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5787A - 엘리베이터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5787A
KR20130095787A KR1020137014492A KR20137014492A KR20130095787A KR 20130095787 A KR20130095787 A KR 20130095787A KR 1020137014492 A KR1020137014492 A KR 1020137014492A KR 20137014492 A KR20137014492 A KR 20137014492A KR 20130095787 A KR20130095787 A KR 201300957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vernor
machine room
accommodation space
machine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4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케시 니이카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95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57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 B66B5/044Mechanical overspeed governors
    • B66B5/046Mechanical overspeed governors of the pendulum or rocker arm type

Abstract

기계실 내 기기와의 간섭을 회피하고 또한 작업자 통로나 보수 스페이스를 확보하는 조속기의 배치가 가능한 엘리베이터를 제공한다. 엘리베이터(1)는 승강로(3)와, 그 위쪽에 위치하는 기계실(5)을 구비하고, 기계실 내에는 적어도 권상기(13) 및 조속기(15)가 배치되어 있다. 기계실의 저면을 구성하는 기계실 바닥(17)에는 기계실 바닥 상면에 개구하는 조속기 수용공간(35)이 형성되어 있다. 조속기는 조속기 저부가 기계실 바닥 상면(33)보다도 낮은 위치에 있도록 조속기 수용공간 내에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ELEVATOR}
본 발명은 조속기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는, 상하로 연장하는 승강로와, 그 안을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엘리베이터칸을 구비하고 있다. 승강로의 위쪽에는 기계실이 마련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는 권상기, 조속기나 제어반 등이 수용되어 있다. 권상기는 엘리베이터칸에 연결된 로프를 구동함으로써, 엘리베이터칸의 승강을 행하는 것이다. 또, 조속기는 엘리베이터칸의 승강속도를 조정하는 것으로, 승강속도가 규정값을 넘은 경우에는, 조속기 로프를 구속함으로써, 엘리베이터칸의 측부 근방에 마련된 비상멈춤 인상(引上)장치를 통하여 비상제동장치를 작동시킨다.
기계실 내에서의 권상기의 설치 형태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형태가 있고, 그 형태에서는 기계실에 마련한 플로팅 베이스(floating base)의 위에 기계대를 얹고, 권상기는 그 기계대의 위에 재치(載置)되어 있었다.
또, 기계실 내에서의 조속기의 설치 형태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2에 개시된 형태가 있다. 이 형태는 조속기 로프의 장력 조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기계실의 바닥 슬래브(floor slab)에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을 세워 두고, 조속기는 그들 가이드 레일에 장착되어 있었다. 그리고, 조속기를 그들 가이드 레일에 따라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조속기 로프의 장력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었다.
그런데, 엘리베이터의 기계실 내에서의 조속기의 설치 위치는 권상기, 기계대, 제어반 등의 기계실 내 다른 기기와의 간섭 회피나, 보수자를 위한 통로나 각 기기의 보수 스페이스의 확보를 고려하여 결정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각 기기를 각각 필요한 위치에 배치할 수 없는 경우, 기계실 사이즈를 크게 변경해야 한다고 한 문제가 발생한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소63-012580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개평07-125946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기계실 내 기기와의 간섭을 회피하고 또한 작업자 통로나 보수 스페이스를 확보하는 조속기의 배치가 가능한 엘리베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승강로와, 이 승강로의 위쪽에 위치하는 기계실을 구비하고, 이 기계실 내에는 적어도 권상기 및 조속기가 배치된 엘리베이터로서, 상기 기계실의 저면을 구성하는 기계실 바닥에는 기계실 바닥 상면에 개구하는 조속기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속기는 조속기 저부가 상기 기계실 바닥 상면보다도 낮은 위치에 있도록 상기 조속기 수용공간 내에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에 의하면, 기계실 내 기기와의 간섭을 회피하고 또한 작업자 통로나 보수 스페이스를 확보하는 조속기의 배치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시형태 1에서의 조속기의 설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비교예로서의 조속기의 설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실시형태 2에 관한 도 2와 같은 형태의 도면이다.
도 5는 실시형태 3에서의 조속기의 하강 포지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실시형태 3에서의 조속기의 상승 포지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실시형태 4에서의 조속기의 바닥 평탄화 포지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실시형태 4에서의 조속기의 조속기 보수 포지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실시형태 5에서의 조속기의 바닥 평탄화 포지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형태 5에서의 조속기의 조속기 보수 포지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실시형태 6의 엘리베이터에 관하여, 기계실 및 승강로 내의 구성요소의 위치관계를 투영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실시형태 6에 관하여, 조속기의 통상 포지션과 퇴피 포지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조속기 및 재치판에 관한 평면도이다.
도 14는 실시형태 7에 관하여, 바닥 평탄화 포지션 또한 통상 포지션의 조속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실시형태 7에 관하여, 조속기 보수 포지션 또한 퇴피 포지션의 조속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의 조속기 및 재치판에 관한 평면도이다.
도 17은 실시형태 8에 관하여, 도 12와 같은 형태의 도면이다.
도 18은 실시형태 9에 관하여, 도 14와 같은 형태의 도면이다.
도 19는 실시형태 9에 관하여, 도 15와 같은 형태의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첨부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면 중, 동일 부호는 동일 또는 대응 부분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엘리베이터(1)는 상하로 연장한 승강로(3)와, 그 위쪽에 위치하는 기계실(5)을 구비하고 있다. 승강로(3) 내에는 엘리베이터칸(7) 및 균형추(9)가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7)은 승강로(3) 내를 상하로 연장하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1)에 안내되도록 하여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또, 균형추(9)도 도시생략하는 동일한 가이드 레일에 안내되도록 하여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기계실(5) 내에는 적어도 권상기(13), 조속기(15), 또한 도 1에서는 도시생략하는 제어반·수전반(受電盤) 등이 배치되어 있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기계실 바닥(17)에는 플로팅 베이스(도시생략)가 마련되며, 그 위에 기계대(도시생략)가 배치되어 있고, 또한, 기계대 위에 권상기(13)가 재치되어 있다. 또한, 제어반·수전반, 플로팅 베이스, 기계대는, 예를 들면 후술하는 도 11과 같이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권상기(13)의 쉬브에는 메인 로프(19)가 감겨져 있다. 메인 로프(19)의 일단 측은 엘리베이터칸(7)에 연결되어 있고, 타단 측에는 균형추(9)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권상기(13)에 의해 메인 로프(19)가 구동되면, 엘리베이터칸(7) 및 균형추(9)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승강된다.
