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4486A - 장식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장식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4486A
KR20230094486A KR1020210183698A KR20210183698A KR20230094486A KR 20230094486 A KR20230094486 A KR 20230094486A KR 1020210183698 A KR1020210183698 A KR 1020210183698A KR 20210183698 A KR20210183698 A KR 20210183698A KR 20230094486 A KR20230094486 A KR 202300944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hard coating
decorative sheet
resin
to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3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애리
이승훈
김유준
Original Assignee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엑스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210183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4486A/ko
Publication of KR20230094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44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32B27/3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comprising polycarbo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6Forming abrasion-resistant coatings; Forming surface-hardening coat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장식 시트는, 조색층; 및 상기 조색층 상에 구비된 투명층을 포함하고, 상기 조색층은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수지, ASA(acrylate-styrene-acrylonitrile) 수지 및 PMMA(Poly methyl methacrylate) 수지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투명층은 아크릴계 수지 및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투명층의 두께는 0.8mm 이상이다.

Description

장식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DECORATION SHEET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장식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표면 마감재는 가구, 건축물의 내외장재, 자동차용 내외장재, 전자제품의 내외장재 등의 표면을 마무리하는 필름이다. 표면 마감재는 건축물의 내외장재, 가구, 자동차용 내외장재, 전자제품의 내외장재 등에, 그림, 문자, 숫자, 무늬, 입체감 등의 다양한 장식효과를 제공할 수도 있다.
폴리염화비닐(PVC)은 가공성이 우수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소재이다. 그러나 PVC는 염소(Cl) 성분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화재 발생 시에 연기와 독성가스가 다량 발생하여 인명피해가 확산될 우려가 있다. 또한, PVC 제품에는 보통 첨가제를 혼합하여 성형하는데, 그 첨가제 자체가 독성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상술한 PVC의 단점으로 인해,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또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주요 소재로 하는 표면 마감재가 선호되고 있다. 그러나,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적층시트의 층 간 박리를 해결하기 위한 접착제의 확보가 어렵고, 상온에서의 인장시 나타나는 신율과 인장강도의 부족 등으로 인해 PVC 대비 유사 물성의 확보가 어려운 경우가 있다.
또한, 장식 시트는 그림, 문자, 숫자, 무늬 등의 다양한 장식효과를 가진 표면 마감재 역할을 하는 시트를 말하는 것으로서, 제조된 기재 시트를 원하는 모양으로 성형한 후, 이것을 사출기 금형 안에 넣고 뒷면에 용융된 수지를 사출, 고화시킴으로써 원하는 장식 효과를 가진 부품으로 제조하게 된다. 이러한 장식 시트를 이용한 부품의 장식 효과는 사출물에 도장을 하거나 점착 시트를 붙임으로써 만들어내는 장식 부품에 비하여 시트 위에 장식 효과를 구현하기 때문에 구현할 수 있는 장식 효과가 다양하고, 장식 효과를 나타낸 후 성형하기 때문에 부품 형상의 제약이 적은 장점이 있다. 따라서 인서트 성형용 장식시트는 자동차의 내외장재, 가전제품의 케이스, 가구 및 건축물의 내외장재 등에 자주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자동차의 내외장재, 가전제품의 케이스, 가구 및 건축물의 내외장재 등에 표면 마감재로써 장식 시트는 종래에도 많이 사용되었으나, 종래에 사용되던 장식 시트는 제품에 고급스러움을 주기 위하여 두껍고 투명한 유리가 표면층으로 사용되다 보니, 유리를 제외한 나머지 장식 시트를 제품표면에 붙인 후 다시 유리를 붙여야 하기 때문에 그 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비용이 많이 발생하였고, 또한 유리로 이루어진 표면층이 사용과정 중에 박리되어 떨어질 염려도 높기 때문에 안전하지 못한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13101호
본 발명은 장식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유리와 같이 깊이감이 있는 미감을 제공할 수 있고, 내충격성이 개선될 수 있는 장식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는,
조색층; 및 상기 조색층 상에 구비된 투명층을 포함하고,
상기 조색층은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수지, ASA(acrylate-styrene-acrylonitrile) 수지 및 PMMA(Poly methyl methacrylate) 수지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투명층은 아크릴계 수지 및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투명층의 두께는 0.8mm 이상인 것인 장식 시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상태는,
