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4680A - 역입력 차단 클러치 - Google Patents

역입력 차단 클러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4680A
KR20230104680A KR1020237019195A KR20237019195A KR20230104680A KR 20230104680 A KR20230104680 A KR 20230104680A KR 1020237019195 A KR1020237019195 A KR 1020237019195A KR 20237019195 A KR20237019195 A KR 20237019195A KR 20230104680 A KR20230104680 A KR 202301046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output
pressed
engagement
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9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가오 도이
유야 다이코쿠
Original Assignee
닛본 세이고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21/046770 external-priority patent/WO2022168466A1/ja
Application filed by 닛본 세이고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본 세이고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04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46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9/00Self-acting brakes, e.g. coming into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1/00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 F16D41/06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 F16D41/08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with provision for altering the freewheeling action
    • F16D41/10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with provision for altering the freewheeling action with self-actuated rever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5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with the coupling parts connected by one or more intermediat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3/00Automatic clutches
    • F16D43/02Automatic clutches actuated entirely mechanically
    • F16D43/20Automatic clutches actuated entirely mechanically controlled by torque, e.g. overload-release clutches, slip-clutches with means by which torque varies the clutching pressure
    • F16D43/21Automatic clutches actuated entirely mechanically controlled by torque, e.g. overload-release clutches, slip-clutches with means by which torque varies the clutching pressure with friction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1/00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 F16D51/10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shaped as exclusively radially-movable brake-shoes
    • F16D51/12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shaped as exclusively radially-movable brake-shoes mechanically actu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7/00Combinations of couplings and brakes; Combinations of clutches and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7/00Combinations of couplings and brakes; Combinations of clutches and brakes
    • F16D67/02Clutch-brake combin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02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adapted to specific fun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피가압 부재 (4) 는, 내주면에 피가압면 (24) 을 갖는 제 1 피가압 부재 소자 (16) 와, 사용시에도 회전하지 않는 부분 (62) 에 고정되는 장착부 (64) 를 갖는 제 2 피가압 부재 소자 (17) 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역입력 차단 클러치
본 발명은, 입력 부재에 입력되는 회전 토크를 출력 부재에 전달하는 반면, 출력 부재에 역입력되는 회전 토크를 완전히 차단하여 입력 부재에 전달하지 않거나, 또는, 그 일부만을 입력 부재에 전달하고 잔부를 차단하는 기능을 갖는, 역입력 차단 클러치에 관한 것이다.
도 21 ∼ 도 23 은, 국제 공개 2020/054763호에 기재된, 역입력 차단 클러치가 부착된 전동 모터의 종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역입력 차단 클러치가 부착된 전동 모터 (100) 는, 출력 샤프트 (101) 의 도중에, 역입력 차단 클러치 (102) 를 구비한다. 즉, 출력 샤프트 (101) 는, 서로 동축에 배치된 제 1 샤프트 (103) 와 제 2 샤프트 (104) 를, 역입력 차단 클러치 (102) 에 의해 접속시킴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제 1 샤프트 (103) 는, 모터 하우징 (105) 의 내측에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제 1 샤프트 (103) 의 축 방향 중간부의 주위에는, 회전자 (106) 가 외측에서 끼워져 고정되고, 또한, 회전자 (106) 의 주위에는, 모터 하우징 (105) 에 대해 지지 고정된 고정자 (107) 가 배치되어 있다. 즉, 고정자 (107) 에 통전함으로써, 회전자 (106) 에 회전 방향의 힘이 부여되면, 제 1 샤프트 (103) 가 회전한다.
제 2 샤프트 (104) 는, 역입력 차단 클러치 (102) 의 클러치 하우징 (108) 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역입력 차단 클러치 (102) 는, 입력부 (109) 와, 출력부 (110) 와, 클러치 하우징 (108) 과, 1 쌍의 걸어 맞춤자 (111) 를 구비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역입력 차단 클러치 (102) 에 관하여, 축 방향 일방측은 도 21 의 우측이고, 축 방향 타방측은 도 21 의 좌측이다.
입력부 (109) 는, 제 1 샤프트 (103) 의 축 방향 타방측 (도 21 의 좌측) 의 단부에 구비되어 있다. 입력부 (109) 는, 입력축부 (112) 와, 1 쌍의 입력측 걸어 맞춤부 (113) 를 갖는다. 입력축부 (112) 는, 단차가 있는 원기둥 형상을 갖는다. 1 쌍의 입력측 걸어 맞춤부 (113) 는, 입력축부 (112) 의 선단면의 직경 방향 반대측 2 개 지점 위치로부터 축 방향으로 신장된 볼록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출력부 (110) 는, 제 2 샤프트 (104) 의 축 방향 일방측 (도 21 의 우측) 의 단부에 구비되어 있다. 출력부 (110) 는, 출력측 걸어 맞춤부 (114) 를 갖는다. 출력측 걸어 맞춤부 (114) 는, 대략 장원기둥 형상을 갖고, 1 쌍의 입력측 걸어 맞춤부 (113) 의 사이 부분에 배치된다.
클러치 하우징 (108) 은, 단차가 있는 원통 형상을 갖는다. 즉, 클러치 하우징 (108) 은, 축 방향 타방측의 소경 원통부 (115) 와, 축 방향 일방측의 대경 원통부 (116) 와, 그 소경 원통부 (115) 와 그 대경 원통부 (116) 를 접속시키는 측판부 (117) 를 구비한다. 클러치 하우징 (108) 은, 대경 원통부 (116) 의 축 방향 타방측 부분의 내주면에, 피가압면 (118) 을 갖는다. 즉, 클러치 하우징 (108) 이, 피가압 부재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클러치 하우징 (108) 은, 대경 원통부 (116) 의 외주면의 원주 방향 복수 지점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 (119) 와, 그 돌출부 (119) 를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나사공 (120) 을 갖는다.
클러치 하우징 (108) 은, 대경 원통부 (116) 의 축 방향 일방측의 단부를, 모터 하우징 (105) 의 축 방향 타방측의 단부에 구비된 원환상의 돌조 (121) 에 덜컹거림 없이 외측에서 끼우고, 또한, 모터 하우징 (105) 에 구비된 통공 (通孔) (122) 을 삽입 통과한 볼트를, 나사공 (120) 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모터 하우징 (105) 과 결합 고정되어 있다. 또한, 모터 하우징 (105) 은, 사용시에도 회전하지 않는 고정 부분에 대해 지지 고정된다.
각각의 걸어 맞춤자 (111) 는, 대략 반원형 판상이고, 클러치 하우징 (108) 의 대경 원통부 (116) 의 직경 방향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걸어 맞춤자 (111) 는, 피가압면 (118) 에 대향하는 직경 방향 외측면에 부분 원통상의 볼록면으로 이루어지는 가압면 (123) 을 갖고, 또한, 직경 방향 내측면에, 후술하는 출력측 피걸어 맞춤부 (124) 가 구비된 부분을 제외하고 평탄면으로 이루어지는 바닥면 (125) 을 갖는다. 가압면 (123) 의 곡률 반경은, 피가압면 (118) 의 곡률 반경 이하이다. 또한, 걸어 맞춤자 (111) 에 관하여 직경 방향이란, 도 22 에 화살표 α 로 나타낸 바닥면 (125) 에 대해 직각인 방향을 말하고, 도 22 에 화살표 β 로 나타낸 바닥면 (125) 에 대해 평행한 방향을, 걸어 맞춤자 (111) 에 관하여 폭 방향이라고 한다.
1 쌍의 걸어 맞춤자 (111) 를 대경 원통부 (116) 의 직경 방향 내측에 배치한 상태에서, 피가압면 (118) 과 가압면 (123) 의 사이 부분, 및, 각각의 바닥면 (125) 의 사이 부분의 적어도 일방에 간극이 존재하도록, 대경 원통부 (116) 의 내경 치수 및 걸어 맞춤자 (111) 의 직경 방향 치수가 규제되어 있다.
걸어 맞춤자 (111) 는, 입력측 피걸어 맞춤부 (126) 및 출력측 피걸어 맞춤부 (124) 를 갖는다. 입력측 피걸어 맞춤부 (126) 는, 걸어 맞춤자 (111) 의 직경 방향 중간부를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입력측 걸어 맞춤부 (113) 를 헐겁게 삽입할 수 있는 크기를 갖는다. 이 때문에, 입력측 걸어 맞춤부 (113) 는, 걸어 맞춤자 (111) 에 대해 입력부 (109) 의 회전 방향에 관한 변위가 가능하고, 걸어 맞춤자 (111) 는, 입력측 걸어 맞춤부 (113) 에 대해 걸어 맞춤자 (111) 의 직경 방향의 변위가 가능하다. 출력측 피걸어 맞춤부 (124) 는, 걸어 맞춤자 (111) 의 바닥면 (125) 의 폭 방향 중앙부로부터 직경 방향 외방을 향하여 패인 대략 직사각형상의 오목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출력측 걸어 맞춤부 (114) 의 단축 방향의 선반부 (先半部) 를 배치할 수 있는 크기를 갖는다.
역입력 차단 클러치 (102) 의 조립 상태에서, 입력부 (109) 의 1 쌍의 입력측 걸어 맞춤부 (113) 는, 1 쌍의 걸어 맞춤자 (111) 의 입력측 피걸어 맞춤부 (126) 에 축 방향 타측으로부터 삽입되고, 또한, 출력부 (110) 의 출력측 걸어 맞춤부 (114) 는, 1 쌍의 출력측 피걸어 맞춤부 (124) 끼리의 사이에 축 방향 편측으로부터 삽입된다. 즉, 1 쌍의 걸어 맞춤자 (111) 는, 출력측 걸어 맞춤부 (114) 를 직경 방향 외측으로부터 사이에 두도록 배치된다.
고정자 (107) 에 통전하는 것에 기초하여, 제 1 샤프트 (103) 에 회전 토크가 입력되어, 입력부 (109) 가 회전하면, 도 2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력측 피걸어 맞춤부 (126) 의 내측에서, 입력측 걸어 맞춤부 (113) 가 입력부 (109) 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입력측 걸어 맞춤부 (113) 의 직경 방향 내측면이 입력측 피걸어 맞춤부 (126) 의 내면을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하여 가압하여, 각각의 걸어 맞춤자 (111) 를, 피가압면 (118) 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즉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하여 이동시킨다. 이로써, 1 쌍의 출력측 피걸어 맞춤부 (124) 가 출력부 (110) 의 출력측 걸어 맞춤부 (114) 를 직경 방향 양측으로부터 협지하여, 출력측 걸어 맞춤부 (114) 와 1 쌍의 출력측 피걸어 맞춤부 (124) 가, 덜컹거림 없이 걸어 맞춰진다. 이 결과, 제 1 샤프트 (103) 에 입력된 회전 토크가, 1 쌍의 걸어 맞춤자 (111) 를 통하여, 출력부 (110) 에 전달되고, 제 2 샤프트 (104) 로부터 출력된다.
한편, 제 2 샤프트 (104) 에 회전 토크가 역입력되어, 출력부 (110) 가 회전하면, 도 2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출력측 걸어 맞춤부 (114) 가, 1 쌍의 출력측 피걸어 맞춤부 (124) 의 내측에서, 출력부 (110) 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출력측 걸어 맞춤부 (114) 의 모서리부가 출력측 피걸어 맞춤부 (124) 의 바닥면을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가압하여, 각각의 걸어 맞춤자 (111) 를, 피가압면 (118) 에 가까워지는 방향, 즉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이동시킨다. 이로써, 각각의 걸어 맞춤자 (111) 의 가압면 (123) 이, 클러치 하우징 (108) 의 피가압면 (118) 에 대해 가압된다. 이 결과, 제 2 샤프트 (104) 에 역입력된 회전 토크가, 클러치 하우징 (108) 에 전달됨으로써 완전히 차단되어 제 1 샤프트 (103) 에 전달되지 않거나, 또는, 제 2 샤프트 (104) 에 역입력된 회전 토크의 일부만이 제 1 샤프트 (103) 에 전달되고 잔부가 차단된다.
제 2 샤프트 (104) 에 역입력된 회전 토크를 완전히 차단하여 제 1 샤프트 (103) 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려면, 가압면 (123) 이 피가압면 (118) 에 대해 슬라이딩하지 않도록, 각각의 걸어 맞춤자 (111) 를, 출력부 (110) 의 출력측 걸어 맞춤부 (114) 와 클러치 하우징 (108) 의 피가압면 (118) 사이에서 강하게 협지하여, 출력부 (110) 를 로크한다. 제 2 샤프트 (104) 에 역입력된 회전 토크 중 일부만이 제 1 샤프트 (103) 에 전달되고 잔부가 차단되도록 하려면, 가압면 (123) 이 피가압면 (118) 에 대해 슬라이딩하도록, 각각의 걸어 맞춤자 (111) 를 출력측 걸어 맞춤부 (114) 와 피가압면 (118) 사이에서 협지하여, 출력부 (110) 를 반 (半) 로크한다.
국제 공개 2020/054763호 국제 공개 2006/11734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40343호
국제 공개 2020/054763호에 기재된 역입력 차단 클러치가 부착된 전동 모터 (100) 에서는, 피가압면 (118) 을 갖는 클러치 하우징 (108) 을 모터 하우징 (105) 에 대해 직접 결합 고정시키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모터 하우징 (105) 에 구비된 통공 (122) 을 삽입 통과한 볼트를, 클러치 하우징 (108) 의 돌출부 (119) 에 구비된 나사공 (120) 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클러치 하우징 (108) 을 모터 하우징 (105) 에 대해 결합 고정시키고 있다.
클러치 하우징 (108) 을 모터 하우징 (105) 에 대해, 볼트 고정에 의해 결합 고정시키면, 클러치 하우징 (108) 의 대경 원통부 (116) 에 변형이 발생하여, 그 대경 원통부 (116) 의 내주면에 구비된 피가압면 (118) 의 진원도가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피가압면 (118) 의 진원도가 저하되면, 제 2 샤프트 (104) 에 회전 토크가 역입력됐을 때에, 걸어 맞춤자 (111) 의 가압면 (123) 이 피가압면 (118) 에 맞닿을 때까지 걸리는 시간이, 피가압면 (118) 에 대한 걸어 맞춤자 (111) 의 둘레 방향에 관한 위상에 따라 편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즉, 역입력 차단 클러치 (102) 를, 비로크 상태로부터 로크 상태 또는 반로크 상태로 전환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에 편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 결과, 역입력 차단 클러치가 부착된 전동 모터 (100) 의 제어성이 저하되거나, 역입력 차단 클러치 (102) 를 비로크 상태로부터 로크 상태 또는 반로크 상태로 전환하는 로크 성능이 저하되거나 할 가능성이 있다.
국제 공개 2006/117343호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40343호에는, 출력 부재에 회전 토크가 역입력됐을 때에, 내방 부재와 외방 부재 사이의 공간에 배치된 걸어 맞춤자 (전동체) 를, 상기 공간 중에서 직경 방향에 관한 폭이 좁은 측을 향하여 둘레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걸어 맞춤자를, 상기 내방 부재와 상기 외방 부재 사이에서 강하게 협지함으로써, 출력 부재의 회전을 방지하는 역입력 차단 클러치가 기재되어 있다.
국제 공개 2006/117343호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40343호에 기재된 역입력 차단 클러치에 있어서도, 상기 외방 부재를, 사용시에도 회전하지 않는 부분에 직접 결합 고정시키면, 상기 외방 부재의 내주면에 구비되고, 상기 걸어 맞춤자와 접촉하는 피가압면의 진원도가 저하되어, 제어성이나 로크 성능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피가압면의 진원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역입력 차단 클러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의 역입력 차단 클러치는, 피가압 부재와, 입력 부재와, 출력 부재와, 걸어 맞춤자를 구비한다.
