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8843A - 패널을 반전시키기 위한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패널을 반전시키기 위한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8843A
KR20230098843A KR1020237018744A KR20237018744A KR20230098843A KR 20230098843 A KR20230098843 A KR 20230098843A KR 1020237018744 A KR1020237018744 A KR 1020237018744A KR 20237018744 A KR20237018744 A KR 20237018744A KR 20230098843 A KR20230098843 A KR 202300988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leg
movement
arm
rever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8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클라우스 다이스
올레크 에른스트
베른트 푹스
Original Assignee
그렌쩨바흐 베에스하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렌쩨바흐 베에스하 게엠베하 filed Critical 그렌쩨바흐 베에스하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30098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88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4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 B65G47/248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by turning over or inverting them
    • B65G47/25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by turning over or inverting them about a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conveying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21D43/04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 B21D43/14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by turning devices, e.g. turn-tables
    • B21D43/145Turnover devices, i.e. by turning about a substantially horizont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Fl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ttitude Control For Articles On Conveyors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베이어 벨트(1) 상에 안착하는 패널(2, 3)을 수송하고 반전 디바이스(4)에 의해 패널(2)을 반전시키는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반전 디바이스(4)는 패널(2)을 반전시키기 위해 회전 및 횡방향 이동의 모두를 수행하는 반전 아암(5)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패널을 반전시키기 위한 디바이스
본 발명은 특허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컨베이어 벨트 상에 놓인 패널을 수송하고 반전 디바이스에 의해 패널을 반전(turning)시키기 위한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DE 1 958 785 U는 플레이트가 실린더 컨베이어 또는 롤러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플레이트 터너(turner)로서 거기에 지칭되는 이러한 디바이스를 이미 개시하고 있다.
플레이트 터너는 별 형상으로 배열된 반전 아암을 갖고 롤러 컨베이어로부터 플레이트를 픽업한다.
반전 아암 상에 패널을 클램핑하여 유지하기 위한 클램핑 디바이스가 또한 반전 아암 사이에 제공된다. 플레이트 터너는 이어서 각각의 클램핑된 플레이트의 이전의 하부측이 상단에 올 때까지 반전된다. 플레이트가 이 위치에 있으면, 클램핑 디바이스가 해제된다. 슬래브는 이제 그 아래에 위치되어 그 위를 통과하는 다른 롤러 컨베이어에 의해 픽업되어, 다음 슬래브가 해당 슬래브에 의해 비워진 표면에 배치될 수 있게 된다.
공지의 별 형상 반전 디바이스는 롤러 컨베이어 상에서 반전될 패널의 종방향 이동이 급격하게 감속되고, 패널이 감속된 수평 이동으로부터 회전 가속을 받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이 감속된 수평 이동으로부터, 반전 프로세스가 약 180° 회전 중에 완료된 후, 이들은 0의 회전 속도로 다시 감속되고, 수평 방향으로, 즉 롤러 컨베이어의 방향으로 가속된다.
공지의 반전 디바이스의 경우, 반전 프로세스의 속도는 따라서 제한되는데, 이는 그렇지 않으면 패널의 에지가 특히 변화하는 가속도 및 속도에 의해 손상될 것이기 때문이다. 패널이 롤러 컨베이어 및 반전 디바이스의 반전 아암 상에 안착하는 표면도 또한 손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강한 감속 및 가속 없이 컨베이어 벨트로부터 반전 디바이스로 그리고 반전 디바이스로부터 컨베이어 벨트로 전이를 수행하는 반전 디바이스를 생성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특허 청구항 1에 명시된 바와 같이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반전 디바이스는 패널을 반전시키기 위해 회전 및 횡방향 이동의 모두를 수행하는 반전 아암을 갖기 때문에,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횡방향으로 이동되는 패널은 압박 이동에 의해 반전 아암에 의해 픽업되고, 횡방향 이동으로부터 점진적으로 감속되고 이어서 점진적인 피봇 이동으로 인해 작은 회전 가속을 받게 된다. 이는 플레이트의 손상의 위험 없이 원활한 반전 프로세스를 보장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는 특히 연관 설명과 관련하여, 종속항으로부터, 상세한 설명 및 도면으로부터 발생한다.
특히, 장점은 반전 아암의 회전 및 횡방향 이동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 디바이스의 사용이다.
