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110Y1 - 원자력 발전소 격납건물 폴라 크레인 상부설치 정비용 구조물 이송운반용 풀리 장치 - Google Patents
원자력 발전소 격납건물 폴라 크레인 상부설치 정비용 구조물 이송운반용 풀리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96110Y1 KR200496110Y1 KR2020210003606U KR20210003606U KR200496110Y1 KR 200496110 Y1 KR200496110 Y1 KR 200496110Y1 KR 2020210003606 U KR2020210003606 U KR 2020210003606U KR 20210003606 U KR20210003606 U KR 20210003606U KR 200496110 Y1 KR200496110 Y1 KR 20049611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ulley
- frame
- maintenance
- transporting
- horizont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7/00—Monitoring; Testing ; Maintaining
- G21C17/003—Remote inspection of vessels, e.g. pressure vessels
- G21C17/013—Inspection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2—Driving gear incorporating electric mo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36—Guiding, or otherwise ensuring winding in an orderly manner, of ropes, cables, or chains
-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3/00—Pressure vessels; Containment vessels; Containment in general
- G21C13/08—Vesse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election of materials for pressure vessels
- G21C13/093—Concrete vessels
-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3/00—Pressure vessels; Containment vessels; Containment in general
- G21C13/10—Means for preventing contamination in the event of leakage, e.g. double wall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004—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pulley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제1 구조물에 대해 제2 구조물을 들어올릴 수 있어 예를 들면 원자로의 격납건물의 천정 영역에서 구조물을 설치하기 어려운 사각지대에 이르기까지 정비를 위한 구조물을 원활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따라서 라이너 플레이트 유지보수와 같은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원자력 발전소 격납건물 폴라 크레인 상부설치 정비용 구조물 이송운반용 풀리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정비용 구조물의 설치 및 운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원자력 발전소 격납건물 폴라 크레인 상부설치 정비용 구조물 이송운반용 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1 구조물에 대해 제2 구조물을 들어올릴 수 있어 예를 들면 원자로의 격납건물의 천정 영역에서 구조물을 설치하기 어려운 사각지대에 이르기까지 정비를 위한 구조물을 원활하게 설치할 수 있는 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원자력발전소의 격납건물은 원통의 상면이 돔 형태로 이루어지고, 철근콘크리트벽과 그 내면에 설치되는 라이너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격납건물 라이너 플레이트(CLP, Containment Liner Plate)는 격납건물의 누설 방지 기능의 유지 등을 위해 철근콘크리트벽의 내면에 설치되는 강판이다.
격납건물에는 돔 내부 천장 둥근 외벽을 따라 놓인 원형 레일을 따라 원형으로 이동 가능한 폴라 크레인(Polar Crane)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폴라 크레인 상에 전술한 격납건물 라이너 플레이트를 정비하기 위한 정비용 구조물의 설치가 요구된다. 이때 지상의 크레인이 폴라 크레인 위까지 구조물을 올려서 폴라 크레인 상에 구조물을 운반하여 설치할 수 있는데, 사각지대가 발생되어 작업에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구조물은 보통 복수 층의 단으로 이루어지는데, 가장 상층에 위치되는 단은 그 위치까지 구조물을 올리기가 쉽지 않았다. 예를 들면 후크를 이용하여, 또는 도르래 등을 이용하여 구조물을 올리고 작업자의 작업에 의해 구조물이 설치되는데, 후크 또는 도르래 등은 구조상 구조물을 격납건물의 예를 들면 가장 꼭대기까지 올리기 어려워서 구조물 설치에 한계가 있었던 것이다.
