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7899A - 플레어타워용 리프트 장치 및 그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플레어타워용 리프트 장치 및 그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7899A
KR20230097899A KR1020210187836A KR20210187836A KR20230097899A KR 20230097899 A KR20230097899 A KR 20230097899A KR 1020210187836 A KR1020210187836 A KR 1020210187836A KR 20210187836 A KR20210187836 A KR 20210187836A KR 20230097899 A KR20230097899 A KR 202300978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ge
guide rail
flare tower
wire rope
lif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7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4537B1 (ko
Inventor
신종호
문성원
Original Assignee
한화오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오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오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87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4537B1/ko
Publication of KR20230097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78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4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45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B66B9/187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with a liftway specially adapted for temporary connection to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9/00Mining-hoist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4Riding means, e.g. Shoes, Rollers, between car and guiding means, e.g. rails, ropes
    • B66B7/046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41/00Equipment or 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E21B15/00 - E21B40/00
    • E21B41/005Waste disposal systems
    • E21B41/0071Adaptation of flares, e.g. arrangements of flares in offshore install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면에 의하면, 해양 구조물의 플레어타워에 탑재되는 리프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레어타워의 가이드레일(21) 상으로 이동 가능한 케이지(23)를 구비하고, 시브(25)와 와이어로프(26)를 개재하여 구동윈치(27)에 연결되는 승강부재(20); 및 상기 가이드레일(21)과 케이지(23) 사이에 다수의 가이드롤러(31)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롤러(31)의 적어도 일부를 위치변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연결부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해양 구조물의 플레이타워 상으로 인원과 물자를 이동시키는 리프터 구조로서 플레어타워와 케이지와 유연한 연결 상태를 기반으로 설치에서 유지관리에 이르기까지 제반 유용성을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플레어타워용 리프트 장치 및 그 설치방법 {Lift apparatus for Flare Tower and Method for installing the same}
본 발명은 플레어타워용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해양 구조물의 플레이타워 상에서 인원과 물자를 이동시키는 용도로 적용되는 플레어타워용 리프트 장치 및 그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FLNG, FPSO, 플랫폼 등의 해양 구조물은 해상에서 원유나 천연가스를 채굴, 저장, 하역 등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해양 구조물은 시추와 정제 과정에서 발생되는 폐가스를 처리하기 위해 플레어타워를 갖추고 있다. 플레이타워는 상단에 설치된 플레어팁을 통하여 폐가스를 소각한다. 작업자는 플레어타워의 플레어팁에 대한 주기적인 수리와 교체를 수행해야 한다. 이를 위해 인원과 물자를 편리하고 안전하게 이동시키는 리프터가 필요로 된다.
이와 관련되어 참조할 수 있는 선행기술문헌으로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967174호(선행문헌 1),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023609호(선행문헌 2) 등이 알려져 있다.
선행문헌 1에 따르면 상면에 적어도 3개 이상의 충격 감소를 위한 스프링이 고정 장착되고, 네 모서리에는 로울러가 형성되어 지하 저면에 고정되는 파레트(5)가 추가로 형성된다. 가이드 와이어가 하부의 파레트에 의하여 수직으로 단단히 지지되어 이동하는 파레트의 흔들림을 최소화하여 보다 안전하게 공사 현장의 출입이 가능한 효과를 기대한다.
그러나, 이는 각종 육상 건축물의 공사현장에 적용되는 구조로서 해양 구조물의 플레어타워에 적용하기 적합하지 않다.
선행문헌2는 플레어 타워에 수직되게 설치되는 가이드레일; 가이드레일을 따라 승강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작업자의 탑승을 가능하도록 하는 승강부재; 및 승강부재에 연결되어 도르래에 의해 지지되는 로프를 감거나 풀어서 승강부재를 승강시키는 윈치를 포함한다. 이에, 해상 구조물의 모션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고 정확하게 동작하는 효과를 기대한다.
