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0251A - 위생 피팅, 유체 장치 및 해당 위생 피팅의 밸브에 대한 출구 부품의 연통을 위한 호스의 사용 - Google Patents

위생 피팅, 유체 장치 및 해당 위생 피팅의 밸브에 대한 출구 부품의 연통을 위한 호스의 사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0251A
KR20230110251A KR1020237013629A KR20237013629A KR20230110251A KR 20230110251 A KR20230110251 A KR 20230110251A KR 1020237013629 A KR1020237013629 A KR 1020237013629A KR 20237013629 A KR20237013629 A KR 20237013629A KR 20230110251 A KR20230110251 A KR 202301102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valve
sanitary fitting
fluid device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3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베르너 쿠리
다니엘 외슬레
홀거 슐레
디트마르 왈서
Original Assignee
네오펄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오펄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네오펄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30110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0251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1Devices for positioning or connecting of water supply 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5Water supply lines as such, e.g. shower h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3Connecting the supply lines to the tap body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4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of the spou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11Taps specially designed for dispensing boiling wa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Pipe Accessories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출구 부품(3)을 밸브(4)에 연결하는 호스(5)를 설계하기 위해 위생 피팅(1) 내부에 설치할 수 있는 유체 장치(2)를 제안한다. 밸브(4)를 출구 부품(3)에 공간적으로 연결하는 내부 공간(6)의 호스(5)가 돌출되도록 길게 한다. 호스(5)의 이 돌출 부분(45)은 내부 공간(6) 외부의 밸브(4)에 연통된다.

Description

위생 피팅, 유체 장치 및 해당 위생 피팅의 밸브에 대한 출구 부품의 연통을 위한 호스의 사용
본 발명은 출구 부품을 위생 피팅 상의 밸브에 연통하기 위한 호스의 사용에 관한 것으로, 출구 부품이 위생 피팅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유출구 부품 및 밸브와 유출구 부품을 밸브에 연통하는 호스를 갖는 위생 피팅용 유체 장치에 관한 것이며, 호스는 밸브의 위치에서 연통된다. 밸브의 사용 위치는 출구 부품에서 멀어지는 방향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위생 피팅에 관한 것이다.
서론에서 설명한 용도에 따라 위생 피팅에 호스를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렇게 하면 위생 피팅의 기계적 지지부에서 액체 채널링 기능을 분리할 수 있으므로 위생 피팅에 더 큰 설계 자유도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생 피팅의 설치를 단순화하는 목적에 기초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론에서 설명된 유형의 사용과 관련하여 출구 부품과 그 사이에 밸브 단부에서 호스는 위생 피팅의 하우징 외부 부분으로 연장되어야 한다. 따라서 방향 변경, 예를 들어 곡선 루프 또는 호스 편향을 형성하여 하우징 경계 외부에서 밸브로 복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다른 이점은 호스가 밸브에 연결될 수 있는 위치가 설치 중에 시각적 모니터링이 가능하고/하거나 다른 호스 길이를 쉽게 보상할 수 있도록 배열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호스를 밸브에 연통하기 전에 먼저 밸브를 설치할 수 있다는 점도 유리하다. 이렇게 하면 이미 연결된 호스가 삽입되는 밸브에 대해 저항을 형성하여 예를 들어 밸브가 기울어지는 상황을 피할 수 있으므로 밸브 설치를 단순화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밸브를 삽입할 때 원치 않는 호스 꼬임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 중에 외부에서 출구 부품의 호스 단부에 접근할 수 없는 고정식으로 설치되거나 설치 가능한 호스와 관련하여 특히 이점을 제공한다.
위생 피팅의 내부 공간에 배열될 호스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준비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내부 공간은 출구 부품과 밸브 사이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출구관에 호스를 배치할 수 있다.
호스가 내부 공간 밖으로 라우팅되고 내부 공간 외부의 밸브에 연결되도록 준비할 수 있다. 여기서 밸브(일반적으로 카트리지)에 대한 연결이 출구관의 경계 외부에 설정될 수 있다는 점도 이점이다. 이는 제조를 상당히 단순화할 수 있다.
호스를 밸브에 (맹목적으로) 도입하기 위해 깔때기를 생략할 수 있다. 호스가 제자리에 배치되면 외부에서 액세스할 수 있는 것도 장점이다. 따라서 호스는 단단한 상태로 또는 비틀림이나 뒤틀림이 거의 없이 위생 피팅의 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호스의 서비스 수명과 특히 연결부의 내구성 있는 밀봉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로, 내부 공간과 그 밸브 단부 사이에서 호스가 위생 피팅의 하우징 외부 부분으로 연장되도록 준비가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부분은 내부 공간 외부에 위치하며 외부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방식으로, 특히 위생 설비를 위한 지지 구조물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호스를 밸브에 연결하는 작업은 - 특히 일체형 호스의 경우 - 호스가 내부 공간에 제 위치에 배치된 후 - 특히 2개 또는 2개 이상의 호스 부품을 가진 호스의 경우, - 호스를 내부 공간의 제 위치에 배치하는 작업 전 또는 작업 중에 발생할 수 있다.
유리한 구성의 경우, 위생 피팅의 출구관에 배열될 내부 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출구관의 특히 제한된 공간 조건에 대해 유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
유리한 구성의 경우, 호스가 내부 공간에 의해 수용될 수 있는 것보다 더 긴 길이를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호스가 내부 공간 밖으로 돌출되어 외부에서 액세스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쉽게 가능하다.
유리한 구성의 경우, 호스가 그 저면에서 밸브에 연결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을 위해 사용 중에 숨겨지는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위치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과도한 호스는 관찰자에게 숨겨질 수 있다.
유리한 구성의 경우, 위생 피팅의 외부에서 접근 가능하도록 배치될 호스의 밸브측 부분에 대한 준비가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호스가 제 위치에 배치된 후에도 조작할 수 있으며 육안 모니터링을 통해 밸브에 연결하거나 밸브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통될 수 있다.
