵커링 커플러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앵커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코어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에 의하면 모듈형 코어 유닛을 한 번에 제작하는 것이 아니라 모듈형 코어 유닛을 구성하는 각각의 벽체별로 제작할 수 있으므로 제작이 용이한 이점이 있고, 이렇게 제작된 모듈형 코어 유닛의 벽체들이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운반될 수 있으므로 운반작업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코어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에 의하면 각각의 벽체들을 이용하여 모듈형 코어 유닛을 구성하는 경우 인접한 벽체들의 마주보는 벽면에 홈이 형성되어 있고 홈에 루프가 매립되어 있어서 인접한 벽체들이 루프가 중첩되는 공간에 보강 철근이 삽입된 상태에서 콘크리트가 타설되므로 인접한 벽체들이 서로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코어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에 의하면 모듈형 코어 유닛의 내부 구조를 형성하는 계단이나 슬래브 등도 별도로 제작 및 운반하여 모듈형 코어 유닛의 벽체들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내부 구조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고 내부 구조를 형성하는 각각의 구성의 제작 및 운반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코어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에 의하면 여러개의 모듈형 코어 유닛을 적층할 경우에 월슈, 앵커링 커플러, 연결봉, 너트, 와셔 등을 이용하여 상부의 모듈형 코어 유닛과 하부의 모듈형 코어 유닛을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코어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에 의하면 모듈형 코어 유닛의 벽체의 일부분에 돌출부와 함몰부를 형성함으로써 상부 모듈형 코어 유닛의 함몰부로 하부 모듈형 코어 유닛의 돌출부가 삽입됨으로써 상하부 모듈형 코어 유닛의 위치가 더욱 더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코어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코어 유닛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코어 유닛의 벽체들의 연결부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모듈형 코어 유닛의 연결부위의 연결구조에 관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코어 유닛의 상부 벽체와 하부 벽체의 연결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코어 유닛의 상부 벽체와 하부 벽체의 연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코어 유닛이 여러 층으로 적층되어 형성된 콘크리트 구보물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코어 유닛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코어 유닛의 내부의 연결구조를 투시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코어 유닛의 벽체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코어 유닛의 벽체의 내부구조를 투시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코어 유닛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코어 유닛의 벽체들의 연결부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모듈형 코어 유닛의 연결부위의 연결구조에 관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코어 유닛의 상부 벽체와 하부 벽체의 연결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코어 유닛의 상부 벽체와 하부 벽체의 연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코어 유닛이 여러 층으로 적층되어 형성된 콘크리트 구보물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코어 유닛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코어 유닛의 내부의 연결구조를 투시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코어 유닛의 벽체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코어 유닛의 벽체의 내부구조를 투시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 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면에서는 발명의 핵심이 되는 부분을 보다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하여 일부 구성요소나 부분이 나타나있지 않을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코어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코어 유닛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코어 