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1491B1 - 파이프 외관 클리닝 장치 - Google Patents

파이프 외관 클리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1491B1
KR101751491B1 KR1020150055528A KR20150055528A KR101751491B1 KR 101751491 B1 KR101751491 B1 KR 101751491B1 KR 1020150055528 A KR1020150055528 A KR 1020150055528A KR 20150055528 A KR20150055528 A KR 20150055528A KR 101751491 B1 KR101751491 B1 KR 101751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hole
air
air injection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5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5003A (ko
Inventor
이일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하나스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하나스틸 filed Critical 주식회사하나스틸
Priority to KR1020150055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1491B1/ko
Publication of KR20160125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50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1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14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3Cleaning the external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9/00Details of machines or methods for cleaning hollow articles
    • B08B2209/02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Abstract

적어도 하나의 타공홀이 관통 형성되어 체결수단에 의해 지면 또는 대상물에 고정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일측 상면에서 상향 돌출되는 지지부가 구비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일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브라켓의 상측 말단에서 상향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고정부재의 상측에 형성되고, 내면은 축방향을 따라 관통되는 중공부가 형성되며, 외면에는 상기 중공부로 공기를 공급하도록 관통되는 급기공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고정관이 구비되는 고정유닛과, 외면은 상기 고정관의 내면에 밀착 결합되고, 내면은 파이프의 외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축방향을 따라 관통되는 관통부가 형성되며, 상기 급기공으로부터 공급된 공기가 상기 관통부로 유입되도록 내면 일측에서 외면 측으로 다수 개가 관통되는 에어분사홀이 구비되어, 상기 파이프가 일측 말단으로 인입되는 에어분사관과, 상기 에어분사관에서 상기 파이프가 인출되는 측으로 상기 관통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에어분사홀이 폐쇄되지 않도록 삽입되며, 상기 파이프의 외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축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상기 파이프의 배출을 안내하도록 형성되는 파이프안내관과, 상기 급기공에 결합되어 상기 관통부에 공기를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급기덕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외관 클리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파이프 외관 클리닝 장치{Cleaning device for pipe surface}
본 발명은 파이프 외관 클리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클리닝 장치의 몸체에 용이하게 파이프를 삽입할 수 있고, 삽입되는 파이의 외면에 공기 또는 세척수를 분사하여 파이프의 외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파이프 외관 클리닝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일반적으로 파이프는 관 또는 튜브라고도 하고, 단면은 원형 또는 다각형일 수 있으며, 수도·가스 등 일상생활은 물론 각종 설치물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대 등 각종 산업용시설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파이프를 적재, 운반 및 설치장소에 하적 하는 과정 등에서 파이프의 외면에는 흙, 철가루, 기름, 먼지 등 다수의 이물질이 부착되어 상품성이 저하되거나 설치면이 불균일하게 되어 견고한 시공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종래에는 대부분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파이프의 외면을 세척 또는 닦아 내는 방법이 사용되었으며, 기계장치를 이용한 방법으로는 컴프레셔(압축기)를 이용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방법과,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전동브러쉬가 파이프의 외면에 마찰되도록 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방법 등이 사용되었다.
하지만, 수작업으로 이물질을 제거하는 경우에는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길이가 길거나 부피가 큰 파이프는 이물질이 깨끗하게 제거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고, 컴프레셔를 이용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경우에는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세척 이후 파이프 외면에 묻어있는 세척수를 닦아내야 하는 등의 추가적인 작업소요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전동브러쉬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마찰력에 의해 파이프 외면이 손상되거나 파이프 외면에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코팅층 및 페인트층이 벗겨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종래 등록특허공보 제10-1340391호에는 도 1과 같이, 에어분출구로 공기가 배출되는 에어분출실(11), 에어흡인구로 배출된 공기가 흡입되는 에어흡인실(12)로 형성되어 파이프가 삽입된 상태로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마련된 헤드 본체(10)와, 세정을 위한 에어가 유입되는 급기 덕트(30)와, 배기 에어가 배출되는 배기 덕트(40)로 구성되어, 파이프의 외면에 공기를 분사하여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클리닝 헤드가 개시되었다.
