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8468A - 톳과 비트를 이용한 두부과자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톳과 비트를 이용한 두부과자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8468A
KR20230098468A KR1020220018079A KR20220018079A KR20230098468A KR 20230098468 A KR20230098468 A KR 20230098468A KR 1020220018079 A KR1020220018079 A KR 1020220018079A KR 20220018079 A KR20220018079 A KR 20220018079A KR 20230098468 A KR20230098468 A KR 202300984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ps
tofu
fried
drying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8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신
Original Assignee
(주)쿠키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쿠키아 filed Critical (주)쿠키아
Publication of KR20230098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84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3/48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lants or parts thereof, e.g. fruits, seeds,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0002Processes of manufacture not relating to composition and compounding ingredients
    • A23G3/0004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weetmeats or confectionery
    • A23G3/0006Manufacture or treatment of liquids, pastes, creams, granules, shred or powder
    • A23G3/001Mixing, kneading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0002Processes of manufacture not relating to composition and compounding ingredients
    • A23G3/0004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weetmeats or confectionery
    • A23G3/0006Manufacture or treatment of liquids, pastes, creams, granules, shred or powder
    • A23G3/0014Processes for conditioning, e.g. tempering, cooking, heating, cooling, boiling down, evaporating, degassing, liquefying mass before use or shap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0002Processes of manufacture not relating to composition and compounding ingredients
    • A23G3/0004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weetmeats or confectionery
    • A23G3/0019Shaping of liquid, paste, powder; Manufacture of moulded articles, e.g. modelling, moulding, calender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0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weetmeats or confectionery;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40Pulse curds
    • A23L11/45Soy bean curds, e.g. tofu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1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oi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0Freez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첨가물을 이용한 두부과자 제조방법은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탈수된 탈수두부와 첨가물들이 혼합된 반죽물을 소정의 칩모양으로 성형하여서 성형칩을 만드는 성형과정을 포함하는 준비단계와 상기 성형칩을 각기 다른 설정온도의 기름에서 순차적으로 유탕처리하여 유탕칩을 준비하는 유탕처리단계와 상기 유탕칩을 오븐에서 열풍건조하여 과자칩을 준비하는 오븐건조단계와 상기 과자칩을 냉각하여서 두부과자를 만드는 냉각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탈수된 탈수두부와 첨가물들을 소정의 비율로 배합된 성형칩을 유탕단계와 오븐에서 열풍건조하는 오븐건조단계를 거쳐서 잔여기름을 제거하여서 산화방지효과와 발색효과를 극대화한 두부를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톳과 비트를 이용한 두부과자 제조방법{Tofu Cookie Manufacturing Method Using Tofu and Beets}
본 발명은 톳과 비트를 이용한 두부과자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탈수된 탈수두부와 첨가물들을 소정의 비율로 배합하고 유탕처리 후 오븐에서 열풍건조 하여 식감과 건강에 좋은 두부과자를 제조 할 수 있는 두부과자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의 서구화된 식습관으로 인하여 다양한 식문화가 보급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최근 들어 식생활이 점차 서구화 및 패스트푸드화 되기 시작하면서 성장기 어린이나 청소년은 물론이고 성인들까지도 피자나 햄버거 등과 같은 서구음식과 간편식인 라면류 등을 섭취하고 있어, 잡곡밥 등의 국산 곡류보다는 수입 밀가루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사회가 급변하고 식문화가 발달함에 따라 사람들의 입맛도 변하고 새로운 먹거리를 찾는 경향이 점점 증가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웰빙문화에 따라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나 기능성 식품의 개발은 미흡한 실정이며, 더욱이 생리활성 물질이 풍부한 대표적인 재료로서 콩을 이용한 식품이 다수 생산되고 있으나 과자류에는 그 적용이 미비한 실정이다.
소비자의 기호성을 만족시키고 있는 과자식품에는 높은 지방함량과 설탕이 함유되어 있어 건강적인 면에서 문제가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과자류에 대한 소비자들의 선호도는 높은 실정이다. 이에 따라 과자류의 제조시 영양분의 섭취와 더불어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기능성 물질을 첨가한 제품의 생산이 증가하고 있다.
콩은 우수한 단백질뿐만 아니라 불포화 지방산이 풍부하고 칼슘 및 각종 비타민을 함유하고 있는 완전식품으로서, 콩의 주요한 효능은 체중 감량, 골밀도 증강, 유방암 발병률 감소, 이소플라본에 의한 항암효과를 들 수 있으며 콩 단백질에 의한 동맥경화, 심장병 및 혈관 질환 예방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콩의 풍부한 식이섬유가 급격한 혈당 상승을 억제하여 당뇨병 예방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콩은 식물성 에스트로겐이 다량 함유된 식품으로서, 특히 단백질과 같은 영양소가 다량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노화 억제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고소하고 담백한 맛을 느끼게 하여 미감을 향상시킨다.
