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5134B1 - 조립식 클리닝 노즐과 이것이 구비된 조립식 클리닝 장치 - Google Patents

조립식 클리닝 노즐과 이것이 구비된 조립식 클리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5134B1
KR102025134B1 KR1020180012824A KR20180012824A KR102025134B1 KR 102025134 B1 KR102025134 B1 KR 102025134B1 KR 1020180012824 A KR1020180012824 A KR 1020180012824A KR 20180012824 A KR20180012824 A KR 20180012824A KR 102025134 B1 KR102025134 B1 KR 102025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plate
treatment
bracket
treatment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2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3328A (ko
Inventor
육경식
Original Assignee
육경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육경식 filed Critical 육경식
Priority to KR1020180012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5134B1/ko
Publication of KR20190093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33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5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5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78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05Nozzles or other outlets specially adapted for discharging one or more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05B1/0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in flat form, e.g. fan-like, sheet-like
    • B05B1/044Slits, i.e. narrow openings defined by two straight and parallel lips; Elongated outlets for producing very wide discharges, e.g. fluid curt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Landscapes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유체가 흡입 또는 분사되는 노즐슬릿의 폭 방향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물질의 크기를 다양화하고, 노즐슬릿에서 흡입력 또는 분사력을 조절하기 위한 조립식 클리닝 노즐과 이것이 구비된 조립식 클리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조립식 클리닝 노즐은 선형의 노즐슬릿이 개구된 조립식 클리닝 노즐이고, 노즐슬릿에 대응하여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1처리브라켓과 제2처리브라켓과, 제1처리브라켓의 상단부와 제2처리브라켓의 상단부 사이를 밀폐시키는 밀폐부재 및 밀폐부재에서 이격되고 나사 결합에 의해 제1처리브라켓과 제2처리브라켓을 연결하는 간격조절부재를 포함한다. 이때, 제1처리브라켓과 제2처리브라켓 사이에는 간격조절부재에 의해 노즐슬릿과, 노즐슬릿에 연통되는 처리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간격조절부재가 제1처리브라켓과 제2처리브라켓에 나사 결합되는 정도에 따라 노즐슬릿의 폭 방향 간격이 조절된다.

Description

조립식 클리닝 노즐과 이것이 구비된 조립식 클리닝 장치{PREFABRICATED CLEANING NOZZLE AND PREFABRICATED CLEANING DEVICE}
본 발명은 조립식 클리닝 노즐과 이것이 구비된 조립식 클리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유체가 흡입 또는 분사되는 노즐슬릿의 폭 방향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물질의 크기를 다양화하고, 노즐슬릿에서 흡입력 또는 분사력을 조절하기 위한 조립식 클리닝 노즐과 이것이 구비된 조립식 클리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벨트 컨베이어 또는 기판 등과 같은 피처리물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의 제거를 위해 피처리물로부터 이물질을 흡입하거나, 피처리물에 유체를 분사하는 클리닝 장치가 사용된다.
이러한 클리닝 장치는 피처리물을 가압하지 않도록 하여 피처리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른 클리닝 장치에는 선형의 슬릿이 개구된 노즐이 구비되는 데, 이러한 노즐은 정형화됨에 따라 노즐팁 사이의 간격 조절이 어려우므로, 피처리물의 종류, 이물질의 크기 등에 따라 다양한 노즐을 구비해야 한다.
또한, 노즐팁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므로, 흡입력 또는 분사력의 조절을 위해서는 흡입수단이나 분사수단의 파워를 조절해야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22282호(발명의 명칭 : 비접촉식 벨트 클리너, 2012. 03. 21.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유체가 흡입 또는 분사되는 노즐슬릿의 폭 방향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물질의 크기를 다양화하고, 노즐슬릿에서 흡입력 또는 분사력을 조절하기 위한 조립식 클리닝 노즐과 이것이 구비된 조립식 클리닝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클리닝 노즐은 선형의 노즐슬릿이 개구된 조립식 클리닝 노즐이고, 상기 노즐슬릿에 대응하여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1처리브라켓과 제2처리브라켓; 상기 제1처리브라켓의 상단부와 상기 제2처리브라켓의 상단부 사이를 밀폐시키는 밀폐부재; 및 상기 밀폐부재에서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고, 나사 결합에 의해 상기 제1처리브라켓과 상기 제2처리브라켓을 연결하는 간격조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처리브라켓과 상기 제2처리브라켓 사이에는, 상기 간격조절부재에 의해 상기 노즐슬릿과, 상기 노즐슬릿에 연통되는 처리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간격조절부재가 상기 제1처리브라켓과 상기 제2처리브라켓에 나사 결합되는 정도에 따라 상기 노즐슬릿의 폭 방향 간격이 조절된다.