다만, 이는 바스켓인 승강부재를 가이드바와 드르래로 지지하는 구조의 유연성이 미흡하여 개선의 여지를 보이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967174호 "케이지 리프트" (공개일자 : 2009.09.22.)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023609호 "플레어 팁 유지 보수용 리프트와 이를 가지는 플레어 타워 및 해상 구조물" (공개일자 : 2013.03.08.)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해양 구조물에 탑재된 플레이타워 상으로 인원과 물자를 이동시키는 리프터 구조로서 플레어타워와 케이지와 유연한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플레어타워용 리프트 장치 및 그 설치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면에 의하면, 해양 구조물의 플레어타워에 탑재되는 리프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레어타워의 가이드레일 상으로 이동 가능한 케이지를 구비하고, 시브와 와이어로프를 개재하여 구동윈치에 연결되는 승강부재; 및 상기 가이드레일과 케이지 사이에 다수의 가이드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롤러의 적어도 일부를 위치변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연결부재는 고정대에 대향하는 가동대를 조절축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고, 조절축 상의 탄성체로 가동대와 가이드롤러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으로서, 청구항 1의 리프트 장치를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가이드레일의 일단과 타단에 맞물림 가능하도록 가이드롤러의 간격을 조절하는 단계; (B) 상기 구동윈치에 권취된 와이어로프의 단부를 인출하면서 시브를 거쳐 케이지 측으로 유도하는 단계; 및 (C) 상기 와이어로프의 단부를 케이지에 연결하고, 구동윈치의 가동에 연동하여 승강을 유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단계 (B)는 시브 상에 미리 걸어둔 보조라인을 구동윈치와 와이어로프에 각각 연결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단계 (C)는 가이드레일의 하단에 맞추어 연결부재를 설치한 다음 와이어로프로 케이지를 들어올림과 동시에 가이드레일과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해양 구조물의 플레이타워 상으로 인원과 물자를 이동시키는 리프터 구조로서 플레어타워와 케이지와 유연한 연결 상태를 기반으로 설치에서 유지관리에 이르기까지 제반 유용성을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모식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주요 단계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면에 의하면, 해양 구조물의 플레어타워에 탑재되는 리프트 장치에 관하여 제안한다. 해양 구조물의 플레이타워 상에서 인원과 물자를 이동시키는 리프트 장치를 대상으로 하지만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을 참조하면, 다수의 포스트(11)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플레어타워(10)가 나타난다. 플레어타워(10)의 상측에는 시추 과정의 폐가스를 소각하기 위한 플레어팁(12)이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플레어타워의 가이드레일(21) 상으로 이동 가능한 케이지(23)를 구비하는 승강부재(20)가 시브(25)와 와이어로프(26)를 개재하여 구동윈치(27)에 연결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도 1에서, 승강부재(20)를 구성하는 가이드레일(21), 케이지(23), 시브(25), 와이어로프(26), 구동윈치(27) 등이 나타난다. 가이드레일(21)은 하나의 포스트(11)의 외면에 긴밀하게 고정된다. 가이드레일(21)의 단면은 T자형이 선호되지만 여타의 형태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케이지(23)는 인원과 물자가 출입하는 도어를 갖춘 상자형 구조로 형성된다. 시브(25)는 포스트(11)에서 가이드레일(21)의 상단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다. 시브(25) 상에 걸려서 이동하는 와이어로프(26)는 일단과 타단에서 각각 케이지(23)와 구동윈치(27)에 연결된다. 구동윈치(27)는 기어드모터의 구동력으로 와이어로프(26)를 드럼에 감거나 푼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레일(21)과 케이지(23) 사이에 다수의 가이드롤러(31)를 구비하는 연결부재(30)가 상기 가이드롤러(31)의 적어도 일부를 위치변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연결부재(30)를 구성하는 다수의 가이드롤러(31)가 나타난다. 