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4627A -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용기,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용기의 제조 방법 및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용기의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용기,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용기의 제조 방법 및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용기의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4627A
KR20230104627A KR1020237016466A KR20237016466A KR20230104627A KR 20230104627 A KR20230104627 A KR 20230104627A KR 1020237016466 A KR1020237016466 A KR 1020237016466A KR 20237016466 A KR20237016466 A KR 20237016466A KR 20230104627 A KR20230104627 A KR 202301046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ipper tape
container
region
hing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6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쿠미 도다카
도모히코 다마오키
Original Assignee
이데미쓰 유니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미쓰 유니테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미쓰 유니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04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46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25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 B65D33/2508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using slide fasteners with interlocking members having a substantially uniform section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fastener; Sliders therefor
    • B65D33/2541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using slide fasteners with interlocking members having a substantially uniform section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fastener; Slide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lide fastener, e.g. adapted to interlock with a sheet between the interlocking members having sections of particula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25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10Slide fasteners with a one-piece interlocking member on each stringer tape
    • A44B19/16Interlocking member having uniform section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string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0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ultrasonic 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2Preparation of the material, in the area to be joined, prior to joining or welding
    • B29C66/022Mechanical pre-treatments, e.g. reshaping
    • B29C66/0224Mechanical pre-treatments, e.g. reshaping with removal of material
    • B29C66/02241Cutting, e.g. by using waterjets, or sa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5/00Producing elements of slide fasteners; Combined making and attaching of elements of slide fasteners
    • B29D5/10Producing elements of slide fasteners; Combined making and attaching of elements of slide fasteners the interlocking members being formed by continuous profiled str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70/00Making flexible containers, e.g. envelopes or bags
    • B31B7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70/10Feeding or positioning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70/00Making flexible containers, e.g. envelopes or bags
    • B31B70/14Cutting, e.g. perforating, punching, slitting or trim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70/00Making flexible containers, e.g. envelopes or bags
    • B31B70/14Cutting, e.g. perforating, punching, slitting or trimming
    • B31B70/16Cutting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70/00Making flexible containers, e.g. envelopes or bags
    • B31B70/14Cutting, e.g. perforating, punching, slitting or trimming
    • B31B70/16Cutting webs
    • B31B70/18Cutting webs longitudin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70/00Making flexible containers, e.g. envelopes or bags
    • B31B70/60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 B31B70/64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by applying heat or pressure
    • B31B70/642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by applying heat or pressure using sealing jaws or sealing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70/00Making flexible containers, e.g. envelopes or bags
    • B31B70/60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 B31B70/64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by applying heat or pressure
    • B31B70/644Making seals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i.e. longitudinal sea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70/00Making flexible containers, e.g. envelopes or bags
    • B31B70/60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 B31B70/64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by applying heat or pressure
    • B31B70/645Making seals transversally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70/00Making flexible containers, e.g. envelopes or bags
    • B31B70/74Auxiliary operations
    • B31B70/81Forming or attaching accessories, e.g. opening devices, closures or tear strings
    • B31B70/813Applying closures
    • B31B70/8131Making bags having interengaging closure elements
    • B31B70/8132Applying the closure elements in the machine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05Anti-slip or anti-skid bags, e.g. bags provided with anti-slip coating, ribs, st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55/00Flexible containers made from webs
    • B31B2155/002Flexible containers made from webs by joining superimposed webs, e.g. with separate bottom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60/00Shape of flexible containers
    • B31B2160/10Shape of flexible containers rectangular and flat, i.e. without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Slide Fasteners (AREA)

Abstract

서로 대향하는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을 적어도 포함하는 용기 본체와, 제 1 영역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합되는 제 1 기부 조편, 제 2 영역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합되는 제 2 기부 조편, 및 제 1 및 제 2 기부 조편으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서로 걸어맞춤 가능한 제 1 및 제 2 걸어맞춤부를 포함하는 지퍼 테이프를 구비하고, 용기 본체의 개구부의 길이를 n 으로 하고, 지퍼 테이프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부의 내측 단부까지의 거리를 m 으로 한 경우에 m/n < 0.25 가 되는 적어도 1 개의 위치에 힌지가 형성되는,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용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용기,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용기의 제조 방법 및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용기의 제조 장치
본 발명은,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용기,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용기의 제조 방법 및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용기의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백은, 약품이나 식품 등 다양한 물품을 포장하는 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백의 이점 중 하나는, 용이하게 개봉 및 재밀봉이 가능한 것이다. 사용자는 지퍼 테이프가 접합된 백의 양면을 서로 이격되도록 잡아당김으로써 지퍼 테이프의 걸어맞춤 해제하여 백을 개봉할 수 있다. 또, 사용자는, 반대로 백의 양면을 서로 접근하도록 가압함으로써 지퍼 테이프를 걸어맞춰지게 하여 백을 재밀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백의 개봉시에는, 백의 양면을 각각 손가락으로 잡고, 지퍼 테이프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개봉에는 사용자의 양손이 필요하게 된다. 이에 대해, 특허문헌 1 에는, 사용자가 백의 양면을 지퍼 테이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엇갈리게 슬라이드시킴으로써 백을 개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백의 양면을 한 손의 손가락, 구체적으로는 한 손의 엄지손가락과 집게손가락으로 잡아 비트는 동작을 함으로써 지퍼 테이프의 걸어맞춤을 해제하여 백을 개봉할 수 있다.
단, 상기 특허문헌 1 의 기술에 있어서, 사용자가 잡은 부분의 양측에서 백의 일방의 면만을 만곡시켜 지퍼 테이프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는 개봉 동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은, 지퍼 테이프의 강성이 비교적 낮고, 부드러운 경우에 한정된다. 따라서, 걸어맞춤을 강고하게 함으로써 백의 내압에 대항하거나, 외력에 의한 의도하지 않는 개봉을 방지하거나 하기 위해서 지퍼 테이프를 강성이 높은 재료로 성형한 경우에는, 지퍼 테이프를 만곡시키는 것이 용이하지 않고, 따라서 특허문헌 1 의 기술을 적용하는 것은 어렵다.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특허문헌 2 에 기재된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2 에는, 적어도 1 쌍의 대향면을 갖는 백 본체와, 대향면에 각각 접합되는 1 쌍의 기부 조편 (條片), 및 기부 조편으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서로 걸어맞춰지는 적어도 1 쌍의 걸어맞춤부를 단면 형상으로 포함하는 장척상의 지퍼 테이프로서, 길이 방향의 2 개의 위치에 힌지가 형성된 지퍼 테이프를 구비하는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백이 기재되어 있다.
미국 특허출원공개 제2003/0138171호 국제 공개 제2019/111911호
상기 특허문헌 2 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지퍼 테이프의 강성에 관계없이, 백의 양면을 지퍼 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백을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외력에 의한 의도하지 않는 개봉을 방지하고자 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지퍼 테이프의 걸어맞춤이 힌지 부분에서 상대적으로 약해져, 결과적으로 의도하지 않는 개봉을 방지하는 기능이 충분히 발휘되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용기의 양면을 지퍼 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는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용기에 있어서, 힌지 부분에 있어서의 걸어맞춤 강도가 상대적으로 약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용기,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용기의 제조 방법 및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용기의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서로 대향하는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을 적어도 포함하는 용기 본체와, 제 1 영역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합되는 제 1 기부 조편, 제 2 영역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합되는 제 2 기부 조편, 및 제 1 및 제 2 기부 조편으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서로 걸어맞춤 가능한 제 1 및 제 2 걸어맞춤부를 포함하는 지퍼 테이프를 구비하고, 용기 본체의 개구부의 길이를 n 으로 하고, 지퍼 테이프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부의 내측 단부까지의 거리를 m 으로 한 경우에 m/n < 0.25 가 되는 적어도 1 개의 위치에 힌지가 형성되는,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용기.