유닛의 벽체들의 연결부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모듈형 코어 유닛의 연결부위의 연결구조에 관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코어 유닛의 상부 벽체와 하부 벽체의 연결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코어 유닛의 상부 벽체와 하부 벽체의 연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코어 유닛이 여러 층으로 적층되어 형성된 콘크리트 구보물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코어 유닛은 기본적으로복수의 벽체들(10, 30, 50, 70)에 둘러싸여 있는 구조를 가지고, 각각의 벽체에는 복수의 월슈(11)와 앵커링 커플러(12)와 루프(14)들이 매립되어 있으며, 각각의 인접한 벽체들을 서로 연결시키기 위한 복수의 보강 철근(80)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모듈형 코어 유닛은 단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전방 벽체(10), 후방 벽체(30), 좌측 벽체(50), 및 우측 벽체(70)로 이루어진 4개의 벽체들로 둘러싸여 있는 기본적인 구조를 도시하고 있는 것이므로, 다른 실시예에서는 모듈형 코어 유닛이 4개 이상의 벽체들로 형성될 수도 있고, 벽체의 형상이 달라질 수도 있으며, 벽체 내부에 다른 계단이나 슬래브 등 여러 구조물들이 미리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고 혹은 계단이나 슬래브 등의 구조물이 별도의 체결 수단에 벽체에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은 단위 모듈형 코어 유닛들 여러개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적층됨으로써 형성되어 질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의 실시예에서 적층된 3개의 모듈형 코어 유닛(100, 200, 300)은 대부분 동일하게 형성되어지므로 이하에서는 제1 모듈형 코어 유닛(100)이나 제2 모듈형 코어(200)를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나머지 이에 대한 설명은 나머지 제3 모듈형 코어 유닛(30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모듈형 코어 유닛은 각각의 벽체들(10, 30, 50, 70)과 각각의 벽체에 형성된 월슈, 앵커링 커플러, 홈, 루프, 및 보강 철근 등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성을 위하여 전방 벽체(10)를 중심으로 하여 도면부호 등을 기재하고 설명하지만 다른 이에 대한 설명은 다른 벽체들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벽체(10)의 월슈(wall shoe)(11)는 그 위에 적층되는 제2 모듈형 코어 유닛(200)의 벽체(10)의 앵커링 커플러(12)와 체결되거나 혹은 콘크리트 벽체의 기반이 되는 베이스(미도시)에 매립되어 베이스의 상부면으로 일부가 돌출되어 있는 앵커볼트(미도시)와 체결되는 것으로서, 앵커링 커플러나 앵커볼트와의 체결을 위하여 벽체(10)의 하부에 설치되며 하부 벽체(10)의 앵커링 커플러(12)나 베이스의 앵커볼트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벽체(10)의 프리캐스트 시에 월슈(11)를 매립해놓고 벽체를 제작하게 되므로 월슈(11)는 벽체(10)와 일체로 형성된다.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서 월슈(11)는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상자 모양의 브라켓(Bracket)(17)과 브라켓의 양측에 용접 등에 의해 부착된 2개의 앵커바(Anchor bar)(18)와 앵커볼트(미도시) 및 앵커링 커플러(12)와의 체결을 위한 2개의 너트(19, 20) 및 와셔(21)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브라켓(17)은 전면부가 개방된 개구부(22)로 형성되어지며, 브라켓의 하부에는 연결봉(500)이나 앵커볼트가 관통할 수 있도록 홀(23)이 형성되어 있다. 브라켓(17)은 브라켓의 개구부(22)가 도 1에 일 실시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의 외측면에서 노출되도록 각각의 벽체(10, 30, 50, 70)에 매립되어진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좌측 벽체(50)의 경우에는 브라켓(17)의 개구부(22)가 좌측면을 통해 노출되도록 좌측 벽체(50)에 매립되어진다.
상기 벽체(10)의 앵커링 커플러(12)는 상부 벽체(10)의 월슈(11)와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대략 원통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에 일 실시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10)의 내부에는 앵커링 커플러(12)가 각각 매립되어 있고 이 커플러에는 앵커바(24)가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앵커링 커플러(12)와 이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앵커바(24)로 이루어진 연결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종래와 같이 콘크리트에 미리 매립되어 있던 볼트와 같이 돌출된 부분이 없기 때문에 조립하는 과정에서 이러한 돌출된 볼트가 파손되거나 손상되는 위험이 없다. 수나사산을 가지는 연결봉(500)이 앵커링 커플러(12)의 암나사산에 조여진다.
