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8830B1 - 조립식 암거박스의 접합구조 - Google Patents

조립식 암거박스의 접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8830B1
KR101358830B1 KR1020130076980A KR20130076980A KR101358830B1 KR 101358830 B1 KR101358830 B1 KR 101358830B1 KR 1020130076980 A KR1020130076980 A KR 1020130076980A KR 20130076980 A KR20130076980 A KR 20130076980A KR 101358830 B1 KR101358830 B1 KR 101358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lvert
key
culvert box
box
joi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6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제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구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구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구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30076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88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8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883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6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in foundation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04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 E21D11/08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with preformed concrete slabs
    • E21D11/083Methods or devices for joining adjacent concrete seg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02D2300/0034Steel; Iron in wire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암거박스의 접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암거박스 전면의 각 우각부에 접합부 보강키를 일체로 구비하여, 복수의 암거박스를 서로 연결 접합하는 과정에서, 암거박스의 우각부에 구비된 접합부 보강키 통해 암거박스 간의 접합부위를 보강함으로써, 접합부위의 우각부에 가장 크게 작용하는 전단력 및 휨모멘트를 감소시켜 안정적인 접합구조를 형성하며, 또한 암거박스의 사용 중에 강선의 긴장력이 소실되어 강선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접합부 보강키가 강선을 지지하며 암거박스 간의 접합부위를 강결함으로써, 접합부위를 보호하는 동시에 암거박스 간의 결합력을 유지시킬 수 있어 구조적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조립식 암거박스의 접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조립식 암거박스의 접합구조에 있어서, 내부가 관통된 사각관으로 형성되어 서로 연통되게 연결되는 복수의 암거박스와; 상기 복수의 암거박스 네 귀퉁이의 우각부를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복수의 암거박스를 서로 당겨 접합시키는 강선; 및 상기 암거박스 간의 접합부위에서 네 귀퉁이의 우각부에 구비되어, 상기 강선을 지지하며 상기 접합부위를 강결하는 접합부 보강키;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접합부 보강키를 통해 우각부를 관통하는 강선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암거박스에서 최대 휨모멘트가 작용하는 우각부에서의 암거박스 간의 결합력을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식 암거박스의 접합구조{Connecting structure of precast box culverts}
본 발명은 조립식 암거박스의 접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암거박스 전면의 각 우각부에 접합부 보강키를 일체로 구비하여, 복수의 암거박스를 서로 연결 접합하는 과정에서, 암거박스의 우각부에 구비된 접합부 보강키 통해 암거박스 간의 접합부위를 보강함으로써, 접합부위의 우각부에 가장 크게 작용하는 전단력 및 휨모멘트를 감소시켜 안정적인 접합구조를 형성하며, 또한 암거박스의 사용 중에 강선의 긴장력이 소실되어 강선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접합부 보강키가 강선을 지지하며 암거박스 간의 접합부위를 강결함으로써, 접합부위를 보호하는 동시에 암거박스 간의 결합력을 유지시킬 수 있어 구조적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조립식 암거박스의 접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암거박스는 하수도관, 배수관, 농업용수관, 취수관, 전력구, 통신구 또는 공동구 등으로 사용되는 콘크리트 구조물로서, 이러한 암거박스는 대부분 인건비 경감과 공기 단축을 위하여 공장에서 생산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recast Concrete) 제품을 현장으로 운반하여 현장에서 연결하여 접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조립식으로 구성되는 암거박스는 복수의 암거박스를 서로 연결 접합하여 구성함에 따라 상재하중 또는 지반침하 등의 요인으로 인해 암거박스 간의 접합부위가 취약한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현장에서 상호 인접하게 설치된 암거박스들의 연결부에 강선을 통과시켜 긴장시킴으로써 긴장력(Prestress Force)을 도입하여 상호 연결 접합하도록 하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강선을 이용하여 암거박스를 연결 접합시키는 구조는 암거박스의 사용중 강선의 노후 등으로 인해 긴장력이 소실되어 강선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하는 경우, 상재하중 또는 지반침하 등의 요인이 발생할 시 암거박스의 접합부위가 벌어지거나 균열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강선을 이용하여 긴장력을 도입하면서 암거박스 간의 접합부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재를 추가로 구비하여 암거박스를 연결 접합하는 구조가 개발되어 사용하고 있다.