승강로(3) 내에서의 조속기(15)의 아래쪽에는 텐션 쉬브(21)가 마련되어 있다. 조속기(15) 및 텐션 쉬브(21)의 사이에는 조속기 로프(23)가 감겨져 있다. 엘리베이터칸(7)에는 비상제동장치(25)가 마련되어 있으며, 비상제동장치(25)는 리프트 로드(lift rod)(27) 및 세이프티 링크(safety link)(29) 등으로 이루어지는 비상멈춤 인상장치(31)를 통하여 조속기 로프(23)에 접속되어 있다.
조속기 로프(23)는, 통상의 엘리베이터 운전시에는, 엘리베이터칸(7)의 승강에 맞추어 주회(周回) 동작하도록 되어 있고, 엘리베이터칸(7)은 조속기(15)를 통하여 승강속도가 조정되고 있다.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칸(7)의 하강중, 조속기(15)에 의해서 조정되고 있는 엘리베이터칸(7)의 하강속도가 어떠한 요인 때문에 소정의 값을 넘은 경우에는, 조속기(15)는 조속기 로프(23)를 파지하여, 로프의 동작을 구속한다. 이것에 의해, 정지하려고 하는 조속기 로프(23)와, 이전까지와 같이 계속 하강하려고 하는 엘리베이터칸(7)과의 상대적 위치변화를 흡수하도록 세이프티 링크(29)가 움직인다. 이 움직임에 끌려 리프트 로드(27)는 엘리베이터칸(7)으로부터 볼 때 들어 올려지며, 이 리프트 로드(27)의 동작에 의해서 비상제동장치(25)에서의 도시하지 않은 제동부재가 작동하여, 엘리베이터칸(7)에 비상 브레이크가 걸린다.
이어서, 도 2도 참조하면서, 조속기의 설치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기계실에 설치된 조속기 근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기계실(5)의 저면을 구성하는 기계실 바닥(17)에는 기계실 바닥 상면(33)에 개구하는 조속기 수용공간(35)이 형성되어 있다. 조속기 수용공간(35)은 기계실 바닥(17)에 구성된 수용공간 저면(35a)을 가지고 있고, 그 수용공간 저면(35a)상에는 지지판(41)이 고정되어 있다. 조속기(15)는 지지판(41)에 재치되어 있다. 또, 조속기(15)는 조속기 저부(15a)가 기계실 바닥 상면(33)보다도 낮은 위치에 있도록 조속기 수용공간(35) 내에 배치되어 있다.
기계실 바닥 상면(33)에 형성되어 있는 조속기 수용공간(35)의 개구(37)는 조속기(15)가 조속기 수용공간(35)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커버(39)에 의해서 덮여 있다. 커버(39)는 기계실 바닥(17)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일례로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강판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엘리베이터에 의하면, 기계실 내 기기와의 간섭을 회피하면서, 또한, 작업자 통로나 보수 스페이스를 확보하는 형태로 조속기를 배치할 수 있다. 즉, 비교 형태로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루게 평탄한 기계실 바닥 상면(33)에 그대로 조속기(15)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 조속기(15)가 권상기, 기계대, 제어반 등의 기계실 내의 타기기와 간섭하거나, 보수자를 위한 통로나 각 기기의 보수 스페이스를 확보하는 것이 곤란해지거나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위치에 모든 기기를 배치할 수 없는 경우에는, 기계실의 사이즈를 크게 변경해야 한다고 하는 문제도 발생한다. 이것에 대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속기(15)는 기계실 바닥(17)에 매립하여 설치되기 때문에, 기계실(5) 내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고, 기계실 내 기기와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일례로서 조속기가 기계대의 아래쪽에 있고, 조속기와 기계대의 일부분이 상하방향으로 늘어서 있는 레이아웃에서도 조속기와 기계대와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고, 혹은, 기계대가 위쪽에 있어도 조속기를 위한 필요한 보수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다. 또, 조속기와 기계대와의 간섭 회피만을 고려하여, 조속기를 기계대와 멀리 떨어진 위치에 마련한 경우, 이번에는 그 조속기의 존재가 보수자를 위한 통로나 각 기기의 보수 스페이스를 침식하는 문제도 생길 수 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의 구성에 의해 그와 같은 문제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속기 수용공간(35)의 개구(37)가 조속기(15)마다, 착탈 가능한 커버(39)로 덮여 있고, 그것에 의해서도 기계실 내 스페이스의 유효 활용이 달성되고 있다. 즉, 커버(39)를 떼어내면, 조속기(15)의 보수는 지장 없이 행할 수 있으며, 또한, 조속기(15) 이외의 기기의 보수시에는 커버(39)를 장착하는것에 의해서, 조속기(15)의 위쪽 공간을 작업자 통로나 보수 스페이스로서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도 4는 실시형태 2에 관한 엘리베이터에 관하여, 조속기의 설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엘리베이터는, 다음에 설명하는 조속기의 설치 형태를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형태 1의 엘리베이터와 동일한 것으로 한다. 기계실(5)의 저면을 구성하는 기계실 바닥(17)에는 기계실 바닥 상면(33)에 개구하는 조속기 수용공간(235)이 형성되어 있다.
조속기 수용공간(235)은 저면을 가지지 않는 관통 공간이다. 기계실 바닥(17)의 하면에서의 조속기 수용공간(235)의 주위부에는 복수의 지지 로드(248)가 승강로를 향해서 늘어뜨려져 있다. 그리고, 그들 지지 로드(248)에 의해서, 재치판(243)이 매달려 고정되어 있다. 조속기(15)는 이러한 재치판(243)상에 재치되어 있다. 즉, 조속기(15)는 기계실 바닥(17)에 대해서 매달리는 형태로 지지되어 있다. 또, 조속기(15)는 조속기 저부가 기계실 바닥 상면(33)보다도 낮은 위치에 있도록, 조속기 수용공간(235)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형태 2에 의해서도,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기계실(5) 내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기계실 내 기기와의 간섭을 회피하고 또한 작업자 통로나 보수 스페이스의 확보가 용이한 조속기의 배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속기의 배치에 승강로의 스페이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그것에 의해서도, 기계실 내의 통로·스페이스의 확보를 보다 한층 진행시킬 수 있다. 또한, 구조물의 물건에 의해서, 기계실 바닥을 얇게 해야 하는 경우도 있지만, 그 경우에도, 본 실시형태라면, 상기 실시형태 1과 같이 조속기 수용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 기계실 바닥을 깊게 파내지 않고, 상술한 간섭 회피나 스페이스 확보가 가능한 조속기의 배치를 행할 수 있다. 혹은, 본 실시형태에 의해서, 상술한 간섭 회피나 스페이스 확보의 이익을 향수(享受)하면서, 기계실 바닥의 박층화를 실현할 수도 있다.
실시형태 3.