이에, 지상의 크레인을 이용하여 격납건물의 사각지대에도 구조물을 제공하는 설치 방식이 개발되고 있으나, 이러한 크레인이 사용되지 못하는 경우도 있고 또 대부분이 후크 등을 적용하여 구조물을 설치하는 경우여서, 이의 경우에도 구조물을 어느 영역이든지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구조물 운반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특허 등록번호 제10-2327866호(발명의 명칭: 원자로 격납건물 라이너 플레이트 점검 및 측정장치) 등이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제1 구조물에 대해 제2 구조물을 들어올릴 수 있어 예를 들면 원자로의 격납건물의 천정 영역에서 구조물을 설치하기 어려운 사각지대에 이르기까지 정비를 위한 구조물을 원활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따라서 라이너 플레이트 유지보수와 같은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원자력 발전소 격납건물 폴라 크레인 상부설치 정비용 구조물 이송운반용 풀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 격납건물 폴라 크레인 상부설치 정비용 구조물 이송운반용 풀리 장치는, 원자로 격납건물 라이너 플레이트(CLP, Containment Liner Plate)의 정비를 위한 구조물들 중 제1 구조물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측부로 제공되는 제2 구조물을 상방으로 들어올려 상기 제1 구조물 상으로 올리는 정비용 구조물 풀리 장치로서, 상기 제1 구조물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단부에는 상기 제2 구조물과 연결된 당김줄이 지나는 적어도 하나의 도르래가 장착되는 풀리 프레임 및 상기 제1 구조물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당김줄의 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당김줄을 당기거나 푸는 구동모터가 놓이는 모터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1 구조물에 인접한 상기 제2 구조물의 상단부에는 상기 당김줄의 다른 단부에 구비된 후크부재가 결합되는 걸림 브라켓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당김줄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서 상기 제2 구조물을 수직 방향으로 들어올릴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2 구조물과 인접한 상기 제1 구조물의 프레임에는 상기 제2 구조물의 승강 시 상기 제2 구조물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롤러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풀리 프레임은, 수직 방향을 가지며 상호 평행하게 마련되는 한 쌍의 수직 프레임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수직 프레임부재의 상단부에 수평으로 결합되는 수평 프레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 프레임부재 중 상기 제2 구조물과 가까운 일단부에는 수직 방향을 가지는 상기 당김줄을 수평 방향으로 방향 전환하는 제1 도르래가 구비되고, 상기 수평 프레임부재의 타단부에는 수평 방향을 가지는 상기 당김줄을 하방으로 방향 전환하여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되도록 하는 제2 도르래가 구비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수평 프레임부재의 일단부에는 상기 제1 도르래를 상기 수평 프레임부재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롤러가 구비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1 구조물에 대한 상기 풀리 프레임의 고정을 위해서 상기 수직 프레임부재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2개의 고정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2개의 고정부재 중 상부의 고정부재는 상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 구조물의 수평 프레임들 중 상부의 수평 프레임에 걸림 결합되고, 하부의 고정부재는 하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 구조물의 수평 프레임들 중 하부의 수평 프레임에 걸림 결합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모터 프레임의 상면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모터 프레임에 배치되는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당김줄을 감거나 풀어서 상기 제2 구조물의 수직 위치를 조절하는 회전모터일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풀리 프레임 및 상기 모터 프레임은 한 쌍 구비되어 상기 제1 구조물의 양단부에 대칭되게 장착되며, 한 쌍으로 마련되는 상기 모터 프레임에 구비되는 상기 구동모터가 동일한 구동 속도로 제어됨으로써 상기 제2 구조물이 평형을 유지하면서 들어올려질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으로 상기 당김줄을 당겨서 상기 제2 구조물의 하단을 상기 제1 구조물의 상단보다 높거나 같은 위치까지 들어올린 다음 상기 제2 구조물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 구조물 상에 배치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구조물에 대해 제2 구조물을 들어올릴 수 있어 예를 들면 원자로의 격납건물의 천정 영역에서 구조물을 설치하기 어려운 사각지대에 이르기까지 정비를 위한 구조물을 원활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따라서 라이너 플레이트 유지보수와 같은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 격납건물 폴라 크레인 상부설치 정비용 구조물 이송운반용 풀리 장치가 장착되는 원자력발전소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격납건물의 폴라 크레인 상에 설치되는 구조물에 본 실시예의 정비용 풀리 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풀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격납건물의 폴라 크레인 상에 설치되는 구조물에 본 실시예의 정비용 풀리 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풀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측면도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 격납건물 폴라 크레인 상부설치 정비용 구조물 이송운반용 풀리 장치가 장착되는 원자력발전소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격납건물의 폴라 크레인 상에 설치되는 구조물에 본 실시예의 정비용 풀리 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풀리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측면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원자력발전소의 격납건물(1)의 천정(20)은 돔 형상으로 마련되는데, 전술한 것처럼 천정의 내벽을 따라 격납건물 라이너 플레이트(20)가 장착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라이너 플레이트(20)는 유지보수가 요구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복수 층의 구조물(50; 51, 55)이 격납건물(1)의 천정부(10)에 설치되어야만 한다.
