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7395A - 평평한 가요성 부품을 유지하기 위한 포지셔닝 디바이스및 포지셔닝 조립체, 및 시트 재료 처리 기계 - Google Patents
평평한 가요성 부품을 유지하기 위한 포지셔닝 디바이스및 포지셔닝 조립체, 및 시트 재료 처리 기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07395A KR20230107395A KR1020237022346A KR20237022346A KR20230107395A KR 20230107395 A KR20230107395 A KR 20230107395A KR 1020237022346 A KR1020237022346 A KR 1020237022346A KR 20237022346 A KR20237022346 A KR 20237022346A KR 20230107395 A KR20230107395 A KR 2023010739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sitioning device
- positioning
- protrusion
- gasket
- abutment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9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13011 m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06 elast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 ethylene propylene diene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YCKRFDGAMUMZLT-UHFFFAOYSA-N Fluorine atom Chemical compound [F] YCKRFDGAMUMZL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11 cardboar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57 fib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37 fluo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1 flu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85 leath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45 mica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18 mica group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3 pa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087 paperboar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084 poly(chlorop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10 polytetrafluoro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343 polytetrafluoro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6D7/015—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for sheet material or piles of shee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6D7/018—Holding the work by suc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68—Reducing the speed of articles as they advance
- B65H29/686—Pneumatic brak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9/00—Registering, e.g. orientating, articles; Devices therefor
- B65H9/08—Holding devices, e.g. finger, needle, suction, for retaining articles in registered posi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6/00—Means using fluid
- B65H2406/30—Suction means
- B65H2406/34—Suction grippers
- B65H2406/343—Details of sucking memb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6/00—Means using fluid
- B65H2406/30—Suction means
- B65H2406/35—Other elements with suction surface, e.g. plate or wall
- B65H2406/351—Other elements with suction surface, e.g. plate or wall facing the surface of the handled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Gasket Seals (AREA)
- Feeding Of Articles By Means Other Than Belts Or Rollers (AREA)
- Advancing Web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Details Of Cutting Devices (AREA)
Abstract
평평한 가요성 부품, 특히 시트를 포지셔닝 표면 (46) 상에 유지하기 위한 포지셔닝 디바이스 (38) 가 제시된다. 포지셔닝 디바이스는 부품을 흡인하기 위한 흡입 개구(50)를 갖는 본체(44)를 포함하고 유체 포트(52)는 흡입 개구(50)와 유체 연통한다. 또한, 맞닿음 돌출부(60)는 포지셔닝 디바이스가 장착될 수 있는 베이스 부분(28)에 대해 포지셔닝 디바이스(38)를 맞닿게 하기 위해 연결 표면(48) 상에 제공된다. 또한, 밀봉 돌출부(64)는 연결 표면(48) 상에 설치되어, 포지셔닝 디바이스(38)와 베이스 부분(28) 사이에 개재된 가스켓(42)을 압축한다. 맞닿음 돌출부(60)의 높이(Ha)는 밀봉 돌출부(64)의 높이(Hs)보다 크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그러한 포지셔닝 디바이스(38)를 포함하는 포지셔닝 조립체(24)가 제공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이러한 포지셔닝 조립체(24)를 포함하는 시트 재료 처리 기계가 도입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평평한 가요성 부품, 특히 시트를 포지셔닝 표면 상에 유지하기 위한 포지셔닝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포지셔닝 디바이스는 평평한 가요성 부품을 흡인하기 위한 흡입 개구를 갖는 본체를 포함하고, 흡입 개구는 본체의 외부 표면인 포지셔닝 표면 내에 배열되고, 유체 포트가 흡입 개구와 유체 연통하고, 유체 포트는 본체의 외부 표면인 연결 표면 내에 배열된다.
본 발명은 또한 평평한 가요성 부품, 특히 시트를 유지 표면 상에 유지하기 위한 포지셔닝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포지셔닝 조립체는 유체 포트를 갖는 베이스 부분, 전술한 유형의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닝 디바이스, 및 베이스 부분과 포지셔닝 디바이스 사이에 개재되는 가스켓을 포함한다. 포지셔닝 디바이스는 각각의 유체 포트들이 유체 연통하도록 베이스 부분 상에 장착된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그러한 포지셔닝 조립체를 포함하는 시트 재료 처리 기계에 관한 것이다.
전술된 유형의 시트 재료 처리 기계, 포지셔닝 조립체 및 포지셔닝 디바이스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때때로 포지셔닝 디바이스는 태블릿이라고도 불린다.