도 5 및 도 6은 실시형태 3에 관한 엘리베이터에 관하여, 조속기의 설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엘리베이터는, 다음에 설명하는 조속기의 설치 형태를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형태 1의 엘리베이터와 동일한 것으로 한다. 기계실(5)의 저면을 구성하는 기계실 바닥(17)에는 기계실 바닥 상면(33)에 개구하는 조속기 수용공간(135)이 형성되어 있다. 조속기(15)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승 포지션과 하강 포지션과의 사이에서 승강 가능한 형태로 조속기 수용공간(135) 내에 마련되어 있다.
조속기 수용공간(135)은 기계실 바닥(17)에 구성된 수용공간 저면(135a)을 가지고 있고, 그 수용공간 저면(135a)상에는 지지판(141)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조속기 수용공간(135) 내에서의 지지판(141)의 위쪽에는 재치판(143)이 배치되어 있다. 조속기(15)는 이러한 재치판(143)상에 재치되어 있다.
재치판(143)의 하면과, 수용공간 저면(135a)과의 사이에는, 지지 구조물(145)이 개재되어 있다. 수용공간 저면(135a)보다도 위쪽으로 연장하는 지지 구조물(145)의 연장량을 변경함으로써, 조속기(15)의 승강이 행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지지 구조물(145)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 개의 잭 볼트(jack bolt)(147)로 이루어진다. 잭 볼트(147) 각각에는 적어도 두 개의 고정 너트(149)가 나사 맞춤(나합(螺合))되어 있으며, 이들 고정 너트(149)의 사이에 지지판(141)이 끼워 넣어지도록 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들 고정 너트(149)를 단단히 조이거나 느슨하게 하거나 하는 조작을 행함으로써, 지지판(141)(수용공간 저면(135a))에 대한 잭 볼트(147)의 위치(상기 연장량)를 변경하거나, 고정하거나 한다. 또한, 잭 볼트는 복수 사용되고 있으므로, 조속기의 수평 조정에도 유용할 수 있다.
수용공간 저면(135a)에는 조속기 로프(23)가 삽입 통과되는 복수의 로프 관통로(151)가 형성되어 있다. 잭 볼트(147) 각각에서의 하단 측 부분은 대응하는 로프 관통로(151) 내에 수용되어 있다. 잭 볼트(147) 각각의 상단은 재치판(143)의 하면에 접속되어 있다.
도 6은 상승되어 있는 조속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의 조속기(15)의 위치는 상승 포지션의 일례이며, 도 5의 조속기(15)의 위치는 하강 포지션의 일례이다. 또, 조속기(15)는, 일례로서, 상승 포지션 및 하강 포지션 양쪽에서 조속기 저부가 기계실 바닥 상면(33)보다도 낮은 위치에 있도록, 조속기 수용공간(135) 내에 배치되어 있다.
기계실 바닥 상면(33)에 형성되어 있는 조속기 수용공간(135)의 개구(37)는, 조속기(15)가 하강 포지션에 있을 때, 커버(39)에 의해서 덮여 있다. 커버(39)는 기계실 바닥(17)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형태 3에 의하면,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기계실(5) 내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기계실 내 기기와의 간섭을 회피하고 또한 작업자 통로나 보수 스페이스의 확보가 용이한 조속기의 배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조속기를 도 6과 같이 상승시키면, 조속기의 보다 하부까지 손이 닿기 쉬운 점 등 보수성이 향상하고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재치판의 하면을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하므로, 예를 들면 상술의 특허문헌 2에 있는 레일 수단이나 레일과 맞물리는 가이드 수단 등과 같은 다수의 구성부품을 이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복잡 구조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재치판의 하면 그 자체를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하므로, 중력방향과 직접, 마주보는 형태로 지지를 행할 수 있으며, 게다가, 지지력을 기계실 바닥의 일부인 조속기 수용공간의 수용공간 저면 자신이 담당하기 때문에, 보다 강도 확보가 용이한 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이에 더하여, 지지 구조물로서 잭 볼트를 채용할 때, 본 실시형태에서는, 잭 볼트는 각각 조속기 로프를 삽입 통과하기 위한 로프 관통로를 이용하여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잭 볼트 승강을 위한 전용의 수용 스페이스를 일부러 개별적으로 마련하지 않아도 되어, 시공의 복잡화나 시공비용 증가를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실시형태 4.
도 7 및 도 8은 실시형태 4에 관한 엘리베이터에 관하여, 조속기의 설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엘리베이터는, 다음에 설명하는 조속기의 설치 형태를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형태 1의 엘리베이터와 동일한 것으로 한다. 또, 상기 실시형태 3과 동일한 참조 부호로 나타내는 구성의 일부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조속기(15)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조속기 보수 포지션(상승 포지션)과 바닥 평탄화 포지션(하강 포지션)과의 사이에서 승강 가능한 형태로 조속기 수용공간(135) 내에 마련되어 있다.
도 8은 상승되어 있는 조속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의 조속기(15)의 위치는 조속기 보수 포지션의 일례이며, 조속기 보수 포지션은 조속기 수용공간(135) 내에 있는 조속기(15)의 상단이 기계실 바닥 상면(33)보다도 높게 되는 포지션이다. 도 7의 조속기(15)의 위치는 바닥 평탄화 포지션의 일례이며, 바닥 평탄화 포지션은 조속기 수용공간(135) 내에 있는 조속기(15)의 상단이 기계실 바닥 상면(33)보다도 낮게 되는 포지션이다. 또, 조속기(15)는, 일례로서, 조속기 보수 포지션 및 바닥 평탄화 포지션 양쪽에서, 조속기 저부가 기계실 바닥 상면(33)보다도 낮은 위치에 있도록 조속기 수용공간(135) 내에 배치되어 있다.
