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7609A - 타공 플레이트를 이용하는 클램핑 장치 - Google Patents

타공 플레이트를 이용하는 클램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7609A
KR20230097609A KR1020210187302A KR20210187302A KR20230097609A KR 20230097609 A KR20230097609 A KR 20230097609A KR 1020210187302 A KR1020210187302 A KR 1020210187302A KR 20210187302 A KR20210187302 A KR 20210187302A KR 20230097609 A KR20230097609 A KR 202300976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support pin
support
clamping device
perforate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7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6522B1 (ko
Inventor
김보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무그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무그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무그루
Priority to KR1020210187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6522B1/ko
Publication of KR20230097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76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6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65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BMACHINES, APPARATUS OR TOOLS FOR ARTISTIC WORK, e.g. FOR SCULPTURING, GUILLOCHING, CARVING, BRANDING, INLAYING
    • B44B3/00Artist's machines or apparatus equipped with tools or work holders moving or able to be controlled substantially two- dimensionally for carving, engraving, or guilloching shallow ornamenting or markings
    • B44B3/06Accessories, e.g. tool or work holders
    • B44B3/065Work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CPLANING, DRILLING, MILLING, TURNING OR UNIVERSAL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 B27C7/00Wood-turning machines; Equipment therefor
    • B27C7/04Devices for centering or chuck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6Sculptur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타공 플레이트를 이용한 클램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타공 플레이트를 이용한 클램핑 장치는 복수개의 타공이 형성되는 타공 플레이트; 상기 복수개의 타공 중 하나의 타공에 체결되는 제1 지지핀을 통해 상기 타공 플레이트 상부에서 회전 이동하는 지지 클램프; 및 상기 복수개의 타공 중 다른 하나의 타공에 체결되는 제2 지지핀을 통해 상기 타공 플레이트 상부에서 회전 이동하는 회동 손잡이의 회전 이동에 기초하여, 상기 지지 클램프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클램핑 대상체를 상기 지지 클램프와 함께 지지하도록 회전 이동하는 푸싱 클램프;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타공 플레이트를 이용하는 클램핑 장치 {APPARATUS FOR CLAMPING USING PERFORATED PLATE}
본 개시는 클램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타공 플레이트를 이용하는 클램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드카빙이라는 목조각에 대한 작업에 있어서, 대상 작업체를 단단하게 고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목재 재질의 대상 작업체에 대한 카빙, 그라인딩과 같은 공정을 수행할 때 대상 작업체가 정확하게 고정되지 않을 경우, 작업자의 부상 및 안전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이 있다.
또한, 목조각 작업시 하나의 대상 작업체가 아닌, 복수의 대상 작업체들을 함께 작업하는 경우가 많으며, 대상 작업체들을 손쉽게 고정시킨 상태에서, 다른 작업체에 대한 공정을 수행하는 경우가 많다.
종래 목조각 작업시 필요로한 작업대들은 대부분 클램핑 대상체의 모양에 적합하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개인이 목조각 작업을 위해 고가의 특수 클램프 장치를 구입하여야 하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저비용으로도 목조각 작업 시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클램핑 장치에 대한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0861710호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타공 플레이트를 이용한 클램핑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회동 손잡이의 회전에 의해 서로 다른 반경으로 회전하는 클램프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상의 클램핑 대상체를 고정할 수 있는 클램핑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타공 플레이트를 이용한 클램핑 장치는 복수개의 타공이 형성되는 타공 플레이트; 상기 복수개의 타공 중 하나의 타공에 체결되는 제1 지지핀을 통해 상기 타공 플레이트 상부에서 회전 이동하는 지지 클램프; 및 상기 복수개의 타공 중 다른 하나의 타공에 체결되는 제2 지지핀을 통해 상기 타공판 상부에서 회전 이동하는 회동 손잡이의 회전 이동에 기초하여, 상기 지지 클램프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클램핑 