콩으로 만든 식품의 하나로, 물에 불린 콩을 갈아서 짜낸 콩 물을 끓인 다음 간수를 넣어 엉기게 하여 만든 두부는 양질의 단백질과 칼슘이 풍부하고, 소화가 잘되는 식품으로, 두부에 들었는 단백질과 필수지방산은 두뇌의 신경세포 기능을 활성화하고, 인지질의 일종으로 물과 기름을 섞게하는 유화체 중의 하나인 레시틴(Lecithin)이 함유되어 기억력과 집중력을 향상시키고, 마그네슘은 신경을 안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두부를 이용한 두부과자는 밀가루 함유량을 줄이고, 두부와 다른 원재료를 배합 반죽하여 생산되는 것으로, 영양소가 풍부할 뿐만 아니라 소화력이 우수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두부과자의 생산과 관련된 선행기술들이 제안되었다.
제안된 선행기술의 두부 스낵 제조방법(한국 등록특허 제10-0881433호)은 두부 30∼35중량%, 글루텐 16∼18중량%, 달걀 2∼3중량%, 전지분유 19∼21중량%, 버터 2∼4중량%, 파우더 1∼1.5중량%, 청정수 13∼15중량%, 및 자일리톨, 녹차 또는 고추잎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10∼15중량% 배합하고, 10∼15분 동안 혼합하여 반죽하는 단계와, 상기 반죽물을 롤러에 넣어 가늘게 뽑아내거나 일정한 두께로 압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반죽물을 성형틀에 넣어 일정한 규격의 크기와 모양으로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성형물을 150∼170℃의 온도로 예열된 오븐에 넣고 20∼30분 동안 가열하여 구워내는 단계를 포함하며, 두부의 각종 영양소를 소비자에게 그대로 보존하여 전달할 수 있다고 기재되어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881433호 : 두부 스낵 제조방법
본 발명은 상기에 게시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창출된 것으로, 탈수된 탈수두부와 톳 또는 비트를 포함하는 첨가물들이 소정의 비율로 배합된 성형칩을 유탕처리 및 열풍건조하여 잔여기름을 제거 함으로써 산화방지효과 및 발색효과를 극대화한 두부과자 제조방법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톳과 비트를 이용한 두부과자 제조방법은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탈수된 탈수두부와 첨가물들이 혼합된 반죽물을 소정의 칩모양으로 성형하여서 성형칩을 만드는 성형과정을 포함하는 준비단계와 상기 성형칩을 각기 다른 설정온도의 기름에서 순차적으로 유탕처리하여 유탕칩을 준비하는 유탕처리단계와 상기 유탕칩을 오븐에서 열풍건조하여 과자칩을 준비하는 오븐건조단계와 상기 과자칩을 냉각하여서 두부과자를 만드는 냉각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준비단계는 상기 반죽물이 밀가루 100기준중량부에 대하여 탈수두부 66 내지 67중량부, 설탕 33 내지 34중량부, 계란 11 내지 12중량부, 동결건조된 분말 형태의 톳, 비트 둘중에 어느하나가 8 내지 9중량부로 스트레이트법으로 혼합하여 20 내지 30분 반죽하는 반죽과정과, 상기 반죽물을 15 내지 25℃의 온도에서 30 내지 60분 숙성하는 숙성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유탕처리단계는 상기 준비단계에서 만들어진 성형칩을 130 내지 140℃의 온도로 29 내지 31초간 유탕하는 제1유탕과정과, 상기 제1유탕과정을 거친 상기 성형칩을 160 내지 175℃의 온도로 59 내지 61초간 유탕하는 제2유탕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오븐건조단계는 상기 유탕처리단계에서 만들어진 유탕칩을 145 내지 155℃ 온도로 가열하여 건조시켜서 형성된 제1과자칩을 만드는 제1오븐건조과정과 상기 제1과자칩을 140 내지 150℃ 온도로 가열하여서 건조시켜서 형성된 제2과자칩을 만드는 제2오븐건조과정과 상기 제2과자칩을 135 내지 145℃ 온도로 가열하여서 건조시켜서 형성된 제3과자칩을 만드는 제3오븐건조과정과, 상기 제3과자칩을 상온에서 3 내지 5분간 건조시켜서 만드는 과자칩을 만드는 자연건조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오븐은 상기 제1오븐건조과정 내지 제3오븐건조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내부에 상기 유탕칩과 상기 제1과자칩 내지 제3과자칩이 수용되는 제1수용부 내지 제3수용부를 포함하는 수용본체와 상기 수용본체의 내외부에서 상기 유탕칩과 상기 제1과자칩 내지 