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4692A - 밀봉용 시트 - Google Patents

밀봉용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4692A
KR20230104692A KR1020237019327A KR20237019327A KR20230104692A KR 20230104692 A KR20230104692 A KR 20230104692A KR 1020237019327 A KR1020237019327 A KR 1020237019327A KR 20237019327 A KR20237019327 A KR 20237019327A KR 20230104692 A KR20230104692 A KR 202301046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mass
sheet
transparent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9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토루 오하시
에이지 바바
마나미 오쿠노
마이 호소이
Original Assignee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04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46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 H05B33/04Sealing arrangements, e.g. against humidity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28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 H01L23/29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e.g. carb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28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 H01L23/31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shap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6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comprising getter material or desicc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51Thickne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봉 형성층을 포함하는 밀봉용 시트로서, 밀봉 형성층이 투명부 및 투명부의 흡수율보다도 큰 흡수율을 갖는 흡습부를 포함하고, 밀봉 형성층이 투명부로 형성되는 밀봉부를 포함하고, 흡습부가 밀봉부의 외주를 둘러싸고 있고, 그리고 밀봉부의 파장 450nm에서의 전광선 투과율이 80% 이상인 밀봉용 시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밀봉용 시트
본 발명은 전자 기기의 소자의 밀봉에 유용한 밀봉용 시트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기의 소자(예를 들면, 유기 EL 소자)를 수분으로부터 차단하기 위해, 밀봉 형성층(예를 들면, 수지 조성물층 또는 고무 조성물층) 및 지지체를 갖는 밀봉용 시트를 사용하여, 상기 밀봉 형성층을 소자에 적층하고, 상기 밀봉 형성층으로 밀봉층을 형성하는 것(이하 「시트 밀봉」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내지 3).
또한, 우수한 수분 차단성을 달성하기 위해, 액상 조성물인 댐(dam)재를 사용하여, 소자의 주위에 흡습성이 높은 댐부를 형성하고, 이어서 액상 조성물인 필(fill)재를 사용하여, 소자를 덮는 투명성이 높은 필부를 형성하고, 소자의 주위의 댐부 및 소자를 덮는 필부로 구성되는 밀봉층을 형성하는 것(이하 「댐-필 밀봉」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4).
국제공개 제2016/158770호 국제공개 제2017/057708호 국제공개 제2018/06654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7-59413호
종래의 밀봉용 시트를 사용하는 시트 밀봉에서는 수분으로부터 소자를 보호하는 밀봉층을 간편하게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수분 차단성을 높이기 위해, 예를 들면 밀봉 형성층 중의 흡습성 필러량을 증대시키면, 상기 밀봉 형성층으로 형성되는 소자의 밀봉층의 투명성이 저하된다. 그러므로, 종래의 밀봉용 시트를 사용하는 시트 밀봉에서는 투명성을 유지하면서, 댐-필 밀봉과 동등한 수분 차단성을 달성하는 것이 곤란하다.
댐-필 밀봉에서는 소자의 주위의 댐부를 형성하는 댐재로서 흡습성이 높은 재료를 사용하고, 소자를 덮는 필부를 형성하는 필재로서, 흡습성은 낮지만 투명성은 높은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필부의 높은 투명성을 유지하면서 밀봉층 전체에서 우수한 수분 차단성을 달성할 수 있다. 그러나, 댐-필 밀봉에서는 시트 밀봉에 비해, 밀봉층의 형성에 시간이 많이 걸린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에 주목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전자 기기의 소자를 피복하는 부분은 투명성이 높고, 또한 수분 차단성이 우수한 밀봉층을 댐-필 밀봉보다도 간편하게 형성할 수 있는 밀봉용 시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본 발명은 이하와 같다.
[1] 밀봉 형성층을 포함하는 밀봉용 시트로서,
밀봉 형성층이 투명부 및 투명부의 흡수율보다도 큰 흡수율을 갖는 흡습부를 포함하고,
밀봉 형성층이 투명부로 형성되는 밀봉부를 포함하고,
흡습부가 밀봉부의 외주를 둘러싸고 있고, 그리고
밀봉부의 파장 450nm에서의 전광선 투과율이 80% 이상인 밀봉용 시트.
[2] 흡습부의 흡수율이 5질량% 이상인 상기 [1]에 기재된 밀봉용 시트.
[3] 밀봉부의 두께가 5 내지 100㎛인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밀봉용 시트.
[4] 흡습부의 폭이 0.25 내지 30mm인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밀봉용 시트.
[5] 지지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밀봉용 시트.
본 발명은 또한 이하의 양태를 포함한다.
[6] 밀봉 형성층을 포함하는 밀봉용 시트로서,
밀봉 형성층이 투명부 및 흡습부를 포함하고,
밀봉 형성층이 투명부로 형성되는 밀봉부를 포함하고,
흡습부가 밀봉부의 외주를 둘러싸고 있고,
투명부가 흡습성 필러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고, 흡습부가 흡습성 필러를 포함하고, 그리고
흡습부의 흡습성 필러의 함유량이 투명부의 흡습성 필러의 함유량보다도 큰 밀봉용 시트.
[7] 흡습부 중의 흡습성 필러의 함유량이 흡습부의 합계 100질량%당 10 내지 80질량%이고, 및 투명부 중의 흡습성 필러의 함유량이 투명부의 합계 100질량%당 0질량% 이상 70질량% 미만인 상기 [6]에 기재된 밀봉용 시트.
[8] 밀봉부의 파장 450nm에서의 전광선 투과율이 80% 이상인 상기 [6] 또는 [7]에 기재된 밀봉용 시트.
[9] 밀봉부의 두께가 5 내지 100㎛인 상기 [6]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밀봉용 시트.
[10] 흡습부의 폭이 0.25 내지 30mm인 상기 [6]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밀봉용 시트.
[11] 지지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상기 [6]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밀봉용 시트.
본 발명의 밀봉용 시트를 사용하면, 소자를 피복하는 부분은 투명성이 높고, 또한 수분 차단성이 우수한 밀봉층을, 댐-필 밀봉에 비해 간편하게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의 밀봉 형성층의 주면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의 밀봉 형성층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의 밀봉 형성층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의 밀봉 형성층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의 밀봉 형성층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의 밀봉 형성층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의 밀봉 형성층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의 밀봉 형성층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의 밀봉 형성층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의 밀봉 형성층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의 밀봉 형성층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밀봉용 시트의 제조 방법의 일 양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밀봉 형성층을 포함하는 밀봉용 시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밀봉 형성층」이란 전자 기기의 소자의 밀봉층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층을 의미하고, 「밀봉용 시트」란 밀봉 형성층을 포함하는 시트, 다시 말하면, 소자의 밀봉층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시트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밀봉용 시트는 밀봉 형성층과 소자가 접하도록 본 발명의 밀봉용 시트를 적층하고, 밀봉 형성층으로 소자의 밀봉층을 형성하는 방법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밀봉용 시트는 소자를 보호하기 위해 형성된 유기층 및/또는 무기층으로 구성되는 밀봉막을 통해 소자와 접해도 좋다. 소자는 바람직하게는 유기 EL 소자, 태양 전지 소자 등의 수분에 약한 소자이다.
본 발명은 밀봉 형성층을 포함하는 밀봉용 시트로서, 밀봉 형성층이 투명부, 및 투명부의 흡수율보다도 큰 흡수율을 갖는 흡습부를 포함하고, 밀봉 형성층이 투명부로 형성되는 밀봉부를 포함하고, 흡습부가 밀봉부의 외주를 둘러싸고 있고, 그리고 밀봉부의 파장 450nm에서의 전광선 투과율이 8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용 시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밀봉 형성층을 포함하는 밀봉용 시트로서, 밀봉 형성층이 투명부 및 흡습부를 포함하고, 밀봉 형성층이 투명부로 형성되는 밀봉부를 포함하고, 흡습부가 밀봉부의 외주를 둘러싸고 있고, 투명부가 흡습성 필러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고, 흡습부가 흡습성 필러를 포함하고, 그리고 흡습부의 흡습성 필러의 함유량이 투명부의 흡습성 필러의 함유량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용 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밀봉용 시트에서는 그 밀봉부가 소자를 덮는 밀봉층의 부분에 대응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는 밀봉부가 투명부로 형성되고, 그 파장 450nm에서의 전광선 투과율이 80% 이상이다. 상기 전광선 투과율은 바람직하게는 8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이다.
상기 전광선 투과율은 싱글 빔법(JIS K7375)에 준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장치로서는, φ80mm 적분구를 장착한 파이버식 분광 광도계(오츠카 덴시사 제조 「MCPD-7700」, 형식 311C, 외부 광원 유닛: 할로겐 램프 MC-2564(24V, 150W 사양))를 들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각 양태를 순서대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양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후술하는 바람직한 양태, 수치 범위 등은 「도 1」 등의 한정이 기재되어 있지 않은 경우, 본 발명에서의 바람직한 양태, 수치 범위 등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의 밀봉 형성층의 주면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의 밀봉 형성층(1)에서는 흡습부(3)가 투명부(2)의 외주의 전체를 둘러싸고 있다. 이 흡습부(3)로 둘러싸인 투명부(2)가 밀봉부를 형성한다.
소자의 밀봉층에서는 주로, 수분이 밀봉층의 단부를 통해 면내 방향(두께 방향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하여 소자에 도달한다고 추측된다. 그러므로, 흡수율이 큰 흡습부가 밀봉부의 외주를 둘러싸고 있는 본 발명의 밀봉용 시트를 사용하여, 소자의 밀봉층을 형성하면, 면내 방향으로부터 이동해 온 수분이 흡습부에서 포착됨으로써 소자로의 수분의 침입이 차단되고, 우수한 수분 차단성이 달성된다고 추측된다. 단, 본 발명은 이러한 추측 메카니즘에 한정되지 않는다.
흡습부의 흡수율은 수분 차단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5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7질량% 이상이다. 흡습부의 흡수율이 높으면 높을수록 바람직하지만, 접착성의 장기 신뢰성을 담보하는 관점에서, 흡습부의 흡수율은 바람직하게는 50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0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0질량% 이하이다.
투명부 및 흡습부의 흡수율은 40mm 각(角)의 크기의 투명부 또는 흡습부를 무알칼리 유리에 고정하고, 130℃에서 30분 건조시켜 조제한 시험편을 사용하여, JIS K7209에 준거하여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건조한 시험편의 초기 중량과, 당해 시험편을 온도 85℃ 및 습도 85%RH의 환경에 24시간 보관한 후의 흡습 후의 중량으로부터, 흡수율을 산출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후술하는 실시예란에 기재하는 방법에 의해 흡수율을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흡습부에 의해 우수한 수분 차단성이 달성된다. 그러므로, 수분 차단성의 관점에서는 투명부의 흡수율에 특별히 한정은 없다. 그러나, 수분 차단성을 높이기 위해, 예를 들면 투명부의 흡습성 필러량을 증대시키면, 투명부 및 그로부터 형성되는 밀봉부의 투명성이 저하된다. 그러므로 투명성의 관점에서, 투명부의 흡수율은 바람직하게는 0% 이상 10%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0% 이상 8%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0% 이상 5%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0% 이상 3%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0% 이상 1% 미만이다.