상기 피가압 부재는, 내주면에 피가압면을 갖는 제 1 피가압 부재 소자와, 사용시에도 회전하지 않는 부분에 고정되는 장착부를 갖는 제 2 피가압 부재 소자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 부재는, 상기 제 1 피가압 부재 소자와 상기 제 2 피가압 부재 소자 중 일방의 피가압 부재 소자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출력 부재는, 상기 입력 부재와 동축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 1 피가압 부재 소자와 상기 제 2 피가압 부재 소자 중 타방의 피가압 부재 소자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걸어 맞춤자는, 상기 입력 부재에 회전 토크가 입력되면, 그 입력 부재와의 걸어 맞춤에 기초하여 상기 피가압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출력 부재와 걸어 맞춰짐으로써, 상기 입력 부재에 입력된 회전 토크를 상기 출력 부재에 전달한다. 또, 상기 걸어 맞춤자는, 상기 출력 부재에 회전 토크가 역입력되면, 그 출력 부재와의 걸어 맞춤에 기초하여 상기 피가압면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피가압면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출력 부재에 역입력된 회전 토크를 완전히 차단하거나, 또는 상기 출력 부재에 역입력된 회전 토크의 일부를 상기 입력 부재에 전달하고 잔부를 차단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의 역입력 차단 클러치에서는, 상기 제 1 피가압 부재 소자는, 외주면에 내경측 끼워 맞춤면을 가질 수 있고, 또한, 상기 제 2 피가압 부재 소자는, 내주면에, 상기 내경측 끼워 맞춤면에 직경 방향에 관한 덜컹거림 없이 외측에서 끼워진 외경측 끼워 맞춤면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의 역입력 차단 클러치에서는, 상기 제 2 피가압 부재 소자는, 내주면에 상기 외경측 끼워 맞춤면을 갖는 통상부를 구비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장착부는, 상기 통상부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부와, 그 돌출부를 축 방향으로 관통하고, 또한, 볼트가 삽입 통과되는 장착공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의 역입력 차단 클러치에서는, 상기 입력 부재를, 상기 제 2 피가압 부재 소자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또한, 상기 출력 부재를, 상기 제 1 피가압 부재 소자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혹은, 상기 입력 부재를, 상기 제 1 피가압 부재 소자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또한, 상기 출력 부재를, 상기 제 2 피가압 부재 소자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의 역입력 차단 클러치에서는,
상기 입력 부재는, 그 입력 부재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벗어난 부분에 입력측 걸어 맞춤부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출력 부재는, 상기 입력측 걸어 맞춤부보다 직경 방향 내측에 출력측 걸어 맞춤부를 가질 수 있고, 및,
상기 걸어 맞춤자는, 상기 피가압면에 대향하는 직경 방향 외측면에 가압면을 갖고, 직경 방향 내측면에, 상기 출력측 걸어 맞춤부와 걸어 맞춰지는 출력측 피걸어 맞춤부를 가질 수 있고, 또한, 직경 방향 중간부에, 상기 입력측 걸어 맞춤부와 걸어 맞춰지는 입력측 피걸어 맞춤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의 역입력 차단 클러치는, 상기 출력측 걸어 맞춤부와 상기 걸어 맞춤자 사이에 탄성적으로 협지된 탄성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피가압면에 대한 상기 가압면의 원근 방향인 제 1 방향에 관하여, 상기 출력측 걸어 맞춤부를 상기 피가압면으로부터 먼 측을 향하여 가압하고, 또한, 상기 제 1 방향에 관하여, 상기 걸어 맞춤자를 상기 피가압면에 가까운 측을 향하여 가압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의 역입력 차단 클러치에서는, 상기 걸어 맞춤자를, 상기 출력측 걸어 맞춤부를 직경 방향 양측으로부터 사이에 두도록 배치된 1 쌍의 걸어 맞춤자에 의해 구성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입력측 걸어 맞춤부를, 1 쌍의 입력측 걸어 맞춤부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의 역입력 차단 클러치는, 상기 1 쌍의 입력측 걸어 맞춤부를 구성하는 입력측 걸어 맞춤부의 선단부끼리의 사이에 놓인 보강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의 역입력 차단 클러치에 의하면, 피가압면의 진원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제 1 예의 역입력 차단 클러치의 단면도이다.
도 2 는, 제 1 예의 역입력 차단 클러치를 도 1 의 우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3 은, 제 1 예의 역입력 차단 클러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는, 제 1 예의 역입력 차단 클러치를, 일부의 부품을 생략하고, 출력측 걸어 맞춤부를 도 1 의 A-A 선으로 절단하고, 또한, 입력 부재 및 출력 부재 중 어느 것에도 회전 토크가 입력되어 있지 않은 중립 상태에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는, 입력 부재에 회전 토크가 입력된 상태에서 나타내는, 도 4 와 동일한 도면이다.
도 6 은, 출력 부재에 회전 토크가 역입력된 상태에서 나타내는, 도 4 와 동일한 도면이다.
도 7 은, 제 1 예의 역입력 차단 클러치를, 하우징, 입력측 베어링, 및 출력측 베어링을 분리한 상태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 은, 제 1 예의 역입력 차단 클러치를, 하우징, 입력측 베어링, 및 출력측 베어링을 분리한 상태에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9 는, 제 1 예의 역입력 차단 클러치를, 하우징, 출력 부재, 입력측 베어링, 및 출력측 베어링을 분리한 상태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 은, 제 1 예의 역입력 차단 클러치를 구성하는, 각각에 탄성 부재가 장착된 1 쌍의 걸어 맞춤자의 사시도이다.
도 11 은, 제 1 예의 역입력 차단 클러치를 구성하는, 각각에 탄성 부재가 장착된 1 쌍의 걸어 맞춤자, 및, 보강 부재를, 축 방향에 관하여 출력 부재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12 는, 제 1 예의 역입력 차단 클러치를 구성하는 걸어 맞춤자의 본체 플레이트를 축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13 은, 제 1 예의 역입력 차단 클러치를 구성하는 탄성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구체적으로는, 도 13(A) 는 평면도이고, 도 13(B) 는 도 13(A) 의 하방에서 본 정면도이고, 도 13(C) 는 사시도이다.
도 14 는, 도 4 의 상반부의 좌우 방향 중앙부의 확대도이다.
도 15(A) 의 (a) 는, 제 1 예의 구조에 대해, 입력 부재에 회전 토크가 입력되기 전의 상태에서 나타내는, 걸어 맞춤자와 입력측 걸어 맞춤부의 걸어 맞춤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5(A) 의 (b) 는, 도 15(A) 의 (a) 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입력 부재에 회전 토크가 입력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5(B) 의 (a) 는, 종래 구조에 상당하는 참고예의 구조에 대해, 입력 부재에 회전 토크가 입력되기 전의 상태에서 나타내는, 걸어 맞춤자와 입력측 걸어 맞춤부의 걸어 맞춤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5(B) 의 (b) 는, 도 15(B) 의 (a) 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입력 부재에 회전 토크가 입력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A) 및 도 16(B) 는, 제 1 예의 역입력 차단 클러치에 대해, 출력측 걸어 맞춤부와 출력측 피걸어 맞춤부가 걸어 맞춰지기 전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제 2 예의 역입력 차단 클러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8 은, 제 2 예의 역입력 차단 클러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 4 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19 는, 제 2 예의 역입력 차단 클러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 5 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20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제 3 예의 역입력 차단 클러치의 단면도이다.
도 21 은, 종래의 역입력 차단 클러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2 는, 종래의 역입력 차단 클러치에 대해, 입력 부재에 회전 토크가 입력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 21 의 B-B 단면도이다.
도 23 은, 종래의 역입력 차단 클러치에 대해, 출력 부재에 회전 토크가 역입력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 21 의 B-B 단면도이다.
[제 1 예]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제 1 예에 대해, 도 1 ∼ 도 16 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축 방향, 직경 방향, 및 둘레 방향이란,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역입력 차단 클러치 (1), 보다 구체적으로는, 역입력 차단 클러치 (1) 를 구성하는 피가압 부재의 피가압면 (하우징 (4) 의 피가압면 (24)) 의 축 방향, 직경 방향, 및 둘레 방향을 말한다. 본 예에 있어서, 역입력 차단 클러치 (1) 의 축 방향, 직경 방향, 및 둘레 방향은, 입력 부재 (2) 의 축 방향, 직경 방향, 및 둘레 방향과 일치하고, 또한, 출력 부재 (3) 의 축 방향, 직경 방향, 및 둘레 방향과 일치한다. 역입력 차단 클러치 (1) 에 관하여, 축 방향 일방측은, 도 1, 도 3, 도 7, 도 8, 도 9, 및 도 10 의 우측이고, 축 방향 타방측은, 도 1, 도 3, 도 7, 도 8, 도 9, 및 도 10 의 좌측이다.
본 예의 역입력 차단 클러치 (1) 는, 입력 부재 (2) 와, 출력 부재 (3) 와, 피가압 부재인 하우징 (4) 과, 걸어 맞춤자로서의 1 쌍의 걸어 맞춤자 (5) 를 구비한다. 역입력 차단 클러치 (1) 는, 입력 부재 (2) 에 입력되는 회전 토크를 출력 부재 (3) 에 전달하는 반면, 출력 부재 (3) 에 역입력되는 회전 토크는 완전히 차단하여 입력 부재 (2) 에 전달하지 않거나, 또는, 그 일부만을 입력 부재 (2) 에 전달하고 잔부를 차단하는 역입력 차단 기능을 갖는다.
입력 부재 (2) 는, 전동 모터 등의 입력측 기구에 접속되고, 회전 토크가 입력된다. 본 예의 입력 부재 (2) 는, 입력측 걸어 맞춤부로서의 1 쌍의 입력측 걸어 맞춤부 (6) 를 갖는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 입력 부재 (2) 는, 복수의 부품을 조합함으로써 구성할 수도 있고, 전체를 일체로, 즉 하나의 부품에 의해 구성할 수도 있다. 본 예에서는, 입력 부재 (2) 는, 도 1, 도 3, 및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 부재 (7) 와, 1 쌍의 입력측 걸어 맞춤 핀 (8) 을 조합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축 부재 (7) 는, 입력축부 (9) 와, 1 쌍의 입력 아암부 (10) 를 갖는다.
입력축부 (9) 는, 대략 원기둥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축 방향 일방측의 단부가 상기 입력측 기구의 출력부에 접속된다.
1 쌍의 입력 아암부 (10) 는, 입력축부 (9) 의 축 방향 타방측의 단부로부터, 서로 직경 방향 반대측을 향하여 신장되어 있다. 1 쌍의 입력 아암부 (10) 의 각각의 입력 아암부 (10) 는, 직경 방향 중간부에, 축 방향의 관통공인 지지공 (11) 을 갖는다.
1 쌍의 입력측 걸어 맞춤 핀 (8) 의 각각의 입력측 걸어 맞춤 핀 (8) 은, 원기둥상의 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입력측 걸어 맞춤 핀 (8) 의 축 방향 일방측의 단부가, 입력 아암부 (10) 의 지지공 (11) 에 압입에 의해 내측에서 끼워져 고정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입력측 걸어 맞춤 핀 (8) 의 축 방향 중간부 및 축 방향 타방측의 단부에 의해, 입력측 걸어 맞춤부 (6) 가 구성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후술하는 걸어 맞춤자의 수에 따라, 즉, 걸어 맞춤자가 1 쌍의 걸어 맞춤자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에 따라, 입력 아암부 및 입력측 걸어 맞춤부는, 1 쌍의 입력 아암부 (10) 및 1 쌍의 입력측 걸어 맞춤부 (6) 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단,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에, 입력 아암부 및 입력측 걸어 맞춤부의 수는 2 개에 한정되지 않고, 걸어 맞춤자의 수에 따라, 입력 아암부 및 입력측 걸어 맞춤부의 수를 1 개로 하거나, 혹은, 3 개 이상으로 할 수도 있다.
출력 부재 (3) 는, 감속 기구 등의 출력측 기구에 접속되고, 회전 토크를 출력한다. 출력 부재 (3) 는, 입력 부재 (2) 와 동축에 배치되어 있고, 도 3 및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출력축부 (12) 와, 출력측 걸어 맞춤부 (13) 를 갖는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 출력 부재 (3) 는, 복수의 부품을 조합함으로써 구성할 수도 있고, 전체를 일체로, 즉 하나의 부품에 의해 구성할 수도 있다. 본 예에서는, 출력 부재 (3) 는, 하나의 부품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출력축부 (12) 는, 대략 원기둥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축 방향 타방측의 단부가 상기 출력측 기구의 입력부에 접속된다.
출력측 걸어 맞춤부 (13) 는, 대략 장원기둥상이고, 출력축부 (12) 의 축 방향 일방측의 단면의 중앙부로부터 축 방향 일방측으로 신장되어 있다. 출력측 걸어 맞춤부 (13) 의 외주면은, 도 4 ∼ 도 6, 도 16(A), 및 도 16(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축 방향 (도 4 ∼ 도 6, 도 16(A), 및 도 16(B) 의 상하 방향) 의 양측의 측면 (14) 과, 장축 방향 (도 4 ∼ 도 6, 도 16(A), 및 도 16(B) 의 좌우 방향) 의 양측의 측면으로 이루어지는 가이드면 (15) 을 갖는다. 가이드면 (15) 은, 측면 (14) 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고, 본 예에서는, 양측의 측면 (14) 의 가이드면 (15) 이 단축 방향으로 연속해서 각각 1 개의 곡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측면 (14) 은, 출력측 걸어 맞춤부 (13) 의 단축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평탄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가이드면 (15) 은, 볼록 곡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가이드면 (15) 은, 출력측 걸어 맞춤부 (13) 의 중심축 (출력 부재 (3) 의 중심축) 을 중심으로 하는 부분 원통상의 볼록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출력 부재 (3) 에 관해서는, 예를 들어 환봉 소재의 외주면을, 가이드면 (15) 으로서 이용할 수 있어, 그 만큼 가공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단,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에, 각각의 가이드면을, 출력 부재 (3) 의 중심축과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하는 부분 원통상의 볼록면에 의해, 혹은, 부분 타원통상의 볼록면 등의 비원통상의 볼록면에 의해 구성할 수도 있다. 출력측 걸어 맞춤부 (13) 는, 1 쌍의 입력측 걸어 맞춤부 (6) 보다 직경 방향 내측에, 구체적으로는, 1 쌍의 입력측 걸어 맞춤부 (6) 의 사이 부분에 배치된다.
본 예에서는, 후술하는 걸어 맞춤자의 수에 따라, 즉, 걸어 맞춤자가 1 쌍의 걸어 맞춤자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에 따라, 측면 및 그 양측에 배치되는 가이드면은, 1 쌍의 측면 (14) 및 각각의 측면 (14) 의 양측의 가이드면 (15) 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단,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에, 측면의 수는 2 개에 한정되지 않고, 걸어 맞춤자의 수에 따라, 측면의 수를 1 개로 하거나, 혹은, 3 개 이상으로 할 수도 있다.
하우징 (4) 은,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공의 원반상이고, 사용시에도 회전하지 않는 고정 부재 (62) 에 고정되어, 그 회전이 구속되어 있다. 하우징 (4) 은, 입력 부재 (2) 및 출력 부재 (3) 와 동축에 배치되고, 또한, 그 내측에, 1 쌍의 입력측 걸어 맞춤부 (6), 출력측 걸어 맞춤부 (13) 및 1 쌍의 걸어 맞춤자 (5) 등이 수용되어 있다. 하우징 (4) 은, 축 방향 일방측에 배치된 입력측 하우징 소자 (하우징 본체) (16) 와, 축 방향 타방측에 배치된 출력측 하우징 소자 (17) (하우징 덮개체) 를, 복수개의 결합 볼트 (18) 에 의해 결합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입력측 하우징 소자 (16) 는, 원통상의 입력측 대경 통부 (19) 와, 원통상의 입력측 소경 통부 (20) 와, 중공 원형 평판상의 측판부 (21) 와, 플랜지부 (22) 를 구비한다.