조색층 상에 투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조색층은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수지, ASA(acrylate-styrene-acrylonitrile) 수지 및 PMMA(Poly methyl methacrylate) 수지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투명층은 아크릴계 수지 및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투명층의 두께는 0.8mm 이상인 것인 장식 시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장식 시트는, 두께가 0.8mm 이상인 투명층을 포함함으로써, 유리와 같은 깊이감이 있는 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장식 시트는, 조색층이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수지, ASA(acrylate-styrene-acrylonitrile) 수지 및 PMMA(Poly methyl methacrylate) 수지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함으로써, 장식시트의 내충격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고, 온도 상승시에도 휨 증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장식 시트는, 무광 또는 유광 특성을 가지거나, 표면에 엠보 패턴이 구비된 하드코팅층을 포함함으로써, 다양한 미감을 제공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장식 시트의 적층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장식 시트의 적층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장식 시트의 적층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장식 시트의 적층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종래에 사용되던 장식 시트는 제품에 고급스러움을 주기 위하여 두껍고 투명한 유리가 표면층으로 사용되다 보니, 유리를 제외한 나머지 장식 시트를 제품표면에 붙인 후 다시 유리를 붙여야 하기 때문에 그 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비용이 많이 발생하였고, 또한 유리로 이루어진 표면층이 사용과정 중에 박리되어 떨어질 염려도 높기 때문에 안전하지 못한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유리와 같이 깊이감이 있는 미감을 제공할 수 있고, 내충격성이 개선될 수 있는 장식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장식 시트는, 조색층; 및 상기 조색층 상에 구비된 투명층을 포함하고, 상기 조색층은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수지, ASA(acrylate-styrene-acrylonitrile) 수지 및 PMMA(Poly methyl methacrylate) 수지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투명층은 아크릴계 수지 및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투명층의 두께는 0.8mm 이상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장식 시트를 구성하는 각각의 층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조색층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조색층은 장식 시트에 볼륨과 기계적 물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조색층은 조색층용 조성물을 성형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조색층은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수지, ASA(acrylate-styrene-acrylonitrile) 수지 및 PMMA(Poly methyl methacrylate) 수지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색층이 ABS 수지 또는 ASA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장식 시트의 내충격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색층 및 투명층이 모두 PMMA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조색층 및 투명층이 동종 소재를 포함하므로, 온도 상승에 따른 소재 간 열수축률 차이에 의하여 휨 증상이 발생할 수 있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조색층은 장식 효과를 얻기 위하여, 유기 안료 및 무기 안료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안료 및 무기 안료는 당 기술분야에 알려진 안료를 이용할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유기 안료 및 무기 안료는 흑색이나 백색의 무채색 안료나, 적색, 황색, 청색, 녹색 등의 유채색 안료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색층은 당 기술분야에 알려진 첨가제, 예컨대 UV 안정제, 활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장식 시트는, 조색층이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수지 및 ASA(acrylate-styrene-acrylonitrile) 수지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함으로써, 종래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보다 내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조색층은 장식 효과를 얻기 위하여, 인쇄층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조색층은 베이스층; 및 상기 베이스층 상에 구비된 인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투명층은 인쇄층 상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베이스층은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수지, ASA(acrylate-styrene-acrylonitrile) 수지 및 PMMA(Poly methyl methacrylate) 수지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쇄층은 펄 인쇄층 또는 금속 증착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인쇄층을 금속 증착층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여기에 사용되는 금속을 알루미늄, 구리, 은, 백금, 주석, 크롬 및 니켈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증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인쇄층을 펄 인쇄층이나 금속 증착층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펄감이나 금속 재질감을 부여하는데 효과적이며, 이러한 금속 효과는 일반적인 증착방법이나 스퍼터링과 같은 공법을 통하여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인쇄층은 그 상면에 정보전달을 위한 문자, 그림 등을 인쇄하거나, 나무, 천연석 등의 느낌을 줄 수 있도록 인쇄를 함으로써 다양한 미적효과를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인쇄층의 두께는 0.1㎛ 내지 5㎛ 일 수 있고, 1㎛ 내지 3㎛ 일 수 있다. 상기 인쇄층의 두께범위를 만족하는 경우에 장식 시트에 다양한 외관 및 디자인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조색층의 총두께는 0.2mm 내지 0.6mm 일 수 있고, 0.3mm 내지 0.5mm 일 수 있다. 상기 조색층의 두께가 0.2mm 미만인 경우에는 은폐력 부족으로 MDF와 같은 후면 기재의 색상이 비쳐서 색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색층의 두께가 0.6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불필요한 제조비용이 상승할 수 있고, 무게 및 부피의 증가로 인하여 취급이 어려워질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투명층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투명층은 투명한 재질로 구성하여 고급스러운 장식 효과를 부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투명층을 통하여 조색층이 외부에 시각적으로 노출됨으로써 장식 시트 본연의 효과인 장식 효과를 충분히 구현할 수 있다.