도 1에서는 밀봉 형성층의 주면에서의, 흡습부(3)로 둘러싸인 밀봉부의 형상이 대략 정사각형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 밀봉 형성층의 주면에서의 밀봉부의 형상에 특별히 한정은 없고, 당해 형상은 직사각형, 원형, 타원형 등이라도 좋다.
도 1에서는 투명부(2)로 형성되는 밀봉부의 외주 전체가 흡습부(3)로 둘러싸여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투명부로 형성되는 밀봉부의 외주를 둘러싸는 흡습부에는, 본 발명의 효과(수분 차단성)가 손상되지 않는 범위에서, 일부, 결락 부분이 존재하고 있어도 좋다. 흡습부는 밀봉부의 외주의,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00%,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내지 100%를 둘러싸고 있다. 여기서, 상기 비율(%)은 외주의 길이를 기준으로 하는 값이다. 흡습부가 밀봉부의 외주 전체를 둘러싸고 있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기호 「내지」를 사용하여 기재되는 수치 범위는 「내지」의 양단(상한 및 하한)의 수치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90 내지 100%」는 「90% 이상 100% 이하」를 나타낸다.
도 1에서, W3이 흡습부(3)의 폭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있어서 「흡습부의 폭」이란 밀봉 형성층의 주면 또는 당해 주면과 평행한 면에서의 흡습부의 폭을 의미한다. 흡습부의 폭은 바람직하게는 0.25 내지 30mm, 보다 바람직하게는 0.50 내지 20mm, 더욱 바람직하게는 0.50 내지 10mm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에 대응하는,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의 밀봉 형성층의 개략 단면도이다. 단, 도 1 및 도 2에서는 축척(縮尺)을 통합하고 있지 않다. 또한, 도 3 등의 개략 단면도의 단면 방향은 도 2의 단면 방향과 동일하다. 도 2에서는 흡습부(3)로 둘러싸인 투명부(2)가 밀봉부를 형성한다. 도 2에서, W3이 흡습부(3)의 폭을 나타내고, T가 밀봉부의 두께를 나타내고, T3이 흡습부(3)의 두께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밀봉 형성층의 적어도 한면에서는 흡습부가 돌출되어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밀봉 형성층의 흡습부가 돌출되어 있지 않은 표면」의 부호로서「S1」을 사용하고, 「밀봉 형성층의 흡습부가 돌출되어 있는 표면」의 부호로서「S2」를 사용한다. 여기서, 도 2에 도시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는 밀봉 형성층의 양면이 각각 흡습부(3)가 돌출되어 있지 않은 표면(S1)이다. 밀봉 형성층의 흡습부가 돌출되어 있지 않은 표면을 소자와 접하도록, 본 발명의 밀봉용 시트를 적층시킴으로써 소자를 양호하게 밀봉할 수 있다.
투명부로 형성되는 밀봉부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0㎛,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75㎛,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이다. 또한, 흡습부의 두께는 수분 차단성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0㎛,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75㎛,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의 밀봉 형성층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에서는 흡습부(3)로 둘러싸인 투명부(2)(즉, 도 3의 중앙 부분의 투명부(2))가 밀봉부를 형성한다. 도 3에서, W3이 흡습부(3)의 폭을 나타내고, T가 밀봉부의 두께를 나타내고, T3이 흡습부(3)의 두께를 나타낸다. 이 도 3에 도시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본 발명의 일 양태와 달리, 흡습부(3)의 외측에도 투명부(2)가 존재한다. 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봉 형성층에서는 흡습부의 내측뿐만 아니라, 그 외측에도 투명부가 존재하고 있어도 좋다. 다시 말하면, 밀봉 형성층은 흡습부로 둘러싸인, 밀봉부를 형성하는 투명부에 더하여, 흡습부의 외측의, 밀봉부를 형성하지 않는 투명부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의 밀봉 형성층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4에서는 흡습부(3)로 둘러싸인 투명부(2)가 밀봉부를 형성한다. 도 4에서, W3이 흡습부(3)의 폭을 나타내고, T가 밀봉부의 두께를 나타내고, T3이 흡습부(3)의 두께를 나타내고, d3이 밀봉 형성층의 흡습부가 돌출되어 있지 않은 하나의 표면(S1)과 흡습부(3) 사이의 거리를 나타낸다. 도 4에 도시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본 발명의 일 양태와 달리, 밀봉 형성층(1)의 한면에서는 흡습부(3)가 노출되어 있지 않다. 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밀봉 형성층은 흡습부가 노출되어 있지 않은 한면을 갖고 있어도 좋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의 밀봉 형성층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5에서는 흡습부(3)로 둘러싸인 투명부(2)(즉, 도 5의 중앙 부분의 투명부(2))가 밀봉부를 형성한다. 도 5에서, W3이 흡습부(3)의 폭을 나타내고, T가 밀봉부의 두께를 나타내고, T3이 흡습부(3)의 두께를 나타내고, d3이 밀봉 형성층의 흡습부가 돌출되어 있지 않은 하나의 표면(S1)과 흡습부(3) 사이의 거리를 나타낸다. 도 5에 도시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는 도 4에 도시한 본 발명의 일 양태와 달리, 흡습부(3)의 외측에도 투명부(2)가 존재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의 밀봉 형성층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6에서는 흡습부(3)로 둘러싸인 투명부(2)가 밀봉부를 형성한다. 도 6에서, W3이 흡습부(3)의 폭을 나타내고, T가 밀봉부의 두께를 나타내고, T3이 흡습부(3)의 두께를 나타내고, d3이 밀봉 형성층의 흡습부가 돌출되어 있지 않은 하나의 표면(S1)과 흡습부(3)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고, D3이 밀봉 형성층의 흡습부가 돌출되어 있지 않은 하나의 표면(S1)과 흡습부(3) 사이의 거리를 나타낸다(단, d3≥D3). 이 도 6에 도시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본 발명의 일 양태와 달리, 밀봉 형성층(1)의 양면에서, 흡습부(3)가 노출되어 있지 않다. 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밀봉 형성층은 흡습부가 노출되어 있지 않은 양면을 갖고 있어도 좋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의 밀봉 형성층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7에서는 흡습부(3)로 둘러싸인 투명부(2)(즉, 도 7의 중앙 부분의 투명부(2))가 밀봉부를 형성한다. 도 7에서, W3이 흡습부(3)의 폭을 나타내고, T가 밀봉부의 두께를 나타내고, T3이 흡습부(3)의 두께를 나타내고, d3이 밀봉 형성층의 흡습부가 돌출되어 있지 않은 하나의 표면(S1)과 흡습부(3)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고, D3이 밀봉 형성층의 흡습부가 돌출되어 있지 않은 하나의 표면(S1)과 흡습부(3) 사이의 거리를 나타낸다(단, d3≥D3). 도 7에 도시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는 도 6에 도시한 본 발명의 일 양태와 달리, 흡습부(3)의 외측에도 투명부(2)가 존재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의 밀봉 형성층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8에서는 흡습부(3)로 둘러싸인 투명부(2)가 밀봉부를 형성한다. 도 8에서, W3이 흡습부(3)의 폭을 나타내고, T가 밀봉부의 두께를 나타내고, T3이 흡습부(3)의 두께를 나타낸다. 도 8에 도시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본 발명의 일 양태와 달리, 흡습부의 두께(T3)가 투습부의 두께(T)보다도 크고, 밀봉 형성층이, 흡습부(3)이 돌출되어 있지 않은 표면(S1) 및 흡습부(3)가 돌출되어 있는 표면(S2)을 갖는다. 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 형성층은 흡습부가 돌출되어 있는 표면을 갖고 있어도 좋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의 밀봉 형성층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9에서는 흡습부(3)로 둘러싸인 투명부(2)가 밀봉부를 형성한다. 도 8에서, W3이 흡습부(3)의 폭을 나타내고, T가 밀봉부의 두께를 나타내고, T3이 흡습부(3)의 두께를 나타낸다. 이 도 9에 도시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는 도 8에 도시한 본 발명의 일 양태와 달리, 흡습부(3)의 외측에도 투명부(2)가 존재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의 밀봉 형성층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10에서는 흡습부(3)로 둘러싸인 투명부(2)가 밀봉부를 형성한다. 도 10에서, W3이 흡습부(3)의 폭을 나타내고, T가 밀봉부의 두께를 나타내고, T3이 흡습부(3)의 두께를 나타내고, D3이 밀봉 형성층의 흡습부가 돌출되어 있지 않은 표면(S1)과 흡습부(3) 사이의 거리를 나타낸다. 이 도 10에 도시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는 도 8에 도시한 본 발명의 일 양태와 달리, 흡습부(3)가 돌출되어 있지 않은 표면(S1)에서 흡습부(3)가 노출되어 있지 않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의 밀봉 형성층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11에서는 흡습부(3)로 둘러싸인 투명부(2)가 밀봉부를 형성한다. 도 11에서, W3이 흡습부(3)의 폭을 나타내고, T가 밀봉부의 두께를 나타내고, T3이 흡습부(3)의 두께를 나타내고, D3이 밀봉 형성층의 흡습부가 돌출되어 있지 않은 표면(S1)과 흡습부(3) 사이의 거리를 나타낸다. 이 도 11에 도시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는 도 10에 도시한 본 발명의 일 양태와 달리, 흡습부(3)의 외측에도 투명부(2)가 존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소자의 밀봉층에서는 주로, 수분이 밀봉층의 단부를 통해 면내 방향(두께 방향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하여 소자에 도달한다고 추측된다. 이 면내 방향의 수분을 흡습부에서 유효하게 포착하기 위해, 밀봉 형성층의 흡습부가 돌출되어 있지 않은 표면에서, 흡습부가 노출되어 있는 것(예를 들면, 도 2 내지 5, 8 및 9에 도시한 양태)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양태의 밀봉 형성층을 포함하는 밀봉용 시트를, 흡습부가 돌출되어 있지 않고, 또한 흡습부가 노출되어 있는 밀봉 형성층의 표면과 소자가 접하도록 적층하고, 상기 밀봉 형성층으로 소자의 밀봉층을 형성함으로써 수분 차단성이 우수한 밀봉층을 형성할 수 있다.
밀봉층의 면내 방향을 이동하는 수분을 포착하고, 수분 차단성이 우수한 밀봉층을 형성하기 위해, 밀봉 형성층의 흡습부가 돌출되어 있지 않은 표면과 흡습부의 최단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0㎛, 보다 바람직하게는 0 내지 30㎛, 더욱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5㎛이다. 여기서, 밀봉 형성층의 흡습부가 돌출되어 있지 않은 표면과 흡습부의 최단 거리란 도 6, 7, 10 및 11의 양태에서는 D3을 의미한다. 도 2 내지 5, 8 및 9의 양태에서는, 밀봉 형성층은 흡습부가 돌출되어 있지 않고, 또한 흡습부가 노출되어 있는 한면을 갖기 때문에, 상기 최단 거리는 0이다.