기계실 바닥 상면(33)에 형성되어 있는 조속기 수용공간(135)의 개구(37)는, 조속기(15)가 바닥 평탄화 포지션에 있을 때, 커버(139)에 의해서 덮여 있다. 커버(139)는 기계실 바닥(17)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커버(139)는, 바닥 평탄화 포지션에서는 조속기(15)의 상단이 기계실 바닥 상면(33)보다 위쪽으로 돌출하지 않기 때문에, 평판 모양의 형태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커버(139)가 장착되었을 때, 커버(139)는 기계실 바닥 상면(33)을 따라서 연장하여, 마치 개구(37)가 원래 존재하지 않은 것과 같은 상태가 되어, 조속기(15)의 위쪽에 대체로 평평한 기계실 바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형태 4에 의하면,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기계실(5) 내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어, 기계실 내 기기와의 간섭을 회피하고 또한 작업자 통로나 보수 스페이스의 확보가 용이한 조속기의 배치를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이에 더하여, 본 실시형태 3에서는, 다음과 같은 특유의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우선,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속기 수용공간(135)이 실시형태 1의 조속기 수용공간(35)보다도 깊게 파져, 도 7의 바닥 평탄화 포지션에서 조속기(15)의 상단이 기계실 바닥 상면(33)보다도 낮게 되기 때문에, 커버(139)로 덮인 조속기(15) 위쪽의 공간은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으며, 즉, 조속기 수용공간(135)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기계실 바닥 상면(33)과 같은 레벨로 이용할 수 있다. 그 한편으로, 이와 같은 제약이 대부분 없는 공간 이용을 실현해야 하는 조속기(15)의 상단을 기계실 바닥 상면(33)보다 낮게 하면, 그 반사적 작용으로서, 조속기(15)에 대해서 보수 작업을 행하려고 했을 경우, 작업성이 악화되는 문제도 있다. 그렇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속기(15)에 대해서 보수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는, 조속기(15)를 도 8의 조속기 보수 포지션까지 상승시킴으로써, 보수하기 쉬운 상태를 얻을 수 있다. 즉, 보다 높은 레벨로 공간 활용성과 보수 용이성의 양립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재치판의 하면을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하므로, 예를 들면 상술의 특허문헌 2에 있는 레일 수단이나 레일과 맞물리는 가이드 수단 등과 같은 다수의 구성부품을 이용하지 않아도 되어, 복잡 구조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재치판의 하면 그 자체를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하므로, 중력방향과 직접, 마주보는 형태로 지지가 행해지며, 게다가, 지지력을 기계실 바닥의 일부인 조속기 수용공간의 수용공간 저면 자신이 담당하기 때문에, 보다 강도 확보가 용이한 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이에 더하여, 지지 구조물로서 잭 볼트를 채용할 때 본 실시형태에서는, 잭 볼트는 각각, 조속기 로프를 삽입 통과하기 위한 로프 관통로를 이용하여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잭 볼트 승강을 위한 전용의 수용 스페이스를 일부러 개별적으로 마련하지 않아도 되어, 시공의 복잡화나 시공 비용 증가를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실시형태 5.
도 9 및 도 10은 실시형태 5에 관한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며, 상기 실시형태 4에서의 도 7 및 도 8과 동일한 형태의 도면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엘리베이터는, 다음에 설명하는 조속기의 설치 형태를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형태 1의 엘리베이터와 동일한 것으로 한다. 기계실(5)의 저면을 구성하는 기계실 바닥(17)에는 기계실 바닥 상면(33)에 개구하는 조속기 수용공간(235)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도 조속기(15)는 조속기 보수 포지션(상승 포지션)과 바닥 평탄화 포지션(하강 포지션)과의 사이에서 승강 가능한 형태로 조속기 수용공간(235) 내에 마련되어 있다.
조속기 수용공간(235)은 저면을 가지지 않는 관통 공간이다. 기계실 바닥(17)의 하면에서의 조속기 수용공간(235)의 주위부에는 복수의 잭 볼트(247)가 승강로를 향해서 늘어뜨려져 있다. 복수의 잭 볼트(247)에는 재치판(243)이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조속기(15)는 이러한 재치판(243)상에 재치되어 있다.
잭 볼트(247) 각각에는 적어도 두 개의 고정 너트(249)가 나사 맞춤되어 있으며, 이들 고정 너트(249)의 사이에 재치판(243)이 끼워 넣어지도록 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들 고정 너트(249)를 단단히 조이거나 느슨하게 하거나 하는 조작을 행함으로써, 잭 볼트(247)에 대한 재치판(243)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고정하거나 한다. 이와 같이 하여, 재치판(243)이 복수의 잭 볼트(247)에 대해서 위치 변경되는 것에 의해서 조속기(15)가 승강된다.
도 10은 상승되어 있는 조속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의 조속기(15)의 위치는 조속기 보수 포지션의 일례이며, 조속기 보수 포지션은 조속기 수용공간(235) 내에 있는 조속기(15)의 상단이 기계실 바닥 상면(33)보다도 높게 되는 포지션이다. 도 9의 조속기(15)의 위치는 바닥 평탄화 포지션의 일례이며, 바닥 평탄화 포지션은 조속기 수용공간(235) 내에 있는 조속기(15)의 상단이 기계실 바닥 상면(33)보다도 낮게 되는 포지션이다. 또, 조속기(15)는, 일례로서, 조속기 보수 포지션 및 바닥 평탄화 포지션 양쪽에서, 조속기 저부가 기계실 바닥 상면(33)보다도 낮은 위치에 있도록, 조속기 수용공간(235) 내에 배치되어 있다.
기계실 바닥 상면(33)에 형성되어 있는 조속기 수용공간(235)의 개구(37)는 조속기(15)가 바닥 평탄화 포지션에 있을 때에, 커버(139)에 의해서 덮여 있다. 커버(139)는 기계실 바닥(17)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커버(139)는, 바닥 평탄화 포지션에서는 조속기(15)의 상단이 기계실 바닥 상면(33)보다 위쪽으로 돌출하지 않기 때문에, 평판 모양의 형태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커버(139)가 장착되었을 때, 상기 실시형태 4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커버(139)는 기계실 바닥 상면(33)을 따라서 연장하고, 마치 개구(37)가 원래 존재하지 않은 것 같은 상태가 되어, 조속기(15)의 위쪽에 대체로 평평한 기계실 바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형태 5에 의하면,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기계실(5) 내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기계실 내 기기와의 간섭을 회피하고 또한 작업자 통로나 보수 스페이스의 확보가 용이한 조속기의 배치를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이에 더하여, 본 실시형태 5에서는 다음과 같은 특유의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우선,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속기 수용공간(235)이 바닥이 없는 관통 공간이며, 도 9의 바닥 평탄화 포지션에서 조속기(15)의 상단을 기계실 바닥 상면(33)보다도 낮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커버(139)로 덮인 조속기(15) 위쪽의 공간은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고, 즉, 조속기 수용공간(135)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기계실 바닥 상면(33)과 같은 레벨로 이용할 수 있다. 그 한편으로, 실시형태 4와 마찬가지로, 조속기(15)의 상단을 기계실 바닥 상면(33)보다 낮게 하면, 조속기(15)에 대한 보수 작업성의 악화 문제가 있다. 이것에 대해서도,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속기(15)를 조속기 보수 포지션까지 상승시킴으로써, 보수하기 쉬운 상태를 얻을 수 있다. 즉, 보다 높은 레벨로 공간 활용성과 보수 용이성과의 양립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속기는 그 하면이 지지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면, 상술의 특허문헌 2와 같이 조속기의 측부를 지지하는 경우와 같은 다수의 가이드 수단을 이용하지 않아도 되어, 복잡 구조를 회피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속기의 바닥 평탄화 포지션의 배치에, 승강로의 스페이스를 이용할 수 있어, 기계실 내의 통로·스페이스의 확보를 보다 한층 진행시킬 수 있다. 또한, 기계실 바닥을 얇게 하지 않을 수 없는 경우에도, 조속기 수용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 기계실 바닥을 깊게 파내지 않고, 상술한 간섭 회피나 스페이스 확보가 가능한 조속기의 배치를 행할 수 있다. 혹은, 기계실 바닥의 박층화를 실현할 수도 있다.