이를 위해서, 먼저 폴라 크레인(30, 도 2 참조)을 설치하고, 이를 기준으로 여러 구조물(50)을 올리게 되는데,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폴라 크레인(30) 위에 1층의 구조물을 설치하고, 이어서 그 위에 2층의 구조물을 설치하고, 또 그 위에 다른 층의 구조물을 설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기준으로, 좌측에 있는 세 개의 구조물들을 제1 구조물(51)이라 명칭할 것이고, 우측에 놓여진 한 개의 구조물을 제2 구조물(55)이라 명칭할 것이며, 본 실시예의 풀리 장치(100)를 통해 제1 구조물(51)의 상부로 제2 구조물(55)을 올리는 구조에 대해서 설명할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 격납건물 폴라 크레인 상부설치 정비용 구조물 이송운반용 풀리 장치(100)는, 전술한 것처럼 제1 구조물(51) 옆에 놓여진 제2 구조물(55)을 제1 구조물(51) 상부로 올릴 수 있도록 제2 구조물(55)을 들어올리는 장치로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제1 구조물(5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 구조물(55)을 당기기 위한 당김줄(120)이 이동 가능하게 걸리는 도르래(131, 135)들이 장착되는 풀리 프레임(110)과, 풀리 프레임(110)의 옆에서 제1 구조물(5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당김줄(120)의 단부가 연결되어 당김줄(120)을 당기거나 푸는 구동모터(160)가 장착되는 모터 프레임(1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예를 들면 원자로의 격납건물(1)의 천정(10)에서 구조물(50)을 설치하기 어려운 사각지대에 이르기까지 구조물(50)을 원활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따라서 라이너 플레이트(20)의 유지보수와 같은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작업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각각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면, 먼저 본 실시예의 풀리 프레임(110)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제1 구조물(51)들 중 제일 우측에 있는 제1 구조물(51)에 장착되는데, 제2 구조물(55)을 들어올릴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함은 물론 제2 구조물(55)을 들어올리기 위한 힘을 전달함으로써 제2 구조물(55)을 제1 구조물(51)의 상부에 올릴 수 있도록 한다.
제2 구조물(55)은 풀리 프레임(110)에 장착된 도르래(131, 135) 및 당김줄(120) 구조에 의해서 들어올려진 후,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 구조물(51)의 상부에 놓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풀리 프레임(11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수직 방향을 가지며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 프레임부재(111)와, 수평 방향을 가지며 수직 프레임부재(111)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수평 프레임부재(115)를 구비할 수 있다. 수직 프레임부재(111)의 하단부에도 수평 프레임부재(117)가 결합됨으로써 풀리 프레임(110)은 전체적으로 직사각 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풀리 프레임(110)은 필요에 따라 제1 구조물(51) 등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풀리 프레임(110)은 이동시키고자 하는 구조물의 위치 등에 따라 어느 구조물에든지 선택적으로 장착시킬 수 있다.
이러한 풀리 프레임(110)이 수직 프레임부재(111)에는 각각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2개의 고정부재(112, 113)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2개의 고정부재(112, 113) 중 상부의 고정부재(112)는 제1 구조물(51)의 수평 프레임 중 위의 것에 고정되고, 하부의 고정부재(113)는 제1 구조물(51)의 수평 프레임 중 아래의 것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재(112, 113)는 제1 구조물(51)의 수평 프레임의 폭에 대응되는 걸림턱 또는 걸림홈을 구비할 수 있는데, 이러한 걸림턱 또는 걸림홈이 수평 프레임에 견고하게 결합됨으로써 제1 구조물(51)에 대한 풀리 프레임(110)의 결합을 강력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풀리 프레임(110)의 수평 프레임부재(115)의 양단부에는 각각,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도르래(131, 135)가 구비될 수 있다. 