제3과자칩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컨베이어밸트와, 상기 컨베이어밸트에 위치한 상기 유탕칩과 상기 제1과자칩 내지 제3과자칩이 낙하이동시 파쇄를 방지하고 상기 컨베이어밸트에 착지토록 상기 제1수용부 내지 제3수용부에 형성된 가이드부와, 상기 컨베이어밸트를 상하로 구동시켜서 상기 유탕칩을 뒤집을 수 있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플립부와, 상기 컨베이어밸트의 하부에 형성되어서 상기 컨베이어밸트를 세척하는 세척부를 포함하는 이동부와 상기 유탕칩과 상기 제1과자칩 내지 제3과자칩을 향하여 기 설정된 온도로 열풍건조할 수 있도록 상기 유탕칩을 가열하는 가열부와 상기 수용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서 상기 제1수용부 내지 제3수용부에서 내부공기에 의한 상호 열교환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상기 제1수용부 내지 제3수용부의 내부의 가열공기를 순환시키도록 형성된 열풍부와 상기 제1수용부 내지 제3수용부에 설치된 온도센서들에서 측정된 온도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가열부, 상기 이동부 및 상기 열풍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톳과 비트를 이용한 두부과자 제조방법은 탈수된 탈수두부와 첨가물들을 소정의 비율로 배합된 성형칩을 유탕단계와 오븐에서 열풍건조하는 오븐건조단계를 거쳐서 잔여기름을 제거하여서 산화방지효과와 발색효과를 극대화한 두부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톳과 비트를 이용한 두부과자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의 따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톳과 비트를 이용한 두부과자 제조방법의 오븐건조단계에 따른 오븐의 개념도 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제1배출부를 확대한 부분확대도이고,
도 4는 도 2에 따른 제2배출부를 확대한 부분확대도이고,
도 5는 도 2에 따른 플립부를 확대한 부분확대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톳과 비트를 이용한 두부과자 제조방법의 오븐건조단계에 따른 제어부를 설명한 블록도 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응축기 냉각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대하여,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톳과 비트를 이용한 두부과자 제조방법(1)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톳과 비트를 이용한 두부과 제조방법은 준비단계(S100), 유탕처리단계(S200), 오븐건조단계(S300), 냉각단계(S400)를 포함한다.
상기 준비단계(S100)는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탈수된 탈수두부와 첨가물들이 혼합된 반죽물을 성형칩으로 만드는 과정으로 반죽과정(S110), 숙성과정(S120), 성형과정(S130)를 포함한다.
상기 반죽과정(S110)은 상기 반죽물을 만드는 과정으로 밀가루 100기준중량부에 대하여 탈수두부 66 내지 67중량부, 설탕 33 내지 34중량부, 계란 11 내지 12중량부, 첨가물 8 내지 9중량부, 콩기름 45 내지 46중량부, 아몬드분말 5 내지 7중량부, 검정깨 1 내지 2중량부, 천일염 1 내지 2중량부, 베이킹파우더 1 내지 2중량부, 육두구분말 0.1 내지 1중량부로 스트레이트법으로 혼합하여 20 내지 30분 치데기 과정을 거쳐서 상기 반죽물을 만든다.
이때 상기 첨가물은 톳 또는 비트를 동결건조후 분말형태로 가공한 것이 바람직하지만 액상형태의 톳즙, 비트즙이 적용될 수도 있다.
여기서 탈수두부는 물에 불린 콩을 갈아 자루에 넣고 짠다음 간수를 넣어 엉기게 하여 만들어진 통상의 상용되어 유통되는 두부를 회전력에 의하여 수분을 분리하는 원심분리기에 투입하여 10 내지 15분간 탈수하여 형성된다.
상기 반죽과정(S110)은 밀가루와 첨가물들을 포함하는 모든 원재료를 한번에 혼합하는 스트레이트법이 적용되는데 기타 종래의 혼합방법에 비하여 계란거품이 적게 발생하므로 다음의 유탕처리단계(S200)에서 계란거품이 유탕과정에서 팽창터짐이 발생하여 유탕칩의 모양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숙성과정(S120)은 상기 반죽과정(S110)에서 만든 상기 반죽물을 15 내지 25℃의 온도에서 30 내지 60분 숙성하는 것이다.