상기 투명층은 아크릴계 수지 및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프로필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헥실아크릴레이트, 옥틸아크릴레이트, 라우릴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헥실메타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부틸메타크릴레이트, 헥실메타크릴레이트, 옥틸메타크릴레이트, 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및 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종래에는, 상기 투명층의 재료로서 비결정성 PET(amorphous polyethyleneterephthalate, APET), 글리콜 변성 PET(glycol modified polyethyleneterephthalate, GPET) 등을 이용하였으나, 상기 APET, GPET 등은 내열성이 약해서 약 70℃ 이상의 온도에서 쉽게 열변형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장식 시트의 휨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투명층은 아크릴계 수지 및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함으로써, 약 70℃ 이상의 온도에서도 열변형되지 않으므로, 종래의 장식 시트의 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 투명층의 두께는 0.8mm 이상일 수 있고, 1mm 이상일 수 있으며, 1.4mm 내지 1.8mm 일 수 있고, 1.5mm 내지 1.7mm 일 수 있다. 상기 투명층의 두께가 0.8mm 미만인 경우에는 유리 같은 깊이감이 부족하여 장식 시트의 고급감이 하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층의 두께가 1.8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조비용이 높아지고 취급성이 떨어져서 효율이 하락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장식 시트는, 두께가 0.8mm 이상인 투명층을 포함함으로써, 유리와 같은 깊이감이 있는 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하드코팅층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장식 시트는, 상기 투명층 상에 하드코팅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드코팅층은 오염성과 긁힘성 및 잔스크래치에 대한 내스크래치성을 개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하드코팅층은 광경화형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고, 상기 광경화형 조성물은 광경화형 우레탄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광경화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하드코팅층의 두께는 6㎛ 내지 12㎛ 일 수 있고, 8㎛ 내지 10㎛ 일 수 있다. 상기 하드코팅층의 두께를 만족하는 경우에 장식 시트의 오염성과 긁힘성 및 잔스크래치에 대한 내스크래치성을 개선하는 효과가 우수하다. 상기 하드코팅층의 두께가 6㎛ 미만인 경우에는 하드코팅층의 경도가 낮아져서 외부 스크래치로부터 시트를 보호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하드코팅층의 최외곽 표면은, 후술하는 하드코팅층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무광 또는 유광 특성을 가지거나, 엠보 패턴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식 시트에 다양한 미감을 제공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장식 시트의 적층구조를 하기 도 1 내지 도 4에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장식 시트는, 하기 도 1과 같이 조색층(10); 및 상기 조색층(10) 상에 구비된 투명층(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기 도 2와 같이, 상기 조색층(10)은 베이스층(30); 및 상기 베이스층(30) 상에 구비된 인쇄층(40)을 포함하고, 상기 투명층(20)은 인쇄층(40) 상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하기 도 3과 같이, 상기 투명층(20) 상에 하드코팅층(5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기 도 4와 같이, 상기 하드코팅층(50)의 표면은 엠보 패턴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장식 시트의 총두께는 1.7mm 내지 2.3mm 일 수 있고, 1.9mm 내지 2.1mm 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장식 시트의 총두께를 만족함으로써, 유리와 같은 깊이감이 있는 미감을 제공할 수 있고, 장식 시트의 내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장식 시트는, 자동차의 내외장재, 가전제품의 케이스, 가구 및 건축물의 내외장재 등에 표면 마감재로써 적용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가구용에 적용될 수 있다.