상하부 벽체(10, 10)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봉(500)은 외주부에 수나사산이 형성된 강철봉(rebar) 형태를 가진다. 따라서, 연결봉(500) 자체만으로는 육각렌치 등을 이용하여 앵커링 커플러에 조여주기 어렵다. 이러한 연결봉(500)을 조이기 위해서는 2개의 나사(19, 20)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봉(500)에 2개의 나사(19, 20)가 서로 맞물리게 결합되면 2개의 나사(19, 20)의 연결봉(500)에서의 위치가 고정되기 때문에 마치 연결봉에 육각형 헤드부가 있는 것과 같은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봉을 앵커링 커플러(12)에 결합할 때에는 연결봉(500)이 상기 월슈(11)의 홀(23)을 통과한 상태에서 와셔(21)를 먼저 연결봉(500)에 끼우고 그 다음 와셔(21) 위로 와셔에 인접하게 2개의 나사(19, 20)를 연결봉(500)에 조립하여 2개의 나사(19, 20)를 서로 맞물리게 함으로써 2개의 나사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그리고, 육각렌치 등으로 나사를 돌리게 되면 연결봉(500)이 나사들(19, 20)과 함게 회전하여 앵커링 커플러(12)에 내로 조여지게 되어 월슈(11)와 앵커링 커플러(12)가 견고하게 체결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공자는 모듈형 코어 유닛 적층시에 높이를 일정하게 하기 위하여 사전 레벨링된 심 플레이트(pre-leveled shim plate)(600)들을 하부 벽체(10)의 앵커링 커플러(12) 주위에 배치한 상태에서 상부 벽체(10)를 적층하게 되며 상부 벽체(10)의 월슈(11)의 홀(23)과 하부 벽체(10)의 앵커링 커플러(12)를 수나사산이 형성된 연결봉(500)과 암나사산이 형성된 2개의 너트(19, 20)와 와셔(21)를 이용하여 체결시키게 된다. 체결 후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 플레이트(600)에 의해 생긴 상부 벽체(10)와 하부 벽체(10) 사이의 틈 및 월슈(11)의 브라켓(17)의 개구부(22)를 포함한 내부의 빈공간에 몰탈이나 콘크리트(400)를 그라우팅(grouting)하고 양생함으로써 상부 벽체(10)와 하부 벽체(10)가 견고하게 연결되도록 한다. 이때 브라켓(17)의 개구부(22)가 외부를 향해 열려있으므로 시공자는 각각의 벽체의 외부에서 월슈(11)와 앵커링 커플러(12)의 체결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되어 작업 편의성 및 작업 속도가 향상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벽체에 2개 내지 3개의 월슈가 매립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벽체의 크기나 형태 또는 작업 환경 등에 따라 월슈의 개수는 조정될 수 있다.
상기 벽체(10)의 루프(Loop)(14)는 벽체(10)를 인접한 다른 벽체(50)에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접해 있는 2개의 벽체(10, 50)가 서로 마주하고 있는 면에 소정 간격마다 설치된다. 보다 자세하게는 도 3 내지 도 4에 일 실시예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인접한 벽체들(10, 50)에서 서로 마주보고 있는 벽면에는 각각 종방향을 따라서 연장된 홈(13, 13)이 형성되어 있고 이 홈(13, 13)의 안쪽에 루프(14, 14)의 일부분이 매립되어 있어서 루프(14, 14)의 고리부분이 서로 마주보고 있는 벽면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진다.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서 벽체(10, 50)에 형성된 홈(13, 13)은 평단면이 대략 내부로갈 수록 폭이 좁아지는 사다리꼴 형상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홈의 가장 내측면 부분(즉, 사다리꼴의 윗변에 해당되는 부분)에 루프(14, 14)의 일부분이 매립되도록 설치되어 진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10)의 측면에 형성된 홈(14)이 인접한 벽체(50)의 측면에 형성된 홈(14)과 맞대어지게 되면 대략 육각형 모양의 단면을 가지는 공간이 생기게 되고, 이 공간의 내부에서 각각의 홈(13, 13)에 형성된 대응되는 루프(14, 14)들이 서로 중첩되어 지게 된다. 중첩되어서 생기는 루프들 사이의 공간(81)을 관통하는 세장형의 보강 철근(80)이 삽입된 상태에서 이 육각형 단면의 공간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양생됨으로써 인접한 벽체들이 견고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육각형 모양은 최소한의 재료로 최대한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힘을 균형적으로 배분할 수 있으므로 인접한 전방 벽체를 서로 안정적으로 견고하게 결합하기 위해서는 양측면에 형성된 홈의 평단면의 형상을 사다리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서 루프(14)는 홈(13)의 가장 내측면 부분에 매립되는 받침대 부분(25)과 일부분이 받침대를 관통하여 전방 벽체의 내부로 매립됨으로써 고리 모양을 형성하는 케이블(26)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의 (b)에 일 실시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의 받침대(25)는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케이블(26)은 케이블의 양쪽 단부가 각각 받침대를 관통하여 받침대의 뒷부분에서 서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받침대의 앞부분에 고리 모양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받침대(25)는 벽체의 사다리꼴 모양의 홈(13)의 내측면 부분에 매립되어 진다.