유리한 구성의 경우 호스가 편향되도록 준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호스를 공간 절약 방식으로 라우팅할 수 있다(예: 밸브를 지나 밸브로 다시 연결).
여기에서 연결 요소를 통해 유체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두 개의 호스 부품으로 호스를 조립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호스의 변형 없이 편향을 달성할 수 있다.
연결 요소가 사출 성형으로 제조되거나 복수의 사출 성형으로 조립되는 경우 특히 유리하다. 이는 간단한 제조를 제공한다.
유리한 구성의 경우, 연결 요소가 호스 부품들 사이에서 유체 방향의 변화를 확립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호스가 내부 공간 외부에서 밸브로 연결될 때 과도하게 뚜렷한 곡률을 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향 변경은 방향의 역전일 수 있다. 이는 호스 부품을 서로 근접하게 배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유리한 구성의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호스 부품이 설치되었을 때, 특히 두 호스 부품이 다른 단부에 의해 설치되었을 때에만 연결 요소가 설치되도록 준비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 요소를 설치하기 전에 예를 들어 해당 길이로 절단하여 호스 부품을 표준 길이로 쉽게 만들 수 있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로, 전술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유체 장치에 관한 대안적 독립항의 특징에 의해 달성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론에서 언급한 유형의 유체 장치와 관련하여, 호스가 그 두 단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편향을 가져야 한다고 제안된다. 이렇게 하면 특히 호스가 밸브 아래쪽에 설치될 때 과도하게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호스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이것은 위생 피팅의 내부 공간 외부(예: 출구관 외부)에서 호스와 밸브 사이의 연결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게 한다.
유리한 구성의 경우, 호스의 두 단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호스를 수용하기 위해 리세스를 갖는 밸브에 대한 준비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밸브 영역에서 여분의 벌크를 생성하지 않고도 위생 피팅의 내부 공간, 특히 출구관 밖으로 호스가 밸브를 지나 쉽게 라우팅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유리한 구성의 경우, 호스가 그 저면에서 밸브에 연결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추가 호스 연결을 위해 언제든지 접근할 수 있는 위치에서 호스를 간단하게 연결할 수 있다. 또한 호스를 밸브에서 가능한 한 자유롭게 연결할 수 있다.
유리한 구성의 경우, 2개의 호스 부분을 연통하는 연결 요소에 의해 편향이 형성되도록 준비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예를 들어 과도한 굽힘 하중으로 인해 호스가 꼬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유리한 구성의 경우, 연결 요소가 2개의 호스 장착부 및 이들 장착부를 연통하는 연결 채널을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호스 부품은 특히 호스 장착부에 삽입하여 쉽게 연통될 수 있다.
한편으로는 호스 장착부와 다른 한편으로는 연결 채널이 평면에 의해 분리될 수 있도록 배열될 준비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두 개의 호스 부품이 이 평면의 같은 쪽에서 끝나는 상황을 쉽게 달성할 수 있다. 이것은 그렇지 않으면 필요할 수도 있는 호스의 매우 두드러진 곡률을 없애거나 방지한다.
일반적으로 내부 공간의 출구와 밸브 사이에서 호스가 아래쪽으로 매달린 루프를 형성한다고 말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 요소가 루프의 최하단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것은 사용되는 측면 설치 공간의 양이 가능한 한 적다는 것을 의미한다.
유리한 구성의 경우 호스 장착부가 삽입 방향으로 갈라지지 않도록 준비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삽입된 호스 부품이 서로 방해하지 않는 상황을 쉽게 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스 장착부가 평행하거나 수렴하는 방식으로 이를 달성할 수 있다. 호스 장착부의 평행 방향은 호스 부품이 특히 서로 근접하게 배열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수렴 배열은 호스 장착부를 형성하기 위한 각각의 주형이 수렴하고 따라서 추가 주형이나 도구가 필요하지 않고 팁으로 연결 채널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사출 성형이 특히 간단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로, 적어도 하나의 측면 돌출부에서 호스 장착부가 예각을 둘러싸도록 준비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하면 호스 장착부가 수렴하는 상황을 쉽게 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측면 돌출부에서 볼 수 있듯이 호스 장착부가 서로 평행하게 배향되거나 마찬가지로 예각(아마도 다른 각도)을 둘러싸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호스 장착부는 서로 일치하거나 비뚤어질 수 있다. 호스 장착부가 수렴하여 예각을 나타내는 것도 가능하다.
측면 돌출부는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호스 장착부의 종축에 대해 수직으로 진행하는 돌출 방향 또는 후자의 진행 방향에 의해 식별될 수 있다.
유리한 구성의 경우 호스 부품이 재료 접합에 의해 유지되도록 준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연결 요소에서 호스 부품의 밀봉된 연결을 달성할 수 있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호스 부품이 자체 후킹 설부 요소에 의해 호스 장착부에 유지되도록 준비할 수 있다. 따라서 추가 지원 없이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다.
재료 접합을 통해 하나의 호스 부품을 하나의 호스 장착부에 연결하고 다른 호스 부품은 자체 후킹 설부 요소를 통해 다른 호스 장착부에 연결할 수도 있다. 이는 호스 부품의 재질 또는 기타 사용 조건 및 환경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호스 부품은 예를 들어 장착, 삽입 또는 부착하여 호스 장착부에 연결할 수 있다. 이는 호스 장착부에 대해 동일하거나 다르게 수행할 수 있다.
유리한 구성의 경우, 연결 요소가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각각 개별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개별 부품에서 복잡한 구성 요소를 조립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부분이 적어도 하나의 호스 장착부를 형성하도록 준비할 수 있다. 여기서 호스 장착부를 형성하기 위한 추가 부품을 생략할 수 있는지 여부가 유리하다.