[2] 힌지는, 개구부의 내측 단부까지의 거리 (m) 가 20 mm 이하가 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1] 에 기재된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용기.
[3] 지퍼 테이프의 힌지를 포함하지 않는 부분의 걸어맞춤 강도가 26 N/50 mm 이상인, [1] 또는 [2] 에 기재된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용기.
[4] 힌지는, 제 1 및 제 2 걸어맞춤부에 형성되는 박육부 또는 절입부를 포함하는,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용기.
[5] 힌지는, 제 1 및 제 2 기부 조편 그리고 제 1 및 제 2 걸어맞춤부를 관통하는 펀치 구멍을 포함하는,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용기.
[6] 제 1 영역의 제 1 기부 조편이 접합되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 및 제 2 영역의 제 2 기부 조편이 접합되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의 적어도 어느 것에 미끄럼 방지 구조가 형성되는,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용기.
[7] 지퍼 테이프의 폭 방향의 일방의 측에서 용기 본체에 개구가 형성되고, 제 1 기부 조편은, 폭 방향의 제 1 걸어맞춤부보다 개구측에서 제 1 영역에 접합되지 않는,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용기.
[8] 지퍼 테이프는, 제 1 및 제 2 기부 조편으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서로 걸어맞춤 가능한 제 3 및 제 4 걸어맞춤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용기.
[9] 용기 본체는 백 형상인,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용기.
[10] 제 1 및 제 2 기부 조편, 및 제 1 및 제 2 기부 조편으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서로 걸어맞춤 가능한 제 1 및 제 2 걸어맞춤부를 포함하는 지퍼 테이프를 공급하는 공정과, 제 1 및 제 2 기부 조편을 필름의 서로 대향하는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에 각각 접합하는 공정과, 필름을 절단하여 용기 본체를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용기의 제조 방법으로서, 용기 본체의 개구부의 길이를 n 으로 하고, 지퍼 테이프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부의 내측 단부까지의 거리를 m 으로 한 경우에 m/n < 0.25 가 되는 적어도 1 개의 위치에 힌지를 형성하는 공정을 추가로 포함하는,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용기의 제조 방법.
[11] 힌지를 형성하는 공정은, 지퍼 테이프를 공급하는 공정과, 제 1 및 제 2 기부 조편을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에 각각에 접합하는 공정 사이에서 실행되는, [10] 에 기재된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용기의 제조 방법.
[12] 힌지를 형성하는 공정은, 제 1 및 제 2 기부 조편을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에 각각에 접합하는 공정보다 후에 실행되는, [10] 에 기재된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용기의 제조 방법.
[13]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을 지퍼 테이프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의 접합 영역에서 서로 접합하는 공정을 추가로 포함하고, 용기 본체를 형성하는 공정에서는, 필름을 접합 영역을 따라 절단하고, 힌지를 형성하는 공정은, 접합 영역을 걸치도록 배치되는 형성 수단으로 힌지를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12] 에 기재된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용기의 제조 방법.
[14] 지퍼 테이프를 공급하는 공정은, 통 형상의 가이드 부재를 이용하여 지퍼 테이프를 가이드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10]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용기의 제조 방법.
[15] 제 1 및 제 2 기부 조편, 및 제 1 및 제 2 기부 조편으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서로 걸어맞춤 가능한 제 1 및 제 2 걸어맞춤부를 포함하는 지퍼 테이프를 공급하는 수단과, 제 1 및 제 2 기부 조편을 필름의 서로 대향하는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에 각각 접합하는 수단과, 필름을 절단하여 용기 본체를 형성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용기의 제조 장치로서, 용기 본체의 개구부의 길이를 n 으로 하고, 지퍼 테이프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부의 내측 단부까지의 거리를 m 으로 한 경우에 m/n < 0.25 가 되는 적어도 1 개의 위치에 힌지를 형성하는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용기의 제조 장치.
[16] 지퍼 테이프를 공급하는 수단은, 내부에서 지퍼 테이프를 가이드하는 것이 가능한 통 형상의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15] 에 기재된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용기의 제조 장치.
[17] 제 1 및 제 2 기부 조편을 필름의 서로 대향하는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에 각각 접합하는 수단은, 제 1 및 제 2 기부 조편 사이에 개재 삽입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지 않는, [16] 에 기재된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용기의 제조 장치.
[18]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을 지퍼 테이프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의 접합 영역에서 서로 접합하는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용기 본체를 형성하는 수단은, 필름을 접합 영역을 따라 절단하고, 힌지를 형성하는 수단은, 접합 영역을 걸치도록 배치되는 형성 수단을 포함하는, [15] 내지 [1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용기의 제조 장치.
본 실시형태에서는, 용기 본체의 개구부의 길이를 n 으로 하고, 지퍼 테이프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부의 내측 단부까지의 거리를 m 으로 한 경우에 m/n < 0.25 가 되는 적어도 1 개의 위치에 힌지가 형성된다. 접합 영역에서는 지퍼 테이프의 기부 조편이 서로 접합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지퍼 테이프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접합 영역에 가까운 부분에서는 걸어맞춤부의 걸어맞춤 강도가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아진다. 힌지를 상기와 같은 위치에 형성하면, 힌지의 양측 구간에 있어서의 걸어맞춤 강도가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힌지로 걸어맞춤부의 형상이 변화됨에 따른 걸어맞춤 강도의 저하를 보충할 수 있다. 이로써,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백에 있어서 힌지에 있어서의 걸어맞춤 강도가 상대적으로 약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백의 평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백의 II-II 선 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백에 형성되는 박육부와 그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백의 평면도이다.
도 5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백의 평면도이다.
도 6 은 의도하지 않는 개봉을 방지하는 지퍼 테이프의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 은 지퍼 테이프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백을 제조하는 삼방 제대기의 사시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힌지의 형성 수단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가이드 부재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가이드 부재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함으로써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백의 평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백의 II-II 선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백 (100) 은, 필름 (110) 과, 지퍼 테이프 (120) 를 포함한다. 필름 (110) 은, 서로 대향하는 제 1 영역 (111A) 및 제 2 영역 (111B) 을 포함하는 백 본체를 형성한다. 지퍼 테이프 (120) 는, 제 1 영역 (111A) 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합되는 기부 조편 (121A), 제 2 영역 (111B) 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합되는 기부 조편 (121B), 및 기부 조편 (121A, 121B) 으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서로 걸어맞춤 가능한 1 쌍의 걸어맞춤부 (122) (걸어맞춤부 (122A, 122B)) 를 포함한다.