실시형태 6.
도 11 ~ 도 13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 6에 관한 엘리베이터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엘리베이터는 다음에 설명하는 구성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형태 1의 엘리베이터와 동일한 것으로 한다.
도 11은 본 실시형태 6의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고, 기계실 및 승강로 내에 배치되어 있는 구성요소의 위치관계를 투영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기계실(5)은 기계실벽(351)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기계실(5) 내부에는, 주로, 권상기(13), 조속기(15), 제어반(353), 수전반(355) 등이 수용되어 있다. 또, 부호 357은 기계실(5)로 출입하기 위한 도어이다.
기계실 바닥(17)에는 플로팅 베이스(359)가 마련되어 있다. 플로팅 베이스(359)의 위에는 기계대(361)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권상기(13)는 기계대(361)의 위에 재치되어 있다. 승강로(3) 내에서의 기계대(361)의 아래쪽에는 엘리베이터칸(7)이나 균형추(9)가 존재한다. 또, 승강로(3) 내에서, 기계대(359)의 일부나 조속기(15)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근처에는, 도 11에서는 도시생략하지만 도 1에서 부호 25나 부호 31로 나타낸 바와 같은 비상제동장치나 비상멈춤 인상장치가 존재한다.
도 12 및 도 13을 이용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한 조속기의 설치 형태를 설명한다. 조속기(15)는 가로방향(예를 들면 수평방향)으로 늘어선 통상 포지션(일례로서 엘리베이터 운전시의 포지션) 및 퇴피 포지션(일례로서 엘리베이터 비운전시의 포지션)의 사이에서 위치를 옮기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2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속기(15)는 기계대(361)의 아래쪽에 있고, 즉, 조속기(15)와 기계대(361)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하방향으로 늘어서 있다. 이 상태가 조속기(15)의 통상 포지션의 일례이며, 통상 포지션은 조속기(15)가 평면에서 보아, 기계대(361)의 적어도 일부분과 겹치는 포지션이다. 한편, 도 12에 점선으로 나타내는 조속기(15)의 위치는 퇴피 포지션이며, 퇴피 포지션은 조속기(15)가 평면에서 보아, 기계대(361)와 어긋난 포지션이다.
기계실 바닥(17)에는 기계실 바닥 상면(33)에 개구하는 조속기 수용공간(335)이 형성되어 있다. 조속기 수용공간(335)은 저면을 가지지 않는 관통 공간이다. 기계실 바닥(17)의 하면에서의 조속기 수용공간(335)의 주위부에는 복수의 지지 로드(248)가 승강로를 향해서 늘어뜨려져 있다. 복수의 지지 로드(248)에는 재치판(343)이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조속기(15)는 이러한 재치판(343)상에 재치되어 있다.
재치판(343)은 기계대(361)의 아래쪽의 범위 및 평면에서 보아 기계대(361)로부터 가로로 어긋난 범위를 포함하여 연장해 있으며, 환언한다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조속기가 통상 포지션 및 퇴피 포지션을 취할 수 있는 정도까지 가로방향으로 연장해 있다.
도 13은 퇴피 포지션의 조속기 및 재치판에 관한 평면도이다. 조속기(15)를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하는 부분인 재치판(343)에는 슬라이드 용이화 수단으로서의 로프 배치로(配置路),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관통 장공(長孔)(365)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 장공(365)에는 조속기 로프(23)가 승강로 내로 연장하도록 삽입 통과되어 있다. 또, 관통 장공(365)은 조속기(15)의 가로위치 변경에 따른 조속기 로프(23)의 이동을 허용하는 방향으로 넓어져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조속기(15)를 통상 포지션 및 퇴피 포지션의 사이에서 슬라이드시킬 때, 조속기 로프(23)를 조속기(15)로부터 매번 착탈시킬 필요가 없어, 조속기(15)의 슬라이드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도 12로 돌아와, 조속기 수용공간(335)의 개구(37)는 조속기(15)가 바닥 평탄화 포지션에 있을 때, 커버(339)에 의해서 덮여 있다. 커버(339)는 기계실 바닥(17)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도 7의 커버(139)와 동일한 작용으로서, 마치 개구(37)가 원래 존재하지 않는 것 같은 상태인 대체로 평평한 기계실 바닥을 조속기(15)의 위쪽에 제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형태 6에 의해서도,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기계실(5) 내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기계실 내 기기와의 간섭을 회피하고 또한 작업자 통로나 보수 스페이스의 확보가 용이한 조속기의 배치를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이에 더하여, 본 실시형태 6에서는 다음과 같은 특유의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우선,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속기 수용공간(335)이 바닥이 없는 관통 공간이며, 도 12의 바닥 평탄화 포지션에서 조속기(15)의 상단을 기계실 바닥 상면(33)보다 낮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커버(339)로 덮인 조속기(15) 위쪽의 공간은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으며, 즉, 조속기 수용공간(335)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기계실 바닥 상면(33)과 같은 레벨로 이용할 수 있다.
또, 기계실 내의 레이아웃으로서, 조속기는 그 기능을 고려하면, 승강로 내에 있는 비상멈춤 인상장치의 바로 위 근처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지만, 조속기를 그와 같이 비상멈춤 인상장치에 맞추어 배치하려고 했을 경우, 권상기 등을 지지하는 기계대와 조속기가 접근하여, 조속기의 메인터넌스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없게 되거나, 조건에 따라서는 조속기가 기계대 그 자체와 간섭하기 때문에 비상멈춤 인상장치에 맞춘 조속기의 배치 자체가 곤란하게 되거나 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 이러한 문제를 회피하는 대책으로서, 기계대에 노치를 형성하여, 기계대와 조속기와의 간섭을 해소하는 구성도 상정되지만, 그 경우, 이번에는 기계대의 강도를 어떻게 하여 확보할지가 문제가 된다. 또한, 상술한 사정으로부터, 조속기를 비상멈춤 인상장치의 바로 위 근방에 배치하는 것을 단념하고, 바로 위 근방으로부터 크게 어긋나게 하여 배치하는 구성도 상정되지만, 그 경우, 이번에는 조속기와 비상멈춤 인상장치와의 위치 차이로부터 조속기 로프가 승강로 내의 기기와 간섭하거나, 조속기 로프를 어긋나게 하여 배치함에 수반하여 승강로 내의 기기의 종류가 증가하거나 하는 문제가 새로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조속기와 기계대와의 위치관계에 기인한 문제에 대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의 운전시, 혹은, 비운전시에도 조속기의 보수를 행하지 않을 때에는, 조속기를 도 12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통상 포지션에 위치시킴으로써, 기계대의 존재에 저해되지 않고, 조속기를 비상멈춤 인상장치의 거의 바로 위라는 소망의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그 한편으로, 상기와 같이 조속기를 비상멈춤 인상장치의 거의 바로 위라는 위치에 배치하면, 기계대의 존재로부터 조속기에 대한 보수 작업성은 상당히 악화되는 것이 염려되는 바이다. 그러나, 이것에 대해서는, 조속기의 보수시에는, 도 12에 점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속기를 퇴피 포지션까지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조속기를 기계대의 바로 밑으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엘리베이터 운전시에 비상멈춤 인상장치, 조속기 및 기계대가 상하로 대략 맞춰지기 어려운 레이아웃의 실현과, 보수 용이성과의 양립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실시형태 7.