여기서, 상기 제1처리브라켓과 상기 제2처리브라켓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일측에는 상기 밀폐부재가 밀착 지지되고, 상기 처리공간의 전체 또는 일부를 형성하는 처리플레이트; 및 상기 처리플레이트의 타측에서 연장되는 노즐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플레이트와 마주보는 다른 플레이트 사이에는, 상기 노즐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간격조절부재는 나사 결합을 통해 상기 노즐플레이트와 마주보는 다른 플레이트를 연결한다.
여기서, 상기 밀폐부재가 지지되는 상기 제1처리브라켓과 상기 제2처리브라켓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밀폐부재가 삽입되는 밀폐홈부;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간격조절부재는, 상기 밀폐부재에서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나사 결합을 통해 상기 노즐플레이트와 마주보는 다른 플레이트를 상호 연결시키는 제1조절부재; 및 상기 제1조절부재에서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나사 결합을 통해 상기 노즐플레이트를 기준으로 마주보는 다른 플레이트를 가압하는 제2조절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처리브라켓과 상기 제2처리브라켓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처리공간에 유체를 공급하거나, 상기 처리공간의 유체가 배출되는 유체처리부;가 관통 또는 함몰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클리닝 노즐은 상기 제1처리브라켓의 길이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처리공간의 선단부와 후단부 그리고 상기 노즐슬릿의 선단부와 후단부를 밀폐하는 마감부재;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처리공간에는 수용된 유체를 필터링 하는 필터;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클리닝 장치는 선형의 노즐슬릿이 개구된 노즐유닛; 및 상기 노즐슬릿에 흡입력 또는 분사력을 제공하는 유체구동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유닛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클리닝 노즐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클리닝 노즐과 이것이 구비된 조립식 클리닝 장치에 따르면,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유체가 흡입 또는 분사되는 노즐슬릿의 폭 방향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물질의 크기를 다양화하고, 노즐슬릿에서 흡입력 또는 분사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간격조절부재의 나사 결합에 따라 밀폐부재를 기준으로 제1처리브라켓과 제2처리브라켓이 상대 운동하여 피벗 운동하므로, 노즐슬릿의 폭 방향 간격 조절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밀폐홈부를 통해 제1처리브라켓과 제2처리브라켓의 밀착력을 향상시키고, 처리공간의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간격조절부재의 배열 구조에 따라 제1처리브라켓과 제2처리브라켓과 밀폐부재 사이의 밀착력을 향상시키고, 밀폐부재의 결합 부위에서 처리공간의 유체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체처리부를 통해 유체구동유닛과의 결합을 간편하게 하고, 유체의 공급 또는 배출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감부재를 통해 처리공간의 선단부와 후단부 그리고 노즐슬릿의 선단부와 후단부에서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체구동유닛의 세부 구성을 통해 제1처리브라켓과 제2처리브라켓의 피벗 운동시 유체구동유닛과 노즐유닛 사이에서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클리닝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클리닝 장치에서 노즐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클리닝 장치에서 노즐슬릿의 노즐팁 간격이 조절된 상태를 도시한 노즐유닛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클리닝 노즐과 이것이 구비된 조립식 클리닝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클리닝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클리닝 장치는 노즐슬릿(103)에서 유체를 흡입하거나, 유체를 분사할 때, 노즐슬릿(103)의 폭 방향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클리닝 장치는 선형의 노즐슬릿(103)이 개구된 노즐유닛(100)과, 노즐슬릿(103)에 흡입력 또는 분사력을 제공하는 유체구동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
노즐유닛(100)은 노즐슬릿(103)에 대응하여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1처리브라켓(110)과 제2처리브라켓(120)과, 제1처리브라켓(110)의 상단부와 제2처리브라켓(120)의 상단부 사이를 밀폐시키는 밀폐부재(130)와, 밀폐부재(130)에서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고 나사 결합에 의해 제1처리브라켓(110)과 제2처리브라켓(120)을 연결하는 간격조절부재(140)를 포함한다.