종이 또는 카드보드 처리 기계와 같은 시트 재료 처리 기계는 종종 복수의 처리 유닛들 또는 스테이션들을 포함하며, 각각의 처리 유닛들 또는 스테이션들에서 특정 유형의 처리가 시트 재료에 대해 수행되며, 예를 들어 시트 재료는 절단, 스트리핑 또는 블랭킹된다. 통상, 그러한 기계 내에는 시트 재료를 하나의 처리 유닛으로부터 다음 처리 유닛으로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 시스템이 제공되어 있다.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방식으로 대응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처리 유닛들 각각은 전술한 유형의 포지셔닝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포지셔닝 조립체는 전술한 유형의 하나 이상의 포지셔닝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포지셔닝 조립체 및 포지셔닝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시트 재료의 위치설정은 정적 또는 동적일 수 있는데, 즉 시트 재료는 포지셔닝 표면에 대해 유지되는 동안에 정지되거나 이동될 수 있다. 첫번째 경우에, 포지셔닝 디바이스는 또한 홀딩 디바이스로 지정될 수 있다. 두 번째 경우에, 이는 시트 재료의 감속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모든 경우에, 처리될 시트 재료는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닝 디바이스를 갖는 포지셔닝 조립체와 컨베이어 시스템의 그리퍼 유닛 사이에 걸친다. 시트 재료는 그것이 기계 내에 정확하게 위치되도록 포지셔닝 표면 상에 유지된다. 시트 재료는 통상적으로 대응하는 흡입 개구를 통한 유체 유동으로부터 초래되는 흡입력에 의해 대응하는 포지셔닝 디바이스 상에 유지된다. 이러한 유체 유동을 제공하거나 구동하기 위한 유체 포트는 보통은 포지셔닝 조립체의 베이스 부분 상에 제공된다. 가스켓은 포지셔닝 디바이스와 베이스 부분의 유밀한(fluid-tight) 연결을 보장한다.
결과적으로, 공지된 포지셔닝 조립체들은 일정한 조립 노력을 항상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지된 시트 재료 처리 기계, 포지셔닝 조립체 및 포지셔닝 디바이스를 개선하는 것이다. 특히, 그 조립이 용이하도록 하여야 한다. 물론, 이러한 컴포넌트들의 기능은 알려진 레벨의 신뢰성으로 적어도 유지되어야 한다.
전술한 문제는, 포지셔닝 디바이스를 포지셔닝 디바이스가 장착될 수 있는 베이스 부분에 맞닿게 하기 위해 연결 표면 상에 배치되는 맞닿음 돌출부, 및 포지셔닝 디바이스와 베이스 부분 사이에 개재된 가스켓을 압축하기 위해 연결 표면 상에 배치되는 밀봉 돌출부를 포함하는 전술한 유형의 포지셔닝 디바이스에 의해 해결된다. 맞닿음 돌출부가 연결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높이는 밀봉 돌출부가 연결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높이보다 크다. 포지셔닝 디바이스를 대응하는 베이스 부분 상에 장착할 때, 맞닿음 돌출부는 그 위에서 간단히 맞닿는다. 그 결과, 포지셔닝 디바이스와 관련하여 사용되는 가스켓의 압축은 맞닿음 돌출부의 높이와 밀봉 돌출부의 높이 사이의 차이에 의해 결정된다. 가스켓의 압축된 부분들은 항상 이 차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로 압축될 것이다. 따라서, 포지셔닝 디바이스는 포지셔닝 조립체의 대응하는 베이스 부분에 용이하고 신뢰성 있게 장착될 수 있다. 이는 가스켓의 미리 규정된 압축으로 이어진다. 또한, 가스켓의 압축되는 부분들은 대응하는 밀봉 돌출부의 위치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가스켓의 압축의 원하지 않는 변동들이 배제되거나 적어도 실질적으로 감소된다. 따라서, 베이스 부분에 대한 포지셔닝 디바이스의 연결은 관련 영역에서 유밀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포지셔닝 디바이스의 본체는 하나 또는 복수의 부품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본체가 제조되는 부품의 수와는 독립적이다.
변형예에 따르면, 밀봉 돌출부 및 맞닿음 돌출부는 포지셔닝 디바이스의 본체의 적어도 일부와 일체로 형성된다.
맞닿음 돌출부 및/또는 밀봉 돌출부는 연결 표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간주될 때 세장형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포지셔닝 디바이스는 특정 길이를 따라 대응하는 포지셔닝 조립체의 베이스 부분에 맞닿을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포지셔닝 디바이스는 베이스 부분에 대해 정확하게 위치된다. 세장형의 밀봉 돌출부는 라인 형상의 가스켓의 압축된 부분으로 이어진다. 그 결과, 가스켓은 신뢰성 있는 밀봉 특성을 제공한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맞닿음 돌출부 및/또는 밀봉 돌출부는 연결 표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간주될 때 폐쇄된 지오메트리들이다. 따라서, 밀봉 돌출부 내부의 영역은 밀봉 돌출부 외부의 영역과 확실하게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맞닿음 돌출부는 대응하는 베이스 부분에 대한 포지셔닝 디바이스의 지글-프리 (jiggle-free) 맞닿음을 제공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맞닿음 돌출부는 연결 표면의 장착 영역을 실질적으로 둘러싼다. 이러한 맥락에서, 장착 영역은 포지셔닝 조립체의 대응하는 베이스 부분에 연결되는 포지셔닝 디바이스의 영역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맞닿음 돌출부가 장착 영역을 실질적으로 둘러싸는 경우, 이는 그의 비교적 큰 부분을 덮거나 둘러싼다. 이는 대응하는 베이스 부분에 대한 포지셔닝 디바이스의 신뢰성 있고 안정된 맞닿음을 가져온다.
