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8344A -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도액, 유리 및 접합 유리 - Google Patents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도액, 유리 및 접합 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8344A
KR20230098344A KR1020237019213A KR20237019213A KR20230098344A KR 20230098344 A KR20230098344 A KR 20230098344A KR 1020237019213 A KR1020237019213 A KR 1020237019213A KR 20237019213 A KR20237019213 A KR 20237019213A KR 20230098344 A KR20230098344 A KR 202300983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ue light
blocking
coating
ultraviolet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9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치루이 팡
샨지 구오
잉잉 순
캔종 장
쳉 케
Original Assignee
푸야오 글라스 인더스트리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푸야오 글라스 인더스트리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푸야오 글라스 인더스트리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98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83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4/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D183/00 - C09D183/1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3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431Specific parts for the modulation of light incorporated into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44Invariable transmission
    • B32B17/10449Wavelength selective transmi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431Specific parts for the modulation of light incorporated into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467Variable transmission
    • B32B17/10495Variable transmission optoelectronic, i.e. optical valve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006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materials of composite character
    • C03C17/008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materials of composite character comprising a mixture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the groups C03C17/02, C03C17/06, C03C17/22 and C03C17/28
    • C03C17/009Mixtures of organic and inorganic materials, e.g. ormosils and ormoc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34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 C03C17/36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at least one coating being a metal
    • C03C17/3602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at least one coating being a metal the metal being present as a layer
    • C03C17/3668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at least one coating being a metal the metal being present as a layer the multilayer coating having electrical properties
    • C03C17/3671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at least one coating being a metal the metal being present as a layer the multilayer coating having electrical propert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as electro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7/00Joining pieces of glass to pieces of other inorganic material; Joining glass to glass other than by fusing
    • C03C27/06Joining glass to glass by processes other than fusing
    • C03C27/10Joining glass to glass by processes other than fusing with the aid of adhesive specially adapted for that purpos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04Polysiloxanes
    • C08G77/06Preparatory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04Polysiloxanes
    • C08G77/06Preparatory processes
    • C08G77/08Preparatory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catalysts use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8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83/04Polysiloxanes
    • C09D183/06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xygen-containing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32Radiation-absorbing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20Diluents or solv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41Organic pigments; Organic dy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00Adhesives based on inorganic constitu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8Filters for use with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e.g. for separating visible light from infrared and/or ultraviolet radi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 G02B5/223Absorbing filters containing organic substances, e.g. dyes, inks or pig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 G02B5/226Glass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41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omprising a light source or a light gu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61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vinyl ac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40Symmetrical or sandwich layers, e.g. ABA, ABCBA, ABCCB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06Transparent parts other than made from inorganic glass, e.g. polycarbonate glaz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217/00Coatings on glass
    • C03C2217/40Coatings comprising at least one inhomogeneous layer
    • C03C2217/43Coatings comprising at least one inhomogeneous layer consisting of a dispersed phase in a continuous phase
    • C03C2217/44Coatings comprising at least one inhomogeneous layer consisting of a dispersed phase in a continuous phase characterized by the composition of the continuous phase
    • C03C2217/45Inorganic continuous ph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217/00Coatings on glass
    • C03C2217/40Coatings comprising at least one inhomogeneous layer
    • C03C2217/43Coatings comprising at least one inhomogeneous layer consisting of a dispersed phase in a continuous phase
    • C03C2217/46Coatings comprising at least one inhomogeneous layer consisting of a dispersed phase in a continuous phase characterized by the dispersed phase
    • C03C2217/47Coatings comprising at least one inhomogeneous layer consisting of a dispersed phase in a continuous phase characterized by the dispersed phase consisting of a specific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217/00Coatings on glass
    • C03C2217/70Properties of coatings
    • C03C2217/74UV-absorbing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217/00Coatings on glass
    • C03C2217/90Other aspects of coatings
    • C03C2217/94Transparent conductive oxide layers [TCO] being part of a multilayer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218/00Methods for coating glass
    • C03C2218/10Deposition methods
    • C03C2218/11Deposition methods from solutions or suspens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04Polysiloxanes
    • C08G77/14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xygen-containing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04Polysiloxanes
    • C08G77/20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unsaturated aliphatic grou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oxicolog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Surface Treatment Of Glas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도액은 실리카졸과 킬레이트제를 포함하고, 실리카졸은 규산염, 제1 용제, 제1 커플링제, 제1 촉매와 이온제거수를 포함하고, 킬레이트제는 자외선 흡수제, 블루라이트 흡수제, 제2 용제, 제2 촉매와 제2 커플링제를 포함한다.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유리는 만곡된 유리판(1)과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2)을 포함한다.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접합 유리는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유리, 중간 접착층과 제2 유리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도액, 유리 및 접합 유리
(관련 출원)
본 출원은 중국 특허청에 제출된 중국 특허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고, 출원일은 2020년 12월 15일이고, 출원 번호는 202011469860.1이며, 발명의 명칭은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도액, 유리 및 그 제조방법'이며, 상기 선행 출원의 내용은 본 출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본 발명은 표면 코팅 도포 기술 분야, 특히 유리 표면에 도포하는 기능 코팅과 관련되며, 구체적으로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도액,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유리 및 접합 유리를 제공하며, 동시에 조광 또는 발광할 수 있는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접합 유리를 제공한다.
표면 코팅 도포 기술을 통해 기재의 표면에 기능 코팅을 형성하여 적외선 차단, 자외선 차단, 소수 소유, 안개 방지 등 요구를 만족할 수 있다. 그 중에서 자외선 차단 코팅은 자외선의 투과율을 대폭 낮출 수 있으므로, 자외선이 인체 건강에 미치는 위해를 줄이고 자동차 내장과 주택 내장이 단기간에 노화, 퇴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유리 기판의 표면에 자외선 차단 코팅을 형성하는 것은 이미 비교적 성숙된 기술이다. 예를 들면, 일본 특허 JP2009184882A, JP201318934345A 및 중국 특허 CN102892851A, CN103347833A, CN111819160A 등은 모두 유리 기판 표면에 자외선 차단 도액을 도포함으로써 자외선 차단 코팅을 형성하며, 비교적 좋은 자외선 차단 능력 및 비교적 높은 경도와 내마모성 등 기계 내구성을 갖는 것을 공개하였다.
가시광선 스펙트럼에서 일반적으로 파장 범위가 400nm~500nm인 빛을 블루라이트로 정의하는데, 그 중 400nm~420nm의 단파 블루라이트는 비교적 높은 에너지를 가지고 있어 망막에 해를 끼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시각적 피로, 눈부심, 망막 황반병변 등을 일으키기 때문에, 단파 블루라이트의 투과율을 낮춰야 한다. 중국 특허 CN109455945A는 반사형 블루라이트 방지 유리 및 그 제조 방법을 공개하며, 유리 기재와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을 포함하고,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은 반사 기능을 가진 도포액이고, 400-450nm에서 블루라이트 반사율은 50%이며, 주로 전자 제품에 응용되고, 그 내마모성 결과는 자동차 유리의 표면 코팅의 성능 요구를 만족시킬 수 없다.
또한 중국 특허 CN11101457A는 유리 구조체를 공개하며, 한 쌍의 유리판, 한 쌍의 유리판 사이에 배치된 조광체 및 조광체와 한 유리판 사이에 배치된 자외선 흡수층을 포함하며, 370nm 이상이고 400nm 이하의 파장 구역에 있어서의 자외선 흡수층의 최대 투과율은 10% 이하이고, 400nm보다 크고 420nm 이하의 파장 영역에 있어서의 최대 투과율은 50% 이상이며, 400nm보다 크고 420nm 이하의 최대 투과율이 50% 미만이면 태양광을 비출 때 유리 구조체가 착색된 것처럼 보인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인 문제는 기존 기술의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과 자외선 흡수층이 자외선 차단과 블루라이트 차단을 동시에 만족할 수 없다는 등 단점에 대하여,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도액 및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도액을 도포하여 형성된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유리와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유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함과 동시에 조광 또는 발광할 수 있는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접합 유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그 기술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채택하는 기술 방안은 다음과 같다.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도액은 기재의 표면에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을 형성하는 데에 사용되고,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도액은 실리카졸(silica sol)과 킬레이트제(chelating agent)를 포함하며,
실리카졸은 질량 백분율에 따라 15%~35% 규산염(silicate), 30%~60% 제1 용제(first solvent), 5%~15% 제1 커플링제(first coupling agent), 0.01%~1% 제1 촉매(first catalyst)와 10%~30% 이온제거수(deionized water)를 포함하고,
킬레이트제는 질량 백분율에 따라 1%~15% 자외선 흡수제(UV absorbe), 1%~15% 블루라이트 흡수제(blue-light absorber), 40%~60% 제2 용제(second solvent), 0.01%~1% 제2 촉매(second catalyst)와 10%~30% 제2 커플링제(second coupling agen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질량 백분율에 따라 실리카졸 한‘œ당 5~20%의 킬레이트제를 첨가한다.