즉, 상기와 같은 보강부재를 이용하는 종래기술로는, 한국등록실용신안 제157898호에서 암거박스의 전면 및 후면에 아이볼트를 구비하여 암거박스 간의 연결 접합시, 암거박스의 전면에 구비된 아이볼트를 다른 암거박스의 후면에 구비된 아이볼트에 중첩시키고 강봉을 삽입하여 체결한 후, 모르타르를 채움으로써 암거박스 간의 접합부위를 보강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한국등록실용신안 제450841호에서는 암거박스가 상호 접합되는 접합면에 삽입홈을 형성하고 삽입홈에 별도의 앵커바를 체결한 후 충진재를 채움으로써, 암거박스 간의 접합부위를 보강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한국등록실용신안 제157898호와 같이 아이볼트를 이용하여 암거박스 간의 접합부위를 보강하는 구조는, 강봉을 이용하여 아이볼트를 조립하는 별도의 공정이 소요되어 시공시간이 길어지며, 재료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한국등록실용신안 제450841호와 같이 암거박스가 상호 접합되는 접합면에 별도의 앵커바를 체결하여 접합부위를 보강하는 구조는, 시공 과정에서 암거박스의 접합면 마다 작업자가 일일이 앵커바를 결합시켜야 하고, 암거박스 간의 접합면이 어긋나 있을 시에는 접합부 보강키를 결합시키는데 어려움이 따르게 되어 시공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한국등록실용신안 제157898호 및 한국등록실용신안 제450841호는 아이볼트 및 앵커바 등의 보강부재가 암거박스의 상·하판부 또는 벽체부에 구비되어 있어, 암거박스의 사용중 강선의 긴장력이 소실되는 경우, 암거박스 간의 접합부위에서 가장 큰 휨모멘트가 작용하는 우각부가 취약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암거박스 전체 경로를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처짐에 따른 휨 모멘트에 대해 충분한 저항을 제공하지 못하여 암거박스 간의 접합부위에 균열이 발생하거나 벌어지는 문제점이 생길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암거박스 전면의 각 우각부에 접합부 보강키를 일체로 구비하여, 복수의 암거박스를 서로 연결 접합하는 과정에서, 암거박스의 우각부에 구비된 접합부 보강키 통해 암거박스 간의 접합부위를 보강함으로써, 접합부위의 우각부에 가장 크게 작용하는 전단력 및 휨모멘트를 감소시켜 안정적인 접합구조를 형성하며, 또한 암거박스의 사용 중에 강선의 긴장력이 소실되어 강선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접합부 보강키가 강선을 지지하며 암거박스 간의 접합부위를 강결함으로써, 접합부위를 보호하는 동시에 암거박스 간의 결합력을 유지시킬 수 있어 구조적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조립식 암거박스의 접합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조립식 암거박스의 접합구조에 있어서, 내부가 관통된 사각관으로 형성되어 서로 연통되게 연결되는 복수의 암거박스와; 상기 복수의 암거박스 네 귀퉁이의 우각부를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복수의 암거박스를 서로 당겨 접합시키는 강선; 및 상기 암거박스 간의 접합부위에서 네 귀퉁이의 우각부에 구비되어, 상기 강선을 지지하며 상기 접합부위를 강결하는 접합부 보강키;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접합부 보강키를 통해 우각부를 관통하는 강선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암거박스에서 최대 휨모멘트가 작용하는 우각부에서의 암거박스 간의 결합력을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암거박스의 접합구조는 강선을 인장하여 복수의 암거박스를 상호 연결 접합하는 과정에서, 암거박스의 우각부에 구비된 접합부 보강키를 통해 암거박스 간의 접합부위에서 강선을 지지하며 상기 접합부위를 보강함에 따라, 강선과 함께 접합부 보강키가 암거박스 간의 접합부에서 침하에 대한 저항력을 증가시켜 침하 발생에 의해 접합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우각부에 작용하는 전단력과 휨모멘트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암거박스의 사용 중에 강선의 긴장력이 소실되어 강선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우각부에 설치된 접합부 보강키가 암거박스 간의 접합부위를 강결함으로써, 휨모멘트가 가장 