그러면, 제1처리브라켓(110)과 제2처리브라켓(120) 사이에는 간격조절부재(140)에 의해 노즐슬릿(103)과, 노즐슬릿(103)에 연통되는 처리공간(101)이 형성된다. 또한, 간격조절부재(140)가 제1처리브라켓(110)과 제2처리브라켓(120)에 나사 결합되는 정도에 따라 제1처리브라켓(110)과 제2처리브라켓(120)은 밀폐부재(130)에 밀착 지지된 상태에서 밀폐부재(130)를 기준으로 피벗 운동하게 되므로, 노즐슬릿(103)의 폭 방향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좀 더 자세하게, 간격조절부재(140)를 조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처리브라켓(110)과 제2처리브라켓(120)의 상단부가 밀폐부재(130)에 밀착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밀폐부재(130)를 기준으로 제1처리브라켓(110)과 제2처리브라켓(120)이 피벗 운동하여 제1처리브라켓(110)에 대하여 제2처리브라켓(120)의 하부가 접근하므로, 노즐슬릿(103)의 폭 방향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간격조절부재(140)를 풀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처리브라켓(110)과 제2처리브라켓(120)의 상단부가 밀폐부재(130)에 밀착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밀폐부재(130)를 기준으로 제1처리브라켓(110)과 제2처리브라켓(120)이 피벗 운동하여 제1처리브라켓(110)에 대하여 제2처리브라켓(120)의 하부가 멀어지므로, 노즐슬릿(103)의 폭 방향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제1처리브라켓(110)과 제2처리브라켓(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처리공간(101)의 전체 또는 일부를 형성하는 처리플레이트와, 처리플레이트의 타측에서 연장되는 노즐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처리브라켓(110)과 제2처리브라켓(120)은 밀폐부재(130)를 기준으로 축 대칭을 이루고 있다.
그러면, 처리플레이트의 일측 단부에는 밀폐부재(130)가 밀착 지지된다.
이때, 노즐플레이트와 마주보는 다른 플레이트 사이, 다시 말해, 상호 마주보는 노즐플레이트 사이에는 노즐슬릿(103)이 형성된다. 그러면, 간격조절부재(140)는 나사 결합을 통해 노즐플레이트와 마주보는 다른 플레이트, 다시 말해, 상호 마주보는 노즐플레이트를 연결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처리플레이트는 일측이 밀폐부재(130)에 밀착 지지되는 제1처리플레이트(111)와, 제1처리플레이트(111)의 타측에서 연장되는 제2처리플레이트(112)와, 제2처리플레이트(112)에서 연장되는 제3처리플레이트(113)를 포함한다. 이때, 제1처리플레이트(111) 내지 제3처리플레이트(113)에 의해 처리공간(101)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노즐플레이트는 제3처리플레이트(113)에서 단계적으로 절곡 형성된다. 그리고 노즐플레이트의 단부에는 노즐팁(125)이 형성된다.