바람직하게는 규산염은 테트라메틸 오르토실리케이트(tetramethyl orthosilicate), 테트라에틸 오르토실리케이트(tetraethyl orthosilicate), 트리메톡시실란(trimethoxysilane), 트리에톡시실란(triethoxysilane)과 디메틸디메톡시실란(dimethyldimethoxysilane)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커플링제와 제2 커플링제는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3-aminopropyltrimethoxysilane), γ-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γ-aminopropyltriethoxysilane), γ-(2,3-에폭시프로폭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γ-(2,3-Epoxypropoxy)propyltrimethoxysilane),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γ-Methacryloxypropyltrimethoxysilane), N-(β-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N-(β-Aminoethyl)-γ-aminopropyltrimethoxysilane)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용제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판올, 부탄올과 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propylene glycol methyl ether)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술한 제2 용제는 부틸아세테이트(butyl acetate), 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propylene glycol methyl ether), 이소부틸아세테이트(isobutyl acetate), 자일렌(xylene) 중 적어도 하나이다.
바람직하게는, 제1 촉매는 염산, 질산 및 암모니아 용액 중 적어도 하나이고, 제2 촉매는 디브틸주석디라우레이트(dibutyltin dilaurate), 유기 비스무트 촉매(organobismuth catalyst)와 신산 아석(stannous octoate) 중 적어도 하나이다.
바람직하게는, 자외선 흡수제의 최대 흡수봉은 330nm~370nm의 파장 범위 내에 있고, 블루라이트 흡수제의 최대 흡수봉은 400nm~420nm의 파장 범위 내에 있다.
바람직하게는, 자외선 흡수제 중의 히드록시 함량은 질량 백분율에 따라 5%보다 크거나 같으며, 자외선 흡수제는 벤조페논(benzophenone)류 자외선 흡수제, 벤조마이졸(benzimidazole)류 자외선 흡수제와 트리아진(triazine)류 자외선 흡수제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한다.
바람직하게는, 블루라이트 흡수제 중의 히드록시 함량은 질량 백분율에 따라 5%보다 크거나 같으며, 블루라이트 흡수제는 아조류 블루라이트 흡수제(azo blue-light absorber), 이소인돌리논류 블루라이트 흡수제(isoindolinone blue-light absorber), 퀴노프탈론류 블루라이트 흡수제(quinophthalone blue-light absorber), 벤조이미다졸론류 블루라이트 흡수제(benzimidazolone blue-light absorber)와 유기-무기 복합류 블루라이트 흡수제(organic-inorganic composite blue-light absorber)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한다.
본 발명은 만곡된 유리판과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유리를 제공하며,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은 만곡된 유리판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설치되고,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은 이산화규소, 자외선 흡수제 및 블루라이트 흡수제를 포함하며,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의 두께는 2μm~12μm이고,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이 300nm~400nm 파장 범위 내에서의 투과율은 5%보다 작거나 같으며,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이 400nm~440nm 파장 범위 내에서의 최대 투과율은 30%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이 300nm~400nm 파장 범위 내에서의 투과율은 2%보다 작거나 같으며,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이 400nm~440nm 파장 범위 내에서의 최대 투과율은 20%보다 작거나 같다.
바람직하게는,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이 300nm~400nm 파장 범위 내에서의 투과율은 1%보다 작거나 같으며,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이 400nm~440nm 파장 범위 내에서의 최대 투과율은 10%보다 작거나 같다.
바람직하게는,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이 460nm에서의 투과율 T460과 410nm에서의 투과율 T410의 비율은 4≤T460/T410≤60이다.
바람직하게는,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이 460nm에서의 투과율 T460과 410nm에서의 투과율 T410의 비율은 4≤T460/T410≤12이다.
바람직하게는, 만곡된 유리판은 400~800nm 파장 범위 내에서 최소 70%의 투과율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이 400nm~800nm파장 범위 내에서의 투과율은 70%보다 크거나 같다.
바람직하게는,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은 3000시간의 제논 램프(xenon lamp)의 노화 테스트를 거친 후에, 400nm~800nm 파장 범위 내에서 최소 70%의 투과율을 갖고,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은 평면 내마모계의 1000회전의 내마모 테스트를 거친 후에, 그 테스트 전후의 헤이즈 차이(haze difference)는 2%보다 작다.
바람직하게는, 만곡된 유리판은 평평한 유리판이 최소 560℃의 고온 열처리와 만곡 성형을 거친 후에 얻어진다.
본 발명은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접합 유리를 제공하며,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유리, 중간 접착층 및 제2 유리판을 포함하고, 중간 접착층은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유리와 제2 유리판 사이에 끼워져 있으며,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유리는 만곡된 유리판과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을 포함하고,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은 만곡된 유리판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설치되고, 자외선 차단 블루레이 방지 코팅은 만곡된 유리판과 중간 접착층 사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유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며,
질량 백분율에 따라 1%~15% 자외선 흡수제, 1%~15% 블루라이트 흡수제, 40%~60% 제2 용제, 0.01%~1% 제2 촉매와 10%~30% 제2 커플링제를 혼합하고 회류 교반하여 킬레이트제를 얻는 단계 1과,
질량 백분율에 따라 15%~35% 규산염, 30%~60% 제1 용제, 5%~15% 제1 커플링제, 0.01%~1% 제1 촉매와 10%~30% 이온제거수를 혼합하고 교반하여 실리카졸을 얻는 단계 2와,
질량 백분율에 따라 실리카졸 한‘œ당 5~20%의 킬레이트제를 첨가하고 혼합 교반한 다음에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도액을 얻는 단계 3과,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도액을 만곡된 유리판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도포하고, 80~120℃의 고화를 거친 후에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을 갖는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유리를 얻는 단계 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단계 1의 회류 교반 시간은 2~8시간이고, 회류 교반 온도는 100~150℃ 이다.
바람직하게는, 단계 2의 교반 시간은 60~120분이고, 단계 3의 혼합 교반 시간은 최소 120분이며, 단계 4의 80~120℃의 고화 시간은 10~200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단계 4에서 80~120℃의 고화를 거치기 전에 만곡된 유리판의 표면에 도포된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도액을 예건조하는 것을 더 포함하며, 예건조 온도는 20~60℃이고, 습도는 45~65%이며, 시간은 20~40분이다.
본 발명은 또한 조광 또는 발광할 수 있는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접합 유리를 제공하며, 차례로 적층된 제1 유리판, 제1 접착층, 조광 구조 또는 발광 구조, 제2 접착층, 제2 유리판을 포함하고, 제1 유리판과 조광 구조 또는 발광 구조 사이에 및/또는 제2 유리판과 조광 구조 또는 발광 구조 사이에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이 설치되어 있으며,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은 이산화규소, 자외선 흡수제 및 블루라이트 흡수제를 포함하고,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이 300nm~400nm 파장 범위 내에서의 투과율은 5%보다 작거나 같으며,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이 400nm~440nm 파장 범위 내에서의 최대 투과율은 30%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이 300nm~400nm 파장 범위 내에서의 투과율은 2%보다 작거나 같으며,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이 400nm~440nm 파장 범위 내에서의 최대 투과율은 20%보다 작거나 같다.
바람직하게는,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이 300nm~400nm 파장 범위 내에서의 투과율은 1%보다 작거나 같으며,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이 400nm~440nm 파장 범위 내에서의 최대 투과율은 10%보다 작거나 같다.
바람직하게는,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이 460nm에서의 투과율 T460과 410nm에서의 투과율 T410의 비율은 4≤T460/T410≤60이다.
바람직하게는,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이 400nm~800nm파장 범위 내에서의 투과율은 70%보다 크거나 같다.
바람직하게는,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은 평면 내마모계의 1000회전의 내마모 테스트를 거친 후에, 그 테스트 전후의 헤이즈 차이는 2%보다 작다.
바람직하게는,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의 두께는 2μm~12μm이다.
바람직하게는,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이 400nm~800nm파장 범위 내에서의 투과율은 70%보다 작다.
바람직하게는, 자외선 흡수제의 최대 흡수봉은 330nm~370nm의 파장 범위 내에 있고, 블루라이트 흡수제의 최대 흡수봉은 400nm~420nm의 파장 범위 내에 있다.
바람직하게는, 조광 구조는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접합 유리의 가시광선 투과율을 조절하는 데에 사용되고, 조광 구조는 PDLC(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장치, SPD(suspended particle device) 또는 EC(electrochromic) 장치이며, 발광 구조는 블루라이트 또는 백색광을 낼 수 있으며, 발광 구조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무기 발광 다이오드, 무기 박막 전계 발광 소자(inorganic thin-film electroluminescent element, TFEL) 또는 유기 박막 전계 발광 소자(organic thin-film electroluminescent element, OTFEL)이다.
바람직하게는,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은 제1 유리판의 표면에 설치되어 제1 유리판과 제1 접착층 사이에 있거나, 또는 제2 유리판의 표면에 설치되어 제2 유리판과 제2 접착층 사이에 있다.