투명부는 임의의 재료(예를 들면, 수지 조성물, 고무 조성물)로 형성할 수 있다.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계 수지, 열경화성 수지를 들 수 있다.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는 공지된 수지(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또는 2에 기재된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열경화성 수지로서는 공지된 수지(예를 들면, 특허문헌 3에 기재된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투명부를 형성하기 위한 재료로서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이 우수한 투명성을 달성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수지로서는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고무로서는 공지된 고무(예를 들면, 국제공개 제2019/189723호에 기재된 폴리올레핀계 고무)를 사용할 수 있다. 폴리올레핀계 고무로서는 이소부텐-이소프렌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이소부텐-이소프렌 공중합체의 구체예로서는 JSR사 제조 「BUTYL 065」, 「BUTYL 268」(부틸 고무), JSR사 제조 「BROMOBUTYL 222」(브롬화 부틸 고무), 세이코 PMC사 제조 「ER866」(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변성 부틸 고무), 세이코 PMC사 제조 「ER850」(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변성 부틸 고무), 세이코 PMC사 제조 「ER661」(무수 말레산 변성 부틸 고무), 세이코 PMC사 제조 「ER641」(무수 말레산 변성 부틸 고무) 등을 들 수 있다.
흡습부는 임의의 재료(예를 들면, 수지 조성물, 고무 조성물)로 형성할 수 있다. 단, 흡습부 및 이를 형성하기 위한 재료는 우수한 수분 차단성을 달성하기 위해, 흡습성 필러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투명부 및 이를 형성하기 위한 재료는 흡습성 필러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고, 함유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흡습성 필러로서는 공지된 필러(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표2017-505716호에 기재된 게터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이하, 투명부 또는 흡습부를 형성하기 위한 재료의 일례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투명부 및 흡습부는 모두,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형성할 수 있다.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는 올레핀 단량체 유래의 골격을 갖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부텐계 수지, 폴리이소부틸렌계 수지를 들 수 있다.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단독 중합체라도 좋고, 랜덤 공중합체, 블록 공중합체 등의 공중합체라도 좋다. 공중합체로서는 2종 이상의 올레핀의 공중합체, 및 올레핀과 비공액 디엔, 스티렌 등의 올레핀 이외의 단량체와의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한 공중합체의 예로서, 에틸렌-비공액 디엔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비공액 디엔 공중합체, 에틸렌-부텐 공중합체, 프로필렌-부텐 공중합체, 프로필렌-부텐-비공액 디엔 공중합체, 스티렌-이소부틸렌 공중합체, 스티렌-이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접착성, 접착 습열 내성 등이 우수한 물성을 부여하는 관점에서, 산 무수물기(즉, 카르보닐옥시카르보닐기(-CO-O-CO-))를 갖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또는 에폭시기를 갖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 무수물기를 갖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예를 들면, 산 무수물기를 갖는 불포화 화합물로,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라디칼 반응 조건 하에서 그라프트 변성함으로써 얻어진다. 또한, 산 무수물기를 갖는 불포화 화합물을 올레핀 등과 함께 라디칼 공중합하도록 해도 좋다. 마찬가지로, 에폭시기를 갖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예를 들면,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에테르, 알릴글리시딜에테르 등의 에폭시기를 갖는 불포화 화합물로,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라디칼 반응 조건 하에서 그라프트 변성함으로써 얻어진다. 또한, 에폭시기를 갖는 불포화 화합물을 올레핀 등과 함께 라디칼 공중합하도록 해도 좋다.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1종만을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예를 들면, 산 무수물기를 갖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 에폭시기를 갖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병용해도 좋다.
산 무수물기를 갖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중의 산 무수물기의 농도는 0.01 내지 10mmol/g이 바람직하고, 0.05 내지 5mmol/g이 보다 바람직하다. 산 무수물기의 농도는 JIS K 2501의 기재에 따라, 수지 1g 중에 존재하는 산을 중화하는데 필요한 수산화칼륨의 mg수로서 정의되는 산가의 값으로부터 얻어진다. 또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중의 산 무수물기를 갖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0 내지 7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60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질량%이다.
또한, 에폭시기를 갖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중의 에폭시기의 농도는 0.01 내지 10mmol/g이 바람직하고, 0.05 내지 5mmol/g이 보다 바람직하다. 에폭시기 농도는 JIS K 7236에 기초하여 얻어진 에폭시 당량으로부터 구해진다. 또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중의 에폭시기를 갖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0 내지 7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60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질량%이다.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내투습성 등이 우수한 물성을 부여하는 관점에서, 특히 산 무수물기를 갖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 에폭시기를 갖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양쪽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산 무수물기와 에폭시기를 가열에 의해 반응시켜 가교 구조를 형성하고, 내투습성 등이 우수한, 소자의 밀봉층을 형성할 수 있다. 산 무수물기를 갖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에폭시기를 갖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비율은 적절한 가교 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에폭시기와 산 무수물기의 몰비(에폭시기:산 무수물기)는 바람직하게는 100:10 내지 100:5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25 내지 100:475,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40 내지 100:450이다.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수 평균 분자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수지 조성물의 바니쉬의 양호한 도공성과 수지 조성물에서의 다른 성분과의 양호한 상용성을 초래한다는 관점에서, 1,000, 000 이하가 바람직하고, 750,00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500,000 이하가 보다 한층 바람직하고, 400,000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300,000 이하가 더욱더 바람직하고, 200,000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고, 150,000 이하가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수지 조성물의 바니쉬의 도공시의 튀김을 방지하고, 형성되는 수지 조성물층의 내투습성을 발현시켜 기계 강도를 향상시킨다는 관점에서, 이 수 평균 분자량은 1,000 이상이 바람직하고, 3,00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5,000 이상이 보다 한층 바람직하고, 10,000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30,000 이상이 더욱더 바람직하고, 50,000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수 평균 분자량은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법(폴리스티렌 환산)으로 측정된다. GPC법에 의한 수 평균 분자량은 구체적으로는, 측정 장치로서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즈 세이사쿠쇼 제조 LC-9A/RID-6A를, 컬럼으로서 쇼와덴코사 제조 Shodex K-800P/K-804L/K-804L을, 이동상으로서 톨루엔 등을 사용하여, 컬럼 온도 40℃에서 측정하고, 표준 폴리스티렌의 검량선을 사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바니쉬의 증점에 의한 유동성의 저하를 억제하는 관점에서 비결정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비결정성이란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명확한 융점을 갖지 않는 것을 의미하고,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DSC(시차 주사 열량 측정)로 융점을 측정한 경우에 명확한 피크가 관찰되지 않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하여 투명부를 형성하는 경우, 밀착성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함유량은 상기 조성물의 불휘발분의 합계 100질량%당,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99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98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96질량%이다.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하여 흡습부를 형성하는 경우,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함유량은 밀착성 및 필러 분산성의 관점에서, 상기 조성물의 불휘발분의 합계 100질량%당,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6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5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50질량%이다.
투명부가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 밀착성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함유량은 투명부의 합계 100질량%당,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99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98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96질량%이다. 흡습부가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함유량은 밀착성 및 필러 분산성의 관점에서, 흡습부의 합계 100질량%당,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6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5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50질량%이다.
다음으로,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구체예를 설명한다. 폴리이소부틸렌 수지의 구체예로서는, BASF사 제조 「오파놀 B100」(점도 평균 분자량: 1,110,000), BASF사 제조 「B50SF」(점도 평균 분자량: 400,000) 등을 들 수 있다.
폴리부텐계 수지의 구체예로서는, ENEOS사 제조 「HV-1900」(폴리부텐, 수 평균 분자량: 2,900), 토호 카가쿠코교사 제조 「HV-300M」(무수 말레산 변성 액상 폴리부텐(「HV-300」(수 평균 분자량: 1,400)의 변성품), 수 평균 분자량: 2,100, 산 무수물기를 구성하는 카르복시기의 수: 3.2개/1분자, 산가: 43.4mgKOH/g, 산 무수물기 농도: 0.77mmol/g) 등을 들 수 있다.
스티렌-이소부틸렌 공중합체의 구체예로서는, 카네카사 제조 「SIBSTAR T102」(스티렌-이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수 평균 분자량: 100,000, 스티렌 함량: 30질량%), 세이코 PMC사 제조 「T-YP757B」(무수 말레산 변성 스티렌-이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산 무수물기 농도: 0.464mmol/g, 수 평균 분자량: 100,000), 세이코 PMC사 제조 「T-YP766」(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변성 스티렌-이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에폭시기 농도: 0.638mmol/g, 수 평균 분자량: 100,000), 세이코 PMC사 제조 「T-YP8920」(무수 말레산 변성 스티렌-이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산 무수물기 농도: 0.464mmol/g, 수 평균 분자량: 35,800), 세이코 PMC사 제조 「T-YP8930」(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변성 스티렌-이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에폭시기 농도: 0.638mmol/g, 수 평균 분자량: 48,700)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에틸렌계 수지 또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의 구체예로서는, 미츠이 카가쿠사 제조 「EPT X-3012P」(에틸렌-프로필렌-5-에틸리덴-2-노르보르넨 공중합체, 미츠이 카가쿠사 제조 「EPT1070」(에틸렌-프로필렌-디사이클로펜타디엔 공중합체), 미츠이 카가쿠사 제조 「타프머 A4085」(에틸렌-부텐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프로필렌-부텐계 공중합체의 구체예로서는, 세이코 PMC사 제조 「T-YP341」(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변성 프로필렌-부텐 랜덤 공중합체, 프로필렌 단위와 부텐 단위의 합계 100질량%당 부텐 단위의 양: 29질량%, 에폭시기 농도: 0.638mmol/g, 수 평균 분자량: 155,000), 세이코 PMC사 제조 「T-YP279」(무수 말레산 변성 프로필렌-부텐 랜덤 공중합체, 프로필렌 단위와 부텐 단위의 합계 100질량%당 부텐 단위의 양: 36질량%, 산 무수물기 농도: 0.464mmol/g, 수 평균 분자량: 35,000), 세이코 PMC사 제조 「T-YP276」(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변성 프로필렌-부텐 랜덤 공중합체, 프로필렌 단위와 부텐 단위의 합계 100질량%당 부텐 단위의 양: 36질량%, 에폭시기 농도: 0.638mmol/g, 수 평균 분자량: 57,000), 세이코 PMC사 제조 「T-YP312」(무수 말레산 변성 프로필렌-부텐 랜덤 공중합체, 프로필렌 단위와 부텐 단위의 합계 100질량%당 부텐 단위의 양: 29질량%, 산 무수물기 농도: 0.464mmol/g, 수 평균 분자량: 60,900), 세이코 PMC사 제조 「T-YP313」(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변성 프로필렌-부텐 랜덤 공중합체, 프로필렌 단위와 부텐 단위의 합계 100질량%당 부텐 단위의 양: 29질량%, 에폭시기 농도: 0.638mmol/g, 수 평균 분자량: 155,000), 세이코 PMC사 제조 「T-YP429」(무수 말레산 변성 에틸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 단위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위의 합계 100질량%당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위의 양: 32질량%, 산 무수물기 농도: 0.46mmol/g, 수 평균 분자량: 2,300), 세이코 PMC사 제조 「T-YP430」(무수 말레산 변성 에틸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 단위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위의 합계 100질량%당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위의 양: 32질량%, 산 무수물기 농도: 1.18mmol/g, 수 평균 분자량: 4,500), 세이코 PMC사 제조 「T-YP431」(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변성 에틸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폭시기 농도: 0.64mmol/g, 수 평균 분자량: 2,400), 세이코 PMC사 제조 「T-YP432」(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변성 에틸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폭시기 농도: 1.63mmol/g, 수 평균 분자량: 3,100) 등을 들 수 있다.