변형예에서, 2개 이상의 맞닿음 돌출부가 연결 표면 상에 제공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말하면, 맞닿음 돌출부들은 특정 응용에서 필요에 따른 개수 및 위치로 포지셔닝 디바이스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대응하는 베이스 부분 상에서의 포지셔닝 디바이스의 조립이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밀봉 돌출부는 유체 포트를 둘러싼다. 따라서, 유체 포트는 환경에 대해 신뢰성 있게 밀봉될 수 있다. 동시에, 밀봉 기능이 필요한 곳에서 가스켓의 일부가 선택적으로 압축된다. 따라서, 가스켓의 구조 및 제작이 용이할 수 있다.
둘 이상의 유체 포트들이 제공되고, 유체 포트들 각각이 각자의 밀봉 돌출부에 의해 둘러싸이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모든 유체 포트들은 서로에 대해 그리고 환경에 대해 신뢰성 있게 밀봉될 수 있다. 동시에, 가스켓은 필요한 영역에서만 압축된다.
연결 표면 상에 가스켓을 부착하기 위한 스냅 윤곽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특히 대응하는 베이스 부분 상에 포지셔닝 디바이스를 장착하기 위한 조립 절차 동안, 가스켓은 연결 표면 상에 신뢰성 있게 유지된다. 따라서, 대응하는 장착 절차가 용이하고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다. 특히, 가스켓은 이러한 장착 절차 중에 이동하지 않는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연결 표면에는 가스켓을 위치결정시키기 위한 포지셔닝 돌출부가 제공된다. 이러한 포지셔닝 돌출부는 특히 연결 표면에 평행한 평면 내에서 가스켓의 위치결정을 돕는다. 이를 위해, 가스켓은 바람직하게는 포지셔닝 돌출부에 대해 맞닿는다. 결과적으로, 가스켓은 포지셔닝 디바이스 상에 신뢰성 있게 위치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스냅 윤곽은 포지셔닝 돌출부 상에 배열된다. 이는 일반적으로 스냅 윤곽과 관련하여 이미 설명된 효과 및 이점으로 이어진다. 포지셔닝 돌출부 상에 스냅 윤곽을 제공함으로써, 가스켓을 소정의 위치에 유지하는 신뢰도가 더욱 향상된다.
변형예에서, 밀봉 돌출부의 높이는 맞닿음 돌출부의 높이의 5% 이상, 특히 10% 이상이다. 이는 포지셔닝 디바이스와 관련하여 사용되는 가스켓의 신뢰성 있는 압축으로 이어진다.
대안예에 따르면, 밀봉 돌출부의 높이는 0.05 mm 이상, 특히 0.1 mm 이상이다. 이러한 밀봉 돌출부는 제조가 간단하고, 가스켓을 위한 충분한 양의 압축을 제공한다.
또 다른 대안예에 따르면, 맞닿음 돌출부의 높이는 0.5 mm 이상, 특히 1 mm 이상이다. 맞닿음 돌출부의 높이는 항상 밀봉 돌출부의 높이를 초과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러한 맞닿음 돌출부는 표준 기계로 제작될 수 있다. 그 결과,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과제는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닝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전술한 유형의 포지셔닝 조립체에 의해 해결되며, 여기서 가스켓은 베이스 부분과 포지셔닝 디바이스 사이에 개재되고, 포지셔닝 디바이스는 각각의 유체 포트들이 유체 연통하도록 베이스 부분 상에 장착된다. 포지셔닝 디바이스의 맞닿음 돌출부는 베이스 부분에 대해 맞닿고, 밀봉 돌출부는 베이스 부분에 대해 가스켓을 적어도 국부적으로 압축한다. 이러한 포지셔닝 조립체에서, 포지셔닝 디바이스 및 베이스 부분의 유체 포트들은 환경에 대해 신뢰성 있게 연결되고 신뢰성 있게 밀봉된다. 동시에, 포지셔닝 디바이스는 베이스 부분에 맞닿음 돌출부를 단순히 맞대어 놓음으로써 정확한 위치에 도달하기 때문에 간단하고 신뢰성 있는 방식으로 베이스 부분에 장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국부적인 가스켓의 압축은 맞닿음 돌출부와 밀봉 돌출부의 높이 차이에 의해 결정된다.