그러나, 헤드 본체(10)에는 에어분출실(11)과 에어흡인실(12)이 함께 형성되어 있어, 분출된 에어에 의해 제거된 이물질이 에어배출구 또는 에어흡인구을 막게 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경우 파이프 외관의 정상적인 클리닝 작업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헤드 본체(10)에서 급기 덕트(30)를 통해 파이프의 외면에 공기를 공급하기는 하나, 파이프 외면에 직접 공기를 분사하는 방식이 아닌 초음파 주파수로 진동하는 초음파 에어를 분사하는 방식이어서, 실질적으로 파이프 외면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헤드 본체(10)의 양측 말단 중 어느 하나에는 급기 덕트(30)만 설치될 뿐, 파이프의 삽입을 안내하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파이프의 삽입하기 위한 높이를 설정하더라도 용이한 삽입이 어렵고, 잘못 삽입하는 경우 파이프의 삽입측 단부나 급기 덕트(30)의 말단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340391호 (2013.12.11., 클리닝 헤드) 등록특허공보 제10-0855309호 (2008.09.04., 배관 세척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에 사용되는 노즐)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68149호 (2012.06.27., 파이프 외면 이물질 제거용 진공 블로잉 장치)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에어분사관 측으로 삽입되는 파이프의 외면에 직접 공기를 분사하여 파이프 외면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파이프 외관 클리닝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에어분사홀에서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 제거된 이물질이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지속적이고 효과적으로 작업할 수 있는 파이프 외관 클리닝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에어분사관 일측에 삽입되는 파이프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여, 작업의 편의성 및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파이프 외관 클리닝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일측으로 삽입되는 파이프 외관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클리닝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타공홀이 관통 형성되어 체결수단에 의해 지면 또는 대상물에 고정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일측 상면에서 상향 돌출되는 지지부가 구비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일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브라켓의 상측 말단에서 상향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고정부재의 상측에 형성되고, 내면은 축방향을 따라 관통되는 중공부가 형성되며, 외면에는 상기 중공부로 공기를 공급하도록 관통되는 급기공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고정관이 구비되는 고정유닛과, 외면은 상기 고정관의 내면에 밀착 결합되고, 내면은 상기 파이프의 외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축방향을 따라 관통되는 관통부가 형성되며, 상기 급기공으로부터 공급된 공기가 상기 관통부로 유입되도록 내면 일측에서 외면 측으로 다수 개가 관통되는 에어분사홀이 구비되어, 상기 파이프가 일측 말단으로 인입되는 에어분사관과, 상기 파이프가 인출되는 측에서 상기 에어분사홀이 폐쇄되지 않도록 상기 관통부에 삽입되어 상기 에어분사관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파이프의 외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축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상기 파이프의 배출을 안내하도록 형성되는 파이프안내관과, 상기 급기공에 결합되어 상기 관통부에 공기를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급기덕트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에어분사관은 상기 에어분사홀이 형성된 내면에서 상기 파이프가 삽입되는 말단측으로 점차 넓어지는 형상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테이퍼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에어분사홀은 상기 에어분사관의 너비 방향으로 외면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에어분사홀은 상기 관통부로 공기가 배출되는 내측이 상기 파이프가 인입되는 측으로 경사지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에어분사관에 결합되는 상기 파이프안내관의 위치가 가변됨에 따라 상기 에어분사홀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양이 조절되도록, 상기 파이프안내관 및 에어분사관이 결합되는 면에는 상호 대응되는 형상의 나사산부가 각각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관의 외면에는 상기 중공부 측으로 관통되는 고정홀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에어분사관의 외면에는 상기 고정홀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함몰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어 상기 안착홈에 말단이 안착되는 고정수단에 의해 밀착된 상태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고정부재과 결합되는 면에서 관통되는 결합공이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고, 상기 고정부재에는 상기 지지공과 대응되는 크기 및 개수로 관통되는 연통공이 마련되어, 상기 결합공 및 연통공에 삽입되는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브라켓과 고정부재가 고정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외관 클리닝 장치는 파이프가 에어분사관의 일측에 인입되면, 에어분사홀을 통해 파이프의 외면에 직접 공기가 분사되어 파이프 