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서 루프의 받침대(25)는 직육면체의 통모양을 가지되 고리가 형성되는 전면부 부분이 개방되어 있어서 상자와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이 경우 운반 등 필요시에는 케이블(26)의 고리부분을 접어서 받침대 내부로 수용시킬 수 있으므로 케이블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루프의 경우 간소한 구성을 가지면서도 벽체(10)의 홈(13)에 루프(14)의 받침대(25)와 케이블(26)의 양쪽 단부가 함께 매립되어져서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루프를 벽체에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각각의 벽체들(10, 30, 50, 70)은 프리캐스트된 벽체로서 최종적으로 완성되어질 콘크리트 구조물의 형상을 미리고려하여 형성되어지므로 각각의 벽체마다 형상이 달라질 수 있으며 벽체에 매립되거나 설치된 구성품들도 벽체들 마다 다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형 코어 유닛의 벽체들 중 전방 벽체(10)와 양측 벽체(50, 70)의 상부에는 돌출된 돌출부(15)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상기 돌출부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벽체의 하부에 함몰부(16)가 형성되어 있으나, 후방 벽체(30)의 상부면과 하부면은 이러한 구조 없이 평평한면으로 형성되어져 있어서 서로 다른 구조를 가진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형 코어 유닛의 상기 돌출부(15)는 그 상부에 배치되는 다른 모듈형 코어 유닛(200, 300)의 함몰부(16)와 서로 끼워맞춰질 수 있도록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후방 벽체(30)에는 다른 벽체들과 달리 문이 설치될 공간(48, 49)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의 전방 및 후방 벽체(10', 30')의 벽면에는 슬래브(Slab)가 설치될 수 있도록 슬래브의 부품과 조립되는 별도의 부품(삽입부재, 27')이 매립되어져 있다. 본 발명은 모듈형 코어 유닛은 각각의 벽체에 매립되거나 형성될 수 있는 다양한 부품이나 구조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으므로 다양한 방식으로 내부 구조를 제작하여 모듈형 코어 유닛을 구성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코어 유닛(100')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구조를 이루는 구성들이 설치되어 있는 모듈형 코어 유닛의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코어 유닛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코어 유닛의 내부의 연결구조를 투시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코어 유닛의 벽체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코어 유닛의 벽체의 내부구조를 투시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1에 일 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코어 유닛의 벽체(10', 30') 내부에는 계단(84')이나 슬래브(82', 83')와 같은 별도의 구성들이 설치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형 코어 유닛(100')의 벽체(10', 30')를 제작할 때 상부와 하부에 각각 슬래브를 연결하기 위한 거치부재들(27')을 벽체(10', 30')에 매립하여 제작하고, 상부 슬래브(82')와 하부 슬래브(83')에도 각각 상기 거치부재(27')에 대응되는 부분에 거치부재이 삽입될 수 있는 소켓부재들(85')을 매립하여 제작한다. 도 11에 일 실시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부재(27')은 벽체에 매립되는 다수의 앵커바(H) 및 소켓부재의 홈부(89')에 삽입되도록 형성된 헤드부(28')와 헤드부를 지지하는 바디부(29')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9에 일 실시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소캣부재(85')는 거치부재(27')의 헤드부(28')를 수용할 수 있는 홈부(89')와 거치부재의 바디부분(29')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하부로 개방된 그루브(90') 및 다수의 앵커바(9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슬래브(82')와 하부 슬래브(83')에 계단이 안착될 수 있도록 단차부(95', 96')를 각각 형성하고 계단(84')에도 상부 슬래브의 단차부(95')와 하부 슬래브의 단차부(96')에 대응되는 부분에 단차부(87', 87')를 형성한다. 인접한 벽체들(10', 30', 50', 70')을 연결하여 모듈형 코어 유닛(100')의 외형이 갖추어진 상태에서 상부 슬래브(82')와 하부 슬래브(83')의 소켓부재들(85', 86')이 각각 대응되는 벽체의 거치부재들(27')에 끼워지도록 설치하고, 상부 슬래브와 하부 슬래브의 단차부(95', 96') 위로 계단의 단차부(87', 87')가 맞춰지도록 계단(84')을 올려 놓은 다음 각각의 연결부위나 틈새에 몰탈이나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플로워와 계단을 포함하는 내부구조를 가지는 모듈형 코어 유닛을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코어 유닛의 경우 기본이 되는 외부 벽체의 연결 뿐만 아니라 내부에 설치되는 계단이나 슬래브와 같은 각각의 구성들도 별도로 제작하여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코어 유닛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의 순서대로 각각의 단계를 설명하나 반드시 이러한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업자의 수준에서 선후관계 변경이 가능한 단계는 상황에 맞게 다른 단계의 앞이나 뒤로 순서를 변경하여 실시될 수도 있다.