가스켓은 탄성 재료, 예컨대 고무, 일반적인 엘라스토머, 실리콘 재료, 네오프렌 재료, 플루오린 엘라스토머 재료,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재료, 또는 폴리우레탄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가스켓은 또한 비탄성 재료, 예컨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종이, 운모, 유리, 가죽, 금속, 또는 섬유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에도, 포지셔닝 디바이스와 관련하여 언급된 모든 효과 및 이점은 포지셔닝 조립체에도 적용되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전술한 과제는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닝 조립체를 포함하는 전술한 유형의 시트 재료 처리 기계에 의해 해결된다. 포지셔닝 조립체는 빠르고 용이한 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다는 사실로 인해, 전체적으로 시트 재료 처리 기계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포지셔닝 조립체는 동작 시에 신뢰성 있고 정밀하다. 따라서, 이는 시트 재료 처리 기계에 적용된다.
그 외에도, 포지셔닝 조립체 및 포지셔닝 디바이스와 관련하여 언급된 모든 효과 및 이점은 시트 재료 처리 기계에도 적용되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이제, 첨부 도면에 도시된 여러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면들에서 다음과 같다:
도 1 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닝 디바이스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여러 개의 포지셔닝 조립체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재료 처리 기계를 나타낸다.
도 2 는 부분적으로 조립된 상태에서, 2개의 포지셔닝 디바이스들을 갖는 도 1 의 포지셔닝 조립체의 일부를 도시한다.
도 3 은 도 1 및 도 2 의 포지셔닝 디바이스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 는 도 3 의 포지셔닝 디바이스의 IV 평면에서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5 는 도 4 의 포지셔닝 디바이스의 V 상세를 나타낸다.
도 6 은 도 2 의 포지셔닝 조립체의 VI 평면에서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 는 부분적으로 조립된 상태에서, 2개의 포지셔닝 디바이스들을 갖는 도 1 의 포지셔닝 조립체의 일부를 도시한다.
도 3 은 도 1 및 도 2 의 포지셔닝 디바이스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 는 도 3 의 포지셔닝 디바이스의 IV 평면에서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5 는 도 4 의 포지셔닝 디바이스의 V 상세를 나타낸다.
도 6 은 도 2 의 포지셔닝 조립체의 VI 평면에서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 은 시트 재료 처리 기계(10)(다음에서: 기계(10))를 도시한다.
도시된 예에서, 기계(10)는 시트 재료를 절단하도록 구성되고, 시트 재료에 대해 각각 특정 처리를 수행하는 5개의 유닛들로 구성된다.
제 1 유닛은 처리될 시트(12)를 제공 또는 공급하기 위한 피더 유닛(10a)이다. 예시의 목적을 위해, 단지 하나의 시트(12)만이 피더 유닛(10a)에 표현된다.
제 2 유닛은 시트(12)를 절단하도록 구성된 플래튼 프레스(14)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 2 유닛은 플래튼 프레스 유닛(10b)이다.
제 3 유닛은 절단 시트(12)로부터 특정 폐기 요소들을 제거하도록 구성된 스트리핑 유닛(10c)이다.
제 4 유닛은 블랭킹 유닛(10d)이다. 이 유닛에서, 절단 시트(12)의 실제 원하는 부분이 그로부터 인출되어 파일(16) 상에 놓인다.
제 5 유닛은 폐기물 배출 유닛(10e)이며, 절단 시트(12)의 추가의 폐기 요소들의 제거를 위해 제공된다.
시트(12)는 시트(12)를 선택적으로 파지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그리퍼 유닛들(22)이 부착되는 컨베이어 벨트(20)를 본질적으로 포함하는 컨베이어 시스템(18)에 의해 기계(10)를 통해 운반된다.
플래튼 프레스 유닛(10b), 스트리핑 유닛(10c) 및 블랭킹 유닛(10d)은 유지 표면(26) 상에 시트(12)를 유지하기 위한 포지셔닝 조립체(24)를 추가로 포함한다.
도 1 에 도시된 예에서, 유지 표면(26)은 포지셔닝 조립체(24)의 상부 표면이다.
플래튼 프레스 유닛(10b), 스트리핑 유닛(10c) 및 블랭킹 유닛(10d) 중 어느 하나에서 시트(12)를 처리하는 동안, 시트(12)의 선단 에지는 대응하는 그리핑 유닛(22)에 의해 파지될 것이고, 시트(12)의 후단 에지는 대응하는 포지셔닝 조립체(24)에 의해 유지될 것이다(이동 방향(T) 참조).
도 2 는 포지셔닝 조립체(24)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다.
이는 유체 포트(30)를 갖는 베이스 부분(28)을 포함한다.
유체 포트(30)는 유체 입구로서 설계된다.
따라서, 가압 공기가 유체 포트(30)를 통해 베이스 부분(28)에 공급될 수 있다.
베이스 부분(28)은 또한 유체 포트(30)와 유체 연통하는 복수의 유체 포트들(32)을 포함한다.
이러한 유체 포트들(32)은 유체 출구들로서 설계된다.