도 14 ~ 도 16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 7에 관한 엘리베이터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엘리베이터는, 다음에 설명하는 구성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형태 6의 엘리베이터와 동일한 것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조속기(15)는 조속기 보수 포지션(상승 포지션)과 바닥 평탄화 포지션(하강 포지션)과의 사이에서 승강 가능한 것에 더하여, 통상 포지션 및 퇴피 포지션의 사이에서 가로방향(예를 들면 수평방향)으로 위치를 옮기는 것이 가능하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속기(15)는 기계대(361)의 아래쪽에 있으며, 즉, 조속기(15)와 기계대(361)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하방향으로 늘어서 있다. 도 14의 상태는 조속기(15)의 바닥 평탄화 포지션의 일례로서, 통상 포지션의 일례이기도 하다. 통상 포지션은, 조속기(15)를 평면에서 보아, 기계대(361)의 적어도 일부분과 겹치는 포지션이다.
기계실 바닥(17)에는 기계실 바닥 상면(33)에 개구하는 조속기 수용공간(335)이 형성되어 있다. 조속기 수용공간(335)은 저면을 가지지 않는 관통 공간이다. 기계실 바닥(17)의 하면에서의 조속기 수용공간(335)의 주위부에는 복수의 잭 볼트(247)가 승강로를 향해서 늘어뜨려져 있다. 복수의 잭 볼트(247)에는 재치판(343)이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조속기(15)는 이러한 재치판(343)상에 재치되어 있다.
재치판(343)은 기계대(361)의 아래쪽의 범위 및 평면에서 보아 기계대(361)로부터 가로로 어긋난 범위를 포함하여 연장해 있으며, 환언한다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조속기가 통상 포지션 및 퇴피 포지션을 취할 수 있는 정도까지 가로방향으로 연장해 있다.
잭 볼트(247) 각각에는 적어도 두 개의 고정 너트(249)가 나사 맞춤되어 있고, 이들 고정 너트(249)의 사이에 재치판(343)이 끼워 넣어지도록 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들 고정 너트(249)를 단단히 조이거나 느슨하게 하거나 하는 조작을 행함으로써, 잭 볼트(247)에 대한 재치판(343)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고정하거나 한다. 이와 같이 하여, 재치판(343)이 복수의 잭 볼트(247)에 대해서 위치 변경되는 것에 의해서, 조속기(15)가 조속기 보수 포지션과 바닥 평탄화 포지션과의 사이에서 승강된다.
도 15는 조속기 보수 포지션 또한 퇴피 포지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 도 16은 도 15 상태의 조속기 및 재치판에 관한 평면도이다. 퇴피 포지션은 조속기(15)가 평면에서 보아, 기계대(361)와 어긋난 포지션이다.
재치판(343)에는 슬라이드 용이화 수단으로서의 로프 배치로,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관통 장공(365)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 장공(365)에는 조속기 로프(23)가 승강로 내로 연장하도록 삽입 통과되어 있다. 또, 관통 장공(365)은 조속기(15)의 가로위치 변경에 따른 조속기 로프(23)의 이동을 허용하는 방향으로 넓어져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조속기(15)를 통상 포지션 및 퇴피 포지션의 사이에서 슬라이드시킬 때, 조속기 로프(23)를 조속기(15)로부터 매번 착탈시킬 필요가 없고, 조속기(15)의 슬라이드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도 14로 돌아와, 조속기 수용공간(335)의 개구(37)는 조속기(15)가 바닥 평탄화 포지션에 있을 때, 커버(339)에 의해서 덮여 있다. 커버(339)는 기계실 바닥(17)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도 7의 커버(139)와 동일한 작용으로서, 마치 개구(37)가 원래 존재하지 않은 것 같은 상태인 대체로 평평한 기계실 바닥을 조속기(15)의 위쪽에 제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형태 7에 의해서도,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기계실(5) 내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기계실 내 기기와의 간섭을 회피하고 또한 작업자 통로나 보수 스페이스의 확보가 용이한 조속기의 배치를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이에 더하여, 본 실시형태 7에서는, 다음과 같은 특유의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우선,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속기 수용공간(335)이 바닥이 없는 관통 공간이며, 도 14의 바닥 평탄화 포지션에서 조속기(15)의 상단을 기계실 바닥 상면(33)보다 낮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커버(339)로 덮인 조속기(15) 위쪽의 공간은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고, 즉, 조속기 수용공간(335)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기계실 바닥 상면(33)과 같은 레벨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속기는 그 하면이 지지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면, 조속기의 측부를 지지하는 경우와 같은 다수의 가이드 수단을 이용하지 않아도 되어, 복잡 구조를 회피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속기의 바닥 평탄화 포지션의 배치에, 승강로의 스페이스를 이용할 수 있어, 기계실 내의 통로·스페이스의 확보를 보다 한층 진행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 6에 관해서 설명한 조속기와 기계대와의 위치관계에 기인한 문제에 대해, 본 실시형태에서도, 조속기를 도 14에 나타내는 바닥 평탄화 포지션에서 또한 통상 포지션에 위치시킴으로써, 기계대의 존재에 저해되지 않고, 조속기를 비상멈춤 인상장치의 거의 바로 위라는 소망의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그 한편으로, 상기와 같이 조속기를 비상멈춤 인상장치의 거의 바로 위라는 위치에 배치하고, 게다가, 조속기의 상단을 기계실 바닥 상면보다 낮게 하면, 조속기에 대한 보수 작업성은 꽤 악화되는 것이 염려되는 바이다. 그러나, 이것에 대해서는, 조속기의 보수시에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속기를 퇴피 포지션까지 슬라이드시키고 또한 조속기를 조속기 보수 포지션까지 상승시킴으로써, 기계대가 방해가 되지 않고 충분한 보수 스페이스를 얻을 수 있다. 즉, 통상 포지션 그대로는 조속기를 조속기 보수 포지션까지 잭 업 시킬 수 없으며, 또, 보수성도 양호하지 않은 바, 조속기가 퇴피 포지션을 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속기의 잭 업을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잭 업 후의 조속기 보수 포지션에서는 조속기의 바로 위에 기계대가 없는 바람직한 보수 상태를 만드는 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엘리베이터 운전시에 비상멈춤 인상장치, 조속기 및 기계대가 상하로 거의 맞춰지기 어려운 레이아웃의 실현과, 보수 용이성과의 양립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실시형태 8.