입력측 대경 통부 (19) 는, 내주면에 피가압면 (24) 을 갖는다. 즉, 본 예에서는, 입력측 하우징 소자 (16) 가, 제 1 피가압 부재 소자를 구성한다. 피가압면 (24) 은, 입력측 하우징 소자 (16) 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통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입력측 대경 통부 (19) 는, 플랜지부 (22) 보다 축 방향 타방측에 위치하는 부분인 축 방향 타방측의 단부의 외주면에, 내경측 끼워 맞춤면을 구성하는 입력측 스피곳 끼워 맞춤면 (25) 을 갖는다. 입력측 스피곳 끼워 맞춤면 (25) 은, 입력측 하우징 소자 (16) 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통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입력측 소경 통부 (20) 는, 내주면의 축 방향 타방측의 단부로부터 중간부에 걸친 부분에, 입력측 베어링 끼워 맞춤면 (26) 을 갖는다. 입력측 베어링 끼워 맞춤면 (26) 은, 입력측 하우징 소자 (16) 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통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즉, 피가압면 (24) 과 입력측 스피곳 끼워 맞춤면 (25) 과 입력측 베어링 끼워 맞춤면 (26) 은, 서로 동축에 배치되어 있다.
입력측 소경 통부 (20) 는, 입력측 대경 통부 (19) 의 축 방향 일방측에, 입력측 대경 통부 (19) 와 동축에 배치되어 있다.
측판부 (21) 는, 축 방향에서 봤을 때 중공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다. 측판부 (21) 의 직경 방향 외측의 단부가 입력측 대경 통부 (19) 의 축 방향 일방측의 단부에 접속되고, 또한, 측판부 (21) 의 직경 방향 내측의 단부가 입력측 소경 통부 (20) 의 축 방향 타방측의 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플랜지부 (22) 는, 입력측 대경 통부 (19) 의 축 방향 중간부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플랜지부 (22) 는, 둘레 방향 복수 지점에,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통공 (23) 을 갖는다. 본 예에서는, 플랜지부 (22) 는, 둘레 방향 8 개 지점에,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통공 (23) 을 갖는다.
출력측 하우징 소자 (17) 는, 원통상의 통상부 (63) 와, 원통상의 출력측 소경 통부 (28) 와, 중공 원형 평판상의 측판부 (29) 와, 복수개의 장착부 (64) 를 구비한다. 즉, 본 예에서는, 출력측 하우징 소자 (17) 가, 제 2 피가압 부재 소자를 구성한다.
통상부 (63) 는, 축 방향 일방측 부분의 내주면에, 외경측 끼워 맞춤면을 구성하는 출력측 스피곳 끼워 맞춤면 (30) 을 갖는다. 출력측 스피곳 끼워 맞춤면 (30) 은, 출력측 하우징 소자 (17) 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통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출력측 스피곳 끼워 맞춤면 (30) 은, 입력측 하우징 소자 (16) 의 입력측 스피곳 끼워 맞춤면 (25) 에 대해, 덜컹거림 없이 끼워 맞추는 것이 가능한 내경 치수를 갖는다.
또, 통상부 (63) 는, 입력측 하우징 소자 (16) 의 통공 (23) 과 정합하는 둘레 방향 복수 지점에, 축 방향 일방측의 단면에 개구되는 나사공 (31) 을 갖는다. 본 예에서는, 통상부 (63) 는, 8 개의 통공 (23) 과 정합하는 둘레 방향 8 개 지점에, 축 방향 일방측의 단면에 개구되는 나사공 (31) 을 갖는다.
출력측 소경 통부 (28) 는, 통상부 (63) 의 축 방향 타방측에, 통상부 (63) 와 동축에 배치되어 있다. 출력측 소경 통부 (28) 는, 내주면의 축 방향 일방측의 단부로부터 중간부에 걸친 부분에, 출력측 베어링 끼워 맞춤면 (33) 을 갖는다. 출력측 베어링 끼워 맞춤면 (33) 은, 출력측 하우징 소자 (17) 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통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즉, 출력측 스피곳 끼워 맞춤면 (30) 과 출력측 베어링 끼워 맞춤면 (33) 은, 서로 동축에 배치되어 있다.
측판부 (29) 는, 축 방향에서 봤을 때 중공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다. 측판부 (29) 의 직경 방향 외측의 단부가 통상부 (63) 의 축 방향 타방측의 단부에 접속되고, 또한, 측판부 (29) 의 직경 방향 내측의 단부가 출력측 소경 통부 (28) 의 축 방향 일방측의 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각각의 장착부 (64) 는, 둘레 방향 등간격 복수 지점에 구비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4 개의 장착부 (64) 가, 둘레 방향 등간격 4 개 지점에 구비되어 있다. 장착부 (64) 는, 통상부 (63) 의 외주면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부 (65) 와, 그 돌출부 (65) 를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장착공 (32) 을 갖는다.
하우징 (4) 은, 입력측 하우징 소자 (16) 의 입력측 스피곳 끼워 맞춤면 (25) 을, 출력측 하우징 소자 (17) 의 출력측 스피곳 끼워 맞춤면 (30) 에 덜컹거림 없이 끼워 맞춤시키고, 또한, 입력측 하우징 소자 (16) 의 플랜지부 (22) 의 축 방향 타방측의 측면을, 출력측 하우징 소자 (17) 의 통상부 (63) 의 축 방향 일방측의 단면에 맞닿음시킨 상태에서, 각각의 통공 (23) 에 삽입 통과한 결합 볼트 (18) 를, 각각의 나사공 (31) 에 나사 결합하고, 나아가 단단히 조임으로써, 입력측 하우징 소자 (16) 와 출력측 하우징 소자 (17) 를 결합 고정시킴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입력측 하우징 소자 (16) 의 입력측 스피곳 끼워 맞춤면 (25) 과 입력측 베어링 끼워 맞춤면 (26) 이 서로 동축에 배치되고, 또한, 출력측 하우징 소자 (17) 의 출력측 스피곳 끼워 맞춤면 (30) 과 출력측 베어링 끼워 맞춤면 (33) 이 서로 동축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입력측 스피곳 끼워 맞춤면 (25) 과 출력측 스피곳 끼워 맞춤면 (30) 을 덜컹거림 없이 끼워 맞춤시킨, 하우징 (4) 의 조립 상태에서, 입력측 베어링 끼워 맞춤면 (26) 과 출력측 베어링 끼워 맞춤면 (33) 은, 서로 동축에 배치된다.
본 예에서는, 출력측 하우징 소자 (17) 가, 각각의 장착공 (32) 을 삽입 통과한 지지 볼트를, 고정 부재 (62) 에 구비된 나사공 (66) 에 나사 결합하고 나아가 단단히 조임으로써, 고정 부재 (62) 에 대해 지지 고정된다. 이로써, 하우징 (4) 이 고정 부재 (62) 에 대해 지지 고정된다.
하우징 (4) 을 조립한 상태에서, 입력 부재 (2) 의 입력축부 (9) 는, 입력측 하우징 소자 (16) 의 입력측 베어링 끼워 맞춤면 (26) 에 대해, 본 예의 부가적인 구성 요소인 입력측 베어링 (34) 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 출력 부재 (3) 의 출력축부 (12) 는, 출력측 하우징 소자 (17) 의 출력측 베어링 끼워 맞춤면 (33) 에 대해, 본 예의 부가적인 구성 요소인 출력측 베어링 (35) 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로써, 입력 부재 (2) 와 출력 부재 (3) 가, 서로 동축에 배치되고, 또한, 하우징 (4) 의 피가압면 (24) 에 대해 동축에 배치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 1 쌍의 입력측 걸어 맞춤부 (6) 및 출력측 걸어 맞춤부 (13) 는, 하우징 (4) 의 피가압면 (24) 의 직경 방향 내측에 배치된다.
또한, 역입력 차단 클러치 (1) 에 관하여, 후술하는 로크 상태 또는 반로크 상태를 비로크 상태로 전환하는 성능 (로크 해제 성능) 등을 높은 레벨로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입력 부재 (2) 와 출력 부재 (3) 의 동축 및 기울기를 엄밀하게 관리할 필요가 있다. 그 경우에는, 입력측 베어링 (34) 과 출력측 베어링 (35) 의 각각을, 도시와 같은 단열의 구름 베어링으로부터 복렬의 구름 베어링으로 변경하는 등의, 일반적인 베어링 이용 방법을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 피가압면에 대한 입력 부재의 동축성이 확보되어 있으면, 입력측 베어링을 생략할 수 있다. 또, 피가압면에 대한 출력 부재의 동축성이 확보되어 있으면, 출력측 베어링을 생략할 수 있다.
1 쌍의 걸어 맞춤자 (5) 의 각각의 걸어 맞춤자 (5) 는, 피가압면 (24) 에 대향하는 가압면 (39), 입력측 걸어 맞춤부 (6) 와 걸어 맞춤 가능한 입력측 피걸어 맞춤부 (47), 및, 출력측 걸어 맞춤부 (13) 와 걸어 맞춤 가능한 출력측 피걸어 맞춤부 (40) 를 갖고, 피가압면 (24) 의 직경 방향 내측에, 피가압면 (24) 에 대한 원근 방향인 제 1 방향 (역입력 차단 클러치 (1) 의 중심축과 그 걸어 맞춤자 (5) 의 직경 방향 외측면의 둘레 방향 중앙부를 연결하는 방향, 즉, 도 4 에 화살표 α 로 나타낸 상하 방향) 의 이동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걸어 맞춤자 (5) 는, 가압면 (39) 및 출력측 피걸어 맞춤부 (40) 를 갖는 본체 플레이트 (36) 를 1 장만 구비한다. 1 쌍의 걸어 맞춤자 (5) 는, 출력측 걸어 맞춤부 (13) 를 직경 방향 양측으로부터 사이에 두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걸어 맞춤자 (5) 의 수를 2 개로 하여, 어느 걸어 맞춤자 (5) 도 피가압면 (24) 에 대해 제 1 방향의 이동을 가능하게 배치하고 있다. 단,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 걸어 맞춤자 (5) 의 가압면 (39) 을 피가압면 (24) 에 대해 제 1 방향의 이동이 가능하게 배치되는 한, 걸어 맞춤자의 수를 1 개로 하거나, 혹은, 3 개 이상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1 쌍의 걸어 맞춤자 (5) 를 구성하는 각각의 걸어 맞춤자 (5) 와, 피가압면 (24), 입력측 걸어 맞춤부 (6), 그리고, 출력측 걸어 맞춤부 (13) 의 관계 및 그 작용은 공통이기 때문에, 이하, 설명의 간명화의 관점에서, 걸어 맞춤자 (5) 끼리의 배치에 대한 설명을 제외하고, 일방의 걸어 맞춤자 (5) 측에 대해서만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본 예에서는, 걸어 맞춤자 (5) 는, 본체 플레이트 (36) 와, 1 쌍의 링크 부재 (37) 와, 요동 지지축 (38) 을 구비한다.
본 예에서는, 본체 플레이트 (36) 는, 대략 반원형 판 형상을 갖는다. 본 예에서는, 본체 플레이트 (36) 의 두께 치수는, 출력측 걸어 맞춤부 (13) 의 축 방향 치수보다 작다. 본체 플레이트 (36) 는, 피가압면 (24) 에 대향하는 1 쌍의 가압면 (39) 과, 출력측 피걸어 맞춤부 (40) 와, 요동 지지부 (41) 를 구비한다.
본 예에서는, 본체 플레이트 (36) 의 외주면은, 본체 플레이트 (36) 의 호에 상당하는 볼록 원호상의 직경 방향 외측면과, 본체 플레이트 (36) 의 현에 상당하는 크랭크상의 직경 방향 내측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 플레이트 (36) 에 관하여 직경 방향이란, 본체 플레이트 (36) 의 현에 직교하는, 도 4 ∼ 도 6 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으로서, 피가압면 (24) 에 대한 본체 플레이트 (36) 의 원근 방향을 말한다. 또, 본체 플레이트 (36) 에 관하여 폭 방향이란, 본체 플레이트 (36) 의 현에 대해 평행한, 도 5 에 화살표 β 로 나타내는 좌우 방향으로서, 본체 플레이트 (36) 에 관한 직경 방향과 피가압면 (24) 의 축 방향 중 어느 것에도 직교하는 방향을 말한다. 본 예에서는, 본체 플레이트 (36) 에 관한 직경 방향이, 걸어 맞춤자 (5) 의 피가압면 (24) 에 대한 원근 방향인 제 1 방향에 상당한다. 본 예에서는, 본체 플레이트 (36) 의 폭 방향이, 제 1 방향과 피가압면 (24) 의 축 방향 중 어느 것에도 직교하는 제 2 방향에 상당한다.
1 쌍의 걸어 맞춤자 (5) 는, 각각의 본체 플레이트 (36) 의 직경 방향 외측면을 반대측을 향하게 하고, 또한, 각각의 본체 플레이트 (36) 의 직경 방향 내측면을 대향시킨 상태에서, 피가압면 (24) 의 직경 방향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피가압면 (24) 과 본체 플레이트 (36) 의 직경 방향 외측면의 사이 부분, 및, 각각의 본체 플레이트 (36) 의 직경 방향 내측면의 사이 부분 중 적어도 일방에, 본체 플레이트 (36) 가 직경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간극이 존재하도록, 피가압면 (24) 의 내경 치수 및 본체 플레이트 (36) 의 직경 방향 치수가 규제되어 있다.
1 쌍의 가압면 (39) 은, 본체 플레이트 (36) 의 직경 방향 외측면의 둘레 방향으로 이격된 2 개 지점 위치에 구비되어 있다. 1 쌍의 가압면 (39) 은, 출력 부재 (3) 의 로크 또는 반로크 상태에서, 피가압면 (24) 에 대해 가압되는 부분이다. 가압면 (39) 은, 본체 플레이트 (36) 의 직경 방향 외측면 중, 둘레 방향에 관하여 그 가압면 (39) 으로부터 벗어난 부분보다, 피가압면 (24) 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가압면 (39) 은, 피가압면 (24) 의 곡률 반경보다 작은 곡률 반경을 갖는 부분 원통상의 볼록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본체 플레이트 (36) 의 직경 방향 외측면 중, 둘레 방향에 관하여 1 쌍의 가압면 (39)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은, 피가압면 (24) 에 대해 접촉하지 않는 비접촉면이다.
출력측 피걸어 맞춤부 (40) 는, 본체 플레이트 (36) 중에서, 피가압면 (24) 에 대해 먼 측의 측면에 구비된 오목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출력측 피걸어 맞춤부 (40) 는, 본체 플레이트 (36) 의 직경 방향 내측면의 폭 방향 중앙부에 있어서 직경 방향 외방을 향하여 패인 대략 직사각형상의 오목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1 쌍의 걸어 맞춤자 (5) 는, 도 4 ∼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의 출력측 피걸어 맞춤부 (40) 에 의해, 출력측 걸어 맞춤부 (13) 를 직경 방향 외측으로부터 사이에 두도록 배치되어 있다.
출력측 피걸어 맞춤부 (40) 는, 도 4 ∼ 도 6, 도 16(A), 및 도 16(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내측에 출력측 걸어 맞춤부 (13) 의 단축 방향의 선반부를 배치할 수 있는 크기를 갖는다. 여기서, 출력측 걸어 맞춤부 (13) 의 단축 방향의 선반부란, 예를 들어 도 4 에 있어서, 출력측 걸어 맞춤부 (13) 중, 상측에 배치된 걸어 맞춤자 (5) 에 대한 상측의 반부, 및, 출력측 걸어 맞춤부 (13) 중, 하측에 배치된 걸어 맞춤자 (5) 에 대한 하측의 반부이다. 특히, 본 예에서는, 출력측 피걸어 맞춤부 (40) 는, 도 5 및 도 16(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출력측 걸어 맞춤부 (13) 의 단축 방향의 선반부의 외주면에 합치하는 내면 형상을 갖는다.
