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3450A - 스티어링 휠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스티어링 휠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3450A
KR20230093450A KR1020237016353A KR20237016353A KR20230093450A KR 20230093450 A KR20230093450 A KR 20230093450A KR 1020237016353 A KR1020237016353 A KR 1020237016353A KR 20237016353 A KR20237016353 A KR 20237016353A KR 20230093450 A KR20230093450 A KR 202300934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body pillar
spring
pin
holding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6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근 김
구루다트 채타라키.
마루두 판디
Original Assignee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filed Critical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ublication of KR20230093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34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 B60R21/203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using modules containing inflator, bag and cover attachable to the steering wheel as a complete sub-unit
    • B60R21/203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using modules containing inflator, bag and cover attachable to the steering wheel as a complete sub-unit the module or a major component thereof being yieldably mounted, e.g. for actuating the horn switch or for protecting the driver in a non-deployment sit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22Arrangements for reducing or eliminating reaction, e.g. vibration, from parts, e.g. wheels, of the steering system
    • B62D7/222Arrangements for reducing or eliminating reaction, e.g. vibration, from parts, e.g. wheels, of the steering system acting on the steering whe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1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 F16B21/16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with grooves or notches in the pin or shaft
    • F16B21/18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with grooves or notches in the pin or shaft with circlips or like resilient retaining devices, i.e. resilient in the plane of the ring or the like; Details
    • F16B21/186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with grooves or notches in the pin or shaft with circlips or like resilient retaining devices, i.e. resilient in the plane of the ring or the like; Details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F16B5/0607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 F16B5/0621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 F16B5/0664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at least one of the sheets or plates having integrally formed or integrally connected snap-in-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83Steering input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 Bags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보유 지지 스프링에 대한 진동 영향을 저감할 수 있고 그 설치성에도 배려한 스티어링 휠이 개시된다.
보유 지지 스프링(52)은 에어백 모듈(3)이 심금(2)에 설치되도록 설치 구멍(24) 내에 위치하여 에어백 모듈(3)의 핀(41)을 걸림 고정하는 핀 걸림 고정부(72)를 가진다. 심금(2)의 베이스부(21)에는 보유 지지 스프링(52)이 설치되는 스프링 장착부(90)가 설치된다. 스프링 장착부(90)는 베이스부(21)의 베이스면(21b)으로부터 융기한 본체 기둥부(91)와, 기단측이 본체 기둥부(91)에 연속하여 본체 기둥부(91)로부터 연장 돌출된 연출부(92)를 가진다. 보유 지지 스프링(52)의 설치부(71)는 베이스면(21b)과 연출부(92) 사이에 위치하여 본체 기둥부(91)를 사이에 두도록 하여 설치된다. 연출부(92)는 설치부(71)에 대하여 보유 지지 스프링(52)의 빠짐 방지를 구성하고 연출부(92)의 선단측은 베이스부(21)에 비연결로 된다.

Description

스티어링 휠 및 그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스티어링 휠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 탑재되는 스티어링 휠로서 스냅 피팅 기구 등의 원터치 설치 기구에 의해 에어백 모듈을 스티어링 휠의 심금에 설치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및 2 참조). 이 종류의 구조에서는 에어백 모듈에 핀을 설치하는 한편 심금에 보유 지지 스프링(와이어 형상의 스프링)을 설치해 둔다. 그리고 에어백 모듈의 핀을 심금의 핀 구멍에 삽입하고 보유 지지 스프링에 걸림 고정시키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서는 심금의 베이스부에 볼록단부(段部)를 형성하고, 볼록단부에 스프링 삽통구멍을 뚫고, 스프링 삽통구멍에 보유 지지 스프링을 삽입하여 보유 지지 스프링의 길이 방향의 중간부에서 에어백 모듈의 핀을 걸림 고정하고 있다. 보유 지지 스프링의 길이 방향의 양측은 스프링 삽통구멍으로부터 돌출하고 있으며 이 돌출한 부분이 리브나 돌기 등에 걸림으로써 보유 지지 스프링이 스프링 삽통구멍에 보유 지지되게 되어 있다(동일 문헌 단락 0047 참조).
특허문헌 1: 일본특허공개2007-50876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특허공개2010-69934호 공보
그런데 차량의 주행 중 등에 있어서는 스티어링 휠에 차량으로부터의 진동이 전해진다. 이 점에서, 특허문헌 1에서는 스프링 삽통구멍에 있어서의 보유 지지 스프링의 보유 지지 형태에 의해서는 차량으로부터의 진동을 받기 쉬워질 우려가 있다. 또한 보유 지지 스프링의 설치가 복잡해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보유 지지 스프링에의 진동 영향을 저감할 수 있고 그 설치성에도 배려한 스티어링 휠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형태에 관한 스티어링 휠은 보스부 및 설치 구멍을 가지는 베이스부와, 림부와, 보스부 또는 베이스부와 림부를 연결하는 스포크부를 구비한 심금과, 설치 구멍 내에 삽입되는 핀을 가지는 에어백 모듈과, 베이스부에 설치되는 설치부와, 에어백 모듈이 심금에 설치되도록 설치 구멍 내에 위치하여 핀을 걸림 고정하는 핀 걸림 고정부를 가지는 보유 지지 스프링을 구비하고, 베이스부에는 보유 지지 스프링이 설치되는 스프링 장착부가 설치되고, 스프링 장착부는 베이스부의 베이스면으로부터 융기한 본체 기둥부와, 기단측이 본체 기둥부와 연속하고 본체 기둥부로부터 연장 돌출된 연출부를 가지고, 보유 지지 스프링의 설치부는 베이스면과 연출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본체 기둥부를 사이에 두도록 하여 설치되며, 연출부는 설치부에 대하여 보유 지지 스프링의 빠짐 방지를 구성하고 연출부의 선단측은 베이스부에 비연결로 되어 있다.
이 형태에 의하면 에어백 모듈이 심금에 설치된 상태에서는 에어백 모듈의 핀이 심금의 설치 구멍 내에 위치하고 보유 지지 스프링의 핀 걸림 고정부에 걸림 고정된다. 보유 지지 스프링은 그 설치부를 개재하여 심금의 베이스부의 스프링 장착부에 빠짐 방지 상태로 설치할 수 있다. 이 빠짐 방지를 구성하는 스프링 장착부의 연출부의 선단측을 베이스부에 대하여 비연결로 하고 있기 때문에 연출부의 선단측에는 베이스부로부터의 진동이 직접적으로 입력되지 않는다. 따라서 빠짐 방지를 위한 부분(연출부)을 개재한 보유 지지 스프링에 대한 진동 영향을 저감할 수 있다. 더욱이 이와 같은 비연결에 의해 연출부의 선단측과 베이스부 사이에는 틈새가 생기기 때문에 심금의 베이스부의 경량화에 기여 가능함과 함께 보유 지지 스프링의 설치성의 향상에도 기여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보유 지지 스프링을 설치할 시에 상기 틈새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형태에 있어서는, 연출부는 본체 기둥부의 제1 측에 연장 돌출된 제1 부분과, 제1 측과는 반대측의 본체 기둥부의 제2 측에 연장 돌출된 제2 부분을 가지고,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의 각 선단측이 베이스부에 비연결로 되어 있어도 된다.