조속기를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하는 면은 통상 포지션 및 퇴피 포지션의 사이에 경사져 있어도 되고, 그 일례로서, 본 실시형태 8은, 상기 실시형태 6에서, 조속기를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하는 면을 경사시킨 것이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속기를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하는 면인 재치판(443)은 퇴피 포지션 측이 통상 포지션 측보다도 높게 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장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조속기(15)를 통상 포지션으로부터 퇴피 포지션으로 옮기면, 조속기(15)는 기계대(361)의 바로 밑으로부터 이탈할 뿐만 아니라, 상승 이동도 수반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후기의 실시형태 9)에서도, 조속기 로프나 관통 장공이 마련되어 있지만, 도 17(도 18, 도 19)에서는 도시생략하고 있다.
이와 같은 실시형태 8에 의하면, 상기 실시형태 6과 같은 이점을 얻을 수 있는 것에 더하여, 또한, 조속기(15)의 가로이동이라는 단일 공정만으로, 보수의 관점에서 바람직한 조속기의 기계대의 바로 밑으로부터의 이탈과, 조속기 위치의 상승이라는 두 개의 결과가 얻어진다.
실시형태 9.
본 발명은 조속기를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하는 면이 통상 포지션 및 퇴피 포지션의 사이에서 경사져 있는 것에 더하여, 전체적으로 승강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 9는 그 일례이며, 상기 실시형태 8의 구성에, 실시형태 7의 재치판(443)의 상하이동기구를 부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실시형태 9에 의하면, 상기 실시형태 8과 같은 이점을 얻을 수 있으며, 특히, 조속기 상승을 보다 높게 설정할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기본적 기술 사상 및 교시에 근거하여, 당업자이면, 여러 가지의 변경 형태를 채용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형태는, 하강 포지션에서는 조속기 저부가 기계실 바닥 상면보다도 낮은 위치로 하고, 상승 포지션에서는 조속기 저부가 기계실 바닥 상면보다도 높은 위치로 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는, 상승 포지션을 조속기 상단이 기계실 바닥 상면보다도 낮은 위치로 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가로방향으로 조속기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실시형태 6 ~ 9에서, 조속기 상단 위치의 기계실 바닥 상면에 대한 높이는 적절히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형태 2로서, 실시형태 1에서의 조속기 지지 형태를, 도 4가 매달리는 형태로 변경한 것과 마찬가지로, 실시형태 3은 조속기 지지 형태를 매달리는 형태로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실시형태 6 ~ 9는, 조속기를 실시형태 3과 같이 기계실 바닥에 마련한 지지 구조물로 지지하도록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실시형태 6 ~ 9는, 예를 들면 조속기와 재치판과의 사이에 레일 수단을 마련하고, 가로이동이나 그 포지션 선택을 연속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실시형태 4 및 5에 관하여, 상기 설명에서는 조속기 로프를 위한 로프 관통로가 복수 형성되고, 잭 볼트는 대응하는 로프 관통로에 삽입 통과되어 있었지만, 당해 실시형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적어도 한 개의 잭 볼트가 로프 관통로에 삽입 통과되어 있으면 된다. 따라서, 광범위하게 넓어지는 큰 로프 관통로에 복수의 잭 볼트가 모여 삽입 통과되어 있어도 되고, 혹은, 복수의 잭 볼트 중 일부는 로프 관통로 이외의 구멍에 삽입 통과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는, 조속기의 자세 유지를 돕는 보충적인 수단이나, 조속기의 높이 유지를 돕는 보충적인 수단을 마련함으로써, 잭 볼트 자체는 한 개만 사용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1 엘리베이터, 3 승강로,
5 기계실, 13 권상기,
15 조속기, 17 기계실 바닥,
33 기계실 바닥 상면, 35 조속기 수용공간,
37 개구, 39, 139, 339 커버,
135a 수용공간 저면, 143, 243, 343, 443 재치판,
145 지지 구조물, 147, 247 잭 볼트,
151 로프 관통로, 361 기계대,
365 관통 장공(로프 배치로).

Claims (13)

  1. 승강로와, 이 승강로의 위쪽에 위치하는 기계실을 구비하고, 이 기계실 내에는 적어도 권상기 및 조속기가 배치된 엘리베이터로서,
    상기 기계실의 저면을 구성하는 기계실 바닥에는 기계실 바닥 상면에 개구하는 조속기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속기는 조속기 저부가 상기 기계실 바닥 상면보다도 낮은 위치에 있도록 상기 조속기 수용공간 내에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속기가 상기 조속기 수용공간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기계실 바닥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조속기 수용공간의 개구를 덮는 커버를 가지고,
    상기 커버는 상기 기계실 바닥에 대해서 착탈 가능한 엘리베이터.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조속기 수용공간은 상기 기계실 바닥으로 구성된 수용공간 저면을 가지고 있고,
    상기 조속기는 상기 수용공간 저면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조속기 수용공간은 저면을 가지지 않는 관통 공간이며,
    상기 조속기는 상기 기계실 바닥에 의해서 매달려 지지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5.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조속기는 상승 포지션과 하강 포지션과의 사이를 상하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고,
    적어도 상기 하강 포지션에서, 상기 조속기는 상기 조속기 저부가 상기 기계실 바닥 상면보다도 낮은 위치에 있는 엘리베이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조속기는 바닥 평탄화 포지션과 조속기 보수 포지션과의 사이에서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고,
    상기 바닥 평탄화 포지션은 상기 하강 포지션으로서, 상기 조속기 수용공간 내에 있는 상기 조속기의 상단이 상기 기계실 바닥 상면보다도 낮게 되는 포지션이며,
    상기 조속기 보수 포지션은 상기 상승 포지션으로서, 상기 조속기 수용공간 내에 있는 상기 조속기의 상단이 상기 기계실 바닥 상면보다도 높게 되는 포지션인 엘리베이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조속기 수용공간은 수용공간 저면을 가지고 있고,
    상기 조속기는 상기 조속기 수용공간 내에서 재치판(載置板)의 위에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재치판의 하면과, 상기 수용공간 저면과의 사이에는 지지 구조물이 개재되어 있고,
    상기 수용공간 저면보다도 위쪽으로 연장하는 상기 지지 구조물의 연장량을 변경함으로써, 상기 조속기의 승강이 행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 저면에는 상기 조속기에 감겨지고 또한 상기 승강로 내로 연장하는 조속기 로프가 삽입 통과되는 적어도 하나의 로프 관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 구조물은 적어도 하나의 잭 볼트(jack bolt)로 이루어지며,
    상기 잭 볼트는 상기 로프 관통로 내에 부분적으로 수용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조속기 수용공간은 저면을 가지지 않는 관통 공간이고,
    상기 기계실 바닥의 하면에서의 상기 조속기 수용공간의 주위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잭 볼트가 상기 승강로를 향해서 늘어뜨려져 있으며,
    상기 잭 볼트에는 재치판이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상기 조속기는 상기 재치판 위에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재치판이 상기 잭 볼트에 대해서 위치 변경되는 것에 의해서, 상기 조속기는 승강되는 엘리베이터.