크게 작용하는 우각부측의 접합부위를 보강하여 상기 접합부위를 보호하는 동시에, 암거박스 간의 결합력을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암거박스에서 접합부위의 상부 외면 및 하부 내면에 각각 접합 플레이트를 체결하여 접합부위를 보강함으로써, 하중에 의해 암거박스의 접합부위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의 암거박스를 연결 접합시키는 과정에서, 암거박스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형성된 침하방지키 및 소켓홈을 상호 결합하여 암거박스를 연결 접합시킴으로써, 암거박스 주변의 지반 침하에 의해 암거박스가 뒤틀리거나 내려앉는 부등침하 현상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암거박스의 접합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암거박스의 정단면도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암거박스에서 접합부 보강키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접합부 보강키를 이용한 암거박스의 접합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암거박스에 추가로 구비되는 접합 플레이트의 체결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암거박스에 침하방지키 및 소켓홈이 추가로 형성된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한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암거박스의 접합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암거박스의 접합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암거박스의 접합구조는, 내부가 관통된 사각관으로 형성되어 서로 연통되게 연결되는 복수의 암거박스(10)와; 복수의 암거박스(10) 네 귀퉁이의 우각부를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여 복수의 암거박스(10)를 서로 당겨 접합시키는 강선(20)과; 암거박스(10) 전면의 각 우각부에 일체로 구비되어, 상호 연결되는 다른 암거박스(10)의 후면에 결합됨으로써, 암거박스(10) 간의 접합부위에서 강선(20)을 지지하며 접합부위를 강결하는 접합부 보강키(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암거박스(10)는 내부가 관통된 사각관으로서, 상판부(11), 하판부(12) 및 벽체부(13)가 일체로 구성되며 내측에 관로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암거박스(10)는 하수도관, 배수관, 농업용수관, 취수관, 전력구, 통신구 또는 공동구 등의 시설물 설치공사에 이용되는데, 통상 프리캐스트 공정으로 제작된 콘크리트 암거박스를 공사 현장으로 운송하여, 현장에서 복수의 암거박스를 관로 방향으로 서로 연통되게 연결 접속하고 지중에 매설하여 시공하고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이 일체형 사각관으로 형성된 암거박스(10)는 구조물 상부의 상재하중(차량, 토사 등)이 상판부(11)에 작용하여, 상기 하중이 상판부(11) 양단의 우각부를 통해 벽체부(13)에 전달되고 하판부(12)를 통해 지지기반에 전달되는 구조로서, 가장 큰 작용력인 휨모멘트가 벽체부(13) 양단의 우각부에 작용하게 되어 안정적인 구조물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암거박스(10)에서 상판부(11), 하판부(12) 및 벽체부(13)의 연결부위에는 내측으로 헌치부(14)가 형성되어, 우각부에 작용하는 휨모멘트에 대한 강성을 보강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헌치부(14)는 상판부(11), 하판부(12) 및 벽체부(13)의 연결부위 단면을 내측방향으로 증가시켜 형성되며, 이러한 헌치부(14)를 포함한 암거박스(10)의 네 귀퉁이 부분을 우각부라 지칭한다.
또한, 상기 암거박스(10)에서 각각의 우각부 내부에는 강선(20) 설치를 위한 쉬스관(15)이 암거박스(10)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여 구비된다.
이에 따라, 복수의 암거박스(10)를 상호 연결하여 접합할 시, 복수의 암거박스(10)를 서로 연통되게 관로 방향으로 연결하고, 각 암거박스(10)의 우각부 내에 구비된 쉬스관(15)에 강선(20)을 통과시킨 후 인장하여 복수의 암거박스(10)를 서로 접합시키게 된다.