상기 숙성과정(S120) 이후에 상기 반죽물에 내부에 잔존하는 계란거품을 제거하기 위하여 소분하여 성형과정(S130)에 투입전에 치데기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성형과정(S130)은 상기 반죽물을 회전하는 압연기의 롤러에 의하여 기 설정된 소정두께의 판자형태로 성형하는 롤링과정(미도시)과, 상기 롤링과정을 마친 반죽물을 사각형의 칩모양 성형칩으로 자르는 절단과정(미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유탕처리단계(S200)는 상기 성형칩을 각기 다른 설정온도의 기름에서 순차적으로 유탕처리하여 유탕칩을 준비하는 단계로 제1유탕과정(S210), 제2유탕과정(S220)을 포함한다.
상기 제1유탕과정(S210)은 상기 준비단계에서 만들어진 성형칩에 충분한 기름을 흡수시켜서 상기 성형칩이 유탕시 팽창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130 내지 140℃의 온도의 기름에 29 내지 31초간 유탕하는 것이다. 유탕시간이 29초 미만인 경우에는 후속과정인 제2유탕과정(S220)에서 성형칩이 타버리며, 유탕시간이 31초를 초과한 경우에는 기름이 성형칩에 과하게 흡수되어서 제2유탕과정(S220) 성형칩이 과다 팽창하여 부서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제2유탕과정(S220)은 상기 제1유탕과정(S210)을 거친 상기 성형칩 70%를 익힐 수 있도록 160 내지 175℃의 기름에 59 내지 61초간 유탕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성형칩의 70%를 익히는 것은 후공정의 오븐건조단계(S300)의 열풍건조에 의하여 나머지 30%가 익힘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유탕시간이 59초 미안인 경우에는 두부과자가 덜 익힘되며, 유탕시간이 61초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오븐건조단계(S300)에서 해당 유탕칩이 타버린다.
상기 오븐건조단계(S300)는 상기 유탕칩을 오븐(10)에서 열풍건조하여 과자칩을 준비하는 단계로 제1오븐건조과정(S310), 제2오븐건조과정(S320), 제3오븐건조과정(S3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오븐건조과정(S310)은 상기 유탕처리단계(S200)에서 만들어진 상기 유탕칩에 열풍으로 가열하여서 연갈색의 제1과자칩으로 만들기 위하여 145 내지 155℃ 온도의 열풍으로 가열하여 건조하는 과정이다.
상기 제2오븐건조과정(S320)은 상기 제1오븐건조과정(S310)을 거친 제2과자칩을 100%로 익힌 제2과자칩을 만들기 위하여 140 내지 150℃ 온도의 열풍으로 가열하여 건조하는 과정이다.
상기 제3오븐건조과정(S330)은 상기 제2오븐건조과정(S320)을 거친 제3과자칩에 잔존하는 기름을 제거한 제3과자칩을 만들기 위하여 135 내지 145℃ 온도의 열풍으로 가열하여서 건조하는 과정이다.
상기 자연건조과정(S340)은 상기 제3오븐건조과정(S330)을 마친 후 상기 오븐(10)에서 밖으로 배출된 제3과자칩에 잔존하는 기름을 완전히 제거하도록 상온에서 3 내지 5분간 건조시켜서 과자칩을 만드는 과정이다.
상기 오븐(10)은 상기 제1오븐건조과정(S310) 내지 제3오븐건조과정(S340)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 수용본체(100), 이동부(200), 가열부(300), 열풍부(400), 제어부(500)를 구비한다.
상기 수용본체(100)는 육면체로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유탕칩과 상기 제1과자칩 내지 제3과자칩이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열풍에 의해 가열될 수 있게 형성된제1수용부(110), 제2수용부(120) 및 제3수용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수용부(110)는 상부 일측에 상기 유탕처리단계(S200)를 마친 유탕칩이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오븐입구(140)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 타측에는 상기 제2수용부(120)와 연통되어서 상기 제1과자칩이 제2수용부(120)로 유입될 수 있도록 제1배출부(160)가 형성된다.
상기 제2수용부(120)의 상부 타측은 상기 제1배출부(160)를 통해 상기 제1과자칩이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수용부(110)와 연통되게 형성되고, 하부 일측에는 상기 제3수용부(130)와 연통되어서 상기 제2과자칩이 상기 제3수용부(130)로 유입될 수 있도록 제2배출부(170)가 형성된다.