또한, 베이스 부분(28)은 유체 입구로서 설계되는 세정 유체 포트(34)를 포함한다. 따라서, 세정 유체는 세정 유체 포트(34)를 통해 포지셔닝 조립체(24)에 공급될 수 있다.
베이스 부분(28)은 세정 유체 포트(34)와 유체 연통하는 유체 출구로서 설계된 세정 유체 포트들(36)을 추가로 포함한다.
도 2 에 도시된 예에서, 2개의 포지셔닝 디바이스(38)는 체결 수단(40), 예를 들어 볼트 또는 리벳을 통해 베이스 부분(28) 상에 장착된다.
가스켓(42)은 베이스 부분(28)과 각각의 포지셔닝 디바이스(38) 사이에 개재된다.
포지셔닝 디바이스(38)는 도 3 내지 도 6 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된다. 도 2 에 도시된 2개의 포지셔닝 디바이스(38)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하의 설명은 양자 모두에 적용된다.
포지셔닝 디바이스(38)는 본체(44)를 포함한다.
본체(44)의 하나의 외부 표면은 포지셔닝 표면(46)이다.
도 2 의 표현에서, 포지셔닝 표면(46)은 본체(44)의 상부 표면이다.
본체(44)는 또한 그 외부 표면인 연결 표면(48)을 포함한다.
연결 표면(48)은 포지셔닝 표면(46)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따라서 도 2 의 표현에서 본체(44)의 하부 표면이다.
포지셔닝 표면(46) 상에는 흡입 개구들(50)이 제공된다. 이들 흡입 개구(50)는 시트(12)가 포지셔닝 표면(46) 상에 유지되도록 시트를 흡인하도록 구성된다.
연결 표면(48) 상에는 유체 포트들(52)이 제공된다. 이들 유체 포트(52)는 유체 입구로서 설계되고 흡입 개구(50)와 유체 연통한다.
부가적으로, 세정 유체 포트들(54)은 연결 표면(48) 상에 배열된다. 이러한 세정 유체 포트들(54)은 유체 입구들로서 설계된다.
본체(44)는 또한 포지셔닝 표면(46)과 연결 표면(48)을 연결하는 측방 표면(56)을 갖는다.
측방 표면(56) 상에는 유체 포트들(58)이 제공된다. 이들 유체 포트는 유체 포트들(54) 및 흡입 개구들(50)과 유체 연통한다. 이들은 유체 출구로서 설계된다.
연결 표면(48) 상에서, 본체(44)는 아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베이스 부분(28)에 대해 포지셔닝 디바이스(38)를 맞닿게 하기 위한 맞닿음 돌출부(60)를 갖는다.
맞닿음 돌출부(60)는 연결 표면(48)에 수직한 방향으로 볼 때 세장형이다.
또한, 맞닿음 돌출부(60)는 이 방향으로 간주될 때 폐쇄된 지오메트리이다.
또한, 맞닿음 돌출부(60)는 연결 표면(48)의 장착 영역(62)을 실질적으로 둘러싸고, 즉 맞닿음 돌출부(60)는 장착 상태에서 베이스 부분(28)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연결 표면(48)의 영역의 경계를 따라 실질적으로 연장된다(도 2 참조).
맞닿음 돌출부(60)는 적어도 1 mm의 높이(Ha)만큼 연결 표면(48)으로부터 돌출한다.
추가로, 총 6개의 밀봉 돌출부(64)가 연결 표면(48) 상에 배열된다.
밀봉 돌출부들(64)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가스켓(42)을 압축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밀봉 돌출부(64)는 연결 표면(48)에 수직인 방향으로 볼 때 세장형이다.
더욱이, 밀봉 돌출부(64)는 이 방향을 따라 간주될 때 폐쇄된 지오메트리이다.
본 예에서, 밀봉 돌출부(64)는 원형 형상이다.
또한, 각각의 밀봉 돌출부(64)는 유체 포트들(52) 중 하나 또는 세정 유체 포트들(54) 중 하나를 둘러싼다.
밀봉 돌출부(64)는 연결 표면(48)으로부터 적어도 0.1mm의 높이(Hs)만큼 돌출된다.
밀봉 돌출부(64)의 높이(Hs)는 맞닿음 돌출부(60)의 높이(Ha)보다 항상 작다. 즉, 맞닿음 돌출부(60)의 높이(Ha)는 밀봉 돌출부(64)의 높이(Hs)보다 항상 크다.
도시된 예에서, 밀봉 돌출부(64)의 높이(Hs)는 맞닿음 돌출부(60)의 높이(Ha)의 10%에 해당한다. 또한, 연결 표면(48) 상에는, 연결 표면(48)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한 평면 내에서 본체(44) 상에 가스켓(42)을 위치결정시키기 위한 2개의 포지셔닝 돌출부(66)가 제공된다.
도시된 예에서, 포지셔닝 돌출부들(66)은 핀-형상이다. 이들은 포지셔닝 핀이라고도 한다.