제2 부분이 적어도 하나의 호스 장착부를 형성하도록 준비할 수도 있다. 여기서 호스 장착부를 형성하기 위한 추가 구성요소를 생략할 수 있다는 것이 유리하다.
제1 부분과 제2 부분이 각각 호스 장착부를 형성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따라서 호스 장착부는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품이 각각의 호스 부품에 설치되면 호스의 연통을 설정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또는 여기에 추가하여, 제1 부분과 제2 부분 사이에 호스 장착부 외부로 연장되는 분리면에 대한 준비가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밀봉 목적으로 호스 장착부가 분리면에 의해 방해를 받거나 악영향을 받는 상황을 피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점이 있다. 분리면은 예를 들어 평면 또는 곡선 방식으로, 특히 자유 표면의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여기에서 분리면은 제1 부분이 제2 부분에 연결될 수 있거나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를 한정할 수 있다.
유리한 구성의 경우, 두 개의 호스 장착부를 형성하는 제1 부분과 연결 채널의 범위를 정하는 커버를 형성하는 제2 부분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 채널은 사출 성형으로 쉽게 생산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부분이 일체형으로 호스 장착부를 형성하는 경우 특히 유리하다. 따라서 호스 장착부는 서로에 대해 고정된 상태로 향할 수 있다. 호스 부품 사이의 기계적 응력은 쉽게 흡수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로, 하나의 부품으로 커버를 형성하기 위한 제2 부분에 대한 준비가 여기에서 만들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부분은 액체 경로를 완성하는 데 쉽게 사용할 수 있다. 커버는 일반적으로 사출 성형으로 쉽게 생산할 수 있다.
유리한 구성의 경우, 연결 채널을 형성하기 위해 제2 부분과 맞물리는 형상 구조를 갖는 제1 부분에 대한 준비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것은 상대적으로 복잡한 내부 형상을 형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연결하는 밀봉 플랜지로부터 일정 거리에 배치될 형상 구조에 대한 준비가 여기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복잡한 형상의 구조를 별도로 밀봉할 필요가 없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로 연결 채널이 경로를 따라 일정한 단면을 갖도록 여기에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흐름 저항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며 난류를 줄이거나 아예 피할 수도 있다.
유리한 구성의 경우, 원형 단면을 갖는 연결 채널의 일부를 형성하기 위해 제1 부분과 제2 부분이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이것은 가능한 한 손실 없는 흐름에 특히 유리한 내부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로, 일정한 단면을 갖는 연결 채널의 일부를 형성하기 위해 제1 부분과 제2 부분이 함께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 채널의 일정한 단면은 사출 성형에 의해 쉽게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종방향 분할은 사출 금형에서 구현하기 어려운 구멍을 방지한다.
유리한 구성의 경우, 제1 부분과 제2 부분이 축방향 밀봉에 의해 연통되도록 준비될 수 있다. 축 방향 밀봉은 관통 방향에 대해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결 또는 결합 이동을 통해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연결 또는 결합 이동을 위한 안내 수단은 축방향 힘을 흡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부하의 연통을 완화한다. 따라서 내부 압력으로 인해 연통이 해제되는 위험을 줄일 수 있다. 개방 운동이 내부 압력으로 인한 하중의 힘 방향과 관련하여 횡방향으로 향하기 때문이다.
유리한 구성의 경우, 연결 요소의 호스 장착부가 길이 방향 버어가 없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호스 장착부에 밀봉된 단부단을 맞추는 것이 특히 쉽다. 예를 들어, 이는 호스 장착부 외부에서 실행되는 몰드 분할 라인을 통해 달성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적용으로서, 유체 장치가 출구 부품과 밸브 및 호스를 가지며 출구 부품을 배출구 부품은 위생 피팅에 고정되어, 배출구 부품과 그 밸브 단부 사이에서 호스가 위생 피팅의 하우징 외부 부분으로 연장되는 밸브. 따라서 호스가 위생 피팅 외부의 밸브로 반환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 내부에서 호스 경로 방해를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라,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및/또는 유체 장치에 관한 청구범위 중 하나에서 청구된 바와 같이 유체 장치가 형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에 기초하여 형성되도록 위생 피팅과 관련하여 제공되며, 특히 위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및/또는 그 사용에 대한 하기 청구범위 중 하나에서 청구된 바와 같다. 따라서 위생 피팅, 특히 내부 공간이 위생 피팅의 출구관에 배열될 수 있는 위생 피팅과 관련하여 본 발명의 장점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내부 공간 외부의 밸브에 호스를 연결할 수 있도록 준비할 수 있다. 따라서 밸브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호스에 접근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용도,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은 용도 및/또는 용도에 관한 청구범위 중 하나에 청구된 바와 같은 용도가 특히 유리하며,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장치,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은 및/또는 연통에 관한 청구항 중 하나에 청구된 바와 같이 연통 및/또는 유체 장치는 상술한 위생 피팅의 일부로서 이용된다. 따라서 전술한 개별 측면을 결합하는 것이 유리하게 가능하다.
본 발명은 이제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청구항의 특징과 예시적인 실시예의 하나 이상의 특징의 조합으로부터 수집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장치를 갖는 위생 피팅을 축방향 단면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변형을 보여준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장치에 관한 제1 설치 단계를 도시하고,
도 4는 도 3에 따른 위생 피팅에 대한 제2 설치 단계를 도시하고,
도 5는 도 3의 위생 피팅에 대한 제3 설치 단계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3에 따른 위생 피팅에 대한 제4 설치 단계를 도시하고,
도 7은 도 1 및 도 2에 따른 위생 피팅의 연결 요소의 상이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8은 도 7의 연결 요소를 3차원 사시도(상단) 및 축 방향 단면(하단)으로 도시한 도면을 보여준다.