대상체를 상기 지지클램프와 함께 지지하도록 회전 이동하는 푸싱 클램프; 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클램핑 장치는 상기 타공 플레이트 및 상기 푸싱 클램프의 상부에서, 상기 제2 지지핀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 이동하고, 상기 제2 지지핀과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되는 제3 지지핀이 체결되는 상기 회동 손잡이; 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푸싱 클램프는 상기 회동 손잡이에 체결된 제3 지지핀 및 상기 제2 지지핀이 함께 수용되고, 내경을 따라 상기 제3 지지핀이 회전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원통홀; 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제3 지지핀은, 상기 회동 손잡이로부터, 상기 타공 플레이트를 향하는 상기 원통홀의 내주면 하부까지 연장되고, 상기 제2 지지핀은 상기 회동 손잡이로부터, 상기 원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타공 플레이트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원통홀의 내경은 상기 제3 지지핀의 직경 및 상기 제2 지지핀의 직경과 상기 제3 지지핀 및 상기 제2 지지핀 사이의 미리 설정된 간격을 모두 합한 값에 대응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지지 클램프 및 상기 푸싱 클램프는 소정의 두께로 마련되고, 상기 지지 클램프 및 상기 푸싱 클램프는 적어도 3면 이상을 포함하는 다각형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지지핀으로부터 상기 지지 클램프 내 외주면의 모서리까지의 거리는 서로 다르게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지지 클램프 및 상기 푸싱 클램프 각각의 대향되는 일면의 중심은 소정의 폭 및 소정의 깊이로, 상기 지지 클램프 및 상기 푸싱 클램프 중심을 향해 파여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지지 클램프는 상기 클램핑 대상체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푸싱 클램프의 회전 이동에 의한 지지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지지핀을 기준으로 회전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지지력은 상기 회동 손잡이에 대한 물리적인 외력에 의해 상기 회동 손잡이가 회전하면, 상기 회동 손잡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원통홀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제3 지지핀의 회전 이동에 의해 상기 푸싱 클램프가 회전 이동하게 되고, 상기 푸싱 클램프의 회전 이동에 기초하여 발생할 수 있다.
도 1은 클램핑 전후의 클램핑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램핑 장치가 클램핑 대상체를 지지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지 클램프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푸싱 클램프 및 회동 손잡이의 구조 및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램핑 장치의 블록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개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클램핑 전후의 클램핑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의 그림 (120)은 클램핑 전의 클램핑 장치(1000)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의 그림 (140)은 회동 손잡이의 회전에 의해 클램핑 후의 클램핑 장치(1000)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램핑 장치(1000)는 우드 카빙이라고 하는 목조각을 할 때 필요한 작업대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클램핑 장치(1000)는 다양한 모양의 지지 또는 고정 대상체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클램핑 장치(1000)는 지지 클램프(122), 푸싱 클램프(124) 및 회동 손잡이(126)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클램핑 장치(1000)는 상술한 구성에 더하여 타공 플레이트(11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램핑 장치(1000)는 복수개의 타공이 형성되는 타공 플레이트(110), 복수개의 타공 중 하나의 타공에 체결되는 제1 지지핀(128)을 통해 상기 타공 플레이트(110) 상부에서 회전 이동하는 지지클램프(122), 상기 복수개의 타공 다른 하나의 타공에 체결되는 제2 지지핀(132)을 통해, 상기 타공 플레이트(110) 상부에서 회전 이동하는 회동 손잡이(126)의 회전 이동에 기초하여, 상기 지지 클램프(122)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클램핑 대상체를 지지 클램프와 함께 지지하도록 회전 이동하는 푸싱 클램프(12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회동 손잡이는 타공 플레이트(110) 및 푸싱 클램프(124)의 상부에서, 제2 지지핀(132)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 이동하고, 제2 지지핀(132)과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되는 제3 지지핀(134)이 체결되는 제2 지지핀 체결홀 및 제3 지지핀 체결홀을 포함할 수 있다.
회동 손잡이(126)는 푸싱 클램프(124)를 통과하여 타공 플레이트(110)내부까지 연장됨으로써, 푸싱 클램프(124) 및 타공 플레이트(110)에 체결되는 제2 지지핀(132)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고, 제2 지지핀(132)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회동 손잡이(126)에는 타공 플레이트(110)까지는 연장되지 않으나, 푸싱 클램프(124)까지 연장되는 제3 지지핀(134)이 체결될 수 있다. 즉,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제3 지지핀은 회동 손잡이로부터 타공 플레이트를 향하는 원통홀의 내주변 하부까지 연장되고, 제2 지지핀은 회동 손잡이로부터 원통홀을 통과하여 타공 플레이트까지 연장될 수 있다.