가이드롤러(31)는 가이드레일(21)의 T자형 단부에 긴밀하게 맞물리도록 각각 쌍으로 대향하거나 H형으로 연결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가이드레일(21)과 케이지(23) 사이에 적어도 4개의 가이드롤러(31)를 설치하는 것이 좋다. 후술하는 것처럼 일부 가이드롤러(31)의 위치변동은 가이드레일(21)의 마모 등에 대응하는 외에 완충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연결부재(30)는 고정대(32)에 대향하는 가동대(33)를 조절축(35)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고, 조절축(35) 상의 탄성체(38)로 가동대(33)와 가이드롤러(31)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에서, 연결부재(30)를 구성하는 고정대(32), 가동대(33), 조절축(35), 탄성체(38) 등이 나타난다. 가이드레일(21)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측의 가이드롤러(31)는 고정대(32) 상에 지지되고 타측의 가이드롤러(31)는 가동대(33) 상에 지지된다. 가동대(33)는 고정대(32)와 거리 변동이 가능하도록 조절축(35)을 개재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된다. 조절축(35)은 일단이 가동대(33)에 고정되고 타단이 가동대(33)를 통하여 연장된다. 조절축(35)의 단부에는 숫나선이 형성되고 조절너트(36)와 맞물린다. 조절축(35) 상에서 고정대(32)와 가동대(33) 사이에는 탄성체(38)가 장착된다.
이와 같이 구조에 따르면 케이지(23)가 가이드레일(21) 상으로 상하이동하는 동안 좌우의 요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만일 가이드레일(21)에 이물질이 고착되거나 약간의 손상이 발생하여도 케이지(23)의 원활한 이동성을 유지한다. 물론 조절너트(36)를 풀고 조이는 정도에 따라 가이드레일(21)의 양단으로 가이드롤러(31)가 밀착되는 상태가 조절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으로서, 청구항 1의 리프트 장치를 설치하는 방법에 관하여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계 (A)는 상기 가이드레일(21)의 일단과 타단에 맞물림 가능하도록 가이드롤러(31)의 간격을 조절하는 과정으로 진행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연결부재(30)의 설치에 앞서서 일부의 가이드롤러(31), 가동대(33), 조절너트(36)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다. 작업자는 고정대(32)의 가이드롤러(31)와 대향하는 가동대(33)의 가이드롤러(31)의 이격거리를 확인한다. 탄성체(38)와 가동대(33)를 조절축(35)에 끼우고 조절너트(36)를 조이면서 양측 가이드롤러(31) 간의 이격거리를 맞춘다. 가이드레일(21)에 케이지(23)를 맞물리기 전에 이역거리는 다소 여유를 갖도록 맞추어 두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단계 (B)는 상기 구동윈치(27)에 권취된 와이어로프(26)의 단부를 인출하면서 시브(25)를 거쳐 케이지(23) 측으로 유도하는 과정을 거친다.
도 4를 참조하면, 와이어로프(26)가 구동윈치(27)에서 시브(25)를 거쳐 케이지(23)에 연결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와이어로프(26)는 외측 단부에 케이지(23)와 연결하기 위한 체결부재(40)를 갖춘다. 체결부재(40)는 샤클(shackle), 딤블(thimble), 후크(hook) 등의 공지의 부재를 사용한다. 구동윈치(27)는 부호 27A 및 27B로 구분된 드럼을 갖추는 형식을 택한다. 부호 27A는 와이어로프(26)를 권치하는 영역이고 부호 27B는 평상시 비어 있는 예비 영역이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단계 (B)는 시브(25) 상에 미리 걸어둔 보조라인(15)을 구동윈치(27)와 와이어로프(26)에 각각 연결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및 도 4에서, 보조라인(15)이 플레어타워(10) 상에 시브(25)를 개재하여 결속된 상태를 나타낸다. 보조라인(15)은 와이어로프(26)를 초기 설치하는 과정에 소요되는 것으로서 상대적으로 낮은 강도로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보조라인(15)을 결속을 푼 다음 일단을 부호 27A에 권취된 와이어로프(26)에 타단을 부호 27B에 각각 연결한다. 구동윈치(27)를 구동하면 보조라인(15)이 부호 27B에 감기는 동시에 와이어로프(26)를 상측으로 인출한다. 와이어로프(26)는 시브(25)를 통과하여 다시 하강하고 케이지(23)까지 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계 (C)는 상기 와이어로프(26)의 단부를 케이지(23)에 연결하고, 구동윈치(27)의 가동에 연동하여 승강을 유발하는 과정을 거친다.