상기 제3수용부(130)는 상부 일측이 상기 제2배출구를 통해 상기 제2과자칩이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수용부(120)와 연통되게 형성되고, 하부 타측에는 상기 제3과자칩이 상기 수용본체(100)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게 오븐출구(150)가 형성된다.
상기 이동부(200)는 상기 수용본체(100)의 내외부에서 상기 유탕칩과 상기 제1과자칩 내지 제3과자칩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컨베이어밸트(210), 플립부(220), 가이드부(230), 세척부(240)를 포함한다.
상기 컨베이어밸트(210)는 상기 제1수용부(110) 내지 제3수용부(130)에 각각 형성되어서 상기 유탕칩과 상기 제1과자칩 내지 제3과자칩을 이동 시킬 수 있도록 모터(미도시)의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원통형태의 회전부재(215)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연결된 복수개의 회전부재(215)의 외측면을 따라서 구동하는 회전밸트(214)가 적용된 제1컨베이어밸트(211) 내지 제3컨베이어밸트(213)를 포함한다.
상기 제1컨베이어밸트(211)는 상기 유탕칩이 상기 제1수용부(110)의 내부로 유입되어서 상기 제1오븐건조과정(S310)에 의하여 상기 제1과차칩이 될 수 있도록 일측이 상기 오븐입구(140)를 관통하여 상기 수용본체(100)의 상부일측으로 소정거리 연장되고 타측은 상기 제1배출부(160)의 상부까지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2컨베이어밸트(212)는 상기 제1과자칩이 상기 제2수용부(120)의 내부에 수용되어서 상기 제2오븐건조과정(S320)에 의하여 상기 제2과자칩이 될 수 있도록 일측이 상기 제1배출부(160)의 하부에서 상기 제2배출부(170) 상부까지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3컨베이어밸트(213)는 상기 제2과자칩이 상기 제3수용부(130)의 내부에 수용되어서 상기 제3오븐과정(S330)에 의하여 상기 제3과자칩이 될 수 있도록 일측이 상기 제2배출부(170) 하부에서 상기 오븐출구(150)를 관통하여 상기 수용본체(100)의 하부타측으로 소정거리 연장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밸트(210)는 상기 회전밸트(214)에서 이동하는 상기 유탕칩과 상기 제1과자칩 내지 제3과자칩이 상기 회전밸트(214)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회전밸트(214)의 이동방향을 따라서 양측 가장자리에서 소정높이로 상하방으로 연장되고 하면은 상기 수용본체(100)에 연결된 이탈방지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상기 플립부(220)는 후술하는 가열부(300)에 의하여 전달되는 열풍이 유탕칩, 상기 제1과자칩 내지 제3과자칩에 골고루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밸트(214)의 상단에 위치한 상기 유탕칩, 상기 제1과자칩 내지 제3과자칩을 뒤집을 수 있게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플립부(220)는 상기 회전부재(215)들 사이에 형성되어서 상단에 상기 유탕칩, 상기 제1과자칩 내지 제3과자칩이 위치하는 상기 회전밸트(214)의 하부에 형성되어서 상기 회전밸트(214)를 상하방향으로 기 설정된 주기로 움직이도록 하여 상기 유탕칩, 상기 제1과자칩 내지 제3과자칩을 뒤집을 수 있도록 상기 회전밸트(214)의 양단부를 지지하며 단면형상이 타원형인 플립몸체(221)와, 상기 플립몸체(221)가 상기 회전부재(215)에서 회전력을 전달 받을 수 있도록 일측이 상기 회전부재(215)의 단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플립몸체(221)의 단부에 연결되는 플립구동부(222)를 포함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플립회전부(222)는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마련되어서 상기 플립구동부(222)의 길이조절에 의하여 상기 회전밸트(214)의 움직임을 제어하므로서 상기 유탕칩, 상기 제1과자칩 내지 제3과자칩을 뒤집는 주기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230)는 상기 제1컨베이어밸트(211)에 위치한 상기 제1과자칩이 상기 제1배출부(160)를 통하여 상기 제2컨베이어밸트(212)의 상단으로 낙하이동시 파쇄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2컨베이어밸트(212)의 상단에 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본체(100)의 내측에서 상기 제1배출부(160)를 향하여 소정길이 돌출형성되며 단면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는 사다리꼴인 제1가이드부재(231)와, 상기 제2컨베이이어밸트(213)에 위치한 상기 제2과자칩이 상기 제2배출부(170)를 통하여 상기 제3켄베이어밸트(213)의 상단으로 낙하이동시 파쇄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3컨에이버밸트(213)의 상단에 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본체(100)의 내측에서 상기 제2배출부(170)를 향하여 소정길이 돌출형성되며 단면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로 폭이 점점 좁아지는 사다리꼴인 제2가이드부재(232)를 포함한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제1과자칩과 상기 제2과자칩이 낙하시 접촉하는 상기 제1가이드부재(231) 및 제2가이드부재(232)의 경사면에는 연질의 완충부재(미도시)가 설치된다.