이때, 암거박스(10)에서 강선(20)이 통과하는 우각부는 휨모멘트가 최대로 작용하는 부분으로서, 강선의 긴장력이 약해지게 되는 경우에는 우각부측 접합부위가 취약해져 상재하중 또는 지반침하 등의 요인이 발생할 시 암거박스의 접합부위가 벌어지거나 균열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암거박스(10) 전면의 각 우각부에 접합부 보강키(30)를 구비하여, 상기 접합부 보강키(30)를 통해 암거박스(10) 간의 접합부위에서 강선(20)을 지지하며 접합부위를 보강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암거박스에서 접합부 보강키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접합부 보강키를 이용한 암거박스의 접합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부 보강키(30)는 핀 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앙에 강선(20)이 통과하는 강선 지지공(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암거박스 전면의 각 우각부(16)에 일체로 매립되어 일단부가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접합부 보강키(30)는 암거박스를 양산하는 과정에서 암거박스의 우각부(16)에 내장된 철근(18)과 연결되어 우각부(16)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으며, 우각부(16) 내부의 쉬스관(15)과 연통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암거박스의 후면의 각 우각부(17)에는 접합부 보강키(30)의 돌출된 일단부가 삽입되며 쉬스관(15)과 연통하는 키결합홈(40)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이 접합부 보강키(30)를 암거박스 전면 우각부(16)에 일체로 구비하는 이유는, 암거박스 간 연결 접합하는 시공을 간편하게 하기 위함이다.
즉, 접합부 보강키가 별도로 구비되어 있는 경우, 암거박스의 연결부위 마다 작업자가 일일이 접합부 보강키를 결합시켜야 하고, 암거박스 간의 연결부위가 어긋나 있을 시에는 접합부 보강키를 결합시키는데 어려움이 따르게 되어 시공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생기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암거박스를 상호 연결 접합하기 위해 쉬스관(15)에 강선(20)을 통과시키는 과정에서, 강선(20)이 암거박스의 전면에 구비된 접합부 보강키(30)의 강선 지지공(31)과 암거박스의 후면에 형성된 키결합홈(40)을 통과하게 되며,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선(20)을 인장하여 복수의 암거박스를 서로 접합시키는 과정에서 암거박스 전면의 각 우각부(16)에 돌출 구비된 접합부 보강키(30)가 다른 암거박스 후면의 각 우각부(17)에 형성된 키결합홈(40)에 삽입되어, 이와 같은 방법으로 복수의 암거박스(10)를 연결 접합시키게 된다.
이때,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암거박스를 상호 접합시킨 후에는 접합부 보강키(30)가 삽입된 키결합홈(40)의 틈새에 충진재(M)를 충진하여 경화시킴으로써, 상기 접합부 보강키(30)와 키결합홈(40)의 연결부위를 강건하게 접합시킬 수 있다.
또한, 키결합홈(40)의 둘레 또는 접합부 보강키(30)의 둘레에 패킹(P)을 구비하여, 상기와 같이 접합부 보강키(30)가 삽입된 키결합홈(40)의 틈새에 충진재(M)를 충진하는 과정에서 충진재(M)과 외부로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하며, 외부로부터 쉬스관(15)으로 물이나 다른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암거박스의 접합구조는 강선(20)을 인장하여 복수의 암거박스(10)를 상호 연결 접합하는 과정에서 암거박스(10)의 우각부에 구비된 접합부 보강키(30) 통해 강선(20)을 지지하면서 가장 큰 휨모멘트를 받는 우각부측 접합부위를 보강함에 따라, 암거박스(10)의 사용중 외부충격 또는 강선의 노후로 인해 강선(20)의 긴장력이 약해지거나 소실되는 경우에도, 암거박스(10)의 우각부에 구비된 접합부 보강키(30)가 암거박스(10) 간의 접합부위를 강결함으로써, 상기 접합부위를 보호하는 동시에, 암거박스(10) 간의 결합력을 유지시킬 수 있다.