도 4에서, 보조라인(15)과 와이어로프(26)를 연결하는 체결부재(40)를 풀고 케이지(23)와 와이어로프(26)를 체결부재(40)로 결속한다. 구동윈치(27)에 감긴 보조라인(15)은 풀어서 별도로 보관한다. 이후 구동윈치(27)의 드럼이 회전하는 방향에 따라 케이지(23)가 가이드레일(21) 상으로 승강된다. 물론 필요에 따라 전술한 단계 (A)처럼 조절너트(36)로 가동대(33)의 위치변동을 유발하여 가이드레일(21)에 대한 가이드롤러(31)의 유격을 조절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단계 (C)는 가이드레일(21)의 하단에 맞추어 연결부재(30)를 설치한 다음 와이어로프(26)로 케이지(23)를 들어올림과 동시에 가이드레일(21)과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가이드레일(21)의 하단에 케이지(23)의 가이드롤러(31)가 위치하도록 배치한 상태를 나타낸다. 단계 (A)(B)를 이와 같은 상태로 진행하면 케이지(23)를 이동시키면서 위치를 맞추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단계 (B)를 거쳐 유도된 와이어로프(26)를 케이지(23)에 연결하기만 하면 구동윈치(27)를 가동하는 순간 케이지(23)가 들어 올려지면서 모든 가이드롤러(31)가 가이드레일(21)에 정확하고 신속하게 맞물린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이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플레이타워 11: 포스트
12: 플레어팁 15: 보조라인
20: 승강부재 21: 가이드레일
23: 케이지 25: 시브
26: 와이어로프 27: 구동윈치
30: 연결부재 31: 가이드롤러
32: 고정대 33: 가동대
35: 조절축 36: 조절너트
38: 탄성체 40: 체결부재

Claims (5)

  1. 해양 구조물의 플레어타워에 탑재되는 리프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레어타워의 가이드레일(21) 상으로 이동 가능한 케이지(23)를 구비하고, 시브(25)와 와이어로프(26)를 개재하여 구동윈치(27)에 연결되는 승강부재(20); 및
    상기 가이드레일(21)과 케이지(23) 사이에 다수의 가이드롤러(31)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롤러(31)의 적어도 일부를 위치변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연결부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어타워용 리프트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30)는 고정대(32)에 대향하는 가동대(33)를 조절축(35)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고, 조절축(35) 상의 탄성체(38)로 가동대(33)와 가이드롤러(31)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어타워용 리프트 장치.
  3. 청구항 1의 리프트 장치를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가이드레일(21)의 일단과 타단에 맞물림 가능하도록 가이드롤러(31)의 간격을 조절하는 단계;
    (B) 상기 구동윈치(27)에 권취된 와이어로프(26)의 단부를 인출하면서 시브(25)를 거쳐 케이지(23) 측으로 유도하는 단계; 및
    (C) 상기 와이어로프(26)의 단부를 케이지(23)에 연결하고, 구동윈치(27)의 가동에 연동하여 승강을 유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어타워용 리프트 장치의 설치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시브(25) 상에 미리 걸어둔 보조라인(15)을 구동윈치(27)와 와이어로프(26)에 각각 연결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어타워용 리프트 장치의 설치방법.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가이드레일(21)의 하단에 맞추어 연결부재(30)를 설치한 다음 와이어로프(26)로 케이지(23)를 들어올림과 동시에 가이드레일(21)과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어타워용 리프트 장치의 설치방법.
