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5462B1 - 공작 기계의 틸팅 테이블 위치 결정 장치 - Google Patents

공작 기계의 틸팅 테이블 위치 결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5462B1
KR102585462B1 KR1020190021025A KR20190021025A KR102585462B1 KR 102585462 B1 KR102585462 B1 KR 102585462B1 KR 1020190021025 A KR1020190021025 A KR 1020190021025A KR 20190021025 A KR20190021025 A KR 20190021025A KR 102585462 B1 KR102585462 B1 KR 1025854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tilting table
tilting
fixing pin
machine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1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2713A (ko
Inventor
이영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엔솔루션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엔솔루션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엔솔루션즈
Priority to KR1020190021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5462B1/ko
Publication of KR20200102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2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5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54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72Auxiliary arrangements; Interconnections between auxiliary tables and movable machine elements
    • B23Q1/74Auxiliary 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25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 B23Q1/26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relating to the co-operation of relatively movable members; 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movement of such members
    • B23Q1/262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relating to the co-operation of relatively movable members; 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movement of such members with means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relatively slidable members
    • B23Q1/265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relating to the co-operation of relatively movable members; 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movement of such members with means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relatively slidable members between rotat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05Guides for workpie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chine Tool Units (AREA)

Abstract

공작 기계의 틸팅 테이블 위치 결정 장치는 제 1 하우징, 제 2 하우징, 제 1 고정핀, 제 2 고정핀 및 제 1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하우징은 공작물이 고정되는 공작 기계의 틸팅 테이블의 적어도 한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하우징은 상기 틸팅 테이블을 틸팅시키는 틸팅 기구에 의해 수직하게 세워진 상기 틸팅 테이블의 하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고정핀은 상기 틸팅 기구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고정핀은 상기 제 1 하우징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수직 방향을 따른 상기 틸팅 테이블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 2 고정핀은 상기 틸팅 기구에 의해 수직하게 세워진 상기 틸팅 테이블의 상기 제 2 하우징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수평 방향을 따른 상기 틸팅 테이블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 1 커버는 상기 제 1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하우징에 결합된 상기 제 1 고정핀의 상기 수직 방향을 따른 위치를 구속할 수 있다. 따라서, 틸팅 테이블이 수평 방향을 중심으로 틀어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공작 기계의 틸팅 테이블 위치 결정 장치{APPARATUS FOR DETERMINING A POSITION OF A TILTING TABLE IN A MACHINE TOOL}
본 발명은 공작 기계의 틸팅 테이블 위치 결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머시닝 센터에서 공작물을 고정하는 틸팅 테이블의 수직 위치를 결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작 기계는 터닝 센터와 머시닝 센터로 구분할 수 있다. 터닝 센터는 회전되는 소재를 공구를 이용해서 가공할 수 있다. 반면에, 머시닝 센터는 회전하는 공구를 이용해서 소재를 가공할 수 있다.
항공기의 윙 리브를 머시닝 센터를 이용해서 가공하는 경우, 대량의 칩이 발생될 수 있다. 윙 리브를 가공하기 위한 공작물은 머시닝 센터의 틸팅 테이블에 고정될 수 있다. 공작물은 수평하게 배치된 스핀들에 의해 회전되는 공구로 가공될 수 있다. 따라서, 틸팅 테이블은 틸팅 기구에 의해서 스핀들의 정면으로 수직하게 세워질 수 있다. 공작물을 공구로 정밀하게 가공하기 위해서는, 틸팅 테이블의 수직 위치가 항상 일정할 것이 요구될 수 있다.
관련 기술들에 따르면, 틸팅 기구의 제 1 고정핀들이 수평하게 배치된 틸팅 테이블의 측면들에 배치된 제 1 하우징들에 결합될 수 있다. 틸팅 기구가 틸팅 테이블을 회전시켜서 수직하게 세우면, 클램핑 기구들이 수직하게 세워진 틸팅 테이블을 클램핑할 수 있다. 머시닝 센터의 메인 프레임에 설치된 제 2 고정핀이 수직하게 세워진 틸팅 테이블의 하부면에 배치된 제 2 하우징에 결합되어, 수직하게 세워진 틸팅 테이블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제 1 고정핀들이 제 1 하우징들에 결합될 때, 제 1 고정핀들과 제 1 하우징들 사이의 마찰로 인해서 틸팅 테이블이 수평 방향을 중심으로 틀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2 고정핀이 제 2 하우징에 결합되지 않거나 제 2 고정핀이 제 2 하우징에 부정확하게 끼워지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틸팅 테이블에 고정된 공작물의 위치도 설정된 위치로부터 벗어나게 되므로, 공구가 공작물을 정밀하게 가공할 수 없을 것이다.