즉, 암거박스(10)는 상판부에 작용하는 상재하중이 각 우각부에 전달됨에 따라 우각부에 가장 큰 휨모멘트가 작용하게 되며, 이때 암거박스 간 우각부를 관통하여 복수의 암거박스(10)를 상호 연결 접합시키는 강선(20)의 긴장력이 약해지게 되면, 우각부에 작용하는 휨모멘트에 대한 저항력이 떨어지게 되어 암거박스(10) 간의 접합부위가 벌어지거나 균열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암거박스(10) 전면의 각 우각부에 접합부 보강키(30)를 일체로 구비하여, 암거박스(10) 간의 접합시 암거박스(10) 전면의 각 우각부에 구비된 접합부 보강키(30)가 다른 암거박스(10) 후면의 각 우각부에 결합됨으로써, 전단력 및 휨모멘트에 취약한 암거박스(10) 간 우각부측 접합부위를 보강하고 있다.
이때, 접합부 보강키(30)에 형성된 강선 지지공(31)에 강선(20)을 통과시켜 지지함으로써 강선(20)을 보호할 수 있고, 접합부 보강키(30)가 삽입된 키결합홈(40)의 틈새에 충진재(M)를 충진하여 키결합홈(40)에 접합부 보강키(30)를 접합시켜 암거박스(10) 간의 결합력을 증대시킴으로써 암거박스(10)에서 우각부에 작용하는 전단력과 휨모멘트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강선(20)과 함께 접합부 보강키(30)가 암거박스(10) 간의 접합부에서 침하에 대한 저항력을 증가시켜 침하 발생에 의해 접합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강선(20) 및 접합부 보강키(30)를 통해 상호 연결 접합되는 암거박스의 접합구조는 상재하중에 의한 휨모멘트의 작용시 우각부는 강건하게 결합되지만, 상재하중이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암거박스(10)의 상판부(11) 및 하판부(12) 쪽의 접합부위는 취약할 수 있어, 암거박스(10)의 상판부(11) 및 하판부(12) 쪽의 접합부위에 추가로 접합 플레이트(50)를 체결하여 암거박스(10) 간의 접합력을 더욱 보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암거박스에 추가로 구비되는 접합 플레이트의 체결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선(20) 및 접합부 보강키(30)를 통해 상호 접합된 복수의 암거박스(10)에서 접합부위의 상부 외면 및 하부 내면 모서리 중앙부에는 각각 접합 플레이트(50)를 체결함으로써, 암거박스(10) 간의 접합부위를 더욱 보강할 수 있다.
즉, 각 암거박스(10)의 상판부(11) 및 하판부(12) 쪽의 접합부위에 각각 접합 플레이트(50)가 안착되는 플레이트 결합홈(60)이 형성되어 있어, 상술한 바와 같이 강선(20) 및 접합부 보강키(30)를 통해 상호 접합된 복수의 암거박스(10)에서 상기 플레이트 결합홈(60)에 접합 플레이트(50)를 안착시키고 상호 접속된 암거박스(10)를 결합하도록 상기 접합 플레이트(50)에 볼트 체결함으로써, 암거박스(10) 간의 접합부위를 보강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접합 플레이트(50)의 체결이 완료된 후에는 플레이트 결합홈(60)에 충진재(M)를 충진하고 경화시켜 암거박스(10) 간의 접합부위를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암거박스(10)의 상판부(11) 및 하판부(12) 쪽의 접합부위에 각각 접합 플레이트(50)를 체결하여 접합부위를 보강함으로써, 상판부(11) 및 하판부(12) 쪽의 접합부위가 휨모멘트에 의해 변형되는 방지할 수 있다.