제2 구조물(55)과 인접한 수평 프레임부재(115)의 일단부에는 제1 도르래(131)가 이동 롤러(140)와 함께 장착되고, 수평 프레임부재(115)의 타단부에는 제2 도르래(135)가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도르래(131, 135)들에 제2 구조물(55)을 들어올리기 위한 당김줄(120)이 이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도르래(131)는 수직 방향을 가지는 당김줄(120)을 수평 방향으로 방향 전환시키고, 제2 도르래(135)는 수평 방향을 가지는 당김줄(120)을 하방으로 방향 전환시킴으로써 당김줄(120)을 통해서 제2 구조물(55)과 구동모터(160)가 연결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구동모터(160)가 구동되어 당김줄(120)을 감는 경우, 이에 연결된 제2 구조물(55) 역시 당김줄(120)에 의해 상방으로 들어올려질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도르래(131)의 경우 수평 프레임부재(115)의 일단부에서 이동 롤러(140)와 함께 장착되는데, 이로 인해 제1 도르래(131)는 이동 롤러(140)와 함께 수평 프레임부재(115)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어느 정도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구조물(55)에 따라 제1 도르래(131)의 위치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2 구조물(55)을 들어올리기 가장 적당한 위치에서 제2 구조물(55)을 들어올릴 수 있어 작업의 정확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제2 구조물(55)이 당김줄(120)에 의해 상방으로 당겨져 올라갈 때, 제2 구조물(55)이 치우치거나 기울지 않고 수직 방향으로 들어올려져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제1 구조물(51)과 제2 구조물(55) 사이에는 가이드 롤러(170)가 장착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가이드 롤러(170)가 제1 구조물(51)과 제2 구조물(55)의 사이의 아래쪽에 구비되는 것처럼 도시하였지만, 가이드 롤러(170)는 제1 구조물(51)과 제2 구조물(55) 사이의 위쪽에도 있을 수 있으며, 따라서 당김줄(120)이 제2 구조물(55)을 상방으로 잡아당길 때, 제2 구조물(55)의 가이드 롤러(170)에 의해 가이드되어 수직 방향으로 똑바로 올라갈 수 있다.
제2 구조물(55)이 올라갈 때 한쪽으로 치우치거나 기울면 제2 구조물(55)을 제1 구조물(51) 상에 올리는 것이 수월하게 진행되지 않을 수 있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 가이드 롤러(170)에 의해서 이러한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2 구조물(55)을 들어올리기 위해서는 당김줄(120)에 제2 구조물(55)을 연결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당김줄(120)의 단부에는 후크부재(121)가 마련되고, 후크부재(121)는 걸림 브라켓(125)에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걸림 브라켓(125)이 제2 구조물(55)의 일측 상단부에 마련된 돌출 부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걸림 브라켓(125)을 돌출 부분에 맞춘 다음 누르면 걸림 브라켓(125)과 돌출 부분 간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구동모터(160)로부터 제공되는 구동력에 의해 당김줄(120)을 당기면 걸림 구조에 의해서 제2 구조물(55) 전체가 수직으로 올라갈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모터 프레임(150)은 당김줄(120)을 당기는 힘을 제공하는 구동모터(160)가 배치되는 것으로서,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모터 프레임(150)의 상면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모터 프레임(150)에 배치되는 구동모터(160)는 당김줄(120)을 감거나 풀어서 제2 구조물(55)의 수직 위치를 조절하는 회전모터일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을 참조하면, 모터 프레임(150)의 수직 프레임부재들에는 전술한 풀리 프레임(110)의 고정부재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 고정부재(152)가 구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제1 구조물(51)에 대하여 모터 프레임(150)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한편, 제2 구조물(55)을 들어올릴 때, 제2 구조물(55) 전체의 수평 상태를 유지하면서 들어올려야만 한다. 이를 위해,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본 실시예의 풀리 장치(100)는, 풀리 프레임(110) 및 모터 프레임(150)을 각각 한 쌍 구비하며, 이들은 제1 구조물(51)의 양단부에 대칭되게 장착되어 제2 구조물(55)의 양단부와 각각 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 쌍으로 마련되는 모터 프레임(150)에 구비되는 구동모터(160)가 동일한 구동 속도로 제어됨으로써 제2 구조물(55)이 평형을 유지하면서 들어올려지는 것이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실시예의 풀리 장치(100)에 의해서 제2 구조물(55)을 수직 방향으로 들어올릴 수 있음은 물론 수평 방향으로도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동모터(160)의 구동력으로 당김줄(120)을 당겨서 제2 구조물(55)의 하단을 제1 구조물(51)의 상단보다 높거나 같은 위치까지 들어올린 다음 제2 구조물(55)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2 구조물(55)을 제1 구조물(51) 상에 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구조물(51)에 대해 제2 구조물(55)을 들어올릴 수 있어 예를 들면 원자로의 격납건물(1)의 천정 영역에서 구조물을 설치하기 어려운 사각지대에 이르기까지 정비를 위한 구조물을 원활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따라서 라이너 플레이트(20) 유지보수와 같은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고안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고안의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원자로의 격납건물