KR1020210187836A 2021-12-24 2021-12-24 플레어타워용 리프트 장치의 설치방법 KR1026345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7836A KR102634537B1 (ko) 2021-12-24 2021-12-24 플레어타워용 리프트 장치의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7836A KR102634537B1 (ko) 2021-12-24 2021-12-24 플레어타워용 리프트 장치의 설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7899A true KR20230097899A (ko) 2023-07-03
KR102634537B1 KR102634537B1 (ko) 2024-02-07

Family

ID=87157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7836A KR102634537B1 (ko) 2021-12-24 2021-12-24 플레어타워용 리프트 장치의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453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99334A (en) * 1962-05-15 1963-07-30 Otis Elevator Co Elevator roller guides
KR100967174B1 (ko) 2008-03-17 2010-07-27 (주)재경건설 케이지 리프트
KR20130023609A (ko) 2011-08-29 2013-03-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플레어 팁 유지 보수용 리프트와 이를 가지는 플레어 타워 및 해상 구조물
JP2013095526A (ja) * 2011-10-28 2013-05-20 Hitachi Ltd エレベータ用速度検出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99334A (en) * 1962-05-15 1963-07-30 Otis Elevator Co Elevator roller guides
KR100967174B1 (ko) 2008-03-17 2010-07-27 (주)재경건설 케이지 리프트
KR20130023609A (ko) 2011-08-29 2013-03-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플레어 팁 유지 보수용 리프트와 이를 가지는 플레어 타워 및 해상 구조물
JP2013095526A (ja) * 2011-10-28 2013-05-20 Hitachi Ltd エレベータ用速度検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4537B1 (ko) 2024-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16015B1 (en) Method for installing the hoisting roping of an elevator
JP4842112B2 (ja) エレベーターの調速機ロープ振れ止め装置
EP2197777B1 (en) Elevator arrangement and method
US7997000B2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positioning the alignment plumb lines of the guide rails of an elevator
KR20070037995A (ko) 승강실 및 승강로에 승강실의 지지 수단을 설치하는 방법
JP2006233486A (ja) 横行式作業装置およびこれによる作業方法
KR102466049B1 (ko) 타워작업용 곤돌라
US20080308362A1 (en) Cable management assembly and method for construction elevator systems
KR101766914B1 (ko) 엘리베이터용 수직 개폐식 도어의 상부 구동축 구동시스템
JP7151236B2 (ja) ブレード取り付け装置
KR20230097899A (ko) 플레어타워용 리프트 장치 및 그 설치방법
JP6628310B2 (ja) 鉄塔組立・解体用デリック
GB2071599A (en) Improvements in wireline masts
KR20200027825A (ko) 수직관 내 협소공간 작업용 곤돌라 장치
CN213356618U (zh) 一种施工升降机
JP6694598B2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及びその駆動方法
CN116601102A (zh) 电梯的建造装置和方法
KR101794202B1 (ko) 엘리베이터용 수직 개폐식 도어의 하부 구동축 구동시스템
KR200496110Y1 (ko) 원자력 발전소 격납건물 폴라 크레인 상부설치 정비용 구조물 이송운반용 풀리 장치
JP2009298588A (ja) 無端状ウインチを用いたネット又はシート等の布状体の開閉システム
WO2023084721A1 (ja) 工事用エレベーター及び工事用エレベーターのコンペンロープの延長方法
JPH11268888A (ja) 法面における施工設備
CN217894847U (zh) 用于塔筒的吊装设备
KR102553833B1 (ko) 승강이 용이한 자유게양식 그물망
JPH0640273Y2 (ja) 搭状構造物架設用荷振れ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