회동 손잡이(126)가 제2 지지핀(132)을 기준축으로 회전할 경우, 제3 지지핀(134)이 같이 회전 이동할 수 있으며, 도 1에 나타나지는 않지만, 회동 손잡이(126) 하부에 위치하는 푸싱 클램프(124)내부의 원통홀의 내경을 따라, 제3 지지핀(134)이 회전이동하면서, 푸싱 클램프(124)는 지지 클램프(122)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지지 클램프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클램핑 대상체를 고정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램핑 장치가 클램핑 대상체를 지지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클램핑 장치(1000)는 지지 클램프(210) 및 푸싱 클램프(220)를 이용하여 클램핑 대상체(260)를 지지 및 고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지지 클램프(210) 및 푸싱 클램프(220)는 소정의 두께로 마련될 수 있고, 지지 클램프(210) 및 푸싱 클램프(220)는 적어도 3면 이상을 엣지면으로 포함하는 다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지지 클램프(210)는 회전 이동의 기준축이 되는 제1 지지핀(230)이 체결되는 제1 지지핀 체결홀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지지핀 체결홀로부터 다각형 형태의 지지클램프의 엣지면까지의 거리는 서로 다르게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푸싱 클램프(220)는 도 1의 회동 손잡이에 체결된 제3 지지핀(134) 및 제2 지지핀(132)이 함께 수용되는 원통홀(24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원통홀(240)의 두께는 푸싱 클램프(220)의 두께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지지 클램프(210)의 두께는 푸싱 클램프(220)의 두께에 대응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회동 손잡이에 체결된 제3 지지핀 및 제2 지지핀이 함께 수용되는 워통홀(240)은 내주면이 형성될 수 있고, 원통홀(240)의 내주면은 제3 지지핀이 회전이동하도록 하기 위한 가이드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동 손잡이에 대한 물리적인 외력이 작용함으로써, 회동 손잡이가 회전하면, 회동 손잡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원통홀(240)의 내주면을 따라 제3 지지핀이 회전 이동하게 되고, 상기 내주면을 따라 회전이동 하는 제3 지지핀의 회전 이동에 의해, 상기 푸싱 클램프가 회전 이동하게 되며, 상기 푸싱 클램프의 회전 이동에 기초하여 클램핑 대상체에 지지력이 가해지게 된다.
즉, 제3 지지핀은 원통홀(240)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 이동함으로써 푸싱 클램프(220)가 지지 클램프(210)와의 사이에 있는 클램핑 대상체(260)를 고정하도록 이동시킨다. 푸싱 클램프(220)가 제3 지지핀의 회전 이동에 의해 이동하면서 클램핑 대상체(260)를 밀게 되면, 클램핑 대상체(260)를 통해 지지 클램프(210)는 제1 지지핀(230)을 기준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회전이동할 수 있다.
지지 클램프(210)는 클램핑 대상체(260)를 통해 전달되는, 회동 손잡이에 의해 발생한 힘에 의해, 제1 지지핀(230)을 기준으로 회전 이동하면서 푸싱 클램프(220)와 함께 클램핑 대상체를 고정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지지 클램프(210)는 클램핑 대상체(260)를 통해 전달되는 회동 손잡이의 클램핑 대상체에 대한 지지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지지핀(230)을 기준으로 회전이동함으로써, 클램핑 대상체를 고정하게 된다.
본 개시에 따른 지지 클램프(210) 및 푸싱 클램프(220)는 적어도 3면(예컨대 적어도 3개의 엣지면)을 포함하는 다각형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지지 클램프(210) 및 푸싱 클램프(220)는 대향되는 위치에서 형성된 엣지면(272, 274)(예컨대 외주면)의 중심은 소정의 폭 및 소정의 깊이로, 상기 지지 클램프(210) 및 푸싱 클램프(220)의 중심을 향해 움푹 파여질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지지 클램프(210) 및 푸싱 클램프(220)의 일면은 서로 대향되는 방향에 위치하는 일면의 중심이 소정의 폭 및 깊이로 파여짐으로써, 원형의 클램핑 대상체(260)도 손쉽게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지 클램프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지지 클램프는, 지지 클램프 및 타공 플레이트까지 연장되는 제1 지지핀이 체결되기 위한 제1 지지핀 체결홀(2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핀이 체결되는 제1 지지핀 체결홀(250)은 지지 클램프 내 외주면의 모서리까지의 거리가 서로 다르게 설정되도록, 지지 클램프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클램프 내 제1 지지핀 체결홀(250)로부터 지지 클램프(310)의 엣지면까지의 거리들(322, 324, 326, 328, 330, 332)는 모두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지지 클램프 내 제1 지지핀의 체결홀(250)로부터 다각형 형태의 지지 클램프(310)의 엣지 부분에 형성되는 엣지면(예컨대 외주면의 모서리를 시작으로 형성되는 면)까지의 거리들은 모두 다르도록, 제1 지지핀의 체결홀(250)이 지지 클램프 내부에 위치함으로써, 지지 클램프는 푸싱 클램프와 함께 다양한 크기의 클램핑 대상체를 효과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 클램프의 엣지면들 중, 클램핑 대상체를 향하는 일면의 일부분은 소정의 깊이 및 폭으로 움푹 파여짐으로써, 원형의 클램핑 대상체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형상의 지지 클램프는 다양한 크기의 원형 클램핑 대상체 뿐만 아니라, 다양한 모양의 클램핑 대상체를, 푸싱 클램프와 함께 효과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푸싱 클램프 및 회동 손잡이의 구조 및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푸싱 클램프(404)내에 형성되는 원통홀(410)의 내경은 제3 지지핀(414)의 직경 및 제2 지지핀(412)의 직경과 상기 제3 지지핀 및 제2 지지핀 사이의 미리 설정된 거리 간격을 모두 합한 값에 대응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회동 손잡이(402)는 회동 손잡이(402)에 대한 물리적인 외력에 기초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회동 손잡이(402)가 회전 이동하게 되면, 회동 손잡이(402)는 회동 손잡이(402)내에 형성되는 제2 지지핀(412) 및 제3 지지핀(414)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소정의 거리(422)만큼 클램핑 대상체를 밀 수 있다.