이 형태에 의하면 본체 기둥부의 양측(제1 측 및 제2 측)에 보유 지지 스프링의 빠짐 방지를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진동 영향의 저감을 도모하면서 보유 지지 스프링의 빠짐 방지를 향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형태에 있어서는 본체 기둥부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제1 부분의 선단측과 제2 부분의 선단측 사이의 거리는 동일한 방향에 있어서의 설치부의 최대 폭보다도 커도 된다. 또한 다른 형태에 있어서는 제1 부분의 선단측 및 제2 부분의 선단측은 각각 본체 기둥부로부터 보아 설치부보다도 외측에 위치해도 된다.
이와 같은 형태에 의하면 연출부의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 대하여 보유 지지 스프링의 설치부가 대향하고 빠짐 방지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형태에 있어서는 제1 부분의 선단측과 이 제1 부분 선단측이 비연결 상태로 대향하는 베이스부 사이의 틈새, 및 제2 부분의 선단측과 이 제2 부분의 선단측이 비연결 상태로 대향하는 베이스부 사이의 틈새는 각각 보유 지지 스프링의 선지름보다도 커도 된다.
이 형태에 의하면 보유 지지 스프링의 설치 시에 보유 지지 스프링을 양쪽 또는 한쪽의 틈새를 통과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보유 지지 스프링의 설치성을 향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형태에 있어서는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의 적어도 하나는 본체 기둥부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어도 된다.
이 형태에 의하면 본체 기둥부를 사이에 두도록 하여 설치된 보유 지지 스프링의 설치부에 대하여 본체 기둥부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빠짐 방지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빠짐 방지를 향상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본체 기둥부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오프셋되어 있어도 된다.
이 형태에 의하면 본체 기둥부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단 차이를 이루도록 연출부의 제1 부분과 제2 부분에 의해 빠짐 방지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빠짐 방지를 더욱 향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형태에 있어서는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사이즈 및 길이의 적어도 하나가 서로 상이한 것이어도 된다.
이 형태에 의하면 연출부의 각 부의 설계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형태에 있어서는 베이스부는 제1 부분의 선단측 및 제2 부분의 선단측과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개구부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이 형태에 의하면 베이스부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형태에 있어서는, 보유 지지 스프링은 직선적으로 연장하는 직선부를 가지고 설치부는 일단부가 직선부와 이어지는 U자 형상부를 가지고 핀 걸림 고정부는 직선부의 일부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보유 지지 스프링의 설치부는 U자 형상부의 타단으로부터 직선부에 가까운 방향으로 연장하고 또한 그 다음 직선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완곡부를 더 가지며, 본체 기둥부는 완곡부를 받도록 완곡한 측부를 가져도 된다.
이 형태에 의하면 보유 지지 스프링의 완곡부를 본체 기둥부의 측부에서 받기 때문에 스프링 장착부에 있어서의 보유 지지 스프링의 설치가 강화된다.
본 발명의 일형태에 있어서는 스티어링 휠은 설치 구멍에 설치되는 보유 지지 부재를 더 가지고, 보유 지지 부재는 설치 구멍 내에 배치되고 핀이 삽입되는 통부와 통부에 형성된 노치부를 가지고, 핀 걸림 고정부는 노치부를 개재하여 통부 내에 배치되고 핀을 걸림 고정해도 된다.
본 발명의 일형태에 관한 스티어링 휠의 제조 방법은 보스부, 설치 구멍 및 스프링 장착부를 가지는 베이스부와, 림부와, 보스부 또는 베이스부와 림부를 연결하는 스포크부를 구비한 심금이며, 스프링 장착부가 베이스부의 베이스면으로부터 융기한 본체 기둥부와, 기단측이 본체 기둥부와 연속하고 본체 기둥부로부터 연장 돌출된 연출부를 가지고, 연출부의 선단측이 베이스부에 비연결로 되어 있는, 해당 심금의 뒤측에 백커버를 수지 재료에 의해 성형하는 공정과, 백커버가 성형된 심금의 뒤측에 보유 지지 스프링을 설치하는 공정으로서, 보유 지지 스프링의 설치부를 베이스면과 연출부 사이에 위치시키고 스프링 장착부의 본체 기둥부를 사이에 두도록 하여 설치하고, 연출부에 의해 설치부에 대하여 보유 지지 스프링의 빠짐 방지를 구성함과 함께 보유 지지 스프링의 핀 걸림 고정부를 설치 구멍 내에 위치시키는 공정과, 심금의 앞측에 에어백 모듈을 설치하는 공정으로서, 에어백 모듈에 설치한 핀을 설치 구멍 내에 삽입하여 보유 지지 스프링의 핀 걸림 고정부에 걸림 고정시키는 공정을 포함한다.
이 형태에 의하면 상기 마찬가지로 제조된 스티어링 휠에 있어
서는 보유 지지 스프링의 빠짐 방지를 구성하는 연출부의 선단측을 베이스부에 대하여 비연결로 하고 있기 때문에 빠짐 방지를 위한 부분을 개재한 보유 지지 스프링에 대한 진동 영향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비연결에 의해 발생하는 틈새에 의해 심금의 베이스부의 경량화와 보유 지지 스프링의 설치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특히 백커버의 성형 후에 보유 지지 스프링을 설치할 수 있게 되고 스티어링 휠의 제조 프로세스 상에서도 유리해진다.
도 1은 실시형태에 관한 스티어링 휠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에 관한 스티어링 휠에 대하여 에어백 모듈을 생략하여 심금 및 백커버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에 관한 스티어링 휠의 에어백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에 관한 스티어링 휠의 심금을 뒤측으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바닥면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에 관한 스티어링 휠의 심금을 뒤측으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에서 백커버를 생략한 도이다.
도 7은 실시형태에 관한 스티어링 휠의 심금을 뒤측으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에서 에어백 모듈을 생략한 도이다.