반전 디바이스가 플레이트를 픽업하는 컨베이어 벨트에 대한 반전 디바이스에 의해 픽업된 패널의 이동은 제어 디바이스에 의해 조절된다. 이에 의해, 터너가 컨베이어의 속도로 이동하는 플레이트를 픽업함에 따라, 이들은 느려지고 이어서 터너에 의해 픽업된 플레이트를 반전시키기 위해 회전 가속도로 점진적으로 가속되고 이어서 플레이트를 손상시키지 않고 이를 컨베이어 상에 다시 배치할 것이다.
본 발명은 컨베이어 벨트 상의, 특히 이전에 반전 디바이스에 이송되지 않은 컨베이어 벨트 상에 놓인 패널, 즉, 컨베이어 벨트 상에 반전되지 않은 채로 남겨진 패널 상의 지정된 위치에 패널을 정확하게 퇴적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 방식으로, 그 A 측면이 적층된 상태에서 서로 대면하는 A 측면과 B 측면을 갖는 컨베이어 벨트 상에 놓이는 기판의 스트림으로부터 적층된 기판의 쌍이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반전 디바이스는, 빌딩 재료 패널, 석고보드, 베니어 패널 및 유리 패널과 같은, 그 A 측면과 B 측면이 서로 상이한 모든 유형의 패널에 적합하다.
제어 디바이스는 유리하게는 기계 및/또는 전자 수단을 갖는다. 플레이트가 반전할 때 횡방향 및 회전 이동이 방해받지 않고 서로 중첩하기 때문에, 별개의 구동 수단, 예를 들어, 특히 트랜스미션과 관련하여 H. To 제어 엔진에 의해 양 유형의 이동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횡방향 이동은 또한 컨베이어 벨트의 이동에 평행한 이동 성분과 컨베이어 벨트의 이동에 수직인 이동 성분으로 나눌 수 있다. 수직 이동 성분은 비반전 패널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도록 반전될 패널을 들어올리는 데 필요하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반전 디바이스에서 아래로 또한 활주되어 나올 수 있는 반전된 패널의 배치 위치의 정확한 설정을 가능하게 한다.
전자 제어의 경우, 반전 디바이스의 높이가 또한 쉽게 조정될 수 있고, 이는 이 방식으로 상이한 두께의 패널에 적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반전 프로세스의 속도는 또한 패널의 운반 속도, 컨베이어 벨트 상에서의 그 상대 거리 및 패널의 길이에 따라 조정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반전 프로세스를 위한 특히 간단하고 유연한 해결책은 각각의 이동 성분(2개의 횡방향 이동 및 하나의 회전 이동)에 대해 단일 모터가 사용되는 경우 구현될 수 있는데, 이 모터는 다른 모터와 독립적으로 제어된다.
3개의 모터를 갖는 순수 전자 제어부 대신 기계 구성요소가 사용되면, 또는 기계 제어부가 반전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해 이동 주기 내에서 단지 부분적으로 또는 특정 시간 기간 동안 발생하면, 제어 디바이스는 바람직하게는 제1 회전 조인트를 통해 편심부 상에 작용하는 푸시 로드를 포함하고, 제1 회전 조인트는 이어서 반전 아암이 그를 통해 회전될 수 있는 제2 선회 조인트에 굴절 연결된다.
유리하게는, 반전 아암이 횡방향 이동을 발생하기 위해 체인 또는 벨트 드라이브를 통해 구동될 수 있는 것이 추가로 제공된다.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서, 횡방향 이동을 발생하기 위한 반전 아암이 직선형 또는 곡선형 윤곽부 위로, 캠 디스크를 따라 또는 캠 메커니즘을 통해 안내될 수 있는 것이 제공된다.
전자 제어기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공간 방향으로 반전 아암의 횡방향 이동을 발생하기 위한 적어도 제1 모터 및 반전 아암의 회전 이동을 발생하기 위한 제2 모터를 갖는다.
반전 디바이스에 의해 반전되는 패널의 이동이 컨베이어 벨트의 이동과 동기화될 수 있으면 특히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플레이트는 바람직하게는 컨베이어 벨트 상에 차례로 놓이는 제1 및 제2 플레이트로 분할되어, 제1 플레이트는 반전 아암에 의해 파지되고 컨베이어 벨트 상에서 반전되거나 제2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거나 그 사이에 퇴적되게 된다. 이는 반전 프로세스가 컨베이어 벨트의 운반 속도와 동기화되는 것을 요구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반전 디바이스의 단순한 설계가 제공되는데; 이는 단부에서 서로 연결되는 제1 레그 및 제2 레그를 갖는 반전 아암을 포함하고 그 사이에는 제1 레그 상에서 압박됨으로써 플레이트 중 하나가 수용된다.