회동 손잡이(402)가 회전함에 있어, 제2 지지핀(412)은 타공플레이트까지 연장됨으로써 고정된 상태이므로, 소정의 기준선(418)에 고정될 수 있고, 제3 지지핀(414)은 회동 손잡이 회전 전에 기준선(418) 우측면에 위치한 상태에서, 푸싱 클램프 내 원통홀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이동함으로써, 기준선(418)의 좌측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푸싱 클램프(404)가 클램핑 대상체를 밀게되는 거리(422)는 푸싱 클램프의 원통홀의 내경 또는 푸싱 클램프 상부에 위치하는 회동 손잡이 내 제2 지지핀 및 제3 지지핀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램핑 장치의 블록도이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클램핑 장치(1000)는 타공 플레이트(510), 지지 클램프(520), 푸싱 클램프(530) 및 회동 손잡이(5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클램핑 장치(1000)는 지지 클램프(520), 푸싱 클램프(530) 및 회동 손잡이(54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지지 클램프(520)는 제1 지지핀 및 상기 제1 지지핀이 체결되는 제1 지지핀 체결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푸싱 클램프(530)는 제2 지지핀 및 제3 지지핀이 수용되는 원통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원통홀은 제2 지지핀을 기준으로 회동 손잡이가 이동함에 따라, 제3 지지핀의 회전 이동을 위한 내주면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회동 손잡이(540)는 제2 지지핀이 체결되는 제2 지지핀 체결홀 및 제3 지지핀이 체결되는 제3 지지핀 체결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제2 지지핀 및 제2 지지핀의 체결홀의 내경은 제3 지지핀 및 제3 지지핀의 체결홀의 내경보다 크게 마련됨으로써, 회전에 의한 더 강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회동 손잡이(540) 내 제2 지지핀 및 제3 지지핀은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회동 손잡이(540)내 체결될 수 있고, 제2 지지핀 및 제3 지지핀 사이의 거리 간격에 기초하여 푸싱 클램프의 클램핑 대상체에 대한 푸싱 거리가 결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개시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개시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Claims (9)

  1. 타공 플레이트를 이용한 클램핑 장치에 있어서,
    복수개의 타공이 형성되는 타공 플레이트;
    상기 복수개의 타공 중 하나의 타공에 체결되는 제1 지지핀을 통해 상기 타공 플레이트 상부에서 회전 이동하는 지지 클램프; 및
    상기 복수개의 타공 중 다른 하나의 타공에 체결되는 제2 지지핀을 통해 상기 타공 플레이트 상부에서 회전 이동하는 회동 손잡이의 회전 이동에 기초하여, 상기 지지 클램프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클램핑 대상체를 상기 지지클램프와 함께 지지하도록 회전 이동하는 푸싱 클램프; 를 포함하는, 클램핑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장치는
    상기 타공 플레이트 및 상기 푸싱 클램프의 상부에서, 상기 제2 지지핀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 이동하고, 상기 제2 지지핀과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되는 제3 지지핀이 체결되는 상기 회동 손잡이; 를 포함하는, 클램핑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푸싱 클램프는
    상기 회동 손잡이에 체결된 제3 지지핀 및 상기 제2 지지핀이 함께 수용되고, 내경을 따라 상기 제3 지지핀이 회전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원통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지지핀은, 상기 회동 손잡이로부터, 상기 타공 플레이트를 향하는 상기 원통홀의 내주면 하부까지 연장되고,
    상기 제2 지지핀은 상기 회동 손잡이로부터, 상기 원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타공 플레이트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홀의 내경은
    상기 제3 지지핀의 직경 및 상기 제2 지지핀의 직경과 상기 제3 지지핀 및 상기 제2 지지핀 사이의 미리 설정된 간격을 모두 합한 값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클램프 및 상기 푸싱 클램프는 소정의 두께로 마련되고,