필름 (110) 은, 예를 들어 단층 또는 다층의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된다. 열가소성 수지는, 구체적으로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LDPE), 직사슬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LLDPE), 또는 폴리프로필렌 (PP) 이어도 된다. PP 는, 호모 폴리프로필렌 (HPP), 랜덤 폴리프로필렌 (RPP), 또는 블록 폴리프로필렌 (BPP) 이어도 된다. 필름 (110) 이 다층의 필름인 경우, 겉면 기재에 2 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OPP), 2 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OPET), 또는 2 축 연신 나일론 (ONy) 을 사용해도 된다. 이들은, 화석 연료 유래의 수지에 한정되지 않고, 환경을 배려한 바이오 플라스틱이어도 되고, 화석 연료 유래의 수지와 바이오 플라스틱의 혼합물을 사용해도 된다. 바이오 플라스틱으로는, 예를 들어 바이오 폴리에틸렌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름 (110) 은 알루미늄 등의 금속 재료나, 무기 재료의 층을 포함해도 된다. 예를 들어, 필름 (110) 을 지퍼 테이프 (120) 와 함께 폴리에틸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로 모노머티리얼화함으로써, 리사이클성이 우수한 환경을 배려한 구성이 가능해진다.
필름 (110) 의 두께는, 예를 들어 20 ㎛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35 ㎛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 이상이다. 또한, 필름 (110) 의 두께는, 예를 들어 300 ㎛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200 ㎛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80 ㎛ 이하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2 장의 필름 (110) 이 중첩되어, 보텀 시일 (112) 및 사이드 시일 (113) 에 있어서 서로 접합됨으로써 제 1 영역 (111A) 및 제 2 영역 (111B) 을 형성하고 있지만,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1 장의 필름 (110) 이 보텀 시일 (112) 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되접혀, 사이드 시일 (113) 에 있어서 서로 접합되어도 된다. 사이드 시일 (113) 은, 지퍼 테이프 (120) 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형성되고, 제 1 영역 (111A), 지퍼 테이프 (120) 의 기부 조편 (121A, 121B), 및 제 2 영역 (111B) 이 이 순서로 중첩되어 서로 접합되는 접합 영역이다.
또, 보텀 시일 (112) 또는 사이드 시일 (113) 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필름이 내측으로 접힌 부분, 이른바 거싯이 형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거싯은, 제 1 면 (111A) 또는 제 2 면 (111B) 과 동일한 필름에 의해 형성되어도 되고, 이들과는 상이한 필름에 의해 형성되어도 된다. 또,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백 (100) 은, 저부에 거싯이 형성됨으로써 세워 두는 것이 가능한 스탠딩 파우치여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텀 시일 (112) 및 사이드 시일 (113) 이 형성되는 한편, 톱 시일이 형성되지 않음으로써 백 본체에 개구가 형성되어 있지만,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보텀 시일 및 사이드 시일에 더하여 톱 시일이 형성되고, 톱 시일과 지퍼 테이프 사이를 절단함으로써 사후적으로 백체에 개구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도 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지퍼 테이프와는 반대측에 있는 보텀 시일이 형성되지 않는 상태에서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백이 제공되어도 된다. 이 경우, 보텀 시일은 백에 내용물을 충전한 후에 형성된다. 이것 이외에도, 공지된 각종 구성의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백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지퍼 테이프 (120) 는,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압출 성형에 의해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지퍼 테이프 (120) 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LDPE), 직사슬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LLDPE), 또는 폴리프로필렌 (PP) 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PP 는, 호모 폴리프로필렌 (HPP), 랜덤 폴리프로필렌 (RPP), 또는 블록 폴리프로필렌 (BPP) 이어도 된다. 이들은, 화석 연료 유래의 수지에 한정되지 않고, 환경을 배려한 바이오 플라스틱이어도 되고, 화석 연료 유래의 수지와 바이오 플라스틱의 혼합물을 사용해도 된다. 바이오 플라스틱으로는, 예를 들어 바이오 폴리에틸렌이 바람직하다. 지퍼 테이프 (120) 의 재료에는, 필요에 따라, 공지된 첨가제, 예를 들어 안정제, 산화 방지제, 활제, 대전 방지제, 또는 착색제 등이 첨가되어도 된다.
또, 지퍼 테이프 (120) 는, 폴리에틸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로 모노머티리얼화되어도 된다. 이 경우, 지퍼 테이프 (120) 의 전체는, 모두 폴리에틸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다. 여기서, 주성분은, 수지 조성물의 소정 비율 이상을 차지하는 성분이고, 함유량이 통상 50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7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5 질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8 질량%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 % 인 성분이다. 단, 주성분의 함유량이 100 % 인 경우에도, 첨가제나 불순물의 혼합은 허용된다. 또한, 주성분은, 예를 들어 IR 법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폴리에틸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로 지퍼 테이프 (120) 를 모노머티리얼화함으로써, 리사이클성이 우수한 환경을 배려한 구성이 가능해진다. 또, 폴리에틸렌으로서 바이오 폴리에틸렌을 사용함으로써, 더욱 리사이클성이 우수한 환경을 배려한 구성이 가능해진다.
또한, 지퍼 테이프 (120) 에 있어서, 걸어맞춤부 (122A, 122B) 의 형상은, 도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고, 클로 형상, 갈고리 형상, 또는 혹 (knob) 형상 등을 조합한 공지된 각종 지퍼의 걸어맞춤부의 형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시된 예에서는 걸어맞춤부 (225A) 가 수형, 걸어맞춤부 (225B) 가 암형이지만, 반대여도 된다. 또, 도시된 예에서는 1 쌍의 걸어맞춤부가 배치되어 있지만, 복수 쌍의 걸어맞춤부가 배치되어도 된다.
도 3 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백에 형성되는 박육부와 그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3 은 도 1 및 도 2 에 나타낸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백의 III-III 선 단면도에 해당한다. 도 1 및 도 3(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백 (100) 에서는, 지퍼 테이프 (120) 의 걸어맞춤부 (122) 를 포함하는 부분에 박육부 (131A, 131B) 가 형성된다. 박육부 (131A, 131B) 는, 지퍼 테이프 (120) 의 걸어맞춤부 (122A, 122B) 가, 기부 조편 (121A, 121B) 및 백 본체를 형성하는 필름 (110) 과 함께, 예를 들어 후술하는 바와 같은 가압 가공에 의해 박육화됨으로써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지퍼 테이프 (120) 중에서 요철이 있는 단면 형상의 걸어맞춤부 (122A, 122B) 가 박육화됨으로써, 박육부 (131A, 131B) 가 지퍼 테이프 (120) 의 힌지로서 기능한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서 힌지는, 지퍼 테이프 (120) 의 길이 방향으로 굽힘 모멘트가 전달되지 않거나, 또는 상대적으로 약화됨으로써, 지퍼 테이프 (120) 의 처짐각이 불연속이 되는 점을 의미한다. 따라서, 힌지에서는, 지퍼 테이프 (120) 를 용이하게 굴곡시킬 수 있다.
도 3(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와 같은 힌지가, 박육부 (131A, 131B) 로서 지퍼 테이프 (120) 의 길이 방향의 2 개의 위치에 형성된다. 여기서, 박육부 (131A, 131B) 는, 지퍼 테이프 (120) 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된다.
여기서, 박육부 (131A, 131B) 는, 백 본체의 개구부의 길이를 n 으로 하고, 지퍼 테이프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부의 내측 단부 (길이 (n) 의 구간의 양단) 까지의 거리를 m 으로 한 경우에 m/n < 0.25 가 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m/n ≤ 0.22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m/n ≤ 0.20, 더욱 바람직하게는 m/n ≤ 0.16, 특히 바람직하게는 m/n ≤ 0.12 이다. m/n 의 하한값은 0 이어도 되지만, m/n ≥ 0.01 이상이 바람직하고, m/n ≥ 0.03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m/n ≥ 0.05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범위로 함으로써, 개봉성과, 의도하지 않는 개봉을 보다 높은 정확도로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양립할 수 있다. 여기서, 백 본체의 개구부의 길이 (n) 는, 예를 들어 30 mm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50 mm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mm 이상이다. 또, 백 본체의 개구부의 길이 (n) 는, 예를 들어 500 mm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400 mm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50 mm 이하이다.