선택적으로, 도 5 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스냅 윤곽(68)이 포지셔닝 돌출부(66)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도 5 의 예에서, 스냅 윤곽(68)은 포지셔닝 돌출부(66)를 원주방향으로 둘러싸는 스냅 칼라이다.
스냅 윤곽(68)을 이용하여, 가스켓(42)은 연결 표면(48)에 부착될 수 있다.
포지셔닝 조립체(24)가 조립될 때, 가스켓(42)은 대응하는 포지셔닝 디바이스(38)의 본체(44)의 연결 표면(48) 상에 배열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가스켓(42)은 포지셔닝 돌출부(66)를 이용하여 본체(44) 상에 위치된다.
또한, 가스켓(42)은 스냅 윤곽(68)을 사용하여 본체(44)에 부착된다.
그 다음, 포지셔닝 디바이스(38) 및 가스켓(42)의 조립체가 베이스 부분(28) 상에 장착된다.
이는, 베이스 부분(28)의 유체 포트들(32) 각각이 본체(44)의 유체 포트들(52) 중 대응하는 유체 포트와 유체 연통하고 베이스 부분(28)의 세정 유체 포트들(36) 각각이 본체(44)의 세정 유체 포트들(54) 중 대응하는 세정 유체 포트와 유체 연통하도록 행해진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가스켓(42)은 실질적으로 균일한 두께를 가지며, 이는 맞닿음 돌출부(60)의 높이(Ha)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고 가정한다.
포지셔닝 디바이스(38)는 맞닿음 돌출부(60)가 베이스 부분(28)에 맞닿도록 베이스 부분(28) 상에 장착된다(도 6 참조).
결과적으로, 밀봉 돌출부(64)와 접촉하는 가스켓(42)의 부분은 베이스 부분(28)에 대해 압축된다.
압축량은 맞닿음 돌출부(60)와 밀봉 돌출부(64)의 높이(Ha, Hs) 간의 차이와 동일하다.
결과적으로, 가스켓(42)은 미리 정의된 양만큼 국부적으로 압축된다.
그 결과, 포트들(30, 32, 52 및 34, 36, 54)는 각각 전술한 바와 같이 유체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은 환경에 대해 유밀성이다.
따라서, 드라이버 유체는 유체 포트(30)를 통해 공급될 수 있고, 유체 포트들(58)을 통해 포지셔닝 조립체(24)를 떠날 수 있다.
본체(44) 내에 통합되고 흡입기로서 흡입 개구(50) 상에 작용하는 제트 펌프는 드라이버 유체에 의해 구동된다.
도면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실시형태에서, 시트(12)는 평평한 가요성 부품의 대표적인 예로서 사용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는 기계(10), 포지셔닝 조립체(24) 및 포지셔닝 디바이스(38)가 또한 임의의 다른 평평한 가요성 부품과 관련하여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단일 맞닿음 돌출부(60)는 추가 맞닿음 돌출부에 의해 보충될 수 있거나, 예를 들어 맞닿음 돌출부(60)의 섹션들에 대응하는 2개 이상의 맞닿음 돌출부들에 의해 대체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15)
- 평평한 가요성 부품, 특히 시트 (12) 를 포지셔닝 표면 (46) 상에 유지하기 위한 포지셔닝 디바이스 (38) 로서, 상기 포지셔닝 디바이스 (38) 는 상기 평평한 가요성 부품을 흡인하기 위한 흡입 개구 (50) 를 갖는 본체 (44) 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 개구 (50) 는 상기 본체 (44) 의 외부 표면인 상기 포지셔닝 표면 (46) 내에 배열되고, 유체 포트 (52) 가 상기 흡입 개구 (50) 와 유체 연통하고, 상기 유체 포트 (52) 는 상기 본체 (44) 의 외부 표면인 연결 표면 (48) 내에 배열되고,
상기 연결 표면 (48) 상에는 상기 포지셔닝 디바이스 (38) 를 상기 포지셔닝 디바이스가 장착될 수 있는 베이스 부분 (28) 에 맞닿게 하기 위해 맞닿음 돌출부 (60) 가 배치되고, 상기 연결 표면 (48) 상에는 상기 포지셔닝 디바이스 (38) 와 상기 베이스 부분 (28) 사이에 개재된 가스켓 (42) 을 압축하기 위해 밀봉 돌출부 (64) 가 배치되고,
상기 맞닿음 돌출부 (60) 가 상기 연결 표면 (48) 으로부터 돌출하는 높이 (Ha) 는 상기 밀봉 돌출부 (64) 가 상기 연결 표면 (48) 으로부터 돌출하는 높이 (Hs) 보다 큰, 포지셔닝 디바이스 (38).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맞닿음 돌출부 (60) 및/또는 상기 밀봉 돌출부 (64) 는 상기 연결 표면 (48) 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볼 때 세장형 (elongate) 인, 포지셔닝 디바이스 (38).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맞닿음 돌출부 (60) 및/또는 상기 밀봉 돌출부 (64) 는 상기 연결 표면 (48) 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볼 때 폐쇄된 지오메트리인, 포지셔닝 디바이스 (38).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맞닿음 돌출부 (60) 는 상기 연결 표면 (48) 의 장착 영역 (62) 을 실질적으로 둘러싸는, 포지셔닝 디바이스 (38).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표면 (48) 상에는 2개 이상의 맞닿음 돌출부 (60) 가 제공되는, 포지셔닝 디바이스 (38).