제1 플레이트가 컨베이어 벨트에 관련하는 회전 이동을 실행하는 이러한 방식으로 반전 아암의 횡방향 이동 및 회전 이동에 의해 레그 사이에 유지되는 것이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공된다.
이 경우, 제1 패널은 유리하게는 반전 프로세스가 완료된 후에 제2 패널 상에 배치되는 이러한 방식으로 반전된다. 이는 제1 플레이트가 단지 회전 이동만을 수행하고 컨베이어 벨트에 대한 횡방향 이동은 수행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2 플레이트에 비교하여, 이는 그 높이만큼만 상향으로 시프트된다.
다른 대안 실시예에서, 반전 프로세스를 수행할 때 플레이트의 중력을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고, 그 결과 제1 플레이트가 반전 아암의 회전 이동 중에 2개의 레그 사이에서 피봇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제1 레그로부터 제2 레그 상에 배치되어, 반전 아암의 제2 레그로부터 활주하여 나옴으로써 반전 아암의 회전 및 횡방향 이동이 완료된 후 최종적으로 제2 플레이트 상에 또는 컨베이어 벨트 자체 상에 배치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은 반전 아암이 제2 레그의 외부 단부에 있는 제1 선회 조인트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반전 아암이 선회 조인트를 통해 선회될 수 있는 동시에 횡방향 이동을 수행할 수 있다는 점이다.
바람직하게는, 패널의 반전이 운반 방향으로 패널의 길이만큼 컨베이어 벨트를 향한 패널의 횡방향 이동에 동시에 대응하기 때문에, 반전 아암의 횡방향 및 회전 이동은 컨베이어 벨트의 횡방향 이동과 동기화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반전 디바이스에 의해 반전되어 있는 패널은 이들이 반전되지 않고 컨베이어 벨트 상에 놓이는 플레이트 상에 안착하게 되는 이러한 방식으로 반전된다. 이 반전 프로세스 중에, 반전된 패널은 본질적으로 컨베이어 벨트 상에 안착하는 그 후방 에지 주위에서만 회전 이동을 수행하고 반전 디바이스에 의해 그 위에 배치되게 하기 위해 컨베이어 벨트 상에 놓여 남아 있는 패널의 높이만큼 약간 들어올려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커넥팅 로드와 협력하여 반전 디바이스를 사용함으로써, 컨베이어 벨트 상의 그 위치에 관련하는 반전된 패널의 횡방향 변위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반전 아암은 다수의 플레이트 형식, 즉, 패널의 폭에 대해 사용될 수 있는 이러한 방식으로 성형된다.
패널은 예를 들어 600 mm 내지 1400 mm의 폭을 갖는 그 넓은 측면에서 반전된다. 이 유형의 플레이트는 종래의 반전 아암의 경우에서와 같이, 반전 디바이스를 재구성하거나 중단 시간을 허용하지 않고, 동일한 반전 아암을 갖는 동일한 반전 디바이스로 반전될 수 있다.
반전 아암의 이러한 장점은 플레이트가 그 상에서 압박되는 제1 레그가 적어도 제2 레그의 길이의 절반이라는 사실로부터 발생한다. 제1 레그가 제2 레그의 길이의 최대 3/4의 길이를 가지면 특히 유리하다. 반전될 패널이 제1 레그 상에서 쉽게 활주될 수 있도록, 이는 바람직하게는 패널을 위한 지지부로서 롤러를 구비한다. 게다가, 제1 플레이트는 고무 재료로 제조된 활주 스트립을 또한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면에서:
도 1 내지 도 6은 컨베이어 벨트 위에 놓인 패널을 반전시키기 위해 컨베이어 벨트 위에 배열된 반전 디바이스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반전 아암을 측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8은 도 7에 따른 반전 아암을 등각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9는 반전 디바이스를 등각도로 도시하고 있다.
패널(2, 3)은 운반 방향으로 서로 옆에 배열된 복수의 부분 벨트가 장착된 종동 컨베이어 벨트(1)(도 1 내지 도 6) 상에서 화살표 방향(A)으로 수송된다. 제조 상의 이유로, 패널(2, 3)은 컨베이어 벨트(1) 상에서 서로 앞뒤로 쌍으로 있다.