바람직하게는, 조광 구조는 차례로 적층된 제1 담체층, 제1 평면 전극, 조광층, 제2 평면 전극, 제2 담체층을 포함하며,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은 제1 유리판과 제1 담체층 사이 및/또는 제2 유리판과 제2 담체층 사이에 설치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은 제1 담체층의 표면에 설치되어 제1 담체층과 제1 접착층 사이에 있거나, 또는 제2 담체층의 표면에 설치되어 제2 담체층과 제2 접착층 사이에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1 평면 전극과 제2 평면 전극은 투명 전도층이고, 투명 전도층은 금속층, 금속 합금층 또는 금속 산화물층을 포함하고, 금속층은 금(Au), 은(Ag), 동(Cu), 알루미늄(Al) 또는 몰리브덴(Mo)을 선택하며, 금속 합금층은 은합금이고, 금속 산화물층은 인듐주석산화물(indium tin oxide, ITO), 불소혼합산화주석(fluorine-doped tin oxide, FTO), 알루미늄혼합산화아연(aluminum-doped zinc oxide, AZO) 또는 안티몬혼합산화주석(antimony-doped tin oxide, ATO)을 선택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유리판, 제1 접착층, 제2 접착층 및 제2 유리판 중의 적어도 하나는 본체가 착색된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1 유리판과 제2 유리판 중의 적어도 하나는 착색된 유리이고, 착색된 유리의 가시광선 투과율은 70%보다 작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1 접착층과 제2 접착층 중의 적어도 하나는 착색된 접착층이고, 착색된 접착층의 가시광선 투과율은 44%보다 작거나 같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방안을 채택함으로써, 아래와 같은 유익한 효과를 갖게 된다.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도액, 유리 및 그 제조 방법은 자외선 투과율을 낮추면서 블루라이트 투과율을 낮추므로, 자외선 차단과 블루라이트를 방지하는 수요를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고, 또한 우수한 내노화, 내마모 등 성능을 갖고 있으며, 기재의 정상적인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도액의 VOC 배출이 매우 낮고, 녹색 환경보호와 좋은 시공 성능 등 장점을 가지고 있다.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은 차량용 유리의 법규 규정에도 부합할 수 있으며, 조광 구조나 발광 구조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접합 유리에 적용되고, 차량 밖의 자외선과 블루라이트를 차단하고 조광 구조와 발광 구조의 정상적인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광 구조를 보호하고 발광 구조에서 나오는 블루라이트를 차단하여 사람의 눈을 더욱 잘 보호할 수 있고, 차양, 프라이버시, 지능화 에너지 절약 등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기술된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유리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기술된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접합 유리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기술된 조광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접합 유리의 제1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기술된 조광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접합 유리의 제2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내용을 진일보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기술된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도액은 기재의 표면에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을 형성하는 데에 사용되고,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은 자외선의 투과율과 블루라이트의 투과율을 낮추기 위해 자외선과 블루라이트를 흡수할 수 있으며,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도액은 실리카졸(silica sol)과 킬레이트제(Chelating Agent)를 포함하며, 질량 백분율에 따라 실리카졸 한‘œ당 5~20%의 킬레이트제를 첨가한다.
실리카졸은 질량 백분율에 따라 15%~35% 규산염(silicate), 30%~60% 제1 용제(first solvent), 5%~15% 제1 커플링제(first coupling agent), 0.01%~1% 제1 촉매(first catalyst)와 10%~30% 이온제거수(deionized water)를 포함하고, 15%~35% 규산염, 30%~60% 제1 용제, 5%~15% 제1 커플링제, 0.01%~1% 제1 촉매와 10%~30% 이온제거수를 혼합하고 교반하여 실리카졸을 얻을 수 있다.
킬레이트제는 질량 백분율에 따라 1%~15% 자외선 흡수제(UV absorbe), 1%~15% 블루라이트 흡수제(blue-light absorber), 40%~60% 제2 용제(second solvent), 0.01%~1% 제2 촉매(second catalyst)와 10%~30% 제2 커플링제(second coupling agent)를 포함하고, 1%~15% 자외선 흡수제, 1%~15% 블루라이트 흡수제, 40%~60% 제2 용제, 0.01%~1% 제2 촉매와 10%~30% 제2 커플링제를 혼합하고 교반하여 킬레이트제를 얻을 수 있다.
블루라이트 흡수제를 첨가함으로써,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도액은 자외선 투과율을 낮추면서 블루라이트 투과율을 낮추므로, 자외선 차단함과 동시에 블루라이트를 방지하는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을 획득할 수 있고, 또한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은 우수한 내노화, 내마모 등 성능을 갖고 있으며,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을 설치한 기재의 정상적인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고, 동시에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도액의 휘발성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 VOC) 배출이 매우 낮고, 녹색 환경보호와 좋은 시공 성능 등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은 차량용 유리의 법규 규정에도 부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규산염은 테트라메틸 오르토실리케이트(tetramethyl orthosilicate), 테트라에틸 오르토실리케이트(tetraethyl orthosilicate), 트리메톡시실란(trimethoxysilane), 트리에톡시실란(triethoxysilane)과 디메틸 디메톡시 실란(dimethyldimethoxysilane)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한다.
제1 커플링제와 제2 커플링제는 실란 커플링제(silane coupling agent)이고,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3-Aminopropyltrimethoxysilane)(KH540), γ-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γ-Aminopropyltriethoxysilane )(KH550), γ-(2,3-에폭시프로폭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γ-(2,3-Epoxypropoxy)propyltrimethoxysilane)(KH560),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γ-Methacryloxypropyltrimethoxysilane)(KH570), N-(β-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β-Aminoethyl)-γ-aminopropyltrimethoxysilane)(KH792)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한다. 이해할수 있는 것은 제1 커플링제와 제2 커플링제는 동일한 실란 커플링제를 선택할 수 있고, 부동한 실란 커플링제를 선택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코팅 균일성 및 사용 효과 등을 고려하여, 바람직하게는 제1 용제는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프로판올(propanol), 이소프로판판올(isopropanol), 부탄올(butanol)과 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propylene glycol methyl ether)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술한 제2 용제는 부틸아세테이트(butyl acetate), 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propylene glycol methyl ether), 이소부틸아세테이트( isobutyl acetate), 자일렌(xylene) 중 적어도 하나이다.
또한 코팅 형성 시간과 사용 효과 등을 고려하여, 바람직하게는 제1 촉매는 염산, 질산 및 암모니아 용액 중의 적어도 하나이고, 제2촉매는 디브틸주석디라우레이트(dibutyltin dilaurate)(DY-12), 유기 비스무트 촉매(organobismuth catalyst)(DY-20)와 신산 아석(stannous octoate) 중 적어도 하나이다.
자외선 흡수제의 최대 흡수봉은 330nm~370nm의 파장 범위 내에 있고, 바람직하게는 벤조페논(benzophenone)류 자외선 흡수제, 벤조마이졸(benzimidazole)류 자외선 흡수제와 트리아진(triazine)류 자외선 흡수제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한다. 코팅 균일성 및 사용 효과 등을 고려하여, 바람직하게는 자외선 흡수제 중의 히드록시 함량은 질량 백분율에 따라 5%보다 크거나 같다.
벤조페논류 자외선 흡수제로서, 구체적으로 2,4-디히드록시벤조페논(2,4-Dihydroxybenzophenone), 2,2’,3 (또는 4, 5, 6 중 하나)-트리히드록시벤조페논(2,2’,3(or any of 4, 5 and 6)- Trihydroxybenzophenone), 2,2’,4,4’-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2,2’,4,4’-tetrahydroxybenzophenone), 2,4-디히드록시-2’,4’-디메톡시벤조페논(2,4-Dihydroxy-2’,4’-Dimethoxybenzophenone),2-히드록시-4-옥틸옥시 벤조페논(2-Hydroxy-4-Octyloxybenzophenone) 등을 열거할 수 있다.
벤조마이졸류 자외선 흡수제로서, 구체적으로 2-(2H-벤조트리아졸-2-일)-4,6-비스(1-메틸-1-페닐에틸) 페놀(2-(2H-benzotriazol-2-yl)-4,6-bis(1-methyl-1-phenylethyl)phenol)(자외선 흡수제, 상품명 UV-234), 2-(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2-일)-4-메틸-6-(터트-부틸)페놀(2-(5-chloro-2H-benzotriazol-2-yl)-4-methyl-6-(tert-butyl)phenol), 옥틸-3-[3-터트-부틸-4-히드록시-5-[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2-일]프리피오네이트(octyl-3-[3-tert-butyl-4-hydroxy-5-[5-chloro-2H-benzotriazol-2-yl]propionate), 2-(2H-벤조트리아졸-2-일)-4,6-디터트펜틸페놀(2-(2H-benzotriazol-2-yl)-4,6-ditertpentylphenol,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2-(2-hydroxy-5-methylphenyl)benzotriazol, 2-[2-히드록시-3-(3,4,5,6-테트라하이드로프탈리미드-메틸)-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2-[2-hydroxy-3-(3,4,5,6-tetrahydrophthalimide-methyl)-5-methylphenyl]benzotriazole), 2-(2-히드록시-5-터트-옥틸페닐)벤조트리아졸(2-(2-hydroxy-5-tert-octylphenyl)benzotriazole), 2-(2-히드록시-5-터트-부틸페닐)-2H-벤조트리아졸(2-(2-Hydroxy-5-tert-butylphenyl)-2H-benzotriazole), 메틸3-(3-(2H-벤조트리아졸-2-일)-5-터트부틸-4-히드록시페닐)프리피오네이트(methyl3-(3-(2H-benzotriazol-2-yl)-5-tert-butyl-4-hydroxyphenyl)propionate), 2-(2H-벤조트리아졸-2-일)-4,6-비스(1-메틸-1-페닐에틸)페놀(2-(2H-benzotriazol-2-yl)-4,6-bis(1-methyl-1-phenylethyl)phenol), 2-(2H-벤조트리아졸-2-일)-6-(1-메틸-1-페닐에틸)-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놀(2-(2H-benzotriazol-2-yl)-6-(1-methyl-1-phenylethyl)-4-(1,1,3,3-tetramethylbutyl)phenol) 등을 열거할 수 있다.