박육부 (131A, 131B) 는, 지퍼 테이프 (120) 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접합 영역인 사이드 시일 (113) 까지의 거리 (m) 가 20 mm 이하가 되는 위치에 형성되어도 된다. 여기서, 거리 (m) 는, 박육부 (131A, 131B) 의 각각에 가까운 측의 사이드 시일 (113) 의 단가장자리로부터, 박육부 (131A, 131B) 의 당해 사이드 시일 (113) 과는 반대측의 단가장자리까지의 거리이다. 바꾸어 말하면, 박육부 (131A, 131B) 가 형성되는 영역은, 가까운 측의 사이드 시일 (113) 의 단가장자리로부터 각각 거리 (m) 의 범위 내에 있다. 거리 (m) 는 바람직하게는 18 mm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m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mm 이하이다. 또한, 거리 (m) 는 0 mm 여도 되지만, 개봉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3 mm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mm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 mm 이상이다. 거리 (m) 는, 동일한 값이어도 되고, 각각 상이한 값이어도 된다.
상기와 같은 박육부 (131A, 131B) 가 형성됨으로써, 도 3(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박육부 (131A, 131B) 의 중간 부근에서 필름 (110) 의 제 1 영역 (111A) 및 제 2 영역 (111B) 이 지퍼 테이프 (120) 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엇갈리게 슬라이드되면, 박육부 (131A) 에서는 걸어맞춤부 (122B) 가 걸어맞춤부 (122A) 로부터 떨어져 굴곡되고, 박육부 (131B) 에서는 걸어맞춤부 (122A) 가 걸어맞춤부 (122B) 로부터 떨어져 굴곡된다. 이 결과, 박육부 (131A, 131B) 의 근방에서 걸어맞춤부 (122A) 와 걸어맞춤부 (122B) 의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예를 들어, 이 때 박육부 (131A, 131B) 의 근방에 형성된 개구부에 손가락 등을 넣어 밀어 엶으로써, 지퍼 테이프 (120) 의 전체에서 걸어맞춤부 (122A, 122B) 의 걸어맞춤을 해제하고,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백 (100) 을 개봉할 수 있다.
또, 상기와 같은 개봉 동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영역 (111A) 및 제 2 영역 (111B) 의 지퍼 테이프 (120) 의 기부 조편 (121A, 121B) 이 접합되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미끄럼 방지 구조 (140) 가 형성되어도 된다. 미끄럼 방지 구조 (140) 는, 예를 들어 도시된 예와 같이 박육부 (131A, 131B) 가 형성되는 2 개의 위치 사이에 형성된다. 혹은, 미끄럼 방지 구조 (140) 는, 예를 들어 박육부 (131A, 131B) 를 포함하는 지퍼 테이프 (120) 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도 된다. 미끄럼 방지 구조 (140) 는, 구체적으로 필름 (110) 과 사용자의 손가락 사이의 마찰 계수를 크게 하기 위한 조면화 가공 또는 엠보싱 가공, 또는 점착 가공 등일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박육부 (131A, 131B) 가, 백 본체의 개구부의 길이를 n 으로 하고, 지퍼 테이프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부의 내측 단부까지의 거리를 m 으로 한 경우에 m/n < 0.25 가 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개구부의 내측 단부를 형성하는 사이드 시일 (113) 에서는 지퍼 테이프 (120) 의 기부 조편 (121A, 121B) 이 서로 접합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지퍼 테이프 (120) 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사이드 시일 (113) 에 가까운 부분에서는 걸어맞춤부 (122) 의 걸어맞춤 강도가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아진다. 박육부 (131A, 131B) 를 상기와 같은 위치에 형성하면, 박육부 (131A, 131B) 의 양측 구간에 있어서의 걸어맞춤 강도가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박육부 (131A, 131B) 에서 걸어맞춤부 (122) 의 형상이 변화되는 것에 의한 걸어맞춤 강도의 저하를 보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백 (100) 에 있어서 박육부 (131A, 131B) 에 있어서의 걸어맞춤 강도가 상대적으로 약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박육부 (131A, 131B) 모두 포함하지 않는 구간에 있어서의 지퍼 테이프 (120) 의 걸어맞춤 강도가 26 N/50 mm 이상이면, 박육부 (131A, 131B) 를 기점으로 한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백 (100) 의 의도하지 않는 개봉을 방지할 수 있다. 박육부 (131A, 131B) 의 어느 것도 포함하지 않는 구간에 있어서의 지퍼 테이프 (120) 의 걸어맞춤 강도는, 바람직하게는 30 N/50 mm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N/50 mm 이상이다. 걸어맞춤 강도는, 예를 들어 디지털 포스 게이지 (이마다사 제조) 를 사용하여 이하와 같이 하여 측정할 수 있다. 먼저, 길이 방향에서 50 mm 로 커트한 지퍼 테이프의 걸어맞춤부로부터 2 mm 의 부분에서 기부 조편 (121A, 121B) 을 각각 유지한다. 다음에, 기부 조편 (121A) 을 고정한 채, 기부 조편 (121B) 을 끌어올려 걸어맞춤부 (122) 의 걸어맞춤이 해제될 때까지의 강도를 측정하고, 최대 하중시의 측정 결과를 걸어맞춤 강도로 한다. 길이 방향의 길이가 50 mm 에 미치지 않는 경우, 그 길이를 X mm 로 하면, 측정 결과 N/X mm 에 50/X 를 곱함으로써, N/50 mm 로 환산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도 4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백의 평면도이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백 (200) 에서는, 지퍼 테이프 (120) 의 걸어맞춤부 (122) 를 포함하는 부분에 절입부 (132A, 132B) 가 형성된다. 도시된 예에서는, 절입부 (132A, 132B) 가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백 (200) 의 양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절입부 (132A) 는 필름 (110) 의 제 1 영역 (111A) 에서 지퍼 테이프 (120) 의 기부 조편 (121A) 및 걸어맞춤부 (122A, 122B) 까지 형성되고, 절입부 (132B) 는 필름 (110) 의 제 2 영역 (111B) 에서 지퍼 테이프 (120) 의 기부 조편 (121B) 및 걸어맞춤부 (122A, 122B) 까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이외의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백 (200) 의 구성은, 상기에서 설명한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백 (100) 과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지퍼 테이프 (120) 중에서 요철이 있는 단면 형상의 걸어맞춤부 (122A, 122B) 에 도달하는 절입부 (132A, 132B) 가 지퍼 테이프 (120) 의 힌지로서 기능한다. 제 1 실시형태에 대해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힌지에서는, 지퍼 테이프 (120) 를 용이하게 굴곡시킬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절입부 (132A, 132B) 는, 지퍼 테이프 (120) 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절입부 (132A, 132B) 는, 지퍼 테이프 (120) 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접합 영역인 사이드 시일 (113) 까지의 거리 (m) 가 20 mm 이하가 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거리 (m) 의 정의에 대해서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며, 절입부 (132A, 132B) 가 형성되는 영역은, 가까운 측의 사이드 시일 (113) 의 단가장자리로부터 각각 거리 (m) 의 범위 내에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서도,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지퍼 테이프 (120) 에 형성되는 절입부 (132A, 132B) 가 힌지로서 기능함으로써, 강성이 비교적 높은 재료로 지퍼 테이프 (120) 가 형성되는 경우라도 절입부 (132A, 132B) 에서 지퍼 테이프 (120) 의 걸어맞춤부 (122A, 122B) 의 어느 일방을 굴곡시키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도, 절입부 (132A, 132B) 가 백 본체의 개구부의 길이를 n 으로 하고, 지퍼 테이프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부의 내측 단부까지의 거리를 m 으로 한 경우에 m/n < 0.25 가 되는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절입부 (132A, 132B) 에서 걸어맞춤부 (122) 가 결락되는 것에 의한 걸어맞춤 강도의 저하를 보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백 (200) 에서 절입부 (132A, 132B) 에 있어서의 걸어맞춤 강도가 상대적으로 약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도 5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백의 평면도이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백 (300) 에서는, 지퍼 테이프 (120) 의 걸어맞춤부 (122) 를 포함하는 부분에 펀치 구멍 (133A, 133B) 이 형성된다. 