외면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외면이 균일하고 깨끗한 상태가 되어 견고한 시공 및 제품의 상품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에어분사홀에서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 제거된 이물질이 에어분사관의 테이퍼부를 통해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지속적이고 효과적인 작업이 가능하여 작업 효율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에어분사관 일측에 삽입되는 파이프는 테이퍼부에 의해 파이프보다 넓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파이프의 용이한 삽입을 가이드함으로써, 작업의 편의성 및 효율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파이프 외관 클리닝 장치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외관 클리닝 장치에 대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에서 브라켓을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2에서 고정유닛을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2에서 에어분사관을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2에서 파이프안내관을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2에서 파이프안내관, 에어분사관 및 고정유닛이 결합된 상태에서 길이방향을 절개하여 나타낸 측단면도,
도 9는 도 2에서 에어분사관을 너비방향으로 절개하여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외관 클리닝 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일측으로 인입되는 파이프 외관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파이프 외관 클리닝 장치는 크게 브라켓(100), 고정유닛(200), 에어분사관(300), 파이프안내관(400) 및 급기덕트(50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브라켓(100)은 지면 또는 대상물에 고정되도록 결합되는 것으로, 적어도 하나의 타공홀(111)이 관통 형성되어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130)에 의해 지면 또는 대상물에 고정되는 바닥부(110)와, 바닥부(110)의 일측 상면에서 상향 돌출되는 지지부(12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고정유닛(200)은 브라켓(100)의 상측에 결합되어 후술할 에어분사관(300) 및 파이프안내관(400)이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것으로, 브라켓(100)의 상측 말단에 상향 돌출되도록 브라켓(100)의 일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결합되는 고정부재(210)와, 내면은 축방향을 따라 관통되는 중공부(221)가 형성되고, 외면에는 중공부(221)로 공기를 공급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급기공(222)이 관통되어 고정부재(210)의 상측에 형성되는 고정관(22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이때, 지지부(120)에는 고정부재(210)과 결합되는 면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관통되는 결합공(121)이 형성되고, 고정부재(210)에는 결합공(121)과 대응되는 크기 및 개수로 관통되는 연통공(211)이 형성되어, 결합공(121) 및 연통공(211)에 결합되는 체결수단(130)에 의해 브라켓(100)과 고정부재(210)가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연통공(211)은 상·하 길이방향의 장공으로 형성되어, 지지부(120)와 결합되는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부(120)에 걸리는 하중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바닥부(110)의 상면과 지지부(120)의 하측이 접하는 부위에는 보조브라켓(140)이 결합되고, 고정관(220)에 걸리는 하중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고정부재(210)와 고정관(220)이 접하는 부위에는 지지브라켓(230)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어분사관(300)은 고정관(220)의 내면에 삽입된 상태로 밀착 결합되는 것으로, 내면은 파이프의 외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축방향을 따라 관통되는 관통부(310)가 형성되고, 급기공(222)으로부터 공급된 공기가 관통부(310)로 유입되도록 내면 일측에서 외면 측으로 관통되는 다수 개의 에어분사홀(320)이 형성된다.
이때, 에어분사관(300)은 에어분사홀(320)이 형성된 내면에서 파이프가 인입되는 말단측으로 점차 넓어지는 형상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테이퍼부(330)가 구비된다.
또한, 에어분사홀(320)은 후술할 급기덕트(500)로부터 공급된 공기가 관통부(310)에 다량 배출될 수 있도록 에어분사관(300)의 너비 방향으로 외면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관통부(310)로 분사되는 공기가 파이프 외면에서 제거된 이물질과 함께 파이프가 인입되는 측으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관통부(310)로 공기가 배출되는 내측이 상기 파이프가 인입되는 측으로 경사지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고정관(220)의 외면에는 중공부(221) 측으로 관통되는 고정홀(223)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에어분사관(300)의 외면에는 고정홀(223)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함몰되는 안착홈(340)이 형성되며, 고정홀(223)에 삽입되는 고정수단(350)의 말단이 안착홈(340)에 밀착 지지되어 고정관(220)과 에어분사관(300)이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본 제1실시예에 따른 급기공(222) 및 고정홀(223)은 고정관(220)의 상측에 한 개가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급기공(222) 및 고정홀(223)이 한 개로 형성되는 경우 고정관(220)의 측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다수 개가 