컨베이어 벨트(1)는 복수의 이격된 평행 개별 벨트로 구성된다. 반전 디바이스(4)의 부분 반전 디바이스는 각각의 경우에 밴드 사이의 자유 공간 내에 배열된다. 패널(2)을 가져가는 데 이용 가능한 적어도 2개의 부품-반전 디바이스가 있다. 패널(2)의 패널의 폭에 따라, 부분 반전 디바이스는 컨베이어 벨트(1)의 개별 밴드 사이의 상이한 위치에 배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부분 반전 디바이스 사이의 거리가 또한 변경될 수 있다. 특히, 부분 반전 디바이스는 컨베이어 벨트(1)의 상이한 벨트 사이에 부착될 수 있다.
단지 패널(2)만이 반전 디바이스(4)에 의해 반전되고, 반면 패널(3)은 컨베이어 벨트(1) 상의 제 위치에 유지되는 것이 제공된다.
반전 디바이스(4)는 2개의 레그(6, 7)를 갖는 반전 아암(5)을 포함한다(도 7, 도 8).
수용 위치(도 1)에서 아래에 놓인 레그(6)는 가변적이게 될 위치에 배열된 회전 조인트(8)에 대한 반전 디바이스(4)의 회전 이동에 의해 그 전방 에지와 함께 약간 상향으로 이동되어, 패널(2)은 그 전방 에지로 레그(6) 상에서 활주되어, 컨베이어 벨트(1)에 의해 레그(6) 상으로 압박될 수 있게 된다. 레그(6)는 그 표면 상에 코팅이 제공되어, 패널(2)이 충분히 느려지고 2개의 레그(6, 7)가 서로 연결되는 영역(9)에 충격을 주지 않게 된다.
이어서, 패널(2)은 그 전방 에지로부터 피봇(8)에 대해 회전 화살표 방향(B)으로 반전 디바이스(4)의 추가 회전에 의해 상승되어(도 2), 2개의 레그(6, 7) 사이에서 상향으로 활주하게 되고, 반면 패널(2)의 후방 에지는 바람직하게는 패널(3)의 전방 에지에 맞닿아 안착한다.
반전 디바이스(4)의 회전 이동은 커넥팅 로드(11)를 구동하는 드라이브(10)에 의해 발생하고, 이 커넥팅 로드는 편심부(12)를 통해, 회전 조인트(8)가 회전되게 하여 위치(8')에 도달하게 한다(도 2). 동시에, 반전 디바이스(4)는 횡방향 이동을 수행한다. 여기서, 횡방향 이동은 프레임(13)에 의해 제한된다. 프레임(13)은 패널(2)의 치수에 적응된다; 게다가, 체인 드라이브 또는 다른 드라이브가 바람직하게는 반전 디바이스(4)의 횡방향 부분을 구현하기 위해 존재한다. 반전 디바이스의 이동은 바람직하게는 프레임(13)에 부착된 윤곽부, 예를 들어 곡선 윤곽부에 의해 또는 캠 디스크에 의해 제한된다.
패널(2)은 피봇(8)의 회전 이동에 의해 상향으로 압박되고 그 후방 에지로 컨베이어 벨트(1) 상에 계속 안착하면서 영역(9)(도 3, 4)을 향해 이동한다.
커넥팅 로드(11)의 후퇴 이동은 반전 디바이스(4)의 피봇 지점을 위치(8")로 시프트하고, 반면 패널(2)은 레그(6, 7) 사이에 셋업된다(도 4).
반전 디바이스(4)를 더 반전시킴으로써, 패널(2)이 패널(3) 상에 배치된다(도 5, 도 6). 이어서, 커넥팅 로드(11)의 이동에 의해 반전 디바이스(4)의 역방향 이동이 완료되어, 그 원래 위치로 복귀하여 다른 패널(2)을 수용할 준비가 되게 된다.
반전 아암(5)은 적어도 하나의 연속 보어(14)(도 7, 도 8) 또는 부가의 제2 보어(15)를 가져서, 반전 디바이스(4)의 모든 반전 아암(5)이 커넥팅 로드(15)에 의해 서로 연결되게 된다(도 9). 반전 아암(5)은 프레임(20) 내에 장착되고, 요구되면, 프레임(20) 내에 서로로부터 상이한 거리에, 예를 들어 서로에 대해 시프트되어 배열될 수 있다. 반전 아암(5) 사이의 거리가 가변적이기 때문에, 반전 디바이스(4)는 상이한 컨베이어 디바이스 상에 쉽게 설치될 수 있고 컨베이어 벨트(1)의 벨트(17) 사이의 상이한 거리에 적응될 수 있다.