도 8은 (A)는 경사진 하측으로부터 본 보유 지지 부재의 사시도이고 (B)는 경사진 상방으로부터 본 보유 지지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보유 지지 스프링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A)는 스프링 장착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 5의 확대도이고 (B)는 (A)의 B-B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실시형태에 관한 스티어링 휠의 백커버를 뒤측으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실시형태에 관한 스티어링 휠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3은 보유 지지 스프링을 심금의 뒤측에 설치하는 공정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이다.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관한 스티어링 휠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티어링 휠은 자동차 등의 차량 운전석측에 배치되는 것이며 여러 기능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스티어링 휠은 차량의 조타 장치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티어링 휠은 일반적으로 경사진 상태에서 차체에 구비되는 스티어링 샤프트의 상단부에 장착된다. 운전석으로부터의 조타력이 스티어링 휠로부터 스티어링 샤프트에 전달되고 스티어링 기어 등을 개재하여 차륜에 전달되고 차륜의 방향이 변경된다.
또한 스티어링 휠은 차량 긴급 시의 프론트 에어백으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차량 긴급 시란 예를 들어 차량 충돌이 발생한 때를 말한다. 프론트 에어백으로서의 기능은 주로 스티어링 휠의 심금에 설치된 에어백 모듈에 의해 달성된다. 이들 기능에 더하여 스티어링 휠은 경적 장치로서의 기능, 차량으로부터 스티어링 휠에 대한 진동을 감쇄하는 동적 댐퍼로서의 기능 등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동적 댐퍼로서의 기능은 예를 들어 에어백 모듈과 심금 사이에 설치된 댐퍼 유닛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XYZ의 세 축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스티어링 샤프트의 축 방향을 'Z축 방향’으로 하고 Z축 방향과 직교하는 평면에 있어서 아날로그 12시간 시계의 9시와 3시를 연결하는 방향을 'X축 방향’으로 하고 또한 이 시계의 12시와 6시를 연결하는 방향을 'Y축 방향’으로 한다. X축 방향은 스티어링 휠 또는 차량의 폭 방향에 상당하는 방향일 수 있다. 또한 X축 및 Y축에 의해 구성되는 평면을 'XY면’이라고 부른다. Z축 방향에 있어서 Z축 제1 방향은 스티어링 샤프트의 하단부측을 향하고 Z축 제2 방향은 스티어링 샤프트의 상단부측(운전자측)을 향하고 있다. 또한 Z축 제1 방향은 심금의 뒤측을 향하고 Z축 제2 방향은 심금의 앞측을 향하고 있다.
도 1 및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티어링 휠(1)은 심금(2) 및 에어백 모듈(3)을 가지고 있다. 에어백 모듈(3)은 심금(2)의 앞측의 중앙에 설치되어 있다. 심금(2)의 뒤측에는 백커버(4)가 설치되어 있다.
심금(2)은 스티어링 휠(1)의 골격 부분을 구성하고 스티어링 휠(1)의 형상을 형성한다. 심금(2)은 중앙의 보스부(20)를 가지는 베이스부(21)와, 운전자가 파지하는 원형 고리 형상의 림부(22)와, 보스부(20) 또는 베이스부(21)와 림부(22)를 연결하는 스포크부(23)를 가진다. 보스부(20)는 스티어링 샤프트에 연결된다. 베이스부(21)는 중앙에 보스부(20)를 포함하는 부분이고 보스부(20)의 주변부에 에어백 모듈(3)을 설치하기 위한 여러 개(여기에서는 3개)의 설치 구멍(24, 24, 24)을 가지고 있다. 각 설치 구멍(24)은 베이스부(21)를 관통하고 있다. 스포크부(23)는 여기에서는 3개이고 베이스부(21)로부터 세 방향으로 연장 돌출하여 스티어링 휠(1)의 외주의 림부(22)에 연결되어 있다.
심금(2)은 예를 들어 철, 알루미늄, 마그네슘 등 금속 및 수지 등에 의해 성형된다. 심금(2)에는 그 일부 또는 전부를 덮도록 예를 들어 발포 폴리우레탄 수지 등의 연질 합성 수지 피복 층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층은 여러 층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심금(2)의 외측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절연층으로서의 우레탄층과, 스티어링 휠(1)을 따스하게하는 히터 기능을 위한 히터 전극층과, 절연층으로서의 표피층과, 운전자에 의한 스티어링 휠(1)의 파지를 검지하기 위한 센서 전극층을 설치해도 된다.
백커버(4)는 심금(2)의 뒤측으로부터 심금(2)의 일부를 감추고 있다. 예를 들어 백커버(4)는 심금(2)의 보스부(20) 및 스포크부(23)가 외부(운전자)로부터 보이지 않도록 심금(2)의 뒤측에 있어서 보스부(20) 및 스포크부(23)의 주변부를 덮고 있다. 백커버(4)는 수지 재료에 의해 성형된다. 예를 들어 백커버(4)는 우레탄에 의해 성형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백커버(4)는 심금(2)의 뒤측에 일체 성형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어백 모듈(3)은 접힌 에어백 쿠션을 수용하는 리테이너(31)와, 리테이너(31)에 지지된 인플레이터(32)와, 접힌 에어백 쿠션 및 인플레이터(32)를 운전수측으로부터 덮는 모듈 커버(33)를 가지고 있다.
리테이너(31), 인플레이터(32) 및 모듈 커버(33)는 공지된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테이너(31)는 XY면을 따른 바닥면(35)의 중앙에 인플레이터(32)를 설치함과 함께 바닥면(35)으로부터 일어나는 둘레벽에, 고정구에 의해 모듈 커버(33)를 설치할 수 있다. 인플레이터(32)는 가스 분출 구멍을 가지는 낮은 높이의 중공 원반체를 가진다. 모듈 커버(33)는 경적을 울릴 때에 운전자가 누르는 경적 스위치로서 기능할 수 있다. 차량 긴급 시 인플레이터(32)가 차량 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작동하고 에어백 쿠션에 가스를 공급한다. 가스의 공급을 받은 에어백 쿠션은 급속하게 팽창하여 모듈 커버(33)를 파열시키고 차실 공간의 운전자측을 향하여 팽창하여 운전자를 구속한다.
에어백 모듈(3)은 여러 개(여기서는 3개)의 핀(41, 41, 41)을 가지고 있다. 핀(41)은 에어백 모듈(3)과 심금(2)을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3개의 핀(41)은 심금(2)의 3개의 설치 구멍(24)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3개의 핀(41)은 에어백 모듈(3)을 Z축 방향과 직교하는 평면에 있어서 아날로그 12시간 시계에서 보았을 경우에 3시, 6시 및 9시의 방향에 배치된다. 핀(41)은 리테이너(31)의 바닥면(35)으로부터 Z축 제1 방향(심금(2)측)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심금(2)의 설치 구멍(24)에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핀(41)의 선단부에는 핀(41)의 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걸림 고정 홈(42)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 고정 홈(42)은 핀(41)의 원주 방향에 걸쳐서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걸림 고정 홈(42)은 에어백 모듈(3)을 심금(2)에 설치할 시에 후술하는 보유 지지 스프링(52)(도 4 참조)에 의해 걸림 고정된다.