출력측 피걸어 맞춤부 (40) 의 내면은, 바닥면 (42) 과, 바닥면 (42) 의 양측에 배치된 피가이드면 (43) 을 갖는다. 바닥면 (42) 은, 본체 플레이트 (36) 의 직경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평탄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피가이드면 (43) 은, 출력측 피걸어 맞춤부 (40) 의 내면 중, 본체 플레이트 (36) 의 폭 방향에 관하여 양측의 단부에 위치하고, 또한, 그 폭 방향에 관하여 서로 대향하고 있다. 각각의 피가이드면 (43) 은, 본체 플레이트 (36) 의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할수록, 즉, 본체 플레이트 (36) 의 직경 방향에 관하여 피가압면 (24) 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할수록, 2 개의 피가이드면 (43) 끼리의 간격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오목 곡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피가이드면 (43) 은, 출력측 걸어 맞춤부 (13) 의 가이드면 (15) 에 접촉 가능하고, 가이드면 (15) 과 동일한 크기의 곡률 반경 또는 가이드면 (15) 보다 약간 큰 곡률 반경을 갖는, 부분 원통상의 오목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요컨대, 본 예에서는, 출력측 피걸어 맞춤부 (40) 는, 도 5 및 도 16(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출력측 걸어 맞춤부 (13) 의 단축 방향의 선반부의 외주면에 합치하는 내면 형상을 갖는다. 즉, 출력측 피걸어 맞춤부 (40) 의 바닥면 (42) 을, 출력측 걸어 맞춤부 (13) 의 측면 (14) 에 면 접촉시키고, 또한, 출력측 피걸어 맞춤부 (40) 의 피가이드면 (43) 을, 출력측 걸어 맞춤부 (13) 의 가이드면 (15) 에 면 접촉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피가이드면을, 부분 타원통상의 오목면 등의 비원통상의 오목면으로 할 수도 있다.
요동 지지부 (41) 는, 본체 플레이트 (36) 의 폭 방향 중앙부의 직경 방향 외측부에 구비되어 있다. 요동 지지부 (41) 는, 요동 지지축 (38) 을 통하여 링크 부재 (37) 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부분이다. 본 예에서는, 요동 지지부 (41) 는, 본체 플레이트 (36) 의 폭 방향 중앙부의 직경 방향 외측부를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플레이트측 통공에 상당하는 원공 (圓孔) 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본체 플레이트 (36) 는, 폭 방향 중앙부의 직경 방향 내측부에, 삽입 통과공 (44) 을 추가로 구비한다. 삽입 통과공 (44) 은, 본체 플레이트 (36) 의 폭 방향 중앙부의 직경 방향 내측부를 축 방향으로 관통하고, 또한, 원주 방향으로 신장되는 원호형의 장공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삽입 통과공 (44) 에는, 입력측 걸어 맞춤부 (6) 가 삽입되어 있다. 삽입 통과공 (44) 은, 입력측 걸어 맞춤부 (6) 를 헐겁게 삽입할 수 있는 크기를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삽입 통과공 (44) 의 내측에 입력측 걸어 맞춤부 (6) 를 삽입했을 때에, 입력측 걸어 맞춤부 (6) 와 삽입 통과공 (44) 의 내면 사이에, 둘레 방향에 관한 간극 및 본체 플레이트 (36) 의 직경 방향에 관한 간극이 존재한다. 이 때문에, 입력측 걸어 맞춤부 (6) 는, 상기 둘레 방향에 관한 간극의 존재에 기초하여, 삽입 통과공 (44) (본체 플레이트 (36)) 에 대해, 입력 부재 (2) 의 회전 방향에 관한 변위가 가능하고, 삽입 통과공 (44) (본체 플레이트 (36)) 은, 상기 본체 플레이트 (36) 의 직경 방향에 관한 간극의 존재에 기초하여, 입력측 걸어 맞춤부 (6) 에 대해, 본체 플레이트 (36) 의 직경 방향에 관한 변위가 가능하다. 바꾸어 말하면, 후술하는 역입력 차단 클러치 (1) 의 동작시에, 삽입 통과공 (44) 의 내주연과 입력측 걸어 맞춤부 (6) 가 간섭하여 그 동작이 저해되지 않도록, 삽입 통과공 (44) 의 크기가 규제되어 있다.
본체 플레이트 (36) 는, 특히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경 방향 내측면의 폭 방향 중간부에 있어서, 출력측 피걸어 맞춤부 (40) 를 폭 방향 양측으로부터 사이에 두는 위치에,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하여 돌출된 제 1 볼록부 (45) 를 갖는다. 본체 플레이트 (36) 는, 직경 방향 내측면의 폭 방향 양측부에서 제 1 볼록부 (45) 보다 폭 방향 외측에 있는 위치에,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하여 돌출된 제 2 볼록부 (46) 를 갖는다.
1 쌍의 링크 부재 (37) 는, 본체 플레이트 (36) 를 축 방향 양측으로부터 사이에 두도록 배치되고, 또한, 각각의 링크 부재 (37) 가 본체 플레이트 (36) 의 축 방향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단,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 링크 부재는, 본체 플레이트 (36) 에 대해 축 방향 중 어느 일방의 측에만 인접하여 1 개만 배치할 수도 있다.
각각의 링크 부재 (37) 는, 강판 등의 금속판에 프레스 가공에 의한 타발 가공을 실시하여 만들어진 프레스 성형품으로서, 대략 장원판 형상을 갖는다. 링크 부재 (37) 는, 그 길이 방향에 관한 일방측 부분인 본체 플레이트 (36) 의 직경 방향에 관한 내측 부분에 입력측 피걸어 맞춤부 (47) 를 갖고, 또한, 그 길이 방향에 관한 타방측 부분인 본체 플레이트 (36) 의 직경 방향에 관한 외측 부분에 요동 피지지부 (48) 를 갖는다. 특히, 본 예의 구조에서는, 링크 부재 (37) 는, 그 길이 방향으로 신장되는 장공 (49) 을 갖는다. 입력측 피걸어 맞춤부 (47) 는, 장공 (49) 의 길이 방향에 관한 일방측의 단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요동 피지지부 (48) 는, 장공 (49) 의 길이 방향에 관한 타방측의 단부인 링크측 통공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단,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입력측 피걸어 맞춤부를, 링크 부재를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원공에 의해 구성하고, 또한, 요동 피지지부를, 링크 부재를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원공인 링크측 통공에 의해 구성할 수도 있다.
입력측 피걸어 맞춤부 (47) 에는, 입력측 걸어 맞춤부 (6) 가 삽입 통과되어 있다. 이로써, 링크 부재 (37) 의 길이 방향에 관한 일방측 부분이, 입력측 걸어 맞춤부 (6) 에 대해 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요동 지지축 (38) 은, 원기둥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본체 플레이트 (36) 의 요동 지지부 (41) 와, 각각의 링크 부재 (37) 의 요동 피지지부 (48) 에 삽입 통과되어 있다. 이로써, 링크 부재 (37) 의 길이 방향에 관한 타방측 부분이, 요동 지지축 (38) 을 통하여, 본체 플레이트 (36) 의 요동 지지부 (41) 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요동 지지축 (38) 은, 축 방향 중간부를, 본체 플레이트 (36) 의 요동 지지부 (41) 에 간극 끼움으로, 즉 상대 회전 가능하게 내측에서 끼우고, 또한, 축 방향 양측부를, 링크 부재 (37) 의 요동 피지지부 (48) 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내측에서 끼우고 있다. 요동 지지축 (38) 의 축 방향 중간부는, 본체 플레이트 (36) 의 요동 지지부 (41) 에 압입에 의해, 즉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내측에서 끼울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본체 플레이트의 요동 지지부를 원기둥상 돌기에 의해 구성하고, 또한, 링크 부재의 요동 피지지부를, 그 원기둥상 돌기가 상대 회전 가능하게 내측에서 끼워지는 구멍에 의해 구성할 수도 있다. 혹은, 링크 부재의 요동 피지지부를 원기둥상 돌기에 의해 구성하고, 또한, 본체 플레이트의 요동 지지부를, 그 원기둥상 돌기가 상대 회전 가능하게 내측에서 끼워지는 구멍에 의해 구성할 수도 있다.
본 예에서는, 도 4 및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어 맞춤자 (5) 의 1 쌍의 가압면 (39) 이 피가압면 (24) 에 접촉하고, 또한, 입력측 걸어 맞춤부 (6) 가 본체 플레이트 (36) 의 폭 방향 중앙부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동 지지축 (38) 과 입력측 걸어 맞춤부 (6) 의 서로 먼 측의 단 가장자리 사이의 간격 (Wa) 이, 요동 피지지부 (48) 와 입력측 피걸어 맞춤부 (47) 의 서로 먼 측의 단 가장자리 사이의 간격 (Wb) 이하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Wa ≤ Wb). 또한, 이들 간격 (Wa 와 Wb) 의 차 (Wb - Wa) 는, 역입력 차단 클러치 (1) 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관점에서는, 최대한 큰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한편으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입력 부재 (2) 에 회전 토크가 입력됐을 때에, 즉시 걸어 맞춤자 (5) 를 직경 방향 내측으로 이동시켜 비로크 상태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하는 관점에서는, 최대한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예의 역입력 차단 클러치 (1) 는, 탄성 부재로서의 1 쌍의 탄성 부재 (50) 를 구비한다. 1 쌍의 탄성 부재 (50) 의 각각의 탄성 부재 (50) 는 입력 부재 (2) 및 출력 부재 (3) 중 어느 것에도 회전 토크가 가해져 있지 않은 중립 상태 (도 4 에 나타내는 상태) 를 포함하는, 모든 사용 상태 (운전 상태) 에 있어서, 출력측 걸어 맞춤부 (13) 와 걸어 맞춤자 (5)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협지됨으로써, 출력측 걸어 맞춤부 (13) 를 상기 제 1 방향에 관하여 피가압면 (24) 으로부터 먼 측, 즉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하여 가압하고, 또한, 걸어 맞춤자 (5) 를 상기 제 1 방향에 관하여 피가압면 (24) 에 가까운 측, 즉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가압한다.
즉, 중립 상태를 포함하는 모든 사용 상태에서, 탄성 부재 (50) 는, 걸어 맞춤자 (5) 와 출력측 걸어 맞춤부 (13) 사이에서 협지됨으로써, 일부 (본 예에서는, 본체 플레이트 (36) 의 폭 방향에 관한 양측부) 가 걸어 맞춤자 (5) 에 의해 직경 방향 내측으로 가압되고, 다른 일부 (본 예에서는, 본체 플레이트 (36) 의 폭 방향에 관한 중간부) 가 출력측 걸어 맞춤부 (13) 에 의해 직경 방향 외측으로 가압되고, 그 반력으로, 걸어 맞춤자 (5) 를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가압하고, 출력측 걸어 맞춤부 (13) 를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하여 가압한다.
탄성 부재 (50) 는, 중립 상태를 포함하는 모든 사용 상태에 있어서, 걸어 맞춤자 (5) 를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가압함으로써, 걸어 맞춤자 (5) 의 가압면 (39) 을 피가압면 (24) 에 가압한다. 특히 중립 상태에 있어서, 걸어 맞춤자 (5) 의 가압면 (39) 을 피가압면 (24) 에 가압해 두는 이유는, 출력 부재 (3) 에 회전 토크가 역입력됐을 때에, 즉시 로크 상태가 실현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탄성 부재 (50) 는, 제 1 방향에 상당하는 본체 플레이트 (36) 의 직경 방향에 관하여 출력측 걸어 맞춤부 (13) 와 중첩되는 위치에 있어서, 피가압면 (24) 의 축 방향에 관하여 본체 플레이트 (36) 의 출력측 피걸어 맞춤부 (40) 에 대해 축 방향 양측으로 벗어난 위치에 배치된 탄성 가압부 (59) 를 구비하고, 및, 그 탄성 가압부 (59) 를 출력측 걸어 맞춤부 (13) 에 탄성적으로 가압하고 있다.
탄성 부재 (50) 는, 출력 부재 (3) 및 걸어 맞춤자 (5) 중 어느 것에도 고정되지 않고, 출력측 걸어 맞춤부 (13) 와 걸어 맞춤자 (5)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협지되어 있다. 단,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탄성 부재를, 걸어 맞춤자에게 고정시킬 수도 있고, 출력 부재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탄성 부재를, 걸어 맞춤자 또는 출력 부재에 고정시키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나사 고정, 코킹, 접착 등의 각종 고정 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
본 예에서는, 탄성 부재 (50) 는, 도 4, 도 10, 및 도 13(A) ∼ 도 13(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 스프링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탄성 부재 (50) 는, 제 2 방향에 상당하는 본체 플레이트 (36) 의 폭 방향으로 신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탄성 부재 (50) 는, 크랭크 형상을 갖는다. 본 예에서는, 탄성 부재 (50) 의 판폭 방향 (도 13(A) 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 치수 (W50) 는, 본체 플레이트 (36) 의 두께 치수보다 크고, 또한, 출력측 걸어 맞춤부 (13) 의 축 방향 치수보다 작다.
본 예에서는, 탄성 부재 (50) 는, 지지판부 (51) 와, 가압판부 (52) 와, 연결판부 (53) 를 구비한다. 지지판부 (51) 는, 장판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탄성 부재 (50) 의 신장 방향 양측부에 배치되어 있다. 가압판부 (52) 는, 장판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각의 지지판부 (51) 와 대략 평행이고, 또한, 탄성 부재 (50) 의 신장 방향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다. 연결판부 (53) 는, 탄성 부재 (50) 의 길이 방향에 관하여 이웃하는 지지판부 (51) 의 단부와 가압판부 (52) 의 단부를 연결하고 있다. 각각의 연결판부 (53) 는, 서로 비평행으로 배치되어 있고, 지지판부 (51) 및 가압판부 (52) 의 판 두께 방향에 관하여 가압판부 (52) 로부터 멀어질수록, 탄성 부재 (50) 의 신장 방향에 관하여 가압판부 (52) 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 탄성 부재의 형상은, 걸어 맞춤자와 출력측 걸어 맞춤부의 배치 관계, 걸어 맞춤자의 바닥면의 구조에 따라, 각종 형상을 채용할 수 있다. 즉, 탄성 부재는, 중립 상태를 포함하는 모든 사용 상태에 있어서, 출력측 걸어 맞춤부와 걸어 맞춤자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협지됨으로써, 출력측 걸어 맞춤부를 제 1 방향에 관하여 피가압면으로부터 먼 측을 향하여 가압하고, 또한, 걸어 맞춤자를 제 1 방향에 관하여 피가압면에 가까운 측을 향하여 가압할 수 있는 한, 각종 형상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경우, 탄성 부재로부터 출력측 걸어 맞춤부에 가해지는 가압력은, 전체적으로 제 1 방향에 관하여 피가압면으로부터 먼 측을 향하고 있으면 되고, 탄성 부재로부터 걸어 맞춤자에 가해지는 가압력은, 전체적으로 제 1 방향에 관하여 피가압면에 가까운 측을 향하고 있으면 된다. 즉, 이와 같은 조건만 만족하고 있으면, 탄성 부재로부터 출력측 걸어 맞춤부의 각각의 부분에 가해지는 가압력, 및, 탄성 부재로부터 걸어 맞춤자의 각각의 부분에 가해지는 가압력은, 제 1 방향을 향하고 있을 필요는 없다.
탄성 부재 (50) 는, 출력측 피걸어 맞춤부 (40) 와 정합하는 지점에 상당하는, 본체 플레이트 (36) 의 폭 방향 (도 13(A) 및 도 13(B) 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 에 관한 중간부에, 그 폭 방향으로 신장되고, 또한, 제 1 방향에 상당하는 본체 플레이트 (36) 의 직경 방향 (도 13(A) 에 있어서의 지면의 표리 방향, 도 13(B) 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 으로 관통하는 제 1 투공 (透孔) (54) 을 갖는다. 본 예에서는, 탄성 가압부 (59) 는, 피가압면 (24) 의 축 방향 (도 13(A) 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 도 13(B) 에 있어서의 지면의 표리 방향) 에 관하여 제 1 투공 (54) 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탄성 부재 (50) 는, 제 2 방향에 상당하는 본체 플레이트 (36) 의 폭 방향에 관하여 제 1 투공 (54) 으로부터 벗어난 지점에 상당하는, 그 폭 방향에 관하여 제 1 투공 (54) 을 양측으로부터 사이에 둔 부분에, 본체 플레이트 (36) 의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 2 투공 (55) 을 갖는다.