흡습성 필러로서는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흡습성 필러로서는, 예를 들면, 산화칼슘, 반소성 하이드로탈사이트, 소성 하이드로탈사이트, 산화마그네슘, 산화스트론튬, 산화알루미늄, 산화바륨, 몰레큘러시브 등을 들 수 있다. 흡습성 필러는 1종만을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흡습부를 형성하는 수지 조성물 중의 흡습성 필러의 함유량은 우수한 수분 차단성과 접착성의 장기 신뢰성의 양립의 관점에서, 상기 조성물의 불휘발분의 합계 100질량%당,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8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75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0질량%이다.
흡습부 중의 흡습성 필러의 함유량은 우수한 수분 차단성과 접착성의 장기 신뢰성의 양립의 관점에서, 흡습부의 합계 100질량%당,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8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75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0질량%이다.
투명부를 형성하는 수지 조성물 중의 흡습성 필러의 함유량은 투명성의 관점에서, 상기 조성물의 불휘발분의 합계 100질량%당, 바람직하게는 0질량% 이상 70질량%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0질량% 이상 60질량%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0질량% 이상 50질량% 미만이다.
투명부 중의 흡습성 필러의 함유량은 투명성의 관점에서, 투명부의 합계 100질량%당, 바람직하게는 0질량% 이상 70질량%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0질량% 이상 60질량%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0질량% 이상 50질량% 미만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있어서, 투명부를 형성하는 수지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흡습성 필러를 포함한다. 이 양태에 있어서, 흡습성 필러의 함유량은 투명성의 관점에서, 상기 조성물의 불휘발분의 합계 100질량%당, 바람직하게는 1질량% 이상 70질량%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2질량% 이상 65질량%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5질량% 이상 60질량% 미만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있어서, 투명부는 바람직하게는 흡습성 필러를 포함한다. 이 양태에 있어서, 흡습성 필러의 함유량은 투명성의 관점에서, 투명부의 합계 100질량%당, 바람직하게는 1질량% 이상 70질량%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2질량% 이상 65질량%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3질량% 이상 60질량% 미만이다.
흡습부 및 이를 형성하기 위한 재료(예를 들면, 상술한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조성물)는 우수한 수분 차단성의 관점에서, 산화칼슘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화칼슘은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다.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이노우에 셋카이코교사 제조 「QC-X」; 산쿄 세이훈사 제조 「모이스톱 #10」; 요시자와 셋카이코교사 제조 「HAL-G」, 「HAL-J」, 「HAL-F」; Filgen사 제조 「CaO Nano Powder」 등을 들 수 있다.
산화칼슘을 포함하는 혼합물은 흡습성 충전제로서 사용해도 좋다. 이러한 혼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소성 돌로마이트(산화칼슘 및 산화마그네슘을 포함하는 혼합물)를 들 수 있다. 소성 돌로마이트는, 예를 들면, 요시자와 셋카이코교사 등으로부터 입수할 수 있다.
산화칼슘의 입자 직경 및 산화칼슘을 포함하는 혼합물(이하 「산화칼슘 등」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의 입자 직경은 밀봉 공정에서 산화칼슘 등이 소자를 손상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및 산화칼슘 등과 중합체의 계면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각각, 바람직하게는 0.03 내지 10㎛,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5㎛,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이다. 이들 입자 직경은 레이저 회절 산란식 입도 분포 측정(JIS Z 8825)에 의해 입도 분포를 체적 기준으로 작성했을 때의 당해 입도 분포의 메디안 직경이다.
산화칼슘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하여 흡습부를 형성하는 경우, 우수한 수분 차단성의 관점에서, 산화칼슘의 함유량은 상기 조성물의 불휘발분의 합계 100질량%당,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8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75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0질량%이다.
흡습부가 산화칼슘을 포함하는 경우, 우수한 수분 차단성의 관점에서, 산화칼슘의 함유량은 흡습부의 합계 100질량%당,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8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75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0질량%이다.
반소성 하이드로탈사이트를 사용하면, 투명성 및 흡습성의 밸런스가 우수한 투명부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므로, 투명부를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은 반소성 하이드로탈사이트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하이드로탈사이트는 미소성 하이드로탈사이트, 반소성 하이드로탈사이트 및 소성 하이드로탈사이트로 분류할 수 있다. 미소성 하이드로탈사이트는, 예를 들면 천연 하이드로탈사이트(Mg6Al2(OH)16CO3·4H2O)로 대표되는 층상의 결정 구조를 갖는 금속 수산화물이고, 예를 들면, 기본 골격이 되는 층[Mg1-XAlX(OH)2]X+와 중간층[(CO3)X/2·mH2O]X-로 이루어진다. 본 명세서에서의 미소성 하이드로탈사이트는 합성 하이드로탈사이트 등의 하이드로탈사이트류 화합물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하이드로탈사이트류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하기 식 (I) 및 하기 식 (II)로 표시되는 것을 들 수 있다.
[M2+ 1- xM3 + x(OH)2]x+·[(An-)x/n·mH2O]x- (I)
(식 중, M2+는 Mg2+, Zn2+ 등의 2가의 금속 이온을 나타내고, M3+는 Al3+, Fe3+ 등의 3가의 금속 이온을 나타내고, Ann-는 CO3 2-, Cl-, NO3 - 등의 n가의 음이온을 나타내고, 0<x<1이고, 0≤m<1이고, n은 양의 수이다.)
식 (I) 중, M2+는 바람직하게는 Mg2+이고, M3+는 바람직하게는 Al3+이고, An-는 바람직하게는 CO3 2-이다.
M2+ xAl2(OH)2x+6-nz(An-)z·mH2O (II)
(식 중, M2+는 Mg2 +, Zn2 + 등의 2가의 금속 이온을 나타내고, An-는 CO3 2-, Cl-, NO3 - 등의 n가의 음이온을 나타내고, x는 2 이상의 양의 수이고, z는 2 이하의 양의 수이고, m은 양의 수이고 , n은 양의 수이다.)
식 (II) 중, M2+ 는 바람직하게는 Mg2+이고, An-는 바람직하게는 CO3 2-이다.
반소성 하이드로탈사이트는 미소성 하이드로탈사이트를 소성하여 얻어지는, 층간수(層間水)의 양이 감소 또는 소실된 층상의 결정 구조를 갖는 금속 수산화물을 말한다. 「층간수」란, 조성식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상술한 미소성의 천연 하이드로탈사이트 및 하이드로탈사이트류 화합물의 조성식에 기재된 「H2O」를 가리킨다.
한편, 소성 하이드로탈사이트는 미소성 하이드로탈사이트 또는 반소성 하이드로탈사이트를 소성하여 얻어지고, 층간수뿐만 아니라, 수산기도 소실된 비정질 구조를 갖는 금속 산화물을 말한다.
미소성 하이드로탈사이트, 반소성 하이드로탈사이트 및 소성 하이드로탈사이트는 포화 흡수율에 의해 구별할 수 있다. 반소성 하이드로탈사이트의 포화 흡수율은 1질량% 이상 20질량% 미만이다. 한편, 미소성 하이드로탈사이트의 포화 흡수율은 1질량% 미만이고, 소성 하이드로탈사이트의 포화 흡수율은 20질량% 이상이다.
본 명세서에서의 「포화 흡수율」이란, 측정 시료(예를 들면, 반소성 하이드로탈사이트)를 천칭으로 1.5g 칭량하고, 초기 질량을 측정한 후, 대기압 하, 60℃, 90%RH(상대 습도)로 설정한 소형 환경 시험기(에스펙사 제조 SH-222)에 200시간 정치한 경우의, 초기 질량에 대한 질량 증가율을 말하고, 하기 식 (i):
포화 흡수율(질량%)
= 100×(흡습 후의 질량 - 초기 질량)/초기 질량 (i)
로 구할 수 있다.
반소성 하이드로탈사이트의 포화 흡수율은 바람직하게는 3질량% 이상 20질량%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5질량% 이상 20질량% 미만이다.
또한, 미소성 하이드로탈사이트, 반소성 하이드로탈사이트 및 소성 하이드로탈사이트는 열중량 분석으로 측정되는 열중량 감소율에 의해 구별할 수 있다. 반소성 하이드로탈사이트의 280℃에서의 열중량 감소율은 15질량% 미만이고, 또한 이 380℃에서의 열중량 감소율은 12질량% 이상이다. 한편, 미소성 하이드로탈사이트의 280℃에서의 열중량 감소율은 15질량% 이상이고, 소성 하이드로탈사이트의 380℃에서의 열중량 감소율은 12질량% 미만이다.
열중량 분석은 히타치 하이테크사이언스사 제조 TG/DTA EXSTAR6300을 사용하여, 알루미늄제의 샘플 팬에 하이드로탈사이트를 5mg 칭량하고, 뚜껑을 덮지 않고 오픈 상태로, 질소 유량 200mL/분의 분위기 하, 30℃에서 550℃까지 승온 속도 10℃/분의 조건으로 행할 수 있다. 열중량 감소율은 하기 식 (ii):
열중량 감소율(질량%)
= 100×(가열 전의 질량 - 소정 온도에 도달했을 때의 질량)/가열 전의 질량 (ii)
로 구할 수 있다.
또한, 미소성 하이드로탈사이트, 반소성 하이드로탈사이트 및 소성 하이드로탈사이트는 분말 X선 회절로 측정되는 피크 및 상대 강도비에 의해 구별할 수 있다. 반소성 하이드로탈사이트는 분말 X선 회절에 의해 2θ가 8 내지 18° 부근에 2개로 스플릿된 피크, 또는 2개의 피크의 합성에 의해 숄더를 갖는 피크를 나타내고, 저각측에 나타나는 피크 또는 숄더의 회절 강도(=저각측 회절 강도)와, 고각측에 나타나는 피크 또는 숄더의 회절 강도(=고각측 회절 강도)의 상대 강도비(저각측 회절 강도/고각측 회절 강도)는 0.001 내지 1,000이다. 한편, 미소성 하이드로탈사이트는 8 내지 18° 부근에서 하나의 피크밖에 갖지 않거나, 또는 저각측에 나타나는 피크 또는 숄더와 고각측에 나타나는 피크 또는 숄더의 회절 강도의 상대 강도비가 상술한 범위 밖이 된다. 소성 하이드로탈사이트는 8 내지 18°의 영역에 특징적 피크를 갖지 않고, 43°에 특징적인 피크를 갖는다. 분말 X선 회절 측정은 분말 X선 회절 장치(파날리티컬(PANAlytical)사 제조, 엠피리언(Empyrean))에 의해 대음극 CuKaα(1.5405Å), 전압: 45V, 전류: 40mA, 샘플링 폭: 0.0260°, 주사 속도: 0.0657°/s, 측정 회절각 범위(2θ): 5.0131 내지 79.9711°의 조건으로 행하였다. 피크 서치는 회절 장치 부속의 소프트웨어의 피크 서치 기능을 이용하고, 「최소 유의도: 0.50, 최소 피크 칩: 0.01°, 최대 피크 칩: 1.00°, 피크 베이스 폭: 2.00°, 방법: 2차 미분의 최소값」의 조건으로 행할 수 있다.
반소성 하이드로탈사이트의 BET 비표면적은 1 내지 250m2/g이 바람직하고, 5 내지 200m2/g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 BET 비표면적은 BET법에 따라, 비표면적 측정 장치(Macsorb HM Model 1210 마운텍사 제조)를 사용하여 시료 표면에 질소 가스를 흡착시켜, BET 다점법을 사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반소성 하이드로탈사이트의 입자 직경은 1 내지 1,000nm가 바람직하고, 10 내지 800nm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 입자 직경은 레이저 회절 산란식 입도 분포 측정(JIS Z 8825)에 의해 입도 분포를 체적 기준으로 작성했을 때의 당해 입도 분포의 메디안 직경이다.