상기 세척부(240)는 상기 컨베이어밸트(210)의 하부에 형성되어서 상기 유탕칩과 상기 제1과자칩 내지 제3과자칩을 이동시킨 상기 회전밸트(214) 하부에 잔존하는 상기 유탕칩과 상기 제1과자칩 내지 제3과자칩의 이물질을 긁어낼 수 있도록 상기 회전밸트(214)를 향하여 첨예하게 형성된 스크래퍼부재(241)와, 상기 스크래퍼부재(241)에 인접하게 형성되어서 상기 회전밸트(214)를 향하여 다수의 실리콘재질의 돌기를 구비하는 브러쉬부재(242)를 구비한다.
상기 가열부(300)는 상기 유탕칩과 상기 제1과자칩 내지 제3과자칩을 열풍건조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수용부(110) 내지 제3수용부(130)에 상기 컨베이어밸트(210)의 상단과 소정거리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오븐건조과정(S310) 내지 제3오븐건조과정(S330)의 설정된 온도로 열풍건조할 수 있도록 발열하는 발열코일이 적용된다.
상기 열풍부(400)는 상기 수용본체(100)의 내부에 설치되어서 상기 제1수용부(110) 내지 제3수용부(130)에서 내부공기에 의한 상호 열교환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제1송풍부(410), 제2송풍부(420), 제3송풍부(430)를 구비한다.
상기 제1송풍부(410)는 상기 제1수용부(110)에 설치되어서 상기 제1오븐건조과정(S310)의 설정온도로 공기를 가열시키는 제1온풍부재(미도시)가 설치되고, 상기 제1온풍부재에 의하여 가열된 공기를 상기 제1수용부(110)에 유입되도록 상기상기 제1배출부(160) 상부에 설치된 제1흡입송풍팬(411)과, 상기 제1수용부(110)에 공기를 순환하도록 상기 오븐입구(140)의 상단부에 형성된 제1배출송풍팬(412)을 구비한다.
상기 제2송풍부(410)는 상기 제2수용부(120)에 설치되어서 상기 제2오븐건조과정(S320)의 설정온도로 공기를 가열시키는 제2온풍부재(미도시)가 설치되고, 상기 제2온풍부재에 의하여 가열된 공기를 상기 제2수용부(110)에 유입되도록 상기상기 제1배출부(160) 하부와 상기 제2배출부(170) 상부에 설치된 복수개의 제2흡입송풍팬(411)과, 상기 제2수용부(110)에 공기를 순환하도록 상기 제2수용부(120) 상단에 형성된 제2배출송풍팬(412)을 구비한다.
상기 제3송풍부(430)는 상기 제3수용부(130)에 설치되어서 상기 제3오븐건조과정(S330)의 설정온도로 공기를 가열시키는 제3온풍부재(미도시)가 설치되고, 상기 제3온풍부재에 의하여 가열된 공기를 상기 제3수용부(110)에 유입되도록 상기상기 제2배출부(170) 하부에 설치된 제3흡입송풍팬(431)과, 상기 제3수용부(110)에 공기를 순환하도록 상기 오븐출구(150)의 상단부에 형성된 제3배출송풍팬(432)을 구비한다.
그래서 상기 제1수용부(110) 내지 제3수용부(130)의 가열공기는 상기 제1배출송풍팬(412) 내지 제3배출송풍팬(432)에 의하여 흡입되어 상기 수용본체(100)의 외부에 형성되고 해당 가열공기를 연통하게 마련된 연성을 가지는 중공관의 턱트(440)에 의하여 상기 제1흡입송풍팬(411) 내지 제3흡입송풍팬(431)으로 유입되며, 상기 제1온풍부재 내지 제3온풍부재에 의하여 기 설정된 온도로 가열된다.