노즐플레이트는 제3처리플레이트(113)에서 절곡 형성되는 제1노즐플레이트(121)와, 제1노즐플레이트(121)에서 절곡 형성되는 제2노즐플레이트(122)와, 제2노즐플레이트(122)에서 절곡 형성되는 제3노즐플레이트(123)와, 제3노즐플레이트(123)에서 절곡 형성되는 제4노즐플레이트(12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제1노즐플레이트(121)와 마주보는 다른 플레이트 사이, 다시 말해, 상호 마주보는 제1노즐플레이트(121) 사이에는 처리공간(101)과 연통되는 제1공간(1021)이 형성되고, 제2노즐플레이트(122)와 마주보는 다른 플레이트 사이, 다시 말해, 상호 마주보는 제2노즐플레이트(122) 사이에는 제1공간(1021)과 연통되는 제2공간(1022)이 형성되며, 제3노즐플레이트(123)와 마주보는 다른 플레이트 사이, 다시 말해, 상호 마주보는 제3노즐플레이트(123) 사이에는 제2공간(1022)과 연통되는 제3공간(1023)이 형성되고, 제4노즐플레이트(124)와 마주보는 다른 플레이트 사이, 다시 말해, 상호 마주보는 제4노즐플레이트(124) 사이에는 제3공간(1023)과 연통되는 노즐슬릿(103)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4노즐플레이트(124)의 단부에는 노즐팁(125)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t0은 노즐슬릿(103)의 폭 방향 간격을 조절하기 전 상태이고, t1은 간격조절부재(140)의 동작에 따라 노즐슬릿(103)의 폭 방향 간격이 조절된 상태를 나타낸다. 다른 표현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t0은 노즐플레이트의 단부에 상호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노즐팁(125)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전 상태이고, t1은 노즐플레이트의 단부에 상호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노즐팁(125) 사이 간격이 조절된 상태를 나타낸다.
여기서, 밀폐부재(130)가 지지되는 제1처리브라켓(110)과 제2처리브라켓(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밀폐부재(130)가 삽입되는 밀폐홈부(131)가 구비되어 제1처리브라켓(110)과 제2처리브라켓(120)의 상측으로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처리브라켓(110)과 제2처리브라켓(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처리공간(101)에 유체를 공급하거나, 처리공간(101)의 유체가 배출되는 유체처리부(115)가 관통 또는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호 마주보는 제1처리플레이트(111)에서 각각 함몰 형성되고, 제1처리브라켓(110)과 제2처리브라켓(120)의 결합에 따라 처리공간(101)이 노출된 구멍을 형성한다.
또한, 처리공간(101)에는 수용된 유체를 필터링 하는 필터(400)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제1처리브라켓(110)과 제2처리브라켓(120)에는 필터지지홈부(116)가 구비될 수 있다. 필터지지홈부(116)에는 필터(400)의 가장자리가 끼움 결합되어 처리공간(101)의 유체를 필터링할 수 있다.
간격조절부재(140)는 밀폐부재(130)에서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고, 노즐슬릿(103)의 길이 방향에 대응하여 2열 이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간격조절부재(140)의 2열 배열 구조는 한 쌍의 노즐팁(125) 사이 간격을 조절함에 있어서, t1의 변화에 대응하여 제1처리브라켓(110)과, 제2처리브라켓(120)과, 밀폐부재(130) 사이의 밀착력을 향상시켜 노즐유닛(100)의 결합력이 향상되며, 밀폐부재(130)의 결합 부위에서 처리공간(101)의 유체 누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간격조절부재(140)는 밀폐부재(130)에서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나사 결합을 통해 노즐플레이트와 마주보는 다른 플레이트를 상호 연결시키는 제1조절부재(141)와, 제1조절부재(141)에서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나사 결합을 통해 노즐플레이트를 기준으로 마주보는 다른 플레이트를 가압하는 제2조절부재(142)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간격조절부재(140)는 밀폐부재(130)에서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노즐플레이트와 마주보는 다른 플레이트, 다시 말해, 상호 마주보는 제2노즐플레이트(122)에 나사 결합되는 제1조절부재(141)와, 제1조절부재(141)에서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노즐플레이트와 마주보는 다른 플레이트, 다시 말해, 상호 마주보는 제3노즐플레이트(123)에 나사 결합되는 제2조절부재(14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제1조절부재(141)는 제1처리브라켓(110)과 제2처리브라켓(120)의 결합을 안정화시키고, 제2조절부재(142)는 노즐슬릿(103)의 폭 방향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제1조절부재(141)는 상호 마주보는 노즐플레이트에 모두 나사 결합되기도 하고, 상호 마주보는 노즐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를 통과하여 다른 하나에 나사 결합되기도 한다. 또한, 제2조절부재(142)는 상호 마주보는 노즐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에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다른 하나를 가압 지지하게 된다.