-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돌출부 (64) 는 상기 유체 포트 (52) 를 둘러싸는, 포지셔닝 디바이스 (38).
- 제 6 항에 있어서, 2개 이상의 유체 포트들 (52) 이 제공되고, 상기 유체 포트들 (52) 의 각각은 각각의 밀봉 돌출부 (64) 에 의해 둘러싸이는, 포지셔닝 디바이스 (38).
-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표면 (48) 상에 가스켓 (42) 을 부착하기 위한 스냅 윤곽 (68) 을 포함하는, 포지셔닝 디바이스 (38).
-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표면 (48) 상에는 가스켓 (42) 을 위치결정시키기 위한 포지셔닝 돌출부 (66) 가 제공되는, 포지셔닝 디바이스 (38).
- 제 9 항 및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스냅 윤곽 (68) 은 상기 포지셔닝 돌출부 (66) 상에 배치되는, 포지셔닝 디바이스 (38).
-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돌출부 (64) 의 높이 (Hs) 는 상기 맞닿음 돌출부 (60) 의 높이 (Ha) 의 5% 이상, 특히 10% 이상인, 포지셔닝 디바이스 (38).
-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돌출부 (64) 의 높이 (Hs) 는 0.05 mm 이상, 특히 0.1 mm 이상인, 포지셔닝 디바이스 (38).
-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맞닿음 돌출부 (60) 의 높이 (Ha) 는 0.5 mm 이상, 특히 1 mm 이상인, 포지셔닝 디바이스 (38).
- 평평한 가요성 부품, 특히 시트 (12) 를 유지 표면 (26) 상에 유지하기 위한 포지셔닝 조립체 (24) 로서, 상기 포지셔닝 조립체는
유체 포트 (30) 를 갖는 베이스 부분 (28),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닝 디바이스 (38), 및
상기 베이스 부분 (28) 과 상기 포지셔닝 디바이스 (38) 사이에 개재되는 가스켓 (42) 을 포함하고,
상기 포지셔닝 디바이스 (38) 는 각각의 유체 포트들 (30, 52) 이 유체 연통하도록 상기 베이스 부분 (28) 상에 장착되고,
상기 포지셔닝 디바이스 (38) 의 상기 맞닿음 돌출부 (60) 는 상기 베이스 부분 (28) 에 맞닿고, 상기 밀봉 돌출부 (64) 는 상기 베이스 부분 (28) 에 대해 상기 가스켓 (42) 을 적어도 국부적으로 압축하는, 포지셔닝 조립체 (24). - 제 14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닝 조립체 (24) 를 포함하는 시트 재료 처리 기계 (10).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EP20213168.6 | 2020-12-10 | ||
EP20213168 | 2020-12-10 | ||
PCT/EP2021/083123 WO2022122412A1 (en) | 2020-12-10 | 2021-11-26 | Positioning device and positioning assembly for holding a flat flexible part, and sheet material processing machin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07395A true KR20230107395A (ko) | 2023-07-14 |
KR102569629B1 KR102569629B1 (ko) | 2023-08-22 |
Family
ID=73793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7022346A KR102569629B1 (ko) | 2020-12-10 | 2021-11-26 | 평평한 가요성 부품을 유지하기 위한 포지셔닝 디바이스및 포지셔닝 조립체, 및 시트 재료 처리 기계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11919189B2 (ko) |
EP (1) | EP4259393B1 (ko) |
JP (1) | JP7544981B2 (ko) |
KR (1) | KR102569629B1 (ko) |
CN (1) | CN116583473B (ko) |
TW (1) | TWI792724B (ko) |
WO (1) | WO2022122412A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329224B1 (en) * | 1998-04-28 | 2001-12-11 | Tessera, Inc. | Encapsulation of microelectronic assemblies |
KR20110129211A (ko) * | 2010-05-25 | 2011-12-01 | 주식회사 에이엠에이치시스템즈 | 코안다 효과를 이용한 비접촉 반송플레이트 |
KR20150070404A (ko) * | 2012-10-25 | 2015-06-24 |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 선택적 가스 주입 및 추출을 위한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750507A (en) | 1970-12-09 | 1973-08-07 | Gerber Garment Technology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holding sheet material |
EP1935820B1 (de) * | 2006-12-18 | 2014-04-16 |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G | Bogenbearbeitungsmaschine mit Bogenbrems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Reinigen einer Bogenbremsvorrichtung |
JP5733488B2 (ja) * | 2009-09-25 | 2015-06-10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記録装置 |