본 발명은 틸팅 테이블의 수직 위치를 정밀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공작 기계의 틸팅 테이블 위치 결정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견지에 따른 공작 기계의 틸팅 테이블 위치 결정 장치는 제 1 하우징, 제 2 하우징, 제 1 고정핀, 제 2 고정핀 및 제 1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하우징은 공작물이 고정되는 공작 기계의 틸팅 테이블의 적어도 한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하우징은 상기 틸팅 테이블을 틸팅시키는 틸팅 기구에 의해 수직하게 세워진 상기 틸팅 테이블의 하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고정핀은 상기 틸팅 기구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고정핀은 상기 제 1 하우징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수직 방향을 따른 상기 틸팅 테이블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 2 고정핀은 상기 틸팅 기구에 의해 수직하게 세워진 상기 틸팅 테이블의 상기 제 2 하우징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수평 방향을 따른 상기 틸팅 테이블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 1 커버는 상기 제 1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하우징에 결합된 상기 제 1 고정핀의 상기 수직 방향을 따른 위치를 구속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장치는 상기 제 2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제 2 하우징에 결합된 상기 제 2 고정핀의 상기 수평 방향을 따른 위치를 구속하는 제 2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 2 커버는 상기 제 2 하우징을 수용하는 수용홈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은 상기 제 2 하우징의 외측면에 맞대어지는 제 1 및 제 3 내측면들, 및 상기 제 2 하우징의 외측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 2 하우징의 외측면과의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는 제 2 및 제 4 내측면들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의 상기 제 1 및 제 3 내측면들에 상기 제 2 하우징의 외측면이 삽입되는 오목부들이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들은 상기 제 2 하우징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3 내측면들은 상기 수평 방향과 직교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장치는 상기 수직하게 세워진 상기 틸팅 테이블을 지지하는 지지 블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은 상기 틸팅 테이블의 양측면들에 배치된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 블럭은 상기 제 1 하우징들에 인접하게 배치된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된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커버가 제 1 하우징에 결합된 제 1 고정핀의 수직 위치를 정밀하게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틸팅 테이블이 수평 방향을 중심으로 틀어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 2 고정핀이 제 2 하우징에 정확하게 결합될 수가 있게 되어, 수직하게 세워진 틸팅 테이블의 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특히, 제 2 커버가 제 2 하우징에 결합된 제 2 고정핀의 수평 위치를 구속하게 되므로, 제 2 고정핀이 제 2 하우징에 부정확하게 결합되는 현상도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작 기계의 수평하게 배치된 틸팅 테이블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틸팅 테이블이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I 부위를 확대해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IV 부위를 확대해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 2 커버를 확대해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 2 커버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제 2 커버에 제 2 고정핀과 제 2 하우징이 결합된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작 기계의 수평하게 배치된 틸팅 테이블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틸팅 테이블이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III 부위를 확대해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IV 부위를 확대해서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 2 커버를 확대해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 2 커버를 나타낸 저면도이며,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제 2 커버에 제 2 고정핀과 제 2 하우징이 결합된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공작 기계는 메인 프레임(110), 스핀들(120), 틸팅 테이블(130), 틸팅 기구(140) 및 클램핑 기구(15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핀들(120)은 메인 프레임(110)에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공작물을 가공하는 공구는 스핀들(120)에 수평하게 장착될 수 있다. 공작물을 고정하는 틸팅 테이블(130)은 스핀들(120)의 정면에 배치될 수 있다. 틸팅 테이블(130)은 틸팅 기구(140)에 의해서 스핀들(120)의 정면을 향해서 틸트될 수 있다. 따라서, 틸팅 기구(140)에 의해서 수직하게 세워진 틸팅 테이블(130)에 고정된 공작물이 스핀들(120)에 장착된 공구를 향할 수 있다. 클램핑 기구(150)는 수직하게 세워진 틸팅 테이블(130)을 클램핑할 수 있다. 클램핑 기구(150)는 수직하게 세워진 틸팅 테이블(130)의 상단 복수개 부분들과 하단 복수개 부분들을 클램핑할 수 있다.