    상기 지지 클램프 및 상기 푸싱 클램프는 적어도 3면 이상을 포함하는 다각형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지지핀이 체결되는 제1 지지핀 체결홀로부터 상기 지지 클램프 내 외주면의 모서리까지의 거리는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클램프 및 상기 푸싱 클램프 각각의 대향되는 일면의 중심은 소정의 폭 및 소정의 깊이로, 상기 지지 클램프 및 상기 푸싱 클램프 중심을 향해 파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클램프는
    상기 클램핑 대상체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푸싱 클램프의 회전 이동에 의한 지지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지지핀을 기준으로 회전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력은
    상기 회동 손잡이에 대한 물리적인 외력에 의해 상기 회동 손잡이가 회전하면, 상기 회동 손잡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원통홀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제3 지지핀의 회전 이동에 의해 상기 푸싱 클램프가 회전 이동하게 되고, 상기 푸싱 클램프의 회전 이동에 기초하여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장치.
KR1020210187302A 2021-12-24 2021-12-24 타공 플레이트를 이용하는 클램핑 장치 KR1026265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7302A KR102626522B1 (ko) 2021-12-24 2021-12-24 타공 플레이트를 이용하는 클램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7302A KR102626522B1 (ko) 2021-12-24 2021-12-24 타공 플레이트를 이용하는 클램핑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7609A true KR20230097609A (ko) 2023-07-03
KR102626522B1 KR102626522B1 (ko) 2024-01-18

Family

ID=87157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7302A KR102626522B1 (ko) 2021-12-24 2021-12-24 타공 플레이트를 이용하는 클램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652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9977A (ja) * 1996-10-30 1998-05-19 Misawa Homes Co Ltd 鋼製梁・木製梁兼用吊り具
KR100861710B1 (ko) 2006-11-28 2008-10-06 김태석 밀링머신의 클램핑 장치
KR20170014780A (ko) * 2015-07-31 2017-02-08 유상철 Cnc 밀링머신용 공작물 신속교체 지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9977A (ja) * 1996-10-30 1998-05-19 Misawa Homes Co Ltd 鋼製梁・木製梁兼用吊り具
KR100861710B1 (ko) 2006-11-28 2008-10-06 김태석 밀링머신의 클램핑 장치
KR20170014780A (ko) * 2015-07-31 2017-02-08 유상철 Cnc 밀링머신용 공작물 신속교체 지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6522B1 (ko) 2024-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50008295D1 (de) Einrichtung zum positionsdefinierten Aufspannen eines Werkstücks im Arbeitsbereich einer Bearbeitungsmaschine
US3473420A (en) Jig for spinnerette
JP2008246632A (ja) フローティングチャック機構
KR102083437B1 (ko) 범용공작기계용 바이스 장치
KR20230097609A (ko) 타공 플레이트를 이용하는 클램핑 장치
JPH1177488A (ja) インデックスアタッチメント
JP3595623B2 (ja) レーザ加工装置
RU2739361C2 (ru)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турбинных лопаток резанием
JP2014240102A (ja) 工作機械のワーク固定装置
JP5955039B2 (ja) ワーク加工用治具、ワーク自動加工装置、ワーク加工方法、ワーク加工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213105246U (zh) 卡盘及激光切割设备
KR0158254B1 (ko) 공작물 고정장치
CN111644867B (zh) 治具
KR20040071901A (ko) 수직홀 가공용 드릴링 머신
KR101876004B1 (ko) 선반의 센터 장치
JP4632253B2 (ja) 多面加工機
KR102585462B1 (ko) 공작 기계의 틸팅 테이블 위치 결정 장치
CN212470047U (zh) 一种光伏框架切弧机构
CN211388449U (zh) 一种可快速拆装工装夹具
JP2005297135A (ja) 固定装置
TWI665071B (zh) 可放置刀套之木工夾具
JP2023150561A (ja) クランプ装置
JP4788329B2 (ja) 研削装置
JP2964889B2 (ja) 左右傾斜式卓上切断機
TWI587972B (zh) 刀具夾持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