도시된 예에서는, 펀치 구멍 (133A, 133B) 이, 각각 지퍼 테이프 (120) 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펀치 구멍 (133A, 133B) 은, 예를 들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지퍼 테이프 (120) 를 필름 (110) 에 접합하기 전에 실시되는 공정에 의해, 지퍼 테이프 (120) 의 기부 조편 (121A), 걸어맞춤부 (122A, 122B), 및 기부 조편 (121B) 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이외의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백 (300) 의 구성은, 상기에서 설명한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백 (100) 과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지퍼 테이프 (120) 중에서 요철이 있는 단면 형상의 걸어맞춤부 (122A, 122B) 를 관통하는 펀치 구멍 (133A, 133B) 이, 지퍼 테이프 (120) 의 힌지로서 기능한다. 제 1 실시형태에 대해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힌지에서는, 지퍼 테이프 (120) 를 용이하게 굴곡시킬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펀치 구멍 (133A, 133B) 은, 지퍼 테이프 (120) 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펀치 구멍 (133A, 133B) 은, 지퍼 테이프 (120) 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접합 영역인 사이드 시일 (113) 까지의 거리 (m) 가 20 mm 이하가 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거리 (m) 의 정의에 대해서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며, 펀치 구멍 (133A, 133B) 이 형성되는 영역은, 가까운 측의 사이드 시일 (113) 의 단가장자리로부터 각각 거리 (m) 의 범위 내에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서도,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지퍼 테이프 (120) 에 형성되는 펀치 구멍 (133A, 133B) 이 힌지로서 기능함으로써, 강성이 비교적 높은 재료로 지퍼 테이프 (120) 가 형성되는 경우라도 펀치 구멍 (133A, 133B) 에서 지퍼 테이프 (120) 의 걸어맞춤부 (122A, 122B) 의 어느 일방을 굴곡시키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도, 펀치 구멍 (133A, 133B) 이 백 본체의 개구부의 길이를 n 으로 하고, 지퍼 테이프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부의 내측 단부까지의 거리를 m 으로 한 경우에 m/n < 0.25 가 되는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펀치 구멍 (133A, 133B) 에서 걸어맞춤부 (122) 가 결락되는 것에 의한 걸어맞춤 강도의 저하를 보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백 (300) 에서 펀치 구멍 (133A, 133B) 에 있어서의 걸어맞춤 강도가 상대적으로 약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지퍼 테이프의 양단부의 각각에서 백 본체의 개구부의 길이를 n 으로 하고, 지퍼 테이프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부의 내측 단부까지의 거리를 m 으로 한 경우에 m/n < 0.25 가 되는 2 개의 위치에 힌지가 형성되는 예에 대해 설명했지만, 힌지는 지퍼 테이프의 양단부의 어느 일방에서, 1 개의 위치에만 형성되어도 된다. 또,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용기 본체가 백 형상인 예에 대해 설명했지만, 백 형상 이외의 용기 본체와 지퍼 테이프를 포함하는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용기가 제공되어도 된다.
(의도하지 않는 개봉을 방지하는 지퍼 테이프의 예)
도 6 은 예를 들어 상기 제 1 내지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 채용 가능한, 의도하지 않는 개봉을 방지하는 지퍼 테이프의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예에서는, 수형의 걸어맞춤부 (122A) 측의 기부 조편 (121C) 이, 지퍼 테이프의 폭 방향에서 걸어맞춤부 (122A) 보다 개구측으로는 연장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기부 조편 (121C) 은 지퍼 테이프의 폭 방향의 걸어맞춤부 (122A) 보다 개구측에서 필름 (110) 의 제 1 영역 (111A) 에 접합되지 않는다. 이로써, 지퍼 테이프보다 개구측에서 필름 (110) 을 잡아도 걸어맞춤부 (122) 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없기 때문에, 통상적인 방법에 의한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백 (100) 의 개봉은 곤란해진다. 이와 같은 경우에도 상기에서 도 3 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한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백 (100) 의 개봉은 가능하기 때문에,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은 지퍼 테이프의 구성은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백 (100) 의 의도하지 않는 개봉을 방지하기 위해서 유효하다.
도 7 은 지퍼 테이프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예를 들어 상기에서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은 지퍼 테이프에 있어서, 기부 조편 (121C) 및 기부 조편 (121B) 으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서로 걸어맞춤 가능한 걸어맞춤부 (122C, 122D) 를 추가로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 지퍼 테이프는, 걸어맞춤부 (122A, 122B) 및 걸어맞춤부 (122C, 122D) 의 2 세트의 걸어맞춤부에 의해 걸어맞춰지기 때문에, 걸어맞춤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도시된 예와 같이 편측의 기부 조편 (121C) 을 지퍼 테이프의 폭 방향의 걸어맞춤부 (122A) 보다 개구측에서 필름 (110) 의 제 1 영역 (111A) 에 접합하지 않음으로써 개봉을 곤란하게 하는 경우에 유효하지만, 도 2 에 나타낸 예와 같이 양방의 기부 조편이 폭 방향의 양측에서 필름에 접합되는 경우에 채용되어도 된다. 또한, 걸어맞춤부 (122C, 122D) 에 대해서도 상기에서 설명한 박육부 (131A, 131B), 절입부 (132A, 132B) 또는 펀치 구멍 (133A, 133B) 과 같은 힌지가 형성되는 것이 개봉성의 관점에서는 바람직하지만, 보다 높은 밀봉성과 개봉성을 양립시키기 위해, 개구측의 걸어맞춤부 (122A, 122B) 에만 힌지를 형성하고, 수납 공간측의 걸어맞춤부 (122C, 122D) 에는 힌지를 형성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혹은, 도시된 예와는 반대로, 힌지가 형성되지 않는 걸어맞춤부 (122C, 122D) 를 개구측에 배치하고, 힌지가 형성되는 걸어맞춤부 (122A, 122B) 를 수납 공간측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걸어맞춤부 (122A, 122B) 와 걸어맞춤부 (122C, 122D) 의 양방에 힌지를 형성하는 경우, 양자의 m 의 값은 상이해도 되지만, 동일한 값인 것이 보다 원활한 개봉성을 실현하는 관점에서는 바람직하다.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백의 제조 방법)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백을 제조하는 삼방 제대기의 사시도이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삼방 제대기 (600) 에서는, 필름 공급부 (601) 가 필름 롤 (602) 에 권회된 필름 (110) 을 조출하고, 절단날 (도시하지 않음) 을 이용하여 폭 방향으로 절단하여 서로 대향하는 1 쌍의 부분 (제 1 영역 (111A) 및 제 2 영역 (111B)) 을 형성한다. 한편, 테이프 공급부 (603) 는, 테이프 롤 (604) 에 권회된 지퍼 테이프 (120) 를 조출하고, 가이드 부재 (도시하지 않음) 를 이용하여 필름 (110) 의 제 1 영역 (111A) 및 제 2 영역 (111B) 사이의 소정의 위치에 공급한다. 시일 바 (605) 는, 지퍼 테이프 (120) 의 기부 조편 (121A, 121B) 을 필름 (110) 의 제 1 영역 (111A) 및 제 2 영역 (111B) 에 각각 접합한다. 접합에는, 히트 시일, 초음파에 의한 용착, 또는 접착제를 사용한 접착 등이 사용된다.