수직하게 세워진 틸팅 테이블(130)의 위치를 결정하는 장치는 제 1 하우징(210), 제 1 고정핀(220), 제 1 커버(230), 지지 블럭(240), 제 2 하우징(250), 제 2 고정핀(260) 및 제 2 커버(2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하우징(210)은 틸팅 테이블(130)의 적어도 한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하우징(210)은 수직하게 세워진 틸팅 테이블(130)의 양측면들에 설치된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고정핀(220)은 틸팅 기구(140)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고정핀(220)은 제 2 하우징(210)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하우징(210)이 한 쌍으로 이루어지므로, 제 1 고정핀(220)도 한 쌍의 제 1 하우징(210)들 각각에 결합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고정핀(220)은 수평하게 배치된 틸팅 테이블(130)의 제 1 하우징(210)에 결합될 수 있다. 틸팅 기구(140)에서 발생된 회전력은 제 1 고정핀(220)과 제 1 하우징(210)을 통해서 틸팅 테이블(130)로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틸팅 테이블(130)은 공작물을 고정한 상태로 스핀들(120)의 정면에 수직하게 세워질 수 있다. 즉, 틸팅 기구(140)의 작동 중에, 제 1 고정핀(220)은 틸팅 기구(140)의 회전력을 틸팅 테이블(130)로 전달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틸팅 테이블(130)이 수직하게 세워진 이후, 제 1 하우징(210)에 결합된 제 1 고정핀(220)은 수직 방향을 따른 틸팅 테이블(130)의 위치를 결정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 1 고정핀(220)이 제 1 하우징(210)에 정확하게 결합되어야 수직 방향을 따른 틸팅 테이블(130)의 위치가 유지될 수 있다.
제 1 하우징(210)에 결합된 제 1 고정핀(220)의 수직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서, 제 1 커버(230)가 제 1 하우징(210)에 설치될 수 있다. 제 1 고정핀(220)은 제 1 하우징(210)을 통해서 제 1 커버(230)에 결합될 수 있다. 제 1 고정핀(220)은 틸팅 테이블(130)이 수평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제 1 커버(230)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틸팅 기구(140)에 의해서 틸팅 테이블(130)이 수직하게 세워지는 동안, 틸팅 테이블(130)이 수평 방향을 중심으로 틀어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틸팅 테이블(130)이 수직하게 세워진 이후, 제 1 커버(230)는 제 1 고정핀(220)을 구속하여, 수직 방향을 따른 제 1 고정핀(22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커버(230)에 의해서 수직하게 세워진 틸팅 테이블(130)의 수직 위치가 정확하게 결정될 수 있다.
지지 블럭(240)은 메인 프레임(110)에 설치될 수 있다. 지지 블럭(240)은 제 1 하우징(210)에 인접하게 배치된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 블럭(240)은 수직하게 세워진 틸팅 테이블(130)을 수직 방향을 따라 지지하여, 수직하게 세워진 틸팅 테이블(130)의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제 2 하우징(250)은 수직하게 세워진 틸팅 테이블(130)의 하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하우징(250)은 대략 실린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2 고정핀(260)은 메인 프레임(110)에 설치되어, 제 2 하우징(250)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틸팅 테이블(130)이 틸팅 기구(140)에 의해 수직하게 세워지면, 제 2 고정핀(260)이 제 2 하우징(250)에 결합되어, 제 1 수평 방향을 따른 틸팅 테이블(130)의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제 2 고정핀(260)이 제 2 하우징(250)에 정확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서, 제 2 커버(270)가 제 2 하우징(250)에 설치될 수 있다. 제 2 커버(270)는 제 2 하우징(250)을 수용하는 수용홈(272)을 가질 수 있다. 수용홈(272)은 대략 직사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수용홈(272)은 제 1 내지 제 4 내측면(273, 274, 275, 276)들을 가질 수 있다. 제 1 및 제 3 내측면(273, 275)들은 제 1 수평 방향 상에서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제 1 및 제 3 내측면(273, 275)들은 제 1 수평 방향과 실질적으로 직교할 수 있다. 제 1 및 제 3 내측면(273, 275)들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제 2 및 제 4 내측면(274, 276)들은 제 1 수평 방향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제 2 수평 방향 상에서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제 2 및 제 4 내측면(274, 276)들은 제 2 수평 방향과 실질적으로 직교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수용홈(272)의 제 1 및 제 3 내측면(273, 275)들에는 오목부(277, 278)들이 형성될 수 있다. 오목부(277, 278)들은 제 1 및 제 3 내측면(273, 275)들의 중앙부에 위치할 수 있다. 오목부(277, 278)들 사이의 제 1 거리(D1)는 제 2 하우징(250)의 직경과 동일할 수 있다. 