도 9는 도 8의 변형을 보여준다.
도 10은 도 8의 추가 변형을 도시한다.
도 11은 도 7로부터 추가 연결 요소의 3차원 사시도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사용 위치에서 도 11의 연결 요소를 보여준다.
도 13은 도 11과 관련된 축방향 단면을 도시한다.
도 14는 도 12에 관한 축방향 단면을 도시한다.
도 15는 도 12와 관련된 추가 축방향 섹션의 분해도를 도시하며, 섹션 평면은 도 14의 섹션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배향되고 호스 장착부 사이의 중앙에 배열된다.
도 16은 도 12에 따른 연결 요소에 대한 대안을 도시한다.
도 17은 도 16에 관한 축방향 단면을 도시한다.
도 18은 도 12의 일체형 변형을 보여준다.
도 19는 도 18과 관련된 축방향 단면을 도시한다.
도 20은 곡선 밀봉 플랜지를 갖는 커버를 갖는 도 12의 변형을 도시한다.
도 21은 도 20에 관한 축방향 단면을 도시한다.
도 22는 도 20과 관련된 3차원 사시도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23은 도 22와 유사하지만 다른 시각으로부터의 추가 예시를 도시한다.
도 24는 도 12에 대한 추가 대안을 보여준다.
도 25는 도 24에 관한 축방향 단면을 도시한다.
도 26은 도 7로부터 추가 연결 요소의 3차원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7은 도 26에 관한 축방향 단면을 도시한다.
도 28은 도 26에 따른 실시예를 제공하기 위한 조립 작업을 도시하고,
도 29는 개방된 인터페이스의 관점에서 도 26에 따라 분해된 연결 요소를 보여준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전체적으로 1로 표시된 도 1에 따른 위생 피팅은 물을 보내기 위한 유체 장치(2)를 갖는다.
유체 장치(2)는 출구 부품(3)과 밸브(4)를 갖는다.
출구 부품(3)은 호스(5)를 통해 밸브(4)에 연통된다.
예를 들어 그 자체로 알려진 제트 형성기 및/또는 제트 조절기가 출구 부품(3)에 배열되거나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호스(5)는 위생 피팅(1)의 내부 공간(6)에 배치되며, 내부 공간은 출구관(7)에 의해 형성된다.
내부 공간(6)은 여기에서 출구 부품(3)과 밸브(4) 사이로 연장되며 이에 의해 범위가 정해진다.
따라서 출구관(7)는 출구 부품(3)과 밸브(4) 사이의 기계적인 연결을 확립한다.
연통을 설정하기 위해 호스(5)는 출구 단부(8)를 통해 출구 부품(3)에 연결된다.
호스(5)는 밸브 단부(9)를 통해 내부 공간(6) 외부로 연결된다.
따라서 호스(5)는 설치된 사용 위치에서 출구 부품(3) 및 내부 공간(6)으로부터 멀리 향하는 위치(10)에서 밸브(4)에 연통된다.
따라서 호스(5)는 밸브(4)를 지나서 연결된다고 말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밸브(4)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단부(8, 9) 사이의 위치(13)에서 호스(5)를 수용하는 리세스(11)를 갖는다.
호스(5)는 저면(14)에서 밸브(4)에 연통되며, 냉수 호스(15)와 온수 호스(16)도 연결된다(그 자체로 공지된 방식으로).
편향부(18)는 단부(8, 9) 사이의 위치(17), 보다 정확하게는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위치(13)와 밸브 단부(9) 사이, 즉 내부 공간(6) 외부에 형성된다.
이 편향부(18)는 호스(5)를 2개의 호스 부품(19, 20)으로 분할한다.
편향부(18)는 밸브측 호스 부품(20)과 출구측 호스 부품(19) 사이의 흐름 방향이 90° 이상 변경되게 한다.
이를 위해 밸브측 호스 부품(20)를 출구측 호스 부품(19)에 연통하는 연결 요소(21)에 의해 편향부(18)가 설정된다.
출구측 호스 부품(19)용 호스 장착부(22) 및 밸브측 호스 부품(20)용 호스 장착부(23)는 연통 목적을 위해 연결 요소(21)에 형성된다.
이들 호스 장착부(22, 23)는 연결 채널(24)에 의해 서로 연통되어(예를 들어, 도 8 내지 도 10 참조), 물이 밸브측 호스 부품(20)로부터 출구측 호스 부품(19)으로 흐를 수 있다.
따라서 호스(5)는 내부 공간(6)으로부터의 출구(47)와 밸브(4) 사이에 루프(46)를 형성한다. 편향부(18)는 루프(46)의 최하부 위치(17)에 형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장치(2)를 갖는 또 다른 위생 피팅(1)을 도시한다. 이전 예시적인 실시예와 기능 및/또는 디자인 측면에서 유사하거나 동일한 구성 요소 및 기능 유닛은 동일한 참조 부호로 표시되며 별도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따라서 도 1과 관련하여 말한 내용은 도 2에 상응하게 적용된다.
도 2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는 호스(5)가 크림프 슬리브(25)에 의해 밸브 단부(9)에서 호스 니플(더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그 자체로 알려져 있음)에 고정된다는 점에서 선행 예시적인 실시예와 상이하다. 도 1의 호스(5)는 밸브(4)의 적절한 호스 장착부(더 이상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음)에 직접 삽입된다.
도 3 내지 6은 위생 피팅(1)에 대해 유체 장치(2)를 설치하기 위해 요구되는 설치 단계를 도시한다.
설계 및/또는 기능적 측면에서 앞선 예시적인 실시예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구성 요소 및 기능 유닛은 동일한 참조 부호로 표시되며 별도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따라서 도 1과 2와 관련하여 말한 내용은 도 3에서 6까지에 상응하게 적용된다.