지퍼 테이프 (120) 가 접합된 후의 필름 (110) 에는, 시일 바 (606) 에 의해 제 1 영역 (111A) 및 제 2 영역 (111B) 사이에 보텀 시일 (112) 이 형성되고, 동일하게 시일 바 (607) 에 의해 사이드 시일 (113) 이 형성된다. 필름 (110) 을 보텀 시일 (112) 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절단하는 절단날 (608) 및 사이드 시일 (113) 을 따라 폭 방향으로 절단하는 절단날 (609) 을 사용하여 필름 (110) 으로 백 본체를 형성하는 공정을 거쳐,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백 (100) 이 제조된다. 제 2 및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백 (200, 300) 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여기서, 도 8 에는 지퍼 테이프 (120) 에 박육부 (131A, 131B), 절입부 (132A, 132B), 또는 펀치 구멍 (133A, 133B) 과 같은 힌지를 형성하는 수단이 도시되어 있지 않다. 힌지를 형성하는 수단은, 예를 들어 도 8 에 나타낸 화살표 (P1 ∼ P4) 중 어느 부분에 배치된다. 화살표 (P1) 은, 지퍼 테이프 (120) 를 공급하는 테이프 공급부 (603) 와, 지퍼 테이프 (120) 의 기부 조편 (121A, 121B) 을 필름 (110) 의 제 1 영역 (111A) 및 제 2 영역 (111B) 에 접합하는 시일 바 (605) 사이에 위치한다. 화살표 (P2) 는, 시일 바 (605) 보다 뒤, 또한 보텀 시일 (112) 을 형성하는 시일 바 (606) 의 앞에 위치한다. 화살표 (P3) 은 시일 바 (606) 보다 뒤, 또한 사이드 시일 (113) 을 형성하는 시일 바 (607) 의 앞에 위치하고, 화살표 (P4) 는 시일 바 (607) 보다 뒤에 위치한다.
도 9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힌지의 형성 수단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예에서는, 도 8 에 나타낸 화살표 (P4) 의 위치, 즉 필름 (110) 의 제 1 영역 (111A) 및 제 2 영역 (111B) 사이에 사이드 시일 (113) 이 형성된 후의 위치에 있어서, 돌기부 (611) (돌기부 (611A, 611B)) 를 갖는 가압자 (610A, 610B) 를 사용하여 제 1 영역 (111A) 및 제 2 영역 (111B) 을 양측으로부터 가압함으로써,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백 (100) 의 박육부 (131A, 131B) 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가압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지퍼 테이프 (120) 의 걸어맞춤부 (122) 를 그 형상을 유지한 채로 박육화하고, 지퍼 테이프 (120) 의 봉지 기능을 유지하면서 박육부 (131A, 131B) 를 형성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필름 (110) 이 사이드 시일 (113) 을 따라 절단되기 전의 상태에서, 사이드 시일 (113) 을 걸치도록 가압자 (610A, 610B) 가 배치된다. 이로써, 박육부 (131A, 131B) 가 사이드 시일 (113) 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는 경우, 구체적으로는 백 본체의 개구부의 길이를 n 으로 하고, 지퍼 테이프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부의 내측 단부까지의 거리를 m 으로 한 경우에 m/n < 0.25 가 되는 위치에 박육부 (131A, 131B) 가 형성되는 경우에, 효율적으로 박육부 (131A, 131B) 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백 (100) 의 폭이 변경된 경우에도, 동일한 가압자 (610A, 610B) 를 사용하여 박육부 (131A, 131B) 를 형성할 수 있다. 요컨대, 본 실시형태에서는, 박육부 (131A, 131B) 와 같은 힌지를 단부에 가깝게 형성함으로써,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백 (100) 의 폭이 크게 변하지 않으면 백 본체의 단부로부터 힌지까지의 거리가 일정해져, 백의 폭에 상관없이 동일한 지그로 힌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에서는,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백 (100) 의 폭마다 상이한 지그로 힌지가 형성되어도 되고, 양측의 힌지의 각각이 다른 지그로 형성되어도 된다.
상기 예에서는 돌기부 (611) 를 사용하여 박육부 (131A, 131B) 가 형성되는데, 동일하게, 돌기부 (611) 대신에 절입날을 형성함으로써,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백 (200) 의 절입부 (132A, 132B) 를 형성할 수 있다. 또, 돌기부 (611) 대신에 펀치를 형성하고, 펀치에 대향하는 위치에 펀치에 대응하는 형상의 다이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백 (300) 의 펀치 구멍 (133A, 133B) 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예에서는, 박육부 (131A) 가 제 1 영역 (111A) 측으로부터의 가압에 의해 형성되고, 박육부 (131B) 가 제 2 영역 (111B) 측으로부터의 가압에 의해 형성되지만, 박육부 (131A, 131B) 의 양방이, 제 1 영역 (111A) 측 또는 제 2 영역 (111B) 측의 어느 일방 또는 양방으로부터의 가압에 의해 형성되어도 된다.
또, 상기 예에서는 도 8 에 나타낸 화살표 (P4) 의 위치에 있어서 지퍼 테이프 (120) 에 힌지를 형성하지만, 화살표 (P1 ∼ P3) 의 어느 위치에서 힌지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화살표 (P1) 의 위치에서 힌지를 형성하는 경우, 지퍼 테이프 (120) 가 필름 (110) 에 접합되기 전이므로, 필름 (110) 에 영향을 주지 않고 지퍼 테이프 (120) 에 힌지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3 실시형태와 같은 펀치 구멍 (133A, 133B) 을 형성하는 경우, 백 본체의 강도 및 봉지성을 확보하기 위해, 지퍼 테이프 (120) 를 필름 (110) 에 접합되기 전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화살표 (P2 ∼ P4) 의 위치에서 힌지를 형성하는 경우, 예를 들어 박육부 (131A, 131B) 나 절입부 (132A, 132B) 가 필름 (110) 에도 형성되지만, 제 1 영역 (111A) 및 제 2 영역 (111B) 사이에 사이드 시일 (113) 이 형성되는 공정에 가까운 공정에서 힌지가 형성되기 때문에, 힌지와 사이드 시일 (113) (즉, 지퍼 테이프 (120) 의 단부) 사이의 위치맞춤의 정밀도가 향상된다.