반소성 하이드로탈사이트는 표면 처리제로 표면 처리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표면 처리제에 특별히 한정은 없고, 공지된 것(고급 지방산, 알킬실란류, 실란 커플링제 등)을 사용할 수 있고, 그 중에서도 고급 지방산, 알킬실란류가 적합하다. 표면 처리제는 1종만을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투명부를 형성하는 조성물은 반소성 하이드로탈사이트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고, 투명성 및 수분 차단성의 밸런스의 관점에서, 반소성 하이드로탈사이트의 함유량은 상기 조성물의 불휘발분의 합계 100질량%당, 바람직하게는 0질량% 이상 70질량%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0질량% 이상 60질량%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0질량% 이상 50질량% 미만이다.
투명부는 반소성 하이드로탈사이트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고, 투명성 및 수분 차단성의 밸런스의 관점에서, 반소성 하이드로탈사이트의 함유량은 투명부의 합계 100질량%당, 바람직하게는 0질량% 이상 70질량%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0질량% 이상 60질량%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0질량% 이상 50질량% 미만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있어서, 투명부를 형성하는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반소성 하이드로탈사이트를 포함한다. 이 양태에 있어서, 투명성 및 수분 차단성의 밸런스의 관점에서, 반소성 하이드로탈사이트의 함유량은 상기 조성물의 불휘발분의 합계 100질량%당, 바람직하게는 1질량% 이상 70질량%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2질량% 이상 65질량%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5질량% 이상 60질량% 미만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투명부는 바람직하게는 반소성 하이드로탈사이트를 포함한다. 이 양태에 있어서, 투명성 및 수분 차단성의 밸런스의 관점에서, 반소성 하이드로탈사이트의 함유량은 투명부의 합계 100질량%당, 바람직하게는 1질량% 이상 70질량%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2질량% 이상 65질량%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5질량% 이상 60질량% 미만이다.
투명부 또는 흡습부를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은 상술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 흡습성 필러 이외의 성분(이하 「다른 성분」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다른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점착 부여제; 경화 촉진제; 산화 방지제; 가소제; 흡습성 필러 이외의 무기 또는 유기 충전재(예를 들면, 고무 입자, 실리콘 파우더, 나일론 파우더, 불소 수지 파우더 등);올벤, 벤톤 등의 증점제; 소포제 또는 레벨링제; 등을 들 수 있다. 다른 성분은 모두 1종만을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점착 부여제로서는, 예를 들면, 테르펜 수지, 변성 테르펜 수지(수소 첨가 테르펜 수지, 테르펜 페놀 공중합 수지, 방향족 변성 테르펜 수지 등), 쿠마론 수지, 인덴 수지, 석유 수지(지방족계 석유 수지, 수첨 지환식 석유 수지, 방향족계 석유 수지, 지방족 방향족 공중합계 석유 수지, 지환족계 석유 수지, 디사이클로펜타디엔계 석유 수지, 및 이들의 수소화물 등)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점착 부여제로서 사용할 수 있는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이하의 것을 들 수 있다. 테르펜 수지로서 YS 레진 PX, YS 레진 PXN(모두 야스하라 케미컬사 제조) 등을 들 수 있고, 방향족 변성 테르펜 수지로서 YS 레진 TO, TR 시리즈(모두 야스하라 케미컬사 제조) 등을 들 수 있고, 수소 첨가 테르펜 수지로서 클리아론 P, 클리아론 M, 클리아론 K 시리즈(모두 야스하라 케미컬사 제조) 등을 들 수 있고, 테르펜 페놀 공중합 수지로서 YS 폴리스타 2000, 폴리스타 U, 폴리스타 T, 폴리스타 S, 마이티에이스 G(모두 야스하라 케미컬사 제조) 등을 들 수 있고, 수첨 지환식 석유 수지로서 Escorez 5300 시리즈, 5600 시리즈(모두 엑손모빌사 제조) 등을 들 수 있고, 방향족계 석유 수지로서 ENDEX155(이스트만사 제조) 등을 들 수 있고, 지방족 방향족 공중합계 석유 수지로서 QuintoneD100(닛폰 제온사 제조) 등을 들 수 있고, 지환족계 석유 수지로서 Quintone1325, Quintone1345(모두 닛폰 제온사 제조) 등을 들 수 있고, 사이클로헥산환 함유 수소화 석유 수지로서 알콘 P100, 알콘 P125, 알콘 P140(모두 아라카와 카가쿠사 제조) 등을 들 수 있고, 사이클로헥산환 함유 포화 탄화수소 수지로서 TFS13-030(아라카와 카가쿠사 제조) 등을 들 수 있고, 디사이클로펜타디엔계 석유 수지의 수소화물로서 T-REZ HA105(ENEOS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수지 조성물의 접착성, 내투습성, 투명성 등의 관점에서, 석유 수지 및 그 수소화물이 바람직하다. 석유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지방족계 석유 수지, 방향족계 석유 수지, 지방족 방향족 공중합계 석유 수지, 지환족계 석유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조성물의 접착성, 내투습성, 상용성 등의 관점에서, 방향족계 석유 수지, 지방족 방향족 공중합계 석유 수지, 지환족계 석유 수지, 및 이들의 수소화물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투명성을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 지환족계 석유 수지 및 그 수소화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지환족계 석유 수지의 수소화물의 수소화율은 30 내지 99%가 바람직하고, 40 내지 97%가 보다 바람직하고, 50 내지 90%가 더욱 바람직하다. 수소화율이 지나치게 낮으면, 착색에 의해 투명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는 경향이 있고, 수소화율이 지나치게 높으면 생산 비용이 상승하는 경향이 된다. 수소화율은 수소 첨가 전과 수소 첨가 후의 방향환의 수소의 1H-NMR의 피크 강도의 비로부터 구할 수 있다. 지환족계 석유 수지로서는, 특히 사이클로헥산환 함유 수소화 석유 수지, 디사이클로펜타디엔계 석유 수지의 수소화물이 바람직하다. 석유 수지 및 그 수소화물은 모두 1종만을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석유 수지 및 그 수소화물의 수 평균 분자량은 각각 독립적으로,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2,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700 내지 1,500,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1,000이다.
점착 부여제의 연화점은 50 내지 200℃가 바람직하고, 60 내지 180℃가 보다 바람직하고, 70 내지 160℃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연화점의 측정은 JIS K2207에 따라 환구법에 의해 측정된다.
투명부 또는 흡습부를 형성하는 조성물은 모두 점착 부여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고, 밀착성 및 유연성의 관점에서, 점착 부여제의 함유량은 상기 조성물의 불휘발분의 합계 100질량%당,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 내지 40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 내지 30질량%이다.
투명부 또는 흡습부는 모두 점착 부여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고, 밀착성 및 유연성의 관점에서, 점착 부여제의 함유량은 투명부 또는 흡습부의 합계 100질량%당,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 내지 40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 내지 30질량%이다.
경화 촉진제로서는, 예를 들면 이미다졸 화합물, 3급·4급 아민계 화합물, 디메틸우레아 화합물, 유기 포스핀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미다졸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1H-이미다졸, 2-메틸이미다졸, 2-페닐-4-메틸이미다졸, 2-에틸-4-메틸이미다졸, 1-시아노에틸-2-에틸-4-메틸이미다졸, 2-운데실이미다졸, 1-시아노에틸-2-운데실이미다졸, 1-시아노에틸-2-운데실이미다졸륨트리멜리테이트, 2-페닐-4,5-비스(하이드록시메틸)이미다졸, 1-벤질-2-메틸이미다졸, 1-벤질-2-페닐이미다졸, 2-페닐이미다졸, 2-도데실이미다졸, 2-헵타데실이미다졸, 1,2-디메틸이미다졸, 2-페닐-4-메틸-5-하이드록시메틸이미다졸 등을 들 수 있다. 이미다졸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큐어졸 2MZ, 2P4MZ, 2E4MZ, 2E4MZ-CN, C11Z, C11Z-CN, C11Z-CNS, C11Z-A, 2PHZ, 1B2MZ, 1B2PZ, 2PZ, C17Z, 1.2DMZ, 2P4MHZ-PW, 2MZ-A, 2MA-OK(모두 시코쿠 카세이코교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3급·4급 아민계 화합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면, 테트라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 테트라부틸암모늄브로마이드 등의 4급 암모늄염; DBU(1,8-디아자비사이클로[5.4.0]운데센)-7), DBN(1,5-디아자비사이클로[4.3.0]노넨-5), DBU-페놀염, DBU-옥틸산염, DBU-p-톨루엔설폰산염, DBU-포름산염, DBU-페놀노볼락 수지염 등의 디아자비사이클로 화합물; 벤질디메틸아민, 2-(디메틸아미노메틸)페놀, 2,4,6-트리스(디메틸아미노메틸)페놀(TAP) 등의 3급 아민 또는 이들의 염, 방향족 디메틸우레아, 지방족 디메틸우레아 등의 디메틸우레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디메틸우레아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DCMU(3-(3,4-디클로로페닐)-1,1-디메틸우레아), U-CAT3512T(산아프로사 제조) 등의 방향족 디메틸우레아; U-CAT3503N(산아프로사 제조) 등의 지방족 디메틸우레아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경화성의 점에서, 방향족 디메틸우레아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유기 포스핀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트리페닐포스핀, 테트라페닐포스포늄테트라-p-톨릴보레이트, 테트라페닐포스포늄테트라페닐보레이트, 트리-tert-부틸포스포늄테트라페닐보레이트, (4-메틸페닐)트리페닐포스포늄티오시아네이트, 테트라페닐포스포늄티오시아네이트, 부틸트리페닐포스포늄티오시아네이트, 트리페닐포스핀트리페닐보란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포스핀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TPP, TPP-MK, TPP-K, TTBuP-K, TPP-SCN, TPP-S(모두 홋코 카가쿠코교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경화 촉진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하여 투명부 또는 흡습부를 형성하는 경우, 경화 촉진의 관점에서, 경화 촉진제의 함유량은 상기 조성물의 불휘발분의 합계 100질량%당, 바람직하게는 0.0005 내지 0.5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0.45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5 내지 0.40질량%이다.
투명부 또는 흡습부가 경화 촉진제를 포함하는 경우, 경화 촉진제의 함유량은 투명부 또는 흡습부의 합계 100질량%당, 바람직하게는 0.0005 내지 0.5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0.45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5 내지 0.40질량%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산화 방지제에 특별히 한정은 없고,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산화 방지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하여 투명부 또는 흡습부를 형성하는 경우, 산화 방지의 관점에서, 산화 방지제의 함유량은 상기 조성물의 불휘발분의 합계 100질량%당, 바람직하게는 0.005 내지 1.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9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0.8질량%이다.
투명부 또는 흡습부가 산화 방지제를 포함하는 경우, 산화 방지의 관점에서, 산화 방지제의 함유량은 투명부 또는 흡습부의 합계 100질량%당, 바람직하게는 0.005 내지 1.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9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0.8질량%이다.