10: 천정
20: 라이너 플레이트
30: 폴라 크레인
50: 구조물
51: 제1 구조물
55: 제2 구조물
100: 원자력 발전소 격납건물 폴라 크레인 상부설치 정비용 구조물 이송운반용 풀리 장치
110: 풀리 프레임
111: 수직 프레임부재
112, 113: 고정부재
115: 수평 프레임부재
120: 당김줄
121: 후크부재
125: 걸림 브라켓
131: 제1 도르래
135: 제2 도르래
140: 이동 롤러
150: 모터 프레임
160: 구동모터
170: 가이드 롤러
10: 천정
20: 라이너 플레이트
30: 폴라 크레인
50: 구조물
51: 제1 구조물
55: 제2 구조물
100: 원자력 발전소 격납건물 폴라 크레인 상부설치 정비용 구조물 이송운반용 풀리 장치
110: 풀리 프레임
111: 수직 프레임부재
112, 113: 고정부재
115: 수평 프레임부재
120: 당김줄
121: 후크부재
125: 걸림 브라켓
131: 제1 도르래
135: 제2 도르래
140: 이동 롤러
150: 모터 프레임
160: 구동모터
170: 가이드 롤러
Claims (9)
- 원자로 격납건물 라이너 플레이트(CLP, Containment Liner Plate)의 정비를 위한 구조물들 중 제1 구조물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측부로 제공되는 제2 구조물을 상방으로 들어올려 상기 제1 구조물 상으로 올리는 원자력 발전소 격납건물 폴라 크레인 상부설치 정비용 구조물 이송운반용 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조물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단부에는 상기 제2 구조물과 연결된 당김줄이 지나는 적어도 하나의 도르래가 장착되는 풀리 프레임; 및
상기 제1 구조물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당김줄의 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당김줄을 당기거나 푸는 구동모터가 놓이는 모터 프레임;
을 포함하고,
상기 풀리 프레임 및 상기 모터 프레임은 한 쌍 구비되어 상기 제1 구조물의 양단부에 대칭되게 장착되며,
한 쌍으로 마련되는 상기 모터 프레임에 구비되는 상기 구동모터가 동일한 구동 속도로 제어됨으로써 상기 제2 구조물이 평형을 유지하면서 들어올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 격납건물 폴라 크레인 상부설치 정비용 구조물 이송운반용 풀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조물에 인접한 상기 제2 구조물의 상단부에는 상기 당김줄의 다른 단부에 구비된 후크부재가 결합되는 걸림 브라켓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당김줄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서 상기 제2 구조물을 수직 방향으로 들어올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 격납건물 폴라 크레인 상부설치 정비용 구조물 이송운반용 풀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조물과 인접한 상기 제1 구조물의 프레임에는 상기 제2 구조물의 승강 시 상기 제2 구조물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롤러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 격납건물 폴라 크레인 상부설치 정비용 구조물 이송운반용 풀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풀리 프레임은,
수직 방향을 가지며 상호 평행하게 마련되는 한 쌍의 수직 프레임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수직 프레임부재의 상단부에 수평으로 결합되는 수평 프레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 프레임부재 중 상기 제2 구조물과 가까운 일단부에는 수직 방향을 가지는 상기 당김줄을 수평 방향으로 방향 전환하는 제1 도르래가 구비되고, 상기 수평 프레임부재의 타단부에는 수평 방향을 가지는 상기 당김줄을 하방으로 방향 전환하여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되도록 하는 제2 도르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비용 원자력 발전소 격납건물 폴라 크레인 상부설치 정비용 구조물 이송운반용 풀리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프레임부재의 일단부에는 상기 제1 도르래를 상기 수평 프레임부재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롤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 격납건물 폴라 크레인 상부설치 정비용 구조물 이송운반용 풀리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조물에 대한 상기 풀리 프레임의 고정을 위해서 상기 수직 프레임부재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2개의 고정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2개의 고정부재 중 상부의 고정부재는 상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 구조물의 수평 프레임들 중 상부의 수평 프레임에 걸림 결합되고, 하부의 고정부재는 하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 구조물의 수평 프레임들 중 하부의 수평 프레임에 걸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 격납건물 폴라 크레인 상부설치 정비용 구조물 이송운반용 