핀(41)의 기단부측에는 핀(41)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하여 코일 스프링(44)이 설치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44)은 일단측이 리테이너(31)의 바닥면(35)에 보유 지지되고 타단측이 자유단으로 되어 있다. 에어백 모듈(3)이 심금(2)에 설치될 시에 코일 스프링(44)의 타단측이 심금(2)의 베이스부(21)에 접촉하고 리테이너(31)가 코일 스프링(44)에 의해 베이스부(21)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가압된다.
이 설치 상태에서는 에어백 모듈(3)은 코일 스프링(44)에 의해 심금(2)에 대하여 상대 변위 가능(특히 Z축 방향으로 진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코일 스프링(44)은 차체로부터의 심금(2)의 진동을 에어백 모듈(3)에 전해지는 댐퍼 유닛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코일 스프링(44)은 모듈 커버(33)가 경적 스위치로서 기능하는 경우에도 유리하게 기능한다. 예를 들어 모듈 커버(33)가 운전자에 의해 Z축 제1 방향으로 눌리면 에어백 모듈(3)은 코일 스프링(44)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베이스부(21)에 가까워진다. 이때 에어백 모듈(3) 및 베이스부(21)의 각각에 설치한 접점을 전기적으로 도통(導通)시키고 경적을 울릴 수 있다.
도 4~7은 심금(2)을 뒤측으로부터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도 4로부터 백커버(4)를 생략한 도이며, 도 7은 도 6으로부터 에어백 모듈(3)을 생략한 도이다. 도 4~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심금(2)의 베이스부(21)의 설치 구멍(24, 24, 24)에는 각각 보유 지지 부재(51, 51, 5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3개의 설치 구멍(24, 24, 24)의 근방에는 각각 보유 지지 스프링(52, 52, 52)이 설치되어 있다. 에어백 모듈(3)의 설치 시에 에어백 모듈(3)의 각 핀(41)이, 대응하는 보유 지지 부재(51)의 내부에 삽입되고 핀(41)의 걸림 고정 홈(42)이 보유 지지 스프링(52)에 걸림 고정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유 지지 부재(51)는 통부(61)와, 통부(61)에 형성된 노치부(62)를 가지고 있다. 또한 보유 지지 부재(51)는 통부(61)의 일단측의 외주면으로부터 링 형상으로 돌출하는 플랜지부(63)를 가지고 있다. 보유 지지 부재(51)는 예를 들어 합성 수지 등에 의해 성형된 칼라(collar)로서 기능하고 에어백 모듈(3)의 핀(41)과 심금(2)의 설치 구멍(24)의 상대적인 위치 또는 간격을 보유 지지한다.
통부(61)는 설치 구멍(24) 내에 배치된다. 통부(61)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 핀(41)을 삽입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노치부(62)는 통부(61)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도록 통부(61)의 축 방향 도중을 노치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노치부(62)는 통부(61)의 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통부(61)의 대략 반절까지 노치되어 있으며 통부(61)의 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통부(61)의 내부를 외부에 연통시키고 있다. 플랜지부(63)는 설치 구멍(24)의 개구 가장자리에 당접된다(참조: 도 10(B)). 구체적으로는 플랜지부(63)는 심금(2)의 앞측에 있어서 베이스부(21)의 표면(21a)에 당접하고 보유 지지 부재(51)가 설치 구멍(24)으로부터 심금(2)의 뒤측으로 누락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유 지지 스프링(52)은 예를 들어 금속 등의 선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며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보유 지지 스프링(52)은 심금(2)의 베이스부(21)에 설치되는 설치부(71)와 에어백 모듈(3)의 핀(41)을 걸림 고정하는 핀 걸림 고정부(72)를 가지고 있다. 설치부(71)는 대략 U자 형상 부분(82)을 가지고 핀 걸림 고정부(72)는 직선 형상의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보유 지지 스프링(52)은 직선적으로 연장하는 직선부(81)를 가지고 있다. 설치부(71)는 일단이 직선부(81)에 연결되는 대략 U자 형상 부분(82)과 대략 U자 형상 부분(82)의 타단으로부터 연장하는 완곡부(73)를 가지고 있다. 직선부(81)는 선단측에, 완곡부(7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약간 경사진 경사부(84)를 가지고 있다. 직선부(81)의 일부가 핀 걸림 고정부(72)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핀 걸림 고정부(72)는 직선부(81)의 경사부(84)와 설치부(71) 사이의 일부로 이루어져 있다.
설치부(71)의 대략 U자 형상 부분(82)은 직선부(81)의 연장 상의 제1 암부(82a)와, 제1 암부(82a)와 대향하는 제2 암부(82b)와, 제1 암부(82a)와 제2 암부(82b)를 연결하는 연결부(82c)를 가지고 있다. 제2 암부(82b)는 외측을 향하여 완곡하고 있다. 제1 암부(82a)와 제2 암부(82b)는 서로 분리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완곡부(73)는 제2 암부(82b)의 단부로부터 직선부(81)에 가까운 방향으로 연장하고 또한 그 다음 직선부(8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즉, 완곡부(73)는 제2 암부(82b)와는 반대로 내측 방향으로 완곡하고 있다.
핀 걸림 고정부(72)는 에어백 모듈(3)의 핀(41)의 걸림 고정 홈(42)에 걸림 고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핀 걸림 고정부(72)는 보유 지지 부재(51)의 노치부(62)를 개재하여 보유 지지 부재(51)의 통부(61) 내에 위치되고 핀(41)을 걸림 고정한다. 걸림 고정한 상태에서는 핀 걸림 고정부(72)에는 복원력이 작용하여 핀(41)이 빠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걸림 고정 상태에서는 핀 걸림 고정부(72)는 걸림 고정 홈(42)에 의해 외측 방향으로 눌리도록 된다. 이때 핀 걸림 고정부(72)를 도중에 가지는 직선부(81)가 대략 U자 형상 부분(82)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핀 걸림 고정부(72)에는 복원력이 작용한다. 이와 같이 핀 걸림 고정부(72)가 걸림 고정 홈(42)에 걸림 고정되여 에어백 모듈(3)이 심금(2)에 설치된다.
이어서 도 10을 참조하여 보유 지지 스프링(52)이 설치되는 스프링 장착부(90)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프링 장착부(90)는 심금(2)의 베이스부(21)에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프링 장착부(90)는 각 설치 구멍(24)의 근방에 있어서 베이스부(21)의 뒤측에 형성되어 있다(참조: 도 7).