또한, 상기 예에서는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백이 삼방 제대기에 의해 제조되었지만, 삼방 제대기에는 한정되지 않고, 다른 각종 제대기에 있어서도, 지퍼 테이프를 공급하는 공정과 지퍼 테이프를 필름에 접합하는 공정 사이, 또는 지퍼 테이프를 필름에 접합하는 공정보다 후에, 도 9 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장치를 장착함으로써, 지퍼 테이프에 힌지가 형성된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백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지퍼 테이프를 가이드하는 장치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어느 도면이라도 상기에서 도 6 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일방의 기부 조편 (121C) 이 걸어맞춤부 (122A) 보다 개구측에서 필름 (110) 의 제 1 영역 (111A) 에 접합되지 않는 지퍼 테이프의 예가 나타나 있지만, 도 10 및 도 11 에 예시된 구성은 그 이외의 지퍼 테이프에도 적용 가능하다. 각각의 도면에는, (A) 로서 도 8 에 나타낸 시일 바 (605) 의 전단 부분에서 지퍼 테이프를 가이드하기 위한 구성이, (B) 로서 시일 바 (605) 의 부분의 구성이, 각각 나타나 있다.
도 10 의 예에서는,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름 (110) 의 제 1 영역 (111A) 과 제 2 영역 (111B) 사이, 또한 지퍼 테이프의 기부 조편 (121B 과 121C) 사이에 개재 삽입되는 플레이트 (651, 652) 를 이용하여 지퍼 테이프를 가이드한다. 지퍼 테이프의 걸어맞춤부 (122A, 122B) 의 폭 방향 위치가 플레이트 (651) 와 플레이트 (652) 사이에 고정됨으로써, 필름 (110) 에 대한 지퍼 테이프의 위치결정을 할 수 있다.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8 에서 시일 바 (605) 로서 나타낸 부분에서는, 시일 바 (653A) 가 플레이트 (651, 652) 와의 사이에 제 1 영역 (111A) 및 기부 조편 (121C) 을 끼워 넣고, 시일 바 (653B) 가 플레이트 (651, 652) 와의 사이에 제 2 영역 (111B) 을 끼워 넣음으로써, 지퍼 테이프를 필름 (110) 에 접합한다.
한편, 도 11 의 예에서는,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름 (110) 의 제 1 영역 (111A) 과 제 2 영역 (111B) 사이에 배치되는 통 형상의 가이드 부재 (654) 의 내부에서 지퍼 테이프를 가이드한다. 기부 조편 (121B) 의 폭 방향 위치가 가이드 부재 (654) 의 측벽 사이에 고정됨으로써, 필름 (110) 에 대한 지퍼 테이프의 위치결정을 할 수 있다.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8 에서 시일 바 (605) 로서 나타낸 부분에서는, 시일 바 (653A, 653B) 가 제 1 영역 (111A) 및 제 2 영역 (111B), 그리고 그들 사이에 배치된 기부 조편 (121B 및 121C) 을 끼워 넣음으로써, 지퍼 테이프를 필름 (110) 에 접합한다.
도 11 에 타나낸 바와 같은 구성은, 예를 들어 시일 온도 등의 조건 때문에 시일 바 (653A, 653B) 가 사이에 플레이트를 끼울 필요가 없는 경우에 유효할 수 있다. 또, 도시된 예와 같이 일방의 기부 조편 (121C) 의 걸어맞춤부 (122A) 로부터 돌출되는 플랜지 부분이 짧거나, 또는 형성되지 않는 경우에는, 플레이트 (651, 652) 보다 통 형상의 가이드 부재 (654) 를 사용한 쪽이 보다 확실하게 지퍼 테이프의 위치결정이 가능하다. 또한, 가이드 부재 (654) 는 반드시 도시된 바와 같은 직사각형 단면이 아니어도 되고, 예를 들어 직사각형 이외의 다각형 단면이어도 되고, 도면 중의 상방 또는 하방이 개방된 U 자형 단면이어도 된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들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 있어서, 각종 변경예 또는 수정예에 상도할 수 있음은 분명하며, 이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100, 200, 300 :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백
110 : 필름
111A : 제 1 영역
111B : 제 2 영역
112 : 보텀 시일
113 : 사이드 시일
120 : 지퍼 테이프
121A, 121B, 121C : 기부 조편
122, 122A, 122B : 걸어맞춤부
131A, 131B : 박육부
132A, 132B : 절입부
133A, 133B : 펀치 구멍
140 : 미끄럼 방지 구조
600 : 삼방 제대기
601 : 필름 공급부
602 : 필름 롤
603 : 테이프 공급부
604 : 테이프 롤
605, 606, 607 : 시일 바
608, 609 : 절단날
610A, 610B : 가압자
611, 611A, 611B : 돌기부
651, 652 : 플레이트
653A, 653B : 시일 바
654 : 가이드 부재

Claims (18)

  1. 서로 대향하는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을 적어도 포함하는 용기 본체와,
    상기 제 1 영역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합되는 제 1 기부 조편, 상기 제 2 영역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합되는 제 2 기부 조편, 및 상기 제 1 및 제 2 기부 조편으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서로 걸어맞춤 가능한 제 1 및 제 2 걸어맞춤부를 포함하는 지퍼 테이프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 본체의 개구부의 길이를 n 으로 하고, 상기 지퍼 테이프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개구부의 내측 단부까지의 거리를 m 으로 한 경우에 m/n < 0.25 가 되는 적어도 1 개의 위치에 힌지가 형성되는,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는, 상기 개구부의 내측 단부까지의 거리 (m) 가 20 mm 이하가 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용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퍼 테이프의 상기 힌지를 포함하지 않는 부분의 걸어맞춤 강도가 26 N/50 mm 이상인,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용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는, 상기 제 1 및 제 2 걸어맞춤부에 형성되는 박육부 또는 절입부를 포함하는,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용기.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는, 상기 제 1 및 제 2 기부 조편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걸어맞춤부를 관통하는 펀치 구멍을 포함하는,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용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의 상기 제 1 기부 조편이 접합되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 및 상기 제 2 영역의 상기 제 2 기부 조편이 접합되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의 적어도 어느 것에 미끄럼 방지 구조가 형성되는,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용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퍼 테이프의 폭 방향의 일방의 측에서 상기 용기 본체에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기부 조편은, 상기 폭 방향의 상기 제 1 걸어맞춤부보다 상기 개구측에서 상기 제 1 영역에 접합되지 않는,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용기.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퍼 테이프는, 상기 제 1 및 제 2 기부 조편으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서로 걸어맞춤 가능한 제 3 및 제 4 걸어맞춤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용기.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는 백 형상인,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용기.