먼저, 콘크리트 벽체의 기반이 되는 베이스를 형성한다(S10). 베이스는 모듈형 코어 유닛의 벽체의 월슈와 연결될 자리에 앵커링 커플러나 앵커볼트가 매립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베이스의 상면부는 평평하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위에 놓여질 모듈형 코어 유닛의 벽체의 하면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 다음, 각각의 벽체(10, 30, 50, 70)를 연결하여 제1 모듈형 코어 유닛(100)을 구성한다(S20). 구체적으로 서로 인접하게 된 벽체들의 홈(13)을 서로 맞댄 상태에서 각각의 인접한 벽체들의 홈으로부터 돌출된 루프(14)들을 서로 중첩시키고 상기 루프들의 중첩된 부분(81)을 관통하도록 보강 철근(80)을 삽입하여 인접한 벽체들을 서로 연결시킨다. 그리고 서로 맞대어진 홈(13, 13) 내부로 몰탈이나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함으로써 현장에서 모듈형 코어 유닛을 제작할 수 있다. 한편, 모듈형 코어 유닛의 내부 구조를 이루는 계단이나 슬래브 등도 이 단계에서 함께 실시하여 모듈형 코어 유닛을 구성할 수 있다.
그 다음, 베이스에 놓여진 심 플레이트들(600) 위로 모듈형 코어 유닛(100)을 배치하고 벽체의 월슈들(11)을 각각 상기 베이스에 매립된 앵커링 커플러나 앵커볼트들와 각각 너트와 와셔를 이용하여 체결하고 연결부위나 월슈 등에 몰탈이나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모듈형 코어 유닛을 베이스에 설치한다(S30). 심 플레이트(600)를 배치하는 것은 벽체와 베이스는 콘크리트로 형성되어 있어서 전체적으로 높낮이가 다소 일정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사전 레벨링된 심 플레이트(pre-leveled shim plate)들을 베이스와 각각의 벽체 사이에 배치하여 벽체의 높낮이가 일정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 베이스에 모듈형 코어를 설치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도면으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도 5 내지도 6에 도시된 상부 벽체(10)와 하부 벽체(10)를 서로 체결하는 단계가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베이스가 평평하게 형성된 경우 제1 모듈형 코어 유닛이 벽체들의 하부면도 이에 대응되도록 평평한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벽체(10)의 월슈(11)들은 개구부(22)가 벽체의 외측면를 통해 외부에 노출되어 있고, 체결 작업이나 콘크리트 타설 작업 등에 있어서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 다음, 각각의 벽체(10, 30, 50, 70)를 연결하여 제2 모듈형 코어 유닛(200)을 구성하고 이를 베이스위에 기설치된 제1 모듈형 코어 유닛(100)의 상부에 심플레이트들(600)을 매개로 하여 적층한다(S40). 제2 모듈형 코어 유닛(200)은 제1 모듈형 코어 유닛(100)과 동일한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동일하게 모듈형 코어 유닛을 형성하는 경우 하나의 유닛을 반복하여 제조하면 되므로 제조공정인 간소화 되고 제조시간이 단축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반드시 모든 모듈형 코어 유닛의 형상이나 크기가 동일할 필요는 없으나 제1 모듈형 코어 유닛(100)의 위로 제2 모듈형 코어 유닛(200)이 적층되므로 제1 모듈형 코어 유닛의 상부면의 형상과 제2 모듈형 코어 유닛의 하부면의 형상은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1 모듈형 코어 유닛과 제2 모듈형 코어 유닛이 모두 동일한 크기와 형상을 가지는 모듈형 코어 유닛으로 형성될 경우 제1 모듈형 코어 유닛 위로 제2 모듈형 코어 유닛이 적층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모듈형 코어 유닛의 상부의 돌출부(15)가 제2 모듈형 코어 유닛의 하부의 함몰부(16)에 서로 끼워맞춰지게 된다.