트리아진류 자외선 흡수제로서, 구체적으로 2-[4-[(2-히드록시-3-도데실옥시프로필)옥시]-2-히드록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2-[4-[(2-hydroxy-3-dodecyloxypropyl)oxy]-2-hydroxyphenyl]-4,6-bis(2,4-dimethylphenyl)-1,3,5-triazine), 2-[4-[(2-히드록시-3-(2’-에틸)-헥실)옥시]-2-히드록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2-[4-[(2-hydroxy-3-(2’-ethyl)hexyl)oxy]-2-hydroxyphenyl]-4,6-bis(2,4-dimethylphenyl)-1,3,5-triazine), 2,4-비스(2-히드록시-4-부톡시페닐)-6-(2,4-비스-부톡시페닐)-1,3,5-트리아진(2,4-bis(2-hydroxy-4-butoxyphenyl)-6-(2,4-bis-butoxyphenyl)-1,3,5-triazine), 2-(2-히드록시-4-[1-옥틸카르보닐에톡시]페닐)-4,6-비스(4-페닐페닐)-1,3,5-트리아진(2-(2-hydroxy-4-[1-octylcarbonylethoxy]phenyl)-4,6-bis(4-phenylphenyl)-1,3,5-triazine), TINUVIN477(상품명, CibaJapan주식회사제) 등을 열거할 수 있다.
유기류 자외선 흡수제는 파장 범위가 비교적 넓은 자외선을 흡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런 자외선 흡수제는 단독으로 한가지를 사용할 수 있고, 두가지 및 그 이상을 혼합 사용할 수도 있으며, 구체적인 사용 상황은 실제 수요에 따라 결정된다.
블루라이트 흡수제의 최대 흡수봉은 400nm~420nm의 파장 범위 내에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아조류 블루라이트 흡수제(azo blue-light absorber), 이소인돌리논류 블루라이트 흡수제(isoindolinone blue-light absorber), 퀴노프탈론류 블루라이트 흡수제(quinophthalone blue-light absorber), 벤조이미다졸론류 블루라이트 흡수제(benzimidazolone blue-light absorber)와 유기-무기 복합류 블루라이트 흡수제(organic-inorganic composite blue-light absorber)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한다. 코팅 균일성 및 사용 효과 등을 고려하여 바람직하게는 블루라이트 흡수제 중의 히드록시 함량은 질량 백분율에 따라 5%보다 크거나 같다.
아조류 블루라이트 흡수제로서, 구체적으로 아조페닐메타크릴레이트(azophenylmethacrylate), 2-[(4-메틸-2-니트로페닐) 아조]-3-옥소-N-페닐부티르아미드(2-[(4-methyl-2-nitrophenyl)azo]-3-oxo-N-phenylbutyramide), 2-[(4-클로로-2-니트로페닐)아조]-N-(2-클로로페닐)-3-옥소-부티르아미드(2-[(4-chloro-2-nitrophenyl)azo]-N-(2-chlorophenyl)-3-oxobutyramide), JADEWIN 1226(상품명, QINGDAO JADE NEW MATERITL TECHNOLOGY CO.,LTD제), 2’-(3,3’-디클로로-1,1’-비페닐-4,4’-비스아조)비스[N-(4-클로로-2,5-디메톡시페닐)-3-옥소-부티르아미드(2’-(3,3’-dichloro-1,1’-biphenyl-4,4’-bisazo)bis[N-(4-chloro-2,5-dimethoxyphenyl)-3-oxo-butyramide]) 등을 열거할 수 있다.
이소인돌리논류 블루라이트 흡수제로서, 구체적으로 1,3,3-트리메틸-2-메틸렌인돌(1,3,3-trimethyl-2-methyleneindoline), 3,3’-[(2-메틸-1,3-페닐렌)디아미노]비스[4,5,6,7-테트라클로로-1H-이소인돌-1-케톤]( 3,3’-[(2-methyl-1,3-phenylene)diimino]bis[4,5,6,7-tetrachloro-1H-isoindol-1-one]), 헥사클로로이소인돌리논(hexachloroisoindolinone), 2-[[3,3’-디클로로-4’-[[1-[[(2,4-디메틸페닐)아미노]카르보닐]-2-옥소프로필]아조][1,1’-비페닐]-4-일]-아조]-N-(2-메틸페닐)-3-옥소-부티르아미드(2-[[3,3’-dichloro-4’-[[1-[[(2,4-dimethylphenyl)amino]carbonyl]-2-oxopropyl]azo][1,1’-biphenyl]-4-yl]-azo]-N-(2-methylphenyl)-3-oxo-butyramide) 등을 열거할 수 있다.
퀴노프탈론류 블루라이트 흡수제로서, 구체적으로 3-(2-사이클로프로필-4-(4-플루오로페닐)-3-퀴놀린)프로페날(3-(2-cyclopropyl-4-(4-fluorophenyl)-3-quinolinyl)propenal), 3,4,5,6-테트라클로로-N-[2-(4,5,6,7-테트라클로로-2,3-디하이드로-1,3-디옥소-1H-인덴-2-일)-8-퀴놀릴]프탈이미드(3,4,5,6-tetrachloro-N-[2-(4,5,6,7-tetrachloro-2,3-dihydro-1,3-dioxo-1H-inden-2-yl)-8-quinolyl]phthalimide) 등을 열거할 수 있다.
벤조이미다졸론류 블루라이트 흡수제로서, 구체적으로 2-(2-히드록시-5-이소아크릴레이트에틸페닐)-2H-벤조트리아졸(2-(2-hydroxy-5-isoacrylate ethylphenyl)-2H-benzotriazole), 5-[[1-[[(2,3-디하이드로-2-옥소-1H-벤지미다졸-5-일)아미노]카르보닐]-2-옥소프로필]아조]-1,4-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 5-[[1-[[(2,3-dihydro-2-oxo-1H-benzimidazol-5-yl)amino]carbonyl]-2-oxopropyl]azo]-1,4-dimethyl terephthalate), 디메틸 2-[[1-[[(2,3-디하이드로-2-옥소-1H-벤지미다졸-5-일)아미노]카르보닐]-2-옥소프로필]아조-1,4-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dimethyl 2-[[1-[[(2,3-dihydro-2-oxo-1H-benzimidazol-5-yl)amino]carbonyl]-2-oxopropyl]azo]-1,4-dimethyl terephthalate), JADEWIN 1227(상품명, QINGDAO JADE NEW MATERITL TECHNOLOGY CO.,LTD제) 등을 열거할 수 있다.
유기-무기 복합류 블루라이트 흡수제로서, 구체적으로 U400(상품명, Shanghai Huzheng Nanotechnology Co., Ltd.제), U410(상품명, Shanghai Huzheng Nanotechnology Co., Ltd.제), U420(상품명, Shanghai Huzheng Nanotechnology Co., Ltd.제), U460(상품명, Shanghai Huzheng Nanotechnology Co., Ltd.제) 등을 열거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유리를 제공하며, 만곡된 유리판(1)과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2)을 포함한다.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2)은 만곡된 유리판(1)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도포된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도액이 고화되어 형성된다.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2)은 이산화규소, 자외선 흡수제 및 블루라이트 흡수제를 포함하고,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2)의 두께는 2μm~12μm이며, 차량용 유리에 적용하도록 한다.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2)이 300nm~400nm 파장 범위 내에서의 투과율은 5%보다 작거나 같으며, 바람직하게는 2%보다 작거나 같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보다 작거나 같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0.5%보다 작거나 같다.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2)이 400nm~440nm 파장 범위 내에서의 최대 투과율은 30%보다 작거나 같으며, 바람직하게는 20%보다 작거나 같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보다 작거나 같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5%보다 작거나 같다.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유리는 자외선을 차단하고 블루라이트를 방지하는 것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다.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2)의 외관 색상이 노랗게 보이는 정도를 낮추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2)이 460nm에서의 투과율 T460과 410nm에서의 투과율 T410의 비율은 4≤T460/T410≤60이며, 더 많은 장면 사용에 적합한 양호한 외관을 획득한다. 만곡된 유리판(1)이 투명 유리일 때, 만곡된 유리판(1)은 400nm~800nm 파장 범위 내에서 최소 70%의 투과율를 갖고, 바람직하게는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2)이 460nm에서의 투과율 T460과 410nm에서의 투과율 T410의 비율은 4≤T460/T410≤12이며,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2)이 400nm~800nm파장 범위 내에서의 투과율은 70%보다 크거나 같고, 바람직하게는 80%보다 크거나 같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85%보다 크거나 같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만곡된 유리판(1)은 400~800nm 파장 범위 내에서 최소 80%의 투과율를 갖는다.