첫 번째 단계(도 3)에서 먼저 출구 부품(3)이 고정될 수 있는 출구측 호스 부품(19)이, 출구관(7)의 내부 공간(6)을 통해 외부에서 밸브(4) 아래에 있는 수직 방향 공간(26)으로 도입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어댑터 부품(27)이 밸브 단부(9)에 연결될 수 있는 밸브측 호스 부품(20)이, 외부(상부)로부터 공간(26)으로 도입되는 것을 또한 볼 수 있다.
다음 단계(도 4)에서, 냉수 호스(15) 및 온수 호스(16)는 공간(26)을 통해 아래로부터 어댑터 부품(27)까지 라우팅되고 어댑터 부품에 연결된다.
그 후(도 5), 밸브(4)는 그 자체로 공지된 방식으로 밸브 메커니즘을 수용하는 본체(28) 및 어댑터 부품(27)로부터 조립되고 위생 피팅(1)에 설치된다. 이 단계는 두 번째 설치 단계 전에 수행해야 한다.
출구측 호스 부품(19)과 밸브측 호스 부품(20)은 공간(26) 너머로 돌출하는 조인트 길이로 절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배출구 부품(3)은 이미 사용 위치로 이동되어 배출구측 호스 부분(19)은 절차가 계속되는 동안 더 이상 움직이지 않는다.
마지막으로(도 6), 연결 요소(21)는, 밸브(4)와 출구 부품(3) 사이의 연통을 설정하고 밸브측 호스 부품(20)과 출구측 호스 부품(19) 사이의 전달에서 물 흐름의 편편향(18)을 발생시키기 위해, 호스 부품(19, 20) 상에 위치되거나 호스 부품(19, 20)에 연결된다.
도 7은 예로서 도 1 및 도 2의 일반적인 기능 블록 대신에 사용될 수 있는 3개의 연결 요소(21)를 도시한다. 각각의 도면은 3차원 사시도 및 측면도를 도시한다. 이전의 예시적인 실시예와 기능 및/또는 디자인 측면에서 유사하거나 동일한 구성 요소 및 기능 유닛은 동일한 참조 부호로 표시되며 별도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호스 장착부(22, 23)는 특히 중앙과 오른쪽의 변형에서(병렬 호스 장착부(22, 23)) 90° 미만의 입체각- 0°의 입체각을 한정하도록 서로에 대해 배열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도 8은 도 7의 좌측 연결 요소(21)를 추가로 축방향 단면으로 도시한다.
도면의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위치되고 한편으로는 호스 장착부(22, 23)와 다른 한편으로는 연결 채널(24)을 분리하는 평면(29)을 찾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삽입된 호스 부품(19, 20)가 연결 채널(24)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폐쇄하는 상황을 피할 수 있다.
즉, 호스 장착부(22, 23)는 연결 채널(24)을 포함하지 않는 절반 공간, 적어도 그의 편향 영역(30)에 위치된 개구부를 갖는다.
도 8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의 경우에, 호스 부품(19, 20), 예를 들어 밸브측 호스 부품(20)은 관련 호스 장착부(23)에 삽입되고 셀프-후킹 설부 요소(31)에 의해 당겨지지 않도록 고정된다.
다른 호스 장착부(23)가 동일한 방식으로 구성되거나 예를 들어 여기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출구측 호스 부품(19)이 재료 접합에 의해 연결되거나 그 위에 몰딩될 수 있도록 설계되는 것이 가능하다.
추가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경우에, 두 호스 장착부(22, 23)에 셀프-후킹 설부 요소(31)가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9는 도 8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한 대안을 도시한다. 도 9는 두 호스 장착부(22, 23)의 재료 접합 연결을 도시한다.
삽입된 호스 부품(19, 20)가 전이 지점에서 계단을 남기지 않도록 호스 장착부의 치수가 정해지면 두 실시예 모두에 유리하다.
그렇지 않으면 도 1에서 8과 관련된 설명이 상응하게 적용된다.
도 10은 도 8에 따른 연결 요소(21)에 대한 대안으로서 추가 연결 요소(21)를 도시한다.
다시 한 번, 두 호스 장착부(22, 23)는 예를 들어 레이저 용접, 접착 결합 등과 같은 재료 접합 연결을 위해 설계되었다.
이 변형은 더 두꺼운 벽과 보강 거싯(gusset)(32)으로 달성되는 증가된 안정성으로 구별된다.
도 8 내지 도 10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의 경우에, 호스 장착부(22, 23)는 각각 종축(33)을 갖는다. 2개의 호스 장착부(22, 23)의 종축(33)은 한 지점에서 일치하므로 예각을 에워싼다. 따라서 도 8 내지 도 10의 연결 요소(21)는 예각 입체각 내에 포함될 수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추가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경우에, 일치하기보다는, 이들 종축(33)은 서로에 대해 기울어져 있다. 그러나, 이들 예시적인 실시예는 도 8 내지 도 10에서와 같이 측편 돌출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동일한 이미지를 야기하므로, 이들 예시적인 실시예의 호스 장착부(22, 23)가 호스 장착부(22, 23)가 적어도 하나의 측편 돌출, 즉 예시된 도면에서 드로잉 평면으로의 돌출에서 예각을 둘러싼다.
그렇지 않으면 도 1에서 9까지와 관련하여 언급된 내용이 이러한 도면에 적용된다.
도 8 내지 도 10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는 연결 요소(21)가 사출 성형의 형태로 단일 부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는 사실을 공통적으로 갖는다. 이는 서로에 대해 비스듬히 배향된 호스 장착부(22, 23)에 의해 도움을 받으며, 이는 연결 채널(24) 영역에서 언더컷 없는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도 11 내지 도 14는 연결 요소(21)의 추가 예를 도시한다. 이 연결 요소(21)는 도 7의 중앙에 도시되어 있다. 이전의 예시적인 실시예와 기능 및/또는 설계 측면에서 유사하거나 동일한 컴포넌트 및 기능 유닛 동일한 참조 부호로 다시 한 번 표시되며 별도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따라서 도 1에서 10과 관련하여 언급된 내용은 도 11에서 14에 상응하게 적용된다.