  10. 청구항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 내에는 기계대가 더 배치되어 있고,
    상기 권상기는 상기 기계대상에 재치되어 있으며,
    상기 조속기는 상기 기계대의 아래쪽에 있고, 이 조속기와 이 기계대의 일부분은 상하방향으로 늘어서 있는 엘리베이터.
  11. 청구항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 내에는 기계대가 더 배치되어 있고,
    상기 권상기는 상기 기계대상에 재치되어 있으며,
    상기 조속기는 상기 기계대의 아래쪽에 있고, 이 조속기와 이 기계대의 일부분은 상하방향으로 늘어서 있으며,
    상기 조속기는 가로방향으로 늘어서는 상기 통상 포지션 및 퇴피 포지션의 사이에서 위치 변경 가능하고,
    상기 통상 포지션은 상기 조속기가 평면에서 보아 상기 기계대의 일부분과 겹치는 포지션이며,
    상기 퇴피 포지션은 상기 조속기가 평면에서 보아 상기 기계대와 어긋난 포지션인 엘리베이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조속기를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하는 부분에는 이 조속기에 감겨진 조속기 로프가 상기 승강로 내로 연장하는 로프 배치로(配置路)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로프 배치로는 상기 조속기의 가로위치 변경에 따른 상기 조속기 로프의 이동을 허용하는 방향으로 넓어져 형성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13. 청구항 11 또는 12에 있어서,
    상기 조속기를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하는 면은 상기 통상 포지션 및 퇴피 포지션의 사이에서 경사져 있고,
    이 통상 포지션 및 퇴피 포지션의 사이에서의 상기 조속기의 가로위치 변경은 이 조속기의 높이 변화도 수반하는 엘리베이터.
KR1020137014492A 2010-11-05 2010-11-05 엘리베이터 KR201300957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0/069681 WO2012060007A1 (ja) 2010-11-05 2010-11-05 エレベー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5787A true KR20130095787A (ko) 2013-08-28

Family

ID=46024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4492A KR20130095787A (ko) 2010-11-05 2010-11-05 엘리베이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636627B1 (ko)
JP (1) JP5570612B2 (ko)
KR (1) KR20130095787A (ko)
CN (1) CN103189295B (ko)
WO (1) WO20120600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01115B2 (ja) * 2015-03-10 2016-10-05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ガバナロープ引き上げ治具
WO2017167600A1 (de) 2016-03-31 2017-10-05 Inventio Ag Geschwindigkeitsbegrenzer mit einer schutzhaub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866U (ko) * 1986-06-20 1988-01-08
JPH0633145B2 (ja) 1986-07-02 1994-05-0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における機械室内機器の支持装置
JPS63178277A (ja) * 1987-01-20 1988-07-22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湿式現像装置
JPH0646933Y2 (ja) * 1987-05-11 1994-11-30 三菱電機株式会社 小形エレベ−タ装置
JP2658727B2 (ja) * 1992-04-27 1997-09-3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調速機のロープ伸縮補正装置
JPH07125946A (ja) 1993-11-08 1995-05-16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エレベーター調速機
CN2286741Y (zh) * 1997-02-24 1998-07-29 杭州电梯厂 变频变压交流调速客货两用电梯
JP4047462B2 (ja) * 1998-09-03 2008-02-13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べーター調速機
US6619433B1 (en) * 2000-07-24 2003-09-16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ystem using minimal building space
CN1789102B (zh) * 2004-12-17 2010-12-08 中国建筑科学研究院建筑机械化研究分院 电梯超速保护装置
KR100874299B1 (ko) * 2005-07-05 2008-12-18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로프의 텐션 풀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189295A (zh) 2013-07-03
CN103189295B (zh) 2015-07-08
WO2012060007A1 (ja) 2012-05-10
EP2636627A4 (en) 2018-02-07
EP2636627A1 (en) 2013-09-11
JPWO2012060007A1 (ja) 2014-05-12
EP2636627B1 (en) 2018-10-10
JP5570612B2 (ja) 2014-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303771B (zh) 建造电梯的方法和电梯配置
KR100326109B1 (ko) 조속기를 갖는 엘리베이터
AU2017368776B2 (en) Lift syste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such an elevator system
ES2396449T3 (es) Método para instalar el cableado de izado de un ascensor
EP3617127B1 (en) Jump elevator and jumping method
CN1056471A (zh) 电梯升降滑道工作平台
RU2013157537A (ru) Система буровой установки с самоподъемным буровым полом
JP4595011B2 (ja) 既設エレベータの改修方法及びエレベータ装置
JP2007099515A (ja) エレベータケージの支持手段をエレベータケージおよびエレベータ昇降路に取り付ける方法
US20030168290A1 (en) Elevator without machine room
KR100394505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20130095787A (ko) 엘리베이터
JP2013014395A (ja) エレベータ及びエレベータの改修方法
CN103130067B (zh) 电梯设备
JP5516512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11068458A (ja) エレベータのレール吊り装置
JP5050741B2 (ja) 既設エレベータの改修方法
JP2013245033A (ja) 巻上機据付方法
JP2002037563A (ja) 油圧エレベータのリニューアル方法
JP2846528B2 (ja) 油圧エレベーターのガイドレール据付け方法
JP5092407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5631570B2 (ja) エレベータ設備
WO2017168695A1 (ja) エレベータ装置
CN102887415A (zh) 电梯
CN2651217Y (zh) 电梯升降滑道工作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1020

Effective date: 2015052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601 Decision to reject again after remand of revo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