본 예에서는, 제 1 투공 (54) 은, 본체 플레이트 (36) 의 직경 방향에서 봤을 때에 있어서, 도 13(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플레이트 (36) 의 폭 방향으로 신장되는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이와 같은 제 1 투공 (54) 은, 가압판부 (52) 와, 각각의 연결판부 (53) 와, 각각의 지지판부 (51) 의 가압판부 (52) 에 가까운 측의 단부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제 1 투공 (54) 은, 출력측 피걸어 맞춤부 (40) 와 정합하는 지점에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출력측 걸어 맞춤부 (13) 와 출력측 피걸어 맞춤부 (40) 가 직접 걸어 맞춰지는 것을 저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부위이다. 각각의 제 2 투공 (55) 은, 본체 플레이트 (36) 의 직경 방향에서 봤을 때에 있어서, 도 13(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이와 같은 제 2 투공 (55) 은, 본체 플레이트 (36) 의 폭 방향에 관하여, 지지판부 (51) 의 중간부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탄성 부재 (50) 는, 도 4 및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플레이트 (36) 의 직경 방향 내측부에 장착된다. 이 상태에서, 탄성 부재 (50) 의 제 1 투공 (54) 에, 본체 플레이트 (36) 의 제 1 볼록부 (45) 가 덜컹거림 없이 삽입 통과되고, 탄성 부재 (50) 의 제 2 투공 (55) 에, 본체 플레이트 (36) 의 제 2 볼록부 (46) 가 덜컹거림 없이 삽입 통과되고, 탄성 부재 (50) 의 지지판부 (51) 의 판폭 방향 중간부의 직경 방향 외측면이, 본체 플레이트 (36) 의 직경 방향 내측면 중에서, 본체 플레이트 (36) 의 폭 방향에 관하여 제 2 볼록부 (46) 의 양측에 인접하는 부분에 맞닿고, 및, 탄성 부재 (50) 의 판폭 방향 양측부가, 본체 플레이트 (36) 의 축 방향 양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탄성 부재 (50) 는, 걸어 맞춤자 (5) 와의 걸어 맞춤, 즉, 제 1 투공 (54) 과 제 1 볼록부 (45) 의 걸어 맞춤, 및, 제 2 투공 (55) 과 제 2 볼록부 (46) 의 걸어 맞춤에 기초하여, 제 1 방향에 상당하는 직경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관한 변위, 즉, 피가압면 (24) 의 축 방향에 관한 변위, 및, 제 2 방향에 상당하는 본체 플레이트 (36) 의 폭 방향에 관한 변위가 규제되어 있다. 또, 탄성 부재 (50) 는, 지지판부 (51) 의 직경 방향 외측면이, 본체 플레이트 (36) 의 직경 방향 내측면 중에서, 본체 플레이트 (36) 의 폭 방향에 관하여 제 2 볼록부 (46) 의 양측에 인접하는 부분에 맞닿아 있는 것에 기초하여, 직경 방향 외측으로의 변위가 규제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제 1 투공 (54) 과 제 1 볼록부 (45) 의 걸어 맞춤, 및, 제 2 투공 (55) 과 제 2 볼록부 (46) 의 걸어 맞춤 중, 어느 일방의 걸어 맞춤에만 기초하여, 제 1 방향에 상당하는 직경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관한 탄성 부재 (50) 의 변위를 규제할 수도 있다.
탄성 부재 (50) 를 구성하는 가압판부 (52) 는, 피가압면 (24) 의 축 방향에서 봤을 때에 있어서, 출력측 피걸어 맞춤부 (40) 를 걸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가압판부 (52) 의 길이 방향 중간부는, 제 2 방향에 상당하는 본체 플레이트 (36) 의 폭 방향에 관하여, 출력측 피걸어 맞춤부 (40) 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가압판부 (52) 의 판폭 방향 양측부, 즉, 가압판부 (52) 중에서 판폭 방향에 관하여 제 1 투공 (54) 을 사이에 둔 양측부가, 1 쌍의 탄성 가압부 (59) 에 상당한다. 1 쌍의 탄성 가압부 (59) 는, 본체 플레이트 (36) 에 대해 축 방향 양측으로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탄성 부재 (50) 의 자유 상태에서, 1 쌍의 탄성 가압부 (59) 는, 출력측 피걸어 맞춤부 (40) 의 바닥면 (42) 보다 직경 방향 내측에 위치하고, 바닥면 (42) 과 대략 평행으로 배치된다.
특히,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 부재 (50) 를, 출력측 걸어 맞춤부 (13) 와 걸어 맞춤자 (5) 사이에 배치하고, 또한, 입력 부재 (2) 및 출력 부재 (3) 의 각각에 회전 토크가 가해져 있지 않은 중립 상태에 있어서, 탄성 가압부 (59) 는, 출력측 걸어 맞춤부 (13) 의 측면 (14) 에 대해 면 접촉하여, 직경 방향 외측으로 약간 휨 변형된다. 이 때문에, 탄성 부재 (50) 는, 출력측 걸어 맞춤부 (13) 와 걸어 맞춤자 (5)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협지되어 있다. 이로써, 지지판부 (51) 는, 본체 플레이트 (36) 의 직경 방향 내측면을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탄성적으로 가압하고, 또한, 탄성 가압부 (59) 는, 출력측 걸어 맞춤부 (13) 의 측면 (14) 을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하여 탄성적으로 가압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입력 부재 (2) 에 회전 토크가 입력된 경우 (도 5 참조), 및, 출력 부재 (3) 에 회전 토크가 역입력된 경우 (도 6 참조) 에는, 탄성 부재 (50) 가, 탄성 가압부 (59) 를 직경 방향 외측으로 만곡시키도록 탄성 변형되어, 출력측 걸어 맞춤부 (13) 와 출력측 피걸어 맞춤부 (40) 가 직접 걸어 맞춰지는 것을 허용한다.
본 예의 역입력 차단 클러치 (1) 는, 입력 부재 (2) 의 1 쌍의 입력측 걸어 맞춤부 (6) 를 구성하는 입력측 걸어 맞춤부 (6) 의 각각의 선단부, 즉, 1 쌍의 입력측 걸어 맞춤 핀 (8) 을 구성하는 입력측 걸어 맞춤 핀 (8) 의 각각의 축 방향 타방측의 단부 사이에 놓인 보강 부재 (56) 를 구비한다.
보강 부재 (56) 는, 도 8, 도 9, 및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체가 대략 직사각형 판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보강 부재 (56) 는, 중앙부에, 대략 장원형의 개구 형상을 갖는 삽입 통과공 (57) 을 구비하고, 또한, 삽입 통과공 (57) 을, 그 삽입 통과공 (57) 의 단경 방향에 관하여 양측으로부터 사이에 두는 부분에, 지지공 (58) 을 구비한다.
삽입 통과공 (57) 에는, 출력측 걸어 맞춤부 (13) 가 삽입되어 있다. 삽입 통과공 (57) 은, 출력측 걸어 맞춤부 (13) 를 헐겁게 삽입할 수 있는 크기를 갖는다. 이 때문에, 출력측 걸어 맞춤부 (13) 는, 삽입 통과공 (57) 의 내측에서, 삽입 통과공 (57) (보강 부재 (56)) 에 대해 상대 회전할 수 있다.
지지공 (58) 은, 입력측 걸어 맞춤부 (6) 의 선단부의 외경 치수보다 약간 작은 내경 치수를 갖는다. 1 쌍의 입력측 걸어 맞춤부 (6) 를 구성하는 입력측 걸어 맞춤부 (6) 의 각각의 선단부를, 보강 부재 (56) 의 지지공 (58) 에 압입함으로써, 1 쌍의 입력측 걸어 맞춤부 (6) 를 구성하는 입력측 걸어 맞춤부 (6) 의 각각의 선단부 사이에 보강 부재 (56) 를 놓고 있다.
본 예의 구조에서는, 축 방향에 관하여, 입력 부재 (2) 의 일부인 입력 아암부 (10) 와 보강 부재 (56) 사이에, 1 쌍의 걸어 맞춤자 (5) 및 1 쌍의 탄성 부재 (50) 를 배치하고 있다. 이로써, 입력 부재 (2) 의 입력 아암부 (10) 와 보강 부재 (56) 사이에서, 1 쌍의 걸어 맞춤자 (5) 및 1 쌍의 탄성 부재 (50) 의 축 방향 위치를 규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 상태에서, 입력 아암부 (10) 의 축 방향 타방측의 측면을, 요동 지지축 (38) 의 축 방향 일방측의 측면, 및, 축 방향 일방측의 링크 부재 (37) 의 축 방향 일방측면에, 슬라이딩 접촉 또는 근접 대향시키고 있다. 이로써, 요동 지지축 (38) 이, 본체 플레이트 (36) 의 요동 지지부 (41) 로부터 축 방향 일방측으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축 방향 일방측의 링크 부재 (37) 가, 요동 지지축 (38) 으로부터 축 방향 일방측으로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 보강 부재 (56) 의 축 방향 일방측의 측면을, 요동 지지축 (38) 의 축 방향 타방측의 측면, 및, 축 방향 타방측의 링크 부재 (37) 의 축 방향 타방측면에, 슬라이딩 접촉 또는 근접 대향시키고 있다. 이로써, 요동 지지축 (38) 이, 본체 플레이트 (36) 의 요동 지지부 (41) 로부터 축 방향 타방측으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축 방향 타방측의 링크 부재 (37) 가, 요동 지지축 (38) 으로부터 축 방향 타방측으로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단,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요동 지지축의 축 방향 단부에 걸린 스냅 링 등에 의해, 링크 부재가 요동 지지축으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본 예의 구조에서는, 입력 부재 (2) 의 입력 아암부 (10) 와 보강 부재 (56) 에 의해, 1 쌍의 걸어 맞춤자 (5) 및 1 쌍의 탄성 부재 (50) 를 축 방향 양측으로부터 강하게 협지하고 있지 않다. 이로써, 입력 부재 (2) 의 입력 아암부 (10) 와 보강 부재 (56) 가, 각각의 걸어 맞춤자 (5) 및 각각의 탄성 부재 (50) 의 직경 방향의 움직임, 및, 링크 부재 (37) 의 요동을 저해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1 쌍의 걸어 맞춤자 (5) 및 1 쌍의 탄성 부재 (50) 의 축 방향 위치를 규제할 수 있고, 또한, 각각의 걸어 맞춤자 (5) 및 각각의 탄성 부재 (50) 의 직경 방향의 움직임, 및, 링크 부재 (37) 의 요동을 저해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면, 입력측 걸어 맞춤 핀의 축 방향 양단부를, 입력 아암부 및 보강 부재의 각각에 구비된 지지공에 대해, 죔새를 갖게 하지 않고 내측에서 끼울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입력측 걸어 맞춤 핀의 단부에 걸린 스냅 링, 하우징의 내면 등에 의해, 입력측 걸어 맞춤 핀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탄성 부재 (50) 의 축 방향 위치의 규제를, 입력 부재 (2) 의 입력 아암부 (10) 및 보강 부재 (56) 에 의해서만 실시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탄성 부재의 축 방향 위치를 규제하기 위한, 탄성 부재와 걸어 맞춤자의 걸어 맞춤 구조를 생략할 수 있다.
본 예의 역입력 차단 클러치 (1) 의 동작에 대해, 다음에 설명한다.
입력 부재 (2) 에 입력측 기구로부터 회전 토크가 입력되면,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력측 걸어 맞춤부 (6) 가 입력 부재 (2) 의 회전 방향 (도 5 의 예에서는 시계 방향) 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링크 부재 (37) 가 요동 지지축 (38) 을 중심으로 요동하면서, 입력측 걸어 맞춤부 (6) 에 의해, 링크 부재 (37) 를 통하여 요동 지지축 (38) 이 인장됨으로써, 걸어 맞춤자 (5) (본체 플레이트 (36)) 가, 피가압면 (24) 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인 직경 방향 내측으로 각각 이동한다. 이로써, 걸어 맞춤자 (5) 의 가압면 (39) 이 피가압면 (24) 으로부터 멀어짐과 함께, 탄성 가압부 (59) 의 전체를 직경 방향 외측으로 변위시키도록, 탄성 부재 (50) 를 탄성 변형시킨다. 바꾸어 말하면, 각각의 지지판부 (51) 를 직경 방향 내측으로 변위시키도록, 탄성 부재 (50) 를 탄성 변형시킨다. 그리고, 걸어 맞춤자 (5) 의 1 쌍의 출력측 피걸어 맞춤부 (40) 가 출력 부재 (3) 의 출력측 걸어 맞춤부 (13) 를 직경 방향 양측으로부터 협지하여, 출력측 걸어 맞춤부 (13) 와 1 쌍의 출력측 피걸어 맞춤부 (40) 가, 덜컹거림 없이 걸어 맞춰진다. 이 결과, 입력 부재 (2) 에 입력된 회전 토크가, 1 쌍의 걸어 맞춤자 (5) 를 통하여, 출력 부재 (3) 에 전달되고, 출력 부재 (3) 로부터 출력된다.
특히, 본 예의 구조에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걸어 맞춤자 (5) 가 직경 방향 내측으로 이동할 때에, 도 4 로부터 도 5 에, 및, 도 16(A) 로부터 도 16(B) 에 경시적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출력측 걸어 맞춤부 (13) 의 단축 방향의 선반부의 장축 방향 양측에 위치하는 가이드면 (15) 에 의해, 출력측 피걸어 맞춤부 (40) 의 폭 방향 양측에 위치하는 피가이드면 (43) 이 안내됨으로써, 걸어 맞춤자 (5) 가 폭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된다. 그리고, 도 5 및 도 16(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출력측 피걸어 맞춤부 (40) 의 바닥면 (42) 이, 출력측 걸어 맞춤부 (13) 의 측면 (14) 에 면 접촉하고, 또한, 출력측 피걸어 맞춤부 (40) 의 피가이드면 (43) 이, 출력측 걸어 맞춤부 (13) 의 가이드면 (15) 에 면 접촉한다. 이 때문에, 본 예의 구조에서는, 로크 또는 반로크 상태의 해제 후에, 걸어 맞춤자 (5) 가 폭 방향으로 어긋나 움직여 피가압면 (24) 에 접촉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예의 구조에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걸어 맞춤자 (5) 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의 이동의 안내를, 출력측 걸어 맞춤부 (13) 를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안내를 실시하기 위해서만 사용되는 다른 부품을 장착하는 구조에 비해, 부품 점수를 적게 할 수 있다.
본 예의 구조에서는, 출력측 피걸어 맞춤부 (40) 의 피가이드면 (43) 이,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할수록 2 개의 피가이드면 (43) 끼리의 간격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오목 곡면에 의해 구성되고, 또한, 출력측 걸어 맞춤부 (13) 의 가이드면 (15) 이, 상기 오목 곡면에 합치하는 볼록 곡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16(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어 맞춤자 (5) 가 출력측 걸어 맞춤부 (13) 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멀어진 상태에서는, 피가이드면 (43) 과 가이드면 (15)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고, 또한, 그 간극의 크기 (폭 방향 치수) 는,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할수록 커지고 있다. 이 때문에, 본 예의 구조에서는, 걸어 맞춤자 (5) 가 출력측 걸어 맞춤부 (13) 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멀어진 상태에 있어서, 폭 방향이나 회전 방향에 관한 걸어 맞춤자 (5) 의 움직임을 적당히 허용할 수 있어, 걸어 맞춤자 (5) 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출력 부재 (3) 에 출력측 기구로부터 회전 토크가 역입력되면,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출력측 걸어 맞춤부 (13) 가, 1 쌍의 출력측 피걸어 맞춤부 (40) 사이에서, 출력 부재 (3) 의 회전 방향 (도 6 의 예에서는 시계 방향) 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출력측 걸어 맞춤부 (13) 의 측면 (14) 과 가이드면 (15) 의 접속부인 모서리부가, 탄성 가압부 (59) 의 일부를 직경 방향 외측으로 변위시키도록 각각의 탄성 부재 (50) 를 탄성 변형시켜, 출력측 피걸어 맞춤부 (40) 의 바닥면 (42) 을 직경 방향 외방을 향하여 직접 가압한다. 이로써, 각각의 걸어 맞춤자 (5) 를, 피가압면 (24) 에 가까워지는 방향 (직경 방향 외측) 으로 이동시켜, 각각의 걸어 맞춤자 (5) 의 가압면 (39) 을 피가압면 (24) 에 가압하고, 마찰 걸어 맞춤시킨다. 이 결과, 출력 부재 (3) 에 역입력된 회전 토크가, 다른 부재에 고정되어 회전하지 않는 하우징 (4) 에 전달됨으로써 완전히 차단되어 입력 부재 (2) 에 전달되지 않거나, 또는, 출력 부재 (3) 에 역입력된 회전 토크의 일부만이 입력 부재 (2) 에 전달되고 잔부가 차단된다.