예시적인 실시예는 연결 요소(21)가 제1 부분(35) 및 제2 부분(36)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앞선 예시적인 실시예와 상이하며, 이들은 함께 모여 액체 채널 수단을 형성한다.
여기서 제1 부분(35)은 그 위에 형성된 2개의 호스 장착부(22, 23)를 가지며, 이들은 예를 들어 이 경우 서로 평행하게 배향된다. 도 8에서 10과 같이 비스듬히 지향된 변형도 가능하다.
제2 부분(36)은 밀봉 플랜지(38)를 형성하는 분리면(37)에 의해 제1 부분(35)으로부터 분리된다. 밀봉 플랜지(38)는 재료 접합 연결부에 의해 폐쇄된다.
이 분리면(37)은 호스 장착부(22, 23) 외부로 이어진다. 제2 부분(36)은 외향으로 연결 채널(24)의 범위를 정하는 커버(39)를 형성한다.
여기서 제1 부분(35)은 그 위에 분리면(37) 밖으로 돌출하고 제2 부분(36)에 맞물리며 연결 채널(24)의 단면에서 원주의 절반을 한정하는 형상 구조(40)를 형성한다. 나머지 절반은 여기서 커버(39)에 의해 한정된다.
이는 연결 채널(24)의 단면이 그 경로를 따라 일정하게 유지되고 따라서 단면 표면적이 호스 부품(19, 20)와 관련하여 어떠한 협착도 형성하지 않는 상황을 달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것은 안장점 방식으로 이중 아치형 또는 이중 곡선형인 표면(48)을 갖는 형상 구조(40)에 의해 달성된다(도 14 및 15 참조).
또한 도 15에서 연결 채널(24)의 밀봉에 관련되기보다는 형상 구조(40)이 단지 유동 채널링 목적으로 사용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러싸는 밀봉 플랜지(38)는 공간(26)을 외향으로 완전히 밀봉하고, 형상 구조(40)는 공간(26)에 맞물린다.
도 16 및 17은 도 14에 도시된 셀프-후킹 설부 요소(31)가 호스 장착부(22, 23)와 호스 부품(19, 20) 사이에 구축되는 재료 접합 연결로, 예를 들어 레이저 용접 또는 다른 종류의 용접으로 대체되는 도 11 내지 15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그렇지 않으면, 이전의 예시적인 실시예와 관련하여 언급된 것이 도 15 내지 17에 상응하게 적용된다.
도 18 및 19는 예를 들어 도 1 또는 2에서 사용하기 위한 추가 연결 요소(21)를 도시한다.
여기서, 제1 부분(35)과 제2 부분(36)은 필름 힌지(41)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사출성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필름 힌지(41)는 부분(35, 36)이 서로에 대해 배향되도록 한다.
그렇지 않으면, 도 11에서 17과 관련하여 언급된 내용이 상응하게 적용된다.
도 20 내지 도 23은 연결 요소(21)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기능 및/또는 디자인 측면에서 이전의 예시적인 실시예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구성요소 및 기능 유닛은 동일한 참조 부호로 표시되며 설명되지 않는다. 다시 따로따로. 따라서 도 1에서 19까지와 관련하여 언급된 내용은 도 20에서 23까지에 상응하게 적용된다.
도 20 내지 도 23에 따른 연결 요소(21)는 평면적이지 않고 분리면(37)이 측면으로 만곡된 경로를 따른다는 점에서 앞선 연결 요소(21)와 다르다. 이는 축방향 평면에 배열된 분리면(37)이 호스 장착부(22, 23)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다른 호스 장착부와 마찬가지로 호스 장착부(22, 23)는 종방향 버(burr)가 없도록 형성되어 삽입된 호스 부품(19, 20)에 대해 특히 꼭 맞는 단부를 허용한다.
여기서 제2 부분(36)은 위치 설정 보조 장치(50)에 의해 제1 부분(35) 상에 배향된다. 그 후, 2개의 부분(35, 36)은 재료 접합에 의해 연결된다.
2개의 부분(35, 36)은 각각 도 20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연결 채널(24)의 단면 둘레의 절반을 한정한다.
도 24 및 도 25는 추가 연결 요소(21)를 도시한다. 이 연결 요소의 경우, 커버형 제2 부분(36)은 본질적으로 편평하거나 평면형 설계로 되어 있어, 연결 채널(24)은 교차 구역을 확장시킴으로써 제공되는 데드 공간(42)을 가진다.
도 26 내지 29는 도 7의 우측 이미지로부터 연결 요소(21)의 상세 특정 도면을 도시한다.
축방향 씰(44)은 이 경우 호스 장착부(22, 23) 사이에 있는 분리면(37)에 형성된다.
제1 부분(35)과 제2 부분(36)은 형상 결합식으로 유지되기 위해 밀봉 평면에서 서로에 대해 변위될 수 있다.
이 변형은 마찬가지로 탈형될 수 있고 따라서 사출 성형에 의해 생산될 수 있는 두 개의 개별 부품의 제조를 제공한다.
전반적으로, 형상 구조(40)는 연결 채널(24)이 적어도 일부(43)에서 일정한 단면을 갖도록 구성되고 배열된다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위생 피팅(1)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는 유체 장치(2)와 관련하여 출구 부품(3)을 밸브(4)에 연결하는 호스(5)가 다음과 같이 설계되어야 한다는 것이 제안된다. 호스(5)가 내부 공간(6) 밖으로 돌출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길며, 내부 공간(6)은 공간적으로 밸브(4)를 출구 부품(3)에 연결한다. 호스(5)의 이 돌출 부분은 내부 공간(6) 외부의 밸브(4)에 연통된다.