본 발명의 밀봉용 시트는 지지체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즉, 본 발명의 밀봉용 시트는 지지체 및 밀봉 형성층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를 갖고 있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밀봉용 시트는 보호 시트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즉, 본 발명의 밀봉용 시트는 밀봉 형성층 및 보호 시트를 포함하는 적층 구조를 갖고 있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밀봉용 시트는 지지체 및 보호 시트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즉, 본 발명의 밀봉용 시트는 지지체, 밀봉 형성층 및 보호 시트를 이 순서로 포함하는 적층 구조를 갖고 있어도 좋다. 지지체와 밀봉 형성층 사이, 및 밀봉 형성층과 보호 시트 사이에 다른 층(예를 들면, 이형층)이 존재하고 있어도 좋다.
지지체 및 보호 시트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등의 폴리올레핀; 사이클로올레핀 중합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하 「PET」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이미드 등의 플라스틱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지지체 및 보호 시트는 모두 단층 필름이라도 좋고, 적층 필름이라도 좋다.
지지체 및 보호 시트로서, 예를 들면, 배리어층을 갖는 저투습성 필름, 또는 배리어층을 갖는 저투습성 필름과 다른 필름의 적층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배리어층으로서는, 예를 들면, 실리카 증착막, 질화규소막, 산화규소막 등의 무기막을 들 수 있다. 배리어층은 복수의 무기막의 복수층(예를 들면, 실리카 증착막)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배리어층은 유기물과 무기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유기층과 무기막의 복합 다층이라도 좋다.
보호 시트에서는 밀봉 형성층과 접하는 면이 이형 처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지지체는 이형 처리되어 있어도 좋고, 이형 처리되어 있어 있지 않아도 좋다. 이형 처리로서는, 예를 들면, 실리콘 수지계 이형제, 알키드 수지계 이형제, 불소 수지계 이형제 등의 이형제에 의한 이형 처리를 들 수 있다.
지지체 및 보호 시트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밀봉용 시트의 취급성 등의 관점에서, 각각,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이다. 또한, 지지체 또는 보호 시트가 적층 필름인 경우, 상기 두께는 적층 필름 전체의 두께이다.
다음으로, 도 12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밀봉용 시트의 제조 방법의 일 양태를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도 12에 도시한 양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우선, 도 1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체(4), 흡습층(5) 및 보호 시트(6)를, 이 순서로 포함하는 적층 시트를 준비한다. 다음으로, 도 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적층 시트의 지지체(4)를 남긴 채로, 상기 적층 시트의 흡습층(5) 및 보호 시트(6)의 중앙부를 도려내고, 지지체(4), 흡습부(3)(즉, 흡습층(5)의 나머지) 및 보호 시트(6)를, 이 순서로 포함하는 적층 시트를 제작한다. 이어서, 도 12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명부(2) 및 보호 시트(6)를 포함하는 적층 시트를, 도려낸 중앙부에 끼워넣도록 설치함으로써, 지지체(4), 밀봉 형성층(1)(즉, 투명부(2) 및 흡습부(3)를 포함하는 층) 및 보호 시트(6)를, 이 순서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밀봉용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도 12에서는 상기 적층 시트의 지지체(4)를 남긴 채로, 상기 적층 시트의 흡습층(5) 및 보호 시트(6)의 중앙부를 도려낸 양태를 나타내었지만, 이와는 반대로, 상기 적층 시트의 보호 시트(6)를 남긴 채로, 상기 적층 시트의 지지체(4) 및 흡습층(5)의 중앙부를 도려내고, 그 외는 도 12에 도시한 양태와 마찬가지로 하여, 본 발명의 밀봉용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밀봉용 시트의 제조 방법의 일 양태에서 사용할 수 있는, 투명부를 형성하기 위한 투명층 또는 흡습부를 형성하기 위한 흡습층을, 지지체 또는 보호 시트 위에 갖는 적층 시트는, 예를 들면, (1) 상술한 성분을 유기 용제에 용해 또는 분산시켜, 투명부를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의 바니쉬 또는 흡습부를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의 바니쉬를 제조하고, (2) 얻어진 바니쉬를 지지체 또는 보호 시트에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하고, (3) 얻어진 도막으로부터 유기 용제를 제거(즉, 건조)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바니쉬의 제조에 사용할 수 있는 유기 용제로서는, 예를 들면,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사이클로헥사논 등의 케톤류;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셀로솔브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카비톨아세테이트 등의 아세트산 에스테르류; 셀로솔브 등의 셀로솔브류; 부틸카비톨 등의 카비톨류;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N-메틸피롤리돈의 아미드류;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용제는 1종만을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유기 용매로서 시판품을 사용해도 좋다. 그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마루젠 세키유카가쿠사 제조 「스와졸」, 이데미츠 코산사 제조 「이프졸」 등을 들 수 있다. 바니쉬의 도포는 공지된 방법(예를 들면, 다이코터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행하면 좋고, 도포 방법에 특별히 한정은 없다.
도막의 건조는 가열 및/또는 감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간편하게 행할 수 있기 때문에, 도막의 건조는 가열에 의해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막의 가열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200℃,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50℃이고, 그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0분이다.
본 발명의 밀봉용 시트는, 예를 들면, 이하의 방법으로도 제조할 수 있다:
(A) 흡습부를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의 바니쉬를, 투명부에 대응하는 시트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도포하고, 얻어진 도막을 건조시킴으로써 흡습부를 형성하는 방법.
(B) 흡습부를 형성하기 위한 액상 경화성 조성물을, 투명부에 대응하는 시트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도포하고, 얻어진 도막을 가열 또는 광 조사에 의해 경화시켜 흡습부를 형성하는 방법.
(C) 흡습부에 대응하는 시트의 중앙부를 도려내고, 그 도려낸 중앙부에, 투습부를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의 바니쉬를 도포하고, 얻어진 도막을 건조시킴으로써 중앙부의 밀봉부(=투명부)를 형성하는 방법.
(D) 흡습부에 대응하는 시트의 중앙부를 도려내고, 그 도려낸 중앙부에, 투습부를 형성하기 위한 액상 경화성 조성물을 도포하고, 얻어진 도막을 가열 또는 광 조사에 의해 경화시켜 중앙부의 밀봉부(=투명부)를 형성하는 방법.
(E) 투습부를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의 바니쉬 또는 액상 경화성 조성물을 도포한 후, 얻어진 도막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흡습부를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의 바니쉬 또는 액상 경화성 조성물을 도포하고, 중앙부의 도막 및 그 외주의 도막을 건조 또는 경화시켜 중앙부의 밀봉부(=투명부) 및 그 외주의 흡습부를 형성하는 방법.
본 발명의 밀봉용 시트는 바람직하게는 반도체, 태양 전지, 고휘도 LED, LCD, 유기 EL 소자 등의 전자 부품의 밀봉, 보다 바람직하게는 태양 전지 소자, 유기 EL 소자의 밀봉에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제한을 받는 것이 아니고, 상기·하기의 취지에 적합할 수 있는 범위에서 적당하게 변경을 가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들은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성분의 양 및 공중합 단위의 양에서의 「부」 및 「%」는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각각 「질량부」 및 「질량%」를 의미한다.
<성분>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성분을 이하에 나타낸다.
(폴리올레핀계 수지)
「T-YP341」(세이코 PMC사 제조):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변성 프로필렌-부텐 랜덤 공중합체, 프로필렌 단위/부텐 단위 71%/29%, 에폭시기 농도 0.64mmol/g, 수 평균 분자량 155,000
「HV-300M」(토호 카가쿠코교사 제조): 무수 말레산 변성 액상 폴리부텐, 산 무수물기 농도 0.77mmol/g, 수 평균 분자량 2,100
「HV-1900」(ENEOS사 제조): 액상 폴리부텐, 수 평균 분자량 2,900
(흡습성 필러)
「HAL-G」(요시자와 셋카이코교사 제조): 생석회, 메디안 직경 2.1㎛
「DHT-4C」(쿄와 카가쿠코교사 제조): 반소성 하이드로탈사이트, 메디안 직경 400nm, BET 비표면적 15m2/g
(점착 부여제)
「T-REZ HA105」(ENEOS사 제조): 디사이클로펜타디엔계 석유 수지의 수소화물, 연화점 105℃
(산화 방지제)
「Irganox1010」(BASF사 제조): 힌더드 페놀계 산화 방지제
(경화 촉진제)
2,4,6-트리스(디메틸아미노메틸)페놀(이하 「TAP」라고 약기함)(카야쿠 누리온사 제조)
하기 표 1에 기재한 성분량의 바니쉬를 이하의 순서로 제작하고, 얻어진 바니쉬를 사용하여 흡습부를 형성하기 위한 수지 조성물층(이하 「흡습층」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 및 투명부를 형성하기 위한 수지 조성물층(이하 「투명층」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을 제작하였다. 하기 표 1에 기재한 각 성분의 사용량(부)은 바니쉬 중의 각 성분의 불휘발분의 양을 나타낸다. 또한, 하기 표 1에는 수지 조성물층(즉, 흡습층 또는 투명층)의 흡수율을 나타낸다.
<흡습층을 갖는 적층 시트의 제작>
하기 표 1에 기재한 양으로, 수첨 탄화수소 수지(점착 부여제, ENEOS사 제조 「T-REZ HA105」)의 스와졸 용액(불휘발분 60%)에, 무수 말레산 변성 액상 폴리부텐(토호 카가쿠코교사 제조 「HV-300M」), 폴리부텐(ENEOS사 제조 「HV-1900」), 생석회(요시자와 셋카이코교사 제조 「HAL-G」)를 3본롤로 분산시켜 혼합물을 얻었다. 얻어진 혼합물에,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변성 프로필렌-부텐 랜덤 공중합체(세이코 PMC사 제조 「T-YP341」)의 스와졸 용액(불휘발분 15%), 힌더드 페놀계 산화 방지제(BASF사 제조 「Irganox1010」), TAP(경화 촉진제, 카야쿠 누리온사 제조) 및 톨루엔을 배합하고, 얻어진 혼합물을 고속 회전 믹서로 균일하게 분산하여 수지 조성물의 바니쉬를 얻었다.
한면이 실리콘계 이형제로 처리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도요 크로스사 제조 「SP4020」, PET 필름의 두께: 50㎛)과, 저투습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미츠비시 케미컬사 제조 「테크배리어 HX」, PET 필름의 두께: 12㎛)을, 전자(SP4020)의 실리콘계 이형제로 처리되지 있지 않은 면과, 후자(테크배리어 HX)가 접촉하도록 폴리에스테르계 접착제로 접합하여, 적층 필름(이하 「SP4020-HX 필름」이라고 기재함)을 제작하였다.
마찬가지로 도요 크로스사 제조 「SP4020」을, 한면이 실리콘계 이형제로 처리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도요 크로스사 제조 「SP3000」, PET 필름의 두께: 50㎛)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SP4020-HX 필름의 제작과 동일하게 하여, 적층 필름(이하 「SP3000-HX 필름」이라고 기재함)을 제작하였다.
수지 조성물의 바니쉬를, SP4020-HX 필름의 실리콘계 이형제로 처리된 면에 다이코터로 균일하게 도포하고, 140℃에서 30분간 가열하여 가교 구조를 갖는 수지 조성물층을 형성하고, 수지 조성물층/SP4020-HX 필름과의 적층 구조를 갖는 적층 시트를 얻었다.