스프링 장착부(90)는 베이스부(21)의 베이스면(21b)으로부터 융기한 본체 기둥부(91)와, 본체 기둥부(91)로부터 연장 돌출된 연출부(92)를 가지고 있다. 베이스면(21b)은 베이스부(21)의 뒷면을 구성하고 있으며 베이스면(21b)보다도 Z축 제1 방향에 본체 기둥부(91)나 보스부(20)가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참조: 도 7).
본체 기둥부(91)에는 그 선단측이 끼워지도록 하여 보유 지지 스프링(52)의 설치부(71)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본체 기둥부(91)의 선단면(91a)에 설치부(71)의 연결부(82c)가 접촉하고 또한 본체 기둥부(91)의 선단측의 양측면에 설치부(71)의 제1 암부(82a) 및 제2 암부(82b)가 각각 접촉 또는 대향하여, 본체 기둥부(91)의 선단측에 대략 U자 형상 부분(82)이 설치된다.
또한 본체 기둥부(91)는 설치부(71)의 완곡부(73)를 받도록 완곡한 측부(91d)와 측부(91d)와는 반대측의 직선적인 측부(91e)를 가지고 있다. 측부(91d)는 측부(91e)를 향하도록 내측 방향으로 완곡하고 있다. 본체 기둥부(91)의 선단측에 대략 U자 형상 부분(82)이 설치된 상태에서는 측부(91d)에 완곡부(73)가 접촉하고 또한 측부(91e)에 직선부(81)의 일부가 접촉 또는 대향하게 된다. 이때 완곡부(73)가 측부(91d)에 의해 외측 방향으로 눌리고 완곡부(73)에 복원력이 작용하고 완곡부(73)가 측부(91d)에 압압된다. 이에 따라 보유 지지 스프링(52)이 본체 기둥부(91)의 길이 방향으로 빠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완곡부(73)나 완곡한 측부(91d)를 설치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치부(71)가 대략 U자 형상 부분(82)을 이용하여 본체 기둥부(91)의 길이 방향으로 빠지지 않도록 본체 기둥부(91)에 설치되도록 해도 된다.
연출부(92)는 기단측이 본체 기둥부(91)에 연속하고 있음과 함께 선단측이 베이스부(21)에 대하여 비연결로 되어 있다. 여기서는, 연출부(92)는 본체 기둥부(91)의 선단측에 있어서 본체 기둥부(91)의 양측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연출부(92)는 본체 기둥부(91)의 제1 측에 연장 돌출된 제1 부분(101)과, 제1 측과는 반대측의 본체 기둥부(91)의 제2 측으로 연장 돌출된 제2 부분(102)을 가지고, 제1 부분(101) 및 제2 부분(102)의 선단측이 베이스부(21)에 비연결로 되어 있다.
제1 부분(101) 및 제2 부분(102)은 본체 기둥부(91)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다. 또한 제1 부분(101)과 제2 부분(102)은 본체 기둥부(91)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오프셋되어 있다. 여기서는 제1 부분(101) 쪽이 제2 부분(102)보다도 본체 기둥부(91)의 선단측에 위치하고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부분(101) 및 제2 부분(102)의 한쪽 또는 양쪽을 본체 기둥부(91)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이외에 연장 돌출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1 부분(101) 및 제2 부분(102)의 한쪽을 생략하고 본체 기둥부(91)의 한쪽으로부터만 연장 돌출하는 연출부(92)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부분(101) 및 제2 부분(102)은 본체 기둥부(91)의 높이 방향의 일부로부터 연장 돌출되어 있으며 제1 부분(101) 및 제2 부분(102)과 베이스부(21)의 베이스면(21b) 사이에는 보유 지지 스프링(52)을 위한 공간이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1 부분(101) 및 제2 부분(102)은 본체 기둥부(91)에 있어서의 Z축 제1 방향의 부위로부터 베이스면(21b)과 평행하게 연장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부분(101) 및 제2 부분(102)의 각 하면과 베이스면(21b) 사이에는 보유 지지 스프링(52)의 설치부(71)를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한 틈새가 구성되어 있다.
제1 부분(101) 및 제2 부분(102)은 설치부(71)에 대하여 보유 지지 스프링(52)의 빠짐 방지를 구성한다. 예를 들어 제1 부분(101)은 설치부(71)의 제1 암부(82a)의 하측(Z축 제1 방향)에 위치하고 제1 암부(82a)에 접촉하여 보유 지지 스프링(52)의 빠짐 방지를 구성한다. 마찬가지로 제2 부분(102)은 설치부(71)의 제2 암부(82b)의 하측(Z축 제1 방향)에 위치하고 제2 암부(82b)에 접촉하여 보유 지지 스프링(52)의 빠짐 방지를 구성한다.
이와 같은 빠짐 방지를 구성하기 위하여 제1 부분(101) 및 제2 부분(102)의 형상, 사이즈 또는 치수 등이 고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본체 기둥부(91)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제1 부분(101)의 선단측과 제2 부분(102)의 선단측 사이의 거리는 동일한 방향에 있어서의 설치부(71)의 최대 폭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설치부(71)의 최대 폭은 여기서는 제1 암부(82a)와 제2 암부(82b)의 가장 외측에 완곡한 부위 사이의 거리로 되어 있다. 또한 다른 관점에서는 제1 부분(101)의 선단측 및 제2 부분(102)의 선단측은 각각 본체 기둥부(91)로부터 보아 설치부(71)보다도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제1 부분(101)의 선단측과 이 제1 부분(101)의 선단측이 비연결 상태로 대향하는 베이스부(21) 사이의 틈새, 및 제2 부분(102)의 선단측과 이 제2 부분(102)의 선단측이 비연결 상태로 대향하는 베이스부(21) 사이의 틈새는 각각 보유 지지 스프링(52)의 선지름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1 부분(101)의 선단측은 보유 지지 스프링(52)의 선지름보다도 베이스부(21)에 있어서의 부위로부터 떨어져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부분(102)의 선단측은 보유 지지 스프링(52)의 선지름보다도 베이스부(21)에 있어서의 부위로부터 떨어져 있다. 이와 같은 치수 설정으로 함으로써 보유 지지 스프링(52)의 설치 시에, 보유 지지 스프링(52)을 상기 틈새를 통과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1 부분(101)과 제2 부분(102)은 사이즈 및 길이의 적어도 하나가 서로 상이하다. 예를 들어 제1 부분(101)은 제2 부분(102)보다도 근소하게 두껍고 또한 길게 되어 있다. 단,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부분(101)과 제2 부분(102)을 동일한 사이즈 및 동일한 길이로 해도 된다.