즉, 암거박스(10)를 시공함에 있어, 하중이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암거박스(10)의 상판부(11) 및 하판부(12) 쪽에는 접합부위가 취약해질 수 있는데, 상기와 같이 접합 플레이트(50)를 통해 암거박스(10)의 상판부(11) 및 하판부(12) 쪽의 접합부위를 보강함으로써 접합부위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암거박스(10)의 전면 및 후면에는 각각 지반 침하 발생시 암거박스(10)가 뒤틀리거나 내려앉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침하방지키(70)와 소켓홈(80)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암거박스에 침하방지키 및 소켓홈이 추가로 형성된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거박스(10)의 전면 양측 모서리에는 각각 침하방지키(70)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암거박스(10)의 후면 양측 모서리에는 침하방지키(70)에 대응하는 형상의 소켓홈(80)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 침하방지키(70) 및 소켓홈(80)은 암거박스(10) 벽체부(13)의 폭과 대응하는 폭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복수의 암거박스(10)를 연결 접합시키는 과정에서, 암거박스(10)의 후면에 형성된 소켓홈(80)에 다른 암거박스(10)의 전면에 형성된 침하방지키(70)를 결합시키며, 이에 따라 암거박스(10) 주변의 지반 침하에 의해 암거박스(10)가 뒤틀리거나 내려앉는 부등침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암거박스의 접합구조는 강선을 인장하여 복수의 암거박스를 상호 연결 접합하는 과정에서, 암거박스의 우각부에 구비된 접합부 보강키 통해 강선을 지지하면서 가장 큰 휨모멘트를 받는 우각부측 접합부위를 보강함에 따라, 암거박스의 사용중 강선의 긴장력이 약해지거나 소실되는 경우에도, 암거박스의 우각부에 구비된 접합부 보강키가 암거박스 간의 접합부위를 강결함으로써, 접합부위를 보호하는 동시에, 암거박스 간의 결합력을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중이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암거박스의 상부판 및 하부판 쪽의 접합부위에 접합 플레이트를 체결하여 접합부위를 보강함으로써, 하중에 의해 암거박스의 접합부위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의 암거박스를 연결 접합시키는 과정에서, 암거박스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형성된 침하방지키 및 소켓홈을 상호 결합하여 암거박스를 연결 접합시킴으로써, 암거박스 주변의 지반 침하에 의해 암거박스가 뒤틀리거나 내려앉는 부등침하 현상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10 : 암거박스 11 : 상판부
12 : 하판부 13 : 벽체부
14 : 헌치부 15 : 쉬스관
16 : 암거박스 전면 우각부 17 : 암거박스 후면 우각부
18 : 철근 20 : 강선
30 : 접합부 보강키 31 : 강선 지지공
40 : 키결합홈 50 : 접합 플레이트
60 : 플레이트 결합홈 70 : 침하방지키
80 : 소켓홈 M : 충진재
P : 패킹

Claims (7)

  1. 조립식 암거박스의 접합구조에 있어서,
    내부가 관통된 사각관으로 형성되어 서로 연통되게 연결되는 복수의 암거박스와;
    상기 복수의 암거박스에 구비되는 쉬스관을 통해, 상기 복수의 암거박스 네 귀퉁이의 우각부를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복수의 암거박스를 서로 당겨 접합시키는 강선; 및
    상기 암거박스 간의 접합부위에서 네 귀퉁이의 우각부에 구비되어, 상기 강선을 지지하며 상기 접합부위를 강결하는 접합부 보강키;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접합부 보강키는,
    핀 형상으로 중앙에 상기 강선이 통과하는 강선 지지공이 형성되며, 상기 암거박스에 내장된 철근에 연결되어 상기 강선 지지공이 우각부 내부의 쉬스관과 연통하도록 상기 암거박스 전면의 각 우각부에 일체로 매립되어 일단부가 돌출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암거박스 후면의 각 우각부에는,
    접합부 보강키의 돌출된 일단부가 삽입되는 키결합홈이 형성되어, 암거박스의 조립시, 상기 접합부 보강키가 상기 키결합홈에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상기 접합부 보강키를 통해 쉬스관을 따라 우각부를 관통하는 강선을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암거박스에서 최대 휨모멘트가 작용하는 우각부에서 강선의 긴장력을 지지하고, 접합부위에서의 강선의 손상을 방지하는 동시에, 암거박스 간의 결합력을 보강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암거박스 간의 접합부위 상부 외면 및 하부 내면 모서리 중앙부에는,
    접합 플레이트가 안착되는 플레이트 결합홈이 각각 형성되어, 접합 플레이트를 상기 플레이트 결합홈에 안착시켜 체결한 후, 상기 플레이트 결합홈에 충진재를 충진함으로써 상기 암거박스 간의 접합부위의 결합을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암거박스의 접합구조.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 보강키가 키결합홈에 삽입된 이후,
    상기 키결합홈에 충진재를 충진함으로써 상기 접합부 보강키와 키결합홈의 연결부위를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암거박스의 접합구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키결합홈의 둘레에는,
    상기 충진재가 외부로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패킹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암거박스의 접합구조.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암거박스의 전면 양측 모서리에는 각각 침하방지키가 돌출 형성되고,
    후면 양측 모서리에는 침하방지키에 대응하는 형상의 소켓홈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암거박스 간의 연결 접합시, 상기 침하방지키와 소켓홈이 상호 맞물리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암거박스의 접합구조.