출력 부재 (3) 에 역입력된 회전 토크를 완전히 차단하여 입력 부재 (2) 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려면, 가압면 (39) 이 피가압면 (24) 에 대해 슬라이딩, 즉 상대 회전하지 않도록, 걸어 맞춤자 (5) 를 출력측 걸어 맞춤부 (13) 와 피가압면 (24) 사이에서 강하게 협지하여, 출력 부재 (3) 를 로크한다. 이에 반해, 출력 부재 (3) 에 역입력된 회전 토크 중 일부만이 입력 부재 (2) 에 전달되고 잔부가 차단되도록 하려면, 가압면 (39) 이 피가압면 (24) 에 대해 슬라이딩하도록, 걸어 맞춤자 (5) 를 출력측 걸어 맞춤부 (13) 와 피가압면 (24) 사이에서 협지하여, 출력 부재 (3) 를 반로크한다. 출력 부재 (3) 가 반로크된 상태에서, 추가로 출력 부재 (3) 에 회전 토크가 역입력되면, 걸어 맞춤자 (5) 가, 출력측 걸어 맞춤부 (13) 와 출력측 피걸어 맞춤부 (40) 의 걸어 맞춤에 기초하여, 가압면 (39) 을 피가압면 (24) 에 대해 슬라이딩시키면서, 출력 부재 (3) 의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걸어 맞춤자 (5) 가 회전하면, 입력측 걸어 맞춤부 (6) 가 링크 부재 (37) 를 통하여 요동 지지축 (38) 에 인장되고, 입력 부재 (2) 에 회전 토크의 일부가 전달된다.
본 예에서는, 걸어 맞춤자 (5) 가, 본체 플레이트 (36) 의 직경 방향 외측면의 둘레 방향으로 이격된 2 개 지점에 가압면 (39) 을 갖고 있기 때문에, 출력 부재 (3) 에 회전 토크가 역입력됐을 때에, 쐐기 효과에 의해, 피가압면 (24) 과 가압면 (39) 의 마찰 걸어 맞춤력을 크게 할 수 있다. 단,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본체 플레이트의 직경 방향 외측면의 둘레 방향 1 개 지점에만 가압면을 갖는 구조를 채용할 수도 있다.
본 예의 역입력 차단 클러치 (1) 에서는, 피가압면 (24) 을 갖는 입력측 하우징 소자 (16) 와, 고정 부재 (62) 에 대해 고정되는 장착부 (64) 를 갖는 출력측 하우징 소자 (17) 를 별체로 구성하고 있다. 즉, 피가압면 (24) 을 갖는 입력측 하우징 소자 (16) 를, 고정 부재 (62) 에 대해 직접 볼트 고정에 의해 고정시키고 있지는 않다. 이 때문에, 출력측 하우징 소자 (17) 의 각각의 장착공 (32) 을 삽입 통과한 지지 볼트를, 고정 부재 (62) 의 각각의 나사공 (66) 에 나사 결합하고 나아가 단단히 조임으로써, 하우징 (4) 을 고정 부재 (62) 에 대해 지지 고정시키는 것에 수반하여, 입력측 하우징 소자 (16) 에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입력측 하우징 소자 (16) 의 입력측 대경 통부 (19) 의 내주면에 구비된 피가압면 (24) 의 진원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역입력 차단 클러치 (1) 를 비로크 상태로부터 로크 상태 또는 반로크 상태로 전환하는 로크 성능을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고, 및/또는, 역입력 차단 클러치 (1) 를 장착한 기계 장치의 제어성을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예에서는, 입력측 하우징 소자 (16) 의 입력측 대경 통부 (19) 의 외주면에 구비된 입력측 스피곳 끼워 맞춤면 (25) 과, 출력측 하우징 소자 (17) 의 통상부 (63) 의 내주면에 구비된 출력측 스피곳 끼워 맞춤면 (30) 을 덜컹거림 없이 끼워 맞춤시키고 있다. 따라서, 출력 부재 (3) 에 대한 회전 토크의 역입력에 수반하여, 각각의 걸어 맞춤자 (5) 의 가압면 (39) 에 의해 피가압면 (24) 이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가압된 경우에도, 그 피가압면 (24) 이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예의 역입력 차단 클러치 (1) 는, 도 1 에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력측 하우징 소자 (16) 의 입력측 소경 통부 (20) 의 외주면과 측판부 (21) 의 축 방향 일방측의 측면 사이에 놓인 보강 리브 (67) 를 구비할 수도 있다. 보강 리브 (67) 를 형성하면, 피가압면 (24) 의 변형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예의 역입력 차단 클러치 (1) 에 의하면, 중립 상태에 있어서도, 출력 부재 (3) 의 덜컹거림을 억제할 수 있다.
즉, 본 예에서는, 탄성 부재 (50) 를, 제 1 방향에 상당하는 본체 플레이트 (36) 의 직경 방향에 관하여, 출력측 걸어 맞춤부 (13) 와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하여, 출력측 걸어 맞춤부 (13) 와 걸어 맞춤자 (5)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협지하고 있다. 이 때문에, 역입력 차단 클러치 (1) 의 조립 작업성을 고려하여, 역입력 차단 클러치 (1) 를 조립한 상태에 있어서의 1 쌍의 바닥면 (42) 사이의 간격을, 출력측 걸어 맞춤부 (13) 의 단축 방향에 관한 두께 치수, 즉 1 쌍의 측면 (14) 사이의 간격보다 어느 정도 크게 한 경우에도, 출력측 걸어 맞춤부 (13) 와 출력측 피걸어 맞춤부 (40) 사이에 존재하는 간극에 관계없이, 출력측 걸어 맞춤부 (13) 가 가벼운 힘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출력 부재 (3) 의 덜컹거림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써, 출력 부재 (3) 를 볼 나사 장치의 나사축에 연결하고, 입력 부재 (2) 를 전동 모터에 접속시키거나 하여, 본 예의 역입력 차단 클러치 (1) 를, 너트에 고정시킨 스테이지의 위치 조정이나 타이어의 타각의 조정 등을 실시하는 용도에 사용한 경우에, 스테이지나 타이어로부터 너트를 통하여 출력 부재 (3) 에 회전 토크가 역입력되어도, 스테이지의 위치나 타이어의 타각이 조정 후의 위치로부터 세차게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즉, 어긋남의 진행을 완만하게 할 수 있음과 함께, 이음 (異音) 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예의 구조와는 상이하지만, 걸어 맞춤자가, 피가압면의 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2 장의 본체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탄성 부재를 2 장의 본체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함으로써, 본체 플레이트의 직경 방향 내측면에 구비된 출력측 피걸어 맞춤부와 탄성 부재의 간섭을 용이하게 회피할 수 있다. 즉, 출력 부재의 출력측 걸어 맞춤부와 본체 플레이트의 출력측 피걸어 맞춤부를, 탄성 부재를 개재하지 않고 직접 걸어 맞춤시키는 것이 용이해진다. 한편, 본 예의 구조와 같이, 걸어 맞춤자가, 1 장의 본체 플레이트만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 상기와 동일한 수법으로 출력측 피걸어 맞춤부와 탄성 부재의 간섭을 회피하고자 하면, 본체 플레이트의 직경 방향 내측면에, 탄성 부재를 설치하기 위한 홈을 준비할 필요가 있다. 그 결과, 본체 플레이트의 형상이 복잡해져, 본체 플레이트의 가공 난이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제조 비용이 커지는 것을 피할 수 없다.
이에 반해, 본 예의 구조에서는, 탄성 부재 (50) 가, 출력 부재 (3) 의 출력측 걸어 맞춤부 (13) 에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 가압부 (59) 를 구비하고 있고, 또한, 이 탄성 가압부 (59) 가, 본체 플레이트 (36) 의 출력측 피걸어 맞춤부 (40) 에 대해 축 방향 양측으로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체 플레이트 (36) 의 직경 방향 내측면에, 탄성 부재 (50) 를 설치하기 위한 홈을 준비하지 않아도, 본체 플레이트 (36) 의 직경 방향 내측면에 구비된 출력측 피걸어 맞춤부 (40) 와 탄성 부재 (50) 의 간섭을 용이하게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본체 플레이트 (36) 의 직경 방향 내측면에, 탄성 부재 (50) 를 설치하기 위한 홈을 준비하지 않아도 되는 만큼, 본체 플레이트 (36) 의 형상을 간소화하여, 본체 플레이트 (36) 의 가공 난이도를 낮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탄성 부재는, 출력측 걸어 맞춤부 (13) 와 출력측 피걸어 맞춤부 (40) 의 걸어 맞춤을 저해하지 않고, 출력측 걸어 맞춤부 (13) 를 직경 방향 내측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 가압부 (59) 를 구비하고 있는 한, 걸어 맞춤자가 본체 플레이트를 1 장만 구비하고 있는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걸어 맞춤자가 본체 플레이트를 2 장 이상 구비하고 있는 구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예에서는, 탄성 부재 (50) 를, 출력 부재 (3) (출력측 걸어 맞춤부 (13)) 와 걸어 맞춤자 (5) 중 어느 것에도 고정시키지 않고, 출력측 걸어 맞춤부 (13) 와 걸어 맞춤자 (5) 로 탄성적으로 협지하고 있다. 이 때문에, 탄성 부재 (50) 를 고정시키기 위한 작업을 생략할 수 있음과 함께, 고정시키는 데에 사용하는 부품을 삭감할 수 있다. 따라서, 역입력 차단 클러치 (1) 의 제조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탄성 부재 (50) 의 설치 스페이스를 작게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역입력 차단 클러치 (1) 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탄성 부재 (50) 를, 걸어 맞춤자 (5) (본체 플레이트 (36)) 에 대해 걸어 맞춤시킴으로써, 탄성 부재 (50) 가, 축 방향, 폭 방향, 및 직경 방향으로 각각 변위되는 것을 규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탄성 부재 (50) 를, 출력 부재 (3) 및 걸어 맞춤자 (5) 중 어느 것에도 고정시키지 않아도, 탄성 부재 (50) 의 설치 위치가 어긋나거나, 탄성 부재 (50) 가 출력측 걸어 맞춤부 (13) 와 걸어 맞춤자 (5) 사이로부터 탈락하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탄성 부재 (50) 에 의해, 걸어 맞춤자 (5) 및 출력측 걸어 맞춤부 (13) 에 대해, 원하는 크기 및 방향의 탄력을 부여할 수 있다.
탄성 부재 (50) 는, 중립 상태에 있어서, 걸어 맞춤자 (5) 의 가압면 (39) 을 피가압면 (24) 에 가압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중립 상태에서, 걸어 맞춤자 (5) 의 가압면 (39) 을 피가압면 (24) 에 가압해 두기 위한 전용의 부품 (스프링 등의 탄성 지지 부재) 을 형성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부품 점수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고, 또한, 역입력 차단 클러치 (1) 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예의 역입력 차단 클러치 (1) 에 의하면, 입력 부재 (2) 에 대한 회전 토크의 입력시에, 로크 또는 반로크 상태로부터 비로크 상태로의 전환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 점에 대해, 도 15(A) 및 도 15(B) 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5(A) 의 (a)(b) 는, 본 예의 구조에 관하여, 입력 부재 (2) 의 일부와 걸어 맞춤자 (5) 의 일부의 상호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5(A) 의 (a) 는, 도 6 에 나타낸 로크 또는 반로크 상태에 있어서, 입력측 걸어 맞춤부 (6) 가 걸어 맞춤자 (5) 의 폭 방향 중앙부에 위치하고, 또한, 링크 부재 (37) 가 가장 직경 방향 내측에 접근한 상태에서의, 상기 위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5(A) 의 (b) 는, 도 15(A) 의 (a) 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입력 부재 (2) 에 회전 토크 (T) 가 입력됨으로써, 입력측 걸어 맞춤부 (6) 가 입력 부재 (2) 의 회전 방향 (도시된 예에서는 시계 방향) 으로 회전하여, 입력측 걸어 맞춤부 (6) 로부터 요동 지지축 (38) 에 링크 부재 (37) 를 통하여 병진 하중 (F) 이 작용하기 시작한 상태에서의, 상기 위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도 15(B) 의 (a)(b) 는, 링크 부재를 구비하고 있지 않고, 일체로 구성된 걸어 맞춤자 (111) 가 입력측 피걸어 맞춤부 (126) 및 출력측 피걸어 맞춤부 (도시 생략) 를 갖는 참고예의 구조에 관하여, 입력부 (109z) 의 일부와 걸어 맞춤자 (111) 의 일부의 상호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5(B) 의 (a) 는, 로크 또는 반로크 상태에 있어서, 입력측 걸어 맞춤부 (113z) 가 걸어 맞춤자 (111) 의 폭 방향 중앙부에 위치하는 상태에서의, 상기 위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5(B) 의 (b) 는, 도 15(B) 의 (a) 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입력부 (109z) 에 회전 토크 (T) 가 입력됨으로써, 입력측 걸어 맞춤부 (113z) 가 입력부 (109z) 의 회전 방향 (도시된 예에서는 시계 방향) 으로 회전하여, 입력측 걸어 맞춤부 (113z) 가 걸어 맞춤자 (111) 의 입력측 피걸어 맞춤부 (126) 에 맞닿고, 입력측 걸어 맞춤부 (113z) 와 입력측 피걸어 맞춤부 (126) 의 맞닿음부 (X) 에, 회전 토크 (T) 에 기초하는 병진 하중 (Ft) 이 작용하기 시작한 상태에서의, 상기 위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참고예의 구조에서는, 도 15(B) 의 (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병진 하중 (Ft) 의 방향, 즉, 입력부 (109z) 로부터 걸어 맞춤자 (111) 에 작용하는 하중의 방향은, 로크 상태 또는 반로크 상태로부터 비로크 상태로의 전환시에 걸어 맞춤자 (111) 가 이동해야 하는 방향인, 걸어 맞춤자 (111) 의 직경 방향 (피가압면에 대한 걸어 맞춤자 (111) 의 원근 방향) 에 대해 크게 기울어져 있다.
이에 반해, 본 예의 구조에서는, 도 15(A) 의 (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병진 하중 (F) 의 방향, 즉, 입력 부재 (2) 로부터 걸어 맞춤자 (5) 에 작용하는 하중의 방향은, 로크 또는 반로크 상태로부터 비로크 상태로의 전환시에 걸어 맞춤자 (5) 가 이동해야 하는 방향인, 걸어 맞춤자 (5) 의 직경 방향 (피가압면 (24) 에 대한 걸어 맞춤자 (5) 의 원근 방향) 과 거의 평행한 방향으로 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병진 하중 (F) 의 방향과 걸어 맞춤자 (5) 가 이동해야 하는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참고예의 구조에 있어서의, 병진 하중 (Ft) 의 방향과 걸어 맞춤자 (111) 가 이동해야 하는 방향이 이루는 각도보다 작다. 요컨대, 본 예의 구조에서는, 입력 부재 (2) 에 입력된 회전 토크 (T) 를, 걸어 맞춤자 (5) 를 직경 방향 내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하중으로 효율적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예의 구조에 의하면, 입력 부재 (2) 에 대한 회전 토크의 입력시에, 로크 또는 반로크 상태로부터 비로크 상태로의 전환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예의 구조에 있어서의, 도 15(A) 의 (a) 에 나타낸 상태에서의, 입력측 걸어 맞춤부 (6) 의 직경 방향 내측면과 링크 부재 (37) 의 입력측 피걸어 맞춤부 (47) 의 내주면 사이에 존재하는 간극 (G) 의 크기 (전술한 차 (Wb - Wa)), 및, 참고예의 구조에 있어서의, 도 15(B) 의 (a) 에 나타낸 상태에서의, 입력측 걸어 맞춤부 (113z) 의 직경 방향 내측면과 입력측 피걸어 맞춤부 (126) 사이에 존재하는 간극 (Gz) 의 크기는, 모두, 역입력 차단 클러치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관점에서는, 최대한 큰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한편으로, 입력 부재 (2) 또는 입력부 (109z) 에 회전 토크가 입력됐을 때에, 즉시 걸어 맞춤자 (5, 111) 를 직경 방향 내측으로 이동시켜 비로크 상태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하는 관점에서는, 최대한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역입력 차단 클러치의 제조에 있어서는, 이들 사정을 고려하여, 간극 (G, Gz) 의 크기를, 적당한 크기로 조정할 필요가 있다.