패널(2)은 컨베이어 벨트(1)를 통해 반전 디바이스(4)의 반전 아암(5)으로 수송되어, 반전 아암(5)이 커넥팅 로드(11)를 통해 드라이브(10)에 의해 픽업 위치로 유도되자마자 패널(2)이 반전 아암(5)의 레그(6, 7) 사이에서 픽업될 수 있게 된다. 이 방식으로, 화살표 방향(A)으로 차례로 배열된 패널(2, 3)은 반전 동작에 의해 반전 디바이스(4)에 의해 후속 패널(3) 상에 배치되는 전방 패널(2)에 의해 중첩된다.
레그(6) 상에 패널(2)을 활주시키는 것은 바람직하게는 레그가 그 상부측에 롤러(18, 19)를 지지한다는 사실에 의해 용이해진다. 대안적으로, 예를 들어, 낮은 활주 마찰을 갖는 재료로 제조된 러너가 레그(6) 상에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빌딩 재료의 패널을 연속적으로 반전시키기 위한 기계를 생성한다.

Claims (18)

  1. 컨베이어 벨트(1) 상에 놓인 패널(2, 3)을 수송하고 반전 디바이스(4)에 의해 패널(2)을 반전시키기 위한 디바이스에 있어서,
    반전 디바이스(4)는 패널(2)을 반전시키기 위해 회전 및 횡방향 이동의 모두를 취하는 반전 아암(5)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반전 아암(5)의 회전 및 횡방향 이동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제어 디바이스는 기계 및/또는 전자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제어 디바이스는 반전 아암(5)이 그를 통해 회전 가능한 제2 피봇 상에서 굴절되는 편심부(12) 상의 제1 피봇을 통해 작용하는 푸시 로드 또는 크랭크 로드(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반전 아암(5)은 횡방향 이동을 발생하기 위해 체인 또는 벨트 드라이브를 통해 구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반전 아암(5)은 직선형 또는 곡선형 윤곽부 위로, 캠 디스크를 따라 또는 캠 메커니즘에 의해 안내되어 횡방향 이동을 발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자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공간 방향으로 반전 아암(5)의 횡방향 이동을 발생하기 위한 적어도 제1 모터 및 반전 아암(5)의 회전 이동을 발생하기 위한 제2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반전 디바이스(4)에 의해 반전되는 패널(2)의 이동은 컨베이어 벨트(1)의 이동과 동기화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9. 제8항에 있어서, 패널(2, 3)은 컨베이어 벨트(1) 상에 차례로 놓이는 제1(2) 및 제2(3) 패널(2, 3)로 분할되고, 제1 패널(2)은 반전 아암(5)에 의해 검출되고 컨베이어 벨트(1) 상에 또는 제2 패널(3) 상에 반전 배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반전 아암(5)은 단부에서 서로 연결되는 제1 레그(6) 및 제2 레그(7)를 갖고 그 사이에는 제1 레그(6) 상에서 통과하여 활주하는 패널(2, 3) 중 하나가 수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11. 제10항에 있어서, 제1 패널(2)은 컨베이어 벨트(1)에 관련하는 회전 이동을 실행하는 이러한 방식으로 반전 아암의 횡방향 이동 및 회전 이동에 의해 레그(6, 7) 사이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12. 제11항에 있어서, 제1 패널(2)은 반전 프로세스가 완료된 후에 제2 패널(3) 상에 배치되는 이러한 방식으로 반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13. 제10항에 있어서, 제1 패널(2)은 반전 아암(5)의 회전 이동 중에 2개의 레그(6, 7) 사이에서 중력에 의해 피봇될 수 있고, 제1 레그로부터 제2 레그 상에 배치될 수 있고, 회전이 완료된 후 그리고 반전 아암(5)의 횡방향 이동 후에 반전 아암(5)의 제2 레그(7)로부터 활주되어 나옴으로써 제2 패널(3) 상에 배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14. 제11항에 있어서, 반전 아암(5)은 제1 피봇 조인트 상에서 제2 레그(7)의 외부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반전 아암(5)은 피봇 조인트를 통해 피봇될 수 있는 동시에 횡방향 이동이 완료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15.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반전 아암(5)의 횡방향 및 회전 이동은 컨베이어 벨트(1)의 횡방향 이동과 동기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16. 제10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레그(6)는 제2 레그(7)의 길이의 적어도 절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17. 제16항에 있어서, 제1 레그(6)는 제2 레그(7) 길이의 최대 3/4의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18. 제10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레그(6)는 패널(2)을 위한 지지부로서 롤러(18, 19)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KR1020237018744A 2020-11-05 2021-11-04 패널을 반전시키기 위한 디바이스 KR2023009884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20006799.9A DE102020006799A1 (de) 2020-11-05 2020-11-05 Vorrichtung zum Wenden von Platten