그러면, 제1조절부재(141)를 통해 나사 결합 상태를 조절함으로써, 제1처리브라켓(110)과 제2처리브라켓(120)의 결합을 안정화시키고, 제2조절부재(142)를 통해 나사 결합 상태를 조절함으로써, 노즐슬릿(103)의 폭 방향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1조절부재(141)와 제2조절부재(142)의 상호 작용으로 제1처리브라켓(110)과 제2처리브라켓(120)과 밀폐부재(130) 사이의 밀착력을 유지시킬 수 있다.
노즐유닛(100)은 제1처리브라켓(110)의 길이 방향에 대응하여 처리공간(101)의 선단부와 후단부 그리고 노즐슬릿(103)의 선단부와 후단부를 밀폐하는 마감부재(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마감부재(200)와 노즐유닛(100) 사이에는 유체의 누설 방지를 위한 마감가스켓(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유체구동유닛(300)은 노즐슬릿(103)에 제공되는 흡입력 또는 분사력을 발생시키는 유체구동부(310)와, 유체구동부(310)와 노즐유닛(100)의 유체처리부(115)를 연결하는 유체라인(3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체구동유닛(300)은 유체라인(320)이 연결된 상태에서 유체처리부(115)에 결합되는 유체브라켓(330)을 더 포함하고, 유체브라켓(330)과 노즐유닛(100) 사이를 밀폐하는 유체가스켓(3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체가스켓(340)은 기설정된 두께를 갖고 탄성 변형됨에 따라 유체브라켓(330)과 노즐유닛(100) 사이의 밀폐를 안정화시키고, 유체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클리닝 노즐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클리닝 노즐은 피처리물에 존재하는 이물질의 제거를 위해 유체가 흡입되거나 유체가 분사되는 선형의 노즐슬릿(103)이 개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클리닝 노즐은 상술한 노즐유닛(100)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노즐슬릿(103)을 통해 유체를 흡입함으로써, 피처리물에 부착된 이물질을 흡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노즐슬릿(103)을 통해 유체를 분사함으로써, 피처리물로부터 이물질을 떼어낼 수 있다.
미설명 부호 201은 나사 결합을 통해 노즐유닛(100)에 마감부재(200)를 고정시키는 마감체결부재이고, 미설명 부호 202는 마감체결부재(201)가 나사 결합되는 마감체결부이다.
상술한 조립식 클리닝 노즐과 이것이 구비된 조립식 클리닝 장치에 따르면, 노즐을 조립식으로 구현할 수 있고, 지레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유체가 흡입 또는 분사되는 노즐슬릿(103)의 폭 방향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물질의 크기를 다양화하고, 노즐슬릿(103)에서 흡입력 또는 분사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간격조절부재(140)의 나사 결합에 따라 밀폐부재(130)를 기준으로 제1처리브라켓(110)과 제2처리브라켓(120)이 상대 운동하여 피벗 운동하므로, 노즐슬릿(103)의 폭 방향 간격 조절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밀폐홈부(131)를 통해 제1처리브라켓(110)과 제2처리브라켓(120)의 밀착력을 향상시키고, 처리공간(101)의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간격조절부재(140)의 배열 구조에 따라 제1처리브라켓(110)과 제2처리브라켓(120)과 밀폐부재(130) 사이의 밀착력을 향상시키고, 밀폐부재(130)의 결합 부위에서 처리공간(101)의 유체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체처리부(115)를 통해 유체구동유닛(300)과의 결합을 간편하게 하고, 유체의 공급 또는 배출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마감부재(200)를 통해 처리공간(101)의 선단부와 후단부 그리고 노즐슬릿(103)의 선단부와 후단부에서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체구동유닛(300)의 세부 구성을 통해 제1처리브라켓(110)과 제2처리브라켓(120)의 피벗 운동시 유체구동유닛(300)과 노즐유닛(100) 사이에서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100: 노즐유닛 101: 처리공간 1021: 제1공간
1022: 제2공간 1023: 제3공간 103: 노즐슬릿
110: 제1처리브라켓 120: 제2처리브라켓 130: 밀폐부재
111: 제1처리플레이트 112: 제2처리플레이트 113: 제3처리플레이트
115: 유체처리부 116: 필터지지홈부 121: 제1노즐플레이트