SP3000-HX 필름을, 그 이형 처리면과 조성물층이 접촉하도록, 얻어진 적층 시트에 적층한 후, 130℃에서 60분간 가열(에이징)하고, SP3000-HX 필름/수지 조성 물층(즉, 흡습층, 두께: 50㎛)/SP4020-HX 필름과의 적층 구조를 갖는 적층 시트를 얻었다.
<투명층을 갖는 적층 시트의 제작>
흡습 필러를 생석회(요시자와 셋카이코교사 제조 「HAL-G」) 260부에서 반소성 하이드로탈사이트(쿄와 카가쿠코교사 제조 「DHT-4C」) 110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흡습층의 제작과 동일하게 하여, 수지 조성물의 바니쉬, 및 SP3000-HX 필름/수지 조성물층(즉, 투명층, 두께: 50㎛ 또는 25㎛)/SP4020-HX 필름과의 적층 구조를 갖는 적층 시트를 제작하였다.
<흡수율의 측정>
흡습층 및 투명층의 흡수율은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2종의 투명층 중, 두께가 50㎛인 투명층의 흡수율을 측정하였다. 우선, 40mm 각으로 잘라낸 적층 시트로부터 SP3000-HX 필름을 박리하고, 수지 조성물층(즉, 흡습층 또는 투명층)/SP4020-HX 필름과의 적층 구조를 갖는 적층 시트를, 미리 중량을 측정한 50mm 각의 무알칼리 유리판(닛폰 덴기글라스사 제조 「OA-10G」, 유리의 두께: 700㎛, 중량: w1)에, 배치식 진공 라미네이터(니치고·모튼사 제조 「V-160」)를 사용하여, 온도 80℃, 시간 30초, 압력 0.3MP의 조건으로 접합하고, 무알칼리 유리판/수지 조성물층(즉, 흡습층 또는 투명층)/SP4020-HX 필름과의 적층 구조를 갖는 적층체를 제작하였다. 상기 적층체로부터 SP4020-HX 필름을 박리하여, 무알칼리 유리판/수지 조성물층(즉, 흡습층 또는 투명층)과의 적층 구조를 갖는 시험편을 얻었다. 얻어진 시험편을 130℃에서 30분간 건조하고, 흡수 시험 전의 시험편의 중량을 계측하였다(중량:w2). 이어서, 시험편을, 온도 85℃ 및 습도 85%RH로 설정한 항온 항습조에 24시간 보존하여 흡습시킨 후, 흡습 후의 시험편의 중량 w3을 계측하였다. 하기 식:
수지 조성물층(즉, 흡습층 또는 투명층)의 흡수율
= (w3-w2)/(w2-w1)×100
으로부터, 수지 조성물층(즉, 흡습층 또는 투명층)의 흡수율을 산출하였다.
[표 1]
Figure pct00001
<실시예 1>
상기와 같이 하여 제작한 흡습층을 갖는 적층 시트를 세로 60mm×가로 60mm로 잘라냈다. 다음으로, 잘라낸 적층 시트의 중앙부(세로 48mm×가로 48mm)를 SP4020-HX 필름이 남는 형태로 단재(斷栽)하고, 중앙부의 수지 조성물층 및 SP3000-HX 필름을 제거함으로써, 주변부의 SP3000-HX 필름 및 흡습부(즉, 남은 흡습층), 및 SP4020-HX 필름을 갖는 적층 시트(이하 「흡습 시트 1」이라고 기재함)를 제작하였다.
다음으로, 두께가 50㎛인 투명층을 갖는 적층 시트를 세로 48mm×가로 48mm로 잘라내고, SP3000-HX 필름을 박리하여, 두께가 50㎛인 투명부(즉, 투명층) 및 SP4020-HX 필름을 갖는 적층 시트(이하 「투명 시트 1」이라고 기재함)를 제작하였다.
투명 시트 1의 투명부가 흡습 시트 1의 SP4020-HX 필름과 접하도록, 투명 시트 1을 흡습 시트 1의 중앙부에 끼워넣도록 설치하였다. 얻어진 적층체를, 배치식 진공 라미네이터(니치고·모튼사 제조, Morton-724)를 사용하여, 온도 80℃, 시간 30초, 압력 0.3MPa의 조건으로 프레스하여, SP3000-HX 필름 및 SP4020-HX 필름/밀봉 형성층/SP4020-HX 필름과의 적층 구조를 갖는 밀봉용 시트를 제작하였다.
얻어진 밀봉용 시트로부터,「SP3000-HX 필름 및 SP4020-HX 필름」을 박리하고, 온도 80℃, 시간 30초 및 압력 0.3MP의 조건으로 배치식 진공 라미네이터를 사용하여, 세로 60mm×가로 60mm 사이즈의 SP3000-HX 필름을 노출된 밀봉 형성층에 접합함으로써, SP3000-HX 필름(=보호 시트)/도 2에 도시한 양태의 밀봉 형성층/SP4020-HX 필름(=지지체)과의 적층 구조를 갖는 밀봉용 시트를 제작하였다(투명부(2)로부터 형성되는 밀봉부의 두께 T=흡습부(3)의 두께 T3=50㎛, 흡습부(3)의 폭 W3=1mm, 투명부(2)로 형성되는 밀봉부의 면적=48mm×48mm=2304mm2).
<실시예 2>
흡습층을 갖는 적층 시트를 세로 60mm×가로 60mm로 잘라냈다. 다음으로, 잘라낸 적층 시트의 중앙부(세로 48mm×가로 48mm)를 SP4020-HX 필름이 남는 형태로 단재하고, 주변부의 SP3000-HX 필름을 박리하여, 흡습부(즉, 남은 흡습층) 및 SP4020-HX 필름을 갖는 적층 시트(이하 「흡습 시트 2」라고 기재함)를 제작하였다.
다음으로, 두께가 50㎛인 투명층을 갖는 적층 시트를 세로 48mm×가로 48mm로 잘라내고, SP3000-HX 필름을 박리하여, 두께가 50㎛인 투명부(즉, 투명층) 및 SP4020-HX 필름을 갖는 적층 시트(이하 「투명 시트 1」이라고 기재함)를 제작하였다. 또한, 두께가 50㎛인 투명층을 갖는 적층 시트를 세로 60mm×가로 60mm로 잘라내고, SP3000-HX 필름을 박리하여, 두께가 50㎛인 투명부(즉, 투명층) 및 SP4020-HX 필름을 갖는 적층 시트(이하 「투명 시트 2」라고 기재함)를 제작하였다.
투명 시트 1의 투명부가 흡습 시트 2의 SP4020-HX 필름과 접하도록, 투명 시트 1을 흡습 시트 2의 중앙부에 끼워넣도록 설치하였다. 얻어진 적층체로부터, 투명 시트 1에서 유래하는 SP4020-HX 필름을 박리하고, 투명 시트 2의 투명부가 상기 적층체의 투명부 및 흡습부와 접하도록 투명 시트 2를 적층하였다. 얻어진 적층체를, 배치식 진공 라미네이터(니티고·모튼사 제조, Morton-724)를 사용하여, 온도 80℃, 시간 30초, 압력 0.3MPa의 조건으로 프레스하여, SP4020-HX 필름/밀봉 형성층/SP4020-HX 필름과의 적층 구조를 갖는 밀봉용 시트를 제작하였다.
얻어진 밀봉용 시트로부터, 투명 시트 2에서 유래하는 SP4020-HX 필름을 박리하고, 온도 80℃, 시간 30초 및 압력 0.3MP의 조건으로 배치식 진공 라미네이터를 사용하여, 세로 60mm×가로 60mm 사이즈의 SP3000-HX 필름을, 노출된 밀봉 형성층에 접합함으로써, SP3000-HX 필름(=보호 시트)/도 4에 도시한 양태의 밀봉 형성층/SP4020-HX 필름(=지지체)과의 적층 구조를 갖는 밀봉용 시트를 제작하였다(투명부(2)로부터 형성되는 밀봉부의 두께 T=100㎛, 흡습부(3)의 두께 T3=50㎛, 흡습부(3)의 폭 W3=1mm, 투명부(2)로 형성되는 밀봉부의 면적=48mm×48mm=2304mm2).
<실시예 3>
흡습층을 갖는 적층 시트를 세로 60mm×가로 60mm로 잘라냈다. 다음으로, 잘라낸 적층 시트의 중앙부(세로 48mm×가로 48mm)를 SP4020-HX 필름이 남는 형태로 단재하고, 주변부의 SP3000-HX 필름을 박리하여, 흡습부(즉, 남은 흡습층) 및 SP4020-HX 필름을 갖는 적층 시트(이하 「흡습 시트 2」라고 기재함)를 제작하였다.
다음으로, 두께가 50㎛인 투명층을 갖는 적층 시트를 세로 48mm×가로 48mm로 잘라내고, SP3000-HX 필름을 박리하여, 두께가 50㎛인 투명부(즉, 투명층) 및 SP4020-HX 필름을 갖는 적층 시트(이하 「투명 시트 1」이라고 기재함)를 제작하였다. 또한, 두께가 25㎛인 투명층을 갖는 적층 시트를 세로 60mm×가로 60mm로 잘라내고, SP3000-HX 필름을 박리하여, 두께가 25㎛인 투명부(즉, 투명층) 및 SP4020-HX 필름을 갖는 2장의 적층 시트(이하 「투명 시트 3」이라고 기재함)를 제작하였다.
투명 시트 1의 투명부가 흡습 시트 2의 SP4020-HX 필름과 접하도록, 투명 시트 1을 흡습 시트 1의 중앙부에 끼워넣도록 설치하였다. 얻어진 적층체로부터, 투명 시트 1에서 유래하는 SP4020-HX 필름을 박리하고, 1장의 투명 시트 3의 투명부가 상기 적층체의 투명부 및 흡습부와 접하도록, 당해 투명 시트 3을 적층하였다. 얻어진 적층체로부터, 흡습 시트 2에서 유래하는 SP4020-HX 필름을 박리하고, 나머지 1장의 투명 시트 3의 투명부가 상기 적층체의 투명부 및 흡습부와 접하도록, 당해 투명 시트 3을 적층하였다. 얻어진 적층체를, 배치식 진공 라미네이터를 사용하여, 온도 80℃, 시간 30초, 압력 0.3MPa의 조건으로 프레스하여, SP4020-HX 필름/밀봉 형성층/SP4020-HX 필름과의 적층 구조를 갖는 밀봉용 시트를 제작하였다.
1장의 SP4020-HX 필름을 박리하고, 온도 80℃, 시간 30초 및 압력 0.3MP의 조건으로 배치식 진공 라미네이터를 사용하여, 세로 60mm×가로 60mm 사이즈의 SP3000-HX 필름을 노출된 밀봉 형성층에 접합함으로써, SP3000-HX 필름(=보호 시트)/도 6에 도시한 양태의 밀봉 형성층/SP4020-HX 필름(=지지체)과의 적층 구조를 갖는 밀봉용 시트를 제작하였다(투명부(2)로 형성되는 밀봉부의 두께 T=100㎛, 흡습부(3)의 두께 T3=50㎛, 흡습부(3)의 폭 W3=1mm, 투명부(2)로 형성되는 밀봉부의 면적=48mm×48mm=2304mm2, 밀봉 형성층(1)의 표면과 흡습부(3) 사이의 최단 거리 D3(=d3)=25㎛)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1>
상술한 투명층을 갖는 적층 시트의 제작과 동일하게 하여 얻어진 적층 시트를, 밀봉용 시트로서 사용하였다(밀봉 형성층(=투명층)의 두께=50㎛).