참고예의 구조에서는, 간극 (Gz) 의 크기를 조정하기 위해, 입력측 피걸어 맞춤부 (126) 중, 입력측 걸어 맞춤부 (113z) 의 직경 방향 내측면과 맞닿는 부분을, 절삭 가공으로 고정밀도로 마무리하는 것이 필요해지는 경우가 있으며, 이 경우에는, 비용이 커질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반해, 본 예의 구조에서는, 링크 부재 (37) 의 입력측 피걸어 맞춤부 (47) 와 요동 피지지부 (48) 의 중심간 거리를 관리하는 것만으로 간극 (G) 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고, 링크 부재 (37) 는 저렴한 프레스 가공으로 만들 수 있기 때문에, 비용을 억제하기 쉽다.
또, 가압면을 갖는 본체 플레이트에, 입력측 피걸어 맞춤부를 갖는 링크 부재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함으로써 걸어 맞춤자를 구성하는 경우에, 1 쌍의 본체 플레이트끼리를 축 방향으로 이격시켜 배치하고, 또한, 그 1 쌍의 본체 플레이트 사이에 1 개의 링크 부재를 요동 가능하게 배치하는 구조를 생각할 수 있다. 단,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1 쌍의 본체 플레이트끼리를 축 방향으로 이격시킨 상태에서 결합할 필요가 있어, 부품 점수가 증대되어 버린다. 또한, 로크 또는 반로크 상태에 있어서, 1 쌍의 본체 플레이트의 각각의 가압면을 피가압면에 맞닿음 또는 슬라이딩 접촉시키기 위해, 본체 플레이트는 높은 형상 정밀도가 요구된다.
이에 반해, 본 예에서는, 가압면 (39) 을 갖는 본체 플레이트 (36) 의 축 방향 양측에, 입력측 피걸어 맞춤부 (47) 를 각각 갖는 1 쌍의 링크 부재 (37) 를, 본체 플레이트 (36) 에 대해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따라서, 부품 점수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고, 또한, 본체 플레이트 (36) 의 형상 정밀도를 과도하게 높게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조 비용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입력 부재 (2) 로부터 회전 토크가 입력되어, 1 쌍의 걸어 맞춤자 (5) 가 직경 방향 내측으로 이동할 때에, 본체 플레이트 (36) 가 축 방향으로 쓰러지도록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강 부재 (56) 가, 1 쌍의 입력측 걸어 맞춤부 (6) 를 구성하는 입력측 걸어 맞춤부 (6) 의 각각의 선단부 사이에 놓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1 쌍의 입력측 걸어 맞춤부 (6) 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이유에 대해, 이하에서 설명한다.
출력 부재 (3) 에 회전 토크가 역입력되면, 1 쌍의 걸어 맞춤자 (5) 의 각각의 가압면 (39) 이, 피가압면 (24) 에 대해 가압되고, 각각의 가압면 (39) 이 피가압면 (24) 에 마찰 걸어 맞춤되어, 역입력 차단 클러치 (1) 가 로크 또는 반로크 상태로 전환된다. 출력 부재 (3) 에 역입력되는 회전 토크가 커지면, 각각의 가압면 (39) 을 피가압면 (24) 에 대해 가압하는 힘도 커지고, 각각의 가압면 (39) 과 피가압면 (24)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 걸어 맞춤력도 커진다.
입력 부재 (2) 에 회전 토크가 입력되면, 1 쌍의 입력측 걸어 맞춤부 (6) 의 각각의 입력측 걸어 맞춤부 (6) 에 의해, 링크 부재 (37) 및 요동 지지축 (38) 을 통하여, 본체 플레이트 (36) 가, 각각의 가압면 (39) 이 피가압면 (24) 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각각의 가압면 (39) 이 피가압면 (24) 으로부터 멀어진다. 이 결과, 역입력 차단 클러치 (1) 가 비로크 상태로 전환된다.
여기서, 역입력 차단 클러치 (1) 가 로크 또는 반로크 상태로 전환될 때에, 출력 부재 (3) 에 역입력된 회전 토크가 커서, 각각의 가압면 (39) 과 피가압면 (24)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 걸어 맞춤력이 큰 경우, 역입력 차단 클러치 (1) 를 로크 또는 반로크 상태로부터 비로크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 요하는 토크 (해제 토크) 가 커진다. 본 예와 같은 보강 부재 (56) 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구조에 있어서는, 해제 토크가 커져, 역입력 차단 클러치 (1) 를 로크 또는 반로크 상태로부터 비로크 상태로 전환할 때에, 링크 부재 (37) 로부터 입력측 걸어 맞춤부 (6) 에 가해지는, 본체 플레이트 (36) 의 직경 방향에 관하여 외측을 향한 힘이 커지면, 입력 부재 (2) 의 입력측 걸어 맞춤부 (6) 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만곡하도록 변형될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은 변형이 발생하면, 입력측 걸어 맞춤부 (6) 와 입력측 피걸어 맞춤부 (47) 사이에 편접촉이 발생하여 마모를 발생시키기 쉬워지거나, 역입력 차단 클러치 (1) 를 로크 또는 반로크 상태로부터 비로크 상태로 전환할 때에, 본체 플레이트 (36) 가 축 방향으로 쓰러지도록 기울어져, 비로크 상태로의 전환을 원활하게 실시하기 어려워지거나 할 가능성이 있다.
본 예의 역입력 차단 클러치 (1) 는, 보강 부재 (56) 가, 1 쌍의 입력측 걸어 맞춤부 (6) 를 구성하는 입력측 걸어 맞춤부 (6) 의 각각의 선단부 사이에 놓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입력측 걸어 맞춤부 (6) 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입력측 걸어 맞춤부 (6) 와 입력측 피걸어 맞춤부 (47) 사이에 편접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마모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본체 플레이트 (36) 가 축 방향으로 쓰러지도록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비로크 상태로의 전환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예에서는, 입력측 대경 통부 (19) 의 내주면 중, 피가압면 (24) 및 그 근방 부분에만 고주파 ??칭에 의해 경화층이 형성되고, 그 후 연마 가공이 실시되고 있다. 이로써, 피가압면 (24) 의 경도를 확보하면서, 피가압면 (24) 의 치수 정밀도 및 진원도를 양호하게 확보하고 있다. 또한, 역입력 차단 클러치 (1) 를, 비로크 상태로부터 로크 상태 또는 반로크 상태로 원활하게 전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제 2 예]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제 2 예에 대해, 도 17 ∼ 도 19 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예의 역입력 차단 클러치 (1a) 에서는, 입력 부재 (2a) 및 1 쌍의 걸어 맞춤자 (5a) 의 구조가, 제 1 예와 일부 상이하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 2 예의 구조 중, 제 1 예와 상이한 부분만을 설명한다.
본 예에서는, 입력 부재 (2a) 는, 입력축부 (9) 와, 기판부 (60) 와, 1 쌍의 입력측 걸어 맞춤부 (6a) 를 갖는다.
기판부 (60) 는, 축 방향에서 봤을 때 대략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다.
입력축부 (9) 는, 기판부 (60) 의 축 방향 일방측의 측면의 중앙부로부터 축 방향 일방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1 쌍의 입력측 걸어 맞춤부 (6a) 는, 기판부 (60) 의 축 방향 타방측의 측면의 직경 방향 반대측 2 개 지점 위치로부터 축 방향 타방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1 쌍의 입력측 걸어 맞춤부 (6a) 를 구성하는 각각의 입력측 걸어 맞춤부 (6a) 는, 축 방향에서 봤을 때, 둘레 방향으로 신장되는 대략 타원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1 쌍의 입력측 걸어 맞춤부를 구성하는 각각의 입력측 걸어 맞춤부를, 기판부와는 별체로 만들어진 부품에 의해 구성할 수도 있다.
1 쌍의 걸어 맞춤자 (5a) 를 구성하는 각각의 걸어 맞춤자 (5a) 는, 가압면 (39) 및 출력측 피걸어 맞춤부 (40) 를 갖는 1 장의 본체 플레이트 (36a) 만으로 이루어진다. 본체 플레이트 (36a) 에 관하여, 1 쌍의 가압면 (39) 을 포함하는 직경 방향 외측면의 형상, 및, 출력측 피걸어 맞춤부 (40) 를 포함하는 직경 방향 내측면의 형상은, 제 1 예와 동일하다.
본체 플레이트 (36a) 는, 입력측 피걸어 맞춤부 (47a) 를 갖는다. 본 예에서는, 입력측 피걸어 맞춤부 (47a) 는, 축 방향에서 봤을 때, 본체 플레이트 (36a) 의 폭 방향으로 신장되는 대략 직사각형의 개구 형상을 갖고, 또한, 본체 플레이트 (36a) 의 폭 방향 중앙 위치의 직경 방향 중간부를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입력측 피걸어 맞춤부 (47a) 는, 입력측 걸어 맞춤부 (6a) 를 헐겁게 삽입할 수 있는 크기를 갖는다. 따라서, 입력측 피걸어 맞춤부 (47a) 의 내측에 입력측 걸어 맞춤부 (6a) 를 삽입한 상태에서, 입력측 걸어 맞춤부 (6a) 와 입력측 피걸어 맞춤부 (47a) 의 내면 사이에는, 본체 플레이트 (36a) 의 폭 방향 및 직경 방향으로 각각 간극이 존재한다. 이 때문에, 입력측 걸어 맞춤부 (6a) 는, 입력측 피걸어 맞춤부 (47a) 에 대해, 입력 부재 (2a) 의 회전 방향에 관한 변위가 가능하고, 입력측 피걸어 맞춤부 (47a) 를 구비한 본체 플레이트 (36a) 는, 입력측 걸어 맞춤부 (6a) 에 대해, 그 본체 플레이트 (36a) 의 직경 방향의 변위가 가능하다. 본 예에서는, 입력측 피걸어 맞춤부 (47a) 는, 내주면 중, 본체 플레이트 (36a) 의 직경 방향에 관한 내측의 단부에, 그 직경 방향에 관하여 외측을 향한 평탄면 (61) 을 구비한다.
역입력 차단 클러치 (1a) 의 조립 상태에서, 입력 부재 (2a) 의 1 쌍의 입력측 걸어 맞춤부 (6a) 는, 1 쌍의 걸어 맞춤자 (5a) 의 입력측 피걸어 맞춤부 (47a) 에 축 방향으로 삽입된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제 1 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1 쌍의 입력측 걸어 맞춤부 (6a) 를 구성하는 입력측 걸어 맞춤부 (6a) 의 각각의 선단부 사이에 놓인 보강 부재를 구비할 수도 있다.
입력 부재 (2a) 에 입력측 기구로부터 회전 토크가 입력되면, 도 1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력측 피걸어 맞춤부 (47a) 의 내측에서, 입력측 걸어 맞춤부 (6a) 가 입력 부재 (2a) 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입력측 걸어 맞춤부 (6a) 의 직경 방향 내측면이 입력측 피걸어 맞춤부 (47a) 의 평탄면 (61) 을 직경 방향 내방을 향하여 가압하여, 걸어 맞춤자 (5a) 가 피가압면 (24) 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로써, 걸어 맞춤자 (5a) 의 가압면 (39) 이 피가압면 (24) 으로부터 멀어진다. 이와 함께, 탄성 부재 (50) 를 구성하는 탄성 가압부 (59) 의 전체가 직경 방향 외측으로 변위되도록, 탄성 부재 (50) 가 탄성 변형된다. 그리고, 1 쌍의 출력측 피걸어 맞춤부 (40) 가 출력 부재 (3) 의 출력측 걸어 맞춤부 (13) 를 직경 방향 양측으로부터 협지하여, 출력측 걸어 맞춤부 (13) 와 1 쌍의 출력측 피걸어 맞춤부 (40) 가, 덜컹거림 없이 걸어 맞춰진다. 이 결과, 입력 부재 (2a) 에 입력된 회전 토크가, 1 쌍의 걸어 맞춤자 (5a) 를 통하여, 출력 부재 (3) 에 전달되고, 출력 부재 (3) 로부터 출력된다.
한편, 출력 부재 (3) 에 출력측 기구로부터 회전 토크가 역입력될 때에는, 도 6 에 나타낸 제 1 예의 경우와 동일한 동작에 의해, 탄성 부재 (50) 가 탄성 변형되고, 또한, 출력 부재 (3) 에 역입력된 회전 토크가, 하우징 (4) 에 전달됨으로써 완전히 차단되어 입력 부재 (2a) 에 전달되지 않거나, 또는, 출력 부재 (3) 에 역입력된 회전 토크의 일부만이 입력 부재 (2a) 에 전달되고 잔부가 차단된다.
본 예의 역입력 차단 클러치 (1a) 에서는, 1 쌍의 걸어 맞춤자 (5a) 를 구성하는 각각의 걸어 맞춤자 (5a) 가, 1 장의 본체 플레이트 (36a) 만으로 이루어지고, 링크 부재 및 요동 지지축을 갖지 않기 때문에, 부품 점수를 적게 억제할 수 있다. 그 밖의 구성 및 작용 효과는, 제 1 예와 동일하다.
[제 3 예]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제 3 예에 대해, 도 20 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예의 역입력 차단 클러치 (1b) 에서는, 하우징 (4a) 은, 장착부 (64a) 를 갖는 입력측 하우징 소자 (16a) 와, 피가압면 (24a) 을 갖는 출력측 하우징 소자 (17a) 를, 복수개의 결합 볼트 (18) 에 의해 결합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즉, 본 예에서는, 입력측 하우징 소자 (16a) 가, 제 2 피가압 부재 소자를 구성하고, 또한, 출력측 하우징 소자 (17a) 가, 제 1 피가압 부재 소자를 구성한다.
입력측 하우징 소자 (16a) 는, 원통상의 통상부 (63a) 와, 원통상의 입력측 소경 통부 (20) 와, 중공 원형 평판상의 측판부 (21a) 와, 복수개의 장착부 (64a) 를 구비한다.
통상부 (63a) 는, 내주면에, 외경측 끼워 맞춤면을 구성하는 입력측 스피곳 끼워 맞춤면 (25a) 을 갖는다.
입력측 소경 통부 (20) 는, 통상부 (63a) 의 축 방향 일방측에, 통상부 (63a) 와 동축에 배치되어 있다.
측판부 (21a) 는, 축 방향에서 봤을 때 중공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다. 측판부 (21a) 의 직경 방향 외측의 단부가 통상부 (63a) 의 축 방향 일방측의 단부에 접속되고, 또한, 측판부 (21a) 의 직경 방향 내측의 단부가 입력측 소경 통부 (20) 의 축 방향 타방측의 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측판부 (21a) 는, 직경 방향 외측 부분의 둘레 방향 복수 지점에,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통공 (23a) 을 갖는다.
각각의 장착부 (64a) 는, 둘레 방향 등간격 복수 지점에 구비되어 있다. 장착부 (64a) 는, 통상부 (63a) 의 외주면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부 (65a) 와, 그 돌출부 (65a) 를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장착공 (32a) 을 갖는다.
출력측 하우징 소자 (17a) 는, 원통상의 출력측 대경 통부 (68) 와, 원통상의 출력측 소경 통부 (28) 와, 중공 원형 평판상의 측판부 (29) 를 구비한다.
출력측 대경 통부 (68) 는, 축 방향 중간부 내주면에 피가압면 (24a) 을 갖는다. 피가압면 (24a) 은, 출력측 하우징 소자 (17a) 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통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출력측 대경 통부 (68) 는, 축 방향 일방측의 단부 외주면에, 내경측 끼워 맞춤면을 구성하는 출력측 스피곳 끼워 맞춤면 (30a) 을 갖는다. 출력측 스피곳 끼워 맞춤면 (30a) 은, 출력측 하우징 소자 (17a) 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통면에 의해 구성되고, 입력측 스피곳 끼워 맞춤면 (25a) 에 대해, 덜컹거림 없이 끼워 맞추는 것이 가능한 외경 치수를 갖는다.