122: 제2노즐플레이트 123: 제3노즐플레이트 124: 제4노즐플레이트
125: 노즐팁 131: 밀폐홈부 140: 간격조절부재
141: 제1조절부재 142: 제2조절부재 200: 마감부재
201: 마감체결부재 202: 마감체결부 300: 유체구동유닛
310: 유체구동부 320: 유체라인 330: 유체브라켓
340: 유체가스켓 400: 필터
t0: 조절 전의 한 쌍의 노즐팁 사이 간격
t1: 조절 후의 한 쌍의 노즐팁 사이 간격

Claims (8)

  1. 선형의 노즐슬릿이 개구된 조립식 클리닝 노즐이고,
    상기 노즐슬릿에 대응하여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1처리브라켓과 제2처리브라켓;
    상기 제1처리브라켓의 상단부와 상기 제2처리브라켓의 상단부 사이를 밀폐시키는 밀폐부재;
    상기 밀폐부재에서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고, 나사 결합에 의해 상기 제1처리브라켓과 상기 제2처리브라켓을 연결하는 간격조절부재; 및
    상기 제1처리브라켓의 길이 방향에 대응하여 처리공간의 선단부와 후단부, 상기 노즐슬릿의 선단부와 후단부를 밀폐하는 마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처리브라켓과 상기 제2처리브라켓 사이에는, 상기 간격조절부재에 의해 상기 노즐슬릿과, 상기 노즐슬릿에 연통되는 처리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간격조절부재가 상기 제1처리브라켓과 상기 제2처리브라켓에 나사 결합되는 정도에 따라 상기 노즐슬릿의 폭 방향 간격이 조절되며,
    상기 제1처리브라켓과 상기 제2처리브라켓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일측에는 상기 밀폐부재가 밀착 지지되고, 상기 처리공간의 전체 또는 일부를 형성하는 처리플레이트; 및
    상기 처리플레이트의 타측에서 연장되는 노즐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플레이트와 마주보는 다른 플레이트 사이에는, 상기 노즐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간격조절부재는 나사 결합을 통해 상기 노즐플레이트와 마주보는 다른 플레이트를 연결하며,
    상기 처리플레이트는,
    일측에 상기 밀폐부재에 밀착 지지되는 제1처리플레이트와, 상기 제1처리플레이트의 타측에서 연장되는 제2처리플레이트와, 상기 제2처리플레이트에서 연장되는 제3처리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플레이트는,
    상기 제3처리플레이트에서 절곡 형성되는 제1노즐플레이트와, 상기 제1노즐플레이트에서 절곡 형성되는 제2노즐플레이트와, 상기 제2노즐플레이트에서 절곡 형성되는 제3노즐플레이트와, 상기 제3노즐플레이트에서 절곡 형성되는 제4노즐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플레이트와 노즐플레이트 각각의 내측면에는 상기 마감부재와의 결합을 위해 마감체결부재가 결합되는 마감체결부가 상기 처리공간으로 연통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클리닝 노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체결부는,
    상기 제1 및 제2처리플레이트 사이의 절곡부와, 상기 제2처리플레이트와 상기 제3처리플레이트 사이의 절곡부와, 상기 제1노즐플레이트와 상기 제2노즐플레이트 사이의 절곡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클리닝 노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가 지지되는 상기 제1처리브라켓과 상기 제2처리브라켓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밀폐부재가 삽입되는 밀폐홈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클리닝 노즐.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부재는,
    상기 밀폐부재에서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나사 결합을 통해 상기 노즐플레이트와 마주보는 다른 플레이트를 상호 연결시키는 제1조절부재; 및
    상기 제1조절부재에서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나사 결합을 통해 상기 노즐플레이트를 기준으로 마주보는 다른 플레이트를 가압하는 제2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클리닝 노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처리브라켓과 상기 제2처리브라켓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처리공간에 유체를 공급하거나, 상기 처리공간의 유체가 배출되는 유체처리부;가 관통 또는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클리닝 노즐.