그 다음, 적층된 제2 모듈형 코어 유닛(200)의 벽체에 매립된 월슈(11)와 제1 모듈형 코어 유닛의 벽체의 상부에 매립된 앵커링 커플러(12)를 나사산이 형성된 연결봉(500) 및 2개의 너트(19, 20)와 와셔(21)를 이용하여 체결한다(S50).
그 다음, 적층된 제2 모듈형 코어 유닛(200)과 제1 모듈형 코어 유닛(100)의 각각의 벽체 사이의 틈 및 월슈의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함으로써 제2 모듈형 코어 유닛을 제1 모듈형 코어 유닛의 상부에 설치한다(S60).
그 다음, 필요에 따라서, S40 단계 내지 S60 단계를 반복한다(S70). 목표로 정해진 콘크리트 구조물의 층수에 따라 S40 단계 내지 S60 단계를 반복하여 실시하면 되므로 매우 간단하게 콘크리트 구조물의 층수를 올릴 수 있다. 예를 들어, S40 단계 내지 S60 단계에 따라 제3 모듈형 코어 유닛(300)을 구성하여 제2 모듈형 코어 유닛(200) 위로 적층하여 설치하게 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3층으로 이루어진 콘크리트 구조물이 형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코어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에 의하면 모듈형 코어 유닛을 한 번에 제작하는 것이 아니라 모듈형 코어 유닛을 구성하는 각각의 벽체별로 제작할 수 있으므로 제작이 용이한 이점이 있고, 이렇게 제작된 모듈형 코어 유닛의 벽체들이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운반될 수 있으므로 운반작업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각각의 벽체들을 이용하여 모듈형 코어 유닛을 구성하는 경우 인접한 벽체들의 마주보는 벽면에 홈이 형성되어 있고 홈에 루프가 매립되어 있어서 인접한 벽체들이 루프가 중첩되는 공간에 보강 철근이 삽입된 상태에서 콘크리트가 타설되므로 인접한 벽체들이 서로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듈형 코어 유닛을 이용하는 경우 모듈형 코어 유닛의 내부 구조를 형성하는 계단이나 슬래브 등도 별도로 제작 및 운반하여 모듈형 코어 유닛의 벽체들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내부 구조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고 내부 구조를 형성하는 각각의 구성의 제작 및 운반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여러개의 모듈형 코어 유닛을 적층할 경우에 월슈, 앵커링 커플러, 연결봉, 너트, 와셔 등을 이용하여 상부의 모듈형 코어 유닛과 하부의 모듈형 코어 유닛을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모듈형 코어 유닛의 벽체의 일부분에 돌출부와 함몰부를 형성함으로써 상부 모듈형 코어 유닛의 함몰부로 하부 모듈형 코어 유닛의 돌출부가 삽입됨으로써 상하부 모듈형 코어 유닛의 위치가 더욱 더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 전방 벽체 30: 후방 벽체
50: 좌측 벽체 70: 우측 벽체
11: 월슈 12: 앵커링 커플러
13: 홈 14: 루프
15: 돌출부 16: 함몰부
100: 제1 모듈형 코어 유닛 200: 제2 모듈형 코어 유닛
300: 제3 모듈형 코어 유닛 500: 연결봉
50: 좌측 벽체 70: 우측 벽체
11: 월슈 12: 앵커링 커플러
13: 홈 14: 루프
15: 돌출부 16: 함몰부
100: 제1 모듈형 코어 유닛 200: 제2 모듈형 코어 유닛
300: 제3 모듈형 코어 유닛 500: 연결봉
Claims (12)
- 복수의 벽체들에 의해 둘러싸인 구조를 가지는 모듈형 코어 유닛에 있어서,
상기 모듈형 코어 유닛을 그 하부에 위치하는 다른 모듈형 코어 유닛이나 베이스와 체결하기 위하여 각각의 벽체의 하부에 매립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월슈;
상기 모듈형 코어 유닛을 그 상부에 위치하는 다른 모듈형 코어 유닛이나 덮개와 체결하기 위하여 상기 월슈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각각의 벽체의 상부에 매립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앵커링 커플러;
각각의 벽체에서 인접한 벽체의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벽체의 종방향을 따라서 소정 간격마다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루프; 및
인접한 벽체들의 루프들의 중첩에 의해 생기는 루프들 사이의 공간을 관통함으로써 인접한 벽체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복수의 보강 철근;을 포함하고,
상기 벽체의 종방향을 따라서 소정 간격마다 설치되어 있는 루프는 상기 벽체의 내측으로 함몰된 종방향의 홈 내부에 일부분이 매립되어 있으며,
상기 루프는 상기 홈 내부에 매립되는 받침대와 받침대를 관통하여 고리를 형성하는 케이블을 포함하고,
받침대는 직육면체의 통 모양을 가지되, 고리가 형성되는 전면부분이 개방되서 상자와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케이블로 구성되는 고리부분을 접어서 받침대 내부로 수용할 수 있으며,
상기 모듈형 코어 유닛은 그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다른 모듈형 코어 유닛과 나사산이 형성된 연결봉을 매개로 연결되며,
상기 월슈는 상기 연결봉과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너트 및 와셔를 수용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앵커바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의 하면부에는 상기 연결봉이 통과하도록 관통된 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브라켓의 전면부는 개방된 개구부로 형성되며,