장식 시트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장식 시트의 제조방법은, 조색층 상에 투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조색층은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수지, ASA(acrylate-styrene-acrylonitrile) 수지 및 PMMA(Poly methyl methacrylate) 수지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투명층은 아크릴계 수지 및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투명층의 두께는 0.8mm 이상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장식 시트의 제조방법은, 조색층 상에 투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조색층 상에 투명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조색층 및 투명층의 공압출 공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조색층 및 투명층의 공압출 공정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한 번에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장식 시트의 제조방법은, 상기 투명층 상에 하드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명층 상에 하드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투명층 상에 하드코팅층용 조성물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하드코팅층용 조성물층 상에 이형 필름을 합지하는 단계; 및 상기 하드코팅층용 조성물층을 경화시킨 후, 상기 이형 필름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층 상에 하드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이형 필름 상에 하드코팅층용 조성물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이형 필름 상에 형성된 하드코팅층용 조성물층을 상기 투명층 상에 전사하는 단계; 및 상기 하드코팅층용 조성물층을 경화시킨 후, 상기 이형 필름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형 필름은 하드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한 기재 필름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당 기술분야에 알려진 이형 필름을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이형 필름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서는, 상기 이형 필름으로서 무광 이형 필름, 유광 이형 필름, 또는 표면에 엠보 패턴이 구비된 이형 필름을 적용함으로써, 상기 하드코팅층에 무광, 유광 또는 표면 엠보 패턴을 특성을 구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유광 하드코팅층/PMMA(1.6mm)/ABS(0.4mm)의 적층구조
공압출 공정을 이용하여 ABS 수지를 포함하는 0.4mm의 조색층과 PMMA 수지를 포함하는 1.6mm의 투명층이 합지된 적층 시트를 제조하였다. 이 때, 공압출 공정시 PMMA 수지는 240℃의 온도 조건에서 압출하였고, ABS 수지는 210℃의 온도 조건에서 압출하였다.
상기 적층 시트의 투명층 위에 다이렉트 코팅방식으로 하드코팅층을 형성하였다. 이 때, 상기 하드코팅층 형성시 몰드 이형필름으로서 유광 이형필름을 이용하여 유광 하드코팅층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2> 유광 하드코팅층/PMMA(1mm)/ABS(0.4mm)의 적층구조
투명층의 두께를 1mm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실시예 3> 유광 하드코팅층/PMMA(1.6mm)/ASA(0.4mm)의 적층구조
공압출 공정을 이용하여 ASA 수지를 포함하는 0.4mm의 조색층과 PMMA 수지를 포함하는 1.6mm의 투명층이 합지된 적층 시트를 제조하였다. 이 때, 공압출 공정시 PMMA 수지는 240℃의 온도 조건에서 압출하였고, ASA 수지는 210℃의 온도 조건에서 압출하였다.
상기 적층 시트의 투명층 위에 다이렉트 코팅방식으로 하드코팅층을 형성하였다. 이 때, 상기 하드코팅층 형성시 몰드 이형필름으로서 유광 이형필름을 이용하여 유광 하드코팅층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4> 유광 하드코팅층/PMMA(1mm)/ASA(0.4mm)의 적층구조
투명층의 두께를 1mm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실시예 5> 무광 하드코팅층/PMMA(1.6mm)/ABS(0.4mm)의 적층구조
하드코팅층 형성시 몰드 이형필름으로서 무광 이형필름을 이용하여 무광 하드코팅층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실시예 6> 엠보 패턴 하드코팅층/PMMA(1.6mm)/ABS(0.4mm)의 적층구조
하드코팅층 형성시 몰드 이형필름으로서 엠보 패턴 이형필름을 이용하여 엠보 패턴 하드코팅층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실시예 7> 유광 하드코팅층/PMMA(1.6mm)/PMMA(0.4mm)의 적층구조
조색층에서 ABS 수지 대신에 PMMA 수지를 적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비교예 1> 유광 하드코팅층/PMMA(0.7mm)/ABS(0.4mm)의 적층구조
투명층의 두께를 0.7mm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7의 장식 시트는, 두께가 0.8mm 이상인 투명층을 포함함으로써, 비교예 1의 장식 시트 대비하여 유리와 같은 깊이감이 있는 미감을 제공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장식 시트는, 무광 또는 유광 특성을 가지거나, 표면에 엠보 패턴이 구비된 하드코팅층을 포함함으로써, 다양한 미감을 제공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10: 조색층
20: 투명층
30: 베이스층
40: 인쇄층
50: 하드코팅층

Claims (14)

  1. 조색층; 및 상기 조색층 상에 구비된 투명층을 포함하고,
    상기 조색층은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수지, ASA(acrylate-styrene-acrylonitrile) 수지 및 PMMA(Poly methyl methacrylate) 수지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투명층은 아크릴계 수지 및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투명층의 두께는 0.8mm 이상인 것인 장식 시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명층의 두께는 1mm 이상인 것인 장식 시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색층의 두께는 0.2mm 내지 0.6mm인 것인 장식 시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색층은 베이스층; 및 상기 베이스층 상에 구비된 인쇄층을 포함하고,
    상기 투명층은 상기 인쇄층 상에 구비되는 것인 장식 시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색층은 유기 안료 및 무기 안료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장식 시트.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명층 상에 하드코팅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장식 시트.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하드코팅층의 두께는 6㎛ 내지 12㎛인 것인 장식 시트.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하드코팅층의 최외곽 표면은 엠보 패턴 형태를 포함하는 것인 장식 시트.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식 시트는 가구의 표면 마감재인 것인 장식 시트.