오목부(277, 278)들은 제 2 하우징(250)의 외측면이 형성하는 곡률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곡률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 2 하우징(250)의 외측면은 수용홈(272)의 오목부(277, 278)들로 삽입되어, 오목부(277, 278)들의 내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반면에, 수용홈(272)의 제 2 및 제 4 내측면(274, 276)들 사이의 제 2 거리(D2)는 제 2 하우징(250)의 직경보다 길 수 있다. 따라서, 제 2 하우징(250)의 외측면은 수용홈(272)의 제 2 및 제 4 내측면(274, 276)들과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 2 하우징(250)의 외측면과 수용홈(272)의 제 2 및 제 4 내측면(274, 276)들 사이에는 틈새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틈새는 제 2 고정핀(260)이 제 2 하우징(250)에 끼이거나 충돌하는 등과 같은 제 2 고정핀(260)과 제 2 하우징(250 사이의 간섭 현상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오목부(277, 278)들은 수직 방향을 따른 수용홈(272)의 전체 내측면에 걸쳐 형성되지 않고 일부에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오목부(277, 278)들은 수용홈(272)의 하단으로부터 위를 향해 수용홈(272)의 내측면 전체의 일부까지만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커버(270)가 제 2 하우징(250)을 고정하는 부분을 최대한 줄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커버가 제 1 하우징에 결합된 제 1 고정핀의 수직 위치를 정밀하게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틸팅 테이블이 수평 방향을 중심으로 틀어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 2 고정핀이 제 2 하우징에 정확하게 결합될 수가 있게 되어, 수직하게 세워진 틸팅 테이블의 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특히, 제 2 커버가 제 2 하우징에 결합된 제 2 고정핀의 수평 위치를 구속하게 되므로, 제 2 고정핀이 제 2 하우징에 부정확하게 결합되는 현상도 방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 메인 프레임 120 ; 스핀들
130 ; 틸팅 테이블 140 ; 틸팅 기구
150 ; 클램핑 기구 210 ; 제 1 하우징
220 ; 제 1 고정핀 230 ; 제 1 커버
240 ; 지지 블럭 250 ; 제 2 하우징
260 ; 제 2 고정핀 270 ; 제 2 커버
272 ; 수용홈 273 ; 제 1 내측면
274 ; 제 2 내측면 275 ; 제 3 내측면
276 ; 제 4 내측면 277, 278 ; 오목부

Claims (9)

  1. 공작물이 고정되는 공작 기계의 틸팅 테이블의 적어도 한 측면에 배치된 제 1 하우징;
    상기 틸팅 테이블을 틸팅시키는 틸팅 기구에 의해 수직하게 세워진 상기 틸팅 테이블의 하부면에 배치된 제 2 하우징;
    상기 틸팅 기구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하우징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수직 방향을 따른 상기 틸팅 테이블의 위치를 결정하는 제 1 고정핀;
    상기 틸팅 기구에 의해 수직하게 세워진 상기 틸팅 테이블의 상기 제 2 하우징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수평 방향을 따른 상기 틸팅 테이블의 위치를 결정하는 제 2 고정핀; 및
    상기 제 1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하우징에 결합된 상기 제 1 고정핀의 상기 수직 방향을 따른 위치를 구속하는 제 1 커버를 포함하는 공작 기계의 틸팅 테이블 위치 결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제 2 하우징에 결합된 상기 제 2 고정핀의 상기 수평 방향을 따른 위치를 구속하는 제 2 커버를 더 포함하는 공작 기계의 틸팅 테이블 위치 결정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커버는 상기 제 2 하우징을 수용하는 수용홈을 갖는 공작 기계의 틸팅 테이블 위치 결정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은 상기 제 2 하우징의 외측면에 맞대어지는 제 1 및 제 3 내측면들, 및 상기 제 2 하우징의 외측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 2 하우징의 외측면과의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는 제 2 및 제 4 내측면들을 갖는 공작 기계의 틸팅 테이블 위치 결정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의 상기 제 1 및 제 3 내측면들에 상기 제 2 하우징의 상기 외측면이 삽입되는 오목부들이 형성된 공작 기계의 틸팅 테이블 위치 결정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들은 상기 제 2 하우징의 곡률과 동일한 곡류을 갖는 공작 기계의 틸팅 테이블 위치 결정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3 내측면들은 상기 수평 방향과 직교하는 공작 기계의 틸팅 테이블 위치 결정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하게 세워진 상기 틸팅 테이블을 지지하는 지지 블럭을 더 포함하는 공작 기계의 틸팅 테이블 위치 결정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은 상기 틸팅 테이블의 양측면들에 배치된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 블럭은 상기 제 1 하우징들에 인접하게 배치된 한 쌍으로 이루어진 공작 기계의 틸팅 테이블 위치 결정 장치.