베이스부(21)는 제1 부분(101)의 선단측 및 제2 부분(102)의 선단측과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개구부(111, 112)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는 개구부(111, 112)는 대략 사각형의 개구이며 각각 제1 부분(101) 및 제2 부분(102)의 전체와 대향하고 있다. 그 때문에 개구부(111)와 개구부(112) 사이의 베이스면(21b)의 부분으로부터 본체 기둥부(91)가 융기하고 있다.
또한 베이스부(21)는 설치 구멍(24)을 사이에 두고 개구부(111)와 반대측에 개구부(113)를 가지고 있다. 개구부(113)는 마찬가지로 대략 사각형의 개구로 되어 있다. 개구부(113)는 보유 지지 스프링(52)의 직선부(81)(직선부(81)의 직선 부분, 경사부(84) 및/또는 이 직선 부분과 경사부(84)의 경계)의 일부와 대향하고 있다. 보유 지지 스프링(52)의 단부(경사부(84)의 단부)는 개구부(113)를 넘어서 베이스면(21b) 상에 위치 또는 베이스면(21b)과 대향하고 있다.
또한 본체 기둥부(91)는 선단면(91a)과 반대측을 향하여 연장하고 있고 선단면(91a)과 반대측에 있어서 본체 기둥부(91)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브릿지부(120)를 가지고 있다. 브릿지부(120)는 예를 들어 연출부(92)의 제1 부분(101)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여 연장하고 개구부(113)를 가로질러 보스부(20)에 연결되어 있다. 브릿지부(120)는 그 하측(개구부(113)측)을 보유 지지 스프링(52)의 직선부(81)를 통과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 기둥부(91)는 선단면(91a)과 브릿지부(120) 사이의 설치 구멍(24)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연출부(92)의 제2 부분(102)측에 반원주 형상으로 완곡하고 있다. 단,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이와 같은 반원주 형상의 완곡부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고 본체 기둥부(91)는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적으로 연장하는 부위여도 된다.
스프링 장착부(90)에 보유 지지 스프링(52)이 설치된 상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 기둥부(91)의 선단측에 설치부(71)의 대략 U자 형상 부분(82)이 설치되고, 본체 기둥부(91)의 측부(91d)에서 설치부(71)의 완곡부(73)를 받아 본체 기둥부(91)의 측부(91e)에 직선부(81)의 일부가 접촉 또는 대향한다. 이 상태에서는 연출부(92)의 제1 부분(101) 및 제2 부분(102)이 설치부(71)에 대하여 보유 지지 스프링(52)의 빠짐 방지를 구성한다. 또한 브릿지부(120)도 직선부(81)에 대하여 보유 지지 스프링(52)의 빠짐 방지를 구성한다. 보유 지지 스프링(52)의 핀 걸림 고정부(72)는 보유 지지 부재(51)의 노치부(62)에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에어백 모듈(3)의 핀(41)이 보유 지지 부재(51)의 통부(61) 내에 삽입되면 핀(41)에 의해 핀 걸림 고정부(72)가 탄성적으로 변형하고 그 복원력에 의해 핀(41)의 걸림 고정 홈(42)에 걸림 고정된다.
이어서 도 11을 참조하여 백커버(4)의 일례를 설명한다. 백커버(4)는 심금(2)의 뒤측에 일체 성형되는 것이며 심금(2)의 일부를 감춘다. 예를 들어 백커버(4)는 심금(2)의 스포크부(23)를 덮는 스포크 커버부(131, 132, 133)를 가지고 있다. 또한 백커버(4)는 심금(2)의 베이스부(21)의 주연부를 둘러싸는 둘레벽부(135)를 가지고 있다. 둘레벽부(135)는 베이스부(21)의 주연으로부터 Z축 제1 방향으로 일어나 있으며 그 밑동측 부분에서 스포크 커버부(131, 132, 133)와 연결되어 있다.
이어서 도 12를 참조하여 스티어링 휠(1)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심금(2)을 주조에 의해 성형한다(S11). 이어서 심금(2)의 뒤측에 백커버(4)를 수지 재료에 의해 성형한다(S12). 예를 들어 심금(2)을 금형에 세팅하고 우레탄에 의해 백커버(4)를 인서트 성형한다. 이로써 심금(2)의 뒤측에 백커버(4)가 일체 성형된다. 이어서 보유 지지 부재(51)를 심금(2)의 설치 구멍(24)에 설치한다(S13). 구체적으로는 심금(2)의 앞측으로부터 보유 지지 부재(51)의 통부(61)를 설치 구멍(24) 내에 삽입하고 플랜지부(63)를 베이스부(21)의 표면(21a)에 당접시킨다.
이어서 보유 지지 스프링(52)을 심금(2)의 뒤측에 설치한다(S14). 이 일례의 흐름에 대하여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보유 지지 스프링(52)의 단부(경사부(84)의 단부)를 개구부(113)를 향하여(도 13(A)) 개구부(113)에 삽입하고 보유 지지 스프링(52)을 베이스면(21b) 상에서 수평 자세로 한다(도 13(B)). 상술한 바와 같이 연출부(92)의 제1 부분(101)의 선단측이 베이스부(21)에 비연결이고 베이스부(21)와의 사이의 틈새가 보유 지지 스프링(52)의 선지름보다도 크기 때문에 보유 지지 스프링(52)을, 틈새를 통과시켜 베이스면(21b) 상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어서 보유 지지 스프링(52)을 설치 구멍(24)을 향하여 이동시키고 핀 걸림 고정부(72)를 노치부(62)를 개재하여 보유 지지 부재(51)의 통부(61) 내에 삽입한다(도 13(C)). 이로써 핀 걸림 고정부(72)가 설치 구멍(24) 내에 위치된다. 이어서 보유 지지 스프링(52)을 90도 회전시킨다(도 13(D)). 그러면 보유 지지 스프링(52)의 설치부(71)가 베이스면(21b)과 연출부(92)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보유 지지 스프링(52)을 베이스면(21b) 상에서 수평 이동시켜(도 13(E)) 본체 기둥부(91)를 사이에 두도록 하여 설치부(71)를 설치하고 연출부(92)에 의해 설치부(71)에 대하여 보유 지지 스프링(52)의 빠짐 방지를 구성한다. 이로써 보유 지지 스프링(52)의 설치 공정(S14)이 완료한다. 이와 같은 설치 공정에서는 심금(2)에 백커버(4)가 성형되어 있던 상태여도 심금(2)의 중앙부 속에서 보유 지지 스프링(52)을 설치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심금(2)의 앞측에 에어백 모듈(3)을 설치한다(S15). 구체적으로는 보유 지지 스프링(52)을 설치한 심금(2)을 뒤집고 심금(2)의 앞측을 에어백 모듈(3)의 핀(41)에 대향시킨다. 상술한 보유 지지 스프링(52)의 설치 형태나 보유 지지 부재(51)의 설치 형태에 의해, 심금(2)을 뒤집어도 보유 지지 부재(51) 및 보유 지지 스프링(52)이 심금(2)으로부터 낙하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에어백 모듈(3)의 핀(41)을 설치 구멍(24) 내의 통부(61) 내에 삽입하고 걸림 고정 홈(42)에 핀 걸림 고정부(72)를 걸림 고정시킨다. 즉, 스냅 피팅시킨다. 이로써 심금(2)에 에어백 모듈(3)이 설치되고 스티어링 휠(1)이 제조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형태에 관한 스티어링 휠(1)에 의하면 심금(2)의 베이스부(21)에는 보유 지지 스프링(52)이 설치되는 스프링 장착부(90)가 설치된다. 스프링 장착부(90)는 베이스부(21)의 베이스면(21b)으로부터 융기한 본체 기둥부(91)와 기단측이 본체 기둥부(91)에 연속하고, 본체 기둥부(91)로부터 연장 돌출된 연출부(92)를 가지고 있다. 보유 지지 스프링(52)의 설치부(71)는 베이스면(21b)과 연출부(92) 사이에 위치하여 본체 기둥부(91)를 사이에 두도록 하여 설치된다. 연출부(92)는 설치부(71)에 대하여 보유 지지 스프링(52)의 빠짐 방지를 구성하고 연출부(92)의 선단측은 베이스부(21)에 비연결로 되어 있다.