KR1020130076980A 2013-07-02 2013-07-02 조립식 암거박스의 접합구조 Active KR1013588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6980A KR101358830B1 (ko) 2013-07-02 2013-07-02 조립식 암거박스의 접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6980A KR101358830B1 (ko) 2013-07-02 2013-07-02 조립식 암거박스의 접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8830B1 true KR101358830B1 (ko) 2014-02-11

Family

ID=50269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6980A Active KR101358830B1 (ko) 2013-07-02 2013-07-02 조립식 암거박스의 접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8830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48375A (zh) * 2017-05-15 2017-07-14 哈尔滨工业大学 一种预制综合管廊钢板混凝土连接结构
CN108774960A (zh) * 2018-08-30 2018-11-09 中铁六局集团广州工程有限公司 一种钢筋混凝土管节及供排水涵管
KR20190089015A (ko) * 2016-11-23 2019-07-29 하이퍼루프 테크놀로지스 인코퍼레이티드 모듈식 밀폐형 수송 구조체 및 일체형 트랙 조립체
KR102077960B1 (ko) * 2019-06-04 2020-02-14 동아산업(주) 꺽쇠 조인트로 결합되는 pc 암거 박스 및 이의 시공 방법
CN111305267A (zh) * 2020-03-27 2020-06-19 深圳市市政设计研究院有限公司 Uhpc预制拼装综合管廊平曲线连接节段构造及施工方法
CN112253166A (zh) * 2020-10-23 2021-01-22 中铁工程装备集团有限公司 一种预制管节间联结装置及其应用的施工方法
KR20210092369A (ko) * 2020-01-15 2021-07-2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현장 조립 기반 콘크리트 박스 거더 어셈블리, 그 박스 거더 어셈블리를 적용한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240068280A (ko) 2022-11-10 2024-05-17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절곡형 차수판과 수팽창 지수형 실란트를 활용한 일체형 pc 지하구조물의 접합부 방수 시공 방법 및 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697B1 (ko) * 2007-04-03 2008-01-03 주식회사 지구코퍼레이션 인터록킹 소켓형 콘크리트 암거
KR101021184B1 (ko) * 2009-02-03 2011-03-15 이 상 철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 암거 연결구조 및 시공방법
KR101027078B1 (ko) * 2010-07-30 2011-04-05 아이에스동서 주식회사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KR20120134677A (ko) * 2011-06-03 2012-12-12 (주) 경화엔지니어링 전단연결재가 보강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및 암거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697B1 (ko) * 2007-04-03 2008-01-03 주식회사 지구코퍼레이션 인터록킹 소켓형 콘크리트 암거
KR101021184B1 (ko) * 2009-02-03 2011-03-15 이 상 철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 암거 연결구조 및 시공방법
KR101027078B1 (ko) * 2010-07-30 2011-04-05 아이에스동서 주식회사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KR20120134677A (ko) * 2011-06-03 2012-12-12 (주) 경화엔지니어링 전단연결재가 보강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및 암거의 시공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9015A (ko) * 2016-11-23 2019-07-29 하이퍼루프 테크놀로지스 인코퍼레이티드 모듈식 밀폐형 수송 구조체 및 일체형 트랙 조립체
KR102444207B1 (ko) * 2016-11-23 2022-09-19 하이퍼루프 테크놀로지스 인코퍼레이티드 모듈식 밀폐형 수송 구조체 및 일체형 트랙 조립체
CN106948375A (zh) * 2017-05-15 2017-07-14 哈尔滨工业大学 一种预制综合管廊钢板混凝土连接结构
CN108774960A (zh) * 2018-08-30 2018-11-09 中铁六局集团广州工程有限公司 一种钢筋混凝土管节及供排水涵管
KR102077960B1 (ko) * 2019-06-04 2020-02-14 동아산업(주) 꺽쇠 조인트로 결합되는 pc 암거 박스 및 이의 시공 방법