차량용 유리의 사용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2)은 3000시간의 제논 램프의 노화 테스트를 거친 후에, 400nm~800nm 파장 범위 내에서 최소 70%의 투과율을 갖고,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2)은 평면 내마모계의 1000회전의 내마모 테스트를 거친 후에, 그 테스트 전후의 헤이즈 차이는 2%보다 작다.
만곡된 유리판(1)은 물리적 강화 유리이고, 평평한 유리판이 최소 560℃의 고온 열처리와 만곡 성형을 거친 후에 얻어지며,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유리는 차량의 옆유리, 뒷유리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유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며, 아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1: 질량 백분율에 따라 1%~15% 자외선 흡수제, 1%~15% 블루라이트 흡수제, 40%~60% 제2 용제, 0.01%~1% 제2 촉매와 10%~30% 제2 커플링제를 혼합하고, 100℃ 항온 유욕솥에서 회류 교반하여 킬레이트제를 얻는다. 반응이 충분하도록, 회류 교반 시간은 2~8시간이고, 회류 교반 온도는 100~150℃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2: 질량 백분율에 따라 15%~35% 규산염, 30%~60% 제1 용제, 5%~15% 제1 커플링제, 0.01%~1% 제1 촉매와 10%~30% 이온제거수를 혼합하고, 40℃ 수욕에서 교반하여 실리카졸을 얻는다. 반응이 충분하도록, 교반 시간은 60~120분인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3: 질량 백분율에 따라 실리카졸 한‘œ당 5~20%의 킬레이트제를 첨가하고 혼합 교반한 후에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도액을 얻는다. 반응이 충분하도록, 혼합 교반 시간은 적어도 120분인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4: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도액을 만곡된 유리판(1)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도포하고, 80~120℃의 고화를 거친 후에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을 갖는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유리를 얻는다.
만곡된 유리판(1)은 볼록면과 오목면을 갖고, 만곡된 유리판(1)이 자동차에 장착될 때, 볼록면은 차량 밖을 향하고, 오목면은 차량 안을 향하며, 오목면에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도액을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80~120℃의 고화 시간은 10~200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4에서 80~120℃의 고화를 거치기 전에 후속 고화에 유리하도록 만곡된 유리판(1)의 표면에 도포된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도액을 예건조하는 것을 더 포함하며, 예건조 온도는 20~60℃이고, 습도는 45~65%이며, 시간은 20~40분이다.
만곡된 유리판(1)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도액을 도포할 때에 스프레이 코팅(spray coating), 바름 코팅(wipe coating), 흐름 코팅(flow coating), 브러시 코팅(brush coating) 또는 침착 코팅(dip coating)과 같은 곡면 도포 기술, 및 초음파(ultrasonic), 원심(centrifugal) 또는 회전(rotational) 등 기술을 결합하여 형성된 복합 도포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접합 유리를 제공하며,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유리(10), 중간 접착층(20) 및 제2 유리판(30)을 포함하고, 중간 접착층(20)은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유리(10)와 제2 유리판(30) 사이에 끼워져 있으며,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유리(10)는 만곡된 유리판(1)과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2)을 포함하고,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2)은 만곡된 유리판(1)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설치된다.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접합 유리는 차량의 앞면 유리, 옆유리, 천창 유리 또는 뒷면 유리로 사용될 수 있다.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접합 유리를 차량에 장착할 때, 바람직하게는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유리(10)를 외부 유리판으로 하며, 즉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유리(10)는 차량의 바깥쪽에 위치하고,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2)은 만곡된 유리판(1)과 중간 접착층(20) 사이에 위치하며, 따라서 중간 접착층(20)이 받는 자외선 조사를 감소하고, 중간 접착층(20)의 자외선 노화 속도를 늦추며,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접합 유리의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접합 유리를 제공하며, 차량의 천창 조광 유리로 사용될 수 있다.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접합 유리는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2)과 차례로 적층된 제1 유리판(11), 제1 접착층(12), 제1 담체층(13), 제1 평면 전극(14), 조광층(15), 제2 평면 전극(16), 제2 담체층(17), 제2 접착층(18), 제2 유리판(19)을 포함하고,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2)은 제1 유리판(11)과 제1 담체층(13) 사이 및/또는 제2 유리판(19)과 제2 담체층(17) 사이에 설치된다.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2)은 차량 안으로 들어오는 자외선과 블루라이트를 대폭 감소시켜 차량 안의 물품과 사람의 눈을 보호할 수 있으며, 조광층(15), 특히 PDLC를 보호하는 데도 사용될 수 있다.
도 3에서,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2)은 제1 유리판(11)의 표면에 설치되며, 또한 제1 유리판(11)과 제1 접착층(12) 사이에 위치한다.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2)은 제1 접착층(12)이 대량의 자외선의 조사를 받지 않도록 보호하며,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접합 유리의 정상적인 사용 수명을 연장시킨다.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2)은 제2 유리판(19)의 표면에 설치되며, 또한 제2 유리판(19)과 제2 접착층(18) 사이에 위치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유리판(11)을 외부 유리판으로 하며, 즉 제1 유리판(11)은 차량의 바깥쪽에 위치하고,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2)은 차량 밖의 자외선과 블루라이트를 차단하는 데에 사용된다.
도 4에서,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2)은 제1 담체층(13)의 표면에 설치되며, 또한 제1 담체층(13)과 제1 접착층(12) 사이에 위치한다.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2)은 차량 밖의 자외선과 블루라이트를 차단하여 차량 안의 물품, 사람의 눈 및 조광층(15)을 보호하는 데에 사용된다.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2)은 제2 담체층(17)의 표면에 설치되며, 또한 제2 담체층(17)과 제2 접착층(18) 사이에 위치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조광층(15)은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접합 유리의 가시광선 투과율을 조절하는 데에 사용되며, 제1 평면 전극(14)과 제2 평면 전극(16)에 전압을 가하여 실현할 수 있다. 조광층(15)은 폴리머 분산 액정(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PDLC) 장치, 부유 입자 장치(suspended particle device, SPD) 또는 통전 변색(electrochromic,EC) 장치일 수 있으며,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접합 유리가 차양, 프라이버시, 지능화 에너지 절약 등 수요를 만족하도록 한다.
제1 평면 전극(14)과 제2 평면 전극(16)은 투명 도전층이며, 구체적으로 금속층, 금속 합금층 또는 금속 산화물층을 포함할 수 있다. 금속층은 금(Au), 은(Ag), 동(Cu), 알루미늄(Al) 또는 몰리브덴(Mo)을 선택할 수 있다. 금속 합금층은 은합금을 선택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은동합금, 은인듐합금 등이다. 금속 산화물층은 인듐주석산화물(indium tin oxide, ITO), 불소혼합산화주석(fluorine-doped tin oxide, FTO), 알루미늄혼합산화아연(aluminum-doped zinc oxide, AZO), 안티몬혼합산화주석(antimony-doped tin oxide, ATO) 등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1 담체층(13), 제1 평면 전극(14), 조광층(15), 제2 평면 전극(16), 제2 담체층(17)이 적층되어 조광 구조를 형성한다. 제1 담체층(13)과 제2 담체층(17)은 일반적으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glycol terephthalate, PET)를 사용하며, 물론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폴리비닐부티랄(Polyvinyl Butyral, PVB),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EVA),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PA) 또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R) 등을 선택할 수도 있다. 제1 접찹층(12)과 제2 접착층(18)은 조광 구조를 제1 유리판(11)과 제2 유리판(19) 사이에 진일보로 접착하여 접합 유리를 형성하는 데에 사용된다. 제1 접찹층(12)과 제2 접착층(18)은 일반적으로 폴리비닐부티랄(Polyvinyl Butyral, PVB)을 선택하며, 물론 이온성 중간막(SGP),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EVA),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PA) 또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R) 등을 선택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접착층(12)과 제2 접착층(18)도 자외선을 흡수할 수 있으며, 따라서 차량 안으로 들어오는 자외선 강도를 낮출수 있다. 또한, 조광층(15), 특히 PDLC의 조광 성능은 자외선의 영향을 받기 쉽기 때문에, 자외선을 흡수할 수 있는 제1 접착층(12)과 제2 접착층(18)은 조광층(15), 특히 PDLC를 보호하는 데도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또한 제1 접착층(12)과 제2 접착층(18) 사이에 있는 조광 구조를 발광 구조로 교체할 수도 있다. 발광 구조는 블루라이트 또는 백색광을 낼 수 있다. 발광 구조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무기 발광 다이오드(LED), 무기 박막 전계 발광 소자(TFEL) 또는 유기 박막 전계 발광 소자(OTFEL)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2)은 제1 유리판(11)의 표면에 설치되어 제1 유리판(11)과 제1 접착층(12) 사이에 있다.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2)은 또한 발광 구조에서 나오는 유해한 블루라이트을 감소시키는 데에 사용된다.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2)은 제2 유리판(19)의 표면에 설치되어 제2 유리판(19)과 제2 접착층(18) 사이에 있을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유리판(19)을 내부 유리판으로 하며, 즉 차량 안쪽에 위치하며,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2)은 차량 밖의 자외선과 블루라이트 및 발광 구조에서 나오는 블루라이트을 차단하여 사람의 눈을 더욱 잘 보호한다.