형성되는 경우 고정관(220)의 너비방향으로 외면을 따라 상호 이격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파이프안내관(400)은 파이프가 인출되는 측에서 에어분사관(300)의 내측면 즉, 관통부(310)에 삽입되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관통부(310)에 삽입된 파이프안내관(400)의 말단은 에어분사홀(320)이 폐쇄되지 않도록 결합되며, 파이프의 외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축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파이프의 배출을 안내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에어분사관(300) 및 파이프안내관(400)이 결합되는 면에는 상호 대응되는 형상의 나사산부(600)가 각각 마련되는 것으로, 에어분사관(300)의 외면에는 제1나사산부(610)가 형성되고, 파이프안내관(400)의 내면에는 제1나사산부(610)와 결합 가능한 형상의 제2나사산부(620)가 형성되어, 에어분사관(300)에 결합되는 파이프안내관(400)의 위치가 가변됨에 따라 상기 에어분사홀(320)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양이 조절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급기덕트(500)는 급기공(222)에 결합되는 것으로, 일측에 구비된 컴프레셔와 같은 에어공급장치에 에어공급관(S)을 통해 연결되어 관통부(310)에 공기를 공급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파이프를 에어분사관(300)의 인입측으로 이송하며, 상면에 안착된 파이프가 관통부(310)에 삽입 가능한 높이로 조절되는 이송장치와, 파이프가 에어분사관(300)의 인입측으로 이동하도록 파이프의 외면 또는 말단을 밀어주는 공급장치 및 파이프가 인출되는 측에는 외면의 이물질이 제거된 파이프가 안착되어 기 설정된 곳으로 적재 또는 보관하도록 하는 안내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에어공급장치, 이송장치, 공급장치 및 안내장치는 전원이 공급된 제어부에 의해 상호 유기적으로 작동되도록 제어되는 것으로, 에어공급장치는 피스톤 운동을 통하여 기체를 압축하여 압축된 기체를 방출하는 데 사용되는 공지의 구성에 해당하고, 이송장치, 공급장치 및 안내장치 역시도 종래에 파이프를 운반, 공급 및 적재하기 위한 공지의 구성에 해당하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파이프 외관 클리닝 장치에 대한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에 전원을 인가하면 에어공급장치는 공기를 공급할 준비 상태가 되고, 이송장치는 에어분사관(300)의 인입측으로 파이프를 이송하여 클리닝 작업을 할 준비상태가 되며, 공급장치가 파이프의 후면을 밀기 시작하면 에어공급장치는 급기덕트(500)로 공기를 공급하여 에어분사홀(320)을 통해 공기가 배출되기 시작한다.
이때, 공급장치에 의해 에어공급관 내부로 인입되어, 파이프가 테이퍼부(330)가 끝나는 부분인 에어분사홀(320)의 내측에 위치하게 되면, 그 순간부터 에어분사홀(320)에서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 파이프의 외면에 부착된 이물질이 제거되기 시작하며, 파이프안내관(400)에서 인출되는 파이프는 외면의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가 되는 것이다.
여기서, 파이프의 외면에 많은 양의 이물질이 부착되어 있거나, 부착된 정도가 심해 쉽게 떨어지지 않을 경우, 나사산부(600)를 통해 파이프안내관(400)을 에어분사관(300)의 인입측으로 이동되게 결합시키면 에어분사홀(320)에서 공기가 배출되는 영역이 좁아짐에 따라 파이프 외면에 분사되는 공기의 압력이 증가하게 되므로, 고압으로 배출되는 공기를 이용해 이용파이프 외면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파이프의 인입측에는 테이퍼부(330)가 마련됨에 따라, 파이프가 관통부(310)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안내할 수 있고, 에어분사홀(320)에서 배출된 공기에 의해 제거된 이물질이 테이퍼부(330)를 통해 파이프의 인입측으로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더불어, 에어분사홀(320)을 통해 공기가 분사되는 영역이 넓게 마련되므로, 파이프 외면의 이물질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에어분사홀(320)의 내측이 파이프의 인입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파이프 외면에서 제거된 이물질이 다시 에어분사관(300)의 인출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처럼, 파이프의 외면에 직접 공기를 분사하여 파이프 외면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외면이 균일하고 깨끗한 상태가 되어 견고한 시공 및 제품의 상품성이 향상되고, 일측에 삽입되는 파이프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면서, 에어분사홀(320)에서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 제거된 이물질이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지속적이고 효과적인 작업이 가능하여 작업의 효율성 및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에어분사관(300)의 인출측에는 나사산부(600)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파이프안내관(400)이 관통부(310)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파이프안내관(400)을 통해 파이프 외관의 오염정도(이물질 부착 정도)에 따라 에어분사홀(320)에서 분사되는 공기의 압력을 용이하게 조절하여 제거할 수 있고, 에어분사관(300)에서 인출되는 파이프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이물질을 제거하고자 하는 파이프의 길이에 따라 파이프안내관(400)의 길이를 조절하여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에어분사관(300)은 파이프안내관(400)과 나사산부(600)를 통해 밀착된 상태로 결합되는 것이고, 에어분사관(300)이 결합된 고정관(220)의 외면에서 고정홀(223)에 무두볼트와 같은 고정수단(350)을 삽입하여 고정수단(350)의 말단이 안착홈(340)에 안착된 상태로 밀착 지지될 때까지 가압하여 고정되는 것인데, 이는 각각의 구성들을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결합함으로써, 파이프의 외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동안 클리닝 장치에 가해지는 진동 