  10. 제 1 및 제 2 기부 조편, 및 상기 제 1 및 제 2 기부 조편으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서로 걸어맞춤 가능한 제 1 및 제 2 걸어맞춤부를 포함하는 지퍼 테이프를 공급하는 공정과,
    상기 제 1 및 제 2 기부 조편을 필름의 서로 대향하는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에 각각 접합하는 공정과,
    상기 필름을 절단하여 용기 본체를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용기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용기 본체의 개구부의 길이를 n 으로 하고, 상기 지퍼 테이프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개구부의 내측 단부까지의 거리를 m 으로 한 경우에 m/n < 0.25 가 되는 적어도 1 개의 위치에 힌지를 형성하는 공정을 추가로 포함하는,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용기의 제조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를 형성하는 공정은, 상기 지퍼 테이프를 공급하는 공정과, 상기 제 1 및 제 2 기부 조편을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에 각각에 접합하는 공정 사이에서 실행되는,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용기의 제조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를 형성하는 공정은, 상기 제 1 및 제 2 기부 조편을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에 각각에 접합하는 공정보다 후에 실행되는,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용기의 제조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을 상기 지퍼 테이프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의 접합 영역에서 서로 접합하는 공정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용기 본체를 형성하는 공정에서는, 상기 필름을 상기 접합 영역을 따라 절단하고,
    상기 힌지를 형성하는 공정은, 상기 접합 영역을 걸치도록 배치되는 형성 수단으로 상기 힌지를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용기의 제조 방법.
  14. 제 10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퍼 테이프를 공급하는 공정은, 통 형상의 가이드 부재를 사용하여 상기 지퍼 테이프를 가이드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용기의 제조 방법.
  15. 제 1 및 제 2 기부 조편, 및 상기 제 1 및 제 2 기부 조편으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서로 걸어맞춤 가능한 제 1 및 제 2 걸어맞춤부를 포함하는 지퍼 테이프를 공급하는 수단과,
    상기 제 1 및 제 2 기부 조편을 필름의 서로 대향하는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에 각각 접합하는 수단과,
    상기 필름을 절단하여 용기 본체를 형성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용기의 제조 장치로서,
    상기 용기 본체의 개구부의 길이를 n 으로 하고, 상기 지퍼 테이프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개구부의 내측 단부까지의 거리를 m 으로 한 경우에 m/n < 0.25 가 되는 적어도 1 개의 위치에 힌지를 형성하는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용기의 제조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지퍼 테이프를 공급하는 수단은, 내부에서 상기 지퍼 테이프를 가이드하는 것이 가능한 통 형상의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용기의 제조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기부 조편을 필름의 서로 대향하는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에 각각 접합하는 수단은, 상기 제 1 및 제 2 기부 조편 사이에 개재 삽입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지 않는,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용기의 제조 장치.
  18. 제 15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을 상기 지퍼 테이프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의 접합 영역에서 서로 접합하는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용기 본체를 형성하는 수단은, 상기 필름을 상기 접합 영역을 따라 절단하고,
    상기 힌지를 형성하는 수단은, 상기 접합 영역을 걸치도록 배치되는 형성 수단을 포함하는,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용기의 제조 장치.
KR1020237016466A 2020-11-11 2021-11-11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용기,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용기의 제조 방법 및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용기의 제조 장치 KR2023010462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188086A JP2022077295A (ja) 2020-11-11 2020-11-11 ジッパーテープ付き容器、ジッパーテープ付き容器の製造方法およびジッパーテープ付き容器の製造装置
JPJP-P-2020-188086 2020-11-11
PCT/JP2021/041443 WO2022102686A1 (ja) 2020-11-11 2021-11-11 ジッパーテープ付き容器、ジッパーテープ付き容器の製造方法およびジッパーテープ付き容器の製造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4627A true KR20230104627A (ko) 2023-07-10

Family

ID=81601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6466A KR20230104627A (ko) 2020-11-11 2021-11-11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용기,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용기의 제조 방법 및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용기의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399146A1 (ko)
JP (1) JP2022077295A (ko)
KR (1) KR20230104627A (ko)
TW (1) TW202227338A (ko)
WO (1) WO20221026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2126224A1 (de) * 2022-10-10 2024-04-11 Cofresco Frischhalteprodukte Gmbh & Co. Kg Beutel für Lebensmittel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38171A1 (en) 2001-11-16 2003-07-24 Kikuchi Russell S. Method for opening profile zippers
WO2019111911A1 (ja) 2017-12-08 2019-06-13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ジッパーテープ付き袋、およびジッパーテープ付き袋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79244A (en) * 1982-09-30 1984-10-23 Steven Ausnit Easy opening bag
US5768852A (en) * 1992-06-29 1998-06-23 Pacmac, Inc. Vertical form, fill and seal machine, components and method for making reclosable bags
US6715262B2 (en) * 2001-04-27 2004-04-06 Illinois Tool Works Inc. Form, fill and seal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reclosable bags
KR200386190Y1 (ko) * 2005-03-26 2005-06-07 주식회사 뉴팩코리아 모서리 개봉형 개량 지퍼용기
JP5401064B2 (ja) * 2008-09-18 2014-01-29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テープ類の梱包装置、テープ類の梱包方法、および、テープ類の梱包箱
JP6297410B2 (ja) * 2014-05-21 2018-03-20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ジッパーテープ付袋体、ジッパーテープ付袋体の物品収納方法、および、ジッパーテープ付袋体の製造方法
JP6565150B2 (ja) * 2014-09-10 2019-08-28 凸版印刷株式会社 チャック付き包装袋
JP6445304B2 (ja) * 2014-10-29 2018-12-26 株式会社タキガワ・コーポレーション・ジャパン チャック付き包装袋
JP6487215B2 (ja) * 2015-01-09 2019-03-20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ジッパーテープ、ジッパーテープ付袋体、および、ジッパーテープ付袋体の製造方法
JP7308588B2 (ja) * 2016-06-21 2023-07-1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咬合具付き包装袋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38171A1 (en) 2001-11-16 2003-07-24 Kikuchi Russell S. Method for opening profile zippers
WO2019111911A1 (ja) 2017-12-08 2019-06-13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ジッパーテープ付き袋、およびジッパーテープ付き袋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077295A (ja) 2022-05-23
TW202227338A (zh) 2022-07-16
WO2022102686A1 (ja) 2022-05-19
US20230399146A1 (en) 2023-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79162B2 (ja) ジッパーテープ付き袋、およびジッパーテープ付き袋の製造方法
JP5123844B2 (ja) ファスナ付き包装袋
US9296522B2 (en) Easily tearable zipper tape and packaging bag with easily tearable zipper tape
JP6684144B2 (ja) ジッパーテープ体、係合部材付袋体、係合部材付袋体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装置
JP7037266B2 (ja) ジッパーテープ付袋体
KR20230104627A (ko)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용기,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용기의 제조 방법 및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용기의 제조 장치
JP7098032B2 (ja) 袋体、袋体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AU2000273153B2 (en) Fastener bag and fastener device
WO2018025792A1 (ja) テープ及び袋体
JP6487257B2 (ja) ジッパーテープ体およびジッパーテープ付袋体の製造方法
JP6864215B2 (ja) テープ挿入型易開封ガゼット袋
JP6495362B2 (ja) テープ及び袋体
WO2023002925A1 (ja) 容器、容器の製造方法、容器の製造装置、シールバーおよびフィルム組立体
US20230382058A1 (en) Punch joining device for film piece, device for manufacturing film, device for manufacturing bag-shaped container, punch joining method for film piece, manufacturing method for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bag-shaped container
JP2022026664A (ja) 包装袋
JP2021159240A (ja) ジッパーテープおよびジッパーテープ付き容器
JP2021171568A (ja) ジッパーテープおよびジッパーテープ付き容器
JP2022069054A (ja) テープ、テープ付き容器、テープ付き容器の製造方法およびテープ付き容器の製造装置
JP2021080016A (ja) テープ付き容器、テープ付き容器の製造方法およびテープ
JP2021155061A (ja) 袋体
JP2012148791A (ja) 包装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