제1 유리판(11), 제1 접착층(12), 제2 접착층(18), 제2 유리판(19) 중 적어도 하나는 본체가 착색된 것이므로, 비교적 낮은 가시광선 투과율을 갖는다. 제1 유리판(11)과 제2 유리판(19) 중 적어도 하나는 착색 유리이고, 착색 유리의 가시광선 투과율은 예를 들면, <70%, ≤41%, ≤30%, ≤26%이며, 예를 들면 녹색 유리, 회색 유리 등이다. 제1 접착층(12)과 제2 접착층(18) 중 적어도 하나는 착색된 접착층이고, 착색된 접착층의 가시광선 투과율은 ≤44%, ≤18%, ≤8%, ≤5%, ≤2%이며, 예를 들면 모델 번호가 서로 다른 회색 PVB이고, 이렇게 하여 프라이버시 역할을 발휘할 수 있고, 천창 유리로 사용할 때에 차양 커튼을 제거하여 제품 원가를 낮추고 차량 내 공간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아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를 들어 진일보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아래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
실시예 1
BP-2 자외선 흡수제 10g, U410 블루라이트 흡수제 10g, 부틸 아세테이트(butyl acetate) 용매 55g, 디부틸틴디라우레이트(dibutyltin dilaurate) 촉매 0.15g,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γ-Methacryloxypropyltrimethoxysilane) 25g을 혼합하고, 100℃의 항온 유욕솥에서 4시간동안 회류 교반하며, 온도를 자연히 실온으로 내려 킬레이트제(U1)을 얻는다.
테트라에틸 오르토실리케이트(tetraethyl orthosilicate) 13.56g, 무수 에탄올(absolute ethanol) 20g, 이소프로판판올(isopropanol) 30g,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γ-methacryloxypropyltrimethoxysilane) 5.18g, 질량 분수가 10%인 질산 용액 0.1g과 이온제거수 12.5g을 40℃의 수욕에서 60분동안 교반하여 실리카졸(silica sol)(A1)을 얻는다.
실리카졸(A1) 15g과 킬레이트제(U1) 1g을 취하여 120분동안 혼합교반하여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도액(B1)을 얻는다.
먼지가 없는 환경에서 적당량의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도액(B1)을 취하여 선봉 도포기(wire bar coater)로 만곡된 유리판(1)의 표면에 도포하고, 가만히 놓아두어 평평하게 흐르게 한 다음에, 적외선 램프로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도액(B1)을 미리 건조하고, 다시 110℃로 55분동안 고화하여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코팅을 갖는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유리(C1)을 얻는다.
실시예 2
BP-2 자외선 흡수제 10g, U420 블루라이트 흡수제 10g, 부틸 아세테이트(butyl acetate) 용매 55g, 디부틸틴디라우레이트(dibutyltin dilaurate) 촉매 0.15g,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γ-Methacryloxypropyltrimethoxysilane) 25g을 혼합하고, 100℃의 항온 유욕솥에서 4시간동안 회류 교반하며, 온도를 자연히 실온으로 내려 킬레이트제(U2)을 얻는다.
테트라에틸 오르토실리케이트(tetraethyl orthosilicate) 13.56g, 무수 에탄올(absolute ethanol) 22g, 이소프로판판올(isopropanol) 28g,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γ-Methacryloxypropyltrimethoxysilane) 5.18g, 질량 분수가 10%인 질산 용액 0.1g과 이온제거수 12.5g을 40℃의 수욕에서 70분동안 교반하여 실리카졸(A2)을 얻는다.
실리카졸(A2) 20g과 킬레이트제(U2) 1.5g을 취하여 120분동안 혼합교반하여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도액(B2)을 얻는다.
먼지가 없는 환경에서 적당량의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도액(B2)을 취하여 선봉 도포기로 만곡된 유리판(1)의 표면에 도포하고, 가만히 놓아두어 평평하게 흐르게 한 다음에, 적외선 램프로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도액(B2)을 미리 건조하고, 다시 110℃로 55분동안 고화하여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코팅을 갖는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유리(C2)을 얻는다.
실시예 3
BP-2 자외선 흡수제 10g, JADEWIN 1226 블루라이트 흡수제 10g, 부틸 아세테이트(butyl acetate) 용매 55g, 디부틸틴디라우레이트(dibutyltin dilaurate) 촉매 0.15g,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γ-Methacryloxypropyltrimethoxysilane) 25g을 혼합하고, 100℃의 항온 유욕솥에서 4시간동안 회류 교반하며, 온도를 자연히 실온으로 내려 킬레이트제(U3)을 얻는다.
테트라에틸 오르토실리케이트(tetraethyl orthosilicate) 13.56g, 무수 에탄올(absolute ethanol) 25g, 이소프로판판올(isopropanol) 28g,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γ-Methacryloxypropyltrimethoxysilane) 5.18g, 질량 분수가 10%인 질산 용액 0.1g과 이온제거수 12.5g을 40℃의 수욕에서 80분동안 교반하여 실리카졸(A3)을 얻는다.
실리카졸(A3) 20g과 킬레이트제(U3) 1.3g을 취하여 120분동안 혼합 교반하여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도액(B3)을 얻는다.
먼지가 없는 환경에서 적당량의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도액(B3)을 취하여 선봉 도포기로 만곡된 유리판(1)의 표면에 도포하고, 가만히 놓아두어 평평하게 흐르게 한 다음에, 적외선 램프로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도액(B3)을 미리 건조하고, 다시 110℃로 55분동안 고화하여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코팅을 갖는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유리(C3)을 얻는다.
실시예 4
실리카졸(A1) 10g과 킬레이트제(U1) 1g을 취하여 120분동안 혼합교반하여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도액(B4)을 얻는다.
먼지가 없는 환경에서 적당량의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도액(B4)을 취하여 선봉 도포기로 만곡된 유리판(1)의 표면에 도포하고, 가만히 놓아두어 평평하게 흐르게 한 다음에, 적외선 램프로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도액(B4)을 미리 건조하고, 다시 110℃로 55분동안 고화하여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코팅을 갖는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유리(C4)을 얻는다.
실시예 5
실리카졸(A1) 10g과 킬레이트제(U1) 1.5g을 취하여 120분동안 혼합교반하여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도액(B5)을 얻는다.
먼지가 없는 환경에서 적당량의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도액(B5)을 취하여 선봉 도포기로 만곡된 유리판(1)의 표면에 도포하고, 가만히 놓아두어 평평하게 흐르게 한 다음에, 적외선 램프로 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도액(B5)을 미리 건조하고, 다시 110℃로 55분동안 고화하여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코팅을 갖는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유리(C5)을 얻는다.
비교예 1
먼지가 없는 환경에서 적당량의 실리카졸(A1)을 취하여 선봉 도포기로 만곡된 유리판(1)의 표면에 도포하고, 가만히 놓아두어 평평하게 흐르게 한 다음에, 적외선 램프로 실리카졸(A1)을 미리 건조하고, 다시 110℃로 55분동안 고화하여 비교 유리(D1)을 얻는다.
비교예 2
실리카졸(A1) 10g과 킬레이트제(U1) 3g을 취하여 120분동안 혼합교반하여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도액(B6)을 얻는다.
먼지가 없는 환경에서 적당량의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도액(B6)을 취하여 선봉 도포기로 만곡된 유리판(1)의 표면에 도포하고, 가만히 놓아두어 평평하게 흐르게 한 다음에, 적외선 램프로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도액(B6)을 미리 건조하고, 다시 110℃로 55분동안 고화하여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코팅을 갖는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유리(D2)을 얻는다.
평가
실시예 1~5와 비교예 1~2에서 얻은 유리 샘플에 대해 다음과 같은 테스트 평가를 실시하며, 평가 결과는 표 1을 참조할 수 있다.
투과율: 분광 광도계로 파장 범위가 250~2550nm인 투사 스펙트럼을 측정한다.
ISO13837 표준에 따라 300~400nm 자외선 투과율, 400~800nm 가시광선 투과율을 계산하고, 투사 스펙트럼에 따라 400~440nm 블루라이트의 최대 투과율을 얻는다. 본 발명에 기재된 투과율은 동일한 유리 샘플의 다섯개의 서로 다른 점을 측정한 다음에 구한 평균치를 말한다.