출력측 대경 통부 (68) 는, 입력측 하우징 소자 (16a) 의 통공 (23a) 과 정합하는 둘레 방향 복수 지점에, 축 방향 일방측의 단면에 개구되는 나사공 (31a) 을 갖는다.
하우징 (4a) 은, 입력측 하우징 소자 (16a) 의 입력측 스피곳 끼워 맞춤면 (25a) 과, 출력측 하우징 소자 (17a) 의 출력측 스피곳 끼워 맞춤면 (30a) 을 덜컹거림 없이 끼워 맞춤시키고, 또한, 출력측 하우징 소자 (17a) 의 출력측 대경 통부 (68) 의 축 방향 일방측의 단면을, 입력측 하우징 소자 (16a) 의 측판부 (21a) 의 축 방향 타방측의 측면의 직경 방향 외측 부분에 맞닿음시킨 상태에서, 각각의 통공 (23a) 에 삽입 통과한 결합 볼트 (18) 를, 각각의 나사공 (31a) 에 나사 결합하고, 나아가 단단히 조임으로써, 입력측 하우징 소자 (16a) 와 출력측 하우징 소자 (17a) 를 결합 고정시킴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입력측 하우징 소자 (16a) 가, 각각의 장착공 (32a) 을 삽입 통과한 지지 볼트를, 고정 부재 (62) 에 구비된 나사공 (66) 에 나사 결합하고 나아가 단단히 조임으로써, 고정 부재 (62) 에 대해 지지 고정된다. 이로써, 하우징 (4a) 이 고정 부재 (62) 에 대해 지지 고정된다.
본 예의 역입력 차단 클러치 (1b) 에서는, 고정 부재 (62) 에 대해 고정되는 장착부 (64a) 를 갖는 입력측 하우징 소자 (16a) 와, 피가압면 (24a) 을 갖는 출력측 하우징 소자 (17a) 를 별체로 구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하우징 (4a) 을 고정 부재 (62) 에 대해 지지 고정시키는 것에 수반하여, 출력측 하우징 소자 (17a) 에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출력측 하우징 소자 (17a) 의 출력측 대경 통부 (68) 의 내주면에 구비된 피가압면 (24a) 의 진원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입력측 하우징 소자 (16a) 의 통상부 (63a) 의 내주면에 구비된 입력측 스피곳 끼워 맞춤면 (25a) 과, 출력측 하우징 소자 (17a) 의 출력측 대경 통부 (68) 의 외주면에 구비된 출력측 스피곳 끼워 맞춤면 (30a) 을 덜컹거림 없이 끼워 맞춤시키고 있다. 따라서, 출력 부재 (3) 에 대한 회전 토크의 역입력에 수반하여, 각각의 걸어 맞춤자 (5b) 의 가압면 (39) 에 의해 피가압면 (24a) 이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가압된 경우에도, 그 피가압면 (24a) 이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예에서는, 걸어 맞춤자 (5b) 는, 각각이 가압면 (39) 을 갖고, 또한, 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1 쌍의 본체 플레이트 (36a) 와, 그 1 쌍의 본체 플레이트 (36a) 끼리의 사이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1 개의 링크 부재 (37a) 를 구비한다. 단, 걸어 맞춤자로서, 제 1 예의 걸어 맞춤자 (5) 와 같이, 가압면을 갖는 1 개의 본체 플레이트의 축 방향 양측에, 1 쌍의 링크 부재를, 본체 플레이트에 대한 요동을 가능하게 지지한 구성을 갖는 걸어 맞춤자나, 제 2 예의 걸어 맞춤자 (5a) 와 같이, 1 장의 본체 플레이트만으로 이루어지는 걸어 맞춤자를 채용할 수도 있다. 그 밖의 구성 및 작용 효과는, 제 1 예 및 제 2 예와 동일하다.
본 발명은, 제 1 예 ∼ 제 3 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걸어 맞춤자를 직경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비로크 상태와 로크 상태 또는 반로크 상태를 전환하는 역입력 차단 클러치에 한정되지 않고, 국제 공개 2006/117343호에 기재된 구조나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40343호에 기재된 구조와 같이, 걸어 맞춤자를 둘레 방향에 이동시킴으로써, 비로크 상태와 로크 상태 또는 반로크 상태를 전환하는 역입력 차단 클러치에 적용할 수도 있다.
1, 1a, 1b : 역입력 차단 클러치
2, 2a : 입력 부재
3 : 출력 부재
4, 4a : 하우징
5, 5a : 걸어 맞춤자
6, 6a : 입력측 걸어 맞춤부
7 : 축 부재
8 : 입력측 걸어 맞춤 핀
9 : 입력축부
10 : 입력 아암부
11 : 지지공
12 : 출력축부
13 : 출력측 걸어 맞춤부
14 : 측면
15 : 가이드면
16, 16a : 입력측 하우징 소자
17, 17a : 출력측 하우징 소자
18 : 결합 볼트
19 : 입력측 대경 통부
20 : 입력측 소경 통부
21, 21a : 측판부
22 : 플랜지부
23, 23a : 통공
24, 24a : 피가압면
25, 25a : 입력측 스피곳 끼워 맞춤면
26 : 입력측 베어링 끼워 맞춤면
28 : 출력측 소경 통부
29 : 측판부
30, 30a : 출력측 스피곳 끼워 맞춤면
31 : 나사공
32, 32a : 장착공
33 : 출력측 베어링 끼워 맞춤면
34 : 입력측 베어링
35 : 출력측 베어링
36, 36a : 본체 플레이트
37 : 링크 부재
38 : 요동 지지축
39 : 가압면
40 : 출력측 피걸어 맞춤부
41 : 요동 지지부
42 : 바닥면
43 : 피가이드면
44 : 삽입 통과공
45 : 제 1 볼록부
46 : 제 2 볼록부
47, 47a : 입력측 피걸어 맞춤부
48 : 요동 피지지부
49 : 장공
50 : 탄성 부재
51 : 지지판부
52 : 가압판부
53 : 연결판부
54 : 제 1 투공
55 : 제 2 투공
56 : 보강 부재
57 : 삽입 통과공
58 : 지지공
59 : 탄성 가압부
60 : 기판부
61 : 평탄면
62 : 고정 부재
63, 63a : 통상부
64, 64a : 장착부
65, 65a : 돌출부
66 : 나사공
67 : 보강 리브
68 : 출력측 대경 통부
100 : 역입력 차단 클러치가 부착된 전동 모터
101 : 출력 샤프트
102 : 역입력 차단 클러치
103 : 제 1 샤프트
104 : 제 2 샤프트
105 : 모터 하우징
106 : 회전자
107 : 고정자
108 : 클러치 하우징
109 : 입력부
110 : 출력부
111 : 걸어 맞춤자
112 : 입력축부
113 : 입력측 걸어 맞춤부
114 : 출력측 걸어 맞춤부
115 : 소경 원통부
116 : 대경 원통부
117 : 측판부
118 : 피가압면
119 : 돌출부
120 : 나사공
121 : 돌조
122 : 통공
123 : 가압면
124 : 출력측 피걸어 맞춤부
125 : 바닥면
126 : 입력측 피걸어 맞춤부

Claims (9)

  1. 내주면에 피가압면을 갖는 제 1 피가압 부재 소자와, 사용시에도 회전하지 않는 부분에 고정되는 장착부를 갖는 제 2 피가압 부재 소자를 포함하는, 피가압 부재와,
    상기 제 1 피가압 부재 소자와 상기 제 2 피가압 부재 소자 중 일방의 피가압 부재 소자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입력 부재와,
    상기 입력 부재와 동축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 1 피가압 부재 소자와 상기 제 2 피가압 부재 소자 중 타방의 피가압 부재 소자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출력 부재와,
    상기 입력 부재에 회전 토크가 입력되면, 그 입력 부재와의 걸어 맞춤에 기초하여 상기 피가압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출력 부재와 걸어 맞춰짐으로써, 상기 입력 부재에 입력된 회전 토크를 상기 출력 부재에 전달하고, 또한, 상기 출력 부재에 회전 토크가 역입력되면, 그 출력 부재와의 걸어 맞춤에 기초하여 상기 피가압면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피가압면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출력 부재에 역입력된 회전 토크를 완전히 차단하거나, 또는 상기 출력 부재에 역입력된 회전 토크의 일부를 상기 입력 부재에 전달하고 잔부를 차단하는 걸어 맞춤자를 구비하는, 역입력 차단 클러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피가압 부재 소자는, 외주면에 내경측 끼워 맞춤면을 갖고 있고,
    상기 제 2 피가압 부재 소자는, 내주면에, 상기 내경측 끼워 맞춤면에 직경 방향에 관한 덜컹거림 없이 외측에서 끼워진 외경측 끼워 맞춤면을 갖는, 역입력 차단 클러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피가압 부재 소자는, 내주면에 상기 외경측 끼워 맞춤면을 갖는 통상부를 구비하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통상부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부와, 그 돌출부를 축 방향으로 관통하고, 또한, 볼트가 삽입 통과되는 장착공을 갖는, 역입력 차단 클러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부재가, 상기 제 2 피가압 부재 소자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상기 출력 부재가, 상기 제 1 피가압 부재 소자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역입력 차단 클러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부재가, 상기 제 1 피가압 부재 소자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상기 출력 부재가, 상기 제 2 피가압 부재 소자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역입력 차단 클러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부재는, 그 입력 부재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벗어난 부분에 입력측 걸어 맞춤부를 갖고,
    상기 출력 부재는, 상기 입력측 걸어 맞춤부보다 직경 방향 내측에 출력측 걸어 맞춤부를 갖고,
    상기 걸어 맞춤자는, 상기 피가압면에 대향하는 직경 방향 외측면에 가압면을 갖고, 직경 방향 내측면에, 상기 출력측 걸어 맞춤부와 걸어 맞춰지는 출력측 피걸어 맞춤부를 갖고, 또한, 직경 방향 중간부에, 상기 입력측 걸어 맞춤부와 걸어 맞춰지는 입력측 피걸어 맞춤부를 갖는, 역입력 차단 클러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측 걸어 맞춤부와 상기 걸어 맞춤자 사이에 탄성적으로 협지된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피가압면에 대한 상기 가압면의 원근 방향인 제 1 방향에 관하여, 상기 출력측 걸어 맞춤부를 상기 피가압면으로부터 먼 측을 향하여 가압하고, 또한, 상기 제 1 방향에 관하여, 상기 걸어 맞춤자를 상기 피가압면에 가까운 측을 향하여 가압하는, 역입력 차단 클러치.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 맞춤자가, 상기 출력측 걸어 맞춤부를 직경 방향 양측으로부터 사이에 두도록 배치된 1 쌍의 걸어 맞춤자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입력측 걸어 맞춤부는, 1 쌍의 입력측 걸어 맞춤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역입력 차단 클러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1 쌍의 입력측 걸어 맞춤부를 구성하는 입력측 걸어 맞춤부의 선단부끼리의 사이에 놓인 보강 부재를 구비하는, 역입력 차단 클러치.
KR1020237019195A 2021-02-08 2022-01-28 역입력 차단 클러치 KR2023010468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018307 2021-02-08
JP2021018307 2021-02-08
JPPCT/JP2021/046770 2021-12-17
PCT/JP2021/046770 WO2022168466A1 (ja) 2021-02-08 2021-12-17 逆入力遮断クラッチ
PCT/JP2022/003413 WO2022168764A1 (ja) 2021-02-08 2022-01-28 逆入力遮断クラッ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4680A true KR20230104680A (ko) 2023-07-10

Family

ID=8274138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2029A KR20230111245A (ko) 2021-02-08 2021-12-17 역입력 차단 클러치
KR1020237019195A KR20230104680A (ko) 2021-02-08 2022-01-28 역입력 차단 클러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2029A KR20230111245A (ko) 2021-02-08 2021-12-17 역입력 차단 클러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20240077118A1 (ko)
EP (2) EP4276327A1 (ko)
JP (2) JP7311048B2 (ko)
KR (2) KR20230111245A (ko)
CN (1) CN116710673A (ko)
WO (1) WO2022168764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7343A (ko) 2003-12-22 2006-11-16 아스트라제네카 아베 케모카인 수용체 활성 조절제로서의 신규 트리시클릭스피로유도체
JP2007040343A (ja) 2005-08-01 2007-02-15 Ntn Corp 電動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
KR20200054763A (ko) 2018-11-12 2020-05-20 한국과학기술원 능동형 메타포토닉 컬러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51282A (en) * 1959-12-15 1962-08-28 Whitney E Greene Self-locking rotary transmission
US4591029A (en) * 1984-08-17 1986-05-27 Da Foe John P Load actuating braking apparatus
JP4541109B2 (ja) * 2004-11-12 2010-09-08 Ntn株式会社 逆入力防止クラッチ
DE102006020041A1 (de) 2005-05-02 2007-03-15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Lenk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e Hinterradlenkung
JP2009063017A (ja) * 2007-09-04 2009-03-26 Ntn Corp 逆入力防止クラッチ
IT201600070842A1 (it) 2016-07-07 2018-01-07 Nuovo Pignone Tecnologie Srl Metodo e sistema di controllo anti-pompaggio adattivo
JP6658965B2 (ja) 2017-08-01 2020-03-04 日本精工株式会社 逆入力遮断クラッチ、電動バルブタイミング調整装置、可変圧縮比装置、およ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US11428278B2 (en) 2018-05-07 2022-08-30 Nsk Ltd. Reverse input blocking clutch and actuator
JP7095402B2 (ja) * 2018-05-22 2022-07-05 日本精工株式会社 逆入力ブレーキ機構および電動式ブレーキ装置
HU231201B1 (hu) 2018-08-17 2021-09-28 László Eredics Egy vagy több fajta anyagból kialakított kábeldob
EP3851694A4 (en) 2018-09-12 2022-06-01 NSK Ltd. ELECTRIC MOTOR FEATURES REVERSE INPUT CUT-OFF CLUTCH
EP4006371B1 (en) 2019-11-29 2023-06-14 NSK Ltd. Reverse input blocking clutch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7343A (ko) 2003-12-22 2006-11-16 아스트라제네카 아베 케모카인 수용체 활성 조절제로서의 신규 트리시클릭스피로유도체
JP2007040343A (ja) 2005-08-01 2007-02-15 Ntn Corp 電動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
KR20200054763A (ko) 2018-11-12 2020-05-20 한국과학기술원 능동형 메타포토닉 컬러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044377A1 (en) 2024-02-08
EP4276327A1 (en) 2023-11-15
JP7243927B2 (ja) 2023-03-22
EP4265934A1 (en) 2023-10-25
JPWO2022168764A1 (ko) 2022-08-11
US20240077118A1 (en) 2024-03-07
JP7311048B2 (ja) 2023-07-19
KR20230111245A (ko) 2023-07-25
WO2022168764A1 (ja) 2022-08-11
CN116710673A (zh) 2023-09-05
JPWO2022168466A1 (ko) 2022-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78155B2 (en) Clutch unit
US11300166B2 (en) Reverse input blocking clutch
EP4008922B1 (en) Reverse input cutoff clutch
US11708870B2 (en) Reverse-input blocking clutch
JP7017190B2 (ja) 逆入力遮断クラッチ
JP4407745B2 (ja) シフトフォーク
EP3954918B1 (en) Reverse-input-blocking clutch
KR20230104680A (ko) 역입력 차단 클러치
WO2021172558A1 (ja) 逆入力遮断クラッチ
WO2022168466A1 (ja) 逆入力遮断クラッチ
US20030038000A1 (en) Double-wrap brake band apparatus
CN116635642A (zh) 反向输入切断离合器
KR102547463B1 (ko) 역입력 차단 클러치
CN114080515B (zh) 反向输入切断离合器
JP7068978B2 (ja) クラッチユニット
JP2023175529A (ja) 逆入力遮断クラッチ
JP2023022882A (ja) 逆入力遮断クラッチ
JP2018052180A (ja) 車両のステアリ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