<비교예 2>
상술한 흡습층을 갖는 적층 시트의 제작과 동일하게 하여 얻어진 적층 시트를, 밀봉용 시트로서 사용하였다(밀봉 형성층(=흡습층)의 두께=50㎛).
<투명성의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의 밀봉용 시트를 40mm 각으로 잘라내고, SP3000-HX 필름을 박리하여, 밀봉용 시트와 50mm 각의 무알칼리 유리(두께 700㎛, 닛폰 덴기글라스사 제조 「OA-10G」)가 접하도록, 배치식 진공 라미네이터를 사용하여 밀봉 시트를 무알칼리 유리에 접합하여 적층체를 얻었다. 얻어진 적층체로부터 SP4020-HX 필름을 박리하고, 전광선 투과율 측정용의 시료(즉, 밀봉 형성층과 무알칼리 유리의 적층체)를 제작하였다. 얻어진 시료의 중앙부(실시예의 밀봉용 시트를 사용하여 제작한 시료에서는 밀봉부가 존재하는 부분)의 광 투과율 스펙트럼을, θ80mm 적분구를 장착한 파이버식 분광 광도계(오츠카 덴시사 제조 「MCPD-7700」, 형식 311C, 외부 광원 유닛: 할로겐 램프 MC-2564(24V, 150W 사양))를 사용하여 측정하고, 파장 450nm에서의 전광선 투과율을 산출하였다. 또한, 표준 백색판은 러브스페어사 제조 「스펙트란 반사 표준」(형명 SRS-99-010, 반사율 99%)을 사용하였다. 또한, 적분구와 샘플(적층체)의 거리를 0mm로 하고, 대기를 레퍼런스로 하였다. 얻어진 전광선 투과율로부터, 이하의 기준으로 투명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2에 기재한다.
(투명성의 기준)
양호(○): 파장 450nm에서의 전광선 투과율이 90% 이상
불량(×): 파장 450nm에서의 전광선 투과율이 90% 미만
<수분 차단성의 평가>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및 2에서 제작한 밀봉용 시트의 SP3000-HX 필름을 박리하고, 알루미늄박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을 구비한 복합 필름(토카이토요 알루미 한바이사 제조 「PET 부착 AL1N30」, 알루미늄박의 두께: 30㎛, PET의 두께: 25㎛)에 배치식 진공 라미네이터를 사용하여 접합하여 시험용 시트를 얻었다.
50mm×50mm 각의 무알칼리 유리판을 준비하였다. 이 유리판을 끓인 이소프로필 알코올로 5분간 세정하고, 150℃에서 30분 이상 건조하였다.
건조 후의 유리판의 한면에, 당해 유리판의 단부로부터의 거리가 0mm 내지 1.5mm인 주변 영역을 덮는 마스크를 사용하여, 칼슘을 증착하였다. 이로써, 유리판의 한면의, 상기 유리판의 주변 영역을 제외한 중앙부에, 두께 200nm의 칼슘막이 형성되었다.
질소 분위기 내에서, 시험용 시트의 SP4020-HX 필름을 박리하였다. 이어서, 시험용 시트의 밀봉 형성층과, 유리판의 칼슘막이 접하도록 시험용 시트를 유리판에 적층하고, 열 라미네이터(후지프라사 제조 「라미팩커 DAiSY A4(LPD2325)」)를 사용 접합하고, 밀봉 형성층에 의해 형성된 밀봉층으로 칼슘막이 밀봉된 평가 샘플을 얻었다. 또한, 실시예 2의 밀봉용 시트를 사용하여 제작한 시험용 시트에서는, 흡습부가 노출된 밀봉 형성층의 표면과, 유리판의 칼슘막이 접하도록 시험용 시트를 유리판에 적층하였다.
일반적으로, 칼슘이 물과 접촉하여 산화칼슘이 되면 투명해진다. 또한, 상기 평가 샘플에서는 유리판 및 PET 부착 AL1N30이 높은 수분 차단성을 가지므로, 수분은 밀봉층의 단부를 통해 면내 방향(두께 방향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하여, 칼슘막에 도달한다고 생각된다. 평가 샘플에 수분이 침입하면, 칼슘막은 단부로부터 점차 산화되어 투명해지므로, 칼슘막의 축소가 관찰된다. 따라서, 평가 샘플로의 수분 침입은 평가 샘플의 단부에서 칼슘막까지의 거리[mm]를 측정함으로써, 평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칼슘막을 갖는 평가 샘플을, 소자를 갖는 전자 기기의 모델로서 사용할 수 있다.
평가 샘플을 온도 85℃ 및 습도 85%RH로 설정한 항온 항습조에 수납하였다. 평가 샘플을 항온 항습조에 수납한 시점 T1, 및 평가 샘플의 단부에서 칼슘막의 단부까지의 거리가 0.1mm 증가한 시점 T2를 계측하고, 수축 시간(즉, T2-T1 )을 산출하였다. 얻어진 수축 시간으로부터, 이하의 기준으로 수분 차단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2에 기재한다.
양호(○): 수축 시간이 200시간 이상
불량(×): 수축 시간이 200시간 미만
[표 2]
Figure pct00002
본 발명의 밀봉용 시트는 소자의 밀봉층(바람직하게는 유기 EL 소자를 보호하기 위한 밀봉층)을 형성하는데 유용하다.
본 출원은 일본에서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20-189431호를 기초로 하고 있고, 그 내용은 본원 명세서에 모두 포함된다.
1 밀봉 형성층
2 투명부
3 흡습부
4 지지체
5 흡습층 
6 보호 시트
7 밀봉용 시트
W3 흡습부의 폭 
T 밀봉부의 두께
T3 흡습부의 두께 
S1 밀봉 형성층의 흡습부가 돌출되어 있지 않은 표면
S2 밀봉 형성층의 흡습부가 돌출되어 있는 표면
d3 밀봉 형성층의 흡습부가 돌출되어 있지 않은 하나의 표면과 흡습부 사이의 거리(단, d3≥D3)
D3 밀봉 형성층의 흡습부가 돌출되어 있지 않은 하나의 표면과 흡습부 사이의 거리(단, d3≥D3)

Claims (11)

  1. 밀봉 형성층을 포함하는 밀봉용 시트로서,
    밀봉 형성층이 투명부 및 투명부의 흡수율보다도 큰 흡수율을 갖는 흡습부를 포함하고,
    밀봉 형성층이 투명부로 형성되는 밀봉부를 포함하고,
    흡습부가 밀봉부의 외주를 둘러싸고 있고, 그리고
    밀봉부의 파장 450nm에서의 전광선 투과율이 80% 이상인, 밀봉용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흡습부의 흡수율이 5질량% 이상인, 밀봉용 시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밀봉부의 두께가 5 내지 100㎛인, 밀봉용 시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흡습부의 폭이 0.25 내지 30mm 인, 밀봉용 시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밀봉용 시트.
  6. 밀봉 형성층을 포함하는 밀봉용 시트로서,
    밀봉 형성층이 투명부 및 흡습부를 포함하고,
    밀봉 형성층이 투명부로 형성되는 밀봉부를 포함하고,
    흡습부가 밀봉부의 외주를 둘러싸고 있고,
    투명부가 흡습성 필러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고, 그리고 흡습부가 흡습성 필러를 포함하고, 그리고
    흡습부의 흡습성 필러의 함유량이 투명부의 흡습성 필러의 함유량보다도 큰 밀봉용 시트.
  7. 제6항에 있어서, 흡습부 중의 흡습성 필러의 함유량이 흡습부의 합계 100질량%당 10 내지 80질량%이고, 그리고 투명부 중의 흡습성 필러의 함유량이 투명부의 합계 100질량%당 0질량% 이상 70질량% 미만인, 밀봉용 시트.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밀봉부의 파장 450nm에서의 전광선 투과율이 80% 이상인, 밀봉용 시트.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밀봉부의 두께가 5 내지 100㎛인, 밀봉용 시트.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흡습부의 폭이 0.25 내지 30mm인, 밀봉용 시트.
  11.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밀봉용 시트.
KR1020237019327A 2020-11-13 2021-11-12 밀봉용 시트 KR2023010469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189431 2020-11-13
JP2020189431 2020-11-13
PCT/JP2021/041654 WO2022102733A1 (ja) 2020-11-13 2021-11-12 封止用シー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4692A true KR20230104692A (ko) 2023-07-10

Family

ID=81602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9327A KR20230104692A (ko) 2020-11-13 2021-11-12 밀봉용 시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WO2022102733A1 (ko)
KR (1) KR20230104692A (ko)
CN (1) CN116438649A (ko)
DE (1) DE112021005948T5 (ko)
TW (1) TW202224917A (ko)
WO (1) WO2022102733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58770A1 (ja) 2015-03-27 2016-10-06 味の素株式会社 封止用樹脂組成物
JP2017059413A (ja) 2015-09-16 2017-03-23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WO2017057708A1 (ja) 2015-09-30 2017-04-06 味の素株式会社 封止用樹脂組成物
WO2018066548A1 (ja) 2016-10-04 2018-04-12 味の素株式会社 封止用の樹脂組成物および封止用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7201B1 (ko) * 2004-12-20 2006-10-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그 제조방법
DE102014200948A1 (de) 2014-01-20 2015-07-23 Tesa Se Verfahren zum Entfernen von Permeaten aus Flächengebilden
KR20150097359A (ko) * 2014-02-18 2015-08-26 주식회사 엘지화학 봉지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자장치
CN111868162A (zh) 2018-03-30 2020-10-30 味之素株式会社 密封用组合物
JP2020158739A (ja) * 2019-03-28 2020-10-01 味の素株式会社 樹脂組成物および樹脂シー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58770A1 (ja) 2015-03-27 2016-10-06 味の素株式会社 封止用樹脂組成物
JP2017059413A (ja) 2015-09-16 2017-03-23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WO2017057708A1 (ja) 2015-09-30 2017-04-06 味の素株式会社 封止用樹脂組成物
WO2018066548A1 (ja) 2016-10-04 2018-04-12 味の素株式会社 封止用の樹脂組成物および封止用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02733A1 (ja) 2022-05-19
DE112021005948T5 (de) 2023-09-21
JPWO2022102733A1 (ko) 2022-05-19
CN116438649A (zh) 2023-07-14
TW202224917A (zh) 2022-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026430B (zh) 密封用树脂组合物
TWI493004B (zh) 封裝電子零件之方法
JP6680295B2 (ja) 封止用樹脂組成物
KR102579970B1 (ko) 봉지용 시트
JP6821985B2 (ja) 封止用樹脂組成物
JP6903992B2 (ja) 封止用樹脂組成物および封止用シート
WO2021111855A1 (ja) 封止剤、封止シート、電子デバイスおよびペロブスカイト型太陽電池
KR20220100902A (ko) 밀봉용 시트
KR20230104692A (ko) 밀봉용 시트
KR20210146987A (ko) 수지 조성물 및 수지 시트
JP2022021714A (ja) 封止用シートおよびポリマー組成物層
KR20230136066A (ko) 밀봉용 조성물 및 밀봉용 시트
WO2023182493A1 (ja) 樹脂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220078639A (ko) 수지 조성물 및 수지 시트
KR20220162637A (ko) 점착 조성물, 점착 시트 및 전자 디바이스
KR20220012200A (ko) 밀봉용 시트 및 점착 조성물 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