  10. 조색층 상에 투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조색층은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수지, ASA(acrylate-styrene-acrylonitrile) 수지 및 PMMA(Poly methyl methacrylate) 수지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투명층은 아크릴계 수지 및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투명층의 두께는 0.8mm 이상인 것인 장식 시트의 제조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조색층 상에 투명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조색층 및 투명층의 공압출 공정을 이용하는 것인 장식 시트의 제조방법.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투명층 상에 하드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장식 시트의 제조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투명층 상에 하드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투명층 상에 하드코팅층용 조성물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하드코팅층용 조성물층 상에 이형 필름을 합지하는 단계; 및 상기 하드코팅층용 조성물층을 경화시킨 후, 상기 이형 필름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장식 시트의 제조방법.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투명층 상에 하드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이형 필름 상에 하드코팅층용 조성물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이형 필름 상에 형성된 하드코팅층용 조성물층을 상기 투명층 상에 전사하는 단계; 및 상기 하드코팅층용 조성물층을 경화시킨 후, 상기 이형 필름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장식 시트의 제조방법.
KR1020210183698A 2021-12-21 2021-12-21 장식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944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3698A KR20230094486A (ko) 2021-12-21 2021-12-21 장식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3698A KR20230094486A (ko) 2021-12-21 2021-12-21 장식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4486A true KR20230094486A (ko) 2023-06-28

Family

ID=86994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3698A KR20230094486A (ko) 2021-12-21 2021-12-21 장식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448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3101A (ko) 2010-04-08 2011-10-14 (주)엘지하우시스 성형가공 후에도 높은 광택을 가지는 성형용 적층시트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3101A (ko) 2010-04-08 2011-10-14 (주)엘지하우시스 성형가공 후에도 높은 광택을 가지는 성형용 적층시트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3369B1 (ko) 화장 시트, 및 이것을 사용한 화장 부재
JP6481315B2 (ja) 加飾シート
CN114734705A (zh) 装饰性膜以及与其整合的制品
KR101068277B1 (ko) 인사이드 헤어라인 인서트 시트 및 그 제조방법
CN109321033B (zh) 油墨组合物及利用其的室内装饰薄膜
KR101557539B1 (ko) 금속 외관 효과를 구현한 인테리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JP2008087303A (ja) インサート成形用加飾シート
CN101856892A (zh) 贴附薄膜
WO2008018715A1 (en) High glossy sheet having aluminum foil
KR20230094486A (ko) 장식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JP5655289B2 (ja) 化粧シート
JP2005059581A (ja) 化粧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化粧材並びに化粧材の製造方法
JP5016577B2 (ja) 化粧金属板の製造方法
KR101439590B1 (ko) 금속외관 효과를 구현하는 인테리어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4299384A (ja) 保護シート付き加飾シートおよび加飾成形品の製造方法
JP2000094596A (ja) 化粧シート
KR20230094494A (ko) 장식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JP7225635B2 (ja) 化粧材
JP2010234710A (ja) 扉部材の製造方法
KR100913476B1 (ko) 입체감이 우수한 엠보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72909A (ko) 인테리어 필름
KR20080077844A (ko) 난연성 및 내후성이 우수한 장식용 합성수지 적층 시트, 및그 제조 방법
KR20140056209A (ko) 금속외관 효과를 구현하는 인테리어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JP4043833B2 (ja) パネル
JP2678835B2 (ja) 塩化ビニル化粧金属板とその製造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