풀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프레임의 상면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모터 프레임에 배치되는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당김줄을 감거나 풀어서 상기 제2 구조물의 수직 위치를 조절하는 회전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 격납건물 폴라 크레인 상부설치 정비용 구조물 이송운반용 풀리 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으로 상기 당김줄을 당겨서 상기 제2 구조물의 하단을 상기 제1 구조물의 상단보다 높거나 같은 위치까지 들어올린 다음 상기 제2 구조물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 구조물 상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 격납건물 폴라 크레인 상부설치 정비용 구조물 이송운반용 풀리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210003606U KR200496110Y1 (ko) | 2021-11-26 | 2021-11-26 | 원자력 발전소 격납건물 폴라 크레인 상부설치 정비용 구조물 이송운반용 풀리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210003606U KR200496110Y1 (ko) | 2021-11-26 | 2021-11-26 | 원자력 발전소 격납건물 폴라 크레인 상부설치 정비용 구조물 이송운반용 풀리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96110Y1 true KR200496110Y1 (ko) | 2022-11-04 |
Family
ID=84040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210003606U KR200496110Y1 (ko) | 2021-11-26 | 2021-11-26 | 원자력 발전소 격납건물 폴라 크레인 상부설치 정비용 구조물 이송운반용 풀리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96110Y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77628A (ko) * | 2009-12-30 | 2011-07-07 |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타워형 구조물 시공방법 |
KR102037940B1 (ko) * | 2018-05-03 | 2019-10-29 | 김성진 | 자동차 주차장치 |
-
2021
- 2021-11-26 KR KR2020210003606U patent/KR200496110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77628A (ko) * | 2009-12-30 | 2011-07-07 |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타워형 구조물 시공방법 |
KR102037940B1 (ko) * | 2018-05-03 | 2019-10-29 | 김성진 | 자동차 주차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10067252A1 (en) | Arrangement and method for positioning the alignment plumb lines of the guide rails of an elevator | |
JP2007099515A (ja) | エレベータケージの支持手段をエレベータケージおよびエレベータ昇降路に取り付ける方法 | |
KR100716454B1 (ko) | 다중 커튼월 양중틀 및 이를 이용한 커튼월 설치방법 | |
KR20180022951A (ko) | 풍력 터빈 부품을 이동시키기 위한 방법 및 풍력 터빈 부품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 시스템 | |
JP6658724B2 (ja) |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 | |
JP2013220859A (ja) | 工事用エレベーターの揚程延長工法 | |
AU2019370583B2 (en) | Method for installing a lift installation | |
WO2007027172A1 (en) | Method and device for transporting an elevator car drive machine | |
KR200496110Y1 (ko) | 원자력 발전소 격납건물 폴라 크레인 상부설치 정비용 구조물 이송운반용 풀리 장치 | |
RU2495508C1 (ru) | Машина для загрузки тепловыделяющих сборок | |
KR101312121B1 (ko) | 수문구조물의 수문 유지보수를 위한 수문 탈거장치 및 그 방법 | |
KR200496251Y1 (ko) | 원자력 발전소 격납건물 폴라 크레인 상부 설치 정비용 구조물 장치 | |
US4022330A (en) | Apparatus for mounting building panels | |
KR20090099036A (ko) | 캔버스 도어 안전 개폐장치 | |
KR20130095787A (ko) | 엘리베이터 | |
JP2017001778A (ja) | 調速機用張り車の位置調整方法及び支持アーム | |
JPH09151053A (ja) | エレベータの乗かごの固定装置 | |
JP2007261692A (ja) | マンコンベアの制御盤用昇降装置 | |
KR102634537B1 (ko) | 플레어타워용 리프트 장치의 설치방법 | |
KR20130003968A (ko) | 와이어 장력 유지 제어 장치 | |
JP3920527B2 (ja) | 工事用エレベータ | |
JP2008063873A (ja) | 天井の搬送機構及び施工方法 | |
JP2859811B2 (ja) | 設備機器運搬方法及び運搬用カゴ付エレベータ | |
KR102667047B1 (ko) | 원자로 격납건물의 폴라 크레인에 설치되는 라이너플레이트 정비용 구조물 | |
CN215666814U (zh) | 轻型反应器吊装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