또한, 상기 제1흡입송풍팬(411) 내지 제3흡입송풍팬(431)은 상기 제1수용부(110) 내지 제3수용부(130)로 해당 가열공기의 흡입방향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제1흡입송풍팬(411) 내지 제3흡입송풍팬(431)에서 상기 제1수용부(110) 내지 제3수용부(130)를 향하여 소정거리 돌출되게 형성된 상기 토출부재(450)를 더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이동부(200)및 상기 열풍부(400)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수용부(110) 내지 제3수용부(130)에 설치되어서 상기 가열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기술이 적용된 복수개의 온도센서(510)들과, 상기 온도센서(501)에서 측정된 온도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가열부(300), 상기 이동부(200)및 상기 열풍부(400)의 작동여부 및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형성된 조정단말기(520)를 포함하며, 상기 조정단말기(520)는 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모바일 단말기, 데스크탑 컴퓨터를 포함한다.
상기 냉각단계(S400)는 상기 오븐(10)에서 상기 오븐건조단계(S300)를 마친 상기 과자칩을 9 내지 11℃의 냉각장치가 설치된 냉장시설에서 1 내지 2분 냉각하여서 두부과자를 만드는 단계이다. 냉각장치가 설치된 냉장시설의 경우는 종래의 냉장기술 및 보온기술이 적용된 상용의 장치들이므로 추가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된 본 발명의 톳과 비트를 이용한 두부과자 제조방법은 유탕처리한 유탕칩을 열풍건조를 통하여 과자의 발색효과를 극대화 시키면서 과자내부의 잔여기름을 제거하여서 산화방지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톳과 비트를 이용한 두부과자 제조방법
S100 : 준비단계 S110 : 반죽과정
S120 : 숙성과정 S130 : 성형과정
S200 : 유탕처리단계 S210 : 제1유탕과정
S220 : 제2유탕과정
S300 : 오즌건조단계 S310 : 제1오븐건조과정
S320 : 제2오븐건조과정 S330 : 제3오븐건조과정
S340 : 자연건조과정
S400 : 냉각단계
100 : 수용본체 110 : 제1수용부
120 : 제2수용부 130 : 제3수용부
140 : 오븐입구 150 : 오븐출구
160 : 제1배출부 170 : 제2배출부
200 : 이동부 210 : 컨베이어밸트
211 : 제1컨베이어밸트 212 : 제2컨베이어밸트
213 : 제3컨베이어밸트 214 : 회전밸트
215 : 회전부재
220 : 플립부 221 : 플립몸체
222 : 플립구동부
230 : 가이드부 231 : 제1가이드부재
232 : 제2가이드부재
240 : 세척부 241 : 스크래퍼부재
242 : 브러쉬
300 : 가열부
400 : 열풍부 410 : 제1송풍부
411 : 제1흡입송풍팬 412 : 제1배출송풍팬
420 : 제2송풍부 421 : 제2흡입송풍팬
422 : 제2배출송풍팬 430 : 제3송풍부
431 : 제3흡입송풍팬 432 : 제3배출송풍팬
440 : 덕트 450 : 토출부재
500 : 제어부 510 : 온도센서
520 : 조정단말기

Claims (5)

  1.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탈수된 탈수두부와 첨가물들이 혼합된 반죽물을 소정의 칩모양으로 성형하여서 성형칩을 만드는 성형과정을 포함하는 준비단계와;
    상기 성형칩을 각기 다른 설정온도의 기름에서 순차적으로 유탕처리하여 유탕칩을 준비하는 유탕처리단계와;
    상기 유탕칩을 오븐에서 열풍건조하여 과자칩을 준비하는 오븐건조단계와;
    상기 과자칩을 냉각하여서 두부과자를 만드는 냉각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톳과 비트를 이용한 두부과자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준비단계는
    상기 반죽물이 밀가루 100기준중량부에 대하여 탈수두부 66 내지 67중량부, 설탕 33 내지 34중량부, 계란 11 내지 12중량부, 동결건조된 분말 형태의 톳, 비트 둘중에 어느하나가 8 내지 9중량부로 스트레이트법으로 혼합하여 20 내지 30분 반죽하는 반죽과정과,
    상기 반죽물을 15 내지 25℃의 온도에서 30 내지 60분 숙성하는 숙성과정을 포함하는,
    톳과 비트를 이용한 두부과자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탕처리단계는
    상기 준비단계에서 만들어진 성형칩을 130 내지 140℃의 온도로 29 내지 31초간 유탕하는 제1유탕과정과,
    상기 제1유탕과정을 거친 상기 성형칩을 160 내지 175℃의 온도로 59 내지 61초간 유탕하는 제2유탕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톳과 비트를 이용한 두부과자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오븐건조단계는
    상기 유탕처리단계에서 만들어진 유탕칩을 145 내지 155℃ 온도로 가열하여 건조시켜서 형성된 제1과자칩을 만드는 제1오븐건조과정과,
    상기 제1과자칩을 140 내지 150℃ 온도로 가열하여서 건조시켜서 형성된 제2과자칩을 만드는 제2오븐건조과정과,
    상기 제2과자칩을 135 내지 145℃ 온도로 가열하여서 건조시켜서 형성된 제3과자칩을 만드는 제3오븐건조과정과,