상기 벽체들 중 적어도 일부는 상부에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벽체들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돌출부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벽체의 하부에 함몰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부와 함몰부는 서로 끼워맞춰질 수 있도록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앵커링 커플러의 내주면에는 상기 연결봉의 나사산과 체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앵커링 커플러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앵커부재를 더 포함하고,
연결봉에는 2개의 나사가 서로 맞물리게 결합되면서, 2개의 나사가 연결봉에서 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코어 유닛.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복수의 벽체들에 의해 둘러싸인 구조를 가지는 모듈형 코어 유닛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에 있어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기초가 되는 베이스를 형성하는 단계;
각각의 벽체를 연결하여 모듈형 코어 유닛을 구성하는 단계;
모듈형 코어 유닛을 베이스에 설치하는 단계;
각각의 벽체를 연결하여 또 하나의 모듈형 코어 유닛을 구성하고 이를 기설치된 모듈형 코어 유닛의 상부에 심플레이트들을 매개로 하여 적층하는 단계;
적층된 상부 모듈형 코어 유닛의 벽체에 매립된 월슈와 하부 모듈형 코어 유닛의 벽체의 상부에 매립된 앵커링 커플러를 나사산이 형성된 연결봉 및 적어도 하나의 너트와 와셔를 이용하여 체결하는 단계;
적층된 상부 모듈형 코어 유닛과 하부 모듈형 코어 유닛의 각각의 벽체 사이의 틈 및 월슈의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및
목표로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층수에 따라 상기 적층하는 단계와 상기 체결하는 단계 및 상기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벽체는 인접한 벽체의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벽체의 종방향을 따라서 소정 간격마다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루프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각각의 벽체를 연결하는 것은, 각각의 인접한 벽체들의 루프들의 중첩에 의해 생기는 루프들 사이의 공간에 보강 철근을 관통시키고,
상기 벽체의 종방향을 따라서 소정 간격마다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루프는 상기 벽체의 내측으로 함몰된 종방향의 홈 내부에 일부분이 매립되어 있으며,
상기 루프는 상기 홈 내부에 매립되는 받침대와 받침대를 관통하여 고리를 형성하는 케이블을 포함하며,
받침대는 직육면체의 통 모양을 가지되, 고리가 형성되는 전면부분이 개방되서 상자와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케이블로 구성되는 고리부분을 접어서 받침대 내부로 수용할 수 있으며,
상기 월슈는 상기 연결봉과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너트 및 와셔를 수용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앵커바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의 하면부에는 상기 연결봉이 통과하도록 관통된 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브라켓의 전면부는 개방된 개구부로 형성되며,
상기 앵커링 커플러의 내주면에는 상기 연결봉의 나사산과 체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앵커링 커플러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앵커부재를 더 포함하며,
연결봉에는 2개의 나사가 서로 맞물리게 결합되면서, 2개의 나사가 연결봉에서 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코어 유닛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07609A KR102636743B1 (ko) | 2022-01-19 | 2022-01-19 | 모듈형 코어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07609A KR102636743B1 (ko) | 2022-01-19 | 2022-01-19 | 모듈형 코어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11756A KR20230111756A (ko) | 2023-07-26 |
KR102636743B1 true KR102636743B1 (ko) | 2024-02-14 |
Family
ID=87427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07609A KR102636743B1 (ko) | 2022-01-19 | 2022-01-19 | 모듈형 코어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36743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78611B1 (ko) * | 2014-05-13 | 2015-01-02 | 정도건설 주식회사 | 기둥 주체 조립식 풀 피씨 계단실의 시공방법 |
KR101647784B1 (ko) * | 2016-04-29 | 2016-08-23 | 신성구조이엔지 주식회사 | 레고형 pc 하우스 |
KR101709858B1 (ko) * | 2015-07-30 | 2017-02-23 |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 기초 일체형 pc 벽체를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방법 |