코팅 두께: 스텝 게이지(step gauge)로 측정하여 획득한다.
내노화성: 내노화성 테스트 방법은 교정 램프가 있는 제논 램프 노화 테스트기(모델명: CI4000 U.S.)에 샘픔을 넣고, 강우 주기는 102분 건조 시간과 18분 강우 시간으로 설정되고, 파장은 300~400nm이고, 방사 강도는 60±2w/m2이고, 테스트 시간은 3000시간이며, 검정색 패널(black panel) 온도는 65±3℃이고, 상대 습도는 50±10%이며, 내노화 테스트를 수행한다. 내노화 테스트 후의 샘플을 관찰하여 코팅 외관에 균열이 있는지를 확인한다.
내마모성: 평면 마모 측정기로 측정하며, 유리 샘플을 평면 마모 측정기에 놓고, 코팅이 위쪽으로 향하도록 하며, 1000회전의 평면 내마모 테스트를 진행한다.
헤이즈(Haze): 헤이즈미터(hazemeter)를 사용하여 내마모성 테스트를 거친 샘플을 테스트하고, 내마모성 테스트를 거치지 않은 구역을 테스트하여 Haze1을 획득한다. 샘플을 이동하여 내마모성 테스트를 거친 영역을 테스트하여 Haze2를 획득한다. 테스트 전후의 헤이즈 차이=|Haze2-Haze1|.
비교예 1~2와 실시예 1~5에 대한 평가결과
평가항목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코팅 두께 5.1μm 4.9μm 5.3μm 4.8μm 5.4μm 5.2μm 5.1μm
300~400nm
자외선 투과율
49.77% 0.02% 0.01% 0.03% 0.01% 0.01% 0.01%
400~440nm
블루라이트 최대 투과율
78.52% 0.97% 9.78% 4.55% 11.75% 3.22% 1.17%
400~800nm가시광선 투과율 80.51% 60.58% 72.15% 70.88% 71.74% 66.42% 63.41%
내노화성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내마모성 전후의 헤이즈 차이 1.2% 2.4% 1.3% 1.1% 1.5% 1.3% 1.6%
표 1로부터 보다시피,
비교예 1는 만곡된 유리판에 실리카졸 코팅을 형성하며, 비록 내노화성과 내마모성은 요구에 부합하지만 자외선 차단과 블루라이트 방지 성능을 가지고 있지 않고;
비교예 2는 만곡된 유리판에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을 형성하지만 실리카졸 한‘œ당 킬레이트제를 너무 많이(예를 들면, 30%) 첨가하였으므로, 자외선 투과율, 블루라이트 최대 투과율은 요구를 만족하고 매우 낮지만 내마모성은 요구를 만족시킬 수 없어 차량용 유리로 사용할 수 없으며.
실시예 1~3은 만곡된 유리판에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을 형성하고, 실리카졸 한‘œ당 적당량의 킬레이트제를 첨가함으로써, 자외선 투과율, 블루라이트 최대 투과율, 가시광선 투과율이 요구를 만족할뿐만 아니라 내노화성과 내마모성도 모두 요구를 만족하며;
실시예 4~5는 만곡된 유리판에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을 형성하고, 실리카졸 한‘œ당 적당량의 킬레이트제를 첨가하되, 실시예 1~3과 달리 킬레이트제의 첨가량이 더 많으며, 자외선 투과율은 요구를 만족하고, 내노화성과 내마모성도 모두 요구를 만족하며, 블루라이트의 최대 투과율은 실시예 1~3보다 낮지만 가시광선 투과율은 70%보다 작으므로, 자동차에서 가시광선 투과율을 요구하지 않거나 70% 미만인 가시광선 투과율을 요구하는 부위에 적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천창 유리, 특히 차양막이 없는 천창 유리, 조광 천창 유리, 발광 천창 유리 등이다.
이상 본 발명에서 기술된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도액, 유리 및 그 제조방법을 및 조광 또는 발광할 수 있는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접합 유리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구체적인 실시방식의 내용에 국한되지 않고,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 요점을 기반으로 하는 어떠한 개선, 동등한 수정과 교체 등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Claims (20)

  1.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도액으로서,
    기재의 표면에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을 형성하는 데에 사용되고, 상기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도액은 실리카졸(silica sol)과 킬레이트제(chelating agent)를 포함하며,
    상기 실리카졸은 질량 백분율에 따라 15%~35% 규산염(silicate), 30%~60% 제1 용제(first solvent), 5%~15% 제1 커플링제(first coupling agent), 0.01%~1% 제1 촉매(first catalyst)와 10%~30% 이온제거수(deionized water)를 포함하고,
    상기 킬레이트제는 질량 백분율에 따라 1%~15% 자외선 흡수제(UV absorbe), 1%~15% 블루라이트 흡수제(blue-light absorber), 40%~60% 제2 용제(second solvent), 0.01%~1% 제2 촉매(second catalyst)와 10%~30% 제2 커플링제(second coupling agen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도액.
  2. 제 1 항에 있어서,
    질량 백분율에 따라 실리카졸 한‘œ당 5~20%의 킬레이트제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도액.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규산염은 테트라메틸 오르토실리케이트(tetramethyl orthosilicate), 테트라에틸 오르토실리케이트(tetraethyl orthosilicate), 트리메톡시실란(trimethoxysilane), 트리에톡시실란(triethoxysilane)과 디메틸디메톡시실란(dimethyldimethoxysilane)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도액.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플링제와 상기 제2 커플링제는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3-aminopropyltrimethoxysilane), γ-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γ-aminopropyltriethoxysilane), γ-(2,3-에폭시프로폭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γ-(2,3-Epoxypropoxy)propyltrimethoxysilane),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γ-Methacryloxypropyltrimethoxysilane), N-(β-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N-(β-Aminoethyl)-γ-aminopropyltrimethoxysilane)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도액.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용제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판올, 부탄올과 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propylene glycol methyl ether)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술한 제2 용제는 부틸아세테이트(butyl acetate), 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propylene glycol methyl ether), 이소부틸아세테이트(isobutyl acetate), 자일렌(xylene)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도액.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촉매는 염산, 질산 및 암모니아 용액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제2 촉매는 디브틸주석디라우레이트(dibutyltin dilaurate), 유기 비스무트 촉매(organobismuth catalyst)와 신산 아석(stannous octoate)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도액.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흡수제의 최대 흡수봉은 330nm~370nm의 파장 범위 내에 있고, 상기 블루라이트 흡수제의 최대 흡수봉은 400nm~420nm의 파장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도액.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흡수제 중의 히드록시 함량은 질량 백분율에 따라 5%보다 크거나 같으며,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벤조페논(benzophenone)류 자외선 흡수제, 벤조마이졸(benzimidazole)류 자외선 흡수제와 트리아진(triazine)류 자외선 흡수제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도액.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라이트 흡수제 중의 히드록시 함량은 질량 백분율에 따라 5%보다 크거나 같으며, 상기 블루라이트 흡수제는 아조류 블루라이트 흡수제(azo blue-light absorber), 이소인돌리논류 블루라이트 흡수제(isoindolinone blue-light absorber), 퀴노프탈론류 블루라이트 흡수제(quinophthalone blue-light absorber), 벤조이미다졸론류 블루라이트 흡수제(benzimidazolone blue-light absorber)와 유기-무기 복합류 블루라이트 흡수제(organic-inorganic composite blue-light absorber)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도액.
  10.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유리로서,
    만곡된 유리판과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을 포함하고, 상기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은 상기 만곡된 유리판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설치되고,
    상기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은 이산화규소, 자외선 흡수제 및 블루라이트 흡수제를 포함하며, 상기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의 두께는 2μm~12μm이고, 상기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이 300nm~400nm 파장 범위 내에서의 투과율은 5%보다 작거나 같으며, 상기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이 400nm~440nm 파장 범위 내에서의 최대 투과율은 20%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유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이 300nm~400nm 파장 범위 내에서의 투과율은 2%보다 작거나 같으며, 상기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이 400nm~440nm 파장 범위 내에서의 최대 투과율은 20%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유리.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이 300nm~400nm 파장 범위 내에서의 투과율은 1%보다 작거나 같으며, 상기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이 400nm~440nm 파장 범위 내에서의 최대 투과율은 10%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유리.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이 460nm에서의 투과율 T460과 410nm에서의 투과율 T410의 비율은 4≤T460/T410≤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유리.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이 460nm에서의 투과율 T460과 410nm에서의 투과율 T410의 비율은 4≤T460/T410≤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유리.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된 유리판은 400~800nm 파장 범위 내에서 최소 70%의 투과율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유리.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이 400nm~800nm파장 범위 내에서의 투과율은 70%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유리.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은 3000시간의 제논 램프의 노화 테스트를 거친 후에, 400nm~800nm 파장 범위 내에서 최소 70%의 투과율을 갖고, 상기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은 평면 내마모계의 1000회전의 내마모 테스트를 거친 후에, 그 테스트 전후의 헤이즈 차이는 2%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유리.