1: 위생 피팅 2: 유체 장치
3: 출구 부품 4: 밸브
5: 호스 6: 내부 공간
7: 출구관 8: (출구) 단부
9: (밸브) 단부 10: 위치
11: 리세스 13: 위치
14: 저면 15: 냉수 호스
16: 온수 호스 17: 위치
18: 편향부 19: (출구측) 호스 부품
20: (밸브측) 호스 부품 21: 연결 요소
22: 호스 장착부 23: 호스 장착부
24 연결 채널 25 크림프 슬리브
26 공간 27 어댑터 부품
28 밸브의 본체 29 평면
30 연결 요소의 편향 영역 31: 설부(舌部) 요소
32 보강 거싯(gusset) 33: 호스 장착부(22, 23)의 종축
34: 삽입 방향 35: 제1 부분
36: 제2 부분 37: 분리면
38: 밀봉 플랜지 39: 커버
40: 형상 구조 41: 필름 힌지
42: 데드 공간 43: 연결 채널(24)의 일부
44: 축방향 씰 45: 호스(5)의 밸브측 부분
46: 루프 47: 출구
48: 표면 49: 부분
50: 위치 설정 보조 장치 51: 하우징

Claims (26)

  1. 출구 부품(3)을 위생 피팅(1) 상의 밸브(4)에 연통하기 위한 호스(5)의 사용으로서, 상기 출구 부품(3)은 위생 피팅(1)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출구 부품(3)과 밸브 단부(9) 사이에, 상기 호스(5)는 위생 피팅(1)의 하우징(51) 외부 부분(49)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의 사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5)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위생 피팅(1)의 내부 공간(6)에 배치되고, 상기 내부 공간은 출구 부품(3)과 밸브(4) 사이로 연장되며, 특히 상기 호스(5)는 밸브 단부(9)를 통해 내부 공간(6) 밖으로 라우팅되고 내부 공간(6) 외부의 밸브(4)에 연결되고 및/또는 내부 공간(6)과 밸브 단부(9) 사이에서 상기 호스(5)는 위생 피팅(1)의 하우징(51) 외부 부분(49)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의 사용.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공간(6)이 상기 위생 피팅(1)의 출구관(7)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의 사용.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5)는 상기 내부 공간(6)에 의해 수용될 수 있는 것보다 더 긴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의 사용.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5)가 저면(14)에서 밸브(4)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의 사용.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5)의 밸브측 부분(45)이 상기 위생 피팅(1) 외부에서 접근 가능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의 사용.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5)가 편향부(18)를 갖고, 특히 상기 호스(5)가 연결 요소(21)를 통해 서로 연통된 2개의 호스 부품(19, 20)으로부터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의 사용.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요소(21)는 호스 부품(19, 20) 사이에서 유체 방향의 변화, 특히 방향의 역전을 일으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의 사용.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요소(21)는 적어도 하나의 호스 부품(19, 20), 특히 두 호스 부품(19, 20)이 다른 쪽 단부(8, 9)을 통해 설치된 경우에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의 사용.
  10. 출구 부품(3), 밸브(4) 및 상기 출구 부품(3)을 밸브(4)에 연통시키는 호스(5)를 갖는 위생 피팅(1)용 유체 장치(2)로서, 상기 호스(5)는 상기 밸브(4)의 사용 위치에서 상기 출구 부품(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하는 밸브(4)의 위치(10, 17)에서 연통되며, 상기 호스(5)는 자신의 2개의 단부(8, 9)로부터 이격된 위치(10, 17)에서 편향부(18)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장치(2).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4)는 호스의 2개의 단부에서 이격된 위치(10, 17)에서 호스(5)을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11)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장치(2).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5)는 저면(14)에서 밸브(4)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장치(2).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부(18)는 2개의 호스 부품(19, 20)를 유체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요소(21)에 의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장치(2).
  14.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요소(21)는 2개의 호스 장착부(22, 23) 및 이들 장착부를 유체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채널(24)을 갖고, 특히 한편으로는 상기 호스 장착부(22, 23) 및 다른 한편으로는 연결 채널(24)이 평면(29)에 의해 분리될 수 있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장치(2).
  15. 제10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 장착부(22, 23)는 삽입 방향(34)에서 갈라지지 않고, 특히 평행하거나 수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장치(2). 적어도 하나의 측면 돌출부에서 볼 수 있듯이 호스 장착부(22, 23)는 예각을 에워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장치(2).
  16. 제10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 부품(19, 20)은 재료 접합 및/또는 셀프-후킹 설부 요소(31)에 의해 호스 장착부(22, 23)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장치(2).
  17. 제10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요소(21)는 제1 부분(35) 및 제2 부분(36)을 갖고, 특히 제1 부분(35) 및/또는 제2 부분(36)은 적어도 하나의 호스 장착부(22, 23)를 형성하고, 및/또는 제1 부분과 제2 부분 사이의 분리면(37)은 호스 장착부(22, 23)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장치(2).
  18. 제10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부분(35)은 바람직하게는 일체로 2개의 호스 장착부(22, 23)를 형성하고, 제2 부분(36)은, 바람직하게는 일체로, 연결 채널(24)의 범위를 정하는 커버(39)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장치(2).
  19. 제10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부분(35)은 제2 부분(36)과 결합하여, 특히 제1 부분(35)과 제2 부분(36)을 연결하는 밀봉 플랜지(38)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두고 연결 채널(24)을 형성하는 형상 구조(40)를 가지며, 및/또는 연결 채널(24)이 경로를 따라 적어도 일부(43)에 일정한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장치(2).
  20. 제10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35)과 상기 제2 부분(36)이 함께 경로를 따라 둥글거나 경로를 따라 일정한 단면을 가지는 연결 채널(24)의 일부(43)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장치(2).