이 형태에 의하면 보유 지지 스프링(52)의 빠짐 방지를 구성하는 스프링 장착부(90)의 연출부(92)가 그 선단측을 베이스부(21)에 대하여 비연결로 하고 있기 때문에 연출부(92)의 선단측에는 베이스부(21)로부터의 진동이 직접적으로 입력되지 않는다. 따라서 빠짐 방지를 위한 부분(연출부(92))을 개재한 보유 지지 스프링(52)에 대한 진동 영향을 저감할 수 있다. 더욱이 이와 같은 비연결에 의해 연출부(92)의 선단측과 베이스부(21) 사이에는 틈새가 생기기 때문에 베이스부(21)의 경량화에 기여 가능함과 함께 보유 지지 스프링(52)의 설치성의 향상에도 기여 가능하다. 예를 들어 백커버(4)의 성형 후에 보유 지지 스프링(52)을 설치할 수 있게 되고 스티어링 휠(1)의 제조 프로세스 상에서도 유리해진다.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여 해석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실시형태가 구비하는 각 요소 및 그 배치, 재료, 조건, 형상 및 사이즈 등은 예시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절히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보유 지지 부재(51)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1...스티어링 휠, 2...심금, 3...에어백 모듈, 4...백커버, 20...보스부, 21...베이스부, 21a...표면, 21b...베이스면, 22...림부, 23...스포크부, 24...설치 구멍, 31...리테이너, 32...인플레이터, 33...모듈 커버, 35...바닥면, 41...핀, 42...걸림 고정 홈, 44...코일 스프링, 51...보유 지지 부재, 52...보유 지지 스프링, 61...통부, 62...노치부, 63...플랜지부, 71...설치부, 72...핀 걸림 고정부, 73...완곡부, 81...직선부, 82...대략 U자 형상 부분, 82a...제1 암부, 82b...제2 암부, 82c...연결부, 84...경사부, 90...스프링 장착부, 91...본체 기둥부, 91a...선단면, 91d, 91e...측부, 92...연출부, 101...제1 부분, 102...제2 부분, 111, 112, 113...개구부, 120...브릿지부, 131, 132, 133...스포크 커버부, 135...둘레벽부

Claims (15)

  1. 보스부 및 설치 구멍을 가지는 베이스부와, 림부와, 상기 보스부 또는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림부를 연결하는 스포크부를 구비한 심금과,
    상기 설치 구멍 내에 삽입되는 핀을 가지는 에어백 모듈과,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는 설치부와, 상기 에어백 모듈이 상기 심금에 설치되도록 상기 설치 구멍 내에 위치하여 상기 핀을 걸림 고정하는 핀 걸림 고정부를 가지는 보유 지지 스프링
    을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부에는 상기 보유 지지 스프링이 설치되는 스프링 장착부가 설치되고,
    상기 스프링 장착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베이스면으로부터 융기한 본체 기둥부와,
    기단측이 상기 본체 기둥부에 연속하고, 상기 본체 기둥부로부터 연장 돌출된 연출부를 가지고,
    상기 보유 지지 스프링의 상기 설치부는 상기 베이스면과 상기 연출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본체 기둥부를 사이에 두도록 하여 설치되고,
    상기 연출부는 상기 설치부에 대하여 상기 보유 지지 스프링의 빠짐 방지를 구성하고,
    상기 연출부의 선단측은 상기 베이스부에 비연결로 되어 있는 스티어링 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출부는
    상기 본체 기둥부의 제1 측으로 연장 돌출된 제1 부분과,
    상기 제1 측과는 반대측의 상기 본체 기둥부의 제2 측으로 연장 돌출된 제2 부분을 가지고,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의 각 선단측이 상기 베이스부에 비연결로 되어 있는 스티어링 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기둥부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부분의 선단측과 상기 제2 부분의 선단측 사이의 거리는 동일한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설치부의 최대 폭보다도 크게 되어 있는 스티어링 휠.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의 선단측 및 상기 제2 부분의 선단측은 각각 상기 본체 기둥부로부터 보아 상기 설치부보다도 외측에 위치하고 있는 스티어링 휠.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의 선단측과 이 제1 부분의 선단측이 비연결 상태로 대향하는 상기 베이스부 사이의 틈새, 및 상기 제2 부분의 선단측과 이 제2 부분의 선단측이 비연결 상태로 대향하는 상기 베이스부 사이의 틈새는 각각 상기 보유 지지 스프링의 선지름보다도 큰 스티어링 휠.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의 적어도 하나는 본체 기둥부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는 스티어링 휠.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본체 기둥부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오프셋되어 있는 스티어링 휠.
  8. 제2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은 사이즈 및 길이의 적어도 하나가 서로 상이한 스티어링 휠.