KR20210092369A (ko) * 2020-01-15 2021-07-2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현장 조립 기반 콘크리트 박스 거더 어셈블리, 그 박스 거더 어셈블리를 적용한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294896B1 (ko) 2020-01-15 2021-08-3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현장 조립 기반 콘크리트 박스 거더 어셈블리, 그 박스 거더 어셈블리를 적용한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N111305267A (zh) * 2020-03-27 2020-06-19 深圳市市政设计研究院有限公司 Uhpc预制拼装综合管廊平曲线连接节段构造及施工方法
CN112253166A (zh) * 2020-10-23 2021-01-22 中铁工程装备集团有限公司 一种预制管节间联结装置及其应用的施工方法
CN112253166B (zh) * 2020-10-23 2022-03-04 中铁工程装备集团有限公司 一种预制管节间联结装置及其应用的施工方法
KR20240068280A (ko) 2022-11-10 2024-05-17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절곡형 차수판과 수팽창 지수형 실란트를 활용한 일체형 pc 지하구조물의 접합부 방수 시공 방법 및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8830B1 (ko) 조립식 암거박스의 접합구조
KR102077960B1 (ko) 꺽쇠 조인트로 결합되는 pc 암거 박스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0895033B1 (ko)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 및 이를 이용한 기둥구조물시공방법
KR101071273B1 (ko) 강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 강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 및 이들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KR100495782B1 (ko) 블록조립식 보강토옹벽 패널과 이 패널을 사용한보강토옹벽의 시공방법
KR101010540B1 (ko) 하프 프리캐스트 코핑부 시공방법
JP6691880B2 (ja) プレキャスト壁高欄の取付構造及び取付方法
KR101776129B1 (ko) 슬래브 및 벽체 겸용 조립형 프리캐스트 이중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이중 구조 pc 벽체의 시공 방법
KR101456411B1 (ko) 병렬 전단벽의 연결보 보강을 위한 강재 어셈블리
KR100665811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의 연결장치
KR101255027B1 (ko) 프리캐스트 라멘형 암거박스
KR101604726B1 (ko) 전단접합판을 이용하여 연결된 암거 및 그 시공방법
JP5386379B2 (ja) 橋梁に於けるプレキャスト床版の継手
KR101216126B1 (ko) 축방향 및 종방향 연결철근을 이용한 아치 구조물 시공방법
KR101794614B1 (ko) 조립식 암거박스 접합구조
KR101469603B1 (ko) 다목적 결속관을 구비한 루프용 강관의 구조 및 이를 적용하여 지하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
JP6192972B2 (ja) カルバート
KR20220065461A (ko) 지하 연속벽체 겹이음을 위한 철근구조물, 이를 이용한 지하 연속벽체 및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
KR100953682B1 (ko) 철근의 후크형 결속을 이용한 콘크리트 암거 유닛의 접합구조, 이러한 접합구조를 가지는 콘크리트 암거 및 콘크리트 암거의 접합시공방법
KR101789249B1 (ko) 방음벽 기초 구조물 접합구조
KR20150131904A (ko) 긴장 겸용 강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그레이팅용 수로 세그먼트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881051B1 (ko) 내진 성능이 강화된 조립식 pc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884462B1 (ko) 절토사면 구간과 성토구간의 보강토옹벽 그리드 설치방법
KR200163584Y1 (ko) 파이프를이용한가설용흙막이벽구조
JP6836853B2 (ja) ブレース接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0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0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8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0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1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1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1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2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