  18.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된 유리판은 평평한 유리판이 최소 560℃의 고온 열처리와 만곡 성형을 거친 후에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유리.
  19.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접합 유리로서,
    제10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유리, 중간 접착층 및 제2 유리판을 포함하고, 상기 중간 접착층은 상기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유리와 상기 제2 유리판 사이에 끼워져 있으며, 상기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유리는 만곡된 유리판과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을 포함하고, 상기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은 상기 만곡된 유리판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설치되고, 상기 자외선 차단 블루레이 방지 코팅은 상기 만곡된 유리판과 상기 중간 접착층 사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접합 유리.
  20. 조광 또는 발광할 수 있는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접합 유리로서,
    차례로 적층된 제1 유리판, 제1 접착층, 조광 구조 또는 발광 구조, 제2 접착층, 제2 유리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유리판과 상기 조광 구조 또는 상기 발광 구조 사이에 및/또는 상기 제2 유리판과 상기 조광 구조 또는 상기 발광 구조 사이에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은 이산화규소, 자외선 흡수제 및 블루라이트 흡수제를 포함하고, 상기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이 300nm~400nm 파장 범위 내에서의 투과율은 5%보다 작거나 같으며, 상기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코팅이 400nm~440nm 파장 범위 내에의 최대 투과율은 20%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광 또는 발광할 수 있는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접합 유리.
KR1020237019213A 2020-12-15 2021-12-13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도액, 유리 및 접합 유리 KR2023009834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1469860.1 2020-12-15
CN202011469860.1A CN112646398B (zh) 2020-12-15 2020-12-15 隔紫外线防蓝光涂液、玻璃及其制造方法
PCT/CN2021/137433 WO2022127733A1 (zh) 2020-12-15 2021-12-13 隔紫外线防蓝光涂液、玻璃及夹层玻璃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8344A true KR20230098344A (ko) 2023-07-03

Family

ID=75353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9213A KR20230098344A (ko) 2020-12-15 2021-12-13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도액, 유리 및 접합 유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312942A1 (ko)
EP (1) EP4265691A4 (ko)
JP (1) JP2023552426A (ko)
KR (1) KR20230098344A (ko)
CN (1) CN112646398B (ko)
WO (1) WO20221277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46398B (zh) * 2020-12-15 2022-03-29 福耀玻璃工业集团股份有限公司 隔紫外线防蓝光涂液、玻璃及其制造方法
CN114571809B (zh) * 2022-03-10 2023-04-21 福耀玻璃工业集团股份有限公司 夹层玻璃
CN114507017B (zh) * 2022-03-16 2023-03-17 福耀玻璃工业集团股份有限公司 涂液、玻璃与超隔绝抗菌夹层玻璃
CN115111551B (zh) * 2022-06-24 2023-09-12 苏州光景照明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防蓝光功能的黑板灯照明装置
WO2024073891A1 (zh) * 2022-10-08 2024-04-1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调光装置及汽车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70205B2 (ja) * 1995-04-04 2003-01-27 新日本石油株式会社 透明導電基板
JP2008013623A (ja) * 2006-07-04 2008-01-24 Shin Etsu Chem Co Ltd 光関連デバイス封止用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硬化物
JP2009184882A (ja) 2008-02-06 2009-08-20 Asahi Glass Co Ltd 塗布用組成物、紫外線遮蔽層付きガラス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5331369B2 (ja) * 2008-04-10 2013-10-30 藤森工業株式会社 両面粘着層付き色補正フィルター
WO2011142463A1 (ja) 2010-05-14 2011-11-17 旭硝子株式会社 紫外線吸収膜形成用塗布液および紫外線吸収ガラス物品
JP5625641B2 (ja) * 2010-09-06 2014-11-19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自動車グレージング用プラスチック基材
EP2674403A4 (en) 2011-02-07 2016-03-02 Nippon Sheet Glass Co Ltd GLASS ARTICLES WITH UV RADIATION SCREENING AND MICROPARTICLE DISPERSED COMPOSITION FOR PREPARING A UV RADIATION SCREENING FOIL
JP5659177B2 (ja) 2012-03-14 2015-01-28 日本板硝子株式会社 紫外線遮蔽能を有するガラス物品
EP2857372B1 (en) * 2012-05-25 2018-08-15 Zeon Corporation Glass laminate, and method for using block copolymer hydrogenation product as binder for glass laminate
JP2016014690A (ja) * 2012-11-14 2016-01-28 旭硝子株式会社 光学フィルタ
EP2980034A4 (en) * 2013-03-29 2016-12-21 Konica Minolta Inc COMPOSITE GLASS
CN103613280B (zh) * 2013-11-22 2016-05-18 福耀玻璃工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形成紫外线吸收涂层的涂液和紫外线吸收玻璃
CN105086570A (zh) * 2014-05-20 2015-11-25 太湖金张科技股份有限公司 阻隔蓝光硬化树脂和阻隔蓝光硬化树脂薄膜及制造方法
JP6625609B2 (ja) * 2015-03-06 2019-12-25 日本板硝子株式会社 透明物品と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膜形成溶液
CN105061794B (zh) * 2015-08-12 2018-09-25 宁波申山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护眼汽车贴膜及其制备方法
KR101612940B1 (ko) * 2015-09-15 2016-04-15 (주)케미그라스 자외선 및 청색광 차단 기능성 안경렌즈
CN107418114A (zh) * 2015-10-22 2017-12-01 袁敏华 防紫外线和蓝光的光学防护材料
JP2017136696A (ja) * 2016-02-01 2017-08-10 旭硝子株式会社 被膜つき透明基体
EP3603966A4 (en) * 2017-03-31 2020-04-15 FUJIFILM Corporation RESIN MOLDED BODY AND BLUE LIGHT CUT LAMINATE BODY
CN107573725B (zh) * 2017-08-21 2019-07-05 福耀玻璃工业集团股份有限公司 能够吸收紫外线和红外线的涂布液、玻璃及其制造方法
CN107573726B (zh) * 2017-08-21 2019-05-28 福耀玻璃工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隔热隔紫外玻璃及其制造方法
EP3690503B1 (en) 2017-09-29 2024-04-03 Sekisui Chemical Co., Ltd. Glass structure
CN107815191A (zh) * 2017-10-20 2018-03-20 苏州艾科迪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防蓝光树脂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7153455B2 (ja) * 2018-03-06 2022-10-14 日本板硝子株式会社 ガラス積層体
JP7080726B2 (ja) * 2018-05-22 2022-06-06 日本板硝子株式会社 ガラス積層体
CN109455945A (zh) 2018-12-29 2019-03-12 苏州艾科迪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反射型防蓝光玻璃及其制备方法
CN112010553B (zh) * 2020-08-04 2022-09-20 杭州康明光电有限责任公司 一种硅酸盐系的防紫外线钕玻璃及其制备方法
CN112659679A (zh) * 2020-12-15 2021-04-16 福耀玻璃工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能够调光或发光的隔紫外线防蓝光夹层玻璃
CN112646398B (zh) * 2020-12-15 2022-03-29 福耀玻璃工业集团股份有限公司 隔紫外线防蓝光涂液、玻璃及其制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27733A1 (zh) 2022-06-23
CN112646398A (zh) 2021-04-13
JP2023552426A (ja) 2023-12-15
EP4265691A4 (en) 2024-04-24
US20230312942A1 (en) 2023-10-05
EP4265691A1 (en) 2023-10-25
CN112646398B (zh) 2022-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098344A (ko)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방지 도액, 유리 및 접합 유리
JP4782926B2 (ja) 熱互変機器
US10807346B2 (en) Absorbing solar control interlayers
CN112659679A (zh) 一种能够调光或发光的隔紫外线防蓝光夹层玻璃
KR20150092247A (ko) 전기적으로 전환가능한 광학 특성을 갖는 글레이징
CN111819160B (zh) 玻璃叠层体
KR101488867B1 (ko) 에너지 절감형 반투명 유리 코팅 조성물 및 에너지 절감형 반투명 코팅유리.
KR100929398B1 (ko) 이중 자외선 차단 기능을 가지는 폴리우레탄 보호필름
US11701865B2 (en) Laminated glazing reflecting infrared
JP7080726B2 (ja) ガラス積層体
JP2007084423A (ja) 合わせガラス
CN109650745A (zh) 一种具有紫外线阻隔作用的低辐射中空玻璃
JP2020121889A (ja) 波長選択透過性ガラス物品
CN211942405U (zh) 一种镀膜车载玻璃
JPH08231245A (ja) 紫外線赤外線吸収ガラス
CN214142162U (zh) 用于防可见光短波伤害的窗膜
KR20190052420A (ko) 차음 기능을 갖는 투명 태양열 차단 필름
KR101325728B1 (ko) 자외선 및 적외선을 흡수차단할 수 있는 강화필름 및 그 제조방법
TW202319823A (zh) 調光窗
JP2020046446A (ja) 波長選択透過性合わせガラス
KR20110078006A (ko) 액정표시장치의 광확산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