  9. 제2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제1 부분의 선단측 및 상기 제2 부분의 선단측과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개구부를 가지고 있는 스티어링 휠.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지지 스프링은 직선적으로 연장하는 직선부를 가지고,
    상기 설치부는 일단이 상기 직선부에 연결하는 대략 U자 형상 부분을 가지고,
    상기 핀 걸림 고정부는 상기 직선부의 일부로부터 이루어지는 스티어링 휠.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는 상기 대략 U자 형상부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직선부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하고 또한 그 다음 상기 직선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완곡부를 더 가지고,
    상기 본체 기둥부는 상기 완곡부를 받도록 완곡한 측부를 가지는 스티어링 휠.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구멍에 설치되는 보유 지지 부재를 더 가지고,
    상기 보유 지지 부재는,
    상기 설치 구멍 내에 배치되고 상기 핀이 삽입되는 통부와,
    상기 통부에 형성된 노치부를 가지고,
    상기 핀 걸림 고정부는 상기 노치부를 개재하여 상기 통부 내에 위치하여 상기 핀을 걸림 고정하는 스티어링 휠.
  13. 보스부, 설치 구멍 및 스프링 장착부를 가지는 베이스부와, 림부와, 상기 보스부 또는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림부를 연결하는 스포크부를 구비한 심금으로서, 상기 스프링 장착부가 상기 베이스면으로부터 융기한 본체 기둥부와, 기단측이 상기 본체 기둥부와 연속하고 상기 본체 기둥부로부터 연장 돌출된 연출부를 가지고, 상기 연출부의 선단측이 상기 베이스부에 비연결로 되어 있는 상기 심금의 뒤측에 백커버를 수지 재료에 의해 성형하는 공정과,
    상기 백커버가 성형된 상기 심금의 뒤측에 보유 지지 스프링을 설치하는 공정으로서, 상기 보유 지지 스프링의 설치부를 상기 베이스면과 상기 연출부 사이에 위치시켜 상기 스프링 장착부의 상기 본체 기둥부를 사이에 두도록 하여 설치하고, 상기 연출부에 의해 상기 설치부에 대하여 상기 보유 지지 스프링의 빠짐 방지를 구성함과 함께 상기 보유 지지 스프링의 핀 걸림 고정부를 상기 설치 구멍 내에 위치시키는 공정과,
    상기 심금의 앞측에 에어백 모듈을 설치하는 공정으로서, 상기 에어백 모듈에 설치된 핀을 상기 설치 구멍 내에 삽입시켜 상기 보유 지지 스프링의 상기 핀 걸림 고정부에 걸림 고정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스티어링 휠의 제조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백커버는 상기 베이스부의 둘레벽을 둘러싸는 둘레벽부를 가지는 스티어링 휠의 제조 방법.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백커버를 성형하는 공정 후에,
    상기 설치 구멍 내에 배치되는 통부와, 상기 통부에 형성된 노치부를 가지는 보유 지지 부재를 상기 설치 구멍에 설치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백커버가 성형된 상기 심금의 뒤측에 상기 보유 지지 스프링을 설치하는 공정에서는 상기 보유 지지 스프링의 상기 핀 걸림 고정부를 상기 노치부를 개재하여 상기 통부 내에 삽입하고,
    상기 심금의 앞측에 상기 에어백 모듈을 설치하는 공정에서는, 상기 에어백 모듈의 상기 핀을 상기 통부 내에 삽입하여 상기 보유 지지 스프링의 상기 핀 걸림 고정부에 걸림 고정시키는 스티어링 휠의 제조 방법.
KR1020237016353A 2020-10-26 2021-10-12 스티어링 휠 및 그 제조 방법 KR2023009345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179066 2020-10-26
JPJP-P-2020-179066 2020-10-26
PCT/JP2021/037696 WO2022091768A1 (ja) 2020-10-26 2021-10-12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3450A true KR20230093450A (ko) 2023-06-27

Family

ID=81383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6353A KR20230093450A (ko) 2020-10-26 2021-10-12 스티어링 휠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406252A1 (ko)
EP (1) EP4234364A1 (ko)
JP (1) JP7503644B2 (ko)
KR (1) KR20230093450A (ko)
CN (1) CN116529130A (ko)
WO (1) WO20220917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98166A1 (fr) * 2019-07-04 2021-01-08 Autoliv Development Ab Dispositif de montage amovible d’un module de coussin gonflable sur un volant
WO2024171688A1 (ja) * 2023-02-15 2024-08-22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車両用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50876A (ja) 2005-03-16 2007-03-01 Takata Corp エアバッグ装置付き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2010069934A (ja) 2008-09-16 2010-04-02 Toyoda Gosei Co Ltd エアバッグ装置付き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06756B2 (ja) * 2010-09-30 2013-06-12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付き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WO2016158503A1 (ja) * 2015-03-27 2016-10-06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エアバッグ装置の着脱装置
CN207943015U (zh) * 2018-01-09 2018-10-09 延锋百利得(上海)汽车安全系统有限公司 一种方向盘和驾驶员安全气囊总成装置
WO2020003777A1 (ja) * 2018-06-25 2020-01-02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におけるダンパユニットの取付固定構造及び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7209953B2 (ja) * 2018-08-01 2023-01-23 豊田合成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50876A (ja) 2005-03-16 2007-03-01 Takata Corp エアバッグ装置付き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2010069934A (ja) 2008-09-16 2010-04-02 Toyoda Gosei Co Ltd エアバッグ装置付き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406252A1 (en) 2023-12-21
WO2022091768A1 (ja) 2022-05-05
JPWO2022091768A1 (ko) 2022-05-05
CN116529130A (zh) 2023-08-01
JP7503644B2 (ja) 2024-06-20
EP4234364A1 (en) 2023-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093450A (ko) 스티어링 휠 및 그 제조 방법
JP7094763B2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KR102610029B1 (ko) 스티어링 휠
EP3594087B1 (en) Damper mechanism of steering wheel and steering wheel device for vehicle
US6257615B1 (en) Impact protection device
JP6835633B2 (ja) ステアリングハンドル構造
WO2010064488A1 (ja) 運転席用エアバッグ装置の取付構造及び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KR102523182B1 (ko) 스티어링 휠
CN212354123U (zh) 方向盘减振系统和方向盘
JP6261074B2 (ja) エアバッグ装置
US20200307493A1 (en) Airbag device with horn switch body
WO2012124633A1 (ja) エアバッグ装置及び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WO2022044668A1 (ja) 車両の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装置
JP2014196071A (ja) エアバッグ装置
JP2009161023A (ja) ハンドルのスイッチ装置及びハンドル
JP2017177930A (ja) ハンドル
EP4378795A1 (en) Steering wheel
EP4309971A1 (en) Steering wheel
JP6275489B2 (ja) ハンドル
JP7172698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2017088115A (ja) 自動車部品
JP2006044327A (ja) エアバッグ装置
JP6021250B2 (ja) ハンドル
JP6096028B2 (ja) ハンドル
CN113815708A (zh) 方向盘减振系统和方向盘