KR102050046B1 (ko) * | 2017-12-15 | 2019-11-28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장부이음을 갖는 분절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를 이용한 건축물 코어 시스템 |
KR102105457B1 (ko) * | 2018-05-29 | 2020-04-28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코너부에 접합철물을 갖는 박스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모듈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코어 시스템 시공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83550B1 (ko) | 2011-10-25 | 2013-07-15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전단키 결합방식의 조립식 프리캐스트 패널, 이를 이용한 벽체 및 그 시공방법 |
-
2022
- 2022-01-19 KR KR1020220007609A patent/KR10263674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78611B1 (ko) * | 2014-05-13 | 2015-01-02 | 정도건설 주식회사 | 기둥 주체 조립식 풀 피씨 계단실의 시공방법 |
KR101709858B1 (ko) * | 2015-07-30 | 2017-02-23 |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 기초 일체형 pc 벽체를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방법 |
KR101647784B1 (ko) * | 2016-04-29 | 2016-08-23 | 신성구조이엔지 주식회사 | 레고형 pc 하우스 |
KR102050046B1 (ko) * | 2017-12-15 | 2019-11-28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장부이음을 갖는 분절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를 이용한 건축물 코어 시스템 |
KR102105457B1 (ko) * | 2018-05-29 | 2020-04-28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코너부에 접합철물을 갖는 박스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모듈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코어 시스템 시공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11756A (ko) | 2023-07-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32615B1 (ko) | 기둥 및 보의 맞춤연결을 위한 독립기본구조물 | |
US20070017176A1 (en) | Masonry wall system | |
KR20200091191A (ko) | 콘크리트 측압 방지막이 구비된 일체형 pc 패널 구조물 | |
KR20190072334A (ko) | 장부이음을 갖는 분절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를 이용한 건축물 코어 시스템 | |
KR102636743B1 (ko) | 모듈형 코어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 |
JP7356951B2 (ja) | 梁構造およびその構築方法 | |
JP2022184607A (ja) | 居住空間ユニット及び居住空間ユニットが組み込まれる建築物の建築方法 | |
KR100245056B1 (ko) | 철근콘크리트기둥용 기성철근조립체 및 그를 이용한 기둥의 시공방법 | |
JP7169152B2 (ja) |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継手構造 | |
KR101576224B1 (ko) | 건축물 시공용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거더 | |
KR20170142384A (ko) | 기둥 및 보의 맞춤연결을 위한 독립기본구조물 | |
KR101324884B1 (ko) | 습식공법과 건식공법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건축 시공방법 | |
JPH0882002A (ja) | Rc構造物およびその構築方法 | |
JP2011089390A (ja) | 隅角部の剛結構造 | |
JPH0219432Y2 (ko) | ||
KR20230111761A (ko) | 프리캐스트 더블월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벽체 시공방법 | |
KR102376382B1 (ko) | 기둥 및 보의 맞춤연결을 위한 독립기본구조물 | |
US20210095466A1 (en) | Demountable floor construction | |
KR100557334B1 (ko) | 무해체 계단 거푸집 | |
JP2977367B2 (ja) | ユニット式建物用の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基礎 | |
JP2006283317A (ja) |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版を使用した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ート床板及びその構築方法 | |
KR102533394B1 (ko) | 매립 앵커 장치 | |
JPH1061100A (ja) |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構造部材の施工法 | |
KR102489817B1 (ko) | 피씨 구조물용 보 및 이를 구비한 피씨 구조물 | |
KR102644063B1 (ko) | 교량 슬래브 시공용 트러스 거더 거푸집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