및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에어분사관(300)에 가해지는 압력은 에어공급장치를 통해 압축된 공기가 급기덕트(500), 급기공(222), 에어분사홀(320)을 이동하면서 배출될 수 있는 영역이 점차 협소해짐에 따라 점차 높아지게 되고, 파이프가 에어분사홀(320)에 위치하여 이물질이 제거되는 동안 최대치가 되며, 이러한 압력에 의해 파이프에 공기가 분사되는 동안 진동 및 충격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결합부위가 수밀하게 결합되지 않는 경우에는 이러한 진동 및 충격이 클리닝 장치 전체에 전해져 내구성이 감소되며, 정도가 심해져 클리닝 장치의 파손으로 이어지는 경우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분사관(300), 파이프안내관(400) 및 고정유닛(200)의 결합면이 밀착 지지된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됨으로써, 파이프의 외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동안 발생하는 진동 및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 : 브라켓 110 : 바닥부
111 : 타공홀 120 : 지지부
121 : 결합공 130 : 체결수단
140 : 보조브라켓 200 : 고정유닛
210 : 고정부재 211 : 연통공
220 : 고정관 221 : 중공부
222 : 급기공 223 : 고정홀
230 : 지지브라켓 300 : 에어분사관
310 : 관통부 320 : 에어분사홀
330 : 테이퍼부 340 : 안착홈
350 : 고정수단 400 : 파이프안내관
500 : 급기덕트 600 : 나사산부
610 : 제1나사산부 620 : 제2나사산부

Claims (7)

  1. 일측으로 삽입되는 파이프 외관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클리닝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타공홀(111)이 관통 형성되어 체결수단(130)에 의해 지면 또는 대상물에 고정되는 바닥부(110)와, 상기 바닥부(110)의 일측 상면에서 상향 돌출되는 지지부(120)가 구비되는 브라켓(100);
    상기 브라켓(100)의 일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브라켓(100)의 상측 말단에서 상향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고정부재(210)의 상측에 형성되고, 내면은 축방향을 따라 관통되는 중공부(221)가 형성되며, 외면에는 상기 중공부(221)로 공기를 공급하도록 관통되는 급기공(222)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고정관(220)이 구비되는 고정유닛(200);
    외면은 상기 고정관(220)의 내면에 밀착 결합되고, 내면은 상기 파이프의 외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축방향을 따라 관통되는 관통부(310)가 형성되며, 상기 급기공(222)으로부터 공급된 공기가 상기 관통부(310)의 일측 말단으로 인입된 상기 파이프의 외면에 분사되도록 내면와 외면을 관통하는 에어분사홀(320)이 다수개 구비되는 에어분사관(300);
    상기 파이프가 인출되는 측에서 상기 에어분사홀(320)이 폐쇄되지 않도록 상기 관통부(310)에 삽입되어 상기 에어분사관(300)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파이프의 외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축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상기 파이프의 배출을 안내하도록 형성되는 파이프안내관(400);
    상기 급기공(222)에 결합되어 상기 관통부(310)에 공기를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급기덕트(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에어분사관(300)과 파이프안내관(400)의 결합면 각각에는 나사 결합된 정도에 따라 상기 파이프안내관(400)의 삽입 길이가 가변되도록 하는 나사산부(600)를 형성시키고, 그 나사산부(600)를 통해 길이 조절된 상기 파이프안내관(400)이 상기 에어분사홀(320)에서 공기가 배출되는 면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여 상기 에어분사홀(320)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압력이 조절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외관 클리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분사관(300)은 상기 에어분사홀(320)이 형성된 내면에서 상기 파이프가 삽입되는 말단측으로 점차 넓어지는 형상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테이퍼부(33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외관 클리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분사홀(320)은 상기 에어분사관(300)의 외주면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외관 클리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분사홀(320)은 상기 에어분사관(300)의 외주면에서 상기 파이프가 인입되는 측으로 경사지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외관 클리닝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관(220)의 외면에는 상기 중공부(221) 측으로 관통되는 고정홀(223)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에어분사관(300)의 외면에는 상기 고정홀(223)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함몰되는 안착홈(340)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홀(223)에 삽입되어 상기 안착홈(340)에 말단이 안착되는 고정수단(350)에 의해 밀착된 상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외관 클리닝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20)에는 상기 고정부재(210)와 결합되는 면에서 관통되는 결합공(121)이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고, 상기 고정부재(210)에는 상기 결합공(121)과 대응되는 크기 및 개수로 관통되는 연통공(211)이 마련되어, 상기 결합공(121) 및 연통공(211)에 삽입되는 체결수단(130)에 의해 상기 브라켓(100)과 고정부재(210)가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외관 클리닝 장치.