  21. 제10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35)과 상기 제2 부분(36)은 축방향 씰(44)에 의해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장치(2).
  22. 제10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요소(21)의 호스 장착부(22, 23)는 종방향 버어가 없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장치(2).
  23. 제10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부 공간(6)으로부터의 출구(46)와 밸브(4) 사이에서, 상기 호스(5)가 아래쪽으로 늘어진 루프(46)를 형성하고, 특히 연결 요소(21)는 상기 루프(46)의 최하부 위치(17)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장치(2).
  24. 제10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되고 및/또는 제1항 내지 제9항에 기재된 호스의 사용에 기초하여 형성된 유체장치(2)를 가진 위생 피팅(1)으로서, 상기 유체 장치(2)는 출구 부품(3), 밸브(4) 및 출구 부품(3)을 밸브(4)에 연통시키는 호스(5)를 가지며, 상기 출구 부품(3)은 위생 피팅(1)에 고정되며, 출구 부품(3)과 밸브 단부(9) 사이에서 호스(5)가 위생 피팅(1)의 하우징(51) 외부 부분(49)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피팅(1).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5)의 적어도 일부가 위생 피팅(1)의 내부 공간(6)에 배치되고, 상기 내부 공간은 출구 부품(3) 및 밸브(4) 사이에서 연장되고, 특히 내부 공간(6)과 밸브 단부(9) 사이에서 호스(5)는 위생 피팅(1)의 하우징(51) 외부 부분(49)으로 연장되고 및/또는 상기 호스(5)는 내부 공간(6) 외부의 밸브(4)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피팅(1).
  26.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장치(2)가 제10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및/또는 제24항 또는 제25항에 기재된 위생 피팅(1)의 일부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의 사용.
KR1020237013629A 2020-10-16 2021-10-15 위생 피팅, 유체 장치 및 해당 위생 피팅의 밸브에 대한 출구 부품의 연통을 위한 호스의 사용 KR202301102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20105935.1 2020-10-16
DE202020105935.1U DE202020105935U1 (de) 2020-10-16 2020-10-16 Verwendung eines Schlauchs zur fluidischen Verbindung eines Auslaufstücks mit einem Ventil an einer Sanitärarmatur, fluidische Anordnung und korrespondierende Sanitärarmatur
PCT/EP2021/078599 WO2022079233A1 (de) 2020-10-16 2021-10-15 Verwendung eines schlauchs zur fluidischen verbindung eines auslaufstücks mit einem ventil an einer sanitärarmatur, fluidische anordnung und korrespondierende sanitärarmatu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0251A true KR20230110251A (ko) 2023-07-21

Family

ID=78302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3629A KR20230110251A (ko) 2020-10-16 2021-10-15 위생 피팅, 유체 장치 및 해당 위생 피팅의 밸브에 대한 출구 부품의 연통을 위한 호스의 사용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230383507A1 (ko)
EP (1) EP4229245A1 (ko)
JP (1) JP2023546402A (ko)
KR (1) KR20230110251A (ko)
CN (3) CN114370086A (ko)
BR (1) BR112023004897A2 (ko)
DE (1) DE202020105935U1 (ko)
MX (1) MX2023003485A (ko)
WO (1) WO2022079233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81164A5 (ko) * 1989-12-13 1993-01-29 Karrer Weber & Cie Ag
CA2723111C (en) * 2008-05-21 2014-10-21 Masco Corporation Of Indiana Integrated kitchen faucet side spray and diverter
DE102013020586B4 (de) * 2013-12-13 2019-12-19 Neoperl Gmbh Schlauchkupplung
US10604918B2 (en) * 2015-12-28 2020-03-31 Kohler Co. Faucet with offset valve
NL2016083B1 (nl) * 2016-01-11 2017-07-24 Henri Peteri Beheer Bv Mengkraan voor het afgeven van wa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348700A (zh) 2023-06-27
DE202020105935U1 (de) 2022-01-18
WO2022079233A1 (de) 2022-04-21
BR112023004897A2 (pt) 2023-04-25
JP2023546402A (ja) 2023-11-02
CN114370086A (zh) 2022-04-19
MX2023003485A (es) 2023-04-14
US20230383507A1 (en) 2023-11-30
EP4229245A1 (de) 2023-08-23
CN215858012U (zh) 2022-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806508B (zh) 流量调节器
JP3884212B2 (ja) 燃料供給装置
JP3904285B2 (ja) 吸気装置
US20170328042A1 (en) Wall faucet
JP2002371929A (ja) 吸気装置
JP2013092254A (ja) シールコネクター、並びに、伝送部材、ガスカートリッジ、及び、該シールコネクターを具備するアダプターから構成される組立体
JP2001512803A (ja) 燃料供給システム
KR20230110251A (ko) 위생 피팅, 유체 장치 및 해당 위생 피팅의 밸브에 대한 출구 부품의 연통을 위한 호스의 사용
PL208625B1 (pl) Hydroelastyczny zespół mocujący
US6425528B2 (en) Expansion valve
KR20010015289A (ko) 공급 모듈용 저장기
CN218377828U (zh) 比例阀的阀体、比例阀和燃气设备
CN216200100U (zh) 一种液压悬置解耦隔振装置
US20220146005A1 (en) Pressure holding valve for an air spring and air spring comprising the pressure holding valve
CN216158300U (zh) 排水阀结构
KR101015169B1 (ko) 수도계량기 박스유닛
CN219061981U (zh) 一种集成组件
US7712612B2 (en) Fluid filter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101165378A (zh) 座式非金属水龙头
CN113007330A (zh) 一种热管理装置
JP3872711B2 (ja) 遮断弁
KR20190063768A (ko) 자동변속기용 유압장치
KR20010021535A (ko) 플라스틱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CN204239809U (zh) 水龙头组件
CN216158309U (zh) 一种膨胀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