    상기 제3과자칩을 상온에서 3 내지 5분간 건조시켜서 만드는 과자칩을 만드는 자연건조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톳과 비트를 이용한 두부과자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오븐은
    상기 제1오븐건조과정 내지 제3오븐건조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내부에 상기 유탕칩과 상기 제1과자칩 내지 제3과자칩이 수용되는 제1수용부 내지 제3수용부를 포함하는 수용본체와,
    상기 수용본체의 내외부에서 상기 유탕칩과 상기 제1과자칩 내지 제3과자칩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컨베이어밸트와, 상기 컨베이어밸트에 위치한 상기 유탕칩과 상기 제1과자칩 내지 제3과자칩이 낙하이동시 파쇄를 방지하고 상기 컨베이어밸트에 착지토록 상기 제1수용부 내지 제3수용부에 형성된 가이드부와, 상기 컨베이어밸트를 상하로 구동시켜서 상기 유탕칩을 뒤집을 수 있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플립부와, 상기 컨베이어밸트의 하부에 형성되어서 상기 컨베이어밸트를 세척하는 세척부를 포함하는 이동부와,
    상기 유탕칩과 상기 제1과자칩 내지 제3과자칩을 향하여 기 설정된 온도로 열풍건조할 수 있도록 상기 유탕칩을 가열하는 가열부와,
    상기 수용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서 상기 제1수용부 내지 제3수용부에서 내부공기에 의한 상호 열교환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상기 제1수용부 내지 제3수용부의 내부의 가열공기를 순환시키도록 형성된 열풍부와,
    상기 제1수용부 내지 제3수용부에 설치된 온도센서들에서 측정된 온도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가열부, 상기 이동부 및 상기 열풍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톳과 비트를 이용한 두부과자 제조방법.
KR1020220018079A 2021-12-24 2022-02-11 톳과 비트를 이용한 두부과자 제조방법 KR2023009846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86662 2021-12-24
KR1020210186662 2021-12-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8468A true KR20230098468A (ko) 2023-07-04

Family

ID=87156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8079A KR20230098468A (ko) 2021-12-24 2022-02-11 톳과 비트를 이용한 두부과자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846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1433B1 (ko) 2007-05-14 2009-02-23 주식회사 두부마을 두부 스낵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1433B1 (ko) 2007-05-14 2009-02-23 주식회사 두부마을 두부 스낵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86254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заварных пряников повышенной пищевой ценности
CN103504103B (zh) 一种猴头花生牛轧糖及其制备方法
CN105901062A (zh) 低糖紫马铃薯华夫饼及其制作方法
KR101424766B1 (ko) 압축팽화를 이용한 곡물과자 제조방법
KR102162688B1 (ko) 쌀눈 및 보리순을 이용한 머랭의 제조방법
KR20230098468A (ko) 톳과 비트를 이용한 두부과자 제조방법
KR101689928B1 (ko) 찹쌀 및 고구마를 포함하는 빵의 제조방법
KR20210064709A (ko) 볼형 구운 단감유과
KR100816636B1 (ko) 다시마와 콩이 함유된 제과식품 제조방법
CN110024830A (zh) 一种杂粮蛋糕及其制备方法
KR102333529B1 (ko) 2단 숙성 밤빵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밤빵
KR101434269B1 (ko) 찐빵의 제조방법
KR102170157B1 (ko) 호두과자 제조방법
KR100881433B1 (ko) 두부 스낵 제조방법
CN111011728A (zh) 一种红心火龙果荞麦面的制作方法
KR101658321B1 (ko) 열냉법을 이용한 렌틸콩 식빵 제조방법
KR102404735B1 (ko) 당근 식빵 및 그 제조방법
TWI734104B (zh) 豆渣發酵類麵食之製作方法
RU2748891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кондитерских изделий
KR102473695B1 (ko) 호두과자의 제조방법.
KR102236290B1 (ko) 쌀눈 마들렌 제조방법
RU2742243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заварных пряников повышенной пищевой ценности
KR102138371B1 (ko) 삶은 감자를 이용한 감자떡 제조방법
KR100594381B1 (ko) 기능성혼합약과의 제조방법 및 제조된 기능성 혼합약과
CN106259600A (zh) 酸奶南瓜味香菇饼干及其制备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