KR1020150055528A 2015-04-20 2015-04-20 파이프 외관 클리닝 장치 KR1017514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5528A KR101751491B1 (ko) 2015-04-20 2015-04-20 파이프 외관 클리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5528A KR101751491B1 (ko) 2015-04-20 2015-04-20 파이프 외관 클리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5003A KR20160125003A (ko) 2016-10-31
KR101751491B1 true KR101751491B1 (ko) 2017-06-27

Family

ID=57446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5528A KR101751491B1 (ko) 2015-04-20 2015-04-20 파이프 외관 클리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14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0011A (ko) 2021-05-03 2022-11-10 송기수 금속 막대 세척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5309B1 (ko) * 2007-03-27 2008-09-04 한상철 배관 세척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에 사용되는 노즐
KR101250813B1 (ko) 2011-10-27 2013-04-04 이정무 탄성 와이퍼형 자외선 램프 청소 장치
KR101340391B1 (ko) * 2006-06-21 2013-12-11 휴글엘렉트로닉스가부시키가이샤 클리닝 헤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0391B1 (ko) * 2006-06-21 2013-12-11 휴글엘렉트로닉스가부시키가이샤 클리닝 헤드
KR100855309B1 (ko) * 2007-03-27 2008-09-04 한상철 배관 세척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에 사용되는 노즐
KR101250813B1 (ko) 2011-10-27 2013-04-04 이정무 탄성 와이퍼형 자외선 램프 청소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5003A (ko) 2016-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6095466A1 (ja) 流体噴射ガン及びこれを用いた清掃装置
JP6393075B2 (ja) 深穴清掃・洗浄用の吸込用アダプター、及びこれを用いた掃除機
KR101751491B1 (ko) 파이프 외관 클리닝 장치
KR20150042114A (ko) 도로 청소차량에 구비되는 진공흡입장치용 흡입장치
KR100883682B1 (ko) 각관 표면 세척 장치
JP2014014777A (ja) ウォータージェットシステム
CA2661375A1 (en) Cleaning device including a flood chamber
KR101641783B1 (ko) 분사노즐을 이용한 관 세척장치
KR101391251B1 (ko) 노즐 클리닝 장치용 노즐홀더
JP5335405B2 (ja) ブラストノズル及びブラスト方法
KR20160001022A (ko) 하수배관 맞춤형 막힘 제거 장치
KR101822623B1 (ko) 에어 컴프레서 겸용 분무장치
JP5728198B2 (ja) 吸引機器の先端構造、および当該先端構造を具備する吸引用アダプター並びに吸引式洗浄ガン
JP4325870B2 (ja) ボルト締結装置
KR101882139B1 (ko) 덕트청소용 에어 및 액체공급분사제어기
KR101284748B1 (ko) 페인트 분사장치
KR20200002506U (ko) 세척용 분사노즐
KR101434650B1 (ko) 샌드젯을 이용한 세정장치
KR200422944Y1 (ko) 탭핑 머신용 스핀들
KR101904887B1 (ko) 연마재 필터링 장치
JP2014088713A (ja) 路面用噴水型除去装置
JP5950387B2 (ja) 管路の吸引装置、及び、管路の滞留物排出方法
KR100999594B1 (ko) 엘보관 자동용접장치용 플럭스공급장치
KR20060039575A (ko) 외부 체결방식의 블라스팅 호스 연결장치
KR100956940B1 (ko) 청소용 분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