DE102020006799.9 2020-11-05
PCT/EP2021/025429 WO2022096150A1 (de) 2020-11-05 2021-11-04 Vorrichtung zum wenden von platt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8843A true KR20230098843A (ko) 2023-07-04

Family

ID=78676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8744A KR20230098843A (ko) 2020-11-05 2021-11-04 패널을 반전시키기 위한 디바이스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40002166A1 (ko)
EP (1) EP4240546A1 (ko)
JP (1) JP2023547500A (ko)
KR (1) KR20230098843A (ko)
CN (1) CN116368085A (ko)
CA (1) CA3197346A1 (ko)
DE (1) DE102020006799A1 (ko)
WO (1) WO20220961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680553A (zh) * 2024-01-30 2024-03-12 四川省机械研究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冲压结构及其工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36282A (en) 1957-02-18 1958-05-27 Minnesota & Ontario Paper Co Roof deck fabricating mechanism
DE1958785U (de) 1967-02-03 1967-04-13 Rudolf Grenzebach Plattenwender mit sternfoermig angeordneten wendearmen.
GB1225774A (ko) * 1967-05-25 1971-03-24
DE2550321A1 (de) * 1975-11-08 1977-05-18 Bayerische Motoren Werke Ag Vorrichtung zum wenden von werkstuecken
JPH0522347Y2 (ko) * 1987-03-31 1993-06-08
DE3820523A1 (de) 1988-05-03 1989-11-16 Winkler Duennebier Kg Masch Vorrichtung zum wenden von kartons
DE29905445U1 (de) 1999-03-24 1999-11-11 Steinbichler Optotechnik Gmbh Wendevorrichtung zum Wenden eines Reifens o.dgl.
AT503937B1 (de) 2006-12-27 2008-02-15 Voest Alpine Ind Anlage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wenden von plattenförmigen körper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002166A1 (en) 2024-01-04
CN116368085A (zh) 2023-06-30
DE102020006799A1 (de) 2022-05-05
EP4240546A1 (de) 2023-09-13
WO2022096150A1 (de) 2022-05-12
CA3197346A1 (en) 2022-05-12
JP2023547500A (ja) 2023-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43374A (en) Stack turner and replenisher and method
US7631744B2 (en) Device for transporting printed products
WO1997008085A9 (en) Stack turner and replenisher and method
WO2003065786A3 (en) Conveyor system for slicer apparatus
SE437973B (sv) Maskin for vendning av tunna, flata skivor
CZ279106B6 (en) Device for taking half-finished products out of a stack and their further transport
KR20230098843A (ko) 패널을 반전시키기 위한 디바이스
US5450940A (en) Delivery system for book-sewing machine
US4176601A (en) Automated towel transfer printing, feeding, drying and folding apparatus
US4795297A (en) Apparatus for feeding boards
JPH05246580A (ja) ワークピースの転回装置
JPH05501240A (ja) 小物品、特にパッケージを連続的な搬送経路上で位置変えする装置
NL1026269C2 (nl)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maken van een keperverband van stenen.
JPS623062B2 (ko)
JP3583292B2 (ja) 移送装置および移送方法
US425859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porting cut brick elements to a transfer station
JPH0550323A (ja) 板材加工機における板材搬送位置決め装置
JPH06298359A (ja) 板状体の旋回移送装置
JP3016252U (ja) 農作物用切断機
JP4176229B2 (ja) 自動給袋機
US7273143B2 (en) Powered rotary board turner
US20040200694A1 (en) Powered rotary board turner
JPS5924686B2 (ja) ガラス板の位置決め装置
JPH0444484Y2 (ko)
JPS5917705B2 (ja) 板状体移載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