  6. 삭제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공간에는 수용된 유체를 필터링 하는 필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클리닝 노즐.
  8. 선형의 노즐슬릿이 개구된 노즐유닛; 및
    상기 노즐슬릿에 흡입력 또는 분사력을 제공하는 유체구동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유닛은,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립식 클리닝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클리닝 장치.
KR1020180012824A 2018-02-01 2018-02-01 조립식 클리닝 노즐과 이것이 구비된 조립식 클리닝 장치 KR102025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824A KR102025134B1 (ko) 2018-02-01 2018-02-01 조립식 클리닝 노즐과 이것이 구비된 조립식 클리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824A KR102025134B1 (ko) 2018-02-01 2018-02-01 조립식 클리닝 노즐과 이것이 구비된 조립식 클리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3328A KR20190093328A (ko) 2019-08-09
KR102025134B1 true KR102025134B1 (ko) 2019-11-04

Family

ID=67613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2824A KR102025134B1 (ko) 2018-02-01 2018-02-01 조립식 클리닝 노즐과 이것이 구비된 조립식 클리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51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99244A (zh) * 2019-11-08 2020-03-24 上海精测半导体技术有限公司 一种多孔性陶瓷载台清洁装置及显示面板制造设备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2184A (ko) * 2011-08-25 2013-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퀴즈장치
KR101122282B1 (ko) 2011-12-23 2012-03-21 한전산업개발 주식회사 비접촉식 벨트 클리너
KR101595887B1 (ko) * 2014-03-14 2016-02-19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에어건 용 노즐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99244A (zh) * 2019-11-08 2020-03-24 上海精测半导体技术有限公司 一种多孔性陶瓷载台清洁装置及显示面板制造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3328A (ko) 2019-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5134B1 (ko) 조립식 클리닝 노즐과 이것이 구비된 조립식 클리닝 장치
KR101040706B1 (ko) 기판용 건식 초음파 세정장치
US20030127530A1 (en) Device and method for cleaning glue-application nozzles
CN105935675B (zh) 喷嘴清洁设备
JP2014030806A (ja) クリーニングヘッド
CN107138300B (zh) 流体微量喷射装置
SG10201800716YA (en) Suction apparatus for an end effector, end effector for holding substratesand method of producing an end effector
KR102044849B1 (ko) 조립식 클리닝 노즐과 이것이 구비된 조립식 클리닝 장치
EP1905592A3 (en) Inkjet head
US9144979B2 (en) Liquid absorbing material, cap device and liquid ejecting apparatus
KR20100062134A (ko) 기판용 건식 초음파 세정장치
KR200482218Y1 (ko) 노즐 간격 조절이 가능한 나이프
JPWO2017204333A1 (ja) 異物除去装置
CN108855719B (zh) 喷嘴清扫装置、涂敷装置和喷嘴清扫方法
WO2016031612A1 (ja) 洗浄機用ノズル及び洗浄機
JP5740431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4330565B2 (ja) 基板洗浄ノズルおよび基板洗浄装置
CN110349904B (zh) 用于浮起基板的工作台、基板处理装置及基板处理方法
KR101547053B1 (ko) 롤 반송식 코터
JP2012218754A (ja) シート貼付装置及びその調整方法
JP3194969U (ja) 農作物の調製機
KR102569629B1 (ko) 평평한 가요성 부품을 유지하기 위한 포지셔닝 디바이스및 포지셔닝 조립체, 및 시트 재료 처리 기계
KR101751491B1 (ko) 파이프 외관 클리닝 장치
EP2704906B1 (en) Solvent flushing for fluid jet device
JP7094635B2 (ja) 清掃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