US8549767B2 (en) * | 2010-08-20 | 2013-10-08 | John Brady | Apparatus for holding and aligning a flat material |
JP5723846B2 (ja) * | 2012-10-04 | 2015-05-27 | 内山工業株式会社 | ガスケット |
US10093507B2 (en) * | 2012-10-30 | 2018-10-09 | Bobst Mex Sa | Device for holding a flat sheet-shaped element circulating in a processing machine |
KR102344048B1 (ko) | 2014-11-18 | 2021-12-29 | 주식회사 국일인토트 | 개스킷 |
TWI842003B (zh) | 2017-10-24 | 2024-05-11 | 荷蘭商耐克創新有限合夥公司 | 供在製造中使用的框 |
-
2021
- 2021-11-26 CN CN202180081779.2A patent/CN116583473B/zh active Active
- 2021-11-26 EP EP21819846.3A patent/EP4259393B1/en active Active
- 2021-11-26 US US18/255,169 patent/US11919189B2/en active Active
- 2021-11-26 JP JP2023535036A patent/JP7544981B2/ja active Active
- 2021-11-26 WO PCT/EP2021/083123 patent/WO2022122412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1-11-26 KR KR1020237022346A patent/KR10256962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1-11-29 TW TW110144372A patent/TWI792724B/zh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329224B1 (en) * | 1998-04-28 | 2001-12-11 | Tessera, Inc. | Encapsulation of microelectronic assemblies |
KR20110129211A (ko) * | 2010-05-25 | 2011-12-01 | 주식회사 에이엠에이치시스템즈 | 코안다 효과를 이용한 비접촉 반송플레이트 |
KR20150070404A (ko) * | 2012-10-25 | 2015-06-24 |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 선택적 가스 주입 및 추출을 위한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6583473A (zh) | 2023-08-11 |
JP7544981B2 (ja) | 2024-09-03 |
US20230339133A1 (en) | 2023-10-26 |
JP2023551573A (ja) | 2023-12-08 |
TWI792724B (zh) | 2023-02-11 |
US11919189B2 (en) | 2024-03-05 |
CN116583473B (zh) | 2024-05-24 |
TW202237362A (zh) | 2022-10-01 |
WO2022122412A1 (en) | 2022-06-16 |
EP4259393B1 (en) | 2024-10-09 |
EP4259393A1 (en) | 2023-10-18 |
KR102569629B1 (ko) | 2023-08-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69629B1 (ko) | 평평한 가요성 부품을 유지하기 위한 포지셔닝 디바이스및 포지셔닝 조립체, 및 시트 재료 처리 기계 | |
CN215246090U (zh) | 用于料盘转台的料盘、用于容器的贴标签机和表面元件 | |
CN109048655B (zh) | 卡盘工作台 | |
KR102163631B1 (ko) | 진공 척의 흡착 패드 | |
JP5756956B2 (ja) | 真空吸着装置 | |
US20220009135A1 (en) | Stacked workpiece molding device | |
US20190263305A1 (en) | Device for providing a pneumatic pressure medium by means of a pressure medium source for at least one pressure medium chamber of a vehicle seat of a motor vehicle in particular | |
KR102118248B1 (ko) | 매니퓰레이터로 구조 부분에 구성요소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
EP3366423B1 (en) | Support for flexible workpieces | |
KR20150106162A (ko) | 반도체 패키지들을 지지하기 위한 테이블 조립체 | |
KR20210025343A (ko) | 밀봉 하우징 | |
KR102025134B1 (ko) | 조립식 클리닝 노즐과 이것이 구비된 조립식 클리닝 장치 | |
CN220067821U (zh) | 柔性电路板分离设备 | |
KR20240150867A (ko) | 진공척 | |
DE202014100458U1 (de) | Vorrichtung zum Ansaugen und/oder Transportieren und/oder Montieren von Bauteilen | |
CN202753241U (zh) | 密封板 | |
KR101984020B1 (ko) | 소형소자의 이송 안정성이 개선된 차량용 스티어링휠 리모콘 제조장치 | |
JPH10305326A (ja) | 打抜き加工用上金型 | |
CN114920042B (zh) | 片材输送装置 | |
CN111203908B (zh) | 隔膜输送装置及液体封入式防振支座的制造方法 | |
JP7494913B2 (ja) | 吸着パッド | |
KR101840395B1 (ko) | 자동 정렬 및 소음 감소 기능을 갖는 자동차용 혼 하우징 코킹 장치 | |
KR101535616B1 (ko) | 디스플레이 장치용 시트부재 척킹 및 디척킹 장치 | |
CN116921526A (zh) | 辊式折边装置 | |
CN114724997A (zh) | 芯片盖体的吸取装置、贴片机及相关系统、方法和应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