KR1020190021025A 2019-02-22 2019-02-22 공작 기계의 틸팅 테이블 위치 결정 장치 KR1025854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025A KR102585462B1 (ko) 2019-02-22 2019-02-22 공작 기계의 틸팅 테이블 위치 결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025A KR102585462B1 (ko) 2019-02-22 2019-02-22 공작 기계의 틸팅 테이블 위치 결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2713A KR20200102713A (ko) 2020-09-01
KR102585462B1 true KR102585462B1 (ko) 2023-10-10

Family

ID=72469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1025A KR102585462B1 (ko) 2019-02-22 2019-02-22 공작 기계의 틸팅 테이블 위치 결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546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08185A1 (en) 2000-05-24 2002-01-24 Jiro Chiba Reference table tilting mechanism
JP2014161988A (ja) 2013-02-27 2014-09-08 Brother Ind Ltd 回転テーブル装置と工作機械
KR101800427B1 (ko) 2010-02-23 2017-11-22 파스칼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공작물 팔레트 위치결정 고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65946A (en) * 1990-12-27 1995-11-14 Smith; Dresden G. Positioning fixture for welding operations having a lockable ball joint
JPH07112342A (ja) * 1993-10-18 1995-05-02 Kubota Corp パレットと治具の締結構造
JPH08215963A (ja) * 1995-02-15 1996-08-27 Citizen Watch Co Ltd 小型左右傾斜治具
KR101029194B1 (ko) * 2009-03-16 2011-04-12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금형 사상 장치
JP5385709B2 (ja) * 2009-07-08 2014-01-08 パスカル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物品位置決め機構
KR101115876B1 (ko) * 2009-12-18 2012-03-13 장희철 머시닝센터의 틸팅 테이블
KR101118957B1 (ko) * 2009-12-29 2012-03-05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도어 샌딩용 테이블 지그
KR20120084508A (ko) * 2011-01-20 2012-07-30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공작기계의 툴 매거진
KR101630972B1 (ko) * 2014-12-03 2016-06-15 김재우 인덱싱 테이블 장치
KR20160116472A (ko) * 2015-03-30 2016-10-10 한국건드릴 주식회사 트윈틸팅타입 건-드릴머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08185A1 (en) 2000-05-24 2002-01-24 Jiro Chiba Reference table tilting mechanism
KR101800427B1 (ko) 2010-02-23 2017-11-22 파스칼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공작물 팔레트 위치결정 고정장치
JP2014161988A (ja) 2013-02-27 2014-09-08 Brother Ind Ltd 回転テーブル装置と工作機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2713A (ko) 2020-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52436A (en) Coupling assembly for a machining device
JP4170201B2 (ja) 基板加工装置
KR101668819B1 (ko) 다면 가공 장치
CN106736744B (zh) 弹性夹紧装置
JP2014507293A (ja) 2つの旋回可能な横部材を備えた、ワークの機械加工及び/又は測定のための機械
US20170165800A1 (en) Floating type machining platform, floating type machining system and floating type machining method
KR102585462B1 (ko) 공작 기계의 틸팅 테이블 위치 결정 장치
KR101476640B1 (ko) 판유리의 사각 모서리 라운딩 가공용 연마장치
KR101844782B1 (ko) 머시닝센터용 공작물 고정장치
KR200488176Y1 (ko) 공작기계
KR20170135676A (ko) 컷팅 툴 유지 메커니즘
ES2314953T3 (es) Maquina herramienta.
KR101965072B1 (ko) Cnc 선반장치
JP6732611B2 (ja) ワーククランプ装置
CN106425631A (zh) 一种夹具用定位支撑机构
KR102487468B1 (ko) 피가공물 정밀 클램핑 장치
CN105904249A (zh) 钻床及机用夹紧钳
JP6310999B1 (ja) Ncフライス盤のスピンドルケース構造
EP0602724B1 (en) Device for the axial support of a rotatable body, and positioning device provided with such a device
KR102626522B1 (ko) 타공 플레이트를 이용하는 클램핑 장치
KR20240011683A (ko) 절삭 인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절삭 공구 조립체
JP2007021598A (ja) 位置決め装置
KR101502813B1 (ko) 면삭가공용 가공툴 수평유지 장치
CN217801218U (zh) 一种快速固定角度的治具
CN211102874U (zh) 数控加工中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